[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11112B1 - 차량 사고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사고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1112B1
KR101311112B1 KR1020110083390A KR20110083390A KR101311112B1 KR 101311112 B1 KR101311112 B1 KR 101311112B1 KR 1020110083390 A KR1020110083390 A KR 1020110083390A KR 20110083390 A KR20110083390 A KR 20110083390A KR 101311112 B1 KR101311112 B1 KR 101311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ccident
location information
unit
sho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1086A (ko
Inventor
박종호
이태희
강은창
손지윤
선우두랑
임재환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3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1112B1/ko
Publication of KR20130021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1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11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04Communication circuits for data transmission
    • B60R2021/01081Transmission medium
    • B60R2021/01088Transmission medium wire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86Electronic control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1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cameras with adjustable capturing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차량 사고 판단 장치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충격 센싱부는 차량에 발생하는 충격을 센싱하고, 위치 정보 획득부는 차량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며, 사고 판단부는 충격 센싱부에 의해 차량의 충격이 센싱되면, 차량의 충격이 센싱된 지점의 위치정보인 제1위치정보와, 충격이 센싱된 이후 차량의 위치정보인 제2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차량의 사고 여부를 판단한다.

Description

차량 사고 판단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ciding Accident of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 사고 판단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격 센서 이외의 다양한 차량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사고를 판단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충격이 사고에 의해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기존에는 충격감지센서를 이용하고 있다. 기존의 차량의 사고감지에 사용되는 충격감지센서들은 충격감지센서에서 인지된 충격신호를 등급으로 차등 분류하여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등 단편적인 정보에 의지해 교통사고 상황을 유추한다. 이러한 기존의 방식은, 차량의 노면 충격과 같은 미세한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기존에는 사고상황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며, 사고감지장치의 오류를 일으키거나 판단을 어렵게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차량의 급감속 이후 충격이 발생하는 사고 상황에서는 비교적 정확한 사고 인지가 가능하지만, 정체 상황에서의 사고나, 가속도가 기준값(예를 들어, 6G)만큼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 발생하는 사고 상황은 정확한 판단이 불가능하다. 특히, 우주선이 발사될 때 받는 중력가속도가 3G임을 감안한다면, 기준값은 상당히 큰 수치 이므로, 실제 교통사고 발생시 어느 정도로 활용될지는 알 수 없다. 또한, 기준값을 낮게 잡을 경우에는 미세한 충격신호가 인식될 때마다 사고로 판단될 수 있으므로, 단순히 충격 센싱부만으로 사고상황을 판단하는 것으로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차량에 설치된 사고감지장치와 충격감지센서를 이용하여 판단 오류를 최소화하고 보다 정확하게 사고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대안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적 개념의 하나 이상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사고의 발생 여부를 판단 시 판단 오류를 최소화하여 보다 정확히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주변 스마트 신호등이나 응급센터에 사고를 신고하여 사고의 후처치가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사고 판단 장치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의 사고를 판단하는 장치는, 상기 차량의 충격이 센싱되면, 상기 차량의 충격이 센싱된 시점의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인 제1위치정보와, 상기 충격이 센싱된 이후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인 제2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차량의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사고 판단부;를 포함한다.
차량 사고 판단 장치는 상기 차량의 충격을 센싱하는 충격 센싱부; 및 상기 제1 위치정보와 상기 제2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사고 판단부는, 센싱된 상기 차량의 충격의 값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위치정보와 상기 제2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차량의 사고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사고 판단부는, 상기 제1위치정보와 상기 제2위치정보의 차이인 위치변화량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차량이 정상운행 중인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사고 판단부는, 상기 제1위치정보가 획득되고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에 획득된 상기 제2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사고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차량의 급가속과 급감속, 및 상기 차량의 기기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차량의 이상여부를 진단하는 자기진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고 판단부는 상기 자기진단부의 진단결과도 함께 참조하여 상기 차량의 사고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차량의 운행과 관련된 주변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주변영상에 대한 모션 디텍션 기능을 가지는 영상 촬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고 판단부는 상기 영상 촬영부의 모션 디텍션 기능에 의해 검출된 영상을 더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사고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사고 판단부에 의해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의 사고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신고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차량의 탑승자로부터 상기 차량의 사고 신고 전송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탑승자의 사고 신고 전송 명령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차량의 사고를 신고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적 개념의 다른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의 충격이 센싱되면, 상기 차량의 충격이 센싱된 시점의 위치정보인 제1위치정보와, 상기 충격이 센싱된 이후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인 제2위치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고 판단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된 충격의 값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위치정보와 상기 제2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차량의 사고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위치정보와 상기 제2위치정보의 차이인 위치변화량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차량이 정상운행 중인 것으로 판단한다.
자기진단장치(OBD: On Board Diagnostics)에 의해 상기 차량의 급가속과 급감속, 및 상기 차량의 기기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차량의 이상여부를 지속적으로 진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진단하는 단계의 진단결과도 함께 참조하여 상기 차량의 사고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차량의 운행과 관련된 주변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주변영상에 대한 모션 디텍션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모션 디텍션 기능에 의해 검출된 영상을 더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사고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의 사고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신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차량의 탑승자로부터 상기 차량의 사고 신고 전송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탑승자의 사고 신고 전송 명령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차량의 사고를 신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적 개념의 하나 이상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 사고의 발생 여부를 판단 시 판단 오류를 최소화하여 보다 정확히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주변 스마트 신호등이나 응급센터에 사고를 신고하여 사고의 후 처치가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제1실시 예에 따른 제1차량 사고 판단 장치(100)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제2실시 예에 따른 제2차량 사고 판단 장치(200)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제1실시 예에 따른 제1차량 사고 판단 장치의 차량 사고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제2실시 예에 따른 제2차량 사고 판단 장치의 차량 사고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게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은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제1실시 예에 따른 제1차량 사고 판단 장치(1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제1차량 사고 판단 장치(100)는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에 교통사고 또는 차량고장 등의 사고가 발생하는지를 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차량 사고 판단 장치(100)는 제1충격 센싱부(110), 제1위치 정보 획득부(120), 제1저장부(130) 및 제1사고 판단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충격 센싱부(110)는 차량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로서 차량에 발생하는 충격을 센싱하고, 센싱된 충격의 값인 충격량을 제1사고 판단부(140)로 출력한다. 제1충격 센싱부(110)는 차량의 진동을 지속적으로 센싱하는 진동 센서, 차량에 가해진 충격을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및 차량의 회전여부를 센싱하는 3축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충격 센싱부(110)는 충격이 센싱될 때마다, 센싱된 충격의 충격량(또는 충격값)과 사전에 설정된 충격 기준값을 비교하고, 센싱된 충격량이 충격 기준값 이상이면 그 결과를 제1사고 판단부(140)에게 통지할 수 있다. 다르게는, 제1 충격 센싱부(110)는, 충격 기준값과 비교함이 없이, 충격이 센싱될 때마다 센싱된 충격량을 제1 사고 판단부(140)에게 통지할 수도 있다.
제1위치 정보 획득부(120)는 차량의 위치정보를 지속적 또는 이벤트가 있는 경우에 획득할 수 있다. 제1위치 정보 획득부(12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같은 방식을 통해 위치를 측정하는 GPS 센서일 수 있으며, 차량의 위치는 예를 들어, [위도, 경도, 고도]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위치 정보 획득부(120)는 지속적으로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거나, 어떤 이벤트가 발생되는 시점에서의 차량의 위치 정보와 그 이벤트로부터 기 정해진 시간이 경과된 시점에서의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벤트는 일 예로 충격 기준값 이상의 충격이 센싱될 때 발생될 수 있다.
제1저장부(130)는 제1충격 센싱부(110)의 센싱 결과인 충격량과 제1위치 정보 획득부(120)가 획득한 위치정보를 각각 센싱된 시간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저장부(130)는 차량에 충격이 가해진 시점에서의 i) 충격량과 ii) 그때의 차량의 위치 정보, 및 iii) 차량의 충격이 센싱된 시점으로부터 기 정해진 시간이 경과된 시점에서의 차량의 위치 정보를 서로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1사고 판단부(140)는 제1충격 센싱부(110)에 의해 차량에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센싱되면, 차량의 충격이 센싱된 지점의 위치정보인 제1위치정보와, 충격이 센싱되고 기 정해진 시간이 경과된 시점에서의 차량의 위치정보인 제2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차량의 사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사고 판단부(140)는, 제1저장부(130)에 저장된 제1위치정보와 제2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차량의 사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사고 판단부(140)는, 제1위치정보와 제2위치정보의 차이인 위치변화량이 사전에 설정된 위치 기준값 이상이면, 차량이 정상운행 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위치변화량이 위치기준값보다 작으면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1사고 판단부(140)가 제1충격 센싱부(110)에 의해 센싱된 충격의 값이 사전에 설정된 충격 기준값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제1충격 센싱부(110)는 충격이 센싱될 때마다 제1사고 판단부(140)에게 통지하고, 제1사고 판단부(140)는 통지받은 충격의 값이 충격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만 차량의 사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제1차량 사고 판단장치(100)는,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응급센터와 같이 사전에 등록된 장소에 사고 신호를 전송하여 사고 발생을 신고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 모듈은 차량의 제2위치정보를 사고 신호와 함께 전송하여 차량의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제1실시 예에 의하면, 제1차량 사고 판단 장치(100)는 제1충격 센싱부(110)와 제1 위치 정보 획득부(1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들 구성요소들(110, 120)을 포함하지 않는 구성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충격을 센싱하는 센싱부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획득부가 이미 차량에 구비된 경우라면, 제1차량 사고 판단 장치(100)는 그러한 차량에 구비된 충격 센싱부의 센싱결과와 위치 정보 획득부가 획득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또한, 상술한 제1실시 예에 의하면, 제1차량 사고 판단 장치(100)는 단순히 제1충격 센싱부(110)에 의해 센싱된 충격량만을 이용하지 않고, 차량의 위치의 변화 정도를 더 이용하여 사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차량이 도로의 과속 방지턱 등에서 정상적인 주행을 하는 동안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라도, 차량은 정상적으로 이동하므로,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오판하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 제2실시 예에 따른 제2차량 사고 판단 장치(2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제2차량 사고 판단 장치(200)는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에 교통사고 또는 차량고장 등의 사고가 발생하는지를 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차량 사고 판단 장치(200)는 제2충격 센싱부(210), 제2위치 정보 획득부(220), 자기진단부(230), 영상 촬영부(240), 제2저장부(250), 제2사고 판단부(260), 무선 통신부(270) 및 사용자 입력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충격 센싱부(210)는 차량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로서 차량에 발생하는 충격을 센싱하고, 센싱된 충격의 값인 충격량을 제2사고 판단부(260)로 출력한다. 제2충격 센싱부(210)는 도 1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진동 센서, 가속도 센서 및 3축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적 개념이 이들 센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제2충격 센싱부(210)는 충격이 센싱될 때마다, 센싱된 충격의 충격량(또는 충격값)과 사전에 설정된 충격 기준값을 비교하고, 센싱된 충격량이 충격 기준값 이상이면 그 결과를 제2사고 판단부(260)에게 통지할 수 있다.
제2위치 정보 획득부(220)는 차량의 위치정보를 지속적 또는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에 획득할 수 있다. 제2위치 정보 획득부(220)는 예를 들면 GPS 센서일 수 있으나 이러한 것에만 본 발명적 개념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자기진단부(230)는 차량의 급가속과 급감속, 차량의 기기상태 등 차량의 전반적인 상태를 파악하고, 파악된 상태로부터 차량의 이상여부를 진단한다. 자기진단부(230)는 예를 들면 OBD(On Board Diagnostics) 장치일 수 있다.
영상 촬영부(240)는 차량의 운행과 관련된 주변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주변영상에 대해 모션 디텍션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 예에서 모션 디텍션 기능은 촬영된 영상의 전후 프레임을 비교하여, 변경된 부분을 검출하고, 검출된 부분을 분석하여 상황을 인지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모션을 디텍션 하는 기능은 종래 널리 알려진 기술이나 장차 개발될 모션 디텍션 기술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하여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영상 촬영부(240)의 모션 디텍션 기능에 의해 인지된 상황 인지 결과는 제2저장부(250)에 저장될 수 있다.
제2저장부(250)는 제2충격 센싱부(210)의 센싱 결과인 충격량과, 제2위치 정보 획득부(220)가 획득한 결과인 위치정보와, 자기진단부(230)의 진단결과와 영상 촬영부(240)에서 촬영된 영상, 모션 디텍션에 의한 상황 인지 결과를 각각 센싱된 시간 또는 진단된 시간에 매핑하여 저장한다.
제2사고 판단부(260)는 제2충격 센싱부(210)에 의해 차량에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센싱되면, 충격이 가해진 직후의 위치변화량과 자기진단부(230)에 의해 진단된 차량의 진단 결과와 영상 촬영부(240)의 모션 디텍션 기능에 의해 상황 인지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사고 판단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2사고 판단부(260)는 차량의 충격이 센싱된 지점의 위치정보인 제1위치정보와, 충격이 센싱된 이후(또는 충격이 가해진 직후) 차량의 위치정보인 제2위치정보의 차이인 위치변화량을 측정한다. 그리고, 제2사고 판단부(260)는 제2저장부(250)에 최근에 저장된 자기진단부(230)의 진단결과가 충격이 센싱된 이후에 진단된 결과가 아니면, 자기진단부(230)에게 차량의 진단을 요청하고, 진단된 결과를 제공받는다. 또한, 제2사고 판단부(260)는 영상 촬영부(240)에게 충격이 센싱된 전후에 촬영된 영상들을 비교하여 변화된 상황이 있는지를 요청하고, 변화된 상황 인지 결과를 제공받는다.
제2위치 정보 획득부(220)에 의한 위치변화량, 자기진단부(230)에 의해 자기진단 결과 및 영상 촬영부(240)에 의한 상황인지 결과가 모두 제공되면, 제2사고 판단부(260)는 이러한 결과들 중 적어도 하나를 사고 판단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사고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사고 판단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위치변화량이 사전에 정해진 기준 위치값보다 클지라도 자기진단 결과 엔진에 고장이 발생하였고, 유리가 파손된 것으로 판단되면, 최종적으로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예는 본 실시 예에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70)는 제2사고 판단부(260)에 의해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의 사고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보험사 또는 응급센터와 같은 사고관련서버에 신고할 수 있다. 사고처리서버에 신고하기 위해 필요한 IP 정보 등 다양한 정보는 차량의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지정되거나 제품 제조단계에서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270)는 사고관련서버로부터 애크(ack)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신고가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고, 주변 디바이스에게 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주변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도로변 주변에 위치하면서 차량과 무선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최근 스마트 신호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주변 디바이스는 차량으로부터 접수된 사고 신호를 사고관련서버나 주변 디바이스를 관제하는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사고 처리가 신속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80)는 차량의 탑승자로부터 차량의 사고 신고 전송 명령을 입력받는다. 사용자 입력부(280)는 버튼과 같이 탑승자가 조작하기 용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탑승자가 사용자 입력부(280)를 선택하면, 무선 통신부(270)는 탑승자의 사고 신고 전송 명령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차량의 사고를 사고관련서버에 신고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제2차량 사고 판단 장치(200)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원 백업부와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 백업부는 제2차량 사고 판단 장치(200)의 배터리 연결선이 단선되는 등 메인 전원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제2차량 사고 판단 장치(200)와 차량에 전원을 응급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술한 제2차량 사고 판단 장치(2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제2실시 예에 의하면, 제2차량 사고 판단 장치(200)는 단순히 제2충격 센싱부(210)에 의해 센싱된 충격량만을 이용하지 않고, 차량의 위치의 변화 정도, OBD 장치를 이용한 자기진단 결과 및 모션 디텍션에 의한 상황인지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이용하여 사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로써, 차량이 도로의 과속 방지턱 등에서 정상적인 주행을 하는 동안 충격이 발생하여도, 차량은 정상적으로 이동하므로,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오판하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제1실시 예에 따른 제1차량 사고 판단 장치의 차량 사고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의 차량 사고 판단 방법을 수행하는 제1차량 사고 판단 장치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차량 사고 판단 장치(100)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차량 사고 판단 장치는 차량에 발생하는 충격을 센싱한다(S310).
제1차량 사고 판단 장치는 센싱된 충격의 값이 사전에 설정된 충격 기준값 이상이면(S320-Y), 차량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위치변화량을 확인한다(S330). S330단계에서, 제1차량 사고 판단 장치는 S310단계에서 차량의 충격이 센싱된 지점의 위치정보인 제1위치정보와, 충격이 센싱된 이후 차량의 위치정보인 제2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위치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1차량 사고 판단 장치는 제1위치정보가 획득되고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에 획득된 제2위치정보를 이용한다. 또한, 위치변화량을 확인하기 위해 제1차량 사고 판단 장치는 지속적으로 GPS 센서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제1차량 사고 판단 장치는 S330단계에서 확인된 위치변화량이 사전에 설정된 위치 기준값보다 작으면(S340-Y),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S350).
그리고, 제1차량 사고 판단 장치는 구비된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응급센터와 같이 사전에 등록된 장소에 사고 신호를 전송한다(S360). S360단계에서, 제1차량 사고 판단 장치는 차량의 제2위치정보를 사고 신호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반면, S320단계에서 제1차량 사고 판단 장치는 센싱된 충격의 값이 사전에 설정된 충격 기준값보다 작거나(S320-N), S340단계에서 위치 변화량이 위치 기준값 이상이면(S340-N), 센싱된 충격은 일반적인 충격인 것으로 인지한다(S370). 일반적인 충격은 예를 들어, 차량이 과속방지턱을 통과할 때 발생하거나 비포장도로를 지나면서 발생한 충격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 제2실시 예에 따른 제2차량 사고 판단 장치의 차량 사고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의 차량 사고 판단 방법을 수행하는 제2차량 사고 판단 장치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2차량 사고 판단 장치(200)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차량 사고 판단 장치는 차량에 발생하는 충격을 센싱한다(S410).
제2차량 사고 판단 장치는 센싱된 충격의 값이 사전에 설정된 충격 기준값 이상이면(S420-Y), 차량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위치변화량을 확인한다(S430). S430단계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S330단계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2차량 사고 판단 장치는 OBD 장치와 같은 자기진단장치에 의해 진단되어 저장된 차량의 진단 결과를 확인한다(S440). S440단계에서, 제2차량 사고 판단 장치는 저장된 차량의 진단 결과가 충격이 센싱된 이후의 결과가 아니면 OBD 장치에게 최근의 진단 결과를 요청하여 차량의 최근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2차량 사고 판단 장치는 모션 디텍션 기능에 의해 획득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상황인지 결과를 확인한다(S450). 모션 디텍션 기능은 블랙박스와 같은 영상 촬영장치에 탑재된 기능으로서, 촬영된 영상의 전후프레임을 비교하여 변화된 부분을 검출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2차량 사고 판단 장치는 영상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의 진행방향 및 차량의 주변 상황을 지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제2차량 사고 판단 장치는 S430단계 내지 S450단계에서 확인된 위치변화량, 자기진단 결과 및 상황인지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사고 판단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사고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S460).
S460단계의 판단 결과,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S470-Y), 제2차량 사고 판단 장치는 구비된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응급센터와 같이 사전에 등록된 장소에 사고 신호를 전송한다(S480). S480단계에서, 제2차량 사고 판단 장치는 차량의 제2위치정보를 사고 신호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반면, S420단계에서 제2차량 사고 판단 장치는 센싱된 충격의 값이 사전에 설정된 충격 기준값보다 작으면(S420-N), 센싱된 충격은 일반적인 충격으로 인지한다(S490).
한편,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차량 사고 판단 장치는 S460단계 후 또는 S480단계 후, 차량의 탑승자로부터 수동으로 사고 신고 전송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차량 사고 판단 장치는 탑승자의 사고 신고 전송 명령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차량의 사고를 신고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제1차량 사고 판단 장치 110: 제1충격 센싱부
120: 제1위치 정보 획득부 130: 제1저장부
140: 제1사고 판단부 200: 제2차량 사고 판단 장치
210: 제2충격 센싱부 220: 제2위치 정보 획득부
230: 자기진단부 240: 영상 촬영부
250: 제2저장부 260: 제2사고 판단부
270: 무선 통신부 280: 사용자 입력부

Claims (16)

  1. 차량의 사고를 판단하는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충격을 센싱하는 충격 센싱부;
    차량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획득부;
    상기 차량의 충격이 센싱되면, 상기 차량의 충격이 센싱된 시점의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인 제1위치정보와, 상기 충격이 센싱된 이후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인 제2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차량의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사고 판단부; 및
    상기 차량의 급가속과 급감속, 및 상기 차량의 기기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차량의 이상여부를 진단하는 자기진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고 판단부는, 상기 제1위치정보와 상기 제2위치정보의 차이인 위치변화량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차량이 정상운행 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사고 판단부는 상기 자기진단부의 진단결과도 함께 참조하여 상기 차량의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고 판단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 판단부는, 센싱된 상기 차량의 충격의 값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위치정보와 상기 제2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차량의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고 판단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 판단부는, 상기 제1위치정보가 획득되고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에 획득된 상기 제2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고 판단 장치.
  6. 삭제
  7. 제1항,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운행과 관련된 주변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주변영상에 대한 모션 디텍션 기능을 가지는 영상 촬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고 판단부는 상기 영상 촬영부의 모션 디텍션 기능에 의해 검출된 영상을 더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고 판단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 판단부에 의해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의 사고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신고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고 판단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탑승자로부터 상기 차량의 사고 신고 전송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탑승자의 사고 신고 전송 명령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차량의 사고를 신고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고 판단 장치.
  10. 차량의 사고 판단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충격이 센싱되면, 상기 차량의 충격이 센싱된 시점의 위치정보인 제1위치정보와, 상기 충격이 센싱된 이후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인 제2위치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위치정보와 상기 제2위치정보의 차이인 위치변화량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차량이 정상운행 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차량 사고 판단 방법은, 자기진단장치(OBD: On Board Diagnostics)에 의해 상기 차량의 급가속과 급감속, 및 상기 차량의 기기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차량의 이상여부를 지속적으로 진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진단하는 단계의 진단결과도 함께 참조하여 상기 차량의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고 판단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된 충격의 값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위치정보와 상기 제2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차량의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고 판단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운행과 관련된 주변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주변영상에 대한 모션 디텍션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모션 디텍션 기능에 의해 검출된 영상을 더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고 판단 방법.
  15. 삭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탑승자로부터 상기 차량의 사고 신고 전송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탑승자의 사고 신고 전송 명령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차량의 사고를 신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고 판단 방법.
KR1020110083390A 2011-08-22 2011-08-22 차량 사고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Active KR101311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390A KR101311112B1 (ko) 2011-08-22 2011-08-22 차량 사고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390A KR101311112B1 (ko) 2011-08-22 2011-08-22 차량 사고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086A KR20130021086A (ko) 2013-03-05
KR101311112B1 true KR101311112B1 (ko) 2013-09-25

Family

ID=48174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390A Active KR101311112B1 (ko) 2011-08-22 2011-08-22 차량 사고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11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759B1 (ko) * 2013-11-28 2020-07-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마트 부스터를 이용한 차량 제동 시스템 및 방법
KR101472261B1 (ko) * 2014-08-29 2014-12-11 주식회사 브이에스컴텍 능동형 차량 재난구조장치
KR102316652B1 (ko) * 2014-09-02 2021-10-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화 단말을 이용한 차량 사고 신고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4195A (ko) * 2007-07-06 2009-01-12 주식회사 스페이스센싱 차량의 사고감지 및 응급성 판단 방법 및 장치
KR20100025263A (ko) * 2008-08-27 2010-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방위 영상을 이용하는 차량의 충돌 감지 시스템
KR20110066885A (ko) * 2009-12-11 2011-06-17 주식회사 유디텍 지능형 차량 정보 저장 장치
KR20110092945A (ko) * 2010-02-11 2011-08-18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차량의 사고 발생을 알리는 네비게이션 장치 및 견적 시뮬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4195A (ko) * 2007-07-06 2009-01-12 주식회사 스페이스센싱 차량의 사고감지 및 응급성 판단 방법 및 장치
KR20100025263A (ko) * 2008-08-27 2010-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방위 영상을 이용하는 차량의 충돌 감지 시스템
KR20110066885A (ko) * 2009-12-11 2011-06-17 주식회사 유디텍 지능형 차량 정보 저장 장치
KR20110092945A (ko) * 2010-02-11 2011-08-18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차량의 사고 발생을 알리는 네비게이션 장치 및 견적 시뮬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086A (ko) 2013-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1727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the alertness of a vehicle driver
JP7295684B2 (ja) 事故責任特定方法、事故責任特定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019004B2 (en)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detecting object
KR101947493B1 (ko) Obd 정보를 이용한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및 방법
KR101696540B1 (ko) 급발진 사고 관련 운전 주행 기록 시스템
KR20150137555A (ko) 차량의 주행 정보를 이용한 차량 사고 구조 요청 장치 및 방법
KR100836073B1 (ko) 캔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영상블랙박스 시스템
KR101738414B1 (ko) 차량 사고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긴급 콜 시스템
JP2007334574A (ja) 緊急通報装置および緊急通報システムならびに緊急車両案内システム
CN105976450A (zh) 无人驾驶车辆的数据处理方法和装置、黑匣子系统
CN103568945A (zh) 车辆碰撞事故通报系统及方法
CN113492849A (zh) 驾驶辅助装置以及数据收集系统
JP2012098105A (ja) 事故発生場所周辺の映像収集システム
KR20150121529A (ko) 차량용 블랙박스의 충격 감지에 따른 이벤트 영상 녹화 방법 및 그 시스템
JPWO2021010396A5 (ja) 走行記憶システム、走行記憶方法、および映像記録システム
JP2012198599A (ja) 記録装置
JP2006347493A (ja) ドライブレコーダー
KR101311112B1 (ko) 차량 사고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KR101801921B1 (ko) 차량 운행 관리시스템 및 차량 운행 관리방법
KR101580567B1 (ko)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이벤트 영상 제공 방법
US20220237929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11667601A (zh) 用于获取事件相关数据的方法和设备
CN112889270A (zh) 信息处理方法、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程序以及信息处理系统
KR20160009905A (ko) 복수개의 차량 신호들을 이용한 차량 사고 구조 요청 장치 및 방법
KR20180012065A (ko) 차선이탈경고기능을 갖는 블랙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3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9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9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