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01695A - Dct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Dct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695A
KR20180001695A KR1020160080061A KR20160080061A KR20180001695A KR 20180001695 A KR20180001695 A KR 20180001695A KR 1020160080061 A KR1020160080061 A KR 1020160080061A KR 20160080061 A KR20160080061 A KR 20160080061A KR 20180001695 A KR20180001695 A KR 20180001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que
side clutch
release side
control
clutch contro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6331B1 (ko
Inventor
조성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0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331B1/ko
Priority to US15/363,921 priority patent/US10106165B2/en
Priority to CN201611107566.XA priority patent/CN107539302B/zh
Publication of KR20180001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33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9Improvement of gear change, e.g. by synchronisation or smoothing gear shi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8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 F16H61/68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without interruption of drive
    • F16H61/688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without interruption of drive with two inputs, e.g. selection of one of two torque-flow paths by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driveline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60W10/11Stepped gearings
    • B60W10/113Stepped gearings with two input flow paths, e.g. double clutch transmission selection of one of the torque flow paths by the corresponding input clu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3/087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 F16H3/093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with two or more counter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F16H61/0403Synchronisation before shif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0Accelerator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710/0644Engin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710/0644Engine speed
    • B60W2710/0661Speed change 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710/0666Engine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10Change speed gearings
    • B60W2710/1005Transmission ratio engag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2059/366Engine or motor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F16H61/0403Synchronisation before shifting
    • F16H2061/0407Synchronisation before shifting by control of clutch in parallel torque p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003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 F16H2200/0052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the gear ratios comprising six forward spe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0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power being selectively transmitted by parallel flow paths, e.g. dual clutch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 DCT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은 TCU가 파워온 다운쉬프트 이너셔 페이즈에 진입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개시판단단계와; 파워온 다운쉬프트 이너셔 페이즈에 진입한 경우, 상기 TCU가 해방측 클러치 제어토크를 산출하여 해방측 클러치를 제어하는 클러치제어단계와; 상기 TCU가 상기 클러치제어단계 수행 중, 상기 해방측 클러치 제어토크가 소정의 제어최소토크 미만으로 작아지는지 판단하는 한계판단단계와; 상기 한계판단단계 수행결과, 상기 해방측 클러치 제어토크가 상기 제어최소토크 미만으로 작아진 경우, 상기 TCU가 추가로 요구되는 해방측 클러치 제어토크 저감량만큼을 엔진토크 상승요청량으로 ECU에게 요청하는 엔진보조요청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DCT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SHIFT CONTROL METHOD FOR VEHICLE WITH DCT}
본 발명은 DCT를 탑재한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워온 다운쉬프트 제어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운전자의 가속페달 조작량에 따라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여 구동륜을 구동하는 상태를 파워 온(POWER ON)상태라고 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하위 변속단으로의 다운쉬프트가 일어나는 상황을 파워온 다운쉬프트(POWER ON DOWN SHIFT)라고 한다.
상기와 같은 파워온 다운쉬프트의 경우에는 해방측 클러치를 해제함에 따라 엔진은 엔진토크에 의해 속도가 상승하여 결합측 입력축 속도에 동기되도록 함으로써,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밟고 있기는 하지만, 그 양이 극히 작은 초 저 APS(Accelerator Position Sensor) 신호 출력 상황에서는, 해방측 클러치를 충분히 해제함에도 엔진의 토크가 부족하여 엔진의 속도가 목표로 하는 변화율로 상승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엔진속도가 결합측 입력축 속도에 동기되는 시간이 지연되어 변속 지연이 발생하는 등 원활한 변속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10-2015-0125756 A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밟은 양이 매우 적은 초 저 APS 상황에서도, 안정적이고 신속한 변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변속응답성과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DCT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DCT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은,
TCU가 파워온 다운쉬프트 이너셔 페이즈에 진입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개시판단단계와;
파워온 다운쉬프트 이너셔 페이즈에 진입한 경우, 상기 TCU가 해방측 클러치 제어토크를 산출하여 해방측 클러치를 제어하는 클러치제어단계와;
상기 TCU가 상기 클러치제어단계 수행 중, 상기 해방측 클러치 제어토크가 소정의 제어최소토크 미만으로 작아지는지 판단하는 한계판단단계와;
상기 한계판단단계 수행결과, 상기 해방측 클러치 제어토크가 상기 제어최소토크 미만으로 작아진 경우, 상기 TCU가 추가로 요구되는 해방측 클러치 제어토크 저감량만큼을 엔진토크 상승요청량으로 ECU에게 요청하는 엔진보조요청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엔진보조요청단계는 엔진속도가 동기속도에 동기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제어단계의 해방측 클러치 제어토크는 직전 해방측 클러치 제어토크에, 상기 이너셔페이즈 동안 목표엔진속도변화율을 형성하기 위해 산출되는 해제토크를 더하고, 상기 목표엔진속도변화율과 현재엔진속도변화율에 의해 결정되는 피드백량을 더하여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한계판단단계의 제어최소토크는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한계판단단계의 제어최소토크는 상기 해방측 클러치가 터치포인트에서 형성하는 클러치토크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엔진보조요청단계의 상기 엔진토크 상승요청량은, 상기 해방측 클러치 제어토크 산출에 사용되는 상기 피드백량을 누적한 누적피드백량으로부터, 상기 해방측 클러치 제어토크가 소정의 제어최소토크 미만으로 작아지기 시작하는 시점까지 누적된 피드백량을 제외하고, 상기 시점 이후 누적된 피드백량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밟은 양이 매우 적은 초 저 APS 상황에서도, 안정적이고 신속한 변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변속응답성과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DCT를 탑재한 차량의 파워트레인을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 DCT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DCT를 구비한 차량의 파워트레인을 예시한 것으로서, 엔진(E)의 동력을 두 개의 클러치(1)로 전달받는 DCT는 상기 동력을 변속하여 구동륜(W)으로 제공한다.
상기 두 클러치(1)는 변속 시 어느 하나는 해제되면서 다른 하나는 결합되므로, 변속 상황에 따라 상대적으로 해방측 클러치 또는 결합측 클러치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각 클러치(1)에는 변속기 입력축이 연결되는데, 이전 변속단 형성에 관여하였던 해방측 클러치에 연결되는 입력축은 해방측 입력축, 목표 변속단 형성에 관여하는 결합측 클러치에 연결되는 입력축은 결합측 입력축이라고도 한다.
상기 두 클러치(1)는 실질적으로는 클러치의 스트로크를 제어함에 의해 해당 클러치에서 전달하는 클러치토크가 제어되도록 하는 클러치액츄에이터(3)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클러치액츄에이터(3)는 TCU(TRANSMISSION CONTROL UNIT; 5)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TCU(5)는 운전자의 가속페달 조작량을 APS(Accelerator Position Sensor; 7)로부터 입력 받고, 변속이 필요한 상황 여부 등을 판단하고, 상기 클러치액츄에이터(3)를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DCT의 동기장치를 구동하는 변속액츄에이터(4)를 제어하여 변속을 수행하며, 상기 엔진(E)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인 ECU(Engine Control Unit; 9)과 서로 통신하여, 엔진토크, 엔진속도 등의 정보를 입력 받고, 엔진토크를 조절해 줄 것을 요청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상기 TCU와 ECU가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로 구비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들은 하나의 컨트롤러로 병합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그 이외의 다른 기능들을 겸하여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TCU와 ECU간의 직접적인 통신만이 가능한 것이 아니라 CAN(Controller Area Network) 등과 같은 통신 방식에 의해 정보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 DCT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의 실시예는, TCU가 파워온 다운쉬프트 이너셔 페이즈에 진입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개시판단단계(S10)와; 파워온 다운쉬프트 이너셔 페이즈에 진입한 경우, 상기 TCU가 해방측 클러치 제어토크를 산출하여 해방측 클러치를 제어하는 클러치제어단계(S20)와; 상기 TCU가 상기 클러치제어단계(S20) 수행 중, 상기 해방측 클러치 제어토크가 소정의 제어최소토크 미만으로 작아지는지 판단하는 한계판단단계(S30)와; 상기 한계판단단계(S30) 수행결과, 상기 해방측 클러치 제어토크가 상기 제어최소토크 미만으로 작아진 경우, 상기 TCU가 추가로 요구되는 해방측 클러치 제어토크 저감량만큼을 엔진토크 상승요청량으로 ECU에게 요청하는 엔진보조요청단계(S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 실시예는 파워온 다운쉬프트에 진입해서 해방측 클러치를 해제시킴에 따라, 엔진의 속도가 엔진 토크에 의해 결합측 입력축 속도와 동기되기 위해 상승해야 할 때, 해방측 클러치 제어토크를 제어최소토크까지 저감시켰음에도, 아직 엔진속도가 동기속도에 도달하지 못한 상태에서, 현재엔진속도변화율이 목표엔진속도변화율(목표dNe/dt)에 미치지 못한다면, 이는 운전자가 엔진속도 상승에 필요한 충분한 수준으로 가속페달을 밟지 않고 있는 초 저 APS상황으로서, 더 이상은 해방측 클러치를 제어하는 것만으로는 목표엔진속도변화율을 달성할 수 없어서 변속 지연이 초래될 것이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엔진보조요청단계(S40)를 통해 상기 목표엔진속도변화율을 추종하여 엔진속도가 상승할 수 있도록 엔진토크 상승요청량을 ECU에 요청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엔진보조요청단계(S40)는 엔진속도가 상기 동기속도, 즉 결합측 입력축 속도에 동기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상기 TCU는 차량의 주행 상황을 판단하여 상기 파워온 다운쉬프트의 개시 여부를 판단하고, 아울러 엔진속도가 현재 변속단에 동기되어 있다가 목표 변속단의 속도로 변화하여 동기되는 이너셔페이즈(INERTIA PHASE)에 진입함을 판단하는데, 이는 종래 공지된 일반적인 기술을 사용한다.
참고로, 도 2의 순서도에서 상기 엔진속도가 동기속도에 도달되었는지는 그 차이가 소정의 동기를 확인할 수 있는 수준의 차이값인 A미만인 경우 동기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도록 하였다. 물론 상기 A는 상기와 같이 동기를 확인할 수 있는 수준으로 적절히 선정될 수 있는 바, 수십 RPM 이내의 값으로 정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클러치제어단계(S20)의 해방측 클러치 제어토크는 직전 해방측 클러치 제어토크에, 상기 이너셔페이즈 동안 목표엔진속도변화율을 형성하기 위해 산출되는 해제토크를 더하고, 상기 목표엔진속도변화율과 현재엔진속도변화율에 의해 결정되는 피드백량을 더하여 결정한다.
상기 직전 해방측 클러치 제어토크의 최초값은 상기 이너셔페이즈 진입 직전의 해방측 클러치 제어토크가 될 것이다.
상기 해제토크는 상기 TCU가 파워온 다운쉬프트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상기 목표엔진속도변화율을 결정한 후, 상기 목표엔진속도변화율을 따라 엔진속도를 상승시키기 위해 클러치를 해제시켜야 할 정도를 클러치토크 값으로 산출한 것이고, 상기 피드백량은 상술한 바와 같이 목표엔진속도변화율과 현재엔진속도변화율에 따라 그 차이를 제거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양을 클러치토크 값으로 계산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TCU는 상기 이너셔페이즈 개시 후 발생되는 피드백량을 누적하여 누적피드백량을 산출한다.
상기 한계판단단계(S30)의 제어최소토크는 상기 해방측 클러치가 터치포인트에서 형성하는 클러치토크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며, 실질적으로 상기 제어최소토크는 0으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해방측 클러치를 터치포인트까지 해제하여 클러치를 통해 전달될 수 있는 토크가 실질적으로 0 이하가 되면, 더 이상 클러치를 해제하여 클러치토크를 마이너스 값으로 떨어뜨린다고 해도, 실질적으로 엔진속도변화율에는 영향을 줄 수 없는 것이므로, 이러한 상황이 되면, 상기 엔진보조요청단계(S40)를 수행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엔진보조요청단계(S40)의 상기 엔진토크 상승요청량은, 상기 해방측 클러치 제어토크 산출에 사용되는 상기 피드백량을 누적한 누적피드백량으로부터, 상기 해방측 클러치 제어토크가 상기 제어최소토크 미만으로 작아지기 시작하는 시점까지 누적된 피드백량인 기준피드백량을 제외하고, 상기 시점 이후 누적된 피드백량으로 결정된다.
여기서, 상기 기준피드백량을 제외하는 이유는 지금까지의 해방측 클러치제어에 이미 반영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TCU의 엔진토크 상승요청량을 받은 상기 ECU는 운전자의 가속페달 조작량에 의해 결정된 엔진토크에 상기 엔진토크 상승요청량을 추가하여 엔진을 제어하여, 결과적으로 엔진의 속도변화율이 상기 목표엔진속도변화율을 추종하도록 함으로써, 변속지연을 방지하고, 원활한 파워온 다운쉬프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참고로, 도 3에서 상기 해방측 클러치 제어토크가 0를 지나는 시점인 B지점까지는 해방측 클러치 토크의 피드백 제어에 의해, 종래의 기술에 의해서도 엔진속도가 목표엔진속도를 추종하지만, 그 이후에는 종래 기술에 의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엔진속도변화율보다 낮은 속도변화율로 상대적으로 천천히 동기속도를 향해 상승하게 되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B지점 이후에도 상기 엔진보조요청단계(S40)의 반복적인 수행에 의해, 엔진속도는 상기 목표엔진속도변화율을 형성하면서, 상기 목표엔진속도의 궤적을 따라 변화하게 되어 TCU가 목표로 하는 적절한 시점에 변속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3에서 C는 엔진속도를 원하는 수준으로 상승시키기 위해 해방측 클러치를 해제해야 할 양을 클러치토크로 나타낸 것으로, 결국 상기 엔진토크 상승요청량이 되는 것이다.
참고로, 도 3에서 본 발명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결합측 클러치 토크 및 토크페이즈(TORQUE PHASE) 부분의 내용은 생략하였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클러치
3; 클러치액츄에이터
4; 변속액츄에이터
5; TCU
E; 엔진
W; 구동륜
S10; 개시판단단계
S20; 클러치제어단계
S30; 한계판단단계
S40; 엔진보조요청단계

Claims (6)

  1. TCU가 파워온 다운쉬프트 이너셔 페이즈에 진입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개시판단단계와;
    파워온 다운쉬프트 이너셔 페이즈에 진입한 경우, 상기 TCU가 해방측 클러치 제어토크를 산출하여 해방측 클러치를 제어하는 클러치제어단계와;
    상기 TCU가 상기 클러치제어단계 수행 중, 상기 해방측 클러치 제어토크가 소정의 제어최소토크 미만으로 작아지는지 판단하는 한계판단단계와;
    상기 한계판단단계 수행결과, 상기 해방측 클러치 제어토크가 상기 제어최소토크 미만으로 작아진 경우, 상기 TCU가 추가로 요구되는 해방측 클러치 제어토크 저감량만큼을 엔진토크 상승요청량으로 ECU에게 요청하는 엔진보조요청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T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엔진보조요청단계는 엔진속도가 동기속도에 동기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DCT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제어단계의 해방측 클러치 제어토크는 직전 해방측 클러치 제어토크에, 상기 이너셔페이즈 동안 목표엔진속도변화율을 형성하기 위해 산출되는 해제토크를 더하고, 상기 목표엔진속도변화율과 현재엔진속도변화율에 의해 결정되는 피드백량을 더하여 결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DCT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한계판단단계의 제어최소토크는 0으로 설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DCT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한계판단단계의 제어최소토크는 상기 해방측 클러치가 터치포인트에서 형성하는 클러치토크로 설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DCT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엔진보조요청단계의 상기 엔진토크 상승요청량은, 상기 해방측 클러치 제어토크 산출에 사용되는 상기 피드백량을 누적한 누적피드백량으로부터, 상기 해방측 클러치 제어토크가 소정의 제어최소토크 미만으로 작아지기 시작하는 시점까지 누적된 피드백량을 제외하고, 상기 시점 이후 누적된 피드백량으로 결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DCT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

KR1020160080061A 2016-06-27 2016-06-27 Dct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 Active KR101856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061A KR101856331B1 (ko) 2016-06-27 2016-06-27 Dct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
US15/363,921 US10106165B2 (en) 2016-06-27 2016-11-29 Shift control method for vehicle with DCT
CN201611107566.XA CN107539302B (zh) 2016-06-27 2016-12-05 用于具有dct的车辆的换挡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061A KR101856331B1 (ko) 2016-06-27 2016-06-27 Dct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695A true KR20180001695A (ko) 2018-01-05
KR101856331B1 KR101856331B1 (ko) 2018-05-10

Family

ID=60675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061A Active KR101856331B1 (ko) 2016-06-27 2016-06-27 Dct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06165B2 (ko)
KR (1) KR101856331B1 (ko)
CN (1) CN10753930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068A (ko) 2018-02-22 2019-08-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ct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331B1 (ko) * 2016-06-27 2018-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ct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
KR102465908B1 (ko) * 2017-12-13 2022-1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dct 차량의 다운쉬프트 제어 방법
CN110304034B (zh) * 2019-06-24 2020-12-18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P2构型混合动力车辆启动机启机和换挡协调控制方法
CN116816832B (zh) * 2023-06-29 2024-10-22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车辆的起步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90159B1 (en) * 2003-02-21 2004-09-14 Borgwarner, Inc. Method of controlling a dual clutch transmission
KR100993520B1 (ko) 2004-12-15 2010-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더블클러치 트랜스미션의 다운시프트 제어방법
JP2007309486A (ja) * 2006-05-22 2007-11-29 Toyota Motor Corp 車両の発進制御装置
JP5292782B2 (ja) * 2007-11-27 2013-09-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変速制御装置
US8079936B2 (en) * 2009-04-09 2011-12-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Gear shift control of a dual clutch transmission
JP2011002007A (ja) * 2009-06-18 2011-01-06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および変速制御方法
JP2011218890A (ja) 2010-04-06 2011-11-04 Toyota Motor Corp 車両駆動装置
US8308609B2 (en) * 2010-06-14 2012-11-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ower-off downshift engagement dampening
JP5912327B2 (ja) * 2011-08-03 2016-04-27 アイシン・エーアイ株式会社 デュアルクラッチ式自動変速機
JP5580268B2 (ja) * 2011-09-08 2014-08-27 ダイムラー・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デュアルクラッチ式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DE102012222112A1 (de) 2011-12-13 2013-06-1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Antriebsstrang mit einem Doppelkupplungsgetriebe und Verfahren zu dessen Steuerung
US9108632B2 (en) * 2012-05-04 2015-08-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operating a driveline clutch
CN103148207A (zh) * 2013-02-21 2013-06-12 重庆青山工业有限责任公司 双离合变速器的离合器切换控制方法
US9365206B2 (en) * 2013-07-17 2016-06-14 Eaton Corporation Method for non-microslip based dual clutch transmission power on up shift
JP2015104953A (ja) * 2013-11-28 2015-06-08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パワー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る鞍乗り型車両
KR101510015B1 (ko) * 2013-12-18 2015-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ct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JP6170890B2 (ja) 2013-12-24 2017-07-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KR101583919B1 (ko) * 2014-04-29 2016-0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ct차량의 클러치토크 제어방법
KR101601411B1 (ko) 2014-04-30 2016-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ct차량의 변속제어 방법
KR101592695B1 (ko) * 2014-05-21 2016-02-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ct차량의 변속 제어방법
JP6305842B2 (ja) 2014-06-19 2018-04-04 アイシン・エーアイ株式会社 車両の動力伝達制御装置
KR101601445B1 (ko) * 2014-07-04 2016-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건식클러치 제어방법
US9242651B1 (en) * 2014-08-19 2016-01-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ower-on downshift control of a dual-clutch transmission
KR101628519B1 (ko) * 2014-11-05 2016-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ct 차량의 클러치 특성 보정방법
KR101673696B1 (ko) * 2014-11-14 2016-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ct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CN105240515B (zh) * 2015-11-17 2017-07-28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湿式双离合器变速器转速同步控制方法
KR101822285B1 (ko) * 2016-06-13 2018-01-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변속 제어방법
KR101856331B1 (ko) * 2016-06-27 2018-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ct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
KR101887980B1 (ko) * 2016-11-09 2018-08-13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Dct 차량의 변속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068A (ko) 2018-02-22 2019-08-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ct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06165B2 (en) 2018-10-23
KR101856331B1 (ko) 2018-05-10
US20170369068A1 (en) 2017-12-28
CN107539302A (zh) 2018-01-05
CN107539302B (zh) 2022-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0015B1 (ko) Dct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KR101592695B1 (ko) Dct차량의 변속 제어방법
KR101856331B1 (ko) Dct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
JP6336805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変速制御方法
KR101673696B1 (ko) Dct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JP5844890B2 (ja) 車両の発進制御装置及び発進制御方法
KR101836669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변속 제어방법
KR101694074B1 (ko) 하이브리드 dct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
CN100561017C (zh) 用于车辆的驱动力控制装置和方法
KR102588929B1 (ko) 하이브리드 dct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
US20140315686A1 (en) Automatic transmission control device
KR101756026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변속 제어방법
KR101905974B1 (ko) 차량의 발진 제어방법
KR20200105605A (ko) Dct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
KR101836637B1 (ko) 차량의 크립 주행 제어방법
KR102030144B1 (ko) Dct 차량의 변속제어방법
KR101887755B1 (ko) Dct차량의 변속제어 방법
JP5727035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102465907B1 (ko) Dct 차량의 업쉬프트 제어방법
KR101510016B1 (ko) Dct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KR20190070501A (ko) 하이브리드 dct 차량의 다운쉬프트 제어 방법
US1015136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clutch of vehicle
GB2529510A (en) Control device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
KR102719103B1 (ko) Dct차량용 변속 제어방법
US10723355B1 (en) Vehicle start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9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2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9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2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11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03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2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11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5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5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