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77871A -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및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및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7871A
KR20170077871A KR1020150187070A KR20150187070A KR20170077871A KR 20170077871 A KR20170077871 A KR 20170077871A KR 1020150187070 A KR1020150187070 A KR 1020150187070A KR 20150187070 A KR20150187070 A KR 20150187070A KR 20170077871 A KR20170077871 A KR 20170077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ensing
lines
driving signal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7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9011B1 (ko
Inventor
김용관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7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9011B1/ko
Publication of KR20170077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7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9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01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상태에 따라 표시패널에 배치된 다수의 신호 라인 중 전체 또는 일부 신호 라인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지 않음으로써 표시패널의 터치 센싱 구동을 부분적 또는 일시적으로 제어하며, 이에 따라,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상태에 따라 사용자의 의도와 다른 터치 인식이나 사용자의 사용을 방해하는 터치 인식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잘못된 터치 인식에 따른 동작을 방지하고 터치 센싱 구동에 소모되는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및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DISPLAY DEVICE INTEGRATED WITH TOUCH SCREEN PANEL AND METHOD FOR DRIVING THE DISPLAY DEVICE INTEGRATED WITH TOUCH SCREEN PANEL}
본 실시예들은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와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표시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표시장치들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는, 버튼, 키보드, 마우스 등의 통상적인 입력 방식에서 탈피하여, 사용자가 정보 혹은 명령을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터치 기반의 입력 방식을 제공한다.
이러한 터치 기반의 입력 방식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터치 유무를 파악하고 터치 좌표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터치 스크린 패널에 형성된 다수의 터치 전극(예: 가로 방향 전극, 세로 방향 전극 등)을 통해 터치 전극 간의 캐패시턴스 또는 터치 전극과 포인터(예: 손가락 등) 간의 캐패시턴스의 변화를 토대로 터치 유무 및 터치 좌표 등을 검출하는 캐패시턴스 터치 방식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 기반의 입력 방식은 표시장치의 사용자가 손쉽게 정보 혹은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표시장치 이용에 편리함을 제공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불필요한 터치 인식에 따른 동작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표시장치의 화면이 오프(OFF)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더블 터치에 반응하여 화면이 온(ON) 상태로 전환되는 노크-온(Knock-On) 기능과 관련하여, 사용자가 모바일 표시장치를 쥐고 있는 상태에서 모바일 표시장치의 표시패널 측면에 닿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반응하여 화면이 온(ON)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표시장치에서 영화나 TV 등이 전체 화면으로 출력되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의도와 다른 터치 인식에 따른 모바일 표시장치의 반응은 사용자의 시청을 방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의도와 다른 터치 인식에 의한 불필요한 화면 켜짐 등은 모바일 표시장치의 화면이 좁아질수록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여, 터치 입력 방식이 이용되는 표시장치에서 사용자의 의도와 다른 터치 인식에 반응하고 동작하는 상황을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는 터치 인식을 방지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터치 센싱의 구동 여부를 표시장치의 상태에 따라 제어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일 실시예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다수의 데이터 라인이 교차되어 배치되고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이 교차되는 영역에 다수의 서브픽셀이 배치되며 다수의 터치 전극과 다수의 터치 전극에 연결된 다수의 센싱 라인이 배치된 표시패널과, 다수의 센싱 라인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다수의 센싱 라인을 통해 터치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드라이버 집적회로를 포함하고,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으로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에 따라 다수의 센싱 라인 중 전체 또는 일부 센싱 라인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에서,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으로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동안 또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으로 블랙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는 동안 다수의 센싱 라인 중 전체 또는 일부 센싱 라인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에서,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K(K≥2)열로 구성된 다수의 센싱 라인에서 제1열의 센싱 라인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제2열의 센싱 라인부터 제K-1열의 센싱 라인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며 제K열의 센싱 라인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으며, N×M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다수의 터치 전극에 K(K=N×M)열로 구성된 다수의 센싱 라인이 각각 연결된 구조에서 제1열 내지 제N열의 센싱 라인과 제K-N+1열 내지 제K열의 센싱 라인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다수의 데이터 라인이 교차되어 배치되고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이 교차되는 영역에 다수의 서브픽셀이 배치되며 다수의 터치 전극과 다수의 터치 전극에 연결된 다수의 센싱 라인이 배치된 표시패널과, 다수의 센싱 라인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다수의 센싱 라인을 통해 터치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드라이버 집적회로와, 드라이버 집적회로의 터치 구동 신호 출력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고,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이 출력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다수의 센싱 라인 중 전체 또는 일부 센싱 라인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에서,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이 노크-온(Knock-On) 상태에 해당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거나 전체 화면 영상 출력에 해당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면 다수의 센싱 라인 중 전체 또는 일부 센싱 라인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다수의 터치 전극과 다수의 터치 전극에 연결된 다수의 센싱 라인이 배치된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표시패널에 배치된 다수의 데이터 라인으로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을 확인하는 단계와, 확인된 데이터 전압에 따라 다수의 센싱 라인 중 일부 센싱 라인을 제외한 나머지 센싱 라인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에서 표시장치의 상태에 따라 터치 센싱의 구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와 다른 불필요한 터치 인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모바일 표시장치의 노크-온(Knock-On) 상태에서 모바일 표시장치의 좌/우 1열의 터치 센싱을 구동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잘못된 터치 인식에 의한 불필요한 화면 켜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상태에 따라 일부 터치 전극에 대한 터치 센싱을 오프(OFF)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터치 구동에 의한 소모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터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드라이버 집적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드 구간과 터치 모드 구간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불필요한 화면 켜짐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터치 구동 제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는, 화상 표시 기능(디스플레이 기능)과 터치 센싱 기능을 모두 제공할 수 있는 표시장치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수의 게이트 라인(GL) 및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이 배치되고 다수의 서브픽셀(SP: Sub Pixel)이 배치된 표시패널(110)과, 다수의 게이트 라인(GL)을 구동하는 게이트 드라이버(120)와,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을 구동하는 데이터 드라이버(130)와, 게이트 드라이버(120) 및 데이터 드라이버(13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40) 등을 포함한다.
게이트 드라이버(120)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GL)으로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다수의 게이트 라인(GL)을 순차적으로 구동한다.
게이트 드라이버(120)는, 컨트롤러(140)의 제어에 따라 온(ON) 전압 또는 오프(OFF) 전압의 스캔 신호를 다수의 게이트 라인(GL)으로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다수의 게이트 라인(GL)을 순차적으로 구동한다.
게이트 드라이버(120)는, 구동 방식에 따라 표시패널(110)의 일 측에만 위치할 수도 있고 양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게이트 드라이버(120)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Gate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테이프 오토메티드 본딩(TAB: Tape Automated Bonding) 방식 또는 칩 온 글래스(COG: Chip On Glass) 방식으로 표시패널(110)의 본딩 패드(Bonding Pad)에 연결되거나, GIP(Gate In Panel) 타입으로 구현되어 표시패널(110)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110)에 집적화되어 배치될 수도 있으며, 표시패널(110)과 연결된 필름상에 실장되는 칩 온 필름(COF: Chip On Film)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데이터 드라이버(130)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으로 데이터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을 구동한다.
데이터 드라이버(130)는, 특정 게이트 라인(GL)이 열리면 컨트롤러(14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에 공급함으로써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을 구동한다.
데이터 드라이버(130)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여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을 구동할 수 있다.
각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테이프 오토메티드 본딩(TAB: Tape Automated Bonding) 방식 또는 칩 온 글래스(COG: Chip On Glass) 방식으로 표시패널(110)의 본딩 패드(Bonding Pad)에 연결되거나, 표시패널(110)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으며, 표시패널(110)에 집적화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각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칩 온 필름(COF: Chip On Film)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의 일 단은 적어도 하나의 소스 인쇄회로기판(Source Printed Circuit Board)에 본딩되고, 타 단은 표시패널(110)에 본딩된다.
한편,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에서 게이트 구동 기능과 데이터 구동 기능은, 게이트 드라이버(120)와 데이터 드라이버(130)가 통합된 형태의 통합 드라이버에서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는, 게이트 구동 기능과 데이터 구동 기능을 모두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버 집적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40)는, 게이트 드라이버(120) 및 데이터 드라이버(130)로 각종 제어 신호를 공급하여 게이트 드라이버(120) 및 데이터 드라이버(13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컨트롤러(140)는, 각 프레임에서 구현하는 타이밍에 따라 스캔을 시작하고, 외부에서 입력되는 입력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드라이버(130)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신호 형식에 맞게 전환하여 전환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며, 스캔에 맞춰 적당한 시간에 데이터 구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컨트롤러(140)는, 통상의 디스플레이 기술에서 이용되는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이거나,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를 포함하여 다른 제어 기능도 더 수행하는 통합적인 제어장치일 수 있다.
컨트롤러(140)는, 입력 영상 데이터와 함께 수직 동기 신호(Vsync), 수평 동기 신호(Hsync), 입력 데이터 인에이블(DE: Data Enable) 신호, 클럭 신호(CLK) 등을 포함하는 각종 타이밍 신호들을 외부(예: 호스트 시스템)로부터 수신한다.
컨트롤러(140)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입력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드라이버(130)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신호 형식에 맞게 전환하여 전환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 이외에, 게이트 드라이버(120) 및 데이터 드라이버(130)를 제어하기 위하여, 수직 동기 신호(Vsync), 수평 동기 신호(Hsync), 입력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클럭 신호(CLK) 등의 타이밍 신호를 입력받아, 각종 제어 신호들을 생성하여 게이트 드라이버(120) 및 데이터 드라이버(130)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40)는, 게이트 드라이버(120)를 제어하기 위하여,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 Gate Start Pulse), 게이트 쉬프트 클럭(GSC: Gate Shift Clock),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GOE: Gate Output Enable) 등을 포함하는 각종 게이트 제어 신호(GCS: Gate Control Signal)를 출력한다.
여기서,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는 게이트 드라이버(120)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의 동작 스타트 타이밍을 제어한다. 게이트 쉬프트 클럭(GSC)은 하나 이상의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에 공통으로 입력되는 클럭 신호로서, 스캔 신호(게이트 펄스)의 쉬프트 타이밍을 제어한다.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GOE)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의 타이밍 정보를 지정하고 있다.
또한, 컨트롤러(140)는, 데이터 드라이버(130)를 제어하기 위하여, 소스 스타트 펄스(SSP: Source Start Pulse), 소스 샘플링 클럭(SSC: Source Sampling Clock),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SOE: Source Output Enable) 등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 제어 신호(DCS: Data Control Signal)를 출력한다.
여기서, 소스 스타트 펄스(SSP)는 데이터 드라이버(130)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의 데이터 샘플링 시작 타이밍을 제어한다. 소스 샘플링 클럭(SSC)은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 각각에서 데이터의 샘플링 타이밍을 제어하는 클럭 신호이다.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SOE)는 데이터 드라이버(130)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한다.
컨트롤러(140)는,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가 본딩된 소스 인쇄회로기판과 연성 플랫 케이블(FFC: Flexible Flat Cable) 또는 연성 인쇄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의 연결 매체를 통해 연결된 컨트롤 인쇄회로기판(Control Printed Circuit Board)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 인쇄회로기판에는, 표시패널(110), 게이트 드라이버(120) 및 데이터 드라이버(130) 등으로 각종 전압 또는 전류를 공급해주거나 공급할 각종 전압 또는 전류를 제어하는 전원 컨트롤러(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컨트롤러는 전원 관리 집적회로(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라고도 한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는 터치 센싱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터치 시스템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에 포함된 터치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의 터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는, 터치 센서(Touch Sensor)의 역할을 하는 다수의 터치 전극과 다수의 터치 전극을 구동하여 터치를 센싱하는 드라이버 집적회로(200) 등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의 터치 시스템에서, 다수의 터치 전극은 표시패널(110)에 배치된다.
즉,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에서 표시패널(110)은 터치 스크린 패널(TSP: Touch Screen Panel)을 내장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에서, 다수의 터치 전극은, 터치 센서로만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디스플레이 기능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전극으로도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하에서, 터치 전극을 공통 전극(CE: Common Electrode)으로 기재한다.
다수의 공통 전극(CE)이 터치 전극으로 사용되는 경우, 다수의 공통 전극(CE)에는 터치 구동 신호(TDS: Touch Driving Signal)가 순차적으로 인가된다.
다수의 공통 전극(CE)이 디스플레이 전극으로 사용되는 경우, 다수의 공통 전극(CE)에는 디스플레이 모드 전압(Display Mode Voltage)이 동시에 인가되며, 다수의 공통 전극(CE)은 각 서브픽셀(SP) 영역마다 존재하는 픽셀 전극(Pixel Electrode)과 대응되는 전극일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공통 전극(CE)에 인가되는 디스플레이 모드 전압은, 픽셀 전극에 인가된 픽셀 전압(데이터 전압 또는 그 대응 전압)에 대응되는 공통 전압(Vcom)일 수 있다.
표시패널(110)에는 K(K≥2, K=N×M)개의 공통 전극(CE)이 배치될 수 있으며, 각 공통 전극(CE)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형태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분리되기만 하면 그 어떠한 형태로 만들어져도 관계가 없다.
드라이버 집적회로(200)는, 공통 전극(CE)으로 터치 구동 신호(TDS)를 공급하는 터치 구동 기능과 터치 구동 신호(TDS)가 인가된 공통 전극(CE)으로부터 터치 센싱 신호(TSS: Touch Sensing Signal)를 수신하여 터치 유무를 감지하거나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터치 센싱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구동 기능과 관련하여, 드라이버 집적회로(200)는, 터치 구동을 위해 정해진 구간 동안, K개의 공통 전극(CE)을 순차적으로 구동하기 위하여, K개의 공통 전극(CE)으로 터치 구동 신호(TDS)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터치 센싱 기능과 관련하여, 드라이버 집적회로(200)는, 터치 구동 신호(TDS)가 인가된 공통 전극(CE)으로부터 터치 센싱 신호(TSS)를 수신하여 해당 공통 전극(CE)에서의 캐패시턴스(또는 전압 또는 전하량) 또는 캐패시턴스 변화량(전압 변화량 또는 전하량 변화)을 센싱하여 터치 유무를 감지하거나 터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드라이버 집적회로(200)는, K개의 공통 전극(CE)과 K개의 센싱 라인(SL)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드라이버 집적회로(200)는, 1개의 센싱 라인(SL)을 통해 1개의 공통 전극(CE)으로 터치 구동 신호(TDS)를 공급하여 터치 센싱 신호(TSS)를 수신한다.
드라이버 집적회로(200)는, 터치 구동 기능과 터치 센싱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여러 개의 기능적인 구성들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집적회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의 터치 시스템에서 드라이버 집적회로(2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K=12, N=3, M=4인 경우, 즉, 표시패널(110)에 12개의 공통 전극(CE)이 배치되고 12개의 공통 전극(CE)이 3행 4열의 매트릭스 타입으로 배치된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의 터치 시스템에서 드라이버 집적회로(200)는, 신호 제공 회로(310), 스위치 회로(320), 터치 센싱 신호 검출 회로(330), 센싱 데이터 생성부(340) 및 터치 센싱부(3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제공 회로(310)는, 터치 구동 신호(TDS)를 스위치 회로(320)로 제공한다.
스위치 회로(320)는, 일 단이 신호 제공 회로(310)와 연결되고, 타 단이 K개의 센싱 라인(SL)과 연결된다.
여기서, K개의 센싱 라인(SL 11, SL 12, SL 13, SL 14, SL 21, SL 22, SL 23, SL 24, SL 31, SL 32, SL 33, SL 34)은, K개의 공통 전극(CE 11, CE 12, CE 13, CE 14, CE 21, CE 22, CE 23, CE 24, CE 31, CE 32, CE 33, CE 34)과 대응되어 연결된다.
이러한 스위치 회로(320)는, K개의 공통 전극(CE) 각각의 터치 구동 순서에 따라 1개 이상의 공통 전극(CE)을 신호 제공 회로(310)에 순차적으로 연결시켜준다.
이에 따라, 신호 제공 회로(310)에서 제공된 터치 구동 신호(TDS)가 스위치 회로(320)를 통해 1개 이상의 센싱 라인(SL)으로 순차적으로 전달됨으로써, 터치 구동이 되어야 하는 1개 이상의 공통 전극(CE)에 터치 구동 신호(TDS)가 순차적으로 인가된다.
한편, 스위치 회로(320)는, 1개 이상의 멀티플렉서(MUX: Multiplexer,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회로(320)가 1개의 멀티플렉서(MUX)를 포함하는 경우 1개의 멀티플렉서(MUX)에 12개의 센싱 라인(SL)이 연결되어 12:1 멀티플렉서(MUX)가 되며, 4개의 멀티플렉서(MUX)를 포함하는 경우 1개의 멀티플렉서(MUX)에 3개의 센싱 라인(SL)이 연결되어 3:1 멀티플렉서(MUX)가 된다.
각각의 멀티플렉서(MUX)는, 신호 제공 회로(310)에서 제공되는 터치 구동 신호(TDS)를 멀티플렉서(MUX)에 연결된 센싱 라인(SL) 중 1개로 출력하거나, 멀티플렉서(MUX)에 연결된 센싱 라인(SL) 중 1개로부터 수신된 터치 센싱 신호(TSS)를 터치 센싱 신호 검출 회로(330)로 전달한다.
터치 센싱 신호 검출 회로(330)는, 터치 구동 신호(TDS)가 인가된 1개 이상의 공통 전극(CE)으로부터 수신된 터치 센싱 신호(TSS)를 스위치 회로(320)를 통해 검출할 수 있다.
센싱 데이터 생성부(340)는, 각 공통 전극(CE)으로부터 검출된 터치 센싱 신호(TSS)를 토대로 센싱 데이터를 생성한다.
센싱 데이터 생성부(340)는, 검출된 터치 센싱 신호(TSS)를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ADC: Analog to Digital Converter)를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센싱부(350)는, 센싱 데이터에 근거하여 터치를 센싱한다. 여기서, 터치를 센싱한다는 것은, 터치 유무를 감지하거나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터치 센싱부(340)는 신호 제공 회로(310)와 함께 하나의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CU: Micro Control Unit)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 모드 구동과 터치 모드 구동에 따른 각 구간에서의 신호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드와 터치 모드는 시분할되어 교번하여 진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의 터치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구동 구성들은, 터치 동기 신호(Touch Sync)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드 및 터치 모드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동기 신호(Touch Sync)는 컨트롤러(140)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CU)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
터치 동기 신호(Touch Sync)의 신호 레벨이 하이 레벨(또는 로우 레벨)일 때는 디스플레이 모드 구간이고, 터치 동기 신호(Touch Sync)의 신호 레벨이 로우 레벨(또는 하이 레벨)일 때는 터치 모드 구간일 수 있다.
터치 모드 구간에서, 드라이버 집적회로(200)는, 터치 구동 신호(TDS)를 공통 전극(CE)에 연결된 센싱 라인(SL)을 통해 출력하고, 센싱 라인(SL)을 통해 터치 센싱 신호(TSS)를 수신하여 터치를 센싱한다.
즉,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내장형 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모드와 터치 모드가 교번하여 진행됨에 따라 터치 스크린 패널 내장형 표시장치(100)의 상태나 디스플레이 모드와 관계없이 터치 센싱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의 상태에 따라 터치 센싱의 기능을 한정해줄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터치 센싱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불필요한 센싱으로 인한 동작이 발생할 수 있으며, 터치 센싱을 위해 불필요한 전류가 소모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도 5와 도 6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에서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의 상태에 따라 터치 센싱의 기능 한정이 요구되는 경우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의 노크-온(Knock-On)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노크-온(Knock-On) 기능은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의 화면이 오프(OFF)된 상태에서 표시패널(110)을 일정한 시간 이내에 입력되는 더블 터치에 의하여 화면이 온(ON) 상태로 전환되는 기능을 의미한다.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의 화면이 오프(OFF)된 상태에서는 표시패널(110)에 배치된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으로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지 않으며 화면 구동이 되지 않는 상태이다. 또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으로 블랙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는 상태일 수도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의 화면이 오프(OFF)된 상태에서 드라이버 집적회로(200)는, 터치 모드 구간에서 표시패널(110)에 배치된 다수의 센싱 라인(SL)으로 터치 구동 신호(TDS)를 출력하고 다수의 센싱 라인(SL)을 통해 터치 센싱 신호(TSS)를 수신하여 터치를 센싱한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의 화면이 오프(OFF)된 상태에서도 터치 모드 구간에서는 터치 센싱을 위한 구동이 수행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의도와 다르게 터치가 센싱되어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의 화면이 온(ON)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도 6은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의 화면이 사용자의 의도와 다르게 터치가 인식되어 온(ON) 상태로 전환되는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를 손으로 쥐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의 표시패널(110) 양 측면에 닿아 터치가 센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가 센싱됨에 따라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의 화면이 온(ON) 상태로 전환될 수가 있어 불필요한 화면 켜짐이 발생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화면 켜짐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는 명령이 계속해서 입력되어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가 동작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들은 드라이버 집적회로(200)에 의한 터치 센싱 구동을 제어하는 온(ON)/오프(OFF)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전술한 경우와 같이 사용자의 의도와 다른 터치가 센싱되어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가 동작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에서 터치 센싱의 구동을 제어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의 표시패널(110)에는 다수의 공통 전극(CE)과 다수의 공통 전극(CE)에 연결된 다수의 센싱 라인(SL)이 배치된다.
도 7은 다수의 센싱 라인(SL)이 K개로 구성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열의 센싱 라인(SL)부터 제K열의 센싱 라인(SL)이 표시패널(110)에 배치되어 표시패널(110)에 배치된 다수의 공통 전극(CE)과 연결된다.
드라이버 집적회로(200)는, K개의 센싱 라인(SL)으로 터치 구동 신호(TDS)를 출력하고, K개의 센싱 라인(SL)을 통해 터치 센싱 신호(TSS)를 수신하여 터치를 센싱한다.
드라이버 집적회로(200)는, K개의 센싱 라인(SL) 중 제1열의 센싱 라인(SL)부터 제K열의 센싱 라인(SL)으로 터치 구동 신호(TDS)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표시패널(110)을 이등분하여 터치 모드 구간에서 제1열의 센싱 라인(SL)과 제K/2+1열의 센싱 라인(SL)으로 터치 구동 신호(TDS)를 출력하고 다음 터치 모드 구간에서 제2열의 센싱 라인(SL)과 제K/2+2열의 센싱 라인(SL)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방식으로 터치 센싱을 구동할 수도 있으며, 센싱 라인(SL)의 구동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드라이버 집적회로(200)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의 상태에 따라 표시패널(110)에 배치된 K개의 센싱 라인(SL) 중 일부 센싱 라인(SL)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지 않음으로써 터치 센싱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라이버 집적회로(200)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의 표시패널(110)에 배치된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으로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이거나 블랙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는 동안, K개의 센싱 라인(SL) 중 제1열의 센싱 라인(SL)과 제K열의 센싱 라인(SL)으로 터치 구동 신호(TDS)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즉,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의 화면이 오프(OFF)된 상태에서 표시패널(110)에 배치된 K개의 센싱 라인(SL) 중 일부 센싱 라인(SL)의 터치 센싱 구동을 제어한다.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CU)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터치 센싱 구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드라이버 집적회로(200)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CU)이 출력하는 제어 신호가 노크-온(Knock-ON) 상태에 해당하는 제어 신호이면 표시패널(110)에 배치된 K개의 센싱 라인(SL) 중 제1열의 센싱 라인(SL)과 제K열의 센싱 라인(SL)으로 터치 구동 신호(TDS)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드라이버 집적회로(200)는, 터치 모드 구간에서 제1열의 센싱 라인(SL)과 제K열의 센싱 라인(SL)을 제외한 나머지 센싱 라인(SL)으로 터치 구동 신호(TDS)를 출력함으로써, 제1열의 센싱 라인(SL)과 제K열의 센싱 라인(SL)과 연결된 공통 전극(CE)을 제외한 나머지 공통 전극(CE)에서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즉,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의 상태에 따라 터치 센싱의 구동은 하되, 좌/우측에 배치된 1개 열의 센싱 라인(SL)과 같이 일부 센싱 라인(SL)의 터치 센싱 구동을 오프(OFF)함으로써, 터치 센싱의 구동을 부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드라이버 집적회로(200)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200)의 화면이 오프(OFF)된 상태 또는 노크-온(Knock-On) 모드인 상태에서 표시패널(110)의 좌/우측에 배치된 1개 열의 센싱 라인(SL)의 터치 센싱을 구동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200)를 쥐고 있는 상태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의도와 다르게 입력되는 터치에 의하여 화면이 구동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드라이버 집적회로(200)는, 표시패널(110)에 배치된 K개의 센싱 라인(SL)의 터치 센싱 구동을 제어함에 있어서 K개의 센싱 라인(SL)의 터치 센싱 구동을 모두 제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드라이버 집적회로(200)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CU)이 출력하는 제어 신호가 전체 화면 영상 출력에 해당하는 제어 신호이면 표시패널(110)에 배치된 K개의 센싱 라인(SL)으로 터치 구동 신호(TDS)를 출력하지 않아 표시패널(110) 전체의 터치 센싱을 일시적으로 제한할 수도 있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를 통해 영화 또는 TV 등이 전체 화면으로 출력되는 경우에, 사용자의 의도와 다른 터치 입력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시청이 방해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의 상태에 따라 표시패널(110)에 배치된 센싱 라인(SL)의 전체 또는 일부 센싱 라인(SL)으로 터치 구동 신호(TDS)를 출력하지 않음으로써, 이로 인하여 소모되는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에서 표시패널(110)에 배치된 다수의 센싱 라인(SL)의 터치 센싱 구동을 제어하는 다른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의 표시패널(110)에는 K개의 공통 전극(CE)이 N×M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고, K개의 센싱 라인(SL)이 K개의 공통 전극(CE)과 각각 연결되어 배치된다.
제1열의 센싱 라인(SL)부터 제N열의 센싱 라인(SL)이 1개 열로 배치된 공통 전극(CE)과 순차적으로 연결되며, 제N+1열의 센싱 라인(SL)부터 제2N열의 센싱 라인(SL)이 다음 열에 배치된 공통 전극(CE)과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드라이버 집적회로(200)는, 표시패널(110)에 배치된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으로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지 않거나 블랙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는 경우와 같이 표시패널(110)이 오프(OFF)된 상태에서 K개의 센싱 라인(SL) 중 일부 센싱 라인(SL)의 터치 센싱 구동을 제한한다.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CU)에서 노크-온(Knock-On) 상태에 해당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거나 전체 화면 영상 출력에 해당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면, K개의 센싱 라인(SL) 중 일부 또는 전체 센싱 라인(SL)의 터치 센싱 구동을 제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드라이버 집적회로(200)는, 노크-온(Knock-On) 상태에서 K개의 센싱 라인(SL)의 터치 센싱 구동을 제어할 경우, K개의 센싱 라인(SL) 중 제1열의 센싱 라인(SL)부터 제N열의 센싱 라인(SL)과 제K-N+1열의 센싱 라인(SL)부터 제K열의 센싱 라인(SL)으로의 터치 구동 신호(TDS)를 출력하지 않는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가 노크-온(Knock-On) 상태인 경우에는, 표시패널(110)의 좌/우 측면에 배열된 1개의 열의 공통 전극(CE)에서 터치를 센싱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와 다른 터치가 표시패널(110)의 측면에서 센싱되어 화면이 온(ON)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110)에 배치된 K개의 센싱 라인(SL) 중 일부 센싱 라인(SL)으로 터치 구동 신호(TDS)를 출력하지 않음으로써, 터치 구동 신호(TDS) 출력에 소모되는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드라이버 집적회로(200)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CU)이 전체 화면 영상 출력에 해당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면 표시패널(110)에 배치된 전체 센싱 라인(SL)으로 터치 구동 신호(TDS)를 출력하지 않음으로써, 전체 화면 시청 중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터치 센싱에 따른 동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터치 센싱에 소모되는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의 터치 센싱 구동 제어를 드라이버 집적회로(200)의 스위치 회로(320) 측면에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의 드라이버 집적회로(200)에서 스위치 회로(320)는 1개 이상의 멀티플렉서(MUX)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플렉서(MUX)는, 표시패널(110)에 배치된 다수의 센싱 라인(SL)과 연결되어 다수의 센싱 라인(SL)에 터치 구동 신호(TDS)를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다수의 센싱 라인(SL)을 통해 수신한 터치 센싱 신호(TSS)를 터치 센싱 신호 검출 회로(330)로 전달한다.
멀티플렉서(MUX)는, 다수의 센싱 라인(SL)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함에 있어서,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CU)이 출력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멀티플렉서(MUX)에 연결된 센싱 라인(SL) 중 일부 센싱 라인(SL)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가 노크-온(Knock-On) 상태인 경우, 표시패널(110)의 좌/우 측면에 배치된 센싱 라인(SL)에 연결된 멀티플렉서(MUX)의 스위칭 온(ON)/오프(OFF)를 제어함으로써, 좌/우 측면에 배치된 센싱 라인(SL)으로 터치 구동 신호(TDS)가 출력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가 전체 화면 영상 출력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멀티플렉서(MUX)의 스위칭을 오프(OFF)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멀티플렉서(MUX)에 연결된 모든 센싱 라인(SL)으로 터치 구동 신호(TDS)가 출력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멀티플렉서(MUX)의 스위칭 온(ON)/오프(OFF)를 제어하여 표시패널(110)에 배치된 다수의 센싱 라인(SL) 중 전체 또는 일부 센싱 라인(SL)으로 터치 구동 신호(TDS)를 출력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의 터치 센싱 기능을 부분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의도와 다른 터치 인식을 방지하도록 하며, 터치 구동 신호(TDS) 출력에 소모되는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의 구동 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는 상태에 따라 터치 센싱의 구동을 부분적 또는 일시적으로 제한한다.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의 드라이버 집적회로(200)는, 표시패널(110)에 배치된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으로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CU)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확인하고(S1000), 확인 결과에 따라 터치 구동을 오프(OFF)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S1010).
드라이버 집적회로(200)는, 표시패널(110)에 배치된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으로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지 않거나 블랙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거나, 또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가 노크-온(Knock-On)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표시패널(110)에 배치된 다수의 센싱 라인(SL) 중 일부 센싱 라인(SL)을 제외한 나머지 센싱 라인(SL)으로만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S1020).
이때,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가 전체 화면 영상 출력 상태인 경우, 표시패널(110)에 배치된 다수의 센싱 라인(SL) 전체의 터치 센싱 구동을 일시적으로 제한할 수도 있다.
드라이버 집적회로(200)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의 상태가 터치 구동의 제한이 요구되는 상태가 아니면, 전체 센싱 라인(SL)으로 터치 구동 신호(TDS)를 출력한다(S1030).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구동 기능과 터치 구동 기능이 모두 포함된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에서, 터치 센싱 구동의 온(ON)/오프(OFF) 기능을 통해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의 상태에 따라 표시패널(110)에 배치된 다수의 센싱 라인(SL)으로의 터치 구동 신호(TDS)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의 상태에 따라 터치 센싱 구동 기능을 부분적 또는 일시적으로 제한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와 다른 터치 센싱에 의해 발생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100)의 불필요한 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터치 센싱 구동에 소모되는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며,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110: 표시패널
120: 게이트 드라이버 130: 데이터 드라이버
140: 컨트롤러 200: 드라이버 집적회로
310: 신호 제공 회로 320: 스위치 회로
330: 터치 센싱 신호 검출 회로 340: 센싱 데이터 생성부
350: 터치 센싱부

Claims (12)

  1.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다수의 데이터 라인이 교차되어 배치되고, 상기 게이트 라인과 상기 데이터 라인이 교차되는 영역에 다수의 서브픽셀이 배치되며, 다수의 터치 전극과 상기 다수의 터치 전극에 연결된 다수의 센싱 라인이 배치된 표시패널; 및
    상기 다수의 센싱 라인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다수의 센싱 라인을 통해 터치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드라이버 집적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상기 다수의 데이터 라인으로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에 따라 상기 다수의 센싱 라인 중 전체 또는 일부 센싱 라인으로 상기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상기 다수의 데이터 라인으로 상기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동안 상기 다수의 센싱 라인 중 전체 또는 일부 센싱 라인으로 상기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상기 다수의 데이터 라인으로 블랙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는 동안 상기 다수의 센싱 라인 중 전체 또는 일부 센싱 라인으로 상기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K(K≥2)열로 구성된 상기 다수의 센싱 라인에서 제1열의 센싱 라인으로 상기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제2열의 센싱 라인부터 제K-1열의 센싱 라인으로 상기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며 제K열의 센싱 라인으로 상기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N×M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상기 다수의 터치 전극에 K(K=N×M)열로 구성된 다수의 센싱 라인이 각각 연결된 구조에서, 제1열 내지 제N열의 센싱 라인과 제K-N+1열 내지 제K열의 센싱 라인으로 상기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6.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다수의 데이터 라인이 교차되어 배치되고, 상기 게이트 라인과 상기 데이터 라인이 교차되는 영역에 다수의 서브픽셀이 배치되며, 다수의 터치 전극과 상기 다수의 터치 전극에 연결된 다수의 센싱 라인이 배치된 표시패널;
    상기 다수의 센싱 라인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다수의 센싱 라인을 통해 터치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드라이버 집적회로; 및
    상기 드라이버 집적회로의 터치 구동 신호 출력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이 출력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의 센싱 라인 중 전체 또는 일부 센싱 라인으로 상기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이 노크-온(Knock-On) 상태에 해당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다수의 센싱 라인 중 전체 또는 일부 센싱 라인으로 상기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K(K≥2)열로 구성된 상기 다수의 센싱 라인 중 제1열의 센싱 라인과 제K열의 센싱 라인을 제외한 나머지 센싱 라인으로 상기 터치 구동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이 전체 화면 영상 출력에 해당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다수의 센싱 라인으로 상기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10. 다수의 터치 전극과 상기 다수의 터치 전극에 연결된 다수의 센싱 라인이 배치된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에 배치된 다수의 데이터 라인으로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전압에 따라 상기 다수의 센싱 라인 중 일부 센싱 라인을 제외한 나머지 센싱 라인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데이터 라인으로 상기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동안 K(K≥2)열로 구성된 상기 다수의 센싱 라인 중 제1열의 센싱 라인과 제K열의 센싱 라인을 제외한 나머지 센싱 라인으로 상기 터치 구동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N×M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상기 다수의 터치 전극에 K(K=N×M)열로 구성된 다수의 센싱 라인이 각각 연결된 구조에서, 제1열 내지 제N열의 센싱 라인과 제K-N+1열 내지 제K열의 센싱 라인을 제외한 나머지 센싱 라인으로 상기 터치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50187070A 2015-12-28 2015-12-28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및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Active KR102469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070A KR102469011B1 (ko) 2015-12-28 2015-12-28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및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070A KR102469011B1 (ko) 2015-12-28 2015-12-28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및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871A true KR20170077871A (ko) 2017-07-07
KR102469011B1 KR102469011B1 (ko) 2022-11-22

Family

ID=59353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7070A Active KR102469011B1 (ko) 2015-12-28 2015-12-28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및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90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35465A (zh) * 2019-11-25 2021-05-25 硅工厂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和用于驱动面板的驱动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5097A (ko) * 2013-07-31 2015-02-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50059517A (ko) * 2013-11-22 2015-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JP2015520897A (ja) * 2012-06-14 2015-07-23 ▲華▼▲為▼終端有限公司Huawei Device Co., Ltd. 誤操作を防止する方法とタッチスクリーン端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20897A (ja) * 2012-06-14 2015-07-23 ▲華▼▲為▼終端有限公司Huawei Device Co., Ltd. 誤操作を防止する方法とタッチスクリーン端末
KR20150015097A (ko) * 2013-07-31 2015-02-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50059517A (ko) * 2013-11-22 2015-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35465A (zh) * 2019-11-25 2021-05-25 硅工厂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和用于驱动面板的驱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9011B1 (ko) 202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9078B1 (ko) 신호 제어 회로, 전원 제어 회로, 구동 회로, 타이밍 컨트롤러, 터치 시스템, 터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구동 방법
US9335852B2 (en) In-cell touch display device
US986521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an integrated touch panel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170646B1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602199B1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601364B1 (ko) 터치 센싱 회로, 터치 표시 장치 및 터치 센싱 방법
KR101480314B1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404960B1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9372583B2 (en)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270988B1 (ko) 터치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1000185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EP2605112B1 (en) Touch sensor integrated type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2350727B1 (ko) 지문 센서를 구비한 터치 스크린 표시장치
KR102020282B1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30035883A (ko) 표시 장치, 표시 방법 및 전자 시스템
KR20150025778A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486407B1 (ko) 터치방식 표시장치
KR20150000586A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189480B1 (ko) 터치패널 표시장치
KR102249035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터치 제어장치
KR102469011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및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KR20150015097A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90068375A (ko) 터치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469014B1 (ko) 통합구동회로부, 그를 이용하는 표시장치 및 구동방법
KR20160092095A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2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2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6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