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70452A - 지그재그 형태의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지셀 - Google Patents

지그재그 형태의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지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0452A
KR20170070452A KR1020150177969A KR20150177969A KR20170070452A KR 20170070452 A KR20170070452 A KR 20170070452A KR 1020150177969 A KR1020150177969 A KR 1020150177969A KR 20150177969 A KR20150177969 A KR 20150177969A KR 20170070452 A KR20170070452 A KR 20170070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ell
electrode sheet
electrode
battery
she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7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2970B1 (ko
Inventor
조경연
정상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50177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2970B1/ko
Publication of KR20170070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0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97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5Cells or batteries with folded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01M2/022
    • H01M2/1016
    • H01M2/2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되어 있는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전지케이스 내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셀로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양극 시트 및 음극 시트, 및 상기 양극 시트와 음극 시트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제 1 분리막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양극 시트 및 음극 시트는, 동일한 일측 단부에 전극 탭이 형성된 상태에서, 제 n 양극 평면부가 제 n+1 양극 평면부(n은 2 이상의 자연수)와 대면하고 제 n 음극 평면부가 제 n+1 음극 평면부(n은 2 이상의 자연수)와 대면하도록, 시트의 길이방향(L)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되어 있고, 상기 제 n 양극 평면부의 크기(Hn)와 제 n+1 양극 평면부(Hn+1)의 크기가 서로 다르며, 상기 제 n 음극 평면부의 크기(Hn')와 제 n+1 음극 평면부(Hn+1')의 크기가 서로 다르고, 상기 전극 탭이 전지케이스의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고, 양극 평면부 및 음극 평면부가 전지케이스의 하단면에 수직이 되도록 내장되어 있는 전지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지그재그 형태의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지셀 {Battery Cell Having Zigzag-Type Electrode Assembly}
본 발명은 지그 재그 형태의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지셀에 대한 것이다.
최근, 전기 디바이스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의 증가로, 이차전지의 수요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슬림 타입(slim type) 구조 또는 곡면 구조를 포함하는 다양한 디자인의 디바이스의 등장으로 인하여 이차전지의 새로운 형태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이차전지는 단순한 육면체 구조가 주류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곡면구조 또는 원형 구조의 디바이스에 대해 형상의 불일치가 발생하는 바, 평면상 곡면 또는 원형 구조의 디바이스에 평면상 사각형 형상의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경우, 손실되는 부피만큼 용량면에서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리튬 이차전지는 전지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전극조립체가 원통형 또는 각형의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원통형 전지 및 각형 전지와, 전극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된다.
상기 전극조립체는 양극/분리막/음극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 충방전이 가능한 발전소자로서, 활물질이 도포된 긴 시트형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하여 권취한 젤리-롤형과, 소정 크기의 다수의 양극과 음극을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 바이셀, 풀셀 등의 스택형 유닛셀들을 긴 길이의 분리막 시트를 사용하여 권취한 구조의 스택/폴딩형 및 스택형 유닛셀들을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로 적층한 라미네이션/스택형으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원통형 전지의 경우, 전체적인 형상 및 용량을 고려할 때 젤리-롤형 전극조립체가 사용되는 바, 젤리-롤형 전극조립체는 제조방법이 용이하고 부피 대비 밀도가 높아 고용량이며, 원통형 전지케이스와 형상면에서 대응되기 때문에 사공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장점에 불구하고, 지름이 작은 원통형 전지를 제조하는 경우, 권취된 젤리-롤형 전극조립체에 인가되는 저항이 증가하고, 전극 탭을 전지케이스 하면에 용접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디바이스가 개발되는 추세를 반영할 때, 원통형 전지에 젤리-롤형 전극조립체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사공간을 줄여서 고용량을 발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방법이 간단한 이차전지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원통형 전지에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되어 있는 구조의 전극조립체를 내장한 전지셀을 사용하는 경우, 젤리-롤형 전극조립체의 권취에 의한 저항 증가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전지케이스 내부에서 전극조립체가 차지하지 않는 사공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다기능 소형화 제품에 대해서도 고용량의 전지를 제공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상기 전극조립체를 금속 소재의 원통형 캔에 내장하기 때문에 내구성이 향상되는 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 등에 의한 화재 및 발화 등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이차전지의 용량 증가뿐만 아니라,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되어 있는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전지케이스 내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셀로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양극 시트 및 음극 시트, 및 상기 양극 시트와 음극 시트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제 1 분리막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양극 시트 및 음극 시트는, 동일한 일측 단부에 전극 탭이 형성된 상태에서, 제 n 양극 평면부가 제 n+1 양극 평면부와 대면하고 제 n 음극 평면부가 제 n+1 음극 평면부와 대면하도록, 시트의 길이방향(L)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되어 있고,
상기 제 n 양극 평면부의 크기(Hn)와 제 n+1 양극 평면부(Hn+1)의 크기가 서로 다르며, 상기 제 n 음극 평면부의 크기(Hn')와 제 n+1 음극 평면부(Hn+1')의 크기가 서로 다르고, 상기 전극 탭이 전지케이스의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고, 양극 평면부 및 음극 평면부가 전지케이스의 하단면에 수직이 되도록 내장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되어 있는 구조의 전극조립체를 내장하고 있는 바, 종래에 원통형 전지케이스에 젤리-롤형 전극조립체를 사용함에 따라 권취가 풀리는 현상 내지 권취로 인한 전극합제층의 분리 또는 내부 저항 증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지름이 작은 원통형 전지케이스의 경우 내부 저항 증가의 문제가 증가할 수 있는 바, 이와 같은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된 구조의 전극조립체의 사용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젤리-롤형 전극조립체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전지케이스 내부에서 전극조립체가 차지하는 부피의 감소를 최소화하기 때문에 전지셀의 용량 감소의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은 다양한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Portable Device) 또는 웨어러블 전자기기(Wearable Device) 등의 급속한 성장에 맞추어,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디바이스에 적용이 가능하면서도 고용량의 전지셀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에 있어서, 서로 다른 크기의 평면부들이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된 구조의 전극조립체의 외형은 원통형 전지셀의 내면과 대응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금속 캔으로 이루어진 전지케이스는 내구성이 높아 전극조립체를 보호하는 데 더 적절한 바, 상기 전지케이스는 원통형의 금속 캔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된 상태로 전지케이스에 수납되는 바, 전지케이스의 내표면과 접촉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전극조립체의 최외곽에는 전지케이스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막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상기 전극조립체는 양극 시트 외면에 위치하는 제 2 분리막 및 음극 시트 외면에 위치하는 제 3 분리막을 더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양극 시트 및 음극 시트의 적어도 일면에는 전극 합제가 도포되어 있는 바, 절곡시 대면하게 되는 전극 시트의 일면에 전극 합제가 도포되어 있거나, 제 1 분리막과 대면하는 전극 시트의 타면에 전극 합제가 도포될 수 있으며, 또는 전극의 용량을 증가하기 위하여, 전극 시트의 양 면에 모두 전극 합제가 도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극조립체는 지그재그 형태의 구현을 위하여 양극 시트 및 음극 시트 각각에 절곡부가 형성되는 바, 전극 시트의 절곡시, 절곡부 주변에 도포되는 전극 합제는 탈리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점을 고려할 때, 상기 절곡부에는 전극 합제가 도포되지 않은 무지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전극 시트의 일측 끝단에 부착된 전극 탭이 전극케이스의 상부를 향하여 돌출된 상태에서, 양극 평면부 및 음극 평면부가 전지케이스의 하단면에 수직이 되도록 내장되는 바, 상기 양극 평면부들 및 음극 평면부들의 크기는 전지케이스의 높이 보다 작은 범위로 설정되고, 전극조립체의 전체적인 형상이 원통형 구조인 것이 바람직한 바, 상기 양극 평면부들 및 음극 평면부들의 크기는 모두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지케이스에 전극조립체를 내장할 때 양극 평면부 및 음극 평면부의 개수가 짝수인 경우에는 전극조립체의 방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 바, 이와 같은 번거로움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양극 평면부 및 음극 평면부의 개수는 홀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양극 평면부 및 음극 평면부의 총 개수는 2n-1(n은 3이상의 자연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극 시트 및 음극 시트는 중심부에 위치하는 양극 평면부 및 음극 평면부를 기준으로, 양쪽에 위치하는 평면부들의 개수가 동일하게 설정되는 바, 절곡된 상태에서 전체적인 전극조립체의 형상이 원통형과 유사한 구조가 되기 위하여, 상기 양극 시트 및 음극 시트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중심부에 위치하는 제 n 양극 평면부 및 제 n 음극 평면부의 크기가 가장 크고, 양 끝단으로 갈수록 크기가 줄어드는 구조일 수 있다.
이 때, 양극 평면부들 및 음극 평면부들의 크기는 제 n 양극 평면부 또는 제 n 음극 평면부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양극 시트 및 음극 시트가 절곡되는 절곡부에는 절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절곡 가이드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 가이드 라인은 용이하고 간결한 절곡이 이루어질 수 있다면, 그 형태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상기 절곡 가이드 라인은 만입홈 또는 복수의 슬릿들로 이루어진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에 포함되는 전극 시트에는 전지케이스에 수납시, 전지케이스의 상부를 향하여 돌출된 형상의 전극 탭이 부착되어 있는 바, 상기 전극 탭은 전극 당 1개 또는 2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극 합제가 도포되지 않은 무지부에, 용접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극 탭은 2개 이상의 개수로 형성될 수 있는 바, 전극 시트의 동일한 일측 외주변 상에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서로 다른 외주변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극 탭이 2개인 경우에는 전지케이스의 상부를 향하여 돌출된 전극 시트의 일측 끝단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극 탭이 3개 이상인 경우에는 전지케이스의 상부를 향하여 돌출된 전극 시트의 일측 끝단을 포함하여 상기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좌측 및/또는 우측 외주변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전극조립체의 양극 시트 외면 및 음극 시트 외면에 분리막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전극조립체와 전지케이스와의 접촉 및 전기적인 단락이 발생할 수 있는 바,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주면은 전극 시트의 길이 방향에 수직이 되도록 분리 필름이 둘러싸고 있는 구조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전지케이스의 내면과 전극조립체의 외면 사이에는 분리 필름이 개재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셀을 단위전지로 포함하는 전지팩 및 상기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지팩은 고온 안전성 및 긴 사이클 특성과 높은 레이트 특성 등이 요구되는 디바이스의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디바이스의 상세한 예로는, 모바일 전자기기, 전지 기반 모터에 의해 동력을 받아 움직이는 파워 툴(power tool);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등을 포함하는 전기차; 전기 자전거(E-bike), 전기 스쿠터(E-scooter)를 포함하는 전기 이륜차; 전기 골프 카트(electric golf cart); 전력저장용 시스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디바이스의 구조 및 그것의 제작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된 구조의 전극조립체를 원통형 전지케이스에 수납하는 구조인 바, 전극조립체의 전체적인 형상이 전지케이스 내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고용량의 이차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캔 소재의 전지케이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지셀의 내구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에 의한 폭발 내지 발화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전지케이스에 수납하는 전극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집전체의 평면 모식도이다;
도 3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절곡 가이드 라인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전극 탭이 부착된 전극 시트 끝단의 사시도이다; 및
도 6은 전지케이스와 전극조립체 사이에 위치한 분리 필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전극조립체를 내장하는 전지케이스의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평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극조립체(120)는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되어 있는 구조이며, 절곡된 상태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전지케이스(110)에 내장된다. 절곡된 상태의 전극조립체(120)의 전체적인 외형은 원통형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전극조립체와 전지케이스 사이에 사장되는 공간을 줄이기 위하여, 전지케이스(110)는 원통형 전지케이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지케이스(110) 내부에 전극조립체(120)를 안정적으로 수납하기 위하여 전극조립체의 평면부 가운데 가장 큰 중심 평면부(125)의 폭(W)은 전지케이스의 높이(W')와 같거나 작게 형성되며, 중심 평면부(125)의 높이(121)는 전지케이스의 상단면(115)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전극집전체(200)는 전극 시트의 길이방향(L)으로 배열된 제 1 평면부(210)부터 제 7 평면부(270)까지 7개의 평면부들(210, 220, 230, 240, 250, 260, 270)로 이루어져 있으며, 평면부들의 폭(W1)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러나, 평면부들의 높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바, 중심에 위치하는 제 4 평면부(240)의 높이(H4)가 가장 크고, 제 4 평면부(240)를 중심으로 양쪽에 위치하는 제 3 평면부(230) 및 제 5 평면부(250)의 높이(H3, H5)는 제 4 평면부의 높이(H4) 보다 작은 범위 내에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 4 평면부를 중심으로 양쪽에 위치하는 평면부들의 높이는 대칭이 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다만, 전극집전체(200)를 구성하는 평면부들의 개수는 7개로 한정되지 않고 전지 케이스의 크기 및 전지의 용량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전지케이스에 수납시 전극조립체의 방향을 고려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기 위하여 홀수개의 평면부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바, 상기 평면부들의 개수는 2n-1 개(n은 3이상의 자연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분해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극조립체(300)는 양극 시트(310) 및 음극 시트(320)와 인접하도록 분리막들이 위치한 구조인 바, 예를 들어, 양극 시트(310), 제 1 분리막(331) 및 음극 시트(32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구조일 수 있고, 또는, 양극 시트(310) 외면에는 제 2 분리막(332)이 위치하고, 음극 시트(320) 외면에는 제 3 분리막(333)이 더 위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양극 시트(310) 및 음극 시트(320)의 적어도 일면에는 양극 합제(311) 및 음극 합제(321)가 각각 도포되어 있는 바, 각각의 평면부들 사이의 절곡부(312, 322)에는 절곡시 전극 합제가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극 합제가 도포되지 않은 무지부(313, 323)가 형성되어 있다.
분리막들(331, 332, 333)은, 점선으로 이루어진 외주변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전지케이스에 용이한 수납을 위하여, 전극집전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인 실선으로 이루어진 외주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전극 시트의 평면부들 사이의 절곡부를 확대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전극 시트(400)를 구성하는 제 n 평면부(411) 및 제 n+1 평면부(412) 사이에는 전극 시트가 절곡되는 절곡부(4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절곡부(421) 상에는 절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절곡 가이드 라인(422)이 형성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절곡 가이드 라인(422)은 만입홈 또는 복수의 슬릿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전극 탭들이 부착된 전극 시트의 사시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극 시트(500)는, 전지케이스에 수납시 상부를 향하는 일측 끝단(510)에 전극 탭들(511, 512)이 부착되어 있고, 전극 시트(500)의 반대쪽 끝단(570)에는 전극 탭들이 부착되어 있지 않다. 전극 탭들(511, 512)은 2개가 도시되어 있으나, 1개 또는 2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극 시트의 동일 일측 외주변(521) 상에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외주변들(521, 522, 523) 상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가 전지케이스에 내장되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전극조립체(610)는 제 2 분리막 또는 제 3 분리막을 포함하지 않는 전극조립체로서, 전극조립체의 외표면에 전극 합제가 도포된 전극집전체가 드러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전극조립체(610)는 전지케이스(630)와 접촉을 통해 단락으로 인한 폭발 내지 발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바, 전극조립체(610)의 외주면은 전극 시트의 길이 방향(L)에 수직이 되도록 분리 필름(620)이 둘러싸고 있다.
또는, 분리 필름(620)이 전지케이스(630)의 내면에 형성됨으로써, 전극조립체(610) 외면과 전지케이스(630) 사이에 분리 필름(620)이 개재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8)

  1.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되어 있는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전지케이스 내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셀로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양극 시트 및 음극 시트, 및 상기 양극 시트와 음극 시트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제 1 분리막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양극 시트 및 음극 시트는, 동일한 일측 단부에 전극 탭이 형성된 상태에서, 제 n 양극 평면부가 제 n+1 양극 평면부(n은 2 이상의 자연수)와 대면하고 제 n 음극 평면부가 제 n+1 음극 평면부(n은 2 이상의 자연수)와 대면하도록, 시트의 길이방향(L)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되어 있고,
    상기 제 n 양극 평면부의 크기(Hn)와 제 n+1 양극 평면부(Hn+1)의 크기가 서로 다르며, 상기 제 n 음극 평면부의 크기(Hn')와 제 n+1 음극 평면부(Hn+1')의 크기가 서로 다르고,
    상기 전극 탭이 전지케이스의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고, 양극 평면부 및 음극 평면부가 전지케이스의 하단면에 수직이 되도록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케이스는 원통형의 금속 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양극 시트 외면에 위치하는 제 2 분리막 및 음극 시트 외면에 위치하는 제 3 분리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시트 및 음극 시트 각각의 적어도 일면에는 전극 합제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재그 형태의 구현을 위한 양극 시트 및 음극 시트 각각의 절곡부에는 전극 합제가 도포되지 않은 무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평면부들 및 음극 평면부들의 크기는 전지케이스의 높이 보다 작은 범위에서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평면부 및 음극 평면부의 총 개수는 2n-1(n은 3이상의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시트 및 음극 시트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중심부에 위치하는 제 n 양극 평면부 및 제 n 음극 평면부의 크기가 가장 크고, 양 끝단으로 갈수록 크기가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9. 제 8 항에 있어서, 양극 평면부들 및 음극 평면부들의 크기는 제 n 양극 평면부 또는 제 n 음극 평면부를 기준으로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시트 및 음극 시트가 절곡되는 절곡부에는 절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절곡 가이드 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가이드 라인은 만입홈 또는 복수의 슬릿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탭은 전극 당 1개 또는 2개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탭은 2개 이상의 개수로 형성되어 있고, 전극 시트의 동일한 일측 외주변 상에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서로 다른 외주변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주면은 전극 시트의 길이 방향에 수직이 되도록 분리 필름이 둘러싸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케이스의 내면과 전극조립체의 외면 사이에는 분리 필름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지셀을 단위전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17. 제 16 항에 따른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모바일 전자기기, 전지 기반 모터에 의해 동력을 받아 움직이는 파워 툴(power tool);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등을 포함하는 전기차; 전기 자전거(E-bike), 전기 스쿠터(E-scooter)를 포함하는 전기 이륜차; 전기 골프 카트(electric golf cart); 전력저장용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KR1020150177969A 2015-12-14 2015-12-14 지그재그 형태의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지셀 Active KR102072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969A KR102072970B1 (ko) 2015-12-14 2015-12-14 지그재그 형태의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지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969A KR102072970B1 (ko) 2015-12-14 2015-12-14 지그재그 형태의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지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0452A true KR20170070452A (ko) 2017-06-22
KR102072970B1 KR102072970B1 (ko) 2020-03-02

Family

ID=59283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7969A Active KR102072970B1 (ko) 2015-12-14 2015-12-14 지그재그 형태의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지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29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7173A (ko) * 2016-10-31 2018-05-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웰링을 방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전지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1741A (ko) * 1999-01-26 2000-08-16 김순택 이차전지의 전극군
WO2006118053A1 (ja) * 2005-04-26 2006-11-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電池
KR20120022385A (ko) * 2010-09-02 2012-03-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벤딩영역을 갖는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1741A (ko) * 1999-01-26 2000-08-16 김순택 이차전지의 전극군
WO2006118053A1 (ja) * 2005-04-26 2006-11-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電池
KR20120022385A (ko) * 2010-09-02 2012-03-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벤딩영역을 갖는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7173A (ko) * 2016-10-31 2018-05-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웰링을 방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전지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2970B1 (ko) 202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50239B1 (en) Stepped electrode assembly and battery cell comprising same
KR101395016B1 (ko) 단차를 갖는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전지팩 및 디바이스
JP5732687B2 (ja) ポーチ型ケース及びこれを含む電池パック
KR101402657B1 (ko) 비정형 구조의 전지팩
US10056577B2 (en) Battery cell of novel structure
EP3486967B1 (en) Battery cell comprising electrode lead facing outer surface of electrode assembly
EP2860810A1 (en) Stepped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step unit cell
US8568929B2 (e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separators having crossing pores and rechargeable battery
JP5699909B2 (ja) 二次電池用電極体及び二次電池並びに車両
KR20130118716A (ko) 전극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및 디바이스
US9935329B2 (en) Stepped electrode group stack
KR20180118949A (ko) 형상 기억 합금체가 형성되어 있는 탑 캡을 구비하는 전지셀
CN107004889B (zh) 包括双电池和全电池的电极组件以及包括该电极组件的二次电池
KR102002511B1 (ko) 전지
KR101653320B1 (ko) 낮은 저항의 젤리-롤형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US20140038032A1 (en) Rechargeable battery
KR20150072236A (ko) 테라스 실링부를 포함하는 파우치의 패키징 구조 및 그 방법
KR102072970B1 (ko) 지그재그 형태의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2108208B1 (ko) 원형 전극을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KR20150122340A (ko) 다수의 전극 탭들을 포함하는 젤리-롤형 전극조립체
KR102505094B1 (ko)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모듈
KR101333913B1 (ko) 각형 리튬형 전지롤 구조체
KR20140110124A (ko) 절취부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KR20200092672A (ko)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5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2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