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40197A - 방현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방현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0197A
KR20170040197A KR1020177001749A KR20177001749A KR20170040197A KR 20170040197 A KR20170040197 A KR 20170040197A KR 1020177001749 A KR1020177001749 A KR 1020177001749A KR 20177001749 A KR20177001749 A KR 20177001749A KR 20170040197 A KR20170040197 A KR 20170040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glare
antiglare layer
film
particles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1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유키 미나카타
아츠시 기시
다카유키 아다치
히로키 구라모토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40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019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방현성 및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또한, 번쩍거림을 억제할 수 있는 방현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투명 기재와, 그 투명 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배치된 방현층을 구비하고, 외부 헤이즈가 ―5 % ∼ 0.7 % 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전체 헤이즈가 5 % ∼ 40 % 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내부 헤이즈가 10 % ∼ 40 % 이다.

Description

방현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ANTI-GLARE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방현 필름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화상 표시 장치에는, 외광의 반사, 이미지 비침 등에 의한 콘트라스트 저하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방현 필름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최근, 화상 표시 장치의 고정세화에 수반하여, 방현 필름을 기인으로 하는 번쩍거림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생기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방현 필름을 고정세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한 경우, 화소 중에 존재하는 휘도 편차가 강조되어, 번쩍거림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로서, 방현 필름의 내부 헤이즈를 높게 한다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당해 기술에 있어서는, 최근 요구되는 추가적인 고정세화에 대하여, 내부 헤이즈를 더욱 높일 필요가 있고, 투명성의 관점에서 실용에 적합하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또, 방현 필름의 배면측에 비교적 두꺼운 유리 등이 배치되는 구성의 화상 표시 장치, 예를 들어, 내열성이 요구되는 차재 용도의 화상 표시 장치 (예를 들어, 카 내비게이션의 모니터, 인스트루먼트 패널 모니터 등) 에 있어서는, 상기 번쩍거림의 문제가 보다 현저해진다.
이와 같이, 고정세화와 내열성이 요구되는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방현성 및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또한, 번쩍거림을 억제할 수 있는 방현 필름의 적용이 요구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09456호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방현성 및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또한, 번쩍거림을 억제할 수 있는 방현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투명 기재와, 그 투명 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배치된 방현층을 구비하고, 외부 헤이즈가 ―5 % ∼ 0.7 % 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전체 헤이즈가 5 % ∼ 40 % 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내부 헤이즈가 10 % ∼ 40 % 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방현층의 상기 투명 기재와는 반대측의 표면이 요철면이며 그 요철면에 있어서의 요철의 평균 간격 Sm 과, 평균 경사각 θa 와, 요철면의 산술 평균 표면 조도 Ra 가, 0 ≤ Ra/Sm × θa × 1000 ≤ 2 의 관계를 나타낸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방현층이 바인더 수지와 입자를 포함하고, 그 입자의 굴절률 n1 과, 그 바인더 수지의 굴절률 n2 의 차 (n1 ― n2) 가, ―0.5 이하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방현층이 응집성 필러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응집성 필러가 유기 점토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상기 그 투명 기재와 상기 방현층의 사이에 형성되고, 그 투명 기재를 구성하는 재료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그 바인더 수지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중간층을 또한 구비하고, 그 중간층의 두께가, 그 방현층의 두께에 대하여, 0.1 % ∼ 123 % 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현층을 구비하고, 그 방현층의 외부 헤이즈를 특정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방현성 및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또한, 번쩍거림을 억제할 수 있는 방현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방현 필름의 배면측에 얇은 유리 기판이 형성되는 화상 표시 장치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는 물론, 상기와 같이 비교적 두꺼운 유리 등이 배치되는 구성의 화상 표시 장치에 대해서도, 우수한 방현 효과를 발휘하고, 또한, 번쩍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방현 필름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방현 필름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A. 방현 필름
도 1 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방현 필름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 방현 필름 (100) 은, 투명 기재 (10) 와, 투명 기재 (10) 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배치된 방현층 (20) 을 구비한다. 대표적으로는, 투명 기재 (10) 는, 수지 필름으로 구성된다. 방현층 (30) 은, 대표적으로는, 수지 필름에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공하여 형성된다.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은, 바인더 수지 (혹은, 바인더 수지의 전구체) 와 입자를 포함하고, 이와 같은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방현층 (30) 은, 바인더 수지와 입자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방현층 (20) 의 투명 기재 (10) 와는 반대측의 표면은 요철면이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특정한 표면 형상을 갖는다. 또한,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도시예에 있어서의 각 층의 두께에 대한 요철의 크기는 실제와는 다르게 기재되어 있는 것에 유의했으면 한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방현 필름은, 방현층의 투명 기재와는 반대측의 면에, 반사 방지층을 또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반사 방지층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방현 필름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 방현 필름 (100') 은, 투명 기재 (10) 와, 투명 기재 (10) 의 적어도 편측에 배치된 방현층 (30) 을 구비하고, 투명 기재 (10) 와 방현층 (30) 의 사이에는, 중간층 (1) 이 형성되어 있다. 대표적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투명 기재 (10) 는, 수지 필름으로 구성된다. 방현층 (30) 은, 대표적으로는, 수지 필름에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공하여 형성된다.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은, 바인더 수지 (혹은, 바인더 수지의 전구체) 와 입자를 포함하고, 이와 같은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방현층 (30) 은, 바인더 수지와 입자를 포함한다. 중간층 (1) 은, 대표적으로는,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이 상기 수지 필름에 침투하여 형성된다. 수지 필름에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공하여 방현층을 형성할 때, 상기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가,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에 용출해도 된다. 이와 같이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가 용출하여 형성된 부분도 중간층 (1) 에 해당한다. 즉, 중간층 (1) 은, 투명 기재 (10) 를 구성하는 재료의 적어도 일부, 및 방현층 (30) 에 포함되는 바인더 수지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층 (1) 은, 투명 기재 (10) 를 구성하는 재료와 방현층 (30) 에 포함되는 바인더 수지가 상용하여 형성된 층이어도 된다. 또, 중간층 (1) 은, 투명 기재 (10) 및 방현층 (20) 의 양방에 접하는 층이다.
상기 방현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5 ㎛ ∼ 50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 300 ㎛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 100 ㎛ 이다.
상기 방현 필름은, 외부 헤이즈가 ―5 % ∼ 0.7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 0.5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 ∼ 0.4 % 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 % 이상 0 % 미만이다.
외부 헤이즈는, (외부 헤이즈 = 전체 헤이즈 ― 내부 헤이즈) 의 식으로부터 구해진다. 전체 헤이즈는, JIS K-7136 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헤이즈의 측정은, 방현층의 투명 기판과는 반대측의 면을 광 출사면으로 하여 실시한다. 내부 헤이즈는, 방현층의 표면 (헤이즈 측정시의 광 출사측) 의 헤이즈에 대한 영향을 없앤 상태에서 측정된 헤이즈를 말한다. 예를 들어, 광 출사측의 면에,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TAC) 필름을 첩착 (貼着) 하고, 이에 따라, 방현층의 표면 요철이 찌그러져, 평탄한 층이 된 평가 시료를 제조하고, 그 평가 시료의 헤이즈를 내부 헤이즈로 할 수 있다. 즉, 표면을 평탄하게 한 평가 시료는, 표면 요철에 의한 헤이즈를 갖지 않는, 내부 헤이즈만을 갖는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평가 시료의 헤이즈를 측정하여, 내부 헤이즈를 구할 수 있다. 또, 평가 시료로서, 광 출사측의 면에, 수지 (예를 들어,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를 톨루엔 등으로 희석하여, 고형분 60 중량% 로 한 용액을 건조 막두께가 8 ㎛ 가 되도록 도포하여 평가 시료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방현층을 형성하는 조성물 중에 레벨링제 등이 들어가 있음으로써, 리코트제가 튀기 쉽고 젖기 어려운 경우에는, 미리 방현 필름을 비누화 처리 (2 ㏖/ℓ 의 NaOH (또는 KOH) 용액 55 ℃ 에 3 분 담근 후, 수세하고, 그 후, 물방울을 완전히 제거한 후, 50 도 오븐으로 1 분 건조) 에 의해, 친수 처리를 실시하면 된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외부 헤이즈가 상기 범위의 방현층을 구비함으로써, 우수한 방현성 및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번쩍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그 방현 필름의 배면측에 얇은 유리 기판이 형성되는 화상 표시 장치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는 물론, 비교적 두꺼운 유리 등이 배치되는 구성의 화상 표시 장치 (예를 들어, 차재 용도) 에 대해서도, 우수한 방현 효과를 발휘하고, 또한, 번쩍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외부 헤이즈값은, 방현층에 포함되는 입자 (후술) 의 굴절률, 방현성을 구성하는 바인더 수지의 굴절률, 방현층 표면의 요철 형상 등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방현 필름의 전체 헤이즈는, 바람직하게는 4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 40 %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 30 % 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현층의 투명성을 저해하는 일 없이, 즉, 방현층의 헤이즈를 상승시키는 일 없이, 우수한 방현성을 가지며, 또한, 번쩍거림 억제 효과가 우수한 방현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방현 필름의 내부 헤이즈는, 바람직하게는 10 % ∼ 4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 32 % 이다.
B. 방현층
상기 방현층의 일방의 면 (투명 기재와는 반대측의 면) 은, 요철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요철면의 평균 간격 Sm 은, 바람직하게는 150 ㎛ ∼ 35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60 ㎛ ∼ 300 ㎛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80 ㎛ ∼ 250 ㎛ 이다.
상기 요철면의 평균 경사각 θa 는, 바람직하게는 0.1° ∼ 2.5°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 2.0°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 1.5° 이다.
상기 요철면의 산술 평균 표면 조도 Ra 는, 바람직하게는 0.05 ㎛ ∼ 0.5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8 ㎛ ∼ 0.3 ㎛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 0.25 ㎛ 이다.
또한, 요철면의 평균 간격 Sm, 평균 경사각 θa, 산술 표면 조도 Ra 의 정의는, JIS B 0601 (1994년판) 에 기초한다. 또, 이들 특성값은, 촉침식 표면 조도 측정기 (예를 들어, 코사카 연구소 제조, 고정밀도 미세 형상 측정기, 상품명 「서프코더 ET4000」) 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평균 경사각 θa 는, θa = tan- 1Δa 의 식으로 정의되는 값이다. Δa 는, JIS B 0601 (1994년판) 에 규정되는 조도 곡선에 있어서 이웃하는 볼록부의 정점과 오목부의 최하점의 차 (높이 h) 의 합계 (h1 + h2 + h3 + ······· + hn) 로부터 조도 곡선의 기준 길이 L 을 뺀 값이며, 즉, Δa = (h1 + h2 + h3 + ······· + hn)/L 의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상기와 같은 표면 형상 (요철면의 평균 간격 Sm, 평균 경사각 θa, 산술 표면 조도 Ra) 을 갖는 방현층을 구비함으로써, 외부 헤이즈가 바람직한 값이 될 수 있고, 그 결과, 우수한 방현성 및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번쩍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방현층의 표면 형상은, 예를 들어, 방현층에 포함되는 입자의 종류, 입경 및/또는 함유량, 방현층과 입자의 입경과의 관계, 응집성 필러 (후술) 의 종류 및/또는 함유량 등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요철면의 평균 간격 Sm (㎛), 평균 경사각 θa (°) 및 산술 표면 조도 Ra (㎛) 는, 0 ≤ Ra/Sm × θa × 1000 ≤ 2 의 관계를 나타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Ra/Sm × θa × 1000 ≤ 2 의 관계를 나타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 ≤ Ra/Sm × θa × 1000 ≤ 2 의 관계를 나타낸다. 평균 간격 Sm (㎛), 평균 경사각 θa (°) 및 산술 표면 조도 Ra (㎛) 의 관계를 상기 특정한 관계로 함으로써, 외부 헤이즈가 상기 범위의 방현층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 방현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3 ㎛ ∼ 15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 ㎛ ∼ 13 ㎛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 12 ㎛ 이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을 저해하기 어려운 방현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 후술하는 입자와의 조합에 의해, 요철 형상이 양호한 방현층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방현층은, 바람직하게는 바인더 수지와 입자를 포함한다. 그 방현층은, 예를 들어, 투명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 필름 상에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그 후, 그 조성물을 경화하여 형성된다.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은, 경화성 화합물, 상기 입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의 굴절률은, 바람직하게는 1.2 ∼ 2.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 1.9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3 ∼ 1.8 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4 ∼ 1.7 이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입자의 굴절률 (후술) 과의 관계에서, 바람직한 외부 헤이즈를 갖는 방현층을 형성할 수 있다. 「바인더 수지의 굴절률」 이란, 방현층에 있어서 바인더 수지로 구성되는 영역의 굴절률을 의미하며, 입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했을 때의 방현층의 굴절률에 상당한다.
상기 바인더 수지는, 경화성 화합물을 유래로 하는 수지이며, 그 수지로는, 예를 들어, 열경화성 수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은, 주성분이 되는 경화성 화합물로서, 다관능 모노머, 다관능 모노머 유래의 올리고머 및/또는 다관능 모노머 유래의 프리폴리머를 포함한다. 다관능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다관능 아크릴계 모노머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올프로판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메트)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아크릴레이트, 1,10-데칸디올(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르산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글리세린트리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다관능 모노머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다관능 모노머는, 수산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수산기를 갖는 다관능 모노머를 포함하는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면, 투명 기재와 방현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수산기를 갖는 다관능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관능 모노머, 다관능 모노머 유래의 올리고머 및 다관능 모노머 유래의 프리폴리머의 함유 비율은,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모노머, 올리고머 및 프리폴리머의 합계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 100 중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 100 중량%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 95 중량% 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 95 중량% 이다.
상기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은, 단관능 모노머를 또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단관능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에톡시화 o-페닐페놀(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이소포로닐아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3-페녹시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일모르폴린,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단관능 모노머는, 수산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수산기를 갖는 단관능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3-페녹시아크릴레이트, 1,4-시클로헥산메탄올모노아크릴레이트 등의 하이드록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N-(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N-(2-하이드록시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N-(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이다.
상기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은,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및/또는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의 올리고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또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와 폴리올로부터 얻어지는 하이드록시(메트)아크릴레이트를,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의 올리고머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올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1,3-프로필렌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1,10-데칸디올,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3-메틸-1,5-펜탄디올, 하이드록시피발산네오펜틸글리콜에스테르, 트리시클로데칸디메틸올, 1,4-시클로헥산디올, 스피로글리콜, 수소 첨가 비스페놀 A,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린, 3-메틸펜탄-1,3,5-트리올,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트리펜타에리트리톨, 글루코오스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로는, 예를 들어, 방향족, 지방족 또는 지환족의 각종 디이소시아네이트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의 구체예로는,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4,4-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수소 첨가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방현층은 입자를 포함한다. 그 입자를 포함함으로써, 방현층 표면을 요철면으로 할 수 있다. 또, 방현층의 헤이즈값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입자로는, 예를 들어, 무기 입자, 유기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무기 입자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산화규소 입자, 산화티탄 입자, 산화알루미늄 입자, 산화아연 입자, 산화주석 입자, 탄산칼슘 입자, 황산바륨 입자, 탤크 입자, 카올린 입자, 황산칼슘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입자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입자 (PMMA 입자), 실리콘 수지 입자, 폴리스티렌 수지 입자,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입자, 아크릴스티렌 수지 입자, 벤조구아나민 수지 입자, 멜라민 수지 입자, 폴리올레핀 수지 입자, 폴리에스테르 수지 입자, 폴리아미드 수지 입자, 폴리이미드 수지 입자, 폴리불화에틸렌 수지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입자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입자의 중량 평균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1 ㎛ ∼ 1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 7 ㎛ 이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방현성이 보다 우수하고, 또한, 백색 흐림을 방지할 수 있는 방현성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입자의 중량 평균 입경은, 쿨터 카운트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또한, 방현층 중 혹은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중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1 차 입자의 형태 및/또는 1 차 입자가 응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지만, 본 명세서에 있어서 「입자의 중량 평균 입경」 이란, 입자 형태에 관계없이,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입자에 대해, 쿨터 카운트법에 의해 측정되는 중량 평균 입경을 의미한다.
상기 방현층의 두께와 상기 입자의 중량 평균 입경의 비 (입자의 중량 평균 입경/방현층의 두께) 는, 바람직하게는 0.3 ∼ 0.9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5 ∼ 0.8 이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번쩍거림 억제 효과가 보다 큰 방현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입자의 굴절률 n1 은, 바람직하게는 1.1 ∼ 1.9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 1.7 이다. 이와 같은 굴절률 n1 을 갖는 입자로는, 예를 들어, 실리콘 입자, 폴리스티렌 입자, 폴리메타크릴산메틸, 스티렌과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입자의 굴절률 (n1) 과 상기 바인더 수지의 굴절률 (n2) 의 차 (n1 ― n2) 는,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이하이다. 또, (n1 ― n2) 의 하한값은, 바람직하게는 ―0.9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이상이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바람직한 외부 헤이즈를 갖는 방현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바인더 수지의 굴절률 (n2) 에 대한 상기 입자의 굴절률 (n1) 의 비 (n1/n2) 는, 바람직하게는 0.8 ∼ 1.2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9 ∼ 1.1 이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투명성 및 번쩍거림 억제 효과가 우수한 방현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복수 종의 입자를 포함하는 경우, 「입자의 굴절률 (n1)」 이란, 복수 입자의 평균 굴절률이며, 예를 들어, 입자 A (굴절률:na, 중량 비율:x), 입자 B (굴절률:nb, 중량 비율:y) 및/또는 입자 C (굴절률:nc, 중량 비율:z) 를 포함하는 경우, 「입자의 굴절률 n1」 은, n1 = na × x + nb × y + nc × z 의 식으로부터 구해진다 (단, 0 ≤ x, y, z ≤ 1 이고, x + y + z = 1 이다).
상기 입자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비즈 형상 등의 대략 구상 (球狀) 이어도 되고, 분말 등의 부정 형상이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애스펙트비가 1.5 이하인 대략 구상의 입자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구상의 입자이다.
상기 방현층에 있어서, 입자의 함유 비율은,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2 중량부 ∼ 12 중량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중량부 ∼ 12 중량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 ∼ 7 중량부이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방현성이 보다 우수하고, 또한, 백색 흐림을 방지할 수 있는 방현성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중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양호한 분산성으로 (응집이 적은 상태로) 존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의 분산성 (분산 정도) 은, 레이저 회절 산란식 입도 분포 측정법, 동적 광 산란법, 정적 광 산란법 등에 의한 입도 분포 측정으로부터 평가할 수 있다. 또, 주사 전자 현미경 등에 의한 현미경 관찰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입자의 분산성을 레이저 회절 산란식 입도 분포 측정법에 의한 입도 분포로 평가한 경우, D50 (체적 누적 50 % 에 있어서의 입경) 과 체적 누적 입경 D90 (체적 누적 90 % 에 있어서의 입경) 의 차의 절대값은, 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 ㎛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 ㎛ 미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0 ㎛ 이상 1 ㎛ 미만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적절한 표면 형상을 갖는 방현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적절한 표면 형상을 갖는 방현층을 형성할 수 있다.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입자의 분산성을 레이저 회절 산란식 입도 분포 측정법에 의한 입도 분포로 평가한 경우, 1 ㎛ 이상 5 ㎛ 미만 입자의 함유 비율은, 그 조성물 중의 입자의 전체량에 대하여, 50 중량% 를 초과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0 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 중량% ∼ 100 중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적절한 표면 형상을 갖는 방현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은 응집성 필러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방현층은, 응집성 필러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응집성 필러를 응집시킴으로써, 방현층 표면의 요철 형상을 보다 엄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응집성 필러의 응집 상태를 조정하여, 바람직한 형상의 요철면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응집성 필러의 응집 상태는, 그 필러의 성질 (예를 들어, 표면의 화학적 수식 상태, 바인더 수지에 대한 친화성,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용매에 대한 친화성),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용매의 종류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응집성 필러로는, 예를 들어, 유기 점토, 산화폴리올레핀, 변성 우레아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유기 점토이다.
상기 유기 점토로는, 예를 들어, 스멕타이트, 탤크,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카올리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스멕타이트이다. 유기 점토로서 시판품을 사용해도 된다. 시판품의 유기 점토로는, 예를 들어, 코프 케미컬사 제조의 상품명 「루센타이트 SAN」, 상품명 「루센타이트 STN」, 상품명 「루센타이트 SEN」, 상품명 「루센타이트 SPN」, 상품명 「소마시프 ME-100」, 상품명 「소마시프 MAE」, 상품명 「소마시프 MTE」, 상품명 「소마시프 MEE」, 상품명 「소마시프 MPE」; 호쥰사 제조의 상품명 「에스벤」, 상품명 「에스벤 C」, 상품명 「에스벤 E」, 상품명 「에스벤 W」, 상품명 「에스벤 P」, 상품명 「에스벤 WX」, 상품명 「에스벤 N-400」, 상품명 「에스벤 NX」, 상품명 「에스벤 NX80」, 상품명 「에스벤 NO12S」, 상품명 「에스벤 NEZ」, 상품명 「에스벤 NO12」, 상품명 「에스벤 NE」, 상품명 「에스벤 NZ」, 상품명 「에스벤 NZ70」, 상품명 「오르가나이트」, 상품명 「오르가나이트 D」, 상품명 「오르가나이트 T」;쿠니미네 공업사 제조의 상품명 「쿠니피아 F」, 상품명 「쿠니피아 G」, 상품명 「쿠니피아 G4」;락우드·애디티브즈사 제조의 상품명 「틱소겔 VZ」, 상품명 「클레이톤 HT」, 상품명 「클레이톤 40」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산화폴리올레핀으로는, 예를 들어, 쿠스모토 화성사 제조의 상품명 「디스파론 4200-20」, 쿄에이샤 화학사 제조의 상품명 「플로논 SA300」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변성 우레아는, 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 또는 그 어덕트체와 유기 아민의 반응물이다. 변성 우레아로는, 예를 들어, 빅크케미사 제조의 상품명 「BYK410」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응집성 필러의 함유 비율은, 상기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2 중량부 ∼ 5 중량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4 중량부 ∼ 4 중량부이다.
상기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적절한 광 중합 개시제를 포함한다. 광 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아세토페논, 벤조페논, 잔톤, 3-메틸아세토페논, 4-클로로벤조페논, 4,4'-디메톡시벤조페논, 벤조인프로필에테르, 벤질디메틸케탈, N,N,N',N'-테트라메틸-4,4'-디아미노벤조페논, 1-(4-이소프로필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티오잔톤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은, 용매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은 용매를 포함한다. 용매로는,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탄올, 2-메톡시에탄올 등의 알코올류;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펜타논 등의 케톤류;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디이소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글리콜류;에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등의 셀로솔브류;헥산, 헵탄, 옥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유기 점토를 포함하는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용매로서, 톨루엔, 시클로펜타논 및/또는 자일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용매로서, 시클로펜타논 및/또는 메틸에틸케톤을 포함하는 혼합 용매 (예를 들어, 시클로펜타논과 톨루엔을 포함하는 혼합 용매, 메틸에틸케톤과 톨루엔을 포함하는 혼합 용매) 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혼합 용매를 사용하면, 시클로펜타논 또는 메틸에틸케톤의 함유 비율에 따라 중간층의 두께를 조정할 수 있다. 혼합 용매 중의 시클로펜타논 또는 메틸에틸케톤의 함유 비율은, 혼합 용매 전체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 중량% ∼ 50 중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중량% ∼ 50 중량% 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시클로펜타논과 톨루엔의 혼합 용매이며, 시클로펜타논의 함유 비율이 1 중량% ∼ 50 중량% 인 혼합 용매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혼합 용매를 포함하는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면, 방현 필름의 투명 기재로서 적합한 수지 필름 (예를 들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에 대하여, 바람직한 두께의 중간층을 형성하면서, 방현층을 형성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용매의 SP 값은, 바람직하게는 7 ∼ 12 (cal/㎤)1/2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 ∼ 11 (cal/㎤)1/2 이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방현 필름의 투명 기재로서 적합한 수지 필름 (예를 들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에 대하여, 바람직한 두께의 중간층을 형성하면서, 방현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SP 값은, Small 의 식에 의해 산출되는 용해도 파라미터이다. SP 값의 계산은, 공지된 문헌 (예를 들어, Journal of Applied Chemistry, 3, 71, 1953. 등) 에 기재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 용매가 혼합 용매인 경우에는, 그 혼합 용매의 SP 값은, 혼합 용매를 구성하는 각 용매의 몰분율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상기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 80 중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 60 중량%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 50 중량% 이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바람직한 형상의 요철면을 얻을 수 있고, 외부 헤이즈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은, 임의의 적절한 첨가제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레벨링제, 블로킹 방지제, 분산 안정제, 요변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소포제, 증점제, 분산제, 계면 활성제, 촉매, 미끄러짐제, 대전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현층은, 상기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투명 기재에 도포한 후에 경화시켜 얻을 수 있다.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 방법으로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 코트법, 롤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로드 코트법, 슬롯 오리피스 코트법, 커튼 코트법, 파운틴 코트법, 콤마 코트법을 들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투명 기재에 도포한 후, 경화하기 전 (혹은 경화 처리 중) 에 있어서, 도포층이 형성된 투명 기재를 경사 또는 회전시킨다.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중에 응집성 필러를 포함하는 경우, 이와 같은 조작을 실시함으로써, 응집성 필러끼리의 접촉이 촉진되어, 응집성 필러를 적절히 응집 (전단 응집)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경사 또는 회전에 있어서의, 경사각 또는 회전 속도를 조정함으로써, 응집성 필러의 응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의 경화 방법으로는, 임의의 적절한 경화 처리가 채용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경화 처리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실시된다. 자외선 조사의 적산 광량은, 바람직하게는 50 mJ/㎠ ∼ 500 mJ/㎠ 이다.
C. 투명 기재
상기 투명 기재는, 수지 필름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 기재 (수지 필름) 로는, 가시광선 투과성을 갖는 한 임의의 적절한 기재 (수지 필름) 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투명 기재 (수지 필름) 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예를 들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TAC),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계 폴리머, 고리형 폴리올레핀,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투명 기재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 ∼ 50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 300 ㎛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 100 ㎛ 이다. 또한, 방현 필름에 중간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투명 기재의 두께는 상기 수지 필름의 두께에 상당한다. 또, 방현 필름에 중간층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투명 기재의 두께는, 상기 수지 필름 중의 중간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두께에 상당한다.
상기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의 SP 값은, 바람직하게는 10 (cal/㎤)1/2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cal/㎤)1/2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cal/㎤)1/2 이상이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적절한 두께의 중간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지의 SP 값의 상한은, 예를 들어, 30 (cal/㎤)1/2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28 (cal/㎤)1/2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cal/㎤)1/2 이하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용매의 SP 값과, 상기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의 SP 값의 차 (수지 SP 값 ― 용매 SP 값) 는, 바람직하게는 ―10 ∼ 20 (cal/㎤)1/2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20 (cal/㎤)1/2 이며, 10 ∼ 15 (cal/㎤)1/2 이다.
상기 투명 기재의 굴절률은, 바람직하게는 1.30 ∼ 1.80 이다.
D. 중간층
상기한 바와 같이, 투명 기재와 방현층의 사이에는, 중간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중간층의 두께 (도 2 에 있어서의 두께 b) 는, 그 방현층의 두께 (도 2 에 있어서의 두께 a) 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 % ∼ 123 % 이다. 상기 방현층의 두께에 대한 중간층의 두께비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1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이다. 또, 상기 방현층의 두께에 대한 중간층의 두께비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0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 이다. 또한, 중간층, 방현층 및 투명 기재의 두께는, 방현 필름의 단면 (斷面) 을 현미경 (예를 들어, TEM) 으로 관찰하고, 중간층과, 수지층 및 접착제층의 계면을 특정하여 측정될 수 있다. 계면의 특정에는, 소정의 분석법 (예를 들어, 비행 시간형 2 차 이온 질량 분석법) 을 이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방현층을 형성했을 때에 형성되는 상기 중간층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지지 않도록, 상기 비율로 제어함으로써, 번쩍거림 억제 효과가 보다 높은 방현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고정세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해도, 우수한 번쩍거림 억제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방현층의 내부 헤이즈를 비교적 작게 해도, 번쩍거림이 발생하기 어렵고, 그 때문에, 투명성이 우수하다. 또한, 방현층의 두께에 대한 중간층의 두께의 비율을 123 % 이하로 함으로써, 내찰상성이 우수한 방현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 방현층의 두께에 대한 중간층의 두께의 비율을 3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으로 함으로써, 방현층 중에서 상기 입자가 양호한 분산성으로 (응집이 적은 상태로) 존재할 수 있고, 그 결과, 번쩍거림을 억제할 수 있는 방현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중간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 ㎛ ∼ 3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 ∼ 2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 10 ㎛ 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 ∼ 5 ㎛ 이다.
D. 화상 표시 장치
도 3 은,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 에 있어서는, 화상 표시 장치 (200) 의 일부 (시인측) 를 나타낸다. 화상 표시 장치 (200) 는, 방현 필름 (100) 과, 화상 표시 셀 (30) 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방현 필름 (100) 은 투명 기재 (10) 를 화상 표시 셀 (30) 측으로 하여 배치된다. 방현 필름 (100) 과 화상 표시 셀 (30) 의 사이에는, 임의의 적절한 광학 부재 (A) 가 배치될 수 있고, 방현층 (10) 과 화상 표시 셀 (30) 의 사이에는 소정의 갭 (X) 이 형성된다. 광학 부재 (A) 로는, 예를 들어, 유리 기판, 편광판, 위상차 필름, 접착제층, 점착제층 등을 들 수 있다. 방현 필름 (100) 과 화상 표시 셀 (30) 의 사이에는, 단독 광학 부재가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복수 개, 복수 종의 광학 부재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화상 표시 셀로는, 임의의 적절한 화상 표시 셀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상 표시 장치가 액정 표시 장치인 경우에는 액정 셀, 유기 EL 화상 표시 장치인 경우에는 유기 EL 소자가, 화상 표시 셀에 해당한다. 액정 셀은 대표적으로는, 1 쌍의 기판과, 그 기판 사이에 배치된 표시 매체로서의 액정층을 갖는다.
방현 필름에 있어서의 방현층과 화상 표시 셀의 갭 (X) 은, 바람직하게는 50 ㎛ ∼ 800 ㎛ 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갭 (X) 은, 100 ㎛ 이상이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이와 같이 갭 (X) 이 큰 경우에도 번쩍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방현 필름에 있어서의 방현층과 화상 표시 셀의 갭 (X) 은, 방현층의 배면 (화상 표시 셀측의 면) 과 화상 표시 셀의 시인측 면 (방현 필름측의 면) 이 이루는 거리를 의미한다. 따라서, 갭 (X) 은, 방현 필름 (100) 과 화상 표시 셀 (30) 의 사이에 배치되는 광학 부재 (A) 의 총두께 (예를 들어, 편광판, 유리 기판 및/또는 점착제층의 합계 두께) 와, 방현 필름에 있어서의 투명 기재 (중간층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투명 기재 및 중간층) 의 합계 두께에 해당한다. 또, 화상 표시 셀이 액정 셀인 경우에는, 그 액정 셀이 구비하는 시인측 기판의 시인측 면과, 방현층의 배면의 거리가 상기 갭 (X) 이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갭 (X) 이 작은 화상 표시 장치는 물론, 갭 (X) 이 큰 화상 표시 장치 (예를 들어, 비교적 두꺼운 유리 기판 (예를 들어, 두께가 100 ㎛ ∼ 800 ㎛ 인 유리 기판) 을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 에도 적합하게 사용된다. 종래, 내열성, 강도 등이 요구되는 용도 (예를 들어, 차재 용도) 에 있어서는, 유리 기판을 두껍게 함으로써 내열성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유리 기판을 두껍게 하는 것에 수반하여, 즉, 상기 갭 (X) 을 두껍게 하는 것에 수반하여, 방현 필름을 적용한 경우에 발생하는 번쩍거림이 커진다는 것을,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알아내었다. 즉,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당해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며, 차재 용도의 화상 표시 장치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을 사용하는 것의 효과는, 고정세 화상 표시 장치에 대하여, 보다 현저해진다.
상기 화상 표시 장치는, 임의의 적절한 부재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표시 셀의 배면측에 형성되는 편광판, 광학 필름, 백라이트 등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입자의 중량 평균 입경은, 쿨터 카운트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에 대해, 세공 (細孔) 전기 저항법을 이용한 입도 분포 측정 장치 (벡크만·쿨터사 제조, 상품명 「쿨터 멀티사이저」) 를 사용하여, 입자가 세공을 통과할 때의 입자의 체적에 상당하는 전해액의 전기 저항을 측정함으로써, 입자의 수와 체적을 측정하고, 중량 평균 입경을 산출하였다.
또, 각 층의 두께는, 단면을 광학 현미경 (키엔스사 제조, 상품명 「VHX-700F」) 또는 TEM (Hitachi 사 제조, 상품명 「H-7650」) 으로 관찰하여 측정하였다. 광학 현미경에 의한 관찰시에는, 수지 포매를 실시한 방현 필름을 마이크로 톰에 의해 절단하여, 관찰용 샘플을 제조하였다. 또, TEM 에 의한 관찰시에는, 중금속 염색 처리를 포함하는 초박 절편법에 의해 샘플을 제조하였다.
또, 굴절률은, 아타고사 제조의 압베 굴절률계 (상품명:DR-M2/1550) 를 사용하고, 중간액으로서 모노브로모나프탈렌을 선택하고, 측정 대상의 측정면에 대하여 측정 광을 입사시키도록 하여, 상기 장치에 나타내는 규정의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
바인더 수지로서의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오사카 유기 화학사 제조, 상품명 「비스코트 #300」) 50 중량부 및 우레탄아크릴레이트 프리폴리머 (신나카무라 화학 공업사 제조, 상품명 「UA-53H-80BK」) 50 중량부와, 실리콘 입자 (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즈·재팬 합동회사 제조, 상품명 「토스펄 130」, 중량 평균 입경:3 ㎛, 굴절률:1.42) 3.5 중량부와, 유기 점토인 합성 스멕타이트 (코프 케미컬사 제조, 상품명 「루센타이트 SAN」) 2 중량부와, 광 중합 개시제 (BASF 사 제조, 상품명 「이르가큐어 907」) 3 중량부와, 레벨링제 (DIC 사 제조, 상품명 「PC4100」, 고형분 10 %) 0.2 중량부를 혼합하고, 톨루엔/시클로펜타논 (CPN) 혼합 용매 (중량비 70/30) 로 희석하여, 고형분 농도 35 중량% 의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또한, 유기 점토는, 톨루엔으로 고형분이 6 중량% 가 되도록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투명 기재로서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코니카 미놀타 옵토사 제조, 상품명 「KC4UA」, 두께:40 ㎛) 에, 상기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콤마 코터 (등록상표) 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80 ℃ 에서 1 분간 가열한 후, 고압 수은 램프로 적산 광량 300 mJ/㎠ 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투명 기재 상에 방현층 (두께:6.3 ㎛) 이 형성된 방현 필름을 얻었다. 또, 그 방현 필름의 투명 기재와 방현층의 사이에는, 1.7 ㎛ 의 중간층이 형성되어 있었다.
[실시예 2]
바인더 수지로서의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오사카 유기 화학사 제조, 상품명 「비스코트 #300」) 50 중량부 및 우레탄아크릴레이트 프리폴리머 (신나카무라 화학 공업사 제조, 상품명 「UA-53H-80BK」) 50 중량부와, 실리콘 입자 (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즈·재팬 합동회사 제조, 상품명 「토스펄 130」, 중량 평균 입경:3 ㎛, 굴절률:1.42) 1.7 중량부와, 폴리스티렌 입자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사 제조, 상품명 「택 폴리머」, 중량 평균 입경:3 ㎛, 굴절률:1.59) 2.3 중량부와, 유기 점토인 합성 스멕타이트 (코프 케미컬사 제조, 상품명 「루센타이트 SAN」) 2 중량부와, 광 중합 개시제 (BASF 사 제조, 상품명 「이르가큐어 907」) 3 중량부와, 레벨링제 (DIC 사 제조, 상품명 「PC4100」, 고형분 10 %) 0.2 중량부를 혼합하고, 톨루엔/시클로펜타논 (CPN) 혼합 용매 (중량비 70/30) 로 희석하여, 고형분 농도 35 중량% 의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또한, 유기 점토는, 톨루엔으로 고형분이 6 중량% 가 되도록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투명 기재로서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코니카 미놀타 옵토사 제조, 상품명 「KC4UA」, 두께:40 ㎛) 에, 상기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콤마 코터 (등록상표) 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80 ℃ 에서 1 분간 가열한 후, 고압 수은 램프로 적산 광량 300 mJ/㎠ 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투명 기재 상에 방현층 (두께:6.3 ㎛) 이 형성된 방현 필름을 얻었다. 또, 그 방현 필름의 투명 기재와 방현층의 사이에는, 1.7 ㎛ 의 중간층이 형성되어 있었다.
[비교예 1]
실리콘 입자 (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즈·재팬 합동회사 제조, 상품명 「토스펄 130」, 중량 평균 입경:3 ㎛, 굴절률:1.42) 3.5 중량부 대신에, 폴리스티렌 입자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사 제조, 상품명 「택 폴리머」, 중량 평균 입경:3 ㎛, 굴절률:1.59) 5 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방현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2]
유기 점토인 합성 스멕타이트 (코프 케미컬사 제조, 상품명 「루센타이트 SAN」) 의 배합량을 1.85 중량부로 하고,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를 36 중량% 로 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방현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3]
바인더 수지로서의 우레탄아크릴레이트 (DIC 사 제조, 상품명 「유니딕 17-806」) 100 중량부와, 폴리스티렌 입자 (소켄 화학사 제조, 상품명 「SX-350H」, 중량 평균 입경:3.5 ㎛, 굴절률:1.59) 15 중량부와, 광 중합 개시제 (BASF 사 제조, 상품명 「이르가큐어 907」) 3 중량부와, 레벨링제 (DIC 사 제조, 상품명 「PC4100」, 고형분 10 %) 0.2 중량부를 혼합하고, 톨루엔/시클로펜타논 (CPN) 혼합 용매 (중량비 70/30) 로 희석하여, 고형분 농도 32 중량% 의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또한, 유기 점토는, 톨루엔으로 고형분이 6 중량% 가 되도록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투명 기재로서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코니카 미놀타 옵토사 제조, 상품명 「KC4UA」, 두께:40 ㎛) 에, 상기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콤마 코터 (등록상표) 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80 ℃ 에서 1 분간 가열한 후, 고압 수은 램프로 적산 광량 300 mJ/㎠ 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투명 기재 상에 방현층 (두께:6.3 ㎛) 이 형성된 방현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4]
폴리스티렌 입자 (소켄 화학사 제조, 상품명 「SX-350H」, 중량 평균 입경:3.5 ㎛, 굴절률:1.59) 15 중량부 대신에, 다공질 실리카 입자 (후지 실리시아 화학사 제조, 상품명 「사일로포빅 702」, 중량 평균 입경:2.5 ㎛, 굴절률:1.46) 1.56 중량부와 다공질 실리카 입자 (후지 실리시아 화학사 제조, 상품명 「사일로포빅 100」, 중량 평균 입경:1.4 ㎛, 굴절률:1.46) 1.35 중량부를 사용하고,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를 48 중량% 로 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방현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5]
폴리스티렌 입자 (소켄 화학사 제조, 상품명 「SX-350H」, 중량 평균 입경:3.5 ㎛, 굴절률:1.59) 15 중량부 대신에, 다공질 실리카 입자 (후지 실리시아 화학사 제조, 상품명 「사일로포빅 100」, 중량 평균 입경:1.4 ㎛, 굴절률:1.46) 11.6 중량부를 사용하고,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를 42 중량% 로 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방현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6]
실리콘 입자 (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즈·재팬 합동회사 제조, 상품명 「토스펄 130」, 중량 평균 1 차 입경:3 ㎛, 굴절률:1.42) 의 배합량을 1.6 중량부로 하고, 폴리스티렌 입자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사 제조, 상품명 「텍 폴리머」, 중량 평균 입경:3 ㎛, 굴절률:1.59) 의 배합량을 2.4 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방현 필름을 얻었다.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방현 필름을 이하의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1, 방현층 요철면의 형상 (Ra, Sm,θa)
JIS B0601 (1994년도판) 에 따라, 평균 요철간 거리 Sm (㎜) 및 산술 평균 표면 조도 Ra (㎛) 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방현 필름의 투명 기재의 방현층과는 반대측의 면에, 유리판 (MATSUNAMI 사 제조, MICRO SLIDE GLASS, 품번 S, 두께 1.3 ㎜, 45 × 50 ㎜) 을 점착제로 첩합 (貼合) 하고, 시료를 제조하였다. 선단부 (다이아몬드) 의 곡률 반경 R = 2 ㎛ 의 측정바늘을 갖는 촉침식 표면 조도 측정기 ((주) 코사카 연구소 제조, 고정밀도 미세 형상 측정기, 상품명 「서프코더 ET4000」) 를 사용하고, 주사 속도 0.1 ㎜/초, 컷오프값 0.8 ㎜, 측정 길이 4 ㎜ 의 조건으로, 상기 시료에 있어서의 방현층의 표면 형상을 일정 방향으로 측정하고, 평균 요철간 거리 Sm (㎜) 및 산술 평균 표면 조도 Ra 를 구하였다. 또, 얻어진 표면 조도 곡선으로부터 평균 경사 각도 θa (°) 를 구하였다. 또한, 상기 고정밀도 미세 형상 측정기는, 상기 각 측정값을 자동 산출한다.
2, 전체 헤이즈
JIS K 7136 (2000년판) 의 헤이즈 (담도 (曇度)) 에 준하여, 헤이즈미터 (무라카미 색채 기술 연구소 제조, 상품명 「HM-150」)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3, 내부 헤이즈 및 외부 헤이즈
방현 필름의 방현층 표면 (투명 기재와는 반대측의 면) 에,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TAC) 필름을 첩착하여 얻어진 평가 시료의 헤이즈값을, 상기 (2) 의 방법으로 측정하여 얻어진 값을 내부 헤이즈로 하였다.
전체 헤이즈로부터 내부 헤이즈를 뺀 값을 외부 헤이즈로 하였다.
4, 번쩍거림 평가
(갭 (X) = 60 ㎛ 에서의 평가)
백라이트 (하쿠바 사진 산업사 제조, 상품명 「라이트 뷰어 5700」) 상에 유리판 (두께:700 ㎛) 을 배치하고, 그 유리판의 백라이트와는 반대측의 면에, 블랙 매트릭스 패턴을 배치하여 평가용 테이블을 준비하였다.
이 평가용 테이블 상에, 갭 (X) 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재 (A) 로서, 점착제층 (두께:20 ㎛) 을 배치하였다.
상기 부재 (A) 상에, 투명 기재를 아래로 하여 (즉, 점착제층과 투명 기재가 대향하도록 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방현 필름을 배치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은, 갭 (X) 이 60 ㎛ (= 점착제층 20 ㎛ + 투명 기재와 중간층의 합계 40 ㎛) 인 경우의 번쩍거림을 평가하는 구성이다.
이어서, 방현 필름에 광을 조사하여, 방현 필름에 발생하는 번쩍거림을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블랙 매트릭스 패턴의 정세도는, 105 ppi, 200 ppi, 267 ppi 로 하고, 각각의 정세도에 대해 상기 평가를 실시하였다.
○:번쩍거림이 거의 없다.
△:번쩍거림은 있지만, 실용상 문제가 없는 정도이다.
×:실용상 문제가 있는 번쩍거림이 보였다.
(갭 (X) = 500 ㎛ 에서의 평가)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평가용 테이블을 준비하였다.
이 평가용 테이블 상에, 갭 (X) 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재 (A) 로서, TAC 필름 (두께:80 ㎛) 4 매와 점착제층 (두께:20 ㎛) 4 층을 각각 번갈아 적층하고, 또한 TAC 필름 (두께:40 ㎛) 과 점착제층 (두께:20 ㎛) 을 적층하였다.
상기 부재 (A) 상에, 투명 기재를 아래로 하여 (즉, 점착제층과 투명 기재가 대향하도록 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방현 필름을 배치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은, 갭 (X) 이 500 ㎛ (= TAC 80 ㎛ × 4 + TAC 40 ㎛ × 1 + 점착제층 20 ㎛ × 5 + 투명 기재와 중간층의 합계 40 ㎛) 인 경우의 번쩍거림을 평가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상기와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갭 (X) = 800 ㎛ 에서의 평가)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평가용 테이블을 준비하였다.
이 평가용 테이블 상에, 갭 (X) 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재 (A) 로서, TAC 필름 (두께:80 ㎛) 7 매와 점착제층 (두께:20 ㎛) 7 층을 각각 번갈아 적층하고, 또한 TAC 필름 (두께:40 ㎛) 과 점착제층 (두께:20 ㎛) 을 적층하였다.
상기 부재 (A) 상에, 투명 기재를 아래로 하여 (즉, 점착제층과 투명 기재가 대향하도록 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방현 필름을 배치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은, 갭 (X) 이 800 ㎛ (= TAC 80 ㎛ × 7 + TAC 40 ㎛ × 1 + 점착제층 20 ㎛ × 8 + 투명 기재와 중간층의 합계 40 ㎛) 인 경우의 번쩍거림을 평가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상기와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5, 백색 흐림
투명 기재의 방현층과는 반대측의 면에, 흑색 아크릴판 (미츠비시 레이온사 제조, 두께:2 ㎜) 을 점착제를 통해서 첩합하고, 이면 반사의 영향을 억제한 평가 시료를 제조하였다.
조도 1000 Lx 의 환경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오피스 환경에 상당), 그 평가 시료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을 기준 (0°) 으로 하여 60° 의 방향으로부터, 백색 흐림 현상의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하기의 평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백색 흐림이 보이지 않는다.
△:시인성에 대한 영향이 적은 정도의 백색 흐림이 보인다.
×:시인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킬 정도의 강한 백색 흐림이 보인다.
6, 방현성
투명 기재의 방현층과는 반대측의 면에, 흑색 아크릴판 (미츠비시 레이온사 제조, 두께:2 ㎜) 을 점착제를 통해서 첩합하고, 이면 반사의 영향을 억제하여 평가 시료를 제조하였다.
조도 1000 Lx 의 환경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오피스 환경에 상당), 그 평가 시료를 형광등 (삼파장 광원) 으로 비추고, 방현 필름의 방현성을 이하의 평가 기준으로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비치는 형광등의 윤곽 이미지를 남기지 않고, 방현성이 우수하다.
×:형광등의 윤곽이 이미지에 비치고, 방현성이 떨어진다.
Figure pct00001
표 1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배면측에 배치된 부재의 두께에 상관없이, 번쩍거림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투명성 및 방현성이 우수하다. 또, 고정세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도, 당해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10:투명 기재
20:방현층
100:방현 필름

Claims (8)

  1. 투명 기재와, 상기 투명 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배치된 방현층을 구비하고,
    외부 헤이즈가 ―5 % ∼ 0.7 % 인, 방현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체 헤이즈가 5 % ∼ 40 % 인, 방현 필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내부 헤이즈가 10 % ∼ 40 % 인, 방현 필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현층의 상기 투명 기재와는 반대측의 표면이 요철면이며 상기 요철면에 있어서의 요철의 평균 간격 Sm 과, 평균 경사각 θa 와, 요철면의 산술 평균 표면 조도 Ra 가, 0 ≤ Ra/Sm × θa × 1000 ≤ 2 의 관계를 나타내는, 방현 필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현층이 바인더 수지와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입자의 굴절률 n1 과 상기 바인더 수지의 굴절률 n2 의 차 (n1 ― n2) 가, 0.5 이하인, 방현 필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현층이 응집성 필러를 포함하는, 방현 필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성 필러가 유기 점토인, 방현 필름.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재와 상기 방현층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투명 기재를 구성하는 재료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상기 바인더 수지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중간층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중간층의 두께가, 상기 방현층의 두께에 대하여, 0.1 % ∼ 123 % 인, 방현 필름.
KR1020177001749A 2014-08-01 2015-07-31 방현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Ceased KR201700401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57818 2014-08-01
JP2014157818 2014-08-01
JP2015150988A JP2016035575A (ja) 2014-08-01 2015-07-30 防眩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JP-P-2015-150988 2015-07-30
PCT/JP2015/071876 WO2016017817A1 (ja) 2014-08-01 2015-07-31 防眩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197A true KR20170040197A (ko) 2017-04-12

Family

ID=55217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1749A Ceased KR20170040197A (ko) 2014-08-01 2015-07-31 방현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16035575A (ko)
KR (1) KR20170040197A (ko)
CN (1) CN106574992B (ko)
TW (1) TWI722994B (ko)
WO (1) WO20160178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8186A1 (ja) * 2016-04-25 2017-11-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光学シート及び光学シートの選別方法
JP6829096B2 (ja) * 2017-02-08 2021-02-10 帝人株式会社 防眩フィルムおよび成形体の製造方法
CN107290809A (zh) 2017-07-20 2017-10-24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抗眩层的制作方法及显示面板
JP2020056921A (ja) * 2018-10-02 2020-04-09 凸版印刷株式会社 湿度応答性可逆変形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7573969B2 (ja) * 2020-02-05 2024-10-28 日東電工株式会社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学部材および画像表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9456A (ja) 2012-06-28 2014-01-20 Abc Trading Co Ltd 壁面カバー材支持装置及び壁面用エキスパンションジョイン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0267A (ja) * 2008-06-09 2010-01-28 Sony Corp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防眩性フィルム、光学層付偏光子、ならびに表示装置
KR20100020906A (ko) * 2008-08-13 2010-02-23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눈부심방지성 필름, 광학층이 부착된 편광자 및 표시 장치
JP2010054861A (ja) * 2008-08-28 2010-03-11 Fujifilm Corp 光学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20140126064A1 (en) * 2011-06-29 2014-05-08 Nitto Denko Corporation Anti-glare film, polarizing plate, image display, and method for producing anti-glare film
WO2013054804A1 (ja) * 2011-10-12 2013-04-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用防眩シート
KR101273789B1 (ko) * 2012-04-19 2013-06-11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방현성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9456A (ja) 2012-06-28 2014-01-20 Abc Trading Co Ltd 壁面カバー材支持装置及び壁面用エキスパンションジョイン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574992A (zh) 2017-04-19
CN106574992B (zh) 2020-05-12
TW201617210A (zh) 2016-05-16
JP2016035575A (ja) 2016-03-17
WO2016017817A1 (ja) 2016-02-04
TWI722994B (zh) 2021-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8354B1 (ko) 광학 적층체 및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JP7225137B2 (ja) 防眩フィルム
KR101898833B1 (ko) 방현성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2055017B1 (ko) 방현성 필름의 제조 방법, 방현성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250018417A (ko) 방현 필름
KR20110027636A (ko)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방현성 필름, 광학층이 달린 편광자와 표시 장치
KR20160024803A (ko)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이 조성물로 형성되는 경화 피막 및 방현 필름과, 경화 피막 및 방현 필름의 제조방법
KR20170040197A (ko) 방현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170040198A (ko) 방현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220143652A (ko) 방현 필름
KR102826036B1 (ko) 방현성 필름, 방현성 필름의 제조 방법, 광학 부재 및 화상 표시 장치
JP2020060781A (ja) 防眩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EP2696222A2 (en) Method for producing anti-glare film, anti-glare film, coating solution,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WO2021177169A1 (ja) 防眩フィルム
JP2020052433A (ja) 防眩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TWI765177B (zh) 防眩膜、偏光板及顯示裝置
KR20160143677A (ko) 방현 필름
EP3923039B1 (en) Anti-glare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apparatus
KR20150069785A (ko) 광 확산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7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5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11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