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5357A - An optoelectronic device - Google Patents
An optoelectronic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35357A KR20170035357A KR1020170036303A KR20170036303A KR20170035357A KR 20170035357 A KR20170035357 A KR 20170035357A KR 1020170036303 A KR1020170036303 A KR 1020170036303A KR 20170036303 A KR20170036303 A KR 20170036303A KR 20170035357 A KR20170035357 A KR 2017003535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miconductor
- semiconductor unit
- electrode
- unit
- row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3—Electrodes
- H10H20/831—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10H20/831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extending at least partially through the bodies
-
- H01L27/156—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element covered by group H10H20/00
- H10H29/10—Integrated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component covered by group H10H20/00
- H10H29/14—Integrated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component covered by group H10H20/00 comprising multipl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components
- H10H29/142—Two-dimensional arrangements, e.g. asymmetric LED layou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10H20/00
- H01L25/075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10H20/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 H01L33/20—
-
- H01L33/36—
-
- H01L33/62—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1—Bodi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1—Bodies
- H10H20/819—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3—Electrod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3—Electrodes
- H10H20/831—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10H20/8316—Multi-layer electrodes comprising at least one discontinuous layer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5—Packages
- H10H20/857—Interconnections, e.g. lead-frames, bond wires or solder ball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element covered by group H10H20/00
- H10H29/10—Integrated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component covered by group H10H20/00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1—LED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3—Electrodes
- H10H20/831—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Led Device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전소자에 관한 것이며, 기판;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며 기판 상에 위치하고, 각각 상기 반도체 유닛은 제1 반도체층, 제2 반도체층 및 그 사이에 있는 활성 구역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반도체 유닛; 각각 상기 제1 반도체층 상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1 전극; 상기 복수 개의 반도체층 유닛 상에 형성되고 이들 반도체층 유닛을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2 반도체층 상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제2 전극을 포함하고, 그 중, 상기 복수 개의 제1 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연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제2 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연신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electric device, comprising: a substrate;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unit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located on a substrate, each semiconductor unit including a first semiconductor layer,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an active region therebetween;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locat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respectively; A connection part formed on the plurality of semiconductor layer units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emiconductor layer units in series; And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dispos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includes a first elongating porti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2 stretching por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발광소자 배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emitting device arrangement.
고체 조명소자 중의 발광다이오드는 전력 소모량이 적고, 발열량이 낮으며, 작동수명이 길고, 내충격성(impact resistance)과 부피가 작다. 또한 반응속도가 빠르며, 안정된 파장을 가진 색광을 방출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광전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미 가전, 측정기기의 지시 및 광전 제품 등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광전 기술 발전에 따라 고체 조명소자는 발광효율, 사용수명 및 휘도를 중요시하므로, 장차 머지않아 조명 응용의 주류를 이룰 것으로 예상된다. Light emitting diodes in solid state lighting devices have low power consumption, low calorific value, long operating life, and low impact resistance and volume. And has excellent photoelectric properties such as high speed of reaction and emission of color light with a stable wavelength, it has already been widely used in directives of home appliances, measuring instruments and photoelectric products. Due to the development of photoelectric technology, solid state lighting devices are expected to lead the mainstream of lighting applications in the near future because they emphasize luminous efficiency, service life and brightness.
현재 LED는 배열형 발광소자의 형식으로 사용되며, 높은 구동전압에 많이 적용되며, LED의 부피 및 중량을 줄일 수 있다. LED 제작자는 배열형 발광소자에 대해 전극 분포를 다르게 함으로써 높은 구동전압의 LED에 대한 고객의 수요를 만족시키며, 원가를 낮추고 나아가 생산효율을 높인다. Currently, LEDs are used in the form of arrayed light emitting devices, which are widely applied to high drive voltages and can reduce the volume and weight of LEDs. LED makers meet the customer's demand for LED with high driving voltage by changing the electrode distribution for the array type light emitting device and lower the cost and further increase the production efficiency.
본 발명은 광전소자를 안출하였으며, 상기 광전소자는, 기판;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며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고, 각각 제1 반도체층, 제2 반도체층 및 그 사이에 개재된 활성 구역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반도체 유닛; 각각 제1 반도체층 상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제1 전극; 상기 복수 개의 반도체 유닛 상에 형성되고 복수 개의 반도체 유닛을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하는 연결부; 및 제2 반도체층 상에 각각 위치하는 복수 개의 제2 전극을 포함하며, 그 중, 하나의 제1 전극은 제1 연신부를 포함하며, 하나의 제2 전극은 제2 연신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ontemplates a photoelectric device, the photoelectric device comprising: a substrate;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unit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located on the substrate, each semiconductor unit including a first semiconductor layer,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an active region interposed therebetween;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each located on a first semiconductor layer; A connection unit formed on the plurality of semiconductor units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emiconductor units electrically in series; And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respectively position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wherein one first electrode includes a first extending portion and one second electrode includes a second extending portion.
본 발명은 광전소자를 안출하였으며, 상기 광전소자는 기판;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며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고, 각각 제1 반도체층, 제2 반도체층 및 그 사이에 개재된 활성 구역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반도체 유닛; 제1 반도체층 상에 각각 위치하는 복수 개의 제1 전극; 및 상기 복수 개의 반도체 유닛 상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반도체 유닛을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하는 연결부; 및 제2 반도체층 상에 각각 위치하는 복수 개의 제2 전극을 포함하고, 그 중, 하나의 제1 전극은 제1 연신부를 포함하며, 하나의 제2 전극은 제2 연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반도체 유닛의 구동전압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The present invention contemplates a photoelectric device, the photoelectric device comprising: a substrate;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unit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located on the substrate, each semiconductor unit including a first semiconductor layer,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an active region interposed therebetween;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each locat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a connection unit formed on the plurality of semiconductor units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emiconductor units electrically in series; And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respectively position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wherein one first electrode includes a first extending portion, one second electrode includes a second extending portion, and the plurality The driving voltages of the semiconductor units are substantially the same.
본 발명은 광전소자를 안출하였으며, 상기 광전소자는 기판;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며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며, 각각 제1 반도체층, 제2 반도체층 및 그 사이에 개재된 활성 구역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반도체 유닛; 제1 반도체층 상에 각각 위치하는 복수 개의 제1 전극; 및 제2 반도체층 상에 각각 위치하는 복수 개의 제2 전극을 포함하고, 그 중 상기 복수 개의 반도체 유닛은 제1 반도체 유닛, 제2 반도체 유닛 및 제3 반도체 유닛을 포함하며, 제1 전극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기판 최외곽의 제1 반도체 유닛 상에 위치하는 제1 전극패드를 포함하며, 제2 전극 중의 적어도 하나는 기판 최외곽의 제2 반도체 유닛 상에 위치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며, 그 중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전극패드가 설치되지 않은 제3 반도체 유닛 상에 위치하는 제1 연신부 및 제2 연신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ntemplates a photoelectric device, the photoelectric device comprising: a substrate;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unit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located on the substrate, each semiconductor unit including a first semiconductor layer,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an active region interposed therebetween;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each locat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respectively locat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wherein the plurality of semiconductor units include a first semiconductor unit, a second semiconductor unit and a third semiconductor unit,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electrodes One of which includes a first electrode pad located on a first semiconductor unit at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substrate and at least one of the second electrodes includes a second electrode located on a second semiconductor unit at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substrat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nclude a first elongating portion and a second elongating portion positioned on a third semiconductor unit where no electrode pad is provided.
본 발명은 광전소자를 안출하였고, 상기 광전소자는 기판;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며 기판 상에 위치하고, 각각 제1 반도체층, 제2 반도체층 및 그 사이에 개재된 활성 구역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반도체 유닛; 및 복수 개의 반도체 유닛 상에 각각 위치하는 복수 개의 제1 전극 및 복수 개의 제2 전극을 포함하고, 그 중 각 반도체 유닛은 제1 반도체 유닛, 제2 반도체 유닛 및 제3 반도체 유닛을 포함하며, 제1 전극 중의 적어도 하나는 제1 반도체 유닛의 제2 반도체층 상에 위치하는 제1 전극패드를 포함하며, 제2 전극 중의 적어도 하나는 제2 반도체 유닛의 제2 반도체층 상에 위치하는 제2 전극패드를 포함하며, 그 중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전극패드가 설치되지 않은 제3 반도체 유닛 상에 위치하는 제1 연신부 및 제2 연신부를 포함한다. The invention contemplates a photoelectric device, the photoelectric device comprising: a substrate;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unit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located on a substrate and each including a first semiconductor layer,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an active region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plurality of semiconductor units, wherein each of the semiconductor units includes a first semiconductor unit, a second semiconductor unit, and a third semiconductor unit,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electrodes comprises a first electrode pad located on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of the first semiconductor unit and at least one of the second electrodes comprises a second electrode located on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of the second semiconductor unit,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ncluding a first elongating portion and a second elongating portion positioned on a third semiconductor unit on which no electrode pad is provided.
본 발명에 의하면, 배열형 발광소자에 대해 전극 분포를 다르게 함으로써 높은 구동전압의 LED에 대한 고객의 수요를 만족시키며, 원가를 낮추고 나아가 생산효율을 높인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distribution is different for the array type light emitting device, thereby satisfying the customer's demand for the LED having the high driving voltage, lowering the cost and increasing the production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광전소자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광전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광전소자의 3D 입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광전소자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광전소자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광전소자의 3D 입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낸 광전소자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광전소자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낸 광전소자의 3D 입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나타난 광전소자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광전소자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광전소자의 3D 입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나타낸 광전소자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광전소자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광전소자의 3D 입체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나타낸 광전소자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광전소자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나타낸 광전소자의 3D 입체도이다.
도 19는 도 17에 나타낸 광전소자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광전소자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나타낸 광전소자의 3D 입체도이다.
도 22는 도 20에 나타낸 광전소자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광전소자의 평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나타낸 광전소자의 3D 입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광전소자의 평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top view of a photoelectr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hotoelectric device shown in Fig.
3 is a 3D perspective view of the opto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4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the photoelectric element shown in Fig.
5 is a top view of a photoelectric device show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3D perspective view of the opto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7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the photoelectric element shown in Fig.
8 is a top view of a photoelectric device show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3D perspective view of the opto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10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the photoelectric element shown in Fig.
11 is a top view of a photoelectric device show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3D perspective view of the opto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13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the photoelectric element shown in Fig.
14 is a plan view of a photoelectr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3D perspective view of the opto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16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the photoelectric element shown in Fig.
17 is a plan view of a photoelectr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3D perspective view of the opto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19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the photoelectric element shown in Fig.
20 is a plan view of a photoelectr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3D perspective view of the opto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22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the photoelectric element shown in Fig.
23 is a plan view of a photoelectr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3D perspective view of the opto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25 is a top view of a photoelectric device show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부합하는 광전소자(10)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광전소자(10)는 예를 들면 발광다이오드(LED), 레이저다이오드(LD) 또는 태양열전지이며, 기판(11)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반도체 유닛, 이들 반도체 유닛 상에 형성된 제1 전극(141), 제2 전극(142) 및 연결부(14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광전소자(10)는 발광다이오드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광전소자(10)를 A-A'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각 반도체 유닛은 제1 반도체층(121), 제2 반도체층(123) 및 제1, 제2 반도체층 사이에 있는 활성 구역(122)을 포함한다. 제1 반도체층(121)의 구성재료는 p형 또는 n형 불순물을 도핑한 III-V 반도체 재료이며, 제2 반도체층(123)의 구성재료는 p형 또는 n형 불순물을 도핑한 III-V 반도체 재료이며, 제1 반도체층(121) 및 제2 반도체층(123)의 전기적 특성은 서로 다르다. 활성 구역(122)의 구조는 싱글헤테로구조(single heterostructure; SH), 더블헤테로구조(double heterostructure; DH) 또는 다중 양자우물구조(multi-quantum well; MQW)이다. 그루브(170)는 반도체 유닛을 식각하여 반도체 유닛 중에 형성되고, 제1 반도체층(121)의 일부를 노출한다. 복수 개의 분할채널(111)은 반도체 유닛 사이에 형성되어 기판(11)의 일부분을 노출한다. 광전소자(10) 상에 복수 개의 제1 전극(141) 및 제2 전극(142)이 있고, 그 중 제1 전극(141)은 노출된 제1 반도체층(121) 상에 위치하고, 제2 전극(142)은 제2 반도체층(123) 위에 형성된다. 제1 전극(141)은 제1 연신부(1411)를 포함하고, 제2 전극(142)은 제2 연신부(1421)를 포함한다. 그밖에, 복수 개의 반도체 유닛 중의 1개 반도체 유닛 상의 제1 전극(141)은 제1 전극패드(1412)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의 반도체 유닛 상의 제2 전극(142)은 제2 전극패드(1422)를 포함한다. 1 shows a top view of an
광전소자의 특정 면적, 전류 및 구동전압에 대한 고객의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반도체 유닛 및 전극의 분포 또한 특별히 설계해야 한다. 반도체 유닛의 수량은 원칙상 공식 n=(-1), n=(), 또는 n=(+1)에 따라 설계하되, 그 중, n은 반도체 유닛의 수량을 대표하며, V는 광전소자의 구동전압을 대표하며, Vf는 반도체 유닛의 구동전압을 대표한다. 본 실시예에서 광전소자(10)의 크기는 85×85mil2이며, 그 구동전압은 72V이다. 각 반도체 유닛의 구동전압은 실질적으로 3V이나, 반도체 유닛의 구동전압은 제작공정의 제어 및 에폭시층의 품질로 인하여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광전소자의 전기적 효율 면에서, 반도체 유닛의 구동전압은 낮을수록 좋다. 각 반도체 유닛의 면적은 대체로 서로 동일하다. 상기의 공식에 따라 광전소자(10)는 24개의 반도체 유닛을 포함하고, 각각 행(105, 106, 107, 108 및 109)에 배치되어 있다. 제1행(105)은 5개의 반도체 유닛(152, 152, 153, 154 및 155)을 포함하며, 이들 반도체 유닛은 제1 방향으로 직렬 연결된다. 제2행(106)은 5개의 반도체 유닛(161, 162, 163, 164 및 165)을 포함하며 이들 반도체 유닛은 제2 방향으로 직렬 연결된다. 제3행(107)은 4개의 반도체 유닛(171, 172, 173 및 174)을 포함하며, 이들 반도체 유닛은 제1 방향으로 직렬 연결된다. 제4행(108)은 5개의 반도체 유닛(181, 182, 183, 184 및 185)을 포함하고, 이들 반도체 유닛은 제2 방향으로 직렬 연결된다. 제5행(109)은 5개의 반도체 유닛(191, 192, 193, 194 및 195)을 포함하고, 이들 반도체 유닛은 제1 방향으로 직렬 연결된다.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은 서로 반대되며, 서로 다른 행에 서로 다른 수량의 반도체 유닛을 포함하는 구성은 배치상 더욱 쉽게 고객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The distribution of semiconductor units and electrodes must also be specially designed to meet the customer's demand for specific areas, currents and drive voltages of optoelectronic devices. The quantity of semiconductor units is in principle n = ( -1), n = ( ), Or n = ( But it designed according to +1), of which, n, and is representative of the quantity of the semiconductor unit, and V is representative of the drive voltage of the photoelectric element, V f represents the driving voltage of the semiconductor unit. The size of the
제3행(107)에서 반도체 유닛의 외형은 직사각형이고 다른 행 중의 반도체 유닛의 형상과 다르다. 이러한 설계를 통해, 전극 분포를 더욱 쉽게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고하면, 제1행(105) 및 제5행(109)에서 기판(11)의 모퉁이 영역의 반도체 유닛(151, 155, 191 및 195)을 제외하고, 기타 반도체 유닛 상의 전극 분포는 서로 유사하다. 제2행(106) 및 제4행(108)에서, 기판(11)의 가장자리에 근접한 반도체 유닛(161, 165, 181 및 185)을 제외하고, 반도체 유닛 상에 위치하는 다른 전극 분포는 서로 동일하다. 제3행(107)의 반도체 유닛의 전극 분포와 다른 행 중의 반도체 유닛을 비교하면 차이가 비교적 크나, 그 중의 반도체 유닛(172 및 173) 상의 전극 분포가 동일할 경우, 기판(11) 가장자리에 있는 반도체 유닛(171 및 174)과는 동일하지 않다. In the
제1 연신부(1411)는 제1 곡선 연신부(1411a)를 포함한다. 제2 연신부(1421)는 제2 곡선 연신부(1421a)를 포함하고, 행(105, 106, 108 및 109) 상의 반도체 유닛의 제2 연신부(1421)는 직선 연신부(1421b)를 더 포함한다. 제1 곡선 연신부(1411a) 및/또는 제2 곡선 연신부(1421a)는 반도체 유닛의 그 어느 한 변과도 서로 평행하지 않는다. 제1행(105), 제3행(107), 제5행(109)의 반도체 유닛 상의 제1 연신부는 그루브(170)에 위치하며, 반도체 유닛의 제1변으로부터 상대측의 제2변을 향해 연신되고, 제2 연신부(1421)는 반도체 유닛의 제2변으로부터 제1변을 향해 연신되어 있다. 제2행(106)과 제4행(108)의 반도체 유닛 상의 제1 연신부(1411)는 반도체 유닛의 제2변으로부터 제1변을 향해 연신되고, 제2 연신부(421)는 반도체 유닛의 제1변으로부터 제2변을 향해 연신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연신부(1421)는 대체로 반도체 유닛의 모서리에 가깝게 설치되고, 제1 연신부(1411)는 반도체 유닛 그루브(170) 중에 설치되고, 제1 반도체층(1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신부의 수량은 반도체 유닛의 면적에 따라 조절되며, 반도체 유닛의 면적이 클수록 비교적 많은 연신부가 필요하다. 연신부는 또한 제1 곡선 연신부(1411a)로부터 연신된 2단 연신부(1411c) 및/또는 제2 곡선 연신부(1421a)로부터 연신된 2단 연신부(1421c)를 형성하여 전류 분산을 증가할 수 있다.The
제1 전극패드(1412) 및 제2 전극패드(1422)는 각각 기판(11)의 서로 대향하는 모퉁이의 반도체 유닛(155, 191) 상에 위치하며, 제1 전극패드(1412)는 반도체 유닛(155) 상의 제1 연신부(1411)와 서로 접촉하고, 제2 전극패드(1422)는 반도체 유닛(191) 상의 제2 연신부(1421)와 서로 접촉한다. 전극패드는 와이어본딩(wire bonding) 또는 플립칩 타입 본딩(flip chip type bonding)용이다. 본딩의 어려움을 감소하기 위하여, 전극패드는 기판(11)의 최외곽 상의 서로 다른 반도체 유닛 상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각 반도체 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부(143)는 각 반도체 유닛사이에 형성되고, 예를 들어 연결부(143)는 제1 반도체 유닛 상의 제1 연신부(1411) 및 서로 인접하는 제2 반도체 유닛 상의 제2 연신부(1421)와 서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143)는 제1행(105), 제3행(107), 제5행(109)의 사이에 제1 방향의 직렬 연결을 형성하고, 제2행(106) 및 제4행(108)의 사이에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직렬 연결을 형성한다. 각 행 사이는 연결부(143)에 의해 반도체 유닛(151 및 161, 165 및 174, 171 및 181, 185 및 195)을 직렬 연결한다. 제1행(105), 제2행(106), 제4행(108) 및 제5행(109) 중 두 개의 반도체 유닛 사이마다 두 개의 연결부(143)가 존재하며, 제3행(107) 중 두 개의 반도체 유닛 사이마다 두 개의 연결부(143)가 존재한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난 광전소자의 등가 회로도이다. In orde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respective semiconductor units, a connecting
광전소자(10)의 제2 반도체층(123) 및 제2 전극(142)의 사이에는 투명 도전층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투명 도전층의 재료는 금속산화물이며, 예를 들면, ITO(indium-tin-Oxide), 산화카드뮴주석(CTO), 산화안티몬주석, 산화인듐아연, 산화아연알루미늄 또는 산화아연주석이다. 그밖에, 금속층이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두께를 가지고 있을 때, 투명 도전층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may further include a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between the
기판(11) 및 제1 반도체층(121) 사이에 접합층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접합층은 반도체 유닛을 기판(11)에 접합한다. 접합층은 절연성 투명 접합층 또는 도전성 투명 접합층이다. 만약 절연성 투명 접합층이라면 그 재료는 폴리이마이드(polyimide), 벤조시클로부텐(BCB) 또는 폴리플루오로시클로부탄(PFCB)일 수 있다. 만약 도전성 접합층이라면 그 재료는 금속산화물 또는 금속일 수 있으며, 금속산화물 재료는 ITO(indium-tin-Oxide), 산화카드뮴주석(CTO), 산화안티몬주석, 산화인듐아연, 산화아연알루미늄 또는 산화아연주석을 포함한다. 금속재료는 니켈, 금, 티타늄, 크롬, 알루미늄 또는 백금을 포함한다. 분할채널(111)은 각 반도체 유닛의 사이에 형성되고, 기판(11) 및/또는 절연성 투명 접합층의 일부분을 노출한다. 접합층이 도전성 접합층일 때, 분할채널(111)은 도전성 접합층을 관통하여 기판(11)을 노출함으로써 각 반도체 유닛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이때 기판(11)은 질화알루미늄, 사파이어, 또는 유리이다. A bonding layer may be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부합하는 광전소자(20)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광전소자(20)는 기판(21) 상에 형성된 복수 개의 반도체 유닛을 포함하며, 이들 반도체 유닛은 복수 개의 분할채널(211)을 통해 분리되고, 제1 전극(241), 제2 전극(242) 및 연결부(243)는 반도체 유닛 상에 형성된다. 반도체 유닛의 구조는 광전소자(10)와 서로 동일하며, 제1 반도체층(121), 제2 반도체층(123) 및 그 사이에 있는 활성 구역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분할채널(211)은 각 반도체 유닛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광전소자(20) 상에 복수 개의 제1 전극(241) 및 제2 전극(242)이 있고, 그 중 제1 전극(241)은 노출된 제1 반도체층(121) 상에 형성되고, 제2 전극(241)은 노출된 제2 반도체층(123) 상에 형성된다. 제1 전극(241)은 제1 연신부(2411)를 포함하고, 제2 전극(242)은 제2 연신부(2421)를 포함한다. 그 밖에, 복수 개의 반도체 유닛 중의 하나의 반도체 유닛 상의 제1 전극(241)은 제1 전극패드(2412)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의 반도체 유닛 상의 제2 전극(242)은 제2 전극패드(2422)를 포함한다. 5 shows a top view of an
본 실시예에서 광전소자(20)의 크기는 85×85mil2이며, 구동전압은 72V이고, 각 반도체 유닛의 면적은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하며, 상기의 공식 n=(-1)에 따라, 광전소자(20)는 23개의 반도체 유닛을 포함하고, 이들 반도체 유닛은 복수 개의 행(205, 206, 207, 208 및 209)에 각각 배치된다. 제1행(205)은 5개의 반도체 유닛(251, 252, 253, 254 및 255)을 포함하고 이들 반도체 유닛은 제1 방향으로 직렬 연결되고, 그 위의 전극 분포는 광전소자(10)의 제1행(105) 중의 반도체 유닛 상의 전극 분포와 서로 동일하다. 제2행(26)은 4개의 반도체 유닛(261, 262, 263 및 264)을 포함하고 이들 반도체 유닛은 제2 방향으로 직렬 연결되고, 그 위의 전극 분포는 광전소자(10)의 제3행(107) 중의 반도체 유닛 상의 전극 분포와 서로 동일하다. 제3행(207)은 5개의 반도체 유닛(271, 272, 273, 274 및 275)을 포함하고 이들 반도체 유닛은 제1 방향으로 직렬 연결되고, 그 위의 전극 분포는 광전소자(10)의 제1행(105) 중의 반도체 유닛 상의 전극 분포와 서로 동일하다. 제4행(208)은 4개의 반도체 유닛(281, 282, 283 및 284)을 포함하고 이들 반도체 유닛은 제2 방향으로 직렬 연결되고, 그 위의 전극 분포는 광전소자(10)의 제3행(107) 중의 반도체 유닛 상의 전극 분포와 서로 동일하다. 제5행(209)은 5개의 반도체 유닛(291, 293, 293, 294 및 295)을 포함하고 이들 반도체 유닛은 제1 방향으로 직렬 연결되고, 그 위의 전극의 분포는 광전소자(10)의 제1행(105) 중의 반도체 유닛 상의 전극 분포와 서로 동일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size of the opto-
제2행(206) 및 제4행(208)에서 반도체 유닛의 외형은 직사각형이고 다른 행 중의 반도체 유닛의 형상과 다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제1행(205), 제3행(207) 및 제5행(209)의 반도체 유닛 상의 전극 분포는 반도체 유닛(251, 255, 271, 275, 291 및 295) 상의 전극을 제외하고는 기타 반도체 유닛 상의 전극 분포는 이들 사이에서 대체로 유사하다. 제2행(206) 및 제4행(208)의 반도체 유닛 상의 전극 분포는 반도체 유닛(261, 264, 281 및 284) 상의 전극을 제외하고 다른 반도체 유닛 상의 전극 분포는 이들 사이에서 대체로 서로 동일하다. 제1 연신부(2411)는 제1 곡선 연신부(2411a)를 포함하고, 제2 연신부(2421)는 제2 곡선 연신부(2421a)를 포함한다. 행(205, 207 및 209)의 반도체 유닛에서 제2 연신부(2421)는 직선 연신부(2421b)를 더 포함한다. 제1 곡선 연신부(2411a)와 제2 곡선 연신부(2421a)는 반도체 유닛의 그 어느 한 변과도 평행하지 않는다. 제1행(205), 제3행(207), 제5행(209) 반도체 유닛 상의 제1 연신부(2411)는 제1 반도체층(121) 상에 설치되고, 반도체 유닛의 제1변으로부터 제1변에 대향한 제2변을 향해 연신되며, 제2 연신부(2421)는 제2변으로부터 제1변을 향해 연신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연신부(2421)는 대체적으로 반도체 유닛에 가까운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제1 연신부(2411)는 반도체 유닛 중에 설치되며, 제1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신부는 제1 곡선 연신부(2411a)로부터 연신된 2단 연신부(2411c)를 형성하여 전류 분산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In the
제1 전극패드(2412) 및 제2 전극패드(2422)는 각각 반도체 유닛(255 및 291) 상에 각각 형성되고, 제1 전극패드(2412)와 반도체 유닛(255) 상의 제1 연신부(2411)는 서로 접촉하고, 제2 전극패드(2422)와 반도체 유닛(291) 상의 제2 연신부(2421)는 서로 접촉된다. 전극패드는 본딩용이며, 기판(21)의 모퉁이 구역 상의 서로 다른 반도체 유닛 상에 각각 설치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243)는 제1행(205), 제2행(207) 및 제5행(209)사이에서 제1 방향의 직렬 연결을 형성하고, 제2행(206) 및 제4행(208)의 사이에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의 직렬 연결을 형성한다. 각 행 사이에서 연결부(243)를 통해 반도체 유닛(251 및 261, 264 및 275, 271 및 281 및 284 및 295)을 직렬 연결한다. 제1행(205), 제3행(207), 제5행(209) 중 매 두 개의 반도체 유닛 사이마다 두 개의 연결부(243)가 있고, 제2행(206) 및 제4행(208) 중 매 두 개의 반도체 유닛 사이마다 1개의 연결부(243)가 있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낸 광전소자의 등가 회로도이다. In this embodiment, the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부합하는 광전소자(30)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광전소자(30)는 기판(31) 상에 형성된 복수 개의 반도체 유닛, 이들 반도체 유닛 상에 형성된 제1 전극(341), 제2 전극(342) 및 연결부(343)를 포함한다. 반도체 유닛의 구조는 제1 반도체층(121), 제2 반도체층(123) 및 그 사이에 있는 활성 구역(122)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분할채널(311)은 각 반도체 유닛 사이에 형성된다. 광전소자(30)에는 복수 개의 제1 전극(341)과 제2 전극(342)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 반도체 유닛(355)을 제외한 기타 반도체 유닛에서 제1 전극(341)은 제1 연신부(3411)를 포함하며, 제2 전극(342)은 제2 연신부(3421)를 포함한다. 이밖에 반도체 유닛(355) 상의 제1 전극(341)은 제1 전극패드(3412)를 포함하고, 반도체 유닛(391) 상의 제2 전극(342)은 제2 전극패드(3422)를 포함한다. Fig. 8 shows a top view of the
본 실시예에서 광전소자(30)의 크기는 50×50mil2이며, 구동전압은 72V이며, 반도체 유닛의 구동전압은 대략 3V이고, 각 반도체 유닛의 면적은 대체적으로 서로 동일하다. 광전소자(30)는 23개의 반도체 유닛을 포함하고, 이들 반도체 유닛은 각각 행(305, 306, 307, 308 및 309)에 배치된다. 제1행(305)은 5개의 반도체 유닛(351, 352, 353, 354 및 355)을 포함하고 이들 반도체 유닛은 제1 방향으로 직렬 연결된다. 제2행(306)은 4개의 반도체 유닛(361, 362, 363, 및 364)을 포함하고 이들 반도체 유닛은 제2 방향으로 직렬 연결된다. 제3행(307)은 5개의 반도체 유닛(371, 372, 373, 374 및 375)을 포함하고 이들 반도체 유닛은 제1 방향으로 직렬 연결된다. 제4행(308)은 4개의 반도체 유닛(381, 382, 383, 및 384)을 포함하고 이들 반도체 유닛은 제2 방향으로 직렬 연결된다. 제5행(309)은 5개의 반도체 유닛(391, 392, 393, 394 및 395)을 포함하고 이들 반도체 유닛은 제1 방향으로 직렬 연결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size of the opto-
제2행(306) 및 제4행(308)에서 반도체 유닛의 외형은 다른 행의 반도체 유닛의 형상과 다르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제1행(305), 제3행(307) 및 제5행(309)의 반도체 유닛 상의 전극 분포는 반도체 유닛(351, 355, 371, 375, 391 및 395) 상의 전극을 제외하고는 다른 반도체 유닛 상의 전극 분포는 대체적으로 서로 유사하다. 제2행(306) 및 제4행(308)의 반도체 유닛 상의 전극 분포는 반도체 유닛(361, 364, 381 및 384) 상의 전극을 제외하고 기타 반도체 유닛 상의 전극 분포는 대체적으로 서로 동일하다. 제1 연신부(3411)는 곡선 연신부(3411a)로서 기판(31) 외곽에 가까운 반도체 유닛(361, 375, 381, 391 및 394)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직선 연신부(3411b)로서 기타 반도체 유닛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2 연신부(3421)는 곡선 연신부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tour of the semiconductor unit in the
제1행(305), 제3행(307) 및 제5행(309)에서 반도체 유닛(375, 395)을 제외하고, 기타의 반도체 유닛 상의 제1 연신부(3411)는 반도체 유닛의 제1변으로부터 상기 제1변에 대향한 제2변을 향해 연신되며, 제2 연신부(3421)는 제2변으로부터 제1변을 향해 연신된다. 반도체 유닛(375 및 395) 상의 제1 연신부(3411)는 반도체 유닛의 제3변으로부터 제2변을 향해 연신된다. 제2행(306) 및 제4행(308)에서 반도체 유닛(361, 381)을 제외하고, 다른 반도체 유닛 상의 제1 연신부(3411)는 제2변으로부터 제1변으로 연신되고, 제2 연신부(3421)는 제1변으로부터 제2변을 향해 연신된다. 반도체 유닛(361 및 381) 상의 제1 연신부(3411)는 반도체 유닛(361 및 381)의 제3변으로부터 제1변을 향해 연신된다. 제1 연신부(3411)의 곡선 연신부 및 제2 연신부(3421)는 반도체 유닛의 그 어느 한 변과도 평행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연신부(3421)는 대체적으로 반도체 유닛의 가장자리에 가깝게 설치되고, 제1 연신부(3411)는 반도체 유닛 중에 위치하며, 제1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신부는 또한 곡선 연신부(3411a) 및 직선 연신부(3411b)로부터 연신된 2단 연신부(3411c)를 형성하여 전류의 분산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Except for the
제1 전극패드(3412) 및 제2 전극패드(3422)는 반도체 유닛(355 및 391) 상에 각각 형성되고, 제2 전극패드(3422)는 반도체 유닛(391) 상의 제2 연신부(3421)와 서로 접촉된다. 전극패드는 와이어본딩(wire bonding) 또는 플립칩 타입 본딩(flip chip type bonding)용이며, 기판(31)의 모퉁이 구역 상의 서로 다른 반도체 유닛 상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The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343)는 제1행(305), 제3행(307) 및 제5행(309)의 사이에서 제1 방향으로 직렬 연결을 형성하고, 제2행(306) 및 제4행(308) 사이에서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직렬 연결을 형성한다. 각 행사이는 연결부(343)를 통해 반도체 유닛(351 및 361, 364 및 375, 371 및 381 및 384 및 395)을 직렬 연결한다. 매 두 개의 반도체 유닛 사이에는 1개의 연결부(343)가 그 사이에 존재한다. 도 10은 도 8중에 나타난 광전소자(30)의 등가 회로도이다.In this embodiment, the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부합하는 광전소자(40)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광전소자(40)는 기판(41) 상에 형성된 복수 개의 반도체 유닛, 이들 반도체 유닛 상에 형성된 제1 전극(441), 제2 전극(442) 및 연결부(443)를 포함한다. 반도체 유닛의 구조는 제1 반도체층(121), 제2 반도체층(123) 및 그 사이에 있는 활성 구역(122)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분할채널(411)은 각 반도체 유닛 사이에 형성된다. 광전소자(40) 상에는 복수 개의 제1 전극(441)과 제2 전극(442)이 있으며, 그 중 반도체 유닛(455)을 제외한 나머지 반도체 유닛 상에 형성된 제1 전극(441)은 제1 연신부(4411)를 포함하며, 반도체 유닛(471)을 제외한 나머지 반도체 유닛 상에 형성된 제2 전극(442)은 제2 연신부(4421)를 포함한다. 이밖에, 반도체 유닛(455) 상에 형성된 제1 전극(441)은 제1 전극패드(4412)를 포함하고, 반도체 유닛(471) 상의 제2 전극(442)은 제2 전극패드(4422)를 포함한다.11 shows a top view of an
본 실시예에서 광전소자(40)의 크기는 45×45mil2이며, 그 구동전압은 48V이며,반도체 유닛의 구동전압은 대략 3V이다. 상기 공식에 따라 광전소자(40)는 16개의 반도체소자를 포함하고, 행(405, 406 및 407)에 설치된다. 제1행(405)은 5개의 반도체 유닛(451, 452, 453, 454 및 455)을 포함하고 이들 반도체 유닛은 제1 방향으로 직렬 연결된다. 제2행(406)은 6개의 반도체 유닛(461, 462, 463, 464, 465 및 466)을 포함하고 이들 반도체 유닛은 제2 방향으로 직렬 연결된다. 제3행(407)은 5개의 반도체 유닛(471, 472, 473, 474 및 475)을 포함하고 이들 반도체 유닛은 제1 방향으로 직렬 연결된다.In this embodiment, the size of the
제2행(402) 중의 반도체 유닛의 외형은 다른 행 중의 반도체 유닛의 형상과 서로 다르다.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제1행(405) 및 제3행(407)의 반도체 유닛 상의 전극 분포는 반도체 유닛(451, 455, 471 및 475) 상의 전극 분포를 제외하고는 다른 반도체 유닛의 전극 분포와는 대체적으로 서로 유사하다. 제1 연신부(4411)는 직선 연신부(4411a) 및 2단 연신부(4411c)를 포함하고, 그 중 제2 연신부(4421)는 모두 곡선의 연신부이다. 제1행(405) 및 제2행(407)의 반도체 유닛 상의 제1 연신부(4411)는 반도체 유닛의 제1변으로부터 제1변에 근접한 제3변 및 제4변을 향해 연신되고, 제2 연신부(4421)는 제2변으로부터 제3변 및 제4변을 향해 연신된다. 제2행(406)의 반도체 유닛 상의 제1 연신부(4411)는 반도체 유닛의 제2변으로부터 제3변 및 제4변을 향해 연신되고, 제2 연신부(4421)는 제1변으로부터 제3변 및 제4변을 향해 연신된다. 곡선 연신부(4411, 4421)는 반도체 유닛 상의 어느 임의의 한 변과도 평행하지 않는다.The external shape of the semiconductor unit in the second row 402 is different from the shape of the semiconductor unit in the other rows. 11 and 12, the electrode distribution on the semiconductor units of the
제1 전극패드(4412) 및 제2 전극패드(4422)는 각각 반도체 유닛(455, 471) 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연결부(443)는 반도체 유닛의 사이에 직렬 연결을 형성한다. 도 13은 도 11에 나타난 광전소자(40)의 등가 회로도이다.The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부합하는 광전소자(50)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는 광전소자(50)의 3D 입체도이다. 광전소자(50)의 크기는 40×40mil2이며, 그 구동전압은 36V이며,반도체 유닛의 구동전압은 대략 3V이다. 공식 n=(-1)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광전소자(50)는 11개의 반도체 유닛을 포함하고, 이들 반도체 유닛은 각각 행(505, 506, 507)에 배치된다. 제1행(505)은 4개의 반도체 유닛(551, 552, 553, 554)을 포함하고 이들 반도체 유닛은 제1 방향으로 직렬 연결된다. 제2행(506)은 3개의 반도체 유닛(561, 562, 563)을 포함하고 이들 반도체 유닛은 제2 방향으로 직렬 연결된다. 제3행(507)은 4개의 반도체 유닛(571, 572, 573 및 574)을 포함하고 이들 반도체 유닛은 제1 방향으로 직렬 연결된다. 제1 연신부(5411)를 구비한 제1 전극(541)은 반도체 유닛(554)을 제외한 나머지 반도체 유닛 상에 형성되고, 제2 연신부(5421)를 구비한 제2 전극(542)은 전체 반도체 유닛 상에 설치된다. 반도체 유닛(554) 상의 제1 전극(541)은 제1 전극패드(5412)를 포함하고, 반도체 유닛(571) 상의 제2 전극(542)은 제2 전극패드(5422)를 포함한다. 연결부(543)는 반도체 유닛 사이에 직렬 연결을 형성한다. 도 16은 도 14에 나타낸 광전소자(50)의 등가 회로도이다.Fig. 14 shows a top view of a
도 1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부합하는 광전소자(60)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은 광전소자(60)의 3D 입체도이다. 광전소자(60)의 크기는 120×120mil2이며, 그 구동전압은 24V이며,반도체 유닛의 구동전압은 대략 3V이다. 공식 n=()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광전소자(60)는 8개의 반도체소자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행(605, 606 607)에 각각 배치된다. 제1행(605)은 2개의 반도체 유닛(651, 652)을 포함하고 이들 반도체 유닛은 제1 방향으로 직렬 연결된다. 제2행(606)은 4개의 반도체 유닛(661, 662, 663, 664)을 포함하고 이들 반도체 유닛은 제2 방향으로 직렬 연결된다. 제3행(607)은 2개의 반도체 유닛(671, 672)을 포함하고 이들 반도체 유닛은 제1 방향으로 직렬 연결된다. 제1 전극(641)은 제1 연신부(6411)를 포함하고, 제2 전극(642)은 제2 연신부(6421)를 포함한다. 이밖에, 복수 개의 반도체 유닛 중 하나의 반도체 유닛 상의 제1 전극(641)은 2개의 제1 전극패드(6412)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의 반도체 유닛 상의 제2 전극(642)은 2개의 제2 전극패드(6422)를 포함한다. 연결부(643)는 반도체 유닛 사이에서 직렬 연결을 형성한다. 도 19는 도 17에 나타난 광전소자(60)의 등가 회로도이다.17 shows a plan view of the
도 2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부합하는 광전소자(70)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1은 광전소자(70)의 3D 입체도이다. 광전소자(70)의 크기는 120×120mil2이며, 그 구동전압은 24V이며,반도체 유닛의 구동전압은 대략 3V이다. 공식 n=(-1)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광전소자(70)는 7개의 반도체 유닛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행(705, 706, 707)에 각각 배치된다. 제1행(705)은 2개의 반도체 유닛(751, 752)을 포함하고 이들 반도체 유닛은 제1 방향으로 직렬 연결된다. 제2행(706)은 3개의 반도체 유닛(761, 762, 769)을 포함하고 이들 반도체 유닛은 제2 방향으로 직렬 연결된다. 제3행(707)은 2개의 반도체 유닛(771, 772)을 포함하고 이들 반도체 유닛은 제1 방향으로 직렬 연결된다. 제1 전극(741)은 제1 연신부(7411)를 포함하고, 제2 전극(742)은 제2 연신부(7421)를 포함한다. 이밖에, 복수 개의 반도체 유닛 중의 1개의 반도체 유닛 상의 제1 전극(741)은 2개의 제1 전극패드(7412)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의 반도체 유닛 상의 제2 전극(742)은 2개의 제2 전극패드(7422)를 포함한다. 연결부(743)는 반도체 유닛 사이에서 직렬 연결을 형성한다. 도 22는 도 20에 나타난 광전소자(70)의 등가 회로도이다.20 shows a top view of an
도 2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부합하는 광전소자(80)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4는 광전소자(80)의 3D 입체도이다. 광전소자(80)의 크기는 85×85mil2이며, 그 구동전압은 144V이며,반도체 유닛의 구동전압은 대략 3V이다. 공식 n=()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광전소자(80)는 48개의 반도체 유닛을 포함하고 이들 반도체 유닛은 복수 개의 행(801, 802, 803, 804, 805, 806 및 807)에 각각 배치된다. 행(801, 803, 805, 807)에는 각각 7개의 반도체 유닛이 포함되고 이들 반도체 유닛은 제1 방향으로 직렬 연결된다. 행(802, 806)에는 7개의 반도체 유닛이 포함되고 이들 반도체 유닛은 제2 방향으로 직렬 연결된다. 제4행(804)은 6개의 반도체 유닛을 포함하고 이들 반도체 유닛은 제1 방향으로 직렬 연결된다. 복수 개의 반도체 유닛 중의 하나의 반도체 유닛 상의 제1 전극(841)은 반도체 유닛(811)의 제1 반도체층(121) 상에 위치한 제1 전극패드(8412)를 포함하고, 반도체 유닛(871) 상의 제2 전극(842)은 제2 반도체층(123) 상에 있는 제2 전극패드(8422)를 포함한다. 이밖에 제1 연신부(8411)를 구비한 제1 전극(841)은 제1 전극패드(8412)가 설치된 반도체 유닛을 제외한 나머지 반도체 유닛 상에 형성되어 있고, 제2 연신부(8421)를 구비한 제2 전극(842)은 모든 반도체 유닛 상에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843)는 반도체 유닛 사이에서 직렬 연결을 형성한다. 제1 전극패드(8412)가 위치하는 반도체 유닛(811) 상의 제2 전극(842)은 제2 반도체층(123) 상에 형성되고, 연결부(843)를 통해 반도체 유닛(812)의 제1 전극(841)과 연결된다. 제2 전극패드(8422)가 위치하는 반도체 유닛(871) 상의 제1 전극(841)은 제1 반도체층(121) 상에 있고, 연결부(843)를 통해 반도체 유닛(872)의 제2 전극(842)에 연결된다.23 shows a plan view of the photoelectric element 80 in accordance with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3D perspective view of the photoelectric element 80. Fig. The size of the photoelectric element 80 is 85 x 85 mils 2 , its driving voltage is 144 V, and the driving voltage of the semiconductor unit is approximately 3 V. [ Formula n = ( The photoelectric element 80 in this embodiment includes 48 semiconductor units and these semiconductor units are disposed in a plurality of
도 25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부합하는 광전소자(90)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광전소자(90)는 48개의 반도체 유닛을 포함하고 이들은 복수 개의 행(801, 802, 803, 804, 805, 806 및 807)에 각각 배치된다. 그 외관 및 전극 배치는 광전소자(80)와 서로 유사하며, 차이점은 제1 전극패드(9412)가 반도체 유닛(811)의 제2 반도체층(123) 상에 형성되며, 연결부(843)를 통해 반도체 유닛(812)의 제1 전극(841)과 직렬 연결을 형성하고, 제2 전극패드(9422)는 반도체 유닛(871)의 제2 반도체층(123) 상에 형성되고, 연결부(843)를 통해 반도체 유닛(872)의 제2 전극(82)과 직렬 연결을 형성한다는 점이다. 외부전원 공급전류가 제2 전극패드(9422)로부터 주입되고, 다시 제1 전극패드(9412)로부터 흘러나올 때, 제2 전극패드(9422) 아래의 반도체 유닛(871)의 저항이 연결부(843)와 반도체 유닛(812)의 제1 전극(841)과 직렬 연결된 저항보다 크므로, 전류는 직접적으로 제2 전극패드(9422)로부터 연결부(843)를 통해 반도체 유닛(812)의 제1 전극(841)으로 흐르고, 반도체 유닛(871) 하부의 제1 반도체층(121), 활성 구역(122) 및 제2 반도체층(123)으로 흐르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전류는 반도체 유닛(812)의 제1 전극(841)으로 흐르고, 연결부(843)를 통해 제1 전극패드(9412)로 흐른 후에 반도체 유닛(811) 하부의 제1 반도체층(121), 활성 구역(122) 및 제2 반도체층(123)으로 흐르지 않고 외부전원으로 직접적으로 방출한다. 그러므로 제1 전극패드(9412)와 제2 전극패드(9422) 하부의 반도체 유닛(811, 871)은 빛을 발생하지 않는다. 나아가 전기적으로 전극패드 및 하방의 반도체 유닛을 격리시키기 위하여, 전극패드와 반도체 유닛 사이에는 절연층을 형성하여 큰 전류로 인해서 전류가 전극패드 하방의 반도체층을 관통하여 단로되는 것을 피한다.25 shows a top view of an optoelectronic device 90 in accordance with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o-electronic device 90 includes 48 semiconductor units, which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제1 전극패드(9412) 및 제2 전극패드(9422) 하방의 반도체 유닛이 발광하지 않으므로 제1 전극패드(9412)의 면적은 반도체 유닛(811)의 면적과 대체로 동일할 수 있으며, 제2 전극패드(9422)의 면적은 반도체 유닛(871)의 면적과 대체로 동일할 수 있으며, 이로써 와이어 제작공정의 수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밖에, 광전소자(90) 중의 제1 전극패드(9412)는 또한 광전소자(80)의 제2 전극패드(8422)와 연계될 수 있으며, 이때 제1 전극패드(9412)는 반도체 유닛(811)의 제2 반도체층(123)을 대체로 전면적으로 덮으며, 제2 전극패드(8422)는 반도체 유닛(871)의 제2 반도체층(123)의 일부분 위에 위치한다. 제1 전극패드(9412) 하방의 반도체 유닛은 전류가 유입하지 않으므로 발광하지 않으며 제2 전극패드(8422)가 위치한 반도체 유닛(871) 상의 제1 전극패드(841)는 연결부(843)를 통해 반도체 유닛(872)의 제2 전극(842)과 연결되고, 전류가 유입될 때, 제2 전극패드(8422)가 위치한 반도체 유닛(871)은 발광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광전소자(90)의 제2 전극패드(9422)는 광전소자(80)의 제1 전극패드(8412)와 연계될 수 있으며, 이때 제1 전극패드(8412)는 반도체 유닛(811)의 제1 반도체(121)의 일부분 위에 위치하며, 제2 전극패드(9422)는 반도체 유닛(871)의 제2 반도체층(123)의 위를 대체로 전면적으로 덮는다. 제1 전극패드가 위치한 반도체 유닛(811) 상의 제2 전극(842)은 연결부(843)를 통해 반도체 유닛(812)의 제1 전극(841)과 연결되며, 전류가 유입할 때, 제1 전극패드(8422)가 위치한 반도체 유닛(811)은 발광하게 되며, 제2 전극패드(9422)로 유입되는 전류는 반도체 유닛(871)의 활성 구역(122)을 지나지 않고 직접 연결부(843)를 통해 반도체 유닛(872)으로 흐르므로, 제2 전극패드(9422)가 위치한 반도체 유닛(871)은 발광하지 않는다.Since the semiconductor units below the
제1 반도체층, 활성층 및 제2 반도체충의 재료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원소를 포함하며, 이들 원소는 Ga, Al, In, As, P, N 및 Si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예를 들면 GaN, AlGaN, InGaN, AlGaInN, GaP, GaAs, GaAsP, GaNAs 또는 Si이다. 기판의 재료는 사파이어, GaAs, GaP, SiC, ZnO, GaN, AlN, Cu 또는 Si를 포함한다.The material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the active layer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includes one or a plurality of elem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a, Al, In, As, P, N and Si, AlGaN, InGaN, AlGaInN, GaP, GaAs, GaAsP, GaNAs or Si. The material of the substrate includes sapphire, GaAs, GaP, SiC, ZnO, GaN, AlN, Cu or Si.
본 발명에 열거된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서만 사용하였을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해 진행한 그 어떤 자명한 수정 또는 변형은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Each of the embodiments enumer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only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obvious modifications or alterations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to be regarded as a departure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 20, 30, 40, 50, 60, 70, 80, 90: 광전소자
11, 21, 31, 41, 51, 61, 71, 81: 기판
141, 241, 341, 441, 541, 641, 741, 841: 제1 전극
142, 242, 342, 442, 542, 642, 742, 842: 제2 전극
143, 243, 343, 443, 543, 643, 743, 843: 연결부
121: 제1 반도체층
123: 제2 반도체층
122: 활성 구역
170: 그루브
111, 131: 분할채널
1411, 2411, 3411, 4411, 5411, 6411, 7411, 8411: 제1 연신부
1421, 2421, 3421, 4421, 5421, 6421, 7421, 8421: 제2 연신부
1412, 2412, 3412, 4412, 5412, 6412, 7412, 8412, 9412: 제1 전극패드
1422, 2422, 3422, 4422, 5422, 6422, 7422, 8422, 9422: 제2 전극패드
105~109, 205~209, 305~309, 405~407, 505~507, 605~607, 705~707, 801~807: 행
151~155, 161~165, 171~174, 181~185, 191~195, 251~255, 261~264, 271~275, 281~294, 291~295, 351~355, 361~364, 371~375, 381~384, 391~395, 41~455, 461~466, 471~465, 551~554, 561~563, 571~564, 651~664, 671,672, 751, 752, 761, 762, 771,772,811, 712, 871, 872: 반도체 유닛
1411a, 2411a: 제1 곡선 연신부
1421a, 2421a: 제2 곡선 연신부
1421b, 2421b, 3411b, 441a: 직선 연신부
1411c, 1421c, 2411c, 3411c, 4411c: 2단 연신부
3411a: 곡선 연신부10, 20, 30, 40, 50, 60, 70, 80, 90:
11, 21, 31, 41, 51, 61, 71, 81:
141, 241, 341, 441, 541, 641, 741, 841:
142, 242, 342, 442, 542, 642, 742, 842:
143, 243, 343, 443, 543, 643, 743, 843:
121: first semiconductor layer
123: second semiconductor layer
122: active zone
170: groove
111, < / RTI > 131:
1411, 2411, 3411, 4411, 5411, 6411, 7411, 8411:
1421, 2421, 3421, 4421, 5421, 6421, 7421, 8421:
1412, 2412, 3412, 4412, 5412, 6412, 7412, 8412, 9412:
1422, 2422, 3422, 4422, 5422, 6422, 7422, 8422, 9422:
105 to 109, 205 to 209, 305 to 309, 405 to 407, 505 to 507, 605 to 607, 705 to 707, and 801 to 807:
And the number of nucleotides in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51 to 155, 161 to 165, 171 to 174, 181 to 185, 191 to 195, 251 to 255, 261 to 264, 271 to 275, 281 to 294, 291 to 295, 351 to 355, 361 to 364, 375, 381 to 384, 391 to 395, 41 to 455, 461 to 466, 471 to 465, 551 to 554, 561 to 563, 571 to 564, 651 to 664, 671, 672, 751, 752, 761, 762, 771, 712, 871, 872: semiconductor unit
1411a, 2411a: First curved stretching part
1421a and 2421a: the second curve stretching part
1421b, 2421b, 3411b, and 441a:
1411c, 1421c, 2411c, 3411c, and 4411c:
3411a: Curved stretcher
Claims (10)
기판;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기판 상에 설치되어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제1 반도체 유닛, 제2 반도체 유닛, 및 제3 반도체 유닛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반도체 유닛-각 반도체 유닛은 제1 변 및 상기 제1 변과 마주하는 제2 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변 및 상기 제2 변은 상기 제1 방향에 평행;
제1 반도체층 상에 위치하는 제1 전극;
제2 반도체층 상에 위치하는 제2 전극;
상기 제1 반도체 유닛 및 상기 제2 반도체 유닛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반도체 유닛의 상기 제1 반도체층에서 상기 제2 반도체 유닛의 상기 제2 반도체층까지 연신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반도체 유닛 및 상기 제3 반도체 유닛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반도체 유닛의 상기 제1 반도체층에서 상기 제3 반도체 유닛의 상기 제2 반도체층까지 연신되는 제2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광전소자의 평면도에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광전소자의 상기 제2 변보다 상기 제 1변에 근접하고, 상기 광전소자의 제2 연결부는 상기 광전소자의 상기 제1 변보다 상기 제2 변에 근접하는,
광전소자.As a photoelectric device,
Board;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units provided on the substrate along a first direction and having a rectangular shape and including a first semiconductor unit, a second semiconductor unit, and a third semiconductor unit, wherein each semiconductor unit has a first side and a first side, Wherein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are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 first electrode locat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 second electrode locat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semiconductor unit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unit and extending from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of the first semiconductor unit to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of the second semiconductor unit along the first direction, ; And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second semiconductor unit and the third semiconductor unit and extends from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of the second semiconductor unit to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of the third semiconductor unit along the first direction, ;
Lt; / RTI >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s closer to the first side than the second side of the photoelectric element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of the photoelectric element is closer to the second side than the first side of the photoelectric element in a plan view of the photoelectric element. Close-up,
Photoelectric device.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1 방향에 평행하지 않는 제1 연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방향에 평행하지 않는 제2 연신부를 구비하는, 광전소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electrode includes a first extending portion that is not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electrode includes a second extending portion that is not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상기 제1 반도체 유닛, 상기 제2 반도체 유닛 및 상기 제3 반도체 유닛은 동일한 직사각형 형상을 포함하는, 광전소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emiconductor unit, the second semiconductor unit, and the third semiconductor unit include the same rectangular shape.
상기 제1 반도체 유닛, 상기 제2 반도체 유닛 및 상기 제3 반도체 유닛은 동일한 면적을 갖는, 광전소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emiconductor unit, the second semiconductor unit, and the third semiconductor unit have the same area.
상기 제1 반도체 유닛 및 상기 제3 반도체 유닛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전극은 동일한 전극 패턴을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반도체 유닛 및 상기 제3 반도체 유닛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전극은 동일한 전극 패턴을 구비하는, 광전소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electrode locat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unit and the first electrode located on the third semiconductor unit have the same electrode pattern or the second electrode locat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unit and the third semiconductor unit has the same electrode ≪ / RTI >
상기 제1 반도체 유닛 및 상기 제2 반도체 유닛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전극은 상이한 전극 패턴을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반도체 유닛 및 상기 제2 반도체 유닛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전극은 상이한 전극 패턴을 구비하는, 광전소자.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electrode locat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unit and the first electrode locat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unit may have different electrode patterns or the second electrode locat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unit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unit may have different electrode patterns, ≪ / RTI >
상기 제1 반도체 유닛, 제2 반도체 유닛 및 제3 반도체 유닛은 각각 긴 변 및 짧은 변을 구비하고, 상기 긴 변의 길이는 상기 짧은 변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짧은 변은 상기 제1 방향에 평행하고, 상기 긴 변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되는, 광전소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emiconductor unit, the second semiconductor unit and the third semiconductor unit each have a long side and a short side, the long side is longer than the short side, the short side is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Wherein the long side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반도체 유닛의 긴 변 및 상기 제2 반도체 유닛의 긴 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반도체 유닛의 긴 변 및 상기 제3 반도체 유닛의 긴 변 사이에 위치하는, 광전소자.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is located between a long side of the first semiconductor unit and a long side of the second semiconductor unit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is located between a long side of the second semiconductor unit and a long side of the third semiconductor unit Optoelectronic devices.
상기 제1 연결부의 폭은 상기 제1 연신부의 폭보다 크거나, 또는 상기 제2 연결부의 폭은 상기 제2 연신부의 폭보다 넓은, 광전소자.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width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is larger than a width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or a width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is wider than a width of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상기 기판을 누출시키도록 상기 복수 개의 반도체 유닛 사이에 위치하는 분할채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분할채널의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광전소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ividing channel located between the plurality of semiconductor units to leak the substrate, wherei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re located on the substrate of the dividing chan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2/830,059 | 2010-07-02 | ||
US12/830,059 US9324691B2 (en) | 2009-10-20 | 2010-07-02 | Optoelectronic devic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48075A Division KR20160048745A (en) | 2010-07-02 | 2016-04-20 | An optoelectronic device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02227A Division KR20180006625A (en) | 2010-07-02 | 2018-01-08 | An optoelectronic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35357A true KR20170035357A (en) | 2017-03-30 |
KR101929867B1 KR101929867B1 (en) | 2019-03-14 |
Family
ID=45349596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09073A Active KR101616098B1 (en) | 2010-07-02 | 2010-11-04 | An optoelectronic device |
KR1020160048075A Ceased KR20160048745A (en) | 2010-07-02 | 2016-04-20 | An optoelectronic device |
KR1020170036303A Active KR101929867B1 (en) | 2010-07-02 | 2017-03-22 | An optoelectronic device |
KR1020180002227A Ceased KR20180006625A (en) | 2010-07-02 | 2018-01-08 | An optoelectronic device |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09073A Active KR101616098B1 (en) | 2010-07-02 | 2010-11-04 | An optoelectronic device |
KR1020160048075A Ceased KR20160048745A (en) | 2010-07-02 | 2016-04-20 | An optoelectronic device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02227A Ceased KR20180006625A (en) | 2010-07-02 | 2018-01-08 | An optoelectronic device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3) | JP2012015480A (en) |
KR (4) | KR101616098B1 (en) |
CN (2) | CN105977272B (en) |
DE (1) | DE102010060269B4 (en) |
TW (3) | TWI533474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533474B (en) * | 2009-10-20 | 2016-05-11 | 晶元光電股份有限公司 | Optoelectronic component |
KR20140059985A (en) * | 2012-11-09 | 2014-05-19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Light emitting device |
CN103811593B (en) * | 2012-11-12 | 2018-06-19 | 晶元光电股份有限公司 |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photoelectric element |
KR101992366B1 (en) * | 2012-12-27 | 2019-06-24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Light emitting device |
TWI597864B (en) | 2013-08-27 | 2017-09-01 | 晶元光電股份有限公司 | Light-emitting element having a plurality of light-emitting structures |
TWI633683B (en) * | 2013-08-27 | 2018-08-21 | 晶元光電股份有限公司 | Light-emitting element having a plurality of light-emitting structures |
CN110047865B (en) * | 2013-09-03 | 2024-02-23 | 晶元光电股份有限公司 | Light-emitting element with multiple light-emitting structures |
CN110176469B (en) * | 2013-11-29 | 2022-01-04 | 晶元光电股份有限公司 | Light emitting diode element |
JP6351520B2 (en) * | 2014-08-07 | 2018-07-04 | 株式会社東芝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
CN110854250B (en) * | 2015-02-13 | 2024-07-05 | 首尔伟傲世有限公司 | Light-emitting element |
KR102647673B1 (en) * | 2016-09-27 | 2024-03-14 |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 Light emitting diode |
KR102480220B1 (en) * | 2016-04-08 | 2022-12-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Lighting emitting diode module and display panel |
KR101987196B1 (en) | 2016-06-14 | 2019-06-1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Pixel structur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pixel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KR102363036B1 (en) * | 2017-04-03 | 2022-02-15 |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package |
CN107516701B (en) * | 2017-07-14 | 2019-06-11 | 华灿光电(苏州)有限公司 | A high-voltage light-emitting diode chip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TWI731163B (en) * | 2017-09-13 | 2021-06-21 | 晶元光電股份有限公司 | Semiconductor devic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45480A (en) * | 2000-03-31 | 2001-12-14 | Toyoda Gosei Co Ltd | Iii nitride compound semiconductor element |
JP2005019646A (en) * | 2003-06-25 | 2005-01-20 | Nichia Chem Ind Ltd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and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
JP2005039264A (en) * | 2003-06-30 | 2005-02-10 | Nichia Chem Ind Ltd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and light emitting device employing it |
KR20050052474A (en) * | 2002-08-29 | 2005-06-02 | 시로 사카이 | Light-emitting device having light-emitting elements |
JP2010056195A (en) * | 2008-08-27 | 2010-03-11 | Nichia Corp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3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126483A (en) * | 1974-08-29 | 1976-03-04 | Mitsubishi Electric Corp | |
JPH10107316A (en) * | 1996-10-01 | 1998-04-24 | Toyoda Gosei Co Ltd | Group III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
AU2001244670A1 (en) * | 2000-03-31 | 2001-10-08 | Toyoda Gosei Co. Ltd. | Group-iii nitride compound semiconductor device |
US6547249B2 (en) | 2001-03-29 | 2003-04-15 | Lumileds Lighting U.S., Llc | Monolithic series/parallel led arrays formed on highly resistive substrates |
JP3822545B2 (en) * | 2002-04-12 | 2006-09-20 | 士郎 酒井 | Light emitting device |
JP4585014B2 (en) * | 2002-04-12 | 2010-11-24 | ソウル セミコンダクタ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Light emitting device |
JP4160881B2 (en) * | 2003-08-28 | 2008-10-08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light emitting module, ligh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
WO2005022654A2 (en) * | 2003-08-28 | 2005-03-10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Ltd.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light emitting module, lighting apparatus, display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
JP4432413B2 (en) * | 2003-09-05 | 2010-03-17 |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 Light source device and vehicle headlamp |
US7755095B2 (en) | 2003-12-24 | 2010-07-13 | Panasonic Corporation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lighting module, lighting apparatus, display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
US20050274970A1 (en) * | 2004-06-14 | 2005-12-15 | Lumileds Lighting U.S., Llc | Light emitting device with transparent substrate having backside vias |
KR100665116B1 (en) * | 2005-01-27 | 2007-01-09 | 삼성전기주식회사 | A gallium nitride-based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n ESD protection LED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KR100652864B1 (en) * | 2005-12-16 | 2006-12-04 |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 Light emitting diode for alternating current with improved transparent electrode structure |
DE102006015117A1 (en) * | 2006-03-31 | 2007-10-04 |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 Electromagnetic radiation emitting optoelectronic headlights, has gallium nitride based light emitting diode chip, which has two emission areas |
KR100833309B1 (en) * | 2006-04-04 | 2008-05-28 | 삼성전기주식회사 |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
CN102683376A (en) * | 2007-01-22 | 2012-09-19 | 科锐公司 | High-pressure light emitter, light emitter and illumination device |
CN102779918B (en) * | 2007-02-01 | 2015-09-02 | 日亚化学工业株式会社 | Semiconductor light-emitting elements |
KR100974923B1 (en) * | 2007-03-19 | 2010-08-10 |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 Light emitting diode |
JP2009231135A (en) * | 2008-03-24 | 2009-10-08 |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 Lighting device |
JP5229034B2 (en) * | 2008-03-28 | 2013-07-03 |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 Light emitting device |
KR101025972B1 (en) * | 2008-06-30 | 2011-03-30 |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 AC drive light emitting device |
WO2010015106A1 (en) | 2008-08-06 | 2010-02-11 | 海立尔股份有限公司 | An ac led structure |
WO2010050694A2 (en) | 2008-10-29 | 2010-05-06 |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 Light emitting diode |
US8963175B2 (en) * | 2008-11-06 | 2015-02-24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KR101020910B1 (en) * | 2008-12-24 | 2011-03-09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JP4566267B1 (en) * | 2009-04-21 | 2010-10-20 | シャープ株式会社 | Power supply |
US9324691B2 (en) * | 2009-10-20 | 2016-04-26 | Epistar Corporation | Optoelectronic device |
TWI533474B (en) * | 2009-10-20 | 2016-05-11 | 晶元光電股份有限公司 | Optoelectronic component |
WO2011115361A2 (en) * | 2010-03-15 | 2011-09-22 |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 Light-emitting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light-emitting cells |
JP5997737B2 (en) * | 2014-03-28 | 2016-09-28 | 株式会社インフォシティ | Content playback device |
-
2010
- 2010-10-07 TW TW103136727A patent/TWI533474B/en active
- 2010-10-07 TW TW099134515A patent/TWI446527B/en active
- 2010-10-07 TW TW099134516A patent/TWI466284B/en active
- 2010-10-14 CN CN201610597613.7A patent/CN105977272B/en active Active
- 2010-10-14 CN CN201010511821.3A patent/CN102315239B/en active Active
- 2010-10-29 DE DE102010060269.8A patent/DE102010060269B4/en active Active
- 2010-11-04 KR KR1020100109073A patent/KR101616098B1/en active Active
- 2010-11-19 JP JP2010259153A patent/JP2012015480A/en active Pending
-
2015
- 2015-10-01 JP JP2015195552A patent/JP6255372B2/en active Active
-
2016
- 2016-04-20 KR KR1020160048075A patent/KR20160048745A/en not_active Ceased
-
2017
- 2017-03-22 KR KR1020170036303A patent/KR101929867B1/en active Active
-
2018
- 2018-01-08 KR KR1020180002227A patent/KR20180006625A/en not_active Ceased
-
2020
- 2020-03-18 JP JP2020047220A patent/JP7001728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45480A (en) * | 2000-03-31 | 2001-12-14 | Toyoda Gosei Co Ltd | Iii nitride compound semiconductor element |
KR20050052474A (en) * | 2002-08-29 | 2005-06-02 | 시로 사카이 | Light-emitting device having light-emitting elements |
JP2005019646A (en) * | 2003-06-25 | 2005-01-20 | Nichia Chem Ind Ltd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and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
JP2005039264A (en) * | 2003-06-30 | 2005-02-10 | Nichia Chem Ind Ltd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and light emitting device employing it |
JP2010056195A (en) * | 2008-08-27 | 2010-03-11 | Nichia Corp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6255372B2 (en) | 2017-12-27 |
TWI466284B (en) | 2014-12-21 |
KR20180006625A (en) | 2018-01-18 |
JP2020145432A (en) | 2020-09-10 |
KR20120003352A (en) | 2012-01-10 |
CN102315239B (en) | 2016-08-17 |
CN102315239A (en) | 2012-01-11 |
KR101616098B1 (en) | 2016-04-27 |
DE102010060269A1 (en) | 2012-01-05 |
TW201203533A (en) | 2012-01-16 |
JP7001728B2 (en) | 2022-01-20 |
TW201519473A (en) | 2015-05-16 |
TW201203534A (en) | 2012-01-16 |
CN105977272A (en) | 2016-09-28 |
CN105977272B (en) | 2021-01-01 |
KR20160048745A (en) | 2016-05-04 |
JP2016021595A (en) | 2016-02-04 |
TWI533474B (en) | 2016-05-11 |
KR101929867B1 (en) | 2019-03-14 |
TWI446527B (en) | 2014-07-21 |
DE102010060269B4 (en) | 2020-10-01 |
JP2012015480A (en) | 2012-01-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29867B1 (en) | An optoelectronic device | |
JP6679559B2 (en) | Photoelectric element | |
JP5799124B2 (en) | AC drive type light emitting diode | |
TWI387136B (en) | Semiconductor and its forming method and flip-chip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structure | |
US9601674B2 (en) | Light-emitting device | |
KR20100095666A (en) | Light emitting diode chip for high voltage operation and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having the same | |
US8860046B2 (en) | Light-emitting diode device | |
US20080217628A1 (en) | Light emitting device | |
KR20120011174A (en) | Light emitting module and package containing same | |
KR101603773B1 (en) | Light emitting diode having plurality of light emitting cells | |
KR20120124640A (en) | Light emitting diode | |
TWI610464B (en) | Light emitting diode structure | |
KR20220051320A (en) | Light source module and lighting device | |
KR20160002063A (en) | Opto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20150038891A (en) | High efficiency light emitting diod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322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60420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6004807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5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108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60420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60048075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3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07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3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1120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705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7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5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1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7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91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08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7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5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1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7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2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