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131523A - Roof crane apparatus for emergency rescue - Google Patents

Roof crane apparatus for emergency rescu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1523A
KR20160131523A KR1020150064046A KR20150064046A KR20160131523A KR 20160131523 A KR20160131523 A KR 20160131523A KR 1020150064046 A KR1020150064046 A KR 1020150064046A KR 20150064046 A KR20150064046 A KR 20150064046A KR 20160131523 A KR20160131523 A KR 20160131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ire
boom
frame
gu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40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00871B1 (en
Inventor
권동현
Original Assignee
권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동현 filed Critical 권동현
Priority to KR1020150064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871B1/en
Publication of KR20160131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5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871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지붕에 배치되는 프레임 유닛; 프레임 유닛에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와이어가 관통하며, 프레임 유닛에 대하여 정, 역회전 가능한 중심 유닛; 중심 유닛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와이어를 안내하며, 와이어의 단부에 결합되는 구난용의 후크를 포함하는 붐 유닛; 중심 유닛을 정, 역회전 시키도록 중심 유닛과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고, 중심 유닛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유닛; 및 붐 유닛과 중심 유닛의 하부측에 각각 형성되어 와이어를 안내하는 안내 유닛을 포함하며, 붐 유닛은 중심 유닛과 일체로 연동하여 정, 역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긴급 상황에서 구난 활동이 가능한 피난기구 설치 경량화 및 컴팩트화의 구현 또한 가능한 피난기구 지붕 크레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unit disposed on a building roof; A central unit coupled to the frame unit and penetrating the wir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frame unit; A boom unit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entral unit to guide the wire and including a resilient hook coupled to an end of the wire; A driving unit that is formed between the center unit and the frame so as to forward and reverse the center unit and that transmits a driving force to the center unit; And a guide unit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om unit and the central unit for guiding the wire, wherein the boom unit integrally cooperates with the center unit to rotate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vacuable apparatus roof crane apparatus capable of realizing a lightening and compact installation of an evacuation mechanism capable of rescue operation.

Description

피난기구 지붕 크레인 장치{ROOF CRANE APPARATUS FOR EMERGENCY RESCUE}{ROOF CRANE APPARATUS FOR EMERGENCY RESCUE}

본 발명은 피난기구 지붕 크레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긴급 상황에서 구난 활동이 가능한 피난기구, 경량화 및 컴팩트화의 구현 또한 가능한 피난기구 지붕 크레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vacuating apparatus roof crane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vacuating apparatus capable of rescue operation in an emergency situation with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and also to an evacuating apparatus roof crane apparatus capable of realizing weight saving and compacting.

인구 증가와 산업 발전에 따라 도시의 개발도 함께 가속화되며, 이러한 도시의 개발 중에는 다세대 또는 다층의 건축물들을 시공하고 건축하는 것도 포함된다.Urban development accelerates with population growth and industrial development, including the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of multi-generational or multi-storied buildings during the development of these cities.

이러한 다층의 건축물들에는 의무적으로 화재를 포함한 비상 상황시 탈출 경로를 확보하고, 건축물의 거주자들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시설들이 구비되어야 한다.These multi-storey buildings must be equipped with facilities to ensure escape routes in case of an emergency, including fire, and to allow residents of buildings to evacuate safely.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발명된 것으로, 공개특허 제10-2005-0075354호의 "대피 시스템 및 방법"과, 공개특허 제10-2007-0024457호의 "고층 소방, 구조 및 건설 장비" 등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vacuation system and method"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05-0075354 and the "high-level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of Japanese Laid-Open Patent Application No. 10-2007-0024457 .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들은 대규모에 수십층 이상의 초고층 빌딩 등과 같은 건축물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피난기구가 개발되어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피난기구의 설치시 지붕크레인이 필수로 필요한 장비들이다However, these prior arts have developed a new evacuation mechanism that can be applied to a building such as a skyscraper of a large scale, such as a large number of skyscrapers, and a roof crane is indispensable equipment for installing an evacuation mechanism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특히, 이러한 선행기술들은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초기 설치 비용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시공에도 많은 시간이 소용되며, 사후 관리에도 많은 시간과 비용 및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Particularly, these prior arts are complicated in configuration, require a large initial installation cost, spend a lot of time in construction, and require a lot of time, cost, and manpower in post-maintenance.

공개특허 제10-2005-0075354호Publishe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2005-0075354 공개특허 제10-2007-0024457호Published Patent No. 10-2007-002445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긴급 상황에서 구난 활동이 가능하며, 경량화 및 컴팩트화의 구현 또한 가능한 피난기구 지붕 크레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rane apparatus for a crane of an evacuation apparatus which is capable of rescue operation in an emergency situation with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and is also lightweight and compac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난기구 지붕에 배치되는 프레임 유닛; 상기 프레임 유닛에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와이어가 관통하며, 상기 프레임 유닛에 대하여 정, 역회전 가능한 중심 유닛; 상기 중심 유닛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를 안내하며,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결합되는 구난용의 후크를 포함하는 붐 유닛; 상기 중심 유닛을 정, 역회전 시키도록 상기 중심 유닛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중심 유닛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유닛; 및 상기 붐 유닛과 상기 중심 유닛의 하부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를 안내하는 안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붐 유닛은 상기 중심 유닛과 일체로 연동하여 정, 역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기구 지붕 크레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binet comprising: a frame unit disposed on a roof of an evacuation apparatus; A central unit coupled to the frame unit and penetrating the wire in an up and down direction, and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frame unit; A boom unit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center unit to guide the wire, and a rescue hook coupled to an end of the wire; A driving unit which is formed between the central unit and the frame so as to forward and reverse the central unit, and which transmits a driving force to the central unit; And a guide unit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om unit and the central unit and guiding the wire, wherein the boom unit integrally cooperates with the center unit to rotate forward and backward, A crane device can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프레임 유닛은, 상기 구동 유닛이 수용되고, 상기 중심 유닛이 배치되는 프레임 본체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중심 유닛의 상부측을 360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rame unit includes a frame body in which the drive unit is accommodated and in which the center unit is disposed and a support frame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frame body and supporting the upper side of the center unit so as to be rotatable 360 degrees .

이때, 상기 중심 유닛은,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양분되어 상호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분할 격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분할 격편이 상호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와이어가 관통되는 와이어 통로를 형성하는 양단 관통인 중심 지지관과, 상기 와이어 통로의 상, 하단부 내주면을 따라 각각 라운드지고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내 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center unit is composed of a pair of split pieces mutually desorbed and bon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air of split pieces are mutually coupled to form a wire passage through which the wire passes, And a guide slop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wire passage so as to be rounded and inclined,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붐 유닛은, 상기 중심 유닛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중심 유닛과 직교를 이루는 붐 대와, 상기 안내 유닛에 의해 안내되며 단부에 상기 후크가 결합되는 상기 와이어가 노출되는 상기 붐 대의 일단부에 대하여, 상기 붐 대의 타단부 하부측에 결합되고 갯수의 가감에 따른 무게 조절이 가능한 중량체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om unit includes a boom frame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center unit and orthogonal to the center unit, and a boom frame guided by the guide unit, And a weight assem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other end of the boom frame and capable of adjusting the weight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boom.

그리고,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중심 유닛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웜 휠과, 상기 웜 휠과 맞물리는 웜이 외주면에 구비된 웜 축과, 상기 웜 축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웜 축을 정, 역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iving unit includes a worm wheel formed along an outer surface of the center unit, a worm shaft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orm engaged with the worm wheel, and a worm shaft coupled to an end of the worm shaft, And an actuator for driving the actuator.

그리고, 상기 안내 유닛은, 상기 붐 유닛의 일단부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후크가 결합된 상기 와이어의 출입을 안내하도록 상기 와이어에 구름 접촉하는 것으로, 상기 붐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상부 안내 도르레 어셈블리와, 상기 중심 유닛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중심 유닛의 하단부를 통해 상기 붐 유닛으로 안내되는 상기 와이어를 네 방향에서 지지하며 구름 접촉하는 하부 안내 4면도르레 어셈블리와, 상기 하부 안내 도르레 어셈블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 유닛에 수용되며, 상기 와이어를 권취 또는 권취 해제하는 윈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uide unit includes a pair of upper guiding drill assemblie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om unit and rolling contact with the wires so as to guide entrance and exit of the wire exposed from one end of the boom unit and coupled with the hook, A lower guide four-sided pulley assembly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central unit and rolling contact with the wire guided to the boom unit through a lower end of the central unit in four directions, And a winch accommodated in the frame unit for winding or unwinding the wire.

또한, 상기 하부 안내 도르레 어셈블리는, 상기 중심 유닛의 하단부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가 중심부를 관통하는 도르레 하우징과, 상기 도르레 하우징의 상호 대향하는 제1, 2 면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축과, 상기 한 쌍의 제1 축에 각각 결합되어 외주면이 각각 상기 와이어의 양측에 구름 접촉하는 제1 접촉 도르레와, 상기 도르레 하우징의 상호 대향하는 제3, 4면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축과 직교를 이루며, 상기 한 쌍의 제1 축 각각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축과, 상기 한 쌍의 제2 축에 각각 결합되어 외주면이 각각 상기 와이어의 양측에 구름 접촉하는 제2 접촉 도르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wer guide pulley assembly includes a pulley housing disposed below the lower end of the center unit and passing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pulley, and a pair of first and second opposed first and second faces of the pulley housing, A first contact wheel coupled to the pair of first shafts and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rolling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wire respectively; A pair of second shafts orthogonal to the pair of first shafts and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r a lower portion of each of the pair of first shafts a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coupled to the pair of second shafts, And a second contact wheel in rolling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wire.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achieved.

우선, 본 발명은 프레임 유닛에 붐 유닛과 구동 유닛 및 안내 유닛을 구비한 중심 유닛이 장착되고, 와이어는 중심 유닛 및 붐 유닛을 통하여 안내 유닛에 의해 안내되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부터 긴급 상황에서 구난 활동이 가능하게 된다.First of all,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in which a frame unit is equipped with a central unit having a boom unit, a drive unit and a guide unit, and the wire is guided by the guide unit through the central unit and the boom unit, .

특히,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장치의 기능 및 구현이 가능하게 되므로, 비교적 소규모의 영세한 자본으로 건축된 대부분의 빌딩과 같은 건축물의 외부 벽면에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function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device with the relatively simpl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so that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outer wall surface of a building, such as a building, which is constructed with relatively small-scale small capital.

그리고, 본 발명은 프레임 유닛을 구성함에 있어서, 구동 유닛이 수용되고 중심 유닛이 배치되는 프레임 본체와, 프레임 본체의 상단부에 연장되어 중심 유닛의 상부측을 360도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구조로부터 진동이나 태풍 등 외부 충격으로부터 장치 전체의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구조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body which constitutes a frame unit, in which a drive unit is accommodated and a central unit is arranged, and a support frame which extends to the upper end of the frame body and supports the upper side of the center unit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tructural strength while maintaining the durability of the entire device from external impact such as vibration or typhoon.

그리고, 본 발명은 중심 유닛을 구성함에 있어서, 길이 방향을 따라 양분되는 한 쌍의 분할 격편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와이어 통로를 형성한 양단 관통인 중심 지지관을 포함함으로써, 조립 및 체결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construction of the center unit, the center support tube is formed with a pair of split portions di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both ends through which the wire passage is formed, thereby facilitating assembly and fastening .

그리고, 본 발명은 중심 유닛을 구성함에 있어서, 중심 지지관의 양단부인 와이어 통로의 상, 하 양단부에 라운드지고 경사지게 형성된 안내 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와이어 통로를 관통하는 와이어의 마모를 방지하고 내구 연한을 높일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constructing the center unit, rounded and inclined guiding slopes ar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wire passage as both ends of the center support tube, thereby preventing the wire passing through the wire passage from being abraded, .

그리고, 본 발명은 붐 유닛을 구성함에 있어서, 중심 유닛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중심 유닛과 직교를 이루는 붐 대와, 붐 대의 타단부에 구비된 중량체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구조로부터, 구조 작업을 진행함에 있어서 중심 유닛이 전도되거나 하는 불상사를 중량체 어셈블리를 통하여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Further, in the construction of the boom unit, from the structure including the boom stand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enter unit and orthogonal to the center unit, and the weight assembly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boom stand,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entral unit from being turned on or off through the weight assembly.

그리고, 본 발명은 구동 유닛을 구성함에 있어서, 중심 유닛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웜 휠과, 이러한 웜 휠에 맞물리는 웜이 외주면에 구비된 웜 축과, 웜 축을 정, 역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구조로부터, 기존의 일반적인 기어 어셈블리에 비하여, 설치 공간을 크게 차지하지 않는 웜 휠과 웜 축에 조합에 따른 장치 전체의 경량화 및 컴팩트화의 구현 또한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riving unit comprising a worm wheel formed along an outer surface of a central unit, a worm shaft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worm engaged with the worm wheel, and an actuator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weight reduction and the compactness of the entire apparatus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worm wheel and the worm shaft which do not occupy a large installation space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general gear assembly.

또한, 본 발명은 안내 유닛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 하부 안내 4면도르레 어셈블리와 함께 윈치를 포함하는 구조로부터 와이어가 꼬이거나 하는 불상사를 미연에 방지하여 와이어의 원활한 안내를 도모함으로써 순조로운 구난 작업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uiding unit comprising: an upper and a lower guiding four-sided pulley assemblies together with a winch to prevent a twisted wire from being twisted from a structure including a winch, You can help.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기구 지붕 크레인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기구 지붕 크레인 장치의 주요부인 붐 유닛과 구동 유닛 및 안내 유닛이 구비된 중심 유닛이 프레임 유닛에 장착된 부분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기구 지붕 크레인 장치의 주요부인 중심 유닛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기구 지붕 크레인 장치의 주요부인 붐 유닛을 구성하는 중량체 어셈블리의 일부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도면 이해의 편의상 중량 블록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의 A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기구 지붕 크레인 장치의 주요부인 안내 유닛을 구성하는 하부 안내 4면도르레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평면 개념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n evacuating apparatus roof cran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om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an evacuable apparatus roof cran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entral unit including a drive unit and a guide unit,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central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a crane apparatus for an evacu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 structural view of a weight assembly constituting a boom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a crane apparatus for a roof c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lower guide four-sided pulley assembly constituting a guiding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a crane apparatus for an evacu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by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other forms.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oroughly disclosed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Thus, in some embodiments, well known components, well 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an undesirable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and the terms (mentioned) used herein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embodiments and not to limit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s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he constituents and acts referred to as " comprising (or having) "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nstituents and actions .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they are defin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기구 지붕 크레인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기구 지붕 크레인 장치의 주요부인 붐 유닛과 구동 유닛 및 안내 유닛이 구비된 중심 유닛이 프레임 유닛에 장착된 부분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verall structure of an evacuable apparatus roof cran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om unit and a driving unit, which are a main part of an evacuating apparatus roof cran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center unit provided with the guide unit is enlarged and shown around the portion where the center unit is mounted to the frame unit.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기구 지붕 크레인 장치의 주요부인 중심 유닛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center unit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crane apparatus for the evacu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기구 지붕 크레인 장치의 주요부인 붐 유닛을 구성하는 중량체 어셈블리의 일부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도면 이해의 편의상 중량 블록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4 is a view showing a partial structure of a weight assembly constituting a boom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a crane apparatus for a roof of an evacu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또한, 도 5는 도 2의 A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기구 지붕 크레인 장치의 주요부인 안내 유닛을 구성하는 하부 안내 4면도르레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평면 개념도이다.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lower guide four-sided pulley assembly constituting a guiding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a crane apparatus for an evacu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참고로, 도 1에서 미설명 부호로 700은 피난기구 상,하 운행 사다리형 레일이다For reference, in FIG. 1, reference numeral 700 denotes an escapement mechanism and a lower ladder type rail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유닛(100)에 붐 유닛(300)과 구동 유닛(400) 및 안내 유닛(500)이 구비된 중심 유닛(200)이 장착되고, 와이어(600)는 중심 유닛(200) 및 붐 유닛(300)을 통하여 안내 유닛(500)에 의해 안내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ame unit 100 is mounted with a central unit 200 equipped with a boom unit 300, a drive unit 400 and a guide unit 500, 200 and the boom unit 300. In this case,

프레임 유닛(100)은 피난기구 지붕에 배치되는 것으로, 후술할 중심 유닛(200) 등이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frame unit 100 is disposed on the roof of the evacuation apparatus, and provides a space for mounting the center unit 200 and the like to be described later, and maintains the structural strength.

중심 유닛(200)은 프레임 유닛(100)에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와이어(600)가 관통하며, 프레임 유닛(100)에 대하여 정, 역회전 가능한 것으로, 후술할 붐 유닛(300)을 받침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central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frame unit 100 and penetrates the wire 60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frame unit 100 so as to support the boom unit 300 .

붐 유닛(300)은 중심 유닛(20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와이어(600)를 안내하며, 와이어(600)의 단부에 결합되는 구난용의 후크(301)를 포함하는 것이다.The boom unit 300 includes a rescue hook 301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center unit 200 to guide the wire 600 and to be coupled to an end of the wire 600.

구동 유닛(400)은 중심 유닛(200)을 정, 역회전 시키도록 중심 유닛(200)과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고, 중심 유닛(20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이다.The drive unit 400 is formed between the center unit 200 and the frame so as to forward and reverse the center unit 200 and transmits driving force to the center unit 200.

안내 유닛(500)은 붐 유닛(300)과 중심 유닛(200)의 하부측에 각각 형성되어 와이어(600)를 안내하는 것이다.The guide unit 500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om unit 300 and the central unit 200 to guide the wire 600.

여기서, 붐 유닛(300)은 중심 유닛(200)과 일체로 연동하여 정, 역회전하게 된다.Here, the boom unit 300 cooperates integrally with the center unit 200 to rotate forward and backward.

따라서, 본 발명은 프레임 유닛(100)에 붐 유닛(300)과 구동 유닛(400) 및 안내 유닛(500)을 구비한 중심 유닛(200)이 장착되고, 와이어(600)는 중심 유닛(200) 및 붐 유닛(300)을 통하여 안내 유닛(500)에 의해 안내되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부터 긴급 상황에서 피난기구 설치 활동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ame unit 100 is mounted with the central unit 200 having the boom unit 300, the drive unit 400 and the guide unit 500, and the wire 600 is mounted on the center unit 200, And from the relatively simple structure guided by the guide unit 500 through the boom unit 300, the evacuator installation operation in an emergency situation becomes possible.

특히,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장치의 기능 및 구현이 가능하게 되며 대부분의 빌딩과 같은 건축물의 외 벽면에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function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apparatus with the relatively simpl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outer wall surface of a building such as most building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also applicable.

우선, 프레임 유닛(100)은 구동 유닛(400)이 수용되고, 중심 유닛(200)이 배치되는 프레임 본체(110)와, 프레임 본체(110)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중심 유닛(200)의 상부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20)을 포함하는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다.The frame unit 100 includes a frame body 110 in which the drive unit 400 is accommodated and in which the center unit 200 is disposed and a frame body 110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frame body 110, And a support frame 120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support frame 120.

이와 같은 프레임 유닛(100)의 구조는 진동이나 태풍 등 외부 충격으로부터 장치 전체의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구조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 structure of such a frame unit 100 can maintain the structural strength while maintaining the durability of the entire apparatus from external impact such as vibration or typhoon.

여기서, 본 발명은 프레임 유닛(100)에 후술할 중심 유닛(200)의 회전 지지가 가능하도록, 지지 프레임(12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프레임 본체(110)에 수용되는 지지대(130)와, 중심 유닛(200)의 회전 지지가 가능하도록 지지대(13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어 중심 유닛(200)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브라켓(14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rame unit 100 includes a support base 130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120 and received in the frame body 110 so as to be rotatably supported by the center unit 200, The supporting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upporting brackets 140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upporting unit 130 to support the center unit 200 so that the unit 200 can be rotatably supported.

한편, 중심 유닛(200)은 도 1 및 도 2와 함께 도 3을 참조로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양분되어 상호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분할 격편(211, 212)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분할 격편(211, 212)이 상호 결합되어 내부에 와이어(600)가 관통되는 와이어(600) 통로를 형성하는 양단 관통인 중심 지지관(210)을 포함하여, 조립 및 체결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3, the central unit 200 includes a pair of partition pieces 211 and 212 which are mutually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center support tube 210 which passes through both ends to form a passage 600 of the wire 600 through which the pair of divisional ribs 211 and 212 are coupled to each other, .

그리고, 중심 유닛(200)은 와이어(600) 통로의 상, 하단부 내주면을 따라 각각 라운드지고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내 사면(220)을 포함하여, 와이어(600) 통로를 관통하는 와이어(600)의 마모를 방지하고 내구 연한을 높일 수 있게 된다.The center unit 200 includes a guide slope 220 which is rounded and slop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assage 600 of the wire 600 so as to reduce the wear of the wire 600 passing through the passage of the wire 600 And the lifetime can be increased.

한편, 붐 유닛(300)은, 중심 유닛(20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중심 유닛(200)과 직교를 이루는 붐 대(310)와, 안내 유닛(500)에 의해 안내되며 단부에 후크(301)가 결합되는 와이어(600)가 노출되는 붐 대(310)의 일단부에 대하여, 붐 대(310)의 타단부 하부측에 결합되고 갯수의 가감에 따른 무게 조절이 가능한 중량체 어셈블리(320)를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The boom unit 300 includes a boom frame 310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central unit 200 and orthogonal to the central unit 200 and a boom frame 310 guided by the guide unit 500, A weight assembly 320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other end of the boom bar 310 and adjustable in weight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wobbles 31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oom bar 310,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embodiment including a structure.

이러한, 중량체 어셈블리(320)가 구비된 붐 대(310)를 포함하는 붐 유닛(300)의 구성은 구조 작업을 진행함에 있어서 중심 유닛(200)이 전도되거나 하는 불상사를 중량체 어셈블리(320)를 통하여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construction of the boom unit 300 including the boom frame 310 with the weight assembly 320 is similar to that of the weight assembly 320 in the construction work, So that i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이러한, 중량체 어셈블리(320)는 도 2와 함께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지지봉(321)과 받침편(322)과 중량 블록(323) 및 고정 브라켓(33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2, the weight assembly 320 includes a support bar 321, a support piece 322, a weight block 323, and a fixing bracket 330 .

지지봉(321)은 붐 유닛(300)의 타단부 하측에 구비되는 일정 길이의 부재이다.The support bar 321 is a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provided below the other end of the boom unit 300.

받침편(322)은 중심부가 지지봉(321)의 하단부와 결합되는 일정 면적의 부재이다.The support piece 322 is a member having a constant area where the center portion is engaged with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upport rod 321.

중량 블록(323)은 받침편(322)에 복수로 다단 적층되어 안착 고정될 수 있으며, 중심부로부터 일측 가장자리까지 절개홈(323s)이 각각 형성되고, 절개홈(323s)의 내측 단부에 지지봉(321)이 관통 배치되는 것이다.The weight block 323 is stacked on the support piece 322 in a plurality of stages so as to be able to be seated and fixed and has a cutout groove 323s extending from the central portion to one side edge thereof and a support bar 321 .

고정 브라켓(330)은 상단부는 받침편(322)에 안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량 블록(323)의 상면에 고정되고, 하단부는 받침편(322)의 저면에 고정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것으로, 중량 블록(323)들이 받침편(32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The upper end of the fixing bracket 33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at least one weight block 323 that is seated on the support piece 322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fixing bracket 330 is retrac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b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iece 322, So that the blocks 323 are fixed so as not to be detached from the support pieces 322. [

이러한, 고정 브라켓(330)은 도 4를 참조하면, 상, 하부 고정편(331, 332)과 제1 안내편(333, 333)과, 제2 안내편(334, 334)과 스프링(335)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4, the fixing bracket 330 includes upper and lower fixing pieces 331 and 332 and first and second guide pieces 333 and 333 and second guide pieces 334 and 334 and a spring 335, As shown in FIG.

상부 고정편(331)은 중량 블록(323)의 상면에 접촉되는 것으로, 고정 브라켓(330)의 상단부를 구성하는 것이다.The upper fixing piece 331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weight block 323 and constitutes the upper end of the fixing bracket 330.

하부 고정편(332)은 받침편(322)의 저면에 접촉되는 것으로, 고정 브라켓(330)의 하단부를 구성하는 것이다.The lower fixing piece 332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iece 322 and constitutes a lower end portion of the fixing bracket 330.

제1 안내편(333, 333)은 상부 고정편(331)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부 고정편(332)을 향하여 연장되는 한 쌍의 부재이다.The first guide pieces 333 and 333 are a pair of members extending from the edge of the upper fixing piece 331 toward the lower fixing piece 332.

제2 안내편(334, 334)은 하부 고정편(332)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부 고정편(331)을 향하여 연장되고, 한 쌍의 제1 안내편(333, 333) 각각의 외면을 수용하는 한 쌍의 부재이다.The second guide pieces 334 and 334 extend from the edge of the lower fixture piece 332 toward the upper fixture piece 331 and are provided with a pair of pairs of first guide pieces 333 and 333 .

스프링(335)은 상부 고정편(331)의 저면과 하부 고정편(332)의 상면에 양단부가 각각 고정되고, 한 쌍의 제1 안내편(333, 333)과, 한 쌍의 제2 안내편(334, 334) 사이에 배치되어 신축 및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것이다.The spring 335 has both end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fixing piece 33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ixing piece 332 and has a pair of first guide pieces 333 and 333, (334, 334) to permit stretching and elastic deformation.

따라서, 작업자는 상부 고정편(331)을 받침편(322) 상측에 적층된 중량 블록(323)의 상면에 접촉시키거나, 하부 고정편(332)을 받침편(322) 저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 하부 고정편(331, 332)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스프링(335)을 신장시켜 고정 브라켓(330)의 상, 하 양단부 사이의 거리를 늘여서 고정의 편의를 도모한다.Therefore, the operator can easily adjust the weight of the weight block 323 in a state where the upper fixing piece 33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weight block 323 stack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ceiving piece 322 or the lower fixing piece 332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piece 322 The spring 335 is extend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fixing pieces 331 and 332 are moved away from each other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xing bracket 330 is increased.

이후, 작업자가 신장시킨 스프링(335)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상, 하부 고정편(331, 332)이 각각 중량 블록(323)의 상면 및 받침편(322)의 저면에 고정됨으로써 받침편(322)에 적층된 복수의 중량 블록(323)들은 이탈이 방지될 수 있을 것이다.The upper and lower fixing pieces 331 and 332 ar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eight block 323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piece 322 by the force of the operator applied to the spring 335, The plurality of weight blocks 323 stacked on the weight blocks 323 may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한편, 구동 유닛(400)은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심 유닛(200)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웜 휠(410)과, 웜 휠(410)과 맞물리는 웜(421)이 외주면에 구비된 웜 축(420)과, 웜 축(420)의 단부에 결합되어 웜 축(420)을 정, 역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이하 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2, the drive unit 400 includes a worm wheel 410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er unit 200 and a worm 421 engaged with the worm wheel 410. The worm wheel 410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worm wheel 410, And an actuator (not shown) coupled to the end of the worm shaft 420 to rotate the worm shaft 420 forward and backward.

이러한 구동 유닛(400)의 구성은 기존의 일반적인 기어 어셈블리에 비하여, 설치 공간을 크게 차지하지 않는 웜 휠(410)과 웜 축(420)에 조합을 채택하고 있으므로, 이에 따른 장치 전체의 경량화 및 컴팩트화의 구현 또한 가능하게 된다.Since the drive unit 400 has a worm wheel 410 and a worm shaft 420 which are not used in a large installation space in comparison with a conventional gear assembly,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an application.

한편, 안내 유닛(500)은 도 1과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 하부 안내 4면도르레 어셈블리(510, 520)와 윈치(53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1, 2 and 5, the guiding unit 500 is a structure including upper and lower guiding four-sided pulley assemblies 510 and 520 and a winch 530. [

상부 안내 도르레 어셈블리(510)는 붐 유닛(300)의 일단부로부터 노출되어 후크(301)가 결합된 와이어(600)의 출입을 안내하도록 와이어(600)에 구름 접촉하는 것으로, 붐 유닛(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이다.The upper guide pulley assembly 510 is exposed from one end of the boom unit 300 and comes into rolling contact with the wire 600 so as to guide the hook 600 into and out of the hook 301, As shown in Fig.

하부 안내 4면도르레 어셈블리(520)는 중심 유닛(200)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중심 유닛(200)의 하단부를 통해 붐 유닛(300)으로 안내되는 와이어(600)를 네 방향에서 지지하며 구름 접촉하는 것이다.The lower guide four-sided pulley assembly 520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center unit 200 and supports the wire 600 guided to the boom unit 300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center unit 200 in four directions, .

윈치(530)는 하부 안내 4면도르레 어셈블리(520)의 하부에 배치되어 프레임 유닛(100)에 수용되며, 구동력으로 와이어(600)를 권취 또는 권취 해제하는 것이다.The winch 530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guide four-sided pulley assembly 520 and is accommodated in the frame unit 100 and is used to wind or unwind the wire 600 with driving force.

이러한 안내 유닛(500)의 구성은 와이어(600)가 꼬이거나 하는 불상사를 미연에 방지하여 와이어(600)의 원활한 안내를 도모함으로써 순조로운 피난기구 설치 작업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Such a configuration of the guide unit 500 can help smooth work of installing the evacuation apparatus by preventing the wire 600 from being twisted and preventing the wire 600 from being smoothly guided.

상부 안내 도르레 어셈블리(510)는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크게 제1 안내 도르레(511)와 제2 안내 도르레(512)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upper guide pulley assembly 510 includes a first guide pulley 511 and a second guide pulley 512.

제1 안내 도르레(511)는 중심 유닛(200)을 상하로 관통하는 와이어(600) 통로의 상측에 배치되어 붐 유닛(3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와이어(600)와 구름 접촉하는 것이다.The first guide pulley 511 is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passage 600 of the wire 600 passing through the central unit 200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om unit 300 and i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wire 600.

제2 안내 도르레(512)는 제1 안내 도르레(511)에 안내되는 와이어(600)를 안내하여 붐 유닛(300)의 일단부로 노출시키도록, 붐 유닛(300)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와이어(600)와 구름 접촉하는 것이다.The second guide pulley 512 is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boom unit 300 so as to guide the wire 600 guided to the first guide pulley 511 and to expose the wire 600 to one end of the boom unit 300. [ And i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wire 600.

한편, 하부 안내 4면도르레 어셈블리(520)는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르레 하우징(521)에 제1 축(522, 522)과 제1 접촉 도르레(523, 523)와 제2 축(524, 524) 및 제2 접촉 도르레(525, 525)가 수용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5, the lower guide four-sided pulley assembly 520 includes first and second shafts 522 and 522 and first contact pulleys 523 and 523 and a second shaft 522 and 523 on the pulley housing 521,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second contact pulleys 524 and 524 and the second contact pulleys 525 and 525 are housed.

도르레 하우징(521)은 중심 유닛(200), 즉 중심 지지관(210)의 하단부 하측에 배치되며 와이어(600)가 중심부를 관통하는 것이다.The pulley housing 521 is disposed below the center unit 200,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center support tube 210, and the wire 600 penetrates the center portion.

한 쌍의 제1 축(522, 522)은 도르레 하우징(521)의 상호 대향하는 제1, 2 면(521a, 521b)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것이다.The pair of first shafts 522 and 522 are coupled to the opposite first and second surfaces 521a and 521b of the dowel housing 521, respectively.

제1 접촉 도르레(523, 523)는 한 쌍의 제1 축(522, 522)에 각각 결합되어 외주면이 각각 와이어(600)의 양측에 구름 접촉하는 것이다.The first contact pulleys 523 and 523 are coupled to the pair of first shafts 522 and 522, respectively, so th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first contact pulleys 523 and 523 ar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both sides of the wire 600.

한 쌍의 제2 축(524, 524)은 도르레 하우징(521)의 상호 대향하는 제3, 4면(521c, 521d)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한 쌍의 제1 축(522, 522)과 직교를 이루며, 한 쌍의 제1 축(522, 522) 각각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다.The pair of second shafts 524 and 524 are connected to the third and fourth surfaces 521c and 521d of the dowel housing 521 which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are connected to a pair of first shafts 522 and 522, And i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r a lower portion of each of the pair of first shafts 522 and 522.

제2 접촉 도르레(525, 525)는 한 쌍의 제2 축(524, 524)에 각각 결합되어 외주면이 각각 와이어(600)의 양측에 구름 접촉하는 것이다.The second contact pulleys 525 and 525 are coupled to the pair of second shafts 524 and 524, respectively,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thereof ar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both sides of the wire 600.

여기서, 제1 접촉 도르레(523, 523)는 한 쌍의 제1 축(522, 522)과 일체로 회전하며, 제2 접촉 도르레(525, 525)는 한 쌍의 제2 축(524, 524)과 일체로 회전한다.The first contact pulleys 523 and 523 rotate integrally with the pair of first shafts 522 and 522 and the second contact pulleys 525 and 525 rotate together with the pair of second shafts 524 and 524, As shown in FIG.

즉, 하부 안내 4면도르레 어셈블리(520)의 전술한 구조는 상부 안내 도르레 어셈블리(510)와 함께 와이어(600)가 중심 유닛(200)을 거쳐 붐 유닛(300)을 통하여 안내됨에 있어서 꼬이거나 걸리는 일이 없이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That is,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of the lower guide four-sided pulley assembly 52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wire 600 together with the upper guide pulley assembly 510 is guided through the central unit 200, through the boom unit 300, It is a technical means to ensure smooth guidance without any work.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피난기구 설치 활동이 가능하며, 경량화 및 컴팩트화의 구현 또한 가능한 피난기구 지붕 크레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t is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 technical idea to provide an evacuating apparatus roof crane apparatus which is capable of installing the evacuator with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and is also capable of realizing weight reduction and compactness.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other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프레임 유닛
110...프레임 본체
120...지지 프레임
130...지지대
140...지지 브라켓
200...중심 유닛
210...중심 지지관
211, 212...분할 격편
220...안내 사면
300...붐 유닛
301...후크
310...붐 대
320...중량체 어셈블리
321...지지봉
322...받침편
323...중량 블록
323s...절개홈
330...고정 브라켓
331...상부 고정편
332...하부 고정편
333, 333...제1 안내편
334, 334...제2 안내편
335...스프링
400...구동 유닛
410...웜 휠
420...웜 축
421...웜
500...안내 유닛
510...상부 안내 도르레 어셈블리
511...제1 안내 도르레
512...제2 안내 도르레
520...하부 안내 도르레 어셈블리
521...도르레 하우징
521a, 521b...제1, 2 면
521c, 521d...제3, 4 면
522, 522...제1 축
523, 523...제1 접촉 도르레
524, 524...제2 축
525, 525...제2 접촉 도르레
530...윈치
600...와이어
700...접근용 사다리
100 ... frame unit
110 ... frame body
120 ... support frame
130 ... support
140 ... support bracket
200 ... central unit
210 ... center support tube
211, 212 ... divisional features
220 ... guide slope
300 ... boom unit
301 ... hook
310 ... Boom stand
320 ... weight assembly
321 ... supporting rod
322 ... pedestal
323 ... weight block
323s ... incision home
330 ... fixed bracket
331 ... upper fixing piece
332 ... lower fixing piece
333, 333 ... the first guide piece
334, 334 ... second guide
335 ... spring
400 ... drive unit
410 ... Worm wheel
420 ... Worm shaft
421 ... worm
500 ... guide unit
510 ... upper guide pulley assembly
511 ... 1st guide pulley
512 ... 2nd guide pulley
520 ... Lower guide pulley assembly
521 ... Dorere housing
521a, 521b ... first and second surfaces
521c, 521d ... third and fourth sides
522, 522 ... 1st axis
523, 523 ... first contact pulley
524, 524 ... 2nd axis
525, 525 ... second contact pulley
530 ... winch
600 ... wire
700 ... Access ladder

Claims (7)

피난기구 지붕에 배치되는 프레임 유닛;
상기 프레임 유닛에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와이어가 관통하며, 상기 프레임 유닛에 대하여 정, 역회전 가능한 중심 유닛;
상기 중심 유닛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를 안내하며,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결합되는 구난용의 후크를 포함하는 붐 유닛;
상기 중심 유닛을 정, 역회전 시키도록 상기 중심 유닛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중심 유닛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유닛; 및
상기 붐 유닛과 상기 중심 유닛의 하부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를 안내하는 안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붐 유닛은 상기 중심 유닛과 일체로 연동하여 정, 역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기구 지붕 크레인 장치.
A frame unit disposed on the roof of the evacuation apparatus;
A central unit coupled to the frame unit and penetrating the wire in an up and down direction, and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frame unit;
A boom unit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center unit to guide the wire, and a rescue hook coupled to an end of the wire;
A driving unit which is formed between the central unit and the frame so as to forward and reverse the central unit, and which transmits a driving force to the central unit; And
And a guide unit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om unit and the center unit and guiding the wire,
Wherein the boom unit integrally cooperates with the center unit to rotate forward and backwar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유닛은,
상기 구동 유닛이 수용되고, 상기 중심 유닛이 배치되는 프레임 본체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중심 유닛의 상부측을 360도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기구 지붕 크레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ame unit includes:
A frame body in which the drive unit is accommodated and in which the center unit is disposed,
And a support frame extending from an upper end of the frame body and capable of supporting the upper side of the center unit 360 degrees before rot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심 유닛은,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양분되어 상호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분할 격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분할 격편이 상호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와이어가 관통되는 와이어 통로를 형성하는 양단 관통인 중심 지지관과,
상기 와이어 통로의 상, 하단부 내주면을 따라 각각 라운드지고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내 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기구 지붕 크레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entral unit includes:
A center support tube having a pair of split portions mutually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pair of split split members being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wire passage through which the wire penetrates,
And a guide slop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wire passage so as to be rounded and inclined, respective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붐 유닛은,
상기 중심 유닛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중심 유닛과 직교를 이루는 붐 대와,
상기 안내 유닛에 의해 안내되며 단부에 상기 후크가 결합되는 상기 와이어가 노출되는 상기 붐 대의 일단부에 대하여, 상기 붐 대의 타단부 하부측에 결합되고 갯수의 가감에 따른 무게 조절이 가능한 중량체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기구 지붕 크레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om unit includes:
A boom band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central unit and orthogonal to the central unit,
A weight assembly which is guided by the guide unit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boom frame on the side of the end of the boom frame to which the hook is exposed and to which the hook is exposed, Wherein the roof crane device compris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중심 유닛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웜 휠과,
상기 웜 휠과 맞물리는 웜이 외주면에 구비된 웜 축과,
상기 웜 축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웜 축을 정, 역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기구 지붕 크레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unit includes:
A worm wheel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ral unit,
A worm shaft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orm engaged with the worm wheel,
And an actuator coupled to an end of the worm shaft for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worm shaf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 유닛은,
상기 붐 유닛의 일단부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후크가 결합된 상기 와이어의 출입을 안내하도록 상기 와이어에 구름 접촉하는 것으로, 상기 붐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상부 안내 도르레 어셈블리와,
상기 중심 유닛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중심 유닛의 하단부를 통해 상기 붐 유닛으로 안내되는 상기 와이어를 네 방향에서 지지하며 구름 접촉하는 하부 안내 4면도르레 어셈블리와,
상기 하부 안내 4면도르레 어셈블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 유닛에 수용되며, 상기 와이어를 권취 또는 권취 해제하는 윈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기구 지붕 크레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unit includes:
An upper guide pulley assembly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om unit, the upper guide pulley assembly being in rolling contact with the wire exposed from one end of the boom unit and guiding the entry /
A lower guide four-sided dolly assembly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center unit and supporting the wire guided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center unit to the boom unit in four directions and rolling in contact therewith;
And a winch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guide four-sided pulley assembly and received in the frame unit, for winding or unwinding the wir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부 안내 도르레 어셈블리는,
상기 중심 유닛의 하단부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가 중심부를 관통하는 도르레 하우징과,
상기 도르레 하우징의 상호 대향하는 제1, 2 면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축과,
상기 한 쌍의 제1 축에 각각 결합되어 외주면이 각각 상기 와이어의 양측에 구름 접촉하는 제1 접촉 도르레와,
상기 도르레 하우징의 상호 대향하는 제3, 4면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축과 직교를 이루며, 상기 한 쌍의 제1 축 각각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축과,
상기 한 쌍의 제2 축에 각각 결합되어 외주면이 각각 상기 와이어의 양측에 구름 접촉하는 제2 접촉 도르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기구 지붕 크레인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lower guide pulley assembly includes:
A pulley housing disposed below the lower end of the center unit and having the wire passing through the center thereof,
A pair of first shafts having opposite ends coupled to first and second opposite surfaces of the pulley housing,
A first contact wheel coupled to the pair of first shafts and having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in rolling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wire,
And a pair of first and second shafts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pair of first shafts, respectively, the pair of first and second shafts being connected to opposite third and fourth surfaces of the swash plate housing, Axis,
And a second contact wheel coupled to the pair of second shafts and having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in rolling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wire, respectively.
KR1020150064046A 2015-05-07 2015-05-07 Roof crane apparatus for emergency rescue Expired - Fee Related KR1017008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046A KR101700871B1 (en) 2015-05-07 2015-05-07 Roof crane apparatus for emergency rescu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046A KR101700871B1 (en) 2015-05-07 2015-05-07 Roof crane apparatus for emergency resc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523A true KR20160131523A (en) 2016-11-16
KR101700871B1 KR101700871B1 (en) 2017-01-31

Family

ID=57540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046A Expired - Fee Related KR101700871B1 (en) 2015-05-07 2015-05-07 Roof crane apparatus for emergency rescu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087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17961A1 (en) 2016-10-11 2018-04-12 Mando Corporation DEVICE FOR CONTROLLING A VEHICLE AT A CROSSROA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388B1 (en) * 2020-09-28 2022-02-11 이근옥 Apparatus for fire evacuation
WO2023140392A1 (en) * 2022-01-18 2023-07-27 이근옥 Fire evacuation apparatu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2996A (en) * 2003-02-17 2004-09-02 Mitsubishi Heavy Ind Ltd Refuge apparatus between buildings
KR20050075354A (en) 2002-10-08 2005-07-20 이스케이프 레스큐 시스템즈 엘티디. Evacuation systems and methods
KR20070024457A (en) 2003-09-16 2007-03-02 트리스키, 안드레이 그리고리예비치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KR101239990B1 (en) * 2012-08-17 2013-03-07 권동현 Mini crane
KR200475386Y1 (en) * 2014-07-07 2014-12-01 지원산업(주) rotary tilting ji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5354A (en) 2002-10-08 2005-07-20 이스케이프 레스큐 시스템즈 엘티디. Evacuation systems and methods
JP2004242996A (en) * 2003-02-17 2004-09-02 Mitsubishi Heavy Ind Ltd Refuge apparatus between buildings
KR20070024457A (en) 2003-09-16 2007-03-02 트리스키, 안드레이 그리고리예비치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KR101239990B1 (en) * 2012-08-17 2013-03-07 권동현 Mini crane
KR200475386Y1 (en) * 2014-07-07 2014-12-01 지원산업(주) rotary tilting ji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17961A1 (en) 2016-10-11 2018-04-12 Mando Corporation DEVICE FOR CONTROLLING A VEHICLE AT A CROSSROAD
DE102017217961B4 (en) 2016-10-11 2023-05-17 Hl Klemove Corp. DEVICE FOR CONTROLLING A VEHICLE AT AN INTERS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0871B1 (en) 2017-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9963B2 (en) Elevator apparatus and method for arranging drive machine of elevator apparatus
KR101700871B1 (en) Roof crane apparatus for emergency rescue
JP2007099515A (en) Method for mounting support means of lift cage to lift cage and lift shaft
EP3071507B1 (en) Lift assembly with load cells
JP2011069117A (en) Disassembling method of structure
EP2771084B1 (en) Loft block with aligned sheaves
US20130230378A1 (en) Winch apparatus
JP2004338942A (en) Elevator
EP3702314A1 (en) Elevating device for high-elevation installation equipment
JP2648504B2 (en) Linear motor driven elevator
US5127493A (en) Linear motor elevator system
CN110002319A (en) Elevator rope rocks limits device
WO2021141556A1 (en) Innovation in facade access systems
KR101295065B1 (en) Drum moving and Cross wire type non vibration lifting apparatus
KR102746600B1 (en) Batten Lifting Drive with Free Positioning
KR101165786B1 (en) Removable temporary soundproof wall
EP2724970B1 (en) Elevator and method for repairing elevator
JP4786532B2 (en) Elevator with cable-driven cage
KR101177240B1 (en) Safety belt apparatus for ceiling structure and stage setting equipment
KR102688624B1 (en) Billboard lift device of vertical movement type
JP3087894B1 (en) Curtain lifting device
KR20190002665U (en) Elevator
CN218814721U (en) Steel structure crossbeam
KR102508514B1 (en) Self driving emergency escaping apparatus using a cylinder
JP7105723B2 (en) Elevator and Compen rope support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