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4457A -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 Google Patents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24457A KR20070024457A KR1020067007174A KR20067007174A KR20070024457A KR 20070024457 A KR20070024457 A KR 20070024457A KR 1020067007174 A KR1020067007174 A KR 1020067007174A KR 20067007174 A KR20067007174 A KR 20067007174A KR 20070024457 A KR20070024457 A KR 2007002445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vator
- rail
- building
- platform
- cabi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62—Rail-form lifelines for permanent install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Transmitter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고층 건물(2)의 외부에 부착된 레일(1) 위로 진행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레일은 H 형태이고, 엘리베이터를 승강시키기 위해 레일위의 채널위의 진행하는 케이블에 연결된 트롤리(37, 38)를 가진다. 모터(7)는 트롤리에 연결된 케이블(35,36)을 가지는 스풀(9, 10)을 회전시킨다. 엘리베이터는 건물위의 어떤 지점에도 도달할 수 있도록 부착된 텔레스코핑 암(18)을 가진다. 건설 중인 동안 텔레스코핑 암에 부착되는 플랫폼 또는 캐빈(20)은 건물로 자재를 운송할 수 있고 그 후 창문 세척과 같은 유지보수 위해 사용한다. 텔레스코핑 암은 화재시 고층건물에 갇힌 사람을 구조하거나 소방수 또는 소방장비를 이송하기 위한 것과 같은 다른 기능을 위한 여러 가지 부착물을 가질 수 있다.Elevator system for running over rails (1) attached to the exterior of tall buildings (2). The rail is H-shaped and has trolleys 37 and 38 connected to a traveling cable on the channel above the rail to lift the elevator up and down. The motor 7 rotates the spools 9 and 10 with the cables 35 and 36 connected to the trolley. The elevator has a telescoping arm 18 attached to reach any point on the building. The platform or cabin 20 attached to the telescoping arm during construction can transport the material into the building and then use it for maintenance such as window cleaning. Telescoping arms may have various attachments for other functions, such as to rescue a person trapped in a tall building during a fire, or to transport firefighters or fire fighting equipment.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건물의 외부에 부착된 레일 위로 진행하는 승강설비에 관한 것이다. 상기 레일은 두 엘리베이터를 승강시키는 2 케이블을 지지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두 객차, 조합 엘리베이터 및 크레인과 엘리베이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고층구조에서 사용하기 위해 건물 외부에 부착되는 레일위로 진행하는 조합 엘리베이터 및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generally to elevator systems and hoisting equipment that runs over rails attached to the exterior of a building. The rail can support two cables that elevate two elevators. The elevator system can have two carriages, a combination elevator and a crane and an elevator. 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combination elevators and cranes that run on rails attached to the exterior of buildings for use in high-rise structures.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두 객차, 조합 엘리베이터 및 크레인과 엘리베이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레일 시스템과 레일 결합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부분은 동력을 공급하게 될 수 있고, 자체적으로 레일 상하로 구동될 수 있거나 케이블이 엘리베이터를 승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레일 섹션은 레일 섹션 위의 엘리베이터와 더불어 건물에 설치될 수 있고, 다른 레일 섹션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엘리베이터가 선회 암에 의해 레일에 설치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부분은 영구적으로 건물 레일에 부착될 수 있거나, 건물로 이송될 수 있다. 크레인 부분은 또한 건물의 모든 부분에 접근하기 위한 소화 장비를 가질 수 있다. The elevator system can have two carriages, a combination elevator and a crane and an elevator. Other rail systems and rail coupling systems can be used. The elevator portion can be powered and can be driven up and down the rail itself or a cable can be used to elevate the elevator. The rail section can be installed in the building together with the elevator above the rail section and can be connected to another rail section, or the elevator can be installed on the rail by a swing arm. The elevator portion can be permanently attached to the building rail or can be transferred to the building. The crane portion may also have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for accessing all parts of the building.
본 발명은 또한 소방, 긴급구조, 건물 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한 이동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기능하도록 사이에 부착된 복도를 가지는 레일상의 두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two elevators on rails with corridors attached between them to function as a mobile platform for fire fighting, emergency rescue, building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본 발명은 소방 및 구조를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또한 고층 구조의 건설과 유지보수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fire fighting and rescue, and can also be used for th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high-rise structures.
현재 고층 구조의 수직 운송은 계단과 엘리베이터에 제한된다. Currently, vertical transport of high-rise structures is limited to stairs and elevators.
건물의 외부의 소방대원은 소방작업을 하거나, 구조를 시도할 때 사다리가 도달하는 높이 정도에 제한을 받는다. 건물의 건설과 유지보수는 외부 벽과 건물의 지붕으로 접근이 제한된다. 예를 들면 창문 세척은 건물의 최상부로부터 연장되는 로프에 불확실하게 매달려 늘어지는 판자로 제한된다. 건물의 건설은 이와 유사하게 고층 건물의 외부에서 발판에 대한 필요성과 손쉬운 이송의 어려움 및 모든 영역으로부터의 접근성이 제한된다. 어떤 건물에는 건물의 외부에 엘리베이터가 있어 건물의 측면에서 승강하는 우수한 조망효과를 제공한다. 이들은 표준적인 엘리베이터이며, 화재시 사용되지는 않는다. 엘리베이터는 케이블을 가지며, 엘리베이터 부분을 보호하기 위해 건물의 구조 내에 포함된다. 엘리베이터내의 사람들이 건물의 측면을 통하여 볼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의 벽은 통상 유리로 만들어진다. 상기 엘리베이터는 화재시 건물에서 다수의 사람이 빠져나가는데 이용할 수 없고, 소화 또는 건물의 유지보수 또는 건설 공사를 수행에 유용하지 않다. Firefighters outside the building are limited to the height reached by the ladder when fire fighting or attempting rescu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the building is restricted to access to the exterior walls and roof of the building. Window cleaning, for example, is limited to planks that hang indefinitely on ropes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building.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similarly limits the need for scaffolding on the outside of tall buildings, the difficulty of easy transport and access from all areas. Some buildings have elevators on the outside of the building, providing excellent views from the side of the building. These are standard elevators and are not used in fires. The elevator has a cable and is included in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to protect the elevator portion. The walls of the elevator are usually made of glass so that people in the elevator can see through the sides of the building. The elevators are not available for a large number of people to exit the building in the event of fire and are not useful for extinguishing or performing maintenance or construction work on the building.
빌딩의 측면에서 상하로 진행하도록 플랫폼을 지지하는 플랫폼의 측면중 하나에 로프를 사용하는 창문-세탁 플랫폼이 사용된다. 상기 로프는 플랫폼에서 사람이 조작함으로써 작동될 수 있는 전기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배럴에 감긴다. 건물면의 어떤 지점에도 도달할 수 있도록 상승 및 하강할 수 있고 소방, 긴급 구조, 빌딩 유지보수 또는 창문 세척에 사용될 수 있는 건물의 전체 면에 미치는 장치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A window-laundry platform using a rope is used on one of the sides of the platform that supports the platform to run up and down from the side of the building. The rope is rotated and wound around the barrel by an electric motor that can be operated by human manipulation on the platform. There is no device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building that can be raised and lowered to reach any point on the building surface and can be used for fire fighting, emergency rescue, building maintenance or window cleaning.
본 발명은 크레인 부분을 가지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한다. 엘리베이터 부분은 건물의 외부의 수직으로 상하강하기 위한 것이다. 크레인 부분은 건물의 의도하는 위치로 엘리베이터 부분을 형성하도록 연장된다. 상기 크레인 부분은 화재시 구조를 위해 캐빈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캐빈은 역시 건물의 모든 부분으로 접근하기 위한 소화 장비를 가질 수 있다. 크레인은 또한 건설 중인 건물의 어떤 위치로도 건물 자재를 끌어당길 수 있고, 건물의 외부에서 창문 세척 또는 다른 유지보수 활동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an elevator having a crane portion. The elevator part is to move up and down vertically on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he crane portion extends to form the elevator portion in the intended position of the building. The crane portion may support the cabin for rescue in the event of a fire. The cabin may also have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for access to all parts of the building. The crane can also pull building materials to any location in the building under construction and can be used for window cleaning or other maintenance activities outside the building.
크레인 부분은 캐빈과 엘리베이터 사이에서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텔레스코핑 암을 가진다. 텔레스코핑 암은 양 단부에 피벗을 가진다. 한 피벗은 캐빈바닥을 수평으로 유지하기 위해 캐빈에 부착된다. 제 2 피벗은 텔레스코핑 암이 엘리베이터 부분에 대해 각을 이루는 위치에 있게된다. 엘리베이터 부분의 회전 부분은 텔레스코핑 암이 건물을 향하거나 이로부터 이격되도록 스윙한다. The crane portion has a telescoping arm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abin and the elevator. The telescoping arm has a pivot at both ends. One pivot is attached to the cabin to keep the cabin floor horizontal. The second pivot is such that the telescoping arm is at an angle to the elevator portion. The rotating part of the elevator part swings the telescoping arm towards or away from the building.
엘리베이터 부분은 텔레스코핑 폴의 다른 단부상의 캐빈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텔레스코핑 폴을 가진다. 엘리베이터 부분에 부착된 피벗은 캐빈이 엘리베이터 부분에 대해 각을 위루는 위치에 있게된다. The elevator portion has a telescoping pawl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abins on the other end of the telescoping pawl. The pivot attached to the elevator portion is such that the cabin is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elevator portion.
건물의 측면에 부착되는 레일은 휠로 연결되고 레일에 클램핑되어 엘리베이터 부분을 고정하고 레일상에 수직으로 엘리베이터 부분을 추진시킨다. 상기 클램핑 특성은 엘리베이터 부분이 건물에 연결 또는 해제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엘리베이터 부분은 필요할 때 건물의 다른 부분의 부분으로 이동되거나 다른 건물로 이송될 수 있다. Rails attached to the side of the building are connected by wheels and clamped to the rails to secure the elevator portion and propel the elevator portion vertically on the rail. The clamping property allows the elevator portion to be connected to or disconnected from the building. Thus, the elevator part can be moved to another part of the building or transferred to another building when necessary.
텔레스코핑 암, 회전 메카니즘과 선회 메카니즘을 가지는 이송 차량은 연결을 위해 레일 부근의 엘리베이터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A transport vehicle having a telescoping arm, a rotational mechanism and a pivoting mechanism can be located in the elevator part near the rail for connection.
엘리베이터 부분 상의 텔레스코핑 폴에 부착되는 캐빈 또는 플랫폼은 많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건설하는 동안 건물에 상품 또는 작업자를 운송할 수 있으며, 또한 소방작업 또는 건물로부터 사람들을 구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Cabins or platforms attached to telescoping poles on elevator parts can perform many tasks and transport goods or workers to buildings during construction, and can also be used to rescue people from fire fighting or buildings.
본 발명은 역시 제 2 엘리베이터를 이용한다. 양 엘리베이터는 건물의 측면에 부착되는 H형태의 레일 위에서 수직으로 진행한다. 상기 레일은 레일상서 엘리베이터를 상하강시키기 위한 채널내에 진행하는 두 분리된 트롤리에 연결된 두 분리된 케이블이 진행하기 위한 채널을 가진다. 레일은 엘리베이터를 안정시키기 위해 엘리베이터의 휠에 연결된다. 휠은 엘리베이터가 레일에 연결도리 수 잇도록 레일에 엘레베에터를 일시적으로 클램핑 또는 선회하는 암에 장착될 수 있거나 엘리베이터 휠이 레일에 영구히 연결될 수 있다.The invention also uses a second elevator. Both elevators run vertically on an H-shaped rail that is attached to the side of the building. The rail has a channel for running two separate cables connected to two separate trolleys running in a channel for moving the elevator up and down on the rail. The rail is connected to the wheel of the elevator to stabilize the elevator. The wheel may be mounted to an arm that temporarily clamps or pivots the elevator to the rail so that the elevator can be connected to the rail or the elevator wheel can be permanently connected to the rail.
엘리베이터가 같은 건물의 다른 레일에 또는 또 다른 건물의 레일에 이송될 수 있기 위해 선회 암이 레일로부터 엘리베이터를 제거하도록 열릴 수 있다. The swing arm can be opened to remove the elevator from the rail so that the elevator can be transported to another rail in the same building or to a rail in another building.
선택적으로, 엘리베이터는 H 레일에 영구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개구를 레일의 개구에 연결되는 기어휠과 함께 이를 따라 진행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는 건물에서 레일을 연장하고 엘리베이터를 빌딩에 부착하기 위해 기존 레일에 추가된 레일 섹션에 부착된다. Optionally, the elevator can be permanently fixed to the H rail, and the opening can proceed along with the gearwheel connected to the opening of the rail. Elevators are attached to rail sections added to existing rails to extend the rails in the building and attach the elevator to the building.
텔레스코픽 암은 선회 메카니즘의 도움으로 서로 연결된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텔레스코픽 암은 그 단부에 수직 회전 메카니즘의 도움으로 클램프에 부착되는 피벗을 가진다. 상기 클램프는 또한 수직 회전 메카니즘의 도움으로 장벽이 있는 플랫폼 외부에서 선회하고 캐빈은 플랫폼 위에 걸린다. The telescopic arm consists of two parts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the aid of a turning mechanism. The telescopic arm has a pivot attached at its end to the clamp with the aid of a vertical rotation mechanism. The clamp also pivots outside the barriered platform with the help of a vertical rotation mechanism and the cabin is hung on the platform.
캐빈 그 자체는 회전 메카니즘의 도움으로 그 수직 축 주위를 360도 회전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부분은 슬라이딩 도어와 더불어 캐빈과 연결되기 위한 객실을 가진다. 계단을 가진 수직 개구는 비상 엘리베이터와 연결되는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The cabin itself can rotate 360 degrees around its vertical axis with the aid of a rotation mechanism. The elevator part has a sliding door and a cabin for connecting with the cabin. The vertical opening with stairs consists of two parts that connect with the emergency elevator.
안전상의 이유로, 탄성 프로필은 엘리베이터 부분 접촉 표면 및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의 상부 표면에 사용된다. 탄성 프로필의 지지요소는 엘리베이터 부분의 접촉표면 아래 및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 위에 제공된다. 일정한 연료 및 액체 공급를 위해, 캐빈, 엘리베이터 부분 및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는 방화 폼 및 다른 액체 및 호스를 보관하는 구획부가 제공된다. For safety reasons, elastic profiles are used for elevator partial contact surfaces and top surfaces of free-standing elevators. Support elements of the resilient profile are provided below the contact surface of the elevator part and above the freestanding elevator. For constant fuel and liquid supply, cabins, elevator parts and free-standing elevators are provided with compartments for storing fire protection foam and other liquids and hoses.
또한 작동 제어를 위해, 엘리베이터 부분의 객실은 추가적인 컨트롤 패널을 제공된다. 탄성 타이어와 H 형 레일 사이의 접촉 개선을 위해 작업표면은 안내 슬롯을 가진다. Also for operation control, the cabin of the elevator section is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 panel. The work surface has guide slots to improve contact between the resilient tires and the H-shaped rails.
건물 벽면의 레일위로 진행하는 한쌍의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가 일제히 승하강 함에 따라 건물면의 어떤 지점에 접근하기 위해 이들사이에서 연장되는 플랫폼을 가진다.상기 플fot폼은 복도를 지지할 수 있어, 사람들이 인접 복도를 통해 걸어서 들어갈 수 있거나 긴급 구조작업을 위해 엘리베이터 외부에 연결되거나 복도내로 승하강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A pair of elevators running on rails on the wall of the building have platforms extending between them to reach any point on the building's surface as the elevators move up and down simultaneously. It may be walked through adjacent corridor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an elevator for emergency rescue operations, or moved up and down into the corridors.
건물의 각 면에 있는 엘리베이터 쌍은 서로 협력하여 승하강될 수 있거나 구조를 위해 개별적으로 승하강될 수 있다. 다른 엘리베이터 또는 크레인을 가진 엘리베이트는 그 후 즉시 또한 소방 또는 빌딩 건축 또는 유지를 위해 위에 플랫폼과 복도를 가진 엘리베이터 상과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The pair of elevators on each side of the building can be raised and lowered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or individually for rescue. Elevators with other elevators or cranes can then be used immediately and in conjunction with elevator platforms with platforms and corridors on top for fire fighting or building construction or maintenance.
본 발명은 건물의 기능적인 구획부를 이용한다. 여기에는 슬라이딩 프레임이 잭 메카니즘의 도움을 받도록 이와 연결되어 설치된다. 슬라이딩 프레임은 건물의 외부한계 위 및 후방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부드럽고 안전한 슬라이드는 기능적 구획부의 표면에 장착된 안내 레일내로 슬라이드되는 지지휠이 보장한다.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e functional compartment of a building. The sliding frame is connected to and installed with the aid of the jack mechanism. The sliding frame can slide over and outside the building's exterior limits. Smooth and safe slides of the frame are ensured by support wheels that slide into guide rails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functional compartment.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은 그 위에 장착되는 좌우 포켓 가이더를 가지는 수용패널과 함께 전면부분에 설치된다.The sliding frame is installed at the front part together with a receiving panel having left and right pocket guiders mounted thereon.
수용 패널과 연결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H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은 수용 패널과 유사한 정방형의 구조를 가진 장착 패널이 설치된다.; 장착 패널의 두께는 연결을 도우는 수용패널의 외부 표면과 포켓 가이더사이의 틈보다 작다. 안전을 위해, 수용 패널에는 경사진 안내측면과 하부로 둥근 모서리를 가진 장착 패널이 제공된다.; 기능적 구획부의 하부부분은 안전한 장착-재장착 작동을 위한 콘크리트 기초를 가진다.; 보조 부분은 객실로부터 보조 부분으로 사람을 안전하게 이송하는 이동가능한 사다리를 가진다.In order to be able to connect with the receiving panel, the attachable section of the H-rail is provided with a mounting panel having a square structure similar to the receiving panel; The thickness of the mounting panel is smaller than the gap between the pocket guider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nel to assist the connection. For safety, the receiving panel is provided with a mounting panel having an inclined guide side and a lower rounded corner; The lower part of the functional compartment has a concrete foundation for safe mounting-refit operation; The secondary part has a movable ladder that safely transports a person from the cabin to the secondary part.
캐빈의 도움으로 건물 벽과 창문을 완전히 기계화 세척하기 위해, 캐빈의 후방 표면에는 둥근 기계 브러시가 있는 탈착가능한 프레임과 유체 분사기 및 공기 통로를 위한 홀을 가진 프로필이 설치된다. 부착가능한 프레임의 장탈착성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에는 고정 핸들이 설치된다.To fully mechanize the building walls and windows with the help of the cabin, the rear surface of the cabin is equipped with a removable frame with a round mechanical brush and a profile with holes for fluid injectors and air passages. The frame is provided with a fixed handle in order to ensure the mountable detachability of the attachable frame.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외부표면 또는 지붕에 수직 및 수평이송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vertical and horizontal transport on the exterior surface or roof of a building.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 외부의 어떤 지점에 소방 설비를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ransfer fire fighting equipment to a point outside the building.
본 발명의 목적은 소화 또는 다른 긴급상황시 건물로부터 사람을 구조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scue a person from a building during a fire extinguishing or other emergency.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시 건물의 어떤 부분으로 건축 자재를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ransfer building materials to any part of a building during construction.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에서 작업하는 건축 또는 유지 인원을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latform for construction or maintenance personnel working in buildings.
본 발명의 목적은 고층 구조에 이동할 수 있는 소방 및 구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refighting and rescue system capable of moving to a high rise structure.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외부상의 레일에 엘리베이터를 빠르고 쉽게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quickly and easily install an elevator on a rail on the outside of a building.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상의 엘리베이터를 빠르게 설치하기 위해 추가된 레일 섹션상에 엘리베이터와 함께 건물 레일 시스템에 레일 섹션을 추가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dd a rail section to a building rail system with an elevator on a rail section added for quick installation of an elevator on a building.
본 발명의 목적은 선회 메카니즘와 상호연결된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 텔레스코픽 암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텔레스코픽 암은 수직 회전 메카니즘을 가진 클램프로 선회되고, 상기 클램프는 수직 축주위로 완전히 회전할 수 있도록 캐빈이 걸린 장벽이 제공된 외부 플랫폼에 선회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lescopic arm consisting of two parts interconnected with a swing mechanism; The telescopic arm is pivoted with a clamp with a vertical rotation mechanism, which is pivoted on an external platform provided with a barrier in which the cabin is encapsulated to allow full rotation around the vertical axis.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딩 도어를 가진 객실이 있는 엘리베이터 부분, 엘리베이터 부분과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로 안내되는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 상에 두 부분으로 구성된 계단을 가진 수직 개구, 독립와 수직 개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엘리베이터는 수직 개구아래에 해치를 가진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vator part having a cabin with a sliding door, a vertical opening with a two-part staircase, an independent and a vertical opening on an elevator part and an independent elevator guided by an independent elevator. The elevator has a hatch below the vertical opening.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을 위해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의 지지요소 및 접촉 캐빈 플랫폼상에 탄성 요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silient element on the support element and contact cabin platform of a free-standing elevator for safety.
본 발명의 목적은 영구적인 추가 연료와 액체를 위해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와 엘리베이터 부분의 캐빈내에 구획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artment in a self-contained elevator and a cabin of the elevator part for permanent additional fuel and liquid.
본 발명의 목적은 객실내에 추가적인 제어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dditional control panel in a cabin.
본 발명의 목적은 기초 타이어를 위해 H형 레일의 작업 표면에 안내 슬롯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uide slot in the working surface of an H-shaped rail for a foundation tire.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 및 다른 기능을 위해 서로 다른 엘리베이터를 가진 건물 벽면에 플랫폼의 움직임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ordinate the movement of the platform on building walls with different elevators for construction and other functions.
본 발명의 목적은 소화를 위해 건물면을 가로지르는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latform across a building surface for fire extinguishing.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 건축과 유지에 사용하기 위해 빌딩면을 가로지르는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latform across a building surface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기능적 구획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구획부에서 슬라이딩 프레임이 빌딩과 후방에 외부제한위로 슬라이딩 프레임이 움직이는 것을 돕는 잭 메카니즘과 연결되어 장착된다. 안전 및 프레임의 부드러운 슬라이딩은 기능적 구획부의 표면내에 가이더와 서로 연결되는 지지휠로 보장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unctional compartment of a building; In the compartment the sliding frame is mounted in connection with a jack mechanism to help the sliding frame move above the outside limits on the building and the rear. Safety and smooth sliding of the frame are ensured by supporting wheels which interconnect with the guider in the surface of the functional compartment.
본 발명의 목적은 패널의 좌우측면상에 포켓 가이더를 가진 기능적 구획부이 전면에 수용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ceiving panel on the front of which a functional compartment with pocket guider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nel.
본 발명의 목적은 수용패널과 함께 H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의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H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은 수용패널과 같이 동일한 정방형태의 장착 패널이 설치된다.; 장착 패널의 두께는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 장착된 포켓 가이더와 수용패널의 외부표면사이의 틈보다는 작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nection of an attachable section of an H-shaped rail with a receiving panel; The attachable section of the H-shaped rail is provided with the same square mounting panel as the receiving panel; The thickness of the mounting panel is smaller than the gap between the mounted pocket guider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nel to ensure connec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한 연결을 위해 하부에 둥근 모서리를 가진 경사진 안내측면을 가진 수용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ceiving panel having an inclined guide side with rounded corners at the bottom for a secure connection.
본 발명의 목적은 H형상의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의 안전한 장탈착을 위해 기능적 구획부의 하부부분에 콘크리트 기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crete foundation in the lower part of the functional partition for safe mounting of the attachable section of the H-shaped rail.
본 발명의 목적은 객실 섹션으로부터 보조 부분으로 사람을 안전하게 이송하기 위해 이동가능한 사다리를 가진 보조 부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xiliary part with a ladder that is movable to safely transport a person from the cabin section to the auxiliary part.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 벽과 창문의 완전한 기계화된 세척을 위해 유체 분사기와 공기 통로를 위한 홀을 가진 둥근 기계 브러시와 프로필을 가진 캐빈의 후방 표면에 부착가능한 프레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rame attachable to the rear surface of a cabin with a round mechanical brush and profile with holes for fluid injectors and air passages for complete mechanized cleaning of building walls and windows.
본 발명의 목적은 캐빈의 후방 표면에 부착가능한 프레임의 장탈착을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 핸들을 가진 부착가능한 프레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ttachable frame having a fixing handle which enables the mounting and detachment of the attachable frame to the rear surface of the cabin.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장점 및 신규한 특징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고려될 때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기하는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Other objects,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when considered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소방 시스템을 지지하는 자기 추진 유닛을 가진 건물의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building with a self-propelled unit supporting a fire fighting system.
도 2는 엘리베이터 기둥의 상부 단면도이다. 2 is a top sectional view of an elevator column.
도 3은 크레인을 가진 엘리베이터와 이송 차량의 레일 섹션의 측면도이다. 3 is a side view of a rail section of an elevator with a crane and a transport vehicle.
도 4는 레일에 설치하는 크레인을 가진 엘리베이터의 측면도이다. 4 is a side view of an elevator having a crane installed on a rail;
도 5는 레일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할 때 레일로부터 해제디는 휠과 열린 암을 가진 엘리베이터의 평면도이다.5 is a plan view of an elevator with a wheel and an open arm released from the rail when installing the elevator to the rail;
도 6은 레일에 배치되는 자기 추진 유닛을 가진 레일에 결합된느 휠과 닫힌 암을 가진 엘리베이터의 평면도.6 is a plan view of an elevator having a wheel and a closed arm coupled to the rail with a self-propelled unit disposed on the rail;
도 7은 레일과 트롤리에 연결된 엘리베이터의 단면도. 7 is a sectional view of an elevator connected to a rail and a trolley.
도 8은 H 형 레일 위의 엘리베이터의 단면도. 8 is a sectional view of an elevator on an H-type rail.
도 9는 H 형 레일위의 크레인을 가진 엘리베이터의 측단면도이다. 9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n elevator with a crane on an H-type rail.
도 10은 이송 차량위의 크레인을 가진 엘리베이터의 측면도이다. 10 is a side view of an elevator with a crane on a transport vehicle.
도 11은 건물에 부착된 크레인과 레일 섹션을 가진 엘리베이터의 평면도이 다. 11 is a top view of an elevator with a crane and rail section attached to a building.
도 12는 레일 위의 엘리베이터 휠과 기어 휠의 평면도이다. 12 is a plan view of the elevator wheel and gear wheel on the rail;
도 13은 레일위의 엘리베이터 휠과 기어 휠의 측면도이다. 13 is a side view of the elevator wheel and gear wheel on the rail;
도 14는 레일 부착 섹션의 사시도이다.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rail attachment section.
도 15는 건물에 설치된 부착 섹션 위의 엘리베이터의 측면도이다. 15 is a side view of an elevator above an attachment section installed in a building.
도 16은 건물에 엘리베이터와 부착 섹션을 설치하는 이송 차량의 사시도이다.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nsport vehicle installing an elevator and an attachment section in a building.
도 17은 소화와 구조를 위해 사용되는 엘리베이터와 크레인 시스템을 가지는 건물의 정면도이다. 17 is a front view of a building with an elevator and crane system used for fire extinguishing and rescue.
도 18은 차량에서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도이다. 18 is another side view of the invention in a vehicle.
도 19는 차량에서 도 18에 따른 본 발명의 평면도이다. 19 is a plan view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FIG. 18 in a vehicle.
도 20은 H형 레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부분의 평면도이다. 20 is a plan view of an elevator portion installed on the H-shaped rail.
도 21은 H형 레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부분의 정면도이다. It is a front view of the elevator part provided in the H type rail.
도 22는 H형 레일의 부착 섹션의 사시도이다. 2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ttachment section of the H-shaped rail.
도 23은 H형 레일의 부착 섹션의 측면도이다. 23 is a side view of the attachment section of the H-shaped rail.
도 24는 H형 레일에 설치된는 엘리베이터 부분의 사시도이다. 2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vator portion installed on the H-shaped rail.
도 25는 캐빈과 연결된 엘리베이터 부분의 측면도이다. 25 is a side view of an elevator portion connected to the cabin.
도 26은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와 연결되는 엘리베이터 부분의 측면도이다. 26 is a side view of an elevator portion that is connected to an independent elevator.
도 27은 소화 및 구조를 위해 사용되는 엘리베이터와 크레인 시스템을 가지는 건물의 정면도이다. 27 is a front view of a building with an elevator and crane system used for fire fighting and rescue.
도 28은 전입(moved-in) 슬라이딩 프레임을 가지는 건물의 기능적 구획부 본 발명에 따른 측면도이다. 28 is a side view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of a functional compartment of a building having a moved-in sliding frame.
도 29는 전출(moved-out) 슬라이딩 프레임을 가지는 건물의 기능적 구획부 본 발명에 따른 측면도이다.FIG. 29 is a side view of a functional compartment of a building having a moved-out sliding frame. FIG.
도 30은 영구히 설치된 H-형 레일과 연결되어 운동하는 H-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의 정면도.30 is a front view of the attachable section of the H-shaped rail moving in connection with the permanently installed H-shaped rail;
도 31은 H형 레일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부분의 사시도. Fig. 3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vator portion installed on the H-shaped rail.
도 32는 소화 및 구조에 사용되는 엘리베이터와 크레인 시스템을 가지는 건물의 정면도이다. 32 is a front view of a building with an elevator and crane system used for fire fighting and rescue.
도 33은 건물 벽과 창문의 기계화 세척을 위해 설치된 장비를 가진 캐빈의 사시도이다.3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bin with equipment installed for mechanized cleaning of building walls and windows.
도 34는 건물 외부의 두 엘리베이터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도에 더하여 화재시 사용되는 엘리베이터 캡 및 크레인을 가지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의 두면을 도시한다.FIG. 34 shows two sides of a building equipped with an elevator with an elevator cap and a crane used in a fire in addition to a corridor extending between two elevators outside the building.
도 35는 건물의 외부에 레일이 설치되고 복도를 지지하는 두 엘리베이터를 가지는 건물의 측면도이다.35 is a side view of a building with two elevators with rails mounted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nd supporting the corridor.
도 36은 건물면에 엘리베이터로 지지되는 복도 부분의 단면도이다. 3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rridor portion supported by an elevator on a building surface.
도 37은 복도가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를 도시하는 건물의 모서리에서 복도를 지지하는 엘리베이터의 평면도. 37 is a plan view of an elevator supporting the corridor at the corner of the building showing how the corridors interact.
도 38은 건물의 외부표면과 엘리베이터의 복도 부분에서 레일에 연결되는 엘 리베이터의 평면도이다.38 is a plan view of an elevator connected to the rails at the exterior surface of the building and the corridor portion of the elevator.
도 39는 건물의 외부표면과 엘리베이터의 복도 부분에서 레일에 연결되는 엘리베이터의 측면도이다.39 is a side view of an elevator connected to the rails at the exterior surface of the building and the corridor portion of the elevator.
도 40은 건물의 측면에 부착되는 레일의 엘리베이터와 크레인을 가지는 엘리베이터를 가지는 건물 기초의 측면도이다.40 is a side view of a building foundation having an elevator with a crane and a crane with rails attached to the side of the building.
고층빌딩은 사다리, 체리 픽커 및 다른 설비와 같이 상부층에 비해 짧고 하부층에만 도달되는 소방설비만을 가지기 때문에 화재시 매우 위험하다. 또 다른 위험은 사람들이 엘리베이터에 갇힐 수 있거나, 연기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내부의 엘리베이터가 화재시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화재시 내부에 갇힌 사람을 구조하거나 소방작업을 하도록 고층건물을 소개시키는 것이 어렵다.High-rise buildings are very dangerous in the case of fire because they have only firefighting facilities that are shorter than the upper floor and reach only the lower floor, such as ladders, cherry pickers and other installations. Another danger is that the elevator inside cannot be used in a fire because people can be trapped in the elevator or exposed to smok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introduce a high-rise building to rescue people trapped inside or perform firefighting operations.
고층의 건물에서는 상부층 외부로부터 건물면에 접근하기가 어렵다. 화재시 소방대원이 불을 끄고 상부층의 사람을 구조하기 위해서는 건물면에 접근해야한다. In high-rise buildings it is difficult to access the building surface from outside the upper floor. In case of fire, firefighters must approach the building surface to extinguish the fire and rescue the people on the upper floor.
또한, 창문 세척과 유지보수를 위해 건물의 외부 표면으로 접근하는 장비를 가지는 것이 도움이 된다. 상기 장비는 또한 구축하는 동안 건물 외부 위치에서 자재와 노동자를 유입하거나, 구축시 상부층과 지붕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It is also helpful to have equipment that accesses the exterior surface of the building for window cleaning and maintenance. The equipment can also be used to import materials and workers from locations outside the building during construction, or to access upper floors and roofs during construction.
본 발명에는 건물 외부에서 수직으로 상하강하는 엘리베이터 부분과 건물의 의도하는 위치로 암을 연장하기 위한 크레인 부분이 포함된다. 상기 크레인 부분은 소방구조를 위해 객실 캐빈을 지지할 수 있고, 건물의 모든 부분에 접근하기 위한 소방 설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크레인은 건물내의 사람을 구조하고 소방작업을 위해 건물면의 어느 부분이라도 캡을 연결할 수 있도록 연장하기 위해 사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vator portion vertically up and down outside the building and a crane portion for extending the arm to the intended position of the building. The crane portion may support cabin cabins for firefighting and may have fire protection for accessing all parts of the building. The crane is used to rescue people in the building and to extend the cap to connect any part of the building surface for fire fighting operations.
상기 시스템은 캐빈으로부터 엘리베이터 부분과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및 후방)로 그리고 엘리베이터 부분으로부터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및 후방)직접 사람들을 이송하거나 피난시키는 것은 아니다. The system does not transport or evacuate people directly from the cabin to the elevator part and the free-standing elevator (and rear) and from the elevator part directly to the free-standing elevator (and rear).
또한 다른 건물 구축 또는 유지보수를 위해 긴급상황에서 사용하기 위해 건물면에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고 구조될 수 있는 사람의 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건물 외부를 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다른 특징이 추가될 수 있다.Other features may also be added to the elevator system for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that can be used to facilitate access to the building surface and increase the number of people who can be rescued for use in emergencies for other building construction or maintenance. have.
또한 건물의 외부의 부착되는 레일상의 엘리베이터를 승하강 시키기 위해 케이블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은 엘리베이터를 추진시키기 위한 전기 모터가 엘리베이터내에 있는 것 보다 케이블을 조작하기 위해 건물의 측면으로 옮겨질 수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캡이 더 가벼워지도록 한다. Cables can also be used to elevate the elevator on the attached rail outside the building. The cable allows the elevator cap to be lighter because an electric motor to propel the elevator can be moved to the side of the building to manipulate the cable than it is in the elevator.
또한 더 많은 사람들이 짧은 시간에 구조될 수 있기 위해 수송 능력을 증가시키는 제 2 엘리베이터가 엘리베이터와 크레인과 연결되는 레일 위로 진행하도록 추가될 수 있다. In addition, a second elevator, which increases the transport capacity, can be added to proceed over the rails connecting the elevator and crane so that more people can be rescued in a shorter tim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물(2)에 부착된 수직 기둥 또는 레일(1)과 엘리베이터 차량 또는 건물(2)외부에서 승하강하기 위해 레일(1)에 부착된 엘리베이터 차랑(3, 4)이 제공된다. 건물(2)의 측면의 레일(1)은 I 빔, H 빔 형 레일, 폴 또는 다른 지지수단일 수 있다. 레일(1)은 엘리베이터 부분(3)에 휠(27)을 연결하기 위해 높은 마찰 표면(26)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 찰 표면(26)을 가지는 H형 레일(1)은 건물(2)에 대해 레일이 좌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 H 형의 중심 부분에 연결된다.As shown in FIG. 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ical column or
상기 휠은 펴질 수 있는 암(54)에 부착되는 프레임(53)위로 지지된다. 암(54)은 힌지에서 선회하고 피스톤(56)을 움직임으로써 열고 닫힌다. 암(54)이 열릴 때 엘리베이터 부분(3)은 H형 레일(1)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암(54)이 H형 레일(1)에서 닫혀 클램핑될 때 엘리베이터 부분(3)은 레일(1)에 부착된다. H형 레일의 후방은 건물(2)에 부착된다.The wheel is supported on a
레일(1)에 부착된 엘리베이터 부분(3)과 함께 제 1 세트의 휠에 90도 회전된 펼친 암의 부가적인 휠은 H형 레일(1)의 상부의 내부표면에 연결되는 타이어를 가진다.The additional wheel of the extended arm rotated 90 degrees to the first set of wheels with the
타이어와 함께 부가적인 휠은 H형 레일(1) 상부의 외부 표면에 연결된다. H형 레일(1) 상부의 내외부 표면상의 휠은 레일(1)에 대해 부착되고 엔진 구획부(86)를 가압하도록 텔레스코핑 빔(58)을 연결하는 잭 장치(56)에 의해 서로 가압된다. 엔진 구획부(86)는 레일(1)을 따라 엘리베이터 부분(3)이 추직되도록 부착된 휠에 동력이 공급되도록 엔진 또는 전기 모터를 가진다.An additional wheel together with the tire is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top of the H-shaped
레일(1)내로 만입된 가이드(30)는 레일을 고정 연결하기위해 레일(1)내의 개구에 연결되는 톱니휠(31)과 같은 휠에 연결된다. 브레이크(60)는 브레이크 케이블(62)에 dsuruf된 캐빈(3)내의 긴급 브레이크(61)를 누름으로써 긴급상황에서 엘리베이터 부분(30을 중단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톱니휠(31)이 구동휠로 사용될 수 있다. The
건물(2)은 엘리베이터 차량(3, 4)을 승하강시키기 위해 각각 두 분리된 케이블(10, 35)을 가지는 두 분리된 스풀(9)을 구동하기 위해 모터(7, 8)를 포함하는 상승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루프상의 하우징(5)을 가진다.The
엘리베이터(4)는 필요할 때까지 하우징 5에 보관되고, 화재와 같은 긴급상황시, 사람들을 피난시키기 위해 건물(2) 외부의 비상구(11)와 함께 정렬된다. The
기둥(1)의 기초에서 스프링(12)와 같은 충격 흡수 요소는 건물(2)의 기초에서 엘리베이터 차량(4)이 부드럽게 멈추는 것을 돕는다.A shock absorbing element, such as a
보조 전원(13)은 건물(2)에서 정전시 엘리베이터(3, 4)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모터(7, 8)에 전원을 공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전원(13)은 기둥(1)의 전기 커넥터(14)에 끼워진다. 엘리베이터(3, 4)의 제어수단은 엘리베이터 내에 있거나, 지상의 제어 스테이션(15)으로부터 원격 제어될 수 있다. The
엘리베이터(3)는 상부에 부착되는 크레인 부분을 가진다. 상기 크레인 부분은 선회 메카니즘(16), 회전 메카니즘(17), 텔레스코핑 암(18), 선회 메카니즘(19)과 캐빈(20), 플랫 폼을 가진 캐빈 또는 플랫폼을 포함한다. 캐빈 또는 플랫폼(20)은 소화 장비(22)와 소방수(23)을 지지할 수 있다. 캐빈(20)은 회전 메카니즘(24)상에서 회전될 수 있다. 크레인 부분은 승하강하는 엘리베이터(3)의 조합으로 건물(2)면을 따라 의도하는 위치로 캐빈을 위치시킬 수 있고 크레인 부분은 선회 메카니즘(16)을 사용하여 텔레스코핑 암(18)을 선회시켜 의도하는 각으로 위치시키고 그후 건물(2) 부근의 의도하는 위치로 연장 또는 수축된다. 회전 메카니즘(17)은 건물(2)을 향하여 또는 이로부터 이격되도록 캐빈(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회전 메카니즘(24)은 건물과 캐빈상의 도어를 정렬하거나 건물과 소방 설비를 정렬하도록 캐빈(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캐빈(20)은 비상구(11)에 도달할 수 없는 사람들을 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비록 본 명세서에서 텔레스코핑 암에 대해 서술하지만, 어떠한 형태의 암도 암을따라 이동하기 위한 레일과 휠 배열로 사용될 수 있다. 캐빈은 유인 또는 무인일 수 있다. 소화 장비는 지상으로부터 원격 조정될 수 있다. 센서, 카메라, 마이크로폰, 연기 탐지기 및 캐빈 내 다른 장치가 내부에 갇히는 사람을 구조하고 건물외부로부터 화재진압을 도우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The
캐빈(3)은 다른 사용를 위해 많은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소화 캐빈으로써, 소방용 호스, 열 센서 및 절연된 내화벽을 가질 수 있다. 캐빈(3)은 고층건물에 갇힌 사람들을 구조하기 위해 건물에 인접한 도어를 가질 수 있다.The
상기 캐빈은 또한 건물의 구축시 서서 일하는 작업자를 위한 작업 플랫폼일 수 있다. 캐빈 (16)은 또한 구축하는 동안 건물에 자재를 도입하기 위해 훅과 같은 플랫폼 또는 지지 장치로 교체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건물의 외부에서 설치, 창문세척, 패널 설치 또는 유지를 위해 유용하다. The cabin may also be a work platform for workers who stand in the building of the building. The
수직 기둥(1)은 건물이 구축됨에 따라 건물(2)에 부착되거나 기존 건물(2)에 부착될 수 있다. 수직 기둥(1)은 레일(1)의 섹션 사이의 팽창 조인트(25)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팽창 조인트(25)는 방화 물질 또는 합금으로 만들어 질 수 있고, 온도에 따른 저팽창율을 가진다. 건물의 외부에 있는 레일은 화염과 연기를 피해 건물의 외부에서 운송될 수 있다. 캐빈은 위험 지대에 있는 건물로부터 이격되어 스윙될 수 있다. 캐빈은 건물의 측면 부근 또는 건물의 상부위에 위치될 수 있다. The
도 2에서, 수직 기둥 또는 레일(1)은 H형상을 가지고 엘리베이터(3, 4)와 함께 사용되기 위한 몇가지 특징을 가진다. 수직 기둥(1)은 엘리베이터(3, 4)상의 타이어(27)와 접촉을 개선하도록 고마찰 코팅(260을 가진다. 상기 H 형상 수직 기둥(1)내의 전원 케이블 채널(28)은 전원 케이블(29)이 모터(7, 8)를 구동하도록 지붕에 접근하도록 한다. 수직 기둥(1)의 외부면상의 가이드(30)는 엘리베이터(3, 4)의 휠(27) 또는 톱니 휠(31)이 수직 기둥(1)의 톱니에 연결되도록 하고 기둥(1)상에 엘리베이터(3, 4)의 정렬을 유지시킨다. 라이트(33)는 밤시간의 작동을 돕기 위해 수직 기둥(1)에 설치될 수 있다.In FIG. 2, the vertical column or
H 형상 수직 기둥(1)은 또한 내부로 진행하는 케이블(35, 10)을 위한 트롤리 채널(34)을 가진다. 케이블(35, 10)은 트롤리 채널(34)내에 분리되어 진행하는 트롤리(37, 38)에 연결된다. 트롤리(37)는 엘리베이터 차량(3)에 부착되고 트롤리(38)는 엘리베이터 차량(4)에 부착된다. 틀롤리 휠(39)은 트롤리 가이드(40)를 트롤리 채널(34)에 연결한다. The H-shap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3)와 크레인 부분은 트럭(41)과 같은 것으로 건물(2)로 이동할 수 있다. 만일 엘리베이터(3)가 소화를 위한 것이면, 트럭(41)은 전문적인 소방차일 수 있다. 만일 엘리베이터가 구축 또는 유지보수를 위해 사용되면 트럭은 건설 트럭일 수 있다. 트럭(41)이 건물(2)에 도달할 때 엘리베이터(3)는 레일(1)에 부착되고, 작업이 끝나면, 엘리베이터(3)는 레일(1)으로 부터 제거될 수 있거나, 같은 건물의 또 다른 부분 위에서 사용 또는 다른 건물로 옮겨가게 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도 4는 수직 기둥(1) 위에서 설치되는 엘리베이터(3)를 도시한다. 트럭(41) 건물(2)부근에 있다. 트럭(41)의 상부 표면(42)에는 부착되는 텔레스코핑 암을 가지는 선회 메카니즘(44)을 돌리기 위한 회전 메카니즘(43)이 있다. 텔레스코핑 암(45)은 엘리베이터(3)를 수직 기둥(1)에 연결되기 위한 위치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 메카니즘(47)에 연결되는 선회 메카니즘(46)에 연결된다. 4 shows an
도 9는 엘리베이터(3)가 고정 메카니즘(47)에 의해 얼마나 상승하는가를 도시한다. 포크리프트 타인(48)는 엘리베이터(3)의 부분으로 삽입된다. 포크 리프트 타인(48)은 엘리베이터(3)가 레일(1)에 대하여 배치되는 동안 포크 리프트 타인(48) 위에 엘리베이터(3)를 잠그는 잭 요소(50)로 연결되는 개구(49)를 가진다. 엘리베이터(3)의 안정화 슬롯(51)은 슬롯에 끼워지는 고정 메카니즘(47)상의 위치로 엘리베이터(3)를 고정한다. 선택적으로 전자석(52)은 고정메카니즘에 대한 위치내에 엘리베이터(3)를 고정하거나 엘리베이터(3)가 적절히 고정되는 포크 타인와 연결되어 작동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9 shows how the
도 5,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H 형 기둥(1)은 건물(2)에 관련된 레일(1)상의 좌우운동을 차단하도록 휠(27)상의 탄성 타이어(27)로 연결된다. 휠(27)은 펼칠 수 있는 암(54)에 부착되는 프레임 (53)으로 지지된다. 암(54)은 힌지(55)를 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열리거나, 작동 피스톤(56)으로 닫힌다. 암(54)이 열릴 때, 엘리베이터 부분(3)은 H 형 레일(1)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암(54)이 H 형 레일(1)에서 닫혀 클램핑되면 엘리베이터 부분(3)이 레일(1)에 부착된다. As shown in FIGS. 5, 6 and 7, the H-shaped
레일(1)에 부착되는 엘리베이터 부분(3)과 더불어 제 1 세트의 휠(27)에 90 도로 회전하는 펼쳐지는 암(54)에 타이어(27)를 가지는 부가적인 휠(27)은 H 형상의 레일(1)의 상부의 내부 표면에 연결하기 위한 타이어를 가진다. 타이어(27)를 가진 부가적인 휠(27)은 H 형 레일(1)의 상부의 외부표면에 연결된다. H 형 레일(1)의 상부의 내외부의 휠(27)은 레일(1)에 대해 타이어(27)를 가압하도록 텔레스코핑 빔(58)을 연결하는 잭 장치(57)로 서로 가압된다. An
기둥(1)내에 만입된 가이드(30)는 기둥(1)을 고정 연결하기 위해 기둥(1)내의 개구에 연결되는 톱니휠(31)과 같은 휠을 연결한다. 톱니휠(31)(도 9)에 부착된 디스크(60)상에서 작동하는 브레이크 캘리퍼스(59)를 가지는 브레이크는 엘리베이터(30의 캐빈(20) 또는 엘리베이터(4)내의 브레이크 레버(61)위를 누름으로써 긴급상황에서 엘리베이터(3)를 중단시키기 위해 브레이크 케이블(62)에 부착되는 브레이크 레버(61)를 작동시킴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기둥에 적절하게 고정되는 엘리베이터로(3)와 더불어 케이블의 단부상에 아이 커넥터(65)를 가지는 케이블에 의해 트롤리(37)에 연결될 수 있고 케이블(246)에 의해 트롤리(37)에 부착되는 후크(66)위에 위치한다.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엘리베이터(4)는 엘리베이터(3)와 동일한 방법으로 기둥(1)에 부착된다. 이들의 차이는 엘리베이터(4)가 기둥(1)에 영구히 연결되어 따라서, 휠(53)이 기둥(1)에 대해 휠(27)상의 타이어(27)를 영구적으로 고정하도록 위치한다는 것이다.The
일부 실시예에서 톱니휠(31)은 구동 휠로 사용될 수 있다. 도 9의 엔진구획부(9)는 기둥(1)을 따라 엘리베이터 부분(3)을 추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엔진 또는 전기 모터를 가진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케이블(35, 10), 트롤리(37, 38), 트롤리 채널(34) 및 이와 연결된 모터 (7, 8)를 가지는 하우징(5) 및 스풀(9)이 필요하지 않다. 모든 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4) 또는 캐빈(3)은 승객을 운송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는 방화 문(67)과 방화 창문(68) 및 벽을 가질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엘리베이터(4)는 레일(1)에 영구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케이블없이 트롤리(38)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The
내부에 엔진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부분이 도시되었으나, 케이블 시스템 또는 수력 시스템이 엘리베이터 부분을 건물에 부착된 레일위로 이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레일을 연결하기 위해 휠을 가진 레일과는 다른 건물에 엘리베이터 부분을 부착하는 다른 수단도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Although an elevator portion with an engine inside is shown, a cable system or hydraulic system can be used to transport the elevator portion over a rail attached to the building.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are other means for attaching the elevator portion to a building other than the rail with wheels for connecting the rails.
캐빈(20)은 레일을 놓거나 개설하기 위해 평평한 지붕을 가지며, 캐빈(20)의 상부로 올라가기 위한 접근 해치(69)를 가진다. 노즐과 같은 소화 장비(22)가 화재시 물, 거품 또는 화학제품을 뿌리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캐빈(20)의 지붕이 해치(68)는 캐빈의 내부에서 외부까지 이동하기 위해 제공된다. The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레일(1)과 연결된 텔레스코핑 빔(58)에 엘리베이터를 부착하기 위한 암(54), 힌지(55) 및 작동 피스톤(56)이 제거될 수 있음에 따라 시스템의 중량과 복잡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모터(7, 8), 케이블(35) acl 상승 메카니즘과 관련된 요소를 포함하는 지붕 위의 하우징(5)은 제거될 수 있고, 엘리베이터(3) 또는 엘리베이터들(3, 4)로부터 직접적인 구동수단으로 교체될 수 있다.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as shown in FIG. 10, the
엘리베이터 크레인(3)이 화재와 같은 긴급 사태에서 또는 다른 사용을 위해 건물(2)에서 필요할 때, 선회 메카니즘(44)과 부착된 회전 메카니즘(43)과 더불어 베드(102)를 가지는 트럭(101)은 기존 레일(1)의 아래의 건물(2)에 제거가능한 레일 섹션(72)과 엘리베이터(3)를 부착하기 위해 레일(1) 근처 건물(2)에 도달한다. 선회 메카니즘(44)과 회전 메카니즘(43)은 건물(2)을 향하여 메카니즘(120)을 움직이도로 연장되는 텔레스코핑 암(45)을 상승시키고 회전시킨다. 선회 메카니즘(127)과 회전 메카니즘(16)은 레일(1) 아래에서 직접 제거가능한 레일 섹션(72)을 건물(2)에 부착하기 위한 직립 위치로 고정 메카니즘(53)을 기울인다. When the
도 1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2)은 지상에 모든 방법으로 연장되지는 않고 부착되는 레일(1)을 가진다. 제거가능한 레일 섹션(72)은 건물(2)상의 포크 요소(125)로 스릿 가이드(128)를 슬라이드함으로써 건물(2)에 대해 위치된다. As best shown in FIG. 15, the
제거가능한 레일섹션(72)은 건물(2)에 대한 위치로 안내되고 고정 메카니즘(120)은 그후 홀더(120)상의 포크 요소(186)내의 슬릿 가이드(186)와 개구(186)내의 태핑된 홀(188)로부터 스크류를 제거함으로써 엘리베이터(3)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The
포크 요소(186)는 그후 텔레스코핑 암(18)으로부터 당겨질 수 있고, 제거가능한 레일 섹션(72)은 핸들(131)로 조작될 수 있어 건물(2)내의 볼트 홀(130)과 스크류(136)가 결합되는 개구(137)로 건물(2)에 제거가능한 레일 섹션(72)을 고정하기 위해 삽입된다.The
스크류 캡(129)은 제거가능한 레일 섹션(72)이 건물에 부착되지 않을 때 볼 트 홀(130)에 끼워 이들을 보호하도록 건물(2)에 설치될 수 있다. 스프링 댐퍼(190)는 설치 및 제거시 안전한 상태를 제공하기 위해 제거가능한 레일 섹션(72)에 장착된다.The
스크류(136)는 건물(2)의 레일(1)에 대해 제거가능한 레일 섹션(72)을 적절히 수용하고 정렬하기 위해 톱니가 형성된 요소(135)를 사용함으로써 레일 가이드(132)에 각도 요소(134)를 고정하도록 사용된다.The
상기와 같은 정렬은 건물에 영구히 부착된 레일(1)내의 톱니가 형성된 캐리지 레일92)과 제거가능한 레일 섹션(72)의 인터페이스에서 구동 기어휠(93)을 위한 적절한 공간을 가진 캐리지 레일(92)을 제공하기 위해 중요하다.This arrangement allows for
상기 기어휠(93)은 엘리베이터(3)에 동력을 공급하기 위해 모터에 연결된다. 기어휠(93)은 역시 엘리베이터(3)를 멈추기 위한 브레이크를 가질 수 있다.The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3)는 레일(1)에 있어서의 슬릿 가이드(95)에 올려지는 휠(94)을 가진다. 휠(94) 세트는 레일(1)에서 두 엘리베이터가 흔들리는 것을 방치하도록 서로 수직으로 위치한다.As shown in FIG. 12, the
지상에서 건물(2)에 부착되는 제거가능한 레일 섹션(72) 대신에 지상의 레일섹션(72)의 부착 위치로 접근가능하도록 플랫폼(107)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배열은 눈, 주차된 차 또는 다른 장애물로 피해 지상에서 레일 기초로 접근하는 것을 보장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The
다른 실시예에서, 건물상의 의도된 위치에 암(텔레스코픽)을 연장하기 위해 건물의 외부 및 크레인 부분에서 수직으로 승강하는 장치(146)와 엘리베이터 부 분(98)이 본 발명에 포함된다. 상기 텔레스코픽 암은 선회 메카니즘의 도움으로 상호연결되는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텔레스코픽 암은 수직 회전 메카니즘의 도움으로 크랩프에 부착되는 단부에 피벗을 가진다.In another embodiment, an
상기 클램프는 또한 수직 회전 메카니즘의 도움으로 장벽이 제공된 이부 플랫폼을 선회하고 캐빈은 플랫폼에 걸린다. 캐빈 그 자체는 회전 메카니즘의 도움으로 그 수직축 주위를 360도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캐빈은 작업자의 작업과 사람의 구출을 보장하기 위해 슬라이딩 도어를 가지는 승객 구획부를 내부에 가진다. 장벽을 가지는 외부 플랫폼은 건물의 모든 부품에 접근하기 위한 소화 장비를 가진다. 크레인 부분은 또한 구축 중인 건물의 어떤 부분에도 건물 자재를 유입할 수 있거나, 벽과 창문 세척 또는 건물의 다른 유지보수 활동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The clamp also pivots a barrier platform provided with the aid of a vertical rotation mechanism and the cabin is hung on the platform. The cabin itself can rotate 360 degrees around its vertical axis with the aid of a rotation mechanism. The cabin has a passenger compartment with a sliding door therein to ensure the operation of the worker and the rescue of the person. External platforms with barriers have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for access to all parts of the building. The crane portion can also introduce building materials into any part of the building under construction, or can be used for wall and window cleaning or other maintenance activities in the building.
엘리베이터 부분(97)은 지지휠(6) 및 구동 톱니휠(93)과 함께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98)과 연결된다.The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98)은 영구 설치된 H 형 레일(106)에 연속하여 연결되는 건물 벽에 장착될 수 있다.The
도 16, 28 및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는 기능적 구획부(169)가 제공되며 여기에는 슬라이딩 잭 메카니즘(171)과 연결된 프레임(170)이 설치된다.As shown in Figures 16, 28 and 29,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슬리이딩 프레임은 상기 잭 매카니즘(171, 120)의 도움으로 건물 한계선 및 후방위로 슬라이드 될 수 있다. 프레임의 부드럽고 안전한 슬라이딩은 기능적 구획부의 표면에 장착된 가이더(173, 121)내로 슬라이드되는 지지휠에 의해 보장된다. 전면 부분내의 슬라이딩 구획부에는 지지 패널(174)의 좌우측면에 장착된 포켓 가 이더(175)가 장착된 수용 패널(174)이 제공된다.The sliding frame can be slid above the building limit line and rearward with the aid of the
도 28, 29, 30 및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98)에는 수용 패널(174)과 같이 동일한 정방형 구조를 가진 수용패널(174)과 연결성을 보장하도록 장착 패널(176)이 제공된다.As shown in FIGS. 28, 29, 30 and 16, the
장착 패널(176)의 두께는 연결을 용이하게 위하여 장착된 포켓 가이더와 수요패널(174)의 외부표면사이의 간극보다 작다. 도 30을 참조하면, 수용 패널(174)에는 안전한 연결을 위해 하부가 둥근 모서리(178)를 가진 장착 패널(176)과 나선형 안내측면(177)이 제공된다.The thickness of the mounting
도 28, 28, 16 및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105)의 기능적 구획부(169)의 하부 부분에는 안전한 장착을 위해 H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98)을 재장착하는 콘크리트 기초(179)가 제공된다. 도 16 및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부분(107)에는 엘리베이터 부분(97)의 객실 구획부로부터 보조 부분(107)과 후방으로 사람을 안전하게 이송하기 위한 이동식 사다리(180)가 제공된다.As shown in FIGS. 28, 28, 16, and 32, the lower portion of the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빈(100)의 후방표면에는 건물 벽과 창문의 캐빈(100)의 도움으로 완전히 기계화된 세척을 위하여 유체의 분무기 및 공기 통로를 위한 홀을 가진 프로필(183)과 둥근 기계 브러시(182)를 가진 부착가능한 프레임(181)이 제공된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가능한 프레임(181)에는 캐빈(100)의 후방표면의 부착가능한 프레임(181)의 장탈착을 보장하도록 고정핸들(184)이 제공된다. As shown in FIG. 33, the rear surface of the
H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98)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부분(97)은 텔레스코 픽 암(99)과 캐빈(100)을 가지는 전체 부착가능한 구조뿐만 아니라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섀시(101)에 설치된다. 엘리베이터 부분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 특정한 격납고(화재시 저장소)내에 보관된다. 상기 저장소에 화재가 경보되면, 엘리베이터 부분(97)과 함께 상부 표면(102)에 보관되는 섀시(101)는 화재시 즉시 건물로 운송된다. The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101)가 화재시 건물로 이송되면, 상기 섀시(101)는 건물과 건물의 보조 부분(107)에 영구히 위치되는 H 형 레일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그후, 도 28, 29, 30 및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부분(97)과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98)의 설치 과정이 시작된다. As shown in FIG. 16, when the
엘리베이터 부분(97) 및 H형 레일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을 건물벽에 설치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Installing the attachable sections of the
수직 선회 메카니즘(122)의 도움으로, 텔레스코핑 회전 폴(119)이 차량 섀시(101)의 상부 작업 표면(102)에 대해 약 45도 높이로 상승된다. 이 때, 수직 선회 메카니즘(121)으로 인해, 고정되는 베드 메카니즘(120)이 정확하게 수평으로 유지된다. 그 후, 수평 회전 메카니즘(168)의 도움으로, 부착가능한 섹션(98)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부분(97)에 고정 베드 메카니즘(120)을 가진 텔레스코핑 회전 폴(119)은 건물(5)을 향하여 회전한다. 그 후, 수직 선회 메카니즘(121)의 도움으로 고정 베드 메카니즘(120)은 수직 위치로 정확하게 90도 회전한다. 동시에, 선회 메카니즘(124)과 수평 회전 메카니즘(123)의 도움으로, 텔레스코픽 암(99)의 제 1 부분이 엘리베이터 부분(97)의 수직 축에 대해 약 45도로 건물 (105)을 향해 하강 한다. 선회 메카니즘(108)의 도움으로, 텔레스코픽 암의 두 번째 부분은 텔레스코픽 암(99)의 제 1 부분에 대해 약 90도로 하강한다. 이와 더불어, 수직 회전 메카니즘(110)의 도움으로 클램프(109)는 정확히 수직 위치로 놓인다. 동시에 클램프(109)를 가지는 캐빈(100)은 수직 회전 메카니즘(111)과 수평 회전 메카니즘(113)에 의해 정확히 수직 및 수평 위치로 정렬된다. 그것이 있는 같은 시간에, 잭 메카니즘 171은 행동에 넣어진다. 그것은 건물 105의 기능적인 구획 169로부터 통합하는 프레임 170으로부터 움직인다. 상기 움직임의 결과로, 슬라이딩 프레임(170)의 외부 단부에 설치된 수용 패널(174)은 콘크리트 기초 (179)(약 1.5미터) 위로 옮겨진다. 프레임(170)과 같이 부드럽고 안전한 슬라이드 움직임은 기능적 구획부(169)의 설치되는 가이더(173)내에서 슬라이드되는 지지휠(95)에 의해 보장된다.With the help of the
그 다음, 텔레스코핑 회전 폴 (119)은 장착 패널(176)의 외부표면의 하부가 수용 패널(174)의 외부표면의 상부와 접촉하는 방법으로 건물벽(50을 향하여 움직인다. 이후, 회전 메카니즘(121, 126, 127)의 도움으로 고정 베드 메카니즘(120)은 장착 패널이 수용패널(174)에 대해 모든 표면에 대해 정확하게 평행하도록 설치될 때까지 정렬된다. 그 다음 수직 선회 메카니즘(1220의 도움으로 텔레스코픽 회전 폴이 하강한다.The
상기 움직임의 결과로, 장착 패널(176)이 수용 패널(174)의 포켓 가이더로 움직이기 시작하고, 장착 패널(176)의 하부 둥근 모서리(178) 및 수용 패널(174)의 경사진 안내 측면(177)에 의해 안전하고 부드러운 움직임이 보장된다.As a result of this movement, the mounting
장착 패널(176)이 수용 패널(174)의 포켓 가이더로 완전히 설치(하강)되고 난 후, H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98)의 상부 경사 표면이 H형 레일의 하부 경사 표면보다 수 밀리미터 낮게 위치되고 두 레일(98, 106)의 수직 축이 정확히 평행이 된다.After the mounting
엘리베이터 부분(97)과 텔레스코픽 암(99)과 캐빈(100)이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98)에 설치됨에 따라 상기 설치후 엘리베이터 부분(97)에 고정 베드 메카니즘(120)에서 재설치 가능하게 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포크 요소 (139)의 홀(138)은 엘리베이터 부분(97)의 잭 래치(140)에서 떨어지게 된다. 그 다음, 텔레스코핑 회전 폴(119)을 옮김으로써, 엘리베이터 부분(97)의 몸체 내에 위치하는 슬롯(141)이 고정 베드 메카니즘(120)의 포크 요소(139)에서 떨어지게 된다. As the
상기 작동후 적하(loading-unloading)되는 고정 베드(120)는 감겨서, 섀시(101)의 상부 표면(102)상의 이송 위치에 놓인다. (엘리베이터 부분(97)과 부착가능한 섹션(98)의 탈거 작동이 반작용으로 이루어진다). 동시에 건물(105)의 기능적 구획부(169)로 슬라이딩 프레임(170)을 움직임으로서 잭 메카니즘(171) 작동이 이루어진다. The fixed
상기 움직임의 결과로, 슬라이딩 프레임(170)의 외부 단부에 설치된 수용 패널(174)와 그 위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부분(97)을 가진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98)은 건물 벽(5)을 향해 움직인다. 상기 작동이 완료된 후,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95, 98)의 상부 경사표면이 H 형 레일의 하부 경사 표면아래에(수 밀리미터 이내)위치하고 그 수직 축은 도 28 및 3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치한다. 그 결과, H 형 레일에 영구적으로 설치된 부착가능한 섹션(98)은 건물 벽(105)에 H 형 레일(1)39의 통합된 라인을 형성한다. As a result of this movement, the
엘리베이터 부분(97)의 몸체에 위치하는 구동 구조(142)가 활성화되고, 회전하여 가이드 슬롯(144)의 안내 랙(92)과 연동하여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98)상의 엘리베이터 부분(97)을 이동하기 시작하는 구동 톱니휠(93)이 작동한다. 동시에, 휠(94)은 H 형 레일에 엘리베이터 부분을 안정된 위치로 고정하도록 안내 슬롯(95)내에서 움직이기 시작한다.The
따라서, 엘리베이터 부분(97)은 H 형 레일(106)의 부착가능한 섹션으로부터 H 형 레일의 영구적으로 장착된(건물(105)에) 부착가능한 섹션(98)으로 진행하고 이제 건물(5)의 어떤 층에서도 H 형 라인의 길이를 따라 양측면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다. Thus, the
따라서, 건물(105)의 위험 층으로 엘리베이터 부분(97)을 즉시 움직여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빈(100)의 장벽을 가진 외부표면(112)에 장착된 화재/거품 파이프(146)의 도움으로 소방작업을 시작할 수 있게된다. 동시에 위험층으로 엘리베이터 부분(97)을 상승시켜 독립구조 엘리베이터(118)의 장착을 시작한다.Thus, with the help of the fire /
상기와 같은 작동을 보장하기 위해 분리된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98)이 탈거되고, 다음 결과가 나타난다.:In order to ensure the above operation, the
잭 메카니즘(171)이 활성화되어 건물(5)의 기능적 구획부(169)로부터 슬라이딩 프레임(170)으로 움직인다. 상기 움직임에 따라, 슬라이딩 프레임(170)의 외부 표면에 장착된 수용 패널(174)과 H 형 레일(98)의 부착가능한 섹션은 콘크리트 기 초(179)(약, 1.5미터) 위로 움직이게 된다. 수평 회전 메카니즘(168)과 수직 선회 메카니즘(122)의 도움으로, 텔레스코핑 회전 폴(119)이 회전하고 건물(105)- H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98)위치를 향해 상승된다. The
그 후, 회전 메카니즘(121, 126, 127)의 도움으로, 고정 베드 메카니즘(120)은 그 포크 요소(139)가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98)의 트레이(190)의 슬롯(186)의 맞은 편에 위치하는 방법으로 정렬된다. 동시에 스크류 고정 메카니즘(187)이 트레이(190)의 스크류 홀(188)에 나사결합되고, 슬롯(186)내부에 고정 베드 메카니즘(120)의 포크 요소(139)가 위치한다. Then, with the aid of the
그후 텔레스코핑 회전 폴(119)은 -고정 베드 메카니즘(120)의 포크 요소(139)가 슬롯(186)으로 완전히 옮겨질 때까지 움직인다. 다음에, 스크류 고정 메카니즘(187)은 고정 베드 메카니즘(120)의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98)을 고정함으로써 트레이(190)의 스크류 홀(188) 뒤에 나사결합된다. 그 후, 텔레스코핑 회전 폴(119)은 -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98)의 장착 패널(176)이 수용 패널(174)의 포켓 가이더(175)로부터 옮겨질 때까지 상승한다. The telescoping
그 다음, 텔레스코핑 회전 폴(119)의 도움으로, 상기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98)은 보조 부분(107)의 근처의 건물(5) 부근의 여분의 주차 공간으로 이송되고, 내려진다. 이제, 수용 패널(174)이 자유로와 지면,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의 장착을 시작할 수 있게 된다. Then, with the aid of the telescoping
섀시 (101)가 엘리베이터 부분(97)을 건물(105)에 운송할 때 섀시(101)가 건물(107)의 보조 부분으로부터 진행하여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08)를 가지는 또 다 른 섀시(101)을 위해 비어 있게 한다.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와 더불어 섀시(101)를 주차가 완료된 후(건물(107)의 보조부분에서 빈 공간에), 구조 엘리베이터는 건물(105)에 장착된다. 엘리베이터 부분(97)과 같이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는 탄성 타이어 휠(94)과 구동 기어의 톱니휠(93)을 통하여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98)에 연결된다. When the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가 운송되는(건물(105)로) 섀시(101)는 운송되는(회전 메카니즘 (121, 122, 168, 126, 127)과 함께) 엘리베이터 부분(97) 및 텔레스코픽 폴(119) 고정 베드 메카니즘(120)을 가지는 상기 섀시(l01)에서와 같이 동일한 적하(loading-unloading) 메카니즘을 가진다. The
상기 관점에서, 건물(105)에 구조 엘리베이터(118)의 장착작업을 시작하는 순서(탈거하는 것과 마찬가지로)는 엘리베이터 부분(97)과 동일하다.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가 H 형 레일에 설치된 후, 상승하고 엘리베이터 부분이 설치된후 화재시 건물층으로 상승한다. 엘리베이터 부분(97)이 이미 필요한 높이에 있는 동안 장벽을 가진 외부 표면(112)에 설치된 화재/폼 파이프(146)와 함께 소방작업을 시작한다. 동시에 소방작업과 더불어 엘리베이터 부분(97)의 캐빈(100)은 계단과 비상구를 사용할 수 없는 사람들을 대피시키기 시작한다. 상기 목적을 위해, 캐빈(100)은 사람 위치하는 건물(5) 창문 총안(embrasure)으로 이송된다. 그 다음, 탄성 프로필 요소(147)의 도움으로 슬라이딩 도어(148)의 주위를 따라 슬라이딩 도어를 가지는 캐빈의 표면(1100)을 창문 총안에 안전하게 연결하게 된다. 다음, 슬라이딩 도어(148)가 열리고 사람이 건물의 위험층으로부터 창문 총안을 통해 캐 빈(100)으로 탈출한다. In view of the above, the order of starting the mounting operation of the
그 때,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는 위험층에 도달하고 엘리베이터 부분의 상부층에 장착된 탄성 프로필 요소(149)의 도움으로 엘리베이터 부분(97)의 하부표면에 정렬된다. 탈출한 사람과 함께 캐빈(100)은 방화 유리(151)를 가지는 슬라이딩 도어(115)와 더불어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의 외부 표면으로 이송된다. The free-standing
그 다음, 도 2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148)를 가진 캐빈(100)의 표면은 슬라이딩 도어(115)를 가진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의 외부 표면과 정렬된다.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와 캐빈(100)을 정밀하고 안전하게 결합하는 것은 탄성 프로필 요소(147) 및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의 탄성 개스킷(152)을 가진 지지요소의 도움으로 캐빈(100)의 슬라이딩 도어(148)의 외주를 따라 이루어진다. Then, as shown in FIG. 26, the surface of the
다음에, 캐빈(100)의 슬라이딩 도어(148)와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의 슬라이딩 도어(115)가 열리고 대피하는 사람들은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를 타기 위해 캐빈(100)을 빠져나온다. 그 후, 모든 슬라이딩 도어가 닫히며, 캐빈(100)은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와의 연결이 해제되고 건물(5)의 위험층으로 복귀하여 독립구조 엘리베이터(118)가 사람들을 건물 (107)의 보조부분으로 이송한다. 상기 작동은 위험층에 있는 모든 사람을 대피시킬 때까지 계속된다. Next, the sliding
본 발명은 또한 건물의 위험층으로부터 사람들의 매우 빠르게 대피시키도록 한다. 이것은 많은 사람들이 위험층에 있거나 매우 고층일 때, 특히 중요하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allows people to escape very quickly from dangerous floors of buildings. This is especially important when many are at risk or very high.
변형예 A- 외부 표면에 방화 유리 창문(151)을 가지는 슬라이딩 도어(115)가 제공된 엘리베이터 부분(97)의 승객 구획부(114)Variant A-
변형예 B-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의 슬라이딩 도어(155)의 수직 축에 대칭인 건물(5)의 각 층에 위치하는 건물의 비상구(154)Variant B-
변형예 A- 캐빈(100)이 가득차고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가 엘리베이터 부분(97)으로 복귀하지 않을 때 피신할 새로운 사람들을 태우기 위해 작동하는 엘리베이터 부분(97)의 승객 구획부(114). 이 경우 피신되는 사람들이 있는 캐빈(100)이 엘리베이터 부분의 승객 구획부(114)로 이송되어 정렬된며, 이는 도 25에 도시된다. Variant A-
엘리베이터 부분(97)의 승객 구획(114)의 표면에 캐빈(100)을 정밀하고 안전한 결합(정렬)하는 것은 캐빈(100)의 슬라이딩 도어(148)의 외주를 따라 설치된 탄성 프로필 요소(147) 및 엘리베이터 부분(97)의 탄성 개스킷(152)을 가진 지지요소의 도움으로 이루어진다. 그 다음, 캐빈(100)과 슬라이딩 도어(115)와 엘리베이터 부분(97)의 승객 구획부(114)가 열리고 사람들이 캐빈(100)을 나와 승객 구획부(114)로 간다. 상기 모든 문은 그 후 닫힌 상태가 된다; 캐빈(100)은 승객 구획(114)와 연결의 해제되고 새로운 사람들을 태우기 위해 건물(5)의 위험층으로 복귀한다. Precise and safe engagement (alignment) of the
이 때,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는 건물(107)(대피한 사람들을 내려놓는 곳)의 보조 부분으로부터 엘리베이터 부분(97)으로 이미 진행하고 이와 정렬된다. 상기 정렬이 완료되고 난 후 승객 구획부(114)의 해치(156)와 독립 구조 엘리베이 터(118)의 해치(157)가 열리고 사람들은 계단(117)의 수직 총안(116)을 통해 승객 구획부((114)로부터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로 내려온다 At this point, the free-standing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의 수용력이 캐빈(100)의 몇 배가 되기 때문에 동시에 캐빈(100)과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를 정렬할 수 있고 또 다른 그룹의 사람들을 캐빈(100)으로부터 구조 엘리베이터(118)로 피신을 위해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작업의 결과로, 시간의 낭비 없이 캐빈(100)은 항상 위험층으로부터 사람들을 적절하게 피신시키도록 한다. Since the capacity of the free-standing
변형예 B- 불과 연기가 미치지 않는 계단과 같이 위험층 아래 위치하는 건물의 일부가 붕괴되지 않는다면 사람들이 대피를 위해 사용될 때 건물의 비상구(154)가 사용된다. 이 경우로,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는 건물(5)의 최하층에서 보조 부분으로 내려갈 필요가 없다.(특히 고층빌딩인 경우)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일단의 대피하는 사람들을 태운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는 건물의 안전한 층으로 하강한다. 거기서, 구조 엘리베이터(118)가 멈추고 엘리베이터(118)의 슬라이딩 도어(155)가 상기 층의 피난 출구(154)에 정렬된다. Variation B- A building's
건물의 비상구(154)의 도어와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의 슬라이딩 도어(155)가 열리고 사람들은 건물 내부로 들어가기 위해 구조 엘리베이터(118)를 떠난다. 이제, 건물의 내부에서 상기와 같이 대피하는 사람들은 내부의 비상 계단으로 내려가고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는 새로운 사람들을 대피시키기 위한 작업을 계속한다.The door of the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부분(97)과 전체의 부착 가능한 구조(텔레스코픽 암(99)와 캐빈(100)과 더불어)는 컨트롤 패널(158)과 리모트 컨트롤(159)의 도움으로 내외부 모두에서 사람에 의해 통제될 수 있다.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부분(97)과 전체의 부착가능한 구조(텔레스코픽 암(99)와 캐빈(100)과 더불어)는 밀봉 열 절연 외부 코팅을 가진다. The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부분(97)과 전체의 부착가능한 구조(텔레스코픽 암(99)와 캐빈(100)과 더불어)에는 원격검침 장비(온도, 거리 제어 및 오염 센서, 캠코더, 장거리 조명 서치라이트 프로젝터(160) 등, 스피커와 라디오)가 제공된다. The
엘리베이터 부분(97), 캐빈(100) 및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는 거품, 물과 산소, 터미널 (163) 및 공급 호스(164)와 같은 소화 자재를 유지하기 위한 보조장치를 위해 구획부(161)를 가진다.
엘리베이터 부분(97), 캐빈(100) 및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에는 이들을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와 터미널(163)이 제공된다. 어떤 층에서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소방작업을 하기 위해, 캐빈(100)에는 장벽, 화재-펌프(146), 해치(65) 및 계단(166)을 가지는 외부의 표면(112)이 제공된다. 엘리베이터 부분(97), 캐빈(100) 및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에는 밀봉 폐쇄 슬라이딩 도어(따라서, 115, 148, 115, 155)와 방화 유리 창문(151)이 설치된다. The
엘리베이터 부분(97), 캐빈(100) 및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의 승객 구획부(114)에는 긴급 의료지원을 위한 약품세트와 산소 마스크 및 청소와 공조 시스템이 제공된다. H 형 레일에는 야간에 전체라일을 시각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조명 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The
화재시 H형 레일의 과열( 및 이에따른 가능한 변형)을 피하기 우해, 열 절연 섹션(167)(예를들어 석면으로 만들어진)이 레일표면에((같은 거리로 윤곽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설치된다. 안전을 위해, 스프링 충격-흡수 장치(190)가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98)의 트레이(190) 상부 부분에 설치된다. In order to avoid overheating (and thus possible deformation) of the H-rail in the event of fire, a thermal insulation section 167 (for example made of asbestos) is installed on the rail surface (without affecting the contour at the same distance). For safety, a spring shock-absorbing
이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H 형 레일(106)은 건물(5)의 외부 표면에 위치하는 수직 총안(98)내에 설치된다. 총안(98)의 깊이는 H 형 레일(106)의 외부 표면이 건물(5)의 외부 한계위로 연장되지 않도록 한다. 도 25 및 2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선회 메카니즘(108)과 연결되고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 텔레스코픽 암(99)을 제공한다. 텔레스코픽 암(99)은 단부에서 클램프(109)가 수직 회전 메카니즘(110)과 함께 선회한다. To maximize utilization, the H-shaped
클램프는 또한 캐빈(100)이 달리는 장벽이 혀성된 외부 플랫폼(112)으로 수직 회전 메카니즘(111)과 함께 선회한다. 캐빈 그 자체는 회전 메카니즘(113)의 도움으로 그 수직 축 주위에 완전히 회전한다. 엘리베이터 부분(97)은 캐빈(100)과의 통하기 위한 슬라이딩 도어(115)를 가지는 승객 구획부(114)와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와 통하기 위한 계단(117)을 가지는 수직 개구(116)를 가진다. The clamp also pivots with the
도 20 및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부분(97)은, 그 탄성 코팅된 타이어(94)와 구동 톱니휠(93)을 통하여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72)과 연결된다. 도 18과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스코픽 암 99와 캐빈(100)과 더불어 전체 부착가능한 구조뿐만 아니라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72)을 가지는 엘리베 이터 부분(97)이 섀시(101)에 설치된다. 엘리베이터 부분은 작동하지 않을 경우, 특별한 격납고(화재시 저장소)에 보관된다. 상기 보관소에 화재 경보가 울리면, 엘리베이터 부분(97)과 함께 상부 표면(102)에 유지되는 섀시(101)가 즉시 화재가 난 건물로 이송된다. As shown in FIGS. 20 and 21, the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가 화재가 난 건물로 이송되면 섀시는 건물의 H형 레일과 보조 부분(107)에 영구적으로 근접하여 위치한다. 그후, 도 23 및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부분(97)과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72)의 설치과정이 시작된다. As shown in FIG. 24, when the chassis is transported to a fired building, the chassis is permanently in close proximity to the H-shaped rail and
엘리베이터 부분(97)과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을 건물 벽(105)에 설치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텔레스코핑 회전 폴(119)은 차량 섀시(101)의 상부 작업 표면(102)에 대해 약 45도 높이로 상승한다. 이때, 그 수직 선회 메카니즘(121)으로 인해, 고정 베드 메카니즘(120)이 정확한 수평을 유지한다. 그 다음, 수평 회전 메카니즘(122)의 도움으로,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 72가 있는 엘리베이터 부분(97)에 고정 베드 메카니즘(120)을 가진 텔레스코핑 회전 폴(119)이 건물(105)에 향하여 회전한다. The installation of the
그 후, 고정 베드 메카니즘(120)은 수직 선회 메카니즘(121)의 도움으로 정확하게 수직 위치로 90도 회전한다. 동시에, 선회 메카니즘(124)의 도움으로 텔레스코픽 암(99)의 제 1 부분이 건물(105)을 향하여 엘리베이터 부분(97)의 수직 축에 대해 약 45도로 하강한다. 선회 메카니즘(108)의 도움으로 텔레스코픽 암의 제 2부분이 텔레스코픽 암(99)의 제 1 부분에 대해 약 90도로 하강한다. 이에따라, 수 직 회전 메카니즘(110)의 도움으로 클램프(109)가 정확하게 수직위치에 있게된다. 클램프 (109)와 동시에, 캐빈(100)이 수직 회전 메카니즘(111)에 의해 정확하게 수직으로 정렬한다. 그 다음 텔레스코핑 회전 폴(119)은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72)의 후방 패널과 건물(105)의 포크 요소(125)가 접촉할 때 까지 건물 벽(105)을 향해 회전한다. Thereafter, the fixed
그 다음, 선회 메카니즘(121)과 회전 메카니즘(126, 127)의 도움으로, 고정 베드 메카니즘(120)의 위치가 H형 레일 부착가능한 섹션(72)의 안내슬롯(128)이 정확하게 대칭이 될대까지 건물(105)의 포크 요소(125)에 대해 모든 표면에서 정렬된다. 그 전에, 장착하는 작업자는 건물(105)의 톱니 형성요소(130)로부터 모든 스크류 데드너(129)를 나사결합한다.Then, with the aid of the
그 다음, 핸드-레일(131)의 도움으로 장착 작업자는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72)을 - 포크 요소(125)의 모든 외부 단부가 슬롯(128)내에 위치할 때까지 을 이끄는 것에 놓일 때까지 수동정정한다. 그 다음,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72)의 후방 패널이 건물(105)과 접촉할 때까지 텔레스코핑 회전 폴(119)을 이동시킨다. Then, with the help of the hand-
이에따라 포크 요소(125)는 완전히 안내 슬롯(128)내에 있게되고 부착가능한 섹션(72)의 상부 부분이 안내 금속 프로필(132)내에 있게된다. 이 때문에, 모서리 요소(134)의 홀(133)은 안내 금속 프로필(132)의 모서리 요소(135)와 함께 수직 축에서 정렬된한다. 장착 작업자는 그 다음 상기 모서리 요소(134)와 모서리 톱니 요소(135)를 스크류(136)가 완전히 정지하도록 나사연결한다. 또한, 작업자는 건물 벽(105)내 톱니 요소(130)로 홀(137)을 통하여 스크류(136)가 완전히 정지하도록 나사연결한다. The
상기 장착 작동의 결과로,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72)은:As a result of the mounting operation, the
- 건물(105)의 포크 요소 상의 수직 평면내 하부부분에 의해 설치된다.Installed by the lower part in the vertical plane on the fork element of the
- 건물의 영구적으로 설치된 H 형 레일(106)과 더불어 수직 평면내 상부 부분에 의해 연결된다.It is connected by an upper part in the vertical plane with a permanently installed H-shaped
- 수평 평면내 중간 부분에 의해 건물 벽(105)으로 가압된다. Pressed into the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72)은 벽 위의 영구적으로 장착된 H 형 레일(106) 하부 단부 부분이고, 이와 완전히 동일하다. 결론적으로, H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72)과 건물에 영구히 장착된 H형 레일은 건물벽(105)에서 통합된 라인을 형성한다. The
엘리베이터 부분(97)과 전체 부착가능한 구조(텔레스코픽 암(99)과 캐빈(100)을 가진)가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72)에 영구적으로 설치됨에 따라, 적하(loading-unloading)되는 베드 구조(120)로부터 상기 부착가능한 구조를 탈거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포크 요소(139)의 홀(138)에서 엘리베이터 부분(97)의 잭 래치(140)가 해제된다. 그 다음, 텔레스코핑 회전 폴(119)를 옮김으로써, 엘리베이터 부분(97)의 몸체에 위치하는 슬롯(141)에서 고정 베드(120)의 포크 요소(139)가 해제된다. Loading-unloading bed as the
상기 작업후 해제된 적하(loading-unloading)되는 고정 베드(120)는 감겨서 섀시(101)의 상부 표면(102)의 이송 위치에 놓인다. (엘리베이터 부분(97)과 부착 가능한 섹션(72)의 탈거 작업이 이와 반대로 이루어진다). The loading-unloading fixed
엘리베이터 부분(97)의 몸체에 위치하는 구동 구조(142)가 활성화되고, 안내 슬롯(144)의 안내랙과 연동하여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72)의 엘리베이터 부분(97)이 움직이기 시작하도록 톱니휠(93)이 구동된다. 동시에, 안내 슬롯(95)내에서 쉴(94)이 움직이기 시작하여 H형 레일의 엘리베이터 부분(97)이 안정된 위치로 고정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부분(97)은 H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72)으로부터 영구적으로 장착된 H형 레일(106)로 진행하고, H형 라인의 길이를따라 양방향에서 건물의 어떤 층으로도 진행할 수 있다. The
따라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빈(100)의 장벽과 함께 외부표면(112)에 장착된 화재/폼 파이프(146)의 도움으로 소방작업을 시작하고 건물(105)의 위험(화재)층으로 엘리베이터 붑ㄴ(97)을 즉시 옮길 수 있게된다. 동시에 엘리베이터 부분(97)과 더불어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를 장착하여 위험층으로의 상승이 시작된다. Thus, as shown in FIG. 27, the fire work starts with the help of the fire /
상기 작업을 보장하기 위해 먼저, H형 레일의 분리된 부착가능한 섹션(72)이 탈거된다. 이것은 다음 절차로 이루어진다:To ensure the operation, first, the detachable
텔레스코핑 회전 폴이 차량 섀시(101)의 상부 작업 표면(102)에 대해 약 45 도 높이로 상승한다. 이때, 베드 메카니즘(120)은 그 수직 선회 메카니즘(121) 때문에 정확하게 수평으로 유지된다. The telescoping rotary pawl rises about 45 degrees relative to the
그 다음, 수평 회전 메카니즘(122)의 도움으로, 고정 베드 메카니즘(120)과 더불어 텔레스코핑 회전 폴(119)이 건물(105)을 향하게 된다. 그 후 고정 베드 메 카니즘(120) 수직 선회 메카니즘(121)의 정확한 수직 위치로 90도 회전한다. 그 다음, 포크 요소(139)가 슬롯(186)에 인접 배치될 때까지 회전 폴(119)은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72)의 하부 부분에 위치하도록 텔레스코핑 건물 벽(105)을 향해 회전한다. Then, with the help of the horizontal
그 다음, 선회 메카니즘(121)과 회전 메카니즘(126, 127)의 도움으로, 고정 베드 메카니즘(120)의 위치는 H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72)의 안내슬롯(186)이 정확하게 대칭이 될 때까지 고정 베드 메카니즘(120)의 포크 요소(139)에 대해 모든 표면에서 정렬된다. 그 다음, 텔레스코핑 회전 폴(119)은 포크 요소(139)가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72)의 안내슬롯(186)내에 완전히 위치할 때까지 이동한다. Then, with the aid of the
몽타주 작업자는 건물 벽(105)내의 톱니 요소(130) 및 안내 금속 프로필(132)의 모서리 요소로부터 스크류를 결합 및 해제한다. 그 후,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72)은 건물 벽(105)에서 완전히 떨어지게 된다. The montage worker engages and disengages the screws from the
텔레스코핑 회전 폴(119)의 도움으로, H 형 레일의 상기 부착가능한 섹션(72)은 포크 요소 (125)에서 제거되고, 일시적인 보관을 위해 건물(105)의 보조 부분(107)에 근접한 높이의 지상으로 하강한다. 이것은 H 형 레일의 부착가능한 섹션(72)이 후에 엘리베이터 부분(97)에서 탈거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제, 건물 벽(105)의 자유 영역에 독립 구조 엘리베이터(118)와 연결된 H 형 레일의 또 다른 부착가능한 섹션(72)을 설치할 수 있게된다. With the aid of the
설치 절차가 다음 실시예에서 서술된다.The installation procedure is described in the following examples.
도 34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는 화재시의 건물(191)이 도시된다. 건물에 소화 및 구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건물은 건물면상의 레일(192)이 제공된다. 동일 높이로 작동하는 레일지지 엘리베이터들(193)은 이들사이의 복도(194)로 지지된다. 상기 복도(194)는 다수의 사람들을 운송하기 위한 큰 바닥 공간이 있다. 복도(194)는 인명구조에 필요한 바닥으로 상하강 된다. 사람들은 그 후 복도(194)내의 반대도어로 사람이 출입하는 건물의 비상문(195)을 사용하여 복도(194)로 접근할 수 있다. 사람들은 건물(191)의 창문 맞은편 도어(197)를 통해 복도(194)로 접근할 수 있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of FIG. 34 shows a
선택적으로, 사람들은 건물면 따라 어떤 지점에서도 복도(194)의 상부에서 발판(199)의 상부로 접근할 수 있다. 안전을 위해 난간(200)이 발판(199) 주위에 제공된다. Optionally, people can access the top of the
사다리(201)와 트랩 도어(202)는 사람들이 발판(199)으로부터 복도(194)로 이송되도록 한다. 복도(194)는 지상으로 하강될 수 있고 사람들은 그 후 도어(203)를 통하여 복도(194)를 나갈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복도(194)는 일층 위치에 있을 수 있고 엘리베이터(204)는 복도로 둘러싸이게 될 수 있으며, 사람들은 복도 바닥의 트랩도어(205)로 접근함으로써 엘리베이터(204)상부의 트랩도어(209) 및 트러스(205)내의 계단 및 개구부를 통하여 복도(1940로부터 엘리베이터(204)로 이송될 수 있다. 복도(194)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건물(191)의 일측면에 있는 두 엘리베이터(193)사이에서 연장되나 건물면이 모든 엘리베이터 사이의 복도보다 더 길 경우 셋이상의 엘리베이터가 있을 수 있 다.Optionally, the
엘리베이터(193)는 역시 건물의 모서리로 연장되는 모서리 복도 부분(210)을 가지게 되어 건물(191)의 인접 모서리상의 두 상기 모서리 복도 부분(210)은 사람들이 건물의 모서리로 대피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도어(212)를 가지는 인접 벽(211)을 형성하기 위해 45도 각도를 이루게 된다.The
복도(194)에 화재 차단 통로가 있다고 가정하면, 상기 복도(194)는 모서리 복도 부분(210)을 통해 모서리 주위의 인접 복도(194)로 움직일 수 있는 사람을 구조하기 위해 바닥에 대기될 수 있다. 사람들은 또한 복도(194)의 상부 및 모서리 복도 부분(210)의 상부의 발판(199)을 안전 이송을 위해 사용할 수 있거나, 게이트(213)를 통과함으로써 인근 발판(199)으로 이송될 수 있다. 사람들은 그 후 제 1 복도(194) 또는 제 2 발판(199)에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고, 화재를 피해 건물로 다시 들어갈 수도 있고, 건물에서 대피하기 위해 내부 건물 계단을 사용할 수 있다. Assuming a
복도(194)와 모서리 복도 부분(210)은 내부의 사람을 보호하기 위해 내외부 방화 벽과 방화 천정 및 마루를 가질 수 있다. 복도(194)내의 내열성 유리 창문(214)은 복도(194)를 주시하고 복도로 빛이 들어오게 하여 승객 보호를 돕는다. 복도(194)는 가볍고 강한 구조를 위해 트러스(208)로 지지된다 트러스(208)를 엘리베이터(193)에 선회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해 트러스가 회전 연결 유닛(215)을 가진다. 복도(194)를 엘리베이터(193)에 연결하는 것은 움직이는 금속 브리지(216)와 주름진 탄성 시쓰(217)를 복도(194)와 엘리베이터(193)사이의 틈에 이음으로써 이 루어진다. 탄성 울타리 섹션(200)은 난간(200)을 엘리베이터(193)의 상부 부분(220)에 연결한다. 엘리베이터(193)내에 창문(214)을 가지는 도어(218)는 사람이 엘리베이터로부터 복도(194)또는 모서리 복도 부분(210)으로 접근하도록 열릴 수 있다. The
엘리베이터(193)의 하부 부분(219)은 승객 캐빈이고 그 상부 부분(220)은 화제 억제 폼(221)과 라이트(223)에 동력을 공급하고 잭(225)에 동력을 공급하는 배터리(232)(축적기)(조명, 관리 장비, 슬라이딩 도어를 위한)가 제어수단(224)과 같은 장비를 운용하기 위해 사용된다.The
호스 연결(226)은 화재시 컨테이너(2210로부터 화재 억제 폼을 분사하기 위해 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건물(191)은 외면에 레일(192)이 부착된다. 상기 레일(192)은 요소에 대한 보호를 위해 빌딩 표면내의 그루브(227)내로 들어가고 H 형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일(192)은 레일(192)에 엘리베이터를 안정시키도록 엘리베이터상에 트러스트 휠(229)을 수용하기 위한 가이드 슬롯(228)을 가진다. 상기 레일(192)은 바람직하게는 전기로머인 구동 유닛(232)으로 회전된느 톱니휠(231)을 연결하기 위한 톱니(230)를 가진다. 상기 구동유닛(232)은 엘리베이터(193, 233, 204)를 승강시키거나, 멈추게 한다. The
레일(192)은 열팽창 또는 수축으로 인한 레일길이 변화를 흡수하도록 일정간격으로 열저항 섹션(234)을 가진다. 상부에 발판(199)을 가진 복도(194)는 소방수와 소방장비를 소방작업이 필요한 층으로 이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화재는 또한 발판(199) 또는 복도(194)로부터 방재될 수 있다. 사이에 복도(210)를 가진 엘리베이터(193)는 보여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격납고(235)내 건물(191)의 상부에 보관될 수 있거나 지상, 지하 또는 건물의 면을 따른 어떤 장소에도 보관될 수 있다.
화재는 크레인(236)을 가지는 엘리베이터(233)의 사용함으로써 방재될 수 있다. 크레인은 사람들을 구조하고, 건물, 복도(194) 또는 발판(199), 엘리베이터(204) 또는 지상의 안전한 장소에 사람들을 이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The fire can be prevented by the use of an
포드(237)는 또한 물 또는 화재용 화학제품 또는 폼을 분무하기 위해 사용되는 노즐(237)을 사용함으로써 소방작업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포드(237)는 또한 건물 또는 지붕 면에 접근하도록 건축 또는 빌딩 유지보수에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서 크레인(236)으로 지지되는 도시된 실시예의 포드(237)는 발(199)위 또는 엘리베이터(204)의 상부위의 지상의 건물(191)의 지붕에 배치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204)는 필요한 소방수, 작업자 또는 설비를 마루에 가져오거나 건물(191)의 어떤 층으로부터 지상으로 사람을 이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233, 204)는 엘리베이터(193)를 레일위로 승강시키도록 동일한 휠(229)과 톱니휠(231)과 구동 유닛(232)을 가진다. 엘리베이터(233)는 건물 차고내와 같은 지상이하의 제 1 층(232)인 지하층에 보관될 수 있다. 사다리(239) 또는 다른 구조물은 제 1층(238)에 보관된 엘리베이터(233) 또는 크레인(236)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204)는 제 2층(240)에서 지하에 보관될 수 있고, 엘리베이터(204)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사다리(239) 또는 다른 구조물을 가질 수 있 다. The
어떤 엘리베이터(193, 233, 204)도 지하에 보관될 수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는 안전을 위해 건물 부근의 지상1층에 개구부 또는 수직 슬롯(242) 주위에 펜스(241)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지붕(243)이 지하의 엘리베이터를 요소 외부에 보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복도(194)가 지상층에 배치되면 계단(244) 또는 다른 구조물은 유지보수를 위해 사용될 수 있거나 발판(199) 접근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193, 233, 204)는 어떤 순서로 동일한 레일(192)상의 건물에 부착될 수 있거나 이들은 엘리베이터(233, 204)가 서로를 통과하도록 하기 위해 분리될 레일 위에 있을 수 있다.Since any
화재 또는 다른 긴급상황시, 복도(194)는 상부로부터 하강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233, 204)는 사람들을 구조하기 위해 상승될 수 있거나, 소방대원, 구조인원 및 장비를 건물의 외부면의 어떤 장소에도 운송할 수 있다. 발판(199), 엘리베이터(204)및 크레인(236)과 포드(237)를 가진 엘리베치터(233)와 함께 복도(194)가 적절한 배치 및 통합되어 사용된다. 불은 꺼질 수 있고 사람들은 건물 내부의 위험 지역 외부로 효과적인 방법으로 구조될 수 있다. 동일한 복도(194), 발판(199), 엘리베이터(204) 및 크레인(236)과 포드(237)를 가진 엘리베이터 (233)가 건설과 예를들어 창문세척과 같은 유지보수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복도(194)는 엘리베이터(233, 204)과 연결되거나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In the event of a fire or other emergency, the
분명히, 본 발명의 많은 수정과 변화는 상술한 바로부터 가능하고,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서술된 바와 다르게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Apparentl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light of the above, 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otherwise than as describ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72)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0/663,260 US7165650B2 (en) | 2002-07-26 | 2003-09-16 |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
US10/663,260 | 2003-09-16 | ||
US10/680,369 US7191873B2 (en) | 2003-10-07 | 2003-10-07 |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
US10/680,369 | 2003-10-07 | ||
US10/793,508 | 2004-03-04 | ||
US10/793,508 US7290640B2 (en) | 2002-07-26 | 2004-03-04 |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24457A true KR20070024457A (en) | 2007-03-02 |
Family
ID=34317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7007174A Ceased KR20070024457A (en) | 2003-09-16 | 2004-09-13 |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EP (1) | EP1725489B1 (en) |
JP (1) | JP2007505799A (en) |
KR (1) | KR20070024457A (en) |
AT (1) | ATE455071T1 (en) |
AU (1) | AU2004271689A1 (en) |
BR (1) | BRPI0414459A (en) |
CA (1) | CA2518236A1 (en) |
GB (1) | GB2421940B (en) |
TR (1) | TR200505388T1 (en) |
WO (1) | WO2005025288A2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31523A (en) | 2015-05-07 | 2016-11-16 | 권동현 | Roof crane apparatus for emergency rescue |
KR20230157548A (en) | 2022-05-09 | 2023-11-17 | 장진문 | Assembly fire-extinguishing equipment for high-rise building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191873B2 (en) * | 2003-10-07 | 2007-03-20 | Pavel V. Korchagin |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
KR100838760B1 (en) * | 2007-06-12 | 2008-06-17 | 한용섭 | Fire escape apparatus for building |
JP2010280251A (en) * | 2009-06-02 | 2010-12-16 | Bin Mamdooh Bin Abdul Aziz Al Saud Naief | Fire extinguishing rescue unit attached to helicopter |
KR101112611B1 (en) | 2011-04-13 | 2012-03-15 |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 Fire repression apparatus of a high building |
CN102518292B (en) * | 2011-12-20 | 2014-06-04 | 深圳市特辰科技股份有限公司 | Lifting material platform and use method for same |
CN103741939B (en) * | 2013-12-25 | 2015-10-21 | 山东省建筑科学研究院 | The outside climbing type CONSTRUCTION OPERATIONS platform of building and mounting method |
CN105727473A (en) * | 2016-04-12 | 2016-07-06 | 华北科技学院 | Plane domain guide rail type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equipment |
KR101755263B1 (en) | 2016-10-31 | 2017-07-07 | 주식회사 천아엔지니어링 | Fire-fighting apparatus for high rise building |
JP6586490B2 (en) * | 2017-12-22 | 2019-10-02 | 西尾レントオール株式会社 | Mobile lifting scaffolds with load lifting devices, construction methods using them, and installation methods thereof |
CN108412187B (en) * | 2018-04-27 | 2024-01-05 | 上海建工四建集团有限公司 | Construction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outer frame structure of ultra-high conjoined group tower |
CN113622701B (en) * | 2021-08-09 | 2022-11-25 | 常熟理工学院 | Corridor structure with elevators installed in multi-storey buildings |
KR102380406B1 (en) * | 2021-11-16 | 2022-03-30 | 홍성우 | Fire suppression device for building fire fighting |
JP7288620B1 (en) | 2022-03-29 | 2023-06-08 | フジテック株式会社 | elevator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945469A (en) * | 1974-01-04 | 1976-03-23 | Dorcich Roy L | Escape elevator |
US4098371A (en) * | 1976-12-20 | 1978-07-04 | Fmc Corporation | Mobile scaffold |
US4469198A (en) * | 1982-04-16 | 1984-09-04 | Crump Robert F | Outside rescue elevator system for high-rise buildings |
US4865155A (en) * | 1988-07-21 | 1989-09-12 | Pegasus International, Inc. | High-rise fire fighting and rescue system |
JP3002079B2 (en) * | 1992-12-07 | 2000-01-24 | 秀夫 谷田 | Telescopic tower |
US5497855A (en) * | 1994-09-15 | 1996-03-12 | Moore; Chester G. | Exterior fire fighting and evacuation system for high rise buildings |
JPH08208155A (en) * | 1995-02-02 | 1996-08-13 | Ando Corp | Elevator for construction work |
IL122059A (en) * | 1997-10-28 | 2003-02-12 | Herstik Arie | Rescue apparatus |
KR100436423B1 (en) * | 1999-10-28 | 2004-06-16 | 다케우치 프리시젼 워크스 가부시키가이샤 | Emergency escape veranda apparatus |
-
2004
- 2004-09-13 JP JP2006525633A patent/JP2007505799A/en active Pending
- 2004-09-13 GB GB0523797A patent/GB2421940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9-13 AU AU2004271689A patent/AU200427168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4-09-13 EP EP04762961A patent/EP1725489B1/en not_active Revoked
- 2004-09-13 TR TR2005/05388T patent/TR200505388T1/en unknown
- 2004-09-13 AT AT04762961T patent/ATE455071T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09-13 BR BRPI0414459-7A patent/BRPI0414459A/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09-13 CA CA002518236A patent/CA2518236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4-09-13 KR KR1020067007174A patent/KR20070024457A/en not_active Ceased
- 2004-09-13 WO PCT/EA2004/000003 patent/WO2005025288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31523A (en) | 2015-05-07 | 2016-11-16 | 권동현 | Roof crane apparatus for emergency rescue |
KR20230157548A (en) | 2022-05-09 | 2023-11-17 | 장진문 | Assembly fire-extinguishing equipment for high-rise build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GB2421940B (en) | 2007-08-15 |
WO2005025288A3 (en) | 2006-05-04 |
GB2421940A (en) | 2006-07-12 |
WO2005025288A2 (en) | 2005-03-24 |
EP1725489A2 (en) | 2006-11-29 |
JP2007505799A (en) | 2007-03-15 |
TR200505388T1 (en) | 2006-11-21 |
CA2518236A1 (en) | 2005-03-24 |
EP1725489B1 (en) | 2010-01-13 |
BRPI0414459A (en) | 2006-11-14 |
AU2004271689A1 (en) | 2005-03-24 |
ATE455071T1 (en) | 2010-01-15 |
GB0523797D0 (en) | 2006-0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406351A (en) | Emergency escape system for use in multistoried buildings | |
US7165650B2 (en) |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 |
US7191873B2 (en) |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 |
JP2009507146A (en) | Lifting system for high-rise buildings | |
US4350224A (en) | Rescue system on high rise buildings for evacuating persons in the case of fire | |
US7597175B2 (en) | Reed's high-rise emergency rescue egress system | |
US20060144639A1 (en) | Building escape railing system | |
KR20070024457A (en) |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 |
US4042066A (en) | Portable emergency fire fighting and rescue elevator | |
RU2009147468A (en) | DEVICE FOR EVACUATION FROM BUILDINGS IN FIRE | |
KR101934979B1 (en) | Fire-fighting building unattended lifesaving device | |
US7204344B2 (en) |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 |
CN108861967A (en) | External wall climbs track rescue system | |
GB2435641A (en) | High-rise fire 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 |
US7036630B2 (en) |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 |
CN105000511A (en) | Pre-embedded guide rail type firefighting rescue system of high-rise and super high-rise building | |
US20050016794A1 (en) |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 |
US7290640B2 (en) |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 |
KR101771712B1 (en) | Fire-fighting building unattended lifesaving device | |
GB2435642A (en) | High-rise fire 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 |
EA008405B1 (en) | An elevator system, a rail therefor, a method for accessing the face of a building | |
RU2355623C2 (en) | Lifting system for maintaining high-rise constructions (versions) | |
RU2651656C1 (en) | Device for people emergency evacuation from the high-rise buildings | |
IT202100015215A1 (en) | Emergency lift system for skyscrapers that runs vertically and translates horizontally, or sub-vertically, always remaining parallel to the facade of the building | |
CN116085029A (en) | Mobile fire intelligent early warning equipment and use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6041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8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8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111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8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