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130746A - 폴리머에 사용되는 첨가제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폴리머에 사용되는 첨가제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0746A
KR20160130746A KR1020167020667A KR20167020667A KR20160130746A KR 20160130746 A KR20160130746 A KR 20160130746A KR 1020167020667 A KR1020167020667 A KR 1020167020667A KR 20167020667 A KR20167020667 A KR 20167020667A KR 20160130746 A KR20160130746 A KR 20160130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ine
additive
polymer
dialkylphosphine
chlor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0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0285B1 (ko
Inventor
지데 리
시영 시아
펭 왕
셍용 차이
린 첸
레이 콩
찬길 루
Original Assignee
광저우 킹스카이 머티어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066421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6013074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광저우 킹스카이 머티어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저우 킹스카이 머티어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130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0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28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28Phosphorus compounds with one or more P—C bonds
    • C07F9/30Phosphinic acids [R2P(=O)(OH)]; Thiophosphinic acids ; [R2P(=X1)(X2H) (X1, X2 are each independently O, S or Se)]
    • C07F9/303Cycloaliphat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 C08K5/5313Phosphinic compounds, e.g. R2=P(:O)O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00Acyclic 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atoms
    • C07C21/02Acyclic 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atoms contain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7C21/04Chloro-alkenes
    • C07C21/06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19/00Metal compound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main groups C07F1/00 - C07F1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28Phosphorus compounds with one or more P—C bonds
    • C07F9/30Phosphinic acids [R2P(=O)(OH)]; Thiophosphinic acids ; [R2P(=X1)(X2H) (X1, X2 are each independently O, S or Se)]
    • C07F9/301Acyclic saturated acids which can have further substituents on alky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6Hal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6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91Complexes with metal-heteroatom-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2Halogenated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Fireproofing Substances (AREA)

Abstract

A: 2개의 치환기를 함유하며 하기 구조식 (I)의 지니는 포스피네이트; 및
B: 전체 첨가제 중의 염소의 중량 함량이 50-900중량ppm인 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폴리머에 사용되는 첨가제가 본 발명에 개시된다:
Figure pct00009

상기 식에서,
R1,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H, C1-C6-알킬 또는 C6-C18-아릴을 나타내고;
M은 Mg, Ca, Al, Zn, 또는 Fe이고;
m은 2-3이다.
첨가제는, 간단한 공정 및 저렴한 생산 비용과 함께, 2개의 치환기를 지니는 포스피네이트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또는 최종 제품에 클로라이드를 첨가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미량의 염소를 지니며 2개의 치환 기를 함유하는 제조된 포스피네이트는 방염제 폴리머에 적용되어 탁월한 백색도 및 우수한 방염제 특성을 지니는 폴리머가 얻어진다.

Description

폴리머에 사용되는 첨가제 및 이의 제조 방법{ADDITIVE USED IN 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폴리머용 첨가제, 특히, 미량의 염소를 지니는 디알킬포스핀 염 및 이의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알킬포스핀 염은 방염제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생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 DE4430932호에는 2개의 치환 기를 지니는 포스핀 염이 폴리에스테르에서 방염제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다. 두 특허 DE19910232호 및 US6248921호에는 2개의 치환 기를 지니는 포스핀 염의 생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US6359171B1호에는 알루미늄 디알킬포스핀을 위한 생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는 먼저 황인을 사용하여 모노알킬포스피네이트를 합성하고, 그 후에 자유 라디칼을 사용하여 비닐화를 개시하고 가수분해 하여 산을 얻고, 이를 알루미늄 염과 반응시켜 알루미늄 디알킬포스피네이트 방염제를 얻는다.
방염제 폴리머를 위한 방염제로서 디알킬포스핀 염의 사용은 방염제 폴리머를 분명히 황색으로 만들 것이다. 그러나, 연구 후에 본 발명은 방염제 디알킬포스핀 염의 분말이 미량의 염소를 함유하는 경우에 상응하는 방염제 폴리머가 매우 탁월한 방염제 성능과 기계적 특성을 달성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방염제 폴리머의 황변 현상이 확실히 개선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미량의 염소를 디알킬포스핀 염에 첨가함으로써, 폴리머 물품의 황변 문제를 확실히 개선시킬 수 있고, 효율적인 방염제 효과를 지니는 폴리머용 첨가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기술 공정, 짧은 반응 기간 및 높은 전체 수율의 특징을 지니는 상기 언급된 폴리머용 첨가제의 생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기술적 해결책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A: 하기 화학식 (I)의 디알킬포스핀 염; 및
B: 전체 첨가제 중의 염소의 중량 함량이 50-900중량ppm, 바람직하게는 60-800중량ppm, 특히 바람직하게는 70-450중량ppm, 특히 100-300중량ppm인 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폴리머용 첨가제: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R1,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H, C1-C6-알킬 또는 C6-C18-아릴, 바람직하게는 에틸, 프로필, 부틸, 헥실 또는 사이클로헥실을 나타내고;
M은 Mg, Ca, Al, Zn, Fe이고;
m은 2-3이다.
본 발명에 기재된 염소의 수득 방법은 염소를 일부 함유하는 반응 원료를 선택하고, 생산 공정 동안 클로라이드를 첨가하는 것일 수 있고, 또한 제품에 클로라이드를 첨가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재된 클로라이드는 염화 올레핀(chlorinated olefin), 염화 나트륨, 염화 칼륨, 염화 알루미늄, 염소 가스, 염산, 차아염소산 나트륨, 염소 함유 커플링제, 예컨대, γ-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커플링제, 염소 함유 방염제, 염소 함유 계면활성제 또는 PVC 중 하나 또는 여러 물질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기재된 염화 올레핀은 1-클로로에틸렌, 1,2-디클로로에틸렌, 3-클로로프로필렌, 4-클로로부틸렌 또는 염화 사이클로헥센 중 하나 또는 여러 물질이다.
상기 기재된 폴리머는 폴리에스테르 (예컨대, PBT, PET), 나일론 (PA6, PA66 등), PPE, TPE, TPU 또는 에폭시 수지, 바람직하게는 PBT, 나일론 또는 PPE이다.
본 발명에 기재된 효율적인 방염제 디알킬포스핀 염은 하기 세 가지 방법을 통해 생산될 수 있다.
방법 1 -
a) 포스핀 염/포스핀산 및 염화 올레핀을 용매 중에 첨가하고, 개시제의 작용으로 올레핀과 반응시켜 클로라이드를 함유하는 디알킬포스핀 염/산 용액을 얻고;
b) 클로라이드를 함유하는 디알킬포스핀 염/산 용액을 금속 화합물과 반응시켜 클로라이드 함유 디알킬포스핀 염을 얻는 절차를 포함하는, 폴리머용 첨가제의 생산 방법으로서,
상기 기재된 포스핀 염이 차아인산 나트륨 또는 차아인산 칼륨이고;
상기 기재된 금속 화합물이 Mg, Ca, Al, Zn 및 Fe의 금속 화합물이고;
상기 기재된 염화 올레핀이 1-클로로에틸렌, 1,2-디클로로에틸렌, 3-클로로프로필렌, 4-클로로부틸렌 또는 염화 사이클로헥센 중 하나 또는 여러 물질인 방법.
방법 1은 디알킬포스핀 염의 생산 공정 동안 염화 올레핀을 첨가하여 미량의 염소를 함유하는 디알킬포스핀 염을 얻는 것이다. 공지된 기술이 디알킬포스핀 염을 합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된 용매는 사이클로헥산 및/또는 사이클로헥센이고; 상기 기재된 개시제는 아조-개시제, 유기 과산화물 개시제 또는 무기 과산화물 개시제이고; 상기 기재된 올레핀은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이소-부틸렌 또는 펜텐 중 하나 또는 여러 혼합물이다.
방법 2 -
디알킬포스핀 염 용액을 첨가제 I을 함유하는 금속 화합물 수용액과 반응시켜 상응하는 디알킬포스핀 염을 얻는 절차를 포함하는, 폴리머용 첨가제의 생산 방법으로서,
상기 기재된 첨가제 I이 NaCl, KCl, AlCl3, 염소 가스, 염산, 차아염소산 나트륨, 염소 함유 커플링제, 염소 함유 계면활성제 중 하나 또는 여러 물질이고;
상기 기재된 금속 화합물이 Mg, Ca, Al, Zn 및 Fe의 금속 화합물이고;
상기 기재된 디알킬포스핀 염이 소듐 디알킬포스피네이트 또는 포타슘 디알킬포스피네이트인 방법.
방법 3 -
디알킬포스핀 염의 여과 공정 또는 세척 공정 또는 건조 공정 동안 첨가제 II를 첨가하여 클로라이드를 함유하는 디알킬포스핀 염을 얻는 절차를 포함하는, 폴리머용 첨가제의 생산 방법으로서,
상기 기재된 첨가제 II가 NaCl, KCl, AlCl3, 염소 함유 방염제, 염소 함유 커플링제, 염소 함유 계면활성제 또는 PVC 중 하나 또는 여러 물질인 방법.
본 발명에는 또한 상기 언급된 폴리머용 첨가제의 방염제로서의 용도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는 또한 5-20 중량부의 폴리머용 첨가제 및 50-70 중량부의 폴리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상기 언급된 첨가제를 함유하는 폴리머 물질로서, 폴리머용 첨가제가
A: 하기 화학식 (I)의 디알킬포스핀염; 및
B: 전체 첨가제 중의 염소의 중량 함량이 50-900중량ppm, 바람직하게는 60-800중량ppm, 특히 바람직하게는 70-450중량ppm, 특히 100-300중량ppm인 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폴리머 물질이 개시된다:
Figure pct00002
상기 식에서,
R1,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H, C1-C6-알킬 또는 C6-C18-아릴, 바람직하게는 에틸, 프로필, 부틸, 헥실 또는 사이클로헥실을 나타내고;
M은 Mg, Ca, Al, Zn, Fe이고;
m은 2-3이다.
상기 기재된 클로라이드는 염화 올레핀, 염화 나트륨, 염화 칼륨, 염화 알루미늄, 염소 가스, 염산, 차아염소산 나트륨, 염소 함유 커플링제, 예컨대, γ-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커플링제, 염소 함유 방염제, 염소 함유 계면활성제 또는 PVC 중 하나 또는 여러 물질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기재된 염화 올레핀은 1-클로로에틸렌, 1,2-디클로로에틸렌, 3-클로로프로필렌, 4-클로로부틸렌 또는 염화 사이클로헥센 중 하나 또는 여러 물질이다.
상기 기재된 폴리머는 폴리에스테르 (예컨대, PBT, PET), 나일론 (PA6, PA66 등), PPE, TPE, TPU 또는 에폭시 수지, 바람직하게는 PBT, 나일론 또는 PPE이다.
본 발명에 기재된 폴리머 물질은 원료의 상이한 성능 요건에 따라 첨가된 상이한 첨가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15-30 중량부의 유리 섬유 및 1-5 중량부의 다른 첨가제를 또한 포함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비해 하기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지닌다:
1) 본 발명에서 생산된 미량의 염소를 함유하는 디알킬포스핀 염의 방염제로서 폴리머에서의 적용으로 탁월한 백색도를 지니는 폴리머 제품이 얻어질 수 있고, 방염제로서 순수한 디알킬포스핀 염으로 폴리머 공정 개질 후에 폴리머 물품을 황변시키는 문제가 해결되는 것으로 실험에 의해 밝혀졌다.
2) 본 발명에서 생산된 미량의 염소를 함유하는 디알킬포스핀 염은 매우 효율적인 방염제 성능을 지니는 것으로 실험에 의해 밝혀졌다.
3) 본 발명은 디알킬포스핀 염의 생산 공정 동안 또는 최종 제품에 클로라이드를 첨가함으로써, 간단한 기술 공정 및 저렴한 생산 비용의 특징을 지니는 미량의 염소를 함유하는 디알킬포스핀 염을 얻을 수 있다.
구체예
본 발명은 하기 구체예에 의해 추가로 기재되고, 하기 실시예는 비교적 우수한 구체예이지만 본 발명의 구체예는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비교예 1:
2120.0g (20mol)의 차아인산 나트륨, 1320.0g (10mol) 50wt%의 포스핀산, 27.2g (0.3mol% 포스핀산 이온)의 1,1-디-(3차-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 및 3000g의 물을 압력 반응기에 충전시키고, 이를 배기하고, 질소 가스로 3회 교체시켰다. 이를 다시 배기한 후, 압축해제기(decompressor)를 통해 에틸렌을 퍼징하고, 압력을 2.0MPa로 제어하였다. 87℃로 가열하고, 5h 동안 유지시켰다. 95℃로 가열하고, 54.4g (0.6mol% 포스핀산 이온)의 1,1-디-(3차-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을 5h 이내로 계속 보충하였다. 100℃로 가열하고, 1h 동안 유지시켰다. 냉각시키고, 배기하였다. 8303.0g의 소듐 디에틸포스피네이트와 디에틸포스핀산 혼합물 용액을 얻었는데, 이는 1779.9g의 에틸렌 흡수량(105.95%의 이론 양)과 같았다
31P-NMR 분석:
디에틸포스핀산의 몰 함량: 96.7%
에틸부틸포스핀산의 몰 함량: 1.4%
에틸포스핀산의 몰 함량: 0.9%
그 밖의 물질의 몰 함량: 1.0%
830.3g의 소듐 디에틸포스피네이트와 디에틸포스핀산 혼합물 용액을 취하고, 1600g의 물을 첨가하고, 이를 30%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중화시켰다. 90℃로 가열하고, 333.0g (0.5mol)의 알루미늄 설페이트 18수화물 및 1332g의 물로 제조된 20% 알루미늄 설페이트 18수화물 용액을 1.5h 이내로 적가하였다. 90℃로 1h 동안 가열하였다. 여과하고, 2000L의 물로 3회 세척하여 여과 케이크를 얻었는데, 이를 130℃에서 일정한 중량으로 건조시켰다. 372.2g의 알루미늄 디에틸포스피네이트를 얻었고, 수율은 95.44%였다.
염소 함량: 검출불능이거나 검출 한계보다 낮음.
비교예 2:
2120.0g (20mol)의 차아인산 나트륨, 1320.0g (10mol)의 50% 포스핀산, 27.2g (0.3mol% 포스핀산 이온)의 1,1-디-(3차-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 및 3000g의 물을 압력 반응기에 충전시키고, 이를 배기하고, 질소 가스로 3회 교체시켰다. 이를 다시 배기하고, 압축해제기를 통해 약 25g의 클로로에틸렌을 퍼징한 후 에틸렌을 퍼징하고, 압력을 2.0MPa로 제어하였다. 87℃로 가열하고, 5h 동안 유지시켰다. 95℃로 가열하고, 54.4g (0.6mol% 포스핀산 이온)의 1,1-디-(3차-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을 5h 이내로 계속 보충하였다. 100℃로 가열하고, 1h 동안 유지시켰다. 냉각시키고, 배기하였다. 8293.8g의 소듐 디에틸포스피네이트와 디에틸포스핀산 혼합물 용액을 얻었는데, 이는 1771.2g의 에틸렌 흡수량(105.4%의 이론 양)과 같았다.
31P-NMR 분석:
디에틸포스핀산의 몰 함량: 95.9%
에틸부틸포스핀산의 몰 함량: 2.0%
에틸포스핀산의 몰 함량: 1.1%
그 밖의 물질들의 몰 함량: 1.0%
830.3g의 소듐 디에틸포스피네이트와 디에틸포스핀산 혼합물 용액을 취하고, 1600g의 물을 첨가하고, 이를 30%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중화시켰다. 90℃로 가열하고, 333.0g (0.5mol)의 알루미늄 설페이트 18수화물 및 1332g의 물로 제조된 20% 알루미늄 설페이트 18수화물을 1.5h 이내로 적가하였다. 90℃에서 1h 동안 유지시켰다. 여과하고, 2000L의 물로 3회 세척하여 여과 케이크를 얻었고, 이를 130 ℃에서 일정한 중량으로 건조시켰다. 371.3g의 알루미늄 디에틸포스피네이트를 얻었고, 수율은 95.2%였다.
염소 함량: 1158ppm.
실시예 1:
2120.0g (20mol)의 차아인산 나트륨, 1320.0g (10mol)의 50% 포스핀산, 27.2g (0.3mol% 포스핀산 이온)의 1,1-디-(3차-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 및 3000g의 물을 압력 반응기에 충전시키고, 이를 배기하고, 질소 가스로 3회 교체시켰다. 이를 다시 배기하고, 압축해제기를 통해 약 1g의 클로로에틸렌을 퍼징한 후 에틸렌을 퍼징하고, 압력을 2.5MPa로 제어하였다. 87℃로 가열하고, 5h 동안 유지시켰다. 95℃로 가열하고, 54.4g (0.6mol% 포스핀산 이온)의 1,1-디-(3차-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을 5h 이내로 계속 보충하였다. 100℃로 가열하고, 1h 동안 유지시켰다. 냉각시키고, 배기하였다. 8297.4g의 소듐 디에틸포스피네이트와 디에틸포스핀산 혼합물 용액을 얻었는데, 이는 1774.8g 에틸렌 흡수량(105.6%의 이론 양)과 같았다.
31P-NMR 분석:
디에틸포스핀산의 몰 함량: 96.2%
에틸부틸포스핀산의 몰 함량: 2.2%
에틸포스핀산 몰의 함량: 1.0%
그 밖의 물질들의 몰 함량: 0.6%
829.7g의 소듐 디에틸포스피네이트와 디에틸포스핀산 혼합물 용액을 취하고, 1600g의 물을 첨가하고, 이를 30%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중화시켰다. 90℃로 가열하고, 333.0g (0.5mol)의 알루미늄 설페이트 18수화물 및 1332g의 물로 제조된 20% 알루미늄 설페이트 18수화물을 1.5h 이내로 적가하였다. 90℃로 1h 동안 가열하였다. 여과하고, 2000L의 물로 3회 세척하여 여과 케이크를 얻었고, 이를 130℃에서 일정한 중량으로 건조시켰다. 372.6g 알루미늄 디에틸포스피네이트를 얻었고, 수율은 95.5%였다.
염소 함량: 53ppm.
실시예 2:
2120.0g (20mol)의 차아인산 나트륨, 1320.0g (10mol)의 50% 포스핀산, 27.2g (0.3mol% 포스핀산 이온)의 1,1-디-(3차-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 및 3000g의 물을 압력 반응기에 충전시키고, 이를 배기하고 질소 가스로 3회 교체시켰다. 이를 다시 배기하고, 압축해제기를 통해 약 1.4g의 클로로에틸렌을 퍼징한 후 에틸렌을 퍼징하고, 압력을 2.0MPa로 제어하였다. 87℃로 가열하고, 5h 동안 유지시켰다. 95℃로 가열하고, 54.4g (0.6mol% 포스핀산 이온)의 1,1-디-(3차-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을 5h 이내로 계속 보충하였다. 100℃로 가열하고, 1h 동안 유지시켰다. 냉각시키고, 배기하였다. 8298.9g의 소듐 디에틸포스피네이트와 디에틸포스핀산 혼합물 용액을 얻었는데, 이는 1775.9g의 에틸렌 흡수량(105.7%의 이론 양)과 같았다.
31P-NMR 분석:
디에틸포스핀산의 몰 함량: 96.1%
에틸부틸포스핀산의 몰 함량: 2.0%
에틸포스핀산의 몰 함량: 1.1%
그 밖의 물질들의 몰 함량: 0.8%
829.9g의 소듐 디에틸포스피네이트와 디에틸포스핀산 혼합물 용액을 취하고, 1600g의 물을 첨가하고, 이를 30%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중화시켰다. 90℃로 가열하고, 333.0g (0.5mol)의 알루미늄 설페이트 18수화물 및 1332g의 물로 제조된 20% 알루미늄 설페이트 18수화물 용액을 1.5h 이내로 적가하였다. 90℃에서 1h 동안 유지시켰다. 여과하고, 2000L의 물로 3회 세척하여 여과 케이크를 얻었고, 이를 130℃에서 일정한 중량으로 건조시켰다. 373.9g의 알루미늄 디에틸포스피네이트를 얻었고, 수율은 95.9%였다.
염소 함량: 85ppm.
실시예 3:
2120.0g (20mol)의 차아인산 나트륨, 1320.0g (10mol)의 50% 포스핀산, 27.2g (0.3mol% 포스핀산 이온)의 1,1-디-(3차-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 및 3000g의 물을 압력 반응기에 충전시키고, 이를 배기하고, 질소 가스로 3회 교체시켰다. 이를 다시 배기하고, 압축해제기를 통해 약 2.3g 클로로에틸렌을 퍼징한 후 에틸렌을 퍼징하고, 압력을 1.8MPa로 제어하였다. 87℃로 가열하고, 5h 동안 유지시켰다. 95℃로 가열하고, 54.4g (0.6mol% 포스핀산 이온)의 1,1-디-(3차-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을 5h 이내로 계속 보충하였다. 100℃로 가열하고, 1h 동안 유지시켰다. 냉각시키고, 배기하였다. 8296.6g의 소듐 디에틸포스피네이트와 디에틸포스핀산 혼합물 용액을 얻었는데, 이는 1772.1g의 에틸렌 흡수량(105.5%의 이론 양)과 같았다.
31P-NMR 분석:
디에틸포스핀산의 몰 함량: 96.8%
에틸부틸포스핀산의 몰 함량: 2.1%
에틸포스핀산의 몰 함량: 1.2%
그 밖의 물질들의 몰 함량: 0.9%
829.7g의 소듐 디에틸포스피네이트와 디에틸포스핀산 혼합물 용액을 취하고, 1600g의 물을 첨가하고, 이를 30%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중화시켰다. 90℃로 가열하고, 333.0g (0.5mol)의 알루미늄 설페이트 18수화물 및 1332g의 물로 제조된 20% 알루미늄 설페이트 18수화물 용액을 1.5h 이내로 적가하였다. 90℃에서 1h 동안 유지시켰다. 여과하고, 2000L의 물로 3회 세척하여 여과 케이크를 얻었고, 이를 130℃에서 일정한 중량으로 건조시켰다. 373.2g의 알루미늄 디에틸포스피네이트를 얻었고, 수율은 95.7%였다.
염소 함량: 103ppm.
실시예 4:
2120.0g (20mol)의 차아인산 나트륨, 1320.0g (10mol)의 50% 포스핀산, 27.2g (0.3mol% 포스핀산 이온)의 1,1-디-(3차-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 및 3000g의 물을 압력 반응기에 충전시키고, 이를 배기하고, 질소 가스로 3회 교체시켰다. 이를 다시 배기하고, 압축해제기를 통해 약 11g의 클로로에틸렌을 퍼징한 후 에틸렌을 퍼징하고, 압력을 1.5MPa로 제어하였다. 87℃로 가열하고, 5h 동안 유지시켰다. 95℃로 가열하고, 54.4g (0.6mol% 포스핀산 이온)의 1,1-디-(3차-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을 5h 이내로 계속 보충하였다. 100℃로 가열하고, 1h 동안 유지시켰다. 냉각시키고, 배기하였다. 8303.2g의 소듐 디에틸포스피네이트와 디에틸포스핀산 혼합물 용액을 얻었는데, 이는 1770.6g의 에틸렌 흡수량(105.4%의 이론 양)과 같았다.
31P-NMR 분석:
디에틸포스핀산의 몰 함량: 95.6%
에틸부틸포스핀산의 몰 함량: 2.3%
에틸포스핀산의 몰 함량: 1.3%
그 밖의 물질들의 몰 함량: 0.8%
830.3g의 소듐 디에틸포스피네이트와 디에틸포스핀산 혼합물 용액을 취하고, 1600g의 물을 첨가하고, 이를 30%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중화시켰다. 90℃로 가열하고, 333.0g (0.5mol)의 알루미늄 설페이트 18수화물 및 1332g의 물로 제조된 20% 알루미늄 설페이트 18수화물 용액을 1.5h 이내로 적가하였다. 90℃에서 1h 동안 유지시켰다. 여과하고, 2000L의 물로 3회 세척하여 여과 케이크를 얻었고, 이를 130℃에서 일정한 중량으로 건조시켰다. 374.7g의 알루미늄 디에틸포스피네이트를 얻었고, 수율은 96.1%였다.
염소 함량: 452ppm.
실시예 5:
2120.0g (20mol)의 차아인산 나트륨, 1320.0g (10mol)의 50% 포스핀산, 27.2g (0.3mol% 포스핀산 이온)의 1,1-디-(3차-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 및 3000g의 물을 압력 반응기에 충전시키고, 이를 배기하고, 질소 가스로 3회 교체시켰다. 이를 다시 배기하고, 압축해제기를 통해 약 18g의 클로로에틸렌을 퍼징한 후 에틸렌을 퍼징하고, 압력을 2.0MPa로 제어하였다. 87℃로 가열하고, 5h 동안 유지시켰다. 95℃로 가열하고, 54.4g (0.6mol% 포스핀산 이온)의 1,1-디-(3차-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을 5h 이내로 계속 보충하였다. 100℃로 가열하고, 1h 동안 유지시켰다. 냉각시키고, 배기하였다. 8308.7g의 소듐 디에틸포스피네이트와 디에틸포스핀산 혼합물 용액을 얻었는데, 이는 1759.1g의 에틸렌 흡수량(104.7%의 이론 양)과 같았다.
31P-NMR 분석:
디에틸포스핀산의 몰 함량: 95.4%
에틸부틸포스핀산의 몰 함량: 2.4%
에틸포스핀산의 몰 함량: 1.2%
그 밖의 물질들의 몰 함량: 1.0%
830.9g의 소듐 디에틸포스피네이트와 디에틸포스핀산 혼합물 용액을 취하고, 1600g의 물을 첨가하고, 이를 30%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중화시켰다. 90℃로 가열하고, 333.0g (0.5mol)의 알루미늄 설페이트 18수화물 및 1332g의 물로 제조된 20% 알루미늄 설페이트 18수화물 용액을 1.5h 이내로 적가하였다. 90℃에서 1h 동안 유지시켰다. 여과하고, 2000L의 물로 3회 세척하여 여과 케이크를 얻었고, 이를 130℃에서 일정한 중량으로 건조시켰다. 375.2g의 알루미늄 디에틸포스피네이트를 얻었고, 수율은 96.2%였다.
염소 함량: 679ppm.
실시예 6:
2120.0g (20mol)의 차아인산 나트륨, 1320.0g (10mol)의 50% 포스핀산, 27.2g (0.3mol% 포스핀산 이온)의 1,1-디-(3차-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 및 3000g의 물을 압력 반응기에 충전시키고, 이를 배기하고, 질소 가스로 3회 교체시켰다. 이를 다시 배기하고, 압축해제기를 통해 약 27g의 클로로에틸렌을 퍼징한 후 에틸렌을 퍼징하고, 압력을 2.0MPa로 제어하였다. 87℃로 가열하고, 5h 동안 유지시켰다. 95℃로 가열하고, 54.4g (0.6mol% 포스핀산 이온)의 1,1-디-(3차-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을 5h 이내로 계속 보충하였다. 100℃로 가열하고, 1h 동안 유지시켰다. 냉각시키고, 배기하였다. 8314.6g의 소듐 디에틸포스피네이트와 디에틸포스핀산 혼합물 용액을 얻었는데, 이는 1766.0g의 에틸렌 흡수량(105.1%의 이론 양)과 같았다.
31P-NMR 분석:
디에틸포스핀산의 몰 함량: 96.5%
에틸부틸포스핀산의 몰 함량: 1.6%
에틸포스핀산의 몰 함량: 1.0%
그 밖의 물질들의 몰 함량: 0.9%
831.4g의 소듐 디에틸포스피네이트와 디에틸포스핀산 혼합물 용액을 취하고, 1600g의 물을 첨가하고, 이를 30%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중화시켰다. 90℃로 가열하고, 333.0g (0.5mol)의 알루미늄 설페이트 18수화물 및 1332g의 물로 제조된 20% 알루미늄 설페이트 18수화물 용액을 1.5h 이내로 적가하였다. 90℃에서 1h 동안 유지시켰다. 여과하고, 2000L의 물로 3회 세척하여 여과 케이크를 얻었고, 이를 130℃에서 일정한 중량으로 건조시켰다. 375.9g의 알루미늄 디에틸포스피네이트를 얻었고, 수율은 96.4%였다.
염소 함량: 885ppm.
실시예 7:
2120.0g (20mol)의 차아인산 나트륨, 1320.0g (10mol)의 50% 포스핀산, 5412g (66mol)의 사이클로헥센, 27.2g (0.3mol% 포스핀산 이온)의 1,1-디-(3차-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 및 3000g의 물을 압력 반응기에 충전시키고, 이를 배기하고, 질소 가스로 3회 교체시켰다. 이를 다시 배기하고, 약 1.5g의 3-클로로프로필렌을 퍼징하였다. 87℃로 가열하고, 5h 동안 유지시켰다. 95℃로 가열하고, 54.4g (0.6mol% 포스핀산 이온)의 1,1-디-(3차-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을 5h 이내로 계속 보충하였다. 100℃로 가열하고, 1h 동안 유지시켰다. 냉각시키고, 배기하였다. 11933.6g의 소듐 디사이클로헥실포스피네이트와 디사이클로헥실포스핀산 혼합물 용액을 얻었다.
31P-NMR 분석:
디사이클로헥실포스핀산의 몰 함량: 93.8%
사이클로헥실포스핀산의 몰 함량: 3.4%
그 밖의 물질들의 몰 함량: 2.8%
1193.4g의 소듐 디사이클로헥실포스피네이트와 디사이클로헥실포스핀산 혼합물 용액을 취하고, 1600g의 물을 첨가하고, 이를 30%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중화시켰다. 90℃로 가열하고, 180.6g (1.5mol)의 무수 마그네슘 설페이트 및 682.3g의 물로 제조된 15% 무수 마그네슘 설페이트 용액을 1.5h 이내로 적가하였다. 90℃에서 1h 동안 유지시켰다. 여과하고, 1000L의 물로 3회 세척하여 여과 케이크를 얻었고, 이를 130℃에서 일정한 중량으로 건조시켰다. 561.1g의 알루미늄 디사이클로헥실포스피네이트를 얻었고, 수율은 77.61%였다.
염소 함량: 74ppm.
실시예 8:
2120.0g (20mol)의 차아인산 나트륨, 1320.0g (10mol)의 50% 포스핀산, 27.2g (0.3mol% 포스핀산 이온)의 1,1-디-(3차-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 및 3000g의 물을 압력 반응기에 충전시키고, 이를 배기하고, 질소 가스로 3회 교체시켰다. 이를 다시 배기하고, 압축해제기를 통해 약 2.0g의 4-클로로-1-부틸렌을 퍼징한 후 프로필렌을 퍼징하고, 압력을 1.5MPa로 제어하였다. 87℃로 가열하고, 6h 동안 유지시켰다. 95℃로 가열하고, 54.4g (0.6mol% 포스핀산 이온)의 1,1-디-(3차-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을 5h 이내로 계속 보충하였다. 100℃로 가열하고, 1h 동안 유지시켰다. 냉각시키고, 배기하였다. 9146.4g의 소듐 디프로필포스피네이트와 디프로필포스핀산 혼합물 용액을 얻었는데, 이는 2623.3g의 프로필렌 흡수량(103.10%의 이론 양)과 같았다.
31P-NMR 분석:
디프로필포스핀산의 몰 함량: 95.0%
프로필포스핀산의 몰 함량: 3.2%
그 밖의 물질들의 몰 함량: 1.8%
914.6g의 소듐 디프로필포스피네이트와 디프로필포스핀산 혼합물 용액을 취하고, 1750g의 물을 첨가하고, 이를 30%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중화시켰다. 90℃로 가열하고, 200.0 g(0.5mol)의 무수 페릭 설페이트 및 1133.2g의 물로 제조된 15% 무수 페릭 설페이트 용액을 1.5h 이내로 적가하였다. 90℃에서 1h 동안 유지시켰다. 여과하고, 1500L의 물로 3회 세척하여 여과 케이크를 얻었고, 이를 130℃에서 일정한 중량으로 건조시켰다. 382.3g의 페릭 디프로필포스피네이트를 얻었고, 수율은 91.25%였다.
염소 함량: 55ppm.
실시예 9:
2120.0g (20mol)의 차아인산 나트륨, 1320.0g (10mol)의 50% 포스핀산, 27.2g (0.3mol% 포스핀산 이온)의 1,1-디-(3차-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 및 3000g의 물을 압력 반응기에 충전시키고, 이를 배기하고, 질소 가스로 3회 교체시켰다. 이를 다시 배기하고, 압축해제기를 통해 약 5.0g 3-클로로사이클로헥센을 퍼징한 후 부틸렌을 퍼징하고, 압력을 1.0MPa로 제어하였다. 87℃로 가열하고, 5h 동안 유지시켰다. 95℃로 가열하고, 54.4g (0.6mol% 포스핀산 이온)의 1,1-디-(3차-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을 5h 이내로 계속 보충하였다. 100℃로 가열하고, 1h 동안 유지시켰다. 냉각시키고, 배기하였다. 8298.1g의 소듐 디부틸포스피네이트와 디부틸포스핀산 혼합물 용액을 얻었는데, 이는 1775.0g의 부틸렌 흡수량(105.65%의 이론 양)과 같았다.
31P-NMR 분석:
디부틸포스핀산의 몰 함량: 95.4%
부틸포스핀산의 몰 함량: 2.9%
그 밖의 물질들의 몰 함량: 1.7%
829.8g의 소듐 디부틸포스피네이트와 디부틸포스핀산 혼합물 용액을 취하고, 1600g의 물을 첨가하고, 이를 30%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중화시켰다. 90℃로 가열하고, 431.4g (1.5mol)의 아연 설페이트 7수화물 및 1294.2g의 물로 제조된 25% 아연 설페이트 7수화물 용액을 1.5h 이내로 적가하였다. 90℃에서 1h 동안 유지시켰다. 여과하고, 2000L의 물로 3회 세척하여 여과 케이크를 얻었고, 이를 130℃에서 일정한 중량으로 건조시켰다. 583.7g의 아연 디부틸포스피네이트를 얻었고, 수율은 92.87%였다.
염소 함량: 93ppm.
실시예 10:
277.7g (0.417mol)의 알루미늄 설페이트 18수화물, 22.4g (0.093mol)의 염화 알루미늄 6수화물 및 900g의 물을 용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90℃로 예열된 2000g (2.78mol)의 20wt% 소듐 디에틸포스피네이트에 1h 이내로 적가하였다. 90℃에서 1h 동안 유지시켰다. 여과하고, 600mL의 물로 4회 세척하여 여과 케이크를 얻었고, 이를 130℃에서 일정한 중량으로 건조시켰다. 353.7g의 알루미늄 디에틸포스피네이트를 얻었고, 수율은 97.87%였다.
염소 함량: 74ppm.
실시예 11:
223.7g (0.927mol)의 염화 알루미늄 6수화물 및 900g의 물을 용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90℃로 예열된 2000g (2.78mol)의 20wt% 소듐 디에틸포스피네이트에 1h 이내로 적가하였다. 90℃에서 1h 동안 유지시켰다. 여과하고, 600mL의 물로 4회 세척하여 여과 케이크를 얻었고, 이를 130℃에서 일정한 중량으로 건조시켰다. 353.2g의 알루미늄 디에틸포스피네이트를 얻었고, 수율은 97.73%였다.
염소 함량: 873ppm.
실시예 12:
277.7g (0.463mol)의 알루미늄 설페이트 18수화물, 16.26g (0.28mol)의 염화 나트륨 및 900g의 물을 용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90℃로 예열된 2000g (2.78mol)의 20wt% 소듐 디에틸포스피네이트에 1h 이내로 적가하였다. 90℃에서 1h 동안 유지시켰다. 여과하고, 600mL의 물로 4회 세척하여 여과 케이크를 얻었고, 이를 130℃에서 일정한 중량으로 건조시켰다. 351.0g의 알루미늄 디에틸포스피네이트를 얻었고, 수율은 97.11%였다.
염소 함량: 329ppm.
실시예 13:
277.7g (0.463mol)의 알루미늄 설페이트 18수화물, 62.58g (0.84mol)의 염화 칼륨 및 900g의 물을 용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90℃로 예열된 2000g (2.78mol)의 20wt% 소듐 디에틸포스피네이트에 1h 이내로 적가하였다. 90℃에서 1h 동안 유지시켰다. 여과하고, 600mL의 물로 4회 세척하여 여과 케이크를 얻었고, 이를 130℃에서 일정한 중량으로 건조시켰다. 353.2g의 알루미늄 디에틸포스피네이트를 얻었고, 수율은 97.73%였다.
염소 함량: 522ppm.
실시예 14:
154.3g (1.39mol)의 무수 염화 칼슘 및 250g의 물을 용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90℃로 예열된 1000g (2.78mol)의 40wt% 소듐 디에틸포스피네이트에 1h 이내로 적가하였다. 여과하고, 600mL의 물로 3회 세척하여 여과 케이크를 얻었고, 이를 130℃에서 일정한 중량으로 건조시켰다. 147.1g의 알루미늄 디에틸포스피네이트를 얻었고, 수율은 37.54%였다.
염소 함량: 669ppm.
실시예 15:
비교예 1로서 제조된 830.3g의 소듐 디에틸포스피네이트와 디에틸포스핀산 혼합물 용액을 취하고, 1600g의 물을 첨가하고, 이를 30%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중화시켰다. 90℃로 가열하고, 333.0g (0.5mol)의 알루미늄 설페이트 18수화물 및 1332g의 물로 제조된 20% 알루미늄 설페이트 18수화물 용액을 1.5h 이내로 적가하였다. 90℃에서 1h 동안 유지시켰다. 여과하고, 1wt% γ-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하는 2000L의 물로 3회 세척하여 여과 케이크를 얻었고, 이를 130℃에서 일정한 중량으로 건조시켰다. 373.1g의 알루미늄 디에틸포스피네이트를 얻었다.
염소 함량: 98ppm.
실시예 16:
비교예 1로서 제조된 830.3g의 소듐 디에틸포스피네이트와 디에틸포스핀산 혼합물 용액을 취하고, 1600g의 물을 첨가하고, 이를 30%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중화시켰다. 90℃로 가열하고, 333.0g (0.5mol)의 알루미늄 설페이트 18수화물 및 1332g의 물로 제조된 20% 알루미늄 설페이트 18수화물 용액을 1.5h 이내로 적가하였다. 90℃에서 1h 동안 유지시켰다. 여과하고, 2wt% γ-클로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하는 2000L의 물로 3회 세척하고, 이를 130℃에서 일정한 중량으로 건조시켰다. 373.1g의 알루미늄 디에틸포스피네이트를 얻었다.
염소 함량: 105ppm.
실시예 17:
비교예 1로서 제조된 1000g의 건조된 알루미늄 디에틸포스피네이트 분말 및 1.2g의 염화 파라핀 cp70을 취하고, 이들을 고속 혼합기에서 20min 동안 혼합하였다. 염소를 함유하는 알루미늄 디에틸포스피네이트 방염제를 얻었다.
염소 함량: 857ppm.
실시예 18:
비교예 1로서 제조된 1000g의 건조된 알루미늄 디에틸포스피네이트 분말 및 1.2g의 펜타클로로 메틸 스테아레이트를 취하고, 이들을 고속 혼합기에서 20min 동안 혼합하였다. 염소를 함유하는 알루미늄 디에틸포스피네이트 방염제 분말을 얻었다.
염소 함량: 427ppm.
실시예 19-38:
실시예 1-18 (A1-A18) 및 비교예 1-2 (B1-B2)로부터 얻어진 디알킬포스핀 염을 PBT, 유리 섬유 및 첨가제와 230-260℃에서 중량비 9:50:30:11로 혼합하고, 2축 압출기로부터 압출하여 방염성 열가소성 폴리머 몰딩 물질을 얻었다. 이들의 연소 성능 및 기계적 특성을 시험하기 위해 샘플을 제조하였고, 시험된 결과는 표 1에 열거되어 있다:
표 1 디알킬포스핀 염으로부터 생산된 방염성 PBT 물질의 연소 성능 및 기계적 특성 파라미터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실시예 39-58
실시예 1-18 (A1-A18) 및 비교예 1-2 (B1-B2)로부터 얻어진 디알킬포스핀 염을 PA66, 유리 섬유 및 첨가제와 260-280℃에서 중량비 11:52:30:7로 혼합하고, 이축 압출기로부터 압출하여 방염성 열가소성 폴리머 몰딩 물질을 얻었다. 이들의 연소 성능 및 기계적 특성을 시험하기 위해 샘플을 제조하였고, 시험된 결과는 표 2에 열거되어 있다:
표 2 디알킬포스핀 염으로부터 생산된 방염성 PA66 물질의 연소 성능 및 기계적 특성 파라미터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상기 언급된 표 1-2의 시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서 생산된 미량의 염소를 함유하는 디알킬포스핀 염으로부터 생산된 폴리머 물질은 폴리머 물품 황변 문제를 확실히 개선시킬 수 있고 탁월한 방염제 성능 및 기계적 특성을 지니는 것으로 관찰될 수 있다.
성능 시험은 하기와 같은 표준에 따라 진행되었다:
인장 강도: 플라스틱 인장 성능의 GB1040-1992 시험 방법;
굽힘 강도: 플라스틱 굽힘 강도의 GB9341-2000 시험 방법;
휨: 플라스틱 굽힘 성능의 GB9341-2000 시험 방법;
연소 성능: 플라스틱 연소 성능의 UL94 시험;
색 시험 표준:
색 시험은 Color-Eye-7000A 컬러 포토미터(Gretag Macbeth 업체) 상에서 진행하였고, 특정 시험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수지를 약 2mm 두께의 컬러 디스크(colour disk)로 사출 성형하고;
2. Lab 시험기의 시험 직경 및 그 밖의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3. 컬러 디스크를 시험 창 위에 놓고, "테스트(test)" 버튼을 클릭하여 Lab 시험을 실행시킨다. 시스템은 상응하는 Lab을 나타낼 수 있다.
PBT 천연 색 물질의 경우, 허용가능한 Lab은 L: 85.50, a:1.35, b: 5.60이다. "L"이 높을수록, 색은 더 옅어지고, 색 혼합이 더 알맞을 수 있다.
염소 함량 시험 표준: 할로겐의 prEN 14582-2002 시험 방법.

Claims (18)

  1. A: 하기 화학식 (I)의 디알킬포스핀 염; 및
    B: 전체 첨가제 중의 염소의 중량 함량이 50-900중량ppm인 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폴리머용 첨가제:
    Figure pct00007

    상기 식에서,
    R1,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H, C1-C6-알킬 또는 C6-C18-아릴을 나타내고;
    M은 Mg, Ca, Al, Zn, Fe이고;
    m은 2-3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R1, R2가 에틸, 프로필, 부틸, 헥실 또는 사이클로헥실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용 첨가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된 전체 첨가제 중의 염소의 중량 함량이 60-800중량ppm, 바람직하게는 70-450중량ppm,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300중량ppm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용 첨가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된 클로라이드가 염화 올레핀(chlorinated olefin), 염화 나트륨, 염화 칼륨, 염화 알루미늄, 염소 가스, 염산, 차아염소산 나트륨, 염소 함유 커플링제, 염소 함유 계면 활성제 또는 PVC 중 하나 또는 여러 물질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용 첨가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된 염화 올레핀이 1-클로로에틸렌, 1,2-디클로로에틸렌, 3-클로로프로필렌, 4-클로로부틸렌 또는 염화 사이클로헥센 중 하나 또는 여러 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용 첨가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된 폴리머가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PPE, TPE, TPU 또는 에폭시 수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또는 PPE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용 첨가제.
  7. 제 1항의 폴리머용 첨가제의 생산 방법으로서,
    a) 포스핀 염/포스핀산 및 염화 올레핀을 용매 중에 첨가하고, 개시제의 작용으로 올레핀과 반응시켜 클로라이드를 함유하는 디알킬포스핀 염/산 용액을 얻고;
    b) 클로라이드를 함유하는 디알킬포스핀 염/산 용액을 금속 화합물과 반응시켜 클로라이드를 함유하는 디알킬포스핀 염을 얻는 절차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된 포스핀 염이 차아인산 나트륨 또는 차아인산 칼륨이고;
    상기 기재된 금속 화합물이 Mg, Ca, Al, Zn 및 Fe의 금속 화합물이고;
    상기 기재된 염화 올레핀이 1-클로로에틸렌, 1,2-디클로로에틸렌, 3-클로로프로필렌, 4-클로로부틸렌 또는 염화 사이클로헥센 중 하나 또는 여러 물질인, 폴리머용 첨가제의 생산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된 용매가 사이클로헥산 및/또는 사이클로헥센이고; 상기 기재된 개시제가 아조-개시제, 유기 과산화물 개시제 또는 무기 과산화물 개시제이고; 상기 기재된 올레핀이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이소-부틸렌 또는 펜텐 중 하나 또는 여러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용 첨가제의 생산 방법.
  9. 제 1항의 폴리머용 첨가제의 생산 방법으로서,
    디알킬포스핀 염 용액을 첨가제 I를 함유하는 금속 화합물 수용액과 반응시켜 상응하는 디알킬포스핀 염을 얻는 절차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된 첨가제 I이 NaCl, KCl, AlCl3, 염소 가스, 염산, 차아염소산 나트륨, 염소 함유 커플링제, 염소 함유 계면활성제 중 하나 또는 여러 물질이고;
    상기 기재된 금속 화합물이 Mg, Ca, Al, Zn 및 Fe의 금속 화합물이고;
    상기 기재된 디알킬포스핀 염이 소듐 디알킬포스피네이트 또는 포타슘 디알킬포스피네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 방법.
  10. 제 1항의 폴리머용 첨가제의 생산 방법으로서,
    디알킬포스핀 염의 여과 공정 또는 세척 공정 또는 건조 공정 동안 첨가제 II를 첨가하여 클로라이드를 함유하는 디알킬포스핀 염을 얻는 절차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된 첨가제 II가 NaCl, KCl, AlCl3, 염소 함유 방염제, 염소 함유 커플링제, 염소 함유 계면활성제 또는 PVC 중 하나 또는 여러 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 방법.
  11. 제 1항의 폴리머용 첨가제의 방염제로서의 용도.
  12. 5-20 중량부의 폴리머용 첨가제, 및 50-70 중량부의 폴리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 1항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폴리머 물질로서,
    폴리머용 첨가제가
    A: 하기 식 (I)의 디알킬포스핀 염; 및
    B: 전체 첨가제 중의 염소의 중량 함량이 50-900ppm인 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폴리머 물질:
    Figure pct00008

    상기 식에서,
    R1, R2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H, C1-C6-알킬 또는 C6-C18-아릴을 나타내고;
    M은 Mg, Ca, Al, Zn, Fe이고;
    m은 2-3이다.
  13. 제 12항에 있어서, R1, R2가 에틸, 프로필, 부틸, 헥실 또는 사이클로헥실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물질.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된 전체 첨가제 중의 염소의 중량 함량이 60-800중량ppm, 바람직하게는 70-450중량ppm,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300중량ppm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물질.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된 클로라이드가 염화 올레핀, 염화 나트륨, 염화 칼륨, 염화 알루미늄, 염소 가스, 염산, 차아염소산 나트륨, 염소 함유 커플링제, 염소 함유 계면활성제 또는 PVC 중 하나 또는 여러 물질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물질.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된 염화 올레핀이 1-클로로에틸렌, 1,2-디클로로에틸렌, 3-클로로프로필렌, 4-클로로부틸렌 또는 염화 사이클로헥센 중 하나 또는 여러 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물질.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된 폴리머가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PPE, TPE, TPU 또는 에폭시 수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또는 PPE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물질.
  18. 제 12항에 있어서, 15-30 중량부의 유리 섬유 및 1-5 중량부의 다른 첨가제를 또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물질.
KR1020167020667A 2013-12-31 2014-12-07 폴리머에 사용되는 첨가제 및 이의 제조 방법 Active KR1022202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753931.4 2013-12-31
CN201310753931.4A CN103788125B (zh) 2013-12-31 2013-12-31 一种用于聚合物的添加剂及其制备方法
PCT/CN2014/093206 WO2015101136A1 (zh) 2013-12-31 2014-12-07 一种用于聚合物的添加剂及其制备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0746A true KR20160130746A (ko) 2016-11-14
KR102220285B1 KR102220285B1 (ko) 2021-02-24

Family

ID=50664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0667A Active KR102220285B1 (ko) 2013-12-31 2014-12-07 폴리머에 사용되는 첨가제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091023B1 (ko)
JP (1) JP2017503870A (ko)
KR (1) KR102220285B1 (ko)
CN (1) CN103788125B (ko)
WO (1) WO20151011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8041A (ko) * 2022-05-10 2024-03-22 지앙수 리스더 뉴 머티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알킬 포스피네이트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88125B (zh) * 2013-12-31 2015-02-11 邓娟 一种用于聚合物的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4478923B (zh) * 2014-12-19 2016-10-19 西华大学 不含单乙基次膦酸基团的二乙基次膦酸及其盐的制备方法
CN104497504B (zh) * 2014-12-26 2016-03-30 肖群 一种用于聚合物的添加剂组合物和其制备方法及由其组成的阻燃热塑性聚合物模塑材料
DE102016213280B4 (de) 2016-07-20 2024-03-07 Clariant International Ltd Diorganylphosphinsäuresalze, ei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2016213282A1 (de) * 2016-07-20 2018-01-25 Clariant Plastics & Coatings Ltd Flammschutzmittelmischungen, ihre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2016213281A1 (de) * 2016-07-20 2018-01-25 Clariant Plastics & Coatings Ltd Flammschutzmittelmischungen, ihre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CN107353436B (zh) * 2017-05-23 2019-07-12 广州铂钡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聚合物的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7141511B (zh) * 2017-05-25 2019-07-12 广州铂钡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聚合物的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7177200A (zh) * 2017-06-02 2017-09-19 涂志秀 一种用于聚合物的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7417977B (zh) * 2017-07-19 2019-07-12 广州铂钡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聚合物的添加剂及其制备方法
US11401416B2 (en) 2017-10-17 2022-08-02 Celanese Sales Germany Gmbh Flame retardant polyamide composition
CN110408198B (zh) * 2019-07-31 2022-01-04 厦门长塑实业有限公司 一种高尺寸稳定性低透湿聚酰胺薄膜及其制备方法
NO346554B1 (en) * 2019-08-09 2022-10-03 Klingelberg Products As Flame retardant, method for its manufacture and article comprising such flame retardant
CN113956285A (zh) * 2021-08-26 2022-01-21 东南大学 一种常压条件下合成二烷基次膦酸铝的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2464A (ko) * 1997-11-28 2001-04-25 카흐홀즈 트라우델, 귀틀라인 파울 디알킬포스핀산의 염의 제조방법
JP2005325358A (ja) * 2004-05-11 2005-11-24 Clariant Gmbh ジアルキルホスフィン酸塩、その用途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10119628A (ko) * 2008-12-30 2011-11-02 사빅 이노베이티브 플라스틱스 아이피 비.브이. 유리 섬유 강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한 물품
KR20120022640A (ko) * 2010-08-20 2012-03-12 가부시키가이샤 다무라 세이사쿠쇼 알칼리 가용성 투명 수지 조성물
JP2013529191A (ja) * 2010-04-29 2013-07-18 クラリアント・ファイナンス・(ビーブイアイ)・リミテッド アルキル亜ホスホン酸塩およびジアルキルホスフィン酸塩の混合物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30932A1 (de) 1994-08-31 1996-03-07 Hoechst Ag Flammgeschützte Polyesterformmasse
DE19910232C1 (de) 1999-03-09 2000-07-13 Clarian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hosphinsäure-Aluminiumsalzen
DE19923619C2 (de) 1999-05-25 2001-08-23 Clarian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ialkylphosphinsäuren und deren Salzen
DE10359814A1 (de) * 2003-12-19 2005-07-28 Clariant Gmbh Dialkylphosphinsäure-Salze
DE102006010352A1 (de) * 2006-03-07 2007-09-13 Clariant International Limited Mischungen aus Mono-Carboxylfunktionalisierten Dialkylphosphinsäure-Salzen und weiteren Komponenten, ei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Verwendung
CN103073575B (zh) * 2012-09-19 2015-11-11 广州金凯新材料有限公司 一种二烷基次膦酸盐及其制备方法
CN103788125B (zh) * 2013-12-31 2015-02-11 邓娟 一种用于聚合物的添加剂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2464A (ko) * 1997-11-28 2001-04-25 카흐홀즈 트라우델, 귀틀라인 파울 디알킬포스핀산의 염의 제조방법
JP2005325358A (ja) * 2004-05-11 2005-11-24 Clariant Gmbh ジアルキルホスフィン酸塩、その用途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10119628A (ko) * 2008-12-30 2011-11-02 사빅 이노베이티브 플라스틱스 아이피 비.브이. 유리 섬유 강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한 물품
JP2013529191A (ja) * 2010-04-29 2013-07-18 クラリアント・ファイナンス・(ビーブイアイ)・リミテッド アルキル亜ホスホン酸塩およびジアルキルホスフィン酸塩の混合物の製造方法
KR20120022640A (ko) * 2010-08-20 2012-03-12 가부시키가이샤 다무라 세이사쿠쇼 알칼리 가용성 투명 수지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8041A (ko) * 2022-05-10 2024-03-22 지앙수 리스더 뉴 머티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알킬 포스피네이트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91023A4 (en) 2017-08-30
CN103788125A (zh) 2014-05-14
WO2015101136A1 (zh) 2015-07-09
KR102220285B1 (ko) 2021-02-24
JP2017503870A (ja) 2017-02-02
CN103788125B (zh) 2015-02-11
EP3091023B1 (en) 2022-11-09
EP3091023A1 (en) 201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0285B1 (ko) 폴리머에 사용되는 첨가제 및 이의 제조 방법
EP3214118B1 (en) Additive composition for 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flame-retardant thermoplastic polymer moulding material consisting of same
CN104497504B (zh) 一种用于聚合物的添加剂组合物和其制备方法及由其组成的阻燃热塑性聚合物模塑材料
JP4926399B2 (ja) ジアルキルホスフィン酸塩の製造方法
EP1607400B1 (de) Dialkylphosphinsäure-Salze, ei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EP1544206B1 (de) Verwendung von Dialkylphosphinsäure-Salze
US8889772B2 (en) Method for producing mixtures of alkylphosphonous acid salts and dialkylphosphinic acid salts
DE102011120200A1 (de) Flammschutzmittel-Mischungen enthaltend Flammschutzmittel und Aluminiumphosphi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EP2379573A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thylendialkylphosphinsäuren, -estern und -salzen mittels acetylen und ihre verwendung
CN102171230A (zh) 用于阻燃剂的亚膦酸衍生物的加氢磷酰化
EP2788284A1 (de) Mischungen von aluminium-hydrogenphosphiten mit aluminiumsalz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ihre verwendung
EP2788286A1 (de) Aluminium-hydrogenphosphite, ei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ihre verwendung
DE102008056227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ialkylphosphinsäuren, -estern und -salzen mittels Vinylverbindungen und ihre Verwendung
WO2014134874A1 (zh) 一种单烷基/二烷基次膦酸盐及其制备方法
WO2011134621A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lkylphosphonigsäuresalzen
CN113929967A (zh) 磷氮复盐及其制备方法与阻燃剂及其应用
KR101667942B1 (ko) 차아인산계 난연제 및 이를 포함하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
EP3197905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thylendialkylphosphinsäuren, -estern und -salzen sowie deren verwendung als flammschutzmitt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2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7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6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2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2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