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4610A - 주방용 다용도 거치대 - Google Patents
주방용 다용도 거치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84610A KR20160084610A KR1020150001030A KR20150001030A KR20160084610A KR 20160084610 A KR20160084610 A KR 20160084610A KR 1020150001030 A KR1020150001030 A KR 1020150001030A KR 20150001030 A KR20150001030 A KR 20150001030A KR 20160084610 A KR20160084610 A KR 2016008461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oking
- knife
- kitchen
- sink
- eg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5
- 210000003278 egg shell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5000013601 egg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102000002322 Egg Proteins Human gen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108010000912 Egg Proteins Protein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41000628997 Flo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UQMRAFJOBWOFNS-UHFFFAOYSA-N butyl 2-(2,4-dichlorophenoxy)acetate Chemical compound CCCCOC(=O)COC1=CC=C(Cl)C=C1Cl UQMRAFJOBWOFNS-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102 sea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1 food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7 food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14—Devices or machines for opening raw eggs or separating the content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용 다용도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주방용 다용도 거치대는, 음식을 조리하는 중 칼, 국자, 뒤집개와 같은 조리도구 및 계란껍질을 임시로 거치하여 조리도구에 묻은 음식물 및 잔여 계란액에 의해 싱크대 상판이 오염되거나 조리도구에 이물질이 묻어 2차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주방용 다용도 거치대에 있어서, 싱크대 상부에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조리도구가 상기 몸체부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계란을 깰 수 있는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와 이격되어 주방용 식칼을 거치할 수 있는 칼안착홈과; 상기 칼안착홈과 이격되어 계란껍질을 보관하는 껍질보관홈을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하부면 테두리에는 고무자석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주방에서 음식을 조리하는 중 칼, 국자, 뒤집개와 같은 조리도구 및 계란껍질을 임시로 거치하여 조리도구에 묻은 음식물 및 잔여 계란액에 의해 싱크대 상판이 오염되거나 조리도구에 이물질이 묻어 2차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요리를 하는데 위생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용도 거치대의 몸체부 하부면 테두리에는 고무자석이 일체로 형성되어 요리가 끝난 후 냉장고 또는 싱크대 일측에 부착하여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 또한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주방용 다용도 거치대는, 음식을 조리하는 중 칼, 국자, 뒤집개와 같은 조리도구 및 계란껍질을 임시로 거치하여 조리도구에 묻은 음식물 및 잔여 계란액에 의해 싱크대 상판이 오염되거나 조리도구에 이물질이 묻어 2차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주방용 다용도 거치대에 있어서, 싱크대 상부에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조리도구가 상기 몸체부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계란을 깰 수 있는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와 이격되어 주방용 식칼을 거치할 수 있는 칼안착홈과; 상기 칼안착홈과 이격되어 계란껍질을 보관하는 껍질보관홈을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하부면 테두리에는 고무자석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주방에서 음식을 조리하는 중 칼, 국자, 뒤집개와 같은 조리도구 및 계란껍질을 임시로 거치하여 조리도구에 묻은 음식물 및 잔여 계란액에 의해 싱크대 상판이 오염되거나 조리도구에 이물질이 묻어 2차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요리를 하는데 위생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용도 거치대의 몸체부 하부면 테두리에는 고무자석이 일체로 형성되어 요리가 끝난 후 냉장고 또는 싱크대 일측에 부착하여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 또한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방용 다용도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싱크대 상부에 구비되는 몸체부의 상부면에 조리도구를 거치할 수 있는 조리도구 안착홈이 형성되고, 조리도구가 몸체부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계란을 깰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에서 상향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며, 식칼을 거치할 수 있는 칼안착홈 및 계란껍질을 임시로 보관하는 껍질보관홈이 형성되고, 몸체부 하부면 테두리에는 고무자석이 형성되어 주방에서 음식을 조리하는 중 칼, 국자, 뒤집개와 같은 조리도구 및 계란껍질을 임시로 거치하여 조리도구에 묻은 음식물 및 잔여 계란액에 의해 싱크대 상판이 오염되거나 조리도구에 이물질이 묻어 2차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냉장고나 싱크대의 측면에 부착하여 보관이 용이한 주방용 다용도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서 요리를 할 때 수저, 칼, 국자, 뒤집개, 식가위와 같은 다양한 조리도구가 사용되며 계란, 야채, 해산물 등의 껍질이 발생하게 된다.
요리를 하는 중 쓰지 않는 조리도구는 싱크대 상부에 올려두었다 다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사용하던 조리도구에 묻은 음식물에 의해 싱크대 상부가 오염됨은 물론 여러 조리도구의 음식물이 섞여 다시 사용할 경우 조리도구에 여러종류의 음식물이 섞여 조리도구가 2차 오염이 되게 된다.
특히 주방용 식칼의 경우 다양한 식재료를 자르거나 썰고 난 후 씽크대에 눕혀 두게 되면 싱크대의 이물질이 식칼에 묻어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조리도구를 사용할 때마다 세척하거나 싱크대를 자주 닦아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요리할 때 자주 쓰이는 계란은 숟가락이나 뒤집개와 같은 조리도구를 사용하여 깨뜨리거나 도마, 싱크대 모서리 등의 모서리부에 부딪혀 깨뜨렸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계란을 깨뜨릴 경우 계란액이 도마나 싱크대에 묻게 되고 계란껍질을 싱크대 위에 그대로 올려두게 되면 계란껍질에 남은 잔액이 흘러 조리도구에 묻거나 그대로 굳어 싱크대를 오염시키게 된다.
그리고 야채, 해산물의 껍질을 제거하여 싱크대 위에 올려두어 싱크대를 오염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조리도구를 수납하는 방법이 많이 개발되어 그 일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47574호의 "다기능 도마"가 제안되었는데, 이러한 종래 다기능 도마는 구체적으로는 도마의 모서리 테두리면에 조리용 가공도구를 수납할 수 있는 보관부를 분리가능하도록 설치함에 따라 원하는 가공도구를 선택적으로 원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조리효율을 높일 수 있는 다기능 도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도마본체, 상기 도마본체의 테두리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조리용 가공도구가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한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관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납공간은 일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된 부분을 통해 조리용 가공도구가 수납 및 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종래 다기능 도마에 의하면 보관부가 도마본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므로, 보관부를 특정 조리용 도구의 전용수납 형태로 제작할 경우, 각 보관부의 탈부착에 의해 결국 여러 종류의 조리용 도구를 선택적으로 교체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다기능 도마의 경우 요리 중 조리용 도구를 수납하고 다시 꺼내어 쓸 경우 조리용 도구에 묻어 있는 식자재에 의해 보관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으며 단지 요리중 조리용 도구를 간단하게 수납할 수 있는 기능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관부의 수납공간에 묻은 이물질을 세척하기 어려워 조리용 도구가 오염되는 문제점 또한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싱크대 상부에 구비되는 몸체부의 상부면에 조리도구를 거치할 수 있는 조리도구 안착홈이 형성되고, 조리도구가 몸체부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계란을 깰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에서 상향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며, 식칼을 거치할 수 있는 칼안착홈 및 계란껍질을 임시로 보관하는 껍질보관홈이 형성되어 주방에서 음식을 조리하는 중 칼, 국자, 뒤집개와 같은 조리도구 및 계란껍질을 임시로 거치하여 조리도구에 묻은 음식물 및 잔여 계란액에 의해 싱크대 상판이 오염되거나 조리도구에 이물질이 묻어 2차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용도 거치대의 몸체부 하부면 테두리에는 고무자석이 일체로 형성되어 조리가 끝난 후 냉장고 또는 싱크대 일측에 부착하여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방용 다용도 거치대는, 음식을 조리하는 중 칼, 국자, 뒤집개와 같은 조리도구 및 계란껍질을 임시로 거치하여 조리도구에 묻은 음식물 및 잔여 계란액에 의해 싱크대 상판이 오염되거나 조리도구에 이물질이 묻어 2차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주방용 다용도 거치대에 있어서, 싱크대 상부에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조리도구가 상기 몸체부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계란을 깰 수 있는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와 이격되어 주방용 식칼을 거치할 수 있는 칼안착홈과; 상기 칼안착홈과 이격되어 계란껍질을 보관하는 껍질보관홈을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하부면 테두리에는 고무자석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싱크대 상부에 구비되는 몸체부의 상부면에 조리도구를 거치할 수 있는 조리도구 안착홈이 형성되고, 조리도구가 몸체부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계란을 깰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에서 상향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며, 식칼을 거치할 수 있는 칼안착홈 및 계란껍질을 임시로 보관하는 껍질보관홈이 형성되어 주방에서 음식을 조리하는 중 칼, 국자, 뒤집개와 같은 조리도구 및 계란껍질을 임시로 거치하여 조리도구에 묻은 음식물 및 잔여 계란액에 의해 싱크대 상판이 오염되거나 조리도구에 이물질이 묻어 2차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요리를 하는데 위생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용도 거치대의 몸체부 하부면 테두리에는 고무자석이 일체로 형성되어 요리가 끝난 후 냉장고 또는 싱크대 일측면에 부착하여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 또한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방용 다용도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방용 다용도 거치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방용 다용도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주방용 다용도 거치대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방용 다용도 거치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방용 다용도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주방용 다용도 거치대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주방용 다용도 거치대(이하, 다용도 거치대라 함)를 첨부된 도면과 대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용도 거치대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다용도 거치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용도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다용도 거치대(100)는 음식을 조리하는 중 칼, 국자, 뒤집개와 같은 조리도구(20) 및 계란껍질(40)을 임시로 거치하여 조리도구(20)에 묻은 음식물 및 잔여 계란액에 의해 싱크대(10) 상판이 오염되거나, 또는 조리도구(20)에 이물질이 묻어 2차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주방용 다용도 거치대에 있어서, 싱크대(10) 상부에 구비되는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되며, 계란을 깰 수 있는 돌기부(120)와; 상기 돌기부(120)와 이웃하게 형성되며, 주방용 식칼(30)을 거치할 수 있는 칼안착홈(130)과; 상기 칼안착홈(130)과 이웃하게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120)를 통해 깬 계란껍질(40)을 임시적으로 거치 보관하는 껍질보관홈(140)을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면 테두리에는 고무자석(15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몸체부(11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외부면에 향균처리를 하여 조리도구(20)를 위생적으로 거치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110)는 직사각형,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돌기부(120)는 사각형상으로 상기 몸체부(110)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단이 둥글게 돔형태로 형성되어 요리 중 계란을 부딪혀 깨뜨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계란을 냄비나 싱크대(10)의 둘레에 부딪혀 깨뜨려 잔여 계란액이 싱크대(10)나 냄비에 묻게 되어 흐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요리에 쓰고 난 계란껍질(40)은 상기 껍질보관홈(140)에 보관하고, 요리가 끝난 후 한꺼번에 치울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돌기부(120)는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태로 상기 몸체부(110) 상단에서 일체로 돌출되고, 하나 이상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110) 상부에 임시로 거치된 조리도구(20)가 굴러서 싱크대(10)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돌기부(120)의 상단부는 계란을 깰 수 있도록 돔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면에 상기 돌기부(120)와 이격되어 칼안착홈(130)이 형성된다.
한편, 시중의 일반적인 식칼(30)의 칼날 두께가 2mm 내외이므로 상기 칼안착홈(130)은 식칼(30)의 칼날을 세워서 거치할 수 있도록 폭이 3mm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식칼(30)의 손잡이측 모서리부가 상측으로 2/3지점까지의 길이로 안착되어 상기 식칼(30)을 세워서 보관할 수 있도록 그 단면이 "" 형태로 형성되게 된다.
요리 중에 식칼(30)은 한 번 사용으로 끝나지 않고 여러번에 걸쳐 사용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고기를 썬 후 식칼(30)을 내려놓고, 음식물을 냄비에 넣거나 양념을 만든 후 채소를 써는 등 식칼(30)을 쓰고 내려놓는 과정이 반복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칼안착홈(130)이 형성됨으로써, 요리중 식칼(30)을 싱크대(10) 상부에 올려두어 식칼(30)에 이물질이 묻는 것을 방지하고, 식칼(30)의 칼날을 하부로 하여 항상 같은 곳에 안착시킴으로서,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식칼(30)에 손을 베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용도 거치대(100)의 상기 껍질보관홈(140)은 요리에 사용하고 남은 계란껍질(40)을 임시로 보관할 수 있도록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계란껍질(40)에 남은 잔여 계란액에 의해 싱크대(10)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계란껍질(40)의 처리가 깔끔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칼안착홈(130) 및 껍질보관홈(140)은 다수의 식칼(30) 및 계란껍질(40)을 보관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110)의 하부면 둘레에는 고무자석(150)이 구비되어 요리가 끝난 후 냉장고나 싱크대(10)의 일측에 부착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고무자석(150)은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면에 본드 등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돌기부(120)의 사이에는 국자 및 뒤집개와 같은 손잡이와 머리로 이루어진 조리도구(20)의 머리가 안착될 수 있는 조리도구 안착홈(16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가 원통형인 조리도구(20)가 굴러서 다용도 거치대(100)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주방용 다용도 거치대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싱크대(10) 상부면에 다용도 거치대(100)를 올려두고, 요리를 하는 중 수저, 국자, 뒤집개와 같은 조리도구(20)를 다용도 거치대(100)의 몸체부(110) 상부에 거치하고, 식칼(30)의 칼날을 세워서 상기 칼안착홈(130)에 임시로 안착하게 된다.
또한, 요리에 사용하는 계란을 상기 몸체부(110)에서 상향 돌출된 돌기부(120)의 상단에 부딪혀 깨고, 계란껍질(40)을 상기 칼안착홈(130)과 이격되어 형성된 껍질보관홈(140)에 임시로 거치한 후 요리가 끝난 후 일시에 버릴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용도 거치대(100)는 요리가 끝난 후 세척하여 몸체부(110) 하부에 형성된 고무자석(150)을 통해 냉장고에 부착하거나, 싱크대(10) 일측면에 부착하여 보관이 용이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 싱크대
20: 조리도구
30: 식칼 40: 계란껍질
50: 냉장고 100: 다용도 거치대
110: 몸체부 120: 돌기부
130: 칼안착홈 140: 껍질보관홈
150: 고무자석 160: 조리도구 안착홈
30: 식칼 40: 계란껍질
50: 냉장고 100: 다용도 거치대
110: 몸체부 120: 돌기부
130: 칼안착홈 140: 껍질보관홈
150: 고무자석 160: 조리도구 안착홈
Claims (4)
- 음식을 조리하는 중 칼, 국자, 뒤집개와 같은 조리도구(20) 및 계란껍질(40)을 임시로 거치하여 조리도구(20)에 묻은 음식물 및 잔여 계란액에 의해 싱크대(10) 상판이 오염되거나, 또는 조리도구(20)에 이물질이 묻어 2차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주방용 다용도 거치대에 있어서,
싱크대(10) 상부에 구비되는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되며, 계란을 깰 수 있는 돌기부(120)와;
상기 돌기부(120)와 이웃하게 형성되며, 주방용 식칼(30)을 거치할 수 있는 칼안착홈(130)과;
상기 칼안착홈(130)과 이웃하게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120)를 통해 깬 계란껍질(40)을 임시적으로 거치 보관하는 껍질보관홈(140)을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다용도 거치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면 테두리에는 고무자석(15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다용도 거치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120)는 상호 이격되어 한 쌍이 구비되며, 돌기부(120) 사이에는 상기 조리도구(20)에 묻은 음식물 및 잔여 계란액에 의해 싱크대(10) 상판이 오염되거나 또는 조리도구(20)에 이물질이 묻어 2차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조리도구(20)가 상기 몸체부(110)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조리도구 안착홈(16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다용도 거치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1030A KR20160084610A (ko) | 2015-01-06 | 2015-01-06 | 주방용 다용도 거치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1030A KR20160084610A (ko) | 2015-01-06 | 2015-01-06 | 주방용 다용도 거치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4610A true KR20160084610A (ko) | 2016-07-14 |
Family
ID=56499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01030A KR20160084610A (ko) | 2015-01-06 | 2015-01-06 | 주방용 다용도 거치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84610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31168B1 (ko) * | 2021-06-21 | 2022-08-10 | 주식회사 올테크코리아 | 주방용 받침대 |
KR200495850Y1 (ko) * | 2021-08-03 | 2022-09-01 | 주식회사 로이첸 | 교체형 도마 |
-
2015
- 2015-01-06 KR KR1020150001030A patent/KR2016008461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31168B1 (ko) * | 2021-06-21 | 2022-08-10 | 주식회사 올테크코리아 | 주방용 받침대 |
KR200495850Y1 (ko) * | 2021-08-03 | 2022-09-01 | 주식회사 로이첸 | 교체형 도마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52255B2 (en) | Food preparation implement | |
US6371470B1 (en) | Cutting board with funnel | |
US7862408B1 (en) | Meat tenderizer with disposable face plates | |
US20080179805A1 (en) | Frame having peeler and grater in cutting board support platform | |
US7802688B1 (en) | Cutlery support | |
JP3168474U (ja) | 順応性が高い複数のすりおろし器セット | |
US20170020341A1 (en) | Multi-function kitchen utensil | |
KR20160084610A (ko) | 주방용 다용도 거치대 | |
KR101483671B1 (ko) | 기능성 도마 | |
GB2505914A (en) | Chopping board with aperture on a raised support | |
KR101530838B1 (ko) | 다용도 도마 | |
KR101662002B1 (ko) | 양면도마 | |
KR102181890B1 (ko) | 도마 | |
KR200489773Y1 (ko) | 양면형 도마 | |
US9227333B2 (en) | Slic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 |
JP2020108755A (ja) | キッチンツールホルダー | |
JP3101073U (ja) | 台所用のまないた | |
US20090133493A1 (en) | Measuring scoop for prep cooking | |
JP2013052209A (ja) | おろし器付まな板 | |
KR20130041564A (ko) | 접시 | |
KR200472938Y1 (ko) | 기능성 도마 | |
KR20140005529U (ko) | 도마셋트에 사용되는 위생 도마 | |
KR200486075Y1 (ko) | 휴대용 음식 용기 | |
JP3039147U (ja) | まな板装置 | |
KR101875690B1 (ko) | 다기능 도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0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