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30838B1 - 다용도 도마 - Google Patents

다용도 도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0838B1
KR101530838B1 KR1020150050066A KR20150050066A KR101530838B1 KR 101530838 B1 KR101530838 B1 KR 101530838B1 KR 1020150050066 A KR1020150050066 A KR 1020150050066A KR 20150050066 A KR20150050066 A KR 20150050066A KR 101530838 B1 KR101530838 B1 KR 101530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portion
face
board
seating
provided alo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0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존 중원 김
배명직
Original Assignee
존 중원 김
배명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 중원 김, 배명직 filed Critical 존 중원 김
Priority to KR1020150050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08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83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05Cutting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도마가 개시되는 것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면부(11)와 상기 제1면부(11)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1면부(11)와 동일한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2면부(12)와 상기 제1면부(11)와 제2면부(12)를 연결하는 제3면부(13)와 상기 제1면부(11)와 제2면부(12) 및 제3면부(13)에 각각 구비되는 칼꽂이부(14)와 상기 제1면부(11)와 제2면부(12)에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거치홈부(15)와 상기 제1면부(11)와 제2면부(12) 및 제3면부(13)의 내측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안착면부(16)와 상기 안착면부(16)를 연결하는 연결대(17)와 상기 안착면부(16)의 중앙을 구획하는 구획부(18) 및 상기 구획부(18)에 의해 구획되는 채소투입구멍(19)과 상기 제1면부(11)와 제2면부(12)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면부(11)와 제2면부(12), 제3면부(13) 및 연결대(17)를 지지하는 다리부(10a)를 갖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안착면부(16)에 안착되고 내측 둘레부를 따라 요홈부(21)가 구비되며 일측 상단에 파지돌부(22)를 갖는 도마(20)와; 상기 몸체(10)의 안착면부(16)에 안착되되 상기 도마(20)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안착되고 상기 제1면부(11)와 제2면부(12)에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거치홈부(15) 중 어느 하나의 거치홈부에 거치되는 파지부(31)를 갖는 보조용기(30)와; 상기 보조용기(30)의 상단에 안착되고 채를 썰을 수 있는 채칼날(41)이 구비되며 상기 제1면부(11)와 제2면부(12)에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거치홈부(15) 중 어느 하나의 거치홈부에 마주보는 끼움홈부(42)가 구비되는 채칼(40)과; 상기 몸체(10)의 제1면부(11)와 제2면부(12) 및 제3면부(13)의 하단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지지턱(51)이 상단 내측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고 다듬어진 채소를 보관하는 채소수용용기(5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다용도 도마{multipurpose chopping board}
본 발명은 다용도 도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마의 기능은 물론 채칼기능, 야채수납기능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도마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용도로 활용하도록 함에 따라 사용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미려한 외관에 의한 심플한 느낌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며 여러 기능을 갖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하나의 몸체에 구비함에 따라 보관에 따른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다용도 도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마는 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대개 나무 또는 합성수지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요리할 때 사용되는 식재료를 올려 놓고 칼을 이용하여 썰거나 다듬거나 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각 가정이나 주방에 반드시 1개 이상은 구비되어 있는 생활필수품 중 하나이다.
이러한 도마는, 식재료 즉, 김치나 파, 양파, 무, 당근, 고기와 같은 식재료를 올려 놓고 썰거나 다듬거나 하는 판상으로 이루어지져 있는 것이 대부분이며 이외에 사용자가 도마를 잡을 수 있도록 하거나 도마를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걸이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은 도마는, 요리를 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생활필수품인 것은 분명한 사실이지만, 한편으로는 식재료를 다듬거나 써는 용도 이외에는 추가적인 용도로 사용할 수 없어 사용에 따른 불편함을 야기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식재료를 다듬는 것 중 야채인 무를 손질하는 것을 살펴보면, 무를 칼을 이용하여 썰기 위해서는 도마와 칼이 필요하고 무를 채를 내기 위해서는 채칼이 필요하며 썰거나 채를 낸 식재료를 담기 위해서는 용기가 필요하게 되는 바, 이와 같은 식재료를 다듬기 위해서는 도마 이외에도 다양한 도구들이 필요하게 되어 다양한 도구들을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다양한 도구들을 보관하고자 할 경우 각각의 도구들을 각각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보관에 따른 공간활용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도마 이외에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도마들이 안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공개특허 10-2001-0026456호인 채반이 결합된 도마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도마의 일측에 채칼수납부를 형성하여 그 내부에 채칼이나 강판 등을 장착하여 별도의 채칼 등을 구비하지 않고도 도마 하나에 도마와 여러 가지 기능의 채칼과 강판 등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채칼이 구비된 도마와 결합하여 또는 단독으로 사용되는 채반에 배수칸과 비배수칸을 형성하고, 그 일측에 채칼 등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채반이 결합된 도마에 채칼기능을 부여하여 도마와 채반을 보다 효율적으로 간편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단지 도마와 채칼만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음에 따라 역시 다듬어진 식재료는 담는 용기는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고, 또한 칼을 꽂아 보관할 수 있는 칼꽂이구 역시 따로 구비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성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01-0026456호(2001.04.06. 공개) 대한민국등록특허 10-0483959호(2005.04.08. 등록)
본 발명은 하나의 몸체에 도마와 채칼, 용기, 칼꽂이구가 모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사용용도에 맞게 식재료를 다듬을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하나의 몸체에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보관에 따른 공간활용성을 크게 높일 수 있도록 한 다용도 도마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다용도 도마는,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면부와 상기 제1면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1면부와 동일한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2면부와 상기 제1면부와 제2면부를 연결하는 제3면부와 상기 제1면부와 제2면부 및 제3면부에 각각 구비되는 칼꽂이부와 상기 제1면부와 제2면부에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거치홈부와 상기 제1면부와 제2면부 및 제3면부의 내측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안착면부와 상기 안착면부를 연결하는 연결대와 상기 안착면부의 중앙을 구획하는 구획부 및 상기 구획부에 의해 구획되는 채소투입구멍과 상기 제1면부와 제2면부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면부와 제2면부, 제3면부 및 연결대를 지지하는 다리부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안착면부에 안착되고 내측 둘레부를 따라 요홈부가 구비되며 일측 상단에 파지돌부를 갖는 도마와; 상기 몸체의 안착면부에 안착되되 상기 도마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안착되고 상기 제1면부와 제2면부에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거치홈부 중 어느 하나의 거치홈부에 거치되는 파지부를 갖는 보조용기와; 상기 보조용기의 상단에 안착되고 채를 썰을 수 있는 채칼날이 구비되며 상기 제1면부와 제2면부에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거치홈부 중 어느 하나의거치홈부에 마주보는 끼움홈부가 구비되는 채칼과; 상기 몸체의 제1면부와 제2면부 및 제3면부의 하단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지지턱이 상단 내측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고 다듬어진 채소를 보관하는 채소수용용기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몸체의 제3면부에는 상기 몸체를 들어 올릴 수 있는 손잡이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채칼에 구비되어 채를 썰을 수 있는 채칼날은, 채소를 편썰기하는 일자형의 편썰기날 또는 채소를 채썰기하는 빗살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몸체에 도마와 채칼 및 채소수용용기가 모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도구를 하나의 몸체에 구비하여 줌에 따라 보관에 따른 공간활용성을 높이고 각각의 도구를 즉시 사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식재료를 다듬을 수 있어 사용성 및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으며 미려한 외관에 의한 심플한 느낌을 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다용도 도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다용도 도마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다용도 도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다용도 도마의 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다용도 도마의 채칼과 보조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도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다용도 도마는, 몸체(10)와, 도마(20), 보조용기(30), 채칼(40), 채소수용용기(5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도마(20), 보조용기(30), 채칼(40), 채소수용용기(50)가 모두 몸체(10)에 결합되어 구비되기 때문에 각각의 식재료를 다듬는 도구의 보관에 따른 공간활용성이 크게 향상된다.
상기 몸체(10)와, 도마(20), 보조용기(30), 채칼(40), 채소수용용기(50)의 재질은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다듬는 식재료의 상함을 방지하기 위한 재질 즉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10)는,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면부(11)와 상기 제1면부(11)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1면부(11)와 동일한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2면부(12)와 상기 제1면부(11)와 제2면부(12)를 연결하는 제3면부(13)와 상기 제1면부(11)와 제2면부(12) 및 제3면부(13)에 각각 구비되는 칼꽂이부(14)와 상기 제1면부(11)와 제2면부(12)에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거치홈부(15)와 상기 제1면부(11)와 제2면부(12) 및 제3면부(13)의 내측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안착면부(16)와 상기 안착면부(16)를 연결하는 연결대(17)와 상기 안착면부(16)의 중앙을 구획하는 구획부(18) 및 상기 구획부(18)에 의해 구획되는 채소투입구멍(19)과 상기 제1면부(11)와 제2면부(12)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면부(11)와 제2면부(12), 제3면부(13) 및 연결대(17)를 지지하는 다리부(10a)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면부(11)와 제2면부(12)는 상기 몸체(10)에 대해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것이고, 상기 제3면부(13)는 상기 제1면부(11)와 제2면부(12)의 일측을 연결한다.
이 때, 상기 제1면부(11)와 제2면부(12)의 타측은 상기 연결대(17)에 의해 연결되는 것으로, 전체적인 몸체(10)의 형상이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가 호형으로 이루어진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칼꽂이부(14)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식재료를 자르거나 다듬는데에 사용되는 식칼이 꽂아지는 것으로, 이와 같이 칼꽂이부(14)가 몸체(10)에 구비됨에 따라 칼을 꽂아 보관하는 칼꽂이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아도 된다.
이 때, 상기 칼꽂이부(14)는 식칼이 꽂아진 상태에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면부(11)와 제2면부(12) 및 제3면부(13)를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면부(16)는, 상기 제1면부(11)와 제2면부(12) 및 제3면부(13)의 내측 둘레부를 따라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안착면부(16)에는 상기 도마(20)와 보조용기(30)가 안착되어 지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안착면부(1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면부(11)와 제2면부(12) 및 제3면부(13)의 내측 둘레부를 따라 이들 제1면부(11)와 제2면부(12) 및 제3면부(13)의 내측 둘레부에 대해 하강되는 단턱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획부(18)는 상기 제1면부(11)와 제2면부(12) 및 제3면부(13)의 내측 둘레부에 구비되는 안착면부(16)를 연결하여 줌에 따라 안착면부(16)에 대해 견고한 지지성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채소투입구멍(19)을 구획한다.
상기 채소투입구멍(19)은, 상기 도마(20)와 채칼(40)에 의해 다듬어진 채소가 상기 채소수용용기(50)측으로 수용되도록 투입되는 공간으로 다음어진 식재료를 도마(20) 위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기 도마(20)의 일측을 비스듬하게 들어 올려줌에 따라 개방되는 채소투입구멍(19)측으로 다듬어진 상태에서 도마(20) 위에 올려진 식재료를 투입하면 다듬어진 채소가 상기 채소수용용기(50)측으로 쉽게 투입되어 수용된다.
상기 다리부(10a)는, 상기 제1면부(11)와 제2면부(12), 제3면부(13) 및 연결대(17)를 지지함에 따라 상기 몸체(10)를 지지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상기 채소수용용기(50)가 몸체(10)에 결합되어 있을 경우에는 채소수용용기(50)에 의해 몸체(10)가 지지되고 상기 채소수용용기(50)로부터 몸체(10)가 분리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다리부(10a)에 의해 몸체(10)가 지지된다.
상기 도마(20)는, 상기 몸체(10)의 안착면부(16)에 안착되고 내측 둘레부를 따라 요홈부(21)가 구비되며 일측 상단에 파지돌부(22)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요홈부(21)는, 상기 도마(20)의 내측 둘레부를 구획하는 것으로, 상기 요홈부(21)의 내측에 식재료를 위치한 후 식재료를 자르거나 다듬으면 된다.
상기 파지돌부(22)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인 다용도 도마를 청소하기 위해 도마(20)를 몸체(10)로부터 분리하거나 또는 다듬어진 식재료를 채소수용용기(50)에 투입하여 수용하고자 할 경우에 도마(20)를 들어올리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도마(20)를 비스듬하게 들어올리거나 또는 도마(20)를 상기 몸체(1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 사용자가 파지돌부(22)를 파지하여 도마(20)를 비스듬하게 들어올리거나 또는 도마(20)를 상기 몸체(10)로부터 분리하면 된다.
상기 도마(20)의 상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도마(20)의 상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지면 각종 식재료를 절단할 때 칼날의 곡면과 일치되는 부분이 많아 식재료의 절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마(20)의 테두리를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의 호형부를 형성하여 식재료를 다듬거나 절단할 때 발생되는 액상의 유체가 도마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물론, 본 발명의 도마(20)의 저면 역시 평면으로 구비함으로써 도마(20)를 뒤집어 사용해도 관계치 않는다.
뿐만 아니라, 칼꽂이부(14)의 양측단을 구형상으로 구비함에 따라 칼을 칼꽂이부(14)에 꽂았을 때 칼날부위와 칼손잡이 부위가 접하는 부분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고 칼꽂이부(14) 상단에 모따기를 하여 칼이 안정적으로 세워져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보조용기(30)는, 상기 몸체(10)의 안착면부(16)에 안착되되 상기 도마(20)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안착되고 상기 제1면부(11)와 제2면부(12)에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거치홈부(15) 중 어느 하나의 거치홈부에 거치되는 파지부(31)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용기(30)는 상기 안착면부(16)에 상단 하면이 안착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보조용기(30)의 상단둘레부에는 상기 안착면부(16)에 안착되는 외향플랜지부(부호 미표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용기(30)의 파지부(31)는 상기 보조용기(30)를 들어올리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수단으로, 상기 보조용기(30)에는 상기 채칼(40)에 의해 다듬어진 식재료가 수용되는 바, 수용된 식재료를 음식을 조리하기 위해 사용할 때 상기 파지부(31)를 잡고 보조용기(30)를 들어올려 상기 몸체(10)로부터 보조용기(30)를 분리한 후 음식이 조리되는 위치로 보조용기(30)를 이동하여 보조용기(30)에 수용된 식재료를 사용하면 된다.
물론, 청소를 위해 보조용기(30)를 몸체(1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도 동일하게 파지부(31)를 잡고 보조용기(30)를 들어올려 몸체(10)로부터 보조용기(30)를 분리하면 된다.
상기 채칼(40)은, 상기 보조용기(30)의 상단에 안착되고 채를 썰을 수 있는 채칼날(41)이 구비되며 상기 제1면부(11)와 제2면부(12)에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거치홈부(15) 중 어느 하나의 거치홈부에 마주보는 끼움홈부(42)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채칼(40)에 구비되어 채를 썰을 수 있는 채칼날(41)은, 채소를 편썰기하는 일자형의 편썰기날 또는 채소를 빗살형의 채썰기날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편썰기라 함은, 무나 당근과 같은 채소를 편으로 썰어내는 것이고, 채썰기라함은 무나 당근과 같은 채소를 가는 채로 썰어내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채칼(40)에 구비되는 채칼날(41)을 편썰기날 또는 채썰기위한 채썰기날 중 어느 하나로 구비하거나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편썰기날과 채썰기날을 같이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끼움홈부(42)는, 상기 채칼(40)을 상기 몸체(10)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즉 채를 썰어낸 후 채칼(40)만을 상기 몸체(10)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채칼(40)의 하부측에 위치된 보조용기(30)의 상부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 상기 끼움홈부(42)에 손가락을 끼우거나 또는 도구를 끼운 상태에서 채칼(40)을 들어올리면 된다.
본 발명의 채칼(40)은 상기 보조용기(30)의 상단에 안착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채칼(40)만을 이용하여 채썰기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채칼(40)만을 보조용기(30)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채칼(40)과 보조용기(30)를 상기 몸체(10)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상기 채소수용용기(50)는, 상기 몸체(10)의 제1면부(11)와 제2면부(12) 및 제3면부(13)의 하단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지지턱(51)이 상단 내측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고 다듬어진 채소를 보관하는 수단이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채소수용용기(50)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도마(20)를 이용하여 다음어진 식재료를 바로 채소수용용기(50)에 투입하여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용기(30)를 몸체(10)로부터 분리한 후 채칼(40)을 상기 보조용기(30)가 안착되어 있던 상기 몸체(10)의 안착면부(16)에 안착한 후 채칼(40)을 이용하여 식재료를 채를 썰면 상부가 개방된 채소수용용기(50)측으로 채칼(40)에 의해 다듬어진 채소가 직접 채소수용용기(50)에 투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제3면부(13)에는 상기 몸체(10)를 들어 올릴 수 있는 손잡이부(6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손잡이부(60)가 더 구비됨에 따라 예를 들어 몸체(10)를 운반하거나 또는 걸어 보관하고자 할 경우 상기 손잡이부(60)를 이용하여 몸체(10)를 들어 운반할 수 있으며 싱크대 또는 벽면에 박힌 걸이구에 상기 손잡이부(60)를 걸어줌에 따라 상기 몸체(10)를 싱크대 또는 벽면에 걸어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다용도 도마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가장자리가 호형으로 이루어진 미려하고 심플한 외관을 갖기 때문에 기존 도마와는 달리 전체적인 외관에 대한 미려함과 심플함을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몸체 11 : 제1면부
12 : 제2면부 13 : 제3면부
14 : 칼꽂이부 15 : 거치홈부
16 : 안착면부 17 : 연결대
18 : 구획부 19 : 채소투입구멍
10a : 다리부 20 : 도마
21 : 요홈부 22 : 파지돌부
30 : 보조용기 31 : 파지부
40 : 채칼 41 : 채칼날
42 : 끼움홈부 50 : 채소수용용기
60 : 손잡이부

Claims (3)

  1.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면부(11)와 상기 제1면부(11)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1면부(11)와 동일한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2면부(12)와 상기 제1면부(11)와 제2면부(12)를 연결하는 제3면부(13)와 상기 제1면부(11)와 제2면부(12) 및 제3면부(13)에 각각 구비되는 칼꽂이부(14)와 상기 제1면부(11)와 제2면부(12)에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거치홈부(15)와 상기 제1면부(11)와 제2면부(12) 및 제3면부(13)의 내측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안착면부(16)와 상기 안착면부(16)를 연결하는 연결대(17)와 상기 안착면부(16)의 중앙을 구획하는 구획부(18) 및 상기 구획부(18)에 의해 구획되는 채소투입구멍(19)과 상기 제1면부(11)와 제2면부(12)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면부(11)와 제2면부(12), 제3면부(13) 및 연결대(17)를 지지하는 다리부(10a)를 갖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안착면부(16)에 안착되고 내측 둘레부를 따라 요홈부(21)가 구비되며 일측 상단에 파지돌부(22)를 갖는 도마(20)와;
    상기 몸체(10)의 안착면부(16)에 안착되되 상기 도마(20)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안착되고 상기 제1면부(11)와 제2면부(12)에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거치홈부(15) 중 어느 하나의 거치홈부에 거치되는 파지부(31)를 갖는 보조용기(30)와;
    상기 보조용기(30)의 상단에 안착되고 채를 썰을 수 있는 채칼날(41)이 구비되며 상기 제1면부(11)와 제2면부(12)에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거치홈부(15) 중 어느 하나의 거치홈부에 마주보는 끼움홈부(42)가 구비되는 채칼(40)과;
    상기 몸체(10)의 제1면부(11)와 제2면부(12) 및 제3면부(13)의 하단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지지턱(51)이 상단 내측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고 다듬어진 채소를 보관하는 채소수용용기(50)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도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제3면부(13)에는 상기 몸체(10)를 들어 올릴 수 있는 손잡이부(6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도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칼(40)에 구비되어 채를 썰을 수 있는 채칼날(41)은,
    채소를 편썰기하는 일자형의 편썰기날 또는 채소를 채썰기하는 빗살형의 채썰기날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도마.
KR1020150050066A 2015-04-09 2015-04-09 다용도 도마 Expired - Fee Related KR101530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066A KR101530838B1 (ko) 2015-04-09 2015-04-09 다용도 도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066A KR101530838B1 (ko) 2015-04-09 2015-04-09 다용도 도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0838B1 true KR101530838B1 (ko) 2015-06-24

Family

ID=53519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066A Expired - Fee Related KR101530838B1 (ko) 2015-04-09 2015-04-09 다용도 도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08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834A (ko) 2018-03-13 2019-09-23 (주)유니 다기능 도마
KR20230162756A (ko) 2022-05-21 2023-11-28 박성용 스마트 다용도 도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51U (ko) * 1989-05-30 1991-01-08
KR200444483Y1 (ko) * 2008-05-20 2009-05-14 한승길 음식물 주머니가 구비된 도마
JP2014171597A (ja) * 2013-03-07 2014-09-22 Hitoshi Kamiyama まな板セ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51U (ko) * 1989-05-30 1991-01-08
KR200444483Y1 (ko) * 2008-05-20 2009-05-14 한승길 음식물 주머니가 구비된 도마
JP2014171597A (ja) * 2013-03-07 2014-09-22 Hitoshi Kamiyama まな板セッ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834A (ko) 2018-03-13 2019-09-23 (주)유니 다기능 도마
KR20230162756A (ko) 2022-05-21 2023-11-28 박성용 스마트 다용도 도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4313B2 (en) Cutting board with internal storage for implements
KR101530838B1 (ko) 다용도 도마
KR20080004093U (ko) 복합 과채류 절단 장치
KR200432952Y1 (ko) 주방용 도마 및 도마 세트
US20110180981A1 (en) Interchangeable cutting board device with detachable cutting assembly
KR101245992B1 (ko) 다기능 집게
CN213850338U (zh) 一种折叠式砧板
CN209289336U (zh) 组合切片刀
KR102102528B1 (ko) 다용도 채칼
KR102181890B1 (ko) 도마
KR200489773Y1 (ko) 양면형 도마
KR20160084610A (ko) 주방용 다용도 거치대
JP7154489B2 (ja) 調理器具及び調理器具セット
KR20090094635A (ko) 도마
KR200472938Y1 (ko) 기능성 도마
KR200398804Y1 (ko) 다용도 도마
KR101942426B1 (ko) 이동식 커터가 구비된 캔 용기
CN221111906U (zh) 一种斩切刀
KR102078460B1 (ko) 마늘 세절기
KR200276619Y1 (ko) 김치 절단기
KR20090100038A (ko) 다용도 도마
KR200198206Y1 (ko) 도마 기능을 갖는 휴대용 수납함
KR20100007365A (ko) 휴대용 다기능 취식도구함
KR200366806Y1 (ko) 프라이팬 손잡이 기능을 가진 가위
KR101696345B1 (ko) 분쇄기 겸용 강판을 구비한 도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6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6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