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3884A - 장치 대 장치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사용자 기기, 및 기지국 - Google Patents
장치 대 장치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사용자 기기, 및 기지국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23884A KR20160023884A KR1020167002119A KR20167002119A KR20160023884A KR 20160023884 A KR20160023884 A KR 20160023884A KR 1020167002119 A KR1020167002119 A KR 1020167002119A KR 20167002119 A KR20167002119 A KR 20167002119A KR 20160023884 A KR20160023884 A KR 2016002388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equipment
- message
- timing advance
- base station
- cel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4—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2—Mutual synchroniz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1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one node acting as a reference for the oth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4—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H04W56/004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by altering transmission tim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장치 대 장치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장치 대 장치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장치 대 장치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장치 대 장치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사용자 기기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사용자 기기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기지국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기지국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사용자 기기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3 사용자 기기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기지국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Claims (68)
- 장치 대 장치(device-to-device, D2D)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제1 사용자 기기가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1 메시지에 따라,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D2D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1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수신된 기준 신호에 따라 기준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상기 제1 타이밍 어드밴스 및 상기 기준 신호에 따라 상기 D2D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1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상기 제1 시간에서 상기 D2D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D2D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1 기지국은 제1 사용자 기기를 서빙하는 기지국이고, 제1 메시지는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신호는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D2D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밍 어드밴스는 제1 사용자 기기가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타이밍 어드밴스인, D2D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1 기지국은 제1 사용자 기기를 서빙하는 기지국이고, 제1 메시지는 복수의 사용자 기기와 복수의 타이밍 어드밴스 간의 제1 맵핑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1 메시지에 따라,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D2D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1 맵핑 정보에 따라 제2 사용자 기기에 대응하는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하고, 제2 사용자 기기에 대응하는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제1 타이밍 어드밴스로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신호는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D2D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1 메시지는 제2 사용자 기기가 D2D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2 타이밍 어드밴스를 포함하는, D2D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1 메시지에 따라,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D2D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타이밍 어드밴스가 제1 타이밍 어드밴스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신호는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며, 제1 기지국은 제1 사용자 기기를 서빙하는 기지국인, D2D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1 메시지에 따라,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D2D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타이밍 어드밴스가 제1 타이밍 어드밴스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수신된 기준 신호에 따라 기준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사용자 기기가 제1 메시지를 송신할 때 사용되는 제1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1 자원 및 복수의 자원과 복수의 셀 간의 제2 맵핑 정보에 따라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의 기준 신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의 기준 신호에 따라 기준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D2D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식별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1 메시지에 따라,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D2D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타이밍 어드밴스가 제1 타이밍 어드밴스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수신된 기준 신호에 따라 기준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상기 식별자에 따라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의 기준 신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의 기준 신호에 따라 기준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D2D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1 메시지에 따라,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D2D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타이밍 어드밴스 및 제1 사용자 기기에 사전설정되어 있는 시간 증가에 따라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신호는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고, 제1 기지국은 제1 사용자 기기를 서빙하는 기지국인, D2D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1 메시지에 따라,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D2D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D2D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은,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제1 기지국은 제1 사용자 기기를 서빙하는 기지국이고, 제2 메시지는 제1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 제3 타이밍 어드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1 메시지에 따라,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D2D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타이밍 어드밴스 및 제3 타이밍 어드밴스에 따라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신호는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D2D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1 메시지에 따라,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D2D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D2D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은,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제1 기지국은 제1 사용자 기기를 서빙하는 기지국이고, 제2 메시지는 복수의 셀과 복수의 타이밍 어드밴스 간의 제3 맵핑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1 메시지에 따라,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D2D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사용자 기기가 제1 메시지를 송신할 때 사용되는 제1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1 자원 및 복수의 자원과 복수의 셀 간의 제2 맵핑 정보에 따라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3 맵핑 정보에 따라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에 대응하는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타이밍 어드밴스 및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에 대응하는 타이밍 어드밴스에 따라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신호는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D2D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식별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1 메시지에 따라,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D2D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D2D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은,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제1 기지국은 제1 사용자 기기를 서빙하는 기지국이고, 제2 메시지는 복수의 셀과 복수의 타이밍 어드밴스 간의 제3 맵핑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1 메시지에 따라,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D2D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상기 식별자에 따라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3 맵핑 정보에 따라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에 대응하는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타이밍 어드밴스 및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에 대응하는 타이밍 어드밴스에 따라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신호는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D2D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시그널링, 마스터 정보 블록 시그널링, 시스템 정보 블록 시그널링, D2D 동기화 채널 시그널링, 또는 무선 자원 제어 프로토콜 시그널링을 사용함으로써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D2D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제1 기지국은 제1 사용자 기기를 서빙하는 기지국이고, 제1 메시지는 복수의 셀과 복수의 타이밍 어드밴스 간의 제3 맵핑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1 메시지에 따라,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D2D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D2D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은,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1 메시지에 따라,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D2D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메시지에 따라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3 맵핑 정보에 따라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에 대응하는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하고,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에 대응하는 타이밍 어드밴스가 제1 타이밍 어드밴스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신호는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D2D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는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메시지에 따라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상기 식별자에 따라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D2D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메시지에 따라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사용자 기기가 제2 메시지를 송신할 때 사용되는 제2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자원 및 복수의 자원과 복수의 셀 간의 제2 맵핑 정보에 따라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D2D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3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3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은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과 동일하고, 제1 메시지는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수신된 기준 신호에 따라 기준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D2D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은,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수신된 기준 신호에 따라 기준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메시지에 따라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에 따라 제3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기준 신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3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기준 신호에 따라 기준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D2D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는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메시지에 따라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상기 식별자에 따라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D2D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메시지에 따라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사용자 기기가 제2 메시지를 송신할 때 사용되는 제2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자원 및 복수의 자원과 복수의 셀 간의 제2 맵핑 정보에 따라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D2D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1 기지국은 제1 사용자 기기를 서빙하는 기지국이고, 제1 메시지는 복수의 자원과 복수의 타이밍 어드밴스 간의 제4 맵핑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1 메시지에 따라,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D2D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D2D 신호가 검출될 때 사용되는 제3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3 자원 및 제4 맵핑 정보에 따라 제3 자원에 대응하는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하고, 제3 자원에 대응하는 타이밍 어드밴스를 제1 타이밍 어드밴스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신호는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D2D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 청구항 2, 청구항 3, 청구항 4, 청구항 14, 청구항 15, 청구항 16, 또는 청구항 20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시그널링, 마스터 정보 블록 시그널링, 시스템 정보 블록 시그널링, D2D 동기화 채널 시그널링, 또는 무선 자원 제어 프로토콜 시그널링을 사용함으로써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D2D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3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3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은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과 동일하고, 제1 메시지는 복수의 자원과 복수의 타이밍 어드밴스 간의 제4 맵핑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1 메시지에 따라,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D2D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D2D 신호가 검출될 때 사용되는 제3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3 자원 및 제4 맵핑 정보에 따라 제3 자원에 대응하는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하고, 제3 자원에 대응하는 타이밍 어드밴스를 제1 타이밍 어드밴스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신호는 제3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D2D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3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3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은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과 동일하고, 제1 메시지는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신호는 제3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D2D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 청구항 17, 청구항 18, 청구항 19, 청구항 22, 또는 청구항 2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3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시그널링, 마스터 정보 블록 시그널링, 시스템 정보 블록 시그널링, D2D 동기화 채널 시그널링, 또는 무선 자원 제어 프로토콜 시그널링을 사용함으로써 제3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D2D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 장치 대 장치(device-to-device, D2D)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제2 사용자 기기가 제1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기기가 제1 사용자 기기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메시지는, 제1 사용자 기기가 제1 메시지에 따라 제2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D2D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하도록 제1 사용자 기기를 촉발하는 데 사용되는, D2D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제2 사용자 기기가 D2D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2 타이밍 어드밴스 및/또는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D2D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 장치 대 장치(device-to-device, D2D)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제3 사용자 기기가 제1 사용자 기기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여기서 제1 메시지는, 제1 사용자 기기가 제1 메시지에 따라 제2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D2D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하도록 제1 사용자 기기를 촉발하는 데 사용됨 - ; 및
상기 제3 사용자 기기가 제1 사용자 기기에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기준 신호는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D2D 신호를 검출하는 기준 신호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3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은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과 동일한, D2D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제1 사용자 기기가 D2D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포함하는, D2D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복수의 자원과 복수의 타이밍 어드밴스 간의 맵핑 정보를 포함하는, D2D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 청구항 27 내지 청구항 29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3 사용자 기기가 제1 사용자 기기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사용자 기기가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시그널링, 마스터 정보 블록 시그널링, 시스템 정보 블록 시그널링, D2D 동기화 채널 시그널링, 또는 무선 자원 제어 프로토콜 시그널링을 사용함으로써 제1 사용자 기기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D2D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 장치 대 장치(device-to-device, D2D)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제1 기지국이 제1 사용자 기기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여기서 제1 사용자 기기는 제1 기지국이 서빙하는 사용자 기기이고, 제1 메시지는, 제1 사용자 기기가 제1 메시지에 따라 제2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D2D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하도록 제1 사용자 기기를 촉발하는 데 사용됨 - ; 및
상기 제1 기지국이 제1 사용자 기기에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기준 신호는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D2D 신호를 검출하는 기준 시간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D2D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제1 타이밍 어드밴스 또는 제1 사용자 기기가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타이밍 어드밴스를 포함하는, D2D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맵핑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맵핑 정보는 복수의 사용자 기기와 복수의 타이밍 어드밴스 간의 맵핑 정보, 복수의 셀과 복수의 타이밍 어드밴스 간의 맵핑 정보, 또는 복수의 자원과 복수의 타이밍 어드밴스 간의 맵핑 정보인, D2D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 청구항 31 내지 청구항 3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이 제1 사용자 기기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지국이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시그널링, 마스터 정보 블록 시그널링, 시스템 정보 블록 시그널링, D2D 동기화 채널 시그널링, 또는 무선 자원 제어 프로토콜 시그널링을 사용함으로써 제1 사용자 기기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D2D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 제1 사용자 기기로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수신 모듈;
상기 제1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제1 메시지에 따라,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D2D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결정 모듈;
기준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수신 모듈;
상기 제2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기준 신호에 따라 기준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결정 모듈;
상기 제1 결정 모듈에 의해 결정된 제1 타이밍 어드밴스 및 상기 제2 결정 모듈에 의해 결정된 기준 시간에 따라 상기 D2D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1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3 결정 모듈; 및
상기 제3 결정 모듈에 의해 결정된 기준 시간에서 상기 D2D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검출 모듈
을 포함하는 제1 사용자 기기. -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제1 기지국은 제1 사용자 기기를 서빙하는 기지국이고, 제1 메시지는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기준 신호는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사용자 기기. - 청구항 36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제1 타이밍 어드밴스는 제1 사용자 기기가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타이밍 어드밴스인, 제1 사용자 기기. -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제1 기지국은 제1 사용자 기기를 서빙하는 기지국이고, 제1 메시지는 복수의 사용자 기기와 복수의 타이밍 어드밴스 간의 제1 맵핑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제1 맵핑 정보에 따라 제2 사용자 기기에 대응하는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하고, 제2 사용자 기기에 대응하는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제1 타이밍 어드밴스로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기준 신호는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사용자 기기. -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제1 메시지는 제2 사용자 기기가 D2D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2 타이밍 어드밴스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 기기. - 청구항 39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제2 타이밍 어드밴스가 제1 타이밍 어드밴스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기준 신호는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며, 제1 기지국은 제1 사용자 기기를 서빙하는 기지국인, 제1 사용자 기기. - 청구항 39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제2 타이밍 어드밴스가 제1 타이밍 어드밴스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사용자 기기가 제1 메시지를 송신할 때 사용되는 제1 자원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자원 및 복수의 자원과 복수의 셀 간의 제2 맵핑 정보에 따라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을 결정하고,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의 기준 신호를 결정하며, 그리고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의 기준 신호에 따라 기준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사용자 기기. - 청구항 39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제1 메시지는 식별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제2 타이밍 어드밴스가 제1 타이밍 어드밴스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식별자에 따라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의 기준 신호를 결정하며, 그리고
상기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의 기준 신호에 따라 기준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사용자 기기. - 청구항 39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제2 타이밍 어드밴스 및 제1 사용자 기기에 사전설정되어 있는 시간 증가에 따라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기준 신호는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고, 제1 기지국은 제1 사용자 기기를 서빙하는 기지국인, 제1 사용자 기기. - 청구항 39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기기는,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제2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3 수신 모듈
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제1 기지국은 제1 사용자 기기를 서빙하는 기지국이고, 제2 메시지는 제1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 제3 타이밍 어드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제2 타이밍 어드밴스 및 상기 제3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제3 타이밍 어드밴스에 따라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기준 신호는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사용자 기기. - 청구항 39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기기는,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제2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3 수신 모듈
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제1 기지국은 제1 사용자 기기를 서빙하는 기지국이고, 제2 메시지는 복수의 셀과 복수의 타이밍 어드밴스 간의 제3 맵핑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사용자 기기가 제1 메시지를 송신할 때 사용되는 제1 자원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자원 및 복수의 자원과 복수의 셀 간의 제2 맵핑 정보에 따라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을 결정하고,
상기 제3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제3 맵핑 정보에 따라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에 대응하는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하며, 그리고
상기 제1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제2 타이밍 어드밴스 및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에 대응하는 타이밍 어드밴스에 따라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기준 신호는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사용자 기기. - 청구항 39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제1 메시지는 식별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자 기기는,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제2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3 수신 모듈
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제1 기지국은 제1 사용자 기기를 서빙하는 기지국이고, 제2 메시지는 복수의 셀과 복수의 타이밍 어드밴스 간의 제3 맵핑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식별자에 따라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을 결정하고,
상기 제3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제3 맵핑 정보에 따라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에 대응하는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하며, 그리고
상기 제1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제2 타이밍 어드밴스 및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에 대응하는 타이밍 어드밴스에 따라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기준 신호는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사용자 기기. - 청구항 44 내지 청구항 46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시그널링, 마스터 정보 블록 시그널링, 시스템 정보 블록 시그널링, D2D 동기화 채널 시그널링, 또는 무선 자원 제어 프로토콜 시그널링을 사용함으로써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사용자 기기. -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제1 기지국은 제1 사용자 기기를 서빙하는 기지국이고, 제1 메시지는 복수의 셀과 복수의 타이밍 어드밴스 간의 제3 맵핑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자 기기는,
상기 제2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2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3 수신 모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3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제2 메시지에 따라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을 결정하며, 그리고
상기 제1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제3 맵핑 정보에 따라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에 대응하는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하고,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에 대응하는 타이밍 어드밴스가 제1 타이밍 어드밴스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기준 신호는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사용자 기기. - 청구항 48에 있어서,
상기 제3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제2 메시지는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식별자에 따라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을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제1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제3 맵핑 정보에 따라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에 대응하는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하며,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에 대응하는 타이밍 어드밴스가 제1 타이밍 어드밴스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사용자 기기. - 청구항 48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사용자 기기가 제2 메시지를 송신할 때 사용되는 제2 자원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자원 및 복수의 자원과 복수의 셀 간의 제2 맵핑 정보에 따라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을 결정하며, 그리고
상기 제1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제3 맵핑 정보에 따라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에 대응하는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하고,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에 대응하는 타이밍 어드밴스가 제1 타이밍 어드밴스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사용자 기기. -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제3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제3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은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과 동일하고, 제1 메시지는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기기는,
상기 제2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2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3 수신 모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3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제2 메시지에 따라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에 따라 제3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기준 신호를 결정하며, 그리고
상기 제3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기준 신호에 따라 기준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사용자 기기. - 청구항 51에 있어서,
상기 제3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제2 메시지는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식별자에 따라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에 따라 제3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기준 신호를 결정하며, 그리고
상기 제3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기준 신호에 따라 기준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사용자 기기. - 청구항 51에 있어서,
상기 제2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사용자 기기가 제2 메시지를 송신할 때 사용되는 제2 자원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자원 및 복수의 자원과 복수의 셀 간의 제2 맵핑 정보에 따라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에 따라 제3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기준 신호를 결정하며, 그리고
상기 제3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기준 신호에 따라 기준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사용자 기기. -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제1 기지국은 제1 사용자 기기를 서빙하는 기지국이고, 제1 메시지는 복수의 자원과 복수의 타이밍 어드밴스 간의 제4 맵핑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D2D 신호가 검출될 때 사용되는 제3 자원을 결정하며, 그리고
상기 제3 자원 및 상기 제1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제4 맵핑 정보에 따라 제3 자원에 대응하는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하고, 제3 자원에 대응하는 타이밍 어드밴스를 제1 타이밍 어드밴스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기준 신호는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사용자 기기. - 청구항 36, 청구항 37, 청구항 38, 청구항 48, 청구항 49, 청구항 50, 또는 청구항 54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시그널링, 마스터 정보 블록 시그널링, 시스템 정보 블록 시그널링, D2D 동기화 채널 시그널링, 또는 무선 자원 제어 프로토콜 시그널링을 사용함으로써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사용자 기기. -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제3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제3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은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과 동일하고, 제1 메시지는 복수의 자원과 복수의 타이밍 어드밴스 간의 제4 맵핑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D2D 신호가 검출될 때 사용되는 제3 자원을 결정하며, 그리고
상기 제3 자원 및 상기 제1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제4 맵핑 정보에 따라 제3 자원에 대응하는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하고, 제3 자원에 대응하는 타이밍 어드밴스를 제1 타이밍 어드밴스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기준 신호는 제3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사용자 기기. -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제3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제3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은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과 동일하고, 제1 메시지는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기준 신호는 제3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사용자 기기. - 청구항 51, 청구항 52, 청구항 53, 청구항 56, 또는 청구항 57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시그널링, 마스터 정보 블록 시그널링, 시스템 정보 블록 시그널링, D2D 동기화 채널 시그널링, 또는 무선 자원 제어 프로토콜 시그널링을 사용함으로써 제3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사용자 기기. - 제2 사용자 기기로서,
제1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생성 모듈; 및
상기 생성 모듈에 의해 생성된 제1 메시지를 제1 사용자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메시지는, 제1 사용자 기기가 제1 메시지에 따라 제2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D2D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하도록 제1 사용자 기기를 촉발하는 데 사용되는, 제2 사용자 기기. - 청구항 59에 있어서,
상기 생성 모듈에 의해 생성된 제1 메시지는 제2 사용자 기기가 D2D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2 타이밍 어드밴스 및/또는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기기. - 제3 사용자 기기로서,
제1 사용자 기기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송신 모듈 - 여기서 제1 메시지는, 제1 사용자 기기가 제1 메시지에 따라 제2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D2D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하도록 제1 사용자 기기를 촉발하는 데 사용됨 - ; 및
상기 제1 사용자 기기에 기준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송신 모듈
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기준 신호는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D2D 신호를 검출하는 기준 신호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3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은 제2 사용자 기기가 속하는 셀과 동일한, 제3 사용자 기기. - 청구항 61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모듈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는 제1 사용자 기기가 D2D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포함하는, 제3 사용자 기기. - 청구항 61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모듈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는 복수의 자원과 복수의 타이밍 어드밴스 간의 맵핑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사용자 기기. - 청구항 61 내지 청구항 6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3 사용자 기기가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시그널링, 마스터 정보 블록 시그널링, 시스템 정보 블록 시그널링, D2D 동기화 채널 시그널링, 또는 무선 자원 제어 프로토콜 시그널링을 사용함으로써 제1 사용자 기기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3 사용자 기기. - 제1 기지국으로서,
제1 사용자 기기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송신 모듈 - 여기서 제1 사용자 기기는 제1 기지국이 서빙하는 사용자 기기이고, 제1 메시지는, 제1 사용자 기기가 제1 메시지에 따라 제2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D2D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1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하도록 제1 사용자 기기를 촉발하는 데 사용됨 - ; 및
상기 제1 사용자 기기에 기준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송신 모듈
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기준 신호는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D2D 신호를 검출하는 기준 시간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제1 기지국. - 청구항 65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모듈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는 제1 타이밍 어드밴스 또는 제1 사용자 기기가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타이밍 어드밴스를 포함하는, 제1 기지국. - 청구항 65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모듈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는 맵핑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맵핑 정보는 복수의 사용자 기기와 복수의 타이밍 어드밴스 간의 맵핑 정보, 복수의 셀과 복수의 타이밍 어드밴스 간의 맵핑 정보, 또는 복수의 자원과 복수의 타이밍 어드밴스 간의 맵핑 정보인, 제1 기지국. - 청구항 65 내지 청구항 67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기지국이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시그널링, 마스터 정보 블록 시그널링, 시스템 정보 블록 시그널링, D2D 동기화 채널 시그널링, 또는 무선 자원 제어 프로토콜 시그널링을 사용함으로써 제1 사용자 기기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기지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CN2014/073818 WO2015139287A1 (zh) | 2014-03-21 | 2014-03-21 | 检测设备对设备信号的方法、用户设备和基站 |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35898A Division KR101939703B1 (ko) | 2014-03-21 | 2014-03-21 | 장치 대 장치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사용자 기기, 및 기지국 |
KR1020177029130A Division KR101933067B1 (ko) | 2014-03-21 | 2014-03-21 | 장치 대 장치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사용자 기기, 및 기지국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3884A true KR20160023884A (ko) | 2016-03-03 |
Family
ID=5285581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29130A Active KR101933067B1 (ko) | 2014-03-21 | 2014-03-21 | 장치 대 장치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사용자 기기, 및 기지국 |
KR1020167002119A Ceased KR20160023884A (ko) | 2014-03-21 | 2014-03-21 | 장치 대 장치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사용자 기기, 및 기지국 |
KR1020177035898A Active KR101939703B1 (ko) | 2014-03-21 | 2014-03-21 | 장치 대 장치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사용자 기기, 및 기지국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29130A Active KR101933067B1 (ko) | 2014-03-21 | 2014-03-21 | 장치 대 장치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사용자 기기, 및 기지국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35898A Active KR101939703B1 (ko) | 2014-03-21 | 2014-03-21 | 장치 대 장치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사용자 기기, 및 기지국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2) | US10045371B2 (ko) |
EP (2) | EP3579623A1 (ko) |
JP (1) | JP6430513B2 (ko) |
KR (3) | KR101933067B1 (ko) |
CN (2) | CN104541536B (ko) |
WO (1) | WO201513928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321475B2 (en) * | 2014-04-14 | 2019-06-11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retransmitting scheduling assignment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device to device (D2D) communication |
EP2983425B1 (en) * | 2014-08-08 | 2019-03-06 |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 D2D Data Transmission - Timing Advance for Idle Mode UE |
US9918266B2 (en) * | 2014-10-06 | 2018-03-13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a secondary cell for device-to-device user equipment |
EP3318525B1 (en) | 2016-11-07 | 2020-06-10 | Otis Elevator Company | Elevator system suspension member termination |
US11228995B2 (en) | 2018-08-09 | 2022-01-18 | Qualcomm Incorporated | Distributed synchronization mechanism |
TWI715017B (zh) * | 2019-04-23 | 2021-01-01 |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 無線連線設定傳遞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3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434541B (zh) * | 2006-02-23 | 2014-04-11 |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 分散式網路之同步 |
US8554200B2 (en) | 2008-09-12 | 2013-10-08 | Nokia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ference measurements for device to-device communication |
CN102165840A (zh) * | 2008-09-25 | 2011-08-24 | 诺基亚公司 | 用于设备到设备通信的同步 |
WO2010108549A1 (en) * | 2009-03-27 | 2010-09-30 | Nokia Siemens Networks Oy |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
JP2011130088A (ja) * | 2009-12-16 | 2011-06-30 | Sony Corp | 端末装置、ハンドオーバのための方法、基地局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
CN102123111B (zh) | 2010-01-11 | 2014-04-09 | 联芯科技有限公司 | 信道估计的方法和装置 |
JP2010110022A (ja) * | 2010-02-17 | 2010-05-13 | Ntt Docomo Inc | 移動局及び無線基地局 |
US8278969B2 (en) * | 2010-07-27 | 2012-10-02 | Ati Technologies Ulc | Method and apparatus for voltage level shifting with concurrent synchronization |
US20130142268A1 (en) | 2010-08-12 | 2013-06-06 | Nokia Corporation | Configuring an uplink and downlink splitting pattern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nder a cellular network |
CN103108389A (zh) * | 2011-11-15 | 2013-05-15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设备到设备的通信方法和系统、用户设备 |
CN103108405B (zh) * | 2011-11-15 | 2017-09-08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无线通信方法和系统 |
CN103188742B (zh) | 2011-12-29 | 2015-11-25 | 华为技术有限公司 | 通信切换方法、用户设备与基站 |
EP2798891B1 (en) * | 2011-12-29 | 2019-02-20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A user equipment and a radio network node, and methods therein |
US20130170414A1 (en) | 2012-01-04 | 2013-07-04 | Futurewei Technologies, Inc. | System and Method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Overlaid on a Cellular Network |
WO2013104084A1 (en) | 2012-01-12 | 2013-07-18 | Renesas Mobile Corporation | Synchronization and macro connectivity reconfiguration for d2d devices |
CN103379656B (zh) * | 2012-04-13 | 2017-03-22 | 普天信息技术研究院有限公司 | 一种随机接入方法以及相关装置 |
US10045386B2 (en) * | 2012-05-31 | 2018-08-07 |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D2D) mobility in wireless systems |
CN103457690B (zh) * | 2012-05-31 | 2017-11-03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探测参考信号的传输方法、装置及系统和用户设备 |
KR20150022788A (ko) * | 2012-06-26 | 2015-03-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 통신을 위한 동기 방법 및 장치 |
EP2880955B1 (en) * | 2012-08-03 | 2021-03-31 | Apple Inc. | Method for enabl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
US20140037090A1 (en) * | 2012-08-06 | 2014-02-06 | Media Speed Tech Llc, A Delaware Limited Liability Company | System and method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
CN104641688A (zh) | 2012-11-02 | 2015-05-20 | 富士通株式会社 | 用于小区搜索和测量的方法、装置和系统 |
WO2014092370A1 (ko) * | 2012-12-14 | 2014-06-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스케줄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JP6075585B2 (ja) | 2012-12-31 | 2017-02-08 | ▲ホア▼▲ウェイ▼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 デバイス対デバイス通信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
CN103974407B (zh) | 2013-02-01 | 2018-03-23 |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 一种精同步跟踪参考符号的映射方法、系统和装置 |
EP2954633A1 (en) | 2013-02-07 | 2015-12-16 |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 Time-division duplexing |
CN105009538B (zh) | 2013-03-07 | 2018-09-18 | Lg 电子株式会社 |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接收与设备对设备通信有关的信号的方法和设备 |
US9232488B2 (en) * | 2013-04-01 | 2016-01-05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Aligning timing for direct communications |
WO2014171596A1 (ko) * | 2013-04-19 | 2014-10-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리소스 할당 방법 및 장치 |
US20140370904A1 (en) * | 2013-06-12 | 2014-12-18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Device-to-device discovery |
CN103347246B (zh) * | 2013-07-18 | 2016-08-17 | 西安电子科技大学 | 蜂窝网络中嵌入式d2d环境下邻近用户间的发现方法 |
EP2943042B1 (en) | 2013-07-26 | 2019-09-11 | Huawei Device Co., Ltd. |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signals between user equipment |
KR102216249B1 (ko) * | 2013-09-15 | 2021-02-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자원의 용도 변경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KR101784899B1 (ko) | 2013-09-18 | 2017-10-20 | 후아웨이 디바이스 (둥관) 컴퍼니 리미티드 | 장치 대 장치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EP3007497A4 (en) * | 2013-09-27 | 2016-07-13 | Huawei Device Co Ltd | METHOD AND USER DEVICE FOR SENDING DIRECT CONNECTION COMMUNICATION SIGNALS FROM USER DEVICES |
US10237852B2 (en) * | 2014-03-19 | 2019-03-19 | Lg Electronics Inc.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said method (as amended) |
WO2016003249A1 (en) | 2014-07-04 | 2016-01-0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overlap between reception and transmission by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EP3018953A1 (en) | 2014-11-10 | 2016-05-11 | Fujitsu Limited | Secondary cell synchronization |
-
2014
- 2014-03-21 CN CN201480002060.5A patent/CN104541536B/zh active Active
- 2014-03-21 US US14/907,227 patent/US10045371B2/en active Active
- 2014-03-21 CN CN201710283544.7A patent/CN107071889B/zh active Active
- 2014-03-21 KR KR1020177029130A patent/KR101933067B1/ko active Active
- 2014-03-21 JP JP2016539397A patent/JP6430513B2/ja active Active
- 2014-03-21 KR KR1020167002119A patent/KR20160023884A/ko not_active Ceased
- 2014-03-21 WO PCT/CN2014/073818 patent/WO2015139287A1/zh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03-21 KR KR1020177035898A patent/KR101939703B1/ko active Active
- 2014-03-21 EP EP19174094.3A patent/EP3579623A1/en not_active Ceased
- 2014-03-21 EP EP14886430.9A patent/EP3002981B1/en active Active
-
2018
- 2018-06-27 US US16/020,767 patent/US10375724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0375724B2 (en) | 2019-08-06 |
CN104541536B (zh) | 2017-04-26 |
EP3579623A1 (en) | 2019-12-11 |
CN104541536A (zh) | 2015-04-22 |
US20170006630A1 (en) | 2017-01-05 |
JP2016529848A (ja) | 2016-09-23 |
KR20170141285A (ko) | 2017-12-22 |
JP6430513B2 (ja) | 2018-11-28 |
US20180332609A1 (en) | 2018-11-15 |
US10045371B2 (en) | 2018-08-07 |
KR101933067B1 (ko) | 2019-03-15 |
CN107071889B (zh) | 2020-10-09 |
WO2015139287A1 (zh) | 2015-09-24 |
KR101939703B1 (ko) | 2019-01-17 |
EP3002981A4 (en) | 2017-01-04 |
CN107071889A (zh) | 2017-08-18 |
EP3002981A1 (en) | 2016-04-06 |
KR20170117613A (ko) | 2017-10-23 |
EP3002981B1 (en) | 2020-02-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273927B2 (en) | Multi-beam random access procedure in handover execution | |
CN109246743B (zh) | 一种波束管理方法及终端设备、网络设备 | |
CN108810922B (zh) | 一种通信方法及终端、基站 | |
US12294960B2 (en) | Method for transmitting common signal and apparatus thereof | |
WO2018228270A1 (zh) | 测量方法、测量配置方法和相关设备 | |
CN104080170B (zh) | 一种d2d响应信息的传输方法和设备 | |
KR101939703B1 (ko) | 장치 대 장치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사용자 기기, 및 기지국 | |
KR20190056434A (ko) | 랜덤 액세스 방법, 장치, 시스템, 단말기 및 기지국 | |
CN110859003A (zh) | 确定上行资源的方法与装置 | |
US20220225425A1 (en) | Random Access Method And Apparatus | |
CN117500060A (zh) | 控制信道的资源指示方法、用户设备和网络设备 | |
US10420106B2 (en) | Commo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 |
TWI756259B (zh) | 通訊方法、終端裝置和網路裝置 | |
KR102272581B1 (ko) | Ta 획득 방법 및 장치 | |
TWI759560B (zh) | 傳輸訊息的方法和設備 | |
CN113826436B (zh) | 一种通信方法、装置及设备 | |
KR102292409B1 (ko) | 데이터 수신, 전송 및 송신 방법, 관련 장치, 및 시스템 | |
KR102070961B1 (ko) |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 송신을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 |
CN109691216B (zh) | 随机接入的方法、设备、计算机可读介质和系统芯片 | |
WO2018059399A1 (zh) | 随机接入方法、装置、系统、终端和基站 | |
EP4124140A1 (en) |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involved in transmission of small data | |
CN113747446A (zh) | 通信方法及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12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1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707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12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709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AMND | Amendment | ||
PA0104 |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171011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7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3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1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711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10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71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3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612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125 |
|
PA0104 |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17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