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19923A - 건축물 개구부용 다중 롤러 덮개 - Google Patents

건축물 개구부용 다중 롤러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9923A
KR20160019923A KR1020167000433A KR20167000433A KR20160019923A KR 20160019923 A KR20160019923 A KR 20160019923A KR 1020167000433 A KR1020167000433 A KR 1020167000433A KR 20167000433 A KR20167000433 A KR 20167000433A KR 20160019923 A KR20160019923 A KR 20160019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outer roller
inner roller
locking mechanism
vis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0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8961B1 (ko
Inventor
니콜라스 씨. 주니어 부콜라
테렌스 엠. 드류
케니스 엠. 팔러
켄트 에이. 스미스
Original Assignee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4/212,387 external-priority patent/US9567802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4/213,449 external-priority patent/US9945177B2/en
Application filed by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19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9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96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4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roller-type; Roller shutters with adjustable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06B9/44Rollers therefor; Fastening roller blinds to 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06B2009/2447Parallel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2009/405Two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Blind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건축물 덮개용 덮개가 제공된다. 상기 덮개는 회전가능한 외부 롤러, 회전가능한 내부 롤러, 상기 외부 롤러에 고정된 제1 가리개, 및 상기 내부 롤러에 고정된 제2 가리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롤러는, 상기 외부 롤러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외부 롤러의 내부로 개방되는 세장형 슬롯을 한정할 수 있다. 상기 내부 롤러는 상기 외부 롤러 내에 수용될 수 있고 중심 길이방향 축을 한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리개는 상기 외부 롤러로 수축가능하고 이 외부 롤러로부터 연장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리개는 상기 세장형 슬롯을 통해 연장할 수 있고, 상기 내부 롤러로 수축가능하고 이 내부 롤러로부터 연장가능할 수 있다. 상기 세장형 슬롯은 상기 제1 가리개가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내부 롤러의 중심 길이방향 축과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정렬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물 개구부용 다중 롤러 덮개{MULTI-ROLLER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미국 가출원 번호 61/834,080(출원일: 2013년 6월 12일, 발명의 명칭: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Having Nested Rollers")의 35 U.S.C.§119(e) 하에서의 이익을 주장하고, 또한 본 출원은 미국 특허 출원 번호 14/213,449(출원일: 2014년 3월 14일, 발명의 명칭: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Having Nested Rollers")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나아가 본 출원은 미국 가출원 번호 61/834,080(출원일: 2013년 6월 12일, 발명의 명칭: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Having Nested Rollers")의 35 U.S.C.§119(e) 하에서의 이익을 주장하는 미국 특허 출원 번호 14/212,387(출원일: 2014년 3월 14일, 발명의 명칭: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Having Nested Rollers")의 우선권을 더 주장하며, 이들 문헌 전체는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병합된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네스티드 롤러(nested roller)를 구비하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를 동작시키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개구부, 예를 들어, 창문, 도어, 아치길 등을 위한 덮개는 많은 해 동안 다수의 형태를 취해왔다. 일부 덮개는 연장된 위치(extended position)와 수축된 위치(retracted position)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수축가능한 가리개(retracted shade)를 포함한다. 연장된 위치에서, 덮개의 가리개는 개구부에 걸쳐 위치될 수 있다. 수축된 위치에서, 덮개의 가리개는 개구부의 하나 이상의 측면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일부 덮개는,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 덮개를 구성하는 물질을 통해 광이 투과한다. 일부 예에서, 덮개가 덮개를 통과하는 광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개폐되는 동작가능한 베인(vane)을 구비하는 경우에도, 더 많은 어두움이 요구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일부 예에서 사용자는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 덮개에 상이한 패턴 또는 외관을 요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런 목적은 제1차 롤러 뒤에 위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별개로 작동하는 별개의 롤러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보조 기능 또는 외관을 위한 별개의 롤러는 헤드 레일(head rail)의 사이즈를 증가시켜, 제2 세트의 제어 코드와 동작 기구를 사용할 것을 요구하여, 덮개 구조물의 사이즈와 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예는 네스티드 롤러를 구비하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기 덮개는, 회전가능한 외부 롤러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외부 롤러의 내부로 개방되는 세장형 슬롯(elongated slot)을 한정하는 상기 회전가능한 외부 롤러, 상기 외부 롤러 내에 수용되고 중심 길이방향 축을 한정하는 회전가능한 내부 롤러, 상기 외부 롤러에 고정되고, 상기 외부 롤러로 수축가능하고 이 외부 롤러로부터 연장가능한 제1 가리개, 및 상기 내부 롤러에 고정되고, 상기 세장형 슬롯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내부 롤러로 수축가능하고 이 내부 롤러로부터 연장가능한 제2 가리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장형 슬롯은 상기 제1 가리개가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내부 롤러의 중심 길이방향 축과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정렬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기 내부 롤러와 외부 롤러는 상기 내부 롤러의 중심 길이방향 축 주위로 동심이다. 일부 예에서, 상기 제1 가리개와 제2 가리개는 동일한 폭을 구비한다. 일부 예에서, 상기 제1 가리개의 폭은 상기 외부 롤러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가리개의 폭은 상기 내부 롤러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일부 예에서, 상기 슬롯은 상기 제1 가리개의 연장 방향으로 수직으로 배향된다.
일부 예에서, 상기 덮개는, 상기 제2 가리개에 고정되고, 상기 제2 가리개가 완전히 수축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외부 롤러와 맞물리는 바텀 레일(bottom rail)을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상기 외부 롤러는 상기 슬롯을 따라 형성된 길이방향 안착부(seat)를 한정하고, 상기 바텀 레일은 상기 제2 가리개가 상기 완전히 수축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안착부에 수용된다. 일부 예에서, 상기 덮개는 상기 내부 롤러의 중심 길이방향 축 주위로 회전 움직임을 위해 상기 내부 롤러와 외부 롤러를 지지하는 장착 시스템을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상기 덮개는 상기 내부 롤러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동작 기구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상기 외부 롤러는 길이방향으로-연장되는 터미널 에지(terminal edge)를 각각 구비하는 제1 쉘(shell)과 제2 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쉘과 제2 쉘의 에지는 주변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세장형 슬롯을 한정한다. 일부 예에서, 상기 덮개는 상기 제1 쉘과 제2 쉘의 일 단부(end)에 록킹된 제1 부싱(bushing)과, 상기 제1 쉘과 제2 쉘의 반대쪽 단부에 록킹된 제2 부싱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싱과 제2 부싱은 상기 슬롯의 일정한 폭을 유지한다.
일부 예에서, 상기 덮개는 상기 외부 롤러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외부 롤러의 회전을 허용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록 기구(lock mechanism)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상기 록 기구는 상기 바텀 레일이 상기 록 기구와 맞물릴 때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한다. 일부 예에서, 상기 외부 롤러는 측벽(sidewall)에 형성된 세장형 그루브(elongated groove)를 한정하고, 상기 록 기구는 베어링(bearing)을 포함하고, 상기 록 기구의 제1 위치에서, 상기 베어링은 상기 그루브에 수용된다. 일부 예에서, 상기 록 기구는 핀(pin)을 포함하고, 상기 록 기구는 상기 바텀 레일에 의해 상기 핀이 맞물릴 때 상기 그루브로부터 베어링을 제거하도록 작동된다. 일부 예에서, 상기 베어링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외부 롤러의 외부 표면과 이동가능하게 맞물린다.
일부 예에서, 상기 록 기구는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선회하는 록킹 부재(locking member)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상기 록 기구는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병진이동하는 록킹 부재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상기 록 기구는, 상기 외부 롤러의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내부 롤러의 중심 길이방향 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된 회전가능한 샤프트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상기 덮개는 단부 캡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롤러와 외부 롤러는 상기 단부 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록 기구는 상기 단부 캡으로부터 캔티레버된(cantilevered)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가능한 샤프트는 상기 하우징에 저널링(journaled)된다. 일부 예에서, 상기 록 기구는 상기 회전가능한 샤프트와 상기 외부 롤러의 회전을 결합시키는 기어 기구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상기 덮개는 세장형 슬롯을 한정하는 회전가능한 외부 롤러, 상기 외부 롤러에 고정되고 이 외부 롤러 주위에 랩핑(wrapping)가능한 제1 가리개, 상기 외부 롤러의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1 가리개에 대한 바텀 정지부(bottom stop)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록 기구, 상기 외부 롤러 내에 수용된 회전가능한 내부 롤러, 상기 내부 롤러에 고정되고 이 내부 롤러 주위에 랩핑가능한 제2 가리개로서, 상기 제2 가리개는 상기 세장형 슬롯을 통해 연장가능하고 수축가능한, 상기 제2 가리개, 및 상기 내부 롤러 내에 연장되고 상기 제2 가리개에 대한 바텀 정지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회전가능하지 않은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기 록 기구는 상기 외부 롤러의 외부에 위치된 회전가능한 샤프트와, 상기 회전가능한 샤프트를 따라 축방향으로 병진이동하는 록킹 부재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상기 록 기구는 상기 외부 롤러의 외부에 위치된 선회가능한 록킹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를 동작시키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기 방법은 외부 롤러의 주변(periphery)으로부터 제1 가리개를 언랩핑(unwrapping)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리개가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외부 롤러 내에 위치된 내부 롤러의 주변으로부터 제2 가리개를 언랩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가리개를 언랩핑하는 것은, 상기 외부 롤러에 형성되고 상기 내부 롤러의 중심 길이방향 축과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정렬되어 위치된 세장형 슬롯을 통해 상기 제2 가리개를 연장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상기 방법은 록킹 부재를 상기 외부 롤러와 록킹 맞물림되게 선회시켜 상기 외부 롤러의 회전을 록킹하는 단계; 상기 외부 롤러에 대해 상기 내부 롤러를 회전시켜 상기 제2 가리개를 상기 외부 롤러에 형성된 상기 세장형 슬롯을 통해 상기 내부 롤러로 수축시키는 단계; 상기 내부 롤러의 완전히 수축된 위치에서 상기 외부 롤러와 록킹 맞물림이 해제되게 상기 록킹 부재를 선회시켜 상기 외부 롤러가 회전할 수 있게 하는 단계; 및 상기 내부 롤러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외부 롤러를 회전시켜 상기 제1 가리개를 상기 외부 롤러로 수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가리개가 연장되는 동안, 상기 외부 롤러의 주변의 외부에 록킹 부재를 축방향으로 횡단하는 단계, 상기 제1 가리개가 상기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 도달시에 상기 록킹 부재로 상기 외부 롤러의 회전을 제한하는 단계, 상기 제2 가리개가 연장되는 동안, 상기 내부 롤러 내에 위치된 너트를 축방향으로 횡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가리개가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 도달시에 상기 너트로 상기 내부 롤러의 회전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설명은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으로,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여러 측면과 특징 각각이 유리하게는 일부 예에서 개별적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다른 예에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 및 특징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설명은 예시 측면에서 제시되었지만, 임의의 예의 개별 측면이 개별적으로 청구되거나 또는 이 예 또는 임의의 다른 예의 측면 및 특징과 조합하여 청구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설명은 본 출원에서 여러 상세 레벨로 제시되었으나 청구된 주제의 범위는 본 개요에 있는 요소, 컴포넌트 등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것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특정 예에서,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필요치 않거나 또는 다른 상세를 이해하는 것을 어렵게 하는 사항은 생략되었을 수 있다. 청구된 주제는 본 명세서에 예시된 특정 예시나 배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된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예를 도시하고,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과 함께, 이들 예의 원리를 설명하는 기능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제1 가리개와 제2 가리개가 완전히-수축된 위치에 있는 덮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제1 가리개가 부분적으로-연장된 위치에 있고 제2 가리개가 완전히-수축된 위치에 있는 도 1의 덮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제1 가리개가 완전히-연장된 위치에 있고 제2 가리개가 완전히-수축된 위치에 있는 도 1의 덮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제1 가리개가 완전히-연장된 위치에 있고 제2 가리개가 부분적으로-연장된 위치에 있는 도 1의 덮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제1 가리개와 제2 가리개가 완전히-연장된 위치에 있는 도 1의 덮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덮개의 헤드 레일 컴포넌트의 부분 분해 사시도. 여기서 헤드 레일 커버와 제1 가리개와 제2 가리개는 명료함을 위해 도시되어 있지 않음;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도 6의 헤드 레일 컴포넌트를 갖는 도 1의 라인 7-7을 따라 절단한 덮개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도 6의 헤드 레일 컴포넌트를 갖는 도 2의 라인 8-8을 따라 절단한 덮개의 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도 6의 헤드 레일 컴포넌트를 갖는 도 3의 라인 9-9를 따라 절단한 덮개의 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도 6의 헤드 레일 컴포넌트를 갖는 도 4의 라인 10-10을 따라 절단한 덮개의 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도 6의 헤드 레일 컴포넌트를 갖는 도 5의 라인 11-11을 따라 절단한 덮개의 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덮개의 헤드 레일 컴포넌트의 사시도. 여기서 헤드 레일 커버는 명료함을 위해 도시되어 있지 않음;
도 13은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도 12의 헤드 레일 컴포넌트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도 12의 라인 14-14를 따라 절단한 도 12의 헤드 레일 컴포넌트의 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덮개의 단부 캡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3개의 상호 맞물린 기어를 도시하는 도 12의 헤드 레일 컴포넌트의 일부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도 12의 헤드 레일 컴포넌트의 록 기구의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도 16의 록 기구의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도 16의 록 기구의 다른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도 16의 록 기구에 부착된 이중 롤러 유닛(dual roller unit)의 측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도 19의 이중 롤러 유닛의 외부 롤러의 제1 쉘과 제2 쉘 사이에 록킹 인터페이스(locking interface)의 상세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도 16의 록 기구의 하우징의 정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도 21의 하우징의 측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도 16의 록 기구의 샤프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도 16의 록 기구의 너트의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도 24의 너트의 다른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도 21의 하우징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도 23의 샤프트와, 이 샤프트에 나사산으로 장착된 도 24의 너트의 정면도(여기서 하우징과 너트는 길이방향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음);
도 27은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도 26의 라인 27-27을 따라 절단한 도 26의 하우징, 너트 및 샤프트의 횡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덮개의 헤드 레일 컴포넌트의 부분 분해 사시도. 여기서 헤드 레일 커버와 제2 가리개는 명료함을 위해 도시되어 있지 않음;
도 29는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도 28의 헤드 레일 컴포넌트의 다른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도 28의 헤드 레일 컴포넌트를 갖는 도 5의 라인 30-30을 따라 절단한 덮개의 횡단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도 28의 헤드 레일 컴포넌트를 갖는 도 3의 라인 31-31을 따라 절단한 덮개의 횡단면도;
도 32는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바텀 레일이 외부 롤러에 안착되고 록 기구가 외부 롤러로부터 이탈되어 있는 도 31의 덮개의 횡단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외부 롤러가 도 32에 있는 외부 롤러의 위치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는 도 32의 덮개의 횡단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도 28의 헤드 레일 컴포넌트를 갖는 도 4의 라인 34-34를 따라 절단한 덮개의 횡단면도;
도 35는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명료함을 위해 내부 롤러와 제2 가리개가 제거되어 있는 도 31의 덮개의 횡단면도;
도 36은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명료함을 위해 내부 롤러와 제2 가리개가 제거되어 있는 도 32의 덮개의 횡단면도;
도 37은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내부 롤러와 제2 가리개가 명료함을 위해 제거되어 있는 도 33의 덮개의 횡단면도;
도 38은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도 28의 헤드 레일 컴포넌트의 록 기구의 사시도;
도 39는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도 38의 록 기구의 다른 사시도;
도 40은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도 28의 헤드 레일 컴포넌트의 브라켓(bracket)의 사시도;
도 41은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도 40의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도 38의 록 기구의 사시도.
도 42는 도 28의 헤드 레일 컴포넌트의 일부 단면 사시도이고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덮개의 바텀 레일을 갖는 도 38의 록 기구의 인터페이스를 도시함;
도 43은 도 28의 헤드 레일 컴포넌트의 일부 단편 사시도이고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덮개의 바텀 레일을 갖는 도 38의 록 기구의 인터페이스를 도시함;
도 44는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도 42 및 도 43의 바텀 레일의 일 단부의 단편도;
도 45는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도 44의 바텀 레일의 작동체 림(actuator rim)의 사시도;
도 46은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도 28의 헤드 레일 컴포넌트를 갖는 도 1의 라인 7-7을 따라 절단한 덮개의 일 단부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 47은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라 도 28의 헤드 레일 컴포넌트를 갖는 도 1의 라인 7-7을 따라 절단한 덮개의 다른 단부의 길이방향 단면도.
본 발명은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덮개는 이중 롤러 유닛을 형성하는 한 쌍의 네스티드 롤러에 의해 동일한 헤드 레일로부터 모두 매달려 있는 제1 가리개와 제2 가리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리개(이 형태에서는 전방 가리개)는 외부 롤러와 맞물려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때 외부 롤러 주위로 랩핑되거나 이 외부 롤러로부터 언랩핑되는 것에 의해 외부 롤러로 수축되거나 이 외부 롤러로부터 연장된다. 제2 가리개(이 형태에서는 후방 가리개)는 외부 롤러 내에 위치되는 내부 롤러와 맞물려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때 내부 롤러 주위로 랩핑되고 이 내부 롤러로부터 언랩핑되는 것에 의해 이 내부 롤러로 수축되거나 이 내부 롤러로부터 연장된다. 내부 롤러는 외부 롤러 내에 위치될 수 있고, 집합적으로 내부 롤러와 외부 롤러는 아래에 더 설명된 바와 같이 롤러 유닛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가리개는 제1 가리개가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에 의해 지시되는 대로 연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지시되는 대로 롤러를 회전시키는 동작 유닛은, 예를 들어, 모터 또는 단일 제어 코드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동작 유닛은 내부 롤러와 맞물려 이 내부 롤러의 회전을 제어하여, 외부 튜브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건축물 개구부용 수축가능한 덮개(10)가 제공된다. 수축가능한 덮개(10)는 헤드 레일(14), 제1 바텀 레일(18), 제2 바텀 레일(20), 제1 가리개(22) 및 제2 가리개(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리개(22)는 헤드 레일(14)과 제1 바텀 레일(18) 사이에 연장될 수 있다. 제2 가리개(24)는 헤드 레일(14)과 제2 바텀 레일(20) 사이에 연장될 수 있다. 헤드 레일(14)은 헤드 레일(14)의 단부들을 둘러싸서 완성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는 2개의 대향하는 단부 캡(end cap)(26a, 26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텀 레일(18)은 제1 가리개(22)의 하부 에지(lower edge)를 따라 수평으로 연장될 수 있고, 인장된 상태(taut condition)에 제1 가리개(22)를 유지하는 밸러스트(ballast)로 기능할 수 있다. 제2 바텀 레일(20)은 제2 가리개(24)의 하부 에지를 따라 수평으로 연장될 수 있고, 인장된 상태에 제2 가리개(24)를 유지하는 밸러스트로 기능할 수 있다.
제1 가리개(22)는 유연한 물질(예를 들어, 시어 직물(sheer fabric)의 수직으로 매달린 전방 시트(sheet)와 후방 시트(30 및 34)와, 복수의 수평으로-연장되는, 수직으로-이격된 유연한 베인(38)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베인(38)은 전방 시트(30)에 부착된 전방 에지와 후방 시트(34)에 부착된 후방 에지에 수평 부착 라인을 따라 고정될 수 있다. 시트(30, 34)와 베인(38)은 집합적으로 구획식 패널이라고 언급될 수 있는 복수의 세장형의, 수직으로-정렬된, 길이방향으로-연장되는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시트(30, 34) 및/또는 베인(38)은 연속적인 길이의 물질로 구성되거나 또는 에지-대-에지, 오버랩, 또는 다른 적절한 관계로 함께 부착되거나 접합된 물질 스트립(strip)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가리개(24)는 단일 패널일 수 있고, 에지-대-에지, 오버랩, 또는 다른 적절한 관계로 함께 부착되거나 접합된 물질 스트립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가리개와 제2 가리개(22, 24)는 실질적으로 임의의 유형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리개(22, 24)는 직물(fabric), 폴리머, 및/또는 다른 적절한 물질을 포함하는 천연 물질 및/또는 합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직물 물질은 직포(woven), 부직포(non-woven), 니트(knit), 또는 다른 적절한 직물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가리개(22, 24)는 임의의 적절한 레벨의 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리개와 제2 가리개(22, 24)는 투명한 물질, 반투명한 물질, 및/또는 불투명한 물질로 구성되어 연관된 룸에 원하는 분위기 또는 인테리어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가리개(22)는 투명한 시트 및/또는 반투명한 시트(30, 34)와, 반투명한 베인 및/또는 불투명한 베인(38)을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제2 가리개(24)는 차광 가리개(black-out shade)라고도 종종 언급되는 0의 광 투과율을 갖는 단일 물질 시트로 만들어진다. 제2 가리개(24)는 제2 가리개(24)가 제1 가리개(22) 뒤에 연장될 때, 제2 가리개(24)가 제1 가리개(22) 그 자체와는 상이한 미적 외관을 형성하는 패턴이나 설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덮개(10)는 제1 가리개(22), 제2 가리개(24), 또는 이들 둘 모두를 상승시키거나 수축시키도록 구성된 구동부 또는 동작 기구(40)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기구(40)는 기계적으로 및/또는 전기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동작 기구(40)는 가리개(22, 24)의 연장 속력 또는 하강 속력을 제어하거나 조절하는 속력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동작 기구(40)는 사용자가 제1 및/또는 제2 가리개(22, 24)를 연장시키거나 수축시킬 수 있게 하는 동작 요소(42)(예를 들어, 볼 체인(ball chain), 코드, 또는 완드(wand))를 포함할 수 있다. 가리개(22, 24)를 이동시키기 위해, 운영자는 동작 요소(42)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된 위치로부터 가리개(22, 24)를 상승시키거나 수축시키기 위해, 운영자는 동작 요소(40)를 아래쪽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수축된 위치로부터 가리개(22, 24)를 연장시키거나 하강시키기 위해, 운영자는 동작 요소(42)를 조작하여, 브레이크를 해제시켜, 가리개(22, 24)가 중력의 영향 하에서 자동적으로 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동작 기구(40)는 연장 또는 수축 명령을 수신할 때 가리개(22, 24)를 연장시키거나 수축시키도록 구성된 전기 모터(44)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44)는 스위치에 하드와이어드(hard-wired)되거나 및/또는 송신기,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유닛(46)과 통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수신기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용자가 모터(44)를 제어하여 가리개(22, 24)를 연장시키거나 수축시키도록 할 수 있다. 모터(44)는 모터 개입 없이 중력을 통해 가리개(22, 24)가 하강하게 하는 중력 하강 상태를 포함하여,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덮개(10)는 헤드 레일(14) 내에 배치될 수 있는 이중 롤러 유닛(46)을 포함할 수 있다. 이중 롤러 유닛(46)은 내부 롤러(48)와 외부 롤러(50)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롤러(48)는 외부 롤러(50) 내에 위치될 수 있고, 롤러(48, 50)는 동일한 회전 축(52) 주위로 동축으로 정렬될 수 있다. 롤러(48, 50)는 내부 롤러(48)의 중심 축 주위로 동심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내부 롤러(48)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형상일 수 있고 튜브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리개(24)는 접착제, 대응하는 유지 특징(retention feature), 또는 다른 적절한 부착 수단에 의해 탑 에지(top edge)에서 내부 롤러(48)에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길이방향으로-연장되는 리세스(recess)(52)는 내부 롤러(48)의 외주 벽(circumferential wall)에 형성되고, 제2 가리개(24)의 탑 에지를 내부 롤러(48)에 부착하도록 구성된 접착제 비드(adhesive bead)를 수용할 수 있다.
외부 롤러(50)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형상일 수 있고 내부 롤러(48)를 둘러쌀 수 있다. 외부 롤러(50)는 서로 상호 맞물리는 2개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외부 롤러(50)는 서로 네스트되는 제1 쉘(54)과 제2 쉘(5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쉘과 제2 쉘(54, 56)의 길이방향으로-연장되는 에지 부분(58, 60)은, 각각, 오버랩하여 서로 상호 맞물릴 수 있다. 제1 가리개(22)는 접착제, 대응하는 유지 특징, 또는 다른 적절한 부착 수단에 의해 탑 에지에서 외부 롤러(50)에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한 쌍의 채널(62)이 외부 롤러(50)의 외주 벽에 형성되고, 제1 가리개(22)의 탑 에지를 수용하고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삽입물(64)은 각 탑 에지에 형성된 단(hem)에 위치될 수 있고, 각 채널(62)에 탑 에지를 유지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내부 롤러와 외부 롤러(48, 50)는 우측 및 좌측 단부 캡(26a, 26b)들 사이에 실질적으로 전체 거리를 연장시킬 수 있다. 내부 롤러와 외부 롤러(48, 50)는 동일한 길이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가리개와 제2 가리개(22, 24)는 롤러(48, 50)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는 동일한 폭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구비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가리개와 제2 가리개(22, 24)는 내부 롤러와 외부 롤러(48, 50)의 길이와 일치하는 동일한 폭을 구비하여, 가리개(22, 24)의 에지와 건축물 개구부의 측면 사이에 약간의 갭(gap)의 존재를 제거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이중 롤러 유닛(50)은 대향하는 단부 캡(26a, 26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동작 기구(40)는 우측 단부 캡(26a)에 앵커링(anchored)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동작 요소(42) 또는 원격 제어 유닛(46)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동작 기구(40)는 내부 롤러(48)와 동작가능하게 연관되어 이 내부 롤러가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동작 기구(40)는, 내부 롤러(48) 내에 수용되고 내부 롤러(48)의 벽과 타이트하게 맞물릴 수 있는 내부 피팅부(fitting)(64)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피팅부(64)는 동작 기구(40), 예를 들어, 모터(44)에 의해 회전 구동될 수 있어서, 내부 롤러(48)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동작 기구(40)는 종종 창문 덮개 응용에 사용되는 유성 기어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계속 참조하면, 제한 나사(limit screw)(66)는 내부 롤러(48) 내에 위치될 수 있고, 제한 나사(66)가 회전하지 않도록 좌측 단부 캡(26b)에 고정될 수 있다. 제한 너트(limit nut)(68)는 제한 나사(66)와 나사산으로 맞물릴 수 있고, 내부 롤러(48)의 벽에 회전가능하게 키 결합(keyed)될 수 있다. 키 구조물(key structure)은 내부 롤러(48)의 길이를 따라 제한 너트(68)를 움직일 수 있게 한다. 내부 롤러(48)가 회전함에 따라, 제한 너트(68)는 나사산 형성된 제한 나사(66)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제한 나사(66)에 형성된 제한 정지부(limit stop)와 맞물려 제2 가리개(24)의 가장 아래로 연장된 위치를 한정할 수 있다(도 5 참조).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만약 원하는 경우 제한 나사(66)에 탑 제한 정지부(top limit stop)가 사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측 부싱과 좌측 부싱(70a, 70b)은 내부 롤러(48)와 축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고, 내부 롤러(48)의 대향하는 단부들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우측 부싱(70a)은 동작 기구(4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좌측 부싱(70b)은 제한 나사(66)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부싱(70a, 70b)은 쉘(54, 56)들 사이에 원하는 공간적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외부 롤러(50)의 단부들에 록킹될 수 있다. 부싱(70a, 70b) 각각은 한 쌍의 축방향 돌출부(72a, 72b)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들 중 하나(72a)는 제1 쉘(54)과 맞물릴 수 있고, 다른 돌출부(72b)는 제2 쉘(56)과 맞물릴 수 있다. 부싱(70a, 70b)이 외부 롤러(50)의 대향하는 단부들과 맞물릴 때, 부싱(70a, 70b)과 외부 롤러(50)는 내부 롤러와 외부 롤러(48, 50)의 회전 축(52) 주위로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외부 롤러(50)의 제1 쉘과 제2 쉘(54, 56) 각각은 부싱(70a, 70b)의 축방향 돌출부(72a, 72b)를 감싸게(snugly) 수용하는 유지 특징을 한정할 수 있다. 유지 특징은 외부 롤러(50)로부터 내부쪽으로 외부 롤러(50)에 의해 한정된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는 주변에 이격된 쉘프(shelf)(74)로 형성될 수 있다. 부싱(70a, 70b)이 외부 롤러(50)의 단부들과 맞물릴 때, 축방향 돌출부(72a, 72b)는 쉘프(74)와 외부 롤러(50)의 외주 벽 사이에 감싸게 수용되어, 제1 쉘과 제2 쉘(54, 56)들 사이에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을 계속 참조하면, 제1 쉘과 제2 쉘(54, 56)은 외부 롤러(50)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고 외부 롤러(50)의 내부와 연통하는 슬롯(76)을 한정할 수 있다. 제2 가리개(24)가 연장되거나 수축하는 동안 슬롯(76)을 통해 제2 가리개(24)가 통과할 수 있다. 제1 쉘과 제2 쉘(54, 56)의 제1 단부 부분(58, 60)이 각각 함께 상호 맞물릴 때, 제1 쉘과 제2 쉘(54, 56)의 제2 길이방향으로-연장되는 에지 부분(78, 80)은 서로 주변으로 이격되어 슬롯(76)을 한정할 수 있다. 제1 쉘과 제2 쉘(54, 56)의 마주보는(confronting) 제2 에지 부분(78, 80)은 제2 가리개(24)가 통과하는 것은 허용하지만 제2 가리개(24)의 바텀 레일(20)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만큼 서로 충분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부싱(70a, 70b)의 축방향 돌출부(72a, 72b)는 덮개(10)의 동작 동안 슬롯(76)의 폭을 유지할 수 있다. 슬롯(76)은 제1 가리개(22)가 그 연장된 위치에 베인이-개방된 형태에 있을 때 한 쌍의 채널(62)들 중 가장 후방 쪽 채널에 인접하게 상부에 위치되도록 외부 롤러(50)에 위치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을 계속 참조하면, 외부 롤러(50)는 슬롯(76)의 양 측면에 있는 외주 벽에 리세스된 안착부(81)를 한정할 수 있다. 안착부(81)는 슬롯(76)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리세스로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81)는, 슬롯(76)에 걸쳐 있고 외부 롤러(50)의 대향하는 에지 부분(78, 80)에 의해 형성된 일반적으로 수직으로-배향된 베이스 벽(base wall)(8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리개(24)가 완전히 수축된 위치에 있을 때 안착부(81)는 제2 바텀 레일(20)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8 참조). 베이스 벽(84)은 제2 바텀 레일(20)과 외부 롤러(50) 사이에 상대적으로 수직-접선방향으로 맞물림과 맞물림 해제(disengagement)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슬롯(76)과 안착부(81)는 제1 가리개(22)의 후방 시트(34)의 부착 점(62) 위 외부 롤러(50)의 외주에 위치될 수 있고, 슬롯(76)과 안착부(81)의 위치는 도 9 내지 도 11에 3시 방향(3 o'clock)으로 언급될 수 있다. 안착부(81)의 형상과 함께 외부 롤러(50)의 외주에서 가장 후방 쪽 위치 부근에 안착부(81)와 슬롯(76)이 위치하는 것을 통해, 제2 바텀 레일이 수축 동안 수직 위쪽으로 그리고 안착부(81) 안으로 당겨질 때 제2 바텀 레일(20)이 고정 수용될 수 있다(도 8 내지 도 10 참조).
안착부(81)의 형상과 외부 롤러(50)에서의 그 배향을 통해 안착부(81)로부터 제2 바텀 레일(20)이 원활하고 예측가능하게 맞물림 해제되어 제2 가리개(24)가 연장되기 시작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안착부(81)의 형상과 배향으로 인해 바텀 레일(20)은 상대적으로 무거운 바텀 레일(20)의 중력의 힘을 이용하여 안착부(81)로부터 수직으로 낙하할 수 있다. 외부 롤러(50)에서 안착부(81)가 일반적으로 접선방향으로 배향되는 것이 이런 점에서 도움이 될 수 있다. (외부 롤러(50)의 제2 쉘(56)의 에지 부분(80)에 의해 한정된) 슬롯(76)의 하부 자유 에지는 제2 가리개(24)가 슬롯(76)을 통해 연장되거나 수축될 때 에지 부분(80) 위로 제2 가리개(24)가 원활히 진행하도록 굴곡(curved)되거나 라운딩(rounded)될 수 있다.
제2 바텀 레일(20)은, 상대적으로 높은 질량을 가지고 있고 그 길이를 따라 이어져서 제2 가리개(24)의 하부 에지를 수용하고 유지하는 그루브를 한정하는 세장형 부재일 수 있다. 제2 가리개(24)의 하부 에지는 제2 가리개(24)의 하부 에지에 형성된 단에 위치된 삽입물(82)에 의해 바텀 레일(20)의 그루브에 유지될 수 있다. 제2 바텀 레일(20)의 프로파일의 일부는 외부 롤러(50)에 형성된 안착부(81)의 형상과 일반적으로 일치하여, 제2 가리개(24)가 수축된 위치에 있을 때 이 형상에 순응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제1 가리개(22)는 외부 롤러(50)에 연결되고 이 외부 롤러 주위에 랩핑가능할 수 있다. 전방 시트와 후방 시트(30, 34) 각각의 상부 에지는 외주방향으로-이격된 위치에서 외부 롤러(50)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가리개(22)는 외부 롤러(50)의 후방 측 주위에 랩핑되거나 이로부터 언랩핑될 수 있고, 롤러(50)의 후방 측은 롤러(50)의 전방 측과, 연관된 건축물 개구부의 거리측 사이에 위치된다(도 8 내지 도 11에서, 롤러(50)의 후방 측은 우측에 있다). 일반적으로, 외부 롤러(50)가 제1 방향(도 8 내지 도 11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가리개(22)가 연관된 건축물 개구부의 하나 이상의 측면(예를 들어, 탑 측)에 인접한 위치로 외부 롤러(50) 주위에 권취되는 것에 의해 수축하고, 외부 롤러(50)가 반대쪽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가리개(22)가 개구부(예를 들어, 바텀 측)에 걸쳐 연장된다.
도 7 내지 도 11을 더 참조하면, 제2 가리개(24)는 내부 롤러(48)에 연결되고 이 내부 롤러 주위에 랩핑가능할 수 있다. 제2 가리개(24)의 상부 에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 롤러(48)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가리개(24)는 롤러 유닛(46)의 후방 측 주위에 랩핑되거나 이로부터 언랩핑될 수 있고, 롤러 유닛(46)의 후방 측은 롤러 유닛(46)의 전방 측과, 연관된 건축물 개구부의 거리측 사이에 위치된다(도 8 내지 도 11에서, 롤러 유닛(46)의 후방 측은 우측에 있다). 일반적으로, 내부 롤러(48)가 제1 방향(도 8 내지 도 11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가리개(24)가 연관된 건축물 개구부의 하나 이상의 측면(예를 들어, 탑 측)에 인접한 위치로 내부 롤러(48) 주위에 권취되는 것에 의해 수축하고, 내부 롤러(48)가 반대쪽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가리개(24)가 개구부(예를 들어, 바텀 측)에 걸쳐 연장된다.
덮개의 동작은 도 1 내지 도 5 및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리개와 제2 가리개(22, 24)는 완전히-수축된 위치에 있고 헤드 레일(14) 내에 은닉된다. 이 형태에서 (도 7 참조), 제2 가리개(24)는 내부 롤러(48) 주위에 완전히 랩핑되고, 제1 가리개(22)는 외부 롤러(50) 주위에 완전히 랩핑된다. 일부 예에서, 제1 바텀 레일(18)은 헤드 레일(14)의 일부와 맞물려 탑 제한 정지부를 한정한다.
헤드 레일(14)로부터 제1 가리개(22)를 연장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동작 기구(40)를 작동시켜 내부 롤러(48)가 연장 방향(도 8 내지 도 11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향 힘을 제1 가리개(22)에 인가하는 제1 바텀 레일(18)의 중량으로 인해 외부 롤러(50)가 연장 방향(도 8 내지 도 11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1 가리개(22)가 외부 롤러(50)의 후방으로부터 연장되면, 외부 롤러(50)는 일반적으로 내부 롤러(48)와 함께 회전한다. 이중 롤러 유닛(46)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내부 롤러(48)를 제어하여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가리개(22)는, 전방 시트와 후방 시트(30, 34)들이 상대적으로 서로 가까이 있고 베인(38)들이 전방 시트와 후방 시트(30, 34)와 대략 공면(coplanar)에서 근접한 상태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폐쇄된 또는 접힌 형태로 외부 롤러(50)의 후방으로부터 연장된다. 제1 가리개(22)가 외부 롤러(50)로부터 실질적으로 언랩핑되면, 외부 롤러(50)가 연장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는 경우, 전방 시트와 후방 시트(30, 34)는 일반적으로 서로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하고 베인(38)은 폐쇄된 위치(도 2 및 도 8)로부터 개방된 위치(도 3 및 도 9)로 이동한다. 제1 바텀 레일(18)의 후방 부분은 바텀 레일(18)의 전방 부분보다 더 가중(weighted)되어 베인(38)이 완전히 개방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도 3 및 도 9를 참조하면, 덮개(10)는 제1 가리개(24)가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 있고 베인(38)이 개방된 또는 확장된 형태에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 이 위치에서, 전방 시트와 후방 시트(30, 34)는 수평으로 이격되어 있고 베인(38)은 이들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고, 외부 롤러(50)를 갖는 전방 시트와 후방 시트(30, 34)의 부착 점(62)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에서, 예를 들어, 부착 점(62)의 위치는 4시 방향과 8시 방향에 있는 것으로 언급될 수 있고,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레벨에 배치된다. 외부 롤러(50)가 도 9에 도시된 것으로부터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면, 전방 시트와 후방 시트(30, 34)가 서로를 향해 이동하고 베인(38)은 보다 수직으로 정렬되게 재배향된다.
제1 가리개(22)가 외부 롤러(50)로부터 완전히 언랩핑되면, 외부 롤러(50)의 슬롯(76)은 헤드 레일(14)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향되어, 내부 롤러(48)가 연장 방향으로 더 회전할 때 제2 가리개(24)의 바텀 레일(20)이 안착부(81)로부터 수직으로 낙하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수직 베이스 벽(84)(도 10 및 도 11 참조)을 갖는 안착부(81)가 일반적으로 접선방향으로 배향되고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위치하면, 내부 롤러(48)가 연장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는 것으로 인해 제2 가리개(24)의 인장력(tension)이 감소될 때 제2 바텀 레일(20)의 중량에 의해 외부 롤러(50)로부터 바텀 레일(20)이 이탈된다. 동작 기구(40)는 내부 롤러(48)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브레이크 시스템을 포함하여, 제2 가리개(24)와 제1 가리개(22)가 원치 않게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제2 가리개(24)를 연장시키기 위해, 동작 기구(40)는 내부 롤러(48)가 연장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더 작동된다. 제2 가리개(24)가 연장되는 동안(도 4 및 도 10 참조), 외부 롤러(50)와 제1 가리개(22)는 제1 가리개(22)의 중량과 제1 바텀 레일(18)의 중량이 확실한 잠금(positive lock) 없이 외부 롤러(50)의 회전 위치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인해 정지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확실한 잠금을 사용하여 제1 가리개(22)가 완전히 연장할 때 외부 롤러(5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리개(24)가 연장되는 동안, 외부 롤러(50)에 한정된 슬롯(76)은 후방 쪽으로 향할 수 있고, 내부 롤러와 외부 롤러(48, 50)의 회전 축(52)(도 6 참조)과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정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가리개(24)는 내부 롤러와 외부 롤러(48, 50)의 후방 측에서 전개될 수 있다.
제2 가리개(24)가 연장되는 동안, 내부 롤러(48)는 외부 롤러(50)에 대해 회전하는데, 여기서 피팅부(64)와 제한 너트(68)는 내부 롤러(48)의 각 단부를 지지한다. 내부 롤러(48)가 연장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2 가리개(48)는 외부 롤러(50)에 형성된 슬롯(76)을 통해 연장될 때 내부 롤러(48)로부터 권출된다. 내부 롤러(48)가 연장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한 너트(68)가 제한 나사(66)를 따라 바텀 제한 정지부(bottom limit stop) 쪽으로 이동한다.
도 5 및 도 11을 참조하면, 덮개(10)는 제1 가리개와 제2 가리개(22, 24)가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 있고 베인(38)이 개방된 또는 확장된 형태에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 이 위치에서, 전방 시트와 후방 시트(30, 34)는 수평으로 이격되고 베인(38)은 이들 사이에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된다. 제2 가리개(24)는 차광 가리개일 수 있고, 그리하여 광이 제2 가리개(24)와 제1 가리개(22)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가리개(24)가 완전히 연장될 때(도 5 및 도 11 참조), 제2 가리개(24)는 제1 가리개(22)로부터 후방 쪽으로 오프셋될 수 있으나, 제1 가리개(22)와 길이와 폭이 동일 공간(coextensively)에서 연장될 수 있다. 광이 제1 가리개(22)를 통과하는 양을 제어하기 위해, 제2 가리개(24)는 헤드 레일(14)로 인입되고 이중 롤러 유닛(46)의 내부 롤러(48) 주위에 랩핑될 수 있다.
제2 가리개(24)가 완전히 연장된 위치(가장 아래로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 제한 나사(66)에 형성된 하한 정지부(lower limit stop)와 맞물리는 제한 너트(68)가 제한 나사(66)(도 6 참조)에 위치되어 내부 롤러(48)의 추가적인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제한 나사(66)는 또한 덮개(10)의 상한(upper limit)을 한정하는 상한 정지부(upper limit stop)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가리개(22)의 바텀 레일(18)은 제1 가리개(22)가 덮개(10)의 상한 정지부로 기능하도록 완전히 수축될 때 헤드 레일(14)의 일부와 맞물릴 수 있다.
연장되는 공정 동안 임의의 점에서, 사용자는 동작 기구(40)를 정지시키거나 또는 동작 기구(40)의 방향을 역전시켜 제1 가리개와 제2 가리개(22, 24)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모터로 구동되는 덮개(10)를 포함하는 예에서, 미리 프로그래밍된 명령을 사용하여 모터(44)를 제어하여 제1 가리개와 제2 가리개(22, 24)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명령은 모터(44)에 명령하여 제1 가리개와 제2 가리개(22, 24)를 미리 결정된 가리개 위치, 예를 들어, 제1 가리개와 제2 가리개(22, 24)가 완전히 수축된 제1 위치, 제1 가리개(22)가 완전히 연장되고 제2 가리개(24)가 완전히 수축된 제2 위치, 및 제1 가리개와 제2 가리개(22, 24)가 완전히 연장된 제3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명령은 원격 제어 유닛(46)에 의해 모터(44)로 송신될 수 있다.
제1 가리개와 제2 가리개(22, 24)의 수축은 전술한 연장 순서에 대해 역순으로,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다음 도 11 내지 도 8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도 5 및 도 11에서, 제1 가리개와 제2 가리개(22, 24)는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 배치된다. 제1 가리개와 제2 가리개(22, 24)가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 제한 너트(68)(도 6 참조)는 제한 나사(66)에 형성될 수 있는 하한 정지부와 맞물릴 수 있다. 동작 기구(40)가 예를 들어, 동작 요소(42) 및/또는 모터(44)에 의해 이 위치로부터 작동하면, 제한 너트(68)는 하한 정지부로부터 멀어지는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덮개(10)가 수축하는 공정을 시작한다. 수축 공정은. 일반적으로 동작 기구(40)를 작동시켜 제일 먼저 내부 롤러(48)를 수축 방향(도 11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가리개(24)를 수축시키고, 제2 가리개(24)가 완전히 수축될 때, 외부 롤러(50)를 수축 방향(도 11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가리개(22)를 외부 롤러(50)로 수축시키는 것을 수반한다. 이 순서는 아래에 더 설명된다.
도 5 및 도 11의 완전히 연장된 위치로부터 제2 가리개(24)를 수축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동작 기구(40)를 작동시켜 내부 롤러(48)를 수축 방향(도 8 내지 도 11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가리개(24)는 내부 롤러(48) 주위로 랩핑하고 제2 바텀 레일(20)은 제1 가리개(22)의 후방 시트(34)의 후방 면을 따라 위쪽으로 상승한다. 제2 가리개(24)가 수축하는 동안, 내부 롤러(48)는 외부 롤러(50)에 대해 회전하는데, 여기서 피팅부(64)와 제한 너트(68)는 내부 롤러(48)의 각 단부들을 지지한다. 내부 롤러(48)가 수축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2 가리개(24)는 외부 롤러(50)에 형성된 슬롯(76)을 통해 당겨질 때 내부 롤러(48)로 권취된다. 내부 롤러(48)가 수축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한 너트(68)는 제한 나사(66)를 따라 제한 나사(66)의 반대쪽 단부 쪽으로 이동한다. 또한 제2 가리개(24)가 수축하는 동안, 제1 가리개(22)는 외부 롤러(50)에 매달려 있는 제1 가리개(22) 부분의 중량과 제1 바텀 레일(18)의 중량이 외부 롤러(50)에 작용하는 것으로 인해 완전히 연장된, 개방된 위치에 유지되어 외부 롤러(5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것으로 사용자는 제2 가리개(24)를 제1 가리개(22)의 위치와 배향에 영향을 미침이 없이 완전히 연장된 위치와 완전히 수축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역순으로 참조하면, 제2 가리개(24)가 외부 롤러(50)로 더 인입될 때, 제2 바텀 레일(20)은 안착부(81)에 고정 위치된다. 바텀 레일(20)이 외부 롤러(50)의 안착부(81)와 맞물릴 때, 동작 기구(40)의 구동 힘은 제2 가리개(24)를 통해 외부 롤러(50)로 전달될 수 있다. 즉, 동작 기구(40)가 내부 롤러(48)에 회전 힘을 인가하면, 이 힘은 제2 가리개(24)의 인장력 하에 안착부(81)에 바텀 레일(20)이 맞물리는 것을 통해 외부 롤러(50)에 인가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2 가리개(24)가 내부 롤러(48)로 완전히 랩핑되고 제2 바텀 레일(20)이 외부 롤러(50)의 안착부(81)에 수용될 때, 외부 롤러(50)는 동일한 수축 방향으로 내부 롤러(48)가 회전하는 것을 통해 동작 기구(40)에 의해 수축 방향(도 8 및 도 9에서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그리하여, 바텀 레일(20)이 안착부(81)에서 수용되고 (도 8 및 도 9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수축 힘이 동작 기구(40)에 의해 내부 롤러(48)에 인가될 때, 외부 롤러(50)는 일반적으로 내부 롤러(48)와 함께 회전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외부 롤러(50)가 수축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면, 제1 가리개(22)는 외부 롤러(50) 주위로 랩핑된다. 제1 가리개(22)는 제1 가리개(22)의 매달린 부분과 바텀 레일(18)의 중량으로 인해 외부 롤러(50) 주위로 랩핑될 때 인장된다.
제1 가리개(22)가 완전히 수축되면, 제1 바텀 레일(18)은 헤드 레일(14)의 일부, 예를 들어, 받침대(abutment)와 맞물려, 이중 롤러 유닛(46)에 대한 탑 제한 정지부로 기능할 수 있다. 바텀 제한 정지부와 반대쪽 제한 나사(66)에 위치된 탑 제한 정지부를 포함하여 다른 기구를 사용하여 탑 수축 위치를 한정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탑 제한 정지부는 제한 나사(66)에 형성되고 나사(66)를 따라 위치되어서, 너트(68)는 제1 가리개(22)가 완전히 수축할 때 탑 제한 정지부와 맞물리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완전히 연장된 위치로부터 제2 가리개(24)와 제1 가리개(22)가 수축하는 것은 사용자가 단일 동작 요소(42) 또는 모터(44)를 작동시켜 두 가리개(22, 24)를 모두 수축시킬 때 일어난다. 제한 나사(66)는 바텀 제한 정지부로부터 탑 수축된 위치에 도달될 때까지 나사(66)를 따라 제한 너트(68)가 이동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길이를 포함한다. 제1 가리개(22)는 외부 롤러(42)의 전방 측 주위로 랩핑되거나 이로부터 언랩핑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구조에 필요한 변형을 가하여 전방으로 내려가는 가리개 구조에 적용되는 이중 롤러 가리개 기술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덮개는 제1 가리개(22)가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 외부 롤러(50)의 회전을 제한하는 록 기구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1 가리개(22)가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 유지되고 제2 가리개(24)가 연장되는 동안 내부 롤러(48)의 회전에 의해 실질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록 기구는 외부 롤러(50)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1 위치와, 외부 롤러(50)의 회전을 허용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예를 들어, 선회가능, 병진이동가능, 또는 다른 적절한 움직임이 가능)할 수 있다. 일예에서, 록 기구는, 외부 롤러(50)의 외부 주변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병진이동하여 외부 롤러(50)의 회전을 제한하는 정지부와 맞물리는, 외부 롤러(50)의 외부에 위치된 록킹 부재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록 기구는, 외부 롤러(50)와 맞물리게 선회하여 외부 롤러(50)의 회전을 제한하는, 외부 롤러(50)의 외부에 위치된 록킹 부재를 포함한다.
도 12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제1 가리개(22)가 완전히 연장될 때 외부 롤러의 회전을 확실히 록킹하는 록 기구를 사용하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가 제공된다. 록 기구와 리테이닝 클립(retaining clip)을 제외하고는, 도 12 내지 도 27에 도시된 덮개는 일반적으로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덮개와 동일한 특징과 동작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덮개의 특징과 동작의 전술한 설명은 다음 설명에 언급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2 내지 도 27에 도시된 덮개에도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 12 내지 도 27에 사용된 참조 부호는 100만큼 증분된 것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도 1 내지 도 11에 사용된 참조 부호에 대응하여 유사한 부분과 컴포넌트를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덮개(110)는, 도 28 내지 도 47과 관련하여 아래에 설명된 선회가능하게 이동가능한 록 기구와 유사하게, 제1 가리개(22)가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 외부 롤러(50)의 회전을 제한하는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록 기구(186)를 포함한다.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록 기구(186)는 하우징(187), 이 하우징(187)에 저널링된 회전가능한 샤프트(188), 및 이 샤프트(188)와 나사산으로 맞물리고 이 샤프트를 따라 축방향으로 진행가능한 너트(189)를 포함할 수 있다.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록 기구(186)는 좌측 단부 캡(126b)과 관련하여 도시되어 있으나, 록 기구(186)는 우측 단부 캡(126a)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12, 도 16 및 도 18을 참조하면, 하우징(187)은 좌측 단부 캡(126b)으로부터 캔티레버되고, 좌측 단부 캡(126b)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부 롤러(150)의 외부 주변을 따라 우측 단부 캡(126a) 쪽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하우징(187)의 일 단부(187a)는 패스너(fastener)(190)로 좌측 단부 캡(126b)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하우징(187)의 대향하는 자유 단부(187b)는 외부 롤러(150)의 측방향으로 외부쪽에 위치될 수 있다. 하우징(187)은 제1 가리개(미도시)가 외부 롤러(150) 주위로 랩핑하거나 또는 이 외부 롤러로부터 언랩핑하는 것과 간섭하지 않을 만큼 충분한 거리만큼 외부 롤러(150)의 주변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다. 하우징(187)은 균일한 거리만큼 외부 롤러(150)의 주변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다.
도 16, 도 18, 도 21 및 도 26을 참조하면, 하우징(187)의 반대쪽 단부 부분(187a, 187b)은 축방향으로-연장되는 칼라(collar)(191)와 이 칼라(191)로부터 외부쪽으로 연장되는 받침대 플랜지(192)를 포함할 수 있다. 칼라(191)는 내부 벽(193)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가능한 샤프트(188)의 저널 부분(journal portion)(195)을 수용하는 샤프트 애퍼처(shaft aperture)(194)를 한정하는 내부 벽(193)(도 22 및 도 26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칼라(191)의 내부 벽(193)은 샤프트(188)가 하우징(187) 안으로 축방향으로 삽입되거나 이 하우징으로부터 제거되는 동안 회전가능한 샤프트(188)(특히 회전가능한 샤프트(188)에 형성된 정지부(197))를 통과시키는 키 홀(key hole)(196)을 더 한정할 수 있다. 받침대 플랜지(192) 각각은 하우징(187)을 각 단부 캡(126a, 126b)에 연결하는 패스너(19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패스너 애퍼처를 한정할 수 있다(도 12, 도 14, 도 16, 도 18 및 도 22 참조). 하우징(187)의 단부 부분(187a, 187b)은 하우징(187)을 좌측 또는 우측 단부 캡(126a, 126b)에 상호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서로의 미러 이미지(mirror image)일 수 있다.
도 12, 도 16, 도 18, 도 21 및 도 26을 계속 참조하면, 하우징(187)은 단부 부분(187a, 187b)을 상호 연결하는 중간 부분(187c)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 부분(187c)은 측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외부 롤러(150)의 외부 주변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하우징(187)의 중간 부분(187c)은 하우징(187)의 반대쪽 단부 부분(187a, 187b)들 사이의 거리에 각각 걸쳐 있는 베이스(198)와 가이드 레일(199)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87)의 베이스(198)는, 하우징(187)에 대해 샤프트(188)가 회전하는 동안 샤프트(188) 정지부를 통과시키는, 단부 부분(187a, 187b)에 근접한 정지부 수용 애퍼처(200)를 한정하여, 하우징(187)의 횡방향 프로파일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하우징(187)의 베이스(198)는, 하우징(187)을 보강(stiffen)하여 하우징(187)의 중간 부분(187c)이 측방향으로 변위하거나 휘어지는 것을 감소시키는, 단부 부분(187a, 187b)들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리브(stiffening rib)(2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리브(201)는 길이방향으로-연장되는 리브(201)의 강성을 더 증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으로-연장되는 지주(buttress)(20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 도 16 내지 도 19, 도 23 및 도 26을 참조하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록 기구(186)의 샤프트(188)는 내부 롤러(148)의 회전 축(152)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으나, 이 회전축과 평행하거나 이와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샤프트(188)는 외부 롤러(150)의 외부에 위치되고, 이격된 상태로 외부 롤러(150)의 외부 주변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샤프트(188)는 하우징(187)의 칼라(191) 내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 저널 부분(195)을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188)의 저널 부분(195)은 칼라(191)의 베어링 표면(bearing surface)(193)과 샤프트(188)의 저널 부분(195) 사이에 접촉 영역(및 그리하여 마찰)을 감소시키는 리세스된 외주방향 영역(circumferential area)을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188)는 이 샤프트(188)의 저널 부분(195)들 사이에 그리고 하우징(187)의 칼라(191)들 사이에 연장되는 나사산 형성된 부분(203)을 포함할 수 있다. 정지부(197)는 샤프트(188)의 나사산 형성된 부분(203)의 터미널 단부에 근접한 샤프트(188)에 형성될 수 있다. 정지부(197)는 샤프트(188)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외부쪽으로 연장되고, 샤프트(188)가 하우징(187)에 대해 회전하는 동안 정지부(197)가 회전가능하게 애퍼처(200) 안으로 통과하거나 이 애퍼처로부터 밖으로 나오도록 하우징(187)(도 21 참조)의 베이스(198)에 형성된 애퍼처(200)와 축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기어(204)는 샤프트(188)의 일 단부에 회전가능하지 않게 부착될 수 있고, 단부 캡(126b)에 대해 기어(및 그리하여 샤프트(188))를 측방향으로 위치시키는 중심 공동(central cavity)을 한정할 수 있다.
도 12, 도 16, 도 18 및 도 24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록 기구(186)의 너트(189)는 하우징(187)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고, 하우징(187)의 중간 부분(187c) 내 샤프트(188)를 따라 축방향으로 진행한다. 샤프트(188)가 회전할 때 너트(189)가 샤프트(188) 주위로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샤프트를 따라 병진이동하도록 너트(189)가 하우징(187)에 키 결합된다. 너트(189)는, 샤프트(188) 주위에 부분적으로만 연장되어 하프-너트(half-nut)(189)라고 언급될 수 있는 몸체(205)를 포함한다. 대안적인 설계에서, 너트(189)는 샤프트(188)의 전체 외주 주위로 연장될 수 있다.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너트(189)는, 몸체(205)로부터 내부쪽으로 돌출하고 샤프트(188)의 나사산 형성된 부분(203)의 외부 나사산과 나사산으로 맞물리는 내부 나사산(206)을 포함한다. 나사산의 맞물림을 유지하고 너트(189)가 샤프트(188)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너트(189)는 너트(189)의 몸체로부터 방사방향 외부쪽으로 돌출하는 2개의 길이방향으로-연장되는 날개부(wing)(207)를 포함할 수 있다. 날개부(207)는, 하우징(187)(도 27 참조)의 베이스(198)의 마주보는 면(confronting face)과 슬라이딩가능하게 접촉하고 너트(189)와 하우징(187) 사이에 접촉 영역(및 그리하여 마찰)을 감소시키면서 하우징(187)의 중간 부분(187c)을 따라 축방향으로 너트(189)를 가이드하는 축방향으로-연장되는 지느러미부(fin)(208)를 포함할 수 있다.
날개부(207)들 중 하나는 가이드 레일(199)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길이방향으로-연장되는 슬롯(208)을 한정할 수 있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208)을 한정하는 날개부(207) 부분은 가이드 레일(199)의 상이한 측면과 슬라이딩가능하게 접할 수 있다. 그리하여, 너트(189)의 날개부(207)는 너트(189)가 샤프트(188)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하여, 샤프트(188)가 하우징(187)에 대해 회전하는 동안 샤프트(188)를 따라 너트(189)가 병진이동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날개부(207)를 측방향으로 보강하기 위하여, 너트(189)는, 내부 나사산(206)의 외부쪽에 위치되고 날개부(207)들 사이에 연장되는 횡방향으로-연장되는 리브(209)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설계에서, 너트(189)와 하우징(187)은 샤프트(188)가 하우징(187)에 대해 회전할 때 너트(189)가 샤프트(188)를 따라 축방향으로 진행하도록 여러 다른 대응하는 키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샤프트(188)가 하우징(187)에 대해 회전하면 일반적으로 너트(189)가 샤프트(188)를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병진이동한다. 너트(189)의 축방향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샤프트(188)는 이 샤프트(188)의 주변으로부터 외부쪽으로 연장되는 정지부(197)를 포함할 수 있다. 너트(189)와 접촉시, 정지부(197)는 일반적으로 샤프트(188)에 대해 너트(189)가 병진이동하는 것을 제한하여, 샤프트(188)가 하우징(187)에 대해 더 회전하는 것을 제한한다. 너트(189)와 각 정지부(197) 사이에 견고한 맞물림을 보장하기 위해, 너트(189)가 제1 가리개(22)의 완전한 연장에 대응하는 원하는 정지 위치에 도달할 때 너트(189)는 샤프트(188) 정지부와 상호 작용하는 길이방향으로-연장되는 받침대 벽(21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 벽(211)은 너트(189)의 내부 나사산(206)의 터미널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축방향으로-연장되는 슬리브와 유사할 수 있는) 너트(189)의 몸체(205)는, 샤프트(188)를 따라 너트(189)의 병진이동을 정지시키는, 하우징(187)의 받침대 플랜지(192)와 인접할 수 있다. 너트(189)의 몸체(205)는 샤프트(188)와 몸체(205) 사이에 한정된 환형 공간으로 샤프트 정지부(197)를 통과시킬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거리만큼 샤프트(188)의 외부 주변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샤프트(188)와 너트(189)는 우측 또는 좌측 단부 캡(126a, 126b)과 록 기구(186)의 상호 동작가능성을 제공하여, 좌측 및 우측 핸드 조립체를 수용할 수 있는 강인한 설계를 제공하는 2개의 정지부(197)와 받침대 벽(211)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록 기구(186)는 내부 롤러와 외부 롤러(148, 150)의 외부에 위치된 기어 기구 또는 트레인(train)(213)을 포함할 수 있다. 기어 기구 또는 트레인(213)은 외부 롤러(150)에 회전가능하지 않게 결합된 제1 기어(215), 샤프트(188)에 회전가능하지 않게 결합된 제2 기어(204), 및 이 제1 기어와 제2 기어(215, 204)와 상호 맞물린 아이들러 기어(idler gear)(217)를 포함할 수 있다. 아이들러 기어(217)는 장착 판(219)(도 17 참조)으로부터 연관된 단부 캡(126) 쪽으로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로케이터 핀(221)을 포함하는 장착 판(219)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로케이터 핀(221)은 장착 판(219)이 단부 캡(126)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단부 캡(126) 내에 수용될 수 있다.
기어 기구(213)는 가리개 부재의 사이즈, 중량, 또는 다른 특성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일예에서, 기어 기구(213)는 제1 기어와 제2 기어(215, 204)들 사이에 3-대-1의 기어 비를 제공한다. 즉, 외부 롤러(150)가 1회전할 때마다, 샤프트(188)는 3회전을 수행한다. 일예에서, 샤프트(188)의 외부 나사산은 인치당 16개의 나사산(또는 1인치의 1/16의 피치)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샤프트(188)의 나사산 형성된 부분(203)의 길이는 샤프트(188)가 많은 상이한 가리개 길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너트(189)의 동작 범위에 대해 오버사이즈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예에서, 너트(189)는 동작 동안 회전가능한 샤프트(188)에 있는 정지부(197)들 중 하나의 정지부와만 상호 작용하고, 다른 정지부는 록 기구(186)가 우측 또는 좌측 단부 캡(126a, 126b)들 중 어느 것과 사용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기어 기구(213)는 좌측 단부 캡(126b)과 연관하여 도시된다. 외부 기어(204, 215, 217)는 좌측 단부 캡(126b)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스터브 샤프트(stub shaft)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아이들러 기어(217)는 제1 기어(215)의 전방에 위치되고, 제2 기어(204)는 아이들러 기어(217)의 전방에 위치되며, 여기서 모두 3개의 기어(215, 204, 217)는 단부 캡에 인접한 동일한 평면에 배치된다. 아이들러 기어(217)는 제1 기어(215)의 위쪽에 위치되고, 제2 기어(204)는 아이들러 기어(217)의 위쪽에 위치된다. 제1 기어(215)와 아이들러 기어(217)는 단부 캡(126b)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림(223)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 6 내지 도 11과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것과 일반적으로 동일한 우측 컴포넌트를 제외하고는) 헤드 레일 컴포넌트의 부분 분해도가 제공된다. 컴포넌트는 좌측 단부 캡(126b), 이 좌측 단부 캡(126b)에 부착된 회전가능하지 않은 제한 나사(166), 이 제한 나사(166)의 베어링 표면에 장착되고 이 표면에 대해 회전하는 좌측 부싱(170b), (제한 너트(168)를 포함하여) 제한 나사(166)의 일부를 내부쪽에 수용하고 좌측 부싱과 우측 부싱(170a, 170b)의 보스(boss)(167)에 장착되는 내부 롤러(148), 이 내부 롤러(148)를 내부쪽에 수용하는 외부 롤러(150), 및 이 좌측 단부 캡(126b)에 부착되는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록 기구(186)를 포함한다.
도 13, 도 14,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외부 롤러(150)는 분할된 쉘 설계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외부 롤러(150)는 제1 쉘과 제2 쉘(154, 15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쉘과 제2 쉘(154, 156)을 함께 고정하고 서로에 대해 원하는 공간적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외부 롤러(150)의 제1 쉘과 제2 쉘(154, 156) 각각은 좌측 부싱과 우측 부싱(170a, 170b)(도 14, 도 18 및 도 19 참조)의 축방향 돌출부(172a, 172b)를 감싸게 수용할 수 있다. 축방향 돌출부(172a, 172b)는 외부 롤러(150)를 부싱(170a, 170b)에 결합시켜 외부 롤러(150)와 부싱(170a, 170b)이 외부 롤러(150)의 회전 축(152) 주위로 함께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기어(215)는 축방향 돌출부(172a, 172b)에 대해 좌측 부싱(170b)의 반대쪽 면에 회전가능하지 않게 고정되어, 제1 기어(215)가 외부 롤러(150)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제1 쉘과 제2 쉘(154, 156)을 함께 더 고정하기 위해, 이들 쉘(154, 156)은 적어도 하나의 리테이닝 클립(225)에 의해 함께 클램핑(clamped)될 수 있다(도 12 내지 도 13은 2개의 리테이닝 클립을 도시하지만, 더 많거나 더 적은 클립을 원하는 대로 사용하여 이들 쉘들을 함께 고정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닝 클립(225)은 제1 쉘과 제2 쉘(154, 156)의 상호 맞물린 구역(227) 주위에 탄성적으로 스냅 결합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1 쉘과 제2 쉘(154, 156)의 단부 부분(158, 160)은 서로 오버랩하고, 길이방향으로-연장되는 립부(lip)(233, 235)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된,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연장되는 수용 채널(229, 231)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쉘(158)의 립부(233)는 제2 쉘(160)의 길이방향으로-연장되는 터미널 에지(237)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는 반면, 제2 쉘(160)의 립부(235)는 제1 쉘(158)의 길이방향으로-연장되는 터미널에지(239)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이 배열은 플립(flip)될 수 있다). 리테이닝 클립(225)은 제1 쉘과 제2 쉘(154, 156)의 상호 맞물린 구역에 형성된 외부 디텐트(detent)(241, 243) 주위에 탄성적으로 각각 스냅 결합되어, 제1 쉘과 제2 쉘(154, 156)을 함께 클램핑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9를 참조하면, 외부 롤러(150)의 분할된 쉘 설계는, 제2 가리개(24)가 연장되거나 수축하는 동안, 제2 가리개(24)를 통과시키는 길이방향으로-연장되는 슬롯(176)을 한정한다. 제1 쉘과 제2 쉘(154, 156)의 에지 부분(158, 160)이 함께 상호 맞물릴 때, 제1 쉘과 제2 쉘(154, 156)의 대향하는 또는 제2 길이방향으로-연장되는 터미널 에지 부분(178, 180)이 주변에서 서로 이격되고, 길이방향으로-연장되는 슬롯(176)을 한정한다. 제1 쉘과 제2 쉘(154, 156)의 마주보는 제2 터미널 에지 부분(158, 160)은 제2 가리개(24)를 통과시키지만 제2 가리개(24)의 바텀 레일(20)을 통과시키지 않을 만큼 서로 충분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외부 롤러(150)의 기능은 도 6 내지 도 11에 대하여 설명된 것과 일반적으로 동일하므로 간략화를 위해 여기에서 반복하지는 않는다.
덮개의 동작 동안, 외부 롤러(150)가 제1 가리개(22)를 건축물 개구부에 걸쳐 연장할 때, 제1 기어(215)가 아이들러 기어(217)를 구동하고, 이 아이들러 기어는 제2 기어(204)를 구동하고, 이 제2 기어는 샤프트(188)를 따라 축방향으로 바텀 단부 위치 쪽으로 너트(189)를 횡단시킨다. 너트(189)가 (샤프트(188)의 정지부(197)에 의해 한정될 수 있는) 바텀 단부 위치에 도달하면, 너트(189)는 제1 가리개(22)의 연장 방향으로 샤프트(188)가 더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여, 외부 롤러(150)가 연장 방향으로 더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외부 롤러(150)가 연장 방향으로 더 회전하는 것이 제한되고 제1 가리개(22)가 외부 롤러(150)의 주변으로부터 언랩핑되면, 제2 가리개(24)는 내부 롤러(148)로부터 언랩핑되고, 외부 롤러(150)의 슬롯(176)을 통해 통과되고, 건축물 개구부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내부 롤러(148)가 제2 가리개(24)의 연장 동안 회전할 때, 내부 제한 너트(168)는 내부 롤러(148)와 함께 회전하고, 제한 나사(166)를 따라 회전가능하지 않은 제한 나사(166)에 형성된 바텀 단부 정지부 쪽으로 축방향으로 진행한다. 제2 가리개(24)가 건축물 개구부에 걸쳐 완전히 연장될 때 내부 제한 너트(166)는 일반적으로 이중 롤러 유닛(146)의 바텀 정지부를 한정하는 바텀 단부 정지부와 접촉한다.
덮개가 완전히 연장된 위치로부터 수축하는 동안, 내부 롤러(148)는 외부 롤러(150)의 쉘(154, 156)의 대향하는 길이방향으로-연장되는 에지 부분(178, 180)들 사이에 한정된 슬롯(176)을 통해 제2 가리개(24)를 당기고, 제2 가리개(24)의 바텀 레일(20)이 외부 롤러(150)의 외부 주변에 안착할 때까지 내부 롤러(148)의 주변 주위로 제2 가리개(24)를 랩핑한다. 제2 가리개(24)가 수축하는 동안, 제1 가리개(22)의 바텀 레일(18)의 중량이 부싱(170a, 170b)을 정지 상태에 유지하여, 내부 롤러(148)가 부싱(170a, 170b)과 외부 롤러(150)에 대해 회전하게 한다.
안착되면, 제2 가리개(24)의 바텀 레일(20)은 내부 롤러(148)로부터 외부 롤러(150)로 회전 토크를 전달하여, 외부 롤러(150)를 수축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가리개(22)를 외부 롤러(150)의 주변 주위에 랩핑한다. 내부 롤러와 외부 롤러(148, 150)는 제1 가리개(22)의 바텀 레일(18)이 단부 캡(126)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와 연관될 수 있는 탑 제한 정지부와 접촉할 때까지 수축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고, 이 지점에서 덮개가 완전히 수축된 위치로 수축된다. 내부 롤러(148)가 수축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내부 제한 너트(168)는 제2 가리개(24)의 바텀 정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내부 롤러(148) 내에서 회전가능하지 않은 제한 나사(166)를 따라 횡단한다. 외부 롤러(150)가 수축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외부 너트(189)는 제1 가리개(22)의 바텀 정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샤프트(188)를 따라 횡단한다.
도 28 내지 도 47을 참조하면, 선회가능한 록 기구를 포함하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가 제공된다. 선회가능한 록 기구와 다중 부품(multiple-piece)으로 된 외부 롤러를 제외하면, 도 28 내지 도 47에 도시된 덮개는 일반적으로 도 6 내지 도 27에 도시된 덮개와 동일한 특징과 동작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도 6 내지 도 27에 도시된 덮개의 특징과 동작의 전술한 설명은 이후 설명에 언급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28 내지 도 47에 도시된 덮개에도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 28 내지 도 47에 사용된 참조 부호는 100만큼 증분된 것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도 12 내지 도 27에 사용된 참조 부호에 대응하여 유사한 부분과 컴포넌트를 나타낸다.
도 28 내지 도 34를 참조하면, 내부 롤러(248)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형상이고, 제2 가리개(24)의 탑 에지를 이에 고정시키는 리테이닝 부재를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 롤러(248)는 외부 롤러(250) 내에 위치되어, 이중 롤러 유닛을 한정하고, 이 예에서 두 롤러(248, 250)는 동일한 회전 축(252) 주위에 동일 공간에 있다. 제2 가리개(24)의 상부 에지는 내부 롤러(248)에 부착되고, 제2 가리개(24)의 하부 에지는 제2 바텀 레일(220)에 형성된 슬롯에 수용되고, 제2 가리개(24)의 바텀 에지에 형성된 단에 위치된 삽입물(282)에 의해 슬롯에 유지된다. 다른 부착 구조물을 사용하여 바텀 레일(220)을 제2 가리개(24)에 부착할 수 있다.
도 28 내지 도 34를 계속 참조하면, 제2 바텀 레일(220)은, 상대적으로 높은 질량을 가지고 있고 그 길이를 따라 이어져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가리개(24)의 바텀 에지를 수용하고 유지하는 슬롯을 한정하는 세장형 부재이다. 제2 바텀 레일(220)은 일반적으로 삼각형 단면을 가지고 있고, 그 일부는 일반적으로 외부 롤러(250)에 형성된 안착부(281)의 형상과 일치하여, 제2 가리개(24)가 수축된 위치에 있을 때 이에 순응할 수 있다. 작동체 림(247)은 제2 레일(220)의 일 단부에 한정되고, 록 기구(286)와 맞물려, 아래에 보다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외부 롤러(250)로부터 록 기구(286)를 맞물림 해제시킨다.
외부 롤러(250)는 이 예에서 일반적으로 원통형이고, 그 외주 벽에 여러 특징을 한정한다. 외부 롤러(250)는 이 외부 롤러가 회전하는 길이방향 중심 축(252)을 한정하고, 이 중심 축 주위로 내부 롤러(248)가 또한 동일 공간에 위치된다. 한 쌍의 채널(262)이 제1 가리개(22)의 탑 에지를 수용하고 고정하도록 형성되고, 삽입물(264) 각각은 각 탑 에지에 형성된 단에 위치되고, 삽입물(264)은 각 채널(262)에 탑 에지를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앵커 그루브(anchor groove)(245)는 외부 롤러(250)의 길이를 따라 형성되고, 후술되는 바와 같이 롤러 록 베어링을 수용한다. 슬롯(276)은 외부 롤러(250)의 길이를 따라 형성되고, 튜브로 형성될 수 있는 외부 롤러(250)의 내부와 연통한다. 리세스된 안착부(281)는 슬롯(276)의 일 측면에 형성된다. 제2 가리개(24)는 슬롯(276)을 통해 연장되고 수축되며, 완전히 수축된 위치에 있을 때, 제2 바텀 레일(220)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많은 목적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목적을 위하여 안착부(281)에 수용되고 내부에 네스트된다. 슬롯(276)은 제1 가리개(22)가 그 연장된 위치와 베인이-개방된 형태에 있을 때 2개의 채널(262)들 중 가장 후방 쪽 채널에 인접하여 상부에 위치되도록 외부 롤러(250)에 위치된다.
도 28, 도 29, 도 46 및 도 47을 참조하면, 이중 롤러 유닛은 우측 단부 캡(226a)과 좌측 단부 캡(226b)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동작 기구(240)는 내부 롤러 튜브(248)와 동작가능하게 연관되어, 내부 롤러 튜브가 회전 가능하게 한다. 동작 기구(240)는 우측 단부 캡(226a)에 앵커링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일예에서, 동작 요소(242)에 의해 작동된다. 동작 기구(240)는, 일예에서, 종종 창문 덮개 응용에 사용되는 유성 기어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기구(240)는 동작 기구(240)에 의해 회전되는 내부 피팅부(264)를 포함할 수 있다. 피팅부(264)는 내부 롤러(248) 내에 수용되고 내부 롤러(248)의 내부 벽과 타이트하게 맞물리는 사이즈로 형성된다. 내부 롤러(248)는 피팅부가 동작 기구(240)에 의해 구동될 때 내부 피팅부(264)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외부 롤러(250)의 개방된 우측 단부는 우측 단부 롤러 캡(270a)을 수용하고, 이 우측 단부 롤러 캡은 동작 기구(240)의 하우징에 형성된 축방향 베어링 표면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칼라를 구비하는 중심 애퍼처를 포함한다. 베어링 표면은 외부 롤러(250)가 회전할 때 우측 단부 롤러 캡이 회전하도록 우측 단부 롤러 캡(270a)을 지지한다. 내부 롤러(248)는 칼라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다. 칼라는 동작 기구(240)에 의해 회전 구동될 때 내부 튜브(248)의 우측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롤러와 외부 롤러(248, 250)의 우측 단부(248a, 250a)는 각각 서로 정렬될 수 있고, 제2 가리개(24)의 우측 측면 에지(24a)는 롤러(248, 250)의 우측 단부(248a, 250a)와 정렬될 수 있다.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롤러와 외부 롤러(248, 250)의 좌측 단부(248b, 250b)는 각각 서로 정렬될 수 있고, 제2 가리개(24)의 좌측 측면 에지(24b)는 롤러(248, 250)의 좌측 단부(248b, 250b)와 정렬될 수 있다. 제1 가리개(22)는 외부 롤러(250) 주위로 랩핑될 수 있고, 제1 가리개(22)의 에지는 롤러(248, 250)의 단부와 제2 가리개(24)의 에지와 정렬될 수 있다. 롤러(248, 250)의 단부와 가리개(22, 24)의 에지가 정렬되면, 가리개의 에지와 건축물 개구부의 대응하는 측면 사이에 있는 약간의 갭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
제2 가리개(24)가 내부 롤러(248)로 완전히 수축되고 제2 단부 레일(220)이 외부 튜브(250)의 안착부(281)에 수용될 때 외부 롤러(250)는 내부 롤러(248)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이 상태에서, 내부 롤러(248)가 회전할 때, 제2 가리개(24)는 제2 단부 레일(220)을 인장시켜, 제2 단부 레일(220)과 안착부(281)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있는 외부 롤러(250)에 힘을 인가한다. 따라서 외부 롤러(250)가 내부 롤러(248)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제2 가리개(24)가 내부 롤러(248) 주위로 완전히 수축되지 않는 한, 외부 롤러(250)는 내부 롤러(248)와 함께 회전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동작 기구(240)는 동작 요소(242)에 의해 작동되어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대로 제1 가리개와 제2 가리개(22, 24)를 연장시키거나 수축시킬 수 있다. 동작 요소(242)가 작동시 내부 롤러 튜브(248)를 회전시키는 많은 유형의 기구가 허용가능하다.
도 28 및 도 29를 계속 참조하면, 제한 나사(266)는 내부 롤러(248) 내에 위치되고, 나사에 의해 좌측 단부 캡(226b)에 동작가능하게 고정된다. 제한 나사(266)는 회전하지 않는다. 제한 너트(268)는 제한 나사(266)와 나사산으로 맞물리고, 내부 롤러(248)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키 결합되어, 키 구조물이 내부 롤러(248)의 길이를 따라 제한 너트(268)가 움직일 수 있게 한다. 내부 롤러(248)가 회전할 때, 제한 너트(268)는 나사산 형성된 제한 샤프트(266)를 따라 이동하고, 제2 가리개(24)의 바텀으로 최대 연장된 위치를 한정하는 제한 정지부와 맞물린다(도 5 참조). 제1 가리개(22)의 수축된 위치는, 이 예에서, 외부 롤러(250) 주위에 완전히 랩핑된 제1 가리개(22)에 의해 한정된다. 일부 예에서, 제1 바텀 레일(18)은 헤드 레일(14)의 일부와 맞물려 이 위치를 한정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한 나사(266)에 있는 탑 제한 정지부가 이 예에서는 사용되지 않지만, 만약 원하는 경우 제한 나사(266)에 사용될 수 있다. 도 28, 도 29 및 도 47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단부 캡(226b)은, 내부 롤러(248)와 외부 롤러(25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도 28, 도 29 및 도 40을 참조하면, 선회 브라켓(249)은 좌측 단부 캡(226b)의 내부 표면에 부착되고, 중심에 위치된 환형 보스(251)와, 우측 단부 캡(226a) 쪽으로 연장되는 포스트(post)(253)를 한정하며, 이 포스트는 롤러 록(255)이 그 위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액슬(axle)로 기능한다. 선회 브라켓(249)에 있는 환형 보스(251)는 외부 롤러(250)의 개방된 좌측 단부에 수용된 좌측 외부 롤러 캡(270b)의 중심 애퍼처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다. 칼라는 캡(270b)의 중심 애퍼처 주위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외부 롤러(250)와 좌측 단부 브라켓 사이에 상대적 회전을 위한 베어링 표면으로 기능한다. 내부 롤러(248)의 개방된 좌측 단부는 칼라에 대해 롤러(248)가 회전하기 위한 베어링 표면으로 작용하는 칼라의 외부 표면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고, 이 회전은 동작 기구(240)를 통해 선택적인 제어 하에 이루어진다.
도 28, 도 29, 도 38 및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록(255)은, 선회 브라켓(249)(도 40 및 도 41 참조)에 있는 포스트(253)에 선회가능하게 부착되고, 패스너(257)(도 41 참조)에 의해 이에 고정된다. 롤러 록(255)은 포스트(253)에 의해 한정된 축 주위로 선회 브라켓(249)에 대해 선회가능하다. 스프링 부재(259)(도 43 참조)는 선회 브라켓(249)의 포스트(253) 주위에 위치되고, 스프링(259)은 2개의 레그(leg)를 구비하는데, 하나의 레그는 롤러 록(255)과 맞물려 롤러 록(255)을 외부 롤러(250)의 외부 표면과 맞물리게 바이어스시키고, 다른 레그는 좌측 단부 캡(226b)의 일부와 동작가능하게 맞물린다.
도 38 및 도 39를 참조하면, 롤러 록(255)은 중심 몸체(263)를 구비하는 프레임 판(frame plate)(261)을 포함하고, 이 중심 몸체로부터 상부 레그(265)와 하부 레그(267)가 연장되고, 각 레그(265, 267)는 중심 몸체(263)와 동일한 평면에 놓여 있다. 상부 레그와 하부 레그(265, 267)는 서로 거의 직각으로 연장되고, 이 상대적인 위치는 특정 사용의 기하학적 형상이 주어진 경우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하부 레그(267)의 단부는 판(261)으로부터 반대쪽 단부 캡 쪽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핀(269)을 포함하고, 이 핀(269)은 원통형 형상이고 상대적으로 짧다. 예를 들어, 핀(269)은 롤러(250)의 회전을 간섭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멀리 연장되지는 않는다. 핀(269)의 길이와 형상은 후술된 바와 같이 제2 단부 레일(220)에 있는 작동체 림(247)과 핀(269) 사이에 맞물림 이동을 제공한다.
도 38 및 도 39를 계속 참조하면, 상부 레그(265)의 단부는 상부 레그(265)로부터 반대쪽 단부 캡(226a) 쪽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상대적으로 긴 원통형 베어링(27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베어링(271)은 중심 판(261)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연장되는 암(arm)(273)에 의해 그 반대쪽 단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암(273)은 탑 측으로부터만 베어링(271)의 원위 단부를 지지하고, 베어링(271)의 중심을 넘어 너무 많이 연장되지는 않는다. 이 형태에 의해 베어링(271)의 하부 부분은, 그 길이를 따라, 방해 없이, 외부 롤러(250)에 형성된 앵커 그루브(245)에 수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래에 더 설명된 바와 같이, 외부 롤러(250)의 외부 표면과 맞물려, 그 표면을 따라 라이딩(ride)할 수 있게 유지된다.
덮개의 일례의 동작은 기본적으로 도 30 내지 도 34를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리개와 제2 가리개(22, 24)는 연장된 위치에 있고, 베인(38)은 개방된 형태에 있다. 도 30을 잠시 참조하면, 제1 가리개(22)는 외부 롤러(42)에 결합되고 이 외부 롤러 주위로 랩핑가능할 수 있다. 전방 시트와 후방 시트(30, 34) 각각의 상부 에지는, 내부쪽을-향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마개(gland) 또는 리브(275)에 결합될 수 있다. 마개(275)는 외부 롤러(250)의 주변을 통해 개방되는 내부 공동(262)을 한정할 수 있다. 가리개(22)는 롤러(250)의 후방 측 주위로 랩핑되거나 언랩핑될 수 있고, 롤러(250)의 후방 측은 롤러(250)의 전방 측과, 연관된 건축물 개구부의 거리측 사이에 위치된다(도 30에서, 롤러의 후방 측은 우측에 있다). 일반적으로, 롤러(250)가 제1 방향(도 30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가리개(22)가 외부 롤러(250) 주위에서 연관된 건축물 개구부의 하나 이상의 측면(예를 들어, 탑 측)에 인접한 위치로 권취되는 것에 의해 수축하고, 롤러(250)가 반대쪽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면, 가리개(22)가 개구부(예를 들어, 바텀 측)에 걸쳐 연장할 수 있다.
제1 가리개(22)는 동일한 높이에서 외부 롤러(250)와 제1 가리개(22)의 후방 시트와 전방 시트(30, 34)의 맞물림 점(262)을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이 개방된 위치에서 유지된다. 도 30에서, 예를 들어, 이들 부착 점(262)의 위치는 4시 방향과 8시 방향에 있는 것으로 언급될 수 있고, 이는 서로 동일한 레벨에 가까이 있게 한다. 외부 롤러(250)가 도 30에 도시된 것으로부터 어느 방향으로 회전되면, 전방 시트와 후방 시트(30, 34)는 서로를 향해 이동할 수 있고, 베인(38)은 보다 수직으로 정렬되게 재배향될 수 있다.
제1 가리개와 제2 가리개(22, 24)가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 있는 이 위치에서, 제한 너트(268)(일반적으로 도 28 및 도 29 참조)는 하한과 맞물린다. 예를 들어, 이 위치로부터 동작 요소(242)에 의해 동작 기구(240)가 작동하면 제2 가리개(24)가 헤드 레일(14)로 수축하기 시작한다. 동작 기구(240)는 제일 먼저 도 30에서 반시계방향으로 내부 롤러(248)를 회전시켜 제2 가리개(24)를 수축시키고, 제2 가리개(24)가 완전히 수축되면, 외부 롤러(250)는 제1 가리개(22)를 외부 롤러(250)로 수축시키도록 작동된다. 이 순서는 본 명세서에서 아래에서 더 설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0을 더 참조하면, 내부 롤러(248)가 외부 롤러(250) 내에 위치되어 이중 롤러 유닛(246)을 한정한다. 외부 롤러(250)는 (예를 들어, 9시 방향으로부터 2시 방향까지) 원형 형상을 가지는 외부 롤러(250)의 일부에 의해 한정된 회전축(252)을 한정한다. 내부 롤러(248)는 외부 롤러(250)와 동일한 축(252)에 또는 이 축 주위에 동심으로 동일 공간에 있도록 위치된다.
제2 가리개(24)가 수축하는 동안, 내부 롤러(248)는 외부 롤러(250)에 대해 회전하고, 좌측 및 우측 롤러 단부 캡(270a, 270b)에 있는 대향하는 칼라는 내부 롤러(248)의 각 단부를 지지한다. 외부 롤러(250)는 롤러 록(255)에 의해 내부 롤러(248)에 대해 고정된 회전 위치에 유지된다. 롤러 록(255)은, 베어링(271)이 스프링(259)에 의해 바이어스되어 앵커 그루브(245)(도 28 내지 도 30 참조)에 수용되도록 배향된다. 베어링(271)의 이 위치는 외부 롤러(250)의 회전을 방지한다. 내부 롤러(248)가 수축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2 가리개(24)는 외부 롤러(250)에 형성된 슬롯(276)을 통해 당겨질 때 내부 롤러(248)로 권취된다. 이 수축 회전은 제한 나사(266)를 따라 제한 나사(266)의 반대쪽 단부 쪽으로 제한 너트(268)를 이동시킨다.
제2 가리개(24)가 관통하여 연장되는 슬롯(276)과, 제2 단부 레일(220)을 수용하는 안착부(281)는 제1 가리개(22)의 후방 시트(34)의 부착 점(262) 위 외부 롤러(250)의 외주에 위치된다. 이것은 도 30에서 3시 방향으로 언급될 수 있다. 슬롯(276)은 안착부(281)에 형성된 대향하는 자유 에지에 의해 한정된다. 안착부(281)는 슬롯(276)의 길이를 따라 형성된 리세스이고, 외부 롤러(250)의 외주에 안착부(281)의 경계를 한정하는 2개의 외부 에지를 포함한다. 도 30에 배향된 바와 같이 리세스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다소 각져 있고,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된 베이스 벽(284)은 제2 바텀 레일(220)과 외부 롤러(250) 사이에 상대적으로 수직-접선방향으로 맞물림과 맞물림 해제를 가능하게 한다. 안착부(281)의 형상과 함께 외부 롤러(250)의 외주에서 가장 후방 쪽 위치 부근에 슬롯(276)과 안착부(281)가 위치하는 것으로 인해, 수축되는 동안(도 31 및 도 32 참조) 제2 바텀 레일이 수직 위쪽으로 안착부(281)로 당겨질 때 제2 바텀 레일(220)을 고정 수용할 수 있다.
안착부(281)의 형상과 외부 롤러(250)에서 그 배향으로 인해 안착부(281)로부터 제2 바텀 레일(220)이 원활히 예측가능하게 맞물림 해제하여 (도 32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제2 가리개(24)가 연장되기 시작하는 것이 촉진된다. 안착부(281)의 형상과 배향으로 인해 바텀 레일(220)이 상대적으로 무거운 바텀 레일(220)에 중력의 힘을 이용하여 안착부(281)로부터 수직으로 낙하할 수 있다. 외부 롤러(250)에서 안착부(281)의 일반적인 접선방향 배향은 이 점에서 도움이 된다. 도 35를 참조하면, 상부 벽(277a)은 리세스의 탑 에지로부터 립부(277b)로 아래쪽으로 그리고 방사방향 내부쪽으로 연장되고 이 립부는 상부 자유 에지(277c)로 아래쪽으로 직접 연장된다. 안착부(281)의 이 부분은 (외주로부터 외부 롤러의 중심 쪽으로 측정했을 때) 가장 깊다. 하부 벽(279a)은 리세스의 바텀 에지로부터 위쪽으로 그리고 내부쪽으로 얕은 각도로 연장되고, 슬롯(276)의 하부 자유 에지(279c)를 한정하는 립부(279b)로 전이한다. 하부 벽(279a)은 상대적으로 수직이고, 상부 립부(277b)와 조합하는 경우에도 그렇게 유지된다. 슬롯(276)의 하부 자유 에지(279c)는 제2 가리개가 내부 롤러(248)로 수축될 때 이 특징 위에 제2 가리개(24)가 원활히 진행할 수 있도록 굴곡되거나 라운딩된다.
제2 바텀 레일(220)이 안착부(281)에 고정 맞물리면 앵커 그루브(245)로부터 베어링(271)을 맞물림 해제시키기 위해 롤러 록(255)이 일관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도와준다. 도 31을 참조하면, 제2 가리개(24)가 내부 롤러(248) 주위로 거의 완전히 권취된 경우, 제2 가리개(24)의 바텀 레일(220)은 롤러 록(255)과 맞물려 외부 롤러(250)의 외부로부터 롤러 록(255)을 맞물림 해제시킨다. 제2 바텀 레일(220)은 도 31 및 도 35에서 대시 라인으로 도시된다. 이 위치에서, 제2 바텀 레일(220)의 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작동체 림(247)은, 롤러 록(255)의 하부 레그(267)에 형성된 핀(269)과 접촉한다. 제2 바텀 레일(220)이 수축되는 제2 가리개(24)에 의해 안착부(281)로 당겨질 때, 작동체 림(247)은 포스트(253)의 선회 축에 대해 핀(269)을 이동시킨다. 핀(269)은 내부 롤러(248)에 대해 방사방향 내부쪽으로 이동되고, 롤러 록(255)의 선회 축에 대해 외주방향으로 이동된다. 롤러 록(255)이 포스트(253) 주위로 이동하면 상부 암(265)이 이동하여, 베어링(271)을 위쪽으로 이동시키기 시작하고 앵커 그루브(245)와 맞물림 해제되어서, 외부 롤러(250)가 자유로이 회전하게 된다(도 32, 도 36 및 도 43 참조).
도 42 및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체 림(247)은 롤러 록(255)에 인접한 제2 바텀 레일(220)의 단부에서 연장된다. 도 44 및 도 45를 참조하면, 림(247)은 이 예에서 제2 바텀 레일(220)의 바텀 측의 굴곡된 형상에 순응하는 얇은 굴곡된 요소이다. 림(247)은 제2 바텀 레일(220)의 바텀 측과 일치하는 크기를 따라 굴곡되고, 제2 바텀 레일(220)로부터 멀어지는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4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림(247)은 롤러 록(255)에 있는 핀(269)과 맞물리기에는 충분하지만 롤러 록(255)의 중심 판(261)과 접촉하지 않는 거리만큼 연장된다. 지느러미부(247)의 내부 오목한 표면은 핀(269)의 둥근 외부 표면과 맞물린다. 제2 바텀 레일(220)이 더 수축될 때, 핀(269)과 지느러미부(247)는 슬라이딩 맞물림을 유지한다. 제2 단부 레일(220)이 이렇게 더 이동하면 롤러 록(255)은 포스트(253)의 선회 축 주위로 더 선회하여, 롤러 록 베어링(271)을 앵커 그루브(245)로부터 이동시킨다.
도 32 및 도 36을 참조하면, 제2 가리개(24)가 외부 롤러(250) 안으로 더 인입되면, 바텀 레일(220)은 안착부(281)에 고정 위치되고, 지느러미부(247)는 앵커 그루브(245)로부터 베어링(271)을 완전히 제거하기에 충분한 양만큼 내부쪽으로 핀(269)을 이동시켜, 외부 롤러(250)가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동작 기구(240)가 더 작동하면 제2 가리개(24)의 인장력 하에서 바텀 레일(220)이 안착부(281)에 맞물리는 것을 통해 내부 롤러(248)의 회전 움직임이 외부 롤러(250)에 작용하게 된다. 이 맞물림에 의해 외부 롤러(250)는 내부 롤러(248)의 회전과 함께 회전한다. 외부 롤러(250)가 수축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면, 제2 바텀 레일(220)에 있는 작동체 림(247)은 롤러 록(255)에 있는 핀(269)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된다. 도 33 및 도 37을 참조하면, 해제시 롤러 록(255)은 스프링(259)에 의해 바이어스되어, 베어링(271)이 앵커 그루브(245)로부터 멀어지게 이격된 외주방향 위치에서 외부 롤러(250)의 외부 표면과 접촉하게 된다.
도 34를 참조하면, 외부 롤러(250)가 수축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면, 제1 가리개(22)는 외부 롤러(250) 주위로 랩핑되어, 앵커 그루브(245)를 커버한다. 외부 롤러(250)가 계속 회전해서 롤러 록 베어링(271)이 앵커 그루브(245) 부근에 있을 때, 롤러 록 베어링(271)은 그루브(245)에 걸쳐 제1 가리개(22)에 라이딩하는 것에 의해 그루브(245)를 통과한다. 제1 가리개(22)는 외부 롤러(250) 주위로 랩핑될 때 인장력 하에 있어서, 가리개(22)는 상대적으로 인장 상태로 그루브(245)에 걸쳐 연장된다. 베어링(271)은 제1 가리개(22)의 단일 랩핑만이 앵커 그루브(245)에 걸쳐 위치될 때 앵커 그루브(245) 안으로 다소 가압될 수 있지만, 다른 1회전 후에는 베어링(271)은 앵커 그루브(245)로부터 간섭 없이 외부 롤러(250) 주위로 랩핑된 제1 가리개(22)의 표면 위로 라이딩된다.
제1 가리개(22)가 계속 수축하면, 이 제1 가리개는 외부 롤러(250) 주위로 여러 번 랩핑하고, 롤러 록 베어링(271)은 가리개(22)의 외부 표면 위로 계속 라이딩된다. 이중 롤러 유닛(246)은 제1 바텀 레일(18)이 예를 들어 헤드 레일 하우징에 있는 받침대와 접촉할 때 탑 수축 위치에 도달한다. 다른 기구를 사용하여 바텀 제한 정지부와 반대쪽 제한 나사(266)에 위치된 탑 제한 정지부를 포함하여 탑 수축 위치를 한정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완전히 연장된 위치로부터 제2 가리개(24)와 제1 가리개(22)가 수축하는 것은 두 가리개(22, 24)가 수축하기 위해 사용자가 하나의 동작 요소를 (수동으로 또는 자동적으로) 작동시킬 때 일어날 수 있다. 제한 나사(266)는 바텀 제한 정지부로부터 탑 수축된 위치에 도달될 때까지 제한 너트(268)가 이동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길이를 구비한다.
제1 가리개(22)와 제2 가리개(24)가 연장되는 것은, 원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역순으로,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다음 도 34 내지 도 30과 같이 달성된다. 이것으로 사용자는 제1 가리개(22)만을 연장시킬지 또는 (완전히 수축된 위치와 완전히 연장된 위치 사이에서) 제2 가리개(24)를 또한 연장시킬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제1 가리개(22)가 연장되는 동안, 사용자가 동작 기구(240)를 작동시켜 내부 롤러(248)를 연장 방향(도 34 내지 도 30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외부 롤러(250)가 연장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중 롤러 유닛(246)이 이 예에서는 사용자가 내부 롤러(248)를 제어하여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가리개(22)가 외부 롤러(250)의 후방으로부터 연장되면, 롤러 록 베어링(271)은 제1 가리개(22)가 거의 완전히 연장될 때까지 외부 롤러(250)의 외부 표면 위로 라이딩된다. 이 점에서, 외부 롤러(250)의 외부 표면이 노출된다.
외부 롤러(250)가 계속 회전하면, 롤러 록 베어링(271)은 앵커 그루브(245)와 만날 때까지 외부 롤러(250)의 외부 표면 위로 라이딩된다. 베어링(271)은 그루브(245)에 위치되도록 스프링(259)에 의해 아래쪽으로 바이어스되고, 외부 롤러(250)의 회전을 방지하고 (만약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내부 롤러(248)를 계속 회전시킬 수 있다. 롤러 록(255)이 외부 롤러(250)의 외부 표면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되므로, 베어링(271)은 추가적인 압박 없이 앵커 그루브(245) 안으로 이동한다. 이 점에서 제1 가리개(22)는 그 최대 연장된 위치에서 개구부에 걸쳐 있다. 롤러 록(255)이 이 예에서 스프링(259)과는 다른 수단에 의해 바이어스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롤러 록(255)의 탑 암(top arm)(273)은 롤러 록(255)이 탑 암(273)의 중량 하에 자동적으로 원하는대로 선회하도록 가중될 수 있다. 스프링(259)이 사용되는 경우, 이 스프링은 와이어 스프링, 코일 스프링, 탄성 물질 스프링(예를 들어, 고무, 탄성체 및/또는 플라스틱) 등일 수 있다.
롤러 록(255)의 베어링(271)이 앵커 그루브(245)에 안착될 때, 제2 가리개(24)의 인장력이 동작 시스템(240)에 의해 감소될 때, 제2 가리개(24)의 바텀 레일(220)이 안착부(281)로부터 수직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외부 롤러(250)의 슬롯(276)은 헤드 레일(14)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향된다. 상대적으로 수직 베이스 벽(284)을 갖는 안착부(281)를 일반적으로 접선방향으로 배향하고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위치지정하는 것으로 인해, 제2 가리개(24)의 인장력이 수축 위치에서 해제될 때 제2 바텀 레일(220)의 중량은 안착부(281)로부터 바텀 레일(220)을 추출하는데 효과적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제2 가리개(24)를 연장시키기를 의도하지 않는 경우, 제2 가리개(24)는 수축된 채로 유지될 수 있다. 동작 기구(240)는 제2 가리개 또는 제1 가리개(24, 22)가 원치 않게 아래쪽으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리개(24)를 연장시키기 위해, 동작 시스템(240)은 사용자가 원하는 레벨로 더 작동된다. 사용자가 제2 가리개(24)를 최저 위치(최대 연장 위치)로 연장시키면, 제한 나사(266)에 위치된 제한 너트(268)가 하한 정지부와 맞물린다. 따라서 단일 제한 나사(266)를 사용하여 외부 롤러(250)에 부착된 수축된 제1 가리개(22)의 상한을 한정하고, 내부 롤러(248)에 부착된 연장된 제2 가리개(24)의 하한을 한정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일 수 있는) 도 30 내지 도 34의 제1 가리개(22)는 외부 롤러(250)의 전방 측 주위로 랩핑되거나 이 측방측으로부터 언랩핑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구조물에 필요한 변형을 가하여 전방으로-내려가는 가리개 구조물에 적용되는 이중 롤러 가리개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롤러 록 기구와 이것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동반되는 요소들은 헤드 레일의 우측 단부에, 우측 단부 캡(226a)과 연합하여, 헤드 레일의 좌측 단부에 있는 롤러 록 기구와 함께 또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더 이해된다. 또한, 제2 바텀 레일(220)은 그 단부에 작동 림(24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넓은 응용을 가지고 있다. 제공된 예는 실루엣(silhouette)-유형의 가리개와 차광 유형의 가리개를 설명하고 있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개념은 많은 유형의 가리개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임의의 실시예의 설명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일 뿐, 청구범위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범위를 이들 예로 제한하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개념은 여러 다른 방식으로 구현되거나 사용될 수 있고, 첨부된 청구범위는 종래 기술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이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으로 의도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전술한 설명은 예시와 설명을 위하여 제시된 것일 뿐 본 명세서에 개시된 형태나 형태들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여러 특징은 본 발명을 간결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측면, 실시예, 또는 형태로 함께 그룹화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특정 측면, 실시예, 또는 형태의 여러 특징은 대안적인 측면, 실시예, 또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나아가, 이하 청구범위는 본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고, 각 청구항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예로 각자 존재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적어도 하나의", "하나 이상의" 및 "및/또는"라는 어구는, 동작시 결합가능하고 분리가능한 개방된 표현(open-ended expression)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단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개체를 말한다. 그리하여, 단수 용어, "하나 이상의" 및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상호 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모든 방향에 관한 언급(예를 들어, 근위, 원위, 상부(upper), 하부(lower), 위쪽으로, 아래쪽으로, 좌측, 우측, 측방향, 길이방향, 전방, 후방, 탑(top), 바텀(bottom), 위에(above), 아래에(below), 수직, 수평, 방사방향(radial), 축방향, 시계방향(clockwise) 및 반시계방향(counterclockwise))은 본 발명을 독자들이 이해하는 것을 돕기 위한 식별을 위한 목적으로만 사용된 것일 뿐, 특히 본 발명의 위치, 배향(orientation), 또는 사용에 제한을 부과하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연결에 관한 언급(예를 들어, 부착된(attached), 결합된(coupled), 연결된(connected) 및 접합된(joined))은 넓게 해석되어야 하고, 달리 언급이 없는 한, 요소들의 집합체 사이에 중간 부재와, 이 요소들 사이에 상대적인 움직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하여, 연결 이라는 언급은 반드시 2개의 요소들이 서로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서로 고정된 관계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식별을 위한 언급(예를 들어, 제1차, 제2차, 제1, 제2, 제3, 제4 등)은 중요성이나 우선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특징부를 다른 특징부와 구별하려고 사용된 것이다. 도면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 것일 뿐,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반영된 크기, 위치, 순서 및 상대적 사이즈는 변할 수 있다.

Claims (47)

  1.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로서,
    중심 길이방향 축과,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된 세장형 슬롯(elongated slot)을 구비하는 외부 롤러;
    중심 길이방향 축을 구비하는 내부 롤러;
    상기 외부 롤러에 고정되고, 이 외부 롤러 주위로 랩핑(wrapped)되도록 구성된 제1 가리개(shade);
    바텀 레일(bottom rail)을 한정하고, 상기 내부 롤러에 고정되고 이 내부 롤러 주위로 랩핑되도록 구성된 제2 가리개;
    상기 내부 롤러의 상기 중심 길이방향 축 주위로 회전 움직임을 위하여 상기 내부 롤러와 외부 롤러를 지지하는 장착 시스템; 및
    상기 내부 롤러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동작 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 롤러는 상기 외부 롤러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2 가리개는 상기 세장형 슬롯을 통해 연장되고, 이 세장형 슬롯을 통해 상기 내부 롤러로 수축가능하고 이 내부 롤러로부터 연장가능하며, 상기 바텀 레일은 상기 제2 가리개가 상기 완전히 수축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외부 롤러와 맞물리고;
    상기 수축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내부 롤러가 회전하면 상기 외부 롤러가 회전하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슬롯은 상기 외부 롤러의 단부(end)들 사이에 연장되고;
    상기 내부 롤러는 상기 외부 롤러의 단부들과 정렬된 단부들을 구비하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리개는 상기 내부 롤러와 외부 롤러의 단부들과 정렬된 측면 에지(side edge)들을 구비하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롤러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외부 롤러의 회전을 허용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록 기구(lock mechanism)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텀 레일이 상기 록 기구와 맞물릴 때 상기 록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제1 가리개의 연장 방향과 수직으로 배향된,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롤러는 상기 슬롯을 따라 형성된 길이방향 안착부를 한정하고;
    상기 제2 바텀 레일은 상기 내부 롤러가 상기 수축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안착부에 수용되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제1 가리개의 연장 방향으로 개구부를 갖는 리세스(recess)를 한정하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롤러는 상기 측벽에 형성된 세장형 그루브(elongated groove)를 한정하고;
    상기 록 기구는 베어링(bearing)을 포함하며;
    상기 록 기구의 제1 위치에서, 상기 베어링은 상기 그루브에 수용된,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록 기구는 핀(pin)을 포함하고;
    상기 록 기구는 상기 제2 바텀 레일에 의해 상기 핀과 맞물릴 때 작동되고, 상기 베어링은 상기 그루브로부터 제거된,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외부 롤러의 상기 외부 표면과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록 기구는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선회하는 록킹 부재(locking member)를 포함하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록 기구는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병진이동하는 록킹 부재를 포함하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록 기구는, 상기 외부 롤러의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내부 롤러의 상기 중심 길이방향 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된 회전가능한 샤프트를 포함하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록 기구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가능한 샤프트는 상기 하우징에 저널링(journaled)되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15. 제14항에 있어서, 단부 캡(end cap)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부 캡으로부터 캔티레버된(cantilevered),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록 기구는 상기 회전가능한 샤프트와 상기 외부 롤러의 회전을 결합시키는 기어 기구를 포함하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롤러는 길이방향으로-연장되는 터미널 에지(teminal edge)를 각각 구비하는 제1 쉘(shell)과 제2 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쉘과 제2 쉘의 상기 길이방향으로-연장되는 터미널 에지는 주변에서 서로 이격되어 상기 세장형 슬롯을 한정하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18.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로서,
    회전가능한 외부 롤러;
    상기 외부 롤러에 고정되고 이 외부 롤러 주위로 랩핑가능한 제1 가리개;
    상기 외부 롤러의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1 가리개를 위한 바텀 정지부(bottom stop)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회전가능한 샤프트;
    상기 외부 롤러 내에 수용된 회전가능한 내부 롤러;
    상기 내부 롤러에 고정되고 이 내부 롤러 주위로 랩핑가능한 제2 가리개; 및
    상기 내부 롤러 내에 연장되고 상기 제2 가리개를 위한 바텀 정지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회전가능하지 않은 샤프트를 포함하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19. 건축물 개구부를 위한 이중 패널 덮개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외부 롤러 내에 위치된 내부 롤러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외부 롤러의 회전을 록킹하는 단계;
    연장된 제2 가리개를 상기 외부 롤러에 형성된 슬롯을 통해 상기 내부 롤러로 완전히 수축할 때까지 상기 외부 롤러에 대해 상기 내부 롤러를 회전시켜 수축시키는 단계;
    상기 내부 롤러의 완전히 수축된 위치에서 상기 회전 록을 작동시켜 상기 외부 롤러를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내부 롤러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외부 롤러를 회전시켜 상기 제1 가리개를 상기 외부 롤러로 수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물 개구부를 위한 이중 패널 덮개를 동작시키는 방법.
  20. 네스티드 롤러(nested roller)를 구비하는 건축물 개구부 덮개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외부 롤러의 주변으로부터 제1 가리개를 언랩핑(unwrapping)하는 단계;
    상기 제1 가리개가 연장되는 동안, 상기 외부 롤러의 주변의 외부로 록킹 부재를 축방향으로 횡단하는 단계;
    상기 록킹 부재가 제1 정지부와 맞물릴 때 상기 외부 롤러의 회전을 제한하는 단계;
    상기 외부 롤러 내에 위치된 내부 롤러의 주변으로부터 제2 가리개를 언랩핑하는 단계;
    상기 제2 가리개가 연장되는 동안, 상기 내부 롤러 내에 위치된 너트(nut)를 축방향으로 횡단하는 단계; 및
    상기 너트가 제2 정지부와 맞물릴 때 상기 내부 롤러의 회전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스티드 롤러를 구비하는 건축물 개구부 덮개를 동작시키는 방법.
  21.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로서,
    상기 외부 롤러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외부 롤러의 내부로 개방된 세장형 슬롯을 한정하는 회전가능한 외부 롤러;
    상기 외부 롤러 내에 수용되고 중심 길이방향 축을 한정하는 회전가능한 내부 롤러;
    상기 외부 롤러에 고정된 제1 가리개로서, 상기 제1 가리개는 상기 외부 롤러로 수축가능하고 이 외부 롤러로부터 연장가능한, 상기 제1 가리개; 및
    상기 내부 롤러에 고정된 제2 가리개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가리개는 상기 세장형 슬롯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내부 롤러로 수축가능하고 이 내부 롤러로부터 연장가능하며, 상기 세장형 슬롯은 상기 제1 가리개가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내부 롤러의 상기 중심 길이방향 축과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정렬되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롤러와 외부 롤러는 상기 내부 롤러의 상기 중심 길이방향 축 주위에 동심인,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리개와 제2 가리개는 동일한 폭을 가지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24.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리개의 폭은 상기 외부 롤러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가리개의 폭은 상기 내부 롤러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25.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리개에 고정되고, 상기 제2 가리개가 완전히 수축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외부 롤러와 맞물리는 바텀 레일을 더 포함하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롤러는 상기 슬롯을 따라 형성된 길이방향 안착부를 한정하고;
    상기 바텀 레일은 상기 제2 가리개가 상기 완전히 수축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안착부에 수용된,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27. 제2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제1 가리개가 연장되는 방향에 수직으로 배향되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28. 제2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롤러의 중심 길이방향 축 주위로 회전 움직임을 위해 상기 내부 롤러와 외부 롤러를 지지하는 장착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29. 제2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롤러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동작 기구를 더 포함하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30. 제2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롤러는 길이방향으로-연장되는 터미널 에지를 각각 구비하는 제1 쉘과 제2 쉘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쉘과 제2 쉘의 에지는 주변에서 서로 이격되어 상기 세장형 슬롯을 한정하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쉘과 제2 쉘의 일 단부에 록킹된 제1 부싱(bushing); 및
    상기 제1 쉘과 제2 쉘의 반대쪽 단부에 록킹된 제2 부싱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부싱과 제2 부싱은 상기 슬롯의 일정한 폭을 유지하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32. 제2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롤러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외부 롤러의 회전을 허용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록 기구를 더 포함하는 덮개.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록 기구는 상기 바텀 레일이 상기 록 기구와 맞물릴 때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34.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롤러는 상기 측벽에 형성된 세장형 그루브를 한정하고;
    상기 록 기구는 베어링을 포함하며;
    상기 록 기구의 제1 위치에서, 상기 베어링은 상기 그루브에 수용된,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외부 롤러의 상기 외부 표면과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36. 제32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록 기구는 핀을 포함하고;
    상기 록 기구는 상기 바텀 레일에 의해 상기 핀이 맞물릴 때 상기 그루브로부터 상기 베어링을 제거하도록 작동되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37. 제32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록 기구는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선회하는 록킹 부재를 포함하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38. 제32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록 기구는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 축방향으로 병진이동하는 록킹 부재를 포함하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39. 제32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록 기구는 상기 외부 롤러의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내부 롤러의 상기 중심 길이방향 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된 회전가능한 샤프트를 포함하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40. 제39항에 있어서, 단부 캡을 더 포함하되,
    상기 내부 롤러와 외부 롤러는 상기 단부 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록 기구는 상기 단부 캡으로부터 캔티레버된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가능한 샤프트는 상기 하우징에 저널링되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41. 제39항 또는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록 기구는 상기 회전가능한 샤프트와 상기 외부 롤러의 회전을 결합시키는 기어 기구를 포함하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42.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로서,
    세장형 슬롯을 한정하는 회전가능한 외부 롤러;
    상기 외부 롤러에 고정되고 이 외부 롤러 주위에 랩핑가능한 제1 가리개;
    상기 외부 롤러의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1 가리개를 위한 바텀 정지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록 기구;
    상기 외부 롤러 내에 수용된 회전가능한 내부 롤러;
    상기 내부 롤러에 고정되고 이 내부 롤러 주위에 랩핑가능한 제2 가리개로서, 상기 제2 가리개는 상기 세장형 슬롯을 통해 연장가능하고 수축가능한, 상기 제2 가리개; 및
    상기 내부 롤러 내에 연장되고, 상기 제2 가리개를 위한 바텀 정지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회전가능하지 않은 샤프트를 포함하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록 기구는,
    상기 외부 롤러의 외부에 위치된 회전가능한 샤프트; 및
    상기 회전가능한 샤프트를 따라 축방향으로 병진이동하는 록킹 부재를 포함하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록 기구는 상기 외부 롤러의 외부에 위치된 선회가능한 록킹 부재를 포함하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45.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외부 롤러의 주변으로부터 제1 가리개를 언랩핑하는 단계;
    상기 제1 가리개가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외부 롤러 내에 위치된 내부 롤러의 주변으로부터 제2 가리개를 언랩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가리개를 언랩핑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롤러에 형성되고 상기 내부 롤러의 중심 길이방향 축과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정렬되어 위치된 세장형 슬롯을 통해 상기 제2 가리개를 연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를 동작시키는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록킹 부재를 상기 외부 롤러와 록킹 맞물림되게 선회시켜 상기 외부 롤러의 회전을 록킹하는 단계;
    상기 외부 롤러에 대해 상기 내부 롤러를 회전시켜 상기 제2 가리개를 상기 외부 롤러에 형성된 상기 세장형 슬롯을 통해 상기 내부 롤러로 수축시키는 단계;
    상기 내부 롤러의 완전히 수축된 위치에서 상기 외부 롤러와 록킹 맞물림이 해제되게 상기 록킹 부재를 선회시켜 상기 외부 롤러가 회전할 수 있게 하는 단계; 및
    상기 내부 롤러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외부 롤러를 회전시켜 상기 제1 가리개를 상기 외부 롤러로 수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를 동작시키는 방법.
  47.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리개가 연장되는 동안, 상기 외부 롤러의 주변 외부로 록킹 부재를 축방향으로 횡단하는 단계;
    상기 제1 가리개가 상기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록킹 부재로 상기 외부 롤러의 회전을 제한하는 단계;
    상기 제2 가리개가 연장되는 동안, 상기 내부 롤러 내에 위치된 너트를 축방향으로 횡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가리개가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너트로 상기 내부 롤러의 회전을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를 동작시키는 방법.
KR1020167000433A 2013-06-12 2014-06-12 건축물 개구부용 다중 롤러 덮개 Active KR1023189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34080P 2013-06-12 2013-06-12
US61/834,080 2013-06-12
US14/213,449 2014-03-14
US14/212,387 US9567802B2 (en) 2013-03-15 2014-03-14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having nested rollers
US14/212,387 2014-03-14
US14/213,449 US9945177B2 (en) 2013-03-15 2014-03-14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having nested rollers
PCT/US2014/042131 WO2014201253A2 (en) 2013-06-12 2014-06-12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having nested roll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9923A true KR20160019923A (ko) 2016-02-22
KR102318961B1 KR102318961B1 (ko) 2021-10-27

Family

ID=52022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0433A Active KR102318961B1 (ko) 2013-06-12 2014-06-12 건축물 개구부용 다중 롤러 덮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2) EP3008273B1 (ko)
JP (2) JP6431053B2 (ko)
KR (1) KR102318961B1 (ko)
CN (2) CN105378205B (ko)
AU (2) AU2014278079B2 (ko)
BR (1) BR112015030821B1 (ko)
CA (1) CA2915204C (ko)
DK (1) DK3333352T3 (ko)
MX (2) MX366645B (ko)
PL (1) PL3333352T3 (ko)
TW (3) TWI640683B (ko)
WO (1) WO201420125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45177B2 (en) 2013-03-15 2018-04-17 Hunter Douglas Inc.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having nested rollers
US9567802B2 (en) 2013-03-15 2017-02-14 Hunter Douglas Inc.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having nested rollers
CA2900218C (en) 2013-03-15 2021-10-26 Hunter Douglas Inc. Position lock for roller supported architectural coverings
US9322210B2 (en) 2013-08-19 2016-04-26 Comfortex Window Fashions Cordless fabric venetian window shade assembly
KR101359513B1 (ko) 2013-08-27 2014-02-07 곽재석 이중원단 블라인드의 원단 각도 조절장치
US9702187B2 (en) 2015-02-13 2017-07-11 Hunter Douglas Inc.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having nested tubes
KR101659926B1 (ko) * 2016-04-12 2016-09-27 (주)한국윈텍 블라인드 장치의 하부구조물 및 그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장치
CN107842303B (zh) * 2016-09-19 2020-03-13 德侑股份有限公司 窗帘及其致动系统
TWI767005B (zh) 2017-06-01 2022-06-11 美商漢特道格拉斯股份有限公司 具有底部軌條調平機構的用於建築特徵之遮蓋物
JP7041954B2 (ja) * 2018-05-11 2022-03-25 株式会社 Wis 調光式ロールスクリーン及びその製造方法
CN109488186A (zh) * 2018-08-16 2019-03-19 朗丝窗饰有限公司 一种香格里拉窗帘及其下梁
CN109434801B (zh) * 2018-10-15 2022-02-22 斯图加特航空自动化(青岛)有限公司 一种喷砂喷锌机器人移动机构及喷砂喷锌设备
CZ308287B6 (cs) 2018-10-29 2020-04-15 Bestadom, s.r.o. Navíjecí mechanismus rolety
JP7475235B2 (ja) 2020-07-29 2024-04-26 トーソー株式会社 日射遮蔽装置及び日射遮蔽装置用の操作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7421A (en) * 1995-06-06 1997-07-15 Hunter Douglas Inc. Dual shap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85325A (en) * 1964-03-19 1966-11-15 Ametek Inc Actuator for retractable wall
JPH0567797U (ja) * 1990-12-28 1993-09-10 株式会社ウエノ 多目的ローラースクリーン
US7549455B2 (en) * 2003-08-20 2009-06-23 Hunter Douglas Inc. Retractable shade with collapsible vanes
US7051782B2 (en) * 2003-10-23 2006-05-30 Lutron Electronics Co., Inc. System for coupling roller shade tubes
CN2646364Y (zh) * 2003-10-24 2004-10-06 亿丰综合工业股份有限公司 前后帘片可保持平整贴靠的双层卷帘
ITTV20050024U1 (it) * 2005-05-06 2006-11-07 Nice Spa Dispositivo di fine-corsa per azionamenti di avvolgibili o protezioni solari.
US7740044B2 (en) * 2006-08-31 2010-06-22 Dometic, LLC Awning assembly including drop-down shade
JP4017040B1 (ja) * 2007-05-09 2007-12-05 ナビオ株式会社 巻取装置及びスクリーン装置
GB2470387A (en) * 2009-05-21 2010-11-24 Brian John Howard Hughes Roller blind
KR100943408B1 (ko) * 2009-11-28 2010-02-19 곽재석 이중원단의 각도를 조절하는 블라인드
US8365797B2 (en) * 2010-04-30 2013-02-05 Hunter Douglas Inc. Cord tension control for top down/bottom up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TWI445878B (en) * 2010-07-01 2014-07-21 Blinds with a looped blind sheet for adjusting opacity
CA3090998C (en) * 2011-08-26 2023-05-02 Hunter Douglas Inc. Cordless retractable roller shade for window coverings
JP6271186B2 (ja) * 2012-11-08 2018-01-31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7421A (en) * 1995-06-06 1997-07-15 Hunter Douglas Inc. Dual shap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035322A (ja) 2019-03-07
KR102318961B1 (ko) 2021-10-27
WO2014201253A2 (en) 2014-12-18
HK1216187A1 (zh) 2016-10-21
TW201839248A (zh) 2018-11-01
AU2018217231A1 (en) 2018-08-30
TWI640683B (zh) 2018-11-11
AU2014278079A1 (en) 2015-12-24
DK3333352T3 (da) 2020-01-06
CN107524403B (zh) 2019-12-06
WO2014201253A3 (en) 2015-02-26
BR112015030821A2 (pt) 2017-07-25
PL3333352T3 (pl) 2020-05-18
TWI693335B (zh) 2020-05-11
CN105378205A (zh) 2016-03-02
BR112015030821A8 (pt) 2020-01-21
TWI742428B (zh) 2021-10-11
MX2015016938A (es) 2016-08-08
EP3008273A2 (en) 2016-04-20
JP6889140B2 (ja) 2021-06-18
JP6431053B2 (ja) 2018-11-28
EP3008273A4 (en) 2017-04-19
MX382426B (es) 2025-03-13
CA2915204C (en) 2021-10-19
CA2915204A1 (en) 2014-12-18
BR112015030821B1 (pt) 2021-10-13
AU2018217231B2 (en) 2020-10-22
TW202003996A (zh) 2020-01-16
TW201510346A (zh) 2015-03-16
CN107524403A (zh) 2017-12-29
AU2014278079B2 (en) 2018-05-24
JP2016524062A (ja) 2016-08-12
EP3333352A1 (en) 2018-06-13
EP3333352B1 (en) 2019-10-16
EP3008273B1 (en) 2018-09-26
MX366645B (es) 2019-07-17
CN105378205B (zh) 2017-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19923A (ko) 건축물 개구부용 다중 롤러 덮개
US20230235624A1 (en)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having nested rollers
US9945177B2 (en)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having nested rollers
KR102697437B1 (ko) 네스티드 튜브를 구비하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KR101910719B1 (ko) 창문 가리개 및 작동시스템 및 이의 작동방법
US10837227B2 (en) Window shade
HK1216187B (en) Multi-roller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0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6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0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0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