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43408B1 - 이중원단의 각도를 조절하는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이중원단의 각도를 조절하는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3408B1
KR100943408B1 KR1020090116267A KR20090116267A KR100943408B1 KR 100943408 B1 KR100943408 B1 KR 100943408B1 KR 1020090116267 A KR1020090116267 A KR 1020090116267A KR 20090116267 A KR20090116267 A KR 20090116267A KR 100943408 B1 KR100943408 B1 KR 100943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ble fabric
fabric
angle
rotating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재석
Original Assignee
곽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재석 filed Critical 곽재석
Priority to KR1020090116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3408B1/ko
Priority to AU2010325435A priority patent/AU2010325435A1/en
Priority to PCT/KR2010/000936 priority patent/WO2011065626A1/ko
Priority to US12/746,142 priority patent/US832790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3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3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03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with ladder-ta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06B2009/2435Two vertical sheets and slats in-betwee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06B2009/2627Cellular screens, e.g. box or honeycomb-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원단의 각도를 조절하는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원단의 베인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바로 펼쳐지게 할 수 있고 각도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종래처럼 블라인드 원단을 끝까지 내릴 필요가 전혀 없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이중원단의 길이와 창의 길이가 다르더라도 설치 가능하므로 다양한 창에 적용할 수 있어 호환성이 뛰어난 것이다.
이는 투명 원단인 전방시트와 후방시트 사이에서 S자 형상의 단면을 취하고 있는 다수 개의 불투명 베인이 형성되고 하단 끝에는 수평바가 설치된 이중원단과; 원통형으로 형성된 체결관의 외주면 하측으로 베인이 펼쳐진 수평상태로 고정 설치하고 체결관의 한쪽면으로 구동체가 설치되어 있는 회전구와; 상기 회전구의 후방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이중원단의 한쪽면을 밀착시킨 후 끌어올리는 마찰부재가 형성된 회전관이 구비되고, 회전관의 한쪽면으로 회전체가 설치되어 있는 각도조절구와; 상기 회전구와 각도조절구의 중앙에 형성된 삽입공에 체결되는 결합돌기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연결판과; 상기 회전구와 각도조절구의 한쪽 면에 설치되는 조절끈;으로 구성한다.
회전구, 각도조절구, 연결판, 조절끈

Description

이중원단의 각도를 조절하는 블라인드{A double fabric blind}
본 발명은 이중원단의 각도를 조절하는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원단의 베인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바로 펼쳐지게 할 수 있고 각도를 어느 위치에서든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블라인드 원단을 끝까지 내리고 나서 이중구조의 원단을 개방할 수 있었던 것에 비하여 중간의 어느 위치에서든 이중원단을 틸트(tilt)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한 것이다.
또한, 이중원단의 전체 길이와 창의 길이가 다르더라도 블라인드를 설치하여 원하는 위치마다 이중원단의 개폐 조절이 가능하여 창의 사이즈와 관계없이 다양한 창에 적용할 수 있어 호환성이 뛰어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 블라인드는 권취봉에 감기는 블라인드천의 권취량에만 의존하여 건물의 외부에서 내부로 비치는 빛의 량 및 건물의 내부에서 외부로 시야 개방의 량을 조절하기 때문에 블라인드 천을 하측까지 완전히 내린 상태에서만 외부의 빛이 내부로 들어오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고자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권취봉(6)에 감겨있는 블라인드 원단(4)을 망사로 직조된 전방시트(1)와 후방시트(2)를 형성하고, 전방시트(1)과 후방시트(2)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다수 개의 베인(3)을 결합하여 이중으로 이루어진 원단을 사용하였다.
상기 베인(3)들은 대체로 S자 형상의 단면을 취하고 있으며 전방과 후방 시트(1)(2)가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방과 후방시트(1)(2)는 망사로 직조된 투명 재료를 사용하게 되고, 다수 개의 베인(3)들은 전방과 후방시트(1)(2)보다는 유연하고 반투명 재료로 만들어진다.
이와 같은 이중원단으로 이루어진 블라인드 원단(4)은 베인(3)들이 펼쳐지 상태에서는 외부의 빛이 전방시트(1)과 후방시트(2)로 투과되어 내부로 들어오게 된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방시트(1)나 후방시트(2)의 한쪽을 상측으로 올라가게 되면, 펼쳐진 베인(3)들이 접혀지면서 전방시트(1)와 후방시트(2)가 거의 맞닿는 상태가 됨과 동시에 다수의 베인(3)들은 서로 연결되면서 전방시트(1)와 후방시트(2)로 빛은 투과시키지만 시야는 막도록 반투명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이중원단으로 이루어진 블라인드 원단(4)을 이용하여 첨부된 도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롤 블라인드(9)를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상기 롤 블라인드(9)는 이중원단으로 이루어진 블라인드 원단(4)이 감겨지는 권취봉(5)이 결합되어 있는 상측케이스(6)를 형성하고, 이중원단의 하측 단에는 무게를 갖는 하단바(7)를 설치한다.
그리고 권취봉(5)의 한쪽 끝에 이중원단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롤러(8)를 설치하고, 구동롤러(8)를 회전시키는 조절끈(8a)을 설치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조절끈(8a)을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구동롤러(8)가 회전하면서 이중으로 이루어진 블라인드 원단(4)이 하측으로 내려오게 된다.
이때, 전방시트(1)와 후방시트(2)의 사이에 형성된 베인(3)들은 첨부된 도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접혀있는 상태로 내려오다가 블라인드 원단(4)이 끝까지 내려오게 되면, 그때서야 하단바(7)의 무게에 의해 접혀있던 베인(3)이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롤 블라인드는 이중원단이 하측 끝까지 내려와야만 다수의 베인들이 하단바의 무게에 의해 접혀있던 상태에서 펼쳐지게 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 즉 중간 부분이나 상측 등에서 접혀있던 베인을 펼쳐지게 하는 수단 및 베인의 펼쳐지는 각도를 조절하는 수단이 전혀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구동롤러에 감겨 있는 이중원단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롤블라인드의 원단이 끝까지 펼쳐져야만 하기 때문에 롤블라인드의 총 길이와 롤 블라인드가 설치되는 창의 길이가 동일해야 하므로, 다양한 형태의 창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 창에 맞는 사이즈별로 제품을 생산해야 하므로 경제성 및 호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체결관에 감겨 있는 이중원단을 각도조절구의 전체 360도 지름의 표면에 형성된 마찰부재(마찰계수가 있는)를 통해 어느 때, 어느 포인트에서도 이중원단의 한쪽 면을 밀착시킨 후 회전관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끌어올릴 수 있어 이중원단의 베인들을 원하는 위치에서 펼칠 수 있고, 펼쳐지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이중원단의 각도를 조절하는 블라인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각도조절구를 회전구의 크기보다 슬림화 및 소형화하여 설치되는 창에 많은 부피를 차지하지 않도록 하는 이중원단의 각도를 조절하는 블라인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투명 원단인 전방시트와 후방시트 사이에서 S자 형상의 단면을 취하고 있는 다수 개의 불투명 베인이 형성되고 하단 끝에는 수평바가 설치된 이중원단과; 원통형으로 형성된 체결관의 외주면 하측으로 베인이 펼쳐진 수평상태로 고정 설치하고 체결관의 한쪽면으로 구동체가 설치되어 있는 회전구와; 상기 회전구의 후방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이중원단의 한쪽면을 밀착시킨 후 끌어올리는 마찰부재가 형성된 회전관이 구비되고, 회전관의 한쪽면으로 회전체가 설치되어 있는 각도조절구와; 상기 회전구와 각도조절구의 중 앙에 형성된 삽입공에 체결되는 결합돌기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연결판과; 상기 회전구와 각도조절구의 한쪽 면에 설치되는 조절끈;으로 구성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의 효과가 있다.
첫째는 이중원단을 끝까지 내리지 않고 원하는 위치에서 이중원단의 베인들을 자유롭게 펼칠 수 있고, 그 각도도 원하는 각도로 조절이 가능하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둘째는 다양한 형태의 창에 적용할 수 있어 호환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셋째는 각도조절구의 크기를 슬림화 및 소형화하여 설치상에 제약 없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 4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이중원단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구동체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마찰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회전체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 부호 200은 본 발명인 이중원단의 각도를 조절하는 블라인드의 본체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본체(200)는 이중원단(110)이 감겨있는 체결관(121)을 갖는 회전구(120)와, 외주면 전체 면에 이중원단(110)의 한쪽 면이 밀착되도록 한 후에 끌고 올라가는 마찰부재(130)가 형성되어 있는 각도조절구(140)와, 회전구(120)와 각도조절구(140)을 연결하는 연결판(197)과, 이중원단(110)의 높낮이 위치와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끈(170)(171)으로 구성한다.
상기 이중원단(110)은 망사 형태의 투명 원단인 전방시트(111)와 후방시트(112)를 형성하고, 전방시트(111)와 후방시트(112)의 사이에서 연장되면서 S자 형상의 단면을 취하고 있는 다수 개의 불투명 베인(113)들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중원단(110)의 하단 끝에는 수평바(114)를 설치하여 사용한다.
상기 회전구(120)는 이중원단(110)이 체결되는 체결관(121)과 체결관(121)의 한쪽 측면에 설치되는 구동체(1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관(121)은 원통관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하측 외주면으로 첨부된 도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중원단(110)의 베인(113)을 수평 상태가 되도록 펼친 후에 체결관(121)의 한쪽 면으로 전방시트(111)를 접착하고 다른 쪽 면으로는 후방시트(112)를 접착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이 체결관(121)에 감겨있는 이중원단(110)의 전방시트(111)가 회전관(141)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구동체(100)는 본인의 선등록 특허 제875633호인 '원 코드 블라인드'의 작동 원리를 적용하고 있으며, 그 구성은 첨부된 도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판스프링(19)이 체결되는 고정홈(11)이 형성된 고정축(13)을 갖는 고정판(15)이 구비된 고정체(10)를 형성한다.
그리고 내부기어(20)와 작은기어(30) 및 스프링(44)이 장착되는 고정링(40)으로 이루어진 기어체(50)를 형성한다.
상기 기어체(50)는 내면과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기어(65)의 내측으로 체결되고, 회전기어(65)는 외주면에 조절끈(170)이 설치된 작동판(60)의 결합홈(61)에 삽입 설치된다.
상기 작동판(60)의 전방으로는 기어체(50) 및 조절끈(170)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는 마감판(70)을 고정 설치한다.
상기 마감판(70)의 삽입공(71)으로는 커버(90)의 회동구(93)와 나사 결합하면서 커버(90)를 고정 및 해지하는 이송구(8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90)의 외주면에는 이중원단(110)이 설치된 체결관(121)을 삽입 설치한다.
이와 같은 구동체(100)의 작동은 조절끈(170)을 잡고 하측으로 잡아당기면, 작동판(60)이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회전기어(65)도 작동판(65)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기어(65)의 내면에 나사 결합한 다수 개의 작은기어(30)들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작은기어(30)와 서로 나사 결합한 내부기어(20)는 작 은기어(30)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내부기어(20)의 보강턱(21)과 맞닿아 있는 이송구(80)가 회전하게 되고 고정링(40)의 고정턱(41)이 이송구(80)의 경사면(82)을 따라 올라가게 되면서 이송구(80)를 전방으로 전진시키게 된다.
이때, 탄성 스프링(85)이 압축을 받게 되고 이송구(80)의 나사산(81)이 커버의 내부에 설치된 회동구(93)의 나사산(91)과 서로 맞물려서 커버(90)도 함께 회전하게 되고 커버(90)의 외주면에 설치된 체결관(121)도 회전하게 된다.
상기 각도조절구(140)는 마찰부재(130)가 형성된 회전관(141)과 회전관(141)의 한쪽 면으로 회전체(150)로 구성한다.
상기 각도조절구(140)의 구경은 전방에 설치되는 회전구(120)의 구경보다 1/3 크기로 작게 형성하고, 설치 위치는 회전구(120)의 후방 하측으로 설치하여 사용한다.
상기 회전관(141)은 첨부된 도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중원단(110)의 한쪽 면이 밀착되도록 한 후에 상측으로 끌고 올라가면서 이중원단(110)의 베인(113)이 펼쳐짐과 동시에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마찰부재(미끄러짐을 방지하는) (1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찰부재(130)는 회전관(141)의 외주면 지름 전체 면으로 직접 실리콘액이나 마찰력을 가진 고무 성질의 부재를 도포 및 코팅 처리하여 이중원단(110)의 전방시트(111)와 밀착되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은 상기 마찰부재(130)에 사용되는 실리콘액이나 고무 부재의 마찰계 수는 이중원단(110)의 폭과 감겨있는 길이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마찰부재(130)는 이중원단(110)의 전방시트(111) 전방면을 밀착하고 있다가 회전관(141)이 회전하게 되면, 전방시트(111)를 미끄러짐이 없이 상측으로 끌고 올라가게 된다.
이와 같이 이중원단(110)의 전방시트(111)만을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접혀있던 베인(113)들이 펼쳐지게 되고 그 각도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중원단(110)의 한쪽 면을 밀착하여 끌어 올려주는 수단은 종래에는 전혀 없는 장치로 이중원단(110)이 접혔다 펼쳐짐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그 각도 조절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이중원단(110))을 하측 끝까지 내릴 필요없이 원하는 위치 어느 곳에서나 자유롭게 펼칠 수 있다.
상기 회전관(141)의 한쪽 면에는 회전관(141)을 회전시키는 회전체(150)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체(150)는 전방에 설치된 회전구(120)가 회전하면서 이중원단(110)이 상하로 개폐되는 작동이 이루어질 때, 회전체(150)는 자유회전 상태로 있어 회전구(120)의 회전을 전혀 방해하지 않으면서 회전구(12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중원단(110)의 상하 개폐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이와 같이 회전체(150)의 구성은 첨부된 도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면 한쪽에 판스프링(151)이 고정 설치되는 고정홈(152)이 형성되고 중앙에 전방으로 돌출된 고정축(153)을 형성하며 그 외주면에는 조절끈 배출홈(154)이 형성된 가이드판(155)을 갖는 고정체(156)를 형성한다.
이때, 고정축(153)의 선단 외주면에는 걸림턱(158a)을 갖는 스프링(158)을 설치한다.
상기 스프링(158)은 후술하는 이송구(180)의 결합홈(184) 내로 결합되고 걸림턱(158a)이 결합홈(184)의 한쪽면에 밀착되어 이송구(180)의 자유회전을 차단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체(156)의 가이드판(155) 내측으로 외주면에 조절끈(170)이 감겨있고 전방면에는 내주면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보강턱(159a)을 갖는 체결구(159)가 일체로 형성된 작동판(160)을 삽입 설치한다.
이때, 조절끈(170)은 조절끈 배출홈(15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구(159)에는 외주면에 서로 대칭되게 절개홈(161a)이 형성된 고정턱(161)을 갖는 고정링(163)을 체결하고, 고정링(163)의 절개홈(161a)으로 스프링(162)의 걸림턱(162a)을 체결한다.
상기 작동판(160)의 전방면에는 중앙에 삽입공(164)이 형성된 원형의 마감판(165)을 고정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마감판(165)의 삽입공(164)으로 중앙에 고정축(153)이 삽입되는 삽입공(181)을 가지면서 전방 외면에는 기어(182)가 형성되고 후방 외면에는 한쪽에 경사면(183)이 형성된 결합홈(184)을 갖는 이송구(180)를 삽입한다.
이때, 이송구(180)이 결합홈(184)으로 고정링(163)의 고정턱(161)이 맞닿아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이송구(180)의 전방에 형성된 기어(182)는 삽입공(191) 내부로 압축스프링(195)이 설치되고 전방 내주면에 기어(192)가 형성된 커버(190)와 맞물리면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커버(195)의 외면으로는 마찰부재(130)가 형성된 회전관(141)을 설치한다.
상기 회전체(150)의 작동은, 작동판(160)에 설치된 조절끈(170)을 잡고 당기게 되면 작동판(160)의 체결구(159)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이송구(180)의 결합홈(184) 내에 설치된 스프링(158)이 이송구(180)가 회전되지 전방으로 전진할 정도의 탄성을 주게 된다.
이때, 고정링(163)의 고정턱(161)이 이송구(180)의 경사면(183)을 따라 올라가면서 이송구(180)를 전방으로 전진되도록 한다.
그러면, 탄성스프링(195)은 압축을 받게되고 이송구(180)의 전방에 형성된 기어(182)가 커버(190)의 내주면에 형성된 기어(192)와 서로 맞물리되면서 커버(190)가 회전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이송구(180)의 기어(182)와 커버(190)의 기어(192)가 서로 떨어져 있는 상태가 되면 커버(190)는 자유회전 상태인 초기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초기화 상태는 전방의 회전구(120)가 회전할 때, 그 상태를 유지하므로 이중원단(110)의 상하 개폐작업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상기 회전구(120)와 각도조절구(140)은 연결판(197)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한 다.
상기 연결판(197)은 금속 재질로 양측 면에 후방으로 돌출된 결합돌기(196)가 형성되어 있고, 결합돌기(196)는 회전구(120)와 각도조절구(140)의 중앙에 형성된 삽입공에 체결한다.
상기 조절끈(170)(171)은 구동체(100)의 작동판(60)과 회전체(150)의 작동판(160)에 형성되어 있으며, 조절끈(170)(171)의 하단에는 손잡이(172)(173)를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조절끈(170)(171)에 형성된 각각의 손잡이(172)(173)로 별도의 끈을 연결하여 하나의 손잡이처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9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구(120)에 형성된 조절끈(170)을 잡고 하측으로 잡아당기면, 이중원단(110)이 감겨 있는 회전구(120)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후방에 설치된 각도조절구(140)도 회전체(15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중원단(110)이 하측으로 내려오게 된다.
이때, 이중원단(110)은 전방시트(111)와 후방시트(112)의 사이에 형성된 베인(113)들이 접혀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내려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위치까지 이중원단(110)을 내려오게 한 후에, 외부의 빛을 내부로 투과시키기 위해서는 후방의 회전체(150)의 작동판(160) 에 설치된 조절끈(171)을 하측으로 잡아당긴다.
상기 작동판(160)의 체결구(159)가 회전하게 되고 이송구(180)의 결합홈(184) 내에 설치된 스프링(158)이 이송구(180)가 회전되지 않고 전방으로 전진할 정도의 탄성을 받고 있는 상태에서, 고정링(163)의 고정턱(161)이 이송구(180)의 경사면(183)을 따라 올라가면서 이송구(180)를 전방으로 전진시키게 된다.
이때, 탄성스프링(195)의 탄성에 의해 이송구(180)의 기어(182)가 커버(190)의 내주면에 형성된 기어(192)와 서로 맞물리면서 회전관(141)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회전관(141)의 외주면 전체 면에 형성된 마찰부재(130)가 이중원단(110)의 전방시트(111)를 밀착시킨 후에 미끄러짐 없이 회전관(141)가 동일한 방향으로 끌고 올라가게 된다.
이때, 전방시트(111)가 상측으로 올라가면서 전방시트(111)와 후방시트(112) 사이에 접혀있던 베인(113)들이 펼쳐지게 되면서 외부의 빛이 투명 재질인 전방시트(111)와 후방시트(112)를 통과하여 내부로 투과되는 것이다.
또한, 마찰부재(130)에 밀착된 전방시트(111)는 구불구불하게 겹쳐진 상태로 올라가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각도조절구(140)를 회전하면서 원하는 위치 어느 곳에서나 이중원단(110)의 각도를 쉽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다시 조절끈(171)을 하측으로 잡아당겼다 놓으면, 탄성스프링(195)의 압축이 풀리면서 전진했던 이송구(180)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커버(190)의 기어(192)와 맞물렸던 상태가 해지되면서 자유회전 상태가 된 다.
도 1~3은 종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이중원단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구동체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마찰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회전체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1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면의 중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200: 본체 100:구동체
110:이중원단 111:전방시트
112:후방시트 113:베인
114:수평바 120:회전구
121:체결관 130:마찰부재
140:각도조절구 141:회전관
150:회전체 151:판스프링
152:고정홈 153:고정축
154:배출홈 155:가이드판
156:고정체 158:스프링
158a:걸림턱 159:체결구
159a:보강턱 160:작동판
161:고정턱 161a:절개홈
162:스프링 162a:걸림턱
163:고정링 164:삽입공
165:마감판 170,171:조절끈
180:이송구 181:삽입공
182:기어 183:경사면
184:결합홈 190:커버
191:삽입공 192:기어
195:압축스프링 196:결합돌기
197:연결판

Claims (3)

  1. 투명 원단인 전방시트와 후방시트 사이에서 S자 형상의 단면을 취하고 있는 다수 개의 불투명 베인이 형성되고 하단 끝에는 수평바가 설치된 이중원단과;
    원통형으로 형성된 체결관의 외주면 하측으로 베인이 펼쳐진 수평상태로 고정 설치하고 체결관의 한쪽면으로 구동체가 설치되어 있는 회전구와;
    상기 회전구의 후방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이중원단의 한쪽면을 밀착시킨 후 끌어올리는 마찰부재가 형성된 회전관이 구비되고, 회전관의 한쪽면으로 회전체가 설치되어 있는 각도조절구와;
    상기 회전구와 각도조절구의 중앙에 형성된 삽입공에 체결되는 결합돌기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연결판과;
    상기 회전구와 각도조절구의 한쪽 면에 설치되는 조절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원단의 각도를 조절하는 블라인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회전관의 외주면 전체 면으로 직접 실리콘액 또는 마찰력을 갖는 고무 성질 부재를 도포 및 코팅하여 이중원단의 한쪽 면을 미끄러짐 없이 끌고 올라가도록 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원단의 각도를 조절하는 블라인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구의 회전체는,
    외면 한쪽에 판스프링이 고정 설치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중앙에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선단에 스프링이 설치된 고정축을 형성하며 그 외주면에는 조절끈 배출홈이 형성된 가이드판을 갖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가이드판 내측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조절끈이 감겨있고 전방면에는 내주면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보강턱을 갖는 체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작동판과;
    상기 체결구에 삽입되며 외주면에 서로 대칭되게 절개홈이 형성된 고정턱을 갖는 고정링과 고정링의 절개홈에 체결되는 걸림턱을 갖는 스프링;
    상기 작동판 전방면에 설치되며 중앙에 삽입공을 가지는 마감판과;
    상기 마감판의 삽입공으로 삽입되어 체결구의 보강턱에 맞닿아 설치되며 중앙에 고정축이 삽입되는 삽입공을 가지면서 전방 외면에는 기어가 형성되고 후방 외면에는 한쪽에 경사면이 형성된 결합홈을 갖는 이송구와;
    상기 이송구의 기어에 체결되며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후방 외면에 기어가 형성된 커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원단의 각도를 조절하는 블라인드.
KR1020090116267A 2009-11-28 2009-11-28 이중원단의 각도를 조절하는 블라인드 KR100943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267A KR100943408B1 (ko) 2009-11-28 2009-11-28 이중원단의 각도를 조절하는 블라인드
AU2010325435A AU2010325435A1 (en) 2009-11-28 2010-02-16 Blind for controlling an angle of double fabric
PCT/KR2010/000936 WO2011065626A1 (ko) 2009-11-28 2010-02-16 이중원단의 각도를 조절하는 블라인드
US12/746,142 US8327906B2 (en) 2009-11-28 2010-02-16 Tiltable double-layered fabric bli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267A KR100943408B1 (ko) 2009-11-28 2009-11-28 이중원단의 각도를 조절하는 블라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3408B1 true KR100943408B1 (ko) 2010-02-19

Family

ID=42083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267A KR100943408B1 (ko) 2009-11-28 2009-11-28 이중원단의 각도를 조절하는 블라인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327906B2 (ko)
KR (1) KR100943408B1 (ko)
AU (1) AU2010325435A1 (ko)
WO (1) WO2011065626A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8583A2 (ko) * 2009-12-22 2011-06-30 (주)한국윈텍 블라인드 장치
KR101170246B1 (ko) 2010-07-14 2012-07-31 김정민 이중 블라인드원단 개폐장치
KR101259614B1 (ko) 2012-02-16 2013-05-28 (주)한국윈텍 롤 블라인드
KR20140064672A (ko) * 2012-11-19 2014-05-28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공동 작용하는 베인 세트를 구비하는 건축물 개방부용 덮개
KR20140113586A (ko) * 2013-03-15 2014-09-24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CN104168800A (zh) * 2012-03-10 2014-11-26 杭州万事达装饰用品有限公司 隔断帘的悬挂装置
WO2015031329A1 (en) 2013-08-27 2015-03-05 Comfortex Window Fashions Device for adjusting fabric angle of double fabric blinds
WO2015126070A1 (ko) * 2014-02-18 2015-08-27 안은로 채광조절이 가능한 롤블라인드
KR20150131750A (ko) * 2014-05-16 2015-11-25 (주)한국윈텍 롤 블라인드
KR200478992Y1 (ko) 2015-09-14 2015-12-07 최승영 롤 스크린 감속장치
KR101706890B1 (ko) 2016-04-29 2017-02-16 주식회사 도매클럽 블라인드 장치
US9840867B2 (en) 2013-08-19 2017-12-12 Comfortex Window Fashions Cordless fabric venetian window shade assembly
KR20170142900A (ko) * 2016-06-17 2017-12-28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창문 차양
KR20180005605A (ko) * 2016-07-06 2018-01-16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창문 가리개
US9890583B2 (en) 2011-05-16 2018-02-13 Maxxmar Inc. Blind assembly with two blind head rail
US9963935B2 (en) 2013-03-15 2018-05-08 Hunter Douglas Inc. Position lock for roller supported architectural coverings
US12163375B2 (en) 2019-03-06 2024-12-10 Comfortex Corporation Bottom rail for double panel window shading and method to operat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48409S1 (en) * 2011-05-16 2016-02-02 Mario M. Marocco Double blind
KR20120018378A (ko) * 2012-01-20 2012-03-02 차기철 입체형상 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99925B1 (ko) * 2012-12-13 2013-08-26 (주)윈하우스 개선된 원 코드 블라인드
USD764212S1 (en) 2013-03-14 2016-08-23 Hunter Douglas Inc.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EP3008273B1 (en) * 2013-06-12 2018-09-26 Hunter Douglas Inc.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having nested rollers
WO2015017842A2 (en) 2013-08-02 2015-02-05 Lutron Electronics Co., Inc. Motorized sheer shading system
WO2015017833A2 (en) * 2013-08-02 2015-02-05 Lutron Electronics Co., Inc. Adjustment mechanisms for shades
USD740588S1 (en) * 2014-05-02 2015-10-13 Hunter Douglas Inc.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having a vane with a pattern
USD750395S1 (en) * 2014-05-02 2016-03-01 Hunter Douglas Inc.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having a vane with a pattern
USD751319S1 (en) * 2014-05-02 2016-03-15 Hunter Douglas Inc.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having a sheet with a pattern
EP3369886A1 (en) 2016-10-28 2018-09-05 Hunter Douglas Inc. Covering for architectural features having cellular flexible slats attaced to elongate tapes
CN106948560B (zh) * 2017-03-01 2023-07-18 华南理工大学 一种双层交叉百叶式屋顶遮阳装置及其控制方法
TWI651462B (zh) * 2017-04-13 2019-02-21 德侑股份有限公司 窗簾
US11585151B2 (en) 2018-02-19 2023-02-21 Tucson Rolling Shutters, Inc. Self-adjusting bottom bar for a retractable screen
US10934772B2 (en) 2018-02-19 2021-03-02 Tucson Rolling Shutters, Inc. Self-adjusting bottom bar for a retractable screen
CN111965335B (zh) * 2020-08-19 2022-01-28 西南石油大学 一种成品油管道的拖尾油模拟实验装置
AT524768B1 (de) * 2021-09-15 2022-09-15 Exergy Lynx E U Antriebsrolle für ein Rollo, Lagereinheit für eine Rollowelle und Roll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9869A (ja) 2001-03-21 2002-10-23 Teiwa Shu 横式板スダレ
JP2005336935A (ja) 2004-05-28 2005-12-08 Ryuzo Tsukamoto 水平遮蔽羽ブラインドの竿操作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80358A (en) * 1939-08-09 1942-04-21 Tietig Chester Window shade or the like
US3854517A (en) * 1972-05-17 1974-12-17 I Nakamura Roll blind
DK133073C (da) * 1974-04-29 1976-08-30 M O H Rasmussen Varmeisolerende forheng
US4194550A (en) * 1976-01-26 1980-03-25 Insulating Shade (Limited Partnership) Apparatus for insulating against conductive, convective and radiant heat transmission
US4187896A (en) * 1977-09-15 1980-02-12 Shore Ronald H Self-inflating solar curtain
US4453584A (en) * 1981-05-22 1984-06-12 Steele Richard S Sealing system for movable insulation
US5313999A (en) * 1990-10-24 1994-05-24 Hunter Douglas Inc. Fabric light control window covering
US5320154A (en) * 1990-12-13 1994-06-14 Hunter Dougla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a retractable window covering
JP2758320B2 (ja) * 1992-08-26 1998-05-28 積水樹脂株式会社 ブラインド
JPH0835381A (ja) * 1994-07-25 1996-02-06 Toso Co Ltd 二重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
ES2302533T3 (es) * 2004-02-12 2008-07-16 Tae Woong Byeon Persianas para regular la iluminacion.
KR100875633B1 (ko) * 2008-06-16 2008-12-26 곽재석 원 코드 블라인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9869A (ja) 2001-03-21 2002-10-23 Teiwa Shu 横式板スダレ
JP2005336935A (ja) 2004-05-28 2005-12-08 Ryuzo Tsukamoto 水平遮蔽羽ブラインドの竿操作装置

Cited B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8583A3 (ko) * 2009-12-22 2011-11-17 (주)한국윈텍 블라인드 장치
KR101260918B1 (ko) 2009-12-22 2013-05-06 (주)한국윈텍 블라인드 장치
WO2011078583A2 (ko) * 2009-12-22 2011-06-30 (주)한국윈텍 블라인드 장치
KR101170246B1 (ko) 2010-07-14 2012-07-31 김정민 이중 블라인드원단 개폐장치
US9890583B2 (en) 2011-05-16 2018-02-13 Maxxmar Inc. Blind assembly with two blind head rail
KR101259614B1 (ko) 2012-02-16 2013-05-28 (주)한국윈텍 롤 블라인드
WO2013122399A1 (ko) * 2012-02-16 2013-08-22 (주)한국윈텍 롤 블라인드
CN104168800A (zh) * 2012-03-10 2014-11-26 杭州万事达装饰用品有限公司 隔断帘的悬挂装置
KR20140064672A (ko) * 2012-11-19 2014-05-28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공동 작용하는 베인 세트를 구비하는 건축물 개방부용 덮개
KR102256759B1 (ko) 2012-11-19 2021-05-26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공동 작용하는 베인 세트를 구비하는 건축물 개방부용 덮개
KR20200070180A (ko) * 2012-11-19 2020-06-17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공동 작용하는 베인 세트를 구비하는 건축물 개방부용 덮개
KR102123096B1 (ko) * 2012-11-19 2020-06-15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공동 작용하는 베인 세트를 구비하는 건축물 개방부용 덮개
US9963935B2 (en) 2013-03-15 2018-05-08 Hunter Douglas Inc. Position lock for roller supported architectural coverings
KR102231826B1 (ko) * 2013-03-15 2021-03-24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US9328555B2 (en) 2013-03-15 2016-05-03 Hunter Douglas Inc.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US10975620B2 (en) 2013-03-15 2021-04-13 Hunter Douglas, Inc. Position lock for roller supported architectural coverings
KR20140113586A (ko) * 2013-03-15 2014-09-24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US9260914B2 (en) 2013-03-15 2016-02-16 Hunter Douglas Inc.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US9840867B2 (en) 2013-08-19 2017-12-12 Comfortex Window Fashions Cordless fabric venetian window shade assembly
US9410366B2 (en) 2013-08-27 2016-08-09 Comfortex Window Fashions Device for adjusting fabric angle of double fabric blinds
CN105531437B (zh) * 2013-08-27 2018-03-27 康弗泰时尚门窗公司 用于调节双层织物帘的织物角度的装置
US10208537B2 (en) 2013-08-27 2019-02-19 Comfortex Window Fashions Device for adjusting fabric angle of double fabric blinds
CN105531437A (zh) * 2013-08-27 2016-04-27 康弗泰时尚门窗公司 用于调节双层织物帘的织物角度的装置
WO2015031329A1 (en) 2013-08-27 2015-03-05 Comfortex Window Fashions Device for adjusting fabric angle of double fabric blinds
WO2015126070A1 (ko) * 2014-02-18 2015-08-27 안은로 채광조절이 가능한 롤블라인드
KR101647483B1 (ko) 2014-05-16 2016-08-23 (주)한국윈텍 롤 블라인드
KR20150131750A (ko) * 2014-05-16 2015-11-25 (주)한국윈텍 롤 블라인드
KR200478992Y1 (ko) 2015-09-14 2015-12-07 최승영 롤 스크린 감속장치
KR101706890B1 (ko) 2016-04-29 2017-02-16 주식회사 도매클럽 블라인드 장치
KR101950588B1 (ko) 2016-06-17 2019-02-20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창문 차양
KR20170142900A (ko) * 2016-06-17 2017-12-28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창문 차양
US10443302B2 (en) 2016-07-06 2019-10-15 Teh Yor Co., Ltd. Window shade
KR101957027B1 (ko) * 2016-07-06 2019-03-11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창문 가리개
KR20180005605A (ko) * 2016-07-06 2018-01-16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창문 가리개
US12163375B2 (en) 2019-03-06 2024-12-10 Comfortex Corporation Bottom rail for double panel window shading and method to operat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0325435A1 (en) 2012-07-19
US8327906B2 (en) 2012-12-11
US20120222828A1 (en) 2012-09-06
WO2011065626A1 (ko) 201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3408B1 (ko) 이중원단의 각도를 조절하는 블라인드
KR101359513B1 (ko) 이중원단 블라인드의 원단 각도 조절장치
CN101641488B (zh) 一种用于建筑物开口的可收缩的覆盖物
US20230138944A1 (en) Cordless retractable roller shade for window coverings
EP1728963B1 (en) Control system for architectural coverings with reversible drive and single operating element
US20070227677A1 (en) Cordless window covering
US11643875B2 (en) Semi-rigid chain assembly
CN102198787A (zh) 车辆的卷起式遮阳装置
US9217281B2 (en) Light adjusting roller blind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the same
US10415305B2 (en) Window shade
CN104302861A (zh) 具有抗衡装置的卷帘
US8312912B2 (en) Sunshade assembly having a clutch unit
US6758256B1 (en) Louvered arch mechanism
US11686152B2 (en) Manual window treatment having a floating chain tensioner
CA3040927C (en) Window shade
KR20110139082A (ko) 이중원단의 각도를 조절하는 블라인드의 회전관 구조
US6805186B1 (en) Window blind assembly having a detachable control system
US20050236117A1 (en) Sun screen device with a flexible screen body that can be arbitrarily adjusted
KR102257535B1 (ko) 줄 없는 이중 블라인드의 원단 및 하단 회전봉 휘어짐 방지장치
KR100815924B1 (ko) 한 줄로 승 하강이 가능한 롤 스크린 블라인드
KR101865370B1 (ko) 이중 블라인드 시트의 각도조절 개폐장치
KR20170139478A (ko) 블라인드 가동줄용 무게추 겸용 안전 손잡이
CN205858155U (zh) 柔纱帘装置
KR101890180B1 (ko) 블라인드 가동줄용 무게추 겸용 안전 손잡이
JP6062881B2 (ja) 巻取式スクリー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3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0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