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16740A - 케이블 커넥터 - Google Patents

케이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6740A
KR20160016740A KR1020157017145A KR20157017145A KR20160016740A KR 20160016740 A KR20160016740 A KR 20160016740A KR 1020157017145 A KR1020157017145 A KR 1020157017145A KR 20157017145 A KR20157017145 A KR 20157017145A KR 20160016740 A KR20160016740 A KR 20160016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transmission
receiving
cable connector
cab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7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6934B1 (ko
Inventor
도널드 티 트란
제프리 리
가우라브 차우라
Original Assignee
인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016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6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93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3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cables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1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for shielded multiconductor cable
    • H01R13/65915Twisted pair of conductors surrounded by shie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 H01R13/6593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the shield being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4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shield being mounted on a PCB and connected to conductive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1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for shielded multiconductor cable
    • H01R13/65918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for shielded multiconductor cable wherein each conductor is individually surrounded by shield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복수의 전도성 패드 및 적어도 하나의 접지 패드를 갖는 기판을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 케이블 커넥터는 제 1 도체 및 제 2 도체, 제 1 도체를 둘러싸는 제 1 절연체, 및 제 2 도체를 둘러싸는 제 2 절연체를 포함하는 트윈 액시얼 케이블을 추가로 포함한다. 트윈 액시얼 케이블은 제 1 및 제 2 절연체를 둘러싸는 접지 차폐물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 1 도체는 하나의 전도성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2 도체는 전도성 패드 중 다른 것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접지 차폐물은 접지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차폐 구조물이 기판에 장착되고, 접지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차폐 구조물은 캡, 및 캡으로부터 기판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측벽을 포함한다. 트윈 액시얼 케이블은 측벽 사이에 위치된다.

Description

케이블 커넥터{CABLE CONNECTOR}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케이블 커넥터(cable connector)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종래의 고속 케이블은 케이블로부터 커넥터로의 전이(transition)를 행하기 위해 인터넷 패들 카드(internet paddle card)(인터포저(interposer)로 또한 지칭됨)를 사용한다. 패들 카드는 보통 케이블 납땜을 수용하기 위해 일 단부 상에 패드를 갖는 PCB 기판이다. 패들 카드의 다른 단부는 다른 커넥터(예를 들어, QFSP 커넥터, SAS 커넥터, CFP 커넥터)와의 정합(mating)을 위한, 골드-핑거(gold-finger) 또는 접점과 같은, 전기 단자를 갖는다.
대부분의 종래의 케이블 커넥터는 15 Gbps 미만의 데이터 전송 속도에 대해서는 만족스럽지만, 15 Gbps 초과의 임의의 전송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케이블 커넥터(1)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커넥터(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선 3-3을 따라 취한,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의 케이블 커넥터(1)는 PCB 또는 FCB 기판일 수 있는 패들 카드(3) 상에 납땜된 케이블(2A, 2B, 2C)을 포함한다. 케이블(2A, 2B, 2C)의 단부(4A, 4B, 4C)는 벗겨져서 도체(5A, 5B, 5C), 절연체(6A, 6B, 6C), 및 접지 차폐물(ground shield)(7A, 7B, 7C)을 노출시킨다. 도체(5A, 5B, 5C)는 신호 패드(8A, 8B, 8C) 상에 납땜되고, 접지 차폐물(7A, 7B, 7C)은 접지 패드(9) 상에 납땜된다.
3개의 케이블(2A, 2B, 2C)만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지만, 임의의 개수 및 유형의 케이블이 전형적으로 종래 기술의 케이블 커넥터(1)에 포함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예로서, 케이블의 총 개수는 짝수개의 케이블일 수 있어서, 케이블 중 절반은 전송 케이블이고 케이블 중 다른 절반은 수신 케이블이다.
종래 기술의 케이블 커넥터(1)에 관한 결점 중 하나는, 접지 차폐물(7A, 7B, 7C)과 도체(5A, 5B, 5C) 사이에 차폐되지 않은 섹션(S)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비차폐 섹션(S)(도 2 참조)의 임피던스는 잘 제어되지 않으며, 이는 원치 않는 임피던스의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임피던스 불연속은 복귀 손실(return loss) 및 삽입 손실(insertion loss)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복귀 손실은 신호 반사를 방지하기 위해 임피던스 정합을 통해 최소화되어야 하고, 삽입 손실이 또한 케이블-대-보드 인터페이스를 통한 적절한 신호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 최소화되어야 한다. 이상적으로,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전기적으로 투명하게 보여야 하고, 신호가 변동 없이 통과하도록 허용하여야 한다. 적절하게 설계된 접지 구조물이 복귀 및 삽입 손실을 낮추도록 필요한 임피던스 조정을 제공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케이블 커넥터(1)에 관한 다른 결점은 인접 케이블(2A, 2B, 2C) 사이의 차폐의 결여이다. 적절한 접지 차폐가 없이는, 하나의 차동 쌍으로부터의 시그널링(signaling)이 크로스토크(crosstalk)의 형태로 인접 쌍 내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는 신호 무결성(signal integrity)에 매우 해로울 수 있다. 이상적으로, 각각의 차동 쌍으로부터의 시그널링은 그것의 이웃 쌍으로부터 완전히 격리되어야 한다. 전술된 접지 구조물 설계 제안이 또한 크로스토크를 최소화함에 있어서 제 2 목적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는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고, 이 케이블 커넥터는, 복수의 전도성 패드 및 적어도 하나의 접지 패드를 포함하는 기판; 도체, 상기 도체를 둘러싸는 절연체, 및 상기 절연체를 둘러싸는 접지 차폐물(ground shield)을 포함하는 전송 케이블로서, 상기 도체는 상기 전도성 패드 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접지 차폐물은 상기 접지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전송 케이블; 도체, 상기 도체를 둘러싸는 절연체, 및 상기 절연체를 둘러싸는 접지 차폐물을 포함하는 수신 케이블로서, 상기 도체는 상기 전도성 패드 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접지 차폐물은 상기 접지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수신 케이블; 및 상기 기판에 장착되고 상기 접지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차폐 구조물(shielding structure)로서, 상기 차폐 구조물은 캡(cap), 및 상기 캡으로부터 상기 기판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 및 수신 케이블 각각은 상이한 쌍의 측벽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차폐 구조물을 포함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케이블 커넥터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커넥터의 측면도,
도 3은 선 3-3을 따라 취한,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커넥터의 단면도,
도 4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케이블 커넥터에 차폐 구조물(shielding structure)을 포함시키는 효과를 도시하는 도면,
도 5a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케이블 커넥터 중 일부에 대한 개선된 복귀 손실을 도시하는 도면,
도 5b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케이블 커넥터 중 일부에 대한 개선된 삽입 손실을 도시하는 도면,
도 5c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케이블 커넥터 중 일부에 대한 개선된 근단 크로스토크(near-end crosstalk)(NEXT)를 도시하는 도면,
도 5d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케이블 커넥터 중 일부에 대한 개선된 원단 크로스토크(far-end crosstalk)(FEXT)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예시적인 케이블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예시적인 케이블 커넥터의 조립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예시적인 케이블 커넥터에 사용될 수 있는 대안적인 차폐 구조물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다른 예시적인 케이블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예시적인 케이블 커넥터의 조립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예시적인 케이블 커넥터에 사용될 수 있는 대안적인 차폐 구조물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예시적인 케이블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예시적인 케이블 커넥터의 조립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예시적인 케이블 커넥터에 사용될 수 있는 대안적인 차폐 구조물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예시적인 케이블 커넥터의 개략 측면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예시적인 케이블 커넥터에 사용될 수 있는 대안적인 차폐 구조물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대안적인 차폐 구조물의 상이한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대안적인 차폐 구조물의 상이한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
하기의 설명 및 도면은 당업자가 구체적인 실시예를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예를 충분히 예시한다. 다른 실시예는 구조적, 논리적, 전기적, 프로세스, 및 다른 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의 부분 및 특징부가 다른 실시예의 것에 포함되거나 그것을 대신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실시예는 그 특허청구범위의 모든 이용가능한 등가물을 포괄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수평"과 같은, 배향 용어는 웨이퍼 또는 기판의 배향과 무관하게, 웨이퍼 또는 기판의 전통적인 평면 또는 표면에 평행한 평면에 관하여 정의된다. 용어 "수직"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수평에 수직인 방향을 말한다. 전치사, 예를 들어 "~ 상의", ("측벽"에서와 같이) "측", "더 높은", "더 낮은", "위", 및 "아래"는, 웨이퍼 또는 기판의 배향과 무관하게, 웨이퍼 또는 기판의 상부 표면 상에 있는 전통적인 평면 또는 표면에 관하여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케이블 커넥터는 종래의 케이블 커넥터에 존재하는 비차폐 와이어 부분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케이블 커넥터는 케이블 땜납 접합부 영역 위에 차폐 구조물을 포함한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케이블 커넥터에 차폐 구조물을 포함시키는 효과를 도시한다. 도 4는 간단한 차폐 구조물 및 더 복잡한 차폐 구조물을 예시한다.
간단한 차폐 구조물을 사용하여 임피던스 상승이 118 옴으로부터 109 옴으로 감소될 수 있고, 복잡한 차폐 구조물을 사용하여 임피던스 상승이 118 옴으로부터 94 옴으로 감소될 수 있다. 94 옴이 85 옴의 이상적인 상태에 훨씬 더 가깝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도 5a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케이블 커넥터 중 일부에 대한 개선된 복귀 손실을 도시한다. 복귀 손실(RL)은 -10 dB만큼 개선되었다.
도 5b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케이블 커넥터 중 일부에 대한 개선된 삽입 손실을 도시한다. 삽입 손실(IL)은 -0.5 dB로부터 -0.1 dB로 개선되었다.
도 5c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케이블 커넥터 중 일부에 대한 개선된 근단 크로스토크(NEXT)를 도시한다. 근단 크로스토크(NEXT)는 -30 dB만큼 개선되었다.
도 5d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케이블 커넥터 중 일부에 대한 개선된 원단 크로스토크(FEXT)를 도시한다. 원단 크로스토크(FEXT)는 -25 dB만큼 개선되었다.
종래의 케이블 커넥터는 전형적으로 땜납 접합부에서 어떠한 차폐도 포함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그러한 차폐가 더 느린 속도(<15 Gbps)에서 작동하기 위해서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케이블 커넥터에서의 차폐 구조물은 더 높은 고속(>25 Gbps)에서의 작동을 허용할 수 있다.
도 6은 예시적인 케이블 커넥터(1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예시적인 케이블 커넥터(10)의 조립 사시도를 도시한다.
케이블 커넥터(10)는 복수의 전도성 패드(12) 및 적어도 하나의 접지 패드(13)를 갖는 기판(11)을 포함한다(도 6). 케이블 커넥터(10)는 도체(15A), 도체(15A)를 둘러싸는 절연체(16A), 및 절연체(16A)를 둘러싸는 접지 차폐물(17A)을 포함하는 전송 케이블(14A)을 추가로 포함한다. 도체(15A)는 전도성 패드(12) 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접지 차폐물(17A)은 접지 패드(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외측 재킷(jacket)이 접지 차폐물(17A)을 덮는다.
케이블 커넥터(10)는 도체(15B), 도체(15B)를 둘러싸는 절연체(16B), 및 절연체를 둘러싸는 접지 차폐물(17B)을 포함하는 수신 케이블(14B)을 추가로 포함한다. 도체(15B)는 전도성 패드 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접지 차폐물(17B)은 접지 패드(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외측 재킷이 접지 차폐물(17B)을 덮는다.
케이블 커넥터(10)는, 기판(11)에 장착되고 접지 패드(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차폐 구조물(19)을 추가로 포함한다. 차폐 구조물(19)은 캡(cap)(20), 및 캡(20)으로부터 기판(11)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측벽(21A, 21B, 21C)을 포함한다. 전송 및 수신 케이블(14A, 14B) 각각은 상이한 쌍의 측벽(21A, 21B, 21C) 사이에 위치된다.
도 8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예시적인 케이블 커넥터에 사용될 수 있는 대안적인 차폐 구조물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전송 및 수신 케이블(14A, 14B)의 절연체(16A, 16B)는 각각, 각자의 접지 차폐물(17A, 17B)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된 각자의 섹션(22A, 22B)(도 6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차폐 구조물(19)은 한 쌍의 터널형 커버(23A, 23B)를 포함한다. 각각의 터널형 커버(23A, 23B)는 상이한 쌍의 측벽(21A, 21B, 21C) 사이에서 연장되고, 절연체(16A, 16B) 중 하나의 절연체의 노출된 섹션(22A, 22B)을 덮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 및 수신 케이블(14A, 14B)의 도체(15A, 15B)는 각각, 각자의 절연체(16A, 16B)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된 제 1 부분(24A, 24B) 및 제 2 부분(25A, 25B)을 포함한다. 각각의 도체(15A, 15B)의 제 2 부분(25A, 25B)은 전도성 패드(12) 중 상이한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차폐 구조물(19)의 터널형 커버(23A, 23B)는 각각의 도체(15A, 15B)의 노출된 제 2 부분(25A, 25B)을 덮지 않고 각각의 도체(15A, 15B)의 노출된 제 1 부분(24A, 24B)을 덮는다.
케이블 커넥터(10)의 일부 형태에서, 차폐 구조물(19)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터널형 커버(23A, 23B)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덮일 수 있다. 케이블 커넥터(10)의 다른 형태에서, 차폐 구조물(19) 전체가 전기 전도성 재료로 덮일 수 있거나, 전도성 재료 그 자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전기 전도성 재료가 현재 알려져 있거나 미래에 발견되는 임의의 접합 방법에 의해 지지 구조물(19)에 부착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로서, 차폐 구조물(19)은 임의의 납땜 기술에 의해 대응 기판(11) 상의 접지 패드(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기 전도성 재료가 지지 구조물(19)(또는 지지 구조물의 부분)에 접합되는 방식은 (다른 요인 중에서도) 케이블 커넥터(10)를 제작하는 것과 관련된 비용, 제조 고려사항 및 기능성에 부분적으로 좌우될 것이다. 또한, 전기 전도성 재료 및 지지 구조물(19)에 대해 사용되는 재료의 유형은 (다른 요인 중에서도) 케이블 커넥터(10)를 제작하는 것과 관련된 비용, 제조 고려사항 및 기능성에 부분적으로 좌우될 것이다.
일부 형태에서, 차폐 구조물(19)을 기판(11)에 납땜하는 것이 도체 땜납 접합부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을 보장하기 위해, 상이한 용융점 온도의 땜납 유형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차폐 구조물(19)은 페이스트-프린팅(paste-printing), 관통-구멍 장착에 의해 또는 전기 전도성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접지 패드(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9는 다른 예시적인 케이블 커넥터(3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예시적인 케이블 커넥터(30)의 조립 사시도를 도시한다.
케이블 커넥터(30)는 복수의 전도성 패드(32) 및 적어도 하나의 접지 패드(33)를 갖는 기판(31)을 포함한다(도 9). 케이블 커넥터(30)는 제 1 도체(35A) 및 제 2 도체(35B)를 포함하는 트윈 액시얼 케이블(twin axial cable)(34)을 추가로 포함한다.
트윈 액시얼 케이블(34)은 제 1 도체(35A)를 둘러싸는 제 1 절연체(36A), 및 제 2 도체(35B)를 둘러싸는 제 2 절연체(36)를 추가로 포함한다. 트윈 액시얼 케이블(34)은 제 1 절연체(36A) 및 제 2 절연체(36B)를 둘러싸는 접지 차폐물(37)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도체(35A, 35B)를 덮어 분리시키는 단일 절연체에 의해 제 1 절연체(36A) 및 제 2 절연체(36B)가 대체되는 케이블 커넥터(30)의 형태가 고려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제 1 도체(35A)는 전도성 패드(32) 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2 도체(35B)는 전도성 패드(32) 중 다른 것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접지 차폐물(37)은 접지 패드(3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케이블 커넥터(30)는, 기판(31)에 장착되고 접지 패드(3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차폐 구조물(39)을 추가로 포함한다. 차폐 구조물(39)은 캡(40), 및 캡(40)으로부터 기판(31)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측벽(41A, 41B)을 포함한다. 트윈 액시얼 케이블(34)은 측벽(41A, 41B) 사이에 위치된다.
도 11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예시적인 케이블 커넥터에 사용될 수 있는 대안적인 차폐 구조물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트윈 액시얼 케이블(34)의 절연체(36A, 36B)는 각각, 각자의 접지 차폐물(37)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된 각자의 섹션(42A, 42B)(도 9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차폐 구조물(39)은 터널형 커버(43A, 43B)를 포함한다. 터널형 커버(43A, 43B)는 측벽(41A, 41B) 사이에서 연장되고, 절연체(36A, 36B)의 노출된 섹션(42A, 42B)을 덮는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윈 액시얼 케이블(34)의 도체(35A, 35B)는 각각, 각자의 절연체(36A, 36B)로부터 각각 부분적으로 노출된 제 1 부분(44A, 44B) 및 제 2 부분(45A, 45B)을 포함한다. 각각의 도체(35A, 35B)의 제 2 부분(45A, 45B)은 전도성 패드(32) 중 상이한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차폐 구조물(39)의 터널형 커버(43A, 43B)는 각각의 도체(35A, 35B)의 노출된 제 2 부분(45A, 45B)을 덮지 않고 각각의 도체(35A, 35B)의 노출된 제 1 부분(44A, 44B)을 덮는다.
케이블 커넥터(30)의 일부 형태에서, 지지 구조물(39)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터널형 커버(43A, 43B)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덮일 수 있다. 케이블 커넥터(30)의 다른 형태에서, 지지 구조물(39) 전체가 전기 전도성 재료로 덮일 수 있거나, 전기 전도성 재료 그 자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전기 전도성 재료가 현재 알려져 있거나 미래에 발견되는 임의의 접합 방법에 의해 지지 구조물(39)에 부착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전기 전도성 재료가 지지 구조물(39)(또는 지지 구조물의 부분)에 접합되는 방식은 (다른 요인 중에서도) 케이블 커넥터(30)를 제작하는 것과 관련된 비용, 제조 고려사항 및 기능성에 부분적으로 좌우될 것이다. 또한, 전기 전도성 재료 및 지지 구조물(39)에 대해 사용되는 재료의 유형은 (다른 요인 중에서도) 케이블 커넥터(30)를 제작하는 것과 관련된 비용, 제조 고려사항 및 기능성에 부분적으로 좌우될 것이다.
차폐 구조물(39)은 임의의 납땜 기술에 의해 대응 기판(31) 상의 접지 패드(3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차폐 구조물(39)을 기판(31)에 납땜하는 것이 도체 땜납 접합부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을 보장하기 위해, 상이한 용융점 온도의 땜납 유형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차폐 구조물(39)은 페이스트-프린팅, 관통-구멍 장착에 의해 또는 전기 전도성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접지 패드(3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2는 다른 예시적인 케이블 커넥터(5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예시적인 케이블 커넥터(50)의 조립 사시도를 도시한다.
케이블 커넥터(50)는 복수의 전도성 패드(52) 및 적어도 하나의 접지 패드(53)를 갖는 기판(51)을 포함한다(도 12). 케이블 커넥터(50)는 제 1 도체(55A) 및 제 2 도체(55B)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트윈 전송 액시얼 케이블(54A, 54C)을 추가로 포함한다.
각각의 트윈 전송 액시얼 케이블(54A, 54C)은 제 1 도체(55A)를 둘러싸는 제 1 절연체(56A), 및 제 2 도체(55B)를 둘러싸는 제 2 절연체(56B)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도체(55A, 55B)를 덮어 분리시키는 단일 절연체에 의해 제 1 절연체(56A) 및 제 2 절연체(56B)가 대체되는 케이블 커넥터(50)의 형태가 고려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각각의 트윈 전송 액시얼 케이블(54A, 54C)은 각자의 제 1 및 제 2 절연체(56A, 56B)를 둘러싸는 각자의 접지 차폐물(57)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 1 도체(55A)는 각각 전도성 패드(52) 중 상이한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2 도체(55B)는 각각 다른 상이한 전도성 패드(5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접지 차폐물(57)은 각각 접지 패드(5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케이블 커넥터(50)는 제 1 도체(55C) 및 제 2 도체(55D)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트윈 수신 액시얼 케이블(54B, 54D)을 추가로 포함한다. 각각의 트윈 수신 액시얼 케이블(54B, 54D)은 제 1 도체(55C)를 둘러싸는 제 1 절연체(56C), 및 제 2 도체(55D)를 둘러싸는 제 2 절연체(56D)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도체(55C, 55D)를 덮어 분리시키는 단일 절연체에 의해 제 1 절연체(56C) 및 제 2 절연체(56D)가 대체되는 케이블 커넥터(50)의 형태가 고려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각각의 트윈 수신 액시얼 케이블(54B, 54D)은 각자의 제 1 및 제 2 절연체(56C, 56D)를 둘러싸는 각자의 접지 차폐물(57)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 1 도체(55C)는 각각 전도성 패드(52) 중 상이한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2 도체(55D)는 각각 다른 상이한 전도성 패드(5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접지 차폐물(57)은 각각 접지 패드(5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케이블 커넥터(50)는, 기판(51)에 장착되고 접지 패드(5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차폐 구조물(59)을 추가로 포함한다. 차폐 구조물(59)은 캡(60), 및 캡(60)으로부터 기판(51)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측벽(61A, 61B, 61C, 61D, 61E)을 포함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트윈 전송 액시얼 케이블(51A, 51B) 및 각각의 트윈 수신 액시얼 케이블(51C, 51D)은 상이한 쌍의 측벽(61A, 61B, 61C, 61D, 61E) 사이에 위치된다. 케이블 커넥터(50)의 일부 예시적인 형태에서, 각각의 트윈 전송 액시얼 케이블(51A, 51B)은 적어도 하나의 트윈 수신 액시얼 케이블(51C, 51D)에 인접해 있고, 각각의 트윈 수신 액시얼 케이블(51C, 51D)은 적어도 하나의 트윈 전송 액시얼 케이블(51A, 51B)에 인접해 있다.
도 14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예시적인 케이블 커넥터(50)에 사용될 수 있는 대안적인 차폐 구조물(59)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트윈 전송 및 수신 액시얼 케이블(54A, 54B, 54C, 54D)의 절연체(56A, 56B)는 각각, 각자의 접지 차폐물(57)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된 각자의 섹션(62A, 62B, 62C, 62D)(도 12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차폐 구조물(59)은 복수의 커버(63A, 63B, 63C, 63D)를 포함한다. 커버(63A, 63B, 63C, 63D) 각각은 상이한 쌍의 측벽(61A, 61B, 61C, 61D, 61E) 사이에서 연장되고, 절연체(56A, 56B) 중 하나의 절연체의 각자의 노출된 섹션(62A, 62B, 62C, 62D)을 덮는다.
커버(63A, 63B, 63C, 63D) 각각은 대응하는 제 1 전송 또는 수신 절연체(56A)의 각자의 노출된 섹션(62A, 62B, 62C, 62D)을 덮는 제 1 터널형 세그먼트(segment), 및 대응하는 제 2 전송 또는 수신 절연체(56)의 각자의 노출된 섹션(62A, 62B, 62C, 62D)을 덮는 복수의 제 2 터널형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트윈 전송 액시얼 케이블(54A, 54B)의 도체(55A, 55B) 및 각각의 수신 액시얼 케이블(54C, 54D)의 도체(55C, 55D)는 각자의 절연체(56A, 56B)로부터 각각 부분적으로 노출된 제 1 부분(64A, 64B) 및 제 2 부분(65A, 65B)을 포함한다. 각각의 도체(55A, 55B)의 제 2 부분(65A, 65B)은 전도성 패드(52) 중 상이한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차폐 구조물(59)의 제 1 및 제 2 터널형 세그먼트는 각각의 도체(55A, 55B 55C, 55D)의 노출된 제 2 부분(65A, 65B)을 덮지 않고 각각의 도체(55A, 55B, 55C, 55D)의 노출된 제 1 부분(64A, 64B)을 덮는다.
제 1 터널형 세그먼트 각각은 각자의 제 1 전송 또는 제 1 수신 절연체(56A)를 덮는 수평 피스(piece), 및 제 1 전송 또는 제 1 수신 도체(55A, 55C)의 노출된 제 1 부분(64A)을 덮는 경사진 피스(angled piece)를 포함한다. 또한, 제 2 터널형 세그먼트 각각은 각자의 제 2 전송 또는 제 2 수신 절연체(56B)를 덮는 수평 피스, 및 각자의 제 2 전송 또는 제 2 수신 도체(55B, 55D)의 노출된 제 1 부분(64B)을 덮는 경사진 피스를 포함한다.
케이블 커넥터(50)의 일부 형태에서, 지지 구조물(59)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고, 커버(60)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덮일 수 있다. 케이블 커넥터(50)의 다른 형태에서, 지지 구조물(59) 전체가 전기 전도성 재료로 덮일 수 있거나, 전기 전도성 재료 그 자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전기 전도성 재료가 현재 알려져 있거나 미래에 발견되는 임의의 접합 방법에 의해 지지 구조물(59)에 부착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전기 전도성 재료가 지지 구조물(59)(또는 지지 구조물의 부분)에 접합되는 방식은 (다른 요인 중에서도) 케이블 커넥터(50)를 제작하는 것과 관련된 비용, 제조 고려사항 및 기능성에 부분적으로 좌우될 것이다. 또한, 전기 전도성 재료 및 지지 구조물(59)에 대해 사용되는 재료의 유형은 (다른 요인 중에서도) 케이블 커넥터(50)를 제작하는 것과 관련된 비용, 제조 고려사항 및 기능성에 부분적으로 좌우될 것이다.
차폐 구조물(59)은 임의의 납땜 기술에 의해 대응 기판(51) 상의 접지 패드(5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차폐 구조물(59)을 기판(51)에 납땜하는 것이 도체 땜납 접합부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을 보장하기 위해, 상이한 용융점 온도의 땜납 유형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차폐 구조물(59)은 페이스트-프린팅, 관통-구멍 장착에 의해 또는 전기 전도성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접지 패드(5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예시적인 케이블 커넥터(50)의 개략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5의 고속 전기 커넥터(50)를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설명하면, 고속 전기 커넥터(50)는 각각의 도체(55A, 55B, 55C, 55D)의 노출된 제 2 부분(65A, 65B)과 주위의 차폐 구조물(59) 사이의 간격을 최대화할 수 있는 중공 섹션(hollow section)(69)을 포함한다.
각각의 도체(55A, 55B, 55C, 55D)의 노출된 제 2 부분(65A, 65B)과 주위의 차폐 구조물(59) 사이의 간격을 최대화하는 것은 이러한 영역에서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를 최소화할 수 있고, 각각의 트윈 전송 액시얼 케이블(54A, 54C)과 각각의 트윈 수신 액시얼 케이블(54B, 54D) 사이의 크로스토크를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측벽(61A, 61B, 61C, 61D, 61E)이 차폐되는 경우에, 측벽(61A, 61B, 61C, 61D, 61E)은 각각의 트윈 전송 액시얼 케이블(54A, 54C)과 각각의 트윈 수신 액시얼 케이블(54B, 54D) 사이의 크로스토크를 추가로 완화시킬 수 있다.
이제 전도성 패드(52)의 우측으로 설명하면, 각각의 도체(55A, 55B, 55C, 55D)가 기판(51) 내에 있는 접지 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올라감에 따라, 신호-대-접지 커패시턴스가 크게 감소될 수 있다. 기판(51) 내에 있는 접지 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의, 각각의 도체(55A, 55B, 55C, 55D)의 이러한 변동은 임피던스의 상승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임피던스 불연속은 차폐 구조물(59)이 각각의 도체(55A, 55B, 55C, 55D)의 노출된 제 1 섹션(64A, 64B)에 더 가깝도록 차폐 구조물(59)을 성형함으로써 더 잘 조정될 수 있다.
일단 각각의 도체(55A, 55B, 55C, 55D)가 접지 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의 경사짐(angling)을 중지하면, 각각의 도체(55A, 55B, 55C, 55D)는 편평하게 된다(즉, 기판(51)에 평행함). 각각의 도체(55A, 55B, 55C, 55D)의 이러한 편평화는 각각의 도체(55A, 55B, 55C, 55D)가 각자의 절연체(56A, 56B)로 덮이는 것과 일치한다. 차폐 구조물(59)의 커버(60)가 또한 절연체(56A, 56B)에 가까워지기 위해 편평하게 된다.
도 15에 도시된 케이블 커넥터(50)의 가장 먼 우측에서, 차폐 구조물(59)이 넓어진다. 차폐 구조물(59)은 각각의 트윈 전송 액시얼 케이블(54A, 54B) 및 각각의 트윈 수신 액시얼 케이블(54C, 54D)의 접지 차폐물(57)을 기판(51)의 접지 패드(53)에 납땜하는 것에 부응하기 위해 넓어진다.
차폐 구조물(59)은 그러한 가변 형상 벽 구조물을 제작하기 위해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로서, 차폐 구조물(59)은 플라스틱(예를 들어, 전도성 액정 고분자, 이하 LCP)으로부터 성형되고 이어서 차폐 구조물(59) 표면 중 일부(또는 전부) 상에 금속-도금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차폐 구조물(59)은 기계가공 및/또는 다이-캐스팅되고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은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예시적인 케이블 커넥터(50)에 사용될 수 있는 대안적인 차폐 구조물(59)의 상이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차폐 구조물(59)의 예시적인 형태에서, 차폐 구조물 내의 복수의 측벽은 내측 측벽(61B, 61C, 61D) 및 외측 측벽(61A, 61E)을 포함한다. 내측 측벽(61B, 61C, 61D)은 외측 측벽(61A, 61E)보다 두껍다. 케이블 커넥터(50)에 포함되는 내측 측벽(61B, 61C, 61D)과 외측 측벽(61A, 61E)의 상대적 크기 및 구성은 케이블 커넥터(50)의 전체적인 요구되는 구성 및 기능에 부분적으로 좌우될 것이다.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차폐 구조물(59)의 예시적인 형태에서, 캡(60)은 이 캡(60)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측벽(61A, 61B, 61C, 61D, 61E)보다 길다. 캡(60)은 각각의 전송 및 수신 액시얼 케이블(54A, 54B, 54C, 54D)의 접지 차폐물에 대한 적절한 전기 전도율을 보장하는 것을 돕기 위해 트윈 전송 및 수신 액시얼 케이블(54A, 54B, 54C, 54D)(도 16 내지 도 18에는 도시되지 않음) 각각 위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케이블 커넥터 및 장치를 더 잘 예시하기 위해, 비제한적인 실시예 목록이 여기에 제공된다:
예 1은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한다. 케이블 커넥터는 복수의 전도성 패드 및 적어도 하나의 접지 패드를 포함하는 기판; 도체, 도체를 둘러싸는 절연체, 및 절연체를 둘러싸는 접지 차폐물을 포함하는 전송 케이블로서, 도체는 전도성 패드 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접지 차폐물은 접지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전송 케이블; 도체, 도체를 둘러싸는 절연체, 및 절연체를 둘러싸는 접지 차폐물을 포함하는 수신 케이블로서, 도체는 전도성 패드 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접지 차폐물은 접지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수신 케이블; 및 기판에 장착되고 접지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차폐 구조물로서, 차폐 구조물은 캡, 및 캡으로부터 기판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측벽을 포함하고, 전송 및 수신 케이블 각각은 상이한 쌍의 측벽 사이에 위치된다.
예 2는, 전송 및 수신 케이블의 절연체는 각각 각자의 접지 차폐물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된 섹션을 포함하고, 차폐 구조물은 한 쌍의 터널형 커버를 포함하며, 각각의 터널형 커버는 상이한 쌍의 측벽 사이에서 연장되고, 절연체 중 상이한 하나의 절연체의 노출된 섹션을 덮는, 제 1 항의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한다.
예 3은, 전송 및 수신 케이블의 도체는 각각 각자의 절연체로부터 각각 부분적으로 노출된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차폐 구조물의 터널형 커버는 각각의 도체의 노출된 제 2 부분을 덮지 않고 각각의 도체의 노출된 제 1 부분을 덮는, 예 1 또는 예 2의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한다.
예 4는, 각각의 도체의 노출된 제 2 부분은 전도성 패드 중 상이한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예 1 내지 예 3 중 어느 한 예의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한다.
예 5는, 지지 구조물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터널형 커버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덮이는, 예 2 내지 예 4 중 어느 한 예의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한다.
예 6은, 지지 구조물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전기 전도성 재료로 덮이는, 예 1 내지 예 5 중 어느 한 예의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한다.
예 7은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한다. 케이블 커넥터는 복수의 전도성 패드 및 적어도 하나의 접지 패드를 포함하는 기판; 트윈 액시얼 케이블로서, 제 1 도체, 제 2 도체, 제 1 도체를 둘러싸는 제 1 절연체, 제 2 도체를 둘러싸는 제 2 절연체, 제 1 및 제 2 절연체를 둘러싸는 접지 차폐물, 및 접지 차폐물을 둘러싸는 외측 재킷을 포함하며, 제 1 및 제 2 도체는 각각 전도성 패드 중 상이한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접지 차폐물은 접지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트윈 액시얼 케이블; 및 기판에 장착되고 접지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차폐 구조물로서, 차폐 구조물은 캡, 및 캡으로부터 기판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측벽을 포함하고, 트윈 액시얼 케이블은 측벽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차폐 구조물을 포함한다.
예 8은, 제 1 및 제 2 절연체는 각각 접지 차폐물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된 섹션을 포함하고, 차폐 구조물은 2개의 측벽 사이에서 연장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커버는 제 1 절연체의 노출된 섹션을 덮는 제 1 터널형 세그먼트, 및 제 2 절연체의 노출된 섹션을 덮는 제 2 터널형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예 7의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한다.
예 9는, 제 1 및 제 2 도체는 각각 제 1 및 제 2 절연체 각각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된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포함하며, 제 1 터널형 세그먼트는 제 1 도체의 노출된 제 2 부분을 덮지 않고 제 1 도체의 노출된 제 1 부분을 덮고, 제 2 터널형 세그먼트는 제 2 도체의 노출된 제 2 부분을 덮지 않고 제 2 도체의 노출된 제 1 부분을 덮는, 예 7 또는 예 8의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한다.
예 10은, 제 1 터널형 세그먼트는 제 1 절연체를 덮는 수평 피스, 및 제 1 도체의 노출된 제 1 부분을 덮는 경사진 피스를 포함하고, 제 2 터널형 세그먼트는 제 2 절연체를 덮는 수평 피스, 및 제 2 도체의 노출된 제 1 부분을 덮는 경사진 피스를 포함하는, 예 7 내지 예 9 중 어느 한 예의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한다.
예 11은, 제 1 도체 및 제 2 도체 각각의 제 2 부분은 전도성 패드 중 상이한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예 7 내지 예 10 중 어느 한 예의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한다.
예 12는, 지지 구조물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제 1 및 제 2 터널형 세그먼트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덮이는, 예 9 내지 예 11 중 어느 한 예의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한다.
예 13은, 차폐 구조물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전기 전도성 재료로 덮이는, 예 7 내지 예 12 중 어느 한 예의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한다.
예 14는,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복수의 전도성 패드 및 적어도 하나의 접지 패드를 포함하는 기판; 복수의 트윈 전송 액시얼 케이블로서, 각각의 트윈 전송 액시얼 케이블은, 제 1 전송 도체, 제 2 전송 도체, 제 1 전송 도체를 둘러싸는 제 1 전송 절연체, 제 2 전송 도체를 둘러싸는 제 2 전송 절연체, 제 1 전송 절연체 및 제 2 전송 절연체를 둘러싸는 접지 차폐물, 접지 차폐물을 둘러싸는 외측 재킷을 포함하고, 각각의 트윈 전송 액시얼 케이블의 제 1 및 제 2 전송 도체는 전도성 패드 중 상이한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트윈 전송 액시얼 케이블의 접지 차폐물은 접지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트윈 전송 액시얼 케이블; 복수의 트윈 수신 액시얼 케이블로서, 각각의 트윈 수신 액시얼 케이블은, 제 1 수신 도체, 제 2 수신 도체, 제 1 수신 도체를 둘러싸는 제 1 수신 절연체, 제 2 수신 도체를 둘러싸는 제 2 수신 절연체, 제 1 수신 절연체 및 제 2 수신 절연체를 둘러싸는 접지 차폐물, 접지 차폐물을 둘러싸는 외측 재킷을 포함하고, 각각의 트윈 수신 액시얼 케이블의 제 1 및 제 2 수신 도체는 전도성 패드 중 상이한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트윈 수신 액시얼 케이블의 접지 차폐물은 접지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트윈 수신 액시얼 케이블; 및 기판에 장착되고 접지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차폐 구조물로서, 차폐 구조물은 캡, 및 캡으로부터 기판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측벽을 포함하고, 각각의 트윈 전송 액시얼 케이블 및 각각의 트윈 수신 액시얼 케이블은 상이한 쌍의 측벽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차폐 구조물을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한다.
예 15는, 각각의 트윈 전송 액시얼 케이블 및 각각의 트윈 수신 액시얼 케이블의 제 1 및 제 2 절연체는 각자의 트윈 전송 및 수신 액시얼 케이블 각각의 접지 차폐물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된 섹션을 포함하고, 차폐 구조물은 복수의 커버를 포함하며, 커버 각각은 상이한 쌍의 측벽 사이에서 연장되고, 트윈 전송 및 수신 액시얼 케이블 중 상이한 하나에 대해 각각의 제 1 절연체 및 각각의 제 2 절연체의 각자의 노출된 섹션을 덮는, 예 14의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한다.
예 16은, 커버 각각은 대응하는 제 1 전송 또는 수신 절연체의 각자의 노출된 섹션을 덮는 제 1 터널형 세그먼트, 및 대응하는 제 2 전송 또는 수신 절연체의 각자의 노출된 섹션을 덮는 제 2 터널형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예 14 또는 예 15의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한다.
예 17은, 각각의 트윈 전송 및 수신 액시얼 케이블의 제 1 및 제 2 도체는 각각의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전송 또는 수신 절연체로부터 각각 부분적으로 노출된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포함하며, 각각의 제 1 터널형 세그먼트는 각자의 제 1 전송 또는 제 1 수신 도체의 노출된 제 2 섹션을 덮지 않고 각자의 제 1 전송 또는 제 1 수신 도체의 노출된 제 1 부분을 덮고, 제 2 터널형 세그먼트는 각자의 제 2 전송 또는 제 2 수신 도체의 노출된 제 2 부분을 덮지 않고 각자의 제 2 전송 또는 제 2 수신 도체의 노출된 제 1 부분을 덮는, 예 14 내지 예 16 중 어느 한 예의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한다.
예 18은, 각각의 제 1 터널형 세그먼트는 각자의 제 1 전송 또는 제 1 수신 절연체를 덮는 수평 피스, 및 제 1 전송 또는 제 1 수신 도체의 노출된 제 1 부분을 덮는 경사진 피스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 2 터널형 세그먼트는 각자의 제 2 전송 또는 제 2 수신 절연체를 덮는 수평 피스, 및 각자의 제 2 전송 또는 제 2 수신 도체의 노출된 제 1 부분을 덮는 경사진 피스를 포함하는, 예 14 내지 예 17 중 어느 한 예의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한다.
예 19는, 각자의 트윈 전송 또는 수신 액시얼 케이블 각각 내의 제 1 및 제 2 전송 도체 및 제 1 및 제 2 수신 도체는 전도성 패드 중 상이한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예 15 내지 예 18 중 어느 한 예의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한다.
예 20은, 차폐 구조물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커버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덮이는, 예 14 내지 예 19 중 어느 한 예의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한다.
예 20은, 차폐 구조물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커버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덮이는, 예 14 내지 예 19 중 어느 한 예의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한다.
예 21은, 차폐 구조물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전기 전도성 재료로 덮이는, 예 14 내지 예 20 중 어느 한 예의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한다.
예 22는, 차폐 구조물은 접지 패드에 납땜되어 차폐 구조물을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예 14 내지 예 21 중 어느 한 예의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한다.
예 23은, 차폐 구조물 내의 복수의 측벽은 내측 측벽 및 외측 측벽을 포함하고, 내측 측벽은 외측 측벽보다 두꺼운, 예 14 내지 예 22 중 어느 한 예의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한다.
예 24는, 캡은 캡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측벽보다 긴, 예 14 내지 예 23 중 어느 한 예의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한다.
예 25는, 각각의 트윈 전송 액시얼 케이블은 적어도 하나의 트윈 수신 액시얼 케이블에 인접해 있고, 각각의 트윈 수신 액시얼 케이블은 적어도 하나의 트윈 전송 액시얼 케이블에 인접해 있는, 예 14 내지 예 24 중 어느 한 예의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한다.
본 전자 장치, 땜납 조성물, 및 관련 방법의 이들 및 다른 예와 특징이 상세한 설명에 부분적으로 기술될 것이다. 이러한 개관은 본 주제의 비제한적인 예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며, 배타적인 또는 총망라한 설명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상세한 설명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추가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케이블 커넥터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1900)의 예가, 본 발명에 대한 상위 계층 장치 응용의 예를 보여주기 위해 포함된다. 도 19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900)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전자 장치(1900)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는 전자 시스템의 일 예이다.
전자 장치(1900)의 예는 개인용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휴대 전화, 게임 장치, MP3 또는 다른 디지털 뮤직 플레이어 등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예에서, 전자 장치(1900)는 시스템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결합시키는 시스템 버스(1902)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시스템 버스(1902)는 전자 장치(1900)의 다양한 구성요소 사이의 통신 링크를 제공하며, 단일 버스로서, 버스의 조합으로서,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 패키지(1910)가 시스템 버스(1902)에 결합된다. 전자 패키지(1910)는 임의의 회로 또는 회로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패키지(1910)는 임의의 유형일 수 있는 프로세서(1912)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CISC(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ing) 마이크로프로세서,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ing) 마이크로프로세서, VLIW(very long instruction word) 마이크로프로세서, 그래픽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다중 코어 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프로세서 또는 처리 회로와 같은, 그러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유형의 계산 회로를 의미한다.
전자 패키지(1910)에 포함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회로는 커스텀 회로(custom circuit),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등, 이를테면 예를 들어, 휴대 전화, 태블릿 컴퓨터, 랩톱 컴퓨터, 양방향 라디오, 및 유사한 전자 시스템과 같은 무선 장치에서 사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통신 회로(1914))이다. IC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900)는 또한 외부 메모리(19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부 메모리는 이어서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의 형태의 메인 메모리(1922)와 같은, 특정 응용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요소, 하나 이상의 하드 드라이브(1924), 및/또는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k, CD), 플래시 메모리 카드,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k, DVD) 등과 같은 제거가능 매체(1926)를 취급하는 하나 이상의 드라이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900)는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916), 하나 이상의 스피커(1918), 및 키보드 및/또는 컨트롤러(1930) - 이는 마우스, 트랙볼, 터치 스크린, 음성-인식 장치, 또는 시스템 사용자가 전자 장치(1900)에 정보를 입력하고 그것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도록 허용하는 임의의 다른 장치를 포함할 수 있음 -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개관은 본 주제의 비제한적인 예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며, 배타적인 또는 총망라한 설명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상세한 설명은 방법에 관한 추가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포함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상세한 설명의 일부를 이루는 첨부 도면에 대한 참조를 포함한다. 도면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한다. 이들 실시예는 또한 본 명세서에서 "예"로 지칭된다. 그러한 예는 도시되거나 기술된 것 이외의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또한 도시되거나 기술된 이들 요소만이 제공되는 예를 고려한다. 더욱이, 본 발명자는 또한 특정 예(또는 그것의 하나 이상의 태양)에 관하여, 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되거나 도시된 다른 예(또는 그것의 하나 이상의 태양)에 관하여, 도시되거나 기술된 이들 요소(또는 그것의 하나 이상의 태양)의 임의의 조합 또는 순열을 사용하는 예를 고려한다.
본 문헌에서, 용어 "하나의(a 또는 an)"는, 특허 문헌에서 일반적인 것처럼, "적어도 하나의" 또는 "하나 이상의"의 임의의 다른 사례 또는 용법과는 독립적으로, 하나 또는 하나 초과를 포함하도록 사용된다. 본 문헌에서, 용어 "또는"은 비배타적인 것을 지칭하도록 사용되어서, "A 또는 B"는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A 그러나 B는 아님", "B 그러나 A는 아님", 및 "A 및 B"를 포함한다. 본 문헌에서, 용어 "포함하는(including)" 및 "여기서(in which)"는 각자의 용어 "포함하는(comprising)" 및 "여기서(wherein)"의 평이한-영어 동의어로서 사용된다. 또한,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용어 "포함하는(including 및 comprising)"은 개방형(open-ended)인데, 즉 청구항에서 그러한 용어 앞에 열거되는 것 이외의 요소를 포함하는 시스템, 장치, 물품, 조성물, 제형, 또는 공정이 여전히 그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더욱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용어 "제 1", "제 2", 및 "제 3" 등은 단지 표지로서 사용되며, 그것의 대상에 수와 관련된 요건을 부과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상기의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되며, 제한적인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에 기술된 예(또는 그것의 하나 이상의 태양)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가, 예를 들어 상기 설명의 검토 시에 당업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요약서는 본 명세서를 읽는 사람이 기술적 개시내용의 특성을 신속하게 확인하도록 허용하기 위해서 37 C.F.R. §1.72(b)에 따르기 위해 제공된다. 요약서는 그것이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또는 의미를 해석하거나 제한하는 데 사용되지 않을 것을 조건으로 제출된다.
또한,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다양한 특징부가 본 발명을 간소화하기 위해 함께 그룹화될 수 있다. 이는 청구되지 않은 개시된 특징부가 임의의 청구항에 본질적이다는 것을 의도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오히려, 본 발명의 주제는 개시된 특정 실시예의 모든 특징부보다 적을 수 있다. 따라서, 하기의 특허청구범위는 이에 의해, 각각의 청구항이 개별적인 실시예로서 독립적인 것으로 하여,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며, 그러한 실시예는 다양한 조합 또는 순열로 서로 조합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와 함께, 그러한 특허청구범위에 부여되는 등가물의 최대 범위를 참조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25)

  1. 케이블 커넥터(cable connector)에 있어서,
    복수의 전도성 패드 및 적어도 하나의 접지 패드를 포함하는 기판;
    도체, 상기 도체를 둘러싸는 절연체, 및 상기 절연체를 둘러싸는 접지 차폐물(ground shield)을 포함하는 전송 케이블로서, 상기 도체는 상기 전도성 패드 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접지 차폐물은 상기 접지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전송 케이블;
    도체, 상기 도체를 둘러싸는 절연체, 및 상기 절연체를 둘러싸는 접지 차폐물을 포함하는 수신 케이블로서, 상기 도체는 상기 전도성 패드 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접지 차폐물은 상기 접지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수신 케이블; 및
    상기 기판에 장착되고 상기 접지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차폐 구조물(shielding structure)로서, 상기 차폐 구조물은 캡(cap), 및 상기 캡으로부터 상기 기판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 및 수신 케이블 각각은 상이한 쌍의 측벽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차폐 구조물을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및 수신 케이블의 절연체는 각각 각자의 접지 차폐물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된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차폐 구조물은 한 쌍의 터널형 커버를 포함하며, 각각의 터널형 커버는 상이한 쌍의 측벽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절연체 중 상이한 하나의 절연체의 노출된 섹션을 덮는
    케이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및 수신 케이블의 도체는 각각 각자의 절연체로부터 각각 부분적으로 노출된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차폐 구조물의 터널형 커버는 각각의 도체의 노출된 제 2 부분을 덮지 않고 각각의 도체의 노출된 제 1 부분을 덮는
    케이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각각의 도체의 노출된 제 2 부분은 상기 전도성 패드 중 상이한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 커넥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구조물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터널형 커버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덮이는
    케이블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구조물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전기 전도성 재료로 덮이는
    케이블 커넥터.
  7.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복수의 전도성 패드 및 적어도 하나의 접지 패드를 포함하는 기판;
    제 1 도체,
    제 2 도체,
    상기 제 1 도체를 둘러싸는 제 1 절연체,
    상기 제 2 도체를 둘러싸는 제 2 절연체,
    상기 제 1 및 제 2 절연체를 둘러싸는 접지 차폐물, 및
    상기 접지 차폐물을 둘러싸는 외측 재킷(jacket)을 포함하는 트윈 액시얼 케이블(twin axial cable); 및
    상기 기판에 장착되고 상기 접지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차폐 구조물로서, 상기 차폐 구조물은 캡, 및 상기 캡으로부터 상기 기판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트윈 액시얼 케이블은 상기 측벽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차폐 구조물을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절연체는 각각 상기 접지 차폐물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된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차폐 구조물은 2개의 측벽 사이에서 연장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제 1 절연체의 노출된 섹션을 덮는 제 1 터널형 세그먼트(segment), 및 상기 제 2 절연체의 노출된 섹션을 덮는 제 2 터널형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도체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절연체 각각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된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터널형 세그먼트는 상기 제 1 도체의 노출된 제 2 부분을 덮지 않고 상기 제 1 도체의 노출된 제 1 부분을 덮고, 상기 제 2 터널형 세그먼트는 상기 제 2 도체의 노출된 제 2 부분을 덮지 않고 상기 제 2 도체의 노출된 제 1 부분을 덮는
    케이블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널형 세그먼트는 상기 제 1 절연체를 덮는 수평 피스(horizontal piece), 및 상기 제 1 도체의 노출된 제 1 부분을 덮는 경사진 피스(angled piece)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터널형 세그먼트는 상기 제 2 절연체를 덮는 수평 피스, 및 상기 제 2 도체의 노출된 제 1 부분을 덮는 경사진 피스를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체 및 상기 제 2 도체 각각의 제 2 부분은 상기 전도성 패드 중 상이한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 커넥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구조물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터널형 세그먼트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덮이는
    케이블 커넥터.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구조물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전기 전도성 재료로 덮이는
    케이블 커넥터.
  14.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복수의 전도성 패드 및 적어도 하나의 접지 패드를 포함하는 기판;
    복수의 트윈 전송 액시얼 케이블로서, 각각의 트윈 전송 액시얼 케이블은,
    제 1 전송 도체,
    제 2 전송 도체,
    상기 제 1 전송 도체를 둘러싸는 제 1 전송 절연체,
    상기 제 2 전송 도체를 둘러싸는 제 2 전송 절연체,
    상기 제 1 전송 절연체 및 상기 제 2 전송 절연체를 둘러싸는 접지 차폐물,
    상기 접지 차폐물을 둘러싸는 외측 재킷을 포함하고,
    각각의 트윈 전송 액시얼 케이블의 상기 제 1 및 제 2 전송 도체는 상기 전도성 패드 중 상이한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트윈 전송 액시얼 케이블의 상기 접지 차폐물은 상기 접지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트윈 전송 액시얼 케이블;
    복수의 트윈 수신 액시얼 케이블로서, 각각의 트윈 수신 액시얼 케이블은,
    제 1 수신 도체,
    제 2 수신 도체,
    상기 제 1 수신 도체를 둘러싸는 제 1 수신 절연체,
    상기 제 2 수신 도체를 둘러싸는 제 2 수신 절연체,
    상기 제 1 수신 절연체 및 상기 제 2 수신 절연체를 둘러싸는 접지 차폐물,
    상기 접지 차폐물을 둘러싸는 외측 재킷을 포함하고,
    각각의 트윈 수신 액시얼 케이블의 상기 제 1 및 제 2 수신 도체는 상기 전도성 패드 중 상이한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트윈 수신 액시얼 케이블의 상기 접지 차폐물은 상기 접지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트윈 수신 액시얼 케이블; 및
    상기 기판에 장착되고 상기 접지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차폐 구조물로서, 상기 차폐 구조물은 캡, 및 상기 캡으로부터 상기 기판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측벽을 포함하고, 각각의 트윈 전송 액시얼 케이블 및 각각의 트윈 수신 액시얼 케이블은 상이한 쌍의 측벽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차폐 구조물을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
  15. 제 14 항에 있어서,
    각각의 트윈 전송 액시얼 케이블 및 각각의 트윈 수신 액시얼 케이블의 상기 제 1 및 제 2 절연체는 각자의 트윈 전송 및 수신 액시얼 케이블 각각의 상기 접지 차폐물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된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차폐 구조물은 복수의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각각은 상이한 쌍의 측벽 사이에서 연장되고, 각각의 제 1 절연체 및 각각의 제 2 절연체의 각자의 노출된 섹션을 덮는
    케이블 커넥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각각은 대응하는 제 1 전송 또는 수신 절연체의 노출된 섹션을 덮는 제 1 터널형 세그먼트, 및 대응하는 제 2 전송 또는 수신 절연체의 노출된 섹션을 덮는 제 2 터널형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
  17. 제 16 항에 있어서,
    각각의 트윈 전송 및 수신 액시얼 케이블의 상기 제 1 및 제 2 도체는 각각의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전송 또는 수신 절연체로부터 각각 부분적으로 노출된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포함하며, 각각의 제 1 터널형 세그먼트는 각자의 제 1 전송 또는 제 1 수신 도체의 노출된 제 2 섹션을 덮지 않고 상기 각자의 제 1 전송 또는 제 1 수신 도체의 노출된 제 1 부분을 덮고, 상기 제 2 터널형 세그먼트는 각자의 제 2 전송 또는 제 2 수신 도체의 노출된 제 2 부분을 덮지 않고 상기 각자의 제 2 전송 또는 제 2 수신 도체의 노출된 제 1 부분을 덮는
    케이블 커넥터.
  18. 제 17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 1 터널형 세그먼트는 각자의 제 1 전송 또는 제 1 수신 절연체를 덮는 수평 피스, 및 상기 제 1 전송 또는 제 1 수신 도체의 노출된 제 1 부분을 덮는 경사진 피스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 2 터널형 세그먼트는 각자의 제 2 전송 또는 제 2 수신 절연체를 덮는 수평 피스, 및 각자의 제 2 전송 또는 제 2 수신 도체의 노출된 제 1 부분을 덮는 경사진 피스를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
  19. 제 15 항에 있어서,
    각자의 트윈 전송 또는 수신 액시얼 케이블 각각 내의 상기 제 1 및 제 2 전송 도체 및 상기 제 1 및 제 2 수신 도체는 상기 전도성 패드 중 상이한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 커넥터.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구조물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덮이는
    케이블 커넥터.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구조물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전기 전도성 재료로 덮이는
    케이블 커넥터.
  22.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구조물은 상기 접지 패드에 납땜되어 상기 차폐 구조물을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 커넥터.
  23.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구조물 내의 상기 복수의 측벽은 내측 측벽 및 외측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측벽은 상기 외측 측벽보다 두꺼운
    케이블 커넥터.
  24.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캡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복수의 측벽보다 긴
    케이블 커넥터.
  25. 제 14 항에 있어서,
    각각의 트윈 전송 액시얼 케이블은 적어도 하나의 트윈 수신 액시얼 케이블에 인접해 있고, 각각의 트윈 수신 액시얼 케이블은 적어도 하나의 트윈 전송 액시얼 케이블에 인접해 있는
    케이블 커넥터.
KR1020157017145A 2014-07-01 2014-07-01 케이블 커넥터 Active KR1017869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4/045116 WO2016003448A1 (en) 2014-07-01 2014-07-01 Cable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740A true KR20160016740A (ko) 2016-02-15
KR101786934B1 KR101786934B1 (ko) 2017-10-18

Family

ID=55019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7145A Active KR101786934B1 (ko) 2014-07-01 2014-07-01 케이블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640880B2 (ko)
EP (1) EP2989688A4 (ko)
JP (1) JP6124236B2 (ko)
KR (1) KR101786934B1 (ko)
CN (1) CN106463858B (ko)
TW (1) TWI601348B (ko)
WO (1) WO20160034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63858B (zh) 2014-07-01 2019-06-11 英特尔公司 线缆连接器
WO2017013745A1 (ja) * 2015-07-21 2017-01-2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ケーブル接続構造、内視鏡システムおよびケーブル接続構造の製造方法
TWI612815B (zh) * 2016-05-17 2018-01-2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及其壁掛模組
JP6663814B2 (ja) * 2016-07-21 2020-03-1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TWI668928B (zh) * 2016-10-13 2019-08-11 美商莫仕有限公司 插頭組件及組裝插頭連接器的方法
JP6840579B2 (ja) * 2017-03-13 2021-03-1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10368437B2 (en) * 2017-04-06 2019-07-30 Dell Products, L.P. Cable assembly for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JP2019102275A (ja) * 2017-12-01 2019-06-24 日立金属株式会社 差動信号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
JP7010018B2 (ja) 2018-01-19 2022-01-26 日立金属株式会社 信号伝送用ケーブル
KR20210121978A (ko) 2020-03-31 2021-10-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케이블, 이를 포함하는 진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3346262B (zh) * 2021-04-29 2022-09-20 山东英信计算机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脉冲振幅调变的线缆转接装置及转接方法
US12003061B2 (en) * 2021-11-01 2024-06-04 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 Ground structure for a cable card assembly of an electrical connector
GB2613032A (en) 2021-11-23 2023-05-24 Rsp Systems As Calibration method and system
TWI835035B (zh) 2021-12-09 2024-03-11 高技企業股份有限公司 線路板與使用此線路板的電子構裝
CN114824961B (zh) * 2022-04-01 2024-07-16 翔耀电子(深圳)有限公司 一种线端连接器组件
US11924970B2 (en) * 2022-08-02 2024-03-05 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 Cable assembly for a cable connector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4383A (en) * 1986-11-18 1989-04-2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erminator and corresponding receptacle for multiple electrical conductors
US5328380A (en) 1992-06-26 1994-07-12 Porta Systems Corp. Electrical connector
EP0600120B1 (en) * 1992-12-02 1997-03-12 Molex Incorporated Plug and socket electrical connector system
JP2000068007A (ja) * 1998-08-20 2000-03-03 Fujitsu Takamisawa Component Ltd ケーブル付き平衡伝送用コネクタ
JP2001035567A (ja) * 1999-07-27 2001-02-09 Jst Mfg Co Ltd 同軸ケーブルのグランド処理装置
US6380485B1 (en) * 2000-08-08 2002-04-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nhanced wire termination for twinax wires
JP2006054102A (ja) * 2004-08-11 2006-02-23 Jst Mfg Co Ltd コネクタ及びケーブル保持部材
JP4954001B2 (ja) * 2007-09-21 2012-06-13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多芯ケーブルコネクタ
US7497724B1 (en) * 2007-10-04 2009-03-0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wire organizer
US9124009B2 (en) * 2008-09-29 2015-09-01 Amphenol Corporation Ground sleeve having improved impedance control and high frequency performance
US8011950B2 (en) 2009-02-18 2011-09-06 Cinch Connectors, Inc. Electrical connector
JP2011028903A (ja) * 2009-07-22 2011-02-10 Hitachi Cable Ltd ケーブル付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5379047B2 (ja) * 2010-03-04 2013-12-25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結線構造及びケーブルコネクタ組立体
JP5589778B2 (ja) * 2010-11-05 2014-09-17 日立金属株式会社 差動信号伝送用ケーブルと回路基板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US8292655B1 (en) 2011-04-01 2012-10-23 Intel Corporation Innovative cable termination scheme
US8308491B2 (en) 2011-04-06 2012-11-1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having a cable
CN103608873B (zh) 2011-06-07 2016-12-14 3M创新有限公司 嵌套式屏蔽带状电缆
CN103650256B (zh) * 2011-07-07 2017-04-12 莫列斯公司 用于端接一多导线线缆的托架以及线缆连接器
US9545040B2 (en) * 2012-01-23 2017-01-10 Fci Americas Technology Llc Cable retention housing
US8840432B2 (en) * 2012-04-24 2014-09-2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ircuit board and wire assembly
JP5954155B2 (ja) * 2012-12-14 2016-07-20 日立金属株式会社 ケーブル接続装置および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ならびに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の製造方法
CN106463858B (zh) 2014-07-01 2019-06-11 英特尔公司 线缆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611437A (zh) 2016-03-16
JP6124236B2 (ja) 2017-05-10
KR101786934B1 (ko) 2017-10-18
CN106463858B (zh) 2019-06-11
CN106463858A (zh) 2017-02-22
JP2016529664A (ja) 2016-09-23
TWI601348B (zh) 2017-10-01
US20160276759A1 (en) 2016-09-22
WO2016003448A1 (en) 2016-01-07
EP2989688A1 (en) 2016-03-02
US9640880B2 (en) 2017-05-02
EP2989688A4 (en) 201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6934B1 (ko) 케이블 커넥터
USRE48230E1 (en) High speed bypass cable assembly
CA2754937C (en) Circuits,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high speed data communications connectors that provide for reduced modal alien crosstalk in communications systems
US8353707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a receptacle with three rows of contacts and a printed circuit board with three rows of pads
TWI543484B (zh) 創新電纜終止方案
JP6388667B2 (ja) 差動データ信号を送信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6235164B2 (ja) ケーブル終端部
CN102782948B (zh) 接线构造和线缆连接器组件
CN109315063B (zh) 用于电气接触连接器的电气接触焊盘
US8202111B2 (en) Connector and cable assembly
JP6107672B2 (ja) 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
US20170207549A1 (en) Data connector
US10395795B2 (en) Data transmission cable
JP6714892B1 (ja) 中継基板、中継基板付き差動伝送用電線および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
JP5068895B2 (ja) 高速インタフェース用コネクタ
JP6524826B2 (ja) 多芯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
TWM454651U (zh) 電連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2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0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0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