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03863A -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863A
KR20160003863A KR1020157034505A KR20157034505A KR20160003863A KR 20160003863 A KR20160003863 A KR 20160003863A KR 1020157034505 A KR1020157034505 A KR 1020157034505A KR 20157034505 A KR20157034505 A KR 20157034505A KR 20160003863 A KR20160003863 A KR 20160003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roll
constant
coefficient
rolled materi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4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7810B1 (ko
Inventor
히로유키 이마나리
토쿠지로 호리카와
오사무 카네코
카즈키 오무라
시게루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3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81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16Control of thickness, width, diameter or other transverse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1/00Product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1/00Product parameters
    • B21B2261/02Transverse dimensions
    • B21B2261/04Thickness, gau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16Control of thickness, width, diameter or other transverse dimensions
    • B21B37/18Automatic gaug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Metal Roll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압연재의 소성계수를 정확하게 동정할 수 있는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이 때문에,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는, 조작 대상의 압연 스탠드의 압연 하중 실적치와 롤 갭 실적치와 밀 정수에 의거하여, 압연재의 경도를 나타내는 소성계수를 동정하는 소성계수 동정 장치를 구비하였다. 당해 구성에서는, 조작 대상의 압연 스탠드에서 얻어지는 데이터에 의거하여, 압연재의 소성계수가 동정된다. 이 때문에, 압연재의 소성계수를 정확하게 동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PLATE THICKNESS CONTROLLER FOR ROLLING MACHINE}
본 발명은,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는,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당해 판 두께 제어 장치는, 압연 스탠드의 상류측에서 측정한 압연재의 판 두께의 정보, 당해 압연 스탠드의 상류측의 압연 스탠드의 압연 하중의 정보 등에 의거하여, 당해 압연 스탠드의 소성계수를 동정(同定)한다. 당해 판 두께 제어 장치는, 동정한 소성계수에 의거하여 당해 압연 스탠드에 의한 압연재의 판 두께 제어를 행한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8-126307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은, 당해 압연 스탠드의 상류측의 압연 스탠드의 정보를 하류측에 트래킹하여 당해 압연 스탠드의 소성계수를 동정한다. 이 때문에, 압연재의 소성계수를 정확하게 동정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압연재의 소성계수를 정확하게 동정할 수 있는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는, 조작 대상의 압연 스탠드의 압연 하중 실적치와 롤 갭 실적치와 밀 정수에 의거하여, 압연재의 경도를 나타내는 소성계수를 동정하는 소성계수 동정 장치를 구비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압연재의 소성계수를 정확하게 동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를 이용한 압연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를 이용한 압연기의 제어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를 이용한 압연기로 압연재를 압연할 때의 밀 정수와 소성계수의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를 이용한 압연기로 압연재를 압연할 때의 밀 정수와 소성계수의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의 주요부의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를 이용한 압연기의 제어 블록도의 주요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의 소성계수 동정 장치가 갖는 소성계수의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에 의한 롤 편심 외란의 추정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에 의한 압연 하중 외란의 추정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의 제어 블록도의 주요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관해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가 붙여진다. 당해 부분의 중복 설명은 적절히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를 이용한 압연기의 구성도이다.
도 1에서, 열간 박판 압연의 압연 스탠드는, 4Hi 밀이다. 압연 스탠드는, 하우징(1)을 구비한다. 하우징(1) 내에는, 압연 롤로서, 상측 워크 롤(2a)과 하측 워크 롤(2b)이 마련된다. 상측 워크 롤(2a)의 축의 일측은, 도시하지 않은 전동기에 연결된다. 상측 워크 롤(2a)의 타측 주변에는, 작업 영역이 확보된다. 하측 워크 롤(2b)의 축의 일측은, 도시하지 않은 전동기에 연결된다. 하측 워크 롤(2b)의 타측 주변에는, 작업 영역이 확보된다.
상측 워크 롤(2a)의 상방에는, 압연 롤로서, 상측 백업 롤(3a)이 마련된다. 상측 백업 롤(3a)은, 상측 워크 롤(2a)을 지지한다. 상측 백업 롤(3a)은, 하우징(1)의 상부에 지지된다. 상측 백업 롤(3a)의 축의 일측은, 도시하지 않은 전동기에 연결된다. 상측 백업 롤(3a)의 타측 주변에는, 작업 영역이 확보된다.
하측 워크 롤(2b)의 하방에는, 압연 롤로서, 하측 백업 롤(3b)이 마련된다. 하측 백업 롤(3b)은, 하측 워크 롤(2b)을 지지한다. 하측 백업 롤(3b)은, 하우징(1)의 하부에 지지된다. 하측 백업 롤(3b)의 축의 일측은, 도시하지 않은 전동기에 연결된다. 하측 백업 롤(3b)의 타측 주변에는, 작업 영역이 확보된다.
상측 백업 롤(3a)의 상방에는, 압하 장치(4)가 마련된다. 예를 들면, 압하 장치(4)는, 전동 압하 장치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압하 장치(4)는, 유압으로 구동하는 유압 압하 장치로 이루어진다. 유압 압하 장치는, 고속 제어할 수 있다. 압하 장치(4)는, 드라이브측 압하 장치(4a)와 오페(operation)측 압하 장치(4b)를 구비한다. 드라이브측 압하 장치(4a)는, 상측 백업 롤(3a)의 일측에 마련된다. 오페측 압하 장치(4b)는, 상측 백업 롤(3a)의 타측에 마련된다.
하측 백업 롤(3b)의 하방에는, 하중 검출기(5)가 마련된다. 하중 검출기(5)는, 드라이브측 하중 검출기(5a)와 오페측 하중 검출기(5b)를 구비한다. 드라이브측 하중 검출기(5a)는, 하측 백업 롤(3b)의 일측에 마련된다. 오페측 하중 검출기(5b)는, 상측 백업 롤(3a)의 타측에 마련된다.
압하 장치(4)의 하방에는, 롤 갭 검출기(6)가 마련된다. 롤 갭 검출기(6)는, 드라이브측 롤 갭 검출기(6a)와 오페측 롤 갭 검출기(6b)를 구비한다. 드라이브측 롤 갭 검출기(6a)는, 상측 백업 롤(3a)의 일측에 마련된다. 오페측 롤 갭 검출기(6b)는, 상측 백업 롤(3a)의 타측에 마련된다.
하중 검출기(5)의 출력측에는, 압연 하중 측정기(7)의 입력측이 접속된다. 롤 갭 검출기(6)의 출력측에는, 롤 갭 측정기(8)의 입력측이 접속된다.
압연 하중 측정기(7)의 출력측에는, 판 두께 제어기(9)의 입력측이 접속된다. 롤 갭 측정기(8)의 출력측에는, 판 두께 제어기(9)의 입력측이 접속된다. 판 두께 제어기(9)의 출력측에는, 롤 갭 조작 수단(10)의 입력측이 접속된다. 롤 갭 조작 수단(10)의 출력측은, 압하 장치(4)의 입력측에 접속된다.
하측 워크 롤(2b)에는, 롤 회전수 검출기(11)가 마련된다. 압연 스탠드의 출구측에는, 판후계(12)가 마련된다.
압연재(3)는, 금속으로 형성된다. 압연재(3)는, 상측 워크 롤(2a)과 하측 워크 롤(2b)에 끼어진다. 그 결과, 압연재(3)는 늘어난다. 이 때, 상측 백업 롤(3a)은, 상측 워크 롤(2a)의 폭방향의 휨을 억제한다. 하측 백업 롤(3b)은, 하측 워크 롤(2b)의 폭방향의 휨을 억제한다. 압연재(3)에의 압연 하중은, 상측 워크 롤(2a), 하측 워크 롤(2b), 상측 백업 롤(3a), 하측 백업 롤(3b)을 통하여, 하우징(1)에 받아지게된다.
드라이브측 하중 검출기(5a)는, 하측 백업 롤(3b)의 일측에 걸리는 하중을 검출한다. 오페측 하중 검출기(5b)는, 하측 백업 롤(3b)의 타측에 걸리는 하중을 검출한다. 압연 하중 측정기(7)는, 드라이브측 하중 검출기(5a)의 검출치와 오페측 하중 검출기(5b)의 검출치와의 합을 합하중으로서 계산한다. 압연 하중 측정기(7)는, 드라이브측 하중 검출기(5a)의 검출치와 오페측 하중 검출기(5b)의 검출치와의 차를 차하중으로서 계산한다. 도시하지 않은 롤 벤딩 장치가 압연 스탠드에 마련된 경우, 압연 하중 측정기(7)는, 하중 검출기(5)의 검출치를 롤 벤딩력으로 보정할 때의 계산을 행한다.
롤 갭 검출기(6)는, 상측 워크 롤(2a)과 하측 워크 롤(2b)과의 간극(롤 갭)을 직접 검출하지 않는다. 롤 갭 검출기(6)는, 압하 장치(4)가 상측 백업 롤(3a)을 압하한 양을 검출한다. 롤 갭 측정기(8)는, 롤 갭 검출기(6)의 검출치에 의거하여 롤 갭을 계산한다. 이때, 롤 갭 측정기(8)는, 상측 워크 롤(2a)과 하측 워크 롤(2b)과의 거리 관계를 고려한다.
판 두께 제어기(9)는, 압연 하중 측정기(7)의 계산치, 롤 갭 측정기(8)의 계산치에 의거하여, 롤 갭의 설정치를 조정한다. 이 때, 판 두께 제어기(9)는, 도 1에서 도시하지 않은 동정 장치에 의해 동정된 밀 정수(MC), 소성계수(QC)를 이용하여 롤 갭의 설정치를 조정한다.
롤 갭 조작 수단(10)은, 판 두께 제어기(9)에 의해 조정된 설정치에 의거하여 롤 갭을 조정한다. 그 결과, 압연재(3)는, 소망하는 판 두께가 된다. 압연재(3)의 판 두께는, 판후계(12)에 의해 계측된다.
이 때, 롤 회전수 검출기(11)는, 하측 워크 롤(2b)의 회전수를 검출한다. 롤 회전수 검출기(11)는, 하측 워크 롤(2b)의 회전 위치를 검출한다. 당해 검출에 의해, 하측 워크 롤(2b)의 원주 방향의 위치가 특정된다. 구체적으로는, 하측 워크 롤(2b)을 옆에서 보아 원(圓)으로 간주한 때에, 원주상의 기준점의 위치가 특정된다. 예를 들면, 연직선에 대한 당해 기준점의 회전각도가 특정된다.
다음에, 도 2를 이용하여, 판 두께 제어기(9)의 한 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를 이용한 압연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에서, 제어 대상의 압연 프로세스(14)는, 밀 정수(M)와 소성계수(Q)의 영향을 받는다. 구체적으로는, 압연 프로세스(14)는, 제1 영향계수(14a)와 제2 영향계수(14b)를 구비한다. 제1 영향계수(14a)는, 롤 갭이 압연 하중에 주는 영향에 대응한다. 제1 영향계수(14a)는, -MQ/(M+Q)이다. 제2 영향계수(14b)는, 압연 하중이 판 두께에 주는 영향에 대응한다. 제2 영향계수(14b)는, 1/M이다.
압연 프로세스(14)에는, 롤 편심 외란(ΔSD)과 압연 하중 외란(ΔPD)이 가하여진다. 롤 편심 외란(ΔSD)과 압연 하중 외란(ΔPD)은 직접 측정할 수가 없다.
판 두께 제어기(9)는, 압연 프로세스(14)에 대해, 모니터 AGC(15), 게이지미터 AGC(16), MMC(밀 정수 가변 제어)(17) 등을 실시한다.
제1 제어 블록(18)은, 판후계(12)에 계측된 판 두께 실적 변화량(ΔhACT)에 의거하여 판 두께 측정치 변화량(ΔhMES)을 계산한다. 이 때, 제1 제어 블록(18)은, 압연 스탠드로부터 판후계(12)까지의 압연재(3)의 반송 지연 시간을 고려한다.
모니터 AGC(15)는, 제품 판 두께 목표치 변경량(ΔhxREF)과 판 두께 측정치 변화량(ΔhMES)과의 편차에 의거하여 GM판 두께 목표치 변경량(ΔhREF)을 계산한다.
게이지미터 AGC(16)에서, 제2 제어 블록(16a)은, 동정된 밀 정수(MC)를 이용하여 표시된다. 제2 제어 블록(16a)에는, 응답을 조정하기 위한 계수(α1)가 부가된다. 제2 제어 블록(16a)의 출력과 롤 갭 실적 변화량(ΔSACT)에 의거하여, GM판 두께 변화량(ΔhGM)이 구해진다.
게이지미터 AGC(16)에서, 게이지미터 판 두께 목표치 변경량(ΔhGM AIM)과 GM판 두께 목표치 변경량(ΔhREF)이 합산된다. 그 결과, 판 두께 목표치 변경량(ΔhGM REF)이 구하여진다. 판 두께 목표치 변경량(ΔhGM REF)과 GM판 두께 변화량(ΔhGM)과의 편차는 PI 제어기(16b)에 입력된다. PI 제어기(16b)는, 비례 게인(KPG)과 적분 게인(KIG)과 라플라스 연산자(S)로 표시된다. 또한, 롤 갭의 기호(S)는 첨자나 Δ 등을 수반하는 것으로 하고, 라플라스 연산자(S)는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PI 제어기(16b)의 출력은, 보상 게인(16c)에 입력된다. 보상 게인(16c)은, 동정된 밀 정수(MC), 소성계수(QC), 응답을 조정하기 위한 계수(α1, α2)로 표시된다. 보상 게인(16c)은, 롤 갭 지령치(ΔSSET)를 계산한다. 이 때, 보상 게인(16c)은, 조작 출력을 규격화한다. 이 경우, 제어 대상의 밀 정수(M), 소성계수(Q), 계수(α1, α2)가 변화하여도, PI 제어기(16b)의 조정이 불필요하게 된다.
MMC(17)는, 압하 장치(4)에 고속 응답을 요구한다. 이 때문에, 압하 장치(4)가 유압 압하 장치가 아닌 경우는 MMC(17)는 적용되지 않는다.
MMC(17)에서, 제3 제어 블록(17a)은, 동정된 밀 정수(MC)를 이용하여 표시된다. MMC(17)는, 제3 제어 블록(17a)의 계수(α2)를 조정함에 의해, 응답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계수(α2)를 크게 하면 응답이 빨라진다.
MMC(17)에서, 유압 압하 응답(17b)은, 유압 압하 장치의 응답에 대응한다. 유압 압하 응답(17b)은, 보상 게인(16c)의 출력과 제3 제어 블록(17a)의 출력을 중첩한 값에 의거하여 결정한다. 그 결과 롤 갭이 조정된다.
다음에, 도 3을 이용하여, 압연재(3)의 판 두께 등에 대한 밀 정수(M)와 소성계수(Q)의 영향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를 이용한 압연기로 압연재를 압연할 때의 밀 정수와 소성계수의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밀 커브는, 밀 신장의 양상을 나타낸다. 밀 신장은, 하우징(1) 등이 압연재(3)로부터 큰 압연 하중을 받음에 의해 발생한다. 압연 하중이 크면, 밀 신장도 커진다. 밀 커브는, 2차 곡선 또는 3차 곡선으로 근사된다. 밀 커브는 측정할 수 있다.
밀 정수(M)는, 밀 신장의 비율을 나타낸다. 밀 정수(M)는, 지정된 압연 하중에서 밀 커브의 경사로 표시된다. 예를 들면, 압연 하중이 600(kN)이고 밀 신장이 1(㎜)인 경우, 밀 정수(M)는 600(kN/㎜)이다.
도 3에서, 소성 커브는, 압연재(3)의 판 두께가 변화한 때의 압연 하중의 변화의 양상을 플롯함에 의해 얻어진다. 압연재(3)의 강도가 높은 경우, 소성 커브는 상승한다. 압연재(3)의 온도가 낮은 경우, 소성 커브는 상승한다. 소성 커브는 직접은 측정할 수가 없다.
소성계수(Q)는, 압연재(3)의 경도를 표시한다. 소성계수(Q)는, 지정된 압연 하중에서의 소성 커브의 경사로 표시된다.
도 3에서, 초기 상태는, 밀 커브와 소성 커브와의 교점(a)으로 표시된다. 이 때, 롤 갭은 SG이다. 압연 스탠드의 입구측의 압연재(3)의 판 두께는 H이다. 압연 스탠드의 출구측의 압연재(3)의 판 두께는 h이다.
압연재(3)의 온도가 내려가면, 소성 커브가 상승한다. 이때의 상태는, 밀 커브와 소성 커브와의 교점(b)으로 표시된다. 그 결과, 출구측의 압연재(3)의 판 두께는 h+Δh로 증가한다. 판 두께 제어에 의해 롤 갭을 SG로부터 SG-ΔSG로 변경하면, 밀 커브가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의 상태는, 밀 커브와 소성 커브와의 교점(c)으로 표시된다. 그 결과, 출구측의 압연재(3)의 판 두께는 h+Δh보다도 얇아진다.
다음에, 도 4를 이용하여, 밀 정수(M)와 소성계수(Q)의 영향의 상세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를 이용한 압연기로 압연재(3)를 압연할 때의 밀 정수와 소성계수의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 밀 정수(M)는, 다음의 (1)식으로 표시된다.
[수식 1]
Figure pct00001
도 4의 삼각형으로 성립되는 관계식을 생각하면, tanα는 다음의 (2)식으로 표시된다.
[수식 2]
Figure pct00002
(1)식과 (2)식에 의해, 게이지미터식이 얻어진다. 게이지미터식은 다음의 (3)식으로 표시된다.
[수식 3]
Figure pct00003
도 4에서, 소성계수(Q)는 다음의 (4)식으로 표시된다.
[수식 4]
Figure pct00004
도 4의 삼각형으로 성립되는 관계식을 생각하면, 소성계수(Q)는 다음의 (5)식으로 표시된다.
[수식 5]
Figure pct00005
(4)식과 (5)식에 의해, 소성계수(Q)와 입구측의 압연재(3)의 판 두께(H)와의 관계를 얻을 수 있다. 소성계수(Q)와 입구측의 압연재(3)의 판 두께(H)와의 관계는 다음의 (6)식으로 표시된다.
[수식 6]
Figure pct00006
도 4에서, 롤 갭을 ΔSG만큼 열면, 상태는, 점(A)부터 점(B)으로 이동한다. 이 때, 밀 정수(M)는, 다음의 (7)식으로 표시된다.
[수식 7]
Figure pct00007
(7)식에 의해, 압연 하중의 변화량(ΔP)은 다음의 (8)식으로 표시된다.
[수식 8]
Figure pct00008
소성계수(Q)는 다음의 (9)식으로 표시된다.
[수식 9]
Figure pct00009
(9)식에 의해, 압연 하중의 변화량(ΔP)은 다음의 (10)식으로 표시된다.
[수식 10]
Figure pct00010
(8)식과 (10)식에 의해, 압연재(3)의 판 두께의 변화량(Δh)은 다음의 (11)식으로 표시된다.
[수식 11]
Figure pct00011
(10)식과 (11)식에 의해, 압연 하중의 변화량(ΔP)은, 다음의 (12)식으로 표시된다.
[수식 12]
Figure pct00012
(3)식에 의해, 판 두께의 변화량(Δh)은, 다음의 (13)식으로 표시된다.
[수식 13]
Figure pct00013
다음에, 도 5를 이용하여, 동정 장치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의 주요부의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정 장치는, 밀 정수 동정 장치(19)와 소성계수 동정 장치(20)를 구비한다.
밀 정수 동정 장치(19)는, 압연 하중 실적 변화량(ΔPACT), 롤 갭 실적 변화량(ΔSACT), 판 두께 실적 변화량(ΔhACT), 롤 회전각 실적치(φ1)에 의거하여, 밀 정수(MID)를 계산한다. 밀 정수(MID)는, 게이지미터(AGC16), MMC(17)의 밀 정수(MC)에 입력된다. 이 때, 밀 정수(MC)는, 키스 롤 시험 등에 의해 별도의 방법으로 동정된 밀 정수(MMES)로 되는 경우도 있다.
소성계수 동정 장치(20)는, 압연 하중 실적 변화량(ΔPACT), 롤 갭 실적 변화량(ΔSACT), 롤 회전각 실적치(φ2), 동정된 밀 정수에 의거하여, 소성계수(QID)를 계산한다. 이 때, 동정된 밀 정수는, 밀 정수(MID) 또는 밀 정수(MMES)로부터 선택된다. 소성계수(QID)는, 게이지미터 AGC(16)의 소성계수(QC)에 입력된다.
다음에, 도 6을 이용하여, 밀 정수(MID)와 소성계수(QID)를 계산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를 이용한 압연기의 제어 블록도의 주요부이다.
도 6에서는, 도 2의 압연 프로세스(14)에 노이즈(Nh)가 가하여져서, 판 두께 실적 변화량(ΔhACT)이 관측된다.
도 6에서, 압연재의 판 두께의 변화량(Δh)은, 노이즈(Nh)에 의한 오차(e1)를 이용하여 다음의 (14)식으로 표시된다.
[수식 14]
Figure pct00014
롤 편심 외란(ΔSD)은, 압연 롤의 구조, 압연 롤의 연마의 정밀도 불량 등에 의해 발생한다. 예를 들면, 오일 베어링을 갖는 지지 롤에서 키 홈이 수백톤부터 수천톤의 압연 하중을 받으면, 축이 상하로 이동한다. 당해 이동에 의해, 롤 편심 외란(ΔSD)이 발생한다. 예를 들면, 키 홈이 없는 압연 롤에서, 열팽창의 치우침 등에 의해, 롤 편심 외란(ΔSD)이 발생한다.
롤 편심 외란(ΔSD)은, 상측 백업 롤(3a)과 하측 백업 롤(3b)과의 회전 주기에 동기한 주기적인 외란으로 간주할 수 있다. 압연 중은, 압연 속도가 변한다. 이 때문에, 롤 편심 외란(ΔSD)의 주기는 시간에 의해 변화한다. 롤 편심 외란(ΔSD)은, 상측 워크 롤(2a), 하측 워크 롤(2b), 상측 백업 롤(3a), 하측 백업 롤(3b)의 회전각(φ1)(0도∼360도)에 대해 일정 주기로 변화한다.
이 경우, 롤 편심 외란(ΔSD)은, k차 푸리에 급수로 근사된다. 구체적으로는, 롤 편심 외란(ΔSD)은, 다음의 (15)식으로 표시된다.
[수식 15]
Figure pct00015
(14)식을 변형하고, (15)식을 이용하면, 다음의 (16)식이 얻어진다.
[수식 16]
Figure pct00016
(16)식은, 압연재(3)의 어느 시각에서의 각각의 변수의 관계를 표시한 식이고, 일반적으로는 압연재(3)로부터 복수의 데이터 세트가 얻어지고, 각각의 데이터 세트는 (16)식을 충족시킨다. 복수의 (16)식을 충족시키는 가장 확실한 파라미터를 추정함으로써, 밀 정수(M) 등의 파라미터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1개의 압연재(3)에 대해, N개의 데이터 세트가 얻어진 경우, 압연 하중 실적 변화량(ΔPACT), 롤 갭 실적 변화량(ΔSACT), 판 두께 측정치 변화량(ΔhACT), 롤 회전각 실적치(φ1)는, 각각 N개 얻어진다.
N개의 데이터를 (16)식에 적용시키면 N개의 연립방정식이 얻어진다. 그들을 정리하여 표기하기 위해, 이하에, 벡터나 행렬로 표시되는 변수를 정의한다.
Δh-ΔS의 데이터 세트는, N개의 ΔhACT-ΔSACT의 요소를 포함하는 열벡터(Y1)로 한다. [ΔP I cosφ1 sinφ1 … cos(kφ1) sin(kφ1)]의 데이터 세트는, N개의 ΔPACT의 요소를 포함하는 열벡터, 요소가 1만으로 이루어지는 N행1열의 행렬(INX1), N개의 φ1에 의한 sin, cos의 값을 포함하는 N행2k열의 행렬(X1)로 한다. (16)식의 우변 제1항에 나타나는 [1/M aS0 aS1 bS1 … aSk bSk]T를 열벡터(θ1)로 한다.
이들을 정리하면, 다음의 (17)식이 얻어진다. 여기서, 노이즈에 의한 오차(e1)의 데이터 세트를 벡터(E1)로 표시하였다.
[수식 17]
Figure pct00017
(17)식을 풀기 위해, 최적화 수법을 이용한다. 최적화 수법은, 몇가지 제안되어 있지만, 여기서는 가장 일반적인 최소제곱법에 의해 동정하는 예를 나타낸다.
θ1의 최소제곱해는, 다음의 (18)식으로 표시된다.
[수식 18]
Figure pct00018
밀 정수 동정 장치(19)는, (18)식을 이용하여 밀 정수(MID)를 계산한다. 이 때, 밀 정수 동정 장치(19)는, 판 두께 실적치 변화량(ΔhACT)에 대해, 압연 스탠드와 판후계(12)와의 사이의 반송에 의한 지연 시간을 보상한다. 당해 보상에 의해, 판 두께 실적치 변화량(ΔhACT)은, 압연 하중 실적 변화량(ΔPACT), 롤 갭 실적 변화량(ΔSACT)과 동기한다.
밀 정수(M)는, 하우징(1), 상측 워크 롤(2a), 하측 워크 롤(2b), 상측 백업 롤(3a), 하측 백업 롤(3b)의 기계 특성에 크게 의존한다. 이 때문에, 밀 정수(MID)는, 압연 스탠드마다 계산된다.
예를 들면, 압연 스탠드의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고, 밀 정수가 M[1](stored)(kN/㎜)로 동정되어 있다고 한다. 같은 압연 스탠드의 데이터가 얻어지고, 밀 정수가 M[1](raw)(kN/㎜)로 동정되었다고 한다. 이 경우, 밀 정수 동정 장치(19)는, M[1](raw)를 보존한다. 판 두께 제어에서는, 평활화된 새로운 밀 정수가 사용된다. 평활화에 의해, 데이터의 편차에 의한 동정 결과의 불안정화가 억제된다. 새로운 밀 정수는 다음의 (19)식으로 표시된다.
[수식 19]
Figure pct00019
(19)식에서, a는 평활화 게인이다. a는 0부터 1까지의 값으로 설정된다. a를 크게 하면, 밀 정수(M)[1](raw)가 새로운 밀 정수에 반영되기 쉬워진다.
상측 워크 롤(2a), 하측 워크 롤(2b) 또는 상측 백업 롤(3a), 하측 백업 롤(3b)을 교환 직후의 1개째의 압연재(3)에서는, 밀 정수는, 교환 전의 밀 정수와 약간 다른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교환 직후에서는, 밀 정수 동정 장치(19)는, M[1](raw)의 비율을 높게 한다. 이 경우, 새로운 밀 정수는, a보다도 큰 평활화 게인(A)을 이용하여 다음의 (20)식으로 표시된다.
[수식 20]
Figure pct00020
상측 워크 롤(2a), 하측 워크 롤(2b) 또는 상측 백업 롤(3a), 하측 백업 롤(3b)의 교환 직후로부터 몇 개의 압연재(3)를 압연하고, 데이터가 안정될 때까지, A를 계속적으로 사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상측 워크 롤(2a), 하측 워크 롤(2b) 또는 상측 백업 롤(3a), 하측 백업 롤(3b)의 교환 후의 동정 결과가 반영되기 쉬워진다.
다음에, 소성계수(Q)를 동정하는 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기본적인 생각은, 위에 나타낸 밀 정수(M)와 마찬가지이다.
도 6에서, 압연 하중의 변화량(ΔP)은, 노이즈(Nh)에 의한 오차(e2)를 이용하여 다음의 (21)식으로 표시된다.
[수식 21]
Figure pct00021
(21)식을 변형하면, 다음의 (22)식이 얻어진다.
[수식 22]
Figure pct00022
이 때, w는, 이하의 (23)식으로 정의된다.
[수식 23]
Figure pct00023
압연재(3)가 압연되기 전의 상태인 슬래브일 때, 당해 슬래브는, 도시하지 않은 가열로 내에 배치된다. 당해 가열로에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스키드가 마련된다. 복수의 스키드는, 거의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복수의 스키드는, 슬래브를 지지한다. 복수의 스키드의 내부는 물로 식혀진다. 이 때문에, 슬래브에 있어서, 스키드에 접촉하는 부분의 온도가 내려간다. 당해 부분은, 스키드 마크라고 불린다.
압연 하중 외란(ΔPD)은, 스키드 마크에 동기한 주기적인 외란으로 간주할 수 있다. 압연 중은, 압연 속도가 변한다. 이 때문에, 압연 하중 외란(ΔPD)의 주기는 시간에 의해 변화한다. 압연 하중 외란(ΔPD)은, 상측 워크 롤(2a), 하측 워크 롤(2b), 상측 백업 롤(3a), 하측 백업 롤(3b)의 회전각(φ2)(0도∼360도)에 대해 일정 주기로 변화한다.
이 경우, w는, k차 푸리에 급수로 근사된다. 구체적으로는, w는, 다음의 (24)식으로 표시된다.
[수식 24]
Figure pct00024
(22)식을 변형하고, (23)식, (24)식을 이용하면, 다음의 (25)식이 얻어진다.
[수식 25]
Figure pct00025
압연재(3)로부터 얻어진 N개의 데이터를 (25)식에 적용시키면 N개의 연립방정식이 얻어진다. 그들을 정리하여 표기하기 위해, 이하에, 벡터나 행렬로 표현되는 변수를 정의한다.
ΔP의 데이터 세트는, ΔPACT의 요소를 포함하는 열벡터(Y2)로 한다. [ΔS I cosφ2 sinφ2 … cos(kφ2) sin(kφ2)]의 데이터 세트는, N개의 ΔSACT의 요소를 포함하는 열벡터, 요소가 하나만으로 이루어지는 N행1열의 행렬(INX1), N개의 φ2에 의한 sin, cos의 값을 포함하는 N행2k열의 행렬(X2)로 한다. (25)식의 우변 제1항에 나타나는 [-MQ/(M+Q) aw0 aw1 bw1 … awk bwk]T를 열벡터(θ2)로 한다.
이들을 정리하면, 다음의 (26)식이 얻어진다. 여기서, 노이즈에 의한 오차(e2)의 데이터 세트를 벡터(E2)로 표시하였다.
[수식 26]
Figure pct00026
(17)식과 마찬가지로, 최소제곱법에 의해(26)식을 푼다. θ2의 최소제곱해는, 다음의 (27)식으로 표시된다.
[수식 27]
Figure pct00027
소성계수 동정 장치(20)는, (27)식을 이용하여 소성계수(QID)를 계산한다. 이 때, 밀 정수(M)는, 밀 정수(MID) 또는 밀 정수(MMES)로부터 선택된다.
소성계수(Q)의 동정은, 어느 수의 데이터가 축적된 타이밍에서 실시한다. 소성계수 동정 장치(20)는, 압연 스탠드 번호, 강종, 판 두께 구분, 온도 범위를 구분 지표로 하여, 소성계수의 테이블을 갖는다. 테이블의 하나하나의 셀은 로트라고 불린다. 각 로트에는, 이하의 (A)∼(D)의 정보가 관련되어진다.
(A) 당해 셀에 해당하는 압연재(3)의 갯수
(B) 각 압연재(3)의 ID 번호와 압연 일시
(C) 각 재료에서 얻어진 소성계수의 동정에 필요한 데이터
(D) 전회 동정한 압연재(3)의 ID 번호
소성계수 동정 장치(20)는, (A)∼(D)의 정보를 이용하여 이하의 타이밍(a) 또는 타이밍(b)에서 소성계수(QID)를 계산한다.
(a) 일정수 이상의 신규 데이터가 축적된 시점에서 소성계수(QID)를 계산한다.
(b) 로트에 포함되는 압연재(3)의 데이터가 채취될 때마다 당해 로트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여 소성계수(QID)를 계산한다.
타이밍(a)의 경우, 엔지니어는, 축적된 데이터수를 보고, 적절히 판단하여도 좋다. 어느 데이터수 이상이 되면 자동적으로 소성계수(QID)를 계산하여도 좋다.
타이밍(b)의 경우, 어느 로트(압연 스탠드, 강종, 판 두께 구분, 온도 범위)에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고, 소성계수가 Q[1, 2, 3, 4](stored)(kN/㎜)로 동정되어 있다고 한다. 당해 로트와 같은 조건의 압연재(3)의 데이터가 얻어지고, 소성계수가 Q[1, 2, 3, 4](raw)(kN/㎜)로 동정되었다고 한다. 소성계수 동정 장치(20)는, 평활화된 새로운 소성계수를 당해 로트에 보존한다. 판 두께 제어에서는, 평활화된 새로운 소성계수가 사용된다. 평활화에 의해, 데이터의 편차에 의한 동정 결과의 불안정화가 억제된다. 새로운 소성계수는 다음의 (27)식으로 표시된다.
[수식 28]
Figure pct00028
(28)식에서, b는 평활화 게인이다. b는 0부터 1까지의 값으로 설정된다. b를 크게 하면, 소성계수(Q)[1, 2, 3, 4](raw)가 새로운 밀 정수에 반영되기 쉬워진다.
평활화는, 타이밍(a)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28)식과는 다른 평활화가 적용되는 경우도 있다.
다음에, 도 7을 이용하여, 소성계수(Q)의 테이블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의 소성계수 동정 장치가 갖는 소성계수의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서, 압연 스탠드, 강종, 판 두께 구분, 온도 범위를 지정하면, 단지 하나의 로트가 지정된다. 그 결과, 당해 로트는, 다른 로트와 구별된다.
다음에, 도 8과 도 9를 이용하여, 밀 정수(MID)와 소성계수(QID)의 유효성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에 의한 롤 편심 외란의 추정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에 의한 압연 하중 외란의 추정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롤 편심 외란의 추정치는, 실제의 외란의 값과 거의 일치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연 하중 외란의 추정치는, 실제의 외란의 값과 거의 일치한다. 이 때문에, 밀 정수(MID)와 소성계수(QID)는 정확하게 계산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실시의 형태 1에 의하면, 소성계수 동정 장치(20)는, 조작 대상의 압연 스탠드의 압연 하중 실적치와 롤 갭 실적치와 밀 정수에 의거하여, 압연재(3)의 소성계수를 동정한다. 이 때문에, 압연재(3)의 소성계수를 정확하게 동정할 수 있다.
또한, 밀 정수 동정 장치(19)는, 제어 대상의 압연 스탠드의 압연 하중 실적치와 롤 갭 실적치와 당해 압연 스탠드의 하류측에서의 압연재의 판 두께에 의거하여 당해 압연 스탠드의 밀 정수를 동정한다. 이 때문에, 당해 압연 스탠드의 밀 정수를 정확하게 동정할 수 있다.
또한, 밀 정수 동정 장치(19)는, 당해 압연 스탠드의 압연 롤의 회전 위치에 의거하여 당해 압연 스탠드의 밀 정수를 동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밀 정수 동정 장치(19)는, (18)식을 이용하여 밀 정수를 계산한다. 이 때문에, 당해 압연 스탠드의 밀 정수를 보다 정확하게 동정할 수 있다.
또한, 밀 정수 동정 장치(19)는, 압연 스탠드에 대해, 1개의 압연재(3)의 데이터가 얻어질 때마다 밀 정수를 동정하고, 과거에 동정된 밀 정수아고 평활화한다. 압연 스탠드의 압연 롤이 교환된 때는, 밀 정수 동정 장치(19)는, 최신의 동정 데이터를 이용하는 비율을 통상보다도 높게 한다. 이 때문에, 당해 압연 스탠드의 밀 정수를 보다 정확하게 동정할 수 있다.
또한, 소성계수 동정 장치(20)는, 키스 롤 시험에 의해 구하여진 밀 정수에 의거하여 압연재(3)의 소성계수를 동정한다. 이 때문에, 압연재(3)의 소성계수를 보다 정확하게 동정할 수 있다.
또한, 소성계수 동정 장치(20)는, 당해 압연 스탠드의 압연 롤의 회전 위치에 의거하여 압연재(3)의 소성계수를 동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소성계수 동정 장치(20)는, (26)식을 이용하여 소성계수를 계산한다. 이 때문에, 압연재(3)의 소성계수를 보다 정확하게 동정할 수 있다.
또한, 소성계수 동정 장치(20)는, 미리 채취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압연재(3)의 소성계수를 동정한다. 이 때문에, 과거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압연재(3)의 소성계수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소성계수 동정 장치(20)는, 동일 또는 유사한 강종, 판 두께, 압연 온도 범위로 구분된 로트마다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수만큼 축적된 경우에 압연재(3)의 소성계수를 동정한다. 이 때문에, 압연재(3)의 소성계수를 보다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소성계수 동정 장치(20)는, 동일 또는 유사한 강종, 판 두께, 압연 온도 범위로 구분된 로트에 데이터가 축적될 때마다 압연재(3)의 소성계수를 동정한다. 이 때문에, 최신의 데이터에 의해 압연재(3)의 소성계수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당해 압연 스탠드의 하류측에 판후계(12)가 마련되지 않은 경우는, 매스 플로 일정칙을 이용하여 압연 스탠드의 출구측에서의 압연재(3)의 판 두께를 구하면 좋다. 매스 플로 일정칙은, 다음의 (29)식으로 표시된다.
[수식 29]
Figure pct00029
(29)식에서, 첨자 X는 판후계(12)를 마련한다고 가정한 때의 판후계(12)의 바로 아래의 위치에 대응한다. 첨자 i는 당해 압연 스탠드 번호에 대응한다. h는 압연재(3)의 판 두께이다. V는 압연재(3)의 속도이다. f는 선진률(先進率)이다. 선진률(f)은, 압연 모델로부터 계산된다. VRi는, 압연 스탠드의 압연 롤의 주속으로부터 측정된다.
실시의 형태 2.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의 제어 블록도의 주요부이다. 또한, 실시의 형태 1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의 형태 2의 판 두께 제어기(9)는, 동정된 롤 편심 외란(ΔSD)을 이용하여 제어성능을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롤 갭 조작 수단(10)은, 동정된 롤 편심 외란(ΔSD)과는 역방향으로 롤 갭을 조정한다. 당해 조정에 의해, 롤 편심 외란이 지워진다.
현실적으로는, 압연 롤의 위치의 특정에 오차가 있거나, 유압 압하 장치의 응답이 지연되거나 한다. 이 때문에, 롤 편심 외란을 100% 보상하면, 제어의 헌팅 등의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조정 게인(KSD)이 도입된다.
도 10에서는, 추정된 롤 편심 외란(ΔSD)에, 조정 게인(KSD)을 곱하여, 롤 편심 보상량(ΔSD REF)이 계산된다. 롤 편심 보상량(ΔSDREF)은, 롤 갭 지령치(ΔSSET)에 가산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실시의 형태 2에 의하면, 롤 갭 조작 수단(10)은, 롤 편심 외란의 영향을 저감하도록 압연 스탠드의 롤 갭을 조정한다. 이 때문에, 압연재(3)의 판 두께를 정밀도 좋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실시의 형태 1 및 2의 판 두께 제어 장치를 4Hi 밀 이외의 밀에 적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당해 판 두께 제어 장치를 상측 워크 롤(2a) 및 하측 워크 롤(2b)로 구성된 2Hi 밀에 적용하여도 좋다. 또한, 당해 판 두께 제어 장치를 4Hi 밀에 중간 롤을 부가한 6Hi 밀에 적용하여도 좋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는, 압연재의 소성계수를 정확하게 동정할 때에 이용할 수 있다.
1 : 하우징 2a : 상측 워크 롤
2b : 하측 워크 롤 3a : 상측 백업 롤
3b : 하측 백업 롤 4 : 압하 장치
4a : 드라이브측 압하 장치 4b : 오페측 압하 장치
5 : 하중 검출기 5a : 드라이브측 하중 검출기
5b : 오페측 하중 검출기 6 : 롤 갭 검출기
6a : 드라이브측 롤 갭 검출기 6b : 오페측 롤 갭 검출기
7 : 압연 하중 측정기 8 : 롤 갭 측정기
9 : 판 두께 제어기 10 : 롤 갭 조작 수단
11 : 롤 회전수 검출기 12 : 판후계
13 : 압연재 14 : 압연 프로세스
14a : 제1 영향계수 14b : 제2 영향계수
15 : 모니터 AGC 16 : 게이지미터 AGC
16a : 제2 제어 블록 16b : PI 제어기
16c : 보상 게인 17 : MMC
17a : 제3 제어 블록 17b : 유압 압하 응답
18 : 제1 제어 블록 19 : 밀 정수 동정 장치
20 : 소성계수 동정 장치

Claims (13)

  1. 조작 대상의 압연 스탠드의 압연 하중 실적치와 롤 갭 실적치와 밀 정수에 의거하여, 압연재의 경도를 나타내는 소성계수를 동정하는 소성계수 동정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 스탠드의 압연 하중 실적치와 롤 갭 실적치와 당해 압연 스탠드의 하류측에서의 압연재의 판 두께에 의거하여 상기 압연 스탠드의 밀 정수를 동정하는 밀 정수 동정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소성계수 동정 장치는, 상기 밀 정수 동정 장치에 의해 동정된 밀 정수에 의거하여 상기 소성계수를 동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밀 정수 동정 장치는, 상기 압연 스탠드의 하류측에서의 압연재의 반송 속도와 상기 압연 스탠드의 압연 롤의 회전 속도를 이용한 매스 플로 일정칙에 의거하여 상기 압연 스탠드의 하류측에서의 압연재의 판 두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밀 정수 동정 장치는, 상기 압연 스탠드의 압연 롤의 회전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압연 스탠드의 밀 정수를 동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밀 정수 동정 장치는, 상기 압연 스탠드의 하류측에서의 압연재의 판 두께에 대해, 당해 압연 스탠드로부터 상기 판후계까지의 반송시간을 보상하여 판 두께 측정치 변화량을 구하고, 상기 압연 스탠드의 롤 갭의 정상치로부터의 변화량에 의거하여 롤 갭 실적 변화량을 구하고, 상기 압연 스탠드의 압연 하중 측정치와 미리 설정된 값과의 편차에 의거하여 압연 하중 실적 변화량을 구하고, 상기 판 두께 측정치 변화량과 상기 롤 갭 실적 변화량과 상기 압연 하중 실적 변화량과 상기 압연 롤의 회전 위치와 상기 밀 정수를 포함하는 식에 최적화 수법을 적용하여 상기 밀 정수를 동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
  6. 제 2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 정수 동정 장치는, 상기 압연 스탠드에 대해, 1개의 압연재의 데이터가 얻어질 때마다 상기 압연 스탠드의 밀 정수를 동정하고, 과거의 밀 정수와 평활화하고, 상기 압연 스탠드의 압연 롤이 교환된 때는 최신의 동정 데이터를 이용한 비율을 통상보다도 높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계수 동정 장치는, 키스 롤 시험에 의해 구하여진 밀 정수에 의거하여 상기 압연재의 소성계수를 동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계수 동정 장치는, 상기 압연 스탠드의 압연 롤의 회전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압연재의 소성계수를 동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계수 동정 장치는, 상기 압연 스탠드의 압연 하중 측정치와 미리 설정된 값과의 편차에 의거하여 압연 하중 실적 변화량을 구하고, 상기 압연 스탠드의 롤 갭의 정상치로부터의 변화량에 의거하여 롤 갭 실적 변화량을 구하고, 상기 압연 하중 실적 변화량과 상기 롤 갭 실적 변화량과 상기 압연 롤의 회전 위치와 상기 밀 정수와 상기 소성계수를 포함하는 식에 최적화 수법을 적용하여 상기 압연재의 소성계수를 동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계수 동정 장치는, 미리 채취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압연재의 소성계수를 동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계수 동정 장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강종, 판 두께, 압연 온도 범위로 구분된 로트마다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수만큼 축적된 경우에 상기 압연재의 소성계수를 동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계수 동정 장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강종, 판 두께, 압연 온도 범위로 구분된 로트에 데이터가 축적될 때마다 상기 압연재의 소성계수를 동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 스탠드의 압연 롤의 편심에 기인하는 롤 편심 외란을 추정하고, 당해 롤 편심 외란의 영향을 저감하도록 상기 압연 스탠드의 롤 갭을 조정하는 롤 갭 조작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
KR1020157034505A 2013-08-28 2013-08-28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 Active KR1017678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73051 WO2015029171A1 (ja) 2013-08-28 2013-08-28 圧延機の板厚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863A true KR20160003863A (ko) 2016-01-11
KR101767810B1 KR101767810B1 (ko) 2017-08-23

Family

ID=52585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4505A Active KR101767810B1 (ko) 2013-08-28 2013-08-28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028871B2 (ko)
KR (1) KR101767810B1 (ko)
CN (1) CN105492133B (ko)
TW (1) TWI571328B (ko)
WO (1) WO201502917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7228A (ko) * 2019-08-28 2021-03-10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롤 상태 모니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84651B (zh) * 2017-05-26 2019-03-01 江苏省沙钢钢铁研究院有限公司 一种提高轧件厚度控制精度的在线控制系统
CN107363105B (zh) * 2017-07-20 2018-12-14 首钢集团有限公司 一种热轧卷头部厚度的控制方法及装置
JP6780786B2 (ja) * 2017-09-13 2020-11-04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圧延ラインの数学モデル算出装置および制御装置
TWI670124B (zh) * 2018-11-12 2019-09-01 中國鋼鐵股份有限公司 鋼帶厚度控制方法
WO2021084636A1 (ja) * 2019-10-30 2021-05-06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タンデム圧延機の板厚スケジュール計算方法および圧延プラン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6307A (ja) 2006-11-24 2008-06-05 Nippon Steel Corp タンデム式圧延機の板厚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016A (ja) * 1982-07-21 1984-01-31 Kobe Steel Ltd 油圧圧下式圧延機における板厚制御方法
JPS6142412A (ja) * 1984-08-07 1986-02-28 Nippon Steel Corp 自動板厚制御装置
JP2002011508A (ja) * 2000-06-30 2002-01-15 Topy Ind Ltd 材料塑性係数の演算補正機能を具備した板厚制御方法および装置
WO2008090596A1 (ja) * 2007-01-22 2008-07-31 Toshiba Mitsubishi-Electric Industrial Systems Corporation 板厚制御装置
JPWO2009037766A1 (ja) * 2007-09-20 2011-01-06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板厚制御装置
KR101414871B1 (ko) * 2010-04-21 2014-07-03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판두께 제어 장치, 판두께 제어 방법, 판두께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5598549B2 (ja) * 2010-11-22 2014-10-01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圧延機の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6307A (ja) 2006-11-24 2008-06-05 Nippon Steel Corp タンデム式圧延機の板厚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7228A (ko) * 2019-08-28 2021-03-10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롤 상태 모니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5029171A1 (ja) 2017-03-02
CN105492133B (zh) 2018-03-06
JP6028871B2 (ja) 2016-11-24
TWI571328B (zh) 2017-02-21
CN105492133A (zh) 2016-04-13
WO2015029171A1 (ja) 2015-03-05
KR101767810B1 (ko) 2017-08-23
TW201507786A (zh) 2015-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7810B1 (ko)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
KR20120130261A (ko) 판두께 제어 장치, 판두께 제어 방법, 판두께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TWI726543B (zh) 板厚控制裝置及板厚控制方法
CN106984651A (zh) 一种提高轧件厚度控制精度的在线控制系统
KR20130065729A (ko) 압연기의 제어 장치
EP2697000B1 (en) Roll stripper device and method
KR102252361B1 (ko) 크로스각 동정 방법, 크로스각 동정 장치, 및 압연기
JP3902585B2 (ja) 冷間圧延における板形状制御方法
CA2700752C (en) Rolling device and method for the operation thereof
CN102513376B (zh) 四、六辊板带轧机辊系偏心相位辨识检测方法
JP2016203190A (ja) 鋼板の蛇行制御方法、鋼板の蛇行制御装置、及び鋼板の製造方法
US4483165A (en) Gaug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roll rolling mill
AU2019312459B2 (en) Method and device for ascertaining the lateral strip contour or the position of the strip edges of a running metal strip
JP6057774B2 (ja) 圧延機におけるミル伸び式の同定方法
RU2207205C2 (ru)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толщины полосы
JPH0413413A (ja) 熱間連続圧延機における通板時の板厚制御方法
KR101421784B1 (ko) 후판 롤러 교정기의 롤 형상 측정방법 및 그 장치
KR20210010540A (ko) 압연기 및 압연기의 설정 방법
CN102470411B (zh) 求取机架回弹的方法、装置、金属件制造方法及轧制机架
JP6566012B2 (ja) テーパー鋼板の矯正方法
JP6091349B2 (ja) 板クラウン予測モデルの決定方法
KR100828015B1 (ko) 판 두께 제어 장치
KR101462334B1 (ko) 압연공정에서의 판속도 예측장치 및 방법
JPS63119920A (ja) 板圧延形状制御方法及び装置
JP2001205319A (ja) 多段圧延機のクラウン制御方法及びクラウン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0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8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8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