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21784B1 - 후판 롤러 교정기의 롤 형상 측정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후판 롤러 교정기의 롤 형상 측정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784B1
KR101421784B1 KR1020110138438A KR20110138438A KR101421784B1 KR 101421784 B1 KR101421784 B1 KR 101421784B1 KR 1020110138438 A KR1020110138438 A KR 1020110138438A KR 20110138438 A KR20110138438 A KR 20110138438A KR 101421784 B1 KR101421784 B1 KR 101421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radius
point
average value
reference poi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8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1102A (ko
Inventor
고성현
문창호
김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138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784B1/ko
Publication of KR20130071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1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78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02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by roll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롤러 교정기의 작업롤 마모 내지 편심 등 그 형상을 측정하여 정량적인 데이터를 추출, 롤러 교정기의 교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후판 롤러 교정기의 롤 형상 측정방법 및 그 장치가 소개된다.
본 발명의 후판 롤러 교정기의 롤 형상 측정방법은, 롤 반경 초기값과, 롤을 회전시키면서 직접 측정한 롤 반경 측정값과, 롤 외주면의 임의의 3점을 연결하여 형성된 원의 반경에 해당하는 롤 반경 작도값을 비교하여 롤의 마모 및 편심 상태를 측정하고, 상기 롤 반경 작도값은 임의의 3점을 복수 회 선정하여 형성된 복수 개의 원의 반경에 해당하는 복수 개의 롤 반경을 평균적으로 계산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롤의 배럴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롤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롤의 최저점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기준포인트를 확정하는 기준포인트 설정과정; 상기 기준포인트를 중심으로 좌, 우측으로 동일 간격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롤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좌측포인트 및 우측포인트를 확정하는 양측포인트 설정과정; 상기 기준포인트, 좌측포인트 및 우측포인트를 연결하여 형성된 원의 반경에 해당하는 롤의 반경을 산출하는 롤 반경 산출과정 및 상기 기준포인트 설정과정, 양측포인트 설정과정 및 롤 반경 산출과정을 반복 실시한 후 롤 반경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롤 반경 평균값 산출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후판 롤러 교정기의 롤 형상 측정방법 및 그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ROLL GAPS IN LEVELLER OF THICK STEEL SHEET}
본 발명은 후판 롤러 교정기의 롤 형상 측정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거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후판 롤러 교정기의 롤의 형상을 측정함으로써 롤 교체주기 및 롤 상태를 파악, 교정기 설비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교정 선능을 개선한, 후판 롤러 교정기의 롤 형상 측정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후판 압연 라인에 설치되는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판 생산 공정에서는 압연기를 이용하여 후판을 생산하는바, 후판 압연재는 강도 향상을 위하여 냉각장치를 거치게 되며, 롤러 교정기를 통과하여 최종 제품인 후판으로 탄생하게 된다.
후판 생산 공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먼저 가열로에서 일정 온도로 가열된 후판 압연재는 폭내기 압연기를 통과하면서 수요자가 요구하는 폭으로 압연되며, 이러한 폭내기 압연기와 연속적으로 배치된 길이내기 압연기를 통과하면서 일정한 두께 및 길이로 가공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일정 폭, 길이, 두께가 형성된 후판 압연재는 예비롤러 교정기, 냉각장치 및 열간 교정기를 통과하면서 판의 평탄도가 양호해진다.
후판 생산시 폭내기 압연기 및 길이내기 압연기에서 후판의 평탄도를 양호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들이 행하여지고 있는바, 그럼에도 불구하고 후판의 평탄도가 확보되지 않은 경우, 후판 압연재는 후속 공정인 롤러 교정기를 통과하면서 평탄도를 확보하게 된다.
롤러 교정기는 판 변형을 억제하여 판의 평탄도를 제어할 수 있는 수단으로 프리벤딩(prebending)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프리벤딩 기능은, 작업롤을 굽혀 폭 방향 롤갭에 차이를 두어, 폭 방향 연신율 분포를 다르게 하는 기능이다.
일반적으로, 판재 교정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인자들이 존재하지만,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인자는 판재의 두께와 관련된 것이다.
롤러 교정기에 정보와는 다른 두께의 판재가 치입되는 경우, 최악의 경우에는 판재가 설비에 끼이는 사고까지 유발될 수 있는바, 롤러 교정기는 판재의 두께에 대한 민감성 때문에, 작업롤 자체의 마모 정도 및 이러한 마모에 따른 편심 정도를 확인한 후에, 작업롤 교체 또는 표면 연마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바, 이러한 설비 정비 후에는 롤러 교정기를 다시 영점으로 조정하고, 모델의 설정값을 보정하여야 한다.
현재까지는 롤러 교정기의 작업롤 수명은 설비 또는 생산량에 따라 다르지만, 약 6개월에서 1년 정도에 이르는바, 오프라인 공장에서 전체적인 정비가 수행되어지며, 사용 기간 동안에는 작업롤 마모에 대한 정량적인 관리는 전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본 발명자는 롤러 교정기의 작업롤의 롤 갭을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연구하던 중, 그 개념을 일부 출원하였으며,
이는 "후판 롤러 교정기의 롤 갭 및 하중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76020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자는, 이를 더욱 구체화, 세부화하여 종래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 끝에, 본 발명을 도출하기에 이르렀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76020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롤러 교정기의 작업롤 마모 내지 편심 등 그 형상을 측정하여 정량적인 데이터를 추출, 롤러 교정기의 교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후판 롤러 교정기의 롤 형상 측정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후판 롤러 교정기의 작업롤 형상 측정방법은, 롤 반경 초기값과, 롤을 회전시키면서 직접 측정한 롤 반경 측정값과, 롤 외주면의 임의의 3점을 연결하여 형성된 원의 반경에 해당하는 롤 반경 작도값을 비교하여 롤의 마모 및 편심 상태를 측정하고, 상기 롤 반경 작도값은 임의의 3점을 복수 회 선정하여 형성된 복수 개의 원의 반경에 해당하는 복수 개의 롤 반경을 평균적으로 계산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롤의 배럴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롤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롤의 최저점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기준포인트를 확정하는 기준포인트 설정과정; 상기 기준포인트를 중심으로 좌, 우측으로 동일 간격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롤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좌측포인트 및 우측포인트를 확정하는 양측포인트 설정과정; 상기 기준포인트, 좌측포인트 및 우측포인트를 연결하여 형성된 원의 반경에 해당하는 롤의 반경을 산출하는 롤 반경 산출과정 및 상기 기준포인트 설정과정, 양측포인트 설정과정 및 롤 반경 산출과정을 반복 실시한 후 롤 반경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롤 반경 평균값 산출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롤의 최저점에서 롤을 회전시키면서 롤의 반경값을 측정하는 롤 반경값 측정과정과, 이 롤 반경값 측정과정 및 상기 롤 반경값 측정과정에서 도출된 롤의 표면 상태를 롤의 위상에 따라 구현된 그래프를 통해 비교함으로써 롤의 마모, 편심 정도를 측정하는 계측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롤을 원주 방향으로 N 구간으로 나누어 그 구간에서의 기준포인트, 좌측포인트 및 우측포인트를 확정, 이를 연결하여 롤의 구간별 반경을 산출하되, 이를 반복 실시하여 구간별 롤의 반경 평균값을 산출하는 구간별 롤 반경 평균값 산출과정과, 상기 롤 반경 평균값 산출과정에서 산출된 롤 반경 평균값과 상기 구간별 롤 반경 평균값 산출과정에서 산출된 구간별 롤 반경 평균값을 비교함으로써 롤의 편마모 정도를 측정하는 구간별 마모 계측과정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후판 롤러 교정기의 롤 형상 측정장치는, 수평플레이트;상기 수평플레이트상에서 롤의 배럴 방향 및 이 배럴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롤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가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상기 센싱부로부터 롤 형상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롤 반경 평균값을 구현함과 동시에, 롤 반경 측정값을 구현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롤의 최저점인 기준포인트와 이 기준포인트를 중심으로 좌, 우측 방향으로 각각 동일 각도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는 좌측포인트 및 우측포인트를 연결하여 원을 형성하는 과정을 복수 회 반복, 그 원의 반경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이 롤 반경 평균값과 롤 반경 측정값을 비교할 수 있도록 롤의 위상에 따라 그래프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플레이트는 지지플레이트상에 수평조절부를 매개로 지지되고, 상기 수평조절부는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수평 여부를 센싱하는 수평감지센서와, 이 수평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수평플레이트가 경사진 경우 수평 조절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와, 상기 수평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를 매개하되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평 조절 신호를 전송받아 압축, 팽창하면서 수평플레이트의 수평을 조절하는 리니어 엑츄에이터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구성으로 인해 롤러 교정기의 작업롤 마모 내지 편심 등 그 형상을 측정하여 정량적인 데이터를 추출, 롤러 교정기의 교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후판 롤러 교정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후판 롤러 교정기의 롤 형상 측정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후판 롤러 교정기의 롤 형상 측정방법의 순서도,본 발명의 후판 롤러 교정기의 롤 형상 측정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후판 롤러 교정기의 롤 형상 측정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롤 반경값 산출 원리를 나타낸 도면,
도 6의 (a), (b)는 롤 반경 초기값, 평균값, 측정값을 원형 및 위상으로 구현한 도면,
도 7의 (a), (b)는 롤 반경 초기값, 평균값, 측정값을 롤 중심에서 dθ 간격으로 나누어 원형으로 구현한 도면,
도 8은 롤 반경 초기값, 평균값, 측정값을 롤 중심에서 dθ 간격으로 나누어 위상으로 구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후판 롤러 교정기의 롤 형상 측정방법 및 그 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후판 롤러 교정기의 롤 형상 측정장치는, 수평플레이트(10), 센싱부(20), 구동부(30) 및 데이터 처리부(4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플레이트(10)상에는 센싱부(20)가 롤의 배럴 방향 및 이 배럴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센싱부(20)는 롤과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후술할 롤 반경 평균값 산출을 위한 데이터 및 실제 측정한 롤 반경 측정값을 데이터 처리부(40)에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구동부(30)는 센싱부(20)와 결합되어 센싱부(20)가 수평플레이트(10)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데이터 처리부(40)는 센싱부(20)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전송받아 롤 반경 평균값을 산출하고, 실제 측정한 롤 반경 측정값과 비교 가능하도록 그래프화하여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하는바, 롤 반경 평균값은 후술한다.
수평플레이트(10)는 지지플레이트(50)상에 수평조절부(60)를 매개로 지지된다.
수평조절부(60)는 수평플레이트(10)가 경사진 경우, 이를 바로잡는 기능을 하는바, 수평감지센서(62)와, 제어부(66) 및 리니어 엑츄에이터(6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감지센서(62)는 수평플레이트(10)의 수평 여부를 센싱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66)에 전송한다. 이러한 수평감지센서(62)는 수평플레이트(10)의 저면 하부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플레이트(10) 저면 하부 모서리에 각각 설치된 수평감지센서(62)에서 전송된 신호는 수평플레이트(10)와 지지플레이트(50) 사이의 간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수평플레이트(10) 및 지지플레이트(50) 사이의 간격을 각각의 모서리 부분에서 센싱하여, 각각의 위치에서의 간격이 동일하지 않다면, 수평플레이트(10)는 경사지게 형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 과정은 제어부(66)에서 이루어지며, 제어부(66)는 수평플레이트(10)가 경사지게 형성된 경우, 수평플레이트(10) 및 지지플레이트(50)를 매개하는 리니어 엑츄에이터(64)에 팽창, 압축 신호를 전송하여 수평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리니어 엑츄에이터(64)는 피스톤, 실린더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수평플레이트(10)를 승강시킬 수 있다면 그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후판 롤러 교정기의 롤 형상 측정방법은, 롤 반경 초기값 즉, 마모되기 전의 진원 형태를 갖는 롤 반경에 관한 값과, 롤 외주면의 임의의 3점을 연결하여 형성된 원의 반경에 해당하는 롤 반경 작도값 및 롤을 회전시키면서 직접 측정한 롤 반경 측정값을 비교함으로써, 롤의 마모 및 편심 상태를 측정한다.
롤 반경 작도값은, 임의의 3점을 복수 회 선정하여 형성된 복수 개의 원의 반경에 해당하는 복수 개의 롤 반경을 평균적으로 계산하여 산출하는 롤 반경 평균값인 것이 바람직한 바, 이러한 롤 반경 평균값이 산출되면, 롤 반경 초기값과 비교하여 롤의 마모정도를 판단할 수 있으며, 직접 측정된 롤 반경 측정값과 비교함으로써 롤의 편심 정도를 측정할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후판 롤러 교정기 롤 형상 측정방법은, 기준포인트 설정과정(S10), 양측포인트 설정과정(S20), 롤 반경 산출과정(S30), 롤 반경 평균값 산출과정(S4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준포인트 설정과정(S10)은, 센싱부(20)가 롤의 배럴 방향 및 그 방향에 수직으로 움직이면서 롤과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롤의 최저점 위치를 확인, 이를 기준포인트로 확정하는 과정이다. 즉, 센싱부(20)가 그 상부에 위치하는 롤의 배럴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롤과의 거리를 측정하게 되는바, 센싱부(20)에서 측정된 거리가 가장 작은 부분이 롤의 최저점에 해당하는 것이다.
롤의 최저점인 기준포인트가 확정되면, 센싱부(20)는 그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기준포인트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좌측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동하여 다시 롤과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좌측포인트를 확정하며, 다시 기준포인트에서 좌측으로 이동한 거리만큼, 기준포인트를 중심으로 우측으로 이동하여 롤과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우측포인트를 확정하게 되는바, 이 과정이 양측포인트 설정과정(S20)에 해당한다.
이후에는, 기준포인트, 좌측포인트, 우측포인트를 연결하여 형성된 원의 반경에 해당하는 롤의 반경을 산출하는 롤 반경 산출과정(S30)이 진행된다.
도 5를 참조로, 롤 반경 산출과정(S30)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롤의 중심을 O(X0,YO), 기준포인트를 B(X2,Y2), 좌측포인트를 A(X1,Y1), 우측포인트를 C(X3,Y3)라 가정한다.
또한, mr = (Y2-Y1)/(X2-X1) , mt = (Y3-Y2)/(X3-X2)라 하면,
롤의 중심 좌표인 O(X0,YO) 및 롤 반경 R은 아래와 같이 표현된다.
X0 = [mr*mt(Y3-Y1)+mr(X2+X3)-mt(X1+X2)]/[2*(mr-mt)]
Y0 = -1/mt * [X0-(X2+X3)/2]+(Y2+Y3)/2
R = [(X1-X0)2+(Y1-Y0)2]0.5
= [(X2-X0)2+(Y2-Y0)2]0.5
= [(X3-X0)2+(Y3-Y0)2]0.5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방법에 의해 롤 반경 산출과정(S30) 이후에는, 기준포인트 설정과정(S10), 양측포인트 설정과정(S20) 및 롤 반경 산출과정(S30)이 복수 회 반복되면, 복수 개의 원의 반경에 해당하는 복수 개의 롤 반경값이 산출되는바, 롤 반경 평균값 산출과정(S40)은 복수 개의 롤 반경값의 평균값을 계산하는 과정이다. 즉, 상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롤 반경을 반복 측정하면, 롤의 위치별 반경을 산출해낼 수 있으며, 위치별 반경값을 평균하면, 롤 반경 평균값이 산출되는 것이다.
센싱부(20)가 롤의 최저점과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롤을 회전시켜 롤의 실제 외주연 상태를 측정하는 롤 반경값 측정과정(S50)이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측과정(S60)에서는 롤 반경값 측정과정(S50)을 통하여 산출된 실제 롤 반경값과 상술한 롤 반경 평균값을 데이터 처리부(40) 통해 그래프로 구현한다.
한편, 도 3 및 도 7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후판 롤러 교정기의 롤 형상 측정방법은, 구간별 롤 반경 평균값 산출과정(S70) 및 구간별 마모 계측과정(S8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 반경 평균값 산출과정(S40)은, 롤을 원주 방향으로 N 구간으로 나누어 그 구간에서의 기준포인트, 좌측포인트 및 우측포인트를 확정, 이를 연결하여 롤의 구간별 반경을 산출하되, 이를 반복 실시하여 구간별 롤의 반경 평균값을 산출하는 과정이고, 구간별 마모 계측과정(S80)은, 구간별 롤 반경 평균값 산출과정(S70)과, 상기 롤 반경 평균값 산출과정(S40)에서 산출된 롤 반경 평균값과 상기 구간별 롤 반경 평균값 산출과정(S70)에서 산출된 구간별 롤 반경 평균값을 비교함으로써 롤의 편마모 정도를 측정하는 과정이다.
이렇듯, 각각의 구간에서 산출된 구간별 롤 반경 평균값을 롤 반경 평균값과 비교함으로써, 롤이 어느 위치에서 편심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는바, 구간 구분이 세분화될수록 더욱 정밀하게 편심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간 위상에 따른 롤 반경 평균값과 구간별 롤 반경 평균값을 비교하면, 롤의 편심 여부를 알 수 있는바, 롤 반경 평균값과 그 차이가 가장 큰 N번째 구간에서 롤이 가장 심하게 편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수평플레이트 20 : 센싱부
30 : 구동부 40 : 데이터 처리부
50 : 지지플레이트 60 : 수평조절부
62 : 수평감지센서 64 : 리니어 엑츄에이터
66 : 제어부

Claims (8)

  1. 롤 반경 초기값과, 롤을 회전시키면서 직접 측정한 롤 반경 측정값과, 롤 외주면의 임의의 3점을 연결하여 형성된 원의 반경에 해당하는 롤 반경 작도값을 비교하여 롤의 마모 및 편심 상태를 측정하고,
    상기 롤 반경 작도값은 임의의 3점을 복수 회 선정하여 형성된 복수 개의 원의 반경에 해당하는 복수 개의 롤 반경을 평균적으로 계산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롤의 배럴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롤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롤의 최저점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기준포인트를 확정하는 기준포인트 설정과정;
    상기 기준포인트를 중심으로 좌, 우측으로 동일 간격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롤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좌측포인트 및 우측포인트를 확정하는 양측포인트 설정과정;
    상기 기준포인트, 좌측포인트 및 우측포인트를 연결하여 형성된 원의 반경에 해당하는 롤의 반경을 산출하는 롤 반경 산출과정; 및
    상기 기준포인트 설정과정, 양측포인트 설정과정 및 롤 반경 산출과정을 반복 실시한 후 롤 반경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롤 반경 평균값 산출과정을 포함하는, 후판 롤러 교정기의 롤 형상 측정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롤의 최저점에서 롤을 회전시키면서 롤의 반경값을 측정하는 롤 반경값 측정과정과, 이 롤 반경값 측정과정 및 상기 롤 반경값 측정과정에서 도출된 롤의 표면 상태를 롤의 위상에 따라 구현된 그래프를 통해 비교함으로써 롤의 마모, 편심 정도를 측정하는 계측과정을 포함하는, 후판 롤러 교정기의 롤 형상 측정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롤을 원주 방향으로 N 구간으로 나누어 그 구간에서의 기준포인트, 좌측포인트 및 우측포인트를 확정, 이를 연결하여 롤의 구간별 반경을 산출하되, 이를 반복 실시하여 구간별 롤의 반경 평균값을 산출하는 구간별 롤 반경 평균값 산출과정과, 상기 롤 반경 평균값 산출과정에서 산출된 롤 반경 평균값과 상기 구간별 롤 반경 평균값 산출과정에서 산출된 구간별 롤 반경 평균값을 비교함으로써 롤의 편마모 정도를 측정하는 구간별 마모 계측과정을 더 포함하는, 후판 롤러 교정기의 롤 형상 측정방법.
  6. 수평플레이트;
    상기 수평플레이트상에서 롤의 배럴 방향 및 이 배럴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롤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가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상기 센싱부로부터 롤 형상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롤 반경 평균값을 구현함과 동시에, 롤 반경 측정값을 구현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롤의 최저점인 기준포인트와 이 기준포인트를 중심으로 좌, 우측 방향으로 각각 동일 각도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는 좌측포인트 및 우측포인트를 연결하여 원을 형성하는 과정을 복수 회 반복, 그 원의 반경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이 롤 반경 평균값과 롤 반경 측정값을 비교할 수 있도록 롤의 위상에 따라 그래프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판 롤러 교정기의 롤 형상 측정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평플레이트는 지지플레이트상에 수평조절부를 매개로 지지되고, 상기 수평조절부는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수평 여부를 센싱하는 수평감지센서와, 이 수평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수평플레이트가 경사진 경우 수평 조절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와, 상기 수평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를 매개하되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평 조절 신호를 전송받아 압축, 팽창하면서 수평플레이트의 수평을 조절하는 리니어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후판 롤러 교정기의 롤 형상 측정장치.
  8. 삭제
KR1020110138438A 2011-12-20 2011-12-20 후판 롤러 교정기의 롤 형상 측정방법 및 그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421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438A KR101421784B1 (ko) 2011-12-20 2011-12-20 후판 롤러 교정기의 롤 형상 측정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438A KR101421784B1 (ko) 2011-12-20 2011-12-20 후판 롤러 교정기의 롤 형상 측정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102A KR20130071102A (ko) 2013-06-28
KR101421784B1 true KR101421784B1 (ko) 2014-07-24

Family

ID=48865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8438A Expired - Fee Related KR101421784B1 (ko) 2011-12-20 2011-12-20 후판 롤러 교정기의 롤 형상 측정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17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49471B (zh) * 2019-07-17 2021-05-28 首钢京唐钢铁联合有限责任公司 一种轧辊平行关系检测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0223A (ko) * 2009-04-02 2010-10-12 주식회사 포스코 롤의 형상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0223A (ko) * 2009-04-02 2010-10-12 주식회사 포스코 롤의 형상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102A (ko) 201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52358B (zh) 一种宽厚板镰刀弯矫正方法
CN102784804B (zh) 差厚板的制造方法及轧制装置
US8217377B2 (en) Device with movable sensor for measuring the width and/or the position of a metal strip or slab
CN101879542B (zh) 一种以预定半径连续弯曲长工件的机器
JP6003583B2 (ja) 形状評価方法、鋼板形状矯正方法、及び鋼板製造方法
CN110508627B (zh) 电磁调控轧辊调控能力综合测试平台及测试方法
KR101767810B1 (ko) 압연기의 판 두께 제어 장치
KR101777592B1 (ko) 금속봉의 직진도 자동 교정 장비 및 금속봉의 직진도 자동 교정 방법
CN104950802A (zh) 热连轧机飞剪动态剪切量控制方法
KR101421784B1 (ko) 후판 롤러 교정기의 롤 형상 측정방법 및 그 장치
CN100546735C (zh) 轧机调零轧制压力采集方法
WO2008095267A1 (en) Telescopicity corrector device for hot strip mill
JP2837219B2 (ja) ロールプロファイルの測定方法および装置
WO2010109637A1 (ja) 基準位置調整監視装置
KR101356805B1 (ko) 스트립 평탄도 측정 장치
KR101290488B1 (ko) 열연강판 진행 위치 조절 장치 및 방법
JP7207448B2 (ja) 鋼板の矯正位置算出方法及び鋼板の製造方法
KR101220764B1 (ko) 롤 프로파일 측정 방법 및 장치
KR20130002405A (ko) 열간압연설비의 슬라브 형상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443095B1 (ko) 소재 상향 교정장치
CN116234643A (zh) 用于轧制金属带材的设备和方法
CN102470411B (zh) 求取机架回弹的方法、装置、金属件制造方法及轧制机架
TWI622435B (zh) 金屬板材輥軋曲彎成形回彈補償機構
KR101148903B1 (ko) 압연강판의 두께 측정 방법
KR100910491B1 (ko)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을 통한 소재의 목표형상 자동판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7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