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116855A -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 - Google Patents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6855A
KR20150116855A KR1020157021842A KR20157021842A KR20150116855A KR 20150116855 A KR20150116855 A KR 20150116855A KR 1020157021842 A KR1020157021842 A KR 1020157021842A KR 20157021842 A KR20157021842 A KR 20157021842A KR 20150116855 A KR20150116855 A KR 20150116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bottom bar
take
shaft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1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미오 사사키
나오토 사와구치
Original Assignee
세이키 주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키 주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키 주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16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855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4Combinations of lamellar blinds with roller shutters, screen windows, windows, or double panes; Lamellar blinds with specia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6Details of cords, e.g. buckles, drawing knob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4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roller-type; Roller shutters with adjustable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06B2009/2435Two vertical sheets and slats in-betw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Blinds (AREA)

Abstract

(과제)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16, 17)을 그들 사이에 부착된 다수의 조광용의 슬랫(18)과 함께 권취축(12)에 와인딩되도록 한 윈도우 스크린에 있어서, 양 스크린의 하단의 보톰 바를 스크린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16, 17)과 그들 사이에 등간격으로 틸팅 가능하게 부착된 슬랫(18)을 권취축(12)에 와인딩하도록 하고, 제 1 스크린의 양측 단은 가이드 레일(24)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 스크린의 하단에 각각 측부 프레임(23)에 의해 개별로 가이딩시킨 보톰 바(26, 27)를 부착한다. 양 스크린은 그것을 스크린 프레임내에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슬랫이 채용할 수 있는 임의의 경사 자세에 있어서, 하단의 보톰 바(26, 27) 중 어느 하나가 스크린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에 접촉한다.

Description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WINDOW SCREEN WITH BLIND FUNCTION}
본 발명은 건물 개구부 등에 설치하여 방충, 통풍, 차광, 차양, 가리개 등을 행하기 위한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건물 개구부에 설치하고, 슬랫의 경사 각도를 가변하게 하는 블라인드의 기능을 지닌 윈도우 스크린은 이미 알려져 있다. 이 윈도우 스크린을 포함하는 스크린 장치는 권취축에 의해 와인딩되는 네트 또는 시트 형상의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의 일면측에 대략 등간격으로 틸팅 가능하게 부착되고, 유단(遊端)측을 네트 등의 가요 연결재에 대하여 스크린으로의 부착 간격과 대략 등간격으로 연결해서 이루어지는 다수의 슬랫과,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린을 그것에 부착된 슬랫 및 가요 연결재 등과 함께 와인딩하는 권취축을 구비하고, 상기 스크린이 권취축으로부터 조출되어 건물 개구부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슬랫의 유단측을 스크린에 대하여 틸팅 가능하게 한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2에도 동종의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 종류의 스크린 장치에 있어서는 권취축에 와인딩된 스크린, 슬랫 및 네트 등의 가요 연결재 등을 상기 권취축으로부터의 리와인딩에 의해 건물 개구부에 설치하는데 있어서는 슬랫으로 차광하기 위해서, 그들의 스크린 등의 하단에 설치한 보톰 바가 스크린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에 도달할 때까지는 각 슬랫을 스크린을 따르는 차광 상태로 유지 가능으로 하고, 또한 상기 보톰 바가 스크린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에 도달한 후에는 적어도 어떠한 조작에 의해, 슬랫의 유단측을 스크린에 대하여 적당한 경사 각도로 틸팅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할 필요가 있다. 게다가, 상기 보톰 바가 스크린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에 도달한 상태에 있어서, 그 슬랫의 유단측의 적당한 경사 각도에서의 틸팅에 있어서, 바람 등에 의한 덜컥거림이나 벌레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보톰 바가 스크린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항상 이간되지 않는 상태로서 그 조작을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어 슬랫의 경사 각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스크린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고찰하면, 상기 스크린 장치에 있어서는 회전 가능한 권취축(2)에 와인딩되어 있는 부분의 다수의 슬랫(5)의 일단이 부착된 스크린(4)의 하단과, 다수의 슬랫(5)의 타단이 부착된 가요 연결재(6)의 하단 사이에, 단일의 보톰 바(8)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구성적으로 간소화되어 있는 점에서는 뛰어나지만, 그 구성에 기인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스크린(4)의 하단과 가요 연결재(6)의 하단 사이에 단일인 보톰 바(8)를 부착하는 구성을 채용하면, 그 스크린 장치를 설치하는 건물 개구부 상하방향의 개구 길이에 따라서, 스크린이나 가요 연결재의 길이를 간이하게 조정하는 것이 곤란하고, 예를 들면 스크린의 하단에 부착된 보톰 바를 상기 슬랫의 경사 자세에 상관없이 항상 스크린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접촉시켜, 바람 등에 의한 덜컹거림이나 상기 하부 프레임과의 사이에 간극이 생겨서 현저하게 외관이 손상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곤란하고, 그리고 상기 스크린으로서 방충용 네트를 사용하고, 스크린 장치를 방충 윈도우 스크린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부 프레임과 보톰 바 사이에 간극이 생기면, 그것이 벌레의 진입로가 된다. 또한, 스크린이나 가요 연결재가 건물 개구부 상하 방향의 개구 길이보다도 길어지는 경우에는 그들에 발생되는 휨에 의해 슬랫의 경사 자세가 불안정해진다.
상기 하부 프레임과 보톰 바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쉬운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권취축(2)에 와인딩되어 있는 스크린(4)과 가요 연결재(6)의 하단 사이에 단일의 보톰 바(8)를 부착해서 구성을 간이화하고 있는 것에서 기인하고, 상기 보톰 바(8)의 자세가 바람 등으로 불안정하게 되기 때문이고, 그래서, 도 19의 (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톰 바(8)의 하부 프레임(9)에 대한 접촉면(8a)을 원호면으로 함으로써 보톰 바(8)의 자세를 안정화하는 것을 시도해 보았지만, 이 경우에도 한쌍의 스크린(4)과 가요 연결재(6)의 길이를 스크린 프레임내의 상하간 치수에 적합시켜서 스크린 장치를 현장에 설치하지 않으면, 보톰 바(8)와 하부 프레임(9) 사이에 간극이 생기고 게다가, 보톰 바(8)의 바람 등에 의한 덜컹거림을 가이드 등으로 방지할 수 없는 점에서 어려움이 있다.
일본특허공개 2000-110462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평6-88469호 공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권취축에 의해 상부에 와인딩되는 제 1 스크린과 제 2 스크린 사이에, 다수의 조광(調光) 또는 차광용의 슬랫의 양 단을 각각의 스크린에 대하여 등간격으로 틸팅 가능하게 부착하고, 상기 슬랫을 상기 양 스크린과 함께 겹쳐서 권취축에 와인딩하도록 한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양 스크린의 하단에 개별적으로 부착한 보톰 바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슬랫의 경사 자세에 상관없이 항상 스크린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접촉하고, 그 자세가 바람 등으로 불안정해지거나 상기 하부 프레임과의 사이에 간극이 생겨서 외관이 손상되거나, 또한 상기 간극이 벌레의 진입로가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한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방충, 통풍을 확보하는 윈도우 스크린으로서는 물론, 스크린 설치면의 전면을 슬랫으로 덮은 차양 또는 가리개 상태로 하거나, 상기 슬랫의 각도 조절에 의하여 조광, 차광도 가능하게 한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하면, 권취축에 의해 상부에 와인딩되는 네트 형상의 투광성을 갖는 제 1 스크린과, 상기 권취축에 상기 제 1 스크린과 함께 겹쳐서 와인딩되는 네트 형상의 투광성을 갖는 제 2 스크린과, 상기 제 1 스크린과 제 2 스크린 사이에 연결되는 다수의 슬랫으로서, 양 단이 상기 양 스크린에 대하여 등간격으로 틸팅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과 함께 상기 권취축에 와인딩 가능한 가요성을 갖는 시트 형상의 일정 폭을 갖는 조광 또는 차광용의 상기 슬랫으로 구성된 스크린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스크린 유닛은 상기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이 겹쳐서 와인딩되도록 양 스크린의 각 일단이 상기 권취축의 둘레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 1 스크린은 그 좌우 측 단부를 따라서 다수의 결합자를 부착하고, 이 결합자를 스크린 프레임의 측부 프레임에 있어서의 가이드 레일의 슬릿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상기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은 그들의 하단에 각각 개별적으로 제 1 보톰 바 및 제 2 보톰 바를 부착하고, 적어도 상기 제 1 스크린의 하단에 부착된 제 1 보톰 바는 그 양 단의 상하 이동을 상기 측부 프레임의 가이드 홈에 의해 가이딩시키고, 상기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은 양 스크린을 스크린 프레임에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슬랫이 채용할 수 있는 임의의 경사 자세에 있어서, 그들의 하단의 보톰 바 중 어느 하나가 스크린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에 접촉하도록 그들의 길이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이 제공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에 있어서는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의 하단에 각각 개별적으로 제 1 보톰 바 및 제 2 보톰 바를 부착하고, 적어도 제 1 보톰 바는 그 양 단의 상하 이동을 상기 측부 프레임의 가이드 홈에 의해 가이딩시키고, 게다가 상기 제 1 스크린의 결합자를 스크린 프레임의 측부 프레임에 있어서의 가이드 레일의 슬릿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있음으로써 상기 제 1 스크린은 그 하단의 보톰 바에 의해, 그 리와인딩 상태의 여하에 상관없이 스크린 프레임내에 긴장 상태로 설치할 수 있어 그것에 따라서, 이 제 1 스크린에 슬랫에 의해 연결됨과 아울러 하단에 제 2 보톰 바를 부착하고 있는 제 2 스크린도, 특별한 상태를 제외하고 스크린 프레임내에 있어서 긴장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의 길이를 그들이 스크린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슬랫이 채택할 수 있는 임의의 경사 자세에 있어서, 그들의 하단의 보톰 바 중 어느 하나가 항상 스크린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에 접촉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어느 하나의 보톰 바가 스크린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접촉하고, 그 자세가 바람 등으로 불안정해지거나, 상기 하부 프레임과의 사이에 간극이 생겨서 외관이 손상되거나 하는 경우가 없고, 또한 상기 간극이 벌레의 진입로가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의 권취축에 대한 부착이 상기 권취축의 리와인딩 회전에 의한 양 스크린의 강하에 의해 제 1 보톰 바 및 제 2 보톰 바가 동시에, 또는 제 1 보톰 바가 제 2 보톰 바에 선행하는 경우 없이 스크린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에 도달한 후에, 제 2 스크린이 권취축에 대하여 역권취의 상태가 되고, 상기 제 2 스크린을 제 1 스크린에 대하여 상동시키는 치수 관계를 갖는 것으로서 구성되고, 이것에 의해 제 1 보톰 바 및 제 2 보톰 바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하부 프레임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각 슬랫이 제 2 스크린측에 있어서 상하동하는 경사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양 스크린의 강하에 의해, 어느 하나의 보톰 바가 스크린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에 대하여 접촉한 후에, 상기 각 슬랫이 제 2 스크린측에 있어서 상하동하는 경사 자세를 취하는 사이에는 어느 하나의 보톰 바가 스크린에 의한 와인딩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그 자중에 의해 하부 프레임에 안정적으로 접촉하고, 과도한 와인딩을 행하지 않는 한, 그 보톰 바의 부상이 확실하게 억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권취축의 리와인딩 회전에 의한 양 스크린의 강하시에, 양 스크린에 각각 연결된 다수의 슬랫이 제 1 스크린에 대하여 제 2 스크린을 매달고, 그것에 의해 제 2 스크린 및 그 하단의 제 2 보톰 바가 제 1 스크린에 지지되어서 현수되는 상태가 되는 치수 관계를 가짐으로써, 상기 양 스크린이 상기 권취축에 대하여 부착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스크린이 그 좌우측 단부에 설치한 다수의 결합자를 스크린 프레임의 측부 프레임에 있어서의 가이드 레일의 슬릿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있는 것에 대해, 제 2 스크린의 좌우측 단부는 측부 프레임에 가이딩되지 않고 있으므로 프리한 상태로 있고, 그러나, 제 1 스크린에 대하여 다수의 슬랫에 의해 제 2 스크린 및 그 하단의 제 2 보톰 바가 매달린 상태에 있고, 그 때문에 양 스크린의 하단에 설치한 보톰 바가 스크린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에 도달할 때까지는 제 2 스크린 및 제 2 보톰 바가 그들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제 1 스크린을 따르는 방향으로 끌어 당겨진 상태로 유지되어서 현수되어 있고, 특히 제 2 스크린을 제 1 스크린에 평행에 가까운 상태로 적극적으로 유지하지 않아도, 슬랫이 제 1 스크린에 근접해서 평행에 가까운 상태로 유지된다. 반대로, 후술과 같이, 제 2 보톰 바가 어느 정도 제 1 보톰 바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어서 가이딩되었다고 하여도, 제 2 스크린은 제 1 스크린에 근접한 평행에 가까운 상태로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슬랫이 폭방향의 양측부에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과 연결하기 위한 일정 폭의 연결 마진을 갖고, 상기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 사이에 상기 슬랫을 설치하고, 그들이 평면 형상을 이루도록 경첩했을 때에, 제 1 스크린에 연결한 슬랫의 일측부의 연결 마진에 대하여, 인접하는 슬랫의 제 2 스크린 에 대한 연결 마진이 겹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인접하는 슬랫이 제 2 스크린에 대하여 연결되고, 이 반복에 의해 스크린 유닛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제 1 스크린에 대하여 다수의 슬랫에 의해 제 2 스크린 및 그 하단의 제 2 보톰 바를 매달고, 제 2 스크린 및 제 2 보톰 바가 그들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제 1 스크린을 따르는 방향으로 끌어 당겨진 상태에서 현수되어 있을 때에는 각 슬랫이 그 양측부의 연결 마진에 있어서 순차 겹치도록 되고, 상기 슬랫에 의한 조광 내지 차광에 불필요한 부분이 발생되는 경우가 없고, 게다가 다수의 상기 슬랫이 등간격으로 정렬되어 디자인적으로 미관을 나타내는 것이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스크린의 하단에 부착된 제 2 보톰 바의 양 단의 상하 이동을,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각종 형태로 가이딩하고, 또는 그 가이드를 생략할 수 있다.
우선, 그 제 1 가이드 형태는 상기 제 2 스크린의 하단에 부착된 제 2 보톰 바의 양 단의 상하 이동을 상기 측부 프레임에 있어서의 제 1 보톰 바의 가이드 홈에 근접시켜서 설치한 제 2 보톰 바의 가이드 홈에 의해 가이딩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양 가이드 홈을 제 1 보톰 바 및 제 2 보톰 바가 서로 접촉하지 않는 범위에서 근접하도록 형성하게 된다.
이 제 1 가이드 형태에서는 상기 권취축의 리와인딩 회전에 의해 양 스크린을 강하시킬 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스크린에 대하여 다수의 슬랫에 의해 제 2 스크린 및 그 하단의 제 2 보톰 바가 매달린 상태에 있기 때문에, 양 스크린의 하단에 설치한 보톰 바가 스크린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에 도달할 때까지는 제 2 스크린 및 제 2 보톰 바의 중력에 의해 그들이 제 1 스크린을 따르는 방향으로 끌어 당겨진 상태로 유지된다. 게다가, 제 2 보톰 바를, 그 양 단의 상하 이동을 제 1 보톰 바의 가이드 홈에 근접시킨 상기 가이드 홈에 의해 가이딩시키면, 양 스크린의 강하시에, 슬랫이 한층 더 제 1 스크린에 근접해서 그것에 평행에 가까운 상태로 유지되고, 이것에 의해 양 스크린의 강하시에 다수의 슬랫을 가급적으로 제 1 스크린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배향시켜 상기 슬랫에 의한 차폐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단, 제 2 스크린의 하단에 부착된 제 2 보톰 바의 양 단을 제 1 스크린의 가이드 홈에 근접한 가이드 홈에 의해 가이딩하므로, 제 2 스크린의 하단의 제 2 보톰 바가 하부 프레임에 이르고, 권취축에 의한 제 2 스크린의 역권취에 의해 제 2 스크린의 매달린 위치가 제 1 스크린으로부터 떨어진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는 제 2 스크린 자체는 가이딩되지 않고 있으므로 상기 매달린 위치로부터 어느 정도 곧게 현수되어 있지만, 상기 제 2 스크린은 그 하부까지 곧게 현수되어 있지 않고, 제 1 스크린측으로 약간 당겨진 상태가 되어서 약간 느슨함이 나타나는 것이 된다. 그 느슨함이 스크린의 하부에서 눈에 뜨이지 않도록 설치할 수 있는 경우에는 기능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지만, 다음의 제 2 가이드 형태를 채용함으로써 그것을 해소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의 제 2 가이드 형태는 상기 제 2 스크린의 하단에 부착된 제 2 보톰 바의 양 단의 상하 이동을 가이딩하는 상기 측부 프레임의 가이드 홈을, 상기 측부 프레임에 있어서의 제 1 보톰 바의 가이드 홈에 근접시켜서 설치하지만, 상기 가이드 홈의 하부에 있어서는 상기 슬랫의 경사 자세를 조정할 수 있는 범위로까지 양 스크린이 강하하고 있는 범위에 있어서, 제 2 보톰 바의 양 단을 상기 가이드 홈으로부터 해방하도록 하고, 그 상에서 스크린 프레임의 하부에, 제 2 보톰 바가 권취축에서 현수한 상태로부터 스크린 프레임을 분리하는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용 어태치먼트를 부설하는 구성이다.
이 제 2 가이드 형태는 제 2 스크린의 하단의 제 2 보톰 바의 가이드 홈을 없애고 있지만, 상기 제 2 보톰 바의 가이드 홈이 존재하는 범위내에 있어서는 제 1 가이드 형태와 동일한 형태를 구비하기 때문에, 제 1 가이드 형태와 동일한 동작을 행하게 된다. 그리고, 이 제 2 가이드 형태에서는 제 2 보톰 바의 양 단이 상기 가이드 홈에 의한 가이드로부터 해방된 후에는 상기 스크린 프레임의 하부에 있어서 가이드 홈의 홈 폭을 넓히고, 게다가 제 2 보톰 바가 권취축으로부터 현수한 상태에서 스크린 프레임을 분리하는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용 어태치먼트를 부설하고 있으므로, 상기 보톰 바가 제 2 스크린을 곧게 현수시키는 것이 되고, 상기 제 2 스크린의 하부 등의 부분적인 느슨함은 해소되고, 바람 등에 의한 제 2 보톰 바의 극단적인 움직임도 상기 어태치먼트에 의해 억제된다.
제 2 보톰 바의 양 단의 상하 이동에 관한 제 3 가이드 형태는 상기 제 2 스크린의 하단에 부착된 제 2 보톰 바를 그 양 단의 상하 이동을 무가이드로서 제 2 스크린에 매다는 구성이다.
이 제 3 가이드 형태에 있어서는 제 2 보톰 바의 양 단의 상하 이동을 가이딩하는 가이드 홈은 존재하지 않지만, 제 1 스크린에 대하여 다수의 슬랫에 의해 제 2 스크린 및 그 하단의 제 2 보톰 바가 매달려 있는 점에서, 상기 제 1 형태에 관해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양 스크린의 보톰 바 중 어느 하나가 스크린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에 도달할 때까지는 제 2 스크린이 제 1 스크린에 평행에 가까운 상태로 유지된다. 즉, 제 2 보톰 바의 가이드 홈이 없어도 약간 제 2 보톰 바의 동작이 불안정해질 가능성은 있다하여도 거의 상기와 동일한 동작을 행하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제 2 가이드 형태와 동일하게 제 2 보톰 바의 극단적인 움직임을 억제하는 이동 제한용 어태치먼트를 부설함으로써, 제 2 스크린의 하부 등의 부분적인 느슨함이 억제되어 제 2 보톰 바의 바람직하지 않은 유동도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보톰 바의 제 4 가이드 형태는 상기 권취축의 리와인딩 회전에 의한 양 스크린의 강하 후에, 상기 제 2 스크린이 권취축에 대하여 역권취의 상태가 되고, 권취축으로부터의 제 2 스크린의 도출 위치가 제 1 스크린으로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 2 스크린이 권취축으로부터 매달리는 위치를 최대 이간 위치로 하여, 측부 프레임에 있어서의 제 1 보톰 바의 가이드 홈으로부터 일정 길이 이간한 위치에 있어서 제 2 보톰 바의 상하 이동을 가이딩하는 가이드 홈을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 홈에 제 2 보톰 바의 양 단을 가이딩시키는 구성이다.
이 제 4 가이드 형태에 의하면, 제 2 보톰 바의 가이드 홈을 제 1 보톰 바의 가이드 홈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므로, 그 가이드 홈에 의해 제 2 보톰 바의 양 단이 가이딩되지만, 제 2 스크린 자체는 가이딩되지 않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양 스크린의 보톰 바 중 어느 하나가 스크린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에 도달할 때 까지는 제 2 스크린이 제 1 스크린에 평행에 가까운 상태로 유지되고, 또한 제 2 스크린의 권취축에 대한 역권취가 시작되면, 제 2 보톰 바가 상기 가이드 홈에 가이딩되어 있는 점으로부터, 제 2 스크린이 상기 가이드 홈에 가이딩된 제 2 보톰 바로부터 기립 상태에서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홈이 제 1 스크린으로부터 가장 떨어진 상기 최대 이간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제 2 보톰 바로부터 상방으로 거의 수직으로 설치되고, 제 2 보톰 바의 상동 위치에 따라서 슬랫이 경사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권취축에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을 겹쳐서 와인딩한 상태에서는 와인딩한 제 1 스크린의 측 단부를 따라서 부착되어 있는 결합자의 권취 스크린 표면으로부터의 도출 위치가 측부 프레임에 있어서의 상기 결합자의 가이드 레일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권취축을 수용하는 권취 박스내에 있어서의 상기 권취축의 지지 위치가 설정되고, 또한 상기 권취축으로부터의 양 스크린의 리와인딩에 의해 제 2 스크린이 상기 권취축에 있어서의 제 1 스크린 도출측과는 반대의 둘레측 면으로부터 현수된 상태에서는 그 현수 위치가 상기 제 1 스크린의 설치 위치에 대하여 양 스크린 사이에 부착되어 있는 슬랫이 최대 길이를 취하는 위치가 되도록 상기 권취 박스내로의 권취축의 지지 위치가 설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권취축에 의해 상부에 와인딩되는 제 1 스크린과 제 2 스크린 사이에 다수의 슬랫의 양 단을 부착한 상기 스크린 유닛을 양 스크린을 겹쳐서 권취축에 와인딩되도록 한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에 있어서는 그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을 스크린 프레임내 전면에 설치해서 슬랫을 경동(傾動)시키는 경우에,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 사이의 간격이 권취축에 의해 적절한 간격으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때문에 권취축의 지름을 양 스크린의 상기 슬랫 경동시의 간격과 거의 동등하게 하는 것이 적절하지만, 권취축의 지름을 그렇게 설정하면, 슬랫 자체가 어느 정도의 폭을 갖고 있는 점에서 권취축에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을 겹쳐서 와인딩했을 때의 권취 지름이 커지고, 그것만으로 권취 박스의 내용적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권취축의 지지 위치에 관한 실시형태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고,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와인딩한 제 1 스크린의 측 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결합자의 상기 권취 스크린 표면으로부터의 도출 위치를, 측부 프레임에 있어서의 상기 결합자의 가이드 레일의 상방에 위치시키고 있으므로, 권취축으로부터 양 스크린을 되감았을 때에는 제 1 스크린이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의한 결합자의 가이드에 의해, 권취축으로부터 양 스크린의 권취 두께만큼 떨어진 위치에 있어서 현수되는 것이 되고, 그 때문에 권취축의 축 지름을 작게 해서, 제 2 스크린을 권취축에 있어서의 제 1 스크린 도출측과는 반대의 둘레측 면으로부터 현수시킴으로써,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의 간격을 적절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즉, 권취축의 축 지름을 작게 해서,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을 겹쳐서 권취했을 때의 권취 지름을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윈도우 스크린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스크린의 하단에 부착되는 제 1 보톰 바를 보톰 바 본체에 그 하부로부터 치수 조정용의 보조 빔이 출몰 가능하게 부설된 것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의 길이가 이 윈도우 스크린을 설치하는 건물 개구부 상하방향 길이에 비해서 약간 짧은 경우나 또는 어떠한 이유에서, 제 1 스크린의 하단의 제 1 보톰 바의 하강시에, 상기 보톰 바와 스크린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경우 등에, 스크린 유닛을 교환하거나 하지 않고, 간단하게 상기 간극을 없애기 위해서 유효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윈도우 스크린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적어도 상기 제 1 스크린을 방충용 네트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권취축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한 권취 박스에 있어서의 하부의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이 도출되는 개구부에 있어서, 제 1 스크린의 측 단의 결합자가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범위내에서 상기 제 1 스크린에 대향하는 권취 박스의 개구부 가장자리에, 권취축으로부터 도출되는 제 1 스크린에 근접 또는 접촉해서 그 사이의 벌레류의 통과를 억제하는 간극 밀봉재를 설치한 것으로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 사이에 슬랫을 부착한 상기 스크린 유닛을 사용하고, 상기 슬랫을 경동시키도록 한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에 있어서는 권취 박스에 있어서의 제 1 스크린이 도출되는 개구부로부터 상기 권취 박스내에 벌레 등이 침입하면, 그것이 실내측으로 침입하거나, 권취 박스내에 있어서 스크린 유닛의 측 단으로부터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 사이에 침입해서 탈출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많고, 그들이 제 2 스크린을 통하여 실내측으로부터 시인되므로, 대단히 보기 안좋고, 게다가 거기에 벌레류의 시해가 쌓이면 윈도우 스크린이 사용에 견딜 수 없는 것이 된다.
그러나, 상술한 권취 박스의 소요 위치에 간이한 간극 밀봉재를 설치함으로써,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 간에 벌레가 침입하거나, 외부로부터 실내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윈도우 스크린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슬랫을 차광성이 있는 시트에 의해 형성하고, 인접하는 슬랫을 그들 간으로부터 빛이 새지 않도록 배열시킴과 아울러, 제 1 스크린의 좌우측 단을 따라서 부착되는 다수의 결합자의 지지대 또는 상기 스크린 프레임의 측부 프레임에 설치한 차광 프레임에 의해, 제 1 스크린의 좌우측 단을 따르는 빛샘을 차단하고, 또한 상기 권취축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한 권취 박스에 있어서의 하부의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이 도출되는 개구부의 제 1 스크린에 대향하는 개구부 가장자리에, 권취축으로부터 도출되는 제 1 스크린에 근접 또는 접촉해서 그 사이의 빛샘을 억제하는 빛샘 방지재를 설치한 것으로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 사이에 차광성의 슬랫을 부착한 상기 스크린 유닛을 사용하고, 상기 슬랫을 경동시키도록 한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에 있어서는 슬랫의 경동을 위해서,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 간의 간격을 단일의 스크린의 경우에 비해서 매우 크게 하는 점에서, 권취 박스의 하면의 스크린이 도출입되는 개구부를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 사이의 간격의 방향으로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이 개구부를 통하여 옥외의 광이 실내로 새어 들어오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빛의 샘이 발생하는 것은 제 1 스크린의 하단의 보톰 바가 스크린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에 접촉할 때까지 양 스크린을 권취축으로부터 조출한 후에, 약간 권취축을 더 회전시키면, 제 1 스크린의 상단에 약간의 느슨함이 생기고, 그것을 따라서 권취 박스내에 위치하는 슬랫 사이 또는 권취 박스에 있어서의 하부 개구부의 제 1 스크린에 대향하는 개구부 가장자리와 제 1 스크린의 사이에 발생하는 간극 등이 주된 부위이고, 그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빛샘 방지재를 설치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윈도우 스크린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스크린 프레임의 좌우측부 프레임에, 상기 측부 프레임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스크린 유닛의 설치 가능 범위에 걸쳐서, 제 1 스크린과 제 2 스크린 사이가 가장 벌어진 상태에 있을 때의 상기 양 스크린 사이의 좌우 단면 및 제 2 스크린에 있어서의 좌우 단의 전면측을 덮도록 상기 스크린 유닛의 보호 및 방진을 위한 커버가 부설된다.
상기 스크린 유닛은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과 슬랫으로 둘러싸이는 통형상 공간을 갖고, 이 사이에 이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충분하게 고려 할 필요가 있다. 상기 커버는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고, 통형상 공간에 이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유효할 뿐만 아니라, 유아들이나 애완 동물류에 의한 스크린 유닛의 좌우 양측 단의 손상도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도 유효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윈도우 스크린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권취축의 축 단에, 상기 권취축을 회전시켜서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의 와인딩·리와인딩 회전을 행하기 위한 개폐 조작구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 조작구에 상기 권취축의 리와인딩 회전시의 과회전에 의해 제 1 보톰 바가 스크린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에 접촉 후에 상기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이간되기 전에, 권취축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설치한 것으로서 구성된다.
상기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에 있어서는 상기 권취축을 회전시켜서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의 와인딩·리와인딩 회전을 행하기 위한 개폐 조작구를 구비하지만, 상기 개폐 조작구에 의해 스크린 유닛을 조작하는 경우, 소요 위치에서 상기 스크린 유닛을 정지시키는 것은 비교적 곤란하다. 특히, 상기 스크린 유닛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에 있어서는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을 권취할 때에는 최종적으로, 보톰 바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가 권취 박스에 접촉하므로 비교적 문제는 없지만, 상기 권취축의 리와인딩 회전시에 과회전하면, 제 1 보톰 바가 스크린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에 접촉 후에, 양 스크린이 권취축에서 역권취로 권취될 가능성이 있고, 그 경우에 스크린 유닛의 일부가 파손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제 1 보톰 바가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이간되기 전에 상기 권취축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이 상기 파손 방지에 유효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 에 의하면, 권취축에 의해 상부에 와인딩되는 제 1 스크린과 제 2 스크린 사이에, 다수의 조광 또는 차광용의 슬랫의 양 단을 각각의 스크린에 대하여 등간격으로 틸팅 가능하게 부착하고, 상기 슬랫을 상기 양 스크린과 함께 겹쳐서 권취축에 와인딩되도록 한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양 스크린의 하단에 개별적으로 부착한 보톰 바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슬랫의 경사 자세에 상관없이 항상 스크린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접촉하고, 그 자세가 바람 등으로 불안정해지거나, 상기 하부 프레임의 사이에 간극이 생겨서 외관이 손상되거나, 상기 간극이 벌레의 진입로가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성으로 방충, 통풍을 확보하는 윈도우 스크린으로서는 물론, 스크린 설치면의 전면을 슬랫으로 덮은 차양, 또는 가리개 상태로 하거나, 상기 슬랫의 각도 조절에 의하여 조광, 차광도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권취축으로부터 스크린의 조출을 개시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태로부터 스크린의 조출을 더욱 진행한 상태의 동 측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상태로부터 스크린의 조출을 더욱 진행하고, 보톰 바가 하부 프레임에 도달한 상태의 동 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상태로부터 권취축의 회전을 더욱 진행하고, 슬랫이 거의 수평 상태에 도달한 상태의 동 측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태로부터 권취축의 회전을 더욱 진행하고, 슬랫이 전향의 한도에 달한 상태의 동 측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스크린에 사용하는 스크린 유닛의 구성에 관한 요부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2의 상태에 있는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의 모식적정면도이다.
도 8은 동 수평 단면도이다.
도 9는 제 2 스크린의 보톰 바의 양 단을 가이딩하는 가이드 홈의 하부를 변형시킨 제 2 실시예의 모식적 측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 2 스크린의 보톰 바를 무가이드로 한 제 3 실시예의 모식적 측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 2 스크린의 보톰 바의 양 단을 가이딩하는 가이드 홈을 슬랫이 거의 수평 상태에 달했을 때의 제 2 스크린의 현수 위치에 설치한 제 4 실시예의 모식적 측 단면도이다.
도 12는 권취 박스내로의 권취축의 바람직한 부착 위치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제 5 실시예의 모식적 측 단면도이다.
도 13은 권취 박스 및 제 1 스크린의 보톰 바에 의한 설치시의 치수 조정의 형태(작은 치수의 조정 시)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측부 프레임의 묘기를 생략한 제 6 실시예의 모식적 측 단면도이다.
도 14는 동 제 6 실시예에 있어서의 치수 조정의 형태(큰 치수의 조정 시)에 관해서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측 단면도이다.
도 15는 실내 및 스크린 유닛의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 사이로의 벌레의 침입을 방지하는 간극 밀봉재를 구비한 제 7 실시예의 모식적 측 단면도이다.
도 16은 인접 슬랫 사이로부터의 빛샘을 억제하는 빛의 샘 방지재를 설치한 제 8 실시예의 모식적 측 단면도이다.
도 17은 동 제 8 실시예의 배면도이다.
도 18은 스크린 유닛의 보호 및 방진을 위한 커버를 구비한 제 9 실시예의 모식적 측 단면도이다.
도 19는 동 제 9 실시예의 모식적 수평 단면도이다
도 20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완성 과정의 시작품에 관한 모식적 설명도이다.
도 1∼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 제 1실시예 및 이하에 나타내는 각 실시예는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권취 박스(11)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권취축(12)에 의해 상부에 와인딩되는 네트 형상으로 투광성을 갖는 소재에 의해 형성된 제 1 스크린(16)과 상기 권취축(12)에 상기 제 1 스크린(16)과 함께 겹쳐서 와인딩되는 네트 형상으로 투광성을 갖는 소재에 의해 형성된 제 2 스크린(17)과, 상기 제 1 스크린(16)과 제 2 스크린(17) 사이에 연결되는 다수의 슬랫(18)으로서, 양 단이 상기 양 스크린 (16, 17)에 대하여 각각 등간격으로 틸팅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16, 17)과 함께 상기 권취축(12)에 와인딩 가능한 가요성을 갖는 시트 형상의 일정 폭을 갖는 조광 또는 차광용의 상기 슬랫(18)에 의해 구성된 것의 스크린 유닛(15)을 구비하고 있다.
도 1∼도 5는 이하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상술의 스크린 유닛(15)을 사용한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권취축(12)로부터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16, 17)의 조출을 개시해서 다수의 슬랫(18)의 방향을 전향의 한도로까지 회전시키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은 상기 스크린 유닛(15)에 있어서의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과 슬랫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고, 또한 도 7 및 도 8은 도 2의 상태에 있는 윈도우 스크린(10)의 구성을 정면도 및 수평 단면도로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제 1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상기 윈도우 스크린(10)은 권취 박스(11)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권취축(12)에 의해 와인딩되는 부분의 상기 스크린 유닛(15)이 옥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 1 스크린(16) 및 옥내측에 배치되는 제 2 스크린(17)을 겹치고, 그들 사이에 연결된 다수의 슬랫(18)이 양 스크린(16, 17)과 평행한 평면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고, 그 상태에서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16, 17)의 각 일단이 상기 권취축(12)의 둘레면의 후술하는 소정 위치에 부착되고, 상기 권취축(12)에 와인딩된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16, 17)의 타단은 상기 권취 박스(11)의 하면의 개구부(11a)로부터 하방으로 도출되어 있다.
상기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16, 17), 특히, 건물 개구부의 옥외측에 배치되는 제 1 스크린(16)은 방충이나 통풍을 확보할 수 있는 네트 형상으로 투광성을 갖는 것이면, 윈도우 스크린의 사용 목적에 따라서, 예를 들면 장식성에 있어서 우수한 것, 어느 정도의 차광성을 갖는 것, 화분을 통과시키지 않는 미세한 메쉬의 것 등, 적절한 소재를 선택할 수 있다.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은 동일한 소재이어도 또는 다른 소재이어도 되고, 동일한 소재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권취축(12)의 주위에서 이어진 일련의 스크린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 2 스크린(17)은 특히 벌레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일 필요는 없다.
상기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16, 17)의 중 옥외측에 배치되는 제 1 스크린(16)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측 단부를 따라서 천이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지지대(20)에 유지된 다수의 결합자(21)를 부착하고, 이 결합자(21)를 스크린 프레임의 측부 프레임(23)에 있어서의 가이드 레일(24)에 설치한 슬릿(24a)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상기 제 1 스크린(16)의 좌우측 단부를 유지한 상태에서의 상하 이동을 가이딩시키고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20)에 유지시키는 다수의 결합자(21)로서는 예를 들면 피복류에 있어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슬라이드 파스너의 상호 접합되는 반체, 또는 그것에 상당하는 바와 같은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스크린(17)의 좌우측 단부에는 상기 지지대에 유지시킨 다수의 결합자를 부착하지 않고, 그 때문에 제 2 스크린(17)은 측부 프레임(23)에 가이딩되지 않고, 프리 상태로 있다.
상기 스크린(16)의 측 단부를 따라서 부착한 상기 다수의 결합자(21)는 스크린(16)이 그것에 대해서 작용하는 바람으로 덜컹거리는 것을 억제하는데도 유효한 것이고, 또한 특히 제 1 스크린(16)을 방충용 네트에 의해 구성하고, 윈도우 스크린(10)을 방충 윈도우 스크린으로서 기능시킬 경우에는 제 1 스크린(16)의 좌우측 단으로부터의 벌레의 진입도 동시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16, 17)은 그들의 하단에 각각 개별적으로 제 1 보톰 바 및 제 2 보톰 바(26, 27)를 부착하고, 적어도 상기 제 1 스크린(16)의 하단에 부착된 제 1 보톰 바(26)는 그 양 단에 돌출 설치된 가이드부편 (26a)을 상기 측부 프레임(23)에 세로설치한 가이드 홈(28)에 끼워 넣고, 상기 보톰 바(26)의 상하 이동을 상기 측부 프레임(23)에 의해 가이딩시키고 있다. 한편, 상기 제 2 스크린(17)의 하단에 부착된 제 2 보톰 바(27)는 도 9∼도 11의 실시예를 참조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서 그 양 단의 상하 이동을 가이딩하면 되는 것이지만,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보톰 바(27)의 양 단에 돌출 설치한 가이드부편(27a)을 상기 측부 프레임(23)에 세로 설치한 가이드 홈(29)에 끼워 넣고, 상기 보톰 바(27)의 상하 이동을 상기 측부 프레임(23)에 의해 가이딩시키고 있다.
특히, 이 제 1 실시예에 있어서는 다른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 2 보톰 바(27)의 양 단의 가이드부편(27a)의 상하 이동을 가이딩하는 가이드 홈(29)을 상기 측부 프레임(23)에 있어서의 제 1 보톰 바(26)의 가이드 홈(28)에 근접시켜서 설치하고 있다. 즉, 양 가이드 홈(28, 29)을, 제 1 보톰 바 및 제 2 보톰 바(26, 27)가 서로 접촉하지 않는 범위에서 충분하게 접근하도록 형성하고 있으므로, 권취축(12)으로부터의 리와인딩에 의해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16, 17)을 강하시키는 단계에서, 제 1 스크린(16)에 대하여 다수의 슬랫(18)에 의해 제 2 스크린(17)을 개재해서 매다는 제 2 보톰 바(27)가, 보다 제 1 스크린(16)에 가까운 위치에서 현수되는 것이 되고, 그 때문에 제 2 스크린(17)이 제 1 스크린(16)에 거의 접촉해서 겹치는 상태로 유지된다.
스크린은 긴장 상태로 설치
또한 제 1 스크린(16)은 좌우측 단부의 결합자(21)를 스크린 프레임의 측부 프레임(23)에 있어서의 가이드 레일(24)의 가이드 홈(28)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제 1 보톰 바(26)의 상하 이동도 측부 프레임(23)에 의해 가이딩시키고 있으므로, 제 1 보톰 바(26)에 의해 그 리와인딩 상태의 여하에 상관없이 스크린 프레임내에 긴장 상태로 설치할 수 있고, 그것에 따라서, 이 제 1 스크린(16)에 슬랫(18)에 의해 연결됨과 아울러 하단에 제 2 보톰 바(27)를 부착하고 있는 제 2 스크린(17)도, 제 2 보톰 바(27)가 하부 프레임(25) 상에 도달한 후의 특별한 상태를 제외하고, 스크린 프레임내에 있어서 긴장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보톰 바(26, 27)에는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16, 17)이 바람으로 덜컹거리는 것을 억제해서 가능한 한 긴장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중량을 갖게 하지만, 그것이 부족되는 경우에는 그 내부에 중추(重錘)를 수용하면 된다.
또한, 상기 스크린 유닛(15)에서는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16, 17) 간에 다수의 슬랫(18)을 부착하고 있으므로, 특히 상기 슬랫이 양 스크린(16, 17)과 평행하게 되어 있을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바람에 의한 덜컹거림 등의 작용을 크게 받는 것이 되지만, 양 스크린(16, 17)의 하단에 각각 개별적으로 제 1 보톰 바 및 제 2 보톰 바(26, 27)를 부착하고, 게다가 상기 제 1 스크린(16)의 결합자(21)를 스크린 프레임의 측부 프레임(23)의 가이드 홈(28)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켜서, 상기 제 1 보톰 바(26)의 상하 이동을 가이딩시키고 있으므로, 그들이 스크린(16, 17)의 동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스크린 유닛 전체로서의 동요를 억제하는데도 유효하게 기능하게 된다.
상기 제 1 스크린(16)과 제 2 스크린(17) 사이에는 차광용 소재 또는 투광을 어느 정도 제한해서 가리개 효과를 발휘하도록 한 다수의 슬랫(18)을 등간격으로 틸팅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지만, 이들의 슬랫(18)과 상기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16, 17)의 연결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각 슬랫(18)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양 측부에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과 연결하기 위한 일정 폭의 연결 마진(18a)을 설치하고, 상기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16, 17) 사이에 상기 슬랫(18)이 평면 형상을 하도록 겹쳐서 설치하고, 제 1 스크린(16)에 연결한 슬랫(18)의 일측부의 연결 마진(18a)에 대하여, 인접하는 슬랫(18)의 제 2 스크린(17)에 대한 연결 마진(18a)이 겹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인접하는 슬랫(18)을 제 2 스크린(17)에 대하여 연결하고, 이 반복에 의해 스크린 유닛(15)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슬랫(18)의 연결 마진(18a)과 양 스크린(16, 17)의 연결은 그들을 구성하는 선조 상호의 짜 넣거나 또는 편성해 넣고, 또는 서로의 접착 그 밖의 접합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스크린 유닛(15)에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제 1 스크린(16)에 대하여 다수의 슬랫(18)에 의해 제 2 스크린(17) 및 그 하단의 제 2 보톰 바(27)를 매달고, 제 2 스크린(17) 및 제 2 보톰 바(27)가 그들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제 1 스크린(16)을 따르는 방향으로 끌어 당겨진 상태로 현수되어 있을 때에는 각 슬랫(18)이 그 양 측부의 연결 마진(18a)에 있어서 순차 겹치도록 되고, 상기 슬랫에 의한 조광 또는 차광이 확실하게 행해질 뿐만 아니라, 다수의 상기 슬랫(18)이 등간격으로 정렬해서 디자인적으로 미관을 나타내는 것이 된다.
또한,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16, 17)과 슬랫(18)의 연결의 형태는 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한 상기 구성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상기 슬랫(18)이 양 스크린(16, 17)에 대하여 거의 평행한 자세를 취하는 경우에 충분한 차광 상태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슬랫 자체의 차광성을 갖는 부분의 상기 양 스크린(16, 17)에 대한 부착 간격이 그 차광성 부분의 폭과 동등 또는 그 이하인 것이 필요하고, 그 범위내에서 슬랫의 설치 폭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랫(18)은 상기 양 스크린(16, 17)과 함께 권취축(12)에 와인딩되는 것이기 때문에, 그 권취시에는 상기 권취축(12)의 원통 둘레면을 따르도록 와인딩되는 가요성을 갖는 것이 필요하지만, 양 스크린(16, 17)이 권취축(12)으로부터 리와인딩될 때에는 거의 평면 형상으로 되어 상기 차광 또는 조광의 기능을 발휘하는 소재에 의해 형성될 필요가 있다. 또한, 권취축(12)의 회전에 의한 슬랫(18)의 경동에 따라서 상기 스크린(16, 17) 간의 폭이 변동할 때, 슬랫(18)이 폭방향의 힘을 받는다는 점에서,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느 정도 슬랫이 만곡하는 것도 예측되고, 그 경우에 다수의 슬랫이 랜덤하게 만곡하는 것은 외관상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일정한 만곡 경향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권취 박스(11)는 도 1 등에 나타내는 건물 개구부 상부 프레임(22) 등을 따라서 부착되는 것이고, 상기 권취 박스(1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권취축(12)에는 그 축 단에 상기 권취축을 회전시켜서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16, 17)의 와인딩·리와인딩 회전을 행하기 위한 개폐 조작구를 구비하고 있다. 도 7에는 상기 개폐 조작구로서, 권취축(12)의 양 축 단에 설치한 풀리(13) 중 어느 하나에 감아 걸려 있는 조작 선조(14)에 의해 정역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 구조를 예시하고 있지만,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연주 형상 그 밖의 조작 선조(14)를 채용할 수 있고, 또한 코드 등이라고 불리는 조작 선조에 한하지 않고, 조작 손잡이, 핸들, 그 밖의 구조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권취축(12)에 대하여 상기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16, 17)을 부착하는데 있어서의 양 스크린(16, 17)의 설치 위치나 치수 관계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기본적으로는 도 1 및 도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16, 17)은 상기 권취축(12)의 리와인딩 회전에 의한 양 스크린(16, 17)의 강하시에, 양 스크린(16, 17)에 각각 연결된 다수의 슬랫(18)이 제 1 스크린(16)에 대하여 하단에 제 2 보톰 바(27)를 갖는 제 2 스크린(17)을 매달고, 그것에 의해, 제 2 스크린(17) 및 그 하단의 제 2 보톰 바(27)가 제 1 스크린(16)에 지지되어서 현수되는 상태가 되는 치수 관계를 갖는 것으로서, 상기 권취축(12)에 부착된다.
이 치수 관계는 권취축(12)에 대하여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16, 17)의 상단의 부착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이지만,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 1 보톰 바 및 제 2 보톰 바(26, 27) 중 어느 하나가 스크린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25)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각 슬랫(18)이 제 2 스크린(17)측에 있어서 상하동하는 경사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형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16, 17)이 동일한 일련의 스크린 소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2 스크린(17)의 역권취에 의한 권취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므로, 권취축(12)의 주위의 단일 위치에 있어서 고정할 수 있는 것에 한하지 않고, 복수 위치에 있어서 부착하는 것을 고려하는 쪽이 위치 결정이 용이해진다.
또한, 도 2∼도 5에 있어서는 권취축(12)에 대한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16, 17)의 각 부착 위치를 부호(12a, 12b)에 의해 예시하고 있다.
상기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16, 17)의 권취축(12)에 대한 부착은 상기 권취축(12)의 리와인딩 회전에 의한 양 스크린의 강하에 의해, 제 1 보톰 바 및 제 2 보톰 바(26, 27)가 동시에, 또는 제 1 보톰 바(26)가 제 2 보톰 바(27)에 선행하는 일 없이 스크린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25)에 달한 후에,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스크린(17)이 권취축(12)에 대하여 역권취로 와인딩되는 상태가 되고, 상기 제 2 스크린(17)을 제 1 스크린(16)에 대하여 상동시키는 치수 관계를 갖는 것으로서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필연적으로 상기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16, 17)의 길이가 그들이 스크린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슬랫(18)이 채택할 수 있는 임의의 경사 자세에 있어서, 그들 하단의 보톰 바(26, 27) 중 어느 하나가 항상 스크린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25)에 접촉하도록 설정되고, 즉, 상기 도 4 및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보톰 바 및 제 2 보톰 바(26, 27)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하부 프레임(25)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각 슬랫(18)이 제 2 스크린(17)측에 있어서 상하동하는 경사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 때문에 어느 하나의 보톰 바가 스크린에 의한 권취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그 자중에 의해 스크린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25)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접촉하고, 그 자세가 바람 등으로 불안정해지거나, 상기 하부 프레임(25)의 사이에 간극이 생겨서 외관이 손상되는 경우가 없고, 또한 상기 간극이 벌레의 진입로가 되는 경우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이란 상기 좌우측부 프레임(23, 23)의 하단 사이에 윈도우 스크린(10)의 일부로서의 하부 프레임을 구비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윈도우 스크린(10)을 설치하는 건물 개구부의 하부 프레임이 그것에 상당하게 된다.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스크린(16)이 그 좌우 측 단부에 설치한 다수의 결합자(21)를 스크린 프레임의 측부 프레임(23)에 있어서의 가이드 레일(2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있는 것에 대해, 제 2 스크린(17)의 좌우측 단부는 측부 프레임(23)에 가이딩되지 않고, 프리의 상태에 있다. 그러나, 제 1 스크린(16)에 대하여 다수의 슬랫(18)에 의해 제 2 스크린(17) 및 그 하단의 제 2 보톰 바(27)가 매달린 상태에 있기 때문에,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스크린(17) 및 제 2 보톰 바(27)가 그들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제 1 스크린(16)을 따르는 방향으로 끌어 당겨진 상태로 유지되어서 현수되어 있는 것이 된다.
그 때문에, 특히 제 2 스크린(17)을 제 1 스크린(16)에 평행에 가까운 상태로 적극적으로 유지하지 않아도, 슬랫(18)이 제 1 스크린(16)에 근접해서 평행에 가까운 상태로 유지하고, 슬랫(18)에 의한 조광성 또는 차광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을 참조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2 보톰 바(27)가 어느 정도제 1 보톰 바(26)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어서 가이드 홈(29)에 의해 가이딩되었다고 하여도,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제 2 스크린(17)은 제 1 스크린(16)에 근접한 평행에 가까운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권취축(12)에 겹쳐서 와인딩되어 있는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16, 17)의 길이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양 스크린(16, 17)의 길이는 상기 권취축(12)의 회전에 의해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16, 17)을 되감을 때에, 바람직하게는 제 2 스크린(17)의 하단의 보톰 바(27)가 선행해서 스크린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25)에 도달한 후에, 제 1 스크린(16)의 하단의 보톰 바(26)가 하부 프레임에 이르는 치수 관계를 갖는 것으로 하고, 또한 권취축(12)의 회전에 의해, 제 1 스크린(16)의 하단의 보톰 바(26)가 상기 하부 프레임에 접촉한 채로, 도 3∼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스크린(17)의 상단이 권취축(12)에 역권취로 와인딩되고, 그것에 따라서, 상기 슬랫(18)이 제 2 스크린(17)측에 있어서 상동하는 자세를 채용하고, 그것에 의해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16, 17) 간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설정된다.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도 5 및 도 8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제 2 스크린(17)의 하단에 부착된 제 2 보톰 바(27)의 양 단의 상하 이동을 상기 제 1 가이드 형태에 의해 가이딩하고,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2 보톰 바(27)의 양 단의 상하 이동을 측부 프레임(23)에 있어서의 제 1 보톰 바(26)의 가이드 홈(28)에 근접시켜서 설치한 제 2 보톰 바(27)의 가이드 홈(29)에 의해 가이딩시키고, 양 가이드 홈(28, 29)을 제 1 보톰 바 및 제 2 보톰 바(27)가 서로 접촉하지 않는 범위에서 충분하게 접근하도록 형성하고 있다.
이 제 1 가이드 형태에서는 상기 권취축(12)의 리와인딩 회전에 의해 양 스크린을 강하시킬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양 스크린(16, 17)의 보톰 바(26, 27)가 스크린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25)에 도달할 때까지는 제 2 스크린(17) 및 제 2 보톰 바(27)가 제 1 스크린(16)을 따르는 방향으로 당겨진 상태로 유지된다.
단, 제 2 스크린(17)의 하단에 부착된 제 2 보톰 바(27)는 그 양 단을 제 1 스크린(16)의 가이드 홈(28)에 근접한 가이드 홈(29)에 의해 가이딩함으로서, 제 2 보톰 바(27)가 하부 프레임(25)에 이르고, 권취축(12)에 의한 제 2 스크린(17)의 역권취에 의해 제 2 스크린(17)의 매달린 위치(권취축으로의 부착 위치(12b))가 제 1 스크린(16)으로부터 떨어진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는 제 2 스크린(17) 자체가 가이딩되지 않고 있으므로 상기 매달린 위치로부터 어느 정도 곧장 현수되지만, 상기 제 2 스크린은 하단에 제 2 보톰 바(27)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그 하부까지 곧장 현수되지 않고,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스크린(16)측에 약간 당겨진 상태가 되어서 조금 느슨해짐이 보이게 된다. 그 느슨해짐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다음의 제 2 가이드 형태 등을 채용함으로써 그것을 해소할 수 있다.
도 9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윈도우 스크린에 있어서, 제 2 스크린(17)에 대하여 제 2 가이드 형태를 채용한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상기 제 2 가이드 형태는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2 스크린(17)의 하단에 부착된 제 2 보톰 바(27)의 양 단을 가이딩하는 상기 측부 프레임(23)의 가이드 홈(29)을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측부 프레임(23)에 있어서의 제 1 보톰 바(26)의 가이드 홈(28)에 근접시켜서 설치하고 있지만, 상기 가이드 홈(29)의 하부에 있어서는 상기 슬랫(18)의 경사 자세를 조정할 수 있는 부분까지 양 스크린(16, 17)이 강하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제 2 보톰 바(27)의 가동 범위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29)의 확개(擴開)에 의해, 상기 제 2 보톰 바(27)의 양 단의 가이드부편(27a)(도 8 참조)을 상기 가이드 홈(29)으로부터 해방하도록 하고, 그 상에 스크린 프레임의 측부 프레임(23)의 하부로부터 실내측을 향해서, 상기 가이드부편(27a)에 결합해서 제 2 보톰 바(27)가 권취축(12)으로부터 현수된 상태에서 스크린 프레임에 대하여 분리하는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용 어태치먼트(30)를 부설하고 있다.
측부 프레임(23)에 설치하고 있는 제 2 보톰 바(27)의 가이드 홈(29)의 하단에 연접해서 부설하는 부분의 상기 이동 제한용 어태치먼트(30)는 상기 가이드 홈(29)의 하부에 있어서의 홈폭을 크게 확개하는 것이지만, 제 2 보톰 바(27)가 권취축(12)으로부터 제 2 스크린(17)에 의해 매달리는 도 9과 같은 상태에 있어서, 바람 등에 의해 상기 보톰 바(27)가 스크린 프레임을 떨어뜨리는 방향(옥내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에 필요 이상으로 유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이고, 그 의미에서는 상기 이동 제한용 어태치먼트(30)는 제 2 보톰 바(27)의 양 단의 가이드부편(27a)을 상기 가이드 홈(29)에 의한 가이드로부터는 해방하지만, 여전히, 상기 가이드 홈(29)에 있어서의 제 2 스크린(17)측(옥내측)의 가이드 홈벽에 연접된 유동 제한벽(30a)에 의해 형성되고, 제 2 보톰 바(27)가 권취축(12)으로부터 매달리는 상태로부터 스크린 프레임에 대하여 분리하는 방향으로 크게 일탈하는 것을 제한하는 가이드 벽면을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이동 제한용 어태치먼트(30)를 부설함으로써, 제 2 스크린(17)의 제 1 가이드 형태(도 1∼도 5)와 같이, 상기 제 2 보톰 바(27)를 상하 방향으로 곧장 가이드 홈(29)에 의해 하단까지 가이딩시키지 않고, 제 2 보톰 바(27)를 어느 정도하강시켜, 가이드 홈(29)이 없어진 단계에서 제 2 스크린(17)을 권취축(12)의 권취 위치로부터 곧장 현수시킬 수 있고, 상기 제 2 스크린(17)의 제 1 가이드 형태에 있어서 보이는 것 같은 제 2 스크린(17)의 하부의 부분적인 느슨함은 해소되고, 바람 등에 의한 제 2 보톰 바의 극단적인 움직임도 상기 어태치먼트(30)에 의해 억제된다. 또한, 상기 어태치먼트(30)는 바람 등에 의해 제 2 보톰 바(27)가 스크린 프레임을 떨어뜨리는 방향으로 유동해서 사람에서 위해를 주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겸비하게 된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는 제 2 보톰 바(27)의 양 단의 상하 이동에 관한 제 3 가이드 형태를 채용하고,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2 스크린(17)의 하단에 부착된 제 2 보톰 바(27)의 양 단의 상하 이동을 무가이드로서 제 2 스크린(17)에 매다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이 제 3 가이드 형태에 있어서는 제 2 보톰 바(27)의 양 단의 상하 이동을 가이딩하는 가이드 홈은 존재하지 않지만, 제 1 스크린(16)에 대하여 다수의 슬랫(18)에 의해 제 2 스크린(17) 및 그 하단의 제 2 보톰 바(27)가 매달려 있는 점에서 상기 제 1 형태에 관련되어서 앞에서 설명한 것 같이, 양 스크린(16, 17)의 보톰 바(26, 27) 중 어느 하나가 스크린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25)에 도달할 때까지는 제 2 스크린(17)이 제 1 스크린(16)에 평행에 가까운 상태로 유지된다. 즉, 제 2 보톰 바(27)의 가이드 홈이 없기 때문에, 약간 제 2 보톰 바(27)의 동작이 불안정해질 가능성이 있더라도 거의 상기 제 1 가이드 및 제 2 가이드 형태와 동일한 동작을 행하게 된다.
또한, 이 제 3 실시예의 경우도,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와 같은 제 2 보톰 바(27)의 극단적인 움직임을 억제하는 이동 제한용 어태치먼트(30)를 상기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 2 보톰 바(27)의 가이드 홈(29)과는 무관계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 2 보톰 바(27)의 유동이 우려되지 않는 경우나, 전체적인 구성을 간소화하고 싶은 경우에는 그 부설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서는 제 2 보톰 바(27)의 상하 이동에 대해서 제 4 가이드 형태를 채용하고 있다. 이 제 4 가이드 형태에서는 상기 권취축(12)의 리와인딩 회전에 의한 양 스크린(16, 17)의 강하 후에, 상기 제 2 스크린(17)이 권취축(12)에 대하여 역권취의 상태가 되고, 상기 권취축으로부터의 제 2 스크린(17)의 도출 위치가 제 1 스크린(16)의 현수 위치로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 2 스크린(17)이 권취축(12)로부터 매달린 위치를 최대 이간 위치로 하여, 측부 프레임(23)에 있어서의 제 1 보톰 바(26)의 가이드 홈(28)으로부터 제 1 가이드 형태의 경우보다도 큰 일정 길이만큼 이간한 위치에, 제 2 보톰 바(27)의 상하 이동을 가이딩하는 가이드 홈(29)을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 홈(29)에 제 2 보톰 바(27)의 양 단을 가이딩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 11에서는 상기 최대 이간 위치에 제 2 보톰 바(27)의 상하 이동을 가이딩하는 가이드 홈(29)을 설치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 4 가이드 형태에 의하면, 제 2 보톰 바(27)의 가이드 홈(29)을 제 1 보톰 바(26)의 가이드 홈(28)으로부터 소요 길이만큼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므로, 상기 가이드 홈(29)에 의해 제 2 보톰 바(27)의 양 단이 가이딩되지만, 제 2 스크린(17) 자체의 측 단은 가이딩되지 않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양 스크린(16, 17)의 보톰 바(26, 27) 중 어느 하나가 스크린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25)에 도달할 때까지는 제 2 스크린(17)이 제 1 스크린(16)에 평행에 가까운 상태로 유지되고, 또한 제 2 스크린(17)의 권취축(12)에 대한 역권취가 개시되면, 제 2 보톰 바(27)가 상기 가이드 홈(29)에 가이딩되고 있는 점에서, 제 2 스크린(17)이 상기 가이드 홈(29)에 가이딩된 제 2 보톰 바(27)로부터 기립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홈(29)이 도시하지 않는 바와 같이 상기 최대 이간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제 2 보톰 바(27)로부터 상방으로 거의 수직으로 설치되고, 제 2 보톰 바(27)의 상동 위치에 따라 슬랫(18)이 경사하는 것이 되고,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스크린(17)의 하부에 제 1 스크린(16)측으로 끌리도록 느슨함이 발생하는 경우는 없다.
다음에 상술한 권취 박스(11)내로의 권취축(12)의 바람직한 설치 위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스크린과 제 2 스크린 사이에 다수 슬랫의 양 단을 부착한 상기 스크린 유닛을, 양 스크린을 겹쳐서 권취축(12)에 와인딩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그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16, 17)을 스크린 프레임내의 전면에 설치해서 슬랫(18)을 경동시키는 경우에, 양 스크린 사이의 간격이 권취축(12)에 의해 슬랫 경동시의 간격으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때문에 권취축(12)의 지름을 양 스크린의 상기 슬랫 경동시의 간격과 거의 동등하게 하는 것이 적절하지만, 권취축(12)의 지름을 그렇게 설정하면, 권취축(12)에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16, 17)을 겹쳐서 권취했을 때의 권취 지름이 커지고, 그만큼 권취 박스(11)의 내용적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권취 박스(11)를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고, 그 때문에 도 12에 나타내는 제 5 실시예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에 의해 그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즉, 상기 권취축(12)에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16, 17)을 겹쳐서 와인딩한 상태에서는 와인딩한 제 1 스크린(16)의 측 단부를 따라서 부착되어 있는 결합자(21)(도 8 참조)의 권취 스크린 표면으로부터의 도출 위치가 측부 프레임(23)에 있어서의 상기 결합자(21)의 가이드 레일(24)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권취 박스(11)내에 있어서의 상기 권취축(12)의 지지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 리와인딩의 개시에 있어서 결합자(21)의 가이드 레일(24)로의 도입이 원활해지고, 또한 상기 권취축(12)로부터의 양 스크린(16, 17)의 리와인딩에 의해 제 2 스크린(17)이 상기 권취축(12)에 있어서의 제 1 스크린(16)의 도출측과는 반대의 둘레측 면으로부터 현수된 상태(도 4 및 도 5 참조)에서는 그 현수 위치가 상기 제 1 스크린(16)의 설치 위치에 대하여 양 스크린(16, 17) 사이에 부착되어 있는 슬랫(18)이 거의 최대 길이를 취하는 위치가 되도록 상기 권취 박스(11)내로의 권취축(12)의 지지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 슬랫(18)의 경동의 원활을 위해 바람직하다.
상술한 권취축(12)의 지지 위치에 관한 실시형태는 도 1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권취축(12)을 작은 지름화해서 권취 박스를 소형화하는데도 유효한 것이며, 게다가 와인딩된 제 1 스크린(16)의 측 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결합자(21)의 상기권취 스크린 표면으로부터의 도출 위치를, 측부 프레임(23)에 있어서의 상기 결합자(21)의 가이드 레일(24)의 상방에 위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권취축(12)으로부터 되감는 제 1 스크린(16)의 결합자(21)가 가이드 레일(24)에 도입되는 각도가 상기 리와인딩의 진행에 따라서 증대하지만, 가이드 레일(24)의 상단 또는 또는 그것에 연접한 가이드 레일 연장부(24b)에 결합자(21)를 도입하는 경사 가이드면(24c)을 구비함으로써, 결합자(21)의 가이드 레일(24)에 대한 도입의 가이드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해, 권취축(12)으로부터 스크린 유닛(15)의 권취 두께만큼 떨어진 위치에 있어서 제 1 스크린(17)이 현수되는 것이 되고, 그 때문에 권취축(12)에 와인딩된 스크린 유닛(15)의 권취 표면을 가능한 한 제 1 스크린(16)의 설치 위치인 권취 박스(11)의 실외측 면에 근접 배치할 수 있고, 게다가 도 1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양 스크린(16, 17)의 설치시에는 제 2 스크린(17)을 권취축(12)에 있어서의 제 1 스크린(16) 도출측과는 반대의 둘레측 면으로부터 현수시킬 수 있고, 그리고 권취 상태에 있는 스크린 유닛(15)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취 박스(11)의 실내측에 필요한 크기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여기에 수용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권취축(12)의 축지름을 작게 하고,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16, 17)을 겹쳐서 권취했을 때의 권취 지름을 작게 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제 6 실시예는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16, 17)의 길이가 이 윈도우 스크린을 설치하는 건물 개구부 상하 방향 길이에 비해서 약간 짧을 경우, 또는 어떠한 이유에서, 제 1 스크린(16)의 하단의 제 1 보톰 바(26)의 하강시에, 상기 보톰 바와 스크린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25)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경우 등에, 스크린 유닛(15)을 필요한 길이의 것과 교환하거나 하지 않고, 간단하게 상기 간극을 없애기 위해서 유효한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1 스크린(16)의 하단에 부착되는 제 1 보톰 바(26)를, 보톰 바 본체(26b)에 그 하부로부터 치수 조정용의 보조 빔(26c)이 출몰 가능하게 삽입하도록 부설한 것으로서 구성하고 있다.
상기 보톰 바 본체(26b) 및 보조 빔(26c)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16, 17)이 소정 길이의 것으로서 제조되고, 그것을 기존의 건물 개구부에 설치하는 경우에, 상기 건물 개구부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설치 부분의 길이가 윈도우 스크린(10)의 설치에 적합한 길이보다도 약간 클 경우에는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스크린(16)의 하단에 부착되는 보톰 바(26)를 보톰 바 본체(26b)에 그 하부로부터 치수조정용의 보조 빔(26c)을 출몰 가능하게 끼워 넣는 것으로 하면 된다. 이 경우에, 상기 보조 빔(26c)을 수동으로 소요의 길이만큼 출입할 수 있도록 형성해도 되지만, 상기 보조 빔(26c)이 그 자체의 중력으로 보톰 바 본체(26b)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보조 빔(26c)이 스크린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25)에 접촉해서 보톰 바 본체(26b)의 중력이 그 상에 작용했을 때에는 상기 보톰 바 본체(26b)내에 몰입하는 것으로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보조 빔(26c)은 보톰 바 본체(26b)에 대하여 그 하부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끼워 넣고 있기 때문에,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톰 바(26)와 하부 프레임(25) 사이의 간극이 작을 때에는 보조 빔(26c)의 돌출량을 작게 하고,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톰 바(26)와 하부 프레임(25) 사이의 간극이 클 때에는 보조 빔(26c)의 돌출량을 크게 함으로써, 일정 범위의 임의 크기의 간극에 대응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보기 안 좋은 간극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제 2 스크린(17)의 하단에 설치한 제 2 보톰 바(29)에 대해서도, 필요가 있으면 상기 제 1 보톰 바(26)와 동일한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취 박스(11)의 부착에 간극을 은폐하기 위한 임의 높이의 브래킷(32)을 사용하고, 상기 브래킷(32)에 권취 박스(11)를 나사(도시 생략) 등으로 고정할 수도 있고, 이것을 상기 보조 빔(26c)을 부설하는 방식과 병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16, 17) 사이에 슬랫(18)을 부착한 상기 스크린 유닛(15)을 사용하고, 상기 슬랫을 경동시키도록 한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에 있어서는 권취 박스(11)에 있어서의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16, 17)이 도출되는 개구부로부터 상기 권취 박스(11)내에 벌레 등이 침입하면, 그것이 실내측으로 침입하거나, 권취 박스(11)내에 있어서 스크린 유닛(15)의 측 단으로부터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의 사이에 침입해서 탈출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많고, 그들이 제 2 스크린을 통하여 시인되므로 매우 보기 안 좋고, 게다가 거기에 벌레류의 시해가 쌓이면 윈도우 스크린이 사용에 견딜 수 없는 것이 된다.
그러나, 도 15에 있어서 제 7 실시예로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권취 박스(11)의 소요 위치에 간이한 간극 밀봉재(35)를 설치함으로써,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16, 17) 사이에 벌레가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제 7 실시예의 윈도우 스크린에 있어서는 적어도 상기 제 1 스크린(16)을 방충용 네트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권취축(12)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한 권취 박스(11)에 있어서의 하부의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16, 17)이 도출되는 개구부(11a)에 있어서, 제 1 스크린(16)의 측 단의 결합자(21)가 가이드 레일(2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는 범위내에서 상기 제 1 스크린(16)에 대향하는 권취 박스(11)의 개구부 벽(11b)에, 권취축(12)으로부터 도출되는 제 1 스크린(16)에 근접 또는 접촉해서 그 사이의 벌레류의 통과를 억제하는 간극 밀봉재(35)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간극 밀봉재(35)로서는 일반적으로 모헤어라고 불리는 유연하고 모발의 길이가 긴 섬유를 식모한 간극의 밀봉재 또는 차광성이 있는 연질 발포 합성 수지 부재나 유연한 고무 형상 박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유닛(15)을 사용한 윈도우 스크린에 있어서는 벌레의 진입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 것은 상기 권취 박스(11)에 있어서의 하부의 개구부(11a), 특히, 상기 개구부(11a)에 있어서의 실외측의 개구부 벽(11b)과 권취축(12)으로부터 도출되는 제 1 스크린(16) 사이에 생기는 간극이다. 그런데, 권취 박스(11)의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16, 17)이 도출되는 개구부(11a)에 있어서는 도 15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권취축(12)에 대한 제 2 스크린(17)의 역권취에 의해, 슬랫(18)의 제 2 스크린(17)에 연결되어 있는 측을 상동시키면, 제 1 보톰 바(26)가 이미 하부 프레임(25)으로까지 이르고 있는 제 1 스크린(16)의 상부에 느슨함(16a)이 발생하는 것이 되고, 이 느슨함이 발생하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벽(11b)에 설치한 간극 밀봉재(35)를 제 1 스크린(16)에 접촉시켰다고 하여도, 반드시 벌레의 진입 억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는 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상기 제 1 스크린(16)에 있어서 느슨함(16a)이 생기는 부분을 피해서 상기 간극 밀봉재(35)를 설치하기 위해서, 제 1 스크린(16)의 권취 박스(11)내로의 도입부내까지, 제 1 스크린(16)의 측 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결합자(21)의 가이드 레일(24)의 상단을 연설하고, 또는 측부 프레임(23)내의 가이드 레일(24)의 상단에 가이드 레일 연장부(24b)를 연접하고, 권취 박스(11)내에 있어서도 결합자(21)를 가이딩시킴으로써, 제 1 스크린(16)의 측 단의 결합자(21)가 가이드 레일(2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범위를 연셜하고, 이것에 의한 제 1 스크린의 양 단 지지에 의해 상기 느슨함(16a)이 생기는 것을 억제해서 긴장 상태로 유지하도록 한 제 1 스크린(16)에 대향시켜서, 권취 박스(11)의 개구부 벽(11b)에, 상기 제 1 스크린에 근접 또는 접촉해서 벌레류의 진입을 억제하는 간극 밀봉재(35)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16, 17) 사이에 벌레가 침입하거나, 외부로부터 실내측에 벌레가 침입하는 것을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16, 17) 사이에 차광성이 있는 슬랫(18)을 부착한 상기 스크린 유닛(15)을 사용한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에 있어서는 슬랫(18)의 경동 때문에,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16, 17) 사이의 간격을 단일의 스크린의 경우에 비해서 매우 크게 하는 점에서, 권취 박스(11)의 하면의 상기 개구부(11a)를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 사이의 간격의 방향으로 크게 할 필요가 있고, 이 개구부(11a) 등을 통해서 야간에 옥외의 광이 실내로 새어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5를 참조해서 상술한 것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권취 박스(11)의 하면의 개구부(11a)에 있어서는 권취축(12)에 의해 양 스크린(16, 17)의 리와인딩을 부주의하게 행하면, 권취축(12)에 대한 제 2 스크린(17)의 역권취에 의해 제 1 스크린(16)의 상부에 느슨함(16a)이 발생하는 것이 되고, 이 느슨함이 발생한 부분에 있어서는 슬랫(18)의 변형 등에 의해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의 빛샘부(37)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제 8 실시예는 상기 차광을 한층 확실하게 행하는 위한 것으로, 이 제 8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슬랫(18)을 차광성이 있는 시트에 의해 형성하고, 인접하는 슬랫(18)을 그들의 사이로부터 빛이 새지 않도록 배열시킴과 아울러, 제 1 스크린(16)의 좌우측 단을 따라서 부착하는 다수의 결합자(21)의 지지대(20)를 차광 재료에 의해 형성하고, 또는 상기 스크린 프레임의 측부 프레임(23)을 따라서 별도 부설하는 차광 프레임(도시 생략)에 의해, 제 1 스크린(16)의 좌우측 단을 따르는 빛샘을 차단하고, 또한 상기 권취축(12)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한 권취 박스(11)에 있어서의 하부의 개구부(11a)의 제 1 스크린(16)에 대향하는 개구부 벽(11b)에, 권취축(12)으로부터 도출되는 제 1 스크린에 접촉해서 그 사이의 빛샘을 억제하는 빛샘 방지재(38a)를 설치하고 있다. 이 빛샘 방지재(38a)로서는 벌레의 진입을 방지하는 간극 밀봉재(35)로서 앞에서 예시한 것 같은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빛샘 방지재(38a)와는 별도로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취 박스(11)의 하면의 개구부(11a)의 실외측 면 및 좌우측 단면의 박스벽에 하방으로 현수하는 차광벽에 의해 구성하는 빛샘 방지재(38b)를 설치하고, 이것에 의해 또는 상기 빛샘 방지재(38a)와의 병용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빛의 샘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에 있어서는 권취축(12)을 회전시켜서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16, 17)의 와인딩·리와인딩 회전을 행하기 위한 조작 선조(14) 등으로 이루어지는 개폐 조작구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 조작구에 의해 스크린 유닛(15)을 조작하는 경우에, 소요 위치에서 상기 스크린 유닛을 정지시키는 것은 비교적 곤란하다. 특히, 상기 스크린 유닛(15)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에 있어서는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16, 17)을 와인딩할 때에는 최종적으로, 보톰 바(26, 27) 중 어느 하나가 권취 박스(11)에 접촉하므로 비교적 문제는 없지만, 상기 권취축(12)의 리와인딩 회전시에 과회전하면, 제 1 보톰 바(26)가 스크린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25)에 접촉 후에, 양 스크린(16, 17)이 권취축(12)에 역권취로 와인딩될 가능성이 있고, 그 때문에 제 2 스크린(17)에 의해 슬랫(18)을 상동시키는 한도를 설정하고, 그 한도 이상의 상기 개폐 조작구의 조작을 불능하게 하는 것이 스크린 유닛(15)의 일부의 파손 방지에 유효하다.
그래서, 상기 윈도우 스크린에 있어서는 도 15 및 도 16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권취축(12)의 축 단에, 상기 권취축을 회전시켜서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의 와인딩·리와인딩 회전을 행하기 위한 연주 형상의 조작 선조(14)로 이루어지는 개폐 조작구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 조작구에 상기 권취축(12)의 리와인딩 회전시의 과회전에 의해 제 1 보톰 바(26)가 스크린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25)에 접촉후에 상기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이간되기 전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에서 권취축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스토퍼(40)를 설치하고, 이것에 의해 스크린 유닛(15)의 파손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스토퍼(40)로서는 상기 조작 선조(14)의 일부에 권취 박스(11)로의 도입 구멍의 입구 가장자리에 록킹하는 원반상 부재를 부설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지만, 적당하게 구성된 스토퍼(40)를 기지의 각종 구성의 개폐 조작구에 부설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7 실시예와의 관련에 있어서 설명했지만, 상기 윈도우 스크린에 있어서는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16, 17)과 슬랫(18)으로 둘러싸이는 통형상 공간을 갖고, 이 사이에 벌레나 이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충분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 문제에 대처해서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제 9 실시예의 윈도우 스크린에 있어서는 스크린 프레임의 좌우측부 프레임(23)에, 상기 측부 프레임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스크린 유닛(15)의 설치 가능 범위에 걸쳐서, 제 1 스크린(16)과 제 2 스크린(17) 사이가 가장 벌어진 상태에 있을 때의 상기 양 스크린간의 좌우 단면 및 제 2 스크린(17)에 있어서의 좌우 단의 전면 측을 덮도록 상기 스크린 유닛(15)의 보호 및 방진을 위한 커버(43)를 부설하고 있다. 이 커버(43)는 도 1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크린 프레임의 측부 프레임(23)과 일체화하고, 예를 들면 합성 수지 등으로 일정한 단면을 갖는 형재로서 성형해도, 또는 상기 커버(43)와 실외측의 보조 커버(44)를 측부 프레임(23)과 별체로 형성하고, 나사 등으로 측부 프레임(23)에 고정하도록 형성해도 좋다.
이러한 커버(43)는 상기 통형상 공간에 벌레나 이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유효할 뿐만 아니라, 유아들이나 애완동물류에 의한 스크린 유닛(15)의 좌우 양측 단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도 유효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2 실시예 이하의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에 관한 도면에서, 제 1 실시예의 윈도우 스크린과 실질적으로 차이가 없는 부분의 구성 및 작용은 제 1 실시예에 관련되어서 설명한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의 그들과 동일하기 때문에, 제 2 실시예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의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10 : 윈도우 스크린 11 : 권취 박스
11a : 개구부 11b : 개구부 벽
12 : 권취축 12a, 12b : 부착 위치
13 : 풀리 14 : 조작 선조
15 : 스크린 유닛 16 : 제 1 스크린
16a : 느슨함 17 : 제 2 스크린
18 : 슬랫 18a : 연결 마진
20 : 지지대 21 : 결합자
22 : 상부 프레임 23 : 측부 프레임
24 : 가이드 레일 24a : 슬릿
24b : 가이드 레일 연장부 24c : 경사 가이드면
25 : 하부 프레임 26 : 제 1 보톰 바
26a : 가이드부편 26b : 보톰 바 본체
26c : 보조 빔 27 : 제 2 보톰 바
27a : 가이드부편 28,29 : 가이드 홈
30 : 어태치먼트 30a : 유동 제한 벽
32 : 브래킷 35 : 간극 밀봉재
38a, 38b : 빛샘 방지재 40 : 스토퍼
43 : 커버 44 : 보조 커버

Claims (14)

  1. 권취축에 의해 상부에 와인딩되는 네트 형상의 투광성을 갖는 제 1 스크린과, 상기 권취축에 상기 제 1 스크린과 함께 겹쳐서 와인딩되는 네트 형상의 투광성을 갖는 제 2 스크린과, 상기 제 1 스크린과 제 2 스크린 사이에 연결되는 다수의 슬랫으로서, 양 단이 상기 양 스크린에 대하여 등간격으로 틸팅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과 함께 상기 권취축에 와인딩 가능한 가요성을 갖는 시트 형상의 일정 폭을 갖는 조광 또는 차광용의 상기 슬랫으로 구성된 스크린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스크린 유닛은 상기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이 겹쳐서 와인딩되도록 양 스크린의 각 일단이 상기 권취축의 둘레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 1 스크린은 그 좌우측 단부를 따라서 다수의 결합자를 부착하고, 이 결합자를 스크린 프레임의 측부 프레임에 있어서의 가이드 레일의 슬릿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상기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은 그들의 하단에 각각 개별적으로 제 1 보톰 바 및 제 2 보톰 바를 부착하고, 적어도 상기 제 1 스크린의 하단에 부착된 제 1 보톰 바는 그 양 단의 상하 이동을 상기 측부 프레임의 가이드 홈에 의해 가이딩시키고,
    상기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은 양 스크린을 스크린 프레임에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슬랫이 채용될 수 있는 임의의 경사 자세에 있어서, 그들의 하단의 보톰 바 중 어느 하나가 스크린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에 접촉하도록 그들의 길이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의 권취축에 대한 부착이 상기 권취축의 리와인딩 회전에 의한 양 스크린의 강하에 의해 제 1 보톰 바 및 제 2 보톰 바가 동시에, 또는 제 1 보톰 바가 제 2 보톰 바에 선행하는 경우없이 스크린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에 도달한 후에, 제 2 스크린이 권취축에 대하여 역권취의 상태가 되고, 상기 제 2 스크린을 제 1 스크린에 대하여 상동시키는 치수 관계를 갖는 것으로서 구성되고, 이것에 의해 제 1 보톰 바 및 제 2 보톰 바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하부 프레임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각 슬랫이 제 2 스크린측에 있어서 상하동하는 경사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축의 리와인딩 회전에 의한 양 스크린의 강하시에, 양 스크린에 각각 연결된 다수의 슬랫이 제 1 스크린에 대하여 제 2 스크린을 매달고, 그것에 의해 제 2 스크린 및 그 하단의 제 2 보톰 바가 제 1 스크린에 지지되어서 현수된 상태가 되는 치수 관계를 갖는 것으로서, 상기 양 스크린이 상기 권취축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랫은 폭방향의 양 측부에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과 연결하기 위한 일정 폭의 연결 마진을 갖고,
    상기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 사이에 상기 슬랫을 설치하고, 그들이 평면 형상을 이루도록 겹쳐졌을 때에, 제 1 스크린에 연결된 슬랫의 일측부의 연결 마진에 대하여, 인접하는 슬랫의 제 2 스크린에 대한 연결 마진이 겹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인접하는 슬랫이 제 2 스크린에 대하여 연결되고, 이 반복에 의해 스크린 유닛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크린의 하단에 부착된 제 2 보톰 바의 양 단의 상하 이동을 상기 측부 프레임에 있어서의 제 1 보톰 바의 가이드 홈에 근접시켜서 설치한 제 2 보톰 바의 가이드 홈에 의해 가이딩시키고, 양 가이드 홈을 제 1 보톰 바 및 제 2 보톰 바가 서로 접촉하지 않는 범위에서 근접하도록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크린의 하단에 부착된 제 2 보톰 바의 양 단의 상하 이동을 가이딩하는 상기 측부 프레임의 가이드 홈을 상기 측부 프레임에 있어서의 제 1 보톰 바의 가이드 홈에 근접시켜서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 홈의 하부에 있어서는 상기 슬랫의 경사 자세를 조정할 수 있는 범위로까지 양 스크린이 강하하고 있는 범위에 있어서 제 2 보톰 바의 양 단을 상기 가이드 홈으로부터 해방하고, 스크린 프레임의 하부에 제 2 보톰 바가 권취축으로부터 현수한 상태에서 스크린 프레임을 분리하는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용 어태치먼트를 부설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크린의 하단에 부착된 제 2 보톰 바를 그 양 단의 상하 이동을 무가이드로서 제 2 스크린에 매달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축의 리와인딩 회전에 의한 양 스크린의 강하 후에 상기 제 2 스크린이 권취축에 대하여 역권취의 상태가 되고, 권취축으로부터의 제 2 스크린의 도출 위치가 제 1 스크린으로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 2 스크린이 권취축으로부터 매달리는 위치를 최대 이간 위치로 하고, 측부 프레임에 있어서의 제 1 보톰 바의 가이드 홈으로부터 일정 길이 이간한 위치에 있어서 제 2 보톰 바의 상하 이동을 가이딩하는 가이드 홈을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 홈에 제 2 보톰 바의 양 단을 가이딩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축에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을 겹쳐서 와인딩한 상태에서는 와인딩된 제 1 스크린의 측 단부를 따라서 부착되어 있는 결합자의 권취 스크린 표면으로부터의 도출 위치가 측부 프레임에 있어서의 상기 결합자의 가이드 레일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권취축을 수용하는 권취 박스내에 있어서의 상기 권취축의 지지 위치가 설정되고,
    또한, 상기 권취축으로부터의 양 스크린의 리와인딩에 의해 제 2 스크린이 상기 권취축에 있어서의 제 1 스크린 도출측과는 반대의 둘레측면으로부터 현수된 상태에서는 그 현수 위치가 상기 제 1 스크린의 설치 위치에 대하여 양 스크 사이에 부착되어 있는 슬랫이 최대 길이를 취하는 위치가 되도록 상기 권취 박스내로의 권취축의 지지 위치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크린의 하단에 부착되는 제 1 보톰 바를 보톰 바 본체에 그 하부로부터 치수 조정용의 보조 빔이 출몰 가능하게 부설된 것으로서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 1 스크린을 방충용 네트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권취축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한 권취 박스에 있어서의 하부의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이 도출되는 개구부에 있어서, 제 1 스크린의 측 단의 결합자가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는 범위내에서 상기 제 1 스크린에 대향하는 권취 박스의 개구부 가장자리에, 권취축으로부터 도출되는 제 1 스크린에 근접 또는 접촉해서 그 사이의 벌레류의 통과를 억제하는 간극 밀봉재를 설치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
  12.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랫을 차광성이 있는 시트에 의해 형성하고, 인접하는 슬랫을 그들 사이로부터 빛이 새지 않도록 배열시킴과 아울러 제 1 스크린의 좌우측 단을 따라서 부착하는 다수의 결합자의 지지대 또는 상기 스크린 프레임의 측부 프레임에 설치한 차광 프레임에 의해, 제 1 스크린의 좌우측 단을 따르는 빛샘을 차단하고,
    또한, 상기 권취축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한 권취 박스에 있어서의 하부의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이 도출되는 개구부의 제 1 스크린에 대향하는 개구부가장자리에, 권취축으로부터 도출되는 제 1 스크린에 근접 또는 접촉해서 그 사이의 빛샘을 억제하는 빛샘 방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
  13.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크린 프레임의 좌우측부 프레임에, 상기 측부 프레임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스크린 유닛의 설치 가능 범위에 걸쳐서, 제 1 스크린과 제 2 스크린의 사이가 가장 벌어진 상태에 있을 때의 상기 양 스크린 사이의 좌우 단면 및 제 2 스크린에 있어서의 좌우단의 전면측을 덮도록 상기 스크린 유닛의 보호 및 방진을 위한 커버를 부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
  14.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축의 축 단에, 상기 권취축을 회전시켜서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의 와인딩·리와인딩 회전을 행하기 위한 개폐 조작구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 조작구에, 상기 권취축의 리와인딩 회전시의 과회전에 의해 제 1 보톰 바가 스크린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에 접촉 후에 상기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이간되기 전에 권취축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
KR1020157021842A 2013-01-23 2014-01-20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 Withdrawn KR201501168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10650 2013-01-23
JPJP-P-2013-010650 2013-01-23
PCT/JP2014/050979 WO2014115684A1 (ja) 2013-01-23 2014-01-20 ブラインド機能付き網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855A true KR20150116855A (ko) 2015-10-16

Family

ID=51227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1842A Withdrawn KR20150116855A (ko) 2013-01-23 2014-01-20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540870B2 (ko)
EP (1) EP2949857A4 (ko)
JP (1) JP6195582B2 (ko)
KR (1) KR20150116855A (ko)
AU (1) AU2014208656B2 (ko)
CA (1) CA2898186A1 (ko)
TW (1) TWI592562B (ko)
WO (1) WO20141156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4101172U1 (de) * 2013-03-15 2014-06-25 Hunter Douglas Inc. Abdeckung für eine architektonische Öffnung
CN105074114B (zh) 2013-03-15 2018-10-26 亨特道格拉斯公司 用于辊支撑的建筑覆盖件的位置锁定
US9322210B2 (en) * 2013-08-19 2016-04-26 Comfortex Window Fashions Cordless fabric venetian window shade assembly
KR101359513B1 (ko) 2013-08-27 2014-02-07 곽재석 이중원단 블라인드의 원단 각도 조절장치
JP6491834B2 (ja) * 2014-08-01 2019-03-27 セイキ住工株式会社 ブラインド機能付きスクリーン装置
JP2016217074A (ja) * 2015-05-25 2016-12-22 セイキ住工株式会社 スクリーン装置
CN106917581A (zh) * 2015-12-25 2017-07-04 阳光铝业(惠州)有限公司 一种新型纱窗转轴
JP6739796B2 (ja) * 2016-12-08 2020-08-12 セイキ住工株式会社 ブラインド機能付きスクリーン装置
CN106894720B (zh) * 2017-04-06 2018-09-04 天津南玻节能玻璃有限公司 多功能中空玻璃内置卷帘膜装置
CN109113551B (zh) * 2018-10-31 2023-11-21 李健志 翻转装置及包含其的无槽卷帘门
WO2023048327A1 (ko) * 2021-09-27 2023-03-30 박용현 스마트 방진 방충망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8650A (en) * 1982-04-08 1983-10-11 Nichols-Homeshield, Inc. Roll-down window insulation
JPS6068295U (ja) * 1983-10-15 1985-05-15 新井 留貴 シヤツタ−装置
US5313999A (en) 1990-10-24 1994-05-24 Hunter Douglas Inc. Fabric light control window covering
US6001199A (en) 1990-10-24 1999-12-14 Hunter Douglas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a fabric light control window covering
US5394922A (en) 1990-10-24 1995-03-07 Hunter Douglas Inc. Fabric light control window covering
US5320154A (en) * 1990-12-13 1994-06-14 Hunter Dougla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a retractable window covering
JP2758320B2 (ja) * 1992-08-26 1998-05-28 積水樹脂株式会社 ブラインド
JP2000110462A (ja) 1998-10-09 2000-04-18 Seiki Juko Kk スクリーン装置
JP2001172841A (ja) * 1999-12-14 2001-06-26 Kawashima Textile Manuf Ltd 二重カーテン地
JP4109573B2 (ja) 2003-05-21 2008-07-02 セイキ販売株式会社 巻取り式スクリーン装置
KR100815579B1 (ko) * 2007-02-08 2008-03-20 주식회사 새 한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8291960B2 (en) * 2010-04-15 2012-10-23 Tnr Industrial Doors Inc. Pivoting bottom bar for roll-up door
US9512672B2 (en) * 2012-11-19 2016-12-06 Hunter Douglas Inc.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with coordinated vane sets
US9133658B2 (en) * 2013-03-05 2015-09-15 Hunter Douglas Inc. Sound attenuating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US9322210B2 (en) * 2013-08-19 2016-04-26 Comfortex Window Fashions Cordless fabric venetian window shad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49857A4 (en) 2016-03-02
JP6195582B2 (ja) 2017-09-13
WO2014115684A1 (ja) 2014-07-31
US20150368964A1 (en) 2015-12-24
TW201508157A (zh) 2015-03-01
TWI592562B (zh) 2017-07-21
AU2014208656A1 (en) 2015-08-06
CA2898186A1 (en) 2014-07-31
US9540870B2 (en) 2017-01-10
EP2949857A1 (en) 2015-12-02
JPWO2014115684A1 (ja) 2017-01-26
AU2014208656B2 (en) 2017-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6855A (ko) 블라인드 기능을 구비한 윈도우 스크린
US20190383094A1 (en) End-weight device for a horizontal fabric blind
KR101716888B1 (ko) 롤 스크린을 갖는 다기능 이중 롤 블라인드
JP6703026B2 (ja) 横型ブラインド
KR200469501Y1 (ko) 패브릭 텐션 시스템의 차양막 처짐 방지 장치
JP6800548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
CN100532777C (zh) 日射遮蔽装置的升降绳卷绕机构
JP6655260B2 (ja) 日射遮蔽装置
KR20110085337A (ko) 슬랫의 완전차광 및 현수시 쏠림방지 기능을 갖는 베니션 블라인드
CN107109893A (zh) 横型百叶窗
JP3989759B2 (ja) ブラインド
JP6739794B2 (ja) ブラインド機能付きスクリーン装置
KR100874781B1 (ko) 블라인드 장치
KR20110004340A (ko) 횡 방향부분 개폐가 가능한 블라인드
KR102699030B1 (ko) 창호 차폐 장치
KR101729695B1 (ko) 롤 방식으로 권취되는 스크린, 그리고 스크린 제작 장치 및 방법
JP6736486B2 (ja) シャッター
KR101452115B1 (ko) 블라인드형 이중직물 커튼
JP6514554B2 (ja) ガイドレール、ロールスクリーン、ロールスクリーンの設置方法、及び日射遮蔽システム。
JP6110083B2 (ja) 日射遮蔽装置
JP2009243085A (ja) ガイド付きロールスクリーン
KR20240151339A (ko) 상향식 가림막 장치
KR101221573B1 (ko) 망사 블라인드
JP6487138B2 (ja) 日射遮蔽装置
JP2023047665A (ja) 遮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1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