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99406A - 필터 엘리먼트 - Google Patents

필터 엘리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9406A
KR20150099406A KR1020150013723A KR20150013723A KR20150099406A KR 20150099406 A KR20150099406 A KR 20150099406A KR 1020150013723 A KR1020150013723 A KR 1020150013723A KR 20150013723 A KR20150013723 A KR 20150013723A KR 20150099406 A KR20150099406 A KR 20150099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element
pleated
flow channel
flow
wall pair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3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9671B1 (ko
Inventor
알렉산드라 라자레빅
폴커 브로인링
로베르트 뢰젤
Original Assignee
칼 프로이덴베르크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프로이덴베르크 카게 filed Critical 칼 프로이덴베르크 카게
Publication of KR20150099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9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67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04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1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8Filter cloth, i.e. woven, knitted or interlac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46/5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parall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2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5/00 and B01D46/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3/00Operation of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3/10Allowing a continuous bypass of at least part of the flow, e.g. of secondary air, v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Abstract

관성 분리기로서 사용될 수 있고, 콤팩트 구조를 가지면서 작은 설비 공간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필터 엘리먼트를 특정하는 목적에 대하여, 상기 필터 엘리먼트는, 낮은 레벨의 유동 저항, 가장 높은 가능한 분진-포집 용량, 및 가장 양호한 가능한 분리 작동을 나타내고, 관성 분리기의 형태로 구성되는, 즉, 유동 매체의 편향에 의해 입자들을 분리하는 수단(2, 2')을 갖는 필터 엘리먼트(1, 1')는, 수단(2, 2')이 부직포를 포함하거나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필터 엘리먼트{FILTER ELEMENT}
본 발명은, 특허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필터 엘리먼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EP 1 262 223 A1은 페인트-분무 분리기(paint-mist separator)를 기재한다. 그러한 관성 분리기들은, 특히 조립 입자(coarse particle)들을 분리(separate off)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종래 기술은 액체 에어로졸(aerosol)들을 분리시키기 위한 개념들을 기재한다. 그러나, 이미 알려진 관성 분리기들은, 그 관성 분리기들을 작은 설비 공간들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하게 하는 콤팩트(compact) 구조를 허용하지 않는다.
이러한 배경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설비 공간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관성 분리기들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상대적으로 작은 설비 공간들은, 특히, 자동차(motor vehicle)들에서 발견된다.
또한,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진 관성 분리기들은, 높은 레벨의 유동 저항(flow resistance), 불량한 분리 작동, 및 낮은 분진-포집(dust-holding) 용량을 종종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관성 분리기로서 사용될 수 있고, 콤팩트 구조를 가지면서 작은 설비 공간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필터 엘리먼트 ― 상기 필터 엘리먼트는, 낮은 레벨의 유동 저항, 가장 높은 가능한 분진-포집 용량, 및 가장 양호한 가능한 분리 작동을 나타냄 ― 를 특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허 청구항 제 1 항의 특성들에 의해 전술한 목적을 달성한다.
먼저, 간단한(straightforward) 관성 분리기들은 임의의 부가적인 필터 작동을 제공하지 않는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로부터 후속하여, 부직포(nonwoven fabric)로 이루어지는 필터 엘리먼트가 관성 분리기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이 본 발명에 따라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2개의 분리 메커니즘들의 결합 즉, 관성 분리 및 필터동작(fiteration)을 하나의 필터 엘리먼트에서 실현한다. 이것은, 긴 서비스 수명(service life)들을 실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2-스테이지 설계에 기초한 설계 개념들을 회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전술한 개념들은 많은 양의 설비 공간들을 요구할 것이다. 이러한 단점은, 오직 하나의 필터 엘리먼트로만 이루어지는 용법(use)에 의한 본 발명에 따라 극복될 수 있다. 이것은, 전체 필터 시스템이 작은 콤팩트 구조를 갖게 한다. 결합되고 상호연동(interlink)되는 2개의 전술한 분리 메커니즘들 때문에, 높은 레벨의 통기성(air permeability)을 갖는 필터 매체들을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것은 낮은 압력 손실들을 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라 관성 분리기 및 부직포 필터 매체를 결합시키는 것은, 2개의 필터 스테이지들을 하나로 통합시킨다. 조립 분진은 사전-필터(pre-filter) 엘리먼트 또는 필터 매트(mat)를 거쳐(by way of) 필터링되는 케이스(case)가 일반적이다. 미세(fine) 분진이 억제(hold back)되는 것은 오직 제 2 필터 스테이지에서이다. 사전-필터 엘리먼트가 제 2 필터 스테이지보다 교체(changeover)들 사이에 짧은 간격을 요구하는 케이스가 종종 있다. 이것은, 높은 레벨의 유지보수가 필수적이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엘리먼트는, 2개의 필터 스테이지들과 비교하여 매우 낮은 압력 손실을 생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필터 엘리먼트는 작은 설비 공간에 설비될 수 있다. 필터 엘리먼트의 분진-포집 용량이 상당히 증가되고, 분리된 분진이 필터 매체의 투과성(porosity)을 감소시키는 것을 초래하지 않으므로, 필터 엘리먼트는 상대적으로 긴 시간 기간에 걸쳐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긴 서비스 수명을 갖는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관성 분리기로서 사용될 수 있고, 콤팩트 구조를 가지면서 작은 설비 공간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필터 엘리먼트 ― 상기 필터 엘리먼트는, 낮은 레벨의 유동 저항, 가장 높은 가능한 분진-포집 용량, 및 가장 양호한 가능한 분리 작동을 나타냄 ― 를 특정한다.
이것은, 도입부에서 설명된 목적이 해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수단은, 부직포로 제조되거나 부직포를 갖는 주름형 벽(pleated wall)들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필터 엘리먼트는, 유동 매체의 편향(deflection)을 강제(force)하기 위해 상기 수단을 갖는다. 이것은, 관성 효과들이, 조립 입자들이 분리되고 상기 입자들이 부직포 내 및 부직포의 표면 상에 속박(bind)되는 것을 초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뎁스(depth) 필터동작으로 하여금 입자들이 부직포 내에 속박되게 하고 표면 필터동작으로 하여금 입자들이 부직포의 표면에 속박되게 하는 케이스가 유리하다. 동시에, 일부 에어(air)가 부직포를 통해 유동할 수 있으며, 이것의 결과로서 미세 입자들이 또한 효율적으로 억제된다.
필터 엘리먼트는, 복수의 V-형상(V-shaped) 또는 박공형-지붕-어레인지먼트(gabled-roof-arrangement) 주름형-벽 쌍들을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케이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동 채널이 상기 주름형-벽 쌍들 사이에 형성되도록, 2개의 주름형-벽 쌍들은 서로 반대(opposite)로 이격되고 서로에 관하여 오프셋(offset)된다. 따라서, 유동 매체는, 주름형-벽 쌍들의 개방 에지(edge)들 주위로 유동할 수 있으며, 프로세스에서 유동 채널들 내로 편향된다.
주름형-벽 쌍들은 각각의 케이스에서 2개의 평면들을 정의할 수 있고, 여기서, 평면들은 서로로부터 이격되며 평면들에서의 주름형-벽 쌍들 사이에 유사한 이격이 존재한다. 따라서, 유동 매체가 특히 효과적인 방식으로 편향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개방 구조는, 필터 엘리먼트의 막힘(blocking)이 발생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놀랍게도, 유동의 결과로서 생성되는 우회(bypass) 채널들에도 불구하고 입자 분리의 품질이 불리하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조립 입자들의 편향에 의한 관성 분리, 및 동시에 (simultaneous) 부직포 필터 매체를 거치는 뎁스 필터동작의 결합에 기인한다.
필터 엘리먼트는 2개의 평탄(flat) 필터들을 갖는다. 2개의 상업적으로 용이하게 획득가능한 평탄 필터들이 다음의 간단한 설비, 즉, 다수의 유동 채널들이 제공되는 기본 보디(basic body)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평탄 필터들의 주름 첨단(tip)들은 포개어(one upon the other) 로케이팅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각각의 케이스에서 4개의 주름형 벽들이 유동 채널을 형성한다. 이것은, 폐쇄된(close-off) 유동 채널을 생성하고, 폐쇄된 유동 채널은 이를 통해 축방향으로 유동하는 유동 매체를 가질 수 있다.
2개의 관통-통로(through-passage)들이 적어도 하나의 유동 채널에 형성될 수 있고, 여기서, 제 1 관통-통로는 유동 채널 내로의 입구(entry) 개구부(opening)의 형태로 설계되며, 제 2 관통-통로는 유동 채널로부터의 출구(exit) 개구부의 형태로 설계된다. 이것은, 유동 매체 내에 유입(entrain)된 입자들의 관성 분리를 유도하기 위해, 유동 매체가 필터 엘리먼트를 통해 안내되게 한다.
관통-통로들은, 매체가 유동 채널로부터 퇴장하는 경우 유동 매체의 유동 방향이 90°까지 편향되도록 서로에 관해 배열된다. 이것은 관성 분리를 야기한다.
도 1은, V-형상 또는 박공형-지붕-어레인지먼트 주름형 벽들이 서로 반대로 로케이팅되지만 서로에 관해 오프셋되는 필터 엘리먼트의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주름형 평탄 필터들의 주름 첨단들이 포개어 로케이팅되고, 그에 따라 관통-통로들이 반대 측면들 상에 형성되는 유동 채널들을 형성하는 서로 반대로 로케이팅된 2개의 주름형 평탄 필터들을 도시한다.
도 1은, 관성 분리기의 형태로 구성되는, 즉, 유동 매체의 편향에 의해 입자들을 분리시키는 수단(2)을 갖는 필터 엘리먼트(1)를 도시한다. 수단(2)은 부직포를 갖는다.
수단(2)은, 부직포로 생성되거나 부직포를 갖는 주름형 벽들(3)의 형태로 구성된다.
필터 엘리먼트(1)는 복수의 V-형상 또는 박공형-지붕-어레인지먼트 주름형-벽 쌍들(4)을 가지며, 여기서, 각각의 케이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동 채널(5)이 상기 주름형-벽 쌍들 사이에 형성되도록, 2개의 주름형-벽 쌍들(4)은 서로 반대로 이격되고 서로에 관하여 오프셋된다. 유동 채널(5)은 화살표에 의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주름형-벽 쌍들(4)은 각각의 케이스에서 2개의 평면들을 정의하고, 여기서 평면들은 서로로부터 이격되며, 평면들에서의 주름형-벽 쌍들(4) 사이에 유사한 이격이 존재한다.
도 2는, 관성 분리기의 형태로 구성되는, 즉, 유동 매체의 편향에 의해 입자들을 분리시키는 수단(2')을 갖는 필터 엘리먼트(1')를 도시한다. 수단(2')은 부직포를 갖는다.
수단(2')은, 부직포로 생성되거나 부직포를 갖는 주름형 벽들(3')의 형태로 구성된다. 필터 엘리먼트(1')는 2개의 평탄 필터들(6')을 갖는다.
평탄 필터(6')의 주름 첨단들은 포개어 로케이팅되고, 그에 따라, 각각의 케이스에서 4개의 주름형 벽들(3')이 유동 채널(5')을 형성한다.
2개의 관통-통로들(7'a, 7'b)이 적어도 하나의 유동 채널(5')에 형성되고, 여기서, 제 1 관통-통로(7'a)는 유동 채널(5') 내로의 입구 개구부의 형태로 설계되며, 제 2 관통-통로(7'b)는 유동 채널(5')로부터의 출구 개구부의 형태로 설계된다.
관통-통로들(7'a, 7'b)은, 매체가 유동 채널(5')로부터 퇴장하는 경우 유동 매체의 유동 방향이 90°까지 편향되도록 서로에 관해 배열된다.

Claims (8)

  1. 관성 분리기의 형태로 구성되는, 즉, 유동 매체의 편향에 의해 입자들을 분리시키는 수단(2, 2')을 갖는 필터 엘리먼트(1, 1')로서,
    상기 수단(2, 2')은 부직포(nonwoven fabric)를 포함하거나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필터 엘리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2, 2')은, 부직포로 생성되거나 부직포를 갖는 주름형(pleated) 벽들(3, 3')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엘리먼트(1)는 복수의 V-형상(V-shaped) 또는 박공형-지붕-어레인지먼트(gabled-roof-arrangement) 주름형-벽 쌍들(4)을 가지고,
    각각의 케이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동 채널(5)이 상기 주름형-벽 쌍들 사이에 형성되도록, 2개의 주름형-벽 쌍들(4)은 서로 반대(opposite)로 이격되고 서로에 관하여 오프셋(offset)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형-벽 쌍들(4)은 각각의 케이스에서 2개의 평면들을 정의하고,
    상기 평면들은 서로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평면들에서의 주름형-벽 쌍들(4) 사이에 유사한 이격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엘리먼트(1')는 2개의 평탄(flat) 필터들(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 필터들(6')의 주름 첨단(tip)들이 포개어(one upon the other) 로케이팅됨에 따라 각각의 케이스에서 4개의 주름형 벽들(3')이 유동 채널(5')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
  7. 제 6 항에 있어서,
    2개의 관통-통로들(7'a, 7'b)이 적어도 하나의 유동 채널(5')에 형성되고,
    제 1 관통-통로(7'a)는 유동 채널(5') 내로의 입구(entry) 개구부(opening)의 형태로 설계되며, 제 2 관통-통로(7'b)는 상기 유동 채널(5')로부터의 출구(exit) 개구부의 형태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통로들(7'a, 7'b)은, 매체가 유동 채널(5')로부터 퇴장하는 경우 유동 매체의 유동 방향이 편향되도록 서로에 관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
KR1020150013723A 2014-01-28 2015-01-28 필터 엘리먼트 Active KR1017196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000914.9A DE102014000914A1 (de) 2014-01-28 2014-01-28 Filterelement
DE102014000914.9 2014-0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9406A true KR20150099406A (ko) 2015-08-31
KR101719671B1 KR101719671B1 (ko) 2017-03-24

Family

ID=53522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3723A Active KR101719671B1 (ko) 2014-01-28 2015-01-28 필터 엘리먼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209709A1 (ko)
KR (1) KR101719671B1 (ko)
CN (2) CN204672070U (ko)
DE (1) DE102014000914A1 (ko)
FR (1) FR30168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000914A1 (de) * 2014-01-28 2015-07-30 Carl Freudenberg Kg Filterelement
WO2018134313A1 (de) * 2017-01-18 2018-07-26 Mann+Hummel Gmbh STRAßENFAHRZEUG MIT UMGEBUNGSLUFTREINIGUNGSVORRICHTUNG, UMGEBUNGSLUFTREINIGUNGSVORRICHTUNG UND FILTERELEMENT
CN109663443B (zh) * 2019-01-17 2021-04-13 中煤科工集团重庆研究院有限公司 一种呼吸性粉尘捕捉装置
CN109621580B (zh) * 2019-01-17 2021-05-04 中煤科工集团重庆研究院有限公司 一种过滤组件和过滤装置
CN110026024B (zh) * 2019-04-23 2024-05-31 北京航天石化技术装备工程有限公司 一种应用于pta打包机的过滤回收装置
LU101440B1 (en) * 2019-10-17 2021-04-19 Ucube Lab Sa Air filter for a painting booth used for spray coat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7867A (en) * 1977-05-12 1984-03-20 Lerner Bernard J Removal of undesired components from gases
US5051118A (en) * 1989-04-26 1991-09-24 Robert Andreae Method of filtration
KR20120109696A (ko) * 2011-03-25 2012-10-09 (주)유성엔비텍 데미스터 충진형 여재 정전식 필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2048A (en) * 1988-06-15 1996-09-03 Pall Corporation Two pleated filter composite having cushioning layers
DE19903591A1 (de) * 1999-01-29 2000-08-10 Oberland Mangold Gmbh Trägerstruktur für eine Abgasreinigungsvorrichtung
DE10125404A1 (de) * 2001-05-25 2002-11-28 Mann & Hummel Filter Trägheitsabscheider
CN2582728Y (zh) * 2002-12-05 2003-10-29 成都炉莱特尔净化技术实业有限公司 油烟过滤板
FR2891158B1 (fr) * 2005-09-27 2007-11-23 Renault Sas Filtre pour fluide gazeux
CN101021342A (zh) * 2006-02-16 2007-08-22 张利勋 油烟过滤板
US20080315465A1 (en) * 2007-03-05 2008-12-25 Alan Smithies Method of manufacturing composite filter media
KR20080093655A (ko) * 2007-04-18 2008-10-22 주식회사 세원 필터교환형 오일분리기
DE102007062098A1 (de) * 2007-12-21 2009-06-25 Mahle International Gmbh Ölnebelabscheider
JP2010131580A (ja) * 2008-10-30 2010-06-17 Duskin Co Ltd フィルタ及びそれを用いた排気装置並びにフィルタ製造方法及びフィルタ製造装置
DE202011107555U1 (de) * 2011-07-27 2012-10-29 Dürr Systems GmbH Filteranlage
DE102014000914A1 (de) * 2014-01-28 2015-07-30 Carl Freudenberg Kg Filterele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7867A (en) * 1977-05-12 1984-03-20 Lerner Bernard J Removal of undesired components from gases
US5051118A (en) * 1989-04-26 1991-09-24 Robert Andreae Method of filtration
KR20120109696A (ko) * 2011-03-25 2012-10-09 (주)유성엔비텍 데미스터 충진형 여재 정전식 필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문헌 ‘Structured Packings’ http://web.archive.org/web/20131023095106/http://www.demisterasia.com/products/structured-packings/ (2013.10.2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4000914A1 (de) 2015-07-30
KR101719671B1 (ko) 2017-03-24
FR3016804A1 (fr) 2015-07-31
CN204672070U (zh) 2015-09-30
US20150209709A1 (en) 2015-07-30
CN104801131A (zh) 2015-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671B1 (ko) 필터 엘리먼트
KR101308756B1 (ko) 입자상 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 매체
KR101432355B1 (ko) 장착 플랜지 연장부를 구비한 가스 터빈용 필터 조립체
CA2813274C (en) Filter structure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stream of fluid
US7951229B2 (en) Air filter formed from slit and expanded layers of electrostatically enhanced material
US10105630B2 (en) Hollow filter element of a filter for filtering fluid, filter, filter housing, and seal of a hollow filter element
US7892307B2 (en) Compact filter
KR102138010B1 (ko) 수처리 장치의 복합 필터
CN112368061A (zh) 车辆车厢过滤器组件
KR20180102006A (ko) 이동식 장치용 공기 흡입 시스템
JP2015501400A (ja) ガス流内オイルデカンテーション方法及び装置
WO2010115631A1 (de) Filtergehäuse für eine brennstoffzelle
US20160129385A1 (en) Filter, Hollow Filter Element, and Filter Housing of a Filter, and Seal of a Hollow Filter Element
DE102015016446A1 (de) Schutzfiltervorrichtung, Innenraumluftfiltersystem sowie Verfahren zur Reinigung von mit Schadgasen und/oder Aerosolen und/oder Feststoffpartikelstaub beladener Luft
CN203990120U (zh) 过滤器组装体以及包含其的过滤系统
CN103041634A (zh) 用于减小罐速度的过滤器、系统和方法
US20180250624A1 (en) Filter arrangement for a mobile device
KR20230111129A (ko) 원통형 필터
CN112384291A (zh) 车辆车厢过滤器组件
KR20150025526A (ko) 정수필터
KR101771462B1 (ko) 여과 장치
US20170128870A1 (en) Mobile purif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purifying indoor air and/or fresh air
KR20190014347A (ko) 필터부재
CN114845793B (zh) 用于空气过滤器的褶式过滤器元件
KR102507802B1 (ko) 댐퍼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 챔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28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1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1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3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