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9824A - 모발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에프로티롬 및 그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발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에프로티롬 및 그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39824A KR20150039824A KR20157005507A KR20157005507A KR20150039824A KR 20150039824 A KR20150039824 A KR 20150039824A KR 20157005507 A KR20157005507 A KR 20157005507A KR 20157005507 A KR20157005507 A KR 20157005507A KR 20150039824 A KR20150039824 A KR 201500398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ir
- hair loss
- treatment
- follicles
- pharmaceutical composi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6—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group being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anthranilic acid, mefenamic acid, diclofenac, chlorambuci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61K31/167—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having the nitrogen of a carboxamide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e.g. lidocaine, paracetamo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발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방법, 특히 포유동물에 있어서 탈모를 저지 및/또는 반전시키고 발모를 촉진하는 것을 포함하는 백발화 및 탈모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방법, 및 유효 성분으로서 에프로티롬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발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방법, 특히 포유동물에 있어서 탈모를 저지 및/또는 반전시키고 발모를 촉진하는 것을 포함하는 백발화 및/또는 탈모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발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용도의, 에프로티롬 및 에프로티롬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함유한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탈모는 남성뿐만 아니라 여성에 있어서도 공통적 문제이다. 탈모는 예를 들어 생리적 또는 병리적 과정에 의해 발생하거나, 암과 같은 징후에서 사용되는 약물, 예를 들어 레티노이드, 화학요법제, 콜레스테롤 저하제 등에 의해 촉진된다. 많은 경우들에 있어서, 환자들이 탈모로 고통받을 뿐만 아니라, 모발이 재생되지도 않는다. 이러한 두 가지 문제들 모두가 부분적 또는 전체적 대머리를 유발할 수 있다.
모발은 상이한 기간들(phases)을 포함하는 주기(cycle)로 성장한다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주요 기간들로는 성장기(anagen), 퇴행 또는 퇴화기(catagen) 및 정지 또는 휴지기(telegon)가 있다. 성장기 동안에는 모근이 빠르게 분열함으로써 모간(hair shaft)이 길어지게 된다. 꽤 짧은 퇴화기는 모발의 활발한 성장이 종료되었음이 나타나는 과도기이다. 마지막으로, 휴지기는 머리카락이 빠지는 정지 기간이다.
탈모 치료를 위하여 상업적으로 이용되는 치료제로는, 칼륨 채널 오프너(potassium channel opener)인 미녹시딜(minoxidil)(Rogain®) 및 5α-환원효소인 피나스테리드(finasteride)(Propecia®)가 있다. 그러나, 이 치료제들은 단지 제한적인 효과만 있을 뿐이다.
또한, 갑상선 호르몬 수용체 효능제(thyroid hormone receptor agonists)가 발모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문헌에 나타나 있다. 두 종류의 갑상선 호르몬, 즉 티록신 또는 3,5,3',5'-테트라요오드-L-티로닌(T4) 및 티로닌 또는 3,5,3'-트리요오드-L-티로닌(T3)이 공지되어 있다. T3는 생물학적으로 더 활성인 형태이다. 이것은 5' 요오드가 없다는 점에서 T4와 상이하다. 이것은 갑상선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생성되거나, 2개의 탈요오드화 효소들의 도움 하에 T4의 탈요오드화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발모를 활성화시키거나 향상시키기 위한 T3 또는 T4의 용도가 WO96/25943에서 주장되었다. 갑상선 결핍과 관련한 모발 이상(abnormalities)이 오랜 기간 공지되어 있다(Messenger, Br. J. Dermatol. 2000, 142: 633-634). 갑상선 호르몬 핵수용체(TR)는 인간의 모낭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면역반응성 TR이 모낭의 외모근초 세포(outer root sheath cells), 모유두 세포(dermal papilla cells), 및 섬유초 세포(fibrous sheath cells)의 세포핵들에서 검출되었다. 이러한 세포 타입들을 T3로 처치하였더니 상기 타입의 세포들 모두에 있어서 증식 및/또는 대사가 촉발되었다(Ahsan et al., J. Med. Invest., 1998, 44: 179-184). 후속 연구에 의하면, 주로 갑상선 호르몬 수용체 β1(TRβ1)이 인간의 모낭에서 발현되며(Billoni et al., Br. J. Dermatol., 2000, 142: 645-652), 생리적 레벨의 유리(free) T3는 모낭 배양 모델에 있어서 체외에서 인간 모발의 생존을 상당히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내에서는, 국부적(topical) T3가 SKH-1 생쥐 및 CD 쥐에 있어서 표피층 증식, 진피층 두께 증가, 및 발모를 급격히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피부 및 모발 질환의 치료를 위한 새로운 전략을 제시하였다(Safer et al., Thyroid, 2001, 11: 717-724). 더 최근의 연구에서는, 인간 모발 기관 배양 모델에서 T3 및 T4 모두 성장기 기간을 늘리는 것으로 나타났다(van Beek et al., J. Clin. Endocrinol. Metab., 2008, 93: 4381-4388). 그러나, 이러한 조직형태계측학적(histomorphometrical) 발견은 상당히 변형된 형태인 체외에서의 모간 신장(elongation)으로까지는 이어지지 않았다. Ki-67/튜넬 염색(Ki-67/TUNEL staining)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T4는 모기질 케라티노사이트(hair matrix keratinocyte)의 증식을 촉발시킨 반면, T3 및 T4 모두 이 세포들의 사멸을 억제하였다. 또한, T3 및 T4는 인간의 모낭에서 멜라닌 합성을 촉발시킬 수 있었다.
탈모 치료를 위한 술포닐 티로미메틱 화합물(sulfonyl thyromimetic compounds)이 WO 00/72810에서 주장되고 있다. WO 00/72811는 치환된 페녹시벤조산과 같은 거기서 설명된 특정 화합물을 이용하여 탈모를 치료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특정의 디페닐에테르 유도체를 이용한 탈모 치료 방법이 WO 00/72812에 개시되어 있다. WO 00/72813는 특정의 디페닐메탄 유도체를 이용한 탈모 치료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탈모 치료를 위한 치환된 바이아릴 에테르 화합물 및 조성물이 WO 00/72920에 개시되어 있다. WO 00/73292는 탈모 치료를 위한 바이아릴 화합물 및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EP 1297833에는 갑상선 수용체 리간드로서의 인돌 카르복실산이 설명되어 있다. 상기 화합물은 탈모 치료에 유용한 것으로 주장되고 있다. EP 1262177는 탈모 치료를 위한 티로미메틱 화합물의 의료 용도 및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WO 01/072692는 갑상선 수용체 리간드 활성을 갖는 N-페닐말론아미드산 유도체의 제조를 설명하고 있다. 상기 화합물은 무엇보다도 탈모증의 치료에 유용한 것으로 주장되고 있다. WO 03/064369는 갑상선 호르몬 수용체 리간드로서의 인단(indane) 유도체의 제조를 설명하고 있다. WO 08/001959는 갑상선 호르몬 수용체 리간드로서의 6-5 두고리(bicyclic) 헤테로고리(heterocyclic) 유도체의 제조를 개시하고 있다. 표제 화합물(title compounds)은 무엇보다도 탈모증 치료를 위한 것으로 주장되고 있다. JP 2009155261는 갑상선 호르몬 수용체에 의한 세포 기능 조절을 통해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돌 화합물 및 이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설명하고 있다.
심장-미침범(cardiac-sparing) TR 효능제의 탈모 치료를 위한 용도가 EP 1262177 B1에서 청구되고 있다. 상기 특허에 의하면, 청구된 티로미메틱 화합물은 탈모, 특히 남성형 및 여성형 대머리 치료를 위한 국부적 제형에 사용될 수 있다. 청구된 물질들 중 하나(PF277343)가 생쥐 및 원숭이의 발모 모델에서 테스트되었고, 두 종들 모두에 있어서 효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Li et al., Bioorg. Med. Chem. Lett., 2010, 20: 306-308).
WO 01/060784은 갑상선 수용체를 위한, 아닐린-유도 리간드(aniline-derived ligands)를 청구하고 있다. 비만, 고콜레스테롤혈증, 죽상동맥경화증, 우울증, 골다공증, 갑상선 기능 저하증, 갑상선종, 갑상선암, 녹내장, 심부정맥, 울혈성 심부전, 또는 피부 질환 또는 질병의 치료를 위한 상기 화합물의 용도가 청구되고 있다. 상기 피부 질환 또는 질병은 진피 위축증(dermal atrophy), 레이저 박피로 인한 수술 후 멍(post surgical bruising), 켈로이드(keloids), 선조(stria), 셀룰라이트(cellulite), 거친 피부(roughened skin), 화학선에 의한 피부 손상(actinic skin damage), 편평태선(lichen planus), 비듬증, 여드름, 건선, 다리에증(Darier's disease), 습진, 아토피성 피부염, 염소좌창(chloracne), 비강진(pityriasis) 및 피부 흉터(skin scarring)이다.
WO 03/039456는 향상된 안전성 및 경제성을 갖는 아닐린-유도 갑상선 수용체 리간드 제조 방법을 청구하고 있다. WO 07/11025는 향상된 결정성 물질(crystalline material)을 청구하고 있다. WO 07/11026는 갑상선 호르몬 수용체 효능제를 함유하는 안정적인 경구 투여용 약학적 조성물을 청구하고 있다. WO 07/110225는 3-[[3,5-디브로모-4-[4-하이드록시-3-(1-메틸에틸)-페녹시]-페닐]-아미노]-3-옥소프로피온산의 신규한 결정형을 함유한 약학적 조성물을 설명하고 있다. WO 09/077147은 갑상선 호르몬 수용체와 결합하는 화합물의 약학적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WO 09/080835는 소닉 헤지호그 신호전달계(sonic hedgehog signalling)와 관련된 질병의 치료에 사용되는 티로미메틱 화합물을 청구하고 있다.
따라서, 몇몇 갑상선 호르몬들과 상술한 TR 효능제들이 탈모의 치료에 효능이 있다고 주장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치료제들 모두는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근원적 탈모 치료에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탈모 치료를 위한 T3 및/또는 T4의 전신 투여(systemic administration)는 실행 가능하지 않은데, 그것은 갑상선 호르몬이 상당한 심독성을 유발하거나 골밀도 및 제지방 체중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과 같은 부작용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아주 최근에, 국부적 T3를 이용한 무작위 이중 맹검 파일럿 임상 효능 시험(randomized, double-blind pilot clinical efficacy trial)이 발표되었다(Nasiri et al., JEADV, 2011, DOI: 10.1111/j.1468-3083.2011.04088.x). 원형 탈모증에서의 국부적 T3에 대한 첫 번째 임상 연구에서, 상기 화합물은 안전하기는 하지만 플라시보(placebo)보다 더 효과적이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R 효능제의 사용 역시도 안전한 방식으로 적용될 경우 충분한 치료 효과를 야기하는 것으로 나타나지는 않았다.
그러므로, 발모 유도 또는 탈모 방지를 위한 효과적이고도 안전한 장기(long-term) 치료가 강력히 요구되고 있다. 특히, 탈모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매우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심독성, 골 결함 또는 체중 감소와 같은 상술한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는 신규한 치료제가 필요하다.
탈모 치료에 있어서 상술한 미해결 결점들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으면서도, 발모 유도 또는 탈모 방지에 효과적이고 안전한 장기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에프로티롬(KB2115, 3-[[3,5-디브로모-4-[4-하이드록시-3-(1-메틸에틸)페녹시]페닐]아미노]-3-옥소-프로피온산)이 발모를 촉진하고 색소침착-촉진 효과(pigmentation-stimulatory effects)를 나타낼 수 있으면서도 상당한 심독성을 유발하거나 골밀도 및 제지방 체중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과 같은 부작용을 초래하지 않는다는 것이 본 발명의 발명자들에 의해 밝혀졌다는 점에서, 상술한 문제점들이 이들에 의해 놀랍게도 해결되었다.
특히,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인간 모낭 기관 배양에서의 체외 테스트 후의 모발 스테이징 조직형태계측(hair staging histomorphometry)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리고 모기질 케라티노사이트의 증가된 증식 및 TGFβ2의 상당히 감소된 발현(expression)에 의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에프로티롬이 성장기를 뚜렷이 늘린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또한, 처치된 모낭에서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의 활성이 상향 조절되고 멜라닌의 양이 증가하였다는 것은, 색소침착-촉진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상은 포유동물의 모발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에프로티롬이다.
또한, 본 발명의 대상은,
(a) 모발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유효 성분으로서 에프로티롬, 및
(b)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
를 포함하는, 포유동물의 모발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기도 하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모발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용도의, 특히 탈모를 저지 및/또는 반전시키고 발모를 촉진하는 것을 포함하는 백발화 및/또는 탈모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에프로티롬 및 에프로티롬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포함한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KB2115로도 알려져 있는 에프로티롬의 화학명은 3-[[3,5-디브로모-4-[4-하이드록시-3-(1-메틸에틸)페녹시]페닐]아미노]-3-옥소-프로피온산이다. 에프로티롬의 화학 구조식이 아래에서 예시된다.
지금까지, 에프로티롬은 과체중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의 콜레스테롤 레벨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인간에 대한 임상실험에서, TR-β 선택적 티로미메틱 에프로티롬은, 안전하고 내약성도 높은 것으로 밝혀졌고, 다소 과체중이면서 고콜레스테롤혈증의 대상에 있어서 전체 콜레스테롤 레벨 및 LDL 콜레스테롤 레벨을 40%까지 낮추면서도 심장에 검출 가능한 영향을 끼치지는 않았다(Berkenstam et al., PNAS, 2008, 105: 663-667).
TRβ 및 TRα는 흔히 발현되며 독특한 발현 패턴을 갖는다(Forrest et al., EMBO J. 1996, 15: 3006-3015). 인간에 있어서, TRα1의 각별한 고발현이 심장에서 발견되고(Blange et al., C. Bol. Pharm. Bull., 1997, 20: 1123), 골격근에서도 발견된다. TR-β1은 대부분 뇌, 간 및 신장에서 발현된다.
본 발명은 포유동물의 모발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에프로티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에프로티롬이라는 용어는, 특히 다르게 명시되지 않는 이상, 예를 들어 그것의 유리 형태(예를 들어, 유리산 형태)는 물론이고 다형체(polymorphs), 수화물(hydrates), 용매 화합물(solvates), 호변체(tautomers), 및 그것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모든 염들을 포함하는, 에프로티롬의 모든 활성 형태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임의의 적절한 형태를 갖는 에프로티롬의 적절한 활성 대사물들도 역시 에프로티롬 용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에프로티롬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무기 또는 유기 염기를 포함하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무독성 염기로부터 제조된 염을 지칭한다. 무기 염기로부터 유도된 염은 알루미늄, 암모늄, 칼슘, 구리, 제2철, 제1철, 리튬, 마그네슘, 망간 염(manganic salts), 망간(manganous), 칼륨, 나트륨, 아연 등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암모늄, 칼슘, 리튬, 마그네슘, 칼륨 및 나트륨 염들이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무독성 유기 염기로부터 유도된 염은 1차, 2차 및 3차 아민, 자연 발생적 치환 아민을 포함하는 치환 아민, 고리형 아민 및 염기성 이온교환수지[아르기닌(arginine), 베타인(betaine), 카페인(caffeine), 콜린(choline),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디에틸아민, 2-디에틸아미노에탄올, 2-디메틸아미노에탄올, 에탄올아민, 에틸렌디아민, N-에틸모르폴린, N-에틸피페리딘, 글루카민, 글루코사민, 히스티딘(histidine), 하이드라바민(hydrabamine), 이소프로필아민, 리신(lysine), 메틸글루카민, 모르폴린, 피페라진, 피페리딘, 폴리아민 수진, 프로카인(procaine), 퓨린(purines), 테오브로민(theobromine), 트리에틸아민, 트리메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트로메타인(tromethamine) 등과 같은]의 염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유용한 에프로티롬은 심장-미침범(cardiac-sparing)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 "심장-미침범"은, 본 발명의 방법에 유용한 에프로티롬이 발모 촉진 및 백발화 방지를 위하여 요구되는 투약량에서 그 어떠한 관찰 가능한 심독성도 처치 받은 포유동물에 야기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에프로티롬은 심장 엔드포인트(endpoints) 및 그 밖의 다른 바람직하지 않은 엔드포인트에 끼치는 것보다 더 강력한 영향을 발모에 끼치는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에프로티롬의 유효량(effective amount)이 포유동물의 모발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사용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에프로티롬의 유효량"은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는데 효과적인 양을 의미하는데, 상기 생물학적 활성은, 본 발명의 방법으로 사용될 때 과도한 부작용(과도한 독성, 자극 또는 알레르기 반응과 같은) 없이 합리적인 이익/위험 비율에 상응하여 포유류 대상 내의 활성 사이트에서 탈모를 저지 및/또는 반전시키거나 발모를 촉진하는 것이다.
상기 "에프로티롬의 유효량"은 보통 하루에 약 0.01mg 내지 1000mg, 더 바람직하게는 0.05mg 내지 100mg, 가장 바람직하게는 0.1mg 내지 10mg의 에프로티롬을 투여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포유동물은 내온성(endothermy), 모발, 3개의 중이 골(middle ear bones), 및 새끼를 가진 어미에서 기능을 발휘하는 유선(mammary glands)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유강(class Mammalia), 공기 호흡 척추동물의 멤버로 이해된다. 바람직한 포유동물은 인간이다.
본 발명에서, 모발 질환은 바람직하게는 백발화(hair graying) 및/또는 탈모를 지칭하며, 탈모를 저지 및/또는 반전시키고 발모를 촉진한다.
특히, 탈모는 바람직하게는 원형 탈모, 남성형 및 여성형 대머리를 포함하는 대머리 탈모, 및 화학요법에 의해 유발되는 탈모로부터 선택된다.
에프로티롬은 탈모를 저지 및/또는 반전시키고 발모를 촉진하는 것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의 탈모 치료와 같이, 증상들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 증상들은, 예를 들어 휴지기 탈모(telogen effluvium), 사춘기 후 탈모(postpubertal effluvium), 노인성 탈모(senile effluvium), 원형 탈모 및 남성형 및 여성형 대머리를 포함하는 대머리 탈모, 영양실조로 인한 탈모(dystrophic effluvium) 및 매독성 탈모(alopecia areolaris specifica)로 나타날 수 있다.
에프로티롬은 기계적 탈모(mechanical alopecia) 후에, 그리고 과다 출혈, 급성 중증 전염병, 수술로 인한 쇼크 및 외상성 쇼크(traumatic shocks), 교원증(collagenosis)과 같은 전신병(systemic diseases)의 급성 발적(acute flare-ups) 및 약제(medicaments)에 의해 유발되는 간헐적 휴지기 탈모( 화학요법에 의해 유발되는 탈모 포함) 후에, 모발이 재생되는 것을 가속화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에프로티롬은 백발화의 방지 또는 반전을 포함하는 색소침착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안적 실시예는, 포유동물의 탈모를 치료 및/또는 예방함에 있어서, 및/또는 모발 상태의 예방, 바람직하게는 백발화를 예방 및/또는 반전시킴에 있어서, 에프로티롬의 비치료적(화장용)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에프로티롬은 국부적으로, 경구적으로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프로티롬은 국부적으로 투여된다.
또한, 본 발명은,
(a) 모발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유효 성분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에프로티롬, 및
(b)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
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모발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 특히 백발화 및 탈모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유효 성분으로서의 에프로티롬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a) 포유동물의 탈모를 치료 및/또는 예방함에 있어서 그리고/또는 모발 상태의 예방, 바람직하게는 백발화를 예방 및/또는 반전시킴에 있어서 사용되는 유효 성분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에프로티롬, 및
(b) 미용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
를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조성물은 포유동물의 피부 상에 국부적으로 발라지기에 적합한 피부학적(dermatological)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조성물의 형태는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로션, 크림, 젤, 스프레이, 분말, 연고, 왁스, 비누, 샴푸, 하이드로알코올 용액(hydroalcoholic solutions), 유화액(emulsions), 현탁액(suspensions), 용액(solutions), 거품제재(foams), 포화 패드(saturated pads), 피부 또는 모발 컨디셔닝제의 형태이다. 더 바람직한 형태는 유화액, 현탁액 및 용액이다.
특히, 에프로티롬을 약학적/피부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와 혼합함으로써 에프로티롬이 약학적 또는 미용적 제제에 포함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미용적으로 그리고 약학적/피부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들을 함유할 수 있다. 이것들은, 예를 들어 유기 용제와 같은 용제, 겔화제, 완충제, 세정제, 오일, 알코올, 유화제, 가용화제, 습윤제, 충진제 및 생접착제(bioadhesives), 연화제, 방부제, 항균제, 계면활성제, 향료, 농화제, 유연제, 보습제, 오일, 지방, 왁스, 물, 알코올, 폴리올, 폴리머, 거품 안정제, 발포제, 소포제, 모발 코팅제 또는 약학적 또는 미용적 제제의 다른 적합한 성분들을 포함한다.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들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어 알킬에테르 황산염, 알킬 황산염, 알킬-술포-석시네이트(alkyl-sulfo-succinates), 에테르 카르복실산 및 에스테르 카르복실산, 알킬사르코시네이트(alkylsacosinates), -글루타민산염(-glutamates), -글리시네이트(-glycinates) 및 -타우레이트(-taurates), 알킬인산염 및 알킬술폰산염이다.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코코아미도프로필 베타인(cocoamidopropyl betaines), 암포아세테이트(amphoacetates) 또는 예를 들어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와 같은 암포디아세테이트(amphodiacetates), 코카마이드 MEA(Cocamide MEA) 또는 -DEA가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어 알킬글리코시드(alkylglycosides) 및 알콕시글리코시드(alkoxyglycosides)이다.
항균제의 예는 포름산, 소르브산(sorbic acid) 및 벤조산과 같은 유기산이다. 또한, p-하이드록시벤조산의 에스테르, 포름알데히드 방출제로서 예를 들어 DMDM 히단토인(DMDM hydantoin),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imidazolidinylurea) 또는 메틸 클로로이소티아졸리논(methyl chloroisothiazolinone), 메틸이소티아졸리논(methylisothiazolinone), 디브로모디시아노부탄(dibromodicyanobutane), 요오드프로피닐 부틸카르바메이트(iodopropynyl butylcarbamte),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또는 벤잘 알코올(benzal alcohol)이 항균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피부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는 국부적 투여를 위한 무기 또는 유기 물질일 수 있다.
바람직한 약학적/피부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는 용제, 겔화제, 완충제, 계면활성제, 세정제, 오일, 알코올, 유화제, 가용화제, 습윤제, 충진제 및 생접착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한 첨가제의 예는, 물, 식물성 오일, 벤질 알코올, 폴리에틸렌 알코올/글리콜, 젤라틴, 콩, 탄수화물(젖당 또는 녹말과 같은), 레시틴(lecithin), 글리세롤 트리아세테이트 및 다른 지방산 글리세리드, 활석(talc) 및 셀룰로오스이다. 적합한 첨가제로서 겔화제의 예는, 펙틴(pectin), 아가로스(agarose), 젤라틴 및 카세인과 같은 천연 겔화제, 또는 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프로필 셀룰로오스 및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와 같은 변형된 천연 겔화제, 또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메스)아크릴산,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전체 합성 겔화제이다.
제형의 pH 값은 폴리에시드(polyacids) 및 그 염으로 구성된 완충 시스템을 이용하여 안정화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에시드의 예는 구연산(citric acid), 주석산(tartaric acid), 및 사과산(malic acid)이다.
착색제와 같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그 밖의 다른 적합한 약학적 첨가제 그 어느 것이라도 바람직하게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에프로티롬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예를 들어 경구적, 국부적 또는 비경구적 투여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들 중 그 어느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국부 투여가 바람직하다.
에프로티롬이 전신 투여(비경구 투여)되는 경우, 하루에 투여되는 양은 0.01 내지 3000 mg, 더 바람직하게는 0.05 mg 내지 1000 mg,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 mg이 범위이다.
에프로티롬이 국부 투여되는 경우, 하루에 투여되는 양은 0.01 mg 내지 1000 mg, 더 바람직하게는 0.05 mg 내지 100 mg,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mg 내지 10 mg이다.
상기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약 0.0001% 내지 약 10% (w/v), 더 바람직하게는 약 0.001% 내지 약 5% (w/v),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1% (w/v)의 에프로티롬을 함유한다. 상기 함량이 위의 값들 미만일 경우, 치료 및/또는 예방이 비효과적이다. 반면, 상기 함량이 상술한 값들을 초과할 경우, 피부 자극이 관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물론이고 본 발명에 따른 에프로티롬은 추가적 치료상 활성 물질과 함께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추가적 치료상 활성 물질들은 에프로티롬의 발모 효과를 강화시키기 위하여 상이한 방식들로 작용할 수 있는 매우 다양한 분자들로부터 선택된다(발모 치료 리스트에 대하여, 예를 들어, www.regrowth.com 참조). 본 발명의 조성물은 물론이고 에프로티롬과 함께 투여되기에 적합한 특정 종류의 활성 촉진제는 발모 촉진제를 포함한다. 발모를 활성화시키고/활성화시키거나 탈모를 저지시키며, 전신용 및 국부용 조성물 모두를 포함하여 여기에서 설명되고 있는 조성물들에서 부가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는 물질의 비제한적인 예들은, 예를 들어, 벤잘코늄 클로라이드(benzalkonium chloride), 벤제토늄 클로라이드(benzethonium chloride), 페놀, 에스트라디올(estradiol), 디펜하이드라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diphenhydramine hydrochloride), 카페인, 클로르페니라민 말레산염(chlorpheniramine maleate), 클로로필린 유도체(chlorophyllin derivatives), 콜레스테롤, 살리실산, 아르기닌(arginine), 시스테인(cysteine), 지방산, 메티오닌(methionine), 레드 페퍼 팅크(red pepper tincture), 벤질 니코티네이트(benzyl nicotinate), D,L-메탄올, 페파민트 오일(peppermint oil), 판토테산 칼슘(calcium pantothenate), 판테놀(panthenol), 피마자유(castor oil), 히노키티올(hinokitiol),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레조르시놀(resorcinol), 단당류 및 에스테르화 단당류, 단백질인산화효소C(protein kinase C enzymes)의 화학 활성제,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 사슬 세포 활용 억제제(glycosaminoglycan chain cellular uptake inhibitors), 글리코시다아제(glycosidase) 활성 억제제,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카나아제(glycosaminoglycanase) 억제제, 피로글루탐산(pyroglutamic acid)의 에스테르, 헥소사카린산(hexosaccharic acid) 또는 아실화 헥소사카린산, 아릴-치환된 에틸렌, N-아실화 아미노산, 트레티노인(tretinoin), 시클로스포린 A(cyclosporin A)와 같은 시클로스포린, 미녹시딜(minoxidil)과 같은 칼륨 채널 차단제(potassium channel blockers),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 또는 두타스테라이드(dutasteride)와 같은 5-α-리덕타아제 억제제, 및 시프로테론 아세테이트(cyproterone acetate)와 케토코나졸(ketoconazole)과 같은 안드로겐 수용체 길항제(androgen receptor antagonist)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첨가될 바람직한 추가적 치료상 활성 물질(발모 촉진제)은, 예를 들어, 카페인, 미녹시딜, 시프로테론 아세테이트 및 피나스테라이드이며, 미녹시딜이 가장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에프로티롬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에프로티롬은 항백발제(anti-graying enhancer)와 함께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항백발제는 항백발 작용을 강화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항백발제는 자연적인 색소침착 진행 및 멜라닌화를 촉진시키는 종류의 물질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항백발제는 에키네시아속(genus Echinacea) 식물들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식물은, 에키네시아 식물의 식물 그 자체, 식물의 일부, 추출물 및 압착즙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에키네시아 식물은 에키네시아 앵거스티폴리아 DC(Echinacea angustifolia DC), 에키네시아 파라독사(Echinacea paradoxa)(Norton), 에키네시아 시뮬라타(Echinacea simulata), E. 아트로루벤스(E. atrorubens), E. 테네시엔시스(E. tennesiensis), 에키네시아 스트리고사(Echinacea strigosa)(MCGREGOR), 에키네시아 라에비가타(Echinacea laevigata), 에키네시아 푸푸레아 (L.) 모엔크[chinacea purpurea (L.) Moench] 및 에키네시아 팔리다(Moench and Echinacea pallida)(Nutt)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이들로부터 추출물 및 압착즙이 얻어진다.
항백발제로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에키네시아로부터 얻어지는 추출물이며, 특히 바람직한 것은 에키네시아 푸푸레아로부터 얻어지는 추출물이다.
또한, 에프로티롬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물론이고 본 발명에 따른 에프로티롬도 경피흡수 촉진제(penetration enhancer)와 함께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경피흡수 촉진제는 지방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아미드 및 아민, 용제, 레시틴(lecithin), 비사보롤(bisabolol), 1,8 시네올(1,8 cineole), 디메틸 이소소르비드(dimethyl isosorbide), 멘톨, 테르펜(terpenes), N-메틸-2-피롤리돈, 데실메틸 설폭사이드, 디메틸 설폭사이드, 1-도데실 아자바이사이클로헵탄-2-온(1-dodecyl azabicycloheptane-2-one), 및 N-도데실-2-피롤리돈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경피흡수 촉진제는 올레일 알코올(oleyl alcohol), 디이소프로필 세바케이트(diisopropyl sebacate),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올레일 올리에이트(oleyl oleate), 올레산, 에토민 S12(ethomeen S12), 디메틸 아세트아미드, 프로필렌 글리콜, 레시틴, 비사보롤, 1,8 시네올, 디메틸 이소소르비드, 멘톨, 테르펜, N-메틸-2-피롤리돈, 데실메틸 설폭사이드, 디메틸 설폭사이드, 1-도데실 아자바이사이클로헵탄-2-온, 및 N-도데실-2-피롤리돈이며, 특히 바람직한 것은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및 디메틸 이소소르비드이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경피흡수 촉진제들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001% 내지 10%(w/v), 더 바람직하게는 약 0.001% 내지 약 5%(w/v),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약 2%(w/v)의 농도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에프로티롬과 경피흡수 촉진제의 조합은 모낭에서의 에프로티롬 농도 증가를 가져온다. 따라서, 상술한 모발 질환들을 치료함에 있어서 유사한 약리적 효과를 달성하는데 더 적은 양의 에프로티롬이 투여될 수 있다. 이것은, 에프로티롬의 전신 작용(systemic effect)을 감소시킴으로써 환자에게 부작용이 발생할 위험을 감소시킨다.
국부 투여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약학적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a) 0.1% 내지 1%(w/v)의 에프로티롬
b) 30% 내지 70%(w/v)의 알코올, 예를 들어, 에탄올
c) 10% 내지 30%(w/v)의 합성 겔화제,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산
d) 10% 내지 30%(w/v)의 경피흡수 촉진제, 예를 들어,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e) 잔여량의 물(q.s. water)
을 포함한다.
국부 투여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바람직한 약학적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a) 0.1% 내지 1%(w/v)의 에프로티롬
b) 5 내지 40%(w/v)의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및 암모늄 라우레스 설페이트
c) 0.5 내지 5%(w/v)의 발포제, 예를 들어, 코카마이드 MEA
d) 0.5 내지 5%(w/v)의 진주색 광택제(pearlizing agent), 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e) 0.5 내지 5%(w/v)의 농화제, 예를 들어, 세틸 알코올
f) 0.1 내지 3%(w/v)의 모발 컨디셔닝, 예를 들어, 폴리쿼터늄-4(polyquaternium-4)
g) 0.1 내지 3%(w/v)의 보습제, 예를 들어, 글리세린
h) 선택적으로, 5 내지 10%(w/v)의 추가적 성분
j) 잔여량의 물
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현재 통용되는 다른 치료로는 나아지지 않는 모발 질환을 가진 환자들에 사용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에프로티롬을
이용한 치료:
도1은 49세 여성으로부터 얻은 모낭에서의 모간 신장을 보여주는 도표이다.
도2는 49세 여성으로부터 얻은 모낭에서의 모발 주기 스테이징[거시적(macroscopic)]을 보여주는 도표이다.
도3은 49세 여성으로부터 얻은 모낭에서의 모발 주기 스테이징[미시적(microscopic)]을 보여주는 도표이다.
도4는 49세 여성 제공자로부터의 모든 치료된 모낭들의 모발 색소침착을 보여준다.
도5는 49세 여성 제공자로부터의 성장기 기간에 있는 모든 치료된 모낭들의 모발 색소침착을 보여준다.
도6은 49세 여성 제공자로부터의 모낭들(모든 모낭들)의 티로시나아제 활성의 상향조절(upregulation)을 보여준다.
도7은 49세 여성 제공자로부터의 모낭들(오직 성장기 모낭들)의 티로시나아제 활성의 상향조절을 보여준다.
도8은 49세 여성 제공자로부터의 치료된 모낭들의 Ki-67 및 튜넬(TUNEL) 염색을 보여준다.
도9는 49세 여성 제공자로부터의 모낭들(모든 모낭들)에서의 MTCO1 발현을 보여준다.
도10은 49세 여성 제공자로부터의 모낭들(오직 성장기 모낭들)에서의 MTCO1 발현을 보여준다.
도11은 49세 여성 제공자로부터의 치료된 모낭들에서의 TGFβ2 발현 감소를 보여준다.
도12는 47세 여성으로부터 얻은 모낭에서의 모간 신장을 보여주는 도표이다.
도13은 47세 여성으로부터 얻은 배양 중인 모낭들을 보여준다.
도14는 47세 여성으로부터 얻은 모낭에서의 모발 주기 스테이징(거시적)을 보여주는 도표이다.
도15는 47세 여성으로부터 얻은 모낭에서의 모발 주기 스테이징(미시적)을 보여주는 도표이다.
도16은 47세 여성 제공자로부터의 모든 치료된 모낭들의 모발 색소침착을 보여준다.
도17은 47세 여성 제공자로부터의 성장기 기간에 있는 모든 치료된 모낭들의 모발 색소침착을 보여준다.
도18은 47세 여성 제공자로부터의 모낭들(모든 모낭들)의 티로시나아제 활성의 상향조절을 보여준다.
도19는 47세 여성 제공자로부터의 모낭들(오직 성장기 모낭들)의 티로시나아제 활성의 상향조절을 보여준다.
도20은 47세 여성 제공자로부터의 치료된 모낭들의 Ki-67 및 튜넬 염색을 보여준다.
도21은 47세 여성 제공자로부터의 치료된 모낭들에서의 MTCO1 발현을 보여준다.
도22는 47세 여성 제공자로부터의 치료된 모낭들에서의 TGFβ2 발현 감소를 보여준다.
TRIAC
을 이용한 치료:
도23은 49세 여성으로부터 얻은 모낭의 모간 신장을 보여주는 도표이다.
도24는 49세 여성으로부터 얻은 배양 중인 모낭들을 보여준다.
도25는 49세 여성으로부터 얻은 모낭에서의 모발 주기 스테이징(거시적)을 보여주는 도표이다.
도26는 49세 여성으로부터 얻은 모낭에서의 모발 주기 스테이징(미시적)을 보여주는 도표이다.
도27은 49세 여성 제공자로부터의 모든 치료된 모낭들의 모발 색소침착을 보여준다.
도28은 49세 여성 제공자로부터의 모낭들(모든 모낭들)의 티로시나아제 활성의 하향조절을 보여준다.
도29는 49세 여성 제공자로부터의 치료된 모낭들의 Ki-67 및 튜넬 염색을 보여준다.
도30은 49세 여성 제공자로부터의 모낭들(모든 모낭들)에서의 MTCO1 발현을 보여준다.
도31은 49세 여성 제공자로부터의 치료된 모낭들에서의 TGFβ2 발현 감소를 보여준다.
PF
-277343을 이용한 치료:
도32는 58세 여성으로부터 얻은 모낭의 모간 신장을 보여주는 도표이다.
도33은 58세 여성으로부터 얻은 배양 중인 모낭들을 보여준다.
도34는 58세 여성으로부터 얻은 모낭에서의 모발 주기 스테이징(거시적)을 보여주는 도표이다.
도35는 58세 여성으로부터 얻은 모낭에서의 모발 주기 스테이징(미시적)을 보여주는 도표이다.
도36은 58세 여성 제공자로부터의 모든 치료된 모낭들의 모발 색소침착을 보여준다.
도37은 58세 여성 제공자로부터의 성장기 기간에 있는 모든 치료된 모낭들의 모발 색소침착을 보여준다.
도38은 58세 여성 제공자로부터의 모낭들(모든 모낭들)의 티로시나아제 활성의 상향조절을 보여준다.
도39는 58세 여성 제공자로부터의 모낭들(오직 성장기 모낭들)의 티로시나아제 활성의 상향조절을 보여준다.
도40은 58세 여성 제공자로부터의 치료된 모낭들의 Ki-67 및 튜넬 염색을 보여준다.
도41은 58세 여성 제공자로부터의 치료된 모낭들에서의 MTCO1 발현을 보여준다.
도42는 58세 여성 제공자로부터의 치료된 모낭들에서의 TGFβ2 발현 감소를 보여준다.
실시예들
인간 모낭 기관 배양에서 갑상선 호르몬 수용체 효능제의 체외 테스트
A) 실험 방법
조직 시료:
일상적인 주름살 제거 수술을 받은 여성으로부터 사전 고지 후 동의를 받고 통상의 인간 두피를 얻었다.
인간 모낭 기관 배양:
테스트 시스템: 필포트 모델(Philpott et al., J. Cell. Mol. Life Sci., 1990, 97: 463-471)
3 또는 4 그룹들의 미세해부된 성장기 VI 모낭들(3개 모낭들/well)이, 24-well 플레이트에서, 100 IU/ml의 페니실린, 10 ㎍/ml의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Gibco), 10 ㎍/ml의 인슐린(Sigma), 10 ng/ml의 하이드로코르티손(hydrocortisone)(Sigma) 및 2 mmol/l의 L-글루타민(Invitrogen)이 추가된 500 ㎕의 윌리엄스((Williams) E 배지(Biochrom)로 6 일간 배양되었다.
에프로티롬, TRIAC, PF-277343 (1 pM, 100 pM) 또는 비히클(vehicle)이 배지가 바뀔 때마다(즉, 48 시간마다) 한 번씩 투여되었다.
성장기 모낭들 및 모낭들은 샌돈 크라이오매트릭스(Shandon Cryomatrix)에 즉시 넣어진 후 액체 질소에서 급속 냉동되었다. 모낭들의 6개의 긴 섹션들(longitudinal sections)이 면역조직형태계측 염색을 위해 처리되었다.
모간 신장(
Hair
shaft
elongation
):
접안렌즈 측정 눈금판(eyepiece measuring graticule)을 가진 짜이스(Zeiss)사의 도립 양안 현미경(inverted binocular microscope)을 이용하여 모낭들의 모간 길이를 이틀에 한 번 측정하였다.
모낭 주기
스테이징
(
HF
cycle
staging
):
정의된 형태학적 기준(defined morphological criteria)에 따라 모낭 주기 스테이징이 수행되었고, 성장기 및 퇴화기 초반, 중반, 또는 후반에서 모낭들의 퍼센티지가 측정되었다.
모발 색소침착(
Hair
pigmentation
):
멜라닌의 조직화학적 가시화(visualization)를 위하여, 마손-폰타나 염색(Masson-Fontana staining)이 냉동된 섹션들에 수행되었다. 멜라닌이 갈색 점들로서 염색되었고, 설명한 바와 같이 정량적 마손-폰타나에 의해 색소침착의 정도가 평가되었다(Ito et al., Br. J. Dermatol., 2005, 152: 623-631). 표준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발현 및 효소 활성 분석(assays)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멜라닌 합성에 있어서의 변화를 매우 민감하게 그리고 신뢰성 있게 보여준다(Kauser et al., FASEB J. 2006, 20:882-95). 이미지J(ImageJ) 소프트웨어(National Institute of Health)를 사용하여 모낭 색소침착 단위의 정의된 레퍼런스 영역에서 염색 강도가 분석되었다.
증식(
proliferation
) 및 사멸(
apoptosis
) 측정:
증식 마커(marker) Ki-67을 이용한 공동위치확인(co-localization)에서 사멸 세포를 확인하기 위하여, Ki-67/말단 dUTP 닉-앤드 라벨링(terminal dUTP nick-end labelling)(TUNEL)의 이중-염색 방법이 사용되었다. 동결 섹션들(cryostat sections)이 파라포름알데하이드 및 에탄올-아세트산(2:1)에 고정되었고, 말단 데옥시뉴클레오티딜 전이효소(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의 존재 하에 디그옥시제닌-데옥시-UTP(digoxigenin-deoxy-UTP)(ApopTag 플루오레세인 원위치 사멸 검출 키트; Intergen, Purchase, NY)로 라벨링되었으며, 이어서 마우스 안티-Ki-67 항혈청(1:20 in PBS overnight at 4℃; Dako, Glostrup, Denmark)으로 배양되었다. 튜넬(TUNEL)-양성 세포들이 안티디그옥시제닌 플루오레세인 이소티오시아네이트-접합된 항체(ApopTag kit)에 의해 가시화된 반면에, Ki-67은 로다민-라벨링된(rhodamine-labelled) 고우트 안티마우스 항체(goat antimouse antibody)(Jackson ImmunoResearch, West Grove, PA)에 의해 검출되었다. 말단 데옥시뉴클레오티딜 전이효소 및 Ki-67 항체를 생략함으로써 음성 대조군이 수행되었다. 4',6-디아미디노-2-페닐인돌(DAPI)(Roche Molecular Biochemicals GmbH, Mannheim, Germany)을 이용하여 대조염색(counterstaining)이 수행되었다. 정량적 면역조직형태계측이 수행되었다; K-67-, 튜넬-, 또는 DAPI-양성 세포들이 이전에 정의된 모낭 매트릭스 및 표피의 레퍼런스 영역에서 카운트되었고, Ki-67/튜넬-양성 세포들의 퍼센티지가 결정되었다.
통계적 분석:
two-tailed Student's t-test를 이용하여 비쌍 샘플들(unpaired samples)에 대하여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1:
에프로티롬(KB2115)로
치료된 49세 여성으로부터의 후두부 두피 모낭.
에프로티롬을 이용한 치료는 모간 신장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는 않았다.
6일 후, 거시적 및 미시적으로, 에프로티롬은 성장기 모낭들의 개수를 상당히 증가시켰고 퇴화기 모낭들의 개수는 감소시켰다.
100 pM 농도에 있어서, 분석된 두 그룹들(성장기 모낭들 및 모든 모낭들) 모두에서 조금 증가된 멜라닌화가 관찰되었다.
100 pM 에프로티롬에 의해 티로시나아제 활성이 조금 상향조절되었다(성장기 모낭들 및 모든 모낭들).
성장기-연장 효과와 유사하게, 모기질 케라티노사이트(hair matrix keratinocyte)의 증식(Ki-67)이 경향적으로 상향조절된 반면에, 치료된 그룹에서 사멸(튜넬)에는 변화가 없었다.
MTCO1 단백질 발현에서는 뚜렷한 변화가 없었다. 에프로티롬은 1 pM 농도 그룹에서 TGFβ-2 면역반응성을 상당히 감소시켰다.
실시예
2:
에프로티롬(KB2115)로
치료된 47세 여성으로부터의 후두부 두피 모낭.
에프로티롬은 두 투여량에 있어서 모간 신장을 조금 촉진시켰다. 거시적으로, 에프로티롬은 성장기 지속 기간에 대하여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모발 주기 조직형태계측은 에프로티롬의 뚜렷한 성장기-연장 효과를 나타내었다.
경향적으로, 100 pM의 에프로티롬은 멜라닌 함량을 약간 증가시켰다(성장기 모낭들 및 모든 모낭들). 경향적으로, 100 pM의 에프로티롬은 멜라닌 함량을 약간 증가시켰다(모든 모낭들). 성장기 모낭들만 분석되었다면 그 효과는 더욱 컸다. 에프로티롬(100 pM)은 멜라닌 함량을 약간 증가시켰다(성장기 모낭들 및 모든 모낭들).
100 pM 그룹에서 티로시나아제 활성이 상향조절되었다(유의미하게, 모든 모낭들이 분석되었다면). 많은 양(100 pM)의 에프로티롬 치료를 통해 모기질 케라티노사이트의 증식(Ki-67) 증가가 유발되었다. 에프로티롬은 MTCO1 면역반응성을 상당히 상향조절한다. 에프로티롬은 TGFβ2 면역반응성을 상당히 감소시켰다. 100 pM 농도에서 가장 강한 효과가 관측되었다.
비교예
1:
TRIAC[
트리요오드티로아세트산
, 티라트리콜(
Tiratricol
)]으로 치료된 49세 여성으로부터의 후두부 두피 모낭.
TRIAC을 이용한 치료는 모간 신장을 약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 pM 농도에서는 상당한 효과가 관찰되었다. 6일 후, 거시적 및 미시적으로, TRIAC은 모낭들의 성장기를 연장시키며 퇴화기 발달을 억제하였다. 모낭의 멜라닌 함량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모든 모낭들).
TRIAC에 의해 티로시나아제 활성이 하향조절되었다(모든 모낭들). 0.1 pM 및 1 pM 그룹들에서 그 효과가 상당히 컸다.
성장기-연장 효과와 유사하게, 모기질 케라티노사이트 증식(Ki-67)이 약간 상향조절되었고(유의미하지는 않음), 사멸(튜넬)은 억제되었다(유의미하지는 않음).
MTCO1 단백질 발현에 있어서 유의미한 변화는 없었다. TRIAC은 모든 농도들에 있어서 TGFβ2 면역반응성을 감소시켰다. 1 pM 및 100 pM 농도 그룹들에서 상당한 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TRIAC은 인간 피부에서 낮은 안정성 및 조악한 경피흡수를 나타내었다.
비교예
2:
PF
-277343으로 치료된 58세 여성으로부터의 후두부 두피 모낭.
1 pM으로 치료된 경우, 약간의(유의미하지 않은) 모간 신장 억제 경향이 나타났다.
거시적 모낭 평가는, PF-277343을 1 pM의 양으로 투여할 경우 퇴화기가 너무 이르게 유발됨을 시사한다. 거시적 스테이징과 유사하게, 정량적 모발 주기 조직형태계측은, PF-277343이 1 pM 및 100 pM에서 너무 이른 퇴화기 발달을 촉진함을 확인시켜 주었다.
모든 모낭들이 분석되었을 때, 1 pM 및 100 pM의 농도에서 상당히 감소된 멜라닌화가 관찰되었다. 성장기 모낭들만이 분석되었을 때, 100 pM 그룹에서 멜라닌 생성이 매우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유의미하게). 멜라닌화의 감소는, 독립적으로, 퇴화기-촉진 효과를 확인시켜 준다.
100 pM의 PF-277343에 의해 티로시나아제 활성이 약간 상향조절되었다(성장기 모낭들 및 모든 모낭들). 오직 성장기 모낭들만 분석되었다면, 이러한 효과는 상당히 컸다.
PF-277343는 모기질 케라티노사이트의 증식(Ki-67)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100 pM 농도에서 사멸(튜넬)이 약간 억제된다(유의미하지 않게).
MTCO1 단백질 발현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PF-277343는 100 pM 농도 그룹에서 TGFβ2 면역반응성을 상당히 감소시켰다.
에프로티롬, TRIAC 및 PF-277343은 동일한 종류의 화합물, 즉 갑상선 호르몬 수용체 효능제에 속하지만, 인간 두피 모낭에 적용될 때 상기 3개 화합물들은 놀랍게도 상이한 반응 패턴을 나타내었다.
모발 주기 스테이징의 거시적 및 미시적 분석에 의하면, 에프로티롬과 TRIAC만이 성장기를 연장시키고 퇴화기 발달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적으로, PF-277343을 이용한 치료는 모낭을 퇴화기 기간으로 너무 이르게 진입시켰는데, 이것은 탈모를 저지하고 발모를 촉진시키는 제제에 대해서는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이다. 이와 같은 발견과 유사하게, PF-277343에 대해서는 모간 신장이 약간 억제되는 경향이 있었다.
놀랍게도, 에프로티롬은, 치료된 모낭들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상향조절 및 멜라닌 함량 증가로부터 나타난 바와 같이, 모낭들의 색소 침착에 양성적 효과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대조적으로, TRIAC으로 치료된 모낭들에 대해서는 멜라닌 함량에 대하여 아무런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PF-277343으로 치료된 모낭들에 대해서는 음성적 효과, 즉 멜라닌 함량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감소된 멜라닌화는 백발화와 같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발 주기 스테이징 및 멜라닌화에 양성적 효과를 가진다는 점에서, 에프로티롬은 그 전체 프로파일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제형의 예들
국부적 투여를 위한 조성물: (전체 조성물에 대한 %(w/v)로)
에프로티롬 1%
에탄올 61%
프로필렌 글리콜 19%
디메틸 이소소르비드 19%
샴푸 1: (전체 조성물에 대한 %(w/v)로)
에프로티롬 0.2%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11.5%
암모늄 라우레스 설페이트 4%
코카마이드 MEA 2%
에틸렌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2%
세틸 알코올 2%
스테아릴 알코올 1.2%
글리세린 1%
폴리쿼터늄 10 0.5%
소듐 클로라이드 0.1%
목화 지방산(cottonate fatty acid)의 수크로오스 폴리에스테르 3%
베헤네이트 지방산(behenate fatty acid)의 수크로오스 폴리에스테르 2%
라우릴 디메틸 아민 옥사이드 1.5%
DMDM 히단토인(hydantoin) 0.15%
페녹시에탄올 0.5%
향제(fragrance) 0.5%
물 q.s.
샴푸 2: (전체 조성물에 대한 %(w/v)로)
에프로티롬 0.3%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 10%
코코암포아세테이트 2%
글리세린 2%
판테놀 0.5%
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 1.0%
소듐 폴리포스페이트 0.1%
향제 0.3%
소듐 클로라이드 0.3%
피록톤 올아민 0.5%
포름산 0.2%
물 q.s.
샴푸 3: (전체 조성물에 대한 %(w/v)로)
에프로티롬 0.5%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4%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 5%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하이드롤라이즈드 밀 단백질 1%
디소듐 라우레스 술포석시네이트 1%
비오틴(biotin) 0.02%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3%
시트르산 0.2%
향제 0.3%
칼륨 소르베이트(sorbate) 0.2%
DMDM 히단토인 0.1%
물 q.s.
Claims (15)
- 포유동물의 모발 질환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용도의 에프로티롬(eprotirome).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질환은 탈모인, 상기 용도의 에프로티롬. -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모는 원형 탈모, 남성형 및 여성형 대머리를 포함하는 대머리 탈모, 및 화학요법에 의해 유발되는 탈모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용도의 에프로티롬.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유동물은 인간인, 상기 용도의 에프로티롬.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프로티롬은 포유동물의 피부 상에 국부적으로 발라지는, 상기 용도의 에프로티롬. - (a) 유효 성분으로서 에프로티롬, 및
(b)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
를 포함하는, 모발 질환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용도의 약학적 조성물.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질환은 탈모, 바람직하게는 원형 탈모, 남성형 및 여성형 대머리를 포함하는 대머리 탈모 및 화학요법에 의해 유발되는 탈모로부터 선택되는 탈모인, 상기 용도의 약학적 조성물.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c) 경피흡수 촉진제(penetration enhancer), 바람직하게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및 디메틸 이소소르바이드(dimethyl isosorbide)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경피흡수 촉진제
를 더 포함하는, 상기 용도의 약학적 조성물. -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약 10 중량%의 에프로티롬을 포함하는, 상기 용도의 약학적 조성물. -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는 용제, 겔화제, 완충제, 계면활성제, 세정제, 오일, 알코올, 유화제, 가용화제, 습윤제, 충진제 및 생접착제(bioadhesives)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용도의 약학적 조성물. -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의 치료적 활성 물질을 더 포함하는, 상기 용도의 약학적 조성물.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치료적 활성 물질은 카페인(caffeine), 피나스테리드(finasteride), 미녹시딜(minoxidil), 시프로테론 아세테이트(cyproterone acetate)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용도의 약학적 조성물. - 제6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백발제(anti-graying enhancer)를 더 포함하는, 상기 용도의 약학적 조성물.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항백발제는 에키네시아(Echinacea)의 추출물인, 상기 용도의 약학적 조성물. - 포유동물의 탈모를 치료 및/또는 예방함에 있어서, 및/또는 모발 상태의 예방, 바람직하게는 백발화(hair graying)를 예방 및/또는 반전시킴에 있어서, 에프로티롬의 비치료적 용도(non-therapeutic 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261679990P | 2012-08-06 | 2012-08-06 | |
US61/679,990 | 2012-08-06 | ||
EP12179384.8 | 2012-08-06 | ||
EP12179384.8A EP2695611B1 (en) | 2012-08-06 | 2012-08-06 | Eprotirome for use in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hair disorders and compositions thereof |
PCT/EP2013/066409 WO2014023698A1 (en) | 2012-08-06 | 2013-08-05 | Eprotirome for use in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hair disorders and compositions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39824A true KR20150039824A (ko) | 2015-04-13 |
Family
ID=46963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57005507A Withdrawn KR20150039824A (ko) | 2012-08-06 | 2013-08-05 | 모발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에프로티롬 및 그 조성물 |
Country Status (16)
Country | Link |
---|---|
US (1) | US20150182482A1 (ko) |
EP (1) | EP2695611B1 (ko) |
JP (1) | JP6125012B2 (ko) |
KR (1) | KR20150039824A (ko) |
CN (1) | CN104717964A (ko) |
AU (1) | AU2013301601B2 (ko) |
BR (1) | BR112015002540A2 (ko) |
CA (1) | CA2879847C (ko) |
DK (1) | DK2695611T3 (ko) |
ES (1) | ES2528392T3 (ko) |
HK (1) | HK1206598A1 (ko) |
MX (1) | MX350125B (ko) |
PL (1) | PL2695611T3 (ko) |
RU (1) | RU2015107846A (ko) |
SG (1) | SG11201500838UA (ko) |
WO (1) | WO201402369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227549A1 (en) | 2019-05-08 | 2020-11-12 | Aligos Therapeutics, Inc. | MODULATORS OF THR-β AND METHODS OF USE THEREOF |
CN111110600B (zh) * | 2019-12-31 | 2021-08-06 | 泉后(深圳)信息技术有限公司 | 一种头皮净化促生发组合物及其乳液 |
Family Cites Families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S2108855T3 (es) * | 1992-07-21 | 1998-01-01 | Ciba Geigy Ag | Derivados de acido oxamico como agentes hipocolesteremicos. |
EP0812210A4 (en) | 1995-02-23 | 1998-08-19 | Life Medical Sciences Inc |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CREASING HAIR GROWTH AND MAINTAINING THE HAIR COLOR |
JP2003500459A (ja) | 1999-06-01 | 2003-01-07 | ザ・ユニバーシティ・オブ・テキサス・サウスウエスタン・メディカル・センター | 置換バイアリールエーテル化合物 |
MXPA01012494A (es) | 1999-06-01 | 2002-07-02 | Univ Texas Southwestern Med Ct | Metodo para tratar perdida capilar con el uso de compuestos sulfonil tiromimeticos. |
WO2000072813A1 (en) | 1999-06-01 | 2000-12-07 | The University Of Texas Southwestern Medical Center | Method of treating hair loss using diphenylmethane derivatives |
CA2375674A1 (en) | 1999-06-01 | 2000-12-07 | Robert Scott Youngquist | Biaryl compounds |
WO2000072811A1 (en) | 1999-06-01 | 2000-12-07 | The University Of Texas Southwestern Medical Center | Method of treating hair loss |
AU3507700A (en) * | 1999-06-01 | 2000-12-18 | University Of Texas Southwestern Medical Center, The | Method of treating hair loss using diphenylether derivatives |
DK1257526T3 (da) | 2000-02-17 | 2005-09-12 | Bristol Myers Squibb Co | Anilin-afledte ligander til thyreoidea-receptoren |
EA200200921A1 (ru) | 2000-03-31 | 2003-02-27 | Пфайзер Продактс Инк. | Полуамиды малоновой кислоты и их производные в качестве лигандов тиреоидных рецепторов |
ATE337009T1 (de) | 2001-05-31 | 2006-09-15 | Pfizer Prod Inc | Medizinische verwendung thyromimetischer verbindungen gegen haarausfall und zusammensetzungen |
EP1297833B1 (en) | 2001-09-26 | 2005-12-21 | Pfizer Products Inc. | Indole carboxylic acids as thyroid receptor ligands |
US6806381B2 (en) | 2001-11-02 | 2004-10-19 | Bristol-Myers Squibb Company |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niline-derived thyroid receptor ligands |
EP1471049A4 (en) | 2002-01-30 | 2006-08-16 | Kissei Pharmaceutical | NEW THYROIDIAN HORMONE RECEPTOR LIGAND, 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THE SAME AND USE THEREOF |
JP4810151B2 (ja) | 2005-07-22 | 2011-11-09 | 出光興産株式会社 | イネの育苗時期に発生する病害に対する防除剤 |
WO2007011026A1 (ja) | 2005-07-22 | 2007-01-25 | Nikon Corporation | 撮像素子、焦点検出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
GB0606201D0 (en) | 2006-03-28 | 2006-05-10 | Karobio Ab | Improved crytalline material |
CA2655913A1 (en) | 2006-06-28 | 2008-01-03 | Sanwa Kagaku Kenkyusho Co., Ltd. | Novel 6-5 system bicyclic heterocyclic derivative and its pharmaceutical utility |
GB0724478D0 (en) | 2007-12-14 | 2008-01-30 | Karobio Ab | Pharmaceutical compositions |
GB0725214D0 (en) | 2007-12-24 | 2008-02-06 | Karobio Ab | Pharmaceutical compounds |
JP2009155261A (ja) | 2007-12-26 | 2009-07-16 | Sanwa Kagaku Kenkyusho Co Ltd | 新規インドール誘導体及びその医薬用途 |
EP2609910A1 (en) * | 2011-12-30 | 2013-07-03 | Deva Holding Anonim Sirketi | Formulations of eprotirome |
-
2012
- 2012-08-06 EP EP12179384.8A patent/EP2695611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2-08-06 DK DK12179384.8T patent/DK2695611T3/en active
- 2012-08-06 ES ES12179384.8T patent/ES2528392T3/es active Active
- 2012-08-06 PL PL12179384T patent/PL2695611T3/pl unknown
-
2013
- 2013-08-05 RU RU2015107846A patent/RU2015107846A/ru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3-08-05 MX MX2015001670A patent/MX350125B/es active IP Right Grant
- 2013-08-05 AU AU2013301601A patent/AU2013301601B2/en not_active Ceased
- 2013-08-05 WO PCT/EP2013/066409 patent/WO2014023698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08-05 BR BR112015002540A patent/BR112015002540A2/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3-08-05 CN CN201380042115.0A patent/CN104717964A/zh active Pending
- 2013-08-05 JP JP2015525854A patent/JP6125012B2/ja active Active
- 2013-08-05 US US14/419,851 patent/US2015018248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3-08-05 CA CA2879847A patent/CA2879847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08-05 KR KR20157005507A patent/KR20150039824A/ko not_active Withdrawn
- 2013-08-05 SG SG11201500838UA patent/SG11201500838UA/en unknown
-
2015
- 2015-07-24 HK HK15107075.6A patent/HK1206598A1/xx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695611B1 (en) | 2014-10-01 |
MX2015001670A (es) | 2015-04-10 |
CN104717964A (zh) | 2015-06-17 |
AU2013301601B2 (en) | 2016-09-01 |
EP2695611A1 (en) | 2014-02-12 |
DK2695611T3 (en) | 2015-01-05 |
WO2014023698A1 (en) | 2014-02-13 |
HK1206598A1 (en) | 2016-01-15 |
JP2015524458A (ja) | 2015-08-24 |
US20150182482A1 (en) | 2015-07-02 |
BR112015002540A2 (pt) | 2017-12-12 |
AU2013301601A1 (en) | 2015-02-05 |
ES2528392T3 (es) | 2015-02-09 |
JP6125012B2 (ja) | 2017-05-10 |
CA2879847C (en) | 2017-10-03 |
CA2879847A1 (en) | 2014-02-13 |
PL2695611T3 (pl) | 2015-03-31 |
SG11201500838UA (en) | 2015-03-30 |
RU2015107846A (ru) | 2016-09-27 |
MX350125B (es) | 2017-08-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201660B2 (ja) | 皮膚の弛緩と身体の輪郭を改善す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 |
KR100523503B1 (ko) | 티로미메틱 화합물을 사용하여 탈모를 치료하는 방법 | |
KR20110122124A (ko) | 칼슘 봉쇄 조성물 및 피부 색소침착 장애 및 병증의 치료 방법 | |
CN110831601B (zh) | 三部分组成的雄激素受体消除剂、其方法和用途 | |
US20020183297A1 (en) |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alopecia | |
EP2255782A1 (en) |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hair loss, and method of preparation | |
JP2004519418A (ja) | 甲状腺ホルモンまたは甲状腺ホルモン様アゴニスト化合物 | |
TWI539945B (zh) | 小分子解脂化合物 | |
MXPA06004407A (es) | Reduccion de crecimiento de vello al aplicar un agonista del receptor dp de prostaglandina. | |
KR20150039824A (ko) | 모발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에프로티롬 및 그 조성물 | |
CA3085159C (en) | Topical compositions containing n-acyl dipeptide derivatives and glycolic acid | |
JP6725207B2 (ja) | 皮膚色素沈着抑制剤 | |
US20170056307A1 (en) | Eprotirome for use in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hair disorders and compositions thereof | |
BRPI0900583B1 (pt) | Processo cosmético para o tratamento das fibras queratínicas humanas e uso cosmético | |
US20100093653A1 (en) | Use of 1,6-Bis [3-(3-carboxymethylphenyl)-4-(2-alpha-D-mannopyranosyl-oxy)-phenyl] hexane for the preparation of cosmetic compositions | |
JP4535827B2 (ja) | アポトーシス誘導阻害剤及びその評価方法 | |
JP6920031B2 (ja) | 慢性角化型湿疹改善剤 | |
JP2021532150A (ja) | ヘアケアの分野において使用するためのレスペデザ・カピタータ抽出物 | |
JP3495261B2 (ja) | 育毛剤 | |
KR102465464B1 (ko) | 비타젠을 포함하는 헤어케어용 조성물 | |
RU2799324C2 (ru) | Экстракт леспедецы головчатой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в области ухода за волосами | |
JPH11124317A (ja) | 頭部用組成物 | |
WO2018123003A1 (ja) | メラニン生成抑制用の外用組成物 | |
WO2018123004A1 (ja) | メラニン生成抑制用の外用組成物 | |
PL238505B1 (pl) | Kompozycja kosmetyczna stymulująca wzrost włosów oraz jej zastosowani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30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