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34129A - 표면 피복 시스템 및 이런 시스템을 준비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표면 피복 시스템 및 이런 시스템을 준비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4129A
KR20150034129A KR1020147034762A KR20147034762A KR20150034129A KR 20150034129 A KR20150034129 A KR 20150034129A KR 1020147034762 A KR1020147034762 A KR 1020147034762A KR 20147034762 A KR20147034762 A KR 20147034762A KR 20150034129 A KR20150034129 A KR 20150034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ark
mold
ramp
plat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4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8754B1 (ko
Inventor
토르드 스죠덴
울프 보아르트
모르텐 구스타브손
Original Assignee
그래이드 그룹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SE1250734A external-priority patent/SE536495C2/sv
Application filed by 그래이드 그룹 에이에스 filed Critical 그래이드 그룹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50034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4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75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6Insulating devices or arrangements in so far as the roof covering is concerned, e.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of the roof insulating material or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 E04D13/1687Insulating devices or arrangements in so far as the roof covering is concerned, e.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of the roof insulating material or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the insulating material having provisions for roof drainage
    • E04D13/1693Insulating devices or arrangements in so far as the roof covering is concerned, e.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of the roof insulating material or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the insulating material having provisions for roof drainage the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ng material forming an incline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24Elements for building-up floors, ceilings, roofs, arches, or bea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04D13/0481Drainage guiding provisions, e.g. deflectors or stimulation by inclined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24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with special cross-section, e.g. with corrugations on both sides, with ribs, flang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8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use in wet ro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2Underlayers coated with adhesive or mortar to receive the floor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40Pans or tra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3/00Specially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03/02Specially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ving particular shapes, other than square or rectangular, e.g. triangular, hexagonal, circular, irreg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oor Finish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습실 바닥, 지붕 형태의 표면, 또는 물에 노출되고 또한 배수를 필요로 하는 다른 실질적으로 평탄한 제한된 표면을 위해 의도된 표면 피복 시스템, 및 이런 시스템을 준비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면 피복 시스템은 배수 지점을 나타내는 마크(2), 및 상기 마크(2)를 향한 제1 경사부를 갖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하부 표면(3) 및 상부 표면(4)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1, 1a, 1b, 1c)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1 경사부가 원형이며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1, 1a, 1b, 1c) 상의 모든 지점으로부터 마크(2)를 향해 지향된 방사방향 경사도(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방법으로, 경사부는 플레이트(1, 1a, 1b, 1c)에 마크(2)를 향해 지향된 원뿔의 정점을 갖는 뭉툭한 가상 원뿔의 적어도 일부의 형태로 공동을 형성한다. 이 해결책은 특정한 제한된 공간에서 배수 지점/지점들의 설치로부터 시작하는, 균일한 원형 경사부를 갖는 모듈형 표면 피복 시스템을 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런 표면 피복 시스템을 준비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표면 피복 시스템 및 이런 시스템을 준비하기 위한 방법{SURFACE COVERING SYSTEMS AND METHODS FOR PREPARING SUCH A SYSTEM}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바닥, 지붕, 또는 낙하하는 유체에 노출될 수 있고 또한 그에 따라 배수를 필요로 하는 다른 실질적으로 평탄한 제한된 표면을 피복(covering)하도록 의도된 표면 피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시스템은 배수구(draining sewer)를 향해 미리 제조된 경사부(decline)를 갖는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런 시스템을 준비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물 또는 오일 등과 같은 다른 유체가 표면에 수집되지 않도록, 배수구를 향한 경사부가 요구된다. 상기 표면은 예를 들어 평탄한 지붕, 안마당(inner yard) 상의 지표면, 창고, 부엌, 또는 욕실, 샤워실, 또는 세탁실과 같은 습실의 바닥, 또는 빗물이나 낙숫물의 형태인 물에 노출될 수 있으며 또한 그에 따라 배수를 필요로 하는 다른 실질적으로 평탄한 제한된 표면의 형태인 지지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습실에 있어서 배수 지점, 이 경우에는 바닥 배수를 향한 경사부를 달성하기 위한 공통적인 방법은 액체 필러(filler)를 사용하여 경사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상당한 시간 소비, 건축업자에 의해 많은 무거운 물체의 들어올림(lifting), 및 균일한 경사도를 달성함에 있어서의 어려움을 포함하여, 많은 단점을 갖고 있다. 바닥 상의 어떤 곳에서는 불균일한 장소 및 역전된 경사부가 자주 있어서, 물 고임(water puddle)을 일으킬 것이다. 필러 처리된 바닥 상에 바닥 클링커(clinker)를 놓는 것이 불필요하게 어려워지는데, 그 이유는 균일한 접합부를 제공하기 위해 클링커가 절단되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배수를 필요로 하는 표면의 건축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시장에서는 미리 제조된 경사부를 가지며, 평탄한 표면상에 나란히 놓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플레이트로 구성된 많은 시스템이 이용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7,979,927B2호에는 예를 들어 바닥 경사부가 배수구의 설치로부터 시작하여 미리 제조되고 또한 많은 정사각형의 미리 제조된 요소들이 이들을 서로 후킹함으로써 함께 접합되고 또한 경사부가 바닥 배수로부터 시작하여 밀링되는(milled)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각각의 플레이트에 밀링된 경사부는 이른바 외피(envelope) 경사부로 지칭되며, 즉 이것은 평탄하며 그리고 바닥 배수구를 향해 경사져 있다. 이것은 엣지들이 모든 밀링된 플레이트들 사이에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들 엣지는 바닥 상에 클링커의 부설(laying)을 복잡하게 하며, 또한 세워 놓기가 불편하다.
EP 12 769 490 A1호에는 원형 섹터와 같은 형상의 많은 플레이트가 배수구로부터 시작하는 원형 경사부를 제공하는, 미리 제조된 다른 습실 바닥 또는 천정이 도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배수구 위에 위치된 중심의 원형 세그먼트 둘레에 놓이는 각각의 원형 터언(turn)과 동일한 많은 세그먼트 상에서 발견된다. 바닥은 배수구로부터 시작하여 놓이며 그 후 방에서 외향하여 한번에 1 터언을 건축한다. 벽에서 상기 세그먼트는 적절한 형상으로 절단된다. 이와 같은 절단은 습실에서 인시튜로(in situ) 이루어져야만 한다. 이 절단은 시간 소모적이며, 또한 제거되어야만 하는 많은 폐기물이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미리 제조된 건축 요소를 포함하는 표면 피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에 의해 물의 충분한 배수 및 배수구를 향해 균일한 경사부를 갖는 표면이 용이하게 그리고 신속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 목적은 배수 지점을 표시한 마크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삼각형, 정사각형, 또는 그렇지 않으면 다각형 플레이트, 및 상기 마크를 향해 제1 경사부를 구비한 실질적으로 평탄한 하부 표면 및 상부 표면을 포함하는, 청구항 1에 따른 바닥, 천정, 또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제한된 다른 표면을 피복하도록 의도된 표면 피복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원형이며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 상의 모든 지점으로부터 마크를 향해 지향된 방사방향 경사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경사부는 플레이트에 공동(cavity)을 형성하며, 이것은 마크를 향해 지향된 원뿔(cone)의 정점을 구비한 뭉툭한 가상의 원뿔의 적어도 일부의 형상을 갖는다.
이 해결책에 의해, 특정한 방에서 배수 지점/지점들의 설치로부터 시작하는 균일한 원형 경사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 제조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표면 피복 시스템이 달성된다. 균일한 원형 경사부의 장점은 한편으로는 방 전체의 모든 지점으로부터 배수 지점을 향해 정확하게 동일한 양으로 경사진다는 점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표면이 타일을 절단한 필요 없이 균일한 지점을 제공하는 예를 들어 돌 또는 세라믹으로 코팅될 수 있다는 점이며, 이것은 시간을 상당히 절약한다. 또한 균일한 경사부는 아스팔트, 지붕 보딩(boarding), 판지, 또는 펠트를 갖는 옷감으로 표면을 피복하는 것을 간단하게 하며, 이것은 표면 피복 시스템이 지붕 또는 안마당인 경우에 실시된다. 따라서 배수 지점의 설치는 각각의 플레이트 세그먼트의 형상을 결정하며, 또한 각각의 플레이트 세그먼트는 독특하며 그리고 특정한 제한된 표면을 위해 의도된다. 배수구로서 작용하는 개구는 바람직하게도 배수 지점을 위한 마크 상에서 중심에 배치된다. 하나의 플레이트는 욕실, 예를 들어 샤워 구역에서 제한된 공간을 위해 의도된 습실 플레이트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라, 표면 피복 시스템은 나란히 배치되도록 의도된 적어도 2개의 분리된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플레이트들 중 적어도 하나는 배수 지점을 나타내는 마크를 가지며, 또한 적어도 2개의 플레이트 모두는 플레이트가 나란히 배치될 때 마크를 향해 지향된 방사방향 경사도를 갖는 제1 공통 원형 경사부를 구비한 상부 표면을 갖는다.
적어도 2개의 플레이트를 사용함으로써, 바닥 배수를 향해 공통의 경사부를 구비한 큰 모듈형 표면 피복 시스템은 시스템을 이송하고 그리고 이를 제 위치에 부설 시의 어려움 없이 제조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정한 제한된 표면을 위해 가능한 한 플레이트의 개수를 적게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일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플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측부 엣지의 상부 표면은 베벨형이며, 이것은 플레이트가 나란히 배치될 때 플레이트들 사이에 달성되는 접합부에 베벨형 노치를 제공한다.
베벨형 노치는 예를 들어 액체 필러로 채워질 수 있다. 액체 필러가 플레이트의 상부 표면뿐만 아니라 플레이트들 사이의 접합부에 배치된다면, 분리된 판은 하나의 단일 유닛으로서 함께 모듈형으로 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원형 경사부의 제1 경사도 보다 큰 제2 경사도를 갖는 제2 원형 경사부는 국부적으로 배수 지점에 가장 가깝게 있다. 이 제2 경사도를 갖는 제2 경사부는 바람직하게도, 마크로부터 500 mm 까지의 반경에 대응하는 거리에 배치된 가상의 원형 라인으로 마크로부터 연장한다.
배수 지점에 가장 가까운 가장 큰 경사부를 가짐으로써, 이 지점 둘레에서 더 좋은 배수가 국부적으로 달성된다. 국부적인 빠른 배수는 물이 배수 지점의 근방에 수집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것은 예를 들어 습실에서 샤워를 사용하는 사람의 발에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의 상부 표면 및/또는 하부 표면에 홈이 배치된다. 적어도 2개의 홈은 체크형(chequered) 패턴을 제공하도록 서로 교차하여 배치될 수 있다. 가열, 예를 들어 바닥 하부(underfloor) 가열을 위한 및/또는 보강을 위한 장치, 예를 들어 보강 바아가 상기 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홈을 액체 필러로 채우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 표면에 배치된 홈은 바닥 하부 가열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하부 표면에 배치된 홈은 바닥 하부와 표면 피복 시스템 사이에 나타날 수 있는 습기를 통기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바닥 하부 가열을 위한 홈은 바람직하게도 바닥 경사도를 완전히 따르는 체크형 패턴으로 배치된다. 경사부가 형성되기 전에, 홈을 상부 표면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체크형 패턴은 바닥의 경사도를 따르지 않지만, 그러나 평탄하다. 홈이 액체 필러로 채워진다면, 바닥 하부 가열 코일로부터의 열은 액체 필러가 플레이트 재료 보다 더 좋게 열을 이끌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바닥 위로 균일하게 분포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임의의 실시예에 따라 배수 지점을 표시하는 마크를 향해 경사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표면 피복 시스템을 준비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하기의 제조 방법, 즉 밀링, 열간 프레싱(hot pressing), 압축 성형, 또는 캐스팅 중 임의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 상에 경사부의 준비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표면 피복 시스템을 준비하기 위한 전술한 방법의 장점은, 균일한 경사도를 갖는 원형 경사부가 시스템에 포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미리 제조된 플레이트를 위한 임의의 복잡한 제조 공정 없이도 준비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작업 테이블 상에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를 위치시키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 상에 적어도 하나의 배수 지점을 위한 마크를 형성하는 단계.
* 시스템이 적응될 표면의 원하는 크기, 플레이트의 두께, 배수 지점의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마크를 향해 지향된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의 상부 표면의 원하는 경사도를 결정하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의 상부 표면상에 원하는 경사도를 준비하는 단계.
일 실시예에 따라, 경사부는 마크로부터 시작하는 원형 또는 선형 운동으로 가공된다. 경사부가 예를 들어 밀링 기계에 의해 밀링 마크로부터 시작하는 원형 또는 선형 운동으로 가공되면, 각각의 바닥은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특별히 제조될 수 있다.
밀(mill)은 유리하게도 5-축(5-axis) 밀로 프로그램될 수 있다. 밀은 바람직하게도 시스템이 적응되는 표면의 원하는 크기, 플레이트의 두께, 및 배수 지점의 위치에 대한 정보로 프로그램된다.
예를 들어 원하는 경사도로 경사지고 또한 밀링 헤드의 가장 낮은 지점을 배수 지점을 위한 마크를 향해 지향시키는 밀링 스핀들을 포함하는 밀링 기계를 사용함으로써, 제조 공정이 더욱 간단해질 수 있다. 프로그램 가능한 5-축 밀이 사용된다면, 제조 공정은 더욱 빠르며, 또한 리드 타임이 감소된다. 밀은 바람직하게도 시스템이 적응되는 표면의 원하는 크기, 플레이트의 두께, 및 배수 지점의 의도된 위치에 대한 정보로 프로그램된 플랫포옴으로부터 정보를 갖는다. 플랫포옴은 표면 피복 시스템의 배수 지점의 의도된 개수에 따라 선택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의 용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응하는 내부 용적을 포함하는 제1 주형(mould)을 선택하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에 대응하는 양의 재료를 주형으로 공급하는 단계.
일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의 준비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의 열간 프레싱, 압축 성형, 또는 캐스팅과 같은 임의의 준비 방법들 중 임의의 하나에 의해 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선택된 주형은 단일이거나 또는 이중이며, 또한 배수 지점을 표시하는 마크로부터 주형의 외측 엣지를 향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결정된 원하는 방사방향 네거티브 경사도(α,β)를 갖는 표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주형 부분을 포함하며, 거기에서 마킹은 주형의 엣지와 관련하여 돌출하도록 배치되며, 즉 주형은 원형 경사부를 형성할 네거티브 경사도(가상 원뿔)를 구비한 돌출 부분을 포함한다. 단일의 주형은 바람직하게도 캐스팅에 사용되며, 거기에서 제1 주형 부분은 하부 부분으로서 사용되고, 또한 이중 주형은 압축 성형 또는 열간 프레싱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제2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법은 그 내부 용적이 분리된 제2 플레이트의 용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주형도 선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이것은 제2 플레이트와 공통인 경사부를 가지며 또한 제2 플레이트에 관한 양으로 제2 주형에 재료를 공급한다.
압축 성형 또는 열간 프레싱이 준비 방법으로서 사용된다면, 주형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는 표면 피복 시스템을 함께 구성하는 여러 개의 플레이트의 예비 제조/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에 위치된 배수 지점을 갖는 하나의 플레이트를 갖는 정사각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큰 시스템의 경우에 있어서, 전체 주형, 즉 제1 주형 부분과 제2 주형 부분 모두는 여러 개의 플레이트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여기에서 여러 개의 플레이트가 동일한 경사부를 갖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도, 적어도 4개의 플레이트가 동일한 경사부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주형의 외측 치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주형의 외측 치수와 동일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방법들 중 임의의 하나는 배수 지점을 위한 마크의 둘레에서 중심에 있는 배수구를 위한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의 상부 표면 및/또는 하부 표면에 홈을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것은 그 표면의 전체 위로 연장한다.
표면 피복 시스템의 제조 중 초기에 배수구를 위한, 또한 가능하기로는 배수 파이프 등을 위한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또한 예를 들어 바닥 하부 가열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홈을 가공하고 또한 가능한 한 적게 플레이트의 외측 치수로 적응시킴으로써 시스템이 설치될 때 인시튜로 실행될 것이 요구된다. 이것은 그렇지 않으면 구멍의 형성 시 및 절단 시 생산되는 폐기물의 양을 감소시킨다. 시스템의 제조 중 공장에서 생산된 폐기물이 직접적으로 책임을 질 수 있으며 또한 새로운 플레이트에 재활용 또는 재사용될 수 있다.
위의 모든 실시예 및 실시예의 부분은 조합이 모순을 유발시키지 않는 한 자유롭게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로서 설명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평면도로서 도시하고 있다.
도 1b는 도 1a의 섹션 A-A 를 도시하고 있다.
도 1c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d는 본 발명의 사시도를 확대된 치수로 도시하고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평면도로서 도시하고 있다.
도 2b는 도 2a의 섹션 A-A 를 도시하고 있다.
도 3a-3c는 시스템이 적응되도록 의도된 표면의 상이한 치수로 적응된, 표면 피복 시스템의 일부 가능한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도 4a 및 4b는 바닥 하부 가열 및/또는 통기를 위한 절단부를 갖는 제3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5a, 5b, 및 5c는 2개의 상이한 제조 방법에 속하는 주형을 도시하고 있다.
도 6a-6c는 정사각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표면 피복 시스템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하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모든 예는 일반적인 설명의 고려된 부분이며, 또한 이들은 그에 따라 일반적으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표면 피복 시스템은 하기에 습실을 위한 바닥 시스템으로서 설명될 것이지만, 그러나 물론 시스템을 다른 실질적으로 평탄한 제한된 표면상에, 예를 들어 지붕 상에 또는 안마당 상에 배수를 형성하는데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a-1c는 바닥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것은 바닥 드레인(drain)의 형태인 배수 지점을 위한 마크(2)를 구비한 플레이트(1)를 포함하고 있다. 마크(2)는 따라서 배수 지점/바닥 드레인일 수도 있다. 마크(2)는 이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1) 상에서 중심에 있지만, 그러나 이것은 플레이트의 엣지로부터 멀리, 예를 들어 플레이트 상에서 450 mm 내지 600 mm 먼 적절한 다른 장소에 위치될 수도 있다. 플레이트는 이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이지만, 그러나 이것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예를 들어, 정사각형), 삼각형, 사각형일 수도 있으며, 또는 다른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삼각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이라는 용어는 여러 개의 플레이트를 서로 접합 또는 연결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플레이트의 엣지에 배치된 상이한 형상 또는 연결 상세부(detail)를 포함한다.
마크(2)에 구멍이 배치될 것이며, 거기에 바닥 트레인 또는 다른 배수 장치가 장착된다. 바닥 드레인을 위한 구멍의 중심은 마크의 중심에 있어야 한다. 플레이트(1)는 마크(2)를 향해 지향되는 경사부를 갖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하부 표면(3) 및 상부 표면(4)을 갖는다. 경사부는 원형이며,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 상의 모든 지점으로부터 마크를 향해 방사방향 경사도(α)를 가지므로, 경사부는 마크(2)를 향해 지향된 원뿔의 정점을 갖는 뭉툭한 원뿔의 적어도 일부의 형상으로 플레이트(1)에 공동을 형성한다. 플레이트가 다각형 형상을 갖기 때문에, 원뿔의 형상인 공동은 그 주변으로 절두(切頭)(truncate)되며, 즉 플레이트의 직선형 엣지가 원형 경사부에서 종료된다(도 1c 참조). 도 1d에 있어서, 플레이트의 두께는 공동의 원뿔 형상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확대되었다.
플레이트는 예를 들어 EPS 또는 XPS 타입의 팽창된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아미드 플라스틱(PA),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우레탄(PUR)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 재료는 유리 발포제(foam) 또는 목적에 적합한 임의의 다른 플레이트 재료일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원형 경사부를 구비한 플레이트는 콘크리트 또는 캐스팅에 적합한 다른 재료로부터 캐스팅될 수 있다. 플레이트를 이들 제조 공정에 적합한 다른 재료로 압축 성형 또는 열간 프레싱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면 피복 시스템에서 분리된 부분으로서 사용되는 플레이트는 실질적으로 하부측 상에서 평탄하며, 그에 따라 평탄한 기판 상에 놓이도록 의도된다. 600 mm ×3300 mm 까지의 치수를 갖는 1200 mm × 3000 mm 까지의 치수를 갖는 EPS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그러나 물론 임의의 다른 치수를 갖는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정사각형 플레이트가 조립의 이유로 인해 적합할 수 있다.
물 불침투성(impermeable) 재료,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플라스틱(PA) 또는 폴리프로필렌(PP)으로부터 제조된 플레이트는 이들이 예를 들어 습실 또는 안마당에 위치되고자 할 때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는 하부의 바닥 구조물에 대한 습기 장벽으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또한 벽 또는 엣지를 따라 그리고 플레이트들 사이의 접합부를 따라 단지 밀봉만 요구된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거기에서 바닥 시스템은 습실의 상부 표면/바닥 표면(4)을 함께 형성하기 위해 나란히 위치된 3개의 분리된 직사각형 플레이트(1a, 1b, 1c)를 포함한다. 물론, 3개 보다 더 많은 플레이트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플레이트는 아교 또는 다른 조임 수단으로 함께 조여질 수 있으며, 또는 이들은 바닥에 나란히 조여질 수 있다. 플레이트들 사이의 접합부(5)는 일부 종류의 밀봉 테이프로 밀봉될 수 있다. 전체 바닥 상에 밀봉 층 또는 스팀 불침투성 옷감을 놓는 것도 가능하다.
플레이트들 중 하나, 이 경우 중간 플레이트(1b)[그러나 이것은 물론 다른 플레이트들(1a, 1c) 중 하나일 수도 있다]는 마크(2)를 가지며, 이것은 이 경우에는 바닥 드레인을 위한 절단부이다. 구멍은 바닥 시스템이 제조될 때 또는 바닥이 건축 영역의 제 위치에 놓일 때 임의의 다른 방법으로 밀링되거나 또는 생산될 수도 있다. 바닥 표면(4)은 바닥 드레인 마크(2)를 향해 지향된 방사방향 경사도(α)를 갖는 제1 원형 경사부를 갖는다. 제1 경사부 보다 큰 경사도(α) 보다 큰 경사도(β)를 갖는 제2 원형 경사부는 국부적으로 바닥 배수구 마크에 가장 가깝게, 바람직하게는 배수구의 중간으로부터 500 mm 까지의 반경(r)에 있다. 습실을 위해, 제1 방사방향 경사도(α)는 2-10 mm/m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방사방향 경사도(β)는 7-20 mm/m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붕 및 안마당과 같은 다른 실질적으로 평탄한 제한된 면을 위해, 배수구를 향해 지향된 경사도는 다른 범위일 수도 있다.
바닥 표면(4)이 여러 개의 플레이트로, 이 경우에는 3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된 플레이트(1a, 1b, 1c)는 공통의 원형 경사부의 부분을 갖는 상부 표면(4a, 4b, 4c)을 갖는다. 중간 플레이트(1b)는 배수구를 위한 구멍을 포함하며, 또한 이 둘레의 원형 경사부는 바닥 배수구를 위한 구멍의 중심을 향해 지향된 그 정점을 갖는 원뿔의 형상인 공동을 형성한다. 2개의 외측 플레이트(1a, 1c)는 뭉툭한 원뿔의 부분의 형태로 플레이트(1a, 1c)에 공동을 형성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데, 그 이유는 원뿔이 한쪽 또는 양쪽이 절두되기 때문이다.
도 3a-3c는 본 발명에 따라 바닥 시스템에 건축된, 불규칙적인 형상의 3개의 상이한 욕실 바닥을 도시하고 있다. 도 3a-3c에 도시된 바닥 시스템은 모두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직사각형 플레이트(1a, 1b, 1b', 1c, 1d)로부터 건축되며, 상부 바닥 표면은 바닥 배구수를 향해 지향된 원형 경사부를 갖는다. 바닥의 외측 엣지는 원하는 형상으로 절단된다. 욕실 바닥이 어떻게 보이는 것과는 상관없이, 절단은 인시튜로 될 필요는 없다. 플레이트는 공장에서 균일한 바닥의 형상에 따라 특별히 제조될 수 있다.
도 4a 및 4b는 플레이트(1)의 상부 표면(4)에 배치된 가공된 홈(6)을 갖는 바닥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홈은 이 실시예에서 체크형 패턴으로 형성되며, 이것은 플레이트의 엣지로 연장하거나(도 4a) 또는 엣지로부터 약간 멀리 종료된다(도 4b). 홈에는 바닥 하부 가열을 위한 케이블 또는 튜브(도시되지 않음)가 위치될 수 있다. 바닥 하부 가열 코일은 액체 필러로 제 위치로 캐스팅된다. 홈이 서로 교차하고 그리고 액체 필러를 소산(dissipate)시키는 열로 채워지기 때문에, 바닥 하부 가열 코일로부터의 열이 바닥 상에 균일하게 분포된다.
보강 장치, 예를 들어 미리 제조된 보강 카펫(carpet) 또는 홈에 하나씩 놓이거나 서로 경계를 이루는 분리된 보강 바아에 어울리도록 홈(6)을 체크형 패턴으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강 장치가 사용된다면, 전체 구성은 더욱 강해지며, 또한 분리된 플레이트가 함께 보유된다. 보강 카펫이 홈에 놓일 때, 이들은 예를 들어, 액체 필러 또는 콘크리트로 채워질 수 있다. 이들 홈은 물론 도 1a-1d에 도시된 플레이트에 가공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보강부(reinforcement)는 플레이트를 강화시킨다.
도 4a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플레이트의 엣지는 베벨링(7)을 가지며, 이것은 공장으로부터 그곳에 있을 수 있으며, 또는 이것은 경사부를 형성하는 기계에 의해 가공될 수 있다. 플레이트(1a, 1b, 1c)가 나란히 놓일 때, 베벨형 노치는 플레이트들 사이에서 접합부(6)에 나타난다. 이 노치는 예를 들어 액체 필러로 채워질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들 사이의 접합부(6)와 그리고 플레이트의 상부 표면(5) 모두에 액체 필러가 있을 수 있다. 분리된 플레이트(1a, 1b, 1c)는 그 후 단일 유닛(1)으로 함께 성형된다.
플레이트(1)의 하부 표면(3)에 홈(8)을 가공/밀링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 홈(8)은 바람직하게도 바닥의 전체 하부 표면(3) 바로 위로 연장하며, 또한 바닥 하부와 바닥 시스템 사이의 공기 흐름에 기여한다. 따라서 바닥이 더욱 잘 통기되며, 또한 습기 손상에 대한 위험성이 감소된다.
이것이 덮을 표면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대신에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닥과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는 통기를 위해 또는 전기 와이어나 물 파이프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바닥 시스템은 상이한 가공/제조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한정된 내부 용적을 갖는 주형에서의 압축 성형에 의해, 또는 가열 하에서 원뿔형으로 형성된 프레싱 공구에 의한 이른바 열간 프레싱에 의한 플레이트의 소성 변형에 의해, 예를 들어 분리된 플레이트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주형으로 캐스팅함으로써 원형 경사부를 갖는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캐스팅에 의한 제조 시, 바람직하기로는 강철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로 제조된 거울 형상의 경사부를 갖는 단일의 주형(9)이 사용된다. 돌출하는 실린더로서 플레이트 상에서 중심에 위치된 바닥 드레인을 위한 마크/구멍(2)을 갖는 중심 플레이트를 도시하고 있는 도 5a를 참조하기 바란다. 따라서 주형(9)은 프레임(9a), 및 주형의 외측의 하부에 위치된 엣지를 향해 배수 지점을 표시하는 돌출하는 마크(2)로부터 멀리 지향된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원하는 방사방향 네거티브 경사도(α, β)를 갖는 하부 프레임 표면(9a)에 의해 제한된다. 방사방향 경사도는 플레이트의 상부 표면(4)의 경사부에 대응한다.
중심 플레이트(1b)의 둘레에 위치될 플레이트를 캐스팅하도록 의도된 다른 주형에 있어서, 바닥 드레인을 제공할 돌출 부분은 없지만, 그러나 오히려 경사도는 프레임 표면상의 모든 지점으로부터 진행하며, 또한 가상의 상향으로 지향된 원뿔의 일부의 원하는 형상을 가지며, 즉 하부 프레임 표면의 부분이 완전히 평탄하지는 않다.
주형은 적절한 방법으로 콘크리트 또는 가능한 보강 첨가제(additive)를 갖는 다른 대응하는 경질 재료로 채워진다. 플레이트를 보강 네트(net), 보강 바아, 또는 분리된 니들(needle), 또는 섬유로 보강하는 것도 가능하다. 플레이트가 완성되었을 때, 상부 성형 표면은 플레이트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하부 표면(3)이 된다.
플레이트에 여러 재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완전히 경화되지 않은 콘크리트상에 예를 들어 팽창된 플라스틱의 층이 놓일 수 있으며 또는 나중에 그에 접착될 수 있다.
압축 성형에 의한 제조의 경우에 있어서, 도 5b 및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1, 1a, 1b, 1c)의 용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응하는 내부 용적을 둘러싸는 제1 부분(10) 및 제2 부분(1)을 포함하는 이중 주형이 사용된다. 도 5b는 중심 플레이트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것은 또한 돌출하는 실린더의 형태로 플레이트상에서 중심에 위치되는 바닥 드레인을 위한 마크/구멍(2)을 갖는다. 도 5c는 원형 경사부를 갖는 플레이트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는 삼각형의 이중 주형을 도시하고 있다.
주형의 제1 부분(10)은 주형의 외측 엣지를 향해 배수 지점을 표시하는 마크(2)로부터 멀리 지향된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원하는 방사방향 네거티브 경사도(α, β)를 갖는다. 주형의 제2 부분(11)은 플레이트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하부 표면(3)에 대응하는, 평탄한 내측 표면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도, 주형의 제2 부분(11)은 모든 분리된 플레이트(1a 내지 1g)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중심 플레이트(1b)의 둘레에 배치될 플레이트를 캐스팅하도록 의도된 다른 주형은 바닥 드레인을 제공할 돌출 부분은 없지만, 그러나 오히려 경사도는 프레임 표면상의 모든 지점으로부터 진행하며, 또한 가상의 상향으로 지향되는 원뿔의 일부의 원하는 형상을 가지며, 즉, 하부 프레임 표면의 부분이 완전히 평탄하지는 않다. 다른 주형의 내측 표면은 공통의 경사부가 형성되도록 제1 주형의 내측 표면에 대응하는 경사부를 갖는다.
플레이트는 주형의 제1 및 제2 부분들(10, 11) 사이의 내부 용적에 플레이트를 구성할 재료를 공급함으로써 제조된다. 재료가 경화될 때, 제1 및 제2 주형 부분은 분리되며, 또한 원형 경사부의 부분을 갖는 완성된 플레이트가 취출된다.
도시되지 않은 열간 프레싱에 의한 제조 시,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플라스틱(PA) 또는 폴리프로필렌(PP)의 예비-가열된(pre-warmed) 플레이트가 쉐이핑(shaping) 공구의 하부 부분에 위치된다. 재료 배치(batch)를 위치시킨 후, 공구가 폐쇄되며, 그리고 재료가 쉐이핑 공간으로 가압된다. 재료가 경화될 때, 공구가 개방되며, 그리고 완성된 원형 경사부를 갖는 플레이트가 취출된다.
경사부를 도시되지 않은 평탄한 플레이트에서 밀링하는 것도 가능하다. 경사부 및 바닥의 형상이 밀링된다면, 이것은 약 3300 mm × 5000 mm 의 작업 영역을 갖는 5-축(X, Y, Z, A, 및 C-축) 프로그램 가능한 밀로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은 원하는 경사도로 경사질 수 있는 밀링 스핀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계는 자동 공구 교환기(changer) 및 플레이트를 제 위치에 유지시키는 진공 테이블을 갖는다. Y 축은 기계의 길이방향으로 수평하며, X 축은 기계의 길이방향을 횡방향으로 횡단하는 수평방향이며, Z 축은 수직으로 연장한다. A 축 둘레로의 운동은 밀링 스핀들을 원하는 각도로 경사시키며, C 축 둘레로의 운동은 스핀들을 그 자체의 축 둘레로 회전시킨다.
예를 들어 2700 mm ×3500 mm, 즉 9.45 m2 의 치수를 갖는 습실 바닥을 제조할 때, 1200 mm ×3000 mm 의 치수를 갖는 3개의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것은 밀의 작업 영역 상에 나란히 놓인다. 방이 얼마나 많은 배수구를 가질 것인지에 따라, 컴퓨터 프로그램에 많은 플랫포옴이 저장되며, 욕실의 대부분은 하나의 배수구를 갖는다. 플랫포옴은 바닥 상의 배수구의 위치뿐만 아니라 바닥 크기 및 플레이트의 두께에 대한 정보로 프로그램된다. 밀은 원하는 경사도로 경사지며, 또한 그 가장 낮은 지점은 배수구의 중심을 형성하는 마크(2)를 향해 지향된다. 밀의 가장 낮은 지점은 경사부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작업 공정 중 마크(2)를 향해 지향된다. 경사부는 평탄한 밀에 의한 원형 또는 선형 운동으로 밀링되며, 또한 배수구의 중심 지점은 항상 운동을 위한 시작 지점이다. 플레이트가 그 경사부를 가질 때, 바닥 크기는 엣지를 절단함으로써 플레이트로부터 밀링된다. 바닥은 이 단계에서 상이한 형상으로 주어질 수 있다(도 3a 내지 3c 참조). 바닥 배수구를 위해 또한 필요하다면 화장실 및 싱크대로부터의 배수 파이프를 위해 구멍도 밀링된다. 그 후 플레이트는 첨부된 도면에 대응하는 마크로 마킹된다. 생산된 폐기물은 재활용된다.
바닥이 바닥 하부 가열될 예정이라면, 체크형 패턴이 바닥의 상부 표면(4)에 밀링될 수 있으며, 이것은 바닥의 경사도를 완전히 따른다. 바닥의 상부 경사부와는 독립적으로 평탄한 체크형 패턴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것은 예를 들어 미리 제조된 보강 네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방법은 바닥 크기, 및 바닥 드레인의 그 형상 및 위치에 대한 정보가 있는 주문서(ordering)에 따라 특별히 제조된 각각의 바닥 시스템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플레이트가 특별한 판매 장소에 적층되어 있고 또한 나중에 특정한 소비자의 욕실에 적응되는 가요성 바닥 시스템을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것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ㆍ "바닥 배수구 플레이트(floor sewer plate)"는 적어도 2 종류로 설계된다. 2 종류 중 하나에서, 배수구 또는 배수구를 위한 마크는 그 중간 지점에서 플레이트 상의 중심에 위치된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배수구 또는 배수구를 위한 마크는 플레이트 엣지들 중 하나로부터 플레이트 내로의 길(way)의 적어도 1/4 에 위치된다.
ㆍ 배수구로부터 시작하여, 인접한 플레이트는 전술한 방법으로 가공된다.
가요성 바닥 시스템을 제조 및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며, 거기에서 각각의 분리된 플레이트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1, 1a-1g)의 용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응하는 내부 용적을 갖는 형상으로 제조된다. 이 원형 다중시스템이 도 6a-6c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플레이트(1a-1g)(따라서 플레이트의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로부터 건축되며, 거기에서 배수 지점을 위한 바닥 드레인 또는 마크(2)는 제1 플레이트(1b)상에서 중심에 위치되고, 또한 다른 플레이트(1a, 1c-1g)는 방사방향으로 외향하여 지향된 패턴으로 제1 플레이트(1b)의 둘레로 계속된다(도 6a 및 6b 참조). 바닥 배수구를 갖는 제1 플레이트(1b)는 주형에서 제조된다. 바닥 배수구가 제1 플레이트(1b) 상에서 중심에 위치되기 때문에, 다른 플레이트 상의 경사부의 방사방향 경사도는 적어도 4개의 다른 플레이트(1a, 1c-1g)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들 적어도 4개의 추가적인 플레이트는 따라서 여러 개의 플레이트를 형성하는데 재사용될 수 있는 제2 주형에서 제조된다. 이것은 단지 제한된 양의 주형만 필요하기 때문에 비용 면에서 효과적인 제조로 가요성 시스템을 형성한다. 도 6a-6c에는 최대 7 종류의 플레이트가 도시되어 있다. 필요하다면, 시스템은 물론 제한된 개수의 플레이트로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 장소에 적층되어 유지되는 플레이트(1a-1g)의 시스템으로부터, 방의 크기 및 바닥 배수구의 위치에 기초하여 최종 소비자 또는 계약자는 바닥을 생산하는데 요구되는 각각의 형상의 플레이트의 개수를 선택할 수 있다. 건축 영역에서, 판매 장소에서, 또는 공장에서, 외측 플레이트는 방의 벽에 대해 인시튜로 절단 및 적응된다(도 6c 참조).
본 발명의 주요한 부분은 바닥 표면의 모든 지점으로부터 균일한 원형 경사부를 갖는 미리 제조된 바닥을 달성하는 것이다. 경사부는 바닥 배수구가 위치되는 지점으로부터 시작되며, 또한 바닥은 직사각형 플레이트의 가장 적은 가능한 개수로 제조된다. 전술한 바에 있어서, 하나 내지 3개의 플레이트를 갖는 바닥 시스템이 개시되었지만, 그러나 큰 습실의 경우에 물론 더 많은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생산 시 플레이트 공통의 표준 크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19)

  1. 배수 지점을 나타내는 마크(2)를 갖는 실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직사각형, 삼각형, 사각형, 또는 그렇지 않으면 다각형 플레이트(1, 1a, 1b, 1c), 및 마크(2)를 향해 제1 경사부를 갖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하부 표면(3) 및 상부 표면(4)을 포함하는, 바닥, 지붕, 또는 다른 실질적으로 평탄한 제한된 표면을 피복하도록 의도된 표면 피복 시스템으로서;
    제1 경사부는 원형이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1, 1a, 1b, 1c) 상의 모든 지점으로부터 마크(2)를 향해 지향된 방사방향 경사도(α)를 가지므로, 경사부는 플레이트(1, 1a, 1b, 1c)에 공동을 형성하며, 이것은 마크(2)를 향해 지향된 원뿔의 정점을 구비한 뭉툭한 가상의 원뿔의 적어도 일부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피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시스템은 나란히 배치되도록 의도된 적어도 2개의 분리된 플레이트(1a, 1b, 1c)를 포함하며, 하나의 플레이트(1a)는 배수 지점을 나타내는 마크(2)를 가지며, 적어도 2개의 플레이트(1a, 1b) 모두는 플레이트가 나란히 배치될 때 마크(2)를 향해 지향된 방사방향 경사도(α)를 갖는 제1 공통 원형 경사부를 구비한 상부 표면(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피복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플레이트(1a, 1b, 1c)의 적어도 하나의 측부 엣지의 상부 표면(4)은 베벨형이며, 이것은 플레이트가 나란히 배치될 때 플레이트들(1a, 1b, 1c) 사이에 달성된 접합부(6)에 베벨형 노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피복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원형 경사부의 제1 경사도(α) 보다 큰 제2 경사도(β)를 갖는 제2 원형 경사부는 배수 지점을 위한 마크(2)에 국부적으로 가장 가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피복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경사도(β)를 갖는 제2 경사부는 마크(2)로부터 500 mm 까지의 반경으로, 마크(2)로부터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피복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홈(8)이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1, 1a, 1b, 1c)의 상부 표면(4) 및/또는 하부 표면(3)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피복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홈(8)이 체크형 패턴을 제공하기 위해 서로 교차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피복 시스템.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가열 및/또는 보강을 위한 장치가 홈들(8)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되도록 의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피복 시스템.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홈(8)은 액체 필러로 채워지도록 의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피복 시스템.
  10. 상기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수 지점을 나타내는 마크를 향하여 경사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표면 피복 시스템을 준비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1) 상에서의 경사부의 준비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1)의 밀링, 열간 프레싱, 압축 성형, 또는 캐스팅 중 임의에 제조 방법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피복 시스템 준비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 작업 테이블 상에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1, 1a, 1b, 1c)를 위치시키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1, 1a, 1b, 1c) 상에 적어도 하나의 배수 지점을 위한 마크(2)를 형성하는 단계,
    * 시스템이 적응되는 표면의 원하는 크기, 플레이트의 두께, 및 배수 지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배수 지점을 위한 마크(2)를 향해 지향된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1, 1a, 1b, 1c)의 상부 표면(4)의 원하는 경사도(α, β)를 결정하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1, 1a, 1b, 1c)의 상부 표면(4) 상에 원하는 경사도(α, β)를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피복 시스템 준비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원하는 경사도의 중비는 배수 지점을 위한 마크(2)로부터 시작하는 원형 또는 선형 운동으로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피복 시스템 준비 방법.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1, 1a, 1b, 1c)의 외측 치수는 경사부가 준비된 후 시스템이 적응될 표면의 원하는 크기로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피복 시스템 준비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1, 1a, 1b, 1c)의 용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응하는 내부 용적을 포함하는 제1 주형을 선택하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1, 1a, 1b, 1c)에 대응하는 양의 재료를 주형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피복 시스템 준비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선택된 주형은 단일 또는 이중이며, 또한 주형의 외측 엣지를 향해 배수 지점을 나타내며 또한 상기 마크가 주형의 외측 엣지와 관련하여 돌출되어 배치되는 마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결정된 원하는 방사방향 네거티브 경사도(α, β)를 갖는 표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형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피복 시스템 준비 방법.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ㆍ 그 내부 용적이 분리된 제2 플레이트(1b, 1c)의 용적에 대응하며 제2 플레이트와 공통인 경사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주형을 선택하는 단계,
    ㆍ 제2 플레이트(1, 1a, 1b, 1c)에 관한 양으로 제2 주형에 재료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피복 시스템 준비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주형의 외측 치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주형의 외측 치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피복 시스템 준비 방법.
  18. 제 10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수 지점을 위한 마크(2)의 중심에 배수구를 위한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피복 시스템 준비 방법.
  19. 제 10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1, 1a, 1b, 1c)의 상부 표면(4) 및/또는 하부 표면(3)에 홈(8)을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이것은 상기 표면(3, 4)의 전체 위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피복 시스템 준비 방법.
KR1020147034762A 2012-05-16 2013-05-15 표면 피복 시스템 및 이런 시스템을 준비하기 위한 방법 Active KR1023087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250504 2012-05-16
SE1250504-6 2012-05-16
SE1250734-9 2012-06-29
SE1250734A SE536495C2 (sv) 2012-05-16 2012-06-29 Ytbeläggningssystem samt metod att framställa ett sådant system
SE1350095-4 2013-01-29
SE1350095 2013-01-29
PCT/SE2013/050544 WO2013172775A1 (en) 2012-05-16 2013-05-15 Surface covering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129A true KR20150034129A (ko) 2015-04-02
KR102308754B1 KR102308754B1 (ko) 2021-10-06

Family

ID=52011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4762A Active KR102308754B1 (ko) 2012-05-16 2013-05-15 표면 피복 시스템 및 이런 시스템을 준비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23)

Country Link
US (1) US9303411B2 (ko)
EP (1) EP2852717B1 (ko)
JP (1) JP6551935B2 (ko)
KR (1) KR102308754B1 (ko)
CN (1) CN104541004B (ko)
AU (1) AU2013263469B2 (ko)
BR (1) BR112014028522B1 (ko)
CA (1) CA2874840C (ko)
CL (1) CL2014003107A1 (ko)
DK (1) DK2852717T3 (ko)
EA (1) EA032677B1 (ko)
ES (1) ES2874489T3 (ko)
HK (1) HK1203583A1 (ko)
IL (1) IL235683A (ko)
IN (1) IN2014MN02528A (ko)
MX (1) MX356318B (ko)
MY (1) MY168482A (ko)
PH (1) PH12014502542B1 (ko)
PL (1) PL2852717T3 (ko)
SG (1) SG11201407570SA (ko)
UA (1) UA113649C2 (ko)
WO (1) WO2013172775A1 (ko)
ZA (1) ZA2014087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39954C2 (en) 2014-07-08 2018-02-13 Grade Group As Cutting device
SE539903C2 (sv) * 2014-07-23 2018-01-09 Dalab Dala Golvsystem Ab Golvvärmeskiva, golvvärmeskivesystem samt metod för tillverkning av en golvvärmeskiva
SE540102C2 (sv) * 2014-09-17 2018-03-27 Grade Group As Ytbeläggningssystem samt metoder att framställa ett sådant system
GB2555645A (en) * 2016-11-08 2018-05-09 Carrington Lloyd Shower floor
CN106592738A (zh) * 2016-12-28 2017-04-26 平湖市郁洁卫浴有限公司 一种导流底板
CN107009601B (zh) * 2017-04-28 2023-11-14 肇庆高新区格兰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xps地漏板成型方法
US20190024376A1 (en) * 2017-07-24 2019-01-24 Firestone Building Products Company, Llc Molded Roofing Inserts, Roofs Therewith, And Methods For Installing The Same
IT201800003283A1 (it) * 2018-03-05 2019-09-05 Pilegar S A Porcellanato autodrenante
US20210164237A1 (en) * 2018-03-27 2021-06-03 Stibe Modul Ab System and method for pre-fabrication and laying out of coverage of a room surface
GB2579087B (en) * 2018-11-20 2022-10-19 Dlp Ltd Shower floor former assembly
WO2021212177A1 (en) * 2020-04-23 2021-10-28 Warren Weller A floor panel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12482510A (zh) * 2020-11-20 2021-03-12 北京太伟宜居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卫生间倾斜排水底盘的铺装方法
WO2022120283A1 (en) * 2020-12-04 2022-06-09 Ramin Tabibnia Synthetic turf system
US20240366036A1 (en) * 2023-05-05 2024-11-07 Kurbx, Llc Shower Base Installation Methods and Devices
PL447111A1 (pl) 2023-12-15 2025-06-16 Roof Pro Spółka Z Ograniczoną Odpowiedzialnością System odprowadzania płynów z powierzchni płaskich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87420A (en) * 1967-02-15 1968-06-11 Johns Manville Ventilating covering element for built-up roofing
US20100175761A1 (en) * 2009-01-12 2010-07-15 Schlueter-Systems Kg Mounting plate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3104Y2 (ko) * 1978-12-18 1982-07-21
JPS59154240A (ja) * 1983-02-22 1984-09-03 東陶機器株式会社 防水パンの製造方法
JPS59177467A (ja) * 1983-03-25 1984-10-08 松下電工株式会社 浴室床材
US4503644A (en) * 1983-05-09 1985-03-12 Coutu Sr Walter H Roof construction
DE3411039A1 (de) * 1984-03-26 1985-11-07 Horst 4100 Duisburg Zaborowski Konstruktion eines als waermedaemmung dienenden flachdachgefaelles
DE8807466U1 (de) * 1988-06-08 1988-08-18 Iso Bouw B.V., Someren Dachplatte
US5140789A (en) * 1989-10-10 1992-08-25 Gooyer Lonnie C De Underlay for tile floor of shower
DE9010537U1 (de) * 1990-07-16 1991-11-14 AlgoStat GmbH & Co. KG, 3100 Celle Bauelement für Gefälledach-Systeme
JPH0673231U (ja) * 1993-03-26 1994-10-1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床パネルの接合部
JPH06328466A (ja) * 1993-05-18 1994-11-29 Sekisui Chem Co Ltd 浴室用防水パンの製造方法
AU4733796A (en) * 1996-01-04 1997-08-01 Dan Astrom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 sanitary floor
US5699643A (en) * 1996-02-27 1997-12-23 Kinard; George Floor support for expansive soils
DE19753527A1 (de) * 1996-12-11 1998-06-18 Hirz Karl Heinz Zweischichtiger Dachaufbau
US6088984A (en) * 1998-01-21 2000-07-18 Kirby; Mark E.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sloped floor
US6155015A (en) * 1999-09-09 2000-12-05 Kirby; Mark E. Method for making a sloped floor
SE517043C2 (sv) 2000-04-25 2002-04-09 Hans Gehlin Anordning vid företrädesvis ett våtrum eller ett tak med fall mot en brunn
JP3585911B2 (ja) * 2003-03-20 2004-11-10 ヤマハリビングテック株式会社 浴室床
CA2521801A1 (en) * 2004-09-29 2006-03-29 Les Produits De Toiture Fransyl Ltee Insulating roofing system for flat roofs
CA2482878A1 (en) * 2004-09-29 2006-03-29 Denis Lapointe Insulating roofing system for flat roofs
DE102005046332A1 (de) 2004-09-30 2006-04-06 Illbruck Sanitärtechnik GmbH Duschbodenelement
CA2553168C (en) 2006-07-19 2011-01-04 Madison Daniels Modular shower pan
US20080276557A1 (en) * 2007-05-09 2008-11-13 Antonio Rapaz Construction panel
US20090277113A1 (en) * 2008-05-09 2009-11-12 Thermapan Structural Insulating Panels Inc. Structural insulating panel and flat roof structure employing same
US8365487B2 (en) * 2010-11-23 2013-02-05 Hunter Panels Llc Roof sump structure
DE202011005194U1 (de) * 2011-04-13 2011-08-30 Wedi Gmbh Fremdbodenelement mit keilförmiger Verstärkung im Randbereich
US8650823B2 (en) * 2012-03-05 2014-02-18 Victor Amend Subfloor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87420A (en) * 1967-02-15 1968-06-11 Johns Manville Ventilating covering element for built-up roofing
US20100175761A1 (en) * 2009-01-12 2010-07-15 Schlueter-Systems Kg Mounting p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032677B1 (ru) 2019-07-31
ZA201408719B (en) 2015-12-23
PH12014502542A1 (en) 2015-01-21
WO2013172775A1 (en) 2013-11-21
AU2013263469B2 (en) 2017-09-14
ES2874489T3 (es) 2021-11-05
BR112014028522B1 (pt) 2021-11-03
EP2852717A1 (en) 2015-04-01
MX356318B (es) 2018-05-22
MX2014013938A (es) 2015-05-11
EP2852717A4 (en) 2016-01-06
CN104541004B (zh) 2016-06-29
CA2874840A1 (en) 2013-11-21
UA113649C2 (xx) 2017-02-27
US20150068145A1 (en) 2015-03-12
US9303411B2 (en) 2016-04-05
JP6551935B2 (ja) 2019-07-31
IL235683A0 (en) 2015-01-29
BR112014028522A2 (pt) 2020-10-27
PL2852717T3 (pl) 2021-09-13
SG11201407570SA (en) 2014-12-30
IL235683A (en) 2017-11-30
EP2852717B1 (en) 2021-03-10
AU2013263469A1 (en) 2014-12-11
CA2874840C (en) 2022-08-23
DK2852717T3 (da) 2021-06-14
KR102308754B1 (ko) 2021-10-06
CL2014003107A1 (es) 2015-08-14
MY168482A (en) 2018-11-09
CN104541004A (zh) 2015-04-22
JP2015516525A (ja) 2015-06-11
PH12014502542B1 (en) 2015-01-21
EA201401255A1 (ru) 2015-03-31
HK1203583A1 (en) 2015-10-30
IN2014MN02528A (ko) 2015-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8754B1 (ko) 표면 피복 시스템 및 이런 시스템을 준비하기 위한 방법
DK2359727T3 (en) Substructure element for laying a shower element
US20180051892A1 (en) Support for radiant covering and floor heating elements
US10334993B1 (en) Shower stall floor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20190145095A1 (en) Surface covering system and methods for preparing such a system
KR20120083195A (ko) 조립식 대형화분과 실내외 방수방법 및 이들을 이용한 실내외 조경방법
KR101327378B1 (ko) 건물의 최저층 바닥 시공용 배수판
KR200449740Y1 (ko) 건물 옥상의 편심 루프 드레인
CN206408726U (zh) 一种地漏结构
EP2905396B1 (en) Method for providing a slope in a cast floor
US10779688B1 (en) One piece tileable shower unit
JP6913896B2 (ja) 養生蓋
KR20160113923A (ko) 배수블록 제조기
EP3900904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ving element
EP1618264B1 (en) Roof reinforcement element, combination of such an element with a roof and method for making such an element
JP2023182284A (ja) 床排水構造及び床排水構造の施工方法
SE536495C2 (sv) Ytbeläggningssystem samt metod att framställa ett sådant system
CN107795127A (zh) 一种干湿区防渗漏分隔工艺
KR19980014749A (ko) 옥상바닥마감층의 시공방법
ITTO20110087A1 (it) Elemento modulare atto alla costruzione di un massetto, massetto e relativo metodo di costruzi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1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5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9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9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