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4732A - Digital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taching lens therefrom - Google Patents
Digital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taching lens therefro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24732A KR20150024732A KR20130102020A KR20130102020A KR20150024732A KR 20150024732 A KR20150024732 A KR 20150024732A KR 20130102020 A KR20130102020 A KR 20130102020A KR 20130102020 A KR20130102020 A KR 20130102020A KR 20150024732 A KR20150024732 A KR 2015002473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 exchange
- unit
- camera body
- sig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03B17/14—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interchangeably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렌즈교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교환렌즈에 장착된 렌즈교환인식부를 통해 렌즈교환신호를 인지하면, 메카셔터를 닫은 후 잠금장치부를 전자적으로 제어하여 교환렌즈를 카메라 본체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utomatically changing a lens, and a method for separating a replacement lens from a camera body by electronically controlling a locking unit after closing a mechanical shutter when recognizing a lens replacement signal through a lens replacement recognition unit mounted on the replacement lens .
Description
본 발명은 렌즈교환식용 영상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렌즈교환식용 영상촬영장치에서 교환렌즈를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s-exchange imaging apparatu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eparating a replacement lens from a lens-changing imaging apparatus.
일반적으로 디지털카메라는 렌즈를 교환하는 DSLR(교환렌즈식) 카메라와, 상기 DSLR 카메라와 유사한 외형으로 수동 기능과 줌 성능을 강화시킨 하이엔드(1000만 화소 이상) 디지털카메라와, 휴대와 조작이 간편해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컴팩트 디지털카메라로 크게 구분되며, 하이엔드와 DSLR이 결합된 유형도 있다.In general, a digital camera has a DSLR (interchangeable lens type) camera that exchanges lenses, and a high-end (10 megapixel or more) digital camera that is similar in appearance to the DSLR camera and has enhanced manual and zoom functions. It is largely divided into the most popular compact digital cameras, and some types combine high-end and DSLR.
이때, 교환렌즈를 사용하는 DSLR(렌즈교환식) 카메라는 전문가용으로 렌즈의 종류에 따라 광각, 표준, 준망원, 망원, 줌, 컨버터 광학계 등이 있고, 전통적으로 CCD 촬상소자를 이용한 CCD 카메라를 사용하는데 최근 들어서는 제품의 가격대가 좀 더 경제적으로 바뀌면서 CMOS 촬상소자를 이용한 CMOS 카메라들도 속속 출시되고 있다.At this time, the DSLR (interchangeable lens) camera using the interchangeable lens has a wide angle, a standard, a sub-telephoto, a telephoto, a zoom and a converter optical system depending on the type of lens, and a CCD camera Recently, as the price of the product has changed more economically, CMOS cameras using CMOS imaging devices have been released.
또한, 기존의 디지털카메라에 사용되는 교환렌즈 광학계는 시장의 특성상 대단히 복잡하고 가격대 또한 높게 형성되어 있었으나, 시장이 점점 커지면서 사용자들의 영역이 전문가에서 일반인으로 넓어지고 있고, 이에 상응하게 카메라업체도 시장을 다각화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점점 휴대하기 편하도록 소형화하고 있다.In addition, the optical system of the interchangeable lens used in the conventional digital camera is very complicat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rket, and the price is also high. However, as the market is getting bigger, the area of users is spreading from experts to general people, We are trying to diversify and miniaturize to make it easier to carry.
본 발명에서는 렌즈교환식용 영상촬영장치에서 자동으로 렌즈를 교환하고자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ired to automatically exchange lenses in a lens exchange type imaging apparatu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영상촬영장치는 교환렌즈 경통부에 장착되어, 상기 교환렌즈를 카메라본체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렌즈교환신호를 인식하는 렌즈교환인식부; 상기 교환렌즈를 장착하는 렌즈마운트부; 상기 렌즈마운트부에 장착되어 상기 교환렌즈가 상기 카메라본체에 탈착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잠금장치부; 카메라 본체 앞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교환렌즈의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상기 교환렌즈가 상기 카메라본체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을 때, 상기 렌즈교환인식부에서 전송한 렌즈교환신호를 수신하는 렌즈정보통신부; 상기 렌즈정보통신부로부터 상기 렌즈교환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교환렌즈가 상기 카메라본체로부터 분리되기 이전에 메카셔터를 닫도록 제어하는 메카셔터제어부; 및 상기 렌즈정보통신부로부터 상기 렌즈교환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잠금장치부를 전자적으로 제어하여 교환렌즈와 상기 카메라본체의 락(Lock) 상태를 해제하는 자동렌즈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es a lens replacement recognizing unit mounted on the exchange lens barrel and recognizing a lens exchange signal for separating the exchange lens from the camera body; A lens mount for mounting the exchange lens; A locking unit mounted on the lens mount and controlling the interchangeable lens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camera body; A lens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located in a front portion of a camera body and receiving a lens exchang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ens exchange recognition unit when the exchange lens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camera body to exchange data of the exchange lens; A mechanical shutte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echanical shutter to close the mechanical shutter before the interchangeable lens is separated from the camera body upon receiving the lens exchange signal from the lens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And an automatic lens attaching / detaching unit for electronically controlling the lock unit when receiving the lens exchange signal from the lens information communicating unit to release the exchange lens and the lock state of the camera body.
바람직하게, 상기 잠금장치부가 위치한 상기 렌즈마운트의 외각 부분에 물리적 버튼의 형태로 장착된 수동렌즈착탈버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동렌즈착탈버튼이 눌리면 물리적으로 상기 교환렌즈와 상기 카메라본체의 걸쇠가 풀리면서 락(lock)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when the manual lens detachment button is depressed, the detachable lens and the latch of the camera body are physically inserted into the lens mount, And the lock state is released.
바람직하게, 상기 잠금장치부는 솔레노이드로 구현되며, 상기 자동렌즈착탈부는 상기 렌즈정보통신부로부터 상기 렌즈교환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잠금장치부를 전자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교환렌즈와 상기 카메라본체의 락(Lock)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locking unit is implemented as a solenoid, and the automatic lens attaching / detaching unit electronically controls the locking unit when receiving the lens replacement signal from the lens information communicating unit to lock the camera body Is released.
바람직하게, 상기 잠금장치부는 디지털 도어락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자동렌즈착탈부는 상기 렌즈정보통신부로부터 상기 렌즈교환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잠금장치부 조작 모터를 전자적으로 제어하여 폴(Pole)을 아래 방향으로 내려가도록 상기 교환렌즈와 상기 카메라본체의 락(Lock) 상태를 해제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locking unit is implemented as a digital door lock. When the automatic lens detachable unit receives the lens replacement signal from the lens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the automatic locking and releasing unit electronically controls the locking unit operating motor to move the pole in a downward direction And the lock state of the camera body and the exchange lens is released.
바람직하게, 상기 렌즈교환인식부는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교환렌즈 경통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특정 제스처를 인식한 경우에 상기 교환렌즈를 카메라본체로부터 분리하라는 상기 렌즈교환신호로 인식하고, 상기 특정 제스처는 사용자가 기설정한 제스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lens exchange recognizing unit is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and is mounted on the exchange lens barrel. In this case, when the specific gesture is recognized on the touch screen, it is recognized as the lens replacement signal to separate the exchange lens from the camera body, and the specific gesture is a gesture previously set by the user.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사용자가 기설정한 형태의 멀티터치를 인식한 경우에 상기 교환렌즈를 카메라본체로부터 분리하라는 상기 렌즈교환신호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when the user recognizes a multi-touch of a predetermined type on the touch screen,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e interchangeable lens as the lens exchange signal for separating the interchangeable lens from the camera body.
바람직하게, 상기 렌즈교환인식부는 스위치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교환렌즈 경통부에 장착되고, 이 경우 상기 스위치가 슬라이드 이동, 푸쉬(Push)형태 눌림 또는 상기 슬라이드 이동과 상기 푸쉬 형태 눌림 동작의 결합의 형태로 동작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로 동작되었을 때 상기 교환렌즈를 카메라본체로부터 분리하라는 상기 렌즈교환신호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lens exchange recognizing portion is implemented in a switch form and mounted on the exchange lens barrel, in which case the switch is in the form of a slide movement, a push type push, or a combination of the slide movement and the push type push operation And recognizes the interchangeable lens as the lens exchange signal for separating the interchangeable lens from the camera body when the interchangeable lens is operated as at least one of the interchangeable lenses.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영상촬영장치에서 교환렌즈를 자동으로 분리하는 방법은 교환렌즈 경통부에 장착된 렌즈교환인식부에서 상기 교환렌즈를 카메라본체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렌즈교환신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교환렌즈를 장착하는 렌즈마운트부의 일측에 장착된 잠금장치부에서 상기 교환렌즈가 상기 카메라본체에 탈착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카메라 본체 앞부분에 위치한 렌즈정보통신부에서, 상기 교환렌즈의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상기 교환렌즈가 상기 카메라본체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을 때, 상기 렌즈교환인식부에서 전송한 렌즈교환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메카셔터제어부에서 상기 렌즈정보통신부로부터 상기 렌즈교환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교환렌즈가 상기 카메라본체로부터 분리되기 이전에 메카셔터를 닫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자동렌즈착탈부에서 상기 렌즈정보통신부로부터 상기 렌즈교환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잠금장치부를 전자적으로 제어하여 교환렌즈와 상기 카메라본체의 락(Lock)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a still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automatically separating a replacement lens from a video imaging apparatus recognizes a lens replacement signal for separating the replacement lens from a camera body in a lens replacement recognition unit mounted on an exchange lens barrel section ; Controlling the interchangeable lens so that the interchangeable lens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camera body from a locking device mounted on one side of a lens mount for mounting the interchangeable lens; Receiving a lens exchang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ens exchange recognition unit when the exchange lens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camera body in order to exchange data of the exchange lens, ; Controlling the mechanical shutter control unit to close the mechanical shutter before the interchangeable lens is separated from the camera body upon receiving the lens replacement signal from the lens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And releasing the lock state of the exchange lens and the camera body by electronically controlling the lock unit upon receiving the lens exchange signal from the lens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in the automatic lens attaching / detaching unit .
바람직하게, 상기 잠금장치부가 위치한 상기 렌즈마운트의 외각 부분에 물리적 버튼의 형태로 장착되어 있는 수동렌즈착탈버튼이 눌리면 물리적으로 상기 교환렌즈와 상기 카메라본체의 걸쇠가 풀리면서 락(lock) 상태가 해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when the manual lens detachment button mounted on the outer portion of the lens mount on which the locking device is mounted is mounted in the form of a physical button, the latches of the exchange lens and the camera body are physically released,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바람직하게, 상기 렌즈교환인식부는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교환렌즈 경통부에 장착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기설정된 제스처, 멀티터치 또는 제스처와 멀티터치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교환렌즈를 카메라본체로부터 분리하라는 상기 렌즈교환신호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lens exchange recognizing unit is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type and mounted on the interchangeable lens barrel unit. When recognizing at least one of a preset gesture, a multi-touch or a combination of a gesture and a multitouch on the touch screen, And recognizes the lens change signal as the lens change signal to be separated from the camera body.
바람직하게, 상기 렌즈교환인식부는 스위치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교환렌즈 경통부에 장착되고, 상기 스위치가 슬라이드 이동, 푸쉬(Push)형태 눌림 또는 상기 슬라이드 이동과 상기 푸쉬 형태 눌림 동작의 결합의 형태로 동작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로 동작되었을 때 상기 교환렌즈를 카메라본체로부터 분리하라는 상기 렌즈교환신호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lens exchange recognizing unit is implemented in a switch form and mounted on the exchange lens barrel, and the switch operates in the form of a slide movement, a push type push, or a combination of the slide movement and the push type push operation And the lens change signal i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exchange lens should be detached from the camera body when it is operated as at least one of the lens change signals.
본 발명에서는 편리하고 간편하게 렌즈를 자동으로 교환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로써, 종래 교환렌즈를 교환하는 과정에서 교환렌즈를 떨어뜨리거나 카메라 본체를 떨어뜨리던 사고를 줄일 수 있고, 사진 촬영중에 빠르게 렌즈를 교환하여 원하는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method for automatically and conveniently exchanging lenses. Thus, it is possible to reduce an accident that the exchange lens is dropped or the camera body is dropped in the process of exchanging the conventional exchange lens, and the desired lens can be quickly replaced during photographing to photograph a desired o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촬영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디지털 영상촬영장치의 앞쪽 외형을 도시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디지털 영상촬영장치가 교환렌즈와 결합된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카메라 본체와 교환렌즈가 통신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렌즈교환인식부(도3, 300)에서 렌즈교환신호를 인식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an example of a case where the digital image pickup apparatus is combined with the interchangeable lens,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an example in which a camera body and an interchangeable len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6 illustrate an example of recognizing the lens exchange signal in the lens exchange recognition unit (Fig. 3, 300)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It is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herein are to be interpreted in a sense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Should not be construed to mean, or be interpreted in an excessively reduced sens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Further, when a technical term used herein is an erroneous technical term that does not accurately express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chnical terms that can be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re replaced. In addition, the gener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a predefined or prior context,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excessively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촬영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 영상촬영장치(100)는 피사체로부터의 광학 신호를 입력하는 광학부(11), 상기 광학부(11)를 통해 입력된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 소자(12), 촬상 소자(12)로부터 제공된 전기 신호에 대해 노이즈 저감 처리, 디지털 신호로 변환 처리 등의 신호 처리를 행하는 입력 신호 처리부(13)를 구비한다. 상기 광학부(11)를 구동하는 모터(14) 및 모터(14)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부(15)를 구비한다. 1, the digital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includes an
또한, 상기 디지털 영상촬영장치(100)는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UI, 20), 입력 영상의 데이터, 연산 처리를 위한 데이터, 처리 결과 등을 임시 저장하는 SDRAM(30), 디지털 영상촬영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즘, 설정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40), 영상 파일을 저장하는 기록 장치로서 SD/CF/SM 카드(50)를 구비할 수 있다. The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includes a user input unit (UI) 20 for inputting an operation signal of a user, an
그리고 상기 디지털 영상촬영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60)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소리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거나 또는 음원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를 변화하는 처리,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는 처리 등을 수행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71),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72), 소리를 입력하는 마이크(73)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영상촬영장치(100)는 상기 디지털 영상촬영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 80)를 구비한다. The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is equipped with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60 as a display device. The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71 performs processing for converting sound into a digital signal or processing for changing an analog signal to a digital signal of a sound source and processing for generating an audio file, a
각 구성부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광학부(11)는 광학 신호를 집광하는 렌즈, 상기 광학 신호의 양(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 광학 신호의 입력을 제어하는 셔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는 초점 거리(focal length)에 따라 화각이 좁아지거나 또는 넓어지도록 제어하는 줌 렌즈 및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포커스 렌즈 등을 포함하며, 이들 렌즈들은 각각 하나의 렌즈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복수 렌즈들의 군집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셔터로 가리개가 위아래로 움직이는 기계식 셔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셔터 장치 대신 촬상 소자(11)에 전기 신호의 공급을 제어하여 셔터 역할을 행할 수도 있다.The
상기 광학부(11)를 구동하는 모터(14)는 오토 포커스, 자동 노출 조정, 조리개 조정, 줌, 초점 변경 등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렌즈의 위치, 조리개의 개폐, 셔터의 동작 등을 구동할 수 있다.The
상기 모터(14)는 구동부(15)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구동부(15)는 DSP(80)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14)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motor (14) is controlled by a driving unit (15). The
촬상 소자(12)는 광학부(11)로부터 입력된 광학 신호를 수광하여, 피사체의 상을 결상한다. 촬상 소자(12)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 어레이,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 어레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입력 신호 처리부(13)는 CCD로부터 공급된 전기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로서 이를 디지털화하는 A/D 컨버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소자(12)로부터 제공된 전기 신호에 대해 게인(gain) 조정이나 파형을 정형화하는 신호 처리를 행하는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The input
DSP(80)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노이즈를 저감하고, 감마 컬렉션(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신호 처리하여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압축 처리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영상 파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The DSP 80 reduces the noise of the input image data and performs a gamma correction, a 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a color matrix, a color correction, and color enhancement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the image data generated by the image signal processing can be compressed to generate an image file, or the image data can be recovered from the image file.
DSP(80)는 UI(2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 신호에 따라 각 구성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DSP(80)는 교환렌즈의 렌즈교환인식부(도 3, 300)에서 전송한 렌즈교환신호를 렌즈정보통신부(도 2, 240)을 통해 수신하여, 메카셔터제어부(90) 및 자동렌즈착탈부(93)를 제어할 수 있다. The DSP 80 can control each component according to a user's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th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DSP(80)는 렌즈정보통신부(도 2, 240)을 통해 렌즈교환신호를 수신하면, 메카셔터제어부(90)를 제어하여 메카 셔터를닫고, 이 후 자동렌즈착탈부(93)를 통해 잠금장치부(도 2, 210) 조작 모터를 동작시켜 폴(pole)을 아래 방향으로 내려가도록 전자적으로 제어하여 교환렌즈와 카메라 본체가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4와 관련하여 상세히 기술하겠다.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SP 80 receives the lens replacement signal through the lens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FIGS. 2 and 240), the DSP 80 controls the mechanical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디지털 영상촬영장치의 앞쪽 외형을 도시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디지털 영상촬영장치가 교환렌즈와 결합된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카메라 본체와 교환렌즈가 통신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2 is a front view of a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an example of a case where the digital image pickup apparatus is combined with the interchangeable lens,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an example in which a camera body and an interchangeable len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앞쪽에는 셔터-릴리즈 버튼(11), 모드 다이얼(15) 및 렌즈부(17)가 구비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2, a shutter-
디지털 영상촬영장치의 셔터-릴리즈 버튼(11)은 정해진 시간 동안 영상 취득소자(예를 들어, CCD 또는 COMS)를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히며, 조리개(미도시)와 연동하여 피사체를 적정하게 노출시켜 영상 취득소자에 영상을 기록한다. The
셔터-릴리즈 버튼(11)은 촬영자 입력에 의해 제1 및 제2 영상 촬영 신호를 생성한다. 반셔터 신호로써의 셔터-릴리즈 버튼(11)이 입력되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포커스를 잡고 빛의 양을 조절하며, 이때 포커스가 맞은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녹색 불이 켜지게 된다. 셔터-릴리즈 버튼(11)의 입력으로 포커스가 잡히고 빛의 양이 조절되면, 비로소 완전셔터 신호로써의 셔터-릴리즈 버튼(11)을 입력하여 영상을 촬영한다.The shutter-
조그 다이얼(도 3, 13)은 뷰 파인더 또는 디스플레이부(25)를 보면서 설정값을 지정하기 위해 입력되며, 조그 다이얼(13)을 이용하여 셔터 스피드, 조리개 값 등을 설정할 수 있다. 3 and 13 are input to designate a set value while looking at the viewfinder or the display unit 25, and the shutter speed, the aperture value, and the like can be set using the
모드 다이얼(15)은 촬영모드 선택을 위해 입력된다. 디지털 영상촬영장치의 DSLR 및 High-end 기종에서, 모드 다이얼(15)에는 사용자 설정을 최소화 하고 사용 목적에 따라 빠르고 간편하게 영상을 촬영하고자 할 때 이용하는 AUTO(자동 촬영) 모드, 촬영 상황 또는 피사체의 상태에 따라 최적의 카메라 설정을 간단히 설정하기 위해 이용하는 SCENE 모드, 연속촬영 장면촬영 등 영상 촬영에 특별한 효과를 주기 위해 이용하는 EFFECT 모드, 조리개와 셔터속도를 포함한 각종 기능을 수동으로 설정하여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이용하는 A/S/M 모드 등을 지원하고 있으며, 상기 모드들로 국한되지 않는다. 그 밖에 High-end 기종의 경우, DSLR에 비해, 모드 다이얼(15)에서 메모리 카드와 같은 저장 공간이 허용하는 시간 동안 움직이는 영상을 촬영 및 저장하기 위해 이용하는 동영상 촬영모드, 메모리 저장 공간이 허용하는 시간 동안 음성만을 녹음, 저장하기 위해 이용하는 음성녹음 모드를 더 지원하고 있다. The
렌즈부(17)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아 영상을 처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렌즈부(17)는 교환렌즈가 장착되는 마운트부(230), 렌즈마운트부에 장착되어 상기 교환렌즈가 상기 카메라본체에 탈착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잠금장치부(210), 마운트부의 우측 옆에 물리적 버튼의 형태로 배치되어, 버튼(220)이 눌릴경우 교환렌즈를 카메라본체로부터 분리하는 수동렌즈착탈버튼(220), 교환렌즈가 제대로 장착됐는지를 표시하는 렌즈마운트 인덱스(240)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마운트부(230)는 교환렌즈와의 전지적 접속을 행하기 위한 복수개의 전기적 접점이나, 기계적 접속을 행하기 위한 커플러 등이 설치될 수 있다. Th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잠금장치부(210)은 솔레노이드로 구현이 가능하다. 이 경우, 렌즈정보통신부(도 2, 240)로부터 렌즈교환신호를 수신하면 자동렌즈착탈부(도 1, 93)에서는 잠금장치부(210)을 전자적으로 제어하여 교환렌즈와 상기 카메라본체의 락(Lock) 상태를 전자적으로 해제할 수 있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잠금장치부(210)은 디지털 도어락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디지털 도어락의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형태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자동렌즈착탈부(도 1, 93)는 렌즈정보통신부(도 2, 240)로부터 렌즈교환신호를 수신하면 폴 조작 모터를 전자적으로 제어하여 폴(Pole)을 아래 방향으로 내려가도록 제어하여 교환렌즈와 카메라본체의 락(Lock) 상태를 전자적으로 해제할 수 있다. As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3 을 참고하면, 교환렌즈는 광축을 따라서 직렬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렌즈로 이루어지는 렌즈군을 구비한다. 렌즈군은 초점의 조절을 수행하기 위한 포커스 렌즈, 줌 렌즈 가 포함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interchangeable lens includes a lens group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lenses arranged in series along the optical axis. The lens group includes a focus lens and a zoom lens for performing focus adjustment.
교환렌즈는 카메라본체의 앞면에 구비된 렌즈정보통신부(240)와 통신을 수행한다. 렌즈정보통신부(240)는, 예를 들어 렌즈군(21)의 초점 거리, 사출 동공 위치, 조리개값, 포커싱 거리 및 주변 광량 상태 등의 상태 정보 데이터를 교환렌즈로부터 수신하여, 제어부(도 1, DSP 80)로 전송한다. The interchangeable lens communicates with the len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교환렌즈는 렌즈교환인식부(도3, 300)를 포함한다. 렌즈교환인식부(도3, 300)는 스위치, 터치스크린, 인체감지 센서 등의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changeable lens includes a lens exchange recognition portion (Figs. 3 and 300). The lens exchange recognition unit (FIGS. 3 and 300) can be realized in the form of a switch, a touch screen, a human body sensor, or the lik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디지털 영상촬영장치에서 교환렌즈를 전자적으로 자동으로 교환하는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s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mbodiment for automatically exchanging an interchangeable lens in a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 1 내지 4을 참고하면, 영상촬영장치는 렌즈교환인식부(도 3, 300), 렌즈마운트부(도 2, 230), 잠금장치부(도 2, 210), 렌즈정보통신부(도 2, 240), 메카셔터제어부(도 1, 90), 자동렌즈착탈부(도 1, 93) 및 수동렌즈착탈버튼(도 2, 220)을 포함한다. 3 and FIG. 3), a lens mount portion (FIGS. 2 and 230), a lock portion (FIGS. 2 and 210), a lens information communication portion (See FIGS. 1 and 90), an automatic lens detachable portion (FIGS. 1 and 93), and a manual lens detachable button (see FIG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는 카메라 본체에 장착된 수동렌즈착탈버튼(도 2, 220)을 눌러 수동적으로 카메라본체에서 교환렌즈를 분리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카메라 본체에 장착된 수동렌즈착탈버튼(도 2, 220)을 누르면서 교환렌즈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교환렌즈를 떨어뜨리거나 또는 카메라 본체를 떨어뜨리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manually remove the interchangeable lens from the camera body by pressing the manual lens detachment button (Fig. 2, 220) mounted on the camera body. In this case,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xchange lens is dropped or the camera body is frequently dropped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exchange lens while pressing the manual lens detachment button (FIG. 2, 220) mounted on the camera body.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도 4 를 참고하면 교환렌즈에 장착된 렌즈교환인식부(도 3, 300)에서 사용자가 교환렌즈를 분리하고자 하는 렌즈교환신호를 인식할 경우 렌즈정보통신부(도 2, 240)을 통해 자동렌즈착탈부(도 1, 93)로 렌즈교환신호를 전송하여, 잠금장치부(도 2, 210)을 전자적으로 제어함으로써 교환렌즈를 카메라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when the user recognizes a lens exchange signal for separating the interchangeable lens from the interchangeable lens recognition unit (FIGS. 3 and 300) mounted on the interchangeable lens, The lens exchang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automatic lens attaching / detaching portion (Figs. 1 and 93) through the lock mechanism portion (Figs. 2 and 240) so that the interchangeable lens can be separated from the camera body by electronically controlling the lock portion .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는 교환렌즈를 카메라본체로부터 분리하기 이전에 메카셔터제어부(도 1, 90)에서 메카셔터를 닫도록 제어함으로써 렌즈 교환시 센서에 먼지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Preferably, in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the interchangeable lens is separated from the camera body, the mechanism shutter control unit (Figs. 1 and 90) controls the mechanical shutter to be closed, thereby preventing dust from entering the sensor during lens exchang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렌즈교환인식부(도 3, 300)는 소프트 버튼, 하드 버튼, 소프트 스위치, 하드 스위치 등의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상세히, 스위치, 터치스크린, 인체 감지 센서 등의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s exchange recognition unit (FIGS. 3 and 300)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oft button, a hard button, a soft switch, a hard switch, or the like. In detail, it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witch, a touch screen, and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일 실시예로서, 렌즈교환인식부(도3, 300)가 스위치의 형태로 구현된 경우 사용자가 스위치를 누르거나(push), 슬라이드 형태로 밀거나 또는 위아래로 누르고, 슬라이드 형태로 미는 조합을 통해 사용자가 교환렌즈를 카메라 본체로 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렌즈교환신호를 인지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lens exchange recognition unit (FIG. 3, 300)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witch, the user presses the switch, pushes it in slide form or pushes it up and down, The user can recognize the lens exchange signal for separating the interchangeable lens from the camera body.
즉, 사용자가 스위치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미는 경우 교환렌즈를 카메라 본체로부터 분리하겠다는 렌즈교환신호로 설정이 가능하다. 이렇게 사용자가 미리 기설정된 형태로 렌즈교환신호의 형태를 설정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user pushes the switch in the slide manner, it is possible to set the lens exchange signal to detach the exchange lens from the camera body. Thus, the user can set the type of the lens exchange signal in a predetermined form.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도 5 내지 6을 참고하면 렌즈교환인식부(도3, 300)가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여러가지 제스쳐 들 중 특정 제스쳐를 렌즈교환신호로 설정할 수 있다. As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referring to FIGS. 5 to 6, the lens exchange recognition unit (FIGS. 3 and 30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In this case, the user can set a specific gesture among the various gestures shown in FIG. 5 as the lens exchange signal.
예를 들어, 오른쪽으로 슬라이드 하는 제스처(510), 왼쪽으로 슬라이드 하는 제스처(511), 아래로 슬라이드 하다가 우측으로 미는 제스처(520) 내지 아래로 슬라이드 하다가 좌측으로 미는 제스처(521) 등을 렌즈교환신호로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a
렌즈교환인식부(도3, 300)에서는 사용자가 기설정한 특정 제스처와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렌즈교환신호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교환렌즈를 카메라본체로부터 분리한다. In the lens exchange recognition unit (Figs. 3 and 300), only when the specific gesture set by the user matches the lens exchange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he exchange lens is separated from the camera body.
렌즈교환신호의 또 다른 일 실시예로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멀티터치 방식이 있다. 사용자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1회 터치(610), 서로 다른 영역(620, 621)을 2회 터치 또는 서로 다른 영역(630, 631, 632)를 3회 터치하는 경우 등을 렌즈교환신호로 설정할 수 있다. Another example of the lens exchange signal is the multi-touch method as shown in Fig. The user can set the lens change signal as a
또한,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특정 제스처와 도 6에 도시된 멀티터치를 조합한 방식으로 렌즈교환신호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Also,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set the lens exchange signal by a combination of the specific gesture shown in FIG. 5 and the multi-touch shown in FIG.
이 외에도, 사용자가 기설정된 영역을 누르는 경우 또는 기설정된 시간 이상 렌즈교환인식부(도3, 300)를 터치하는 경우 등을 렌즈교환신호로 설정이 가능하다. 주의할 것은 이상에 개시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하여야 한다. In addition to this, when the user presses a preset area or touches the lens replacement recognition unit (FIG. 3, 300)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it is possible to set the lens exchange signal. It should be noted that the example described above is only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렌즈교환인식부(도3, 300)에서 사용자로부터 렌즈교환신호를 인식하면, 렌즈교환인식부(도3, 300)는 도 4와 같이 카메라 본체의 렌즈정보통신부(도 2, 240)을 통해 렌즈교환신호를 전송한다. 3 and 300) recognizes the lens change signal from the user in the lens change recognition unit (FIGS. 3 and 3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s change recognition unit (FIG. 2, 240).
렌즈정보통신부(도 2, 240)을 통해 렌즈교환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도 1, 80)으로 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부(도 1, 80)에서는 먼저 메카셔터제어부(90)를 구동하여 메카셔터를 닫고, 이후 자동렌즈착탈부(도 1, 93)를 제어하여 교환렌즈와 카메라 본체를 분리한다. When the lens exchange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lens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FIGS. 2 and 240), a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FIGS. 1 and 80), and the control unit (FIGS. 1 and 80) drives the mechanical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5)
상기 교환렌즈를 장착하는 렌즈마운트부;
상기 렌즈마운트부에 장착되어 상기 교환렌즈가 상기 카메라본체에 탈착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잠금장치부;
카메라 본체 앞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교환렌즈의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상기 교환렌즈가 상기 카메라본체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을 때, 상기 렌즈교환인식부에서 전송한 렌즈교환신호를 수신하는 렌즈정보통신부; 및
상기 렌즈정보통신부로부터 상기 렌즈교환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잠금장치부를 전자적으로 제어하여 교환렌즈와 상기 카메라본체의 락(Lock) 상태를 해제하는 자동렌즈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A lens replacement recognizing unit mounted on the exchange lens barrel for recognizing a lens exchange signal for separating the exchange lens from the camera body;
A lens mount for mounting the exchange lens;
A locking unit mounted on the lens mount and controlling the interchangeable lens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camera body;
A lens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located in a front portion of a camera body and receiving a lens exchang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ens exchange recognition unit when the exchange lens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camera body to exchange data of the exchange lens; And
And an automatic lens attaching / detaching unit for electronically controlling the lock unit when the lens exchang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lens information communicating unit to release the exchange lens and the lock state of the camera body. .
상기 잠금장치부가 위치한 상기 렌즈마운트의 외각 부분에 물리적 버튼의 형태로 장착된 수동렌즈착탈버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동렌즈착탈버튼이 눌리면 물리적으로 상기 교환렌즈와 상기 카메라본체의 걸쇠가 풀리면서 락(lock)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manual lens detachment button mounted on an outer portion of the lens mount on which the locking device is located in the form of a physical button. When the manual lens detachment button is pressed, the detachment of the exchange lens and the camera body is physically released And the lock state is released.
솔레노이드로 구현되며, 상기 자동렌즈착탈부는 상기 렌즈정보통신부로부터 상기 렌즈교환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잠금장치부를 전자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교환렌즈와 상기 카메라본체의 락(Lock)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Th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automatic lens attaching / detaching unit electronically controls the lock unit when receiving the lens replacement signal from the lens information communicating unit to release the lock state of the exchange lens and the camera body. Image capturing device.
디지털 도어락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자동렌즈착탈부는 상기 렌즈정보통신부로부터 상기 렌즈교환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잠금장치부 조작 모터를 전자적으로 제어하여 폴(Pole)을 아래 방향으로 내려가도록 상기 교환렌즈와 상기 카메라본체의 락(Lock) 상태를 해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Th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tomatic lens attaching / detaching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terchangeable lens unit and the interchangeable lens unit so as to downwardly move the pawl in a downward direction by electronically controlling the locking unit operation motor when the automatic lens attaching / And releases the lock state of the camera body.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교환렌즈 경통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ns change recognizing unit
Wherein the camera body is mounted on the interchangeable lens barrel by being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특정 제스처를 인식한 경우에 상기 교환렌즈를 카메라본체로부터 분리하라는 상기 렌즈교환신호로 인식하고, 상기 특정 제스처는 사용자가 기설정한 제스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And recognizes a specific gesture on the touch screen as the lens exchange signal to separate the exchange lens from the camera body, and the specific gesture is a gesture set by the user.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사용자가 기설정한 형태의 멀티터치를 인식한 경우에 상기 교환렌즈를 카메라본체로부터 분리하라는 상기 렌즈교환신호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And recognizes the interchangeable lens as the interchangeable lens signal for separating the interchangeable lens from the camera body when the user recognizes the multitouch of the predetermined type on the touch screen.
스위치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교환렌즈 경통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ns change recognizing unit
Wherein the switch is mounted on the interchangeable lens barrel.
상기 스위치가 슬라이드 이동, 푸쉬(Push)형태 눌림 또는 상기 슬라이드 이동과 상기 푸쉬 형태 눌림 동작의 결합의 형태로 동작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로 동작되었을 때 상기 교환렌즈를 카메라본체로부터 분리하라는 상기 렌즈교환신호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9. The method of claim 8,
When the switch is operated with at least one of a slide movement, a push-type movement, or a combination of the slide movement and the push-type movement, the lens exchange signal to disconnect the exchange lens from the camera body And recognizes the image.
상기 렌즈정보통신부로부터 상기 렌즈교환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교환렌즈가 상기 카메라본체로부터 분리되기 이전에 메카셔터를 닫도록 제어하는 메카셔터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mechanical shutte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echanical shutter to close the mechanical shutter before the interchangeable lens is separated from the camera body upon receiving the lens replacement signal from the lens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교환렌즈 경통부에 장착된 렌즈교환인식부에서 상기 교환렌즈를 카메라본체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렌즈교환신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교환렌즈를 장착하는 렌즈마운트부의 일측에 장착된 잠금장치부에서 상기 교환렌즈가 상기 카메라본체에 탈착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카메라 본체 앞부분에 위치한 렌즈정보통신부에서, 상기 교환렌즈의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상기 교환렌즈가 상기 카메라본체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을 때, 상기 렌즈교환인식부에서 전송한 렌즈교환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및
자동렌즈착탈부에서 상기 렌즈정보통신부로부터 상기 렌즈교환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잠금장치부를 전자적으로 제어하여 교환렌즈와 상기 카메라본체의 락(Lock)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 method for automatically separating a replacement lens from a video imaging device,
Recognizing a lens exchange signal for separating the interchangeable lens from the camera body in a lens exchange recognition unit mounted on the interchangeable lens barrel;
Controlling the interchangeable lens so that the interchangeable lens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camera body from a locking device mounted on one side of a lens mount for mounting the interchangeable lens;
Receiving a lens exchang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ens exchange recognition unit when the exchange lens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camera body in order to exchange data of the exchange lens, ; And
And when the automatic lens attaching / detaching unit receives the lens replacement signal from the lens information communicating unit, electronically controlling the locking unit to cancel the lock state of the exchange lens and the camera body .
상기 잠금장치부가 위치한 상기 렌즈마운트의 외각 부분에 물리적 버튼의 형태로 장착되어 있는 수동렌즈착탈버튼이 눌리면 물리적으로 상기 교환렌즈와 상기 카메라본체의 걸쇠가 풀리면서 락(lock) 상태가 해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12. The method of claim 11,
When the manual lens detachment button mounted in the form of a physical button is pressed on an outer portion of the lens mount on which the locking device is located, the locking state of the exchange lens and the camera body is released while the lock is released; ≪ / RTI >
상기 렌즈교환인식부는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교환렌즈 경통부에 장착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기설정된 제스처, 멀티터치 또는 제스처와 멀티터치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교환렌즈를 카메라본체로부터 분리하라는 상기 렌즈교환신호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lens exchange recognizing unit is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type and is mounted on the exchange lens barrel unit, and when recognizing at least one of a predetermined gesture, a multitouch, a combination of a gesture and a multitouch on the touch screen, And separating the lens change signal.
상기 렌즈교환인식부는 스위치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교환렌즈 경통부에 장착되고, 상기 스위치가 슬라이드 이동, 푸쉬(Push)형태 눌림 또는 상기 슬라이드 이동과 상기 푸쉬 형태 눌림 동작의 결합의 형태로 동작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로 동작되었을 때 상기 교환렌즈를 카메라본체로부터 분리하라는 상기 렌즈교환신호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lens exchange recognizing unit is implemented as a switch and is mounted on the exchange lens barrel, and the switch operates at least in the form of a slide movement, a push-type movement, or a combination of the slide movement and the push- And recognizing the interchangeable lens as a lens interchange signal to separate the interchangeable lens from the camera body when operated as one.
1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when the mechanical shutter control unit receives the lens replacement signal from the lens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before releasing the lock state of the camera body, Controlling the shutter to close; ≪ / RTI >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02020A KR20150024732A (en) | 2013-08-27 | 2013-08-27 | Digital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taching lens therefrom |
CN201410246533.8A CN104427220A (en) | 2013-08-27 | 2014-06-05 | Digital imaging device and method of dismounting replaceable lens automatical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02020A KR20150024732A (en) | 2013-08-27 | 2013-08-27 | Digital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taching lens therefro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4732A true KR20150024732A (en) | 2015-03-09 |
Family
ID=52975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02020A Ceased KR20150024732A (en) | 2013-08-27 | 2013-08-27 | Digital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taching lens therefrom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24732A (en) |
CN (1) | CN104427220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0409B1 (en) * | 2020-04-29 | 2020-09-28 | 이성진 | Method for providing image information and body camera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
CN113523777A (en) * | 2021-08-16 | 2021-10-22 | 深圳明京环境科技有限公司 | Automatic disassembling assembly line and method for back cover buckle type mobile phon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872336A (en) * | 2016-05-24 | 2016-08-17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Camera |
CN109752812A (en) * | 2017-11-02 | 2019-05-14 | 深圳光峰科技股份有限公司 | Lens removal mechanism and optical equipment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429077B2 (en) * | 2004-05-26 | 2010-03-10 | Hoya株式会社 | Camera system |
JP2007324794A (en) * | 2006-05-31 | 2007-12-13 | Olympus Imaging Corp | Digital camera with interchangeable lenses |
KR101406800B1 (en) * | 2007-09-06 | 2014-06-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Camer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JP4626682B2 (en) * | 2008-07-18 | 2011-02-09 | ソニー株式会社 | Imaging device |
JP5855395B2 (en) * | 2011-09-09 | 2016-02-09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Camera system and interchangeable lens |
-
2013
- 2013-08-27 KR KR20130102020A patent/KR20150024732A/en not_active Ceased
-
2014
- 2014-06-05 CN CN201410246533.8A patent/CN104427220A/en active Pending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0409B1 (en) * | 2020-04-29 | 2020-09-28 | 이성진 | Method for providing image information and body camera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
CN113523777A (en) * | 2021-08-16 | 2021-10-22 | 深圳明京环境科技有限公司 | Automatic disassembling assembly line and method for back cover buckle type mobile pho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4427220A (en) | 2015-03-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644883B2 (en) | Imaging device | |
US10542216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moving image portions | |
JP2007318225A (en) | Photographing apparatus and photographing method | |
TW200947011A (en) |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and program | |
JP2007311861A (en) | Photographic apparatus and method | |
JP2011114487A (en) | Imaging apparatus | |
JP2010062854A (en) | Device and method for shooting image | |
KR20150024732A (en) | Digital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taching lens therefrom | |
JP2006145629A (en) | Imaging apparatus | |
US8797442B2 (en) |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 |
JP7209358B2 (en) | Imaging device | |
JP2012147100A (en) | Imaging device | |
JP2004032524A (en) | Digital camera | |
JP2007279333A (en) | Device and method for deciding focusing position | |
JP2010200253A (en) | Imaging apparatus | |
JP2005354606A (en) | Digital camera | |
JP5846928B2 (en) | Imaging device | |
KR101369752B1 (en) |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1364537B1 (en) |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 |
JP5877227B2 (en) | Image capturing device system, external device, camera, and image capturing device system control method | |
JP2012147355A (en) | Photographic shoo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
JP2011053550A (en) | Optical instrument | |
JP2010026459A (en) | Imaging device | |
JP2007199259A (en) | Imaging apparatus | |
JP2004336121A (en) | Camera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7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8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03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12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