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14211A - 에어백 도어 - Google Patents

에어백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4211A
KR20150014211A KR1020130089599A KR20130089599A KR20150014211A KR 20150014211 A KR20150014211 A KR 20150014211A KR 1020130089599 A KR1020130089599 A KR 1020130089599A KR 20130089599 A KR20130089599 A KR 20130089599A KR 20150014211 A KR20150014211 A KR 20150014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rib
amount increasing
front rib
do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9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종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9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4211A/ko
Priority to CN201410089049.9A priority patent/CN104340163B/zh
Priority to US14/227,818 priority patent/US8910972B1/en
Publication of KR20150014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421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021/1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additional means for controlling deployment traject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플레이트에 전방 리브와 후방 리브가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전방 리브에 크러쉬패드와 걸림영역을 형성하는 후크가 형성된 에어백 도어로서, 에어백 전개공간을 향하는 상기 전방 리브의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영역이 증가하도록 에어백의 전개방향을 상기 후방 리브 쪽으로 유도하는 걸림량증대부를 포함하는 에어백 도어를 제공하여, 에어백 전개 시, 후크가 크러쉬패드에서 분리되어 에어백이 비정상적으로 전개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에어백 도어{Airbag door}
본 발명은 에어백 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크러쉬패드에 형성된 일체형 에어백도어에 관한 것이다.
차량 충돌 시, 운전자의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차량에는 에어백 모듈이 설치된다. 특히, 운전석 옆 조수석에 탑승한 탑승자를 보호하는 에어백 모듈은 차량의 크러쉬패드 내부에 설치된다. 때문에 크러쉬패드에는 에어백이 탑승자를 향하여 전개될 수 있도록 에어백 전개 시 개방되는 에어백 도어가 형성된다.
에어백 도어는 크러쉬패드 내측의 일부가 충격에 의해 절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크러쉬패드에 형성된 에어백 도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에어백 도어(10)는 도어플레이트(11)와, 전방 리브(12)와, 후방 리브(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F는 차량의 전방을 나타내며, 도 1의 R은 차량의 후방을 나타내는 것으로 탑승자를 향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도어플레이트(11)는 전개되는 에어백에 의해 파단부(P)가 파단 되어 힌지 영역(H)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전개되는 에어백이 밖으로 나올 수 있도록 개방되는 부분이다. 전방 리브(12)와 후방 리브(13)는 도어플레이트(11) 아래에 형성되어 에어백 모듈(2)과 결합하여 에어백의 전개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전방 리브(12)에는 크러쉬패드(1)와 걸림영역을 형성하는 후크(12a)가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후크(12a)는 에어백 전개시, 에어백 모듈의 인플레이트의 압력에 의해 후크(12a)가 크러쉬패드(1)에서 분리될 수 있다. 후크(12a)가 크러쉬패드(1)에서 분리되는 경우, 에어백이 비정상적으로 전개되어 탑승자의 안전에 치명적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에어백 전개시. 전방 리브가 크러쉬패드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에어백이 정상적으로 전개되는 에어백 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플레이트에 전방 리브와 후방 리브가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전방 리브에 크러쉬패드와 걸림영역을 형성하는 후크가 형성된 에어백 도어로서, 에어백 전개공간을 향하는 상기 전방 리브의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영역이 증가하도록 에어백의 전개방향을 상기 후방 리브 쪽으로 유도하는 걸림량증대부를 포함하는 에어백 도어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량증대부는 상기 전방 리브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량증대부는 상기 전방 리브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량증대부는 상기 전방 리브와 동일한 소재로 성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방 리브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량증대부가 장착되는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도어에 따르면, 전방 리브 쪽으로 에어백의 전개 방향이 기울도록 유도하여 전방 리브에 형성된 후크와 크러쉬패드의 걸림영역을 증가시키는 걸림량증대부를 구비함으로써, 에어백 전개 시, 후크가 크러쉬패드에서 분리되어 에어백이 비정상적으로 전개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크러쉬패드에 형성된 에어백 도어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도어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한 에어백 도어를 아래에서 위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도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한 에어백 도어를 아래에서 위로 바라본 도면이다.
이러한,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도어는 도어플레이트(11)에 전방 리브(12)와 후방 리브(13)가 일체로 성형된다. 이때, 전방 리브(12)와 후방 리브(13)는 대향 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사이로 에어백(B)이 전개된다. 여기서, 전방이라 함은 도 2의 x축 방향을 기준으로 운전자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후방이라 함은 도 2의 x축 방향을 기준으로 차량의 앞쪽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전방 리브(12)에는 후크(12a)가 형성되며, 이 후크(12a)는 크러쉬패드(1)에 맞닿아 걸림영역을 형성하여 에어백 전개에 의해 에어백 도어 전체가 이탈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의 H는 에어백 전개시 도어플레이트(11)가 회동하도록 파단 되지 않는 힌지 영역을 나타내며, 도 3의 P는 에어백 전개시 파단 되어 도어플레이트(11)가 개방되도록 하는 파단부를 나타낸다.
후방 리브(13) 쪽은 힌지 영역(H)이 형성되며, 전방 리브(12) 쪽은 파단부(9)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도어는 후방 리브(13)에 걸림량증대부(100)가 형성된다.
걸림량증대부(100)는 에어백(B)의 전개방향을 전방 리브(12)쪽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즉, 걸림량증대부(100)는 후방 리브(13)에 의해 유도되는 에어백(B)의 전개방향보다 전방 리브(12)쪽으로 치우쳐서 에어백(B)이 전개되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걸림량증대부(100)는 에어백 전개공간을 향하는 후방 리브(13)의 내측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량증대부(100)는 후방 리브(13)보다 에어백 전개공간 안쪽으로 에어백(B)과의 접촉면을 형성한다.
걸림량증대부(100)는 후방 리브(13)의 폭 방향(도 3의 y축 방향)으로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정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량증대부(100)는 후방 리브(13)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나.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량증대부(100)를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슬롯(110)이 후방 리브(13)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량증대부(100)는 후방 리브(12)와 동일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에어백 전개시, 걸림량증대부(100)에 의해 에어백의 전개 방향이 전방 리브(12)쪽으로 쏠린다. 때문에 전개되는 에어백에 의해 전방 리브(12)의 후크(12a)가 도 2의 우측 방향으로 더욱 밀리기 때문에, 에어백 전개되지 않았을 때 크러쉬패드(1)에 대한 후크(12a)의 걸림영역(H)보다 에어백 전개 시 크러쉬패드(1)에 대한 후크(12a)의 걸림영역(H’) 커지게 된다. 때문에, 전개되는 에어백에 의해 후크(12a)가 크러쉬패드(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 : 도어플레이트
12 : 전방 리브
12a : 후크
13 : 후방 리브
100 : 걸림량증대부

Claims (5)

  1. 도어플레이트에 전방 리브와 후방 리브가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전방 리브에 크러쉬패드와 걸림영역을 형성하는 후크가 형성된 에어백 도어로서,
    에어백 전개공간을 향하는 상기 전방 리브의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영역이 증가하도록 에어백의 전개방향을 상기 후방 리브 쪽으로 유도하는 걸림량증대부를 포함하는 에어백 도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량증대부는 상기 전방 리브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배치되는 에어백 도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량증대부는 상기 전방 리브와 일체로 성형되는 에어백 도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량증대부는 상기 전방 리브와 동일한 소재로 성형되는 에어백 도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리브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량증대부가 장착되는 슬롯이 형성되는 에어백 도어.

KR1020130089599A 2013-07-29 2013-07-29 에어백 도어 Ceased KR2015001421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599A KR20150014211A (ko) 2013-07-29 2013-07-29 에어백 도어
CN201410089049.9A CN104340163B (zh) 2013-07-29 2014-03-12 安全气囊门
US14/227,818 US8910972B1 (en) 2013-07-29 2014-03-27 Airbag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599A KR20150014211A (ko) 2013-07-29 2013-07-29 에어백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4211A true KR20150014211A (ko) 2015-02-06

Family

ID=52015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9599A Ceased KR20150014211A (ko) 2013-07-29 2013-07-29 에어백 도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910972B1 (ko)
KR (1) KR20150014211A (ko)
CN (1) CN104340163B (ko)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5444A (en) * 1990-10-22 1991-07-30 Davidson Textron Inc. Single cutter self-piercing cover assembly for airbag
US5046758A (en) * 1990-11-13 1991-09-10 Davidson Textron Inc. Multi-cutter self-piercing cover assembly for airbag
JP2604310Y2 (ja) * 1992-09-02 2000-05-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US5303951A (en) * 1992-10-30 1994-04-19 Allied-Signal Inc. Air bag assembly with housing and fastenerless deployment door
US5316335A (en) * 1992-12-14 1994-05-31 Davidson Textron Inc. Self piercing cover assembly air bag
US5292151A (en) * 1993-02-19 1994-03-08 Davidson Textron Inc. Self piercing cover assembly for air bag having deformable deflector shield
US5360231A (en) * 1993-08-02 1994-11-01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Rotatable occupant restraint
CA2117831C (en) * 1993-10-13 1998-06-09 Akihiro Ikeya Passive restraint system for a vehicle occupant using an air bag
US5527065A (en) * 1994-12-01 1996-06-18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Depolyment door for use in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apparatus
US5556126A (en) * 1995-04-25 1996-09-17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deployment door
JPH09263209A (ja) * 1996-03-27 1997-10-07 Denso Corp エアバッグ装置
JP4306103B2 (ja) * 1999-08-20 2009-07-29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6460874B1 (en) * 2000-11-20 2002-10-08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module deployment door with snap-in feature
US7093849B2 (en) * 2002-09-24 2006-08-22 Nihon Plast Co., Ltd. Cover body for air bag apparatus
FR2863570B1 (fr) * 2003-12-15 2007-04-27 Faurecia Interieur Ind Piece d'equipement de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 dispositif de securite a sac gonflable, et procede d'assemblage d'une telle piece d'equipement.
JP2005206142A (ja) * 2003-12-24 2005-08-04 Takata Corp エアバッグ装置
US7275759B2 (en) * 2005-03-08 2007-10-02 Takata Corporation Cover for use in airbag apparatus, and airbag apparatus
JP2008024154A (ja) * 2006-07-21 2008-02-07 Daikyo Nishikawa Kk 自動車のエアバッグドア部構造
JP2008049909A (ja) * 2006-08-25 2008-03-06 Daikyo Nishikawa Kk 自動車のエアバッグドア部構造
KR100805468B1 (ko) * 2006-12-07 2008-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도어
JP5045243B2 (ja) * 2007-05-30 2012-10-10 タカタ株式会社 内装パネルアッセンブリ及びエアバッグ装置
KR20110027922A (ko) * 2009-09-11 2011-03-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백 도어의 실링구조
KR101086513B1 (ko) * 2010-04-13 2011-11-2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장치
JP6307214B2 (ja) * 2011-09-22 2018-04-04 ダイキョーニシカワ株式会社 車両のエアバッグ装置
CN202508047U (zh) * 2012-03-23 2012-10-31 延锋百利得(上海)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改进安装结构的主气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10972B1 (en) 2014-12-16
CN104340163A (zh) 2015-02-11
CN104340163B (zh) 201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7717B2 (en) Airbag apparatus with protrusion parts
JP5752400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6097381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JP5856405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
US9475451B2 (en) Airbag apparatus
US9346431B1 (en) Structure for installing side airbag
JP2012096780A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
US9333937B1 (en) Airbag cover with stress relief features
US9428141B2 (en) Driver airbag apparatus
JP5125223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KR20150014211A (ko) 에어백 도어
KR20130053291A (ko) 차량용 사이드에어백의 에어백쿠션 전개가이드 장치
US20150054262A1 (en) Airbag device for vehicle
JP5138191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5361016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1243380B1 (ko) 에어백 모듈
US12060023B2 (en) Driver airbag device
US20170015424A1 (en) Safety device for prevention of accidental airbag depolyment
KR20080008460A (ko) 에어백 장치의 쿠션
JP2009023437A (ja) エアバッグ装置
JP5358788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内蔵シートのシートパッド構造
KR20150050970A (ko) 시트 에어백 전개 유도형 패드 서포트 구조
KR20160081512A (ko) 에어백 장치
JP2007261489A (ja) 車両の内装品取付構造
KR20130123680A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7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7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12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7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