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147031A - 식품성형기구 - Google Patents

식품성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7031A
KR20140147031A KR20140072839A KR20140072839A KR20140147031A KR 20140147031 A KR20140147031 A KR 20140147031A KR 20140072839 A KR20140072839 A KR 20140072839A KR 20140072839 A KR20140072839 A KR 20140072839A KR 20140147031 A KR20140147031 A KR 20140147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molding
frame
concave
pres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20140072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0121B1 (ko
Inventor
마사토시 스미요시
미스즈 하토리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7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12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0Shapes for preparing foodstuffs, e.g. meat-patty moulding devices, pudding moul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Abstract

식품의 성형시에 별개의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고 신속하게 식품의 성형이 가능한 식품성형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식품성형기구(1)가 식품을 수용하는 오목부(7)를 구성하는 성형부(2)와, 성형부(2)에 한쪽 끝이 접속된 틀부(3)를 구비하는 식품성형기구(1)로서, 성형부(2)가 누름부(5)와 보형부(6)로 형성되며, 누름부(5)가 가요성을 가진다. 성형부(2)는 2색 성형에 의하여 형성된다.

Description

식품성형기구{Device for shaping food}
본 발명은 식품성형기구에 관한 것이다.
식품을 먹기 쉽게 하거나 보기에 아름답게 할 목적을 위하여, 식품을 성형하는 다양한 기구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식품으로서 밥을 성형하여 주먹밥으로 만드는 성형틀이 공지이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주먹밥 성형틀은, 한쌍의 누름틀부와, 한쌍의 누름틀부의 누름틀면이 서로 근접하도록 성형틀부를 안내하는 통형의 가이드부를 가지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2002-112901호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주먹밥 성형틀은, 누름틀부를 별개의 가이드부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누름틀부와 가이드부 사이에서 밥이 눌려 벽면에 부착되어 버려, 세정이 번거로운 경우가 있다. 더욱이, 주먹밥을 성형하기 위하여, 소정량의 밥을 누름틀부 및 가이드부에 대하여 공급하기 위하여, 주걱이나 숟가락 등의 다른 기구를 사용할 필요가 있어 번거로움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식품의 성형시에 별개의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단단하고 신속하게 식품의 성형이 가능한 식품성형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식품을 수용하는 오목부를 구성하는 성형부와, 그 성형부에 한쪽 끝이 접속된 틀부를 구비하는 식품성형기구로서, 상기 성형부가 제1 부분과 제2 부분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부분이 가요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성형기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성형부가 2색 성형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성형기구가 제공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오목부의 바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성형기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의 경계선을 포함하는 평면이, 상기 오목부의 개구단을 포함하는 평면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성형기구가 제공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부분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성형기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틀부의 다른쪽 끝에는, 그 틀부보다 폭넓고 평판형상의 주걱부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성형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품의 성형시에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간편하고 신속하게 식품의 성형이 가능하게 된다는 공통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식품성형기구이다.
도 2는 도 1의 식품성형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식품성형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식품성형기구의 바닥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선 A-A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식품성형기구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모든 도면에 걸쳐,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공통의 참조부호를 붙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식품성형기구(1)이고, 도 2는 도 1의 실품성형기구(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식품성형기구(1)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식품성형기구(1)의 바닥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선 A-A에서의 단면도이다.
식품성형기구(1)는, 식품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부(2)와, 식품성형기구(1)를 사용할 때에 잡는 틀부(3)와, 주걱부(4)를 가지고 있다. 성형부(2)는 틀부(3)의 한쪽 끝에 접속되고, 주걱부(4)는 틀부(3)의 다른쪽 끝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성형부(2)와 틀부(3)와 주걱부(4)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각각 별개로 형성하여도 좋다.
성형부(2)는 제1 부분으로서 누름부(5)와, 제2 부분으로서 보형부(6)를 가지고 있다. 누름부(5)와 보형부(6)는, 식품을 수용하는 오목부(7)를 구성한다. 오목부(7)의 내면은 그 바닥부(7a), 즉 가장 움푹 패인 부분에서 오목부(7)의 입구인 개구단(7b)을 향하여 넓어지도록 경사져 있다(도 5). 오목부(7)의 개구단(7b) 전체의 형상은, 타원형 또는 원형이다. 따라서, 오목부(7)는 전체적으로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오목부(7)의 개구단(7b), 즉 보형부(6)의 가장자리부는, 안전을 위하여 둥글게 되어 형성되어 있다.
누름부(5)는 오목부(7)의 바닥부(7a)를 포함하고 있다. 오목부(7)의 내면에서의 누름부(5)와 보형부(6)의 경계선 전체의 형상은, 오목부(7)의 개구단(7b) 전체의 형상과 대략 닮은꼴이고, 아주 약간 작다. 또한, 오목부(7)의 내면에서의 누름부(5)와 보형부(6)의 경계선을 포함하는 평면(P1)은, 오목부(7)의 개구단(7b)을 포함하는 평면(P2)과 평행하다(도 3). 누름부(5)와 보형부(6)는, 오목부(7)의 내면에서의 누름부(5)와 보형부(6)의 경계선을 포함하는 평면(P1)이, 오목부(7)의 깊이, 즉 바닥부(7a)와 오목부(7)의 개구단(7b)을 포함하는 평면(P2)과의 거리의 중간 근방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성형부(2)의 누름부(5)와 보형부(6)는, 2색 성형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식품성형기구(1)의 누름부(5) 이외의 부분, 즉 성형부(2)의 보형부(6)와 틀부(3)와 주걱부(4)를 우선 1차 성형하고, 이어서 누름부(5)를 2차 성형하고 있다. 오목부(7)의 내면 및 성형부(2)의 외면에서의 누름부(5)와 보형부(6)의 경계부분에는, 홈이나 단차 등은 없으며, 연속된 곡면을 형성하고 있다.
식품성형기구(1)에 있어서 2차 성형용 재료, 즉 누름부(5)를 형성하는 재료는, 가요성을 가지는 재료인 엘라스토머, 예를 들어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이고, 1차 성형용 재료, 즉 성형부(2)의 보형부(6)와 틀부(3)와 주걱부(4)는, 경질의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이다.
따라서, 성형부(2)의 압출부(5)를 외측에서 손가락 등에 의하여 누르면, 누름부(5)의 부분은 오목부(7) 내로 돌출하도록 탄성 변형하는 것에 대하여, 보형부(6)는 실질적으로 변형되지 않는다. 바꿔말하면, 손가락 등에 의하여 힘을 가한 경우, 탄성 변형되도록 누름부(5)의 재료가 선택되며, 변형되지 않도록 보형부(6)의 재료가 선택된다.
한편, 보형부(6)가 변형되지 않는 것은,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기인하는데, 그 형상에도 기인하고 있다. 즉, 성형부(2)의 누름부(5)를 외측에서 손가락 등에 의하여 누르면, 그 힘은 고리형상의 보형부(6)의 벽면을 따른 방향으로 가해진다. 따라서, 누름부(5)와 같이 벽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힘이 가해지는 데에 비교하여, 벽면을 따른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보형부(6)는, 가령 동일한 재료로 동일하게 형성하였더라도 변형되기 어렵다.
틀부(3)는 성형부(2)의 상술한 평면(P2)으로부터 평면(P1) 방향으로 이간하도록 연장되어, 주걱부(4)에 접속하고 있다. 사용자가 틀부(3)를 잡을 수 있는 한에서,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주걱부(4)는 틀부(3)보다 폭넓고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걱부(4)는 그 선단을 향할수록 얇게 형성되고, 틀부(3)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배치된 주걱부(4) 면에는 맞닿음면(4a)이 형성되어 있다.
식품성형기구(1)의 일 실시예로서 주요한 치수를 들면, 전체길이(L)는 163.8mm, 성형부(2)의 폭(W1)은 35mm, 주걱부(4)의 폭(W2)은 26.3mm이다(도 4). 또한, 오목부(7)의 개구단(7b)을 포함하는 평면(P2)과 주걱부(4)의 맞닿음면(4a)의 거리(D)는 38.7mm, 성형부(2)의 높이(H)는 22.8mm이다(도 3).
도 6은 도 1의 식품성형기구(1)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에서는, 성형되는 식품으로서 밥을 사용하고 있다. 우선, 사용자는 통상의 숟가락을 다루는 것처럼 하여 식품성형기구(1)의 틀부(3)를 잡고, 밥그릇 등의 용기(10)에 수용된 밥에서 적량의 밥을 푼다(도 6의 (a)). 그에 따라서, 밥이 성형부(2)의 오목부(7) 내에 수용된다. 그때, 밥을 푼 상태로 용기(10)의 내면에 대하여 성형부(2)를 누름으로써, 오목부(7)로부터 돌출된 밥을 오목부(7) 내를 향하여 압축하고, 그 표면을 눌려진 벽면에 따라서 평탄 또는 곡면 형상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오목부(7)를 아래쪽을 향하도록 틀부(3)를 바꿔 쥐고, 성형부(2)의 누름부(5)를 외측으로부터, 예를 들어 엄지손가락으로 누른다. 그에 따라서, 누름부(5)가 오목부(7) 내로 돌출하도록 탄성 변형하고, 오목부(7) 내에 수용된 밥이, 작은 주먹밥 형상으로 밀려 나가, 접시 등의 식기(11)에 담긴다(도 6의 (b)).
식품성형기구(1)는 영유아용 식품에 대하여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형부(2)의 오목부(7)는 오목부(7) 내에 수용 가능한 밥의 양이 10g 정도가 되도록 크기를 결정하여도 좋다. 10g 정도의 밥 양은, 이유식 후기(예를 들어, 생후 9개월 이후)의 유아가 먹기에 적합한 크기 및 양이다. 또한, 성형된 밥은, 전체적으로 구체 또는 타원체로 형성되므로, 유아가 씹기에 적합한 형상이 되며, 보기에도 귀여운 형상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식품성형기구(1)에 의하여 성형할 수 있는 식품은 밥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식품성형기구(1)는 성형부(2)로 성형하여 밀어낸 후에도 형상이 유지되는 한에서, 임의의 식품에 대하여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식품은 구체 또는 타원체로서 형성되도록 오목부(7)가 형성되어 있는데, 식품이 그 밖의 형상, 예를 들어 삼각형이나 사각형, 더욱이는 동물이나 탈것의 형상으로서 형성되도록, 성형부(2)의 오목부(7)를 형성하여도 좋다.
그리고, 누름부(5)는 외측에서 눌러, 성형부(2)의 오목부(7)에 수용된 식품을 밀어낼 수 있는 한에서, 임의의 크기, 배치 및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b)에 있어서, 보다 틀부(3)측에 누름부(5)가 배치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때, 누름부(5)는 오목부(7)의 바닥부(7a)를 포함하는 크기 등으로 하여도 좋고, 오목부(7)의 바닥부(7a)를 포함하지 않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식품성형기구(1)에 따르면, 성형부(2)로의 식품의 공급이, 푼다라고 하는 그 형상을 이용한 행위에 의하여 실현할 수 있으므로, 식품의 성형시에 별개의 기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간단하고 신속하게, 더욱이 한 손으로 식품의 성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일련의 동작에 의하면, 사용자는 손으로 직접 식품을 다룰 필요가 없으므로, 뜨거운 식품에 대하여도, 직접 손을 접촉하지 않고, 성형할 수 있으며 청결하다. 그리고, 오목부(7)의 내면이 바닥부로부터 개구단을 향하여 넓어지도록 경사져 있으므로, 식품을 밀어낼 때에 성형부(2)로부터 식품이 이탈하기 쉬워진다. 더욱이, 성형부(2)가 2색 성형에 의하여 형성되므로, 성형되는 식품이 접속하는 표면에 홈이나 단차 등은 없으며, 따라서 식품이 잔존하기 어렵고 세정도 쉽다.
틀부(3)의 다른쪽 끝에 접속된 평판형상의 주걱부(4)의 맞닿음면(4a)은 삶은 야채를 으깨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삶은 감자를 식품성형기구(1)의 주걱부(4)의 맞닿음면(4a)으로 으깸으로써 매시드 포테이토를 작성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매시드 포테이토를, 도 6을 참조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성형부(2)를 사용하여 성형하여도 좋다. 주걱부(4)는 식품을 으깰 수 있을 정도의 강성 및 형상을 가지는 한에서, 임의의 강성 및 형상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식품성형기구(1)가 주걱부(4)를 가지지 않는 구성이어도 좋다.
한편, 성형부(2) 및 주걱부(4)의 맞닿음면(4a), 또는 식품성형기구(1) 전체의 표면에 대하여 미소한 요철 가공, 즉 주름 가공을 실시하여도 좋다. 그에 따라서, 밥 등의 식품이 표면에 부착되기 어려워져서, 식품의 성형 후 밀어내기나 으깨기를 정확하고 쉽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식품성형기구(1)를 잡을 때에도 미끄러지기 어려워진다.
또한, 틀부(3)의 강성을 조정함으로써, 성형된 식품의 경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틀부(3)의 강성을 높임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식품을 수용한 성형부(2)를 용기(10)의 내면에 누를 때, 틀부(3)가 그 반발력에 의하여 변형되기 쉽워지므로, 오목부(7) 내를 향하여 밥을 보다 압축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누름부(5)와 보형부(6)가 2색 성형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데, 누름부를 변형시킬 수 있고 누름부를 변형시켰을 때에 보형부가 동시에 변형되지 않도록 그 밖의 방법으로 형성함으로써, 상술한 실시형태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도록 하여도 좋다. 이것은 예를 들어, 누름부(5) 및 보형부(6) 부분의 두께, 즉 두껍기를 변경하여, 누름부를 얇게 하고 보형부를 누름부보다 두껍게 하도록 하여도 좋다.
1: 식품성형기구
2: 성형부
3: 틀부
4: 주걱부
5: 누름부
6: 보형부
7: 오목부

Claims (6)

  1. 식품을 수용하는 오목부를 구성하는 성형부와, 그 성형부에 한쪽 끝이 접속된 틀부를 구비하는 식품성형기구로서,
    상기 성형부가 제1 부분과 제2 부분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부분이 가요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성형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가 2색 성형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성형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오목부의 바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성형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의 경계선을 포함하는 평면이, 상기 오목부의 개구단을 포함하는 평면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성형기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성형기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틀부의 다른 쪽 끝에는, 그 틀부보다 폭넓고 평판형상의 주걱부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성형기구.
KR1020140072839A 2013-06-18 2014-06-16 식품성형기구 Active KR1023401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27750 2013-06-18
JP2013127750A JP6168871B2 (ja) 2013-06-18 2013-06-18 食品成形器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031A true KR20140147031A (ko) 2014-12-29
KR102340121B1 KR102340121B1 (ko) 2021-12-16

Family

ID=52213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2839A Active KR102340121B1 (ko) 2013-06-18 2014-06-16 식품성형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168871B2 (ko)
KR (1) KR102340121B1 (ko)
CN (1) CN104223982B (ko)
HK (1) HK1202233A1 (ko)
TW (1) TWI6139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144466B2 (en) 2022-04-11 2024-11-19 Helen Of Troy Limited Resilient scoop
USD1026580S1 (en) 2022-09-16 2024-05-14 Helen Of Troy Limited Cookie scoop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540U (ja) * 1993-06-24 1995-01-20 オークス株式会社 調理用へら
KR20040017771A (ko) * 2002-08-20 2004-02-27 다아트 인더스트리즈 인크. 형상을 갖는 음식물을 형성하기 위한 조절 가능한 몰드
US20040134079A1 (en) * 2003-01-09 2004-07-15 Mathieu Lion Ice cream spoo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22034A1 (de) * 1986-07-01 1988-01-07 Horst Heinz Eisportioniervorrichtung
FR2827494B1 (fr) * 2001-07-17 2003-12-05 Seb Sa Moule souple rigidifie
US20080105137A1 (en) * 2006-11-07 2008-05-08 Genslak Kristina J Removable mold for a grill
TWM356696U (en) * 2008-09-18 2009-05-11 rui-yang Zhang Food container structure made by suction molding
JP4858735B1 (ja) * 2011-01-18 2012-01-18 宏毅 伊澤 盛り塩成形器
CN201967589U (zh) * 2011-04-02 2011-09-14 杨友余 一种新型食用肉丸成型工具
FR2978646B1 (fr) * 2011-08-02 2015-01-09 Tellier Sas Moule a contre-forme pour article alimentaire et procede de moulage d'un article alimentai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540U (ja) * 1993-06-24 1995-01-20 オークス株式会社 調理用へら
KR20040017771A (ko) * 2002-08-20 2004-02-27 다아트 인더스트리즈 인크. 형상을 갖는 음식물을 형성하기 위한 조절 가능한 몰드
US20040134079A1 (en) * 2003-01-09 2004-07-15 Mathieu Lion Ice cream spo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23982A (zh) 2014-12-24
KR102340121B1 (ko) 2021-12-16
TW201511724A (zh) 2015-04-01
TWI613988B (zh) 2018-02-11
JP6168871B2 (ja) 2017-07-26
HK1202233A1 (en) 2015-09-25
JP2015000306A (ja) 2015-01-05
CN104223982B (zh) 2019-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3562B1 (en) Baby spoon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8590877B2 (en) Corralling utensil with associated cutting board
KR20150097079A (ko) 유아용 식판
KR20140147031A (ko) 식품성형기구
US20100314814A1 (en) Compressible Corralling Utensil with Cutting Board
KR20230002440U (ko) 용기
KR20160008940A (ko) 일회용 비닐장갑
JP2007014714A (ja) 衛生的な一体型匙と箸
KR200476993Y1 (ko) 사용이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젓가락
JP2024000942A (ja) おろし器
JP5622962B1 (ja) ドーム部が傾斜しているおろし器
JP6028004B2 (ja) ドーム部が傾斜しているおろし器
JP3153328U (ja) レモン搾り具
KR200498415Y1 (ko) 뚜껑형 식기
JP2017144157A (ja) 食事用スプーン
JP2007195645A (ja) 玉杓子
GB2528903A (en) Spoon cleaning bowl
USD907889S1 (en) Pressed shredded potato bowl
KR200394596Y1 (ko) 위생 젓가락
KR101059688B1 (ko) 꼬치와 꼬치 캡
JP6621070B2 (ja) 調理器具
JP3220377U (ja) トングの柄
EP1388312B1 (en) A combination-material food utensil
KR200481775Y1 (ko) 생선 가시 제거용 도구 세트
CN109700400A (zh) 台阶式水槽清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5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6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6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12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6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2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2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108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6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2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