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9688B1 - 꼬치와 꼬치 캡 - Google Patents
꼬치와 꼬치 캡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59688B1 KR101059688B1 KR1020090014750A KR20090014750A KR101059688B1 KR 101059688 B1 KR101059688 B1 KR 101059688B1 KR 1020090014750 A KR1020090014750 A KR 1020090014750A KR 20090014750 A KR20090014750 A KR 20090014750A KR 101059688 B1 KR101059688 B1 KR 1010596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kewer
- cap
- food
- skewers
-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3—Tongs; Devices for picking, holding or rotating food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47J2037/0795—Adjustable food supports, e.g. for height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이는 김밥과 같이 무거운 식품에 꼬치의 적용이 가능하여 이동 중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꼬치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마련된 상광하협의 홈으로 인해 꼬치에 꽂은 식품을 일정 간격으로 밀어 올리며 섭취할 수 있어 꼬치에 꽂은 식품의 하단부 까지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꼬치캡의 상단에 형성된 삼각뿔형태의 돌출부는 꼬치에 꽂아진 식품을 꼬치캡 안으로 밀어 넣을시 꼬치캡의 돌출부가 식품을 고정하여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꼬치를 거꾸로 들어도 쉽게 빠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식품에 손이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식품의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꼬치 식품에 발라진 소스가 흘려내려 옷이나 주변의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꼬치캡의 형태는 꼬치캡 하단부의 꼬치삽이구(13),절단선(12),절단 연장 방지용 구멍(11)을 기본 구성요소로 하여, 적용하고자 하는 식품의 형태에 따라 외형은 달리할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이어서 상기의 특징을 지닌 꼬치와 꼬치캡의 작용과정을 살펴보면, 꼬치캡의 꼬치 삽입구(13)에 꼬치손잡이(2)부분을 삽입하여 꼬치캡을 밀어 올리면 꼬치대 보다 다소 작게 형성된 꼬치 삽입구(13)가 꼬치의 삽입 방향으로 벌어지게 되나, 꼬치캡이 꼬치홈(1)에 도달하면, 꼬치캡의 하단부 재질이 지니는 복원력으로 인해 꼬치홈(1)에 걸리게 되어 꼬치캡이 꼬치 손잡이(2)방향으로 내려 오지 않게 된다.
계속적으로 밀어 올리게 되면 일정 간격으로 이격 되어 형성된 꼬치홈(1)으로 인해 반복 작용을 하여 일정 간격으로 식품을 밀어 올리면서 섭취할수 있다.
이러한 작용을 함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꼬치 삽입구(13)의 직경이 꼬치대의 직경과 비례해서 적절히 작아야 한다는 것이다. 지나치게 작을 경우 꼬치대의 삽입에 문제가 발생하며 다소 크게 형성될 경우 상기의 작용을 못하게 된다.
상기의 꼬치 삽입구(13)의 직경과 꼬치대의 적절한 비례관계는 일반적으로 꼬치대의 직경에 비하여 20% 작게 꼬치 삽입구(13)를 형성하면 될 것이나, 꼬치 삽입구 재질과 두께에 따라 꼬치 삽입구(13)의 복원력이 달리 함으로 제작자들이 재질의 성질에 따라 약간의 조정을 하여야 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꼬치캡의 경우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방법이지만, 적용하고자 하는 식품이 여러 형태이고 형상을 각기 달리하여 각각의 금형틀을 제작하여야 함으로 인해 채산성이 맞지 않을 경우, 도4의 도시와 같은 형태 즉, 꼬치캡의 측면부와 상부의 돌출부(14)가 형성되지 않은 꼬치캡의 하단부의 형상만을 종이 또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금속성 재질로 하거나 위의 재료들을 혼합 사용하여 적절한 꼬치 삽입구(13)의 복원력을 지니도록 평면으로 제작하여도 본 발명이 추구하는 기본적인 기능 즉, 손이 직접 식품에 접촉되지 않고 식품을 밀어올리고, 흘러내리지 않게 하며, 꼬치에 바르는 소스와 같은 첨가물이 손이나 옷에 묻는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함에는 충분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꼬치의 꼬치홈(1)의 경우, 상광하협의 홈을 형성하는 이유는 꼬치 삽입구(13)가 지닌는 복원력으로 인해 꼬치홈(1)하단에 걸리게 되어 꼬치에 고정되는 효과가 있으나, 위로 밀어 올릴경우 단순하게 홈만 가공하면 부드러운 작동이 어렵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도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과하협의 형상을 지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꼬치대의 특징으로 인해 꼬치캡을 꼬치대의 끝단을 향해 쉽게 밀어 올리며 꼬치손잡이(2) 방향으로 흘러 내리지 못하도록 한 것으로 특히, 꼬치 김밥과 같은 중량물의 식품에 유용한 것이다.
하지만 일반적인 경량의 식품의 경우에 있어서는, 꼬치 삽입구(13)가 있는 꼬치캡의 하단의 재질이 상기에 기술한 것과 같이 적절한 복원력을 지니고 있다면, 상기의 꼬치대가 아닌 시중에 있는 일반적인 나무 꼬치를 사용하여도, 본 발명이 추구하는 상기의 꼬치캡의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꼬치캡의 상단의 이탈 방지용 돌출부(14)의 경우, 꼬치캡 안쪽 방향으로 꺽어진 형태를 취하는 것으로 꼬치캡에 식품을 밀어 넣을 경우, 식품과 함께 꼬치캡의 안으로 꺽어지게 되나 돌출부(14)의 재질이 지니는 복원력으로 인해 상기의 돌출부(14)가 식품에 밀착하여 식품을 꼬치캡안에 고정하게 된다.
식품이 꼬치캡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면 상기의 돌출부(14)가 식품을 더욱 견고히 고정하게 되어 식품이 꼬치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위의 돌출부(14)는 복원력은 식품을 가볍게 누르는 정도이면 충분하다. 지나치게 강한 복원력을 지닌 재질의 재료를 사용하게 되면, 꼬치캡에 식품을 삽입하는데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복원력이 약하게 되면 아무런 기능을 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돌출부(14)의 형태는 삼각뿔형, 반원형, 내지는 반원형이 여러게 중첩된 구름모양과 같이 여러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므로, 적용하고자 하는 식품이 지니는 형태에 따라 달리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이러한 돌출부(14)의 재질은 적절한 복원력을 지닌다면, 상기의 코치캡의 꼬치삽입구(13)과 같이 종이, 플라스틱, 내지는 위의 재료들의 결합물로 가능함을 밝혀 두는 바이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4)
- 꼬치대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의 단턱(1)이 형성되되, 상기 복수개의 단턱(1)이 중심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대.
- 식품의 형태에 맞게 제작된 꼬치캡의 하단부 중심에 꼬치의 삽입구(13)인 구멍이 있고, 구멍을 중심으로 외부 방향으로 수개의 절단선(12)이 절단 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캡.
- 청구항 2항에 있어서 꼬치캡의 중심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절단된 절단선(12)이 더 이상 절단 되지 않도록 절단선(12)의 끝에 절단 연장 방지용 구멍(11) 뚫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캡.
- 청구항 2항에 있어서 꼬치캡의 상단부에 캡의 내부 방향으로 꺽어진 삼각뿔 또는 이와 유사한 돌출부(14)가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캡.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4750A KR101059688B1 (ko) | 2009-02-23 | 2009-02-23 | 꼬치와 꼬치 캡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4750A KR101059688B1 (ko) | 2009-02-23 | 2009-02-23 | 꼬치와 꼬치 캡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95766A KR20100095766A (ko) | 2010-09-01 |
KR101059688B1 true KR101059688B1 (ko) | 2011-08-26 |
Family
ID=43003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14750A Expired - Fee Related KR101059688B1 (ko) | 2009-02-23 | 2009-02-23 | 꼬치와 꼬치 캡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5968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1408B1 (ko) * | 2012-10-30 | 2013-03-11 | 최미리 | 과일용 쟁반 어셈블리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5970Y1 (ko) | 2006-09-15 | 2007-03-28 | 김진태 | 나선형 스틱 |
-
2009
- 2009-02-23 KR KR1020090014750A patent/KR101059688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5970Y1 (ko) | 2006-09-15 | 2007-03-28 | 김진태 | 나선형 스틱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95766A (ko) | 2010-09-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D551414S1 (en) | Waste container with slotted sidewalls | |
USD695103S1 (en) | Packaging for dough product | |
US4936479A (en) | Hamburger holder | |
US20100018970A1 (en) | Containers with Anti-Slip Provisions | |
USD795651S1 (en) | Tamper evident plastic food container | |
USD964117S1 (en) | Retention spoon | |
KR101059688B1 (ko) | 꼬치와 꼬치 캡 | |
US8722121B2 (en) | Candy holder and candy product including the same | |
GB2442556A (en) | Eating utensil | |
USD493101S1 (en) | Front of a packaged wooden ornament | |
KR101228813B1 (ko) | 음식물을 담아 먹는 스텐레스 그릇 | |
KR200394596Y1 (ko) | 위생 젓가락 | |
KR20100003985U (ko) | 위생 젖가락 | |
KR200410451Y1 (ko) | 밥솥용 주걱 | |
USD907888S1 (en) | Pressed shredded potato bowl | |
JP3219301U (ja) | 紙製ストロー具 | |
JP3160919U (ja) | 食材装飾具 | |
KR200407752Y1 (ko) | 위생 숟가락 | |
KR200177366Y1 (ko) | 가변형 도마 | |
KR200276585Y1 (ko) | 표면응착 방지수단을 갖는 식도 | |
KR200444285Y1 (ko) | 절단편 부착 방지 장치 | |
KR20180003518U (ko) | 접시용 음식물 스위핑기구 | |
KR200386393Y1 (ko) | 젓가락 | |
KR200305186Y1 (ko) | 표면응착 방지수단을 갖는 식도 | |
KR200186800Y1 (ko) | 젓가락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4082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4082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