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8813B1 - 음식물을 담아 먹는 스텐레스 그릇 - Google Patents
음식물을 담아 먹는 스텐레스 그릇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28813B1 KR101228813B1 KR1020100074774A KR20100074774A KR101228813B1 KR 101228813 B1 KR101228813 B1 KR 101228813B1 KR 1020100074774 A KR1020100074774 A KR 1020100074774A KR 20100074774 A KR20100074774 A KR 20100074774A KR 101228813 B1 KR101228813 B1 KR 1012288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stic
- edge
- decoration part
- insert
- acute angl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5000021268 hot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1391944 Commicarpus scande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811 curling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5 discol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51 dish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30 finish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1 molded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25—Plates, dishes or the like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이를 위하여 스텐레스를 프레스 가공하여 음식물이 담길 수 있는 내입부를 형성하고, 형성된 내입부와 연장되는 테두리를 내입부의 바닥면에서 예각으로 벌어지도록 하고, 예각으로 벌어진 테두리를 인서트 사출성형에 의하여 플라스틱 테두리부를 형성함으로서 임의적인 빠짐을 방지하면서도 다양한 색상이나 디자인의 변화가 가능토록 함은 물론 생산성을 향상토록 한 것이다.
또한 예각으로 벌어진 테두리의 인서트 사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예각으로 벌어진 테두리의 인서트 사출되어지는 플라스틱테두리부의 전단으로는 평면받침면을 형성하여 인서트 사출시 금형의 형개가 용이하게 함으로서 사출성형이 우수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그러나 이러한 프레스 가공의 어려움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형성된 내입부에서 연장되어지는 테두리부의 절단부에 대한 마무리를 위한 컬링 가공시 긴밀하게 말아줄 경우에도 말아진 부분의 내부로, 물과 접촉하거나 특히 세척을 위하여 물에 담겨질 경우에는 이러한 부분에, 물이 들어가기 때문에 소위 주방에서 설거지를 한 상태에서도 이러한 부분에 스며든 물이 서서히 배어나오기 때문에 비위생적이라는 것이다.
또한 스텐레스로 내입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그 연장된 테두리를 걸링작업에 의하여 말아준 경우에는 이러한 컬링부가 보강이 되면서 그 테두리를 다양한 형상으로 또 다른 가공이 불가능하여 다양성이 요구되는 그릇의 디자인에 대한 변화가 불가능하여 새로움과 다양성을 요구하는 소비자들의 요구에 부응할 수 없다라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도8은 본 발명의 테두리부에 후렌지가 형성된 상태도.
도9는 본 발명의 예각테두리에 평면받침면이 형성된 상태의 단면도.
도10은 종래의 스텐레스 용기에 컬링부가 형성된 상태의 단면도.
한편, 본 발명의 금속제 그릇은 접시, 공기, 대접, 쟁반 등 다양한 종류의 것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것이고, 본체(10)를 금속제로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어서, 스테인레스를 사용하는 것이 실용적이나 은이나 금 등 인체에 무해한 어떠한 금속을 사용하여도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그릇은, 금속으로 된 본체(10)의 예각을 형성하는 테두리부(12)에 플라스틱 장식부(20)가 다양한 형태와 색상으로의 구현되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플라스틱 장식부(20)의 형태와 색상에 의하여 그릇 전체의 디자인을 결정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금속제 그릇을 다양한 디자인과 색상으로 구현시킬 수 있음은 물론 우수한 장식성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12: 테두리부 13: 받침수평면
14: 후렌지
12a: 구멍 12b: 개구부
20: 플라스틱 장식부 21: 요철장식돌부
Claims (6)
- 평판의 금속판을 프레스 공정으로 음식물이 담겨지거나 놓여질 수 있도록 바닥면에서 평평한 면을 형성한 상태에서 내입부(11)가 형성되어지며, 이때 내입부(11)를 형성할 경우, 바닥면의 기스를 방지하기 위하여 또는 그릇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입부(11)의 바닥면에서 돌출테두리(11a)를 형성하고,
상기 내입부(11)에서 연장되어지는 테두리부(12)는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면서 바닥면과 예각(Φ)을 형성토록 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예각으로 상향경사지 테두리부(12)에만 그 둘레의 전체가 감싸여지도록 플라스틱으로 일체로 인서트 사출시켜 플라스틱 장식부(20)가 형성토록 하여 상향 경사진 예각에 의하여 임의적인 빠짐이 방지되고,
상기 테두리부(12)에 형성된 플라스틱 장식부(20)가 형성된 내측으로는 인서트 사출성형되어지는 플라스틱 장식부(20)가 인서트 사출성형될 경우에 금형의 형개시 정확한 맞물림을 위하여 일정폭의 받침수평면(13)을 형성함으로서 금형의 형개시 정확한 맞물림으로 인하여 인서트 사출성형시 플라스틱 장식부(20)의 성형이 용이토록 하고,
더불어 상기 테두리부(12)에 형성된 받침수평면을 외측으로 연장하여 후렌지(14)를 형성함으로써 후렌지(14)의 외측으로 인서트 사출성형에 의하여 플라스틱장식부(20)를 형성하여 빠짐이 방지되면서 금형의 형개시 정확한 맞물림으로 인하여 제조의 용이성을 확보하는 한편,
상기 플라스틱장식부(20)에 요철장식돌부(21)를 형성하여 수저나 다양한 받침을 위한 기능성을 부여하고, 더불어 상기 플라스틱 장식부를 2중으로 형성하여 상층의 장식부(20a)를 마찰력이 우수한 고무등의 재질로 성형할 경우에는 수저등을 걸쳐놓을 경우에도 내입부(11)측으로 미끄러져 내려감을 방지하는 음식물을 담아 먹는 스텐레스 그릇. - 삭제
- 평판의 금속판을 프레스 공정으로 음식물이 담겨지거나 놓여질 수 있도록 바닥면에서 평평한 면을 형성한 상태에서 내입부(11)가 형성되어지며, 이때 내입부(11)를 형성할 경우, 바닥면의 기스를 방지하기 위하여 또는 그릇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입부(11)의 바닥면에서 돌출테두리(11a)를 형성하고,
상기 내입부(11)에서 연장되어지는 테두리부(12)는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면서 바닥면과 예각(Φ)을 형성토록 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예각으로 상향경사진 테두리부(12)는 부분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테두리부(12)에는 관통된 구멍(12a)이나 일정폭으로 개구되어진 개구부(12b)를 형성하여 인서트 사출성형에 의하여 플라스틱장식부(20)를 형성하고,
상기 테두리부(12)에 형성된 플라스틱 장식부(20)가 형성된 내측으로는 인서트 사출성형되어지는 플라스틱 장식부(20)가 인서트 사출성형될 경우에 금형의 형개시 정확한 맞물림을 위하여 일정폭의 받침수평면(13)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테두리부(12)에 형성된 받침수평면을 외측으로 연장하여 후렌지(14)를 형성함으로써 후렌지(14)의 외측으로 인서트 사출성형에 의하여 플라스틱장식부(20)를 형성하여 빠짐이 방지되면서 금형의 형개시 정확한 맞물림으로 인하여 제조의 용이성을 확보하는 하고,
더불어 상기 플라스틱장식부(20)에 요철장식돌부(21)를 형성하여 수저나 다양한 받침을 위한 기능성을 부여하고, 더불어 상기 플라스틱 장식부를 2중으로 형성하여 상층의 장식부(20a)를 마찰력이 우수한 고무등의 재질로 성형할 경우에는 수저등을 걸쳐놓을 경우에도 내입부(11)측으로 미끄러져 내려감을 방지하는 음식물을 담아 먹는 스텐레스 그릇.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4774A KR101228813B1 (ko) | 2010-08-02 | 2010-08-02 | 음식물을 담아 먹는 스텐레스 그릇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4774A KR101228813B1 (ko) | 2010-08-02 | 2010-08-02 | 음식물을 담아 먹는 스텐레스 그릇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12669A KR20120012669A (ko) | 2012-02-10 |
KR101228813B1 true KR101228813B1 (ko) | 2013-01-31 |
Family
ID=45836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74774A KR101228813B1 (ko) | 2010-08-02 | 2010-08-02 | 음식물을 담아 먹는 스텐레스 그릇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2881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356024A (zh) * | 2013-04-08 | 2013-10-23 | 苏州市鼎尚海珍品有限公司 | 方便清洗的儿童用碗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202366U (ko) * | 1987-06-19 | 1988-12-27 | ||
JP2005342227A (ja) * | 2004-06-03 | 2005-12-15 | Nakamura Hiroshi | 保温食器 |
-
2010
- 2010-08-02 KR KR1020100074774A patent/KR10122881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202366U (ko) * | 1987-06-19 | 1988-12-27 | ||
JP2005342227A (ja) * | 2004-06-03 | 2005-12-15 | Nakamura Hiroshi | 保温食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12669A (ko) | 2012-0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960441B1 (en) | Room temperature butter dish | |
US20140250698A1 (en) | Hook Spoon | |
USD531860S1 (en) | Spoon | |
CN205696966U (zh) | 一种儿童用硅胶碗 | |
KR101228813B1 (ko) | 음식물을 담아 먹는 스텐레스 그릇 | |
KR200453468Y1 (ko) | 은 내피가 형성된 컵 | |
JP3226254U (ja) | 木製食器 | |
CN205831673U (zh) | V形出水槽保温热水瓶 | |
CN209528782U (zh) | 防烫纸塑容器 | |
TWM453467U (zh) | 泡麵乾濕分離容器 | |
KR101357124B1 (ko) | 조리용 유리뚜껑의 지지테 | |
CN205197740U (zh) | 高效聚热节能锅 | |
TWI616169B (zh) | Tablewa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 |
CN105856474A (zh) | 一种儿童硅胶碗的制作方法 | |
JP7551062B2 (ja) | 木製食器 | |
KR200421585Y1 (ko) | 컵용 기능성뚜껑 | |
KR200376665Y1 (ko) | 단열, 보온 기능을 갖는 칼국수 그릇 | |
KR20140004769U (ko) | 조리기구커버 뚜껑 탈락방지구 | |
KR101867087B1 (ko) | 조리용기용 덮개 | |
TWM544886U (zh) | 食材蒸煮塑型之容器結構 | |
KR20130138905A (ko) | 조리용 칼 | |
JP3160919U (ja) | 食材装飾具 | |
USD603654S1 (en) | Food container with shallow lid | |
JP3164023U (ja) | 鍋 | |
JP2017018385A (ja) | 食器内汁分の飲食時飛散防止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02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8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8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208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1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08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3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10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209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8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03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1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