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7941A - 조립식 이젤 - Google Patents
조립식 이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07941A KR20140107941A KR1020130022185A KR20130022185A KR20140107941A KR 20140107941 A KR20140107941 A KR 20140107941A KR 1020130022185 A KR1020130022185 A KR 1020130022185A KR 20130022185 A KR20130022185 A KR 20130022185A KR 20140107941 A KR20140107941 A KR 2014010794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support
- easel
- legs
- pai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7/00—Drawing desks or tables; Carriers for drawing-boards
- A47B27/04—Adjustable drawing-board carriers with balancing means for the boar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이젤(Easel,畵架)에 관한 것으로, 각각 별개로 구성한 화판받침부, 화구받침부 및 화판지지부를 조합하여 이젤을 구성하며, 조립, 분해 및 절첩이 용이하고 절첩시에 컴팩트하게 절첩되어 크기와 부피가 많이 축소되어 이동, 보관 및 휴대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립식 이젤(Easel,畵架)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 분해 및 절첩이 용이하고 절첩시에 크기와 부피가 축소되어 이동, 보관 및 휴대가 편리한 조립식 이젤에 관한 것이다.
화판을 받쳐놓고 그림을 그리기 위하여 사용하는 종래의 이젤은 보통 사다리꼴의 프래임과 그 뒷면에 접거나 펼칠 수 있는 다리와 사다리꼴의 프래임의 전면에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화판고정구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이젤은 그 길이와 폭 및 부피가 비교적 커서 이동하거나 보관하거나 휴대하기가 불편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등록번호 20-0236260호(접이식 이젤), 20-0348225호(절첩 가능한 이젤), 20-0360641호(절첩식 이젤), 20-0366249호(절첩 전개형 이젤), 20-0400617호(접이식 엑스형 이젤) 및 20-0461074호(의자가 부설된 접철식 이젤) 등록실용신안과 공개번호 20-2012-0008474호(개선된 접철 구조를 갖는 이젤) 공개실용신안 등이 제시되었으나, 이들은 모두 길이와 부피 등이 크거나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어 아직도 이동하거나 보관하거나 휴대하기가 불편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아주 작은 부피로 컴팩트하게 쉽게 접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 및 분해가 간단 용이하여 이동하거나 보관하거나 휴대하기가 좋은 조립식 이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젤은 각각 별개로 구성한 화판받침부, 화구받침부 및 화판지지부를 조합하여 이젤로 조립한다. 상기 화판받침부는 앞쪽에 긴 삽입공이 있는 상판과 그 하부 양측에 한편이 뒤쪽으로 돌출되도록 평형하게 부착된 한 쌍의 지지블럭과 상기 지지블럭의 돌출 단부에 연결봉으로 회전자재하게 지지블럭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다리로 구성한다.
상기 화구받침부는 상판과 그 하부 양측에 한편이 앞쪽으로 돌출되도록 평형하게 부착된 한 쌍의 지지블럭과 상기 지지블럭의 돌출 단부에 연결핀으로 회전자재하게 지지블럭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다리로 구성한다.
상기 화판지지부는 폭이 좁은 긴 막대형상으로 중간부분부터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구성하고 하부 좌우 양측에 걸림턱을 형성한다. 또, 길이방향으로 상단에서 하부로 이어지는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화판고정구를 부설한다.
본 발명은 각각 별개로 구성한 화판받침부, 화구받침부 및 화판지지부를 조합하여 이젤을 구성하므로 조립, 분해 및 절첩이 용이하고 절첩시에 컴팩트하게 절첩되어 크기와 부피가 많이 축소되어 이동, 보관 및 휴대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조립식 이젤의 조립된 상태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화판받침부의 전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화구받침부의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화판받침부와 화구받침부의 절첩 과정도로,
도 4a는 조립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4b와 4c는 화판받침부와 화구받침부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당겨서 화판받침부와 화구받침부가 벌어진 상태도이며,
도 4d는 화판받침부와 화구받침부가 완전히 절첩된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화판지지부의 정면도, 측면도 및 절첩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조립식 이젤에 의자와 확창판을 부설한 상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조립식 이젤을 뒤집은 상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조립식 이젤에 의자만을 부설한 상태도이다.
도 9는 도 6의 조립식 이젤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화판받침부의 전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화구받침부의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화판받침부와 화구받침부의 절첩 과정도로,
도 4a는 조립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4b와 4c는 화판받침부와 화구받침부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당겨서 화판받침부와 화구받침부가 벌어진 상태도이며,
도 4d는 화판받침부와 화구받침부가 완전히 절첩된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화판지지부의 정면도, 측면도 및 절첩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조립식 이젤에 의자와 확창판을 부설한 상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조립식 이젤을 뒤집은 상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조립식 이젤에 의자만을 부설한 상태도이다.
도 9는 도 6의 조립식 이젤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사다리꼴의 프래임과 그 뒷면의 다리로 구성되는 종래의 이젤과 구성이 전혀 다른 새로운 구성의 이젤을 제시한다. 이하 첨부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젤은 각각 별개로 구성한 화판받침부(1), 화구받침부(2) 및 화판지지부(3)를 조합하여 이젤로 조립한다. 상기 화판받침부(1)는 앞쪽에 좌우방향으로 긴 삽입공(111)이 있는 상판(11)과 그 하부 양측에 한편이 뒤쪽으로 돌출되도록 평형하게 부착된 한 쌍의 지지블럭(12)과 상기 지지블럭(12)의 돌출 단부에 회전자재하게 연결봉(14)으로 각각 연결된 한 쌍의 다리(13)로 구성한다. 상기 상판(11)의 삽입공(111)의 좌우에 상기 화판지지부(3)의 주판(31)의 지지를 용이하게 하는 덧판(113)을 부설할 수 있다.
상기 지지블럭(12)의 단부에는 상기 다리(13)의 상단부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공을 천공한다. 또, 상기 다리(13)의 상단부에도 지지블럭(12)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공을 천공하고 중간부에는 조립시에 상기 화구받침부(2)의 다리(23)와 (X)자 형태로 연결되기 위한 연결공을 천공한다. 또한, 다리(13)의 하단부에 양쪽의 다리(13)가 밖으로 벌어지지 않고 견고히 지탱하도록 양쪽의 다리(13)를 연결하는 연결편(133)을 부설할 수 있다.
상기 화구받침부(2)는 상판(21)과 그 하부 양측에 한편이 앞쪽으로 돌출되도록 평형하게 부착된 한 쌍의 지지블럭(22)과 상기 지지블럭(22)의 돌출 단부에 연결핀(24)으로 회전자재하게 지지블럭(12)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다리(23)로 구성한다.
상기 지지블럭(22)과 지지블럭(22) 사이의 간격은 상기 화판받침부(1)의 한 쌍의 지지블럭(12)이 삽입될 수 있는 간격으로 한다. 그 반대로 상기 지지블럭(22)과 지지블럭(22)이 상기 화판받침부(1)의 한 쌍의 지지블럭(12)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화판받침부(1)의 지지블럭(12)과 다리(13)를 연결봉(14)이 아닌 연결핀으로 각각 연결하여야 한다.
상기 지지블럭(22)의 단부에는 상기 다리(23)의 상단부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공을 천공한다. 또, 상기 다리(23)의 상단부에도 지지블럭(22)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공을 천공하고 중간부에는 상기 화판받침부(1)의 다리(13)와 (X)자 형태로 연결되기 위한 연결공을 천공한다.
또한, 상기 다리(23)의 하단부에 양쪽의 다리(23)가 밖으로 벌어지지 않고 견고히 지탱하도록 양쪽의 다리(23)를 연결하는 연결편(233)을 부설할 수 있고, 다리(23)의 하단부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핀(234)(도 7 참조)을 부설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절핀은 다른 다리에도 부설할 수 있다. 또, 상기 다리(13,23)와 지지블럭(12,22)의 연결에 있어서, 상기 다리(13,23)를 지지블럭(12,22)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고 그 반대로 할 수도 있다.
상기 화판지지부(3)는 폭이 좁은 긴 막대형상의 주판(31)과 화판고정구(32)로 구성한다. 상기 주판(31)은 중간부분부터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구성하고 하부의 좌우 양측에 걸림턱(312)을 형성한다. 또, 길이방향으로 상단에서 하부로 이어지는 가이드홈(311)을 형성하여 상기 화판고정구(32)가 이 가이드홈(31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홈(311)은 표면보다 내부를 보다 넓게 하여 화판고정구(32)의 고정판(321)을 끼운 볼트(322)의 머리를 가이드홈(311)에 끼우고 화판고정구(32)의 고정판(321) 앞으로 돌출되는 볼트(322) 몸체에 손잡이가 달린 너트(323)를 끼운다. 이와 같은 너트(323)를 풀어서 화판고정구(33)의 고정판(321)을 주판(31)의 가이드홈(311)을 따라 이동시키고 너트(322)를 조여서 화판고정구(33)의 고정판(321)을 주판(31) 상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킨다. 물론, 다른 방법으로 주판(31)에 화판고정구(33)를 부설할 수도 있다.
다음에 위와 같은 화판받침부(1), 화구받침부(2) 및 화판지지부(3)를 이젤로 조립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화판받침부(1)와 화구받침부(2)를 각각의 다리(13,23)가 아래쪽으로 향하게 하고 각각의 지지블럭(12,22)의 돌출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하여 상판(11,21)을 각각 평형하게 위치시킨 후 서로 밀착시킨다.
이렇게 하면 화판받침부(1) 지지블럭(12)의 돌출부가 화구받침부(2)의 상판(11)을 받치고 화구받침부(2)의 지지블럭(22)의 돌출부가 화판받침부(1)의 상판(21)을 받치게 되어 화판받침부(1)의 상판(21)과 화구받침부(2)의 상판(11)이 잘 지지된다.
이어서 화판받침부(1)의 2개의 다리(13)와 화구받침부(2)의 2개의 다리(23)가 두 개의 상판(11,21) 아래서 각각 (X)자 형태로 교차하도록 하고 교차하는 한 쌍의 다리(13,23)가 접속되도록 각각의 다리(13,23)에 천공되어 있는 연결공에 연결핀(135)을 끼운다. 이렇게 하면 교차하는 한 쌍의 다리(13,23)는 연결핀(135)을 중심으로 하여 어느 정도 회전할 수 있어 한 쌍의 다리(13,23)가 교차하는 각도를 변경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판(11,21)의 높이도 달라지게 된다.
이어서 상기 화판지지부(3)의 주판(31)을 세로로 세운 후 그 하단부를 화판받침부(1) 상판(11)의 삽입공(111)에 삽입하면 주판(31)이 아래로 내려가다가 걸림턱(312)이 상판(11) 또는 덧판(113)에 걸려서 하강을 멈추고 그대로 고정된다.
이렇게 하면 수평으로 지지되는 화판받침부(1)와 화구받침부(2)의 상판(11,21)의 전방에 화판지지부(3)의 주판(31)이 세로로 세워져 있어 본 발명의 이젤로 완성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이젤을 분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조립의 역순으로 분해해 나가면 된다.
이와 같은 이젤에 화판을 지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화판의 하단을 화판받침부(1)의 상판(11) 또는 화판받침부(2)의 상판(21) 위에 올려놓고 화판의 상단을 화판지지부(3)의 주판(31)에 지지시킨 다음 화판고정구(32)의 너트(323)를 풀어 화판고정구(32)의 고정판(321)을 화판의 상단으로 이동시킨 다음에 너트(323)를 조이면 화판이 이절에 고정된다. 이렇게 화판이 고정되면 화구받침부(2)의 상판(21)에 화구들을 올려놓고 화판에 그림을 그릴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이젤을 이동, 보관 또는 휴대가 편리하도록 작은 부피로 절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화판지지부(3)의 주판(31)을 화판받침부(1)의 상판(11)으로부터 빼낸다.
이어서 화판받침부(1)의 상판(11)과 화구받침부(2)의 상판(21)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당겨서 화판받침부(1)의 상판(11)과 화구받침부(2)의 상판(21)의 사이가 벌어지고 화판받침부(1)의 지지블럭(12)과 화구받침부(2)의 지지블럭(22)이 보이게 되면 화판받침부(1)의 상판(11)과 화구받침부(2)의 상판(21)이 서로 반대편에 오도록 접으면 화판받침부(1)와 화구받침부(2)의 다리(13,23)가 각각의 지지블럭(12,22)과 겹쳐지면서 화판받침부(1)의 상판(11)과 화구받침부(2)의 상판(21)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이렇게 접어진 화판받침부(1)와 화구받침부(2) 전체의 크기와 부피가 아주 작게 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이젤에서 화판지지부(3)의 주판(31)을 길이방향의 중간지점에서 절단한 후 가이드홈(311)의 좌우에 각각 경첩(313)을 부설하여 연결하면 본 발명의 이젤을 접을 때 화판지지부(3)의 주판(31)의 길이를 반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화판받침부(1)의 상판(11)의 뒤쪽 단면에 가이드핀(112)을 하나 이상 부설하고 화구받침부(2)의 상판(21)의 앞쪽 단면 중 상기 가이드핀(112)에 대응하는 지점에 가이드공(211)을 천공하면 화판받침부(1)의 상판(11)과 화구받침부(2)의 상판(21)을 밀착시키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되고 더욱 안정적으로 밀착된다.
한편,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이젤에 화가가 앉아서 작업할 수 있는 의자(4)와 상기 화구받침부(2)를 확장시키는 확장판(5)를 부설할 수 있다. 상기 의자(4)는 좌판(41)과 그 하부 양측에 평형하게 부착되는 한 쌍의 지지블럭(42)과 상기 지지블럭(42)의 뒤쪽 단부에 연결핀(43)으로 회전자재하게 지지블럭(42)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다리(44)와 전방지지구(46) 및 좌판(41)의 하부 전방부에 부착되는 고정블럭(45)으로 구성한다.
상기 지지블럭(42)의 단부에는 상기 다리(44)의 상단부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공을 천공한다. 또, 상기 다리(44)의 상단부에도 지지블럭(42)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공을 천공한다. 상기 다리(44)의 하단부에 양쪽의 다리(44)가 밖으로 벌어지지 않고 견고히 지탱하도록 양쪽의 다리(44)를 연결하는 연결편(443)을 부설할 수 있다.
상기 전방지지구(46)는 본체(461)와 팔(462)로 구성한다. 상기 본체(461)에 팔(462)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4611)을 형성하고 본체(461)의 상단부와 팔(462)의 상단부에 본체(461)와 팔(462)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공을 각각 천공한다.
상기 팔(462)의 상단부를 본체(461) 상단부의 삽입공간(4611)에 끼운 후 연결핀(4612)으로 회전자재하게 본체(461)와 팔(462)을 연결한다. 전방지지구(46)의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팔(462)의 하부를 본체(461) 쪽으로 회전시켜서 팔(462)을 본체(461)의 삽입공간(4611)에 삽입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팔(462)은 의자(4)의 좌판(41)의 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고정블럭(45)의 관통공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고정블럭(45)은 의자(4) 좌판(41)의 하부 전방부의 좌우에서 중앙부에 부착하며, 상기 전방지지구(46)의 팔(462)이 삽입되는 관통공을 구비한다.
상기 확장판(5)은 상판(51)과 그 하부 양측에 부착시킨 지지블럭(52)으로 구성하고, 상기 화구받침부(2)의 양측 지지블럭(22)의 후단 외부에 짧은 지지블럭(25)을 부착한다.
다음에 위와 같은 의자(4)와 확장판(5)을 본 발명의 이젤에 부설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이젤로부터 확장판(5) 정도의 간격을 두고 의자(4)의 좌판(41)을 수평으로 위치시키고 의자(4)의 다리(44)를 바닥에 정치시킨다.
이어서 확장판(5)의 상판(51)을 상기 화구받침부(2)와 상기 의자(4)의 좌판(41) 사이에 끼우고 확장판(5)의 상판(51) 하부 양측의 지지블럭(52)이 상기 화구받침부(2)의 짧은 지지블럭(25) 위에 위치토록 하여 확장판(5)의 상판(51)의 전반부가 상기 화구받침부(2)의 짧은 지지블럭(25)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하고 의자(4)의 좌판(41) 하부의 고정블럭(45)에 상기 전방지지구(46)의 팔(462)를 끼우고 전방지지구(46)의 본체(461)의 하단부를 상기 화판받침부(1)의 연결편(133)에 지지시키되 전방지지구(46)의 본체(461)와 팔(462)의 연결부위가 확장판(5)의 상판(5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확장판(5)의 상판(51)의 후반부를 지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이젤에 부설된 의자(4)와 확장판(5)이 전방지지구(46)와 한 쌍의 다리(44)에 의하여 견고히 지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이젤에 부설시킨 의자(4)와 확장판(5)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의자(4)의 좌판(41)을 뒤쪽으로 약간 당긴 다음 확장판(5)을 들어낸다. 이어서 의자(4)의 좌판(41) 하부의 고정블럭(45)에서 전방지지구(46)의 팔(462)를 빼낸 후 의자(4)의 다리(44)를 좌판(41) 쪽으로 접고, 전방지지구(46)도 수거하여 팔(462)의 하부를 본체(461) 쪽으로 회전시켜서 팔(462)을 본체(461)의 삽입공간(4611)에 삽입시키면 의자(4) 전체가 작은 부피로 절첩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젤에 의자(4)만을 부설시키는 경우에는 전방지지구(46)의 팔(462)을 고정블럭(45)에 보다 깊이 삽입시켜 본체(461)와 팔(462)의 연결부위가 의자(4) 좌판(4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한편,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이젤에서 연결핀(135,24,43,4613) 또는 연결봉(14)이 삽입되는 연결공에 베아링 역할을 하는 링(Ring)을 끼워서 연결공을 보호하고 회전이 순조롭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토대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위의 기재 내용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부호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참고로 부기한 것으로, 본 발명은 도면상의 형태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1: 화판받침부 11: 상판
111: 삽입공 112: 가이드핀
113: 덧판 12: 지지블럭
13: 다리 133: 연결편
135: 연결핀 14: 연결봉
2: 화구받침부 21: 상판
211: 가이드공 22: 지지블럭
23: 다리 233: 연결편
234: 조절핀 24: 연결핀
25: 지지블럭 3: 화판지지부
31: 주판 311: 가이드홈
312: 걸림턱 313: 경첩
32: 화판고정구 321: 고정판
322: 볼트 323: 너트
4: 의자 41: 좌판
42: 지지블럭 43: 연결핀
44: 다리 443: 연결편
45: 고정블럭 46: 전방지지구
461: 본체 4611: 삽입공간
4612: 연결핀 462: 팔
5: 확장판 51: 상판
52: 지지블럭
111: 삽입공 112: 가이드핀
113: 덧판 12: 지지블럭
13: 다리 133: 연결편
135: 연결핀 14: 연결봉
2: 화구받침부 21: 상판
211: 가이드공 22: 지지블럭
23: 다리 233: 연결편
234: 조절핀 24: 연결핀
25: 지지블럭 3: 화판지지부
31: 주판 311: 가이드홈
312: 걸림턱 313: 경첩
32: 화판고정구 321: 고정판
322: 볼트 323: 너트
4: 의자 41: 좌판
42: 지지블럭 43: 연결핀
44: 다리 443: 연결편
45: 고정블럭 46: 전방지지구
461: 본체 4611: 삽입공간
4612: 연결핀 462: 팔
5: 확장판 51: 상판
52: 지지블럭
Claims (8)
- 조립식 이젤에 있어서,
각각 별개로 구성된 화판받침부(1), 화구받침부(2) 및 화판지지부(3)가 조합되고,
상기 화판받침부(1)는 앞쪽에 긴 삽입공(111)이 있는 상판(11)과 그 하부 양측에 한편이 뒤쪽으로 돌출되도록 부착된 한 쌍의 지지블럭(12)과 상기 지지블럭(12)의 돌출 단부에 회전자재하게 연결봉(14)으로 각각 연결된 한 쌍의 다리(13)로 구성되고,
상기 화구받침부(2)는 상판(21)과 그 하부 양측에 한편이 앞쪽으로 돌출되도록 평형하게 부착된 한 쌍의 지지블럭(22)과 상기 지지블럭(22)의 돌출 단부에 연결핀(24)으로 회전자재하게 지지블럭(12)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다리(23)로 구성되며,
상기 화판지지부(3)는 폭이 좁은 긴 막대형상으로 중간부분부터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고 하부의 좌우 양측에 걸림턱(312)이 있고 길이방향으로 상단에서 하부로 이어지는 가이드홈(311)이 형성되어 있는 주판(31)과 상기 주판(31)의 가이드홈(31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화판의 상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화판고정구(32)로 구성되어,
조립, 분해 및 절첩이 용이하고 절첩시에 크기와 부피가 축소되어 이동, 보관 및 휴대가 편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이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1)의 삽입공(111)의 좌우에 상기 화판지지부(3)의 주판(31)의 지지를 용이하게 하는 덧판(113)이 부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이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판받침부(1)의 상판(11)의 뒤쪽 단면에 가이드핀(112)을 하나 이상 부설하고, 상기 화구받침부(2)의 상판(21)의 앞쪽 단면 중 상기 가이드핀(112)에 대응하는 지점에 가이드공(211)을 천공하여,
상기 화판받침부(1)의 상판(11)과 상기 화구받침부(2)의 상판(21)의 밀착이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이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판지지부(3)의 주판(31)을 길이방향의 중간지점에서 절단한 후 상기 가이드홈(311)의 좌우에 각각 경첩(313)을 부설하여 연결하여,
절첩시에 상기 주판(31)의 길이를 반으로 줄일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이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판받침부(1) 및 화구받침부(2)의 다리(13,23)의 하단부에 양쪽의 다리(13,23)가 밖으로 벌어지지 않고 견고히 지탱하도록 양쪽의 다리(13,23)를 연결하는 연결편(133,233)을 부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이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럭(12)과 다리(13)의 연결공에 베아링 역할을 하는 링(Ring)을 끼워서 연결공을 보호하고 회전이 순조롭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이젤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가가 앉아서 작업할 수 있는 의자(4)를 부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이젤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구받침부(2)를 확장시키는 확장판(5)를 더 부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이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2185A KR20140107941A (ko) | 2013-02-28 | 2013-02-28 | 조립식 이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2185A KR20140107941A (ko) | 2013-02-28 | 2013-02-28 | 조립식 이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07941A true KR20140107941A (ko) | 2014-09-05 |
Family
ID=51755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22185A Abandoned KR20140107941A (ko) | 2013-02-28 | 2013-02-28 | 조립식 이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107941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001281A (zh) * | 2019-05-17 | 2019-07-12 | 郑州铁路职业技术学院 | 新型文化艺术设计交流用画板 |
CN111016526A (zh) * | 2019-12-07 | 2020-04-17 | 电子科技大学中山学院 | 一种户外用环境艺术设计绘画架 |
-
2013
- 2013-02-28 KR KR1020130022185A patent/KR20140107941A/ko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001281A (zh) * | 2019-05-17 | 2019-07-12 | 郑州铁路职业技术学院 | 新型文化艺术设计交流用画板 |
CN111016526A (zh) * | 2019-12-07 | 2020-04-17 | 电子科技大学中山学院 | 一种户外用环境艺术设计绘画架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471395C1 (ru) | Портативная ровная скамья сборного типа | |
CN104586062B (zh) | 一种可折叠的地板一体化桌椅模块 | |
KR101524151B1 (ko) | 절첩 가능한 보조상판을 갖는 테이블 | |
KR101349302B1 (ko) | 벽면 부착 의자의 절첩식 다리 | |
KR20140107941A (ko) | 조립식 이젤 | |
CN209915301U (zh) | 便携式组装桌 | |
CN204048656U (zh) | 折叠式多功能桌椅 | |
KR20180027097A (ko) | 다기능 가구 | |
KR20110118907A (ko) | 다목적 조립형 가구 | |
JP2011177586A (ja) | 机上パネルの取付装置 | |
KR20130047492A (ko) | 벽면 부착용 절첩식 간이의자 | |
RU2614967C1 (ru) | Мольберт | |
KR101091790B1 (ko) | 요통환자용 컴퓨터 키보드 책상 | |
JP3209806U (ja) | 家具のクイック組み立て構造 | |
KR101514230B1 (ko) | 다용도 조립식 의자 | |
JP2010094380A (ja) | システムキッチン | |
JP4708245B2 (ja) | 組み合わせ座卓 | |
JP5993073B1 (ja) | 支持台開閉構造 | |
JP3239010U (ja) | 携行用テーブル | |
RU167716U1 (ru) | Мольберт | |
CN211154708U (zh) | 一种折叠式板凳 | |
KR200480310Y1 (ko) | 조립식 평상 | |
KR20090055744A (ko) | 유동을 방지한 절첩식 테이블 | |
JP3216636U (ja) | キャビネット組立構造 | |
BR202022025888U2 (pt) | Disposição construtiva aplicada em móvel modula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0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10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