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6368A - 인간 rpe 세포의 약제학적 제제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인간 rpe 세포의 약제학적 제제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96368A KR20140096368A KR1020147016228A KR20147016228A KR20140096368A KR 20140096368 A KR20140096368 A KR 20140096368A KR 1020147016228 A KR1020147016228 A KR 1020147016228A KR 20147016228 A KR20147016228 A KR 20147016228A KR 20140096368 A KR20140096368 A KR 201400963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ells
- rpe
- cell
- rpe cells
- rti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0—Nerves; Brain; Eyes; Corneal cells; Cerebrospinal fluid; Neuronal stem cells; Neuronal precursor cells; Glial cells; Oligodendrocytes; Schwann cells; Astroglia; Astrocytes; Choroid plexus; Spinal cord tissu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09—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only substituted in position 4, e.g. isoniazid, iproniazi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9—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lyophilised, i.e. freeze-dried, solutions or dispers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18—Cells of the nervous system
- C12N5/0621—Eye cells, e.g. cornea, iris pigmented cel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48—Reproductive organs
- A61K35/54—Ovaries; Ova; Ovules; Embryos; Foetal cells; Germ cells
- A61K35/545—Embryonic stem cells; Pluripotent stem cells;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Uncharacterised stem cell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6/00—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 C12N2506/02—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from embryonic c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Diabetes (AREA)
- Immu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besity (AREA)
- Cardi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Abstract
Description
배지명 | 조성( Formulation ) |
MEF Growth ( MEF - GM ) | 500 mL IMDM 55 mL FBS |
hES Growth ( hES - GM ) | 200 mL Knockout®D-MEM 30 mL Knockout®Serum Replacement 2 mL GlutaMAX®-I 2 mL NEAA 200 ㎕ 2-머캅토에탄올 10 ng/mL bFGF 10 ng/mL LIF |
EB Growth ( EB - GM ) | 1 L EX-CELL®MDBK-GM 16.5 mL GlutaMAX®-I 또는 1 L OptiPRO-SFM 20 mL GlutaMAX®I 또는 EB-DM (실시예 4에 기재됨) |
EB Formation ( EB - FM ) | 1 L EX-CELL®MDBK-GM 16.5 mL GlutaMAX®-I 20 mL B-27 Supplement 또는 1 L OptiPRO-SFM 20 mL GlutaMAX®-I 20 mL B-27 Supplement 또는 EB-DM (실시예 4에 기재됨) |
RPE Maintenance ( RPE - MM ) | 1 L EX-CELL®MDBK-MM 20 mL GlutaMAX®-I or 1 L VP-SFM 20 mL GlutaMAX®-I or RPE-GM/MM (실시예 4에 기재됨) |
RPE Growth ( RPE - GM ) | 500 mL EBM®2 10 mL FBS 0.2 mL 히드로코르티손 2.0 mL rhFGF-B 0.5 mL R3-IGF-1 0.5 mL 아스코르브산 0.5 mL rhEGF 0.5 mL 헤파린 0.5 mL VEGF 또는 RPE-GM/MM (실시예 4에 기재됨) |
도 2. 9개월 후, hESC-MA09로부터 생성된 RPE의 생존 및 NIH III 마우스 눈으로의 통합. 절편은 항-인간 미토콘드리아 (a, 원본에서 적색), 및 항-인간 베스트로핀(b, 원본에서 녹색)으로 염색됨. 동일한 세포 (c: a 및 b가 합쳐짐)에서 인간 미토콘드리아 및 베스트로핀 염색의 정확한 동시 국재화(colocalization) 및 마우스 RPE(f: a, b, c, e 합쳐짐)에서 염색의 부재에 주목한다. 명시야 상(bright field image) 상의 프레임(e)이 인간 RPE의 형태를 보여주기 위해 "d"에서 확대된다. 확대율 200x(a-c, e, f), d는 추가로 x4.5 확대된다.
도 3. 상이한 착색 정도를 갖는 RPE의 부착 및 성장의 차이. 현미경 사진은 보다 엷게(lighter) 착색된 (a-c) 로트 및 보다 진하게(darker) 착색된 (d-f) 로트의 부착 및 거동을 보여준다. g는 플레이팅 후 연속된 3일 동안 웰 당 세포의 총 수를 보여주는, 보다 진한 로트(각 그룹의 좌측 패널) 및 보다 엷은 로트(각 그룹의 우측 패널)에 대한 RPE의 성장 속도를 보여준다. a 및 d는 플레이팅 후 21시간 차 총 세포 집단을 보여주고, b 및 e는 부유 세포(floating cell)의 제거 후 a 및 d에서와 동일한 배양물을 보여주며, c 및 f는 플레이팅 후 3일 경과시 동일한 배양물을 보여준다. 대다수의 세포는 보다 엷게 착색된 로트(a, b, g)에서 해동 후 21시간 차에 부착했고, 보다 진하게 착색된 로트에서는 소수의 세포만이 부착되었으며(d, e, g, 화살표), 대부분의 세포는 부유 상태였다는 것에 주목한다. 배양물에서 3일 후에, 보다 엷게 착색된 로트(c)는 더 많은 수의 세포를 가졌고, 융합된 단층(confluent monolayer)가 형성되었고, 반면에, 보다 진하게 착색된 로트는 여전히 융합-미만(under-confluent)이었다. 확대율, x200.
도 4. hESC-유래 RPE 이식 부위의 이미지. SMD 환자의 좌측 황반의 수술 전 및 수술 후의 컬러 안저 사진 (a-c). 직사각형 내부의 영역은 수술 이식 부위의 경계를 이분하고 수술 주사(surgical injection)에 포함되지 않은 황반 위축증에 해당한다. a - 널리 퍼진 RPE 및 감각신경 황반 위축증(neurosensory macular atrophy)의 기준시점(baseline) 황반 컬러 이미지. b- hESC-RPE 이식 후 1주차 컬러 황반 이미지. 기준시점 RPE 위축증의 영역에서 경미한 착색(mild pigmentation)이 가장 명확하다는 것에 주목한다. 이 착색은 6주 차에 증가되었다 (c). 패널 d 및 e는 SD-OCT(spectral domain ocular coherence tomograph) 및 등록된 흑백 사진 (Hiedelberg Engineering)을 보여준다. 패널 e에 표시된 단면도(cross sectional view)는 패널 d에서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 수평선(원본에서 밝은 녹색)에 해당한다. 패널 e에서 파선 원(원본에서 적색)은 약화된(compromised) 원래의 RPE 층 상의 hESC-RPE 세포 정착(settling) 또는 부착으로 보이는 것을 강조한다.
도 5. AMD 환자의 플루오레세인 혈관조영술(fluorescein angiography) 이미지. 상이한 시간 간격에 누출의 증거는 없다. A: 기준시점 초기 상(baseline early phase), B: 기준시점 후기 상(baseline late phase), C: 4주차 초기 상, D: 4주차 후기 상, E: 8주차 초기 상, F: 8주차 후기 상, (선택된 이미지는 이식 영역을 나타내기 위해 최소로 분산됨(decentered inferiorly)).
도 6. 스타르가르트병 환자의 플루오레세인 혈관조영술 이미지. 상이한 시간 간격에 누출의 증거는 없다. A: 기준시점 초기 상, B: 기준시점 후기 상, C: 4주차 초기 상, D: 4주차 후기 상, E: 8주차 초기 상, F: 8주차 후기 상, (선택된 이미지는 이식 영역을 나타내기 위해 최소로 분산됨).
도 7: 상이한 시간 간격에서의 스타르가르트병 환자의 OCT 이미지. 상이한 시간 간격의 이미지에서 부종 또는 망막하액(subretinal fluid)의 증거는 관찰되지 않았다. (선택된 OCT는 이식의 영역을 나타낸다). 패널 A: 기준(baseline), B: 1주, C: 4주, D: 8주.
도 8. AMD 환자의 세극등 이미지(slit lamp image). 패널 A 및 B: 수술 후 1주. 전안부 염증(anterior segment inflammation) 또는 각막 부종의 증거는 관찰되지 않는다.
도 9. 스타르가르트병 환자의 세극등 이미지. 패널 A 및 B: 수술 후 1주. 전안부 염증 또는 각막 부종의 증거는 관찰되지 않는다.
도 10. AMD 환자에게 수행된 Goldmann 시야계(Visual field): 패널 A: 기준시점, 패널 B: 6주. 약간 더 작은 중심 암점(central scotoma)이 관찰된다.
도 11. 스타르가르트병 환자에게 수행된 Goldmann 시야계: 패널 A: 기준시점, 패널 B: 6주. 암점의 최소 축소(minimal diminution)가 관찰된다.
도 12. 상이한 배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RPE 세포의 두 로트에 대한 식세포 작용 분석 결과. RPE를 MDBK 배지(패널 a) 또는 EB-DM 및 RPE-GM/MM (패널 B)을 이용하여 제조했다. 형광 바이오입자 없이 인큐베이션된 세포("미처리(untreated)"), 4℃에서 형광 바이오입자와 함께 인큐베이션된 음성 대조군 세포("4℃"), 및 37℃에서 형광 바이오입자와 함께 인큐베이션된 세포("37℃")에 대한 FACS 분석으로부터의 결과가 막대그래프로 제시된다("미처리(untreated)").
도 13. 스타르가르트 황반 이영양증을 가진 환자에서 hESC-RPE 이식 부위의 이미지. 환자의 좌측 황반의 수술전 및 수술후 컬러 안저 촬영(a-c). 직사각형 내부의 영역은 수술 이식 부위의 경계를 이분하고 수술 주사(surgical injection)에 포함되지 않은 황반 위축증에 해당한다. (a) 널리 퍼진 RPE 및 감각신경 황반 위축증의 기준시점 황반 컬러 이미지. (b) hESC-RPE 이식 후 1주차 컬러 황반 이미지. 기준시점 RPE 위축증의 영역에서 경미한 착색(mild pigmentation)이 가장 명확하다는 것에 주목한다. 이 착색은 6주 차에 증가되었다(c). (d-g) 기준시점 (d) 및 이식 후 3개월 차(f)의 컬러 안저 촬영사진 및 SD-OCT 이미지. 컬러 이미지는 기준시점부터 3개월차까지 RPE의 수준에서 증가되는 착색을 보여준다. 등록된 SD-OCT 이미지(e, g)는 RPE의 수준에서 증가되는 착색, 및 3개월 차(화살표), 원래의 RPE가 없는 노출된(bare) 맥란막의 영역에 인접한 정상적인 단층 RPE 생착 및 생존을 보여준다.
hESC=인간 배아 줄기 세포(human embryonic stem cells). RPE=망막 색소 상피(tinal pigment epithelium). SD-OCT=spectral domain ocular coherence tomography.
도 14. SMD 환자에 대한, 미처리 눈("Fellow eye")과 RPE 세포가 주사된 눈("수술된 눈(Operated eye)")에서 스타르가르트 황반 이영양증을 가진 환자에서 hESC-RPE 이식 후 시력 변화의 표 요약. 수술된 눈은 ETDRS 및 BCVA에 의해 검출가능한 개선을 보였고, 미처리 눈에서 시력의 검출된 변화는 없었다. hESC=인간 배아 줄기 세포. RPE=망막 색소 상피. BCVA=best corrected visual acuity. ETDRS=Early Treatment Diabetic Retinopathy Study visual acuity chart.
도 15는 각각 hESC 소스로부터 유래된 50,000개의 RPE 세포로 치료된, 2명의 추가적인 스타르가르트병 환자에 대해 망막, 시신경 유두(optic disc), 황반, 및 후극(posterior pole)을 포함하는, 두 개의 안저 사진을 보여준다. 각 사진은 RPE 세포를 포함하는 용액의 주사 후 형성된 수포의 영역과 주사 부위를 표시한다.
도 16 및 17 (두 명의 상이한 추가적인 SMD 환자가 3개의 안저 사진을 보여주고, 각각 각 환자에 대해 표시된 시점에 촬영된 것이다(즉, 기준시점, 1개월, 및 2개월 또는 3개월차)은 주사 수포(injection bleb) 내에서 착색 RPE 세포의 증가된 패치를 갖는 영역의 형성을 보여주고, 이는 새로운 RPE 층을 갖는 망막의 영역의 생착 및 재표피화(resurfacing)를 시사한다.
도 18은 도 16 및 도 17의 상부 패널에 표시된 환자의 처리된("주사된(injected)") 눈과 미처리("미주사(uninjected)") 눈에서 측정된 시력을 보여준다. 수직 축은 ETDRS(Early Treatment Diabetic Retinopathy Study) 점수를 나타내고, 수평 축은 수술 후 경과 일수를 나타낸다.
도 19. 가시광 형미경 사진(visible light migrograph)은 배아 파괴 없이 생성된 hESC로부터 제조된 RPE 배양물의 예상되는 착색 및 형태를 보여준다. 상단의 세 개의 패널(A, B, C)은 3개의 상이한 인간 iPS(hiPS) 세포주로부터 제조된 RPE를 보여준다. 하단의 세 개의 패널(D, E, F)은 생검된 할구로부터 생성된 hES 세포로부터 제조된 RPE를 보여주고(D30469 및 NED7로 지정된 세포주), 나머지 배아는 생존 상태로 유지되고 동결보존되었다.
도 20. 도 4에서 보다 초기 시점에 표시된 동일한 SMD 환자에서 장기적 RPE 생착(engraftment). 기준시점(A) 및 RPE 주사 후 1년차에 촬영된 안저 사진은 착색된 세포의 존재를 보여주고, 주사 후 1년 이상 지속된 RPE 세포의 장기 생착을 나타낸다.
도 21. 치료 후 1년까지의 시점에 대한 AMD 환자의 ETDRS/BCVA 점수-주변부(Peripheral).
도 22. 치료 후 1년까지의 시점에 대한 AMD 환자의 ETDRS/BCVA 점수-중심부(Central).
건성 AMD | BCVA * | ETDRS (문자의 #) ** | 스타르가르트병 | BCVA | ETDRS (문자의 #) | |
기준시점 | 20/500 | 21 | 기준시점 | 손 동작(HM) | 0 | |
1 주 | 20/320 | 21 | 1 주 | 손가락 세기(CF) | 0 | |
2 주 | 20/200 | 33 | 2 주 | 손가락 세기 | 1 | |
3 주 | 20/200 | 32 | 3 주 | 손가락 세기 | 3 | |
4 주 | 20/250 | 30 | 4 주 | 20/800 | 5 | |
6 주 | 20/250 | 28 | 6 주 | 20/800 | 5 | |
8 주 | 20/320 | 25 | 8 주 | 20/800 | 5 |
테스트 | MCB 를 위한 테스트 방법 | hESC MCB |
무균성(Sterility) | USP <71> 접종 방법 (WuXi SOP 30744) |
음성 |
마이코플라스마 | Hoechst 염색을 이용한 간접 배양 및 직접 배양 (WuXi SOP 30055) | 음성 |
레트로바이러스: | 레트로바이러스의 검출을 위한 Mus dunni와 PG-4 (S+L-) 세포의 공동 배양(WuXi SOP 30201) | 음성 |
PCR-기반 바이러스 역 전사효소 검출 (WuXi SOP 30357) |
음성 | |
세포 형태의 초미세구조(ultrastructural) 전자현미경 관찰 및 바이러스 입자의 검출 (WuXi SOP 30610) | 음성 | |
세포에 대한 바이러스의 인 비트로 검출 | MRC-5, VERO, NIH3T3 및 HeLa 세포와의 인큐베이션 (WuXi SOP 37000E) - 세포변성(cytopathic) 효과 |
음성 |
- 혈구흡착반응(haemadsorption) | 음성 | |
- 혈구응집반응(haemagglutination) | 음성 | |
불현성(inapparent) 바이러스의 인 비보 검출 | 유체(suckling) 및 성체 마우스로의 접종 (WuXi SOP 30194) |
음성 |
기니어 피그로의 접종 | 음성 | |
암탉 발육란(embryonated hen eggs)으로의 접종 - 요낭 및 난황낭 경로 | 음성 | |
MVM(Minute virus of mice) | qPCR에 의한 MVM DNA의 검출 (WuXi SOP 30910) |
음성 |
마우스 항체 생산 | 19종의 바이러스, LDHEV 및 LCMV에 대한 접종된 마우스의 항체 역가 (WuXi SOP 30001) | 음성 |
XC 플라크(plaque) 분석 | 마우스 동종지향성(ectotropic) 바이러스의 인 비트로 검출 (연장된 지속 기간) (WuXi SOP 30024) | 음성 |
소 바이러스 | 외래성(adventitious) 소 바이러스의 검출 (WuXi SOP 30236) | 음성 |
돼지 바이러스 | 외래성 돼지 바이러스의 검출 (WuXi SOP 30129) | 음성 |
B형 간염 바이러스 | qPCR에 의한 HBV DNA의 검출 (WuXi SOP 32827) |
음성 |
C형 간염 바이러스 | qPCR에 의한 HCV RNA의 검출 (WuXi SOP 30730) |
음성 |
헤르페스 심플렉스 6A 및 6B | qPCR에 의한 인간 HSV6A 및 HSV6B DNA의 검출 (WuXi SOP 30863) | 음성 |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 타입 1 | qPCR에 의한 HIV-1 DNA의 검출 (WuXi SOP 30768) | 음성 |
HIV 타입 2 | qPCR에 의한 HIV-2 DNA의 검출 (WuXi SOP 30798) | 음성 |
HTLV(Human T-cell lymphotropic virus) 타입 1 | qPCR에 의한 HTLV-1 DNA의 검출 (WuXi SOP 32491) | 음성 |
HTLV 타입 2 | qPCR에 의한 HTLV-2 DNA의 검출 (WuXi SOP 32492) | 음성 |
hCMV(Human cyto-megalovirus) | qPCR에 의한 hCMV DNA의 검출 (WuXi SOP 30705) | 음성 |
hEBV(Human Epstein Barr virus) | qPCR에 의한 hEBV DNA의 검출 (WuXi SOP 30713) |
음성 |
인간 파보바이러스(parvovirus) B19 | qPCR에 의한 인간 파보바이러스 B19 DNA의 검출 (WuXi SOP 30761) | 음성 |
DNA 지문분석 | STR(short tandem repeat) 프로파일 (CLG SOP 401) | 예상된 패턴에 일치함 |
G-밴딩(banding)에 의한 핵형 | 20개의 G-밴딩(banded) 중기 세포의 세포 유전학 분석 (CLG SOP 100) | 46, 정상 여성 |
FISH 분석 | 12번 및 17번 염색체에 대한 FISH에 의해 200개의 간기(interphase) 핵은 분석함 (CLG SOP 201) | 정상 신호 패턴 |
hES 특이적 마커의 발현 | hESC 마커 OCT -4, REX -1, NANOG 및 SOX -2 에 대한 qPCR(ACT Quality SOP-0022) | 대조군 기준 은행 값의 1 log10 이내 |
망막 변성 유전자 돌연변이의 부재 | PCR 및 서열분석에 의한 ABCA4 , ELOVL4 , VMD2 , RPE-65 및 CTRP5 유전자의 돌연변이형에 대한 스크리닝 (Ophthalmic Molecular Diagnostic Laboratory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 돌연변이가 검출되지 않음 |
형태 | 세포 및 콜로니의 현미경 관찰 (ACT BR-009A) |
hESC 형태와 일치함 |
테스트 | 방법 | 사양( Specification ) | 로트 MEF -08 |
무균성 | USP - 접종 방법 (WuXi SOP 30744) |
음성 | 음성 |
마이코플라스마 | Hoechst 염색을 이용한 간접 배양 및 직접 배양 (WuXi SOP 30055) | 음성 | 음성 |
레트로바이러스: | 레트로바이러스의 검출을 위한 Mus dunni와 PG-4 (S+L-) 세포의 공동 배양 (WuXi SOP 30201) | 음성 | 음성 |
PCR-기반 바이러스 역 전사효소 검출 (WuXi SOP 30357) | 음성 | 음성 | |
세포 형태의 초미세구조 전자현미경 관찰 및 바이러스 입자의 검출 (WuXi SOP 30610) | 음성 | 음성 | |
세포에 대한 바이러스의 인 비트로 검출 | MRC-5, VERO, 및 NIH3T3 세포와의 인큐베이션 (WuXi SOP C30177) - 세포변성 효과 |
음성 | 음성 |
- 혈구흡착반응 | 음성 | 음성 | |
- 혈구응집반응 | 음성 | 음성 | |
불현성 바이러스의 인 비보 검출 | 유체 및 성체 마우스로의 접종 (WuXi SOP 30194) | 음성 | 음성 |
기니어 피그로의 접종 | 음성 | 음성 | |
암탉 발육란으로의 접종 - 요낭 및 난황낭 경로 | 음성 | 음성 | |
MVM(Minute virus of mice) | qPCR에 의한 MVM DNA의 검출 (WuXi SOP 30910) |
음성 | 음성 |
마우스 항체 생산 | 19종의 바이러스, LDHEV(lactate dehydrogenase elevating virus) 및 LCMV(lymphocytic choriomeningitis virus)에 대한 접종된 마우스의 항체 역가 (LCMV) (WuXi SOP 30001) | 음성 | 음성 |
인 비트로 종양형성 | 소프트 아가(soft agar)에서의 콜로니 형성 (WuXi SOP 30006) |
음성 | 음성 |
세포 계통 ID 테스트 | 동종효소 전기영동 이동성 프로파일 (WuXi SOP 30330) | 마우스 동종효소(isoenzyme) | 마우스 세포의 대표적인 동종효소 패턴 |
XC 플라크 분석 | 마우스 동종지향성 바이러스의 인 비트로 검출 (연장된 지속 기간) (WuXi SOP 30024) | 보고 결과 | 양성: 동종지향성 MuLV 검출1 |
MEF 성능 검증(qualification) | MEF가 배양물에서 MA-09 hES 세포의 성장 및 속성을 지지하는 능력의 테스트 (ACT SOP QCS-0004) | 대조군 MEF에 유사함 | 통과 |
테스트 | 사양( Specification ) | 로트 0211-B1A |
무균성 | 음성 | 음성 |
마이코플라스마 | 음성 | 음성 |
세포 밀도(cell density) | 1-2 백만개 생 세포/mL (희석 후) |
2 x 106개 생 세포/mL |
세포 생존력(viability) | 최종 회수: > 85% | 99% |
해동-후: >70% | 95% | |
형태 | 융합된, 자갈 상피(cobblestone epithelium), 중등도 착색(medium pigmentation) | 통과 |
핵형 | 46, XX, 정상 | 46, XX, 정상 |
DNA 지문분석 | hESC MCB와 일치함 | 일치 |
BEST -1 RPE -65 PAX6 MITF:에 대한 hRPE mRNA |
hESC 대비 최소 1 log10 상향-조절 | BEST-1 3.81 RPE-6 1.32 PAX6 2.80 MITF 2.89 |
OCT -4 NANOG SOX -2:에 대한 hESC mRNA |
hESC 대비 하향 조절 (log10): OCT -4 ≤ -2.13 NANOG ≤ -1.95 SOX -2 ≤-0.63 |
OCT-4 -3.18 NANOG -2.49 SOX-2 -2.07 |
베스트로핀 염색에 의한 성숙도(maturity) | > 70% 염색 | 71% |
면역염색에 의한 순도 | > 95% PAX6 및/또는 MITF | 100% |
> 95% PAX6 및/또는 베스트로핀 | 100% | |
> 95% ZO-1 | 100% | |
hESC 단백질 마커 | 조사된 9백만개의 세포 중 OCT-4 및 AP에 의한 2개 미만의(< 2) 세포 염색 | 0 |
잔류(residual) 마우스 DNA | 음성 | 음성 |
MAP에 의한 마우스 바이러스 | 음성 | 음성 |
Mus dunni 공동-배양에 의한 레트로바이러스 | 음성 | 음성 |
동종지향성 마우스 바이러스 | 음성 | 음성 |
내독소 | < 0.50 EU/mL | 0.312 EU/mL |
식세포 작용에 의한 효능(potency) | 양성 | 양성 |
생존 시간
(주) |
동물의 총 수 | 눈에서 인간 세포가 확인된 동물의 수 | 눈에 생존한 인간 세포를 갖는 동물의% Eye |
4 | 26 | 26 | 100% |
8 | 19 | 19 | 100% |
12 | 28 | 28 | 100% |
36-40 | 52 | 48 | 92% |
포함( INCLUSION ) 기준 | ·55세 초과의 성인 남성 또는 여성. ·환자는 합리적으로 치료 후 4년 이상 생존을 예상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우수한 건강 상태에 있어야 함. · 중심와를 포함하는 지도상 위축증(geographic atrophy)(the Age-Related eye Disease Study [AREDS]에서 정의된 바와 같음)의 >250microns의 하나 이상의 영역의 증거를 갖는 진행된 건성 AMD와 일치하는 임상적 소견. ·생체현미경검사, OCT, 및 FA에 의해 관찰된 RPE의 약화(attenuation) 또는 상실로 정의된 GA. ·현재 또는 이전의 맥란막 혈관신생의 증거 부재 ·이식물을 받은 눈의 시력이 20/400 이하(no better than 20/400)일 것임. ·이식물을 받지 않은 눈의 시력이 20/400 이상(no worse than 20/400)일 것임. ·진행된 건성 AMD와 일치하는 전기생리학적 소견(electrophysiological findings) ·유리체 절제술 및 망막하 주사를 받기에 의학적으로 적절함. ·필요한 경우, 전신 마취 또는 각성 진정(waking sedation)을 위해 의학적으로 적절함. · 배아 줄기세포주의 이식을 위해 의학적으로 적절함: 정상 범위에서 약간 벗어나는 측정값(laboratory value)은 임상적 유의성을 결정하기 위해 Medical Monitor and Investigators에 의해 검토될 것임. 임상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그 환자는 본 연구에 등록될 수 있음. · 혈청 화학(Normal serum chemistry) (순차적 멀티-채널 분석기 20 [SMA-20]) 및 혈액학 (CBC(complete blood count), PT(prothrombin time), 및 aPTT(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스크리닝 테스트 정상. (주의: 배제 기준(exclusion criteria)에서 구체적으로 표시된 이상(abnormalities)은 예외로 함) · 약물 남용에 대한 소변 스크린 음성. ·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BV(hepatitis B), HCV(hepatitis C) 혈청학적 검사 음성. · 악성 종양(malignancy) 이력 부재(성공적으로 치료된(절제된) 기저세포암[피부암] 또는 성공적으로 치료된 피부의 편평세포 암은 예외로 함). · 최근 6개월 내 암 스크리닝 음성: · 완전한 이력 및 신체 검사(history & physical examination); · 악성 병변에 대한 피부과학적 스크리닝 검사; · 대변 잠혈 반응 검사 음성 & 최근 7년 내 대장내시경 음성; · 흉부 x-선(CXR) 음성; · CBC & 수기 감별(manual differential) 정상; · 요검사(U/A) 음성; · 갑상선 검사 정상; · 남성인 경우, 고환 검사 정상; DRE(digital rectal examination) 및 PSA(prostate specific antigen) 정상; · 여성인 경우, 파파니콜로 도말표본(Papanicolaou smear)에 의한 골반 검사 정상; 및 · 여성인 경우, 임상적 유방 검사 정상 및, 유방 조영상(mammogram) 음성. ·여성이고, 가임기인 경우, 연구 동안 2개의 유효한 형태의 피임법을 사용할 용의가 있음. ·남성인 경우, 연구 동안 배리어(barrier) 및 살정자성 피임약을 사용할 용이가 있음. ·모든 미래의 혈액, 혈액 성분 또는 조직 공여를 미룰 용의가 있음. ·사전 동의을 이해하고 서명할 용의가 있음. |
배제( Exclusion ) 기준 · 활성 또는 비활성 CNV의 존재. · 망막이영양증, 망막색소변성증, 맥란막염, 중심성 망맥락막염, 당뇨망막병증, 또는 AMD가 아닌 기타 망막 혈관 또는 변성 질환의 존재 또는 이력. · 시각 신경병증의 이력. · AMD가 아닌 다른 원인에 의한 황반 위축증(macular atrophy). · 연구 대상 눈에 녹내장 시각 신경병증, 비제어 IOP의 존재, 또는 IOP를 제어하기 위한 둘 이상의 작용제(아세토졸라미드, 베타 차단제, 알파-1-효능제, 안티프로스타글란딘, 탄산 탈수소효소 억제제(anhydrous carnonic inhibitor) 의 사용. · 1년 내에 외과적 추출을 필요로 할 것으로 보이는 충분한 중증도의 백내장. · 연구 대상 눈에서 망막 박리 치료의 이력. · -8 디옵터보다 높은 축성 근시 · 28 mm보다 긴 안축장 길이. · 악성 종양의 이력 (성공적으로 치료된(절제된) 기저세포암[피부암] 또는 성공적으로 치료된 피부의 편평세포 암은 예외로 함). · 최근 12개월 내에 심근경색증의 이력. · 당뇨병의 이력. · 사전 동의 과정에 참가하고 적절하게 평가를 완료할 환자의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지 손상 또는 치매의 이력. · 면역결핍증. · 간헐적, 또는 저용량 코르티코스테로이드가 아닌, 현재의 면역억제 치료법. · 알라닌 트랜스아미나아제/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트랜스퍼라아제 (ALT/AST)가 정상 또는 공지된 간 질환의 상한의 1.5배보다 높음( >1.5 times) . · 크레아틴 수준 >1.3 mg/dL에 의해 정의된 신기능 부전. · 연구 개시 시, 10gm/dL 미만의 헤모글로빈 농도, 100k/mm3 미만의 혈소판 수 또는 1000/mm3 미만의 절대 호중구수. · HPV(Hepatitis B), HCV(Hepatitis C), 또는 HIV에 의한 감염의 혈청학적 증거. · 다른 임상 시험에 참여 중임. · 최근 6개월 내에 안구 또는 전신 투여에 의한 임상 시험에 참여함. · 기타 시력을 위협하는 안 질환(sight-threatening ocular disease). · 망막혈관 질환의 이력(약화된 혈액-망막 장벽). · 녹내장. · 포도막염 또는 기타 안구내 염증 질환. · 중대한 렌즈 불투명성 또는 기타 매체 불투명성(media opacity). · 최근 3개월 내 접안 렌즈(ocular lens) 제거. · 최근 3개월 내 연구 대상 눈에서 안과 수술 · 여성의 경우, 임신 또는 수유. · 조사자의 판단에 따라, 환자가 프로토콜을 준수하는 능력을 방해하고, 환자의 안전을 약화시키거나 또는 연구 결과의 해석을 방해할 기타 질환. |
포함 기준 | · 18세 초과의 성인 남성 또는 여성. · 진행된 SMD의 임상적 진단. · 알려진 경우, 환자의 유전형이 의료 기록에 기록될 것이고, 알려지지 않은 경우, 환자는 유전형 분석을 위한 시료의 제공을 허용할 것임. SMD와 일치하는 임상적 소견. · 이식을 받을 눈의 시력은 손 동작(hand movement)보다 더 좋지 않을 것임. · 이식물을 받지 않은 눈의 시력은 ETDRS(Early Treatment of Diabetic Retinopathy Study) 24개의 문자(20/320)보다 더 좋지 않을 것임. · 표준 시야 검사에서 주변 시야 수축(peripheral visual field constriction)이 기록됨. · SMD와 일치하는 전기생리학적 소견. · 유리체 절제술 및 망막하 주사를 받기에 의학적으로 적절함. · 필요한 경우, 전신 마취 또는 각성 진정(waking sedation)을 받기에 의학적으로 적절함. · 배아 줄기세포주의 이식을 위해 의학적으로 적절함: · 혈청 화학(Normal serum chemistry) (순차적 멀티-채널 분석기 20 [SMA-20]) 및 혈액학 (CBC(complete blood count), PT(prothrombin time), 및 aPTT(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스크리닝 테스트 정상. · 약물 남용에 대한 소변 스크린 음성. ·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BV(hepatitis B), HCV(hepatitis C) 혈청학적 검사 음성. · 악성 종양 이력 부재. · 최근 6개월 내 암 스크리닝 음성: · 완전한 이력 및 신체 검사; · 악성 병변에 대한 피부과학적 스크리닝 검사; · 대변 잠혈 반응 검사 음성 & 50세 이상인 경우, 최근 7년 내 대장내시경 음성; · 흉부 x-선(CXR) 음성; · CBC & 수기 감별(manual differential) 정상; · 요검사(U/A) 음성; · 갑상선 검사 정상; · 남성인 경우, 고환 검사 정상; 40세 이상인 경우, DRE(digital rectal examination) 및 PSA(prostate specific antigen) 정상; · 여성인 경우, 파파니콜로 도말표본에 의한 골반 검사 정상; 및 · 여성인 경우, 임상적 유방 검사 정상 및 40세 이상인 경우, 유방 조영상 음성. · 여성이고, 가임기인 경우, 연구 동안 2개의 유효한 형태의 피임법을 사용할 용의가 있음. · 남성인 경우, 연구 동안 배리어(barrier) 및 살정자성 피임약을 사용할 용이가 있음. · 모든 미래의 혈액, 혈액 성분 또는 조직 공여를 미룰 용의가 있음. · 사전 동의을 이해하고 서명할 용의가 있음 |
배제 기준 · 악성 종양의 이력. · 최근 12개월 내에 심근경색증의 이력. · 당뇨병의 이력. · 면역결핍증. · 간헐적, 또는 저용량 코르티코스테로이드가 아닌, 현재의 면역억제 치료법. · HPV(Hepatitis B), HCV(Hepatitis C), 또는 HIV에 의한 감염의 혈청학적 증거. · 다른 임상 시험에 참여 중임. · 최근 6개월 내에 안구 또는 전신 투여에 의한 임상 시험에 참여함. · 기타 시력을 위협하는 안 질환(sight-threatening ocular disease). · 만성 안과 약물 치료(chronic ocular medications). · 망막혈관 질환의 이력(약화된 혈액-망막 장벽). · 녹내장. · 포도막염 또는 기타 안구내 염증 질환. · 중대한 렌즈 불투명성 또는 기타 매체 불투명성. · 최근 3개월 내 접안 렌즈(ocular lens) 제거. · 여성의 경우, 임신 또는 수유. · 조사자의 판단에 따라, 환자가 프로토콜을 준수하는 능력을 방해하고, 환자의 안전을 약화시키거나 또는 연구 결과의 해석을 방해할 기타 질환. |
출발 세포/ ㎕ | 압출된 세포/ ㎕ | 로딩 및 캐뉼라 후 감소% |
1144 | 883 | 23 |
830 | 615 | 26 |
668 | 495 | 26 |
532 | 440 | 18 |
335 | 296 | 12 |
295 | 199 | 32 |
배양 4일 후 세포 수
(세포는 웰당 10,000개의 세포로 접종됨) |
|
대조군 세포 | 20533 +/- 3085 (N=3) |
Synergetics 압출 | 21047 +/- 1702 (N=3) |
MedOne 압출 | 24460 +/- 5207 (N=3) |
MedOne 캐뉼라 | |||
로딩 밀도 생 세포/㎕ |
표적 밀도 생 세포/㎕ |
전달된 평균 밀도 생 세포/㎕ |
퍼센트 생존력 |
444 | 333 | 336 +/- 40 (N=6) | 95.2 +/- 3.2 (N=5) |
1776 | 1333 | 1443 +/- 187 (N=3) | 94.3 +/- 5.1 (N=3) |
Synergetics 캐뉼라 | |||
로딩 밀도 생 세포/㎕ |
표적 밀도 생 세포/㎕ |
전달된 평균 밀도 생 세포/㎕ |
퍼센트 생존력 |
444 | 333 | 232 +/- 238 (N=3) | 89.0 +/- 9.6 (N=3) |
1776 | 1333 | 1296 (N=1) | 89 (N=1) |
배양 3일 후 세포 수
(세포는 웰당 40,000개의 세포로 접종됨) |
|
대조군 세포 | 86117 +/ 3301 (N=3) |
Synergetics 압출 | 98300 +/- 4554 (N=5) |
MedOne 압출 | 82960 +/- 9368 (N=3) |
로딩 밀도 생 세포/㎕ |
표적 밀도 생 세포/㎕ |
주사 부피 | 용량 생 세포 |
444 | 333 | 150 ㎕ | 50,000 |
888 | 666 | 150 ㎕ | 100,000 |
1333 | 999 | 150 ㎕ | 150,000 |
1776 | 1333 | 150 ㎕ | 200,000 |
계대(Passage) 1 마커 | 계대 2 마커 | ||||||
로트 | ZO-1 | 베스트로핀 | PAX6 및/또는 베스트로핀 | ZO-1 | 베스트로핀 | PAX6 및/또는 베스트로핀 | |
B1A | 100% | 81% | 100% | 100% | 81% | 100% | |
B2A | 100% | 90% | 100% | 100% | 82% | 100% | |
B2B | 100% | 86% | 100% | 100% | 89% | 100% | |
B3A | 100% | 98% | 100% | 100% | 81% | 100% | |
B3B | 100% | 88% | 100% | 100% | 99% | 100% | |
사양 | >/=95% | >/=70% | >/=95% | >/=95% | >/=70% | >/=95% |
J | 계대 2 (log 상향 조절) | 계대 2 (하향-조절) | ||||||
로트 | 베스트로핀 | PAX6 | MITF | RPE-65 | NANOG | OCT-4 | SOX2 | |
B1A | 3.4 | 1.9 | 2.06 | 3.02 | -2.78 | -3.29 | -2.68 | |
B2A | 4.2 | 1.79 | 2.5 | 1.6 | -2.53 | -2.89 | -2.72 | |
B2B | 3.5 | 2.33 | 2.82 | 1.54 | -2.08 | -3.24 | -1.86 | |
B3A | 3.39 | 2.34 | 2.77 | 1.55 | -2.54 | -2.89 | -1.85 | |
B3B | 3.73 | 1.96 | 2.48 | 3.25 | -2.76 | -3.33 | -4.01 | |
사양 | >1 | >1 | >1 | >1 | <-1.95 | <-2.13 | <-0.63 |
MDBK 배지 | EB-DM 및 RPE-GM/MM | |
4 ℃ | 8% | 18% |
37 ℃ | 64% | 77% |
테스트 설명 | 방법 | 사양( Specification ) | 결과 (6 mo .) | 결과 (12 mo .) |
핵형 | G-밴딩 | 정상 46 XX (해동, 제제화, 및 배양 후) | 통과 | 통과 |
FISH | FISH | 정상 FISH 신호 (12 및 17) | 통과 | 통과 |
효능 | 형광 입자를 이용한 식세포 작용 분석 | RPE 세포에 의한 형광 입자의 내재화가 FACS 분석에 의해 검출되고, 37℃에서 입자와 함께 배양된 세포의 경우 형광 피크의 이동이 있음 (해동, 제제화, 및 배양 후) | 통과 | 통과 |
세포 수 | 트리판 블루 배제 | 회수(recovery) 보고 (해동 및 제제화 후) | 32.6% | 29% |
생존력 | 트리판 블루 배제 | 70% 이상 (해동 및 제제화 후) | 95% | 97% |
무균성 | 침지(Immersion) 방법 (USP/21 CFR 610.12) | 음성 (해동된 바이알) | 음성 | 음성 |
형태 | 형태학적 평가 | 인정가능한 자갈 형태, 입방형(cubiodal) 세포 (해동, 제제화, 및 배양 후) | 통과 | 통과 |
순도 | RPE 마커의 면역 염색 | 95% 이상이 베스트로핀 및/또는 Pax6에 대해 양성 95% 이상이 ZO-1에 대해 양성 (해동, 제제화, 및 배양 후) |
97% 베스트로핀+ 100% Pax6+ 100% ZO-1+ |
96% 베스트로핀+ 100% Pax6+ 100% ZO-1+ |
0-시간 생존력 (%) | 4-시간 생존력 (%) | |
로트 A (N=3) | 82.7 ± 6.7 | 82.3 ± 1.5 |
로트 B (N=3) | 84.3 ± 1.5 | 85.3 ± 4.1 |
저 용량 (444개 생 세포/㎕로 제제화됨: 표적 333개 생 세포/㎕) | ||
제제화 후 경과 시간(분) |
전달된 세포 밀도
(생 세포/㎕) |
% 생존력 |
22 | 331 | 99 |
85 | 346 | 97 |
91 | 374 | 91 |
187 | 363 | ND |
193 | 339 | 93 |
207 | 260 | 96 |
평균 336 +/- 40 (N=6) | ||
중간 용량 (1561개 생 세포/㎕로 제제화됨: 표적 1172개 생 세포/㎕) | ||
제제화 후 경과 시간(분) |
전달된 세포 밀도
(생 세포/㎕) |
% 생존력 |
248 | 1178 | 90 |
고 용량 (1776개 생 세포/㎕로 제제화됨: 표적 1333개 생 세포/㎕) | ||
제제화 후 경과 시간(분) |
전달된 세포 밀도
(생 세포/㎕) |
% 생존력 |
48 | 1308 | 100 |
176 | 1648 | 93 |
293 | 1343 | 90 |
평균 1433 +/- 187 (N=3) |
실험 # 1 | ||
생 세포/㎕ | 생존력 | |
0 시간 | 2590 +/- 332 | 86% |
4 시간 | 2850 +/- 148 | 79% |
6 시간 | 2875 +/- 145 | 89% |
실험 # 2 | ||
생 세포/㎕ | 생존력 | |
0 시간 | 1700 +/- 78 | 88% |
4 시간 | 1680 +/- 123 | 82% |
6 시간 | 1550 +/- 248 | 85% |
Claims (254)
- 복수 개의 망막 색소 상피(RPE) 세포,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복수 개의 RPE 세포의 평균 멜라닌 함량은 8 pg/세포 미만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는 현탁액, 겔, 콜로이드, 매트릭스, 기질(substrate), 스캐폴드(scaffold), 또는 이식물(graft)에 담긴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약 290 mOsm/kg 내지 약 320 mOsm/kg, 또는 약 300 mOsm/kg 내지 310 mOsm/kg 또는 약 305 mOsm/kg의 오스몰 농도(osmolality)를 갖는 멸균 용액을 포함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평형 염 용액(balanced salt solution)을 포함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평형 염 용액은 각 mL 당, 염화나트륨 7.14 mg, 염화칼륨 0.38 mg, 염화칼슘 이수화물 0.154 mg, 염화마그네슘 육수화물 0.2 mg, 제2인산나트륨(dibasic sodium phosphate) 0.42 mg, 중탄산나트륨 2.1 mg, 덱스트로오스 0.92 mg, 글루타티온 디술피드(glutathione disulfide)(산화 글루타티온) 0.184 mg, 및 (pH를 약 7.4까지 조정하기 위한) 물 중 염산 및/또는 수산화나트륨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성되거나, 또는 필수적으로 이들로 구성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부피는 약 100 ㎕ 내지 1000 ㎕이거나, 또는 약 150 ㎕ 이상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 1,000개 내지 lx109개의 생(viable) RPE 세포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 333개 생 RPE 세포/㎕ 내지 약 2,000개 생 RPE 세포/㎕, 약 444개 생 RPE 세포/㎕ 내지 약 1766개 생 RPE 세포/㎕, 약 333개 생 RPE 세포/㎕, 약 444개 생 RPE 세포/㎕, 약 666개 생 RPE 세포/㎕, 약 888개 생 RPE 세포/㎕, 약 999개 생 RPE 세포/㎕, 또는 약 1,333개 생 RPE 세포/㎕을 포함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 중 RPE 세포의 농도는 충분히 높아서, 상기 RPE 세포의 약 30% 이하가 60분 내에 생존력을 상실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RPE 세포의 약 10% 이하가 4시간 내에 생존력을 상실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의 농도는 약 1,000개 세포/㎕ 이상, 약 2,000개 세포/㎕ 이상, 약 1,000-10,000개 세포/㎕, 또는 약 2,000-5,000개 세포/㎕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 25%, 20%, 15%, 10%, 5%, 1%, 0.5%, 0.1%, 0.01%, 0.001%, 또는 0.0001% 미만의 RPE 세포가 아닌 세포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의 평균 멜라닌 함량은 8 pg/세포 미만, 7 pg/세포 미만, 6 pg/세포 미만, 5 pg/세포 미만, 4 pg/세포 미만, 3 pg/세포 미만, 2 pg/세포 미만, 및 0.1 pg/세포 이상, 및 선택적으로 0.5 pg/세포 또는 1 pg/세포 이상; 0.1-8 pg/세포, 0.1-7 pg/세포, 0.1-6 pg/세포, 0.1-5 pg/세포, 0.1-4 pg/세포, 0.1-3 pg/세포, 0.1-2 pg/세포, 0.1-1 pg/세포, 1-7 pg/세포, 0.5-6 pg/세포, 또는 1-5 pg/세포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 중 세포의 50% 이상, 60% 이상, 70% 이상, 또는 80% 이상은 베스트로핀(bestrophin)+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 중 세포의 80% 이상, 85% 이상, 90% 이상, 95% 이상, 또는 99% 이상은 PAX6+ 및/또는 MITF+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 중 세포의 80% 이상, 85% 이상, 90% 이상, 95% 이상, 또는 99% 이상은 PAX6+ 및/또는 베스트로핀+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 중 세포의 80% 이상, 85% 이상, 90% 이상, 95% 이상, 또는 99% 이상은 ZO-1+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 중 세포의 50% 이상, 60% 이상, 또는 70% 이상은 PAX6+ 및 베스트로핀+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 중 세포의 90% 이상, 95% 이상, 또는 99% 이상은 PAX6+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에서 백만 개의 세포 당 약 1개 이하의 세포 및 선택적으로 9백만 개의 세포 당 2개 이하의 세포가 OCT-4와 알칼리 포스파타아제 (AP) 발현 모두에 대해 양성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니들 또는 주사 캐뉼라(injection cannula)는 상기 RPE 세포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니들 또는 주사 캐뉼라 내로의 로딩(loading)시 상기 RPE 세포의 농도는 약 400개 생 세포/㎕ 내지 약 2,000개 생 세포/㎕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20 또는 21에 있어서, 상기 니들 또는 주사 캐뉼라로부터 전달될 생 RPE 세포의 농도는 약 333개 생 세포/㎕ 내지 약 1,333개 생 세포/㎕ 또는 약 444개 생 세포/㎕ 내지 약 1,766 생 세포/㎕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20 내지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또는 주사 캐뉼라의 직경은 약 0.3 mm 내지 약 0.9 mm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20 내지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또는 주사 캐뉼라의 직경은 약 0.5 mm 내지 약 0.6 mm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20 내지 2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또는 주사 캐뉼라는 약 0.09 mm 내지 약 0.15 mm의 직경을 갖는 팁(tip)을 포함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20 내지 2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뉼라는 MEDONE POLYTIP® Cannula 25/38g (0.12mm (38g) x 5mm 팁을 갖는 0.50mm (25g) x 28mm 캐뉼라) 또는 Synergetics Angled 39g Injection Cannula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는 동결보존되고 해동된 RPE 세포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는 인간 세포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 전에, 그와 동시에, 그 후에, 및/또는 그와 함께, 필요로 하는 개체에게 투여되는 하나 이상의 혈관신생 억제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혈관신생 억제제는: 페가타닙 소디움(pegaptanib sodium); 아플리베르셉트(aflibercept); 베바시라닙(bevasiranib); 라파마이신(rapamycin); AGN-745; 비탈라닙(vitalanib); 파조파닙(pazopanib); NT-502; NT-503; PLG101; CPD791; 항-VEGF 항체 또는 그의 기능성 단편; 베바시주맙(bevacizumab); 라니비주맙(ranibizumab); 항-VEGFR1 항체; 항-VEGFR2 항체; 항-VEGFR3 항체; IMC-1121(B); IMC-18F1; VEGF의 단편 또는 도메인; VEGFR 수용체의 단편 또는 도메인; VEGF-Trap(Aflibercept); AZD-2171 (Cediranib);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TKI); VEGFR-1 및/또는 VEGFR-2를 억제하는 TKI; 소라페닙(sorafenib) (Nexavar); SU5416(Semaxinib); SU11248/수니티닙(Sunitinib)(Sutent); 반데타닙(Vandetanib)(ZD6474); Ly317615 (Enzastaurin); 항-알파5베타l 인테그린 항체 또는 그의 기능성 단편; 볼로시키맙(volociximab); 3-(2-{1-알킬-5-[(피리딘-2-일아미노)-메틸]-피롤리딘-3-일옥시}-아세틸아미노)-2-(알킬-아미노)-프로피온산; (S)-2-[(2,4,6-트리메틸페닐)술포닐]아미노-3-[7-벤질옥시카르보닐-8-(2-피리디닐아미노메틸)-1-옥사-2,7-디아자스피로-(4,4)-논-2-엔-3-일]카르보닐아미노 프로피온산; EMD478761; 또는 RC*D(ThioP)C*(Arg-Cys-Asp-Thioproline-Cys (아스테리스크는 시스테인 잔기를 통한 디술피드 결합에 의한 고리화를 나타냄); 2-메톡시에스트라디올; 알파V베타3 억제제; 안지오포이에틴 2; 혈관신생 억제 스테로이드(angiostatic steroid) 및 헤파린; 안지오스타틴(angiostatin); 안지오스타틴-관련 분자(angiostatin-related molecule); 항-카텝신 S 항체; 항트롬빈 III 단편; 칼레티쿨린(calreticulin); 칸스타틴(canstatin); 카르복시아미도트리아졸(carboxyamidotriazole); 연골-유래 혈관신생 억제 인자(Cartilage-Derived Angiogenesis Inhibitory Factor); CDAI; CM101; CXCL10; 엔도스타틴(endostatin); IFN-α; IFN-β; IFN-γ; IL-12; IL-18; IL-4; 리노미드(linomide); 마스핀(maspin);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 억제제; Meth-1; Meth-2; 오스테오폰틴(osteopontin); 페가프타닙(pegaptanib); 혈소판 인자-4(platelet factor-4); 프로락틴(prolactin); 프롤리페린-관련 단백질(proliferin-related protein); 프로트롬빈 (kringle domain-2); 레스틴(restin); 가용성 NRP-1; 가용성 VEGFR-1; SPARC; SU5416; 수라민(suramin); 테코갈란(tecogalan); 테트라티오몰리브데이트(tetrathiomolybdate); 탈리도마이드(thalidomide); 레날리도마이드(lenalidomide); 트롬보스폰딘(thrombospondin); TIMP; TNP-470; TSP-1; TSP-2; 바소스타틴(vasostatin); VEGFR 길항제; VEGI; 볼록시키맙(Volociximab) (M200); 피브로넥틴 단편 또는 도메인; 아나스텔린(anastellin); 렌바티닙(Lenvatinib)(E7080); 모테사닙(Motesanib)(AMG706); 파조파닙(Pazopanib) (Votrient); VEGF의 억제제; VEGFR1의 억제제; VEGFR2의 억제제; 알파5베타1 인테그린의 억제제; VEGF, VEGFR1, VEGFR2, VEGFR3, 및/또는 알파5베타1 인테그린의 펩티드, 펩티도미메틱(peptidomimetic), 소형 분자, 화합물(chemical) 및/또는 핵산 억제제; IL-6 길항제; 항-IL-6 항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선택적으로, 증식성(혈관신생) 안구 질환(proliferative (neovascular) eye disease)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는 유전적으로 조작된(genetically engineered)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는 다능성 세포로부터 제조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는 유전적으로 조작된 다능성 세포로부터 제조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31 또는 33에 있어서, 상기 유전적 조작은 상기 RPE 세포에 의한, 혈관신생을 억제하는 하나 이상의 인자의 제조를 가져오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혈관신생을 억제하는 하나 이상의 인자는: 피브로넥틴 단편 또는 도메인; 아나스텔린(anastellin); 특이적 항-VEGF 항체 또는 그의 기능성 단편 또는 도메인; 특이적 항-VEGF 수용체 항체 또는 그의 기능성 단편 또는 도메인; 특이적 항-알파5베타1 인테그린 항체 또는 그의 기능성 단편 또는 도메인; VEGF의 단편 또는 도메인; VEGFR 수용체의 단편 또는 도메인; VEGF-Trap;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인자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34 내지 3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혈관신생을 억제하는 인자의 제조는 RPE-특이적 프로모터에 의해 조절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36에 있어서, 상기 RPE-특이적 프로모터는 RPE65 프로모터, 카텝신 D 근위 프로모터(Cathepsin D Proximal Promoter), 및 VMD2 프로모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32 내지 3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능성 줄기 세포는 OCT-4, 알칼리 포스파타아제, Sox2, TDGF-1, SSEA-3, SSEA-4, TRA-1-60, 및/또는 TRA-1-80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마커에 대해 양성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32 내지 3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능성 세포는 배양물에서 착색 상피 세포(pigmented epithelial cell)가 나타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다층 집단(multilayer population) 또는 배상체(embryoid body)에서 배양된 인간 다능성 세포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39에 있어서, 상기 배양물에 착색 상피 세포가 나타나기에 충분한 시간은 약 1주 이상, 약 2주 이상, 약 3주 이상, 약 4주 이상, 약 5주 이상, 약 6주 이상, 또는 약 7주 이상, 약 8주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39 또는 40에 있어서, 상기 다층 집단 또는 배상체는 DMEM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배지는 EB-DM을 포함하거나, 필수적으로 그로 구성되거나 또는 그로 구성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39 내지 4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 상피 세포는 단리되고 배양되어, RPF 세포의 집단을 생성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43에 있어서, 상기 단리는 세포 또는 세포의 덩어리(clump)를 효소에 의해(enzymaticall), 화학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배양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및 착색 상피 세포, 또는 착색 상피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의 덩어리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39 내지 4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상체는 현탁 배양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39 내지 4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상체는 부착 배양물(adherent culture)로 배양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46에 있어서, 상기 부착 배양물로 배양된 배상체는 착색 상피 세포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외향 성장물(outgrowth)을 생성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32 내지 4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능성 줄기 세포는 감소된 HLA 항원 복잡성을 갖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32 내지 4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PE 형성 전에, 상기 다능성 세포는 매트릭스 상에서 배양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49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는 라미닌, 피브로넥틴, 비트로넥틴, 프로테오글리칸, 엔탁틴(entactin), 콜라겐, 콜라겐 I, 콜라겐 IV, 콜라겐 VIII, 헤파란 술페이트, 매트리겔(Matrigel)™((EHS(Engelbreth-Holm-Swarm) 마우스 육종 세포로부터의 가용성 제제(soluble preparation)), CellStart, 인간 기저막(basement membrane) 추출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49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는 매트리겔™((EHS(Engelbreth-Holm-Swarm) 마우스 육종 세포로부터의 가용성 제제)을 포함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질적인 하나 이상의 배아 줄기 세포 마커를 갖지 않는 세포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52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배아 줄기 세포 마커는 OCT-4, NANOG, Rex-1, 알칼리 포스파타아제, Sox2, TDGF-1, SSEA-3, SSEA-4, TRA-1-60, 및/또는 TRA-1-80을 포함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는 하나 이상의 RPE 세포 마커에 대해 양성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54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RPE 세포 마커는 RPE65, CRALBP, PEDF, 베스트로핀(Bestrophin), MITF, Otx2, PAX2, PAX6, ZO-1, 및/또는 티로시나아제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는 상기 평균 멜라닌 함량을 얻기 위해 충분한 시간 동안 RPE 세포를 휴지기 세포(quiescent cell)로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는 상기 RPE 세포의 50% 이상에서 베스트로핀 발현을 달성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RPE 세포를 휴지기 세포로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마우스 배아 피더 세포(mouse embryonic feeder cell, MEF) 및 인간 배아 줄기 세포(hES)가 실질적으로 없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는 하나 이상의 알파 인테그린 서브유닛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조건 하에서 상기 RPE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59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알파 인테그린 서브유닛은 하나 이상의 알파 인테그린 서브유닛 1, 알파 인테그린 서브유닛 2, 알파 인테그린 서브유닛 3, 알파 인테그린 서브유닛 4, 알파 인테그린 서브유닛 5, 알파 인테그린 서브유닛 6, 또는 알파 인테그린 서브유닛 9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59 또는 60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망간(manganese)으로의 노출, 항-CD29 항체로의 노출, 단일클론 항체 HUTS-21로의 노출, 단일클론 항체 mAb TS2/16으로의 노출, 및/또는 상기 RPE 세포를 약 4 계대(passage) 이상 동안 계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는 표 5에 기재된 기준 중 하나 이상을 충족시키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는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s)에 따라 제조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 전에, 그와 동시에, 그 후에, 및/또는 그와 함께, 필요로 하는 개체에게 투여되는 하나 이상의 면역 억제제 또는 면역 내성제(immune tolerizing agent)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64에 있어서, 상기 면역 억제제 또는 면역 내성제는 중간엽 줄기 세포, ALG(anti-lymphocyte globulin) 다중클론 항체, ATG(anti-thymocyte globulin) 다중클론 항체, 아자티오프린(azathioprine), 바실릭시맙(BASILIXIMAB)® (항-IL-2Rα 수용체 항체), 사이클로스포린(사이클로스포린 A), 다클리주맙(DACLIZUMAB)® (항-IL-2Rα 수용체 항체), 에베롤리무스(everolimus), 마이코페놀산(mycophenolic acid), 리툭시맙(RITUXIMAB)®(항-CD20 항체), 시롤리무스(sirolimus), 타크롤리무스(tacrolimus), 및 마이코페놀레이트 모페틸(mycophenolate mofetil)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의 약제학적 조성물 및 복수 개의 RPE 세포를 원하는 표적 농도까지 희석시키기에 충분한 부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를 포함하는 별개의 용기를 포함하는 키트.
- 청구항 66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의 부피는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의 전체 부피를 상기 복수 개의 RPE 세포 전체와 합치면 상기 원하는 표적 농도를 갖는 복수 개의 RPE 세포를 얻게 하는 것인 키트.
- 청구항 66 및 6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의 온도는 약 0 내지 10℃, 선택적으로 약 2 내지 8℃인 것인 키트.
- 청구항 66 내지 6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RPE 세포 또는 상기 복수 개의 RPE 세포를 포함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의 온도는 약 0 내지 10℃, 선택적으로 약 2 내지 8℃인 것인 키트.
- 청구항 66 내지 6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 전에, 그와 동시에, 그 후에, 및/또는 그와 함께, 필요로 하는 개체에게 투여되는 하나 이상의 면역 억제제 또는 면역 내성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키트.
- 청구항 70에 있어서, 상기 면역 억제제 또는 면역 내성제는 중간엽 줄기 세포, ALG(anti-lymphocyte globulin) 다중클론 항체, ATG(anti-thymocyte globulin) 다중클론 항체, 아자티오프린, 바실릭시맙(BASILIXIMAB) (항-IL-2Rα 수용체 항체), 사이클로스포린(사이클로스포린 A), 다클리주맙(DACLIZUMAB)®(항-IL-2Rα 수용체 항체), 에베롤리무스, 마이코페놀산, 리툭시맙(RITUXIMAB)®(항-CD20 항체), 시롤리무스, 타크롤리무스, 및 마이코페놀레이트 모페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키트.
- 청구항 66 내지 7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 전에, 그와 동시에, 그 후에, 및/또는 그와 함께, 필요로 하는 개체에게 투여되는 하나 이상의 혈관신생 억제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키트.
- 청구항 72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혈관신생 억제제는 페가타닙 소디움; 아플리베르셉트; 베바시라닙; 라파마이신; AGN-745; 비탈라닙; 파조파닙; NT-502; NT-503; PLG101; CPD791; 항-VEGF 항체 또는 그의 기능성 단편; 베바시주맙; 라니비주맙; 항-VEGFR1 항체; 항-VEGFR2 항체; 항-VEGFR3 항체; IMC-1121(B); IMC-18F1; VEGF의 단편 또는 도메인; VEGFR 수용체의 단편 또는 도메인; VEGF-Trap(Aflibercept); AZD-2171(Cediranib);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TKI); VEGFR-1 및/또는 VEGFR-2를 억제하는 TKI; 소라페닙(Nexavar); SU5416(Semaxinib); SU11248/수니티닙(Sutent); 반데타닙(ZD6474); Ly317615(Enzastaurin); 항-알파5베타l 인테그린 항체 또는 그의 기능성 단편; 볼로시키맙; 3-(2-{1-알킬-5-[(피리딘-2-일아미노)-메틸]-피롤리딘-3-일옥시}-아세틸아미노)-2-(알킬-아미노)-프로피온산; (S)-2-[(2,4,6-트리메틸페닐)술포닐]아미노-3-[7-벤질옥시카르보닐-8-(2-피리디닐아미노메틸)-1-옥사-2,7-디아자스피로-(4,4)-논-2-엔-3-일]카르보닐아미노 프로피온산; EMD478761; 또는 RC*D(ThioP)C*(Arg-Cys-Asp-Thioproline-Cys (아스테리스크는 시스테인 잔기를 통한 디술피드 결합에 의한 고리화를 나타냄); 2-메톡시에스트라디올; 알파V베타3 억제제; 안지오포이에틴 2; 혈관신생 억제 스테로이드 및 헤파린; 안지오스타틴; 안지오스타틴-관련 분자; 항-카텝신 S 항체; 항트롬빈 III 단편; 칼레티쿨린; 칸스타틴; 카르복시아미도트리아졸; 연골-유래 혈관신생 억제 인자; CDAI; CM101; CXCL10; 엔도스타틴; IFN-α; IFN-β; IFN-γ; IL-12; IL-18; IL-4; 리노미드; 마스핀;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 억제제; Meth-1; Meth-2; 오스테오폰틴; 페가프타닙; 혈소판 인자-4; 프로락틴; 프롤리페린-관련 단백질; 프로트롬빈(kringle domain-2); 레스틴; 가용성 NRP-1; 가용성 VEGFR-1; SPARC; SU5416; 수라민; 테코갈란; 테트라티오몰리브데이트; 탈리도마이드; 레날리도마이드; 트롬보스폰딘; TIMP; TNP-470; TSP-1; TSP-2; 바소스타틴; VEGFR 길항제; VEGI; 볼록시키맙(M200); 피브로넥틴 단편 또는 도메인; 아나스텔린; 렌바티닙(E7080); 모테사닙(AMG706); 파조파닙(Votrient); VEGF의 억제제; VEGFR1의 억제제; VEGFR2의 억제제; 알파5베타1 인테그린의 억제제; VEGF, VEGFR1, VEGFR2, VEGFR3, 및/또는 알파5베타1 인테그린의 펩티드, 펩티도미메틱, 소형 분자, 화합물 및/또는 핵산 억제제; IL-6 길항제; 항-IL-6 항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선택적으로, 증식성(혈관신생) 안구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키트.
- 동결시, 해동 후 회수된 RPE 세포가 약 60% 이상의 접종 효율(seeding frequency)를 갖게 하는 평균 성숙도 수준(maturity level)을 갖는 복수 개의 동결보존 망막 색소 상피(RPE) 세포를 포함하는 동결보존(cryopreserved) 조성물.
- 청구항 74에 있어서, 상기 접종 효율은 약 70% 이상, 약 80% 이상, 약 85% 이상, 약 90% 이상, 또는 약 95% 이상인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74 또는 75에 있어서, 상기 평균 성숙도 수준은 상기 복수 개의 동결보존 RPE 세포를 대표하는 세포 집단의 평균 멜라닌 함량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결정되는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74 내지 7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동결보존 RPE 세포의 평균 멜라닌 함량은 8 pg/세포 미만인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복수 개의 동결보존 망막 색소 상피(RPE) 세포를 포함하는 동결보존 조성물로서, 상기 복수 개의 동결보존 RPE 세포의 평균 멜라닌 함량은 8 pg/세포 미만인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74 내지 7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동결보존 배지(cryopreservation medium)에 담겨 있는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79에 있어서, 상기 동결보존 배지는 DMSO(디메틸 술폭시드), 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롤, 2-메틸-2,4-펜탄디올(MPD), 프로필렌 글리콜, 및 수크로오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79 내지 8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보존 배지는 약 5% 내지 약 50%의 DMSO 및 약 30% 내지 약 95%의 혈청을 포함하고, 상기 혈청은 선택적으로 우태혈청(FBS)인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79에 있어서, 상기 동결보존 배지는 약 90% FBS 및 약 10% DMSO를 포함하는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78 내지 8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해동 후 회수되는 RPE 세포는 약 60% 이상의 접종 효율을 갖는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83에 있어서, 상기 접종 효율은 약 70% 이상, 약 80% 이상, 약 85% 이상, 약 90% 이상, 또는 약 95% 이상인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74 내지 8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보존 조성물은 동결시 약 5,000개 내지 약 1x108개의 생 RPE 세포를 포함하는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74 내지 8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보존 조성물은 동결시 약 200,000개 내지 약 10,000,000개, 약 20,000개 내지 약 50,000,000개, 약 250,000개 내지 약 5,000,000개, 약 500,000개 내지 약 4,000,000개, 또는 약 1,000,000개 내지 약 4,000,000개의 생 RPE 세포를 포함하는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74 내지 8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결 후 약 3, 6, 9, 또는 12개월 이상 경과 시점에, 해동 후 회수된 RPE 세포는 약 60% 이상, 약 70% 이상, 약 80% 이상, 약 85% 이상, 약 90% 이상, 또는 약 95% 이상의 접종 효율을 갖는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74 내지 8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해동 후 살아있는 세포의 85% 이상은 해동 후 2 내지 8℃에서 최대 1시간, 최대 2시간, 최대 3시간, 최대 4시간, 최대 5시간, 또는 최대 6시간 동안 보관시 살아있는 상태로 유지되는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74 내지 8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보존 조성물은 약 25%, 20%, 15%, 10%, 5%, 1%, 0.5%, 0.1%, 0.01%, 0.001%, 또는 0.0001% 미만의 RPE 세포가 아닌 세포를 포함하는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74 내지 8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의 평균 멜라닌 함량은 8 pg/세포 미만, 7 pg/세포 미만, 6 pg/세포 미만, 5 pg/세포 미만, 4 pg/세포 미만, 3 pg/세포 미만, 2 pg/세포 미만, 및 0.1 pg/세포 이상, 및 선택적으로 0.5 pg/세포 또는 1 pg/세포 이상; 0.1-8 pg/세포, 0.1-7 pg/세포, 0.1-6 pg/세포, 0.1-5 pg/세포, 0.1-4 pg/세포, 0.1-3 pg/세포, 0.1-2 pg/세포, 0.1-1 pg/세포, 1-7 pg/세포, 0.5-6 pg/세포, 또는 1-5 pg/세포인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74 내지 9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보존 조성물 중 세포의 50% 이상, 60% 이상, 70% 이상, 또는 80% 이상은 베스트로핀+인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74 내지 9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보존 조성물 중 세포의 80% 이상, 85% 이상, 90% 이상, 95% 이상, 또는 99% 이상은 PAX6+ 및/또는 MITF+인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74 내지 9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보존 조성물 중 세포의 80% 이상, 85% 이상, 90% 이상, 95% 이상, 또는 99% 이상은 PAX6+ 및/또는 베스트로핀+인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74 내지 9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보존 조성물 중 세포의 80% 이상, 85% 이상, 90% 이상, 95% 이상, 또는 99% 이상은 ZO-1+인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74 내지 9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보존 조성물 중 세포의 50% 이상, 60% 이상, 또는 70% 이상은 PAX6+ 및 베스트로핀+인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74 내지 9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보존 조성물 중 세포의 90% 이상, 95% 이상, 또는 99% 이상은 PAX6+인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74 내지 9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보존 조성물 중 백만 개의 세포당 약 1개 이하의 세포 및 선택적으로 9백만 개의 세포당 2개 이하의 세포가 OCT-4 및 알칼리 포스파타아제(AP) 발현 모두에 대해 양성인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74 내지 9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 전에, 그와 동시에, 그 후에, 및/또는 그와 함께, 필요로 하는 개체에게 투여되는 하나 이상의 혈관신생 억제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98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혈관신생 억제제는: 상기 하나 이상의 혈관신생 억제제는 페가타닙 소디움; 아플리베르셉트; 베바시라닙; 라파마이신; AGN-745; 비탈라닙; 파조파닙; NT-502; NT-503; PLG101; CPD791; 항-VEGF 항체 또는 그의 기능성 단편; 베바시주맙; 라니비주맙; 항-VEGFR1 항체; 항-VEGFR2 항체; 항-VEGFR3 항체; IMC-1121(B); IMC-18F1; VEGF의 단편 또는 도메인; VEGFR 수용체의 단편 또는 도메인; VEGF-Trap(Aflibercept); AZD-2171(Cediranib);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TKI); VEGFR-1 및/또는 VEGFR-2를 억제하는 TKI; 소라페닙(Nexavar); SU5416(Semaxinib); SU11248/수니티닙(Sutent); 반데타닙(ZD6474); Ly317615(Enzastaurin); 항-알파5베타l 인테그린 항체 또는 그의 기능성 단편; 볼로시키맙; 3-(2-{1-알킬-5-[(피리딘-2-일아미노)-메틸]-피롤리딘-3-일옥시}-아세틸아미노)-2-(알킬-아미노)-프로피온산; (S)-2-[(2,4,6-트리메틸페닐)술포닐]아미노-3-[7-벤질옥시카르보닐-8-(2-피리디닐아미노메틸)-1-옥사-2,7-디아자스피로-(4,4)-논-2-엔-3-일]카르보닐아미노 프로피온산; EMD478761; 또는 RC*D(ThioP)C*(Arg-Cys-Asp-Thioproline-Cys (아스테리스크는 시스테인 잔기를 통한 디술피드 결합에 의한 고리화를 나타냄); 2-메톡시에스트라디올; 알파V베타3 억제제; 안지오포이에틴 2; 혈관신생 억제 스테로이드 및 헤파린; 안지오스타틴; 안지오스타틴-관련 분자; 항-카텝신 S 항체; 항트롬빈 III 단편; 칼레티쿨린; 칸스타틴; 카르복시아미도트리아졸; 연골-유래 혈관신생 억제 인자; CDAI; CM101; CXCL10; 엔도스타틴; IFN-α; IFN-β; IFN-γ; IL-12; IL-18; IL-4; 리노미드; 마스핀;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 억제제; Meth-1; Meth-2; 오스테오폰틴; 페가프타닙; 혈소판 인자-4; 프로락틴; 프롤리페린-관련 단백질; 프로트롬빈(kringle domain-2); 레스틴; 가용성 NRP-1; 가용성 VEGFR-1; SPARC; SU5416; 수라민; 테코갈란; 테트라티오몰리브데이트; 탈리도마이드; 레날리도마이드; 트롬보스폰딘; TIMP; TNP-470; TSP-1; TSP-2; 바소스타틴; VEGFR 길항제; VEGI; 볼록시키맙(M200); 피브로넥틴 단편 또는 도메인; 아나스텔린; 렌바티닙(E7080); 모테사닙(AMG706); 파조파닙(Votrient); VEGF의 억제제; VEGFR1의 억제제; VEGFR2의 억제제; 알파5베타1 인테그린의 억제제; VEGF, VEGFR1, VEGFR2, VEGFR3, 및/또는 알파5베타1 인테그린의 펩티드, 펩티도미메틱, 소형 분자, 화합물 및/또는 핵산 억제제; IL-6 길항제; 항-IL-6 항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선택적으로, 증식성(혈관신생) 안구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74 내지 9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는 유전적으로 조작된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74 내지 10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는 다능성 세포로부터 제조되는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74 내지 10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는 유전적으로 조작된 다능성 세포로부터 제조되는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101 또는 102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에 의한, 혈관신생을 억제하는 하나 이상의 인자의 제조를 가져오는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103에 있어서, 상기 혈관신생을 억제하는 하나 이상의 인자는: 피브로넥틴 단편 또는 도메인; 아나스텔린; 특이적 항-VEGF 항체 또는 그의 기능성 단편 또는 도메인; 특이적 항-VEGF 수용체 항체 또는 그의 기능성 단편 또는 도메인; 특이적 항-알파5베타1 인테그린 항체 또는 그의 기능성 단편 또는 도메인; VEGF의 단편 또는 도메인; VEGFR 수용체의 단편 또는 도메인; VEGF-Trap;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인자를 포함하는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103 내지 10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혈관신생을 억제하는 인자의 제조는 RPE-특이적 프로모터에 의해 조절되는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105에 있어서, 상기 RPE-특이적 프로모터는 RPE65 프로모터, 카텝신 D 근위 프로모터, 및 VMD2 프로모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101 내지 10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능성 줄기 세포는 OCT-4, 알칼리 포스파타아제, Sox2, TDGF-1, SSEA-3, SSEA-4, TRA-1-60, 및/또는 TRA-1-80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마커에 대해 양성인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101 내지 10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능성 세포는 배양물에서 착색 상피 세포가 나타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다층 집단 또는 배상체에서 배양된 인간 다능성 세포인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108에 있어서, 상기 배양물에 착색 상피 세포가 나타나기에 충분한 시간은 약 1주 이상, 약 2주 이상, 약 3주 이상, 약 4주 이상, 약 5주 이상, 약 6주 이상, 또는 약 7주 이상, 약 8주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108 또는 109에 있어서, 상기 다층 집단 또는 배상체는 DMEM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되는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110에 있어서, 상기 배지는 EB-DM을 포함하거나, 필수적으로 그로 구성되거나 또는 그로 구성되는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108 내지 1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 상피 세포는 단리되고 배양되어, RPE 세포의 집단을 생성하는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112에 있어서, 상기 단리는 세포 또는 세포의 덩어리를 효소에 의해, 화학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배양물로부터 단리하는 단계, 및 착색 상피 세포, 또는 착색 상피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의 덩어리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108 내지 1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상체는 현탁 배양되는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108 내지 1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상체는 부착 배양물로 배양되는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115에 있어서, 상기 부착 배양물로 배양된 배상체는 착색 상피 세포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외향 성장물을 생성하는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108 내지 1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능성 줄기 세포는 감소된 HLA 항원 복잡성(antigen complexity)을 갖는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108 내지 1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PE 형성 전에, 상기 다능성 세포는 매트릭스 상에서 배양되는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118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는 라미닌, 피브로넥틴, 비트로넥틴, 프로테오글리칸, 엔탁틴, 콜라겐, 콜라겐 I, 콜라겐 IV, 콜라겐 VIII, 헤파란 술페이트, 매트리겔(Matrigel)™((EHS(Engelbreth-Holm-Swarm) 마우스 육종 세포로부터의 가용성 제제), CellStart, 인간 기저막 추출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118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는 매트리겔™((EHS(Engelbreth-Holm-Swarm) 마우스 육종 세포로부터의 가용성 제제)을 포함하는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74 내지 12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배아 줄기 세포 마커의 실질적인 발현을 갖지 않는 세포를 포함하는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12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배아 줄기 세포 마커는 OCT-4, NANOG, Rex-1, 알칼리 포스파타아제, Sox2, TDGF-1, SSEA-3, SSEA-4, TRA-1-60, 및/또는 TRA-1-80을 포함하는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74 내지 1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는 하나 이상의 RPE 세포 마커에 대해 양성인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123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RPE 세포 마커는 RPE65, CRALBP, PEDF, 베스트로핀, MITF, Otx2, PAX2, PAX6, ZO-1, 및/또는 티로시나아제를 포함하는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74 내지 12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는 상기 평균 멜라닌 함량을 얻기 위해 충분한 시간 동안 RPE 세포를 휴지기 세포로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74 내지 12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는 상기 RPE 세포의 50% 이상에서 베스트로핀 발현을 달성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RPE 세포를 휴지기 세포로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74 내지 12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마우스 배아 피더 세포(mouse embryonic feeder cell, MEF) 및 인간 배아 줄기 세포(hES)가 실질적으로 없는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74 내지 12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는 하나 이상의 알파 인테그린 서브유닛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조건 하에서 상기 RPE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128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알파 인테그린 서브유닛은 하나 이상의 알파 인테그린 서브유닛 1, 알파 인테그린 서브유닛 2, 알파 인테그린 서브유닛 3, 알파 인테그린 서브유닛 4, 알파 인테그린 서브유닛 5, 알파 인테그린 서브유닛 6, 또는 알파 인테그린 서브유닛 9를 포함하는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128 또는 129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망간으로의 노출, 항-CD29 항체로의 노출, 단일클론 항체 HUTS-21로의 노출, 단일클론 항체 mAb TS2/16으로의 노출, 및/또는 상기 RPE 세포를 약 4 계대 이상 동안 계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74 내지 13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는 표 5에 기재된 기준 중 하나 이상을 충족시키는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74 내지 13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는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s)에 따라 제조되는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74 내지 13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 전에, 그와 동시에, 그 후에, 및/또는 그와 함께, 필요로 하는 개체에게 투여되는 하나 이상의 면역 억제제 또는 면역 내성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133에 있어서, 상기 면역 억제제 또는 면역 내성제는 중간엽 줄기 세포, ALG(anti-lymphocyte globulin) 다중클론 항체, ATG(anti-thymocyte globulin) 다중클론 항체, 아자티오프린, 바실릭시맙® (항-IL-2Rα 수용체 항체), 사이클로스포린(사이클로스포린 A), 다클리주맙® (항-IL-2Rα 수용체 항체), 에베롤리무스, 마이코페놀산, 리툭시맙®(항-CD20 항체), 시롤리무스, 타크롤리무스, 및 마이코페놀레이트 모페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동결보존 조성물.
- 청구항 74 내지 134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 및 복수 개의 RPE 세포를 원하는 표적 농도까지 희석시키기에 충분한 부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를 담은 별개의 용기를 포함하는 키트.
- 청구항 135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의 부피는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의 전체 부피를 상기 복수 개의 RPE 세포 전체와 합치면 상기 원하는 표적 농도를 갖는 복수 개의 RPE 세포를 얻게 하는 것인 키트.
- 청구항 135 내지 13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 전에, 그와 동시에, 그 후에, 및/또는 그와 함께, 필요로 하는 개체에게 투여되는 하나 이상의 면역 억제제 또는 면역 내성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키트.
- 청구항 137에 있어서, 상기 면역 억제제 또는 면역 내성제는 중간엽 줄기 세포, ALG(anti-lymphocyte globulin) 다중클론 항체, ATG(anti-thymocyte globulin) 다중클론 항체, 아자티오프린, 바실릭시맙® (항-IL-2Rα 수용체 항체), 사이클로스포린(사이클로스포린 A), 다클리주맙® (항-IL-2Rα 수용체 항체), 에베롤리무스, 마이코페놀산, 리툭시맙®(항-CD20 항체), 시롤리무스, 타크롤리무스, 및 마이코페몰레이트 모페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키트.
- 청구항 135 내지 13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 전에, 그와 동시에, 그 후에, 및/또는 그와 함께, 필요로 하는 개체에게 투여되는 하나 이상의 혈관신생 억제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키트.
- 청구항 139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혈관신생 억제제는: 상기 하나 이상의 혈관신생 억제제는 페가타닙 소디움; 아플리베르셉트; 베바시라닙; 라파마이신; AGN-745; 비탈라닙; 파조파닙; NT-502; NT-503; PLG101; CPD791; 항-VEGF 항체 또는 그의 기능성 단편; 베바시주맙; 라니비주맙; 항-VEGFR1 항체; 항-VEGFR2 항체; 항-VEGFR3 항체; IMC-1121(B); IMC-18F1; VEGF의 단편 또는 도메인; VEGFR 수용체의 단편 또는 도메인; VEGF-Trap(Aflibercept); AZD-2171(Cediranib);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TKI); VEGFR-1 및/또는 VEGFR-2를 억제하는 TKI; 소라페닙(Nexavar); SU5416(Semaxinib); SU11248/수니티닙(Sutent); 반데타닙(ZD6474); Ly317615(Enzastaurin); 항-알파5베타l 인테그린 항체 또는 그의 기능성 단편; 볼로시키맙; 3-(2-{1-알킬-5-[(피리딘-2-일아미노)-메틸]-피롤리딘-3-일옥시}-아세틸아미노)-2-(알킬-아미노)-프로피온산; (S)-2-[(2,4,6-트리메틸페닐)술포닐]아미노-3-[7-벤질옥시카르보닐-8-(2-피리디닐아미노메틸)-1-옥사-2,7-디아자스피로-(4,4)-논-2-엔-3-일]카르보닐아미노 프로피온산; EMD478761; 또는 RC*D(ThioP)C*(Arg-Cys-Asp-Thioproline-Cys (아스테리스크는 시스테인 잔기를 통한 디술피드 결합에 의한 고리화를 나타냄); 2-메톡시에스트라디올; 알파V베타3 억제제; 안지오포이에틴 2; 혈관신생 억제 스테로이드 및 헤파린; 안지오스타틴; 안지오스타틴-관련 분자; 항-카텝신 S 항체; 항트롬빈 III 단편; 칼레티쿨린; 칸스타틴; 카르복시아미도트리아졸; 연골-유래 혈관신생 억제 인자; CDAI; CM101; CXCL10; 엔도스타틴; IFN-α; IFN-β; IFN-γ; IL-12; IL-18; IL-4; 리노미드; 마스핀;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 억제제; Meth-1; Meth-2; 오스테오폰틴; 페가프타닙; 혈소판 인자-4; 프로락틴; 프롤리페린-관련 단백질; 프로트롬빈(kringle domain-2); 레스틴; 가용성 NRP-1; 가용성 VEGFR-1; SPARC; SU5416; 수라민; 테코갈란; 테트라티오몰리브데이트; 탈리도마이드; 레날리도마이드; 트롬보스폰딘; TIMP; TNP-470; TSP-1; TSP-2; 바소스타틴; VEGFR 길항제; VEGI; 볼록시키맙(M200); 피브로넥틴 단편 또는 도메인; 아나스텔린; 렌바티닙(E7080); 모테사닙(AMG706); 파조파닙(Votrient); VEGF의 억제제; VEGFR1의 억제제; VEGFR2의 억제제; 알파5베타1 인테그린의 억제제; VEGF, VEGFR1, VEGFR2, VEGFR3, 및/또는 알파5베타1 인테그린의 펩티드, 펩티도미메틱, 소형 분자, 화합물 및/또는 핵산 억제제; IL-6 길항제; 항-IL-6 항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선택적으로, 증식성(혈관신생) 안구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키트.
- 하기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제에서 사용하기 위한 망막 색소 상피(RPE) 세포를 제조하는 방법:
(a) RPE 세포를 부착 조건(adherent condition) 하에 배양하여, 자갈(cobblestone) 형태를 갖는 착색 RPE 세포의 실질적으로 단층 배양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배양물로부터 동결보존 또는 약제학적 제제를 위한 RPE 세포를 선택하고 단리하는 단계로서, 단리 시, 착색 RPE 세포의 단리된 집단은 8 pg/세포 미만의 평균 멜라닌 함량을 갖는 것인 단계. - 청구항 141에 있어서, 106개 이상의 RPE 세포가 동결보존 또는 약제학적 제제를 위해 단리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41 또는 142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는 다능성 줄기 세포로부터 제조되고, 상기 다능성 줄기 세포는 선택적으로 인간 배아 줄기 세포 또는 인간 iPS 세포인 것인 방법.
- 청구항 141 내지 14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균 멜라닌 함량은 가장 많이 착색된 단리 RPE 세포의 5 퍼센트와 가장 적게 착색된 단리 RPE 세포의 5 퍼센트를 제외한 세포 집단에 대해 결정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41 내지 15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 멜라닌 함량은 8 pg/세포 미만, 7 pg/세포 미만, 6 pg/세포 미만, 5 pg/세포 미만, 4 pg/세포 미만, 3 pg/세포 미만, 2 pg/세포 미만, 및 0.1 pg/세포 이상, 및 선택적으로 0.5 pg/세포 또는 1 pg/세포 이상; 0.1-8 pg/세포, 0.1-7 pg/세포, 0.1-6 pg/세포, 0.1-5 pg/세포, 0.1-4 pg/세포, 0.1-3 pg/세포, 0.1-2 pg/세포, 0.1-1 pg/세포, 1-7 pg/세포, 0.5-6 pg/세포, 또는 1-5 pg/세포인 것인 방법.
- 하기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제에서 사용하기 위한 망막 색소 상피(RPE) 세포를 제조하는 방법:
(a) RPE 세포를 부착 조건 하에 배양하여, 자갈 형태를 갖는 착색 RPE 세포의 실질적으로 단층 배양물을 형성하는 단계;
(b) RPE 세포가 8 pg/세포보다 높은 평균 멜라닌 함량에 도달하기 전에 1회 이상 RPE 세포를 계대(passage)시키는 단계; 및
(c) 선택적으로, 1회 이상의 계대 후에, 동결보존 또는 약제학적 제제를 위해 RPE 세포를 수집(harvest)하는 단계로서, 수집 시, 상기 RPE 세포는 8 pg/세포 미만의 평균 멜라닌 함량을 갖는 것인 단계. - 하기를 포함하는, 망막 색소 상피(RPE) 세포를 제조하는 방법:
(a) 다능성 줄기 세포를 배양하여 배상체(EB)를 형성하거나, 또는 다능성 줄기 세포를 배양하여 다층 집단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다능성 줄기 세포는 선택적으로 인간 배아 줄기 세포이거나 인간 iPS 세포인 것인 단계;
(b) 세포질에 분산된 갈색 색소를 포함하는 착색 세포의 출현을 위한 충분한 시간 동안, 세포의 다층 집단 또는 EB를 배양하는 단계; 및
(c) (b)의 착색 세포를 단리하고 배양하여 8 pg/세포 미만의 평균 착색(pigmentation) 수준을 갖는 RPE 세포를 포함하는 배양된 집단을 생성하는 단계. - 청구항 147에 있어서, 단계 (b)는 상기 배상체를 배양하여 부착성 배양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47에 있어서, 단계 (a)는 다능성 세포의 배양물이 더 증식하게 하여, 그에 의해 다층 집단을 형성할 수 있게 하는 것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47 내지 14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a)는 상기 다능성 세포를 저-부착성 기질(low-adherent substrate) 상에서 배양하거나 또는 상기 다능성 세포를 현적(hanging drop) 방법을 이용하여 배양하여, 상기 다능성 세포로부터 배상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47 내지 15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능성 세포는 유도 다능성 줄기(iPS) 세포, 배아 줄기(ES) 세포, 성체 줄기 세포, 조혈 줄기 세포, 태아 줄기 세포, 중간엽 줄기 세포, 산후(postpartum) 줄기 세포, 다분화능(multipotent) 줄기 세포, 또는 배아 생식 세포(embryonic germ cell)인 것인 방법.
- 청구항 147 내지 15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능성 줄기 세포는 인간 ES 세포이거나 또는 인간 iPS 세포인 것인 방법.
- 청구항 147 내지 15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능성 줄기 세포는 유전적으로 조작된 것인 방법.
- 청구항 153에 있어서, 상기 유전적 조작은 상기 RPE 세포에 의한, 혈관신생을 억제하는 하나 이상의 인자의 제조를 가져오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54에 있어서, 상기 혈관신생을 억제하는 하나 이상의 인자는: 피브로넥틴 단편 또는 도메인; 아나스텔린; 특이적 항-VEGF 항체 또는 그의 기능성 단편 또는 도메인; 특이적 항-VEGF 수용체 항체 또는 그의 기능성 단편 또는 도메인; 특이적 항-알파5베타1 인테그린 항체 또는 그의 기능성 단편 또는 도메인; VEGF의 단편 또는 도메인; VEGFR 수용체의 단편 또는 도메인; VEGF-Trap;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인자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47 내지 15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 배상체가 형성되고 및/또는 단계 (c)에서 착색 세포가 배양되는 배양 배지는 DMEM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47 내지 15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배상체가 형성되고 및/또는 단계 (c)에서 착색 세포가 배양되는 배지는 EB-DM을 포함하거나, 그로 필수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그로 구성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47 내지 15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c)에서 상기 착색 세포가 배양되는 배지는 EB-DM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47 내지 15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c)에서 상기 착색 상피 세포가 배양되는 배지는 RPE-GM/MM을 포함하거나, 그로 필수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그로 구성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47 내지 15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b)에서 배양의 지속 시간은 약 1, 2, 3, 4, 5, 6, 7, 또는 8주 이상이거나, 또는 약 1, 2, 3, 4, 5, 또는 6개월 이상인 것인 방법.
- 청구항 147 내지 16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a), (b), 또는 (c)에서 사용되는 배양 배지는 EB-DM, RPE-GM/MM, MDBK-GM, OptiPro SFM, VP-SFM, EGM-2, 또는 MDBK-MM인 것인 방법.
- 청구항 147 내지 16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c)는 배양물을 트립신, 콜라게나아제, 디스파아제(dispase), 파파인, 콜라게나아제와 디스파아제의 혼합물, 및 콜라게나아제와 트립신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효소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배양물의 기계적 파쇄(mechanical disruption) 또는 단리를 포함하거나, 또는 배양물을 EDTA 또는 EGTA와 접촉시켜, 상기 착색 세포의 배양 기질(culture substrate)로의 부착을 파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47 내지 16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능성 줄기 세포는 감소된 HLA 항원 복잡성을 갖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47 내지 16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는 하나 이상의 배아 줄기 세포 마커의 실질적인 발현이 없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64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배아 줄기 세포 마커는 OCT-4, NANOG, Rex-1, 알칼리 포스파타아제, Sox2, TDGF-1, DPPA-2, 및/또는 DPPA-4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47 내지 16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는 하나 이상의 RPE 세포 마커에 대해 양성인 것인 방법.
- 청구항 166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RPE 세포 마커는 RPE65, CRALBP, PEDF, 베스트로핀, MITF, Otx2, PAX2, PAX6, 또는 티로시나아제이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PAX6 및 베스트로핀인 것인 방법.
- 청구항 147 내지 16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를 알파 인테그린 서브유닛 발현을 증가시키는 조건 하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68에 있어서, 상기 알파 인테그린 서브유닛은 1-6 또는 9인 것인 방법.
- 청구항 168 또는 169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망간으로의 노출, CD29에 대한 항체로의 노출, 또는 상기 RPE 세포를 약 4 계대 이상 계대배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70에 있어서, 상기 CD29에 대한 항체는 단일클론 항체이고, 선택적으로 HUTS-21 또는 TS2/16인 것인 방법.
- 청구항 147 내지 17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PE 세포의 강화 배양물(enriched culture)을 증식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배양 배지는 미분화 다능성 줄기 세포의 성장 또는 유지를 지지하지 않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47 내지 17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는 표 5에 기재된 기준 중 하나 이상을 준수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47 내지 17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s)에 따라 수행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47 내지 17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EB는 ROCK(rho-associated protein kinase) 억제제의 존재 하에 형성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75에 있어서, 상기 ROCK 억제제는 Y-27632인 것인 방법.
- 청구항 175 또는 176에 있어서, 상기 RPE 형성 전에, 상기 다능성 세포는 매트리겔™((EHS(Engelbreth-Holm-Swarm) 마우스 육종 세포로부터의 가용성 제제) 상에서 배양되는 것인 방법.
- 인간 망막 색소 상피(RPE) 세포의 강화 집단(enriched population)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a) 인간 배아 줄기(hES) 세포의 다층 집단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hES 세포의 다층 집단을 추정적(putative) 인간 RPE 세포의 출현을 위한 충분한 시간 동안, 상기 hES 세포의 미분화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조건 하에 배양하는 단계로서, 상기 추정적 인간 RPE 세포는 그들의 세포질 내에 분산된 갈색 색소를 포함하는 것인 단계;
(c) 단계 (b)의 배양물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기 추정적 인간 RPE 세포를 선택하는 단계; 및
(d) 단계 (c)에서 수득된 상기 인간 RPE 세포를 배양하여 베스트로핀+ 이고 특징적인 자갈, 다각형, 상피-유사 외관(cobblestone, polygonal, epithelial-like appearance)을 갖고, 그들의 세포질 내에 분산된 갈색 색소를 포함하는 세포를 함유하는 배양물을 형성하여, 인간 RPE 세포의 강화 집단을 생성하는 것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인간 망막 색소 상피(RPE) 세포의 강화 집단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a) 인간 배아 줄기(hES) 세포의 배양물을 제공하는 단계;
(b) hES 세포를 배양하여 하나 이상의 배상체를 생성시키는 단계;
(c) 상기 하나 이상의 배상체를 상기 하나 이상의 배상체 중 하나 이상 내에 추정적 인간 RPE 세포의 출현을 위한 충분한 시간 동안 배양하여 그에 의해 추정적 인간 RPE 세포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배상체가 형성되는 것인 단계로서, 상기 추정적 인간 RPE 세포는 그들의 세포질 내에 분산된 갈색 색소를 포함하는 것인 단계;
(d) 단계 (c)의 배양물로부터 추정적 인간 RPE 세포를 포함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배상체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분리시켜 인간 RPE 세포를 수득하는 단계; 및
(e) 단계 (d)에서 수득된 상기 인간 RPE 세포를 배양하여 베스트로핀+ 이고 특징적인 자갈, 다각형, 상피-유사 외관을 갖고, 그들의 세포질 내에 분산된 갈색 색소를 포함하는 세포를 함유하는 배양물을 형성하여, 인간 RPE 세포의 강화 집단을 생성하는 것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78 또는 179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배양은 외부에서 첨가된 FGF를 포함하지 않는 배지에서 배양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80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배양은 외부에서 첨가된 LIF를 포함하지 않는 배지에서 배양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81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배양은 외부에서 첨가된 PLASMANATE® (탄산나트륨으로 완충되고, 0.005 M 소디움 카프릴레이트 및 0.004 M 아세틸트립토판으로 안정화된 100 mL 당 5g의 혈장 단백질을 포함하고, 상기 혈장 단백질은 약 88% 정상 인간 알부민, 12% 알파 및 베타 글로불린, 및 1% 이하의 감마 글로불린을 포함하며, 소디움 145 mEq/L, 포타슘 0.25 mEq/L, 및 클로라이드 100 mEq/L을 포함하는 수용액)를 포함하지 않는 배지에서 배양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78 내지 18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b)의 배양 지속시간은 약 6주인 것인 방법.
- 청구항 178 내지 18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b)의 배양 지속시간은 약 4주 내지 약 5주, 약 7주 내지 약 4개월, 약 3개월 내지 약 5개월, 또는 약 6주 내지 약 8주인 것인 방법.
- 청구항 178 내지 18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b)의 배양 지속시간은 약 3개월 내지 약 5개월인 것인 방법.
- 청구항 178 내지 18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과적으로 수득된 RPE 세포의 배양물은 베스트로핀+, CRALBP+, PEDF+, 및 RPE65+인 RPE 세포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86에 있어서, 결과적으로 수득된 RPE 세포의 배양물은 Oct4 및 Sox2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ES 세포 마커의 부재를 갖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78 내지 18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b) 전에, 상기 hES 세포는 외부에서 첨가된 FGF의 존재 하에 배양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78 내지 18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b) 전에, 상기 hES 세포는 외부에서 첨가된 FGF 및 LIF의 존재 하에 배양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78 내지 18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b) 전에, 상기 hES 세포는 외부에서 첨가된 FGF, PLASMANATE® (탄산나트륨으로 완충되고, 0.005 M 소디움 카프릴레이트 및 0.004 M 아세틸트립토판으로 안정화된 100 mL 당 5g의 혈장 단백질을 포함하고, 상기 혈장 단백질은 약 88% 정상 인간 알부민, 12% 알파 및 베타 글로불린, 및 1% 이하의 감마 글로불린을 포함하며, 소디움 145 mEq/L, 포타슘 0.25 mEq/L, 및 클로라이드 100 mEq/L을 포함하는 수용액) 및 섬유모세포 피더 층(fibroblast feeder layer)의 존재 하에 배양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78 내지 19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8 pg/세포 미만의 평균 멜라닌 함량을 포함하는 RPE 세포의 집단을 생성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91에 있어서, 상기 평균 멜라닌 함량은 8 pg/세포 미만, 7 pg/세포 미만, 6 pg/세포 미만, 5 pg/세포 미만, 4 pg/세포 미만, 3 pg/세포 미만, 2 pg/세포 미만, 및 0.1 pg/세포 이상, 및 선택적으로 0.5 pg/세포 또는 1 pg/세포 이상; 0.1-8 pg/세포, 0.1-7 pg/세포, 0.1-6 pg/세포, 0.1-5 pg/세포, 0.1-4 pg/세포, 0.1-3 pg/세포, 0.1-2 pg/세포, 0.1-1 pg/세포, 1-7 pg/세포, 0.5-6 pg/세포, 또는 1-5 pg/세포인 것인 방법.
- 청구항 191 또는 192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를 상기 멜라닌 함량을 수득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휴지기 세포로 유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78 내지 19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PE 형성 전에, 상기 다능성 세포는 매트릭스 상에서 배양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94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는 라미닌, 피브로넥틴, 비트로넥틴, 프로테오글리칸, 엔탁틴(entactin), 콜라겐, 콜라겐 I, 콜라겐 IV, 콜라겐 VIII, 헤파란 술페이트, 매트리겔(Matrigel)™((EHS(Engelbreth-Holm-Swarm) 마우스 육종 세포로부터의 가용성 제제(soluble preparation)), CellStart, 인간 기저막(basement membrane) 추출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94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는 매트리겔™((EHS(Engelbreth-Holm-Swarm) 마우스 육종 세포로부터의 가용성 제제)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79 내지 19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EB는 ROCK(rho-associated protein kinase) 억제제의 존재 하에 형성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97에 있어서, 상기 ROCK 억제제는 Y-27632인 것인 방법.
- 청구항 197 또는 198에 있어서, 상기 RPE 형성 전에, 상기 다능성 세포는 매트리겔™((EHS(Engelbreth-Holm-Swarm) 마우스 육종 세포로부터의 가용성 제제) 상에서 배양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78 내지 19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과적으로 수득된 RPE 세포의 배양물은 Pax6+인 RPE 세포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78 내지 20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과적으로 수득된 RPE 세포의 배양물은 Pax6-인 RPE 세포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78 내지 201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RPE 세포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제.
- 망막 변성(retinal degradation)의 치료를 위해 적합한 RPE 세포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제로서, 상기 RPE 세포는 8 pg/세포 미만의 평균 멜라닌 함량을 포함하고, 상기 RPE 세포는 하기 특징 중 하나 이상을 갖는 것인 약제학적 제제:
이식 후 약 1개월 이상 동안 그들의 표현형 유지,
약 1개월 이상 동안 배양에서 그들의 표현형 유지,
이식 후 숙주로의 통합(integrate),
이식 후 실질적으로 증식하지 않음,
식세포 활성(phagocytositic)을 가짐,
비타민 A의 전달, 대사, 또는 저장,
이식 후, 망막과 맥란막 간 철의 수송,
이식 후 맥란막(Bruch's membrane)으로의 부착,
이식 후, 미광 흡수,
알파 인테그린 서브유닛의 상승된 발현,
공여된(donated) 인간 조직으로부터 유래된 RPE 세포보다 긴 평균 텔로미어 길이,
공여된 인간 조직으로부터 유래된 RPE보다 배양에서의 더 긴 복제 수명(replicative lifespan),
공여된 인간 조직으로부터 유래된 RPE보다 더 높은 하나 이상의 알파 인테그린 서브유닛의 발현,
공여된 인간 조직으로부터 유래된 RPE보다 더 낮은 A2E 함량,
공여된 인간 조직으로부터 유래된 RPE보다 더 낮은 리포푸신(lipofuscin) 함량,
공여된 인간 조직으로부터 유래된 RPE보다 더 낮은 축적된 자외선 손상, 또는
공여된 인간 조직으로부터 유래된 RPE보다 더 많은 수의 식포(phagosome). - 망막 변성의 치료를 위해 적합한 RPE 세포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제로서, 상기 RPE 세포는 8 pg/세포 미만의 평균 멜라닌 함량을 포함하고, 상기 RPE 세포는 하기 특징 중 하나 이상을 갖는 것인 약제학적 제제:
이식 후 맥란막으로의 부착,
이식 후, 미광 흡수,
공여된 인간 조직으로부터 유래된 RPE 세포보다 긴 평균 텔로미어 길이,
공여된 인간 조직으로부터 유래된 RPE보다 배양에서의 더 긴 복제 수명,
공여된 인간 조직으로부터 유래된 RPE보다 더 낮은 A2E 함량,
공여된 인간 조직으로부터 유래된 RPE보다 더 낮은 리포푸신 함량,
공여된 인간 조직으로부터 유래된 RPE보다 더 낮은 축적된 자외선 손상, 또는
공여된 인간 조직으로부터 유래된 RPE보다 더 많은 수의 식포. - 청구항 202 내지 20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 멜라닌 함량은 8 pg/세포 미만, 7 pg/세포 미만, 6 pg/세포 미만, 5 pg/세포 미만, 4 pg/세포 미만, 3 pg/세포 미만, 2 pg/세포 미만, 및 0.1 pg/세포 이상, 및 선택적으로 0.5 pg/세포 또는 1 pg/세포 이상; 0.1-8 pg/세포, 0.1-7 pg/세포, 0.1-6 pg/세포, 0.1-5 pg/세포, 0.1-4 pg/세포, 0.1-3 pg/세포, 0.1-2 pg/세포, 0.1-1 pg/세포, 1-7 pg/세포, 0.5-6 pg/세포, 또는 1-5 pg/세포인 것인 약제학적 제제.
- 해동된, 청구항 74 내지 13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동결보존 RPE 세포 또는 청구항 135 내지 140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키트에 담긴 동결보존 RPE 세포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제로서, 상기 RPE 세포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중에 구성된 것인 약제학적 제제.
- 청구항 1 내지 73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 또는 키트의 RPE 세포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제.
- 청구항 202 내지 20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망막 변성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인 약제학적 제제.
- 청구항 202 내지 20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요로 하는 환자에서 스타르가르트병(Stargardt's disease), 건성 또는 습성 연령-관련 황반 변성(dry or wet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AMD), 맥란막 결손(choroideremia), 망막색소 변성증(retinitis pigmentosa), 망막 박리(retinal detachment), 망막 이형성(retinal dysplasia), 망막 위축증(retinal atrophy), 혈관무늬 망막증(Angioid streaks), 또는 근시성 황반 변성(Myopic Macular Degeneration)에 의한 망막 변성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유효량의 RPE 세포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학적 제제.
- 청구항 202 내지 20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현탁액, 겔, 또는 콜로이드와 같은, 주사가능한 제형으로 이식을 위해 제제화되는 것인 약제학적 제제.
- 청구항 202 내지 2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매트릭스, 기질, 스카폴드, 또는 이식물에 의한 이식을 위해 제제화되는 것인 약제학적 제제.
- 청구항 202 내지 2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안구의 망막하 공간으로의 투여를 위해 제제화되는 것인 약제학적 제제.
- 청구항 202 내지 2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약 103-109개 이상의 RPE 세포, 약 10,000 내지 약 106 개의 RPE 세포, 약 25,000 내지 약 400,000개의 RPE 세포, 또는 약 50,000 내지 약 200,000개의 RPE 세포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학적 제제.
- 청구항 202 내지 2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는 하나 이상의 배아 줄기 세포 마커의 실질적 발현이 없는 것인 약제학적 제제.
- 청구항 214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배아 줄기 세포 마커는 OCT-4, NANOG, Rex-1, 알칼리 포스파타아제, Sox2, TDGF-1, DPPA-2, 및/또는 DPPA-4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학적 제제.
- 청구항 202 내지 2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는 상기 하나 이상의 RPE 세포 마커에 대해 양성인 것인 약제학적 제제.
- 청구항 216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RPE 세포 마커는 RPE65, CRALBP, PEDF, 베스트로핀, MITF, Otx2, PAX2, PAX6, 또는 티로시나아제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학적 제제.
- 청구상 202 내지 2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TE 세포는 증가된 알파 인테그린 서브유닛 발현을 보이는 것인 약제학적 제제.
- 청구항 208에 있어서, 상기 알파 인테그린 서브유닛은 알파 1, 2, 3, 4, 5, 6, 또는 9인 것인 약제학적 제제.
- 청구항 202 내지 2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TF 세포는 표 5에 기재된 기준 중 하나 이상을 준수하는 것인 약제학적 제제.
- 청구항 202 내지 22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약 75% 이상의 RPE 세포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학적 제제.
- 청구항 202 내지 22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바이러스, 박테리아, 및/또는 균류 오염이 실질적으로 없는 것인 약제학적 제제.
- 청구항 202 내지 2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중에 제제화되는 것인 약제학적 제제.
- 청구항 202 내지 22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안구로의 투여를 위해 제제화되는 것인 약제학적 제제.
- 청구항 224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망막하 공간(sub-retinal space)로의 투여를 위해 제제화되는 것인 약제학적 제제.
- 청구항 202 내지 22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는 이식시 망막 내로 통합될 수 있는 기능성 RPE 세포인 것인 약제학적 제제.
- 청구항 202 내지 22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마우스 배아 섬유모세포(MEF) 및 인간 배아 줄기 세포(hES)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인 약제학적 제제.
- 청구항 202 내지 22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s)에 따른 것인 약제학적 제제.
- 청구항 1 내지 140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 또는 키트의 RPE 세포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제, 청구항 202 내지 228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약제학적 제제, 또는 청구항 147 내지 201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RPE 세포를 RPE 세포의 이식이 치료적으로 유용한 것인 망막 변성 질환 또는 기타 질환을 치료하기에 유효한 양으로 필요로 하는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RPE 세포의 이식이 치료적으로 유용한 것인 망막 변성 질환 또는 기타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 청구항 229에 있어서, 상기 망막 변성 질환은 맥란막 결손, 당뇨 망막병증(diabetic retinopathy), 연령-관련 황반 변성(건성 또는 습성), 망막 박리, 망막색소 변성증, 스타르가르트병, 혈관무늬 망막증, 또는 근시성 황반 변성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229 또는 230에 있어서, 상기 투여하는 단계는 필요로 하는 안구로의 상기 RPE 세포의 안구내 투여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231에 있어서, 상기 안구내 투여는 상기 RPE 세포의 망막하 공간으로의 주사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232에 있어서, 상기 안구내 투여는 수용액, 선택적으로 등장액 및/또는 염수(saline solution)의 망막하 공간으로의 주사에 의한 전-수포(pre-bleb)의 형성, 및 상기 RPE 세포의 상기 수용액과 동일한 망막하 공간으로의 투여 전 상기 수용액의 제거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232 또는 233에 있어서, 상기 주사는 니들 또는 주사 캐뉼라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인 방법.
- 청구항 234에 있어서, 상기 니들 또는 주사 캐뉼라의 직경은 약 0.3 mm 내지 0.9 mm 또는 약 0.5 내지 약 0.6 mm인 것인 방법.
- 청구항 234 내지 23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또는 주사 캐뉼라는 약 0.09 mm 내지 약 0.15 mm의 직경을 갖는 팁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234 내지 23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뉼라는 MEDONE POLYTIP® Cannula 25/38g (0.12mm (38g) x 5mm 팁을 갖는 0.50mm (25g) x 28mm 캐뉼라)인 것인 방법.
- 청구항 229 내지 23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료의 유효성(effectiveness)은 세극등 바이오현미경 촬영(slit lamp biomicroscopic photography), 안저 촬영(fundus photography), IVFA, 및 SD-OCT, 및 BCVA(best corrected visual acuity)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시각적 결과(visual outcome)를 결정하는 것에 의해 평가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229 내지 23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CVA(best corrected visual acuity)의 개선 및/또는 ETDRS(Early Treatment Diabetic Retinopathy Study) 시력 차트에서 판독가능한 문자의 증가를 가져오는 것인 방법.
- 청구항 239에 있어서, 상기 망막 변성 질환은 건성 AMD 또는 스타르가르트병인 것인 방법.
- 청구항 229 내지 24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망막 변성 질환을 치료하기에 유효한 양은 약 20,000-200,000개의 RPE 세포, 약 20,000-500,000개의 RPE 세포, 약 20,000-2,000,000개의 RPE 세포, 또는 약 20,000개 이상의 RPE 세포인 것인 방법.
- 청구항 241에 있어서, 상기 망막 변성 질환을 치료하기에 유효한 양은 약 20,000, 50,000, 75,000, 100,000, 125,000, 150,000, 175,000, 180,000, 185,000, 190,000, 200,000, 또는 500,000개 이상의 RPE 세포인 것인 방법.
- 청구항 229 내지 24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는 상기 RPE 세포의 투여 전에 또는 그와 동시에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투여받지 않는 것인 방법.
- 청구항 229 내지 24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는 상기 RPE 세포의 투여 전 3, 6, 12, 24, 48, 72, 또는 96 시간 이상 내에, 또는 상기 RPE 세포의 투여와 동시에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투여받지 않는 것인 방법.
- 청구항 229 내지 24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는 상기 RPE 세포의 투여 전 1시간 이상 내에 또는 상기 RPE 세포의 투여 직전에 또는 그와 동시에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투여받지 않는 것인 방법.
- 청구항 229 내지 24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는 상기 RPE 세포의 투여 후 적어도 12, 24, 48, 72, 또는 96 시간 내에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투여받지 않는 것인 방법.
- 청구항 229 내지 24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는 상기 RPE 세포의 투여 후 적어도 48 시간 내에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투여받지 않는 것인 방법.
- 청구항 229 내지 24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는 혈관신생 억제제, 항산화제, 항산화제 보조인자(antioxidant cofactor), 증가된 항산화 활성에 기여하는 기타 인자, 황반 크산토필(macular xanthophyll), 장쇄 오메가-3 지방산, 아밀로이드 억제제, CNTF 효능제(agonist), RPE65의 억제제, A2E 및/또는 리포푸신 축적을 표적화하는 인자, 광수용체 기능 및/또는 대사의 하향조절제(downregulator) 또는 억제제, α2-아드레날린 수용체 효능제, 선택적 세레토닌1A 효능제, C-5를 표적화하는 인자, 막 공격 복합체(membrane attack complex)(C5b-9) 및 기타 드루센(Drusen) 성분, 면역 억제제, 및 리포푸신의 축적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작용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작용제와 조합되어 환자에게 투여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248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작용제는 상기 RPE 세포의 제제와 동시에, 그 전에, 및/또는 그 후에 상기 환자에게 투여되는 것인 방법.
- RPE 세포의 이식이 치료적으로 유용한 것인 망막 변성 질환 또는 기타 질환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 청구항 1 내지 140 또는 202 내지 228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 키트, 또는 약제학적 제제의 용도.
- 청구항 250에 있어서, 상기 망막 변성 질환은 맥란막 결손, 당뇨 망막병증, 건성 연령-관련 황반 변성, 습성 연령-관련 황반 변성, 망막 박리, 망막색소 변성증, 스타르가르트병, 혈관무늬 망막증, 또는 근시성 황반 변성을 포함하는 것인 용도.
- 청구항 147 내지 20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능성 줄기 세포는 OCT-4, 알칼리 포스파타아제, SSEA-3, SSEA-4, TRA-1-60, 및 TRA-1-80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마커를 발현하는 것인 방법.
- 청구항 1 내지 140 또는 202 내지 22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는 하기 특징 중 하나 이상을 보이는 것인 조성물, 키트, 또는 약제학적 제제:
다른 소스(source)로부터 수득된 RPE 세포의 복제 수명보다 긴 복제 수명;
hESC 및/또는 인간 iPS 세포의 텔로미어 길이(또는 hESC 및/또는 인간 iPS 세포의 집단의 평균)의 30% 이상, 또는 hESC 및/또는 인간 iPS 세포의 텔로미어 길이의 40, 50, 60, 70, 80, 또는 90 퍼센트 이상인 평균 텔로미어 길이;
4 kb보다 길거나, 또는 5, 6, 7, 8, 9, 10, 11, 12 또는 심지어 13 kb, 또는 10 kb 또는 그보다 더 긴 평균 TRF(terminal restriction fragment) 길이;
성체 안구로부터 단리된 동일한 수의 RPE 세포의 평균 리포푸신 함량의 50 퍼센트 미만, 또는 성체 안구로부터 단리된 동일한 수의 RPE 세포의 평균 리포푸신 함량의 40, 30, 20, 또는 10 퍼센트 미만인 평균 리포푸신 함량;
성체 안구로부터 단리된 동일한 수의 RPE 세포의 평균 N-레티닐리덴-N-레티닐에탄올아민(A2E) 함량의 50% 미만, 또는 성체 안구로부터 단리된 동일한 수의 RPE 세포의 평균 A2E 함량의 40, 30, 20, 또는 10 퍼센트 미만인 평균 A2E 함량;
105 (100,000)개의 세포당 50 ng 미만인 평균 N-레티닐리덴-N-레티닐에탄올아민(A2E) 함량;
성체 안구로부터 단리된 RPE 세포의 동일한 수에 대한 POS(photoreceptor outer segment)의 식세포 작용 속도보다 50 퍼센트 이상 더 크거나, 또는 성체 안구로부터 단리된 동일한 수의 RPE 세포에 대한 POS의 식세포 작용의 속도보다 75, 100, 150, 또는 200 퍼센트 이상 더 큰 POS의 식세포 작용 속도;
24시간 후 POS(photoreceptor outer segment)의 총 농도의 20 퍼센트 이상, 또는 24시간 후 POS의 총 농도의 25, 30, 25, 40, 또는 50 퍼센트 이상인 POS의 식세포 작용의 속도;
성체 숙주로부터 단리된 RPE 세포 대비 축적된 산화적 스트레스 및/또는 DNA 손상의 감소된 수준;
성체 안구로부터 단리된 RPE 세포의 동일한 수의 평균 프로테오솜(proteasome) 활성보다 50 퍼센트 이상 더 높거나, 또는 성체 안구로부터 단리된 RPE 세포의 동일한 수의 평균 프로테오솜 활성보다 60, 70, 80, 90 또는 100 퍼센트 이상 더 높은 평균 프로테오솜 활성;
성체 안구로부터 단리된 RPE 세포의 동일한 수에 대한 유비퀴틴 접합체(ubiquitin conjugate)의 평균 축적의 50 퍼센트 미만이거나 또는 성체 안구로부터 단리된 RPE 세포의 동일한 수의 유비퀴틴 접합체의 평균 축적의 40, 30, 20, 또는 10 퍼센트 미만인 유비퀴틴 접합체의 평균 축적. - 청구항 1 내지 140 또는 202 내지 22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PE 세포는 하기 특징 중 하나 이상을 보이는 것인 조성물, 키트, 또는 약제학적 제제:
다른 소스로부터 수득된 RPE 세포의 복제 수명보다 긴 복제 수명;
성체 안구로부터 단리된 동일한 수의 RPE 세포의 평균 리포푸신 함량의 50% 미만, 또는 성체 안구로부터 단리된 동일한 수의 RPE 세포의 평균 리포푸신 함량의 40, 30, 20, 또는 10 퍼센트 미만의 평균 리포푸신 함량;
성체 안구로부터 단리된 동일한 수의 RPE 세포의 평균 N-레티닐리덴-N-레티닐에탄올아민(A2E) 함량의 50% 미만, 또는 성체 안구로부터 단리된 동일한 수의 RPE 세포의 평균 A2E 함량의 40, 30, 20, 또는 10 퍼센트 미만인 평균 A2E 함량;
105 (100,000)개의 세포당 50 ng 미만인 평균 N-레티닐리덴-N-레티닐에탄올아민(A2E) 함량;
성체 안구로부터 단리된 RPE 세포의 동일한 수에 대한 POS(photoreceptor outer segment)의 식세포 작용 속도보다 50 퍼센트 이상 더 크거나, 또는 성체 안구로부터 단리된 동일한 갯수의 RPE 세포에 대한 POS의 식세포 작용의 속도보다 75, 100, 150, 또는 200 퍼센트 이상 더 큰 POS의 식세포 작용 속도; 또는
성체 숙주로부터 단리된 RPE 세포 대비 축적된 산화적 스트레스 및/또는 DNA 손상의 감소된 수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161559521P | 2011-11-14 | 2011-11-14 | |
US61/559,521 | 2011-11-14 | ||
US201261589741P | 2012-01-23 | 2012-01-23 | |
US61/589,741 | 2012-01-23 | ||
US201261724047P | 2012-11-08 | 2012-11-08 | |
US61/724,047 | 2012-11-08 | ||
PCT/US2012/065091 WO2013074681A1 (en) | 2011-11-14 | 2012-11-14 | Pharmaceutical preparations of human rpe cells and uses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96368A true KR20140096368A (ko) | 2014-08-05 |
KR102054904B1 KR102054904B1 (ko) | 2019-12-11 |
Family
ID=47470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7016228A Active KR102054904B1 (ko) | 2011-11-14 | 2012-11-14 | 인간 rpe 세포의 약제학적 제제 및 그의 용도 |
Country Status (23)
Country | Link |
---|---|
US (4) | US20130195806A1 (ko) |
EP (2) | EP2780022B2 (ko) |
JP (6) | JP6506023B2 (ko) |
KR (1) | KR102054904B1 (ko) |
CN (2) | CN113786417A (ko) |
AU (5) | AU2012340020A1 (ko) |
CA (2) | CA3178098A1 (ko) |
CY (1) | CY1121819T1 (ko) |
DK (1) | DK2780022T4 (ko) |
ES (1) | ES2734453T3 (ko) |
FI (1) | FI2780022T4 (ko) |
GB (1) | GB2496969A (ko) |
HK (1) | HK1202456A1 (ko) |
HR (1) | HRP20191110T1 (ko) |
HU (1) | HUE044778T2 (ko) |
IL (5) | IL308205B1 (ko) |
LT (1) | LT2780022T (ko) |
PL (1) | PL2780022T3 (ko) |
PT (1) | PT2780022T (ko) |
RS (1) | RS59050B1 (ko) |
SI (1) | SI2780022T1 (ko) |
TW (5) | TWI842079B (ko) |
WO (1) | WO2013074681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002676A1 (ko) * | 2019-07-02 | 2021-01-07 |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 Pedf를 발현하거나 모세포에 비하여 pedf를 과발현하도록 유전적으로 조작된 중간엽 줄기세포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794704B2 (en) | 2004-01-23 | 2010-09-14 | Advanced Cell Technology, Inc. | Methods for producing enriched populations of human retinal pigment epithelium cells for treatment of retinal degeneration |
KR101398356B1 (ko) * | 2004-01-23 | 2014-05-23 | 어드밴스드 셀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 망막 변성 질환 치료를 위한 개선된 양식 |
CN104946591A (zh) | 2007-10-12 | 2015-09-30 | 奥卡塔治疗公司 | 制备rpe 细胞和rpe 细胞的组合物的改良方法 |
IL281453B (en) | 2009-11-17 | 2022-07-01 | Astellas Inst For Regenerative Medicine | Methods of producing human rpe cells and pharmaceutical preparations of human rpe cells |
US10852069B2 (en) | 2010-05-04 | 2020-12-01 | Fractal Heatsink Technologies, LLC |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efficiency of a fractal heat sink |
HUE054517T2 (hu) | 2010-07-23 | 2021-09-28 | Astellas Inst For Regenerative Medicine | Eljárások sejtek ritka alpopulációinak detektálására és nagymértékben tisztított sejtkészítmények |
CN103827322B (zh) | 2011-09-26 | 2017-05-31 | 凯杰有限公司 | 细胞外核酸的稳定化和分离 |
US11021733B2 (en) | 2011-09-26 | 2021-06-01 | Qiagen Gmbh | Stabilization and isolation of extracellular nucleic acids |
JP6155269B2 (ja) | 2011-09-26 | 2017-06-28 | プレアナリティクス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 細胞外核酸の安定化および単離 |
IL308205B1 (en) * | 2011-11-14 | 2025-06-01 | Astellas Inst For Regenerative Medicine | Pharmaceutical preparations of human RPE cells and their use |
CN104755628B (zh) | 2012-09-25 | 2019-03-01 | 凯杰有限公司 | 生物样品的稳定化 |
JP6426110B2 (ja) | 2013-02-01 | 2018-11-21 | ザ ユナイテッド ステイツ オブ アメリカ, アズ リプレゼンテッド バイ ザ セクレタリー, デパートメント オブ ヘルス アンド ヒューマン サービシーズ | 人口多能性幹細胞(ipsc)由来の網膜色素上皮(rpe)細胞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 |
JP6381628B2 (ja) | 2013-03-18 | 2018-08-29 | キアゲン ゲーエムベーハー | 生物試料の安定化 |
WO2014146780A1 (en) | 2013-03-18 | 2014-09-25 | Qiagen Gmbh | Stabilization and isolation of extracellular nucleic acids |
BR112016011096A2 (pt) | 2013-11-27 | 2017-09-19 | Kyoto Prefectural Public Univ Corp | Aplicação de laminina à cultura de célula endotelial da córnea |
CA2933083A1 (en) | 2013-12-11 | 2015-06-18 | Pfizer Limited | Method for producing retinal pigment epithelial cells |
CN106102766A (zh) * | 2014-01-22 | 2016-11-09 | 皮埃尔与玛丽·居里大学 - 巴黎第六大学 | 用于治疗视网膜炎症的试剂 |
EP2898896A1 (en) * | 2014-01-22 | 2015-07-29 | Université Pierre et Marie Curie (Paris 6) | Agent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retinal inflammation |
US20160374330A1 (en) * | 2014-03-18 | 2016-12-29 | Qiagen Gmbh | Stabilization and isolation of extracellular nucleic acids |
WO2015175504A1 (en) * | 2014-05-12 | 2015-11-19 |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 Differentiation of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into retinal pigment epithelium using hif1 inhibitors |
US10457915B2 (en) | 2014-05-15 | 2019-10-29 | International Stem Cell Corporation | Chemical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stem cells into retinal epithelial cells |
CA2949171A1 (en) | 2014-05-16 | 2015-11-19 | Koninklijke Nederlandse Akademie Van Wetenschappen | Improved culture method for organoids |
US9840553B2 (en) | 2014-06-28 | 2017-12-12 | Kodiak Sciences Inc. | Dual PDGF/VEGF antagonists |
US20160095307A1 (en) | 2014-10-07 | 2016-04-07 | NuTech Medical, Inc. | Method and composition for hypothermic storage of placental tissue |
JP6849590B2 (ja) | 2014-10-17 | 2021-03-24 | コディアック サイエンシ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Kodiak Sciences Inc. | ブチリルコリンエステラーゼ両性イオン性ポリマーコンジュゲート |
CA2965770C (en) * | 2014-10-31 | 2024-02-13 | Kyoto Prefectural Public University Corporation | Treatment of cornea using laminin |
WO2016067629A1 (ja) * | 2014-10-31 | 2016-05-06 | 京都府公立大学法人 | ラミニンによる網膜および神経の新規治療 |
US11865189B2 (en) | 2014-12-18 | 2024-01-09 | Sorbonne Universite | Transgenic RPE cells overexpressing OTX2 for the treatment of retinal degeneration |
HK1246348A1 (zh) | 2014-12-30 | 2018-09-07 | 细胞治疗神经科学有限公司 | Rpe細胞群和製備它們的方法 |
EP3240612B1 (en) * | 2014-12-30 | 2020-12-23 | Cell Cure Neurosciences Ltd. | Methods of treating retinal diseases |
AU2015373051B2 (en) | 2014-12-30 | 2022-10-06 | Cell Cure Neurosciences Ltd. | Assessing retinal pigment epithelial cell populations |
KR102577776B1 (ko) * | 2015-03-23 | 2023-09-11 | 아스텔라스 인스티튜트 포 리제너러티브 메디슨 | 인간 망막 색소 상피(rpe) 세포 및 광수용체 전구 세포의 효능에 대한 개선된 검정법 |
CN105013010B (zh) * | 2015-07-07 | 2018-01-12 | 中山大学中山眼科中心 | 一种辅助iPS‑RPE移植的层粘连蛋白膜 |
US11066642B2 (en) | 2015-08-05 | 2021-07-20 | Cell Cure Neurosciences Ltd | Preparation of retinal pigment epithelium cells |
HK1256839A1 (zh) | 2015-08-18 | 2019-10-04 | Astellas Institute For Regenerative Medicine | 臨床製劑 |
KR20180042436A (ko) * | 2015-09-08 | 2018-04-25 | 셀룰러 다이내믹스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 줄기 세포에서 유래된 망막색소상피의 macs 기반 정제 |
EP3377645B1 (en) | 2015-11-20 | 2023-10-04 | Qiagen GmbH | Method of preparing sterilized compositions for stabilization of extracellular nucleic acids |
JP7088454B2 (ja) | 2015-12-30 | 2022-06-21 | コディアック サイエンシ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抗体および抗体複合体 |
GB201603569D0 (en) | 2016-03-01 | 2016-04-13 | Koninklijke Nederlandse Akademie Van Wetenschappen | Improved differentiation method |
CN106420809B (zh) * | 2016-08-31 | 2017-08-08 | 浙江济民制药股份有限公司 | 一种眼科手术灌注液 |
WO2018111981A1 (en) * | 2016-12-13 | 2018-06-21 |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 Methods of preparing an isolated or purified population of thymic emigrant cells and methods of treatment using same |
EP4467565A3 (en) | 2016-12-21 | 2025-03-12 | Amgen Inc. | Anti-tnf alpha antibody formulations |
US11076984B2 (en) * | 2017-03-13 | 2021-08-03 | Gyroscope Therapeutics Limited | Method of performing subretinal drainage and agent delivery |
CN110913874A (zh) * | 2017-03-16 | 2020-03-24 | 谱系细胞疗法公司 | 用于测量视网膜疾病疗法的疗效的方法 |
US11759438B2 (en) | 2017-05-01 | 2023-09-19 | The Board Of Supervisors Of Louisiana State |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ocular pathologies |
CN111741735A (zh) * | 2017-12-29 | 2020-10-02 | 细胞治疗神经科学有限公司 | 视网膜色素上皮细胞组合物 |
ES2980255T3 (es) | 2018-02-22 | 2024-09-30 | Alcon Inc | Implante ocular |
EP3758737A4 (en) * | 2018-03-02 | 2022-10-12 | Kodiak Sciences Inc. | IL-6 ANTIBODIES AND FUSION CONSTRUCTS AND CONJUGATES THEREOF |
CA3119041A1 (en) * | 2018-11-19 | 2020-05-28 |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 Biodegradable tissue replacement implant and its use |
EP3976765A1 (en) * | 2019-05-28 | 2022-04-06 | F. Hoffmann-La Roche AG | Method to generate monocytic progenitor cells |
US12251201B2 (en) | 2019-08-16 | 2025-03-18 | Poltorak Technologies Llc | Device and method for medical diagnostics |
WO2021072265A1 (en) | 2019-10-10 | 2021-04-15 | Kodiak Sciences Inc. | Methods of treating an eye disorder |
BR112022006644A2 (pt) | 2019-10-30 | 2022-07-12 | Astellas Inst For Regenerative Medicine | Métodos para a produção de células epiteliais de pigmento da retina |
CA3161672A1 (en) * | 2019-11-22 | 2021-05-27 | Sigilon Therapeutics, Inc. | Monoclonal cell lines expressing an exogenous substance and uses thereof |
AU2021217222A1 (en) * | 2020-02-07 | 2022-09-29 |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 Reprogramming the metabolome to delay onset or treat neurodegeneration |
TW202216158A (zh) * | 2020-07-10 | 2022-05-01 | 國立研究開發法人理化學研究所 | 網膜色素上皮細胞之移植用存活促進劑 |
CN112544612A (zh) * | 2020-12-18 | 2021-03-26 | 江苏艾尔康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 冻存液及其在rpe细胞冻存中的应用 |
CN112834411B (zh) * | 2021-01-07 | 2022-05-27 | 上海交通大学 | 应用于质谱流式技术的金属纳米探针及制备方法和应用 |
CN112926116B (zh) * | 2021-03-01 | 2023-02-17 | 哈尔滨工业大学 | 一种基于虚拟现实的体育馆火灾疏散行为数据收集系统及其收集方法 |
CN114246938A (zh) * | 2022-01-25 | 2022-03-29 | 中山大学中山眼科中心 | Il-4在制备用于治疗视网膜变性疾病药物中的应用 |
WO2023149420A1 (ja) * | 2022-02-01 | 2023-08-10 | 株式会社坪田ラボ | 近視を予防または治療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
CN114561356B (zh) * | 2022-03-09 | 2022-09-13 | 北京呈诺医学科技有限公司 | 影响细胞因子分泌的方法及应用 |
EP4483912A1 (en) * | 2022-03-16 | 2025-01-01 | Sumitomo Pharma Co., Ltd. | Transplantation medium |
WO2024218311A1 (fr) * | 2023-04-21 | 2024-10-24 | Pulsesight Therapeutics | Compositions à base de décorine pour la réparation et la régéneration de l'épithélium pigmentaire de la rétine |
WO2024233368A1 (en) * | 2023-05-05 | 2024-11-14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 Retinal pigment epithelium cell therapy |
CN117625536B (zh) * | 2024-01-26 | 2024-04-30 |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三医学中心 | 一种人视网膜色素上皮细胞的纯化、培养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69087A (ko) * | 2004-01-23 | 2007-07-02 | 어드밴스드 셀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 망막 변성 질환 치료를 위한 개선된 양식 |
KR20100065373A (ko) * | 2007-10-12 | 2010-06-16 | 어드밴스드 셀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 Rpe 세포의 개선된 생산 방법 및 rpe 세포의 조성물 |
US7794704B2 (en) * | 2004-01-23 | 2010-09-14 | Advanced Cell Technology, Inc. | Methods for producing enriched populations of human retinal pigment epithelium cells for treatment of retinal degeneration |
WO2011063005A2 (en) * | 2009-11-17 | 2011-05-26 | Advanced Cell Technology, Inc. | Methods of producing human rpe cells and pharmaceutical preparations of human rpe cells |
Family Cites Families (3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138205A (en) | 1975-12-15 | 1979-02-06 | Hydro Pulse Corporation | Movable stator walls permitting access to tubing in peristaltic pump |
US5610753A (en) | 1991-12-12 | 1997-03-11 | Eastman Kodak Company | Optical design of laser scanner to reduce thermal sensitivity |
GB9608145D0 (en) * | 1996-04-19 | 1996-06-26 | British Tech Group | Wound healing |
US20040086494A1 (en) * | 1996-10-07 | 2004-05-06 | John Constance Mary | Immune privileged cells for delivery of proteins and peptides |
US5998423A (en) | 1996-10-08 | 1999-12-07 | Therasys, Inc. | Methods for modulating melanin production |
US6440933B1 (en) | 1997-09-10 | 2002-08-27 | University Of Florida | Compounds and method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abetic retinopathy |
AU759273B2 (en) * | 1998-01-02 | 2003-04-10 | Titan Pharmaceuticals, Inc. | Use of retinal pigment epithelial cells for creation of an immune privilege site |
US7410798B2 (en) | 2001-01-10 | 2008-08-12 | Geron Corporation | Culture system for rapid expansion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 |
US6943153B1 (en) | 1999-03-15 | 2005-09-13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 Use of recombinant gene delivery vectors for treating or preventing diseases of the eye |
US6331313B1 (en) | 1999-10-22 | 2001-12-18 | Oculex Pharmaceticals, Inc. | Controlled-release biocompatible ocular drug delivery implant devices and methods |
US6576422B1 (en) * | 2000-10-17 | 2003-06-10 | Rohm And Haas Company | Method for identifying products employing gene expression |
WO2002043785A2 (en) | 2000-11-29 | 2002-06-06 | Oculex Pharmaceuticals, Inc. | Intraocular implants for preventing transplant rejection in the eye |
US20020192738A1 (en) * | 2001-04-27 | 2002-12-19 | Janice Brissette | Tyrosinase assay |
WO2003014367A1 (en) * | 2001-08-08 | 2003-02-20 |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 Method for purification of viral vectors having proteins which bind sialic acid |
US20030232430A1 (en) | 2001-11-26 | 2003-12-18 | Advanced Cell Technology |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reprogrammed human somatic cell nuclei and autologous and isogenic human stem cells |
CA2473909A1 (en) | 2002-01-15 | 2003-07-24 | Advanced Cell Technology, Inc. | Cloning b and t lymphocytes |
US20040091936A1 (en) | 2002-05-24 | 2004-05-13 | Michael West | Bank of stem cells for producing cells for transplantation having HLA antigens matching those of transplant recipient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uch a stem cell bank |
US7803750B2 (en) | 2002-07-29 | 2010-09-28 | Duke University | Method of modulating melanin production |
US7309487B2 (en) * | 2004-02-09 | 2007-12-18 | George Inana |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detecting and treating retinal diseases |
US7893315B2 (en) | 2004-11-04 | 2011-02-22 | Advanced Cell Technology, Inc. | Derivation of embryonic stem cells and embryo-derived cells |
EP2479256A1 (en) | 2004-11-04 | 2012-07-25 | Advanced Cell Technology, Inc. | Derivation of embryonic stem cells |
ZA200901914B (en) * | 2006-09-22 | 2010-06-30 | Riken | Stem cell culture medium and method |
GB0806746D0 (en) | 2008-04-14 | 2008-05-14 | Ucl Business Plc | Membrane |
EP2273988B1 (en) * | 2008-04-18 | 2015-09-09 | Arizona Board Of Regents, A Body Corp. Of The State Of Arizona, Acting For And On Behalf Of The University Of Arizona | L-dopa for treating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
HUE054517T2 (hu) | 2010-07-23 | 2021-09-28 | Astellas Inst For Regenerative Medicine | Eljárások sejtek ritka alpopulációinak detektálására és nagymértékben tisztított sejtkészítmények |
US20110052678A1 (en) * | 2010-11-05 | 2011-03-03 | Shantha Totada R | Method for treating age related macular degeneration |
JP6185907B2 (ja) | 2011-03-30 | 2017-08-23 | セルラー ダイナミクス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神経分化のための多能性幹細胞の予備刺激 |
EP2702135B1 (en) * | 2011-04-29 | 2019-04-17 |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 Method of cryopreservation of stem cell-derived retinal pigment epithelial cells on polymeric substrate |
IL308205B1 (en) * | 2011-11-14 | 2025-06-01 | Astellas Inst For Regenerative Medicine | Pharmaceutical preparations of human RPE cells and their use |
CN107148276A (zh) * | 2014-09-05 | 2017-09-08 | 安斯泰来再生医药协会 | 视网膜神经节细胞及其祖细胞 |
-
2012
- 2012-11-14 IL IL308205A patent/IL308205B1/en unknown
- 2012-11-14 IL IL320536A patent/IL320536A/en unknown
- 2012-11-14 TW TW111133463A patent/TWI842079B/zh active
- 2012-11-14 US US13/676,999 patent/US20130195806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2-11-14 CA CA3178098A patent/CA3178098A1/en active Pending
- 2012-11-14 TW TW107102515A patent/TWI719277B/zh active
- 2012-11-14 CA CA2855941A patent/CA2855941A1/en active Pending
- 2012-11-14 IL IL287381A patent/IL287381B2/en unknown
- 2012-11-14 CN CN202110854081.1A patent/CN113786417A/zh active Pending
- 2012-11-14 RS RS20190890A patent/RS59050B1/sr unknown
- 2012-11-14 HK HK15103225.4A patent/HK1202456A1/xx unknown
- 2012-11-14 JP JP2014541421A patent/JP6506023B2/ja active Active
- 2012-11-14 LT LTEP12848968.9T patent/LT2780022T/lt unknown
- 2012-11-14 EP EP12848968.9A patent/EP2780022B2/en active Active
- 2012-11-14 TW TW109136186A patent/TWI785403B/zh active
- 2012-11-14 PT PT12848968T patent/PT2780022T/pt unknown
- 2012-11-14 CN CN201280066325.9A patent/CN104080464A/zh active Pending
- 2012-11-14 HU HUE12848968 patent/HUE044778T2/hu unknown
- 2012-11-14 SI SI201231636T patent/SI2780022T1/sl unknown
- 2012-11-14 HR HRP20191110TT patent/HRP20191110T1/hr unknown
- 2012-11-14 TW TW113103167A patent/TW202434266A/zh unknown
- 2012-11-14 DK DK12848968.9T patent/DK2780022T4/da active
- 2012-11-14 TW TW101142511A patent/TWI655286B/zh active
- 2012-11-14 ES ES12848968T patent/ES2734453T3/es active Active
- 2012-11-14 KR KR1020147016228A patent/KR102054904B1/ko active Active
- 2012-11-14 EP EP19164689.2A patent/EP3563860A1/en active Pending
- 2012-11-14 FI FIEP12848968.9T patent/FI2780022T4/fi active
- 2012-11-14 GB GB1220511.8A patent/GB2496969A/en not_active Withdrawn
- 2012-11-14 AU AU2012340020A patent/AU2012340020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2-11-14 PL PL12848968T patent/PL2780022T3/pl unknown
- 2012-11-14 WO PCT/US2012/065091 patent/WO2013074681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
- 2014-05-13 IL IL232600A patent/IL232600B/en active IP Right Grant
-
2015
- 2015-05-15 US US14/713,108 patent/US2015036691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7
- 2017-09-08 AU AU2017225146A patent/AU2017225146C1/en active Active
- 2017-09-25 JP JP2017183914A patent/JP6563996B2/ja active Active
-
2019
- 2019-02-20 AU AU2019201201A patent/AU2019201201B2/en active Active
- 2019-05-27 JP JP2019098508A patent/JP6899865B2/ja active Active
- 2019-07-09 CY CY20191100720T patent/CY1121819T1/el unknown
-
2020
- 2020-03-05 IL IL273107A patent/IL273107B/en unknown
- 2020-07-13 US US16/927,068 patent/US20200405767A1/en not_active Abandoned
-
2021
- 2021-03-24 JP JP2021049493A patent/JP7081016B2/ja active Active
- 2021-07-06 AU AU2021204719A patent/AU2021204719B2/en active Active
-
2022
- 2022-05-25 JP JP2022084915A patent/JP7404441B2/ja active Active
-
2023
- 2023-12-13 JP JP2023209915A patent/JP2024037864A/ja active Pending
-
2024
- 2024-10-10 US US18/911,566 patent/US20250134932A1/en active Pending
-
2025
- 2025-02-21 AU AU2025201277A patent/AU2025201277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69087A (ko) * | 2004-01-23 | 2007-07-02 | 어드밴스드 셀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 망막 변성 질환 치료를 위한 개선된 양식 |
US7794704B2 (en) * | 2004-01-23 | 2010-09-14 | Advanced Cell Technology, Inc. | Methods for producing enriched populations of human retinal pigment epithelium cells for treatment of retinal degeneration |
KR20100065373A (ko) * | 2007-10-12 | 2010-06-16 | 어드밴스드 셀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 Rpe 세포의 개선된 생산 방법 및 rpe 세포의 조성물 |
WO2011063005A2 (en) * | 2009-11-17 | 2011-05-26 | Advanced Cell Technology, Inc. | Methods of producing human rpe cells and pharmaceutical preparations of human rpe cells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Vol. 45, No. 2,(2004)* * |
Molecular Vision (2007)* *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002676A1 (ko) * | 2019-07-02 | 2021-01-07 |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 Pedf를 발현하거나 모세포에 비하여 pedf를 과발현하도록 유전적으로 조작된 중간엽 줄기세포 |
Also Published 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50134932A1 (en) | Pharmaceutical preparations of human rpe cells and uses thereof | |
HK40015631A (en) | Pharmaceutical preparations of human rpe cells and uses thereof | |
HK40064545A (en) | Pharmaceutical preparations of human rpe cells and uses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61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1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909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1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9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5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11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11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910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9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5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11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