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8311A - Apparatus for launching shuttlecock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launching shuttleco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78311A KR20140078311A KR1020120147543A KR20120147543A KR20140078311A KR 20140078311 A KR20140078311 A KR 20140078311A KR 1020120147543 A KR1020120147543 A KR 1020120147543A KR 20120147543 A KR20120147543 A KR 20120147543A KR 20140078311 A KR20140078311 A KR 2014007831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uttlecock
- frame
- pressure air
- launching
- rotary plat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3
- 238000010304 fir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9527 percu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63B69/409—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with pneumatic ball- or body-propell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63B67/183—Feathered missiles
- A63B67/187—Shuttlecock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17—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dminton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4—Badmint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Nozzle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셔틀콕 발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과, 프레임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셔틀콕이 장착될 수 있도록 관통되게 다수의 장착구가 형성되되, 상기 장착구는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형의 궤적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회전판과,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회전판 후방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장착구들 중 하나에 장착된 상기 셔틀콕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셔틀콕을 전방으로 발사시키는 발사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장치는 에어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고압의 에어에 의해 셔틀콕을 발사시키므로 발사시 셔틀콕이 파속되거나 결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uttlecock launch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uttlecock launcher having a frame and a plurality of mounting holes formed to be rotatable about a center line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frame and penetrating the shuttlecock for mounting the shuttlecock, A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rotating plate; a driving unit provided in the frame behind the rotating plate, for applying a high-pressure driving force to the shuttlecock mounted on one of the mounting members; And a firing unit for spraying air to fire the shuttlecock forward.
The shuttlecock launc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preventing the shuttlecock from being broken or being defective when the shuttlecock is fired since the shuttlecock is fired by the high pressure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supply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셔틀콕 발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혼자서 배드민턴을 연습할 수 있도록 공압을 이용하여 셔틀콕을 발사시키는 셔틀콕 발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uttlecock launch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uttlecock launching apparatus that uses a pneumatic pressure to fire a shuttlecock so that a badminton can be practiced alone.
배드민턴은 일반인들이 즐기는 구기종목의 경기로서, 현재는 생활체육의 하나로 자리 메김하고 있다. 배드민턴을 통해 유산소 운동 및 건강증진을 이룰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배드민턴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Badminton is a game of ball games enjoyed by the general public, and now it is positioned as one of life sports. Many people are playing badminton because they can achieve aerobic exercise and health through badminton.
그러나 배드민턴의 특성상, 둘 이상의 사람이 배드민턴 라켓을 사용하여야 하고 혼자서는 연습 등을 할 수 없다. 또한, 배드민턴을 연습하기 위해서는 둘 이상의 사람이 꾸준한 스윙 연습을 필요로 하지만, 항상 두 사람이 함께할 수는 없다. 따라서 배드민턴 선수 또는 배드민턴을 처음 시작하는 초보자는 일관된 자세로 꾸준한스윙 연습이 필요하지만, 상대방이 없이는 연습이 그리 쉽지 않은 실정이다.However, due to the nature of badminton, more than one person must use a badminton racket and can not practice by himself. Also, in order to practice badminton, two or more people need a constant swing practice, but they can not always be together. Therefore, a beginner who starts a badminton or badminton for the first time needs a consistent swing practice in a consistent position, but practice is not so easy without the other.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78800호에는 '배드민턴 연습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In order to overcome such a problem,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078800 discloses a 'badminton practice apparatus'.
상기 배드민턴 연습장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셔틀콕 튜브 홀더와, 상기 셔틀콕 튜브홀더에 다수 개가 적층되어 내장되는 셔틀콕 적재튜브부와, 상기 셔틀콕 적재튜브부로부터 셔틀콕을 공급받는 다수의 셔틀콕 격발튜브와, 상기 다수의 격발튜브가 연결되는 축과, 상기 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로 구성되는 격발튜브부와,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셔틀콕 홀더의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셔틀콕을 공급받은 격발튜브에 내장된 셔틀콕을 전방으로 격발하는 격발부와, 상기 셔틀콕 홀더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홀더구동부를 구비한다. The shuttlecock includes a base, a shuttlecock tube holder movably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base, a shuttlecock loading tube unit having a plurality of shuttlecock tube units stacked in the shuttlecock tube holder, A plurality of shuttle-cocking tubes for receiving the shuttlecock, a shaft to which the plurality of shuttlecock tubes are connected, and a motor for rotating the shaft, wherein the shuttlecock is mounted on the base and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huttlecock holder, And a holder driving unit for moving the shuttlecock holder forward and backward.
그러나 상기 배드민턴 연습장치는 셔틀콕 격발튜브에 수용된 셔틀콕을 격발부를 통해 타격하여 발사하므로 격발부의 타격에 의한 충격으로 셔틀콕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badminton training device strikes the shuttlecock accommodated in the shuttlecock induction tube through the percussion part and fires it, the shuttlecock is damaged by an impact due to the impact of the percussion par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셔틀콕을 공압에 의해 발사하는 셔틀콕 발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uttlecock launching device for launching a shuttlecock by air pressur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셔틀콕이 장착될 수 있도록 관통되게 다수의 장착구가 형성되되, 상기 장착구는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형의 궤적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회전판 후방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장착구들 중 하나에 장착된 상기 셔틀콕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셔틀콕을 전방으로 발사시키는 발사부를 구비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aunch device for a shuttlecock, comprising a frame, a plurality of mounts formed to be rotatable about a center line extending in the fore and aft direction, The mounting hole may include a rotating pl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circular path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a driving unit rotating the rotating plate, and a driving unit installed in the frame behind the rotating plate, And a launching unit for injecting high-pressure air into the installed shuttlecock to fire the shuttlecock forward.
상기 발사부는 상기 회전판 후방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판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장착구와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며, 전단부에 전방으로 고압의 에어가 분사되는 분사구가 마련된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에 공급관을 통해 연통되어 상기 분사노즐로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aunching part is installed in the frame behind the rotary plate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rotary plate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mounting hole with respect to a center line of the rotary plate and has a jet port through which a high- And an air supply member communicating with the spray nozzle through a supply pipe to supply high-pressure air to the spray nozzl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장치는 상기 회전판에 설치되며, 상기 발사부로부터 고압의 공압이 공급시 상기 셔틀콕이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용이하게 발사되기 위해 상기 장착구에 상기 셔틀콕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판에 진동을 인가하는 바이브레이터를 더 구비한다. In the meantime, the shuttlecock launc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rotary plat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huttlecot from being caught on the mounting opening so that the shuttlecock is easily fired from the rotary plate when high pressure air is supplied from the launching unit And a vibrator for applying vibration to the rotation plat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장치는 상기 발사부에 의해 발사된 상기 셔틀콕의 발사방향을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판을 기준으로 상기 분사노즐에 대향되는 프레임에 설치되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되, 후단면에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발사된 상기 셔틀콕이 인입되는 인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인입구를 통해 인입된 상기 셔틀콕이 유동하는 유동경로가 마련되며, 전단면에는 상기 유동경로를 통해 유동하는 상기 셔틀콕이 외부로 인출되는 발사구가 형성된 가이드관과, 상기 발사구를 통해 발사된 상기 셔틀콕이 기설정된 발사각도보다 작은 각도로 발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관의 전단부 하부에 설치되고, 연통관을 통해 상기 에어공급부재에 연통되며, 상기 에어공급부재를 통해 공급된 고압의 에어를 전방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전단면에 보조분사구가 형성된 보조노즐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The shuttlecock launc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uides the direction of the launch of the shuttlecock, which is launched by the launching unit. The shuttlecock launching device is installed in a frame opposed to the injection nozzl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plate, And the shuttlecock which flows through the flow path is provided at a front end surface of the shuttlecock, and the shuttlecock which flows through the flow path is connected to the outside The guide tube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front end of the guide tube to prevent the shuttlecock emitted through the launching opening from being emitted at an angle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firing angle. Pressure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supply member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ary nozzle the secondary injection hole formed in the front end surface to be sprayed in the forward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장치는 에어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고압의 에어에 의해 셔틀콕을 발사시키므로 발사시 셔틀콕이 파속되거나 결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The shuttlecock launc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preventing the shuttlecock from being broken or being defective when the shuttlecock is fired since the shuttlecock is fired by the high pressure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supply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셔틀콕 발사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셔틀콕 발사장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셔틀콕 발사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셔틀콕 발사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uttlecock launc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the shuttlecock launching apparatus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uttlecock launch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huttlecock launch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셔틀콕 발사방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도 1 내지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1 to 2 show a
도면을 참조하면, 셔틀콕 발사장치(10)는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셔틀콕(15)이 장착될 수 있도록 관통되게 다수의 장착구(31)가 형성되되, 상기 장착구(31)는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형의 궤적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회전판(30)과, 상기 회전판(3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회전판(30) 후방의 상기 프레임(20)에 설치되며, 상기 장착구(31)들 중 하나에 장착된 상기 셔틀콕(15)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셔틀콕(15)을 전방으로 발사시키는 발사부(50)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
회전판(3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회전판(30) 하부의 프레임(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롤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장착구(31)는 셔틀콕(15)의 크기에 대응되는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발사부(50)를 통해 공급된 고압의 에어에 의해 용이하게 셔틀콕(15)이 발사될 수 있도록 전후면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The
한편, 도시된 예에는 장착구(31)가 회전판(30)의 회전중심선과 나란하게 연장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장착구(31)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발사시 셔틀콕(15)이 상방으로 날아갈 수 있도록 후단부가 전단부보다 상기 회전중심선에 인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각 장착구(31)들의 경사각도를 상호 상이하게 형성하여 발사되는 셔틀콕(15)의 날아가는 각도를 다양하게 할 수도 있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구동부는 회전축이 상기 회전판(30)의 회전중심에 고정되는 회전모터(41)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모터(41)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한편, 도시되진 않았지만, 회전모터(41)의 회전축 및 회전판(30) 사이에는 회전모터(41)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을 감속하여 회전판(30)에 전달하기 위해 상호 치합된 다수의 기어가 마련된 기어박스가 설치될 수도 있다. 구동부는 회전판(3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발사부(50)를 통해 공급되는 고압에 의해 상기 셔틀콕(15)이 순차적으로 발사되도록 한다. The driving unit includes a rotation motor (41) whose rotation axis is fixed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rotation plate (30). The
발사부(50)는 회전판(30)의 후방에 설치된 분사노즐(51)과, 공급관(53)에 의해 상기 분사노즐(51)과 연통되어 상기 분사노즐(51)로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재(52)를 구비한다. The
분사노즐(51)은 회전판(30)의 장착구(31)들에 장착된 셔틀콕(15)들 중 하나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전방으로 발사시킬 수 있도록 회전판(3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장착구(31)와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며, 전단부에 전방으로 고압의 에어가 분사되는 분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에어공급부재(52)는 고압의 에어를 공급관(53)을 통해 분사노즐(51)에 공급하는 것으로서, 콤프레샤와 같은 공급수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발사부(50)는 분사노즐(51)의 전방에 셔틀콕(15)이 위치시 고압의 에어가 분사되도록 에어공급부재(52)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구비한다. 상기 제어유닛은 장착구(31)들에 인접된 위치의 회전판(30)에 각각 설치된 제1센서들과, 상기 분사노즐(51)에 설치되어 상기 제1센서를 감지하는 제2센서와, 상기 제2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제2센서로부터 상기 제1센서의 감지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분사노즐(51)로 에어가 분사되도록 상기 에어공급부재(52)를 작동시키거나 공급관(53)에 설치된 개폐밸브를 작동시켜 상기 공급관(53)을 개방하되, 상기 제2센서로부터 상기 제1센서의 감지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분사노즐(51)로 에어가 분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에어공급부재(52)의 작동을 정지시키거나 공급관(53)에 설치된 개폐밸브를 작동시켜 상기 공급관(53)을 폐쇄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장치(10)는 발사부(50)에 의해 발사된 셔틀콕(15)의 발사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관(60)을 더 구비한다. The
가이드관(60)은 상기 회전판(30)을 기준으로 상기 분사노즐(51)에 대향되는 프레임(20)에 설치되며, 전부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가이드관(60)은 후단부가 회전판(30)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며, 후단면에는 회전판(30)으로부터 발사된 셔틀콕(15)이 인입되는 인입구(6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인입구(61)에 연통되어 상기 셔틀콕(15)이 유동하는 유동경로(62)가 마련되며, 전단면에는 상기 유동경로(62)를 통해 유동하는 셔틀곡이 외부로 인출되는 발사구(63)가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관(60)은 상기 셔틀콕(15)이 상방으로 날아갈 수 있도록 전단부가 후단부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장치(10)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operation of the
에어공급부재(52)를 통해 공급된 고압의 에어는 분사노즐(51)을 통해 전방으로 분사된다. 분사노즐(51)로부터 분사된 고압의 에어에 의해 회전판(30)의 장착구(31)에 장착된 셔틀콕(15)은 전방으로 발사되고, 발사된 셔틀콕(15)은 가이드관(60)을 통과하여 상방으로 날아간다. 이때, 회전판(30)은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고, 분사노즐(51)의 전방에 셔틀콕(15)이 장착된 장착구(31)가 위치하므로 연속적으로 셔틀콕(15)을 순차적으로 발사할 수 있다. The high-pressure air supplied through the
상기 언급된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장치(10)는 에어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고압의 에어에 의해 셔틀콕(15)을 발사시키므로 발사시 셔틀콕(15)이 파속되거나 결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The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셔틀콕 발사장치(110)가 도시되어 있다.3, a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Elements having the same functions as those in the previous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면을 참조하면, 셔틀콕 발사장치(110)는 회전판(30)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30)에 진동을 인가하는 바이브레이터(111)를 구비한다. 상기 바이브레이터(111)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편심축을 회전시켜 진동을 발생시킨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
상기 바이브레이터(111)는 발사부(50)를 통해 셔틀콕(15)에 고압의 에어가 분사시 진동을 회전판(30)에 인가한다. 상기 바이브레이터(111)에 의해 발생된 진동에 의해 장착구(31)에 셔틀콕(15)이 걸리는 것이 방지되므로 발사부(50)로부터 고압의 에어가 공급시 셔틀콕(15)이 용이하게 회전판(30)으로부터 전방으로 발사된다. The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셔틀콕 발사장치(120)가 도시되어 있다. 4, a
도면을 참조하면, 셔틀콕 발사장치(120)는 가이드관(60)을 통해 발사된 상기 셔틀콕(15)이 기설정된 발사각도보다 작은 각도로 발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노즐(121)을 더 구비한다. The
상기 보조노즐(121)은 가이드관(60)의 전단부 하부 외주면에 설치되며, 전방면에 고압의 에어가 분사되는 보조분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보조노즐(121)은 연통관(123)을 통해 에어공급부재(52)에 연통되어 상기 에어공급부재(52)로부터 고압의 에어를 공급받는다. 보조노즐(121)은 에어공급부재(52)로부터 공급된 고압의 에어를 가이드관(60)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분사하므로 가이드관(60)의 발사구(63) 하측에는 전방으로 분사하는 에어층이 형성된다. 상기 에어층에 의해 발사구(63)를 통해 발사된 상기 셔틀콕(15)이 하방으로 날아가는 것이 방지된다. The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보조노즐(121)로부터 분사되는 에어의 분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노즐(121)은 가이드관(60)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0: 셔틀콕 발사장치
15: 셔틀콕
20: 프레임
30: 회전판
41: 회전모터
50: 발사부
51: 분사노즐
52: 에어공급부재
53: 공급관
60: 가이드관
61: 인입구
62: 유동경로
63: 발사구10: Shuttlecock launcher
15: Shuttlecock
20: frame
30: Spindle
41: Rotary motor
50:
51: injection nozzle
52: Air supply member
53: supply pipe
60: guide tube
61: Inlet
62: Flow path
63: Firing Zone
Claims (4)
상기 프레임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셔틀콕이 장착될 수 있도록 관통되게 다수의 장착구가 형성되되, 상기 장착구는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형의 궤적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회전판 후방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장착구들 중 하나에 장착된 상기 셔틀콕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셔틀콕을 전방으로 발사시키는 발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 발사장치.
A frame;
A plurality of mounting holes are formed in the frame so as to be rotatable around a center line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penetrate the mounting frame so that the shuttlecock can be mounted thereon. The mounting hole has a circular locus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A rotating plat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rotating plate;
And a launching unit installed in the frame behind the rotary plate and emitting a high pressure air to the shuttlecock mounted on one of the mounts to fire the shuttlecock forward.
상기 발사부는
상기 회전판 후방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판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장착구와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며, 전단부에 전방으로 고압의 에어가 분사되는 분사구가 마련된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에 공급관을 통해 연통되어 상기 분사노즐로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 발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aunching unit
The jet nozzle is installed at the frame behind the rotary plate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rotary plate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mounting hole and is provided with a jet port through which a high- and,
And an air supply member communicating with the spray nozzle through a supply pipe to supply high-pressure air to the spray nozzle.
상기 회전판에 설치되며, 상기 발사부로부터 고압의 공압이 공급시 상기 셔틀콕이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용이하게 발사되기 위해 상기 장착구에 상기 셔틀콕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판에 진동을 인가하는 바이브레이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 발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 vibrator installed on the turntable and applying vibration to the turntable so as to prevent the shuttlec from being caught by the mounting opening so that the shuttlecock is easily fired from the turntable when high pressure air is supplied from the launching unit Wherein the shuttle launcher is a shuttle launcher.
상기 발사부에 의해 발사된 상기 셔틀콕의 발사방향을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판을 기준으로 상기 분사노즐에 대향되는 프레임에 설치되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되, 후단면에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발사된 상기 셔틀콕이 인입되는 인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인입구를 통해 인입된 상기 셔틀콕이 유동하는 유동경로가 마련되며, 전단면에는 상기 유동경로를 통해 유동하는 상기 셔틀콕이 외부로 인출되는 발사구가 형성된 가이드관과,
상기 발사구를 통해 발사된 상기 셔틀콕이 기설정된 발사각도보다 작은 각도로 발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관의 전단부 하부에 설치되고, 연통관을 통해 상기 에어공급부재에 연통되며, 상기 에어공급부재를 통해 공급된 고압의 에어를 전방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전단면에 보조분사구가 형성된 보조노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 발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huttlecock is provided on a frame opposed to the injection nozzl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plate as a guide to guide the launch direction of the shuttlecock emitted by the launching unit, A guide pipe having a launching opening through which the shuttlecock flows out through the flow path is formed on a front end face thereof, ,
Wherein the guide member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a front end portion of the guide tube and communicates with the air supply member through a communication pipe,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nozzle having an auxiliary ejection opening formed in a front end surface thereof so as to eject forwardly the high pressure air supplied through the supply memb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47543A KR101418077B1 (en) | 2012-12-17 | 2012-12-17 | Apparatus for launching shuttleco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47543A KR101418077B1 (en) | 2012-12-17 | 2012-12-17 | Apparatus for launching shuttlecock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78311A true KR20140078311A (en) | 2014-06-25 |
KR101418077B1 KR101418077B1 (en) | 2014-07-10 |
Family
ID=51129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47543A KR101418077B1 (en) | 2012-12-17 | 2012-12-17 | Apparatus for launching shuttlecoc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18077B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5181B1 (en) * | 2014-11-26 | 2016-01-21 | 김창식 | Launcher of single shot shuttlecock |
CN106310632A (en) * | 2016-08-30 | 2017-01-11 | 上海交通大学 | Full-automatic shuttlecock serving device |
CN108815820A (en) * | 2018-06-22 | 2018-11-16 | 山东外贸职业学院 | A kind of novel badminton ball serving device |
CN110433474A (en) * | 2019-09-17 | 2019-11-12 | 湖南第一师范学院 | A kind of constant speed puts ball-type shuttlecock training service robot |
CN111467767A (en) * | 2020-03-10 | 2020-07-31 | 江山市三鑫体育用品有限公司 | Badminton feather inserting machine with heating device |
CN112278397A (en) * | 2020-10-12 | 2021-01-29 | 安徽华羽体育用品有限公司 | A insert football shirt and put for badminton |
KR20220000124A (en) | 2020-06-25 | 2022-01-03 | 송봉화 | Badminton Shuttlecock Launcher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212440A (en) | 2007-03-06 | 2008-09-18 | Masashi Urano | Shuttle shooting device |
KR20090050205A (en) * | 2007-11-15 | 2009-05-20 | 전진오 | Badminton ball launcher |
KR101109680B1 (en) * | 2009-08-18 | 2012-01-31 | 김경수 | Badminton Exercise Device |
KR101118557B1 (en) * | 2009-10-08 | 2012-02-24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Badminton training device |
-
2012
- 2012-12-17 KR KR1020120147543A patent/KR101418077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5181B1 (en) * | 2014-11-26 | 2016-01-21 | 김창식 | Launcher of single shot shuttlecock |
CN106310632A (en) * | 2016-08-30 | 2017-01-11 | 上海交通大学 | Full-automatic shuttlecock serving device |
CN108815820A (en) * | 2018-06-22 | 2018-11-16 | 山东外贸职业学院 | A kind of novel badminton ball serving device |
CN110433474A (en) * | 2019-09-17 | 2019-11-12 | 湖南第一师范学院 | A kind of constant speed puts ball-type shuttlecock training service robot |
CN111467767A (en) * | 2020-03-10 | 2020-07-31 | 江山市三鑫体育用品有限公司 | Badminton feather inserting machine with heating device |
CN111467767B (en) * | 2020-03-10 | 2021-03-30 | 江山市三鑫体育用品有限公司 | Badminton feather inserting machine with heating device |
KR20220000124A (en) | 2020-06-25 | 2022-01-03 | 송봉화 | Badminton Shuttlecock Launcher |
CN112278397A (en) * | 2020-10-12 | 2021-01-29 | 安徽华羽体育用品有限公司 | A insert football shirt and put for badmint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18077B1 (en) | 2014-07-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18077B1 (en) | Apparatus for launching shuttlecock | |
CN109310924B (en) | Ball emitter and ball game system comprising such a ball emitter | |
US5640945A (en) | Paintball and paintball gun | |
CN104780985B (en) | Position adjusting device, shooting game device using same, and shooting method thereof | |
US20170136337A1 (en) | Shuttlecock automatic collecting and supplying apparatus | |
US3989245A (en) | Tennis practice device having pneumatic ball projector | |
JP2008200268A (en) | Pinball game machine | |
KR20150146137A (en) | Automatic ball launcher | |
JPS62500286A (en) | tennis ball throwing device | |
JP4424787B2 (en) | Table tennis game equipment | |
KR100506810B1 (en) | Ball shooting apparatus | |
CN215232051U (en) | A surveillance defense device | |
JP7278579B2 (en) | ball launcher | |
US8360430B2 (en) | Table ball game device | |
KR102392807B1 (en) | Angle adjustable automatic ball supplying device | |
CN213842839U (en) | Multi-shot continuous launching test platform | |
KR101983783B1 (en) | Pitching machine capable of implementing various kinds of pitching arsenal and pitches | |
JP6425302B2 (en) | Pitching machine | |
CN110730682B (en) | System for discharging and collecting balls and related operating method | |
CN113856182B (en) | Ball serving device for college sports shooting training | |
KR101901786B1 (en) | Tennis ball launcher | |
CN112268790A (en) | Multi-shot continuous launching test platform | |
KR200255949Y1 (en) | Shooting game machine | |
CN212090836U (en) | Throwing and rolling ball entertainment device | |
CN114681887B (en) | tennis ball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7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