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76379A -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6379A
KR20140076379A KR1020120144844A KR20120144844A KR20140076379A KR 20140076379 A KR20140076379 A KR 20140076379A KR 1020120144844 A KR1020120144844 A KR 1020120144844A KR 20120144844 A KR20120144844 A KR 20120144844A KR 20140076379 A KR20140076379 A KR 20140076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vehicle
driving
pattern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7947B1 (ko
Inventor
김상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4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7947B1/ko
Priority to US14/081,172 priority patent/US9168896B2/en
Priority to DE102013223739.1A priority patent/DE102013223739B4/de
Priority to CN201310594988.4A priority patent/CN103863330B/zh
Publication of KR20140076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6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94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60R16/0236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for economical dri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40/09Driving style or behavi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0Interpretation of driver requests or dem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62Adapting control system settings
    • B60W2050/0063Manual parameter input, manual setting means, manual initialising or calibrating means
    • B60W2050/0064Manual parameter input, manual setting means, manual initialising or calibrating means using a remote, e.g. cordless, transmitter or receiver unit, e.g. remote keypad or mobile ph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62Adapting control system settings
    • B60W2050/0075Automatic parameter input, automatic initialising or calibr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60W2556/50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of positioning data,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dat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4Data processing systems or methods, management, adminis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정된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주행 패턴을 선택하도록 하고, 선택된 주행 패턴에 따른 주행 정보를 제공하도록 된 단말기와 연동하여 차량 주행을 제어하는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을 제어하는 시스템으로서, 미리 설정된 차량 주행 패턴 제어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주행 패턴 모드 및 상기 선택된 주행 패턴 모드에 연관된 주행 패턴 제어관련 정보가 차량 제어기로 전송되도록 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에서 전송된 주행 패턴 모드 및 주행 패턴 제어관련 정보에 따라 주행에 관련된 차량의 피제어대상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기; 및 상기 단말기와 상기 차량 제어기 간의 신호 송수신을 중계하는 중계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 {Driving control system of vehicle}
본 발명은 설정된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주행 패턴을 선택하도록 하고, 선택된 주행 패턴에 따른 주행제어 관련 정보를 제공하도록 된 단말기와 연동하여 차량 주행을 제어하는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달에 따라 정보통신 기기가 자동차에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례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AVN(audio & video navigation) 및 ECU(electronic control unit)를 제어하는 방법이 있다.
이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를 차량에서 이용하는 방법은,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10-0087496 및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11-0009602 등에 개시되어 있다.
더불어서,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인해 차량과 스마트폰을 연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시동을 걸거나 또는 도어를 오픈할 수 있는 기능이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 제작되는 차량에는 운전성, 경제성 및 편의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에코 모드(eco mode), 스포츠 모드(sports mode) 등 다양한 주행 패턴 모드가 적용되고 있다.
상기 에코 모드는 연비를 향상시키기 위한 주행 패턴 모드이고; 상기 스포츠 모드는 자동변속기 차량에서 운전자가 수동 변속기처럼 운전할 수 있게 하여 가속성능을 증대시키는 주행 패턴 모드이다.
종래기술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코 모드, 스포츠 모드 등과 같은 주행 패턴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스위치가 차량에 설치된다.
운전자는 상기 선택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원하는 주행 패턴 모드로 주행을 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주행 패턴 모드 선택 스위치를 통해, 원하는 주행 패턴 모드를 결정하는 방식은, 차량에 해당하는 모드의 선택 스위치를 일일이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주행 패턴 모드 선택 스위치를 통해, 원하는 주행 패턴 모드를 결정하는 방식은, 추가 모드가 생기는 경우 또는 주행 패턴 모드를 수정해야 하는 경우 업데이트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적응성과 업데이트 성능이 우수한 단말기(예; 스마트폰, 내비게이션)에 다양한 주행 패턴 메뉴와 상기 주행 패턴에 따른 주행관련 제어 정보를 제공하도록 된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이 단말기와 연동하여 차량 주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은, 차량의 주행을 제어하는 시스템으로서, 미리 설정된 차량 주행 패턴 제어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주행 패턴 모드 및 상기 선택된 주행 패턴 모드에 연관된 주행 패턴 제어관련 정보가 차량 제어기로 전송되도록 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에서 전송된 주행 패턴 모드 및 주행 패턴 제어관련 정보에 따라 주행에 관련된 차량의 피제어대상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기; 및 상기 단말기와 상기 차량 제어기 간의 신호 송수신을 중계하는 중계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행 패턴 모드는, 에코 모드(eco mode) 및 스포츠 모드(sports mod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행 패턴 제어관련 정보는, 상기 선택된 주행 패턴 모드에 적합한 변속 패턴, 요구토크 맵 정보, GPS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전기자동차로서, 상기 주행 패턴 제어관련 정보는 상기 선택된 주행 패턴 모드에 적합한 변속 패턴, 요구토크 맵 정보, GPS 정보, 타력 주행 토크 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에코 모드 선택시, 상기 에코 모드의 하부 메뉴로서 도심 주행, 고속도로 주행, 국도 주행, 산악지형 주행, 능동가변 주행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된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스포츠 모드 선택시, 상기 스포츠 모드의 하부 메뉴로서 Min 모드, Medium 모드, Max 모드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된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중계기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계기와 상기 단말기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상호간에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스마트폰, 네비게이션, 노트북 및 PDA(personal data assistant)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응성과 업데이트 성능이 우수한 단말기(예; 스마트폰, 내비게이션)에 다양한 주행 패턴을 선택하도록 하는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이 단말기와 연동하여 차량 주행을 제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차량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코 모드의 세부 주행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코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은, 설정된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주행 패턴을 선택하도록 하고, 선택된 주행 패턴에 따른 주행제어 정보를 제공하도록 된 단말기와 연동하여 차량 주행을 제어하는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 제어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차량 주행 패턴 제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주행 패턴 모드 및 상기 선택된 주행 패턴 모드에 연관된 주행 패턴 제어관련 정보가 차량 제어기로 전송되도록 하는 단말기(100); 상기 단말기(100)에서 전송된 주행 패턴 모드 및 주행 패턴 제어관련 정보에 따라 주행에 관련된 차량의 피제어대상(예; 엔진, 변속기 등)(400)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기(300); 및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차량 제어기(300) 간의 신호 송수신을 중계하는 중계기(200);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일례로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노트북 또는 PDA(personal data assistant)일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에 한정된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이와 다른 것이라고 하더라도 주행 패턴 모드를 선택하게 하고, 선택된 주행 패턴 모드와 관련된 제어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단말기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주행 패턴 제어 프로그램을 소위 앱(app)으로 다운로드(download) 받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중계기(200)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중계기(200)는 상기 단말기(100)와 차량 제어기(300) 사이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게이트웨이(gatewa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계기(200)는 상기 단말기(100)와 통신하기 위한 블루투스, 지그비 또는 NFC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중계기(200)는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차량 제어기(3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제어기(300)는 상기 중계기(200)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주행 패턴 모드와 주행 패턴 제어관련 정보에 따라 피제어대상(400)를 제어한다.
상기 피제어대상(40)에는 차량 주행과 관련한 엔진, 변속기, 구동모터(하이브리드 자동차인 경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 단말기(100)에 설치된 주행 패턴 제어 프로그램을 기동시킨다(S110).
상기 주행 패턴 제어 프로그램이 기동되면, 상기 단말기(100)의 화면에는 주행 패턴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주행 패턴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로는, 에코 모드 및 스포츠 모드가 있다.
상기 에코 모드는 연료 절감 주행 모드이고, 상기 스포츠 모드는 가속 성능 증대를 위한 모드이다.
상기 에코 모드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 메뉴로서 도심 주행, 국도 주행, 고속도로 주행, 산악 주행 등을 선택할 수 있는 하부 메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포츠 모드에는 가속 성능 증대의 정도에 따라 Min 모드, Medium 모드, Max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하부 메뉴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100)에서 원하는 주행 패턴 모드를 선택하면(S120), 선택된 주행 패턴 모드와 상기 선택된 주행 패턴 모드와 관련된 주행 패턴 제어관련 정보가 무선통신으로 중계기(200)로 전송된다(S130).
상기 주행 패턴 제어관련 정보는 해당 주행 패턴 모드에 적합한 변속 패턴, 가속 요구토크 맵 정보, GPS 정보, 타력 주행 토크 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정보는 기존의 차량에서 사용하고 있는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중계기(200)가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주행 패턴 모드와 주행 패턴 제어관련 정보를 수신하면, 이들을 차량 제어기(300)에 전송한다(S140).
상기 중계기(200)는 유선으로 신호 및 정보를 상기 차량 제어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제어기(300)가 상기 중계기(200)로부터 상기 주행 패턴 모드와 주행 패턴 제어관련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주행 패턴 모드와 상기 주행 패턴 제어관련 정보에 따라 피제어대상(예; 변속기, 엔진, 구동모터 등)을 제어하여 차량을 해당 주행 패턴 모드로 주행시킨다(S150)(S160).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100)에서 에코 모드 및 도심 주행 모드가 선택되었으면, 차량 제어기(300)는 중계기(200)를 통해 수신된 변속 패턴(또는 변속 맵) 및 요구토크 맵 정보에 따라 상기 에코 모드 중에서 도심 주행 모드로 차량을 주행시킨다.
상기 도심 주행 모드는, 예를 들어 최고 속도 60 km/h 부근에서 가다 서다를 반복하는 지형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도심 주행 모드에서의 변속 맵은, 일반 주행 모드 대비 빠른 업시프트(upshift)가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도심 주행 모드에서의 요구토크 맵은, 0~60 km/h 까지는 가속페달 위치 센서(APS; accelerator position sensor)의 신호에 따른 빠른 응답성능이 가능하도록 설정되고, 60 km/h 이상에서는 불필요한 가속 방지를 위해 APS의 신호에 따른 응답 지연을 유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차량이 하이브리드 차량인 경우, 상기 도심 주행 모드의 타력 주행 토크 맵은, 타력 주행 시 회생제동 토크를 증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100)에서 에코 모드 및 고속도로 주행 모드가 선택되었으면, 차량 제어기(300)는 중계기(200)를 통해 수신된 변속 패턴 및 요구토크 맵 정보에 따라 상기 에코 모드 중에서 고속도로 주행 모드로 차량을 주행시킨다.
상기 고속도로 주행 모드는, 예를 들어 최고속도 100~110 km/h로 정속 주행하는 구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고속도로 주행 모드에서의 변속 맵은 상기 도심 주행 모드의 변속 맵과 동일한 변속 맵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고속도로 주행 모드에서의 요구토크 맵은, 0~110 km/h 까지는 APS의 신호에 따른 빠른 응답성능이 가능하도록 설정되고, 110 km/h 이상에서는 불필요한 가속 방지를 위해 APS의 신호에 따른 응답 지연을 유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차량이 하이브리드 차량인 경우, 상기 고속도로 주행 모드의 타력 주행 토크 맵은, 상기 도심 주행 모드의 경우보다 회생량이 적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100)에서 에코 모드 및 국도 주행 모드가 선택되었으면, 차량 제어기(300)는 중계기(200)를 통해 수신된 변속 패턴 및 요구토크 맵 정보에 따라 상기 에코 모드 중에서 국도 주행 모드로 차량을 주행시킨다.
상기 국도 주행 모드는, 예를 들어 최고 속도 80 km/h 부근에서 정속 주행하는 구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국도 주행 모드에서의 변속 맵은, 상기 도심 주행 모드의 변속 맵과 동일한 변속 맵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국도 주행 모드에서의 요구토크 맵은, 0~80 km/h 까지는 APS의 신호에 따른 빠른 응답성능이 가능하도록 설정되고, 80 km/h 이상에서는 불필요한 가속 방지를 위해 APS의 신호에 따른 응답 지연을 유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차량이 하이브리드 차량인 경우, 상기 국도 주행 모드의 타력 주행 토크 맵은, 회생량이 고속도로 주행 모드 보다는 작고, 도심 주행 모드 보다는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100)에서 에코 모드 및 산악 주행 모드가 선택되었으면, 차량 제어기(300)는 중계기(200)를 통해 수신된 변속 패턴 및 요구토크 맵 정보에 따라 상기 에코 모드 중에서 산악 주행 모드로 차량을 주행시킨다.
상기 산악 주행 모드는, 예를 들어 도심보다 낮은 속도로 주행하는 구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산악 주행 모드에서의 변속 맵은, 상기 도심 주행 모드의 변속 맵과 동일한 변속 맵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산악 주행 모드에서의 요구토크 맵은, 0~50 km/h 까지는 APS의 신호에 따른 빠른 응답성능이 가능하도록 설정되고, 50 km/h 이상에서는 불필요한 가속 방지를 위해 APS의 신호에 따른 응답 지연을 유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차량이 하이브리드 차량인 경우, 상기 산악 주행 모드의 타력 주행 토크 맵은, 내리막시 타력 주행 토크 증대를 통해 에너지 회수량을 늘리기 위해 도심보다 타력 주행시 회생량을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100)에서 에코 모드 및 능동가변 주행 모드가 선택되었으면, 차량 제어기(300)는 GPS 정보를 기초로 현재 도로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현재 도로 상태에 적합한 주행 모드를 상기 도심, 국도, 고속도로, 산악 주행 모드 중에서 선택하여 차량을 능등적으로 주행시킨다.
도 4 내지 도 6에 상기 에코 모드와 관련한 차량의 주행 상태를 그래프로 나타내 보였다. 도 4에서 1→2 표시는 변속이 1단에서 2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100)에서 스포츠 모드 및 Min 모드가 선택되었으면, 차량 제어기(300)는 중계기(200)를 통해 수신된 변속 패턴 및 요구토크 맵 정보에 따라 차량의 스포츠 모드 중에서 Min 모드로 차량을 주행시킨다.
상기 스포츠 모드의 Min 모드는, 일반 주행 모드가 답답하다고 느끼는 운전자가 선택할 수 있는 모드로서, 스포츠 모드 중 가장 낮은 가속성능이 요구되는 모드이다.
상기 스포츠 모드의 Min 모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 주행 모드에 비해 업시프트(Upshift) 시점을 느리게 가져간다.
상기 스포츠 모드의 Min 모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구토크 변화율을 일반 주행 모드에 비해 높게 가져간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100)에서 스포츠 모드 및 Medium 모드가 선택되었으면, 차량 제어기(300)는 중계기(200)를 통해 수신된 변속 패턴 및 요구토크 맵 정보에 따라 차량의 스포츠 모드 중에서 Medium 모드로 차량을 주행시킨다.
상기 스포츠 모드의 Medium 모드는, 상기 Min 모드에 비해 가속 성능을 높인다.
상기 스포츠 모드의 Medium 모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Min 모드에 비해 업시프트(Upshift) 시점을 느리게 가져간다.
상기 스포츠 모드의 Medium 모드는, 요구토크 변화율을 상기 Min 모드에 비해 높게 가져간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100)에서 스포츠 모드 및 Max 모드가 선택되었으면, 차량 제어기(300)는 중계기(200)를 통해 수신된 변속 패턴 및 요구토크 맵 정보에 따라 차량의 스포츠 모드 중에서 Max 모드로 차량을 주행시킨다.
상기 스포츠 모드의 Max 모드는, 최대 가속 성능을 느낄 수 있도록 설정되는 모드이다.
상기 스포츠 모드의 Max 모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업시프트(Upshift) 시점을 한계 수순까지 느리게 가져간다.
상기 스포츠 모드의 Max 모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구토크 변화율을 한계 수준까지 크게 하여 응답성을 높인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응성과 업데이트 성능이 우수한 단말기(예; 스마트폰, 내비게이션)에 다양한 주행 패턴 메뉴와 상기 주행 패턴에 따른 주행 제어 정보를 제공하도록 된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이 단말기와 연동하여 차량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단말기
200: 중계기
300: 차량 제어기
400: 피제어대상

Claims (8)

  1. 차량의 주행을 제어하는 시스템으로서,
    미리 설정된 차량 주행 패턴 제어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주행 패턴 모드 및 상기 선택된 주행 패턴 모드에 연관된 주행 패턴 제어관련 정보가 차량 제어기로 전송되도록 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에서 전송된 주행 패턴 모드 및 주행 패턴 제어관련 정보에 따라 주행에 관련된 차량의 피제어대상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기; 및
    상기 단말기와 상기 차량 제어기 간의 신호 송수신을 중계하는 중계기;
    를 포함하는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주행 패턴 모드는, 에코 모드(eco mode) 및 스포츠 모드(sports mo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서
    상기 주행 패턴 제어관련 정보는, 상기 선택된 주행 패턴 모드에 적합한 변속 패턴, 요구토크 맵 정보, GPS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
  4. 제2항에서,
    상기 차량은 전기자동차로서, 상기 주행 패턴 제어관련 정보는 상기 선택된 주행 패턴 모드에 적합한 변속 패턴, 요구토크 맵 정보, GPS 정보, 타력 주행 토크 맵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
  5. 제2항에서,
    상기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에코 모드 선택시, 상기 에코 모드의 하부 메뉴로서 도심 주행, 고속도로 주행, 국도 주행, 산악지형 주행, 능동가변 주행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된 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
  6. 제2항에서,
    상기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스포츠 모드 선택시, 상기 스포츠 모드의 하부 메뉴로서 Min 모드, Medium 모드, Max 모드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된 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
  7. 제1항에서,
    상기 중계기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
  8. 제1항에서,
    상기 중계기와 상기 단말기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상호간에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
KR1020120144844A 2012-12-12 2012-12-12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 Active KR101427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844A KR101427947B1 (ko) 2012-12-12 2012-12-12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
US14/081,172 US9168896B2 (en) 2012-12-12 2013-11-15 Vehicle driv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DE102013223739.1A DE102013223739B4 (de) 2012-12-12 2013-11-20 System und verfahren der fahrzeug-fahrsteuerung
CN201310594988.4A CN103863330B (zh) 2012-12-12 2013-11-21 车辆驾驶控制系统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844A KR101427947B1 (ko) 2012-12-12 2012-12-12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379A true KR20140076379A (ko) 2014-06-20
KR101427947B1 KR101427947B1 (ko) 2014-08-08

Family

ID=50778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844A Active KR101427947B1 (ko) 2012-12-12 2012-12-12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68896B2 (ko)
KR (1) KR101427947B1 (ko)
CN (1) CN103863330B (ko)
DE (1) DE102013223739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15446A (zh) * 2015-07-28 2015-11-04 江西好帮手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进入汽车驾驶模式的控制方法及控制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24979A1 (en) * 2014-02-07 2015-08-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rive mode moderator for a vehicle
JP2016043720A (ja) * 2014-08-20 2016-04-0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車両用制御装置。
US9629189B2 (en) 2014-11-17 2017-04-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a user to adjust the operation of a powertrain in a vehicle, to adjust the appearance of a user interface device in the vehicle, and/or to adjust vehicle noise
CN105827674A (zh) * 2015-01-06 2016-08-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设置驾驶偏好的方法、车辆终端、移动终端及系统
US9932914B2 (en) * 2015-04-14 2018-04-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for increasing electric operation in hybrid electric vehicles
JP6761967B2 (ja) * 2015-04-21 2020-09-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運転支援方法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運転支援装置、自動運転制御装置、車両、プログラム
KR101673355B1 (ko) 2015-07-13 2016-11-1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타력 주행 토크 제어시스템 및 이에 의한 제어방법
CN105128771B (zh) * 2015-07-17 2019-03-15 重庆嗨驾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控制方法及车辆控制装置
CN105270407B (zh) * 2015-10-20 2017-10-31 广州橙行智动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驾驶汽车行驶模式切换方法及系统
JP6293197B2 (ja) * 2016-04-26 2018-03-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方法、および車両制御プログラム
CN107650909B (zh) * 2016-07-26 2020-02-2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车辆及其滑行能量回馈控制系统和方法、扭矩调节装置
CN106292432B (zh) * 2016-08-17 2020-07-17 深圳地平线机器人科技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10131300B2 (en) * 2016-09-01 2018-11-20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Wireless HVAC and infotainment system control for autonomous vehicles
US10189453B2 (en) 2016-10-05 2019-01-29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Coasting guidance timing and drive force adjustment
US9896106B1 (en) 2016-10-24 2018-02-20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Coasting distance determination for coasting assistance system
US9898928B1 (en) 2016-10-25 2018-02-20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Coasting guidance timing and learning based on approach lane
CN108340911A (zh) * 2017-01-22 2018-07-31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的控制方法、系统及车辆
JP6958255B2 (ja) 2017-11-07 2021-11-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CN108256233B (zh) * 2018-01-18 2021-10-01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基于驾驶员风格的智能车轨迹规划及跟踪方法和系统
CN112187838A (zh) * 2019-07-02 2021-01-05 联合汽车电子有限公司 一种网联汽车驾驶模式选择系统及其控制方法
WO2021038710A1 (ja) * 2019-08-27 2021-03-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CN113044037A (zh) 2019-12-28 2021-06-29 华为技术有限公司 智能汽车的控制方法、装置和控制系统
CN111332301A (zh) * 2020-02-24 2020-06-26 上汽通用汽车有限公司 自动挡汽车运行模式切换方法、介质、电子设备及车辆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7108B1 (en) * 1998-07-17 2002-07-30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vehicle transmission
JP2001241540A (ja) * 1999-12-24 2001-09-07 Aisin Aw Co Ltd 自動変速機制御装置、自動変速機制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DE10222665A1 (de) 2002-05-22 2003-12-11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Konfiguration einer Getriebesteuerung für Kraftfahrzeuge
DE10334587B4 (de) 2003-07-28 2018-12-06 Volkswag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fahrerabhängigen Einstellung von Fahrzeugfunktionen
US7678005B2 (en) * 2006-12-19 2010-03-16 Chrysler Group Llc Fixed speed operation in a hybrid transmission including sport and economy modes
JP2008220004A (ja) * 2007-03-01 2008-09-18 Toyota Motor Corp 車両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8352138B2 (en) * 2007-11-30 2013-01-08 Caterpillar Inc. Dynamic control system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2009248648A (ja) 2008-04-02 2009-10-29 Toyota Motor Corp ハイブリッド車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198147B2 (ja) 2008-05-26 2013-05-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駆動装置
CN101353017A (zh) * 2008-09-17 2009-01-28 南京天擎汽车电子有限公司 一种汽车手自一体自动变速器的电控装置及其控制方法
DE102009015415B4 (de) 2009-03-27 2017-05-1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Auswahl verschiedener Fahrmodi sowie Fahrzeug, insbesondere Motorrad mit einer Elektronik, die in verschiedene Fahrmodi umschaltbar ist
KR101114383B1 (ko) * 2009-11-19 2012-02-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방법
KR101010124B1 (ko) * 2010-07-13 2011-01-24 주식회사 하이홈티비 스마트 에코 하이브리드 통신을 이용한 차량운행 블랙박스 및 이를 통한 멀티모드 구동방법
KR101664498B1 (ko) 2010-09-07 2016-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의 avn 및 ecu 제어방법 및 제어시스템
KR101166351B1 (ko) 2011-01-31 2012-07-18 주식회사 와이즈오토모티브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의 운전 환경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15446A (zh) * 2015-07-28 2015-11-04 江西好帮手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进入汽车驾驶模式的控制方法及控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63330B (zh) 2019-07-09
KR101427947B1 (ko) 2014-08-08
CN103863330A (zh) 2014-06-18
US9168896B2 (en) 2015-10-27
US20140163776A1 (en) 2014-06-12
DE102013223739B4 (de) 2023-11-30
DE102013223739A1 (de) 2014-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7947B1 (ko) 차량 주행 제어 시스템
JP5247388B2 (ja) 車載システムおよび車載システムの操作制御方法
US8483612B2 (en) Vehicle-to-roadside and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thereof
CN103562039A (zh) 与经济性巡航控制装置有关的驾驶员交互
US2015005556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figuration of a vehicle-based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range
JP2011506158A (ja) 自動車エネルギ節約援助システム
JP2018074204A (ja) 車両用通信ユニット、省電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20142273A1 (en) In-vehicle apparatus
US20150274156A1 (en) Method for driver identification of preferred electric drive zones using a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KR102501354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CN102745083B (zh) 一种汽车巡航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111559276A (zh) 车辆的剩余能量可行驶距离预测系统
KR20180051905A (ko) 차량, 서버, 이를 포함하는 텔레매틱스 시스템 및 차량의 원격제어방법
CN110677920A (zh) 手机-车机互联系统及具有其的车辆和连接方法
CN102029983A (zh) 一种限速控制方法、系统及车载终端
KR20200090594A (ko)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를 작동시키는 방법 및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JP2009141568A (ja) 車載無線機
JP7253996B2 (ja) 車載用の非接触充電装置及び車両
JP6338464B2 (ja) 制御仕様変更システム及び車両
KR20170069092A (ko) Avn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전소 정보 제공 방법
CN213472944U (zh) 一种电动汽车的低速行人提示系统
JP2011227724A (ja) 車載端末および安全運転支援システム
JP2011237004A (ja) 駆動制御装置
JP2010196494A (ja) 車両運転支援装置
JP2016145633A (ja) 車両用シフトインジケー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8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