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2847A - Pressurizing apparatus for handler and handler - Google Patents
Pressurizing apparatus for handler and handl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72847A KR20140072847A KR1020140057895A KR20140057895A KR20140072847A KR 20140072847 A KR20140072847 A KR 20140072847A KR 1020140057895 A KR1020140057895 A KR 1020140057895A KR 20140057895 A KR20140057895 A KR 20140057895A KR 20140072847 A KR20140072847 A KR 2014007284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ssing member
- module
- sockets
- carrier
- handl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MXEIKUWMKSYEII-UHFFFAOYSA-N (+)-GB-1b Natural products C1=CC(O)=CC=C1C1OC2=C(C3C(C4=C(O)C=C(O)C=C4OC3C=3C=CC(O)=CC=3)=O)C(O)=CC(O)=C2C(=O)C1 MXEIKUWMKSYEI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3
- MXEIKUWMKSYEII-DETITRACSA-N GB1a Natural products C1=CC(O)=CC=C1[C@H]1OC2=C([C@H]3C(C4=C(O)C=C(O)C=C4O[C@@H]3C=3C=CC(O)=CC=3)=O)C(O)=CC(O)=C2C(=O)C1 MXEIKUWMKSYEII-DETITRACSA-N 0.000 description 13
- IMIXFUXOSFSXPC-BIAAKGSFSA-N GB2a Natural products O=C1[C@H]([C@@H](c2ccc(O)cc2)Oc2c1c(O)cc(O)c2)c1c(O)cc(O)c2C(=O)C[C@@H](c3cc(O)c(O)cc3)Oc12 IMIXFUXOSFSXPC-BIAAKGSFSA-N 0.000 description 13
- 108010090953 subunit 1 GABA type B receptor Protein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56 performance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01R31/2867—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e.g. loaders, carriers, tray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93—Handling, conveying or loading, e.g. belts, boats, vacuum fing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30—Structur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r specially adapted for reliability measur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아이씨 핸들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캐리어에 적재된 모듈아이씨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으며, 별도의 가압부재가 필요 없어서 테스트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제작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dule IC handler in which a position of a module module mounted on a carrier can be corrected, and a technique for reducing manufacturing cost while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a test, .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듈아이씨 핸들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듈아이씨를 적재한 상태로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는 캐리어 등에 관한 것이다.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e IC hand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rrier used for carrying a module IC in a loaded state.
모듈아이씨(Module IC, 또는 '모듈램'이라고도 함)는 기판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복수개의 아이씨 및 기타 소자를 고정하여 독립적인 회로를 구성한 것으로, 컴퓨터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중요한 부품이며 가격이 고가이다.A module IC (also referred to as a module IC or a 'module RAM') is an independent circuit formed by fixing a plurality of ICs and other devices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a substrate, and is an important part necessary for operation of a computer device. It is expensive.
따라서 제품을 완성한 후 출하하기 전에 반드시 엄격한 성능 테스트를 수행하여야만 한다.Therefore, strict performance tests must be performed before shipment after product completion.
그러한 모듈아이씨의 테스트를 위해서는 테스터 외에 모듈아이씨를 테스터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는 모듈아이씨 핸들러가 필요하다.In order to test such a module, you need a module IC handler that can electrically connect the module IC to the tester in addition to the tester.
모듈아이씨 핸들러는 로딩부에서 픽업장치에 의해 모듈아이씨를 캐리어에 적재시킨 후, 이송장치에 의해 모듈아이씨가 적재된 캐리어를 테스트챔버로 이송시켜 캐리어에 적재된 모듈아이씨들의 테스트를 지원하고, 적재된 모듈아이씨들의 테스트가 완료된 캐리어를 또 다른 이송장치에 의해 소팅부로 이송한 다음, 모듈아이씨들을 테스트 결과에 따라 분류하는 일련의 작업을 수행한다.The module ICH handler loads the module IC by the pick-up device in the loading section, carries the module IC by the transfer device to the test chamber, supports testing of the module ICs loaded in the carrier, After the carriers tested by the module modules are transferred to the sorting section by another transfer device, a series of operations for sorting module modules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is performed.
이와 같은 모듈아이씨 핸들러의 일예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2-0056255호(발명의 명칭 : 모듈 아이씨 핸들러용 캐리어)로 개시된 기술 등(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이 있다.An example of such a module CI handler is a technique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2-0056255 (the name of the invention: a carrier for a module CI handl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rior art").
종래기술을 통해 제시된 캐리어를 살펴보면, 모듈아이씨를 파지하는 소켓이 이동이 불가하도록 고정되어 있고, 소켓 자체적으로 압축스프링(136)과 별도의 가압부재(134) 등을 가지는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다.The carrier shown in the prior art has a complicated structure in which the socket holding the module IC is fixed so as not to be movable and the socket itself has a compression spring 136 and a separate pressing member 134.
한편, 테스트챔버에서 캐리어에 적재된 상태의 모듈아이씨들은 테스터에 있는 테스트소켓들과 항상 정확하게 대응되는 위치에서 테스트소켓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야만 한다. 왜냐하면, 동시에 테스트되는 모듈아이씨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위치가 테스트소켓들의 위치와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모듈아이씨가 테스트소켓과 정확한 전기적인 접속을 할 수 없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the module children loaded in the carrier in the test chamber must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st sockets at exactly the right correspondence with the test sockets on the tester. This is because, if the position of some or all of the module ICs tested at the same time is out of position with the test socke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module IC can not make an accurate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test socket.
그런데 종래기술에 의하면 소켓들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소켓들에 파지된 모듈아이씨들 중 일부나 전부가 테스트소켓과 위치가 정확히 대응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모듈아이씨들의 위치를 보정할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since the sockets are fixed so as not to move, even if some or all of the module children held in the sockets do not exactly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test socket, There is a problem.
또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복잡한 소켓의 구성들로 인하여 캐리어의 제작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도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carrier is increased due to the complicated configuration of the socket.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소켓에 파지된 모듈아이씨의 위치를 보정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ique capable of correcting the position of a module IC held in a socket.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별도의 가압부재가 필요 없는 등 소켓이나 기타 캐리어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ique that can simplify the structure of elements constituting a socket or other carrier, such as the need for a separate pressing member.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듈아이씨 핸들러는, 모듈아이씨를 적재 및 운반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에 모듈아이씨를 적재시키거나 상기 캐리어로부터 모듈아이씨를 이탈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조정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는, 사각 틀 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서로 마주 보는 방향(이하 '내측 방향'이라 함)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결합대; 상기 한 쌍의 결합대에 설치되며, 서로 마주보는 2개가 서로 쌍을 이루어 모듈아이씨(Module IC)의 양단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는 2×N(N ≥ 1)개의 소켓 - 상기 한 쌍의 결합대 각각에는 N개의 소켓이 설치되며, 일 측 결합대에 설치된 소켓과 타 측 결합대에 설치된 소켓은 내측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됨 -; 및 상기 2×N개의 소켓들 각각에 내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기 위해 마련되는 복수의 탄성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2×N개의 소켓들은 내측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이하 '외측 방향'이라 함)으로 소정 간격만큼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한 쌍의 결합대에 설치되고, 상기 조정장치는 상기 2×N개의 소켓들을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 module ICH hand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rrier arranged to load and carry a module IC; And an adjustment device that enables loading or unloading of the module ICU from or to the carrier; Wherein the carrier comprises: a rectangular frame-shaped frame; A pair of coupling bars fixed to the frame and symmetrically arrang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ner direction'); 2 x N (N > = 1) sockets provided in the pair of coupling rods and provided so that two opposing pairs are mutually paired to hold both ends of a module IC, The socket provided in the one side coupling bar and the socket provided in the other side coupling bar ar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in the inward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provided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inwardly to each of the 2 x N sockets; Wherein the 2 × N sockets are provided on the pair of coupling rods so as to be movabl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ide dir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outside direction'), Move the N sockets outward.
상기 한 쌍의 결합대 각각은 소켓들이 삽입될 수 있는 N개의 소켓삽입홈을 가지며, 상기한 소켓삽입홈의 마주 보는 벽면 간의 폭은 소켓의 폭포다 더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each of the pair of coupling bars has N socket insertion slots into which the sockets can be inserted, and a width between opposing wall surfaces of the socket insertion slots is wider than a waterfall of the socket.
상기 한 쌍의 결합대에는 각각 상기 2×N개의 소켓들 각각에 대응되는 스토퍼들을 가지며, 상기 2×N개의 소켓들 각각은 외측 방향으로 이동할 시에 상기한 스토퍼에 걸리는 제한돌기를 가짐으로써 상기 2×N개의 소켓들의 외측 방향으로의 과이동이 방지된다.Wherein each of the pair of coupling bands has stopper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2 x N sockets and each of the 2 x N sockets has a limiting protrusion that is caught on the stopper when the socket moves outward, The movement of the N number of sockets in the outward direction is prevented.
상기 2×N개의 소켓들 각각은 소켓의 위치가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each of the 2.times.N sockets has a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position of the socket.
상기 조정장치는, 상기 2×N개의 소켓들 각각에 형성된 안내홈들에 각각 삽입될 수 있는 2×N개의 안내봉들을 가지는 조정판; 및 상기 조정판을 상기 캐리어 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한 안내봉들이 상기한 안내홈들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원; 을 포함하고, 상기한 안내봉의 중심은 대응하는 안내홈의 중심보다 외측 방향에 위치되어 있어서 안내봉이 안내홈에 삽입되면서 소켓이 상기한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외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adjusting device comprising: an adjusting plate having 2 x N guide rods each of which can be inserted into guide grooves formed in each of the 2 x N sockets; And a moving source for moving the adjusting plate to the carrier side so that the guide rods can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s; And the center of the guide rod is located outside the center of the corresponding guide groove so that the guide rod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so that the socket can overcome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nd move in the outward direction .
상기 2×N개의 안내봉들 각각은 상기 이동원의 동작에 의해 상기 조정판이 상기 캐리어 측으로 이동할 시에 안내홈에 먼저 삽입되는 삽입 부분과 상기 삽입 부분보다 더 넓은 외경을 가지는 비삽입 부분으로 나뉘는 것이 바람직하다.
Each of the 2 x N guide rods is preferably divided into an insertion portion which is inserted first in the guide groove and a non-insertion portion which is wider than the insertion portion when the adjustment plate is moved toward the carrier side by the movement of the source Do.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캐리어에 적재된 모듈아이씨의 위치가 보정될 수 있기 때문에 모듈아이씨와 테스트소켓의 전기적 접속을 정확히 유도하여 테스트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캐리어의 구성이 단순화되어 제작단가가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osition of the module IC mounted on the carrier can be corrected,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module IC and the test socket can be accurately derive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test, Can be saved.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캐리어에 대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캐리어를 설명하는 데 참조하기 위한 과장도이다.
도4는 도2의 캐리어에 모듈아이씨가 적재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5a 내지 도5c는 도1의 캐리어에 모듈아이씨가 적재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정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7 내지 도10은 도6의 조정장치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11은 캐리어에 적재된 모듈아이씨의 위치 보정에 관한 설명에 참조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rrier of Figure 1;
3 is an exaggerated view for reference to explain the carrier of Fig.
4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module A is loaded on the carrier shown in FIG.
Figures 5A-5C are schematic diagrams for reference to illustrate the operation in which the module AIC is loaded on the carrier of Figure 1;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 to 10 are reference views for describing the adjustment device of Fig.
11 is a reference diagram for reference to a description of the position correction of the module IC mounted on the carrier.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중복되는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simplicity of description, redundant description is omitted or compressed as much as possible.
<캐리어에 대한 예><Example of Carrier>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100)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캐리어(100)에 대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캐리어(100)는, 도1 및 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프레임(110), 한 쌍의 결합대(121, 122), 2×16개의 소켓(131a 내지 131p, 132a 내지 132p), 2×16개의 스프링(141a 내지 141p, 142a 내지 142p) 및 한 쌍의 이탈방지대(151, 15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the
프레임(110)은, 사각 틀 형상으로서, 상기한 한 쌍의 결합대(121, 122), 2×16개의 소켓(131a 내지 131p, 132a 내지 132p), 2×16개의 스프링(141a 내지 141p, 142a 내지 142p) 및 한 쌍의 이탈방지대(151, 152) 등을 직간접적으로 지지한다.The
한 쌍의 결합대(121, 122)는, 프레임(110)에 고정되며, 서로 마주보는 방향(이하 '내측 방향'이라 함)으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한 쌍의 결합대(121, 122) 각각에는 소켓(131a 내지 131p, 132a 내지 132p)이 삽입될 수 있는 16개의 소켓삽입홈(IG)이 내측 방향으로 열려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소켓(131a 내지 131p, 132a 내지 132p)이 내측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이하 '외측 방향'이라 함)으로 과이동 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SP)를 가진다. 그리고 도3의 과장도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소켓삽입홈(IG)의 서로 마주보는 벽면 간의 폭(W1)은 소켓(131a 내지 131p, 132a 내지 132p)의 폭(W2)보다 더 넓어서 소켓삽입홈(IG)에 삽입된 소켓(131a 내지 131p, 132a 내지 132p)이 화살표 방향(a)으로 일정 정도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pair of
2×16개의 소켓(131a 내지 131p, 132a 내지 132p)들은 외측 방향으로 소정 간격만큼 이동 가능하게 한 쌍의 결합대(121, 122)에 나뉘어 설치되는 데, 그 중 16개는 일 측의 결합대(121)에 설치되고, 나머지 16개는 타 측의 결합대(122)에 설치된다. 이러한 소켓(131a 내지 131p, 132a 내지 132p)들은 모듈아이씨를 파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도4의 참조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서로 마주한 한 쌍의 소켓(131a, 132a)들이 하나의 모듈아이씨(M)의 양단을 파지하게 된다. 또한, 각각의 소켓(131a 내지 131p, 132a 내지 132p)들은 그 저면에 소켓(131a 내지 131p, 132a 내지 132p)의 위치가 안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내홈(GG, 도5a 등 참조)을 가지고 있으며, 스프링(141a 내지 141p, 142a 내지 142p)의 탄성력에 의한 과이동이 제한될 수 있게 하방향으로 돌출된 제한돌기(LP)를 가진다. 이러한 제한돌기(LP)는, 외측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 의하여 소켓(131a 내지 131p, 132a 내지 132p)이 외측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결합대(121, 122)의 스톱퍼(SP)에 걸려 요구되는 거리 이상 외측방향으로 소켓(131a 내지 131p, 132a 내지 132p)이 이동되는 것이 제한되도록 한다. 이는 마주보는 소켓(131a 내지 131p, 132a 내지 132p)이 외측방향으로 이동할 때, 사용 중 장비의 노후화 혹은 조립 이상 등으로 인하여 소켓(131a 내지 131p, 132a 내지 132p)이 외측방향으로 과도하게 이동하면, 모듈아이씨가 소켓(131a 내지 131p, 132a 내지 132p)에 걸리지 않고 밑으로 빠질 수 가 있기 때문이다.The 2 x 16
2×16개의 스프링(141a 내지 141p, 142a 내지 142p) 각각은, 결합대(121, 122)와 소켓(131a 내지 131p, 132a 내지 132p) 간을 탄성 지지하도록 배치되며, 소켓(131a 내지 131p, 132a 내지 132p)에 내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기 위한 탄성부재로서 마련된다.Each of the 2 x 16
한 쌍의 이탈방지대(151, 152) 각각은, 한 쌍의 결합대(121, 122)에 고정 설치되며, 소켓(131a 내지 131p, 132a 내지 132p)들이 상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Each of the pair of
계속하여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캐리어(100)에 모듈아이씨가 적재되는 동작을 도5a 내지 도5c의 개략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in which the
도5a에서와 같이, 스프링(141a, 142a)이 소켓(131a, 132a)을 내측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서로 마주보는 소켓(131a, 132a)들 간의 간격이 좁아 모듈아이씨(M)가 적재되어질 수 없다.As shown in FIG. 5A, when the
그러나 도5b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소켓(131a, 132a)에 외력이 가해져서 소켓(131a, 132a)을 외측 방향으로 밀어서 소정 간격만큼 이동시키면 서로 마주보는 소켓(131a, 132a)들 간의 간격이 넓어져 모듈아이씨(M)가 적재되어질 수 있는 상태로 된다.However, as shown in FIG. 5B,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모듈아이씨(M)가 서로 마주보는 소켓(131a, 132a)들에 의해 양단이 파지된 상태에서 양 소켓(131a, 132a)에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되면, 도5c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스프링(141a, 142a)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소켓(131a, 132a)들이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파지된 모듈아이씨(M)의 양단을 내측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모듈아이씨(M)가 견고하게 파지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가압부재 대신 소켓(131a 내지 131p, 132a 내지 132p) 자체가 모듈아이씨(M)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both
<조정장치에 대한 예><Example of adjustment device>
상술한 바와 같이, 캐리어(100)에 모듈아이씨를 적재시키기 위해서는 소켓(131a 내지 131p, 132a 내지 132p)에 별도의 외력을 가함으로써 서로 마주보는 소켓쌍(131a - 132a 내지 131p - 132p) 간의 간격을 넓혀야 하며,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도6과 같은 별도의 조정장치(600)가 마련된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load the
조정장치(600)는, 도6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조정판(610) 및 실린더(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6, the adjusting
조정판(610)은, 승강 가능하며, 상면에 2×16개의 안내봉(GB1a 내지 GB1p, GB2a 내지 GB2p)을 가진다. 2×16개의 안내봉(GB1a 내지 GB1p, GB2a 내지 GB2p) 각각은 캐리어(100)의 2×16개의 소켓(131a 내지 131p, 132a 내지 132p)들의 저면에 형성된 안내홈(GG)에 삽입되어짐으로써 소켓(131a 내지 131p, 132a 내지 132p)들에 외측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는 주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The
각각의 안내봉(GB1a 내지 GB1p, GB2a 내지 GB2p)은, 도7의 참조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측 부분(T)보다 하측 부분(B)의 외경이 더 넓다. 만약 안내봉(GB1a 내지 GB1p, GB2a 내지 GB2p)의 하측부분(B)을 상측부분(T)의 외경과 동일하게 설계를 할 경우, 긴 안내봉(GB1a 내지 GB1p, GB2a 내지 GB2p)이 작동 중 휘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소켓(131a 내지 131p, 132a 내지 132p)에 삽입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의 외경을 크게 하여, 안내봉(GB1a 내지 GB1p, GB2a 내지 GB2p)이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8의 참조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안내봉(GB1a 내지 GB1p, GB2a 내지 GB2p)의 중심(Ca)이 소켓(131a 내지 131p, 132a 내지 132p)의 안내홈(GG)의 중심(Cb)보다 일정 간격(S)만큼 외측으로 치우쳐 위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측 부분(T)은 하방으로 갈수록 그 외경이 커지는 형상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도9의 참조도에서와 같이, 조정판(610)이 상승할 시에, 안내봉(GB1a 내지 GB1p, GB2a 내지 GB2p)의 뾰족한 끝부분이 안내홈(GG)의 가장자리에 삽입되면서부터 소켓(131a 내지 131p, 132a 내지 132p)에 외측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게 된다.Each guide rod GB1a to GB1p and GB2a to GB2p has a larger outer diameter of the lower portion B than the upper portion T as shown in the reference diagram of Fig. If the lower portions B of the guide rods GB1a to GB1p and GB2a to GB2p are designed to have the same outer diameter as that of the upper portion T, the long guide rods GB1a to GB1p, GB2a to GB2p, The outer diameters of the portions excluding the portions to be inserted into the
실린더(620)는 조정판(610)을 승강 이동시키는 이동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 도10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실린더(620)가 조정판(610)을 캐리어(100) 측 방향으로 상승시키기 위한 동작을 완료한 경우에도 안내봉(GB1a 내지 GB1p, GB2a 내지 GB2p)의 상측 부분만이 안내홈(GG)에 삽입되어지고 안내봉(GB1a 내지 GB1p, GB2a 내지 GB2p)의 하측 부분은 안내홈(GG)에 삽입되지 않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캐리어(100) 및 조정장치(600)에서 조정장치(600)가 캐리어(100)에 모듈아이씨를 적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캐리어(100)를 조정하거나 조정을 해제하는 동작에 대해서 살펴본다.The operation of adjusting the
실린더(620)가 동작하여 조정판(610)이 상승하게 되면, 조정판(610)의 안내봉(GB1a 내지 GB1p, GB2a 내지 GB2p)이 소켓(131a 내지 131p, 132a 내지 132p)의 안내홈(GG)에 삽입되어지면서 소켓(131a 내지 131p, 132a 내지 132p)이 외측 방향으로 밀려 이동하게 되고, 조정장치(600)의 조정이 완료된 상태가 되면 소켓(131a 내지 131p, 132a 내지 132p)이 외측 방향으로 최대한 밀려 이동한 상태로 되어 캐리어(100)에 모듈아이씨가 적재될 수 있게 된다.The guide rods GB1a to GB1p and GB2a to GB2p of the adjusting
그리고 픽업장치(미도시)에 의해 캐리어(100)에 16개의 모듈아이씨가 모두 적재되면, 실린더(620)가 역동작하여 조정판(610)을 하강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스프링(141a 내지 141p, 142a 내지 142p)의 작용에 의해 소켓(131a 내지 131p, 132a 내지 132p)이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적재된 모듈아이씨의 양단을 탄성 가압함으로써 모듈아이씨를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When sixteen module modules are loaded on the
한편, 상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모듈아이씨를 캐리어(100)에 적재시키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지만, 모듈아이씨를 캐리어(100)로부터 이탈시키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In the meantime, although the description of the above embodiment is based on the case where the module IC is loaded on the
또한, 조정판(610)의 안내봉(GB1a 내지 GB1p, GB2a 내지 GB2p)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테스트챔버(미도시)나 테스터(미도시) 측에 구비하게 되면, 테스트소켓(미도시)의 위치에 정확히 대응되게 모듈아이씨의 위치를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위해 필요한 경우에는 안내홈(GG) 외에 소켓(131a 내지 131p, 132a 내지 132p)에 별도의 홈을 더 구성하는 것도 얼마든지 고려될 수 있다.If a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as the guide rods GB1a to GB1p and GB2a to GB2p of the
따라서 도11의 과장도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모듈아이씨(M)의 위치를 내외측 방향(D1) 및 평면상에서 내외측 방향과 수직한 방향(D2)으로 이동 보정할 수 있어서 모듈아이씨(M)의 위치를 테스트소켓(TS)의 위치에 정확하게 대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Therefore, as shown in the exaggerated view of FIG. 11, it is possible to correct the position of module module C in the outward and inbound directions D 1 and in the plane D 2 perpendicular to the inward and outward directions on the plane, M can be precisely matched to the position of the test socket TS.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the following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 캐리어
110 : 프레임
121, 122 : 결합대
IG : 삽입홈, ST : 스토퍼
131a 내지 131p, 132a 내지 132p : 소켓
GG : 안내홈, LP : 제한돌기
141a 내지 141p, 142a 내지 142p : 스프링
151, 152 : 이탈방지대
600 : 조정장치
610 : 조정판
GB1a 내지 GB1p, GB2a 내지 GB2p : 안내봉
620 : 실린더100: Carrier
110: frame
121, 122:
IG: Insertion groove, ST: Stopper
131a to 131p, 132a to 132p:
GG: guide groove, LP: restriction projection
141a to 141p, 142a to 142p: spring
151 and 152:
600: adjusting device
610: Adjustment Panel
GB1a to GB1p, GB2a to GB2p:
620: Cylinder
Claims (3)
상기 가압부재에 내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에는 위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고,
조정장치에 구비된 조정판의 안내봉이 상기 조정판의 상승에 따라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가압부재에 외측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도록, 상기 안내홈은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안내봉의 중심이 상기 안내홈의 중심보다 일정 간격 외측으로 치우쳐 위치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러용 가압장치.A pressing member installed on the carrier so as to be movable; And
An elastic member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pressing member in an inward direction; Lt; / RTI >
Wherein the press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pressing member,
The guiding rod of the adjusting plate provided on the adjusting device is inserted into the guiding groove along with the rising of the adjusting plate so that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ressing member in the outward direction, And is formed so as to be biased toward the outside of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Handler pressure device.
상기 가압부재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안내봉을 가지는 조정판과 상기 조정판을 승강 이동시키는 이동원을 구비한 조정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에는 위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고,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안내봉의 중심이 상기 안내홈의 중심보다 일정 간격 외측으로 치우쳐 위치됨으로써, 상기 조정판이 상승하여 상기 안내봉이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면 상기 가압부재에 외측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가압부재가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조정판이 하강하면 상기 탄성부재의 작용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가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압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러.A carrier having a pressing member which is positionally movable and an elastic member which applies an elastic force inward to the pressing member; And
An adjusting device having an adjusting plate having a guide rod for moving the position of the pressing member and a moving source for moving the adjusting plate up and down; / RTI >
Wherein the press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pressing member,
When the guide rod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an external force is exerted on the pressing member in the outward direction, so that the pressing force is applied to the pressing member, Wherein the pressing member is moved in the outward direction, and when the adjusting plate is lowered, the pressing member is moved inward by the action of the elastic member
Handler.
상기 안내봉의 상측 부분은 하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상기 조정판이 상승할 시에 상기 안내봉의 뾰족한 끝부분이 상기 안내홈의 가장자리에 삽입되면서부터 상기 가압부재에 외측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bar has a shape that increases in outer diameter toward the lower side so that when the adjustment plate is lifted, a pointed end of the guide rod is inserted into the edge of the guide groove,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Handl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7895A KR101439128B1 (en) | 2014-05-14 | 2014-05-14 | Pressurizing apparatus for handler and handl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7895A KR101439128B1 (en) | 2014-05-14 | 2014-05-14 | Pressurizing apparatus for handler and handler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56214A Division KR101439129B1 (en) | 2010-06-14 | 2010-06-14 | Module ic handl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72847A true KR20140072847A (en) | 2014-06-13 |
KR101439128B1 KR101439128B1 (en) | 2014-09-18 |
Family
ID=51126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57895A Active KR101439128B1 (en) | 2014-05-14 | 2014-05-14 | Pressurizing apparatus for handler and handl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3912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58164A (en) * | 2017-11-21 | 2019-05-29 | (주)테크윙 | Opening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handler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02517B1 (en) * | 1998-11-09 | 2001-09-22 | 정문술 | Carrier for module I.C handler |
KR100361809B1 (en) | 2000-12-29 | 2002-11-22 | 미래산업 주식회사 | Carrier used in handler for testing module IC |
KR100819836B1 (en) | 2007-06-08 | 2008-04-08 | 미래산업 주식회사 | Carrier module, test handler using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same |
KR100941671B1 (en) * | 2008-02-05 | 2010-02-12 | (주)테크윙 | Carrier board transfer method for handlers and handlers to support electronic component inspection |
-
2014
- 2014-05-14 KR KR1020140057895A patent/KR101439128B1/en active Active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58164A (en) * | 2017-11-21 | 2019-05-29 | (주)테크윙 | Opening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handler |
TWI699319B (en) * | 2017-11-21 | 2020-07-21 | 韓商泰克元股份有限公司 | Opening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handler |
KR20210090136A (en) * | 2017-11-21 | 2021-07-19 | (주)테크윙 | Opening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handler |
KR20220131374A (en) * | 2017-11-21 | 2022-09-27 | (주)테크윙 | Opening device for electronic component handlers |
KR20240011210A (en) * | 2017-11-21 | 2024-01-25 | (주)테크윙 | Carrier frame for electronic device handler |
KR20240082291A (en) * | 2017-11-21 | 2024-06-10 | (주)테크윙 | Carrier frame for electronic device handl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39128B1 (en) | 2014-09-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39129B1 (en) | Module ic handler | |
US20140210504A1 (en) | Testing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testing | |
US11237207B2 (en) | Semiconductor test socket with a floating plate and latch for holding the semiconductor device | |
KR101782600B1 (en) | Apparatus for testing semiconductor package | |
KR101912949B1 (en) | Test socket for ball grid array package | |
KR101361494B1 (en) | Pick and place apparatus | |
KR101439128B1 (en) | Pressurizing apparatus for handler and handler | |
KR101499574B1 (en) | Module ic handler and loading method in module ic handler | |
KR20170055618A (en) | Elastic contact pins and Test socket including thereof | |
KR101077940B1 (en) | Semiconductor Package Insert Device | |
TWI708448B (en) | Socket for electrical parts | |
US8366454B2 (en) | Socket for electrical component | |
US7708572B2 (en) | Burn-in socket having protecting device | |
KR20100023257A (en) | Supporting unit for testing a semiconductor package | |
KR20170100837A (en) | Test socket for semiconductor package | |
KR102287237B1 (en) | Insert assembly for receiving semiconductor device and test tray including the same | |
KR20170125489A (en) | Apparatus for testing semiconductor package | |
US9188605B2 (en) | Integrated circuit (IC) test socket with Faraday cage | |
KR20140131421A (en) | Apparatus for contacting semiconductor device in a test handler | |
US10274535B2 (en) | Electric component socket | |
KR101320645B1 (en) | Connecting module equipped within test socket for semiconductor package and the test socket comprising the same | |
KR100267213B1 (en) | Device for contacting micro-bga type semicondoctor on socket of handler | |
KR102220334B1 (en) | Insert assembly for receiving electronic device | |
KR20130002023U (en) | Customer tray Transferring arm | |
KR20120120595A (en) | Contact pin with multicontact point and the socket for test of semiconductor package compri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514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00614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000562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9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9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