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67138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7138A
KR20140067138A KR1020147010289A KR20147010289A KR20140067138A KR 20140067138 A KR20140067138 A KR 20140067138A KR 1020147010289 A KR1020147010289 A KR 1020147010289A KR 20147010289 A KR20147010289 A KR 20147010289A KR 20140067138 A KR20140067138 A KR 20140067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ave portion
sheet
compression
skin
facing surf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0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2622B1 (ko
Inventor
히로유키 하라다
가츠히로 우에마츠
유스케 코사코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67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7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62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consisting of grooves, e.g. channels, depressions or embossments, resulting in a heterogeneous surface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 A61F2013/5372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with capillary means
    • A61F2013/537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with capillary means with compressed l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2013/5376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zed by its geometry
    • A61F2013/5377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zed by its geometry with groo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두께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고, 부드러움을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착용자가 불쾌하게 느끼는 일이 없고, 장시간, 표면 시트에 체액이 잔류하는 일이 없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흡수성 물품인 생리대(10)는, 서로 직교하는 세로 방향(Y)과 가로 방향(X)과 두께 방향(Z)을 갖고, 두께 방향(Z)의 한쪽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액체 투과성의 표면 시트(11)와, 두께 방향(Z)의 다른쪽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12)와, 표면 시트(11) 및 이면 시트(12)의 사이에 개재되는 흡액성 구조체(20)를 구비하고 있다. 흡액성 구조체(20)는,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액체 투과성의 제1 시트(21)와, 피부 비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제2 시트(22)와, 제1 시트(21) 및 제2 시트(22)의 사이에 개재되는 체액 흡수성의 코어 재료(23)를 구비하고 있다. 흡액성 구조체(20)의 일부에는, 피부 비대향면측으로부터 피부 대향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압착된 압착 오목부(30)를 형성하고 있다. 압착 오목부(30)는, 두께 방향(Z)의 치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고압착 오목부(31)와, 두께 방향(Z)의 치수가 상대적으로 큰 저압착 오목부(32)를 구비한다. 고압착 오목부(31)는, 세로 방향(Y) 및 가로 방향(X)에 있어서, 점재하는 양태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저압착 오목부(32)는, 세로 방향(Y) 및 가로 방향(X)에 있어서, 고압착 오목부(31)와 고압착 오목부(31)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실금 패드, 팬티라이너, 생리대, 분비물 흡수용 패드, 소변 흡수 패드, 종이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두께 방향의 한쪽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액체 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두께 방향의 다른쪽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액체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표면 시트 및 이면 시트의 사이에 개재되는 흡액성 구조체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은 공지이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와, 흡액성 구조체를 구비하는 생리대가 개시되어 있다. 해당 생리대의 일부에는, 피부 대향면측으로부터 피부 비대향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압착된 압착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 생리대에 따르면, 압착 오목부를 형성한 부위에서는, 두께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고, 그리고 압착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지 않은 부위에서는, 부드러움을 유지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3-33397호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압착 오목부는, 표면 시트로부터 이면 시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흡수성 물품의 피부 대향면에는, 압착 오목부에 의한 요철이 존재하고, 그리고 표면 시트는, 압착 오목부를 형성할 때에 열이나 힘에 의해서 손상된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을 착용자의 피부에 맞닿게 한 경우, 표면 시트가 용융하여 생긴 덩어리가 착용자의 피부에 맞닿음으로써 착용자가 불쾌하게 느끼거나, 해당 요철에 체액이 장시간 잔류하거나 하는 과제가 존재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두께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고, 부드러움을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착용자가 불쾌하게 느끼는 일이 없고, 장시간, 표면 시트에 체액이 잔류하는 일이 없는 흡수성 물품의 제공을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서로 직교하는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과 두께 방향을 갖고, 두께 방향의 한쪽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액체 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두께 방향의 다른쪽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와, 표면 시트 및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개재되는 흡액성 구조체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을 전제로 한다.
이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특징은, 흡액성 구조체는,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액체 투과성의 제1 시트와, 피부 비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제2 시트와, 제1 시트 및 제2 시트의 사이에 개재하는 체액 흡수성의 코어 재료를 구비하고 있다. 흡액성 구조체의 일부에는, 피부 비대향면측으로부터 피부 대향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압착된 압착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다. 압착 오목부는, 두께 방향의 치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고압착 오목부와, 상기 두께 방향의 치수가 상대적으로 큰 저압착 오목부를 구비한다. 고압착 오목부는,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에 있어서, 점재하는 양태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저압착 오목부는,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에 있어서, 고압착 오목부와 고압착 오목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흡액성 구조체의 일부에, 두께 방향으로 압착된 압착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압착 오목부를 형성한 부위에서는, 두께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고, 그리고 압착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지 않은 부위에서는, 부드러움을 유지할 수 있다.
덧붙여, 흡액성 구조체의 일부에는, 피부 비대향면측으로부터 피부 대향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압착된 압착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흡액성 구조체의 피부 대향면측에 배치하는 표면 시트에는 압착 오목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열이나 힘이 가해짐에 따라 표면 시트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가 불쾌하게 느끼는 일이 없다. 더구나, 표면 시트에 압착 오목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표면 시트에 요철이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장시간, 표면 시트에 체액이 잔류하는 일도 없다.
덧붙여, 압착 오목부는, 두께 방향의 치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고압착 오목부와, 두께 방향의 치수가 상대적으로 큰 저압착 오목부를 구비하고, 고압착 오목부는,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에 있어서 점재하는 양태로 복수 형성되어 있고, 저압착 오목부는,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에 있어서, 고압착 오목부와 고압착 오목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압착 오목부와 저압착 오목부에 의해서 구성되는 압착 오목부는 가로 방향(X) 및 세로 방향(Y)에 연속한다. 압착 오목부는, 흡수성 섬유가 서로 조밀하게 얽혀 강성이 강하기 때문에, 착용자가 생리대를 착용하고 있을 때, 생리대에 힘이 가해져도, 압착 오목부가 연속하고 있음에 따라,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생리대에 주름이나 굽힘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서의 생리대의 부분 파단 평면도.
도 2는 도 1의 II-II선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1의 III-III선 확대 단면도.
도 4는 흡액성 구조체의 피부 비대향면측에서 본 저면도.
도 5는 도 4의 V-V선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4의 VI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
도 7은 도 6의 피부 대향면측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 8은 엠보스 프레스 공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도 1의 IX-IX선 확대 단면도.
도 10은 제1 변형예의 생리대의 피부 비대향면측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11은 제2 변형예의 생리대의 피부 비대향면측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12는 제3 변형예의 생리대의 피부 비대향면측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일례인 생리대의 실시형태를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10)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선 확대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III-III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 중, X는 가로 방향을 나타내고, Y는 가로 방향(X)에 직교하는 세로 방향을 나타내며, Z는 가로 방향(X) 및 세로 방향(Y)에 각각 직교하는 두께 방향을 나타내고, P는 생리대(10)의 가로 방향(X)의 길이 방향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가상 세로 중심선을 나타내며, Q는 생리대(10)의 세로 방향(Y)의 길이 방향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가상 가로 중심선을 나타내고 있다.
생리대(10)는, 예컨대 가상 세로 중심선(P) 및 가상 가로 중심선(Q)에 관해서 대칭으로 형성하고 있고, 착용자의 피부에 대향하는 면(이하, 단순히 「피부 대향면」이라고 함)과, 그 반대측의 면(이하, 단순히 「피부 비대향면」이라고 함)을 갖고 있다.
생리대(10)는,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표면 시트(11)와, 피부 비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12)와, 이들 표면 시트(11)와 이면 시트(12)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구조체(20)를 구비하고 있다.
표면 시트(11) 및 이면 시트(12)는, 가로 방향(X) 및 세로 방향(Y)에서의 흡액성 구조체(20)의 치수보다도 크게 형성된 둘레가장자리부(13)를 포함하고 있다. 둘레가장자리부(13)는, 세로 방향(Y)의 양단 가장자리부(13a) 및 가로 방향(X)의 양측 가장자리부(13b)를 포함하고 있다. 표면 시트(11) 및 이면 시트(12)는, 둘레가장자리부(13)에 있어서, 공지의 접합 수단, 예컨대 서로의 사이에 도포한 핫멜트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로 접합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있어서의 양단 가장자리부(13a) 및 양단 가장자리부(13b)에 있어서, 사선의 해칭으로 나타낸 부위 18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열가소성 합성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 시트(11) 및 이면 시트(12)를 서로 용착함으로써 접합하고 있다.
표면 시트(11)는, 흡액성 구조체(20)의 피부 대향면을 덮는 것으로, 열가소성 합성 수지를 포함하고, 액체 투과성을 갖는 섬유 부직포인, 예컨대 에어 스루 섬유 부직포, 포인트 본드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이들의 복합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표면 시트(11)는, 예컨대 질량이 약 10∼50 g/m2이며, 두께가 약 0.5∼2.0 mm이다.
표면 시트(11)의 피부 대향면측에는, 가로 방향(X)의 중앙에 있어서 표면 시트(11)가 피부 대향면에 노출함과 함께, 가로 방향(X)의 양측 가장자리부(13b)에 있어서 표면 시트(11)의 피부 대향면을 덮는 양태로, 가상 세로 중심선(P)에 관해서 대칭이 되도록 한 쌍의 사이드 시트(14)를 형성하고 있다. 사이드 시트(14)에는, 열가소성 합성 수지를 포함하는 액체 투과성 또는 액체 불투과성의 섬유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생리대(10)는, 사이드 시트(14)와 표면 시트(11)와 이면 시트(12)에 의해 구성되고, 세로 방향(Y)에서의 중앙부에 있어서, 가상 세로 중심선(P)으로부터 서로 이격되는 양태로, 양측 가장자리부(13b)로부터 가로 방향(X)으로 돌출하도록 형성한 한 쌍의 윙부(15)를 갖고 있다. 윙부(15)에 있어서, 사선의 해칭으로 나타낸 부위 19는, 열가소성 합성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 시트(11), 이면 시트(12), 및 사이드 시트(14)를 서로 용착함으로써 접합하고 있다.
이면 시트(12)는, 흡액성 구조체(20)의 피부 비대향면을 덮는 것으로, 열가소성 합성 수지를 포함한,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그 플라스틱 필름에, 액체 난투과성 또는 액체 불투과성의 섬유 부직포를 적층한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섬유 부직포로서, 예컨대 스펀 본드·멜트 블로우·스펀 본드(SMS) 섬유 부직포, 에어 스루 섬유 부직포, 포인트 본드 섬유 부직포, 스펀 본드 섬유 부직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등의 전술한 합성 수지를 이용할 수 있지만, 표면 시트(11)에 이용한 수지와 동일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면 시트(12)는, 예컨대 질량이 약 10∼50 g/m2이며, 두께가 약 0.1∼1.0 mm이다.
도 4는, 생리대(10)의 제조 도중에서의 흡액성 구조체(20)를 피부 비대향면측에서 본 저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V-V선 확대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부분을 피부 대향면측에서 본 확대도이다.
흡액성 구조체(20)는,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제1 시트(21)와, 피부 비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제2 시트(22)와, 제1 시트(21) 및 제2 시트(22)의 사이에 개재하는 체액 흡수성의 코어 재료(23)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시트(21) 및 제2 시트(22)는, 세로 방향(Y) 및 가로 방향(X)에 있어서, 코어 재료(23)보다도 길이 치수가 크고, 코어 재료(23)로부터 연장하는 부분을 적어도 어느 한쪽의 시트(21, 22)에 도포한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에 의해서 각각 접합하고 있다.
제1 시트(21)는, 코어 재료(23)의 피부 대향면을 덮는 것으로, 열가소성 합성 수지를 포함하고, 액체 투과성의 섬유 부직포인, 예컨대 스펀 본드·멜트 블로우·스펀 본드(SMS) 섬유 부직포, 에어 스루 섬유 부직포, 포인트 본드 섬유 부직포, 스펀 본드 섬유 부직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등의 전술한 합성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시트(21)에 에어 스루 섬유 부직포를 이용하고 있다. 제1 시트(21)에 에어 스루 섬유 부직포를 이용하면, 제1 시트(21)가 피부에 맞닿았을 때에 부드럽다. 제1 시트(21)는, 예컨대 질량이 약 15∼60 g/m2이다.
제2 시트(22)는, 코어 재료(23)의 피부 비대향면을 덮는 것으로, 열가소성 합성 수지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그 플라스틱 필름 대신에, 열가소성 합성 수지를 포함하는 섬유 부직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섬유 부직포로서는, 예컨대 스펀 본드·멜트 블로우·스펀 본드(SMS) 섬유 부직포, 에어 스루 섬유 부직포, 포인트 본드 섬유 부직포, 스펀 본드 섬유 부직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등의 전술한 합성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2 시트(22)에 SMS 섬유 부직포를 이용하고 있다. 제2 시트(22)는, 예컨대 질량이 약 15∼60 g/m2이다.
코어 재료(23)는, 예컨대 흡수성 폴리머 입자(24) 및 흡수성 섬유(25)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흡수성 폴리머 입자(24)에는, 예컨대 전분계, 아크릴산계, 아미노산계 등의 입자형상 또는 섬유형상으로서, 자기 질량의 적어도 수10배 이상의 흡수능을 갖는 수불용성이고 수팽윤성인 폴리머를 이용할 수 있다.
흡수성 섬유(25)에는, 목재 플러프 펄프 등의 천연 펄프 섬유, 레이온 스테이플 등의 재생 섬유, 및 이들을 혼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흡수성 섬유(25)는, 그 평균 길이가 약 2∼10 mm인 목재 플러프 펄프 섬유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흡수성 섬유(25)는, 예컨대 질량이 약 100∼300 g/m2이다. 한편, 흡수성 폴리머 입자(24)에 관해서, 코어 재료(23)는 흡수성 폴리머 입자(24)와 흡수성 섬유(25)를 혼합하여 코어 재료(23)를 구성하는 쪽이 바람직하지만, 필수적인 구성 요소가 아니라, 흡수성 폴리머 입자(24)는, 예컨대 질량이 약 0∼300 g/m2이며, 코어 재료(23)에 포함되지 않아도 좋다.
흡액성 구조체(20)의 일부에는, 피부 비대향면측으로부터 피부 대향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압착된 압착 오목부(30)를 형성하고 있다. 즉, 압착 오목부(30)는, 피부 비대향면에서 피부 대향면을 향하여 움푹 패인다. 압착 오목부(30)는, 두께 방향(Z)의 치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고압착 오목부(31)와, 두께 방향(Z)의 치수가 상대적으로 큰 저압착 오목부(32)를 포함하고 있다.
고압착 오목부(31)는, 세로 방향(Y) 및 가로 방향(X)에 있어서, 점재하는 양태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고압착 오목부(31)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근접하는 4개의 구성 요소(31z)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각 구성 요소(31z)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압착 오목부(31)는, 정육각형의 정점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고압착 오목부(31)는, 두께 방향(Z)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1 시트(21)와 제2 시트(22)가 서로 용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고압착 오목부(31)는, 두께 방향(Z)에서의 길이 치수가, 약 0.05∼0.3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저압착 오목부(32)는, 세로 방향(Y) 및 가로 방향(X)로부터, 고압착 오목부(31)와 고압착 오목부(31)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저압착 오목부(32)는, 제1 시트(21)와 제2 시트(22)가 서로 용착할 정도까지는 압착하지 않지만, 두께 방향(Z)에서의 치수를, 고압착 오목부(31) 및 저압착 오목부(32)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내부 영역(33)에 비교하여 작게 함으로써, 해당 부위에 있어서의 밀도를 내부 영역(33)의 밀도보다도 크게 하고, 그것에 의하여 해당 부위에 있어서의 강성을 내부 영역(33)의 강성보다 향상하고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압착 오목부(32)는, 피부 대향면측의 표면에는 나타나지 않는 한편, 고압착 오목부(31)는, 피부 대향면측의 표면에 나타난다. 저압착 오목부(32)는, 두께 방향(Z)에서의 길이 치수가, 약 0.3∼0.8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압착 오목부(32)는, 정육각형의 변에 배치되어 있어 직선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저압착 오목부(32)는, 정육각형의 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임의로 선택한 고압착 오목부(31)에 관해서, 그 고압착 오목부(31)로부터 연장되는 3개의 저압착 오목부(32)가 존재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6 중, 어떤 고압착 오목부(31)에 관해서, 그 고압착 오목부(31)로부터 아래쪽을 향해서 연장되는 저압착 오목부(32)를 제1 저압착 오목부(32p)라고 부르고, 그 고압착 오목부(31)로부터 왼쪽을 향하여 경사하는 양태로 연장되는 저압착 오목부(32)를 제2 저압착 오목부(32q)라고 부르며, 오른쪽을 향하여 경사하는 양태로 연장되는 저압착 오목부(32)를 제3 저압착 오목부(32r)라고 부른다.
이 흡액성 구조체(20)에서는, 세로 방향(Y) 및 가로 방향(X)에 있어서, 고압착 오목부(31)로부터 제1 저압착 오목부(32p)가 연장되는 방향(d1)과, 고압착 오목부(31)로부터 제2 저압착 오목부(32q)가 연장되는 방향(d2)이 이루는 각(θ1)은 120도이고, 고압착 오목부(31)로부터 제1 저압착 오목부(32p)가 연장되는 방향(d1)과, 고압착 오목부(31)로부터 연장되는 제3 저압착 오목부(32r)가 연장되는 방향(d3)이 이루는 각(θ2)도 120도이며, 고압착 오목부(31)로부터 제2 저압착 오목부(32p)가 연장되는 방향(d2)과, 고압착 오목부(31)로부터 제3 저압착 오목부(32r)가 연장되는 방향(d3)이 이루는 각(θ3)도 120도이다. 이 흡액성 구조체(20)에서는, 고압착 오목부(31)로부터 연장되는 3개의 저압착 오목부(32)에 있어서, 임의로 선택한 저압착 오목부(32)가 연장되는 제1 방향과, 나머지의 저압착 오목부(32)로부터 임의로 선택한 저압착 오목부(32)가 연장되는 제2 방향이 180도가 되지 않도록, 바꾸어 말하면 직선형상이 되지 않도록, 복수의 저압착 오목부(32)를 배치하고 있다.
이들 고압착 오목부(31) 및 저압착 오목부(32)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압착 오목부(30)는, 생리대(10)의 세로 방향(Y)에서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이 생리대(10)에는, 세로 방향(Y)의 중앙에 있어서, 압착 오목부(30)가 존재하지 않는 비존재 영역(35)을 형성하고 있는 한편, 세로 방향(Y)의 양단부에 있어서, 압착 오목부(30)가 존재하는 존재 영역(36)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흡액성 구조체(20)를 제조하는 공정의 일부는, 다음과 같다. 도 8은, 흡액성 구조체(20)의 제조 공정의 일부인 엠보스 프레스 공정(40)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8 중, MD는 기계 방향을 나타내고, CD는 기계 방향(MD)와 직교하는 교차 방향을 나타내며, VD는 기계 방향(MD) 및 교차 방향(CD)에 각각 직교하는 상하 방향을 나타낸다. 또, 기계 방향(MD)은 세로 방향(Y)에 해당하고, 교차 방향(CD)은 가로 방향(X)에 해당하며, 상하 방향(VD)은 두께 방향(Z)에 해당한다.
엠보스 프레스 공정(40)은, 흡액성 구조체(20)를 상부에 실은 상태로 기계 방향(MD)으로 반송하는 컨베어 벨트(41)를 포함하는 반송부(42)와, 흡액성 구조체(20)를 상하 방향(두께 방향(Z))(VD)으로 압착하는 압착부(43)로 구성되어 있다.
흡액성 구조체(20)는, 제1 시트(21)가 컨베어 벨트(41)에 맞닿도록 컨베어 벨트(41)에 실린다. 컨베어 벨트(41)에 실린 흡액성 구조체(20)는, 흡수성 섬유(25)와 흡수성 폴리머 입자(24)로 형성한 코어 재료(23)를 제1, 제2 시트(21, 22)로 피복하고 있고, 거의 균일한 소요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상태의 흡액성 구조체(20)는, 세로 방향(Y) 및 가로 방향(X)에 있어서 흡수성 섬유(25) 및 흡수성 폴리머 입자(24)의 밀도가 거의 균일하다.
압착부(43)는, 서로 평행한 회전축(44a, 45a)을 갖고, 도 8 중, 위쪽에 배치되고, 제1 회전축(44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원통형상의 제1 드럼(44)과, 아래쪽에 배치되고, 제2 회전축(45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원통형상의 제2 드럼(45)을 갖고 있다.
제1 드럼(44)과 제2 드럼(45)과의 사이에는, 서로의 둘레면이 0 mm보다 크고, 그리고 2.0 mm 이하 이격하도록 드럼(44, 45)을 배치함으로써 형성한 클리어런스(46)를 형성하고 있다.
제1 드럼(44)의 둘레면(44z)에는, 제1 회전축(44a)의 축심 둘레 방향을 따라서 제1 회전축(44a)의 축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일정한 둘레면부(44d)와, 회전축(44a)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둘레면(44z)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44e)를 교대로 형성하고 있다.
제2 드럼의 둘레면(45z)은, 제2 회전축(45a)의 축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일정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44e)는, 도시 생략하지만, 고압착 오목부(31)에 대응하도록 배치한 핀과, 저압착 오목부(32)에 대응하도록 배치한 직형상부로 구성하고 있다.
제1 드럼(44)은, 엠보스 프레스 공정(40) 시에, 흡액성 구조체(20)에 열을 가할 수 있도록, 돌출부(44e)를 가열하는 도시하지 않는 가열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가열부는, 돌출부(44e)의 표면 온도가 약 80∼100℃가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제1 회전축(44a)을 중심으로 제1 드럼(44)을 일방향(d4)으로 회전시킴과 함께, 제2 회전축(45a)을 중심으로 제2 드럼(45)을 일방향(d5)으로 회전시키면서, 제1 드럼(44)과 제2 드럼(45)과의 사이의 클리어런스(46)에 흡액성 구조체(20)를 통과시키면, 흡액성 구조체(20)는, 제1 드럼(44)의 돌출부(44e)와, 제2 드럼(45)의 둘레면에 의해서 상하 방향(VD)으로 압착되어, 압착 오목부(30)를 갖는 존재 영역(36)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드럼(44)의 핀과, 제2 드럼(45)의 둘레면에 의해서 고압착 오목부(31)가 형성되고, 제1 드럼(44)의 직형상부와, 제2 드럼(45)의 둘레면에 의해서 저압착 오목부(32)가 형성된다. 다만, 존재 영역(36)에 있어서의 내부 영역(33)은, 실질적으로는 상하 방향(VD)으로 압착되지 않는다. 또한, 흡액성 구조체(20)는, 제1 드럼(44)의 둘레면부(44z)와, 제2 드럼(45)의 둘레면(45z)에 의해서 끼워진 경우, 실질적으로는 상하 방향(VD)으로 압착되지 않고, 비존재 영역(35)이 형성된다.
일례를 들어 설명하면, 제1 드럼(44)과 제2 드럼(45)과의 사이의 클리어런스(46)에, 예컨대 흡수성 섬유(25)만으로 이루어지는 질량이 약 200 g/㎡인 코어 재료(23)를 구비하고, 상하 방향(VD)의 외관상의 치수가 약 2.0 mm인 흡액성 구조체(20)를 통과시킨 경우, 고압착 오목부(31)의 두께 방향(Z)의 치수가 약 0.1∼0.2 mm이고, 저압착 오목부(32)의 두께 방향(Z)의 치수가 약 0.5 mm이며, 내부 영역(33) 및 비존재 영역(35)의 두께 방향(Z)의 치수가 약 2.0 mm가 된다.
이 압축 시, 가장 큰 제1 압축력이 가해짐에 따라, 두께 방향(Z)의 치수가 가장 작은 고압착 오목부(31)가 형성되고, 2번째로 큰 제2 압축력이 가해짐에 따라, 저압착 오목부(32)가 형성되며, 실질적으로 압축력이 가해지지 않음에 따라, 두께 방향(Z)의 치수가 가장 큰 비존재 영역(35), 및 내부 영역(3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가해지는 압축력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대적으로 고압착 오목부(31)의 흡수성 섬유(25)의 밀도가 높고, 다음으로, 저압착 오목부(32)의 흡수성 섬유(25)의 밀도가 높은 한편, 비존재 영역(35) 및 내부 영역(33)의 흡수성 섬유(25)의 밀도가 낮다.
흡수성 섬유(25)의 밀도가 높은 경우, 체액의 확산 속도가 향상된다. 한편, 흡수성 폴리머 입자(24) 및 흡수성 섬유(25)의 밀도가 낮은 경우, 그 정도에도 따르지만, 체액의 확산 속도는 저하되지만, 흡수 유지할 수 있는 체액의 용량이 증대한다.
흡액성 구조체(20)를 제조하는 경우, 예컨대 제1 시트(21)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도포하고, 그리고 제2 시트(22)의 피부 대향면측에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도포한다.
이와 같이 형성한 흡액성 구조체(20)에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이드 시트(14)를 피부 대향면측에 부착한 표면 시트(11)를 흡액성 구조체(20)의 피부 대향면측에 적층하고, 그리고 이면 시트(12)를 흡액성 구조체(20)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적층한다. 이 적층 시, 표면 시트(11)의 피부 비대향면측 및 흡액성 구조체(20)의 피부 대향면측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도포하고, 흡액성 구조체(20)의 피부 비대향면측 및 이면 시트(12)의 피부 대향면측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도포한다.
흡액성 구조체(20)에 표면 시트(11) 및 이면 시트(12)를 적층한 후, 피부 대향면측으로부터 피부 비대향면측을 향하여 움푹 패인 압착줄홈(50)을 형성한다.
압착줄홈(5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께 방향(Z)에 있어, 예컨대 표면 시트(11)와 제1 시트(21)를 용착하고 있지만, 제2 시트(22) 및 이면 시트(12)를 다른 시트(11, 21)에 용착하지 않고서, 시트(11, 21) 및 흡액성 구조체(20)를 두께 방향(Z)으로 압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만, 압착줄홈(50)을 형성하고 있는 개소 중, 저압착 오목부(32)에 인접하는 개소(53a)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예외가 있다.
또한, 압착줄홈(5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상 가로 중심선(Q)과 가상 세로 중심선(P)이 교차하는 교점 O에 대하여 근접하도록 배치한 내측 압착줄홈(51)과, 교점 O에 대하여 이격되도록 배치한 외측 압착줄홈(55)을 구비하고 있다.
내측 압착줄홈(51)은, 가상 세로 중심선(P)에 관해서 대칭이고 각각이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줄홈(52)과, 가상 가로 중심선(Q)에 관해서 대칭이고 각각이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줄홈(53)을 구비하고, 제1 줄홈(52)과 제2 줄홈(53)이 연속하지 않도록 내측 압착줄홈(51)을 형성하고 있다.
제2 줄홈(53)의 일부(53a)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로 방향(Y)에 있어서, 흡액성 구조체(20)의 비존재 영역(35)과 존재 영역(36)과의 경계(37)에 인접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 제2 줄홈(53)의 일부(53a)에서는, 두께 방향(Z)에 있어서, 저압착 오목부(32)와 제2 줄홈(53)이 겹쳐져, 제1 시트(21)와 제2 시트(22)와 표면 시트(11)가 용착되어 있다.
외측 압착줄홈(55)은, 가상 세로 중심선(P)에 관해서 대칭이고 각각이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3 줄홈(56)과, 가상 가로 중심선(Q)에 관해서 대칭이고 각각이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4 줄홈(57)을 구비하고, 제3 줄홈(56)과 제4 줄홈(57)이 연속하도록 외측 압착줄홈(55)을 형성하고 있다. 다만, 도 1에 있어서는, 도 1 중 위쪽의 제4 줄홈(57)을 생략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10)에 따르면, 흡액성 구조체(20)의 일부에, 두께 방향(Z)으로 압착된 압착 오목부(30)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압착 오목부(30)를 형성한 부위에서는, 두께 방향(Z)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고, 그리고 압착 오목부(30)를 형성하고 있지 않은 부위에서는, 부드러움을 유지할 수 있다.
덧붙여, 흡액성 구조체(20)의 일부에는, 피부 비대향면측으로부터 피부 대향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압착된 압착 오목부(30)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흡액성 구조체(20)의 피부 대향면측에 배치하는 표면 시트(11)에는 압착 오목부(30)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열이나 힘이 가해짐에 따라 표면 시트(1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가 불쾌하게 느끼는 일이 없다. 따라서, 생리대(10)를 착용한 착용자에게, 부드러운 사용감을 줄 수 있다. 더구나, 표면 시트(11)에 압착 오목부(30)를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표면 시트(11)에 요철이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장시간, 표면 시트(11)에 체액이 잔류하는 일도 없다.
덧붙여, 압착 오목부(30)는, 두께 방향(Z)의 치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고압착 오목부(31)와, 두께 방향(Z)의 치수가 상대적으로 큰 저압착 오목부(32)를 구비하고, 고압착 오목부(31)는, 세로 방향(Y) 및 가로 방향(X)에 있어서 점재하는 양태로 복수 형성되어 있고, 저압착 오목부(32)는, 세로 방향(Y) 및 가로 방향(X)에 있어서, 고압착 오목부(31)와 고압착 오목부(31)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압착 오목부(31)와 저압착 오목부(32)에 의해서 구성되는 압착 오목부(30)는 가로 방향(X) 및 세로 방향(Y)에 연속한다. 압착 오목부(30)는, 흡수성 섬유(25)가 서로 조밀하게 얽혀 강성이 강하기 때문에, 착용자가 생리대(10)를 착용하고 있을 때, 생리대(10)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압착 오목부(30)가 연속하고 있음에 따라,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생리대(10)에 주름이나 굽힘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고압착 오목부(31)는, 세로 방향(Y) 및 가로 방향(X)에 있어서 점재하는 양태로 복수 형성됨과 함께, 제1 시트(21)와 제2 시트(22)가 용착하도록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고압착 오목부(31)를 형성한 부위에 있어서, 생리대(10)가 체액을 흡수·유지한 상태가 되더라도,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저압착 오목부(32)는, 세로 방향(Y) 및 가로 방향(X)에 있어서, 고압착 오목부(31)와 고압착 오목부(31)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제1 시트(21)와 제2 시트(22)가 용착하지 않는 양태로서 내부 영역(33)에 비교하여 두께 방향(Z)의 길이 치수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성 섬유(25)의 밀도를 향상하여 체액이 배설된 경우의 모세관 현상을 촉진하고, 체액을 세로 방향(Y) 및 가로 방향(X)에 신속하게 확산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고압착 오목부(31)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저압착 오목부(32)에 있어서, 임의로 선택한 저압착 오목부(32)가 연장되는 제1 방향과, 나머지의 저압착 오목부(32)로부터 임의로 선택한 저압착 오목부(32)가 연장되는 제2 방향이 직선형상이 되지 않도록 복수의 저압착 오목부(32)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저압착 오목부(32)가 특정한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생리대(10)가 특정한 방향으로 굽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생리대(10)가 세로 방향(Y)을 따라서 굽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 세로 방향(Y)의 중앙에 있어서, 압착 오목부(30)가 존재하지 않는 비존재 영역(35)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세로 방향(Y)의 중앙에서는, 흡수·유지할 수 있는 체액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로 방향(Y)의 중앙에 있어서, 두께 방향(Z)의 치수를 크게 하여 성기에 생리대(10)를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생리대(10)의 세로 방향(Y)의 양단부에 있어서, 압착 오목부(30)가 존재하는 존재 영역(36)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세로 방향(Y)의 중앙에 있어서 흡수·유지할 수 없는 체액을 압착 오목부(30)에서 세로 방향(Y)으로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세로 방향(Y)의 중앙에 있어서 체액이 편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서, 생리대(10)가 실제로 흡수·유지할 수 있는 체액의 용량을, 잠재적으로 체액을 흡수·유지할 수 있는 용량에 가깝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생리대(10)가 흡수·유지할 수 있는 체액의 용량을 증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액의 역 복귀를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세로 방향(Y)의 양단에 존재 영역(36)을 형성함으로써, 해당 양 단부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 부위에 주름이나 굽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비존재 영역(35)과 존재 영역(36)과의 경계에는, 가로 방향(X)으로 연장하도록 피부 대향면측으로부터 피부 비대향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압착된 내측 압착줄홈(51)의 제2 줄홈(53)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줄홈(53)을 형성한 부위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만일, 생리대(10)의 세로 방향(Y)의 양단부에 있어서 주름이나 변형이 발생했다고 해도, 전술한 제2 줄홈(53)에 의해서, 세로 방향(Y)의 중앙에 주름이나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구나, 전술한 제2 줄홈(53)의 일부(53a)는, 세로 방향(Y)에 있어서, 흡액성 구조체(20)의 비존재 영역(35)과 존재 영역(36)과의 경계(37)에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해당 제2 줄홈(53)의 일부(53a)에서는, 표면 시트(11)와, 제1 시트(21)와, 제2 시트(22)가 용착되어 있기 때문에, 체액을 피부 대향면측으로부터 피부 비대향면측으로 확산할 수 있음과 함께, 세로 방향(Y)의 양단부에 형성한 압착 오목부(30)에 의해서, 피부 비대향면측에서 체액을 확산할 수 있으므로, 피부 대향면측에 체액이 나타나는 것을 감소하여, 체액이 배설된 경우의 위화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피부 대향면측에 나타나는 압착줄홈(50)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장착했을 때의 위화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생리대(10)에서는, 제1 시트(21)에 에어 스루 섬유 부직포를 이용하고 있고, 제2 시트(22)에 SMS 섬유 부직포를 이용하고 있다. 에어 스루 섬유 부직포 및 SMS 섬유 부직포는, 내수성을 갖는다. 한편, 흡수성 섬유(25)에 천연 펄프 섬유를 이용한 경우, 체액이 생리대(10)에 배설되면, 천연 펄프 섬유는 수소 결합이 해리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10)에서는, 내수성을 갖는 섬유 부직포를 제1 시트(21) 및 제2 시트(22)에 이용하고 있고, 이들 제1 시트(21), 제2 시트(22), 및 코어 재료(23)를 고압착 오목부(31)에서 일체화하고 있기 때문에, 제1 시트(21) 및 제2 시트(22)에 의해서 코어 재료(23)를 보강하고, 체액이 배설된 상태로 있더라도, 강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생리대(100)의 흡액성 구조체(20a)를 피부 비대향면측에서 본 저면도이다. 제1 변형예의 기본적 구성은, 전술한 생리대(10)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이한 점에 관해서만 이하에 설명한다.
이 흡액성 구조체(20a)의 일부에는, 피부 비대향면으로부터 피부 대향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압착된 압착 오목부(30a)를 형성하고 있다. 압착 오목부(30a)는, 두께 방향(Z)의 치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고압착 오목부(31a)와, 두께 방향(Z)의 치수가 상대적으로 큰 저압착 오목부(32a)를 구비하고 있다.
이 고압착 오목부(31a)는, 평행 사변형의 정점에 배치하고 있는 점만이, 전술한 고압착 오목부(31)와 상이하다. 이 평행 사변형은, 서로 인접하는 것에 있어서, 변의 길이가 서로 상이하다.
저압착 오목부(32a)는, 평행 사변형의 변에 배치되어 있는 점만이, 전술한 저압착 오목부(32)와 상이하다.
이 흡액성 구조체(20a)는, 임의로 선택한 고압착 오목부(31a)에 관해서, 그 고압착 오목부(31a)로부터 연장되는 4개의 저압착 오목부(32a)가 존재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10에 있어서, 어떤 고압착 오목부(31a)로부터 도 10 중, 위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저압착 오목부(32)를 제1 저압착 오목부(32l)라고 부르고, 왼쪽을 향하여 경사하는 양태로 연장되는 저압착 오목부(32)를 제2 저압착 오목부(32m)라고 부르며, 오른쪽을 향하여 경사하는 양태로 연장되는 저압착 오목부(32)를 제3 저압착 오목부(32n)라고 부르고,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저압착 오목부(32)를 제4 저압착 오목부(32o)라고 부른다.
이 흡액성 구조체(20a)에서는, 고압착 오목부(31)로부터 제1 저압착 오목부(32l)가 연장되는 방향(d11)과, 고압착 오목부(31)로부터 제4 저압착 오목부(32o)가 연장되는 방향(d14)이 이루는 각은 180도가 아니고, 고압착 오목부(31)로부터 제2 저압착 오목부(32m)가 연장되는 방향(d12)과, 고압착 오목부(31)로부터 연장되는 제3 저압착 오목부(32n)가 연장되는 방향(d13)이 이루는 각도 180도가 아니다. 또한, 어느 하나의 방향(d11∼d14)과, 나머지의 방향(d11∼d14)이 이루는 각도 180도가 아니다.
이 흡액성 구조체(20a)에서는, 고압착 오목부(31)로부터 연장되는 4개의 저압착 오목부(32)에 있어서, 임의로 선택한 저압착 오목부(32)가 연장되는 제1 방향과, 나머지의 저압착 오목부(32)로부터 임의로 선택한 저압착 오목부(32)가 연장되는 제2 방향이 180도가 되지 않도록, 바꾸어 말하면 직선형상이 되지 않도록, 고압착 오목부(31)의 주위에 4개의 저압착 오목부(32l, 32m, 32n, 32o)를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고압착 오목부(31a)로부터 연장되는 저압착 오목부(32a)가 특정한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생리대(10)가 특정한 방향으로 굽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생리대(200)의 흡액성 구조체(20b)를 피부 비대향면측에서 본 저면도이다. 제2 변형예의 기본적 구성은, 전술한 생리대(10)와 동일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점에 관해서만 이하에 설명한다.
이 흡액성 구조체(20b)의 일부에는, 피부 비대향면으로부터 피부 대향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압착된 압착 오목부(30b)를 형성하고 있다. 압착 오목부(30b)는, 두께 방향(Z)의 치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고압착 오목부(31b)와, 두께 방향(Z)의 치수가 상대적으로 큰 저압착 오목부(32b)를 구비하고 있다.
이 고압착 오목부(31b)는, 서로 상이한 2종류의 형상의 능형(201, 202)의 정점에 배치되어 있는 점만이, 전술한 고압착 오목부(31)와 상이하다. 2종류의 능형(201, 202) 중, 한쪽의 능형(201)은, 서로 인접하는 변의 교차 각도가 72도와, 108도인 한편, 다른쪽의 능형(202)은, 서로 인접하는 변의 교차 각도가 36도와, 144도이며, 소위 펜로즈·타일 형식으로 이러한 능형(201, 202)을 배치하고 있다.
저압착 오목부(32b)는, 전술한 능형(201, 202)의 변에 배치되어 있는 점만이 전술한 저압착 오목부(32)와 상이하다.
이 흡액성 구조체(20)는, 어떤 고압착 오목부(31b)에 관해서, 해당 고압착 오목부(31b)로부터 연장되는 4개의 저압착 오목부(32b)가 존재하는 경우와, 해당 고압착 오목부(31b)로부터 연장되는 5개의 저압착 오목부(32b)가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서로 상이한 2종류의 형상의 능형(201, 202)을 펜로즈·타일 형식으로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고압착 오목부(31b)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저압착 오목부(32b)에 있어서, 임의로 선택한 저압착 오목부(32b)가 연장되는 제1 방향과, 나머지의 저압착 오목부(32)로부터 임의로 선택한 저압착 오목부(32)가 연장되는 제2 방향이 직선형상이 되지 않도록 복수의 저압착 오목부(32)를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고압착 오목부(31b)로부터 연장되는 저압착 오목부(32b)가 특정한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생리대(10)가 특정한 방향으로 굽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생리대(300)의 흡액성 구조체(20c)를 피부 비대향면측에서 본 저면도이다. 제3 변형예의 기본적 구성은, 전술한 생리대(10)와 동일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점에 관해서만 이하에 설명한다.
이 흡액성 구조체(20c)의 일부에는, 피부 비대향면으로부터 피부 대향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압착된 압착 오목부(30c)를 형성하고 있다. 압착 오목부(30c)는, 두께 방향(Z)의 치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고압착 오목부(31c)와, 두께 방향(Z)의 치수가 상대적으로 큰 저압착 오목부(32c)를 구비하고 있다.
저압착 오목부(32c)는, 세로 방향(Y) 및 가로 방향(X)에 있어서, 고압착 오목부(31c)와 고압착 오목부(31c)를 연결하도록 곡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흡액성 구조체(20c)는, 임의로 선택한 고압착 오목부(31c)에 관해서, 그 고압착 오목부(31c)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저압착 오목부(32c)가 존재한다. 이 흡액성 구조체(20c)에서는, 고압착 오목부(31c)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저압착 오목부(32c)에 있어서, 임의로 선택한 저압착 오목부(32c)가 연장되는 제1 방향과, 나머지의 저압착 오목부(32c)로부터 임의로 선택한 저압착 오목부(32c)가 연장되는 제2 방향이 180도가 되지 않도록, 바꾸어 말하면, 직선형상이 되지 않도록, 고압착 오목부(31c)의 주위에 복수의 저압착 오목부(32c)를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고압착 오목부(31c)로부터 연장되는 저압착 오목부(32c)가 특정한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생리대(10)가 특정한 방향으로 굽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예의 저압착 오목부(32c)는, 곡선형상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생리대(300)에 직선형상의 절곡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고압착 오목부(31c)로부터 연장되는 저압착 오목부(32c)가 특정한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것을 방지하면 좋고, 저압착 오목부(32c)는 곡선형상만이 아니라, 적절하게 직선형상인 것을 포함하면 좋다.
또한, 생리대(10, 100, 200, 300)는, 본 발명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고,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일은 없다. 예컨대, 본 발명은, 생리대(10) 등에 한정되지 않고, 경실금 패드, 팬티라이너, 분비물 흡수용 패드, 소변 흡수 패드, 종이 기저귀 등에 적용해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는, 고압착 오목부(31) 및 저압착 오목부(32)를 두께 방향(Z)으로 압축함으로써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반드시 이들을 압축하여 형성할 필요는 없다. 덧붙여, 고압착 오목부(31) 및 저압착 오목부(32)에 가하는 압축력을 바꿈으로써 흡수성 섬유(25)의 밀도가 상이한 오목부(31, 32)를 형성하는 예를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이러한 오목부(31, 32)를 형성하는 방법은, 전술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생리대(10, 100, 200, 300)를 구성하는 부재에는, 특별히 명기되어 있지 않은 한에 있어서, 이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재료 이외에, 이 종류의 분야에서 통상 이용되고 있는 공지의 재료를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 명세서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제1」, 「제2」, 「제3」 및 「제4」의 용어는, 동일한 요소, 위치 등을 단순히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하고 있다.
이상에 기재한 본 발명에 관한 개시는, 적어도 하기 사항으로 요약할 수 있다.
서로 직교하는 가로 방향(X)과 세로 방향(Y)과 두께 방향(Z)을 갖고, 두께 방향(Z)의 한쪽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액체 투과성의 표면 시트(11)와, 두께 방향(Z)의 다른쪽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12)와, 표면 시트(11) 및 이면 시트(12)의 사이에 개재되는 흡액성 구조체(20)를 구비하는 생리대(10)에 있어서, 흡액성 구조체(20)는,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액체 투과성의 제1 시트(21)와, 피부 비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제2 시트(22)와, 제1 시트(21) 및 제2 시트(22)의 사이에 개재되는 체액 흡수성의 코어 재료(23)를 구비하고, 흡액성 구조체(20)의 일부에는, 피부 비대향면측으로부터 피부 대향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압착된 압착 오목부(30)를 형성하고 있고, 압착 오목부(30)는, 두께 방향(Z)의 길이 치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고압착 오목부(31)와, 두께 방향(Z)의 길이 치수가 상대적으로 큰 저압착 오목부(32)를 구비하고, 고압착 오목부(31)는, 세로 방향(Y) 및 가로 방향(X)에 있어서, 점재하는 양태로 복수 형성되어 있으며, 저압착 오목부(32)는, 세로 방향(Y) 및 가로 방향(X)에 있어서, 고압착 오목부(32)와 고압착 오목부(32)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10).
상기 단락 0090에 개시한 발명은, 적어도 하기의 실시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1) 하나의 고압착 오목부(31)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저압착 오목부(32)에 있어서, 임의로 선택한 저압착 오목부(32)가 연장되는 제1 방향과, 나머지의 저압착 오목부(32)로부터 임의로 선택한 저압착 오목부(32)가 연장되는 제2 방향이 직선형상이 되지 않도록 고압착 오목부(31)의 주위에 복수의 저압착 오목부(32)를 배치하고 있다.
(2) 세로 방향(Y)의 중앙에 있어서, 압착 오목부(30)가 존재하지 않는 비존재 영역(35)을 형성하고 있는 한편, 세로 방향(Y)의 양단부에 있어서, 압착 오목부(30)가 존재하는 존재 영역(36)을 형성하고 있다.
(3) 비존재 영역(35)과 존재 영역(36)과의 경계에는,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도록 피부 대향면측으로부터 피부 비대향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압착된 압착줄홈(50)이 형성되어 있다.
(4) 제1 시트(21), 제2 시트(22), 및 표면 시트(11)는, 각각 열가소성 합성 수지를 포함하고, 압착 오목부(30)는, 제1 시트(21)와 제2 시트(22)를 용착함으로써 형성되며, 압착줄홈(50)은, 제1 시트(21)와 표면 시트(11)를 용착함으로써 형성되고, 압착 오목부(30)와 압착줄홈(50)의 제2 줄홈(53)이 인접하는 개소(53a)에서는, 제1 시트(21)와 제2 시트(22)와 표면 시트(11)가 용착되어 있다.
10 : 생리대(흡수성 물품), 11 : 표면 시트, 12 : 이면 시트, 20 : 흡액성 구조체, 21 : 제1 시트, 22 : 제2 시트, 23 : 코어 재료, 30 : 압착 오목부, 31 : 고압착 오목부, 32 : 저압착 오목부, 35 : 비존재 영역, 36 : 존재 영역, X : 가로 방향, Y : 세로 방향, Z : 두께 방향

Claims (5)

  1. 서로 직교하는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과 두께 방향을 갖고, 상기 두께 방향의 한쪽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액체 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상기 두께 방향의 다른쪽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 및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개재되는 흡액성 구조체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흡액성 구조체는, 상기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액체 투과성의 제1 시트와, 상기 피부 비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제2 시트와,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의 사이에 개재되는 체액 흡수성의 코어 재료를 구비하고,
    상기 흡액성 구조체의 일부에는, 상기 피부 비대향면측으로부터 상기 피부 대향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압착된 압착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압착 오목부는, 상기 두께 방향의 치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고압착 오목부와, 상기 두께 방향의 치수가 상대적으로 큰 저압착 오목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압착 오목부는, 상기 세로 방향 및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 점재하는 양태로 복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압착 오목부는, 상기 세로 방향 및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고압착 오목부와 상기 고압착 오목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고압착 오목부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저압착 오목부에 있어서, 임의로 선택한 상기 저압착 오목부가 연장되는 제1 방향과, 나머지의 상기 저압착 오목부로부터 임의로 선택한 상기 저압착 오목부가 연장되는 제2 방향이 직선형상이 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저압착 오목부를 배치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방향의 중앙에 있어서, 상기 압착 오목부가 존재하지 않는 비존재 영역을 형성하고 있는 한편,
    상기 세로 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상기 압착 오목부가 존재하는 존재 영역을 형성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존재 영역과 상기 존재 영역과의 경계에는, 상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피부 대향면측으로부터 상기 피부 비대향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압착된 압착줄홈이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 상기 제2 시트, 및 상기 표면 시트는, 각각 열가소성 합성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압착 오목부는,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를 용착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압착줄홈은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를 용착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압착 오목부와 상기 압착줄홈이 인접하는 개소에서는,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가 용착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KR1020147010289A 2011-09-30 2012-09-18 흡수성 물품 Expired - Fee Related KR1019726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18501A JP6008485B2 (ja) 2011-09-30 2011-09-30 吸収性物品
JPJP-P-2011-218501 2011-09-30
PCT/JP2012/073825 WO2013047268A1 (ja) 2011-09-30 2012-09-18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138A true KR20140067138A (ko) 2014-06-03
KR101972622B1 KR101972622B1 (ko) 2019-04-25

Family

ID=47995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0289A Expired - Fee Related KR101972622B1 (ko) 2011-09-30 2012-09-18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008485B2 (ko)
KR (1) KR101972622B1 (ko)
CN (1) CN103826585B (ko)
AU (1) AU2012317826B2 (ko)
WO (1) WO201304726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1914A (ko) * 2011-07-07 2014-03-13 카오카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
KR20190028421A (ko) * 2016-07-08 2019-03-18 유니 참 코포레이션 흡수성 물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40449B1 (en) 2012-12-10 2019-01-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high absorbent material content
US9987176B2 (en) 2013-08-27 2018-06-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JP6334705B2 (ja) 2013-08-27 2018-05-30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チャネルを有する吸収性物品
JP6341719B2 (ja) * 2014-03-26 2018-06-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320827B2 (ja) * 2014-04-09 2018-05-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188644B2 (ja) * 2014-06-30 2017-08-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開放型のおむつ
GB201610184D0 (en) * 2016-06-10 2016-07-27 Eumar Tech Ltd Product
CN110770381A (zh) * 2017-06-14 2020-02-07 王子控股株式会社 吸收体复合体
WO2019235575A1 (ja) * 2018-06-06 2019-12-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低体重児用吸収パッド、及び、低体重児用吸収パッドのパッケージ
US10890172B2 (en) 2018-06-18 2021-01-12 White Knight Fluid Handling Inc. Fluid pump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GB2597489A (en) * 2020-07-23 2022-02-02 Tech 21 Licensing Ltd An impact resistant pa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3397A (ja) 2001-07-25 2003-02-04 Daio Paper Corp 吸収性物品
KR20060009856A (ko) * 2003-05-27 2006-02-01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8960B2 (ja) * 1998-11-30 2005-08-31 ピジョン株式会社 吸収性製品
JP5465910B2 (ja) * 2009-03-31 2014-04-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3397A (ja) 2001-07-25 2003-02-04 Daio Paper Corp 吸収性物品
KR20060009856A (ko) * 2003-05-27 2006-02-01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1914A (ko) * 2011-07-07 2014-03-13 카오카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
KR20190028421A (ko) * 2016-07-08 2019-03-18 유니 참 코포레이션 흡수성 물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26585B (zh) 2015-10-14
JP2013078366A (ja) 2013-05-02
CN103826585A (zh) 2014-05-28
AU2012317826A1 (en) 2014-04-03
JP6008485B2 (ja) 2016-10-19
KR101972622B1 (ko) 2019-04-25
WO2013047268A1 (ja) 2013-04-04
AU2012317826B2 (en) 2016-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2622B1 (ko) 흡수성 물품
JP6158992B2 (ja) 吸収性物品
JP5383589B2 (ja) 体液吸収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5161790B2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EP2409673B1 (en) Absorbent article
JP5839685B2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4173844B2 (ja) 吸収性物品
JP2017038925A5 (ko)
KR20150107768A (ko) 흡수성 물품
CN106659610B (zh) 具吸收功能物品的顶片
JP2014097132A (ja) 吸収性物品
WO2017030136A1 (ja) 吸収性物品
JP2016174741A (ja) 吸収性物品
TWI880988B (zh) 吸收性物品
JP6694706B2 (ja) 吸収性物品
JP6707335B2 (ja) 吸収性物品
JP6028054B2 (ja) 吸収性物品
JP6932887B2 (ja) 軽失禁用吸収性物品
JP7412979B2 (ja)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6814536B2 (ja) 吸収性物品
JP6632343B2 (ja) 吸収性物品
JP6436708B2 (ja) 吸収性物品
JP2012135543A (ja) 体液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3002691A1 (ja) 吸収性物品
JP7194585B2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8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26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4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4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