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50357A -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0357A
KR20140050357A KR1020120116675A KR20120116675A KR20140050357A KR 20140050357 A KR20140050357 A KR 20140050357A KR 1020120116675 A KR1020120116675 A KR 1020120116675A KR 20120116675 A KR20120116675 A KR 20120116675A KR 20140050357 A KR20140050357 A KR 20140050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roller
roller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initializ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6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원철
배병철
김건호
경명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6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0357A/ko
Priority to EP13188382.9A priority patent/EP2722716B1/en
Priority to CN201310484931.9A priority patent/CN103823351A/zh
Priority to US14/056,377 priority patent/US9256169B2/en
Publication of KR20140050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035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6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 G03G15/16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at least one of the recording member or the transfer member being rotatable during the transfer
    • G03G15/1685Structure, details of the transfer member, e.g. chemical compos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전사 롤러의 표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셀에 토너를 채워 넣는 초기화를 실시하여 전사 롤러의 오염과 전기적 불균일성이 억제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은,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된 전사 롤러가 새 제품인지를 판별하고; 전사 롤러가 새 제품인 것으로 판별되면 전사 롤러의 표면으로 현상제를 이송시켜서 전사 롤러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셀들을 현상제로 채우는 전사 롤러 초기화를 수행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용지를 대전시켜서 현상제가 용지에 흡착되도록 하는 전사 롤러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사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현상 부재(Developing Member)에서 생성한 토너의 화상을 기록재인 용지에 이송시키기 위해 전사 부재를 사용한다. 전사 방식으로는 코로나 방식과 전사 롤러 방식이 알려져 있는데, 화상 형성 장치의 소형화 추세와 코로나 방식의 오존 발생 문제 등으로 인하여 전사 롤러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전사 롤러 방식은 전사 부재인 전사 롤러에 전사 바이어스를 인가하여 전사 전계를 형성하고, 전사 전계에 따라 정전적으로 전사하는 방식이다. 또 전사 롤러 방식에서는 용지에 전사 롤러가 접촉하기에 전사 롤러가 오염된 상태에서는 용지를 전사시킬 때 전사 롤러로 인하여 용지가 오염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사 롤러의 클리닝이 요구된다.
전사 롤러를 클리닝하는 첫 번째 방법으로는, 전사 롤러를 클리닝하는 클리닝 부재를 장착하는 방식이다. 클리닝 블레이드 또는 클리닝 롤러를 전사 롤러의 배후에 두고 전사 롤러가 클리닝 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 방식은 부수적인 장치의 필요로 소형화 및 저비용화에 적합하지 않는 방식이다. 또한, 클리닝 부재는 전사 롤러에 토크 상승 등으로 지터(Jitter)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전사 롤러를 클리닝하는 두 번째 방법으로는, 전사 바이어스를 인가하여 클리닝하는 정전 클리닝 방식이 있다. 토너 화상의 전사 이후의 후처리 공정이나 전사 동작 이전에, 전사 롤러에 부착되어있는 토너를 클리닝하기 위해 클리닝 바이어스를 인가하여 클리닝한다. 클리닝 바이어스에는, 토너와 동극성의 전사 바이어스와 역극성의 바이어스를 교대로 인가한다. 이를 통해 양극(+)과 음극(-)으로 대전된 토너 모두를 클리닝할 수 있다.
그러나 전사 바이어스 방식으로 토너를 클리닝함에 있어서, 대전되지 않는 지분(紙粉)이나 외첨이 이탈된 무극성의 토너 등은 전사 바이어스 방식으로 클리닝되지 않는다. 또한, 전사 롤러를 부분적으로 오염시키는 경우, 전사 롤러 전체가 균일하게 대전되지 않게 되어, 화상 형성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음은 물론 클리닝마저 온전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전사 롤러의 표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셀에 토너를 채워 넣는 초기화를 실시하여 전사 롤러의 오염과 전기적 불균일성이 억제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은,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된 전사 롤러가 새 제품인지를 판별하고; 전사 롤러가 새 제품인 것으로 판별되면 전사 롤러의 표면으로 현상제를 이송시켜서 전사 롤러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셀들을 현상제로 채우는 전사 롤러 초기화를 수행한다.
또한,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전사 롤러의 사용 기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트 값이 리셋되면 전사 롤러가 새 제품인 것으로 판별한다.
또한,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현상제가 감광체를 통해 전사 롤러의 표면으로 이송되도록 감광체를 제어한다.
또한,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전사 롤러의 외표면이 발포재(發泡材)재로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전사 롤러 초기화가 완료된 전사 롤러에 대해 현상제의 추가적인 도포없이 클리닝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또 다른 제어 방법은, 전사 롤러 초기화 명령이 발생하는지를 판별하고; 전사 롤러의 초기화 명령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되면 전사 롤러의 표면으로 현상제를 이송시켜서 전사 롤러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셀들을 현상제로 채우는 전사 롤러 초기화를 수행한다.
또한,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의 또 다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전사 롤러 초기화 명령이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발생한다.
또한,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의 또 다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전사 롤러의 외표면이 발포재로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의 또 다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전사 롤러 초기화가 완료된 전사 롤러에 대해 현상제의 추가적인 도포없이 클리닝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전사 롤러와; 전사 롤러가 새 제품인 것으로 판별되면 전사 롤러의 표면으로 현상제를 이송시켜서 전사 롤러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셀들을 현상제로 채우는 전사 롤러 초기화를 수행되도록 전사 롤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는, 전사 롤러의 사용 기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터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카운터의 카운트 값이 리셋되면 전사 롤러가 새 제품인 것으로 판별한다.
또한,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제어부는 현상제가 감광체를 통해 전사 롤러의 표면으로 이송되도록 감광체를 제어한다.
또한,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전사 롤러의 외표면이 발포재로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제어부는 전사 롤러 초기화가 완료된 전사 롤러에 대해 현상제의 추가적인 도포없이 클리닝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화상 형성 장치는, 전사 롤러와; 전사 롤러의 초기화 명령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되면 전사 롤러의 표면으로 현상제를 이송시켜서 전사 롤러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셀들을 현상제로 채우는 전사 롤러 초기화를 수행하도록 전사 롤러를 제어한다.
또한, 상술한 또 다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전사 롤러 초기화 명령이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발생한다.
또한, 상술한 또 다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전사 롤러의 외표면이 발포재로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또 다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제어부는 전사 롤러 초기화가 완료된 전사 롤러에 대해 현상제의 추가적인 도포없이 클리닝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전사 롤러의 표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셀에 토너를 채워 넣는 초기화를 실시하여 전사 롤러의 오염과 전기적 불균일성이 억제되도록 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먼저, 전사 롤러의 표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셀에 토너를 채워 넣는 초기화를 실시함으로써 다수의 셀이 오염 물질로 채워지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사 롤러의 표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셀에 토너를 채워 넣는 초기화를 실시함으로써 전사 롤러 전체에 걸쳐 균일한 전기적 특성(예를 들면 표면 저항)이 나타나 화상 형성 시 전사 바이어스가 전사 롤러 전체에 걸쳐 고르게 인가될 수 있고 클리닝 바이어스 역시 고르게 인가되어 클리닝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전사 롤러 초기화는 아직 사용되지 않은 새 전사 롤러일 때 더욱 효과가 크며, 필요에 따리 이미 사용 중인 전사 롤러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초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나티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모노크롬 화상 형성 장치의 감광체 및 전사 롤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사 롤러의 초기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사 롤러의 초기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사 롤러의 초기화 이후 전사 롤러의 클린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 1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100)는 단색의 화상만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 사진 방식의 모노크롬 화상 형성 장치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는, 본체 케이스(104)와 용지 공급부(106), 감광체(108), 광 주사부(110), 현상 카트리지(112), 전사 롤러(114), 정착부(116)를 포함한다.
본체 케이스(104)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한다. 용지 공급부(106)는 본체 케이스(104) 내부에 마련되며, 이 용지 공급부(106)에 용지(102)가 적재된다.
감광체(108)는 용지(102)의 폭에 대응하도록 소정 길이로 연장된 원주형의 드럼 형태를 갖는다. 감광체(108)는 후술할 대전 롤러(118)에 의해 일정한 극성의 전위로 대전된다. 외주면이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체(108)는 광 주사부(110)로부터 주사된 빔에 의하여 전위차에 의한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후술할 현상 롤러(120)에 의하여 정전 잠상에 토너(122)가 공급되며, 토너(122)에 의한 화상은 감광체(108) 및 전사 롤러(114)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102) 상에 전사된다.
광 주사부(110)는 용지(102) 상에 형성될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빔을 감광체(108)로 주사하여 감광체(108)에 정전 잠상이 형성되도록 한다. 광 주사부(110)는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레이저 스캐닝부(Laser Scanning Unit)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밖에 다양한 형태의 광원이 레이저 스캐닝부를 대체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112)는 감광체(108)의 정전 잠상에 현상제인 토너(122)를 공급한다. 현상 카트리지(112)는, 카트리지 케이스(132)와 대전 롤러(118), 현상 롤러(120), 토너 저장부(124), 호퍼(126), 공급 롤러(128), 규제 블레이드(130)를 포함한다. 대전 롤러(118)와 감광체(108)는 서로 접촉하여 회전하며, 대전 롤러(118) 감광체(108) 표면을 균일한 전위 값으로 대전시킨다. 현상 롤러(120)는 감광체(108)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토너(122)를 공급한다. 토너 저장부(124)는 카트리지 케이스(132) 내부에 형성되며 토너(122)가 저장된다. 호퍼(126)는 토너 저장부(124)에 마련된다. 공급 롤러(128)는 토너 저장부(124)에 마련되며 현상 롤러(120)에 토너(122)를 공급한다. 규제 블레이드(130)는 현상 롤러(120)에 접하도록 토너 저장부(124)로부터 연장된다. 대전 롤러(118)는 카트리지 케이스(132) 내부에 마련되며 감광체(108)에 접하게 회전한다. 대전 롤러(118)는 대전 바이어스(bias)가 인가되어 감광체(108)의 외주면을 동일한 전위 값으로 대전시킨다. 대전 롤러(118)에 의해 동일한 전위 값으로 대전된 감광체(108)에 광 주사부(110)으로부터의 빔이 주사되게 되면, 빔이 주사된 지점은 감광체(108)의 광도전성 특성에 기인하여 전위 값이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감광체(108)에 있어서 빔이 주사된 지점과 주사되지 않은 지점 사이에는 전위차가 발생하며, 이로써 감광체(108)에는 전위차에 의한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현상 롤러(120)는 토너 저장부(124)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감광체(108)의 회전 방향에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현상 바이어스가 인가된 현상 롤러(120)는 공급 롤러(128)와 접하게 회전하며, 공급 롤러(128)와의 전위차에 의해 공급 롤러(128)로부터의 토너(122)가 부착된다. 토너(122)가 부착된 현상 롤러(120)는 감광체(108)와 접하게 회전하여, 부착된 토너(122)가 감광체(108)의 정전 잠상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토너 저장부(124)는 카트리지 케이스(132) 내부에 토너(122)를 저장하기 위한 수용 공간으로 형성된다. 토너 저장부(124)는 현상 롤러(120)가 마련된 일측이 개구됨으로써, 저장된 토너(122)가 공급 롤러(128)에 의해 현상 롤러(120)로 공급되게 한다. 호퍼(126)는 토너 저장부(124)에 적어도 하나 설치된다. 호퍼(126)는 토너 저장부(124)에서 회전하여, 토너(122)를 공급 롤러(128) 쪽으로 이송시키며, 토너(122)를 교반시킴으로써 토너(122)의 고화를 방지하고 유동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호퍼(126)는 토너(122)를 교반시킴으로써 토너(122)가 소정 전위 값으로 대전되도록 기여한다. 공급 롤러(128)는 토너 저장부(124)의 일측에서 현상 롤러(120)와 접하여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공급 롤러(128)는 호퍼(126)에 의해 이송된 토너(122)를 현상 롤러(120)로 공급한다. 공급 롤러(128)는 현상 롤러(120)와 동일한 방향, 즉 상호 엇갈리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하여, 공급 롤러(128) 및 현상 롤러(120) 사이를 통과하여 마찰력을 받은 토너(122)는, 소정 전위 값으로 대전되는 동시에 현상 롤러(120)에 적정량이 부착된다. 규제 블레이드(130)는 카트리지 케이스(132)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소정 가압력을 가지고 현상 롤러(120)에 접촉한다. 이에 의하여, 규제 블레이드(130)는 공급 롤러(128)로부터 공급되어 현상 롤러(120)에 부착된 토너(122)의 양, 즉 현상 롤러(120)의 단위 면적당 토너(122) 질량(M/A [g/cm2])의 균일성을 확보한다. 또한, 규제 블레이드(130)는 현상 롤러(120)에 부착되는 토너(122)를 소정 전위 값으로 대전시킨다. 이를 위하여, 규제 블레이드(130)는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여 전원을 인가받아 일정 전위 값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토너(122)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현상 방식에 따라서 2성분 방식, 자성 1성분 방식, 비자성 1성분 방식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는 비자성 1성분 방식의 토너(122)를 사용한다. 비자성 1성분 방식의 토너(122)는, 기본 전하량을 조정하거나 정착 온도의 결정 요인이 되는 레진(resin)이 전체 구성 중 90% 이상을 차지한다. 그 외에 극성 및 색상을 결정하는 카본(carbon), 유동성을 살리는 외첨제인 왁스(wax), 소수성 및 유동성을 위한 실리카(silica) 등이 첨가된다. 토너(122)는 성분들에 의해, 건조한 상태에서 유동성을 가지는 동시에, 마찰에 의해 소정 전위 값으로 대전된다.
도 1에 나타낸 공급 롤러(128)와 현상 롤러(120), 규제 블레이드(130), 대전 롤러(118), 감광체(108), 전사 롤러(114)에는 상호 간에 전압 차가 발생하도록 바이어스된다. 공급 롤러(128)와 현상 롤러(120), 규제 블레이드(130), 대전 롤러(118), 감광체(108), 전사 롤러(114) 각각마다 독립적으로 바이어스될 수 있다. 또는 공급 롤러(128)와 현상 롤러(120), 규제 블레이드(130), 대전 롤러(118), 감광체(108), 전사 롤러(114)마다 제너 다이오드(Zenor diode)를 설치하여 상호 간에 일정한 전압 차가 유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공급 롤러(128)와 현상 롤러(120), 규제 블레이드(130), 대전 롤러(118), 감광체(108), 전사 롤러(114) 각각에 독립적으로 가변 제어(예를 들면 PWM 제어) 방식의 전압 공급 장치를 마련하고, 화상 형성 장치(100)의 주변 환경과 수명 정보를 이용하여 공급 롤러(128)와 현상 롤러(120), 규제 블레이드(130), 대전 롤러(118), 감광체(108), 전사 롤러(114) 각각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가변 제어할 수 있다. 공급 롤러(128)와 현상 롤러(120), 규제 블레이드(130), 대전 롤러(118), 감광체(108), 전사 롤러(114) 각각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가변 제어하는 목적은 토너의 농도를 적정 수준으로 조절하는데 있다. 토너의 농도를 적정 수준으로 조절하는 것은 용지에 형성되는 화상의 품질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 용지의 화상 형성 영역의 각 부분마다 적정 수준의 토너 농도를 유지해야만 높은 품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토너의 농도를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키기 위해 공급 롤러(128)와 현상 롤러(120), 규제 블레이드(130), 대전 롤러(118), 감광체(108), 전사 롤러(114) 각각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가변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나티낸 도면이다. 특히 도 1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200)는 컬러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 사진 방식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200)는 본체 케이스(201) 내부에 4개의 현상 카트리지(210Y)(210M)(210C)(210K), 4개의 광 주사부(225Y)(225M)(225C)(225K), 화상 전사부(230), 및 정착부(250)를 구비한다. 또한, 용지(202)가 적재되는 용지 공급부(227), 용지 공급부(227)로부터 용지(202)를 낱장씩 픽업하는 픽업 롤러(228), 픽업된 용지(202)를 이송하는 이송 롤러(229), 및 화상이 인쇄된 용지(202)를 본체 케이스(201) 밖으로 배출하는 배지 롤러(253)를 구비한다.
현상 카트리지들(210Y)(210M)(210C)(210K)은 현상제인 토너가 소모되면 새 것으로 교환되는 카트리지 타입으로, 도 2에 나타낸 실시 예에서는 컬러 화상의 인쇄를 위해 각각의 현상 카트리지들(210Y)(210M)(210C)(210K)마다 서로 다른 색상의 토너, 예를 들면 옐로우(Yellow, Y), 마젠타(Magenta, M), 시안(Cyan, C), 블랙(Black, K) 색상의 토너가 각각 수용된다. 본체 케이스(201) 일 측면의 도어(204)를 열면 전사 벨트(235)가 도어(204)의 열림과 연계되어 횡으로 배열되므로, 토너가 소진된 현상 카트리지들(210Y)(210M)(210C)(210K)을 교환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4개의 현상 카트리지(210Y)(210M)(210C)(210K) 각각에 대응하도록 4개의 광 주사부(225Y)(225M)(225C)(225K)가 구비된다. 각 광 주사부(225Y)(225M)(225C)(225K)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화상 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각 현상 카트리지(210Y)(210M)(210C)(210K) 내부에 장착된 감광체(245Y)(245M)(245C)(245K)로 주사한다. 광 주사부(225Y)(225M)(225C)(225K)로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레이저 스캐닝부(Laser Scanning Unit, LSU)이 채용될 수 있다.
각 현상 카트리지들(210Y)(210M)(210C)(210K)은 그 내부에 감광체(245Y)(245M)(245C)(245K), 및 현상 롤러(215Y)(215M)(215C)(215K)를 구비한다. 감광체(245Y)(245M)(245C)(245K)는 토너 화상의 전사를 위해, 외주면의 일부가 전사 벨트(235)와 접촉한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들(210Y)(210M)(210C)(210K)은 대전 롤러(219Y)(219M)(219C)(219K)를 각각 구비한다. 대전 롤러(219Y)(219M)(219C)(219K)에는 감광체(245Y)(245M)(245C)(245K)의 외주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기 위하여 대전 바이어스가 인가된다.
현상 롤러(215Y)(215M)(215C)(215K)는 그 외주면에 토너를 부착시켜 감광체(245Y)(245M)(245C)(245K)로 공급한다. 현상 롤러(215Y)(215M)(215C)(215K)에는 토너를 감광체(245Y)(245M)(245C)(245K)로 공급하기 위한 현상 바이어스가 인가된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으나, 현상 카트리지들(210Y)(210M)(210C)(210K) 내부에는 토너를 현상 롤러(215Y)(215M)(215C)(215K)로 공급하는 공급 롤러(미도시), 현상 롤러(215Y)(215M)(215C)(215K)에 부착된 토너의 양을 규제하는 규제 블레이드, 현상 카트리지(210Y)(210M)(210C)(210K) 내부에 수용된 토너를 굳지 않게 교반하며 공급 롤러(미도시) 측으로 이송하는 교반기가 더 구비된다.
화상 전사부(230)는 4개의 감광체(245Y)(245M)(245C)(245K)를 포함한다. 그리고, 구동 롤러인 제 1 롤러(231)와, 제 1 롤러(231)의 아래에 평행하게 배열된 종동 롤러인 제 2 롤러(232)와, 제 1 롤러(231) 및 제 2 롤러(232)에 감겨 순환 주행하는 전사 벨트(235)와, 제 1 롤러(231)와 제 2 롤러(232) 사이에 배치되는 4개의 전사 롤러(240Y)(240M)(240C)(240K)를 구비한다. 또한, 전사 벨트(235)를 보조적으로 지지하는 보조 지지 롤러(233)(234)을 구비한다. 4개의 전사 롤러(240Y)(240M)(240C)(240K)는 전사 벨트(235)를 사이에 개재하고 4개의 감광체(245Y)(245M)(245M)(245K)의 맞은편에 각각 배치된다. 전사 롤러(240Y)(240M)(240C)(240K)는 감광체(245Y)(245M)(245C)(245K)와 전사 롤러(240Y)(240M)(240C)(240K)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202)의 배면(화상이 형성되는 면의 뒤쪽 면)을 토너의 반대 극성으로 대전시켜서 감광체(245Y)(245M)(245C)(245K) 표면의 토너가 용지(202)의 표면에 흡착되도록 한다. 정착부(250)는 용지(202) 표면의 토너를 용지(202)의 표면 상에 정착시킨다. 이를 위해 전사 롤러(240Y)(240M)(240C)(240K)에는 전사 바이어스가 인가된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200)에서 감광체(245Y)(245M)(245C)(245K)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력이 전사 벨트(235)를 주행시키는 주행 구동력보다 크다. 이는, 감광체(245Y)(245M)(245M)(245K)에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기어(미도시)가 감광체 하나당 하나씩 연결되어 구동력이 크지만, 전사 벨트(235)는 제 1 롤러(231)의 구동력에 의해서만 주행되고, 다른 롤러들(232, 133, 134, 141Y)(241M)(241C)(241K)은 전사 벨트(235)의 주행에 의해 종동하는 것이어서 전사 벨트(235)의 주행 구동력은 작기 때문이다.
도 3은 도 1의 모노크롬 화상 형성 장치의 감광체 및 전사 롤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사 롤러(114)는 감광체(108)에 접하도록 회전하면서 용지(102) 상에 토너(122)에 의한 화상이 전사되도록 한다. 즉 전사 롤러(114)는 감광체(108)와 전사 롤러(114)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102)의 배면(화상이 형성되는 기록 면의 뒤쪽 면)(102b)을 토너(122)의 극성의 반대 극성으로 대전시켜서 감광체(108) 표면의 토너(122)가 용지(102)의 기록 면(102a)에 흡착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전사 롤러(114)에는 전사 바이어스가 인가된다. 기록 면(102a)에 토너(122)가 흡착된 용지(102)는 도 1의 정착부(116)를 통과하면서 정착부(116)에 의해 용지(102)의 기록 면(102a) 상의 토너(122)가 용지(102)에 정착된다.
앞서 도 2를 통해 설명한 컬러 화상 형성 장치(200)의 전사 롤러(240Y)(240M)(240C)(240K) 역시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작용한다. 단, 컬러 화상 형성 장치(200)에서는 현상제인 토너의 색상 수에 해당되는 4개의 전사 롤러(240Y)(240M)(240C)(240K) 및 감광체(245Y)(245M)(245C)(245K)가 마련되고, 각 색상의 정렬(registration) 과정이 더 수반되는 것이 다를 뿐이다.
다시 도 3으로 돌아와서, 전사 롤러(114)의 외층은 발포재(發泡材)인 발포 스폰지로 형성되어 전사 롤러(114)의 표면에 다수의 셀(cell)(302)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다수의 셀(302)은 그 내부에 지분(紙粉)과 폐토너(특히 외첨이 이탈된 무극성의 토너) 같은 오염 물질이 유입되어 용지(102)의 배면(102b)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된다. 특히, 전사 롤러(114) 표면의 일부 셀(302)이 오염 물질로 채워지고 다른 일부 셀(302)은 오염 물질이 채워지지 않으며, 나머지 일부 셀(302)은 오염 물질이 조금만 채워지거나 하면, 전사 롤러(114)에 전사 바이어스가 인가될 때 셀(302)의 불균일한 오염 물질로 인해 전사 롤러(114)의 전체에 걸쳐 균일한 바이어스가 인가되지 않게 된다. 전사 롤러(114)의 불균일한 바이어스 인가는 용지(102)를 토너 극성의 반대 극성으로 대전시킬 때 용지(102)의 불균일한 대전이 초래되어 화상 형성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제어 계통은 도 1에 나타낸 모노크롬 화상 형성 장치(100)를 예로 든 것으로서, 도 2에 나타낸 컬러 화상 형성 장치(200)에도 유사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402)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제어부(402)에는 카운터(404)가 내장되는데, 이 카운터(404)는 전사 롤러(114)의 사용 시간을 카운트하기 위한 것으로서, 새로운 전사 롤러(114)가 장착되면 사용자(또는 서비스 기사)에 의해 카운터(404)가 리셋되어 카운트 값이 리셋될 수 있다. 카운터(404)는 제어부(402)의 외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402)는 또 다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마련되는데, 이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또는 서비스 기사)가 전사 롤러(114)의 초기화를 강제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입력 수단을 통해 발생시키는 전사 롤러 초기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2)는 고전압 전력 공급부(High Voltage Power Supply)(406)를 통해 현상 카트리지(112)와 감광체(108), 전사 롤러(114)에 바이어스를 인가하여 대전과 현상, 전사 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402)는 현상 카트리지(112)와 감광체(108), 전사 롤러(114) 등을 제어하여 전사 롤러(122)의 초기화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전사 롤러(114)의 오염과 전기적 불균일성이 억제되도록 한다. 여기서 전사 롤러(114)의 전기적 불균일성은, 예를 들면, 전사 롤러(114) 전체에 걸쳐 동일한 표면 저항 값을 갖지 않고 부분적으로 다른 표면 저항 값을 갖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사 롤러(114)의 표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셀(302)들 가운데 오염 물질이나 폐토너 등으로 가득 채워져 있는 부분은 표면 저항이 상대적으로 크고, 반대로 다수의 셀(302)들 가운데 비어 있거나 조금만 채워져 있는 부분은 표면 저항이 상대적으로 작다. 전사 롤러(114)의 초기화는, 전사 롤러(114)의 외층을 발포재인 발포 스펀지로 형성함에 따라 전사 롤러(114)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셀(302)을 현상제인 토너로 미리 채우는 과정이다. 즉, 감광체(108)의 표면 전체에 토너(122)가 공급되어 부착되도록 하고, 감광체(108)와 대전 롤러(114) 사이에 용지(102)의 개입이 없이 감광체(108)와 대전 롤러(114)를 서로 접촉시켜서 감광체(108)의 토너가 전사 롤러(114)의 표면으로 옮겨가 부착되도록 한다. 또한, 이와 같은 과정을 일정 시간 지속하여 전사 롤러(114)의 셀(302)들이 토너(112)에 의해 모두 균일하게 채워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초기화를 수행함으로써 전사 롤러(114)의 셀(302)로의 오염 물질의 유입이 억제될 수 있고, 또 다수의 셀(302) 가운데 일부만이 오염 물질로 채워졌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전사 롤러(114)의 전기적 분균일성이 본 발명의 초기화를 통해 해소될 수 있다. 전사 롤러(114)의 초기화는 새로운 전사 롤러(114)를 대상으로 수행할 수도 있고, 또 이미 사용 중인 전사 롤러(114)를 대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사 롤러의 초기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 5는 새 전사 롤러(114)의 초기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새 전사 롤러(114)는 생산 이후 사용된 적이 없는 전사 롤러(114)로서, 신품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장착된 전사 롤러(114)이거나, 또는 이미 판매된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사 롤러(114)를 새로운 부품으로 교체한 경우의 전사 롤러(114)일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사 롤러(114)의 초기화를 위해 준비된 새 전사 롤러(114)의 초기화를 수행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새 전사 롤러(114)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셀(302)은 오염 물질이나 폐토너 등이 존재하지 않는 깨끗한 상태이다. 이 새 전사 롤러(114)를 그대로 사용하면 셀(302)에 오염 물질이나 폐토너 등이 유입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전사 롤러(114)의 초기화를 통해 셀(302)에 토너를 채워 넣는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사 롤러(114)의 초기화를 위해 준비된 새 전사 롤러(114)의 초기화를 수행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새 전사 롤러(114)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셀(302)이 본 발명에 따른 전사 롤러(114)의 초기화 과정을 거치면서 셀(302)에 토너가 채워진 상태이다. 이와 같이 새 전사 롤러(114)의 다수의 셀(302) 모두에 토너를 채워 넣음으로써, 셀(302)에 오염 물질이나 폐토너가 유입되지 않고, 특히 모든 셀들이 토너로 균일하게 채워짐으로써 새 전사 롤러(114) 전체에 걸쳐 균일한 전기적 특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사 롤러의 초기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 6은 사용된 전사 롤러(114)의 초기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사용중인 전사 롤러(114)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이미 장착되어 사용되었던 전사 롤러(114)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사 롤러(114)의 초기화를 위해 준비된 사용된 전사 롤러(114)의 초기화를 수행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된 전사 롤러(114)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셀(302) 가운데 일부 또는 전부는 초기화 전까지의 사용 과정에서 오염 물질이나 폐토너 등이 셀(302)에 유입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의 전사 롤러(114)는 유입된 오염 물질 등에 의해 용지(102)나 감광체(108)가 오염될 수 있고, 또 다수의 셀(302) 가운데 일부 또는 전부가 오염 물질에 의해 불균일한 상태로 채워짐에 따라 전사 롤러(114)의 전기적 특성마저 불균일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전사 롤러(114)의 초기화를 통해 셀(302)에 토너를 채워 넣는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사 롤러(114)의 초기화를 위해 준비된 사용된 전사 롤러(114)의 초기화를 수행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된 전사 롤러(114)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셀(302)이 본 발명에 따른 전사 롤러(114)의 초기화 과정을 거치면서 셀(302)에 토너가 채워진 상태이다. 이와 같이 사용된 전사 롤러(114)의 다수의 셀(302) 모두에 토너를 채워 넣음으로써, 셀(302)에 더 이상의 오염 물질이나 폐토너가 유입되지 않고, 특히 모든 셀들이 토너로 균일하게 채워짐으로써 사용된 전사 롤러(114) 전체에 걸쳐 균일한 전기적 특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은 앞서 도 5에서 설명한 새 전사 롤러(114)의 초기화를 위한 것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0)가 파워 온 되면 전력이 공급되고 워밍 업이 이루어져서 동작 가능한 상태로 된다(702). 이 상태에서 제어부(402)에 카운터 리셋 신호가 입력되면(704의 ‘예’), 제어부(402)는 이 카운터 리셋 신호에 응답하여 카운터(404)의 카운트 값을 리셋시킨다. 카운터 리셋 신호는 사용자(또는 서비스 기사)가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입력 수단을 통해 발생시키는 신호로서, 전사 롤러(114)를 새로운 제품으로 교체하는 경우 전사 롤러(114)의 사용 기간(또는 수명)의 카운트 값을 초기화시키기 위해 발생시킨다.
제어부(402)는, 카운터 리셋 신호가 발생하면 전사 롤러(114)가 새로운 제품으로 교체된 것으로 판단하여 카운터(404)의 카운트 값을 리셋시킨 후 전사 롤러(114)를 대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초기화 과정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706). 즉, 제어부(402)는, 전사 롤러(114)의 초기화를 위해, 감광체(108)의 표면 전체에 토너(122)가 공급되어 부착되도록 하고, 감광체(108)와 대전 롤러(114) 사이에 용지(102)의 개입이 없이 감광체(108)와 대전 롤러(114)를 서로 접촉시켜서 감광체(108)의 토너가 전사 롤러(114)의 표면으로 옮겨가 부착되도록 한다. 또한, 이와 같은 과정을 일정 시간 지속하여 전사 롤러(114)의 셀(302)들이 토너(112)에 의해 모두 균일하게 채워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402)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화가 이루어진 전사 롤러(114)를 대상으로 클리닝을 수행할 수도 있다(708). 단,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사 롤러(114)의 초기화를 수행한 직후에 클리닝 작업이 반드시 수반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사 롤러(114)의 초기화를 1회 실시한 다음 주기적으로 클리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1회의 초기화 이후 미리 정해진 수회의 클리닝을 수행하고, 이와 같은 1회의 초기화 및 수회의 클리닝을 주기적으로 반복할 수 있다. 전사 롤러(114)의 클리닝은, 전사 롤러(114)에 양극(+)의 바이어스와 음극(-)의 바이어스를 교대로 인가하여 전사 롤러(114)에 전기적 에너지를 가함으로써 전사 롤러(114)의 표면에 붙어있는 오염 물질이나 잔존 토너 등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다. 전사 롤러(114)의 클리닝은, 양극(+)의 바이어스와 음극(-)의 바이어스를 동일한 주기로 교대로 인가하는 대칭 방식과, 양극(+)의 바이어스와 음극(-)의 바이어스를 서로 다른 주기로 교대로 인가하는 비대칭 방식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은 앞서 도 6에서 설명한 사용된 전사 롤러(114)의 초기화를 위한 것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0)가 파워 온 되면 전력이 공급되고 워밍 업이 이루어져서 동작 가능한 상태로 된다(802). 이 상태에서 제어부(402)에 초기화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402)는 이 초기화 명령에 응답하여 전사 롤러(114)를 대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초기화 과정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806). 초기화 명령은, 비록 전사 롤러(114)가 새 제품으로 교체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사용자(또는 서비스 기사)가 전사 롤러(114)의 초기화를 강제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입력 수단을 통해 발생시키는 명령이다. 초기화 명령에 의한 전사 롤러(114)의 초기화의 강제적 실시는, 전사 롤러(114)의 교체와 무관하게 전사 롤러(114)의 초기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실시하거나, 또는 카운터(404)의 리셋에 응답하여 자동으로 전사 롤러(114)의 초기화를 수행하도록 마련되어 있지 않은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전사 롤러(114)의 초기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실시할 수 있다. 제어부(402)는, 전사 롤러(114)의 초기화를 위해, 감광체(108)의 표면 전체에 토너(122)가 공급되어 부착되도록 하고, 감광체(108)와 대전 롤러(114) 사이에 용지(102)의 개입이 없이 감광체(108)와 대전 롤러(114)를 서로 접촉시켜서 감광체(108)의 토너가 전사 롤러(114)의 표면으로 옮겨가 부착되도록 한다. 또한, 이와 같은 과정을 일정 시간 지속하여 전사 롤러(114)의 셀(302)들이 토너(112)에 의해 모두 균일하게 채워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402)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화가 이루어진 전사 롤러(114)를 대상으로 클리닝을 수행할 수도 있다(808). 단,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사 롤러(114)의 초기화를 수행한 직후에 클리닝 작업이 반드시 수반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사 롤러(114)의 초기화를 1회 실시한 다음 주기적으로 클리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1회의 초기화 이후 미리 정해진 수회의 클리닝을 수행하고, 이와 같은 1회의 초기화 및 수회의 클리닝을 주기적으로 반복할 수 있다. 전사 롤러(114)의 클리닝은, 전사 롤러(114)에 양극(+)의 바이어스와 음극(-)의 바이어스를 교대로 인가하여 전사 롤러(114)에 전기적 에너지를 가함으로써 전사 롤러(114)의 표면에 붙어있는 오염 물질이나 잔존 토너 등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다. 전사 롤러(114)의 클리닝은, 양극(+)의 바이어스와 음극(-)의 바이어스를 동일한 주기로 교대로 인가하는 대칭 방식과, 양극(+)의 바이어스와 음극(-)의 바이어스를 서로 다른 주기로 교대로 인가하는 비대칭 방식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사 롤러의 초기화 이후 전사 롤러의 클린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9(A)는 용지(102)의 선단(902)이 정착부(116)에 삽입된 상태이고 또 용지(102)의 후단(904)이 감광체(108)와 전사 롤러(114) 사이를 통과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때의 용지(102)는 정착부(116)와 전사 롤러(114)의 회전 속도 차로 인해 텐션을 갖지 않도록 약간 굽은(curl) 상태로 화살표 방향을 따라 진행한다.
이 상태에서,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102)의 후단(904)이 감광체(108)와 전사 롤러(114) 사이를 빠져나오는 순간 굽어있던 용지(102)가 펴지면서 그 힘에 의해 용지(102)의 후단(904)의 배면이 전사 롤러(114)의 표면을 쓸고 지나가게 된다. 이로 인해 용지(102)의 후단(904)의 배면이 전사 롤러(114)의 표면으로부터 오염될 수 있다.
도 9(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사 롤러(114)의 초기화를 수행하기 이전의 용지(102)의 후단(904)의 배면의 오염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9(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사 롤러(114)의 초기화를 수행하기 이후의 용지(102)의 후단(904)의 배면의 오염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의 (C)와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사 롤러(114)의 초기화를 수행하기 이전보다, 전사 롤러(114)의 초기화를 수행한 이후의 용지(102)의 후단(904)의 배면의 오염 상태가 현저히 개선된 것을 알 수 있다.
108, 245Y, 245M, 245C, 245K : 감광체
112 : 토너
114, 240Y, 240M, 240C, 240K : 전사 롤러
302 : 셀
402 : 제어부
404 : 카운터

Claims (18)

  1.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된 전사 롤러가 새 제품인지를 판별하고;
    상기 전사 롤러가 새 제품인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전사 롤러의 표면으로 현상제를 이송시켜서 상기 전사 롤러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셀들을 상기 현상제로 채우는 전사 롤러 초기화를 수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롤러의 사용 기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트 값이 리셋되면 상기 전사 롤러가 새 제품인 것으로 판별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가 감광체를 통해 상기 전사 롤러의 표면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감광체를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롤러의 외표면이 발포재(發泡材)재로 형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롤러 초기화가 완료된 상기 전사 롤러에 대해 상기 현상제의 추가적인 도포없이 클리닝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6. 전사 롤러 초기화 명령이 발생하는지를 판별하고;
    상기 전사 롤러의 초기화 명령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전사 롤러의 표면으로 현상제를 이송시켜서 상기 전사 롤러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셀들을 상기 현상제로 채우는 전사 롤러 초기화를 수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롤러 초기화 명령이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발생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롤러의 외표면이 발포재로 형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롤러 초기화가 완료된 상기 전사 롤러에 대해 상기 현상제의 추가적인 도포없이 클리닝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전사 롤러와;
    상기 전사 롤러가 새 제품인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전사 롤러의 표면으로 현상제를 이송시켜서 상기 전사 롤러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셀들을 상기 현상제로 채우는 전사 롤러 초기화를 수행되도록 상기 전사 롤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롤러의 사용 기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운터의 카운트 값이 리셋되면 상기 전사 롤러가 새 제품인 것으로 판별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상제가 감광체를 통해 상기 전사 롤러의 표면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감광체를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롤러의 외표면이 발포재로 형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사 롤러 초기화가 완료된 상기 전사 롤러에 대해 상기 현상제의 추가적인 도포없이 클리닝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전사 롤러와;
    상기 전사 롤러의 초기화 명령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전사 롤러의 표면으로 현상제를 이송시켜서 상기 전사 롤러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셀들을 상기 현상제로 채우는 전사 롤러 초기화를 수행하도록 상기 전사 롤러를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롤러 초기화 명령이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발생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롤러의 외표면이 발포재로 형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사 롤러 초기화가 완료된 상기 전사 롤러에 대해 상기 현상제의 추가적인 도포없이 클리닝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20116675A 2012-10-19 2012-10-19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eased KR2014005035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675A KR20140050357A (ko) 2012-10-19 2012-10-19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13188382.9A EP2722716B1 (en) 2012-10-19 2013-10-11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1310484931.9A CN103823351A (zh) 2012-10-19 2013-10-16 图像形成设备及其控制方法
US14/056,377 US9256169B2 (en) 2012-10-19 2013-10-17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initializing and cleaning a transfer roller ther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675A KR20140050357A (ko) 2012-10-19 2012-10-19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357A true KR20140050357A (ko) 2014-04-29

Family

ID=49474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6675A Ceased KR20140050357A (ko) 2012-10-19 2012-10-19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56169B2 (ko)
EP (1) EP2722716B1 (ko)
KR (1) KR20140050357A (ko)
CN (1) CN10382335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07830B2 (ja) * 2015-10-07 2020-06-1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9771A (en) * 1995-03-02 1997-11-18 Konica Corporatio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bias controller for cleaning transfer roller
JP3453473B2 (ja) * 1995-05-30 2003-10-06 キヤノン株式会社 発泡導電性ローラー、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写真装置
US5870650A (en) * 1996-07-18 1999-02-09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device to apply a release agent to a surface of a transfer roller
JP4250581B2 (ja) * 2004-09-29 2009-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723950B2 (ja) * 2005-08-08 2011-07-1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7206475A (ja) 2006-02-03 2007-08-1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8634741B2 (en) * 2010-09-08 2014-01-21 Paul Ottaviani Laser printer cleaning cartridge device and method
JP2013011756A (ja) * 2011-06-29 2013-01-1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56169B2 (en) 2016-02-09
US20140112670A1 (en) 2014-04-24
EP2722716A3 (en) 2018-01-17
EP2722716B1 (en) 2021-06-30
EP2722716A2 (en) 2014-04-23
CN103823351A (zh) 201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29152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9244379B2 (en)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JP3891468B2 (ja) 画像形成装置
US913464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charging bias and laser power
US20100226688A1 (en)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22189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068960B2 (en) Cleaning device including brush roller with high cleaning performan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unit including the cleaning device, method of removing deposit, and method of forming an image
EP2595002B1 (en) Developing devic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0492209C (zh) 图像形成装置
JP6057934B2 (ja) 現像装置、及び現像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20100054818A1 (en) Developing apparatus
KR20140050357A (ko)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0217225A (ja) トナー攪拌装置、これを備えた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7949286B2 (en) Development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6091331A (ja) 粉体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290157B2 (ja) 画像形成装置
JP6848703B2 (ja)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
JP2017010010A (ja) 画像形成装置
JP2014010340A (ja) バイアス制御装置、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777150B2 (ja)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非劣化キャリアの分離方法
JP4560354B2 (ja) 画像形成装置
JP5742795B2 (ja) 画像形成装置
JP7309441B2 (ja) 画像形成装置
US8010021B2 (en) Developing cartridge having a plurality of developers with different material propertie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09244440A (ja)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1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611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9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10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8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906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8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220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808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8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4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9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10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220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808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191004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90910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90411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8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