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140791A - 직물 및 의료 - Google Patents

직물 및 의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0791A
KR20130140791A KR1020137015561A KR20137015561A KR20130140791A KR 20130140791 A KR20130140791 A KR 20130140791A KR 1020137015561 A KR1020137015561 A KR 1020137015561A KR 20137015561 A KR20137015561 A KR 20137015561A KR 20130140791 A KR20130140791 A KR 20130140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yarn
crimped yarn
crimped
woven fabr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5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0321B1 (ko
Inventor
아끼오 우꾸마
겐지 이와시따
Original Assignee
데이진 프론티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진 프론티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진 프론티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40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0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32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1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specific twis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8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characterised by weave density or surface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8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against electric shocks or static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3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fibres or filaments
    • D03D15/33Ultrafine fibres, e.g. microfibres or nano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9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textured; curled; crimp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5/00Calendering, pressing, ironing, glossing or glaz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1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hydrophob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Woven Fabric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량성과 내수성이 우수한 직물 및 상기 직물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의료를 제공한다. 단위 면적당 중량이 100g/㎡ 이하이며 커버 팩터가 1800 이상인 직물에 있어서, 상기 직물의 경사 및 위사 중 어느 한쪽에 가연 권축 가공사를 배치하고, 다른 쪽에 비권축사를 배치한다.

Description

직물 및 의료{FABRIC AND CLOTHING}
본 발명은, 경량성과 내수성이 우수한 직물 및 상기 직물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의료(依料)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포츠 의료, 일반 의료, 이불 천 등의 용도로 내수성 직물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스포츠 의료에 있어서는, 아웃도어 스포츠 등의 보급에 의해 더욱 우수한 내수성을 갖는 직물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요구에 따르기 위해, 직물을 구성하는 섬유의 단섬유 섬도를 작게 하는 방법, 직물의 밀도를 높이는 방법 등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특허문헌 3 참조). 또한, 이들 용도에서는 내수성뿐만 아니라 경량성(낮은 단위 면적당 중량)도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내수성과 경량성은 통상 상반되는 성질이다. 예를 들어, 내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단위 면적당 중량을 크게 하면 경량성이 손상되고, 반대로 경량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단위 면적당 중량을 작게 하면 내수성이 손상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4401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40265호 공보 일본 특허 제3034045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한 배경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경량성과 내수성이 우수한 직물 및 상기 직물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의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직물의 경사 및 위사 중 어느 한쪽에 가연 권축 가공사를 배치하고 다른 쪽에 비권축사를 배치함으로써, 가연 권축 가공사의 부품성과, 상기 가연 권축 가공사를 구속하는 비권축사의 구속력의 상승 작용에 의해, 경량성과 내수성이 우수한 직물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고, 예의 검토를 더욱 거듭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단위 면적당 중량이 100g/㎡ 이하이며 커버 팩터가 1800 이상인 직물이며, 상기 직물의 경사 및 위사 중 어느 한쪽에 가연 권축 가공사가 배치되고, 다른 쪽에 비권축사가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이 제공된다.
그 때, 상기 가연 권축 가공사 및 상기 비권축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있어서, 총 섬도가 10 내지 50dtex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연 권축 가공사 및 상기 비권축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있어서, 필라멘트수가 48개 이상이고, 또한 상기 가연 권축 가공사의 총 섬도가, 상기 비권축사의 총 섬도에 비하여 동일하거나 또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연 권축 가공사 및 상기 비권축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연 권축 가공사가 복합사의 일 성분으로서 직물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합사의 토크가 50T/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직물에 발수 가공 또는 캘린더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직물의 두께가 0.1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직물의 내수압이 80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 직물의, 세탁 20회 후에 있어서의 내수압 유지율이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직물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의료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량성과 내수성이 우수한 직물 및 상기 직물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의료가 얻어진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직 조직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직물에 있어서, 단위 면적당 중량이 100g/㎡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g/㎡,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g/㎡)인 것이 중요하다. 상기 단위 면적당 중량이 100g/㎡보다도 크면, 경량성이 손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직물에 있어서, 커버 팩터가 1800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1800 내지 3500, 특히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2400)인 것이 중요하다. 커버 팩터가 1800보다 작으면, 충분한 내수압을 얻지 못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커버 팩터는 하기 식 CF로 정의된다.
Figure pct00001
단, DWp는 경사 총 섬도(dtex), MWp는 경사 직밀도(개/2.54㎝), DWf는 위사 총 섬도(dtex), MWf는 위사 직밀도(개/2.54㎝)이다.
또한, 본 발명의 직물에 있어서 직물의 두께로서는, 경량성의 관점에서 0.1mm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0.05mm 내지 0.1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가연 권축 가공사로서는, 권축률 5 내지 35%의 가연 권축 가공사가 바람직하다. 상기 권축률이 5% 미만인 경우에는, 가연 권축 가공사의 부품성이 불충분해져 충분한 내수압을 얻지 못할 우려가 있다. 가연 권축 가공사에는 제1 히터 영역에서 가연을 세팅한, 소위 원 히터(one heater) 가연 권축 가공사와, 상기 실을 재차 제2 히터 영역에 도입하여 이완 열처리함으로써 토크를 저감시킨, 소위 세컨드 히터(second heater) 가연 권축 가공사가 있다. 또한, 시연의 방향에 의해, S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와 Z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들 가연 권축 가공사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연 권축 가공사가 복합사의 일 성분으로서 직물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복합사의 토크가 50T/m 이하이면, 직물 표면이 편평해지기 때문에 항스내깅성이 우수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토크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한다. 즉, 길이가 약 70㎝인 시료(복합사)를 가로로 당겨, 중앙부에 0.18mN×표시 텍스(2mg/de)의 초(初)하중을 달아 맨 후, 양단을 반듯하게 펴서 맞춘다. 시료는 잔류 토크에 의해 회전하기 시작하지만, 회전이 멈출 때까지 그 상태를 유지하여 연사 사조(thread)를 얻는다. 이러한 연사 사조에 17.64mN×표시 텍스(0.2g/de)의 하중을 가하고, 계속하여 25㎝ 길이의 연수를 검연기로 측정한다. 얻어진 연수(T/25㎝)를 4배로 하여 토크(T/m)로 한다.
상기와 같은 토크가 50T/m 이하인 복합사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우선, 사조를 제1 롤러 및 세트 온도 90 내지 220℃(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90℃)의 열처리 히터를 경유하여 꼬임 장치에 의해 시연(twisting)함으로써 원 히터 가연 권축 가공사를 얻을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재차 제2 히터 영역에 도입하여 이완 열처리함으로써 세컨드 히터 가연 권축 가공사를 얻을 수도 있다.
그 때, 가연 가공 시의 연신 배율은 0.8 내지 1.5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가연수(T/m)=(32500/(Dtex)1/2)×α의 식에 있어서, α가 0.5 내지 1.5(특히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2)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Dtex는 사조의 총 섬도(dtex)이다. 사용하는 꼬임 장치로서는, 디스크식 혹은 벨트식의 마찰식 꼬임 장치가 실 걸기가 쉽고, 실 끊어짐도 적어 바람직하다. 핀 방식의 꼬임 장치일 수도 있다. 또한, 시연의 방향에 의해, 가연 권축 가공사가 갖는 토크를 S 방향인지 Z 방향인지 선택할 수 있다.
계속해서, S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와 Z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를 합사함으로써 토크가 50T/m 이하인 복합사가 얻어진다. 이러한 복합사에는, 인터레이스 가공에 의해 교락(交絡)이 부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락(인터레이스)의 개수는, 부드러운 감촉이나 스트레치성을 손상시키지 않기 위하여 30 내지 90개/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교락 처리(인터레이스 가공)는 통상의 인터레이스 노즐을 사용하여 처리한 것이면 된다. 또한, 교락(인터레이스)의 개수는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한다.
즉, 교락사를 8.82mN×표시 텍스(0.1g/de)의 하중 하에서 1m의 길이를 취하고, 하중을 제거한 후, 실온에서 24시간 방축 후의 결절점의 수를 판독하여, 개/m로 표시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연 권축 가공사에 있어서, 총 섬도가 10 내지 100dtex(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dtex,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8dtex, 특히 바람직하게는 41 내지 48dtex)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총 섬도가 10dtex보다도 작으면, 직물의 내수압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상기 총 섬도가 100dtex보다도 크면, 경량성(낮은 단위 면적당 중량)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가연 권축 가공사의 필라멘트수가 48개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48 내지 10000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48 내지 200개,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200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연 권축 가공사의 필라멘트수가 48개 미만인 경우, 직물의 내수압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가연 권축 가공사의 단사 섬도로서는, 0.5dtex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5dtex)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사 섬유 직경이 1㎛ 이하인, 나노파이버라고 칭해지는 초극세 섬유일 수도 있다. 가연 권축 가공사의 단사 섬도가 0.5dtex보다 큰 경우, 직물의 내수압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가연 권축 가공사의 단섬유 단면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동그라미, 삼각, 편평, 중공 등 공지의 단면 형상일 수도 있다.
상기 가연 권축 가공사를 구성하는 섬유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지만, 직물의 우수한 내수압을 얻는 데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락트산, 스테레오컴플렉스 폴리락트산, 제3 성분을 공중합시킨 폴리에스테르 등이 바람직하게 예시된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로서는, 머티리얼 리사이클 또는 케미컬 리사이클된 폴리에스테르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09-091694호 공보에 기재된, 바이오매스, 즉 생물 유래의 물질을 원재료하여 얻어진 단량체 성분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일 수도 있다. 나아가,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70097호 공보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11268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한 인 화합물 및 티타늄 화합물을 포함하는 촉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폴리에스테르일 수도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중에는, 광택 소거제(이산화티타늄), 미세 구멍 형성제, 양이온 염료 가염제, 착색 방지제, 열 안정제, 형광 증백제, 착색제, 흡습제, 무기 미립자가 1종 또는 2종 이상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권축사는, 권축률이 3% 이하(가장 바람직하게는 0%)인 실이다. 직물에 상기 비권축사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직물 조직에 있어서의 조직점(경사와 위사의 교차점)의 구속력이 저하됨으로써 직물의 내수압이 저하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비권축사의 섬유 형태로서는, 멀티필라멘트(장섬유)일 수도 있고, 방적사(단섬유)일 수도 있지만, 우수한 내수압을 얻는 데 있어서 멀티필라멘트(장섬유)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비권축사에 있어서, 총 섬도가 10 내지 100dtex(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dtex,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8dtex,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4dtex)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총 섬도가 10dtex보다도 작으면, 직물의 내수압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상기 총 섬도가 100dtex보다도 크면, 경량성(낮은 단위 면적당 중량)을 얻지 못할 우려가 있다.
또한, 비권축사의 필라멘트수가 48개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48 내지 10000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48 내지 200개,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200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권축사의 필라멘트수가 48개 미만인 경우, 직물의 내수압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비권축사의 단사 섬도로서는, 0.5dtex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5dtex)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사 섬유 직경이 1㎛ 이하인, 나노파이버라고 칭해지는 초극세 섬유일 수도 있다. 비권축사의 단사 섬도가 0.5dtex보다 큰 경우, 직물의 내수압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상기 권축사의 단섬유 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동그라미, 삼각, 편평, 중공 등 공지의 단면 형상일 수도 있다.
상기 비권축사를 구성하는 섬유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우수한 내수압을 얻는 데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락트산, 스테레오컴플렉스 폴리락트산, 제3 성분을 공중합시킨 폴리에스테르 등이 바람직하게 예시된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로서는, 머티리얼 리사이클 또는 케미컬 리사이클된 폴리에스테르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09-091694호 공보에 기재된, 바이오매스, 즉 생물 유래의 물질을 원재료로하여 얻어진 단량체 성분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일 수도 있다. 나아가,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70097호 공보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11268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한 인 화합물 및 티타늄 화합물을 포함하는 촉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폴리에스테르일 수도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중에는, 광택 소거제(이산화티타늄), 미세 구멍 형성제, 양이온 염료가염제, 착색 방지제, 열 안정제, 형광 증백제, 착색제, 흡습제, 무기 미립자가 1종 또는 2종 이상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직물에 있어서, 경사 및 위사 중 어느 한쪽에 가연 권축 가공사가 배치되고, 다른 쪽에 비권축사가 배치되어 있다. 특히, 경사 및 위사 중 어느 한쪽에는 가연 권축 가공사만이 배치되고, 다른 쪽에 비권축사만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 및 위사가 모두 가연 권축 가공사만으로 구성되는 경우는 충분한 내수압을 얻지 못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경사 및 위사가 모두 비권축사만으로 구성되는 경우는, 충분한 내수압을 얻지 못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시 형태로서는, 경사에 가연 권축 가공사가 배치되며 위사에 비권축사가 배치된 실시 형태 1, 경사에 비권축사가 배치되며 위사에 가연 권축 가공사가 배치된 실시 형태 2 등이 예시된다.
그 중에서도, 경사에 가연 권축 가공사를 사용하면, 가연 권축 가공사는 비권축사에 비하여 제직 공정에 있어서 잉아(heald)의 마모를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위사에 비권축사를 사용하면, 비권축사는 가연 권축 가공사에 비하여 위사의 비주성(飛走性)이 우수하기 때문에 편직 효율이 향상되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경사에 가연 권축 가공사가 배치되고 위사에 비권축사가 배치된 실시 형태 1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사 및/또는 위사에 있어서, 각각 총 중량이 40중량%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0중량%)이면, 다른 섬유가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즉, 경사에 가연 권축 가공사가 배치되고, 위사에 비권축사가 배치되는 경우, 경사 총 중량이 40중량% 이하이면 경사에 비권축사가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경사에 가연 권축 가공사가 배치되고, 위사에 비권축사가 배치되는 경우, 위사 총 중량이 40중량% 이하이면 위사에 가연 권축 가공사가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가연 권축 가공사의 부품성과 비권축사의 구속력의 상승 작용에 의해, 본 발명의 직물은 우수한 경량성(낮은 단위 면적당 중량)과 우수한 내수압을 갖는다.
그 때, 비권축사는 직물 조직의 조직점을 구속하는 책임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총 섬도가 작을수록 좋다. 또한, 상기 가연 권축 가공사의 총 섬도가, 비권축사의 총 섬도와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또는 큰 경우, 특히 우수한 내수압을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직물에 있어서, 직물의 직물 조직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평직, 사문직, 주자직 등의 삼원 조직, 변화 조직, 변화 사문직 등의 변화 조직, 경이중직, 위이중직 등의 편이중 조직, 세로 빌로드 등이 예시된다. 그 중에서도, 우수한 내수압을 얻는 데 있어서, 경사와 위사가 교차하는 조직점이 많은, 평직(태피터), 립스톱 조직(예를 들어, 지조직이 평직이고, 서로 인접하는 립의 중앙 내지 중앙의 간격이 4 내지 8mm 정도이고 격자 무늬를 형성한 조직)이 바람직하다. 특히, 립스톱 조직을 채용하면, 직물의 내수압뿐만 아니라 인열강력도 향상되어 바람직하다. 층수는 단층일 수도 있고, 2층 이상의 다층일 수도 있다. 또한, 편직 방법은 통상의 직기(예를 들어, 통상의 워터 제트룸, 에어 제트룸, 레피아룸 등)를 사용한 통상의 방법이면 된다.
본 발명의 직물은 예를 들어 이하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우선, 경사용으로서 가연 권축 가공사를 준비하고, 위사용으로서 비권축사를 준비한다. 또는, 경사용으로서 비권축사를 준비하고, 위사용으로서 가연 권축 가공사를 준비한다. 계속해서, 단위 면적당 중량이 100g/㎡ 이하이며, 커버 팩터가 1800 이상인 직물을 편직함으로써, 본 발명의 직물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직물에 캘린더 가공 또는 발수 가공(바람직하게는 캘린더 가공 및 발수 가공)을 실시하면 경사와 위사로 형성되는 조직간 공극이 작아지기 때문에, 내수압이 더욱 향상되어 바람직하다. 그 때, 발수 가공으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 제3133227호 공보나 일본 특허 공고 평4-5786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이 적합하다. 즉, 발수제로서 시판되고 있는 불소계 발수제(예를 들어, 아사히 글래스(주) 제조, 아사히가드 LS-317)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멜라민 수지, 촉매를 혼합하여 발수제의 농도가 3 내지 15중량% 정도인 가공제로 하고, 픽업률 50 내지 90% 정도로 상기 가공제를 사용하여 직물의 표면을 처리하는 방법이다. 가공제로 직물의 표면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는, 패드법, 스프레이법 등이 예시되며, 그 중에서도 가공제를 직물 내부까지 침투시키는 데 있어서 패드법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상기 픽업률이란, 가공제의 직물(가공제 부여 전) 중량에 대한 중량 비율(%)이다. 또한, 캘린더 가공의 조건으로서는, 온도 130℃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140 내지 195℃), 선압 200 내지 20000N/㎝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직물에 있어서, 통상법의 염색 처리 가공, 감량 가공, 기모 가공, 자외선 차폐 혹은 제전제, 항균제, 소취제, 방충제, 축광제, 재귀반사제(retroreflective agent), 마이너스 이온 발생제 등의 기능을 부여하는 각종 가공, 버핑 가공 또는 브러시 처리 가공을 부가 적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직물에 있어서, 가연 권축 가공사의 부품성과, 상기 가연 권축 가공사를 구속하는 비권축사의 구속력의 상승 작용에 의해, 경량성과 내수성이 우수하다. 경사와 위사가 모두 가연 권축 가공사인 경우에는, 직물을 구성하는 사조의 부품성이 우수하기는 하지만, 직물 조직(경사와 위사의 교차점)의 구속력이 약해지기 때문에, 충분한 내수압을 얻지 못할 우려가 있다. 한편, 경사와 위사가 모두 비권축사인 경우에는, 직물 조직의 구속력은 강하지만, 직물을 구성하는 사조의 부품성이 작기 때문에, 충분한 내수압을 얻지 못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직물에 있어서, 내수압으로서는, JIS L1092에 기재된 저수압법(정수압법)으로 측정하여 800mm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860 내지 200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JIS L1018-77 6.36H법에 규정된 세탁을 20회 행한 후의 내수압 유지율이 70%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5%)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상기 내수압 유지율은 하기 화학식에 의해 정의한다.
내수압 유지율(%)=(세탁 후의 내수압)/(세탁 전의 내수압)×100
또한, 이러한 직물의 인열강력으로서는, JIS L1079 A1(싱글 텅법)에 따라 경(經)과 위(緯)에 대하여 각각 5회 측정하여 그 평균값으로 7N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7 내지 40N)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이러한 인열강력은 예를 들어, 직물 조직으로서 상기 립스톱 조직을 채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직물의 발수도로서는, JIS L 1092의 5.2 발수도(스프레이법)로 5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상기 발수성은 5급이 최선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의료는 상기한 직물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의료이다. 이러한 의료는 상기한 직물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경량성 및 내수성이 우수하다. 또한,이러한 의료에는, 윈드 브레이커, 골프용 웨어, 런닝용 웨어, 테니스용 웨어등의 스포츠 웨어, 레인 웨어나 다운 웨어 등의 아웃도어 웨어, 신사의복, 부인의복, 작업복, 일반 의료 등이 포함된다. 또한,상기한 직물을 커튼, 텐트, 테이프, 우산지, 모자, 차양 시트, 차양 네트, 침낭천, 이불천 등의 섬유 제품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실시예 중 각 측정 항목은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했다.
(1) 직물의 단위 면적당 중량
JIS L1096 6.4.2에 따라 측정했다.
(2) 직물의 두께
JIS L1096 6.5에 따라 측정했다.
(3) 직물의 커버 팩터
하기 화학식 CF에 의해 직물의 커버 팩터를 구했다.
Figure pct00002
단, DWp는 경사 총 섬도(dtex), MWp는 경사 직밀도(개/2.54㎝), DWf는 위사 총 섬도(dtex), MWf는 위사 직밀도(개/2.54㎝)이다.
(4) 권축률
공시 사조를, 둘레 길이가 1.125m인 검척기 둘레에 둘러 감고, 건섬도가 3333dtex인 실패를 제조했다. 상기 실패를 스케일판의 걸이 못에 매달고, 그 하측 부분에 6g의 초하중을 부가하고, 600g의 하중을 재차 부가했을 때의 실패의 길이 L0을 측정했다. 그 후, 즉시 상기 실패로부터 하중을 제거하고, 스케일판의 걸이 못으로부터 분리하고, 이 실패를 비등수 중에 30분간 침지하여, 권축을 발현시켰다. 비등수 처리 후의 실패를 비등수로부터 취출하고, 실패에 포함되는 수분을 여과지에 의해 흡수 제거하고, 실온에 있어서 24시간 풍건했다. 이 풍건된 실패를 스케일판의 걸이 못에 매달고, 그 하측 부분에 600g의 하중을 가하여, 1분 후에 실패의 길이 L1a를 측정하고, 그 후 실패로부터 하중을 제외하고, 1분 후에 실패의 길이 L2a를 측정했다. 공시 필라멘트사조의 권축률(CP)을, 하기 수학식에 의해 산출했다.
Figure pct00003
(5) 내수압
세탁 전의 시료와, JIS L1018-77 6.36H법에 규정된 세탁을 20회 행한 후의 시료에 대해, 내수압을 JIS L1092에 기재된 저수압법(정수압법)에 따라 측정했다.
(6) 발수도
JIS L 1092의 5.2에 기재된 발수도(스프레이법)에 따라 측정했다.
<실시예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230℃에서 6시간 고상 중합 행한 펠릿을 방사 온도 290℃에서 토출시켜, 유제를 부여하고, 방사 속도 1200m/분으로 일단 권취하여 고유 점도 0.75의 미연신사를 얻었다. 계속해서, 가열 롤러와 취출 롤러간의 연신 배율을 3.0배로 하여, 취출 롤러의 주변 속도 800m/분, 이완율 1.5%, 링 연사 장치(9)의 스핀들 회전 수 7500rpm, 가열 롤러의 온도 90℃, 가열 히터의 온도 260℃(히터 길이 130mm), 인터레이스 노즐의 압공압 1.0kg/㎠(9.8N/㎠), 가연 장치로서 외접 프릭션 디스크 방식의 가연 장치를 사용하여 디스크 주변 속도와 실(絲)속도의 비(D/Y) 2.0으로 가연 가공을 실시하고, 44dtex/144fil, 권축률 23%의 가연 권축 가공사를 얻어 경사용으로 했다.
한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방사 온도 300℃에서 방출하고, 4000m/분으로 인취하고, 일단 권취하지 않고 계속하여 1.3배로 연신하고, 필라멘트의 횡단면 형상이 둥근단면인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 22dtex/72fil(비권축사)를 얻어 위사용으로 했다.
계속해서, 상기 경사 및 위사를 사용하고, 통상의 워터 제트룸 직기를 사용하여, 도 1에 도시된 립스톱 조직(지조직이 평직이고, 서로 인접하는 립의 중앙 내지 중앙의 간격이 6mm이고 립 격자 무늬를 형성한 조직)의 직물을 직성하였다. 상기 직물에 있어서, 경사 밀도 220개/2.54㎝, 위사 밀도 150개/2.54㎝이었다.
그리고, 상기 직물에 통상의 염색 처리 가공을 행하고, 발수 가공한 후 파이널 세트를 실시하고, 캘린더 가공을 행하여 고밀도 직물을 얻었다. 그 때, 발수 가공은 하기의 가공제를 사용하여, 픽업률 70%로 액체를 취하고, 130℃의 온도에서 3분간 건조 후, 170℃의 온도에서 45초간 열처리를 행하였다. 또한, 캘린더 가공은 롤 온도 160℃의 조건에서 캘린더 가공을 행하였다.
<가공제 조성>
·불소계 발수제 10.0중량%
(아사히 글래스(주) 제조, 아사히가드 LS-317)
·멜라민 수지 0.3중량%
(스미또모 가가꾸(주) 제조, 스미테크스 레진M-3)
·촉매 0.3중량%
(스미또모 가가꾸(주) 제조, 스미테크스 액셀러레이터 ACX)
·물 89.4중량%
얻어진 직물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상기 직물은 경량성과 내수압이 우수한 직물이었다.
이어서, 상기 직물을 사용하여 윈드 브레이커 및 다운 웨어를 얻어 착용한 바, 모두 경량성과 내수압이 우수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위사로서 필라멘트의 횡단면 형상이 둥근단면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멘트 35dtex/72fil(비권축사)을 사용하여, 경사 밀도 220개/2.54㎝, 위사 밀도 115개/2.54㎝의 직물을 편직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였다.
얻어진 직물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상기 직물은 경량성과 내수압이 우수한 직물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위사로서 필라멘트의 횡단면 형상이 둥근단면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멘트 84dtex/72fil(비권축사)을 사용하여, 경사 밀도 220개/2.54㎝, 위사 밀도 77개/2.54㎝의 직물을 편직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였다.
얻어진 직물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상기 직물은 경량성과 내수압이 우수한 직물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경사로서 필라멘트의 횡단면 형상이 둥근단면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멘트 44dtex/144fil(비권축사)을 사용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였다.
얻어진 직물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상기 직물은 내수압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경사 밀도 171개/2.54㎝, 위사 밀도 116개/2.54㎝의 직물을 편직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였다.
얻어진 직물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상기 직물은, 커버 팩터가 작기 때문에 내수압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위사로서 22dtex/72fil, 권축률 23%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가연 권축 가공사를 사용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였다.
얻어진 직물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상기 직물은 직물 조직의 구속력이 약하기 때문에, 내수압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Figure pct00004
본 발명에 따르면, 경량성과 내수성이 우수한 직물 및 상기 직물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의료가 제공되며, 그의 공업적 가치는 매우 크다.

Claims (12)

  1. 단위 면적당 중량이 100g/㎡ 이하이며 커버 팩터가 1800 이상인 직물이며, 상기 직물의 경사 및 위사 중 어느 한쪽에 가연 권축 가공사가 배치되고, 다른 쪽에 비권축사가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 권축 가공사 및 상기 비권축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있어서 총 섬도가 10 내지 50dtex인 직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 권축 가공사 및 상기 비권축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있어서 필라멘트수가 48개 이상인 직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 권축 가공사의 총 섬도가 상기 비권축사의 총 섬도에 비하여 동일하거나 또는 큰 직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 권축 가공사 및 상기 비권축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직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 권축 가공사가 복합사의 일 성분으로서 직물에 포함되는 직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사의 토크가 50T/m 이하인 직물.
  8. 제1항에 있어서, 직물에 발수 가공 또는 캘린더 가공이 실시되어 이루어지는 직물.
  9. 제1항에 있어서, 직물의 두께가 0.1mm 이하인 직물.
  10. 제1항에 있어서, 직물의 내수압이 800mm 이상인 직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직물의 세탁 20회 후에 있어서의 내수압 유지율이 70% 이상인 직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직물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의료(依料).
KR1020137015561A 2010-11-18 2011-11-14 직물 및 의료 Active KR1018803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57930 2010-11-18
JPJP-P-2010-257930 2010-11-18
PCT/JP2011/076138 WO2012067053A1 (ja) 2010-11-18 2011-11-14 織物および衣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0791A true KR20130140791A (ko) 2013-12-24
KR101880321B1 KR101880321B1 (ko) 2018-07-19

Family

ID=46083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5561A Active KR101880321B1 (ko) 2010-11-18 2011-11-14 직물 및 의료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970133B2 (ko)
EP (1) EP2642003B1 (ko)
JP (1) JP5612702B2 (ko)
KR (1) KR101880321B1 (ko)
CN (1) CN103228831B (ko)
CA (1) CA2813187C (ko)
TW (1) TWI601860B (ko)
WO (1) WO20120670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50129B2 (ja) * 2013-01-24 2016-12-21 帝人株式会社 ターポリンおよびそれから形成された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
JP6250948B2 (ja) * 2013-04-12 2017-12-20 帝人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繊維製品
USD773193S1 (en) * 2015-02-06 2016-12-06 Nice-Pak Products, Inc. Nonwoven fabric with surface pattern
JP3197820U (ja) * 2015-03-20 2015-06-04 帝人株式会社 側地
JP6469152B2 (ja) * 2017-03-08 2019-02-13 帝人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布団側地
CN112088399A (zh) 2018-03-06 2020-12-15 艾利丹尼森零售信息服务公司 标签及相关方法
US10669651B2 (en) * 2018-07-12 2020-06-02 Trident Limited Woven fabric with improved comfort
JP6633786B2 (ja) * 2019-01-22 2020-01-22 帝人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布団
KR102102435B1 (ko) * 2019-09-04 2020-04-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부착력을 향상시킨 텍스타일 그리드 제조장치 및 그 방법
CN115443354B (zh) * 2020-04-21 2024-05-28 帝人富瑞特株式会社 防水性布帛和纤维制品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4045B2 (ja) 1993-03-16 2000-04-17 帝人株式会社 高密度織物
JP2001055644A (ja) * 1999-08-12 2001-02-27 Toray Ind Inc 高密度織物
JP2004044018A (ja) 2002-07-11 2004-02-12 Toyobo Co Ltd 高密度織物
JP2005240265A (ja) 2004-01-30 2005-09-08 Toyobo Co Ltd 超軽量防水性ポリエステル織物
JP2009138287A (ja) * 2007-12-04 2009-06-25 Teijin Fibers Ltd 表面がフラットなストレッチ性織物およびスポーツ衣料
JP2010156064A (ja) * 2008-12-26 2010-07-15 Teijin Fibers Ltd 埃脱落性リップストップタフタ織物および繊維製品
JP2010196213A (ja) * 2009-02-26 2010-09-09 Toyobo Specialties Trading Co Ltd 織物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5617A (ja) 1982-12-08 1984-06-19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S60239565A (ja) 1984-05-14 1985-11-28 帝人株式会社 撥水性布帛
CA2141768A1 (en) * 1994-02-07 1995-08-08 Tatsuro Mizuki High-strength ultra-fine fiber construction,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high-strength conjugate fiber
JP3133227B2 (ja) * 1995-02-06 2001-02-05 帝人株式会社 制電耐久性の改善された撥水性ポリエステル繊維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170175A (ja) * 1995-12-21 1997-06-30 Unitika Ltd 高密度織物
US6607995B1 (en) * 1997-12-17 2003-08-19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Lining cloth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TWI222473B (en) 2000-07-27 2004-10-21 Asahi Kasei Corp Stretchable high density fabric
KR100378461B1 (ko) * 2000-10-10 2003-03-29 고려연마공업 주식회사 연마포용 직물기재
JP2004211268A (ja) 2003-01-09 2004-07-29 Teijin Fibers Ltd ポリエステル織物
JP2004270097A (ja) 2003-03-11 2004-09-30 Teijin Fibers Ltd ポリエステル織物
KR100667625B1 (ko) * 2003-12-26 2007-01-11 주식회사 코오롱 오염물 제거용 폴리에스테르 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6118062A (ja) 2004-10-19 2006-05-11 Teijin Fibers Ltd 湿潤時に空隙率が低下する織編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繊維製品
JP4571541B2 (ja) * 2005-06-24 2010-10-27 帝人ファイバー株式会社 透湿防水性ポリエステル織物の製造方法
WO2008056406A1 (fr) 2006-11-07 2008-05-15 Toray Industries, Inc. Tissu haute densité et procédé de production de celui-ci
JP2009091694A (ja) 2007-10-10 2009-04-30 Unitica Fibers Ltd 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それを用いた繊維及び自動車内装材
JP2009161890A (ja) * 2008-01-10 2009-07-23 Teijin Fibers Ltd 防水性織物および繊維製品
JP2009263832A (ja) * 2008-04-30 2009-11-12 Teijin Fibers Ltd 引裂き強力に優れた薄地織物および繊維製品
JP5272855B2 (ja) * 2009-03-31 2013-08-28 東レ株式会社 織物
ITRM20110118A1 (it) * 2011-03-15 2012-09-16 Bitron Spa Dispositivo blocco-porta con apertura a pulsant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4045B2 (ja) 1993-03-16 2000-04-17 帝人株式会社 高密度織物
JP2001055644A (ja) * 1999-08-12 2001-02-27 Toray Ind Inc 高密度織物
JP2004044018A (ja) 2002-07-11 2004-02-12 Toyobo Co Ltd 高密度織物
JP2005240265A (ja) 2004-01-30 2005-09-08 Toyobo Co Ltd 超軽量防水性ポリエステル織物
JP2009138287A (ja) * 2007-12-04 2009-06-25 Teijin Fibers Ltd 表面がフラットなストレッチ性織物およびスポーツ衣料
JP2010156064A (ja) * 2008-12-26 2010-07-15 Teijin Fibers Ltd 埃脱落性リップストップタフタ織物および繊維製品
JP2010196213A (ja) * 2009-02-26 2010-09-09 Toyobo Specialties Trading Co Ltd 織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77753A1 (en) 2013-07-11
CN103228831A (zh) 2013-07-31
JP5612702B2 (ja) 2014-10-22
CN103228831B (zh) 2015-05-20
WO2012067053A1 (ja) 2012-05-24
KR101880321B1 (ko) 2018-07-19
EP2642003A4 (en) 2014-04-23
TWI601860B (zh) 2017-10-11
CA2813187C (en) 2018-09-11
CA2813187A1 (en) 2012-05-24
US9970133B2 (en) 2018-05-15
JPWO2012067053A1 (ja) 2014-05-12
TW201241256A (en) 2012-10-16
EP2642003A1 (en) 2013-09-25
EP2642003B1 (en) 2017-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40791A (ko) 직물 및 의료
TWI762645B (zh) 多層構造布帛及纖維製品
JP6577589B2 (ja) 布帛および繊維製品
JP5698262B2 (ja) 撥水性織物および衣料
JP5620761B2 (ja) 高密度織物
JP6775526B2 (ja) 面ファスナーおよび繊維製品
JP5933952B2 (ja) 布帛および繊維製品
JP6469950B2 (ja) しみ防止布帛および繊維製品
JPWO2020110890A1 (ja) 布帛および繊維製品
JP6689293B2 (ja) 編地および繊維製品
JP6933707B2 (ja) 布帛および繊維製品
JP7315306B2 (ja) 衣料
CN107208327B (zh) 织物罩
JP7160544B2 (ja) 側地
KR20250109777A (ko) 편지 및 섬유 제품
CN106455835A (zh) 被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6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2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7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7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