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1024A - 실금용 라이너 - Google Patents
실금용 라이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01024A KR20130101024A KR1020137007059A KR20137007059A KR20130101024A KR 20130101024 A KR20130101024 A KR 20130101024A KR 1020137007059 A KR1020137007059 A KR 1020137007059A KR 20137007059 A KR20137007059 A KR 20137007059A KR 20130101024 A KR20130101024 A KR 201301010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gion
- liner
- skin
- sieve
- mass ratio
- Prior art date
Links
- 206010021639 Incontinence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9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6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6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7
- 229920000247 superabsorbent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4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9000004820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831 Hot glu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209 hydrophob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5022 packag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3043 Cellulose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58 suspension polymeriz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169 thermo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416 thermosoftening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8000010201 Exanthem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297 Ray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1000005884 exanthem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50 melt-blown nonwov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85 plastic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255 plastic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346 polystyrene-polyisoprene block-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64 primary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7844 rash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64 ray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468 styrene butadiene styrene block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QTBSBXVTEAMEQO-UHFFFAOYSA-M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UXVMQQNJUSDDNG-UHFFFAOYSA-L Calc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l-].[Ca+2] UXVMQQNJUSDDNG-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9142 PO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ABLZXFCXXLZCGV-UHFFFAOYSA-N Phosphorous acid Chemical group OP(O)=O ABLZXFCXXLZCG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31 Pulp (pap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25 Sokala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110 calc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628 calcium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942 carboxyl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HNPSIPDUKPIQMN-UHFFFAOYSA-N dioxosilane;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lass O=[Si]=O.O=[Al]O[Al]=O HNPSIPDUKPIQM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038 ethylene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8 free radical solution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8 graft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7939 mictu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2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BIIXXVUZAFLBC-UHFFFAOYSA-K phosphate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95 poly(sodium acrylat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84 polyacryl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65 sea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NMHYFLPFNGQFZ-UHFFFAOYSA-M sodium polyacrylate Chemical compound [Na+].[O-]C(=O)C=C NNMHYFLPFNGQFZ-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QAOWNCQODCNURD-UHFFFAOYSA-L sulfate group Chemical group S(=O)(=O)([O-])[O-] QAOWNCQODCNUR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BDHFUVZGWQCTTF-UHFFFAOYSA-M sulfonate Chemical compound [O-]S(=O)=O BDHFUVZGWQCTTF-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83 superabsorbent polymers (SAP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94 synthetic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09 synthetic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59 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0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 A61F13/561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using flaps, e.g. adhesive, for attachment to the undergar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2013/150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zed by the use
- A61F2013/1512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zed by the use for mild incontine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실금용 라이너는 액투과성의 피부 접촉측 시트, 액불투과성의 피부 비접촉측 시트, 및 피부 접촉측 시트와 피부 비접촉측 시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6)를 구비한다. 흡수체(6)는 앞 영역(6F), 뒤 영역(6R), 및 앞 영역(6F)과 뒤 영역(6R) 사이의 중간 영역(6I)을 포함한다. 라이너는 라이너를 의류에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윙(3)으로서, 중간 영역(6I)에 인접하여 제공되고 착용시 절곡되어 중간 영역(6I)과 중첩되는 한 쌍의 윙(3)을 구비한다. 흡수체(6)는 흡습재를 포함한다. 중간 영역(6I)에서의 흡습재의 평량은 앞 영역(6F)에서의 흡습재의 평량 및 뒤 영역(6R)에서의 흡습재의 평량보다 크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실금용 라이너를 개시하며 이에 관한 것이다.
액투과성의 피부 접촉측 시트, 액불투과성 및 투습성의 피부 비접촉측 시트, 및 이들 피부 접촉측 시트와 피부 비접촉측 시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를 구비하는 생리용 냅킨은 업계에 공지되어 있다(특허문헌 1). 상기 생리용 냅킨은 냅킨을 의류에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윙으로서, 흡수체의 중간 영역에 인접하여 제공되고, 착용시 절곡되어 중간 영역에 중첩되는 윙을 구비한다. 이 냅킨에서는, 냅킨이 윙에 의해 의류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또한, 투습성의 피부 비접촉측 시트를 이용함으로써, 축축함이 억제된다.
인용 리스트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A) 제2003-088550호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생리용 냅킨과 관련하여, 생리용 냅킨을 착용시에는 윙이 흡수체의 중간 영역에 중첩된다. 그 결과, 중간 영역에서는, 흡수체의 외측에서, 피부 비접촉측 시트, 의류 및 윙이 순차적으로 중첩된다. 따라서, 중간 영역의 통기성이 저하하여, 바람직하지 못한 축축함이 생길 수 있다. 축축함이 커지면, 착용자의 피부에 발진이 생길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실금용 라이너의 교환 빈도는 생리용 냅킨에 비해 적고, 따라서 라이너의 착용 시간은 더 길다. 따라서, 실금용 라이너의 경우에는, 생리용 냅킨의 경우보다 발진이 더 잘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투과성의 피부 접촉측 시트, 액불투과성 및 투습성의 피부 비접촉측 시트, 및 이들 피부 접촉측 시트와 피부 비접촉측 시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를 구비하는 실금용 라이너로서, 흡수체가 앞 영역, 뒤 영역, 및 이들 앞 영역과 뒤 영역 사이의 중간 영역을 포함하며, 라이너는 라이너를 의류에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윙으로서, 중간 영역에 인접하여 제공되고 착용시 절곡되어 중간 영역에 중첩되는 윙을 구비하며, 흡수체가 흡습재를 포함하고, 중간 영역에서의 흡습재의 평량이 앞 영역에서의 흡습재의 평량 및 뒤 영역에서의 흡습재의 평량보다 큰 라이너가 제공된다.
실금용 라이너에 있어서 축축함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실금용 라이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 M-M에 따라 취한 라이너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실금용 라이너의 배면도이다.
도 4는 실금용 라이너의 흡수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착용시의 라이너의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6은 흡수체의 일부의 부분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7은 흡수체의 압착홈의 부분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라이너를 담은 포장체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 M-M에 따라 취한 라이너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실금용 라이너의 배면도이다.
도 4는 실금용 라이너의 흡수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착용시의 라이너의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6은 흡수체의 일부의 부분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7은 흡수체의 압착홈의 부분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라이너를 담은 포장체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금용 라이너(1)는 타원형 본체(2), 및 본체(2)의 측부로부터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윙(3)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한 형상의 본체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는 상호 중첩된 피부 접촉측 시트(피부 접촉 시트)(4) 및 피부 비접촉측 시트(피부 비접촉 시트)(5), 이들 피부 접촉측 시트(4)와 피부 비접촉측 시트(5)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6), 및 피부 접촉측 시트(4)와 흡수체(6) 사이에 배치된 쿠션 시트(7)로 구성된다. 한편, 윙(3)은 피부 접촉측 시트(4)의 측 가장자리를 넘어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피부 비접촉측 시트(5)의 부분(5a)과, 부분(5a)에 중첩된 사이드 시트(8)로 구성된다. 여기서, 피부 접촉측 시트(4)와 피부 비접촉측 시트(5), 및 피부 비접촉측 시트 부분(5a)과 사이드 시트(8)는 각각 예컨대 핫멜트 접착제, 히트 실 가공(heat sealing) 등에 의해 접합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사이드 시트(8)는 피부 접촉측 시트(4)와도 중첩되고 접합되어 있어, 본체(2)는 사이드 시트(8)도 포함함을 주지하라. 추가의 구체예에서, 피부 비접촉측 시트(5)는 윙(3)까지 연장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윙(3)은 사이드 시트(8)만으로, 또는 사이드 시트(8) 및 이와 중첩된 다른 시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예에서, 흡수체(6)가 쿠션 시트(7) 및 피부 비접촉측 시트(5)와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합된다. 이 경우, 핫멜트 접착제는 메쉬형에 적용된다. 그 결과, 핫멜트 접착제가 통기성을 저하시키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의 이면에 대응하는 피부 비접촉측 시트(5)의 외면에는,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면서 세로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점착제(9), 예컨대 띠형의 점착제(9)가 적용되고, 윙(3)의 이면에 대응하는 피부 비접촉측 시트(5)의 외면에는 점착제(10)가 적용된다.
또한, 라이너(1)에는 피부 접촉측 시트(4)로부터 흡수체(6)로 연장되는 한 쌍의 압착홈(11)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예에서, 압착홈(11) 각각은 길이(세로) 방향으로 교대로 반복된 깊은 홈 구역 및 얕은 홈 구역으로 구성된다. 일부 구체예에서는, 압착홈(11)은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깊은 홈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예에서, 라이너(1)는 세로 방향 중심선(L-L) 및 폭 방향 중심선(M-M)에 관해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주지하라. 일부 구체예에서, 라이너(1)는 세로 방향 중심선(L-L)에 대해서만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피부 접촉측 시트(4)는 액 투과성을 가지며, 예컨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다른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소수성 섬유를 친수 처리한 직포 또는 부직포로 구성되거나, 또는 펄프, 코튼, 또는 다른 천연 섬유, 또는 레이온 또는 다른 셀룰로오스 섬유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예에서, 피부 접촉측 시트(4)로서는, PE/PP 섬유로 구성된 20 내지 40 g/m2의 에어스루 부직포가 사용된다.
피부 비접촉측 시트(5)는 액불투과성 및 투습성을 가지며, 예컨대 소수성 부직포, 불투수성의 플라스틱 필름, 부직포와 불투수성 플라스틱 필름의 라미네이트 시트, 내수성이 높은 멜트 블로운 부직포, 또는 멜트 블로운 부직포를 강도가 높은 스펀 본드 부직포 사이에 끼운 SMS(스펀 본드/멜트 블로운/스펀 본드) 부직포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예에서, 피부 비접촉측 시트(5)로서, 20 내지 35 g/m2의 또는 비투습성의 PE 필름이 사용된다.
흡수체(6)는 액유지성을 가지며, 흡수 코어로 구성된다. 흡수 코어는 흡수재 및 흡습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예에서, 흡수체(6)는 박지 또는 액투과성의 스펀 본드 부직포, SMS 부직포 등으로 둘러쌈을 주지하라.
흡수재는 예컨대 플러프형 펄프 또는 에어 레이드 부직포로 구성된다. 여기서, 플러프형 펄프는 예컨대 화학 펄프, 셀룰로오스 섬유, 레이온, 아세테이트 또는 다른 인공 셀룰로오스 섬유로 구성되고, 에어 레이드 부직포는 예컨대 펄프 및 합성 섬유를 열 융착시키거나 또는 바인더로 고정시킨 부직포로 구성된다.
한편, 흡습재는 바람직하게는 인체에 유해하거나 자극성이 있는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다. 특히, 흡습재가 물에 가용인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그 성분이 뇨 등과 접촉시 용해하여 피부에 접촉할 수 있어서, 흡습재는 바람직하게는 실제로는 물에 불용성이다. 흡습재가 물에 가용성인 경우, 불용화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흡습재는 예컨대 입자 상태의 고흡수 폴리머(또는 초흡수 폴리머, SAP)로 구성된다. SAP는 예컨대 폴리아크릴산나트륨 가교체, 전분-폴리아크릴산 그래프트 중합체, 친수성 폴리우레탄, 카르복실레이트, 설포네이트 또는 설페이트 기를 갖는 모노머와, 포스페이트 또는 포스포네이트 기를 갖는 모노머의 공중합체 또는 다른 고흡수 폴리머로 구성된다. 흡습재는 또한 활성탄, 천연 또는 합성 실리카 및 합성 제올라이트와 같은, 수분을 이의 표면에 물리 화학적으로 흡착하는 무기/유기 다공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결정수로서 수분을 받아들이는 염화칼슘 또는 다른 물질로부터 흡습재를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흡수 코어의 질량, 즉 펄프 및 SAP의 합계 질량에 대한 SAP의 질량의 질량비를 "SAP 질량비"라 하고, 본 발명에 따른 구체예에서, SAP 질량비는 30 내지 70 질량%,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55 질량%로 설정된다. SAP 질량비가 30 질량%보다 작으면, 액확산성을 부여하기에 충분한 흡수재 밀도를 확보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SAP 질량비가 70 질량%보다 크면, 펄프 또는 다른 섬유 성분이 상대적으로 부족해져서, 고흡수 폴리머의 겔 블로킹 현상이 발생하기 쉬워져서, 이에 따라 액확산성이 저하할 수 있거나, 또는 착용시 흡수체에 작용하는 외력으로 인해 흡수체가 그 형태를 잃을 가능성이 있다. 생리용 냅킨의 SAP 질량비는 일반적으로 0 내지 10 질량%이며, 많아도 20 질량%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실금용 라이너는 이 점에서 생리용 냅킨과 구성이 상이함을 주지하라.
쿠션 시트(7)는 예컨대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소수성 섬유를 친수 처리한 부직포로 구성된다. 부직포로서는, 에어스루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SMS 부직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예에서, 쿠션 시트(7)로서는, PE/PP 섬유로 이루어지는 20 내지 40 g/m2의 에어스루 부직포가 사용된다.
사이드 시트(8)는 예컨대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소수성 섬유의 부직포로 구성된다. 부직포로서는, 에어스루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SMS 부직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예에서, 사이드 시트(8)로서는, PE/PP 섬유로 이루어지는 15 내지 35 g/m2의 에어스루 부직포가 사용된다.
점착제(9, 10)는 예컨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에틸렌 공중합체(SEBS) 또는 다른 핫멜트 접착제로 구성된다.
흡수체(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획(분할)선(DF, DR)에 의해 상호 구획된 영역, 즉 앞 영역(6F), 뒤 영역(6R), 및 앞 영역(6F)과 뒤 영역(6R) 사이의 중간 영역(6I)을 포함한다. 이 경우, 앞 영역(6F)은 흡수체(6)의 전단(6EF)과 전방 구획선(DF) 사이에, 중간 영역(6I)은 전방 구획선(DF)과 후방 구획선(DR) 사이에, 그리고 뒤 영역(6R)은 후방 구획선(DR)과 흡수체(6)의 후단(6ER) 사이에 구획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예에서, 흡수체(6)는 세로 방향 중심선(L-L) 및 폭 방향 중심선(M-M)에 대해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주지하라. 일부 구체예에서, 흡수체(6)는 세로 방향 중심선(L-L)에 대해서만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예에서, 중간 영역(6I)에서의 흡습재의 평량이 앞 영역(6F)에서의 흡습재의 평량 및 뒤 영역(6R)에서의 흡습재의 평량보다 크도록 흡수체(6)가 형성된다.
착용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는 점착제(9)에 의해 착용자의 속옷과 같은 의류(C)의 내면에 고정되고, 윙(3)은 점착제(10)에 의해 의류(C)의 외면에 고정된다. 즉, 본체(2) 및 윙(3)은 의류를 사이에 끼워 라이너(1)가 의류(C)의 내면에 고정된다. 그 결과, 착용시 라이너(1)에 주름 또는 뒤틀림이 생기는 것이 억제될 수 있어, 따라서 라이너(1)를 의류(C)에 장시간에 걸쳐 확실하게 계속 고정할 수 있다. 라이너(1)가 고정되는 의류는 일반적으로 탄성 몸통 부분 및 탄성 다리 부분을 갖는 팬츠형의 것이다. 착용자의 몸통 및 다리에 피트함으로써, 옷감 전체가 착용자의 피부에 대해 피트한다. 그 결과, 의류의 내측에 고정되는 라이너(1)도 착용자의 피부를 따라 가랑이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착용된다.
이 경우, 라이너(1)는 의류(C)의 가랑이 부분의, 전후 방향의 실질적인 중앙에 고정된다. 그 결과, 착용자의 배뇨 위치(UP)(도 4)가 흡수체(6)의 중간 영역(6I), 특히 앞 영역(6F)에 가까운 중간 영역(6I)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주로 뇨로 구성된 피흡수액이 주로 중간 영역(6I)에 흡수된다. 다음으로, 피흡수액은 앞 영역(6F) 및 뒤 영역(6R)에 확산된다.
재차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언급한 윙(3)은 흡수체(6)의 중간 영역(6I)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이 때문에, 착용시 절곡된 윙(3)은 도 4에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체(6)의 중간 영역(6I)에 중첩된다. 절곡된 윙(3)이 중첩된 흡수체(6)을 부분을 포함하도록 중간 영역(6I)이 구획된다고도 할 수 있다.
그 결과, 중간 영역(6I)에서는,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흡수체(6)의 외측에, 피부 비접촉측 시트(5), 의류(C) 및 윙(3)이 순차 중첩된다. 따라서, 중간 영역(6I)에서의 통기성이 저하하여 바람직하지 못한 축축함이 생길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구체예에서, 중간 영역(6I)에서의 흡습재의 평량이 앞 영역(6F)에서의 흡습재의 평량 및 뒤 영역(6R)에서의 흡습재의 평량보다 크도록 되어 있다. 그 결과, 중간 영역(6I)에서의 축축함을 억제할 수 있다. 이는 라이너(1)를 장기간 착용하더라도 착용자가 불쾌감을 느끼기 어려움을 의미한다.
흡습재를 SAP 입자로 구성할 경우, SAP 입자는 예컨대 메쉬 300 ㎛의 체를 통과 가능한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작은 입자는 큰 입자에 비해, 비표면적(단위 질량당 입자의 총 표면적)이 커서, 흡습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식으로 크기가 작은 SAP 입자를 이용하면, 착용자의 피부에 대한 촉감이 개선된다. 한편, SAP 입자는 예컨대 메쉬 150 ㎛의 체를 통과 가능하지 않은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SAP 입자의 크기가 작아지면, 흡습 기능이 저하할 뿐 아니라, 블로킹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표 1은 SAP 입자의 크기로 인한 흡습율의 차이를 나타내는 시험 결과를 보여준다. 이 실험에서는, 10 mm의 SUS 페트리 디쉬에 소정 크기의 SAP 1 g을 투입하여, 35℃ 및 75% RH(상대 습도)의 조건 하에서 방치하였다. 그 후, SAP의 질량을 측정하여, 흡습율을 산출하였다(흡습율=(방치 후의 SAP의 질량-방치 전의 SAP의 질량)/(방치 전의 SAP의 질량)). 표 1은 4 시간의 방치 시간의 경우, SAP 입자가 메쉬 300 ㎛의 체를 통과 가능한 크기일 경우, 50%보다 높은 흡습율(흡습도)임을 보여준다.
입자 크기 | 방치 시간(시간) | |||||
메쉬 150 ㎛의 체를 통과 가능함 | 0 | 1 | 1.5 | 2 | 3 | 4 |
메쉬 150 ㎛의 체를 통과 가능하지 않지만, 메쉬 250 ㎛의 체를 통과 가능함 | 0 | 14 | 32 | 43 | 48 | 50 |
메쉬 250 ㎛의 체를 통과 가능하지 않지만, 메쉬 300 ㎛의 체를 통과 가능함 | 0 | 12 | 30 | 42 | 46 | 51 |
메쉬 300 ㎛의 체를 통과 가능하지 않지만, 메쉬 500 ㎛의 체를 통과 가능함 | 0 | 12 | 29 | 43 | 48 | 52 |
메쉬 500 ㎛의 체를 통과 가능하지 않지만, 메쉬 710 ㎛의 체를 통과 가능함 | 0 | 8 | 26 | 39 | 43 | 47 |
메쉬 710 ㎛의 체를 통과 가능하지 않음 | 0 | 9 | 25 | 39 | 42 | 45 |
(단위: %) | 0 | 11 | 27 | 39 | 43 | 45 |
본 발명에 따른 구체예에서, 흡수체(6)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 가능한 SAP 입자 부분의 질량비(=(흡수체(6)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 가능한 SAP 입자 부분의 질량)/(흡수체(6)에 포함되는 SAP 입자의 총 질량))이 적어도 5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5%가 되도록, 흡수체(6)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블로킹 현상을 억제하면서 양호한 흡습 작용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체예에서, 중간 영역(6I)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 가능한 SAP 입자 부분의 질량비(=(중간 영역(6I)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 가능한 SAP 입자 부분의 질량)/(중간 영역(6I)에 포함되는 SAP 입자의 총 질량))가 앞 영역(6F)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 가능한 SAP 입자 부분의 질량비(=(앞 영역(6F)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 가능한 SAP 입자 부분의 질량)/(앞 영역(6F)에 포함되는 SAP 입자의 총 질량)) 및 뒤 영역(6R)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 가능한 SAP 입자 부분의 질량비(=(뒤 영역(6R)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 가능한 SAP 입자 부분의 질량)/(뒤 영역(6R)에 포함되는 SAP 입자의 총 질량))보다 높도록 흡수체(6)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윙(3)이 중첩되는 중간 영역(6I)에서 축축함을 특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흡수체(6)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 접촉측 영역(6S) 및 피부 비접촉측 영역(6NS)을 포함한다고 생각하면, 피부 접촉측 영역(6S)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 가능한 SAP 입자 부분의 질량비(=(피부 접촉측 영역(6S)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 가능한 SAP 입자 부분의 질량)/(피부 접촉측 영역(6S)에 포함되는 SAP 입자의 총 질량))가 피부 비접촉측 영역(6NS)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 가능한 SAP 입자 부분의 질량비(=(피부 비접촉측 영역(6NS)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 가능한 SAP 입자 부분의 질량)/(피부 비접촉측 영역(6NS)에 포함되는 SAP 입자의 총 질량))보다 높도록, 흡수체(6)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착용자 더 가까이에 크기가 작은 SAP 입자를 배치할 수 있어서, 축축함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SAP 입자의 존재로 인한 이물감을 억제할 수 있다.
흡습재로서 사용되는 SAP 입자는 예컨대 역상 현탁 중합법 또는 수용액 중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이 경우, 역상 현탁 중합법을 이용하면, SAP 입자의 1차 입자 크기가 작아지므로, 역상 현탁 중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SAP 입자의 1차 입자 크기가 작아지면, 비표면적이 커져 흡습성이 개선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구체예에 있어서의 흡수체(6)의 상이한 부분(6F, 6I, 6R)에 포함되는 SAP 입자의 입자 크기 분포의 측정 방법을 간단히 설명한다. 메쉬 710, 500, 300, 250 및 150 ㎛의 체를 준비하고, 체의 질량을 측정하였다. 이들 체를 메쉬 크기가 가장 작은 것부터 메쉬 크기 순서로 적층하고, 진탕기에 세트하였다. 한편, 측정되는 부분(6F, 6I, 6R)으로부터 이를 싸고 있는 박지 등을 제거하여 흡수 코어를 꺼냈다. 흡수 코어로부터 펄프를 제거하고, SAP를 꺼냈다. 꺼낸 SAP의 질량을 측정하고, 최상부의(가장 메쉬 크기가 큰) 체에 받았다. 다음으로, 진탕기를 작동시켜 30 분 동안 어셈블리를 진탕시켰다. 다음으로, 체의 질량을 측정하고, 미리 측정된 체의 질량을 빼서 상이한 체에 남은 SAP 입자의 질량을 얻었다. 다음으로, 흡수 코어로부터 받은 SAP 입자 전체의 질량에 대한 상이한 체에 남은 SAP 입자의 질량을 산출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SAP 입자의 입자 크기 분포를 구하였다.
재차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언급한 압착홈(11)은 중간 영역(6I)으로부터 앞 영역(6F) 및 뒤 영역(6R)까지 연장된다. 그 결과, 흡수체(6)가 압착홈(11)을 따라 굴곡될 수 있어서, 라이너(1)가 착용자의 신체에 추종하여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압착홈(11)의 흡수재 밀도는 비교적 높아서, 피흡수액이 압착홈(11) 내에도 확산되어 앞 영역(6F) 및 뒤 영역(6R)에 도달하여 더욱 확산된다.
또한, 압착홈(11)은 통기로로서 작용할 수 있다. 즉, 중간 영역(6I) 내의 습기가 압착홈(11)을 통과하여 앞 영역(6F) 및 뒤 영역(6R)까지 가서, 라이너(1) 외측에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축축함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3을 참조하면, 점착제(9)는 압착홈(11)의 전단(11F) 주위의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며, 전단(11F)을 넘어 세로 방향 전방으로 연장된다. 유사하게, 점착제(9)는 압착홈(11)의 후단(11R) 주위의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며, 후단(11R)을 넘어 세로 방향 후방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압착홈(11)의 전단(11F) 주위의 영역 및 후단(11R) 주위의 영역이 2개의 점착제(9)에 의해 둘러싸인다. 그 결과, 라이너(1)가 압착홈(11)을 따라 굴곡되더라도, 압착홈(11)의 형상이 유지된다. 즉, 라이너(1)가 변형되더라도, 압착홈(11)의 통기 작용이 유지된다. 따라서, 장기간에 걸쳐 축축함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두 다리에 의해 둘러싸인 가랑이 주위에 위치하는 중간 영역(6I)에서는, 종종 착용자의 다리의 움직임이 폭 방향으로 라이너를 압축하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여, 라이너(1)를 변형시킨다. 한편, 압착홈(11)의 전단(11F) 주위의 영역 및 후단(11R) 주위의 영역은 착용자의 가랑이로부터 세로 방향 또는 전후 방향으로 떨어져 위치된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언급한 폭 방향으로의 힘이 압착홈(11)의 전단(11F) 주위 및 후단(11R) 주위의 영역으로 운반되면, 압착홈(11)이 변형되어 폐쇄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구체예에서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점착제(9)가 제공되므로, 압착홈(11)의 전단(11F) 주위 및 후단(11R) 주위의 영역의 변형이 억제된다. 따라서, 습도가 가장 높아지는 중간 영역(6I) 주위로부터 압착홈(11)을 통해 습기가 앞 영역(6F) 및 뒤 영역(6R)까지 확실하게 나갈 수 있다.
다른 한편, 점착제(9)는 압착홈(11)의 전단(11F) 및 후단(11R) 주위의 영역, 특히 하부(11B)와 중첩되지 않는다. 즉, 압착홈(11), 특히 이의 하부(11B)를 향하는 라이너(1) 또는 피부 비접촉측 시트(5)의 외면에는 무점착제 영역(1x)이 제공된다. 그 결과, 압착홈(11)을 따른 라이너(1)의 변형이 점착제(9)에 의해 방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착용시 라이너(1)가 변형될 때, 라이너(1)가 착용자의 신체에 용이하게 추종할 수 있다. 또한, 압착홈(11) 내의 습기가 라이너(1)를 통과하여 무점착제 영역(1x)을 통해 외부로 나갈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와 라이너(1) 사이의 습기의 축적이 억제되어, 축축함이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체예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피부 접촉측 영역(6S), 즉 착용자 더 가까이에 크기가 작은 SAP 입자가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압착홈(11)을 통해 이동하는 습기가 크기가 작은 SAP 입자에 의해 조속히 제거되어, 따라서 축축함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라이너(1)는 일부 구체예에서 예컨대 개별 포장체의 형태로 포장(예컨대 판매용)된다. 도 8은 라이너(1)의 개별 포장체(1P)의 일례를 도시한다. 이 개별 포장체(1P)에서 라이너(1)는 예컨대 상기 언급한 구획선(DF, DR) 주위의 영역을 따라 피부 접촉측 시트(4)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접힌다. 앞 영역(6F) 및 뒤 영역(6R) 중 하나가 다른 것과 중첩된다.
개별 포장체(1P)는 라이너(1)의 외면 또는 피부 비접촉측 시트(5)의 실질적으로 전체를 덮는 포장재(12)를 구비한다. 포장재(12)에는 흡수체(6)의 중간 영역(6I)의 실질적으로 전체를 덮는 불투습성 시트(13)가 더 구비된다. 그 결과, 흡수체(6)의 흡습재, 특히 중간 영역(6I)의 흡습재의 흡습 성능을 착용시까지 유지할 수 있다. 포장재(12)의 일단은 고정 조각(14)에 의해 포장재(12)의 별도의 부분에 고정되어, 개별 포장체(1P)의 형상이 유지됨을 주지하라.
여기서, 불투습성 시트(13)는 예컨대 JIS Z-0208의 투습도 시험을 40℃±0.5℃, 60%±2% RH 환경 하에서 수행한 경우에 있어서 24 시간 투습도가 100 g/m2·24 시간보다 작은 값을 갖는 시트로 구성된다.
JIS Z-208의 투습도 시험에서는, 마이크로피펫으로 측정한 순수 20 ml를 용기(내경이 60 mm인 원주형 컵)에 붓는다. 용기의 개구부는 시험할 시트의 샘플로 덮여 있고, 밀봉제(융점이 60 내지 70℃이고 오일을 1.5 내지 3% 포함하는 왁스 등의 혼합물)로 확실히 밀봉한다. 용기를 16 시간 동안 일정한 온도 및 습도의 장치 내에 넣는다. 그 다음, 용기의 중량(A)을 측정한다. 그 후, 용기를 재차 24 시간 동안 일정한 온도 및 습도의 장치 내에 유지시키고, 용기의 중량(B)을 재차 측정한다. 용기의 단면적을 중량 차이(A-B)로 나누어 샘플의 투습도를 산출한다. 적어도 3개의 샘플의 산출한 투습도를 평균하여 시트의 투습도를 얻는다.
본 출원은 본 명세서에서 그 전체 개시 내용을 참고로 인용하는 일본 출원 제2010-194203호의 우선권 주장을 청구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설명한 상세한 구체예에 특정적이지 않은, 하기의 비한정적인 특징인 Ea 내지 Eg, E1 내지 E9 및 U1 내지 U13에 의해 한정된다.
Ea 피부 비접촉 시트의 외면에 적용되며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면서 세로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점착제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영역으로부터 상기 앞 영역 및 뒤 영역까지 연장되는 압착홈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점착제는 상기 압착홈의 전단 주위의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며 전단을 넘어 세로 방향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압착홈의 후단 주위의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며 후단을 넘어 세로 방향 후방으로 연장되는 라이너.
Eb 상기 점착제는 상기 압착홈의 전단 주위 및 후단 주위와 중첩되지 않도록 제공되는 라이너.
Ec 상기 흡습재는 고흡수 폴리머로 구성되는 라이너.
Ed 상기 중간 영역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하는 고흡수 폴리머 입자의 질량비가, 상기 앞 영역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하는 고흡수 폴리머 입자의 질량비보다 높고, 상기 뒤 영역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하는 고흡수 폴리머 입자의 질량비보다 높은 라이너.
Ee 상기 흡수체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하는 고흡수 폴리머 입자의 질량비가 적어도 50%인 라이너.
Ef 상기 흡수체의 두께가 피부 접촉 영역 및 피부 비접촉 영역으로 나뉘며, 상기 피부 접촉 영역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하는 고흡수 폴리머 입자의 질량비가, 상기 피부 비접촉 영역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하는 고흡수 폴리머 입자의 질량비보다 높은 라이너.
Eg 상기 흡수체는 상기 흡습재 외에 흡수재를 포함하며, 상기 흡습재 및 흡수재에 대한 상기 흡습재의 질량비는 30 질량% 내지 70 질량%인 라이너.
E1 액투과성의 피부 접촉 시트, 액불투과성 및 투습성의 피부 비접촉 시트, 및 이들 피부 접촉 시트와 피부 비접촉 시트 사이에 배치되며 앞 영역, 뒤 영역, 및 앞 영역과 뒤 영역 사이의 중간 영역을 포함하는 흡수체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라이너를 의류에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윙으로서, 상기 중간 영역에 인접하여 제공되고 착용시 절곡되어 상기 중간 영역에 중첩되는 윙
을 구비하는 실금용 라이너로서,
상기 흡수체가 흡습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영역에서의 상기 흡습재의 평량이 상기 앞 영역에서의 흡습재의 평량 및 상기 뒤 영역에서의 흡습재의 평량보다 큰 라이너.
E2 E1에 있어서, 상기 피부 비접촉 시트의 외면에 적용되며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면서 세로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점착제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영역으로부터 상기 앞 영역 및 뒤 영역까지 연장되는 압착홈을 구비하며, 상기 점착제는 상기 압착홈의 전단 주위의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며 전단을 넘어 세로 방향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압착홈의 후단 주위의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며 후단을 넘어 세로 방향 후방으로 연장되는 라이너.
E3 E1 또는 E2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는 상기 압착홈의 전단 주위 및 후단 주위와 중첩되지 않도록 제공되는 라이너.
E4 E1 내지 E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흡습재는 고흡수 폴리머로 구성되는 라이너.
E5 E4에 있어서, 상기 중간 영역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하는 고흡수 폴리머 입자의 질량비가, 상기 앞 영역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하는 고흡수 폴리머 입자의 질량비보다 높고, 상기 뒤 영역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하는 고흡수 폴리머 입자의 질량비보다 높은 라이너.
E6 E4 또는 E5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하는 고흡수 폴리머 입자의 질량비가 적어도 50%인 라이너.
E7 E4 내지 E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두께가 피부 접촉 영역 및 피부 비접촉 영역으로 나뉘며, 상기 피부 접촉 영역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하는 고흡수 폴리머 입자의 질량비가, 상기 피부 비접촉 영역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하는 고흡수 폴리머 입자의 질량비보다 높은 라이너.
E8 E1 내지 E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상기 흡습재 외에 흡수재를 포함하며, 상기 흡습재 및 흡수재에 대한 상기 흡습재의 질량비는 30 질량% 내지 70 질량%인 라이너.
E9 액투과성의 피부 접촉 시트, 액불투과성 및 투습성의 피부 비접촉 시트, 및 이들 피부 접촉 시트와 피부 비접촉 시트 사이에 배치되며 앞 영역, 뒤 영역, 및 앞 영역과 뒤 영역 사이의 중간 영역을 포함하는 흡수체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라이너를 의류에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윙으로서, 상기 중간 영역에 인접하여 제공되고 착용시 절곡되어 상기 중간 영역에 중첩되는 윙
을 구비하는 실금용 라이너로서,
상기 흡수체가 흡습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영역에서의 상기 흡습재의 평량이 상기 앞 영역에서의 흡습재의 평량 및 상기 뒤 영역에서의 흡습재의 평량보다 크며,
상기 라이너는 상기 피부 비접촉 시트의 외면에 적용되며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면서 세로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점착제, 및 상기 중간 영역으로부터 상기 앞 영역 및 뒤 영역까지 연장되는 압착홈을 구비하며,
상기 점착제는 상기 압착홈의 전단 주위의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며 전단을 넘어 세로 방향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압착홈의 후단 주위의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며 후단을 넘어 세로 방향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점착제는 상기 압착홈의 전단 주위 및 후단 주위와 중첩되지 않도록 제공되며,
상기 흡습재는 고흡수 폴리머로 구성되고,
상기 중간 영역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 가능한 고흡수 폴리머 입자의 질량비가, 상기 앞 영역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 가능한 고흡수 폴리머 입자의 질량비, 및 상기 뒤 영역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 가능한 고흡수 폴리머 입자의 질량비보다 높으며,
상기 흡수체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 가능한 고흡수 폴리머 입자의 질량비가 적어도 50%이고,
상기 흡수체는 피부 접촉 영역 및 피부 비접촉 영역을 포함하며, 메쉬 300 ㎛의 체를 통과하는 고흡수 폴리머 입자의 질량비가, 상기 피부 비접촉 영역에서보다 상기 피부 접촉 영역에서 더 높고,
상기 흡수체는 상기 흡습재 외에 흡수재를 포함하며, 상기 흡습재 및 흡수재에 대한 상기 흡습재의 질량비는 30 질량% 내지 70 질량%인 라이너.
U1 액투과성의 피부 접촉측 시트,
액불투과성 및 투습성의 피부 비접촉측 시트, 및
이들 피부 접촉측 시트와 피부 비접촉측 시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
를 포함하는 실금용 라이너로서,
상기 흡수체가 앞 영역, 뒤 영역, 및 이들 앞 영역과 뒤 영역 사이의 중간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라이너는 상기 라이너를 의류에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윙으로서, 상기 중간 영역에 인접하여 착용시 절곡되어 상기 중간 영역에 중첩되는 윙을 구비하며,
상기 흡수체가 흡습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영역에서의 상기 흡습재의 평량이 상기 앞 영역에서의 흡습재의 평량 및 상기 뒤 영역에서의 흡습재의 평량보다 큰 라이너.
U2 U1에 있어서, 상기 피부 비접촉측 시트의 외면에 적용되며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면서 세로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점착제, 및
상기 중간 영역으로부터 상기 앞 영역 및 뒤 영역까지 연장되는 압착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점착제는 상기 압착홈 각각의 전단 각각의 주위의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며 전단을 넘어 세로 방향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점착제는 상기 압착홈 각각의 후단 각각의 주위의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며 후단을 넘어 세로 방향 후방으로 연장되는 라이너.
U3 U2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는 상기 압착홈의 전단 및 후단과 중첩되지 않도록 제공되는 라이너.
U4 U1 내지 U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흡습재는 고흡수 폴리머로 구성되는 라이너.
U5 U4에 있어서, 상기 고흡수 폴리머는 고흡수 폴리머 입자의 형태이고,
상기 중간 영역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 가능한 고흡수 폴리머 입자 부분의 질량비가, 상기 앞 영역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 가능한 고흡수 폴리머 입자 부분의 질량비, 및 상기 뒤 영역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 가능한 고흡수 폴리머 입자 부분의 질량비보다 높은 라이너.
U6 U4 또는 U5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 가능한 고흡수 폴리머 입자 부분의 질량비가 적어도 50%인 라이너.
U7 U4 내지 U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가 피부 접촉측 영역 및 피부 비접촉측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피부 접촉측 영역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 가능한 고흡수 폴리머 입자 부분의 질량비가, 상기 피부 비접촉측 영역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 가능한 고흡수 폴리머 입자 부분의 질량비보다 높은 라이너.
U8 U1 내지 U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상기 흡습재 외에 흡수재를 포함하며, (ii) 상기 흡습재 및 흡수재에 대한 (i) 상기 흡습재의 질량비는 30 질량% 내지 70 질량%인 라이너.
U9 액투과성의 피부 접촉측 시트,
액불투과성 및 투습성의 피부 비접촉측 시트, 및
이들 피부 접촉측 시트와 피부 비접촉측 시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
를 포함하는 실금용 라이너로서,
상기 흡수체가 앞 영역, 뒤 영역, 및 이들 앞 영역과 뒤 영역 사이의 중간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라이너는 상기 라이너를 의류에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윙으로서, 상기 중간 영역에 인접하여 착용시 의류를 끼워 상기 중간 영역에 중첩되는 윙을 구비하며,
상기 흡수체가 흡습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영역에서의 상기 흡습재의 평량이 상기 앞 영역에서의 흡습재의 평량 및 상기 뒤 영역에서의 흡습재의 평량보다 크며,
상기 라이너는 상기 피부 비접촉측 시트의 외면에 적용되며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면서 세로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점착제, 및
상기 중간 영역으로부터 상기 앞 영역 및 뒤 영역까지 연장되는 압착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점착제는 상기 압착홈 각각의 전단 각각의 주위의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며 전단을 넘어 세로 방향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점착제는 상기 압착홈 각각의 후단 각각의 주위의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며 후단을 넘어 세로 방향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점착제는 상기 압착홈의 전단 및 후단과 중첩되지 않도록 제공되고,
상기 흡습재는 고흡수 폴리머 입자로 구성되며,
상기 중간 영역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 가능한 고흡수 폴리머 입자 부분의 질량비가, 상기 앞 영역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 가능한 고흡수 폴리머 입자 부분의 질량비, 및 상기 뒤 영역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 가능한 고흡수 폴리머 입자 부분의 질량비보다 높으며,
상기 흡수체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 가능한 고흡수 폴리머 입자 부분의 질량비가 적어도 50%이고,
상기 흡수체가 피부 접촉측 영역 및 피부 비접촉측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피부 접촉측 영역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 가능한 고흡수 폴리머 입자 부분의 질량비가, 상기 피부 비접촉측 영역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 가능한 고흡수 폴리머 입자 부분의 질량비보다 높고,
상기 흡수체는 상기 흡습재 외에 흡수재를 포함하며, (ii) 상기 흡습재 및 흡수재에 대한 (i) 상기 흡습재의 질량비는 30 질량% 내지 70 질량%인 라이너.
U10 U1에 기재된 바의 실금용 라이너, 및
라이너의 착용시까지 라이너의 흡수체의 흡습재의 흡습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실금용 라이너 주위의 불투습성 시트 포장재
를 포함하는 개별 실금용 라이너 포장체.
U11 U10에 있어서, 포장된 라이너는 각각 중간 영역과 앞 영역 사이의 그리고 중간 영역과 뒤 영역 사이의 앞 및 뒤 구획선을 따라 접히는 개별 실금용 라이너 포장체.
U12 U11에 있어서, 피부 접촉측 시트가 접힌 라이너의 내측에 위치하는 개별 실금용 라이너 포장체.
U13 U11에 있어서, 불투습성 시트의 일단을 불투습성 시트의 다른 부분에 고정하여 라이너를 접힌 상태로 유지시키는 고정 조각을 더 포함하는 개별 실금용 라이너 포장체.
1 실금용 라이너
2 본체
3 윙
4 피부 접촉측 시트
5 피부 비접촉측 시트
6 흡수체
9, 10 점착제
11 압착홈
12 포장재
13 불투습성 시트
2 본체
3 윙
4 피부 접촉측 시트
5 피부 비접촉측 시트
6 흡수체
9, 10 점착제
11 압착홈
12 포장재
13 불투습성 시트
Claims (9)
- 액투과성의 피부 접촉측 시트, 액불투과성 및 투습성의 피부 비접촉측 시트, 및 이들 피부 접촉측 시트와 피부 비접촉측 시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를 구비하는 실금용 라이너로서,
상기 흡수체가 앞 영역, 뒤 영역, 및 이들 앞 영역과 뒤 영역 사이의 중간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라이너는 상기 라이너를 의류에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윙으로서, 상기 중간 영역에 인접하여 제공되고 착용시 절곡되어 상기 중간 영역에 중첩되는 윙을 구비하며,
상기 흡수체가 흡습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영역에서의 상기 흡습재의 평량이 상기 앞 영역에서의 흡습재의 평량 및 상기 뒤 영역에서의 흡습재의 평량보다 큰 라이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비접촉측 시트의 외면에 적용되며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면서 세로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점착제, 및 상기 중간 영역으로부터 상기 앞 영역 및 뒤 영역까지 연장되는 압착홈을 구비하며, 상기 점착제는 상기 압착홈의 전단 주위의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며 전단을 넘어 세로 방향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압착홈의 후단 주위의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며 후단을 넘어 세로 방향 후방으로 연장되는 라이너.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는 상기 압착홈의 전단 주위 및 후단 주위와 중첩되지 않도록 제공되는 라이너.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재는 고흡수 폴리머로 구성되는 라이너.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영역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 가능한 고흡수 폴리머 입자 부분의 질량비가, 상기 앞 영역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 가능한 고흡수 폴리머 입자 부분의 질량비, 및 상기 뒤 영역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 가능한 고흡수 폴리머 입자 부분의 질량비보다 높은 라이너.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 가능한 고흡수 폴리머 입자 부분의 질량비가 50% 이상인 라이너.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가 피부 접촉측 영역 및 피부 비접촉측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피부 접촉측 영역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 가능한 고흡수 폴리머 입자 부분의 질량비가, 상기 피부 비접촉측 영역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 가능한 고흡수 폴리머 입자 부분의 질량비보다 높은 라이너.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상기 흡습재 외에 흡수재를 포함하며, 상기 흡습재 및 흡수재에 대한 상기 흡습재의 질량비는 30 질량% 내지 70 질량%인 라이너.
- 액투과성의 피부 접촉측 시트, 액불투과성 및 투습성의 피부 비접촉측 시트, 및 이들 피부 접촉측 시트와 피부 비접촉측 시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를 구비하는 실금용 라이너로서,
상기 흡수체가 앞 영역, 뒤 영역, 및 이들 앞 영역과 뒤 영역 사이의 중간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라이너는 상기 라이너를 의류에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윙으로서, 상기 중간 영역에 인접하여 제공되고 착용시 의류를 끼워서 상기 중간 영역에 중첩되는 윙을 구비하며,
상기 흡수체가 흡습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영역에서의 상기 흡습재의 평량이 상기 앞 영역에서의 흡습재의 평량 및 상기 뒤 영역에서의 흡습재의 평량보다 크고,
상기 라이너는 상기 피부 비접촉측 시트의 외면에 적용되며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면서 세로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점착제, 및 상기 중간 영역으로부터 상기 앞 영역 및 뒤 영역까지 연장되는 압착홈을 구비하며,
상기 점착제는 상기 압착홈의 전단 주위의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며 전단을 넘어 세로 방향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압착홈의 후단 주위의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며 후단을 넘어 세로 방향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점착제는 상기 압착홈의 전단 주위 및 후단 주위와 중첩되지 않도록 제공되고,
상기 흡습재는 고흡수 폴리머 입자로 구성되며,
상기 중간 영역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 가능한 고흡수 폴리머 입자 부분의 질량비가, 상기 앞 영역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 가능한 고흡수 폴리머 입자 부분의 질량비, 및 상기 뒤 영역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 가능한 고흡수 폴리머 입자 부분의 질량비보다 높고,
상기 흡수체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 가능한 고흡수 폴리머 입자 부분의 질량비가 50% 이상이고,
상기 흡수체가 피부 접촉측 영역 및 피부 비접촉측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피부 접촉측 영역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 가능한 고흡수 폴리머 입자 부분의 질량비가, 상기 피부 비접촉측 영역에서의 메쉬 300 ㎛의 체를 통과 가능한 고흡수 폴리머 입자 부분의 질량비보다 높고,
상기 흡수체는 상기 흡습재 외에 흡수재를 포함하며, 상기 흡습재 및 흡수재에 대한 상기 흡습재의 질량비는 30 질량% 내지 70 질량%인 라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0-194203 | 2010-08-31 | ||
JP2010194203A JP5765900B2 (ja) | 2010-08-31 | 2010-08-31 | 失禁用ライナー |
PCT/JP2011/069861 WO2012029892A1 (en) | 2010-08-31 | 2011-08-25 | Incontinence Lin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1024A true KR20130101024A (ko) | 2013-09-12 |
Family
ID=45772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07059A KR20130101024A (ko) | 2010-08-31 | 2011-08-25 | 실금용 라이너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20130165889A1 (ko) |
EP (1) | EP2611403B1 (ko) |
JP (1) | JP5765900B2 (ko) |
KR (1) | KR20130101024A (ko) |
CN (1) | CN103079504A (ko) |
BR (1) | BR112013002022A2 (ko) |
TW (1) | TW201212897A (ko) |
WO (1) | WO2012029892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01749A (ko) * | 2020-02-11 | 2021-08-19 | 염병수 | 분비물 누출을 방지하는 요실금용 보조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631124B2 (ja) * | 2010-08-31 | 2014-11-26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失禁用ライナー |
WO2016031668A1 (ja) | 2014-08-29 | 2016-03-03 | 大王製紙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6152518B2 (ja) * | 2014-08-29 | 2017-06-28 | 大王製紙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7049965B2 (ja) * | 2018-08-29 | 2022-04-07 | 大王製紙株式会社 | 脇用汗取りパッド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381782A (en) * | 1981-04-21 | 1983-05-03 | Kimberly-Clark Corporation | Highly absorbent materials having good wicking characteristics which comprise hydrogel particles and surfactant treated filler |
JP2001190581A (ja) * | 2000-01-12 | 2001-07-17 | Nippon Kyushutai Gijutsu Kenkyusho:Kk | 失禁用吸収パッド |
JP4117158B2 (ja) | 2001-07-12 | 2008-07-16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生理用ナプキン |
CN101022773B (zh) * | 2004-09-16 | 2010-06-16 | 麦克内尔-Ppc股份有限公司 | 可悬垂的吸收性卫生巾 |
JP5046488B2 (ja) * | 2005-02-24 | 2012-10-10 | 花王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US8052664B2 (en) * | 2006-01-30 | 2011-11-08 |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 Packaged absorbent article |
WO2007122938A1 (ja) * | 2006-03-23 | 2007-11-01 | Kao Corporation | 吸収体及びその製造方法 |
US8173858B2 (en) * | 2006-11-22 | 2012-05-08 | Uni-Charm Corporation | Absorptive articl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
JP5039513B2 (ja) * | 2006-12-28 | 2012-10-03 | 花王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5043569B2 (ja) * | 2007-09-04 | 2012-10-10 | 花王株式会社 | 生理用ナプキン |
JP5043591B2 (ja) * | 2007-10-22 | 2012-10-10 | 花王株式会社 | 生理用ナプキン |
EP2281536A4 (en) * | 2008-05-28 | 2013-01-02 | Unicharm Corp | ABSORBENT ARTICLE AND HYGIENIC TOWEL |
-
2010
- 2010-08-31 JP JP2010194203A patent/JP5765900B2/ja active Active
-
2011
- 2011-08-25 CN CN2011800399887A patent/CN103079504A/zh active Pending
- 2011-08-25 KR KR1020137007059A patent/KR2013010102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1-08-25 US US13/819,504 patent/US2013016588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1-08-25 BR BR112013002022A patent/BR112013002022A2/pt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1-08-25 EP EP11821907.0A patent/EP2611403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1-08-25 WO PCT/JP2011/069861 patent/WO2012029892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08-31 TW TW100131290A patent/TW201212897A/zh unkno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01749A (ko) * | 2020-02-11 | 2021-08-19 | 염병수 | 분비물 누출을 방지하는 요실금용 보조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3079504A (zh) | 2013-05-01 |
EP2611403A1 (en) | 2013-07-10 |
JP2012050542A (ja) | 2012-03-15 |
EP2611403B1 (en) | 2016-12-14 |
WO2012029892A1 (en) | 2012-03-08 |
TW201212897A (en) | 2012-04-01 |
BR112013002022A2 (pt) | 2016-05-31 |
JP5765900B2 (ja) | 2015-08-19 |
US20130165889A1 (en) | 2013-06-27 |
EP2611403A4 (en) | 2014-06-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596950C2 (ru) | Абсорбирующее изделие с уплотненной ножной манжетой | |
EP2640331B2 (en) | Absorbent article | |
KR101663848B1 (ko) | 유체-활성화 배리어를 갖는 용품 | |
KR101778808B1 (ko) | 흡수성 물품 | |
WO2014208729A1 (ja) | 吸収性物品 | |
RU2623914C2 (ru) | Одноразовый подгузник | |
US12083001B2 (en) | Disposable wearing article | |
JP5057876B2 (ja) | 補助吸収性物品 | |
US9271882B2 (en) | Absorbent article | |
US9149395B2 (en) | Liner for incontinence | |
EP2621435B1 (en) | Absorbent article | |
JP6360384B2 (ja) | 吸収性物品 | |
KR20130101024A (ko) | 실금용 라이너 | |
JP2016178991A (ja) | 使い捨ておむつ | |
JP7388868B2 (ja) | 吸収性物品 | |
JP2008132280A (ja) | 吸湿体及び吸収性物品 | |
JP6245916B2 (ja) | 吸収性物品 | |
JP2016189819A (ja) | 吸収性物品 | |
JP2016189819A5 (ko) | ||
JP2009254662A (ja) | 吸収性物品 | |
WO2023282321A1 (ja) | 吸収性物品 | |
JP2023010668A (ja) | 吸収性物品 | |
KR20110107379A (ko) | 흡수성 물품 | |
JP2021019785A (ja) | 吸収性物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32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