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73845A - 표시 시스템, 표시 장치, 조작 장치 및 기능 선택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시스템, 표시 장치, 조작 장치 및 기능 선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3845A
KR20130073845A KR1020120150756A KR20120150756A KR20130073845A KR 20130073845 A KR20130073845 A KR 20130073845A KR 1020120150756 A KR1020120150756 A KR 1020120150756A KR 20120150756 A KR20120150756 A KR 20120150756A KR 20130073845 A KR20130073845 A KR 20130073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window
input
input area
display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0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1287B1 (ko
Inventor
시게아키 니시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130073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3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28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표시 시스템은 스크린 패널, 입력 유닛, 절환 섹션 및 리사이징 섹션을 포함한다. 스크린 패널은 윈도우 선택 모드와 기능 선택 모드 사이에서 표시 모드를 절환한다. 입력 유닛은 스크린 패널로부터 이격하여 배열된 입력 패널을 포함하고, 스크린 패널의 윈도우 선택 모드에 표시된 표시 윈도우의 배열에 대응하는 입력 영역의 배열을 규정한다. 목표 입력 영역이 조작될 때, 절환 섹션은 목표 입력 영역을 선택된 입력 영역으로서 설정하고, 리사이징 섹션은 선택된 입력 영역의 크기를 확대하고, 입력 패널 상에 확대된 선택된 입력 영역을 재배열한다.

Description

표시 시스템, 표시 장치, 조작 장치 및 기능 선택 장치 {DISPLAY SYSTEM, DISPLAY APPARATUS, MANIPULATION APPARATUS AND FUNCTION SEL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입력 패널 상의 조작에 기초하여 스크린 패널 상에 표시된 목표 버튼 화상을 선택하는 표시 시스템, 표시 시스템 내에 포함된 표시 장치 및 조작 장치 및 기능 선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JP 2008-186279 A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표시 시스템은 표시 유닛 및 터치패드를 포함한다. JP 2008-186279 A호에 개시된 표시 시스템에서, 표시 유닛은 아이콘을 표시하고, 아이콘의 각각은 스크린 패널 상에서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기능에 연계되고, 터치패드는 표시 유닛 상에 표시된 목표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다. 또한, JP 2000-214977 A호(US 6,538,670 B1호에 대응)는 표시 유닛 및 키(key)를 포함하는 표시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표시 유닛은 표시 유닛의 스크린 패널 상에 표시 윈도우를 표시하고, 각각의 키는 스크린 패널 상에 표시된 대응 표시 윈도우를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키의 배열은 표시 윈도우의 배열에 대응한다. 키들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때, 대응 표시 윈도우가 선택되고 확대 방식으로 스크린 패널 상에 표시된다.
최근에, 표시 시스템의 스크린 패널은 고선명 스크린 패널로 전환하는 경향이 있고, 스크린 패널의 크기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JP 2008-186279 A호에 개시된 표시 시스템의 표시 유닛이 고선명 스크린 패널 상에 화상을 표시할 때, 스크린 패널 상에 표시된 각각의 아이콘의 크기가 축소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아이콘은 버튼 화상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 패널의 크기가 확대되고 터치패드의 크기가 동일하게 유지될 때, 스크린 패널의 크기에 대한 터치패드의 크기의 비는 감소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크린 패널 상에 표시된 목표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해 터치패드를 조작할 때, 사용자가 스크린 패널 상에 표시된 목표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해 터치패드를 정확하게 조작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스크린 패널 상에 표시된 목표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시간이 증가한다.
JP 2008-186279 A호의 상기 어려움의 견지에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JP 2008-186279 A호에 개시된 표시 시스템에 대응 표시 윈도우를 선택하기 위해 JP 2000-214977 A호에 개시된 키를 추가하는 것을 고려하였다. JP 2008-186279 A호 및 JP 2000-214977 A호의 조합된 구조를 갖는 표시 시스템에서, 각각의 표시 윈도우가 대응키를 조작함으로써 선택된다. 또한, 아이콘은 터치패드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다. 이 구성에 의해, 조작 스위치가 복잡해진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표시 윈도우를 선택하기 위한 키의 조작으로부터 목표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패드의 조작으로 절환(switching)할 때, 사용자는 키로부터 터치패드로 조작 위치를 변경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JP 2008-186279 A호와 JP 2000-214977 A호의 조합된 구조를 갖는 표시 시스템의 스크린 패널 상에 표시된 목표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이 어렵다.
상기 어려움들의 견지에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목표 버튼 화상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시간을 감소시키는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목표 버튼 화상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시간을 감소시키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목표 버튼 화상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시간을 감소시키는 조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목표 버튼 화상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시간을 감소시키는 기능 선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르면, 표시 시스템은 스크린 패널, 입력 유닛, 절환 섹션 및 리사이징(resizing) 섹션을 포함한다. 스크린 패널은 윈도우 선택 모드와 기능 선택 모드 사이에서 표시 모드를 절환한다. 스크린 패널은 표시 윈도우로부터 목표 표시 윈도우의 선택을 위해 윈도우 선택 모드에서 복수의 표시 윈도우를 표시하고, 버튼 화상으로부터 목표 버튼 화상의 선택을 위해 기능 선택 모드에서 목표 표시 윈도우 내에 포함된 복수의 버튼 화상을 표시한다. 각각의 버튼 화상은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기능에 연계된다. 입력 유닛은 스크린 패널로부터 이격하여 배열된 입력 패널을 포함한다. 입력 패널은 복수의 입력 영역의 배열을 규정한다. 입력 영역의 배열은 윈도우 선택 모드에서 표시 윈도우의 배열에 대응한다. 목표 표시 윈도우에 대응하는 입력 영역 중 하나는 목표 입력 영역이라 칭한다. 목표 입력 영역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때, 절환 섹션은 목표 입력 영역을 선택된 입력 영역으로서 설정하고, 목표 표시 윈도우를 선택된 표시 윈도우로서 설정하고, 표시 모드를 윈도우 선택 모드로부터 목표 표시 윈도우가 선택된 표시 윈도우로서 설정되어 있는 기능 선택 모드로 절환한다. 리사이징 섹션은 입력 패널 상의 선택된 입력 영역의 크기를 확대하고, 절환 섹션이 윈도우 선택 모드로부터 기능 선택 모드로 표시 모드를 절환할 때 입력 패널 상에 확대된 선택된 입력 영역을 재배열한다.
상기 표시 시스템에서, 목표 버튼 화상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시간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르면, 제1 태양에 따른 표시 시스템 내에 포함된 표시 장치는 스크린 패널, 절환 섹션 및 리사이징 섹션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에서, 제1 태양에 따른 표시 시스템에 의해 제공된 장점과 유사한 장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따르면, 제1 태양에 따른 표시 시스템 내에 포함된 조작 장치는 입력 패널, 절환 섹션 및 리사이징 섹션을 포함한다.
상기 조작 장치에서, 제1 태양에 따른 표시 시스템에 의해 제공된 장점과 유사한 장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따르면, 기능 선택 장치는 터치패드, 표시 제어기 및 조작 제어기를 포함한다. 기능 선택 장치는 스크린 패널 상에 표시된 복수의 버튼 화상으로부터 목표 버튼 화상을 선택한다. 버튼 화상은 버튼 화상의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되고, 각각의 버튼 화상은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기능에 연계된다. 터치패드는 스크린 패널로부터 이격하여 배열되고 터치패드가 사용자에 의해 터치될 때 조작 정보를 수신한다. 표시 제어기는 복수의 표시 윈도우를 표시하기 위해 스크린 패널을 제어한다. 각각의 표시 윈도우는 버튼 화상의 대응 그룹을 포함한다. 조작 제어기는 터치패드에 의해 수신된 조작 정보를 검출한다. 조작 제어기는 제1 규정 섹션, 제2 규정 섹션 및 판정 섹션을 포함한다. 제1 규정 섹션은 터치패드 상의 복수의 윈도우 입력 영역의 배열을 결정한다. 각각의 윈도우 입력 영역은 스크린 패널 상에 표시된 표시 윈도우로부터 대응 표시 윈도우를 선택하기 위해 터치된다.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는 윈도우 입력 영역 중 하나는 선택된 윈도우 입력 영역이라 칭하고, 선택된 윈도우 입력 영역에 대응하는 표시 윈도우 중 하나는 선택된 표시 윈도우라 칭한다. 윈도우 입력 영역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터치될 때, 제2 규정 섹션은 터치패드에 의해 수신된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표시 윈도우 내에 포함된 버튼 화상의 그룹 중 하나를 추출하고, 터치패드 상의 윈도우 입력 영역의 배열을 복수의 기능 입력 영역의 배열로 절환한다. 각각의 기능 입력 영역은 선택된 표시 윈도우 내에 포함된 버튼 화상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터치된다. 판정 섹션은 선택된 표시 윈도우 내에 포함된 버튼 화상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상기 기능 선택 장치에서, 제1 태양에 따른 표시 시스템에 의해 제공된 장점에 유사한 장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차량 내의 입력 유닛의 입력 패널의 위치 및 스크린 패널의 위치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스크린 패널 상에 표시된 화상 및 스크린 패널과 입력 패널 사이의 대응 관계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4a는 윈도우 선택 모드에서 스크린 패널 및 입력 패널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윈도우 선택 모드로부터 절환되어 있는 기능 선택 모드에서 스크린 패널 및 입력 패널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5a는 윈도우 선택 모드에서 스크린 패널 및 입력 패널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윈도우 선택 모드로부터 절환되어 있는 제1 기능 선택 모드에서 스크린 패널 및 입력 패널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고, 도 5c는 도 5b에 도시된 제1 기능 선택 모드로부터 절환되어 있는 제2 기능 선택 모드에서 스크린 패널 및 입력 패널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시스템의 표시 제어기에 의해 실행된 주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a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선택 모드에서 스크린 패널 및 입력 패널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고,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윈도우 선택 모드로부터 절환되어 있는 제1 기능 선택 모드에서 스크린 패널 및 입력 패널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고, 도 7c는 도 7b에 도시된 제1 기능 선택 모드로부터 절환되어 있는 제2 기능 선택 모드에서 스크린 패널 및 입력 패널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시스템의 조작 제어기에 의해 실행된 주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에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의 각각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가 도면의 동일한 또는 등가의 부분에 추가된다. 이하의 실시예의 각각에서, 모든 구성 대신에 단지 구성의 일부만이 설명될 때, 구성의 다른 부분은 이전의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되어 있는 유사한 또는 등가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시스템(100)은 조작 장치(MANI APPA)(20) 및 표시 장치(DISP APPA)(4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장치(20)는 조작 장치(20)의 터치패드(31)의 터치패드 패널(32)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기 위해 노출되도록 차량 내에 배열된다. 이하, 터치패드(31)는 또한 입력 유닛이라 칭하고, 터치패드(31)의 터치 패널(32)은 또한 입력 패널이라 칭한다. 조작 장치(20)의 터치패드(31)는 손에 의해 사용자의 용이하게 도달 가능한 범위 내에 배열된다. 터치패드(31)는 차량의 센터 콘솔(center console)에 배열될 수도 있다. 표시 장치(40)는 표시 장치(40)의 스크린 패널(52)이 사용자에 대면하여 스크린 패널(52)이 사용자에 의해 관찰 가능하게 되도록 차량 내에 배열된다. 예를 들어, 스크린 패널(52)은 스크린 패널(52)이 차량의 운전석으로부터 관찰 가능하도록 차량의 계기 패널(instrument panel)에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시스템(100)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 스크린 패널(52)을 제어한다. 이하에는 스크린 패널(52) 상에 표시된 화상을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패널(52) 상에 표시된 화상은 그 각각이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기능에 연계되어 있는 아이콘(63)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아이콘(63)은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또한, 각각의 아이콘(63)은 미리 정해진 기능을 지시하는 문자 또는 각각의 아이콘(63)에 연계된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기능과 연관된 도형일 수 있다. 스크린 패널(52) 상의 위치는 터치패드 패널(32) 상의 위치에 대응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터치패드 패널(32)의 미리 정해진 위치 상에 조작할 때, 터치패드 패널(32)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대응하는 스크린 패널(52)의 위치에 배치된 목표 아이콘(63)은 표시 장치(40)가 목표 아이콘(63)에 연계된 미리 정해진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선택된다. 터치패드 패널(32) 상에 조작할 때,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터치패드 패널(32) 상에 탭핑한다. 또한, 사용자는 터치패드 패널(32)을 누르거나 또는 터치패드 패널(32) 상을 터치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40)의 표시 제어기(53)는 표시 영역(60)이라 또한 칭하는 하나 이상의 표시 윈도우(60)를 표시하기 위해 스크린 패널(52)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 윈도우(60)는 x-방향이라 또한 칭하는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제1 표시 윈도우(61) 및 제2 표시 윈도우(62)를 포함한다. 제2 표시 윈도우(62)는 운전석에 인접하여 배열되고, 제1 표시 윈도우(61)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제어기(33)는 입력 영역(70)이 스크린 패널(52) 상에 표시된 표시 윈도우(60)에 대응하도록 터치패드 패널(32) 상에 입력 영역(70)을 형성한다. 즉, 입력 영역(70)의 배열은 표시 윈도우(60)의 배열에 대응한다. 본 실시예에서, 입력 영역(70)은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제1 입력 영역(71) 및 제2 입력 영역(72)을 포함한다. 제1 입력 영역(71)은 제1 표시 윈도우(61)에 대응하고, 제2 입력 영역(72)은 제2 표시 윈도우(62)에 대응한다. 제2 입력 영역(72)은 운전석에 인접하여 배열되고, 제1 입력 영역(71)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터치패드(32) 상의 조작 위치는 절대 대응 방식으로 또는 상대 대응 방식으로 스크린 패널(52) 상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대 대응 방식에서, 스크린 패널(52)이 터치패드 패널(32)과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축소될 때, 터치패드 패널(32) 상의 조작 위치는 스크린 패널(52) 상의 대응 위치와 완전히 정합한다. 또한, 상대 대응 방식에서, 스크린 패널(52)이 터치패드 패널(32)과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축소될 때, 터치패드 패널(32) 상의 조작 위치는 스크린 패널(52) 상의 대응 위치와 완전히 정합하지는 않는다.
이하에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표시 시스템(100)의 구성을 설명할 것이다. 조작 장치(20)는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표시 장치(40)로부터 이격하여 배열된다. 조작 장치(20)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때, 조작 장치(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패널(52) 상에 표시된 목표 아이콘(63)을 선택하기 위해 표시 장치(40)에 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터치패드 패널(32) 상의 원격 조작을 경유하여 목표 아이콘(63)을 선택한다. 조작 장치(20)는 표시 장치(40)에 결합되고, 터치패드 패널(32)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것을 지시하는 조작 정보를 표시 장치(40)에 전송한다. 조작 정보는 이하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장치(20)는 터치패드(31), 조작 제어기(MANI CONTROLLER)(33), 촉각 통지부(TACT NOTI PORT)(35) 및 촉각 통지부(35)에 각각 대응하는 액추에이터(ACTUATOR)(37)를 포함한다.
터치패드(31)는 공지의 정전 용량식 터치패드이고, 터치패드(31)의 상세한 구성은 생략될 것이다. 터치패드(31)는 터치패드 패널(32) 및 터치패드 패널(32)의 내부측에 배열된 전극을 포함한다. 터치패드 패널(32)은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터치패드(31)는 터치패드 패널(32) 상의 조작을 검출한다. 터치패드 패널(32)은 터치패드 패널(32)의 표면 상에 배열되고 절연 재료로 제조된 절연 시트를 갖는다. 터치패드 패널(32)의 내부측에 배열된 전극은 절연 시트에 의해 커버된다. 격자 방식으로 배열된 전극은 x-방향으로 배열된 x-방향 전극 및 x-방향에 수직인 y-방향으로 배열된 y-방향 전극을 포함한다. 각각의 전극은 조작 제어기(33)에 결합된다.
조작 제어기(33)는 프로세서,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미리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그램의 명령을 실행한다. RAM은 프로세서가 명령을 실행하게 하는데 필수적인 처리 메모리를 제공한다. 플래시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의 명령을 저장한다. 또한, 조작 제어기(33)는 표시 장치(4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조작 제어기(33)는 터치패드(31)의 전극 및 터치패드(31)의 액추에이터(37)에 결합된다.
조작 제어기(33)는 터치패드(31)의 각각의 전극의 전위를 측정하고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대응 액추에이터(37)에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패드 패널(32)이 사용자의 손가락(F)에 의해 조작될 때, 전하가 절연 시트를 경유하여 터치패드 패널(32)의 내부측에 배열된 대응 전극과 손가락(F) 사이에 축적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제어기(33)는 각각의 전극의 전위의 변화에 기초하여, 터치패드 패널(32) 상의 조작 위치의 좌표를 검출한다. 조작 위치의 좌표는 x-좌표 및 y-좌표를 포함한다. 다음에, 조작 제어기(33)는 조작 정보에 조작 위치의 좌표를 추가하고, 통신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표시 장치(40)에 조작 정보를 전송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장치(20)의 촉각 통지부(35)는 터치패드 패널(32) 부근에 배열된다. 본 실시예에서, 촉각 통지부(35)는 5개의 촉각 통지부(351, 352, 353, 354, 355)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촉각 통지부(35)는 대응 액추에이터(37)에 결합된다. 각각의 액추에이터(37)는 대응 촉각 통지부(35)가 터치패드 패널(32)의 외연부(34)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거나 터치패드 패널(32)의 외연부(34)의 표면에 평행하게 수납되도록 대응 촉각 통지부(35)를 제어한다. 각각의 촉각 통지부(35)는 2개의 인접한 입력 영역(70) 사이의 입력 경계 라인(76)으로부터 연장하는 기준선 상에 배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촉각 통지부(354)는 제1 입력 영역(71)과 제2 입력 영역(72) 사이의 입력 경계선(76)으로부터 연장하는 기준선 상에 배열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각각의 촉각 통지부(35)는 촉각을 경유하여 사용자에 2개의 입력 영역(70) 사이의 입력 경계선(76)을 통지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액추에이터(37)는 조작 제어기(33)에 결합된다. 각각의 액추에이터(37)는 조작 제어기(33)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연장하는 가동부를 포함한다. 각각의 액추에이터(37)는 가동부에 의해 지지된 대응 촉각 통지부(35)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연부(34)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거나 외연부(34)의 표면에 평행하게 수납되도록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가동부를 이동시킨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40)는 제어 영역 네트워크(CAN) 버스(10)에 결합된다. CAN 버스(10)는 차내(in-vehicle) 장치가 결합되는 차내 통신 네트워크의 통신 경로이다. CAN 버스(10)는 차내 장치간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표시 장치(40)는 CAN 버스(10)를 경유하여 차내 통신 네트워크에 결합된 차내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40)는 오디오 기기를 제어하는 오디오 제어 장치(AUDI APPA)(91) 및 차량 내의 공조를 제어하는 공조 제어 장치(AIR CONDITION APPA)(92)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표시 장치(40)는 표시 제어기(DISP CONROLLER)(53) 및 액정 디스플레이(LCD) 유닛에 의해 제공되는 표시 유닛(DISP UNIT)(51)을 포함한다.
표시 제어기(53)는 프로세서, RAM, 그래픽 프로세서 및 그래픽 RAM을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미리 정해진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그램의 명령을 실행한다. RAM은 프로세서가 명령을 실행하게 하는데 필수적인 처리 메모리를 제공한다. 그래픽 프로세서는 화상 도안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그래픽 RAM은 그래픽 프로세서가 화상 도안 프로세스를 수행하게 하는데 필수적인 메모리를 제공한다. 또한, 표시 제어기(53)는 플래시 메모리, 통신 인터페이스 및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플래시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의 명령 및 화상 도안 프로세스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CAN 버스(10)에 결합된다.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는 그래픽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된 화상을 표시 유닛(51)에 출력한다. 표시 제어기(53)는 CAN 버스(10) 및 조작 장치(20)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패널(52) 상에 표시될 화상을 생성하기 위해 화상 도안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다음에, 표시 제어기(53)는 순차적인 방식으로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표시 유닛(51)에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표시 유닛(51)은 컬러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 스크린 패널(52) 상에 배열된 화소를 제어하는 도트 매트릭스 표시 유닛이다. 표시 유닛(51)은 표시 제어기(53)로부터 순차적으로 전송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크린 패널(52) 상에 표시될 화상을 연속적으로 생성한다. 표시 유닛(51)은 스크린 패널(52) 상에 화상을 표시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정보를 통지한다.
표시 시스템(100)은 윈도우 선택 모드와 기능 선택 모드 사이에서 표시 모드를 절환하도록 스크린 패널(52)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스크린 패널(52)의 표시 모드는 윈도우 선택 모드와 기능 선택 모드 사이에서 절환하도록 표시 제어기(53)에 의해 제어된다. 윈도우 선택 모드에서, 표시 제어기(53)는 사용자가 목표 표시 윈도우(60)를 선택하도록 표시 윈도우(60)를 표시하기 위해 스크린 패널(52)을 제어한다. 기능 선택 모드에서, 표시 제어기(53)는 사용자가 목표 표시 윈도우(60) 내의 목표 아이콘(63)을 선택하도록 목표 표시 윈도우(60) 내에 포함된 아이콘(63)을 표시하기 위해 스크린 패널(52)을 제어한다. 이하에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윈도우 선택 모드와 기능 선택 모드 사이에서 표시 모드를 절환하기 위한 표시 시스템(100)의 작동을 설명할 것이다.
도 4a는 윈도우 선택 모드에서 스크린 패널(52) 및 터치패드 패널(32)을 도시하고, 도 4b는 윈도우 선택 모드로부터 절환되어 있는 기능 선택 모드에서 스크린 패널(52) 및 터치패드 패널(32)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스크린 패널(52)은 네비게이션 시스템 내의 목적지를 검색하기 위한 화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제1 표시 윈도우(61)는 목적지명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화상을 표시한다. 제1 표시 윈도우(61) 내에 포함된 각각의 아이콘(63)은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문자에 연계된다. 제2 표시 윈도우(62)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 단어에 대한 목적지 후보지를 열거하기 위한 화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제2 표시 윈도우(62) 내에 포함된 각각의 아이콘(63)은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목적지 후보지에 연계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적지를 검색할 때, 윈도우 선택 모드에서, 제2 입력 영역(72)의 크기는 제1 입력 영역(71)의 크기보다 작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입력 영역(71)의 크기는 제1 표시 윈도우(61)의 크기에 대응하고, 제2 입력 영역(72)의 크기는 제2 표시 윈도우(62)의 크기에 대응한다. 또한, 제1 입력 영역(71)과 제2 입력 영역(72) 사이의 입력 경계선(76)의 위치는 제1 표시 윈도우(61)와 제2 표시 윈도우(62) 사이의 표시 경계선(66)에 대응한다. 또한, 입력 경계선(76)으로부터 연장하는 기준선 상에 배열된 촉각 통지부(354)는 외연부(34)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윈도우 선택 모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F)으로 제1 입력 영역(71)을 조작할 때, 제1 입력 영역(71)이 선택된다. 이하,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입력 영역은 목표 입력 영역이라 칭하고, 목표 입력 영역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때, 목표 입력 영역은 선택된 입력 영역(79)으로서 설정된다. 대응적으로, 목표 입력 영역에 대응하는 표시 윈도우는 목표 표시 윈도우라 칭하고, 목표 입력 영역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때 목표 표시 윈도우는 선택된 표시 윈도우(69)로서 설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 입력 영역(71)을 조작할 때, 제1 입력 영역(71)은 선택된 입력 영역(79)으로서 설정되고, 제1 입력 영역(71)에 대응하는 제1 표시 윈도우(61)는 선택된 표시 윈도우(69)로서 설정된다. 또한, 목표 입력 영역 이외의 입력 영역은 비목표 입력 영역이라 칭하고, 목표 표시 윈도우 이외의 표시 윈도우는 비목표 표시 윈도우라 칭한다. 또한, 목표 입력 영역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때, 비목표 입력 영역은 비선택된 입력 영역으로서 설정되고, 비목표 표시 윈도우는 비선택된 표시 윈도우로서 설정된다. 목표 입력 영역(70)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때, 표시 시스템(100)의 표시 모드는 윈도우 선택 모드로부터 기능 선택 모드로 절환한다. 기능 선택 모드는 제1 표시 윈도우(61)가 선택된 표시 윈도우(69)로서 설정되는 제1 기능 선택 모드 및 제2 표시 윈도우(62)가 선택된 표시 윈도우(69)로서 설정되는 제2 기능 선택 모드를 포함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경우에, 표시 모드는 윈도우 선택 모드로부터 제1 기능 선택 모드로 절환된다. 표시 모드가 윈도우 선택 모드로부터 기능 선택 모드로 절환된 후에, 터치패드 패널(32)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지 않을 때, 표시 모드는 기능 선택 모드로부터 윈도우 선택 모드로 재절환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모드가 윈도우 선택 모드로부터 기능 선택 모드로 절환될 때, 선택된 입력 영역(79)은 터치패드 패널(32)의 전체 영역을 커버하도록 확대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경우에, 제1 입력 영역(71)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기 때문에, 제1 입력 영역(71)은 확대되고, 터치패드 패널(32)의 전체 영역을 커버하는 확대된 제1 입력 영역(74)이 터치패드 패널(32) 상에 재배열된다. 즉, 제1 입력 영역(71)은 확대된 제1 입력 영역(74)을 생성하도록 리사이징된다. 이 구성에 의해, 확대된 제1 입력 영역(74)은 제1 입력 영역(71)인 선택된 입력 영역(79)에 기초하여 생성되어, 제1 표시 윈도우(61)인 선택된 표시 윈도우(69) 내에 포함된 목표 아이콘(63)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영역이 터치패드 패널(32)의 전체 영역을 커버하도록 확대되게 된다. 선택된 입력 영역(79)이 터치패드 패널(32)의 전체 영역을 커버하는 확대된 제1 입력 영역(74)을 생성하도록 확대될 때, 촉각 통지부(354)는 외연부(34)의 표면에 평행하도록 수납된다. 이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터치패드 패널(32)의 전체 영역을 사용하여 선택된 표시 윈도우(69) 내에 포함된 목표 아이콘(63)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표시 모드가 윈도우 선택 모드로부터 기능 선택 모드로 절환할 때, 제1 표시 윈도우(61)의 크기 및 제2 표시 윈도우(62)의 크기는 동일하게 유지될 수도 있다.
도 5a는 윈도우 선택 모드에서 스크린 패널(52) 및 터치패드 패널(32)을 도시하고, 도 5b는 제1 표시 윈도우(61)가 선택될 때 윈도우 선택 모드로부터 절환되어 있는 제1 기능 선택 모드에서 스크린 패널(52) 및 터치패드 패널(32)을 도시하고, 도 5c는 제2 표시 윈도우(62)가 제1 기능 선택 모드에서 선택될 때 제1 기능 선택 모드로부터 절환되어 있는 제2 기능 선택 모드에서 스크린 패널(52) 및 터치패드 패널(32)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제1 표시 윈도우(61)는 오디오 제어 장치(91)의 현재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제1 표시 윈도우(61) 내에 포함된 각각의 아이콘(63)은 음량 조절 및 트랙 선택과 같은 대응 기능에 연계된다. 제2 표시 윈도우(62)는 공조 제어 장치(92)의 현재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제2 표시 윈도우(62) 내에 포함된 각각의 아이콘(63)은 온도 조절과 같은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기능에 연계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제어 장치(91) 및 공조 제어 장치(92)를 포함하는 차내 장치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윈도우 선택 모드에서, 제1 입력 영역(71)의 크기는 제2 입력 영역(72)의 크기와 동일하다. 또한, 입력 경계 라인(76)으로부터 연장하는 기준선 상에 배열된 촉각 통지부(353)는 외연부(34)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이 경우에, 입력 경계선(76)은 터치패드 패널(32)의 중심선 상에 위치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윈도우 선택 모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F)으로 제1 입력 영역(71)을 조작할 때, 제1 입력 영역(71)은 선택된 입력 영역(79)으로서 설정된다. 대응적으로, 제1 표시 윈도우(61)는 선택된 표시 윈도우(69)로서 설정된다. 또한, 표시 모드는 윈도우 선택 모드로부터 제1 표시 윈도우(61)가 선택된 표시 윈도우(69)로서 설정되는 제1 기능 선택 모드로 절환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모드가 윈도우 선택 모드로부터 제1 기능 선택 모드로 절환될 때, 선택된 입력 영역(79)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제1 입력 영역(71)은 확대되고, 확대된 제1 입력 영역(74)은 터치패드 패널(32) 상에 재배열된다. 즉, 제1 입력 영역(71)은 확대된 제1 입력 영역(74)을 생성하도록 리사이징된다. 또한, 제2 입력 영역(72)은 축소되고, 축소된 제2 입력 영역(75)은 터치패드 패널(32) 상에 재배열된다. 즉, 제2 입력 영역(72)은 축소된 제2 입력 영역(75)을 생성하도록 리사이징된다. 축소된 제2 입력 영역(75) 및 확대된 제1 입력 영역(74)은 터치패드 패널(32) 상에 규정된다. 이하, 각각의 확대된 제1 입력 영역(74) 및 축소된 제2 입력 영역(75)은 또한 리사이징된 입력 영역(74, 75)이라 칭한다. 제1 입력 영역(71)이 확대되고 제2 입력 영역(72)이 축소될 때, 입력 경계선(76)의 위치는 변위된다. 따라서, 입력 경계선(76)의 현재 위치로부터 연장하는 기준선 상에 배열된 촉각 통지부(353)는 외연부(34)의 표면에 평행하도록 수납되고, 현재 위치로부터 새로운 위치로 변위되는 입력 경계선(76)으로부터 연장하는 기준선 상에 배열된 촉각 통지부(355)는 외연부(34)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한다. 이 경우에, 입력 경계선(76)의 새로운 위치로부터 연장하는 기준선 상에 배열된 촉각 통지부(355)는 운전석에 인접한다. 즉, 입력 경계선(76)의 새로운 위치는 운전석에 인접한다. 또한, 선택된 표시 윈도우(69)로서 설정되어 있는 제1 표시 윈도우(61)는 스크린 패널(52)의 전체 영역을 커버하도록 확대된다. 이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확대된 제1 입력 영역(74) 상의 조작에 의해 제1 표시 윈도우(61)인 선택된 표시 윈도우(69) 내에 포함된 목표 아이콘(63)을 선택할 수 있다.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모드가 윈도우 선택 모드로부터 제1 기능 선택 모드로 절환된 후에, 축소된 제2 입력 영역(75)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때, 선택된 표시 윈도우(69)는 제1 표시 윈도우(61)로부터 제2 표시 윈도우(62)로 절환한다. 즉, 제2 표시 윈도우(62)는 선택된 표시 윈도우(69)가 제1 표시 윈도우(61)로서 설정된 후에 축소된 제2 입력 영역(75)이 조작될 때 선택된 표시 윈도우(69)로서 설정된다. 이 구성에 의해, 표시 모드는 제1 표시 윈도우(61)가 선택된 표시 윈도우(69)로서 설정되는 제1 기능 선택 모드로부터 제2 표시 윈도우(62)가 선택된 표시 윈도우(69)로서 설정되는 제2 기능 선택 모드로 절환된다. 또한, 제1 선택 모드로부터 제2 선택 모드로 절환하는 조작 방법은 (i) 확대된 제1 입력 영역(74)으로부터 축소된 제2 입력 영역(75)으로 터치패드 패널(32) 상에서 손가락(F)을 이동시키고 축소된 제2 입력 영역(75)으로부터 손가락(F)을 격리하는 것[이는 또한 스와이프(swipe)라 칭함]과, ii) 축소된 제2 입력 영역(75)을 탭핑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소된 제2 입력 영역(75)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때, 축소된 제2 입력 영역(75)은 확대되고 확대된 제2 입력 영역(175)은 터치패드 패널(32) 상에 재배열된다. 즉, 축소된 제2 입력 영역(75)은 확대된 제2 입력 영역(175)을 생성하도록 리사이징된다. 또한, 확대된 제1 입력 영역(74)은 축소되고, 축소된 제1 입력 영역(174)은 터치패드 패널(32) 상에 재배열된다. 즉, 확대된 제1 입력 영역(74)은 축소된 제1 입력 영역(174)을 생성하도록 리사이징된다. 이하, 축소된 제1 입력 영역(174) 및 확대된 제2 입력 영역(175)의 각각은 또한 리사이징된 입력 영역(174, 175)이라 칭한다. 이 구성에 의해, 축소된 제1 입력 영역(174) 및 확대된 제2 입력 영역(175)은 터치패드 패널(32) 상에 규정된다.
입력 경계선(76)의 위치는 선택된 입력 영역(79)이 제1 입력 영역(71)으로부터 제2 입력 영역(72)으로 변경될 때 변위된다. 따라서, 입력 경계선(76)의 현재 위치로부터 연장하는 기준선 상에 배열된 촉각 통지부(355)는 외연부(34)의 표면에 평행하도록 수납되고, 현재 위치로부터 새로운 위치로 변위되는 입력 경계선(76)으로부터 연장하는 기준선 상에 배열된 촉각 통지부(351)는 외연부(34)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한다. 이 경우에, 입력 경계선(76)의 새로운 위치로부터 연장하는 기준선 상에 배열된 촉각 통지부(351)는 조수석에 인접한다. 즉, 입력 경계선(76)의 새로운 위치는 조수석에 인접한다. 또한, 선택된 표시 윈도우(69)로서 설정되는 제2 표시 윈도우(62)는 스크린 패널(52)의 전체 영역을 커버하도록 확대된다. 이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확대된 제2 입력 영역(175) 상의 조작에 의해 제2 표시 윈도우(62)인 선택된 표시 윈도우(69) 내에 포함된 목표 아이콘(63)을 선택할 수 있다.
표시 모드가 제1 기능 선택 모드와 제2 기능 선택 모드 중 하나로 절환된 후에, 터치패드 패널(32)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지 않을 때, 표시 모드는 제1 기능 선택 모드와 제2 선택 모드 중 하나로부터 윈도우 선택 모드로 재절환된다.
이하에는 도 6을 참조하여 표시 모드의 절환 프로세스를 설명할 것이다. 이하, 표시 모드의 절환 프로세스는 또한 주 프로세스라 칭한다. 표시 제어기(53)는 표시 모드가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기초하여 윈도우 선택 모드로서 설정될 때 도 6에 도시된 주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또한 표시 제어기(53)는 주 프로세스와 함께, 윈도우 선택 모드가 기능 선택 모드로 절환된 후에 터치패드 패널(32)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지 않을 때 표시 모드를 윈도우 선택 모드로 리셋하기 위해 서브-프로세스를 실행한다.
S101에서, 표시 제어기(53)는 조작 장치(20)로부터, 터치패드 패널(32) 상의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조작 위치의 좌표를 포함하는 조작 정보(MANI INFO)를 얻는다. 다음에, 표시 제어기(53)는 S102로 진행한다. S102에서, 표시 제어기(53)는 미리 정해진 시간이 이전의 조작으로부터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표시 제어기(53)가 미리 정해진 시간이 이전의 조작으로부터 경과되지 않았다고 판정할 때, 표시 제어기(53)는 S105로 진행한다. 이 때, 스크린 패널(52)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표시 윈도우(61, 62) 중 하나가 선택된 표시 윈도우(69)로서 설정되는 기능 선택 모드에서 표시된다. S102에서, 표시 제어기(53)가 미리 정해진 시간이 이전의 조작으로부터 경과되었다고 판정할 때, 표시 제어기(53)는 S103으로 진행한다. 표시 제어기(53)가 S102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이 이전의 조작으로부터 경과되었다고 판정할 때, 스크린 패널(52)은 표시 제어기(53)에 의해 실행된 서브-프로세스에 의해 윈도우 선택 모드로 미리 리셋되어 있다.
S103에서, 표시 제어기(53)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표시 윈도우(60) 중 하나를 선택된 표시 윈도우(69)로서 설정하고, 선택된 표시 윈도우(69)에 기초하여 윈도우 선택 모드로부터 기능 선택 모드로 표시 모드를 절환한다. S104에서, 표시 제어기(53)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경계선(76)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터치패드 패널(32) 상에 확대된 제1 입력 영역(74) 및 축소된 제2 입력 영역(75)을 규정한다. 또한, 표시 제어기(53)는 스크린 패널(52)의 전체 영역 상에 선택된 표시 윈도우(69)를 표시한다. 이 경우에, 제1 표시 윈도우(61)는 선택된 표시 윈도우(69)로서 설정된다. 다음에, 표시 제어기(53)는 S101로 복귀한다. 또한, 표시 제어기(53)는 입력 경계선(76)이 현재 위치로부터 새로운 위치로 변위되어 있는 것을 지시하는 위치 변위 정보를 조작 제어기(33)에 전송한다. 위치 변위 정보를 수신할 때, 조작 제어기(33)는 외연부(34)의 표면에 평행하도록 현재 돌출된 촉각 통지부(353)를 수납하기 위해 대응 액추에이터(37)를 제어한다. 동시에, 조작 제어기(33)는 외연부(34)의 표면으로부터 새로운 입력 경계선(76)으로부터 연장하는 기준선 상에 배열된 촉각 통지부(35)를 돌출시키도록 다른 대응 액추에이터(37)를 제어한다. 여기서, 새로운 입력 경계선(76)은 현재 위치로부터 새로운 위치로 변위된 입력 경계선(76)이다.
S105에서, 표시 제어기(53)는 조작 정보 내에 포함된 조작 위치(MANI POSI)의 좌표가 확대된 제1 입력 영역(74)의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S105에서, 표시 제어기(53)가 조작 위치의 좌표가 확대된 제1 입력 영역(74)의 범위 외에 있는 것으로, 즉 조작 위치의 좌표가 축소된 제2 입력 영역(75) 내에 있는 것으로 판정할 때, 표시 제어기(53)는 S107로 진행한다. S105에서, 표시 제어기(53)가 조작 위치의 좌표가 확대된 제1 입력 영역(74)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정할 때, 표시 제어기(53)는 S106으로 진행한다. S106에서, 표시 제어기(53)는 터치패드 패널(32) 상의 조작이 아이콘 선택 조작인 것으로 판정한다. 여기서, 아이콘 선택 조작은 선택된 표시 윈도우(69) 내에 포함된 목표 아이콘(63)을 선택하는 조작으로서 정의된다. 다음에, 표시 제어기(53)는 스크린 패널(52) 상에, 목표 아이콘(63)이 선택된 상태에 있는 것을 지시하는 화상을 표시한다. 여기서, 스크린 패널(52) 상의 목표 아이콘(63)의 위치는 터치패드 패널(32) 상의 조작 위치에 대응한다. 다음에, 표시 제어기(53)는 S101로 복귀한다. 더 구체적으로, S106에서, 표시 제어기(53)는 터치패드 패널(32) 상의 조작 위치의 좌표를 스크린 패널(52) 상의 대응 위치의 좌표로 변환한다. 다음에, 표시 제어기(53)는 스크린 패널(52) 상의 대응 위치의 좌표에 기초하여 목표 아이콘(63)을 결정하고, 목표 아이콘(63)의 상태를 선택된 상태로서 설정하고, 목표 아이콘(63)에 연계된 미리 정해진 작동을 수행한다.
S107에서, 표시 제어기(53)는 확대된 제1 입력 영역(74)에 대응하는 제1 표시 윈도우(61)로부터 축소된 제2 입력 영역(75)에 대응하는 제2 표시 윈도우(62)로 선택된 표시 윈도우(69)를 변경한다. 따라서, 제1 표시 윈도우(61)가 선택된 표시 윈도우(69)로서 설정되는 제1 기능 선택 모드는 제2 표시 윈도우(62)가 선택된 표시 윈도우(69)로서 설정되는 제2 기능 선택 모드로 절환된다. 다음에, 표시 제어기(53)는 S108로 진행한다. S108에서, 표시 제어기(53)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경계선(76)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터치패드 패널(32) 상에 확대된 제2 입력 영역(175) 및 축소된 제1 입력 영역(174)을 규정한다. 또한, 표시 제어기(53)는 스크린 패널(52)의 전체 영역 상에 선택된 표시 윈도우(69)를 표시한다. 이 경우에, 선택된 표시 윈도우(69)는 제2 표시 윈도우(62)로서 설정된다. 다음에, 표시 제어기(53)는 S101로 복귀한다. 또한, 표시 제어기(53)는 입력 경계선(76)의 위치 변위 정보를 조작 제어기(33)에 전송한다. 위치 변위 정보를 수신할 때, 조작 제어기(33)는 외연부(34)의 표면에 평행하도록 현재 돌출된 촉각 통지부(355)를 수납하기 위해 대응 액추에이터(37)를 제어하고, 외연부(34)의 표면으로부터, 입력 경계선(76)의 새로운 위치로부터 연장하는 기준선 상에 배열된 촉각 통지부(351)를 돌출시키도록 대응 액추에이터(37)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윈도우 선택 모드에서, 선택된 표시 윈도우(69)는 터치패드 패널(32) 상에 규정된 입력 영역(70) 중 하나를 조작함으로써 선택된다. 또한, 기능 선택 모드에서, 목표 아이콘(63)은 터치패드 패널(32) 상에 규정된 입력 영역(70) 중 하나를 조작함으로써 선택된다. 따라서, 표시 모드가 윈도우 선택 모드와 기능 선택 모드 사이에서 절환할 때, 사용자는 터치패드 패널(32) 상에 목표 표시 윈도우(69) 및 목표 아이콘(63)을 연속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즉, 윈도우 선택 모드 및 기능 선택 모드에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조작 대상은 동일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 모드가 윈도우 선택 모드와 기능 선택 모드 사이에서 절환할 때 조작 대상을 절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목표 표시 윈도우(60)와 목표 아이콘(63)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시간이 터치패드 패널(32) 상의 조작을 간단화함으로써 감소된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 모드가 윈도우 선택 모드로부터 기능 선택 모드로 절환될 때, 선택된 입력 영역(79)은 터치패드 패널(32) 상에서 확대되고, 확대된 제1 입력 영역(74) 또는 확대된 제2 입력 영역(175)은 터치패드 패널(32) 상에 재배열된다. 이 구성에 의해, 선택된 입력 영역(79)의 크기는 선택된 입력 영역(79)이 동일하게 유지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확대된다. 따라서, 목표 아이콘(63)은 확대되어 있는 선택된 입력 영역(79) 상의 대응 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용이하고 정확하게 선택된다. 따라서, 목표 아이콘(63)을 포함하는 선택된 표시 윈도우(69)의 크기가 스크린 패널(52) 상에서 작을 때에도, 목표 아이콘(63)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시간이 감소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표시 시스템(100)은 목표 아이콘(63)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시간을 감소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린 패널(52)이 윈도우 선택 모드에서 목적지를 검색하기 위한 화상을 표시할 때, 제2 입력 영역(72)의 크기는 제1 입력 영역(71)의 크기보다 작게 설정된다. 이 구성에 의해, 표시 윈도우(60)와 입력 영역(70) 사이의 대응 관계가 사용자에 의해 구별이 용이하다. 따라서, 목표 표시 윈도우(60) 이외의 표시 윈도우(60)를 선택하는 오조작이 회피된다.
또한, 스크린 패널(52)이 윈도우 선택 모드에서 차내 장치의 작동 상태를 표시할 때, 제2 입력 영역(72)의 크기는 제1 표시 윈도우(61) 및 제2 표시 윈도우(62)의 크기에 무관하게 제1 입력 영역(71)의 크기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따라서, 제2 표시 윈도우(62)의 크기가 제1 표시 윈도우(61)보다 실질적으로 작을 때에도, 사용자는 제2 표시 윈도우(62)를 선택하기 위해 충분한 크기를 갖는 제2 입력 영역(72)을 조작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목표 표시 윈도우(60) 이외의 표시 윈도우(60)를 선택하는 오조작이 회피된다.
윈도우 선택 모드에서, 터치패드 패널(32) 상에 규정된 입력 영역(70)의 배열은 스크린 패널(52) 상에 표시된 표시 윈도우(60)의 배열 및 아이콘(63)에 연계된 기능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목표 표시 윈도우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성능이 향상되고 목표 아이콘(63)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시간이 감소된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 모드가 윈도우 선택 모드로부터 기능 선택 모드로 절환된 후에, 기능 선택 모드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조작되지 않을 때, 표시 모드는 윈도우 선택 모드로 재절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현재 표시 윈도우(60) 상의 현재 목표 아이콘(63)의 선택 후에 상이한 표시 윈도우(60) 상의 다음의 목표 아이콘(63)을 선택할 필요가 있을 때, 기능 선택 모드로부터 윈도우 선택 모드로 표시 모드를 절환하기 위한 조작이 스킵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그 표시 모드가 윈도우 선택 모드를 포함하는 표시 시스템(100)에서, 조작 시간은 기능 선택 모드로부터 윈도우 선택 모드로 복귀 조작을 생략함으로써 감소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린 패널(52)이 윈도우 선택 모드에서 차내 장치의 작동 상태를 표시할 때, 선택된 입력 영역(79) 이외의 입력 영역으로서 정의되는 비선택된 입력 영역이 축소된 방식으로 터치패드 패널(32) 상에 유지된다. 예를 들어, 제2 입력 영역(72)의 크기가 축소되고, 축소된 제2 입력 영역(75)은 터치패드 패널(32) 상에 유지된다. 따라서, 윈도우 선택 모드에서, 목표 표시 윈도우 이외의 잘못된 표시 윈도우가 선택될 때, 사용자는 목표 표시 윈도우를 정확하게 선택하기 위해 축소된 비선택된 입력 영역 상에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제1 표시 윈도우(61)가 제1 입력 영역(71) 상의 오조작에 의해 선택된 표시 윈도우(69)로서 설정될 때, 사용자는 제2 표시 윈도우(62)를 선택된 표시 윈도우(69)로서 설정하기 위해 축소된 제2 입력 영역(75) 상에서 조작할 수 있고, 제2 기능 선택 모드로 즉시 절환한다. 이 구성에 의해, 제1 기능 선택 모드로부터 윈도우 선택 모드로 절환하기 위한 조작은 제1 기능 선택 모드로부터 제2 기능 선택 모드로 직접 절환함으로써 스킵된다. 따라서, 그 표시 모드가 윈도우 선택 모드를 포함하는 표시 시스템(100)에서, 일 기능 선택 모드로부터 다른 기능 선택 모드로 절환할 때, 조작 시간은 일 기능 선택 모드로부터 윈도우 선택 모드로 복귀 조작을 생략함으로써 감소된다.
또한, 축소된 제2 입력 영역(75)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때, 축소된 제2 입력 영역(75)은 확대되고 확대된 제2 입력 영역(175)은 터치패드 패널(32) 상에 재배열된다. 또한, 확대된 제1 입력 영역(74)은 축소되고, 축소된 제1 입력 영역(174)은 확대된 제2 입력 영역(175)과 함께 터치패드 패널(32) 상에 재배열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기능 선택 모드로부터 제2 기능 선택 모드로 표시 모드를 절환하고 조작 대상을 변경하지 않고 제2 표시 윈도우(62) 내에 포함된 목표 아이콘(63)을 선택하도록 터치패드 패널(32) 상에서 연속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모드를 절환하고 목표 아이콘(63)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시간은 조작을 간단화함으로써 감소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린 패널(52)이 기능 선택 모드에서 문자 입력에 대한 화상을 표시할 때, 제1 입력 영역(71)은 터치패드 패널(32)의 전체 영역을 커버하도록 확대되고 확대된 제1 입력 영역(74)은 터치패드 패널(32) 상에 재배열된다. 따라서, 제1 입력 영역(71)인 선택된 입력 영역(79)의 크기는 선택된 입력 영역(79)이 동일하게 유지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확대된다. 이 구성에 의해, 목표 아이콘(63)은 선택된 입력 영역(79)의 대응 위치 상에서 조작에 의해 용이하고 정확하게 선택된다. 따라서, 선택된 입력 영역(79) 상의 목표 아이콘(63)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시간이 감소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입력 영역(71)과 제2 입력 영역(72) 사이의 입력 경계선(76)의 위치는 사용자의 촉각을 자극하는 촉각 통지부(35)에 의해 사용자에 통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 중에 터치패드 패널(32)에 집중할 필요가 없다. 즉, 사용자는 단지 스크린 패널(52)에만 집중함으로써 목표 표시 윈도우(60)에 대응하는 입력 영역(70) 상에 조작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오조작이 회피되고, 사용자는 촉각 통지부(35)의 보조에 의해 즉시 목표 표시 윈도우(60)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목표 표시 윈도우(60)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시간이 촉각 통지부(35)에 의해 감소된다.
또한, 터치패드 패널(32) 상의 입력 경계선(76)의 위치가 입력 영역(70)의 크기를 리사이징함으로써 현재 위치로부터 새로운 위치로 변위될 때, 현재 돌출된 촉각 통지부(35)는 외연부(34)의 표면에 평행하도록 수납되고, 입력 경계선(76)의 새로운 위치로부터 연장하는 기준선 상에 배열된 대응 촉각 통지부(35)는 외연부(34)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이 구성에 의해, 돌출된 촉각 통지부(35)는 스크린 패널(52) 상의 표시 경계선(66)의 위치에 무관하게 터치패드 패널(32) 상의 입력 경계선(76)의 위치를 통지한다. 따라서, 촉각 통지부(35)는 실시간 방식으로 목표 표시 윈도우(60) 이외의 표시 윈도우(60)를 선택하는 오조작을 회피하고, 이에 의해 터치패드 패널(32) 상의 조작 시간을 감소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터치패드(31)는 또한 입력 유닛으로서 작동할 수도 있고, 터치패드 패널(32)은 또한 입력 패널로서 작동할 수도 있고, 표시 제어기(53)는 또한 절환 섹션 및 리사이징 섹션으로서 작동할 수도 있고, 아이콘(63)은 또한 버튼 화상이라 칭할 수도 있고, 입력 경계선(76)은 또한 경계선이라 칭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
이하에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시스템(200)에서, 조작 장치(220)의 조작 제어기(33)는 윈도우 선택 모드로부터 기능 선택 모드로 표시 모드를 절환하고 확대된 제1 입력 영역(274) 등을 재배열한다. 또한, 스크린 패널(52)이 윈도우 선택 모드에서 차내 장치의 작동 상태를 표시할 때, 제1 표시 윈도우(61) 및 제2 표시 윈도우(62)의 리사이징은 스크린 패널(52)이 목적지를 검색하기 위한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 유사하게 수행되지 않는다. 이하에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시스템(200)의 윈도우 선택 모드를 설명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그리고 도 7에서, 제1 실시예에 설명된 촉각 통지부(35)와 유사한 구성을 갖고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촉각 통지부(35)는 생략될 것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시스템(200)의 윈도우 선택 모드에서, 제1 입력 영역(271)은 제1 표시 윈도우(61)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고, 제2 입력 영역(272)은 제2 표시 윈도우(62)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터치패드 패널(32) 상의 입력 경계선(276)의 위치는 스크린 패널(52) 상의 표시 경계선(66)에 대응한다. 윈도우 선택 모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F)으로 제1 입력 영역(271) 상에 조작할 때, 제1 입력 영역(271)은 선택된 입력 영역(279)으로서 설정된다. 또한, 제1 입력 영역(271)에 대응하는 제1 표시 윈도우(61)는 선택된 표시 윈도우(69)로서 설정된다. 다음에, 스크린 패널(52)의 표시 모드는 윈도우 선택 모드로부터 제1 표시 윈도우(61)가 선택된 표시 윈도우(69)로서 설정되어 있는 제1 기능 선택 모드로 절환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모드가 윈도우 선택 모드로부터 제1 기능 선택 모드로 절환될 때, 선택된 입력 영역(279)은 확대되고 확대된 제1 입력 영역(274)은 터치패드 패널(32) 상에 재배열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제2 입력 영역(272)은 축소되고 축소된 제2 입력 영역(275)은 확대된 제1 입력 영역(274)과 함께 터치패드 패널(32) 상에 재배열된다. 이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입력 영역은 또한 비선택된 입력 영역이라 칭하고, 비선택된 입력 영역에 대응하는 표시 윈도우는 또한 비선택된 표시 윈도우라 칭한다. 제1 입력 영역(271) 및 제2 입력 영역(272)의 크기가 리사이징될 때, 선택된 표시 윈도우(69)로서 설정되어 있는 제1 표시 윈도우(61)의 크기 및 비선택된 표시 윈도우로서 설정되어 있는 제2 표시 윈도우(62)의 크기는 스크린 패널(52) 상에서 동일하게 유지된다.
또한, 제1 기능 선택 모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F)으로 축소된 제2 입력 영역(275) 상에 조작할 때, 제2 표시 윈도우(62)는 선택된 표시 윈도우(69)로서 설정된다. 따라서, 표시 모드는 제1 표시 윈도우(61)가 선택된 표시 윈도우(69)로서 설정되어 있는 제1 기능 선택 모드로부터 제2 표시 윈도우(62)가 선택된 표시 윈도우(69)로서 설정되어 있는 제2 기능 표시 모드로 절환된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모드가 제1 기능 선택 모드로부터 제2 기능 표시 모드로 절환될 때, 축소된 제2 입력 영역(275)은 확대되고, 확대된 제2 입력 영역(375)은 터치패드 패널(32) 상에 재배열된다. 또한, 확대된 제1 입력 영역(274)은 축소되고, 축소된 제1 입력 영역(374)은 확대된 제2 입력 영역(375)과 함께 터치패드 패널(32) 상에 재배열된다. 즉, 축소된 제2 입력 영역(275)이 제1 기능 선택 모드에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때, 제1 입력 영역(271) 및 제2 입력 영역(272)의 크기는 축소된 제1 입력 영역(374)과 확대된 제2 입력 영역(375)이 터치패드 패널(32) 상에 재배열되도록 재차 리사이징된다. 이 때, 비선택된 표시 윈도우로서 설정되는 제1 표시 윈도우(61)의 크기 및 선택된 표시 윈도우(69)로서 설정되는 제2 표시 윈도우(62)의 크기는 스크린 패널(52) 상에서 동일하게 유지된다. 이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제2 표시 윈도우(62) 내에 포함된 목표 아이콘(63)을 선택하기 위해 확대된 제2 입력 영역(375) 상에서 조작될 수 있다. 또한, 표시 모드가 제1 기능 선택 모드로부터 제2 기능 선택 모드로 절환된 후에, 터치패드 패널(32)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조작되지 않을 때, 표시 모드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능 선택 모드로부터 윈도우 선택 모드로 절환된다.
이하에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시스템(200) 내의 표시 모드의 절환 프로세스를 설명할 것이다. 이하, 표시 모드의 절환 프로세스는 또한 주 프로세스라 칭한다. 조작 제어기(33)는 표시 모드가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기초하여 윈도우 선택 모드로서 설정될 때 도 8에 도시된 주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또한, 조작 제어기(33)는 주 프로세스와 함께, 서브-프로세스를 실행하여 윈도우 선택 모드가 기능 선택 모드로 절환된 후에 터치패드 패널(32)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지 않을 때 표시 모드를 윈도우 선택 모드로 리셋한다.
S201에서, 조작 제어기(33)는 터치패드 패널(32) 상의 조작 위치의 좌표를 검출하고, S202로 진행한다. S202에서, 조작 제어기(33)는 미리 정해진 시간이 터치패드 패널(32) 상의 조작의 이전의 검출로부터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S202에서, 조작 제어기(33)가 미리 정해진 시간이 조작의 이전의 검출로부터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정할 때, 조작 제어기(33)는 S205로 진행한다. 이 때, 스크린 패널(52)은 표시 윈도우(61, 62) 중 하나가 선택된 표시 윈도우(69)로서 설정되는 기능 선택 모드로 표시된다. S202에서, 조작 제어기(33)가 미리 정해진 시간이 조작의 이전의 검출로부터 경과되었다고 판정할 때, 조작 제어기(33)는 S203으로 진행한다. 조작 제어기(33)가 S202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이 이전의 조작으로부터 경과되었다고 판정할 때, 스크린 패널(52)은 조작 제어기(33)에 의해 실행된 서브-프로세스에 의해 윈도우 선택 모드로 미리 리셋되어 있다.
S203에서, 조작 제어기(33)는 조작 위치의 검출된 좌표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표시 윈도우(61, 62) 중 하나를 선택된 표시 윈도우(69)로서 설정한다.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경우에, 제1 입력 영역(271)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기 때문에, 제1 입력 영역(271)은 선택된 입력 영역(279)으로서 설정된다. 또한, 제1 입력 영역(271)에 대응하는 제1 표시 윈도우(61)는 선택된 표시 윈도우(69)로서 설정된다. 다음에, 조작 제어기(33)는 선택된 표시 윈도우(69)의 정보를 포함하는 명령을 표시 제어기(53)에 전송하고, S204로 진행한다. 다음에, 표시 모드는 윈도우 선택 모드로부터 선택된 표시 윈도우(69)가 확대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기능 선택 모드로 절환된다. 도 7a에 도시된 경우에, 제1 표시 윈도우(61)는 선택된 표시 윈도우(69)로서 설정된다. S204에서, 조작 제어기(33)는 제1 입력 영역(271) 및 제2 입력 영역(272)의 크기를 리사이징하여 확대된 제1 입력 영역(274) 및 축소된 제2 입력 영역(275)을 재배열한다. 즉, 조작 제어기(33)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경계선(276)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터치패드 패널(32) 상에 확대된 제1 입력 영역(274) 및 축소된 제2 입력 영역(275)을 규정한다. 다음에, 조작 제어기(33)는 S201로 복귀한다.
S205에서, 조작 제어기(33)는 조작 위치의 좌표가 확대된 제1 입력 영역(274)의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S205에서, 조작 제어기(33)가 조작 위치의 좌표가 확대된 제1 입력 영역(274)의 범위 외에 있는 것으로, 즉 조작 위치의 좌표가 축소된 제2 입력 영역(275)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정할 때, 조작 제어기(33)는 S207로 진행한다. S205에서, 조작 제어기(33)가 조작 위치의 좌표가 확대된 제1 입력 영역(274)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정할 때, 조작 제어기(33)는 S206으로 진행한다. S206에서, 조작 제어기(33)는 터치패드 패널(32) 상의 조작이 아이콘 선택 조작인 것으로 판정한다. 여기서, 아이콘 선택 조작은 선택된 표시 윈도우(69) 내에 포함된 목표 아이콘(63)을 선택하는 조작으로서 정의된다. 더 구체적으로, S206에서, 조작 제어기(33)는 터치패드 패널(32)의 확대된 제1 입력 영역(274) 상의 조작 위치의 좌표를 스크린 패널(52)의 선택된 표시 윈도우(69) 상의 대응 위치의 좌표로 변환한다. 다음에, 조작 제어기(33)는 확대된 제1 입력 영역(274) 상의 조작 위치의 좌표에 대응하는 선택된 표시 윈도우(69) 상의 위치의 좌표를 포함하는 조작 정보를 표시 제어기(53)에 전송한다. 조작 정보를 수신할 때, 표시 제어기(53)는 조작 제어기(33)로부터 전술된 선택된 표시 윈도우(69) 상의 위치의 좌표에 기초하여 목표 아이콘(63)을 결정한다. 다음에, 표시 제어기(53)는 목표 아이콘(63)의 상태를 선택된 상태로서 설정하고, 목표 아이콘(63)에 연계된 미리 정해진 작동을 수행한다.
S207에서, 조작 제어기(33)는 제1 표시 윈도우(61)가 선택된 표시 윈도우(69)로서 설정되는 제1 기능 선택 모드로부터 제2 표시 윈도우(62)가 선택된 표시 윈도우(69)로서 설정되는 제2 기능 선택 모드로 표시 모드를 절환한다. 구체적으로, 조작 제어기(33)는 축소된 제2 입력 영역(275)인 비선택된 입력 영역이 조작될 때 제2 표시 윈도우(62)인 비선택된 표시 윈도우를 선택된 표시 윈도우(69)로 절환한다. 다음에, 조작 제어기(33)는 표시 모드의 절환 후에 선택된 표시 윈도우(69)를 통지하는 명령을 표시 제어기(53)에 전송하고, S208로 진행한다. S208에서, 조작 제어기(33)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경계선(276)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터치패드 패널(32) 상에 축소된 제1 입력 영역(374) 및 확대된 제2 입력 영역(375)을 규정하고, S201로 복귀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목표 표시 윈도우(60) 및 목표 아이콘(63)을 선택하기 위해 터치패드 패널(32) 상에서 연속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목표 아이콘(63)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시간이 감소된다. 또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시스템(100)에 의해 제공된 장점에 유사한 장점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시스템(200)에 의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터치패드(231)는 또한 입력 유닛으로서 작동할 수도 있고, 조작 제어기(33)는 또한 절환 섹션 및 리사이징 섹션으로서 작동할 수도 있고, 입력 경계선(276)은 또한 경계선이라 칭할 수도 있다.
이하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시스템(200)의 변형예를 설명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시스템(200)에서, 조작 장치(220)의 조작 제어기(33)는 윈도우 선택 모드로부터 기능 선택 모드로 표시 모드를 절환하고 확대된 제1 입력 영역(274) 등을 재배열한다. 대안적으로, 조작 장치(220)는 기능 선택 장치로서 기능하기 위한 표시 제어기(5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는 스크린 패널(52) 상에 표시된 복수의 버튼 화상으로부터 목표 버튼 화상을 선택하는 기능 선택 장치의 구성을 설명할 것이다.
기능 선택 장치는 터치패드(231), 표시 제어기(53) 및 조작 제어기(33)를 포함한다. 스크린 패널(52) 상에 표시된 버튼 화상은 버튼 화상의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되고, 각각의 버튼 화상은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기능에 연계된다. 터치패드(231)는 스크린 패널(52)로부터 이격하여 배열되고, 터치패드(231)가 사용자에 의해 터치될 때 조작 정보를 수신한다. 표시 제어기(53)는 그 각각이 버튼 화상의 대응 그룹을 포함하는 2개 이상의 표시 윈도우를 표시하도록 스크린 패널(52)을 제어한다. 조작 제어기(33)는 터치패드(231)에 의해 수신된 조작 정보를 검출한다. 조작 제어기(33)는 제1 규정 섹션, 제2 규정 섹션 및 판정 섹션을 더 포함한다. 제1 규정 섹션은 터치패드(231) 상에서 윈도우 입력 영역의 배열을 결정한다. 각각의 윈도우 입력 영역은 스크린 패널(52) 상에 표시된 표시 윈도우로부터 대응 표시 윈도우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다.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윈도우 입력 영역 중 하나는 선택된 윈도우 입력 영역이라 칭하고, 선택된 윈도우 입력 영역에 대응하는 표시 윈도우 중 하나는 선택된 표시 윈도우라 칭한다. 윈도우 입력 영역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터치될 때, 제2 규정 섹션은 터치패드(231)에 의해 수신된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표시 윈도우 내에 포함된 버튼 화상의 그룹 중 하나를 추출하고, 터치패드(231) 상의 윈도우 입력 영역의 배열을 복수의 기능 입력 영역의 배열로 절환한다. 각각의 기능 입력 영역은 선택된 표시 윈도우 내에 포함된 버튼 화상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다. 판정 섹션은 선택된 표시 윈도우 내에 포함된 버튼 화상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본 변형예에서, 제2 규정 섹션이 터치패드(231) 상의 윈도우 입력 영역의 배열을 기능 입력 영역의 배열로 절환한 후에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할 때, 제1 규정 섹션은 터치패드(231) 상에서 재차 윈도우 입력 영역의 배열을 결정한다.
또한, 조작 제어기(33)의 제2 규정 섹션이 선택된 표시 윈도우 내에 포함된 버튼 화상의 그룹 중 하나를 추출할 때, 표시 제어기(53)는 선택된 표시 윈도우의 크기를 확대하고 그 크기가 확대되어 있는 선택된 표시 윈도우를 표시하도록 스크린 패널(52)을 제어한다.
(다른 실시예)
일반적으로, 표시 시스템(100, 200)은 표시 장치(40) 및 조작 장치(20, 220) 등을 포함한다. 제1 실시예에서, 표시 제어기(53)는 윈도우 선택 모드로부터 기능 선택 모드로 표시 모드를 절환하고, 확대된 입력 영역 등을 규정한다. 제2 실시예에서, 조작 제어기(33)는 윈도우 선택 모드로부터 기능 선택 모드로 표시 모드를 절환하고, 확대된 입력 영역 등을 규정한다. 따라서, 표시 시스템(100, 200)에서, 절환 섹션은 표시 장치(40) 내에 포함된 표시 제어기(53) 또는 조작 장치(20, 220) 내에 포함된 조작 제어기(33)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리사이징 섹션이 표시 장치(40) 내에 포함된 표시 제어기(53) 또는 조작 장치(20, 220) 내에 포함된 조작 제어기(33)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절환 섹션 및 리사이징 섹션은 표시 제어기(53) 및 조작 제어기(33)의 협동 작동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표시 시스템(100, 200)은 표시 제어기(53) 및 조작 제어기(33)로부터 분리되어 절환 섹션 및 리사이징 섹션에 의해 성취된 전술된 기능을 제공하는 회로 또는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기, 회로 유닛 및 장치의 전술된 기능은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제어기, 회로 유닛 및 장치의 전술된 기능은 프로그램의 실행 이외의 방법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2개의 표시 윈도우(61, 62)가 수평 방향에서 스크린 패널(52) 상에 표시된다. 대안적으로, 표시 윈도우의 수 및 표시 윈도우의 배열은 전술된 방식 이외의 방식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윈도우는 수직 방향에서 스크린 패널(52) 상에 배열될 수도 있다. 또한, 2개 초과의 표시 윈도우가 스크린 패널(52) 상에 표시될 수도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스크린 패널(52)이 윈도우 선택 모드에서 차내 장치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동안, 제1 입력 영역(71)이 조작될 때, 제2 입력 영역(72)은 터치패드 패널(32) 상에 유지되고, 제2 입력 영역(72)에 대응하는 제2 표시 윈도우(62)는 스크린 패널(52) 상에 표시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제1 입력 영역(71)이 조작될 때, 제2 입력 영역(72)에 대응하는 제2 표시 윈도우(62)는 축소된 방식으로 스크린 패널(52) 상에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표시 모드가 윈도우 선택 모드로부터 기능 선택 모드로 절환된 후에, 터치패드 패널(32)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조작되지 않을 때, 표시 모드는 윈도우 선택 모드로 재절환된다. 이 경우에, 미리 정해진 시간은 변경 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기능 선택 모드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조작되지 않을 때, 표시 모드는 재절환 없이 기능 선택 모드로 유지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기능 선택 모드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조작되지 않을 때 기능 선택 모드를 윈도우 선택 모드로 재절환해야 하는지 여부는 기능 선택 모드에서 스크린 패널(52) 상에 표시되는 화상의 유형에 기초하여 판정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입력 경계선(76, 276)으로부터 연장하는 기준선 상에 배열된 촉각 통지부(35) 중 하나는 터치패드 패널(32)의 외연부(34)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또한, 터치패드(31, 231)는 입력 경계선(76, 276)의 위치가 변위될 때 촉각 통지부(35)가 입력 경계선(76, 276)으로부터 연장하는 기준선 상에 배열되도록 터치패드 패널(32)의 외연부(34)를 따라 이동 가능한 촉각 통지부(35)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미리 정해진 수의 촉각 통지부(35)는 입력 경계선(76, 276)의 가능한 위치의 기준선 상에 배치되어 있는 미리 정해진 위치에 미리 배열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촉각 통지부(35)는 5개의 상이한 위치로부터 돌출한다. 대안적으로, 촉각 통지부(35)가 돌출되는 위치의 수는 표시 윈도우의 수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정전 용량식 터치패드(31, 231)는 입력 유닛으로서 작동한다. 또한, 저항성 터치패드가 또한 입력 유닛으로서 작동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표시 유닛(51)은 LCD 유닛에 의해 제공된다. 또한, 표시 유닛(51)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유닛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헤드업(head-up) 표시 장치가 표시 장치(40)로서 작동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헤드업 표시 장치는 스크린 패널(52)로서 작동하는 윈드실드(windshield) 및 콤바이너(combiner)와, 헤드업 표시 장치가 본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40)로서 기능하도록 윈드실드 및 콤바이너 상에 화상을 투영하는 프로젝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콤바이너는 계기 패널의 상부측에 배열된다.
상기 개시 내용은 이하의 태양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르면, 표시 시스템은 스크린 패널, 입력 유닛, 절환 섹션 및 리사이징 섹션을 포함한다. 스크린 패널은 윈도우 선택 모드와 기능 선택 모드 사이에서 표시 모드를 절환한다. 스크린 패널은 표시 윈도우로부터 목표 표시 윈도우의 선택을 위해 윈도우 선택 모드에서 복수의 표시 윈도우를 표시하고, 버튼 화상으로부터 목표 버튼 화상의 선택을 위해 기능 선택 모드에서 목표 표시 윈도우 내에 포함된 복수의 버튼 화상을 표시한다. 각각의 버튼 화상은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기능에 연계된다. 입력 유닛은 스크린 패널로부터 이격하여 배열된 입력 패널을 포함한다. 입력 패널은 복수의 입력 영역의 배열을 규정한다. 입력 영역의 배열은 윈도우 선택 모드에서 표시 윈도우의 배열에 대응한다. 목표 표시 윈도우에 대응하는 입력 영역 중 하나는 목표 입력 영역이라 칭한다. 목표 입력 영역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때, 절환 섹션은 목표 입력 영역을 선택된 입력 영역으로서 설정하고, 목표 표시 윈도우를 선택된 표시 윈도우로서 설정하고, 표시 모드를 윈도우 선택 모드로부터 목표 표시 윈도우가 선택된 표시 윈도우로서 설정되어 있는 기능 선택 모드로 절환한다. 리사이징 섹션은 입력 패널 상의 선택된 입력 영역의 크기를 확대하고, 절환 섹션이 윈도우 선택 모드로부터 기능 선택 모드로 표시 모드를 절환할 때 입력 패널 상에 확대된 선택된 입력 영역을 재배열한다.
상기 표시 시스템에서, 윈도우 선택 모드에서, 목표 표시 윈도우는 입력 패널 상에 규정된 목표 입력 영역을 조작함으로써 선택된다. 또한, 기능 선택 모드에서, 목표 버튼 화상은 입력 패널 상에 규정된 선택된 입력 영역을 조작함으로써 선택된다. 따라서, 표시 모드가 윈도우 선택 모드와 기능 선택 모드 사이에서 절환할 때, 사용자는 입력 패널 상에서 목표 표시 윈도우 및 목표 버튼 화상을 연속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즉, 윈도우 선택 모드 및 기능 선택 모드에서, 목표 표시 윈도우 및 목표 버튼 화상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조작 대상은 동일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 모드가 윈도우 선택 모드와 기능 선택 모드 사이에서 절환할 때 조작 대상을 절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목표 표시 윈도우 및 목표 버튼 화상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시간이 입력 패널 상의 조작을 간단화함으로써 감소된다.
또한, 표시 모드가 윈도우 선택 모드로부터 기능 선택 모드로 절환할 때, 선택된 입력 영역의 크기는 확대되고, 확대된 선택된 입력 영역은 입력 패널 상에 재배열된다. 이 구성에 의해, 선택된 입력 영역의 크기는 선택된 입력 영역이 동일하게 유지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확대된다. 따라서, 목표 버튼 화상은 확대된 선택된 입력 영역 상의 대응 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용이하고 정확하게 선택된다. 따라서, 목표 버튼 화상을 포함하는 선택된 표시 윈도우의 크기가 스크린 패널 상에서 작을 때에도, 목표 버튼 화상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시간이 감소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표시 시스템은 목표 버튼 화상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시간을 감소시킨다.
또한, 표시 윈도우는 제1 표시 윈도우 및 제2 표시 윈도우를 포함할 수도 있고, 입력 영역은 제1 표시 윈도우 및 제2 표시 윈도우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입력 영역 및 제2 입력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윈도우 선택 모드에서, 제2 표시 윈도우는 제1 표시 윈도우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도 있고, 제1 표시 윈도우와 함께 스크린 패널 상에 표시될 수도 있고, 입력 유닛은 제2 입력 영역이 제1 입력 영역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입력 패널 상의 제1 입력 영역 및 제2 입력 영역의 배열을 규정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표시 윈도우와 입력 영역 사이의 대응 관계가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구별된다. 따라서, 목표 표시 윈도우 이외의 표시 윈도우를 선택하는 오조작이 회피된다.
또한, 표시 윈도우는 제1 표시 윈도우 및 제2 표시 윈도우를 포함할 수도 있고, 입력 영역은 제1 표시 윈도우 및 제2 표시 윈도우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입력 영역 및 제2 입력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윈도우 선택 모드에서, 제2 표시 윈도우는 제1 표시 윈도우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도 있고, 제1 표시 윈도우와 함께 스크린 패널 상에 표시될 수도 있고, 입력 유닛은 제1 입력 영역이 제1 표시 윈도우 및 제2 표시 윈도우의 크기에 무관하게 제2 입력 영역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입력 패널 상의 제1 입력 영역 및 제2 입력 영역의 배열을 규정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제2 표시 윈도우의 크기가 제1 표시 윈도우의 크기보다 실질적으로 작을 때에도, 사용자는 제2 표시 윈도우를 선택하기 위해 충분한 크기를 갖는 제2 입력 영역을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더 작은 크기를 갖는 목표 표시 윈도우 이외의 표시 윈도우를 선택하는 오조작이 회피되고, 따라서 목표 표시 윈도우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시간이 감소된다.
또한, 윈도우 선택 모드에서, 입력 패널 상에 규정된 입력 영역의 배열은 스크린 패널 상에 표시된 표시 윈도우의 배열 및 버튼 화상에 연계된 기능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목표 표시 윈도우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성능이 향상되고 목표 버튼 화상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시간이 감소된다.
또한, 절환 섹션이 윈도우 선택 모드로부터 기능 선택 모드로 표시 모드를 절환한 후에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될 때, 절환 섹션은 기능 선택 모드로부터 윈도우 선택 모드로 표시 모드를 절환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현재 표시 윈도우 상의 현재 목표 버튼 화상의 선택 후에 상이한 표시 윈도우 상의 다음의 목표 버튼 화상을 선택할 필요가 있을 때, 기능 선택 모드로부터 윈도우 선택 모드로 표시 모드를 절환하기 위한 조작이 스킵될 수 있다. 따라서, 그 표시 모드가 윈도우 선택 모드를 포함하는 표시 시스템에서, 조작 시간은 기능 선택 모드로부터 윈도우 선택 모드로 복귀 조작을 생략함으로써 감소된다.
또한, 목표 표시 윈도우 이외의 표시 윈도우 중 하나는 비목표 표시 윈도우라 칭할 수 있고, 비목표 표시 윈도우에 대응하는 입력 영역 중 하나는 비목표 입력 영역이라 칭할 수도 있다. 목표 입력 영역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때, 비목표 입력 영역은 비선택된 입력 영역으로서 설정될 수도 있고, 비목표 표시 윈도우는 비선택된 표시 윈도우로서 설정될 수도 있다. 절환 섹션이 윈도우 선택 모드로부터 기능 선택 모드로 표시 모드를 절환할 때, 리사이징 섹션은 입력 패널 상의 비선택된 입력 영역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도 있고, 확대된 선택된 입력 영역과 함께 입력 패널 상에 축소된 비선택된 입력 영역을 재배열할 수도 있다. 절환 모드가 윈도우 선택 모드로부터 기능 선택 모드로 절환된 후에 축소된 비선택된 입력 영역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때, 절환 섹션은 축소된 비선택된 입력 영역을 선택된 입력 영역으로서 설정할 수도 있고, 확대된 선택된 입력 영역을 비선택된 입력 영역으로서 설정할 수도 있고, 축소된 비선택된 입력 영역에 대응하는 비목표 표시 윈도우를 선택된 표시 윈도우로서 설정할 수도 있고, 확대된 선택된 입력 영역에 대응하는 목표 표시 윈도우를 비선택된 표시 윈도우로서 설정할 수 있고, 축소된 비선택된 입력 영역에 대응하는 비목표 표시 윈도우가 선택된 표시 윈도우로서 설정되어 있는 기능 선택 모드로 표시 모드를 절환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스크린 패널이 윈도우 선택 모드에서 차내 장치의 작동 상태를 표시할 때, 비선택된 입력 영역은 축소 방식으로 터치 패널 상에 유지된다. 따라서, 윈도우 선택 모드에서, 목표 표시 윈도우 이외의 잘못된 표시 윈도우가 선택될 때, 사용자는 목표 표시 윈도우를 정확하게 선택하기 위해 축소된 비선택된 입력 영역 상에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기능 선택 모드로부터 윈도우 선택 모드로 절환하기 위한 조작이 일 기능 선택 모드로부터 다른 기능 선택 모드로 직접 절환함으로써 스킵된다. 따라서, 그 표시 모드가 윈도우 선택 모드를 포함하는 표시 시스템에서, 조작 시간은 일 기능 선택 모드로부터 다른 기능 선택 모드로 표시 모드를 절환하기 위한 조작을 간단화함으로써 감소된다.
또한, 절환 섹션은 축소된 비선택된 입력 영역에 대응하는 비목표 표시 윈도우가 선택된 표시 윈도우로서 설정되는 기능 선택 모드로 표시 모드를 절환하고, 리사이징 섹션은 축소된 비선택된 입력 영역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고 확대된 선택된 입력 영역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일 기능 선택 모드로부터 다른 기능 선택 모드로 표시 모드를 절환하고 조작 대상을 변경하지 않고 선택된 표시 윈도우 내에 포함된 목표 버튼 화상을 선택하기 위해 입력 패널 상에 연속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모드를 절환하고 목표 버튼 화상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시간이 입력 패널 상의 조작을 간단화함으로써 감소된다.
또한, 리사이징 섹션은 절환 섹션이 표시 모드를 기능 선택 모드로 절환할 때 입력 패널의 전체 영역 상에 확대된 선택된 입력 영역을 재배열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선택된 입력 영역의 크기는 선택된 입력 영역이 동일하게 유지되는 경우에와 비교하여 확대된다. 따라서, 목표 버튼 화상은 선택된 입력 영역의 대응 위치 상에서 조작함으로써 용이하고 정확하게 선택되고, 목표 버튼 화상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시간이 감소된다.
또한, 입력 유닛은 입력 패널의 외연부에 배열된 복수의 촉각 통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촉각 통지부는 외연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거나 또는 외연부의 표면에 평행하게 수납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인접한 2개의 입력 영역 사이의 경계선으로부터 연장하는 기준선 상에 위치되어 있는 촉각 통지부 중 하나는 외연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인접한 2개의 입력 영역 사이의 경계선의 위치는 사용자의 촉각을 자극하는 촉각 통지부에 의해 사용자에게 통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입력 패널 상의 조작 중에 입력 패널에 집중할 필요가 없다. 즉, 사용자는 단지 스크린 패널에 집중함으로써 목표 입력 영역을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오조작이 회피되고, 사용자는 촉각 통지부의 보조에 의해 즉시 목표 표시 윈도우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목표 표시 윈도우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시간이 촉각 통지부에 의해 감소된다.
또한, 경계선이 입력 영역의 크기를 리사이징함으로써 현재 위치로부터 새로운 위치로 변위될 때, 현재 위치에 위치된 경계선으로부터 연장하는 기준선 상에 배열되어 있는 촉각 통지부는 외연부의 표면에 평행하도록 수납될 수 있고, 새로운 위치에 위치된 경계선으로부터 연장하는 기준선 상에 배열된 다른 촉각 통지부는 외연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돌출되어 있는 촉각 통지부는 실시간으로 입력 패널 상의 경계선의 위치를 통지한다. 따라서, 목표 표시 윈도우 이외의 표시 윈도우를 선택하는 오조작이 실시간 방식으로 회피되고, 이에 의해 입력 패널 상의 조작 시간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르면, 제1 태양에 따른 표시 시스템 내에 포함된 표시 장치는 스크린 패널, 절환 섹션 및 리사이징 섹션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에서, 제1 태양에 따른 표시 시스템에 의해 제공된 장점과 유사한 장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따르면, 제1 태양에 따른 표시 시스템 내에 포함된 조작 장치는 입력 패널, 절환 섹션 및 리사이징 섹션을 포함한다.
상기 조작 장치에서, 제1 태양에 따른 표시 시스템에 의해 제공된 장점과 유사한 장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따르면, 기능 선택 장치는 터치패드, 표시 제어기 및 조작 제어기를 포함한다. 기능 선택 장치는 스크린 패널 상에 표시된 복수의 버튼 화상으로부터 목표 버튼 화상을 선택한다. 버튼 화상은 버튼 화상의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되고, 각각의 버튼 화상은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기능에 연계된다. 터치패드는 스크린 패널로부터 이격하여 배열되고 터치패드가 사용자에 의해 터치될 때 조작 정보를 수신한다. 표시 제어기는 복수의 표시 윈도우를 표시하기 위해 스크린 패널을 제어한다. 각각의 표시 윈도우는 버튼 화상의 대응 그룹을 포함한다. 조작 제어기는 터치패드에 의해 수신된 조작 정보를 검출한다. 조작 제어기는 제1 규정 섹션, 제2 규정 섹션 및 판정 섹션을 포함한다. 제1 규정 섹션은 터치패드 상의 복수의 윈도우 입력 영역의 배열을 결정한다. 각각의 윈도우 입력 영역은 스크린 패널 상에 표시된 표시 윈도우로부터 대응 표시 윈도우를 선택하기 위해 터치된다.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는 윈도우 입력 영역 중 하나는 선택된 윈도우 입력 영역이라 칭하고, 선택된 윈도우 입력 영역에 대응하는 표시 윈도우 중 하나는 선택된 표시 윈도우라 칭한다. 윈도우 입력 영역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터치될 때, 제2 규정 섹션은 터치패드에 의해 수신된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표시 윈도우 내에 포함된 버튼 화상의 그룹 중 하나를 추출하고, 터치패드 상의 윈도우 입력 영역의 배열을 복수의 기능 입력 영역의 배열로 절환한다. 각각의 기능 입력 영역은 선택된 표시 윈도우 내에 포함된 버튼 화상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터치된다. 판정 섹션은 선택된 표시 윈도우 내에 포함된 버튼 화상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상기 기능 선택 장치에서, 제1 태양에 따른 표시 시스템에 의해 제공된 장점에 유사한 장점이 제공된다.
단지 선택된 예시적인 실시예만이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해 선택되어 있지만,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으로부터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기 설명은 첨부된 청구범위 및 이들의 등가물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목적이 아니라, 단지 예시를 위해 제공된다.

Claims (14)

  1. 표시 시스템이며,
    스크린 패널(52)로서,
    윈도우 선택 모드와 기능 선택 모드 사이에서 표시 모드를 절환하고,
    표시 윈도우로부터 목표 표시 윈도우의 선택을 위해 윈도우 선택 모드에서 복수의 표시 윈도우를 표시하고,
    각각이 대응하는 미리 결정된 기능에 연계되는 버튼 화상으로부터 목표 버튼 화상의 선택을 위해 기능 선택 모드에서 목표 표시 윈도우 내에 포함된 복수의 버튼 화상을 표시하는, 스크린 패널(52)과,
    상기 스크린 패널(52)로부터 이격하여 배열된 입력 패널(32)을 포함하는 입력 유닛(31, 231)으로서, 상기 입력 패널(32)은 복수의 입력 영역의 배열을 규정하고, 상기 입력 영역의 배열은 윈도우 선택 모드에서 표시 윈도우의 배열에 대응하고, 목표 표시 윈도우에 대응하는 입력 영역 중 하나는 목표 입력 영역이라 칭하는, 입력 유닛(31, 231)과,
    절환 섹션(S103, S106, S107, S203, S206, S207)으로서, 상기 목표 입력 영역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때, 상기 절환 섹션(S103, S106, S107, S203, S206, S207)은
    목표 입력 영역을 선택된 입력 영역으로서 설정하고,
    목표 표시 윈도우를 선택된 표시 윈도우로서 설정하고,
    윈도우 선택 모드로부터 목표 표시 윈도우가 선택된 표시 윈도우로서 설정되어 있는 기능 선택 모드로 표시 모드를 절환하는, 절환 섹션(S103, S106, S107, S203, S206, S207)과,
    상기 입력 패널(32) 상의 선택된 입력 영역의 크기를 확대하는 리사이징 섹션(S104, S108, S204, S208)으로서, 상기 절환 섹션(S103, S106, S107, S203, S206, S207)이 윈도우 선택 모드로부터 기능 선택 모드로 표시 모드를 절환할 때, 상기 리사이징 섹션(S104, S108, S204, S208)은 선택된 입력 영역으로부터 확대되어 있는 확대된 선택된 입력 영역을 입력 패널(32) 상에 재배열하는 표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윈도우는 제1 표시 윈도우(61) 및 제2 표시 윈도우(62)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영역은 제1 표시 윈도우(61) 및 제2 표시 윈도우(62)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입력 영역(71, 271) 및 제2 입력 영역(72, 272)을 포함하고,
    윈도우 선택 모드에서, 상기 제1 표시 윈도우(61) 및 상기 제1 표시 윈도우(61)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제2 표시 윈도우(62)가 스크린 패널(52) 상에 표시되고,
    윈도우 선택 모드에서, 상기 입력 유닛(31, 231)은 제2 입력 영역(72, 272)이 제1 입력 영역(71, 271)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입력 패널(32) 상의 제1 입력 영역(71, 271) 및 제2 입력 영역(72, 272)의 배열을 규정하는 표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윈도우는 제1 표시 윈도우(61) 및 제2 표시 윈도우(62)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영역은 제1 표시 윈도우(61) 및 제2 표시 윈도우(62)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입력 영역(71, 271) 및 제2 입력 영역(72, 272)을 포함하고,
    윈도우 선택 모드에서, 상기 제1 표시 윈도우(61) 및 상기 제1 표시 윈도우(61)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제2 표시 윈도우(62)가 스크린 패널(52) 상에 표시되고,
    윈도우 선택 모드에서, 상기 입력 유닛(31, 231)은 제1 입력 영역(71, 271)이 제2 입력 영역(72, 272)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입력 패널(32) 상의 제1 입력 영역(71, 271) 및 제2 입력 영역(72, 272)의 배열을 규정하는 표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 섹션(S103, S106, S107, S203, S206, S207)이 윈도우 선택 모드로부터 기능 선택 모드로 표시 모드를 절환한 후에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될 때, 상기 절환 섹션(S103, S106, S107, S203, S206, S207)은 기능 선택 모드로부터 윈도우 선택 모드로 표시 모드를 절환하는 표시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목표 표시 윈도우 이외의 표시 윈도우 중 하나는 비목표 표시 윈도우라 칭하고, 비목표 표시 윈도우에 대응하는 입력 영역 중 하나는 비목표 입력 영역이라 칭하고,
    목표 입력 영역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때, 비목표 입력 영역은 비선택된 입력 영역으로서 설정되고 비목표 표시 윈도우는 비선택된 표시 윈도우로서 설정되고,
    상기 절환 섹션(S103, S106, S107, S203, S206, S207)이 윈도우 선택 모드로부터 기능 선택 모드로 표시 모드를 절환할 때, 리사이징 섹션(S104, S108, S204, S208)은 입력 패널(32) 상의 비선택된 입력 영역의 크기를 축소하고, 비선택된 입력 영역으로부터 축소되어 있는 축소된 비선택된 입력 영역을 확대된 선택된 입력 영역과 함께 입력 패널(32) 상에 재배열하고,
    절환 모드가 윈도우 섹션 모드로부터 기능 선택 모드로 절환된 후에 상기 축소된 비선택된 입력 영역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때,
    상기 절환 섹션(S103, S106, S107, S203, S206, S207)은
    축소된 비선택된 입력 영역을 선택된 입력 영역으로서 설정하고,
    확대된 선택된 입력 영역을 비선택된 입력 영역으로서 설정하고,
    축소된 비선택된 입력 영역에 대응하는 비목표 표시 윈도우를 선택된 표시 윈도우로서 설정하고,
    확대된 선택된 입력 영역에 대응하는 목표 표시 윈도우를 비선택된 표시 윈도우로서 설정하고,
    축소된 비선택된 입력 영역에 대응하는 비목표 표시 윈도우가 선택된 표시 윈도우로서 설정되어 있는 기능 선택 모드로 표시 모드를 절환하는 표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 섹션(S103, S106, S107, S203, S206, S207)이 축소된 비선택된 입력 영역에 대응하는 비목표 표시 윈도우가 선택된 표시 윈도우로서 설정되어 있는 기능 선택 모드로 표시 모드를 절환할 때, 리사이징 섹션(S104, S108, S204, S208)은 축소된 비선택된 입력 영역의 크기를 확대하고 확대된 선택 입력 영역의 크기를 축소하는 표시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사이징 섹션(S104, S108, S204, S208)은 선택된 입력 영역의 크기를 확대하고, 절환 섹션(S103, S106, S107, S203, S206, S207)이 표시 모드를 기능 선택 모드로 절환할 때 입력 패널(32)의 전체 영역 상에 확대된 선택된 입력 영역을 재배열하는 표시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유닛(31, 231)은 입력 패널(32)의 외연부(34)에 배열된 복수의 촉각 통지부(35, 351, 352, 353, 354, 355)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촉각 통지부(35, 351, 352, 353, 354, 355)는 외연부(34)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거나 또는 외연부(34)의 표면에 평행하게 수납되도록 제어되고,
    인접한 2개의 입력 영역 사이의 경계선(76, 276)으로부터 연장하는 기준선 상에 위치되어 있는 상기 촉각 통지부(35, 351, 352, 353, 354, 355) 중 하나는 외연부(34)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표시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선(76, 276)이 입력 영역의 크기를 리사이징함으로써 현재 위치로부터 새로운 위치로 변위될 때, 현재 위치에 위치된 경계선으로부터 연장하는 기준선 상에 배열되어 있는 촉각 통지부(35, 351, 352, 353, 354, 355)는 외연부(34)의 표면에 평행하도록 수납되고, 새로운 위치에 위치된 경계선(76, 276)으로부터 연장하는 기준선 상에 배열되어 있는 다른 촉각 통지부(35, 351, 352, 353, 354, 355)는 외연부(34)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표시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표시 시스템에 포함된 표시 장치이며,
    스크린 패널(52)과,
    절환 섹션(S103, S106, S107, S203, S206, S207)과,
    리사이징 섹션(S104, S108, S204, S208)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표시 시스템에 포함된 조작 장치이며,
    입력 패널(32)과,
    절환 섹션(S103, S106, S107, S203, S206, S207)과,
    리사이징 섹션(S104, S108, S204, S208)을 포함하는 조작 장치.
  12. 스크린 패널(52) 상에 표시된 복수의 버튼 화상으로부터 목표 버튼 화상을 선택하는 기능 선택 장치이며,
    상기 버튼 화상은 버튼 화상의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되고 각각의 버튼 화상은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기능에 연계되고,
    상기 기능 선택 장치는,
    상기 스크린 패널(52)로부터 이격하여 배열된 터치패드(31, 231)로서, 터치패드(31, 231)가 사용자에 의해 터치될 때 조작 정보를 수신하는, 터치패드(31, 231)와,
    그 각각이 버튼 화상의 대응 그룹을 포함하는 복수의 표시 윈도우를 표시하도록 스크린 패널(52)을 제어하는 표시 제어기(53)와,
    상기 터치패드(31, 231)에 의해 수신된 조작 정보를 검출하는 조작 제어기(33)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제어기(33)는
    상기 터치패드(31, 231) 상의 복수의 윈도우 입력 영역의 배열을 결정하는 제1 규정 섹션으로서, 각각의 윈도우 입력 영역은 스크린 패널(52) 상에 표시된 표시 윈도우로부터 대응 표시 윈도우를 선택하기 위해 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윈도우 입력 영역 중 하나는 선택된 윈도우 입력 영역이라 칭하고, 선택된 윈도우 입력 영역에 대응하는 표시 윈도우 중 하나는 선택된 표시 윈도우라 칭하는, 제1 규정 섹션,
    제2 규정 섹션으로서, 윈도우 입력 영역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터치될 때, 상기 제2 규정 섹션은 터치패드(31, 231)에 의해 수신된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표시 윈도우 내에 포함된 버튼 화상의 그룹 중 하나를 추출하고 터치패드(31, 231) 상의 윈도우 입력 영역의 배열을 복수의 기능 입력 영역의 배열로 절환하고, 각각의 기능 입력 영역은 선택된 표시 윈도우 내에 포함된 버튼 화상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터치되는, 제2 규정 섹션 및
    선택된 표시 윈도우 내에 포함된 버튼 화상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섹션을 포함하는 기능 선택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규정 섹션이 터치패드(31, 231) 상의 윈도우 입력 영역의 배열을 기능 입력 영역의 배열로 절환한 후에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할 때, 제1 규정 섹션은 터치패드(31, 231) 상의 윈도우 입력 영역의 배열을 재차 결정하는 기능 선택 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제어기(33)의 제2 규정 섹션이 선택된 표시 윈도우 내에 포함된 버튼 화상의 그룹 중 하나를 추출할 때, 표시 제어기(53)는 선택된 표시 윈도우의 크기를 확대하고 그 크기가 확대되어 있는 선택된 표시 윈도우를 표시하도록 스크린 패널(52)을 제어하는 기능 선택 장치.
KR1020120150756A 2011-12-23 2012-12-21 표시 시스템, 표시 장치, 조작 장치 및 기능 선택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4612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82490A JP5413448B2 (ja) 2011-12-23 2011-12-23 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及び操作装置
JPJP-P-2011-282490 2011-1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845A true KR20130073845A (ko) 2013-07-03
KR101461287B1 KR101461287B1 (ko) 2014-11-12

Family

ID=48575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0756A Expired - Fee Related KR101461287B1 (ko) 2011-12-23 2012-12-21 표시 시스템, 표시 장치, 조작 장치 및 기능 선택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557894B2 (ko)
JP (1) JP5413448B2 (ko)
KR (1) KR101461287B1 (ko)
CN (1) CN103176691B (ko)
DE (1) DE102012112456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5025A (ja) * 2010-09-29 2012-04-12 Kyocera Mita Corp 操作装置及び操作方法
FR2973529B1 (fr) * 2011-03-31 2013-04-26 Valeo Systemes Thermiques Module de commande et d'affichage pour vehicule automobile
US9213482B2 (en) * 2011-11-11 2015-12-15 Elan Microelectronics Corporation Touch control device and method
USD731504S1 (en) * 2011-11-17 2015-06-09 Axell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31507S1 (en) * 2011-11-17 2015-06-09 Axell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JP5704408B2 (ja) * 2012-01-20 2015-04-22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操作入力システム
JP5790578B2 (ja) * 2012-04-10 2015-10-07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及び操作装置
KR101919788B1 (ko) * 2012-05-31 2018-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TWI489337B (zh) * 2012-11-23 2015-06-21 義隆電子股份有限公司 具虛擬功能鍵之觸控面板的製造方法、干涉判斷方法及觸控裝置
JP5840639B2 (ja) * 2013-03-28 2016-01-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操作装置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6156052B2 (ja) * 2013-10-22 2017-07-05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情報処理装置
CN103631442A (zh) * 2013-12-12 2014-03-12 惠州市华阳多媒体电子有限公司 一种抬头显示器的触摸控制系统
US9244532B2 (en) * 2013-12-31 2016-01-26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multiple displays with single controller and haptic enabled user interface
JP6274003B2 (ja) * 2014-05-09 2018-02-07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操作システム
US10656719B2 (en) 2014-09-30 2020-05-19 Apple Inc. Dynamic input surface for electronic devices
US20170371515A1 (en) 2014-11-19 2017-12-28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bsolute and zone coordinate mapping with graphic animations
US9727231B2 (en) 2014-11-19 2017-08-08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bsolute coordinate and zone mapping between a touchpad and a display screen
JP2016103173A (ja) * 2014-11-28 2016-06-02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画面表示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409412B1 (en) 2015-09-30 2019-09-10 Apple Inc. Multi-input element for electronic device
TWI628569B (zh) 2015-09-30 2018-07-01 蘋果公司 具有適應性輸入列之鍵盤
US10180755B2 (en) 2016-02-29 2019-01-15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dynamic thresholding for force detection
US10318065B2 (en) 2016-08-03 2019-06-11 Apple Inc. Input device having a dimensionally configurable input area
US10871860B1 (en) 2016-09-19 2020-12-22 Apple Inc. Flexible sensor configured to detect user inputs
US10732743B2 (en) 2017-07-18 2020-08-04 Apple Inc. Concealable input region for an electronic device having microperforations
US10732676B2 (en) 2017-09-06 2020-08-04 Apple Inc. Illuminated device enclosure with dynamic trackpad
WO2020196559A1 (ja) * 2019-03-26 2020-10-0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制御装置及び制御システム
CN110609723B (zh) * 2019-08-21 2021-08-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及终端设备
US11409279B1 (en) * 2019-09-26 2022-08-09 Amazon Technologies, Inc. Autonomously motile device with remote control
US11194471B1 (en) * 2021-01-28 2021-12-07 Honda Motor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control based on touch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4977A (ja) 1999-01-25 2000-08-04 Sanyo Electric Co Ltd ポインティング方法
JP4454958B2 (ja) * 2003-04-30 2010-04-21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および機能選択方法
KR100678945B1 (ko) * 2004-12-03 2007-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패드 입력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144423B1 (ko) * 2006-11-16 201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JP2008186279A (ja) 2007-01-30 2008-08-14 Tokai Rika Co Ltd 遠隔操作式入力装置
CN101675410A (zh) * 2007-02-23 2010-03-17 Tp-I股份有限公司 使用数字装置中的指点设备的虚拟键盘输入系统
US8065624B2 (en) * 2007-06-28 2011-11-22 Panasonic Corporation Virtual keypad systems and methods
JP2009245423A (ja) * 2008-03-13 2009-10-22 Panasonic Corp 情報機器およびウインドウ表示方法
JP2009229172A (ja) 2008-03-21 2009-10-08 Alpine Electronics Inc 情報提供装置及び情報提供方法
TWI381304B (zh) * 2008-04-22 2013-01-01 Htc Corp 使用者介面顯示區域的調整方法、裝置及儲存媒體
JP2009294720A (ja) * 2008-06-02 2009-12-17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車載機器操作装置
JP5035150B2 (ja) 2008-07-10 2012-09-26 株式会社デンソー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JP2010039985A (ja) * 2008-08-08 2010-02-18 Victor Co Of Japan Ltd 操作画面入力装置及び操作画面入力方法
JP5110438B2 (ja) * 2008-10-23 2012-12-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入力装置
US9696803B2 (en) * 2009-03-12 2017-07-04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friction displays and additional haptic effects
KR101491169B1 (ko) * 2009-05-07 2015-02-06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차량의 탑재기기 조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8621387B2 (en) * 2009-06-08 2013-12-31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ultiple display regions
EP2273353A1 (en) 2009-07-07 2011-01-12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Improved human machine interface
KR101470027B1 (ko) * 2009-08-18 2014-12-05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차량용 조작 장치
JP5146691B2 (ja) * 2009-10-14 2013-02-20 株式会社デンソー 遠隔操作装置
TWI529574B (zh) * 2010-05-28 2016-04-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與其操作方法
US8775966B2 (en) * 2011-06-29 2014-07-08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with dual mode rear TouchP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13448B2 (ja) 2014-02-12
CN103176691B (zh) 2015-11-04
US20130167077A1 (en) 2013-06-27
DE102012112456B4 (de) 2020-12-31
US9557894B2 (en) 2017-01-31
JP2013134509A (ja) 2013-07-08
DE102012112456A1 (de) 2013-06-27
KR101461287B1 (ko) 2014-11-12
CN103176691A (zh)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287B1 (ko) 표시 시스템, 표시 장치, 조작 장치 및 기능 선택 장치
EP33551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haracter input interface
CN101667058B (zh) 在多系统间切换焦点的交互方法
JP2006134184A (ja) 遠隔制御スイッチ
US811573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9323437B2 (en) Method for displaying scale for enlargement and reduction operation, and device therefor
EP2751646A1 (en) Vehicle's interactive system
JP2008287323A (ja) 情報入力表示装置
JP4924164B2 (ja) タッチ式入力装置
JP2008243128A (ja) タッチパネル装置
US20110090150A1 (en) Input processing device
US20090109188A1 (en) Input processing device
US9996242B2 (en) Composite gesture for switching active regions
JP2014172413A (ja) 操作支援システム、操作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200057549A1 (en) Analysis device equipped with touch panel device, method for display control thereof, and program
CN105677139B (zh) 信息处理系统、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
KR101422060B1 (ko) 터치패드를 이용한 차량용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그 정보 입력 모듈
US8731824B1 (en) Navigation control for a touch screen user interface
JP2011100337A (ja) 表示装置
JP2006350789A (ja)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KR101480775B1 (ko) 필기 인식을 이용한 차량용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그 정보 입력 모듈
JP7628375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5805473B2 (ja) 操作装置
US11327569B2 (en) Tactile sensation presentation device and tactile sensation presentation method
JP5027084B2 (ja) 入力装置及び入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8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2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8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3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409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8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3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