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60570A -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0570A
KR20130060570A KR1020110126698A KR20110126698A KR20130060570A KR 20130060570 A KR20130060570 A KR 20130060570A KR 1020110126698 A KR1020110126698 A KR 1020110126698A KR 20110126698 A KR20110126698 A KR 20110126698A KR 20130060570 A KR20130060570 A KR 20130060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owder
oil
carbon black
lipophil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6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2002B1 (ko
Inventor
장순희
오택진
이지명
고승용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10126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2002B1/ko
Publication of KR20130060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0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00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본블랙 및 친유성 분말을 함유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고도 유중수형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물과 피지에 모두 지속성이 우수하며(내수성 및 내유성), 초미립 분말 입자에 의해 완성된 유화 제형은 유화 입자의 크기가 커서 도포시 매우 부드럽게 발려지므로 원하는 속눈썹의 형태로 자연스러운 연출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WATER-IN-OIL TYP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초미립자 카본블랙 분말 및 초미립자 친유성 분말을 함유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여성의 사회 활동과 야외 활동이 많아지면서 화장의 지속성에 대한 욕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마스카라의 지속력은 마스카라가 속눈썹에 도포된 후 일정시간이 지나도 지워지거나 피부로 번져 나오지 않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물에 대한 지속성을 부여한 방수 타입 유중수형 마스카라가 많이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런 마스카라는 대개 방수 효과는 우수하나 유분에 대한 내성인 내유성이 부족해 화장 후 시간이 지나면 피지에 의해 눈 밑으로 마스카라가 번지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지금까지 마스카라에 지속력을 부여하기 위한 많은 방법들이 개발되어 왔는데, 기본적으로는 연속상인 유상 성분에 의해 발수 효과가 우수한 유중수 유화 제형이나 유분산 제형을 기본으로 하고, 그 발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유상 성분에 용해되어 피막을 형성하는 유용성 폴리머를 다량 사용하여 수분에 대한 지속성 효과를 높이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특히 유용성 폴리머는 함량 증가에 따라 쉽게 지속력을 올릴 수 있으므로 마스카라에 흔히 사용되는데, 최근에는 유용성 폴리머 외에 폴리에틸렌 고형화 파우더 또는 실리콘기가 부가된 왁스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 예로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54086호에는 실리콘기가 부가된 왁스를 함유하는 눈 화장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유용성 폴리머는 물에 대한 지속성은 우수하지만, 피지에 대한 지속성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피지에 대한 지속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리콘 종류인 디메치콘 검이나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이러한 원료들은 사용성이 끈적이고, 형성되는 피막이 너무 단단해 가루 떨어짐의 원인이 된다. 상기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54086호에서는 필름형성제로 사용하는 실리콘 수지를 코팅한 파우더를 사용하기도 하였는데, 이 경우 내유성은 향상되나 발림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여전히 남아 있다.
최근에는 화장 지속성뿐만 아니라 사용중의 부드러운 발림성에 대한 고객 요구도 매우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기 때문에 물과 피지에 대한 화장 지속성뿐만 아니라 부드러운 발림성도 동시 충족하는 기술이 더욱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5408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별도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고 초미립자인 카본블랙 분말 및 친유성 분말을 함유함으로써, 이 카본블랙과 친유성 분말의 입자가 수상과 유상의 계면에 안정하게 존재하면서 계면안정화제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색상을 나타내는 색소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물과 피지에 모두 지속성이 우수하며, 또한 발림성이 매우 부드러운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본블랙 및 친유성 분말을 함유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카본블랙 분말 및 친유성 분말은 입자 크기가 0.0001 내지 1㎛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친유성 분말은 실리카, 헥토라이트, 벤토나이트, 친유성 성분으로 코팅된 카본블랙, 폴리스티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스테아랄코늄 헥토라이트, 쿼터늄-18 헥토라이트 및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친유성 성분으로 코팅된 카본블랙에서 친유성 성분은 오일 및 왁스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카본블랙 분말 및 친유성 분말은 조성물 중 내상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30중량% 함유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카본블랙 분말 및 친유성 분말의 혼합비는 1:5 내지 5:1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따르면, 별도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고도 유중수형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물과 피지에 모두 지속성이 우수하며(내수성 및 내유성), 초미립 분말 입자에 의해 완성된 유화 제형은 유화 입자의 크기가 커서 도포시 매우 부드럽게 발려지므로 원하는 속눈썹의 형태로 자연스러운 연출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카본블랙 및 친유성 분말을 함유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중수형으로 외상 및 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성물은 초미립자 카본블랙 분말 및 초미립자 친유성 분말을 함유하는 것이다.
보통의 유중수형 조성물은 유화제 또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단량체와 용매 사이의 계면을 안정화시킨다. 이와 달리, 계면활성제 대신 무기입자를 사용하여 계면을 안정화시킬 때 이를 피커링(pickering) 유화라고 한다. 본 발명에서는 피커링 유화 기술에 의한 유중수 제형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별도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는 유중수형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친수성이 강한 카본블랙 분말은 유중수 유화 제형의 내상에 가깝게 위치하며, 친유성의 분말은 유중수형 제형의 외상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함께 사용함으로써 유화 제형이 분리되지 않고 안정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계면활성제를 불포함함으로써 물과 피지 모두에 대한 지속성이 뛰어나다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친유성 분말은 실리카, 헥토라이트, 벤토나이트, 친유성 성분으로 코팅된 카본블랙, 폴리스티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스테아랄코늄 헥토라이트, 쿼터늄-18 헥토라이트 및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친유성 성분으로 코팅된 카본블랙은 오일 및 왁스 중 하나 이상으로 코팅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친유성 성분은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카본블랙 및 친유성 분말은 초미립자로서, 바람직하게는 입자 크기가 0.0001 내지 1㎛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일 수 있다. 1㎛ 초과의 입자 크기를 갖는 분말은 입자 사이의 공극이 크기 때문에 유중수형 제형의 계면을 단단하게 만들지 못하여 제형 안정화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0.0001㎛ 미만의 입자 크기를 갖는 분말은 오히려 응집력이 매우 커서 뭉치게 되므로 계면에 균일하게 존재하기 어려워 오히려 제형의 안정화를 방해할 수 있다. 이러한 초미립자 분말의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발림성이 매우 부드럽다.
본 발명에서 카본블랙 및 친유성 분말의 혼합비는 1:5 내지 5:1일 수 있다. 카본블랙 분말의 비율이 1:5 미만이면 제형의 경시 안정성이 나빠지며, 5:1을 초과하면 유중수 유화 제형이 안정하게 만들어지지 않을 수도 있으며 나빠지며 조성물의 점도도 높아져 뻑뻑하게 발릴 뿐만 아니라 피지에 대한 지속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초미립자 분말은 조성물 중 내상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30중량% 함유되는 것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중량%함유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초미립자 분말은 카본블랙 분말 및 친유성 분말이 혼합된 분말 모두를 의미하는 것이다. 유중수 제형은 외상이 유상이고 내상이 수상으로서, 상기 내상은 수상을 의미하는 것이다. 초미립자 분말의 총 함량이 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제형 안정화의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도 상승 효과가 너무 커서 아이 메이크업용 특히 마스카라로 사용하기 어렵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카본블랙과 친유성 분말은 기존의 유중수 유화 제형에서도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성분이다. 기존의 유중수 유화 제형은 제형의 안정화를 위해 계면활성제를 반드시 함유하고 있으며, 이 때 사용되는 카본블랙과 친유성 성분으로 코팅된 카본블랙은 조성물의 색상을 나타내는 색소로서의 역할이 주가 되며, 또한 실리카, 헥토라이트, 벤토나이트, 폴리스티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스테아랄코늄 헥토라이트, 쿼터늄-18 헥토라이트,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 등의 친유성 분말은 조성물의 점도 조절제로서의 역할이 주가 된다. 반면, 본 발명의 유중수형 조성물은 별도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고, 카본블랙과 친유성 분말이 제형의 안정화제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구성성분의 역할과 효과가 기존의 조성물과는 완전히 상이하다. 피커링 유화 기술에서 초미립자 분말이 계면의 안정화제 역할을 할 수 있는 이유는 초미립자 분말이 가진 친수성 또는 소수성의 특성에 따라 계면을 기준으로 내상에 가깝게 혹은 외상에 가깝게 위치하여 제형의 안정화를 실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메이크업 화장료 도포 시에 비해 도구를 사용하는 제형, 예를 들어 마스카라 브러시 제형은 도구에 의해 조성물에 가해지는 힘이 크기 때문에 제형의 계면이 더 단단해야 사용 중에도 안정도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동양 여성들은 눈썹의 형태 특성상 서양 여성들에 비해 번짐과 가루 떨어짐과 같은 지속성에 대한 요구조건이 훨씬 더 높으므로 색소로서의 역할을 하는 카본블랙을 내상에 가까운 계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색소 번짐을 최소화 함과 동시에 외상에 가까운 계면에는 친유성 분말을 함께 사용하여 이중의 계면막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제형의 안정성이 향상된 유중수형의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유중수형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내수성이 뛰어날 뿐 아니라, 친수기 및 친유기를 가지는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고 있고, 초미립자인 카본블랙, 친유성 분말이 빈틈없이 균일한 막을 형성하여 피지의 웨팅을 늦추기 때문에 내유성이 뛰어나다. 또한, 초미립자를 이용한 피커링 유화 제형의 입자 크기가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유화 제형에 비하여 크기 때문에, 문지름에 의해 더 쉽게 부드럽게 발려 발림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왁스, 오일, 파우더, 점증제, 색소, 필름 형성제, 영양성분, 휘발성 용해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및 향 등과 같은 통상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에 함유되는 성분(이하 "기타 성분"이라고 한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은 마스카라, 아이새도우, 아이브로우 펜슬 및 아이라이너를 포함하는 제형에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마스카라 또는 아이라이너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마스카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립스틱, 립글로스, 파운데이션 등의 제형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를 통하여 본 발명이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단,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들만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9]
하기 표 1과 표 2에 나타난 조성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 및 2 의 마스카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및 2에서, 성분 9 및 10은 계면활성제로 사용되어 제형의 안정화를 이루며,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는 점증제, 카본블랙은 색소로서의 역할을 위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9 에서는 기존의 유중수 유화 제형에서 사용하는 어떠한 계면활성제도 사용하지 않았고, 제형 안정화제로서의 역할과 색소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카본블랙(성분 13) 및 성분 11 및 성분 14~21의 친유성 분말을 사용하였다. 성분 11 및 성분 13~21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 비교예 1 및 2는 제형은 만들어지면서 점도가 묽어 사용성이 달라지지만, 실시예 1 내지 9는 제형 자체가 만들어지지 않기 때문에 조성물이라고 할 수 없게 된다.
성분명(단위: 중량%) 비교예1 비교예2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1. 밀납 5.0 5.0 5.0 5.0 5.0 5.0
2. 카나우바 왁스 5.0 5.0 5.0 5.0 5.0 5.0
3.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0.5 0.5 0.5 0.5 0.5 0.5
4. 이소도데칸 25.0 25.0 25.0 25.0 25.0 25.0
5. VP/에이코센 코폴리머 5.0 5.0 5.0 5.0 5.0 5.0
6. 폴리퍼플루오로에톡시메톡시디플루오메틸
디스테아라마이드
- 3.0 - - - -
7.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5.0 5.0 5.0 5.0 5.0 5.0
8. 폴리에틸렌/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3.0 3.0 - - - -
9. 세틸 PEG/PPG-10/1 디메치콘 1.0 1.0 - - - -
10.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 2.0 2.0 - - - -
11.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 3.0 3.0 3.0 - - -
12. 산화철 5.0 - - - - -
13. 카본블랙 - 3.0 3.0 3.0 3.0 3.0
14. 실리카 - 3.0 - 3.0 - -
15. 헥토라이트 - - - - 3.0 -
16. 벤토나이트 - - - - - 3.0
17. 폴리스티렌 - - - - - -
18.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 - - - - -
19. 스테아랄코늄 헥토라이트 - - - - - -
20. 쿼터늄-18 헥토라이트 - - - - - -
21. 카본블랙-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 코팅 - - - - - -
22.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23.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24. 염화나트륨 1.0 1.0 1.0 1.0 1.0 1.0
성분명(단위: 중량%)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1. 밀납 5.0 5.0 5.0 5.0 5.0
2. 카나우바 왁스 5.0 5.0 5.0 5.0 5.0
3.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0.5 0.5 0.5 0.5 0.5
4. 이소도데칸 25.0 25.0 25.0 25.0 25.0
5. VP/에이코센 코폴리머 5.0 5.0 5.0 5.0 5.0
6. 폴리퍼플루오로에톡시메톡시디플루오메틸
디스테아라마이드
- - - - -
7.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5.0 5.0 5.0 5.0 5.0
8. 폴리에틸렌/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 - - - -
9. 세틸 PEG/PPG-10/1 디메치콘 - - - - -
10.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 - - - - -
11.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 - - - - -
12. 산화철 - - - - -
13. 카본블랙 3.0 3.0 3.0 3.0 3.0
14. 실리카 - - - - -
15. 헥토라이트 - - - - -
16. 벤토나이트 - - - - -
17. 폴리스티렌 3.0 - - - -
18.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 3.0 - - -
19. 스테아랄코늄 헥토라이트 - - 3.0 - -
20. 쿼터늄-18 헥토라이트 - - - 3.0 -
21. 카본블랙-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 코팅 - - - - 3.0
22.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23.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24. 염화나트륨 1.0 1.0 1.0 1.0 1.0
<제조 방법>
1) 성분 1~10을 80℃로 가열하면서 교반하였다.
2) 상기 1)에 성분 11~21를 투입해 교반하여 분산시켰다.
3) 성분 23~24를 80℃까지 가열하면서 교반하였다.
4) 상기 2)에 상기 3)를 서서히 가하면서 유화시킨다.
5) 유화 후 상기 4)에 성분 22를 가하면서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6) 이를 마스카라 용기에 충진하였다.
[시험예 1] 사용감 테스트 (관능평가)
기존의 방법으로 제조한 상기 비교예 1 및 2 와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9의 마스카라 조성물에 대하여 마스카라 제품을 매일 또는 자주 사용하는 20~40세의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실제로 사용하도록 한 후 제품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시험 항목은 발림성, 가루 떨어짐 없음 및 지속성으로 하였다. 각 항목에 대하여 품평을 한 후, 0~15의 점수를 주고 그 평균 점수를 내었다. 데이터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각각 5회 반복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과 표 4에 기재하였다. 평균 점수가 4.0 미만이면 "×", 4.0~8.0이면 "△", 8.1~12.0이면 "○", 12.0을 초과하면 "◎"로 표시하였다.
시험항목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발림성 X
가루 떨어짐 없음 X
지속성
시험항목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발림성
가루 떨어짐 없음
지속성
상기 표 3과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마스카라 조성물인 비교예 1 및 2는 발림성 및 가루 떨어짐 없음에서 매우 낮은 만족감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적용된 실시예 1 내지 9는 발림성과 가루 떨어짐 없음에서 매우 우수한 만족도를 나타냈고, 지속성에서도 우수한 만족도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지속성 시험
상기 비교예 1 및 2와 실시예 1 내지 9의 마스카라 조성물의 지속성 관련 내수성 및 내유성 각각에 대해서 하기의 기기를 이용한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내수성 시험 방법>
1) 각 조성물을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동일 두께로 유리판에 약 100㎛로 도포 후 완전 건조시켰다.
2) 30분간 건조한 다음 인공 눈물 1 ml를 떨어뜨렸다.
3) 10분간 웨팅(wetting) 후 거름 종이를 위에 놓고 롤러로 밀어서 묻어 나오는 면적을 측정 관찰하였다.
<내유성 시험 방법>
1) 각 조성물을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동일 두께로 유리판에 약 100㎛로 도포 후 완전 건조시켰다.
2) 30분간 건조한 다음 인공 피지 1 ml를 떨어뜨렸다.
3) 10분간 웨팅(wetting) 후 거름 종이를 위에 놓고 롤러로 밀어서 묻어 나오는 면적을 측정 관찰하였다.
각각의 조성물에 대해 3번씩 반복 시행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와 표 6에 나타내었다. 전체 면적의 50% 이상이 테이프에 박리되면 "×", 전체 면적의 30~50% 가 박리되면 "△", 전체 면적의 10~30% 박리되면 "○", 전체 면적10% 이하가 박리되면 "◎"로 표시하였다.
시험항목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내수성
내유성 X
시험항목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내수성
내유성
상기 표 5와 표 6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9는 기존의 마스카라 조성물인 비교예 1 및 2와 비교하여 내수성뿐만 아니라 특히 내유성에서 매우 우수한 만족도를 보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실시예가 친수기와 친유기를 가지는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며, 또한 초미립자인 카본블랙, 헥토라이트 및 실리카가 도포된 표면에 빈틈없이 균일한 막을 형성하여 인공 눈물과 피지의 웨팅을 늦추기 때문이다.
[시험예 3] 발림성 시험
상기 비교예 1 및 2와 실시예 1 내지 9의 마스카라 조성물의 발림성을 하기의 기기를 이용한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발림성 시험 방법>
1) 각 조성물을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동일 두께로 유리판에 약 100㎛로 도포 후 완전 건조시켰다.
2) 유리판에 밀려나간 내용물의 상태 즉 밀려나간 길이를 자로 측정 관찰하였다.
각각의 조성물에 대해 3번씩 반복 시행하고, 그 평균값을 하기 표 7과 표 8에 나타내었다. 측정된 길이가 길수록 내용물이 부드럽게 미끄러지듯 발리는 것으로 하여 발림성이 우수하다고 평가하였다.
항목(㎝)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밀려나간 길이 7 13 22 24 20 23
항목(㎝)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밀려나간 길이 24 24 22 25 22
상기 표 7과 표 8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9는 기존의 마스카라 조성물인 비교예 1 및 2와 비교하여 발림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초미립자를 이용한 피커링 유화 제형의 입자 크기가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유화 제형에 비하여 크기 때문에 문지름에 의해 더 쉽게 부드럽게 발리기 때문이다.

Claims (7)

  1. 카본블랙 및 친유성 분말을 함유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블랙 분말 및 친유성 분말은 입자 크기가 0.0001 내지 1㎛ 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친유성 분말은 실리카, 헥토라이트, 벤토나이트, 친유성 성분으로 코팅된 카본블랙, 폴리스티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스테아랄코늄 헥토라이트, 쿼터늄-18 헥토라이트 및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친유성 성분으로 코팅된 카본블랙에서 친유성 성분은 오일 및 왁스 중 하나 이상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블랙 분말 및 친유성 분말은 조성물 중 내상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30중량% 함유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블랙 분말 및 친유성 분말의 혼합비는 1:5 내지 5:1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메이크업용 또는 마스카라용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20110126698A 2011-11-30 2011-11-30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ctive KR101822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698A KR101822002B1 (ko) 2011-11-30 2011-11-30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698A KR101822002B1 (ko) 2011-11-30 2011-11-30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0570A true KR20130060570A (ko) 2013-06-10
KR101822002B1 KR101822002B1 (ko) 2018-01-26

Family

ID=48858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6698A Active KR101822002B1 (ko) 2011-11-30 2011-11-30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20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60184A (ja) * 2016-01-08 2017-09-14 エバーグリーン ランド リミテッド 脂溶性組成物を含む水性製剤
KR102127674B1 (ko) * 2019-01-17 2020-06-29 한국콜마주식회사 실리콘-프리 및 피이지-프리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26314B2 (en) * 1996-11-27 2000-11-02 Noxell Corporation Mascara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wear and beauty benefi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60184A (ja) * 2016-01-08 2017-09-14 エバーグリーン ランド リミテッド 脂溶性組成物を含む水性製剤
KR102127674B1 (ko) * 2019-01-17 2020-06-29 한국콜마주식회사 실리콘-프리 및 피이지-프리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2002B1 (ko) 2018-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10841A1 (en) Cosmetic preparation in gel form
KR20170091864A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02762A (ko)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88737B1 (ko) 유성 화장료
EP3357487B1 (en) Liquid oil-dispersible type eye makeup composition
CN109330905A (zh) 一种丝绒哑光唇釉及其制备方法
KR20160002127A (ko) 컬링유지력이 우수한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975850B1 (ko)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822003B1 (ko)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644813B1 (ko) 고밀착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KR101425713B1 (ko) 유분산형 또는 유중수형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KR101114201B1 (ko) 색소 분산제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055164B1 (ko) 오일 분산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082953A1 (ja) 睫毛化粧料
KR101822002B1 (ko)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002004B1 (ko) 눈썹 또는 속눈썹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59673A (ko) 아마이드계 폴리머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240057877A (ko) 볼륨력 및 안정도가 우수한 유분산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KR100854086B1 (ko) 실리콘 기가 부가된 왁스를 함유하는 눈화장용 조성물
KR20200107522A (ko)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845969B1 (ko) 발림성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US20230119917A1 (en) Oil-in-oil 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KR102684913B1 (ko) 밀착성 및 분산성이 우수한 파우더 타입 화장료 조성물
KR100431504B1 (ko) 볼륨감과 지속성이 우수한 마스카라 조성물
KR20180102035A (ko)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10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11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9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1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