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7380A - A plant cultivation unit for slope construction - Google Patents
A plant cultivation unit for slope constru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37380A KR20130037380A KR1020110101760A KR20110101760A KR20130037380A KR 20130037380 A KR20130037380 A KR 20130037380A KR 1020110101760 A KR1020110101760 A KR 1020110101760A KR 20110101760 A KR20110101760 A KR 20110101760A KR 20130037380 A KR20130037380 A KR 2013003738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ltivation
- plant
- slope
- mat
- soil lay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3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4000060011 Cocos nucifer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3162 Cocos nucifer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31 s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의 호안이나, 도로의 사면에 식재하기 위한 식물을 재배하는 사면 조성용 식물 재배유닛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발명은, 사면 조성용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재배상자; 재배상자 내에 깔리어 식물의 뿌리와 엉켜 결합되는 재배용 매트; 및 재배용 매트의 상부에 채워지고 식물이 식재되거나 종자가 파종되는 상부토양층;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사면 조성용 식물 재배유닛에 의하면, 식물의 뿌리가 재배용 매트와 엉켜 결합된 상태에서 사면에 식재되면 종래와 달리 아랫쪽으로의 쏠림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뿌리와 토양이 함께 사면에 정착되므로, 식물이 빠른 시간에 사면으로 뿌리내릴 수 있어 견고한 사면을 조성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cultivation unit for a slope composition for cultivating plants for planting on the banks of rivers or on slopes of roads. Disclosed is a growing box for cultivating a plant for slope composition; Cultivation mats intertwined with the roots of plants laid in the growing box; And an upper soil layer fi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cultivation mat and planted or seeded. According to the plant cultivation unit for the slop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plant roots are entangled with the mat for cultivation and planted on the slope, unlike in the related art, the downward phenomenon can be minimized, and the root and the soil together on the slope Since it is settled, the plant can be rooted on the slope in a short time, thereby creating a solid slope.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면 조성용 식물 재배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의 호안이나, 도로의 사면에 식재하기 위한 식물을 재배하는 사면 조성용 식물 재배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cultivation unit for the slope composi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nt cultivation unit for the slope composition for cultivating plants for planting on the slopes of the river or the slope of the road.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경우 강우량이 장마기에 집중되기 때문에 지금까지 도로의 사면이나 하천의 호안을 공사함에 있어서, 토양안정과 경사면 보호라는 측면을 최우선으로 중요시하여 콘크리트 옹벽이나 콘크리트 블록에 의한 시공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In general, in Korea, rainfall is concentrated during the rainy season, so in the construction of slopes of roads and rivers, the main focus is on soil stability and protection of slopes. have.
이와 같은 콘크리트구조의 사면에는 식물이 생존할 수 없기 때문에 주변의 자연환경과 어울리지 않는 딱딱한 외관을 제공하여 무미 건조함을 느끼게 한다. 또한, 원래의 하천이나 도로변의 자연 생태계와는 이질적이어서 식물이나 미생물, 소동물 등의 자연 생태환경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Since the plant cannot survive on the slope of the concrete structure, it provides a rigid appearance that does not match the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 making it feel dry. In addition, since it is heterogeneous with the natural ecosystem of the original river or roadside, it is a factor that worsens the natural ecological environment such as plants, microorganisms and small animals.
최근에는 조형미를 갖춘 콘크리트 블록에 의한 시공이 늘어나고 있지만 자연 생태환경에 미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여전히 콘크리트가 주는 딱딱한 느낌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In recent years, construction by concrete blocks with molding beauty is increasing, but not only does not reach the natural ecological environment, but still has to escape the hard feeling of concrete.
상기와 같은 공법은 자연친화적이지 못한 단점으로 인해 최근에는 잔디를 식재하거나 스피드 스프레이공법으로 식물의 종자를 살포하기도 하나, 잔디 또는 식물의 종자가 완전하게 성장하여 견고한 경사면을 갖추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소요되어 실효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Due to the drawbacks of the above-mentioned methods, the plant is recently planted with grass or sprayed with seeds by speed spraying, but it takes a long time for the grass or plant to grow completely and have a solid slope. There is a disadvantage of low effectiveness.
이와 같이 사면에 잔디 또는 식물을 직접 식재하거나 종자를 살포하는 공법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배상자(1) 내에서 식물(2)을 재배한 후 일정 크기로 자라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2)을 토양(3)과 함께 사면에 옮겨 심는 방법이 제안되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재배상자(1) 내에는 재배상자(1)로부터 토양(3)을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비닐과 같은 이형지(4)를 깐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method of directly planting the grass or plants on the slopes or spraying seeds as shown in Figure 1 after cultivating the plant (2) in the growing box (1) as shown in Figure As shown in Fig. 2, a method of planting the
그러나, 이러한 공법의 경우 식물이 어느 정도 자란 상태에서 옮겨 심기 때문에 식물이 사면에 뿌리를 내리게 되면 견고한 경사면을 갖추는데 필요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식재시 사면에서의 쏠림현상에 의해 흙과 함께 식물이 아랫쪽으로 쏠려 식물의 뿌리가 사면에 쉽게 정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흙과 함께 식물을 옮겨 심을 때 식물과 흙이 잘 분리되는 문제점도 있다.However, this method has the advantage of saving the time required to have a solid slope when the plant is rooted on the slope because the plant is moved to a certain degree of planting, but the planting soil on the slope during planting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oot of the plant is not easily settled on the slope because the plant is moved downward, and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plant and the soil is separated well when moving the plant with the soil.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면에서 식재시 토양과 식물이 아랫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고 토양과 식물이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사면 조성용 식생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vegetation for the slope composition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soil and plants are lowered when planting on the slope and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soil and plants are separated To provide a box.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사면 조성용 식물 재배유닛은, 사면 조성용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재배상자; 재배상자 내에 깔리어 식물의 뿌리와 엉켜 결합되는 재배용 매트; 및 재배용 매트의 상부에 채워지고 식물이 식재되거나 종자가 파종되는 상부토양층;을 포함한다.Slope composition plant cultiv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ultivation box for cultivating the plant for the slope composition; Cultivation mats intertwined with the roots of plants laid in the growing box; And an upper soil layer fi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cultivation mat and planted or seeded.
본 발명은 재배상자 내에서 재배용 매트의 하부에 채워져 식물의 뿌리가 재배용 매트의 하부로 뻗어 자라도록 하는 하부 토양층을 더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lower soil layer which is fi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cultivation mat in the growing box so that the roots of the plant extends to the lower part of the cultivating mat.
재배용 매트는 그물망 형태가 바람직하다.The mat for cultivation is preferably in the form of a net.
본 발명은 재배상자 내에서 상부 토양층, 재배용 매트 및 하부 토양층을 감싸도록 개재되어 상부 토양층, 재배용 매트 및 하부 토양층이 재배상자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는 이형지를 더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release paper interposed to surround the upper soil layer, the cultivation mat and the lower soil layer in the cultivation box so that the upper soil layer, the cultivation mat and the lower soil layer are easily separated from the cultivation box.
재배용 매트의 소재는 코코넛 또는 부직포이다.The material of the cultivation mat is coconut or nonwoven.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사면 조성용 식물 재배유닛에 의하면, 식물의 뿌리가 재배용 매트와 엉켜 결합된 상태에서 사면에 식재되므로 종래와 달리 사면 아래쪽으로의 쏠림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뿌리와 토양이 함께 사면에 정착되므로, 식물이 빠른 시간에 사면으로 뿌리내릴 수 있어 견고한 사면을 조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lant cultivation unit for the slop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oots of the plant are entangled with the mat for cultivation and planted on the slope, unlike in the related ar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ulling phenomenon toward the bottom of the slope. Since it is settled in the plant, the plant can be rooted on the slope in a short time, thereby creating a solid slop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사면 조성용 식물 재배유닛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사면 조성용 식물 재배유닛에 의해 재배된 식물을 사면에 식재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면 조성용 식물 재배유닛의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사면 조성용 식물 재배유닛에 의해 재배된 식물을 사면에 식재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lant cultivation unit for the slop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lant planted on the slope cultivated by the plant cultivation unit for the slope composition according to FIG.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lant cultivation unit for the slope compos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lant planted on the slope cultivated by the plant cultivation unit for the slope composition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면 조성용 식물 재배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사면 조성용 식물 재배유닛에 의해 재배된 식물을 사면에 식재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lant cultivation unit for the slope compos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lant planted on the slope cultivated by the plant composition unit for slope composition shown in FIG.
본 발명에 따른 사면 조성용 식물 재배유닛(100)은 재배상자(110), 재배용 매트(120), 상부 토양층(130), 하부 토양층(140) 및 이형지(150)를 포함한다.Slope composition
재배상자(110)는 상부로 개방된 사각의 함체로서 그 내부에 이형지(150), 하부 토양층(140), 재배용 매트(120) 및 상부 토양층(130)이 차례대로 채워진다. 이러한 재배상자(110)의 내측공간의 높이는 4~6㎝가 바람직하다. 재배상자(110)의 내측공간 높이에 따라 토양층의 두께가 결정된다. 만일, 토양층의 두께가 6㎝를 초과하게 되면 사면에서의 토양층 두께가 너무 두꺼워 식물의 뿌리가 사면에 정착하는데 시간이 걸리며, 토양층의 두께가 4㎝ 미만인 경우에는 식물이 재배상자(110) 내에서 재배될 때 뿌리가 깊게 뻗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The
재배용 매트(120)는 상부 토양층(130)과 하부 토양층(140) 사이에 위치되어 상부 토양층(130)에 식재되거나 종자가 파종되어 재배되는 식물의 뿌리가 엉켜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식물의 뿌리가 재배용 매트(120)에 엉켜 결합되면 식물을 사면에 식재하는 과정에서 토양의 유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사면에서 토양과 식물의 쏠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재배용 매트(120)에 의해 식물의 뿌리가 사면에 잘 뻗을 수 있어 견고한 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한편, 재배용 매트(120)의 소재로는 코코넛 또는 부직포가 사용되며, 이들 소재가 그물망 형태로 직조되어 재배용 매트(120)를 형성된다. 재배용 매트(120)의 홀은 가로 및 세로의 크기가 1.5~2.5㎝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재배용 매트(120)의 홀이 갖는 가로, 세로의 크기가 2.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식물의 뿌리가 재배용 매트(120)와 쉽게 분리될 염려가 있으며, 1.5㎝ 미만인 경우에는 홀의 크기가 너무 작아 홀을 통해 식물의 뿌리가 성장하는데 어려움이 있다.On the other hand, as a material of the
상부 토양층(130)은 식물이 식재되거나 종자가 파종되는 곳으로, 재배용 매트(120)의 상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 토양층(130)은 하부 토양층(140)과 동일한 2~3㎝의 높이로 형성된다.The
하부 토양층(140)은 식물의 뿌리가 재배용 매트(120)를 통과하여 더 성장할 수 있도록 터전을 형성하는 곳으로, 재배용 매트(120)의 하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 토양층(140)은 상부 토양층(130)과 동일한 2~3㎝의 높이로 형성된다.The
이형지(150)는 재배상자(110) 내에서 상부 토양층(130), 재배용 매트(120) 및 하부 토양층(140)을 감싸도록 개재되어 상부 토양층(130), 재배용 매트(120) 및 하부 토양층(140)이 재배상자(1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한다. 이러한 이형지(150)의 소재로는 비닐이 주로 사용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소재가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사면 조성용 식물 재배유닛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ac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unit for the slop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조성용 식물 재배유닛(100)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속이 빈 재배상자(110) 내에 이형지(150)를 깐다. 이 때, 이형지(150)는 재배상자(110)의 내측 바닥뿐만 아니라 측면에 모두 접하도록 깔리게 된다.First, in order to form the
이형지(150)를 깐 후에는 이형지(150) 위에 하부 토양층(140)을 형성하기 위한 토양을 높이가 2~3㎝ 되도록 채워넣는다. 하부 토양층(140)을 형성한 후에는 하부 토양층(140)의 상면에 코코넛 또는 부직포로 제작된 재배용 매트(120)를 깐다.After covering the
재배용 매트(120)를 깐 후에는 그 위에 상부 토양층(130)을 형성하기 위한 토양을 높이가 2~3㎝ 되도록 채워넣는다. 상부 토양층(130)을 형성한 후에는 그 속에 식물의 종자를 파종하거나 일정크기로 자란 식물을 식재하게 된다.After covering the
종자를 파종하거나 식물을 식재한 후 상부 토양층(130)으로 물과 양분을 공급하게 되면, 식물이 성장하여 뿌리가 재배용 매트(120)와 엉켜 결합되고, 더 성장하면 하부 토양층(140)까지 성장하게 된다.When sowing seeds or planting plants to supply water and nutrients to the
식물이 원하는 크기로 성장하게 되면, 이형지(150)를 들어내어 재배상자(110)로부터 하부 토양층(140), 재배용 매트(120), 상부 토양층(130) 및 식물이 분리된다. 이와 같이 각 토양층(140)(130) 및 재배용 매트(120)와 함께 분리된 식물은 사면에 식재된다. 이 과정에서 일부 하부 토양층(140)은 일부 떨어져 나가기도 하나, 상부 토양층(130)의 경우에는 식물의 뿌리가 재배용 매트(120)와 엉켜 결합됨으로써 거의 떨어져 나가지 않는다.When the plant grows to a desired size, the
이와 같이 식물의 뿌리가 재배용 매트(120)와 엉켜 결합된 상태에서 사면에 식재되면 종래와 달리 아랫쪽으로의 쏠림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뿌리와 토양이 함께 사면에 정착되므로, 식물이 빠른 시간에 사면으로 뿌리내릴 수 있어 견고한 사면을 조성할 수 있다.
As such, when plant roots are entangled with the mat fo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변경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ased on the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change the scop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
100 : 사면 조성용 식물 재배유닛 110 : 재배상자
120 : 재배용 매트 130 : 상부 토양층
140 : 하부 토양층 150 : 이형지100: plant cultivation unit for the slope composition 110: cultivation box
120: cultivation mat 130: upper soil layer
140: lower soil layer 150: release paper
Claims (6)
상기 재배상자 내에 깔리어 식물의 뿌리와 엉켜 결합되는 재배용 매트; 및
상기 재배용 매트의 상부에 채워지고 식물이 식재되거나 종자가 파종되는 상부토양층;을 포함하는 사면 조성용 식물 재배유닛.A growing box for growing a plant for slope composition;
A mat for cultivation, which is entangled with the roots of plants laid in the growing box; And
Slope composition plant cultivation unit comprising ;; an upper soil layer is filled in the top of the cultivation mat and the plant is planted or the seeds are sown.
상기 재배상자 내에서 상기 재배용 매트의 하부에 채워져 식물의 뿌리가 재배용 매트의 하부로 뻗어 자라도록 하는 하부 토양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조성용 식물 재배유닛.The method of claim 1,
Slope composition plant cultivation unit further comprises a lower soil layer is filled in the bottom of the cultivation mat in the cultivation box so that the root of the plant extends to the bottom of the cultivation mat.
상기 재배용 매트는 그물망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조성용 식물 재배유닛.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ultivation mat is a plant cultivation unit for slope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net form.
상기 재배용 매트의 홀은 가로 및 세로의 크기가 1.5~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조성용 식물 재배유닛.The method of claim 3,
The hole of the cultivation mat is a plant cultivation unit for slope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1.5 ~ 2.5cm.
상기 재배상자 내에서 상기 상부 토양층, 재배용 매트 및 하부 토양층을 감싸도록 개재되어 상기 상부 토양층, 재배용 매트 및 하부 토양층이 상기 재배상자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는 이형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조성용 식물 재배유닛.The method of claim 2,
Slope composition plants further comprising a release paper interposed to surround the upper soil layer, the cultivation mat and the lower soil layer in the cultivation box so that the upper soil layer, cultivation mat and the lower soil layer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cultivation box. Cultivation unit.
상기 재배용 매트의 소재는 코코넛 또는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조성용 식물 재배유닛.The method of claim 1,
Slope composition plant cultiva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erial of the cultivation mat is coconut or non-wov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1760A KR20130037380A (en) | 2011-10-06 | 2011-10-06 | A plant cultivation unit for slope constru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1760A KR20130037380A (en) | 2011-10-06 | 2011-10-06 | A plant cultivation unit for slope construc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7380A true KR20130037380A (en) | 2013-04-16 |
Family
ID=48438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1760A Ceased KR20130037380A (en) | 2011-10-06 | 2011-10-06 | A plant cultivation unit for slope constru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37380A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718572A (en) * | 2016-12-19 | 2017-05-31 | 福建省春天生态科技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rock method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mountain |
KR20220090936A (en) | 2020-12-23 | 2022-06-30 | 손이찬 | Smart kiosks that anyone can use without restrictions |
KR20230006955A (en) | 2021-07-05 | 2023-01-12 | 정현수 | the button type kiosk system capable of height control |
KR20230068489A (en) * | 2021-11-10 | 2023-05-18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The method to produce nursery seeding pots usable with a normal trans planter machine and seeding method using the same |
KR20240018151A (en) | 2022-08-02 | 2024-02-13 | 김다희 | smart kiosk |
-
2011
- 2011-10-06 KR KR1020110101760A patent/KR20130037380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718572A (en) * | 2016-12-19 | 2017-05-31 | 福建省春天生态科技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rock method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mountain |
KR20220090936A (en) | 2020-12-23 | 2022-06-30 | 손이찬 | Smart kiosks that anyone can use without restrictions |
KR20230006955A (en) | 2021-07-05 | 2023-01-12 | 정현수 | the button type kiosk system capable of height control |
KR20230068489A (en) * | 2021-11-10 | 2023-05-18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The method to produce nursery seeding pots usable with a normal trans planter machine and seeding method using the same |
KR20240018151A (en) | 2022-08-02 | 2024-02-13 | 김다희 | smart kiosk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95210B1 (en) | Trees Growing Slope Area Greening Structure and Greening Method | |
CN110692453A (en) | A method suitable for planting Cistanche Cistanche in the Yellow River Delta region | |
CN201947623U (en) | Grass mat | |
CN103477850A (en) | Covering method and structure for degradable film of flue-cured tobacco ridge culture | |
KR20130037380A (en) | A plant cultivation unit for slope construction | |
CN106797864A (en) | The cultural method that a kind of southerm yew different growing stages are interplanted with corresponding crop | |
CN206396706U (en) | A kind of abrupt slope mountain lakeside zone restoration of the ecosystem structure | |
CN106171425A (en) | The high yield cultivating method of Radix Angelicae Pubescentis culturing and transplanting seedlings | |
KR20100136795A (en) | Vegetation ma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vegetation gabion block and vegetation gabion block using same | |
KR100580927B1 (en) | Vegetation mat manufacturing method using porous film | |
RU2400054C2 (en) | Potato growing method | |
JP6205547B2 (en) | Grass como greening sheet and construction method | |
JP3165049U (en) | Growth base holder for natural restoration greening and its structure | |
KR101261709B1 (en) | Mulching sheet for covering on flower bed | |
JP3251188U (en) | Slope greening structure | |
CN205822209U (en) | A kind of side slope is anti-erosion alleviates ladder slope | |
KR101374688B1 (en) | Method of making a green sloping ground construction using multi-layer mesh | |
JP6006744B2 (en) | Method for producing herbicidal material and method for herbicidal construction | |
KR101066624B1 (en) | Landscaping soil mound prevention landscaping structure | |
CN212896141U (en) | Ecological bank protection in river course | |
JP5699291B2 (en) | Vegetation method | |
KR100653928B1 (en) | Vegetation Bag for Frontal Greening and Green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02293493B1 (en) | Method For Afforestation | |
JP5414554B2 (en) | Greening sheet manufacturing method and slope greening method | |
KR101116910B1 (en) | The ready to setting and protected seedbed, thereof its manufacture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310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4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