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3493B1 - Method For Afforestation - Google Patents
Method For Afforest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93493B1 KR102293493B1 KR1020190088017A KR20190088017A KR102293493B1 KR 102293493 B1 KR102293493 B1 KR 102293493B1 KR 1020190088017 A KR1020190088017 A KR 1020190088017A KR 20190088017 A KR20190088017 A KR 20190088017A KR 102293493 B1 KR102293493 B1 KR 1022934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il
- film
- installing
- mesh network
- installation ste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
- A01G13/0268—
-
- A01G13/0275—
-
- A01G13/0293—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on of plants
- A01G13/30—Ground coverings
- A01G13/32—Mats; Nets; Sheets or film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on of plants
- A01G13/30—Ground coverings
- A01G13/32—Mats; Nets; Sheets or films
- A01G13/33—Sheets or film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on of plants
- A01G13/30—Ground coverings
- A01G13/38—Anchoring means for ground coverings
-
- A01G2013/00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지반을 활용함으로써 지반을 안정화하기 위한 특별한 수단을 채용하지 않아도 되며, 잡초의 성장을 방지할 수 있는 사면 녹화공법에 관한 것이다기존 토양에서 초목과 잡초를 제거하고 평탄화하는 정리단계; 잡초를 방지하기 위하여 정리된 토양 위에 생분해성 필름 또는 부직포를 덮는 필름 설치단계; 상기 필름 또는 부직포 위에 메쉬망을 설치하는 메쉬망 설치단계; 상기 메쉬망 위에 녹생토토를 포설하는 녹생토 포설단계; 상기 녹생토 위에 토양 또는 식생매트를 설치하는 식생매트 설치단계; 및 상기 토양 또는 식생매트에 조경을 위한 식물을 식재하는 식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ope greening method capable of preventing the growth of weeds without having to employ special means for stabilizing the ground by utilizing the existing ground. A film installation step of covering the biodegradable film or nonwoven fabric on the prepared soil to prevent weeds; a mesh network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a mesh network on the film or nonwoven fabric; a green soil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green soil on the mesh network; Vegetation mat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soil or vegetation mat on the green soil; and a planting step of planting plants for landscaping on the soil or vegetation mat.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면 녹화공법에 관한 것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지반을 활용함으로써 지반을 안정화하기 위한 특별한 수단을 채용하지 않아도 되며, 기존에 있던 잡초의 성장을 방지할 수 있는 사면 녹화공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ope greening method, and more specifically, to a slope greening method capable of preventing the growth of existing weeds without employing special means for stabilizing the ground by utilizing the existing ground will be.
일반적으로 사면 녹화는 하천이나 수로의 제방 및 절ㆍ성토 경사면 등 사면의 붕괴 및 우천시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식생매트 또는 식생블록 등의 구조물을 설치하여 식생기반을 조성하는 것을 말한다. In general, slope reforestation refers to the establishment of a vegetation base by installing structures such as vegetation mats or vegetation blocks in order to prevent the collapse of slopes such as embankments of rivers or waterways and slopes of cut and fill slopes and loss in rain.
근자에는 자연 생태계의 보존 및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녹지를 조성하여 환경 친화적으로 시공되고 있는 추세이다. In recent years, green areas have been created to preserve the natural ecosystem and harmonize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hich is being constructed in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anner.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하천(100) 주변의 사면(120)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근래 하천(100)의 정비에 따라 그 주변에는 산책로(110) 또는 자전거도로가 널리 조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공간은 생활주민에게 널리 사랑받는 공간이 되곤 한다. 그리고 이러한 환경에서 일반도로와 산책로(110) 사이에는 사면(120)이 존재하는데, 이 사면은 생명력이 강한 잡초가 무성하기 마련이다. 그래서 콘크리트 블럭(121)을 이용하여 지반도 강화하고 잡초의 생장도 억제하는 효과를 얻고자 노력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잡초의 생명력이나 번식력이 탁월하여 이러한 노력이 무색하게 되기 쉽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잡초의 생장을 방지하고 가드닝으로 적당한 식물로 조성하기 위해서는 이 사면의 토양(122)을 걷어내고 새로운 토양으로 배설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는 비용도 많이 소요되고 일반 도로의 붕괴 위험이 있어 추천되지 못한다. In order to prevent the growth of weeds and to form suitable plants for gardening, it is preferable to remove the
종래에 제안되었던 사면 녹화방법을 살펴보면, 특허공개번호 제10-2004-92523호에서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되고, 외벽이 수직벽으로 구성되고 내벽은 경사진 사각 외곽 틀과 외곽 틀 내부의 공간부를 4등분하는 절두 원추형 단면의 칸막이 틀로 구성되고 내부 칸막이 틀은 외곽 틀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었으며, 외곽 틀의 모서리 부분에 절각부가 형성되어, 하천의 제방이나 유수지, 해안 등의 경사면 보호에 사용되며 사면침식을 방지하는 동시에 사각틀 공간부에 토사채움과 식재시 식생녹화호안, 석재채움시 친환경 등의 여러가지 호안형태로 사용되도록 하고 있다. Looking at the slope greening method proposed in the prior art, in Patent Publication No. 10-2004-92523, it is formed of a concrete material, the outer wall is composed of a vertical wall, and the inner wall is an inclined rectangular outer frame and the space inside the outer frame is divided into 4 equal parts. It is composed of a partition frame with a truncated conical section, and the inner partition frame is lower than the outer frame, and a cutout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outer frame. At the same time, it is designed to be used in various types of revetment such as soil filling in the square frame space, revetment of vegetation when planting, and eco-friendly when filling with stone.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사각틀 환경 블록을 이용한 녹화공법은 그 블록이 개별 구성된 특성상 시공상 매우 불편하면서도, 서로간에 결속력이 약하여 우천시 우수의 유입으로 인한 토사 유실이 빈번히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한 각각의 블록이 부분적으로 붕괴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등 내구성이 약하였으며, 이에 따른 유지 관리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prior art, the greening method using a rectangular frame environment block is very inconvenient in construc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blocks, but the cohesion between each other is weak, so soil loss due to the inflow of rainwater in rainy weather occurs frequently, and each block is partially As a result, the durability was weak,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maintenance was very difficult.
또한 식재되는 식물이 불규칙하게 식재되는 특성상 외관상으로도 좋지 못한였으며, 계절별이나 주변 환경에 따른 식물의 교체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t was not good in appearance due to the nature of the planted plants being irregularly planted, and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not easy to replace the plants according to the season 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7-0124388호가 제안되었다. 이 기술은 시공상의 편리함을 가져오면서도 사면의 토사와 안정된 결속력을 가지게 함으로써, 토사의 유실로 인한 사면 붕괴를 미연에 방지하는 등 내구성의 향상을 가져오면서도 반영구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식물의 식재가 가능하게 하되, 계절 및 환경에 따라 다양한 식물의 교체 식생이 가능하게 하는 등 매우 친환경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사면 녹화공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 기술은 메쉬로부터 경사홀더의 상단면까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표면을 마감하는 콘크리트 마감공정을 포함하고 있는 바, 콘크리트 타설공정을 포함하고 있다. 이는 안정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기는 하지만, 콘크리트 부분에는 식물을 식재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For this problem,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24388 has been proposed. This technology can be applied semi-permanently while bringing durability improvement, such as preventing the collapse of the slope due to the loss of soil in advance, by having a stable bond with the soil and soil of the slope while bringing convenience in construction. It relates to a slope greening method using an integrated mesh with an inclined holder to enable planting of plants, but to be applied in a very eco-friendly manner, such as enabling replacement of various plants according to seasons and environments. However, this technology includes a concrete finishing process of pouring concrete from the mesh to the top surface of the inclined holder to finish the surface, and includes the concrete pouring process. Although this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stability, there is a problem that plants cannot be planted in the concrete par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의 지반을 그대로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다짐공사를 하지 않아도 안정적인 지반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잡초의 생장을 억제함으로써 새롭게 식재되는 조경식물의 생장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시공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사면 녹화공법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y using the existing ground as it is, it is possible to secure a stable ground without a separate compaction construction, and by suppressing the growth of weeds, it helps the growth of newly planted landscape plants.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slope greening method that can reduce construction costs and reduce construction costs.
위와 같은 목적은, 기존 토양에서 초목과 잡초를 제거하고 평탄화하는 정리단계; The above purpose, the cleaning step of removing vegetation and weeds from the existing soil and leveling;
잡초를 방지하기 위하여 정리된 토양 위에 생분해성 필름 또는 부직포를 덮는 필름 설치단계; 상기 필름 또는 부직포 위에 메쉬망을 설치하는 메쉬망 설치단계; 상기 메쉬망 위에 녹생토토를 포설하는 녹생토 포설단계; 상기 녹생토 위에 토양 또는 식생매트를 설치하는 식생매트 설치단계 및 상기 토양 또는 식생매트에 조경을 위한 식물을 식재하는 식재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녹화공법에 의해 달성된다. A film installation step of covering the biodegradable film or nonwoven fabric on the prepared soil to prevent weeds; a mesh network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a mesh network on the film or nonwoven fabric; a green soil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green soil on the mesh network; A vegetation mat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soil or a vegetation mat on the green soil and a planting step of planting a plant for landscaping on the soil or vegetation mat; It is achieved by a slope greening method comprising a.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필름설치단계에서 상기 필름에 미리 구멍을 타공하는 타공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m installation step may further include a perforating step of pre-perforating a hole in the film.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메쉬망은 생분해성을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sh network may be to use biodegradability.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필름은 고정핀에 의해 기존 토양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m can be fixed to the existing soil by a fixing pin.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초목과 잡초만을 제거한 상태에서 그대로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지반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어서 지반이 안정적인 사면 녹화공법이 제공된다. 또한 필름과 메쉬망을 설치함으로써 기존 지반에 있던 잡초의 씨앗이나 뿌리가 생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반을 강화하기 위한 별도의 시설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공시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existing ground is used as it is by using it as it is in a state in which only vegetation and weeds are removed, a stable slope greening method is provided. In addition, by installing a film and a mesh network,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rowth of seeds or roots of weeds in the existing gr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facility for strengthening the grou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construction.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환경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시공방법에 의한 결과물의 사시적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시공방법에 의한 결과물의 층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면 녹화공법을 시행하는 과정의 순서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nviron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sultant construction metho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3 is a layer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resultant construction metho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4 is a flowchart of a process of implementing the slope gree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시공공법을 단계적으로 표현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showing the construction method step by step.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기존 토양(122)에서 잡초와 초목를 제거하고 평탄화하는 정리단계(S10)가 선행된다. 잡초 등을 제거하고 나면 지표면이 울퉁불퉁하게 될 것이다. 그러면 수동 또는 기계를 이용하여 평탄화하는 작업이 시행된다.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step (S10) of removing weeds and vegetation from the existing
잡초와 초목를 제거한 상태이므로 정리된 토양(122)에는 잡초 등의 씨앗 내지 생장이 가능한 뿌리가 남아있을 수 있으며, 이들을 방치하면 잡초와 초목이 다시금 자라게 된다. 그러므로 이 상태에서 조경을 위한 식물을 식재하는 경우에는 잡초가 너무 무성하여 관리하기가 어렵게 된다. Since weeds and vegetation have been removed, seeds or growing roots such as weeds may remain in the cleaned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본 발명은 정리된 토양(122) 위에 생분해성 필름(10)을 덮는 필름 설치단계(S20)를 제안한다. 필름(10)은 밭에 고추, 가지, 토마토 등의 작물을 재배할 때 잡초를 방지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는 것이다. 필름(10)은 일반적으로 검은색의 얇은 합성수지로 되어 있다. For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film installation step (S20) covering the
필름(10)에는 포설하기 전에 미리 소정의 펀칭기구(미도시됨)를 이용하여 필름(10)에 종횡으로 천공을 실시한다. 천공에 의하면 도 3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11)이 생기게 되며, 구멍(11)이 생긴 각 부분에는 라운드 형태의 절단부(12)가 마련되게 된다. The
이 절단부(12)는 필름(10)의 포설시 토양(122) 속에 박히게 된다. 씨앗이 발아를 하더라고 이 절단부(12)에 걸려서 구멍(11) 밖으로 새싹이 돋아나질 못하게 할 수 있다. 즉 기존의 잡초 등의 씨앗이 기존의 토양(122)에서 발아를 하고 새싹이 자라더라도 필름(10)의 저면에 부딪혀 더이상 생장을 하지 못하고 사멸하게 된다. The
잡초 등의 새싹이 행여 구멍(11)을 향하여 성장하더라도 화살표(A1)로 도시된 방향을 따라 생장하게 된다. 즉 구멍(11)을 만드는 과정에서 라운드 형태로 생기게 된 절단부(12)에 의해 오히려 토양(122)의 아래쪽을 향하도록 생장이 유도된다. 더 나아가 이 구멍(11)을 통해 생장이 이루어지더라도 그 속도가 늦어져 새로 식재한 식물과의 경쟁에서 낙오되어 더 이상의 생장을 할 수 없게 된다. Even if sprouts such as weeds grow toward the
결과적으로 필름에 구멍(11)을 종횡으로 뚫어놓더라도 기존의 토양(122)에서 잡초의 씨앗이 발아하고 정상적으로 생장하여 새로 식재한 관상용 식물과의 경쟁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As a result, even if the
반면, 필름(10) 위에 잔디, 화초와 같은 새로운 식물의 씨앗을 살포하는 경우에는 이 구멍(11)을 통해 화살표(A2) 방향을 따라 새로운 식물의 뿌리가 생장을 할 수 있게 된다. 이 구멍(11)을 통해 수분은 상하로 통과될 수 있으므로 필름(10)은 투수성을 갖게 되며 생장을 위하여 필요한 수분을 아래 토양으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이 구멍(11)의 직경은 0.1 ~ 2mm가 될 수 있다. 구멍(11)의 간격은 가로와 세로로 10 ~ 100mm가 될 수 있다. 물론 이 수치는 예시일 뿐 여기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eds of new plants, such as grass and flowers, are sprayed on the
필름(10)의 설치시 이 절단부(12)가 기존 지면을 향하도록 방향성에 주의를 하여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 필름(10)에는 상하면이 구분되도록 인쇄 등에 의한 표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필름(110)의 표면에 색상을 달리하여 상면을 나타내기 위한 인쇄를 가할 수 있다. At the time of installation of the
필름(10)의 표면은 매끄럽기 때문에 경사면에서 미끄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필름(10)을 포설한 다음 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13)을 군데군데 박아넣을 수 있다. 고정핀(13)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폐하여 없어지게 되는 소재로 되어 있을 수 있다. 고정핀(13)은 헤드와 몸체를 갖는 일반적인 못과 유사한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필름(10)을 대체하여 얇은 부직포를 사용할 수도 있다. Since the surface of the
이후, 필름(10) 위에 매트 형태의 메쉬망(20)을 설치하는 메쉬망 설치단계(S30)가 후속된다. 메쉬망(20)은 눈(eye)의 크기가 0.1 ~ 2mm 가 되는 것으로서, 생분해성이 사용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메쉬망(20)은 잡초의 생장을 방지하며 새로 포설되는 토양의 고정화를 위하여 사용된다. 메쉬망(20)은 식물성 소재로서 도 6의 확대도에서와 같이 종횡으로 직조된 것일 수 있다. Thereafter, a mesh network installation step (S30) of installing the
이후 메쉬망(20) 위에 새로운 녹생토(30)를 포설하고 경화시키는 녹생토 포설단계(S40)가 이어진다. 녹생토(30)는 하천 준설에 의해 재생된 것으로서 환경보호에 더 유익한 효과를 제공한다. 녹생토는 점도를 가지고 있어서 사면에의 고정성이 양호하므로 이후 설치되는 토양 또는 식생매트(40)의 정착을 돕는다. Thereafter, a green green soil installation step (S40) of installing and curing a new
녹생토(30)의 두께(T)는 가능한 두꺼울수록 좋으나 5 ~ 200mm 정도는 되도록 한다. The thickness (T) of the
이후 녹생토 위에 토양 또는 식생매트(40)를 덮는다. 이후 토양 또는 식생매트에 식물을 식재하면, 조경식물(F)은 이 토양 또는 식생매트(40)를 기반으로 하여 생장하게 될 것이다. Then, the soil or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a few example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using the illustrated bar without going beyo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expressed through the claims. For example, all embodiments described above can be freely combined and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ny combina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필름 11 : 구멍
12 : 절단부 20 : 메쉬망
30 : 녹생토 40 : 식생매트
F : 조경식물10: film 11: hole
12: cutting part 20: mesh network
30: green soil 40: vegetation mat
F : Landscape plants
Claims (4)
잡초를 방지하기 위하여 정리된 토양 위에 생분해성 필름 또는 부직포를 덮는 필름 설치단계;
상기 필름 또는 부직포 위에 메쉬망을 설치하는 메쉬망 설치단계;
상기 메쉬망 위에 녹생토를 포설하는 녹생토 포설단계;
상기 녹생토 위에 토양 또는 식생매트를 설치하는 식생매트 설치단계; 및
상기 토양 또는 식생매트에 조경을 위한 식물을 식재하는 식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 설치단계에서, 상기 필름에 구멍을 천공하여 구멍이 생긴 각 부분에 라운드 형태의 절단부가 마련되도록 하는 타공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멍은 필름을 설치하기 전에 미리 천공하고, 상기 절단부는 필름의 포설시 토양 속에 박히도록 하며,
상기 메쉬망은 생분해성 매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녹화공법.
A cleanup step of removing vegetation and weeds from the existing soil and leveling it;
A film installation step of covering the biodegradable film or nonwoven fabric on the prepared soil to prevent weeds;
a mesh network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a mesh network on the film or nonwoven fabric;
a green soil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green soil on the mesh network;
Vegetation mat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soil or vegetation mat on the green soil; and
A planting step of planting plants for landscaping on the soil or vegetation mat;
In the film installation step, a hole is drilled in the film to further include a punching step of providing a round-shaped cut part in each part where the hole is made, the hole is pre-drilled before installing the film, and the cut part is the film to be embedded in the soil when installing
The mesh network is a slope green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using a biodegradable ma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8017A KR102293493B1 (en) | 2019-07-22 | 2019-07-22 | Method For Afforest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8017A KR102293493B1 (en) | 2019-07-22 | 2019-07-22 | Method For Afforesta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11092A KR20210011092A (en) | 2021-02-01 |
KR102293493B1 true KR102293493B1 (en) | 2021-08-25 |
Family
ID=74571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8017A Active KR102293493B1 (en) | 2019-07-22 | 2019-07-22 | Method For Afforest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93493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1978B1 (en) * | 2007-03-20 | 2008-06-27 | 박상희 |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method of vegetation mattress |
KR101978255B1 (en) * | 2018-01-23 | 2019-05-15 | (주)에코블록 | Vegetation Mat using Perforated Non Woven Fabric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92523A (en) | 2003-04-24 | 2004-11-04 | 박정림 | Quadrilateral frame encironmental block |
KR101033011B1 (en) * | 2008-07-07 | 2011-05-09 | 코오롱건설주식회사 | Reclamation of slope and its use |
KR101900728B1 (en) | 2016-05-02 | 2018-09-20 | 박공영 | afforestation method using a slanted holder one-piece mesh |
KR101950326B1 (en) * | 2016-11-30 | 2019-02-20 | 주식회사 에이엔텍 | Bio Vegetation Mat |
-
2019
- 2019-07-22 KR KR1020190088017A patent/KR10229349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1978B1 (en) * | 2007-03-20 | 2008-06-27 | 박상희 |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method of vegetation mattress |
KR101978255B1 (en) * | 2018-01-23 | 2019-05-15 | (주)에코블록 | Vegetation Mat using Perforated Non Woven Fabric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11092A (en) | 2021-0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9315200A (en) | Vegetation Restoration Method of Highway Slope in Qinghai Plateau | |
KR101273514B1 (en) | Tree-planting structure of rock slop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100654174B1 (en) | Line net for recording | |
KR101157531B1 (en) | Planted lawn glass mat for ecological restoration and its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421111B1 (en) | Manufacturing and making method of floating type mat using rhizome of hygrophytic plant | |
KR101659168B1 (en) | Rock cutting slope revegetation method | |
JP2018066159A (en) | Method of constructing slope face and sheet body used therefor | |
KR20120038665A (en) | Earth ancho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0413811Y1 (en) | Vegetation revetment nonwoven fabric | |
KR20130037380A (en) | A plant cultivation unit for slope construction | |
KR102293493B1 (en) | Method For Afforestation | |
KR100841978B1 (en) |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method of vegetation mattress | |
KR100518943B1 (en) | A method of constructing gabion mattress with cylinder coir roll | |
JP3203360U (en) | Perforated weed suppression greening sheet with fertilizer belt | |
KR101002043B1 (en) | Frontal recording sheet and frontal record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00859853B1 (en) |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method of vegetation mattress | |
KR102227676B1 (en) | Gavion Mattress for Vegetation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 Same | |
KR100671902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environmentally friendly levee construction | |
KR20060105916A (en) | Gab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vegetation mattress | |
JP5699291B2 (en) | Vegetation method | |
KR100628034B1 (en) | Vegetation Mat | |
KR100814749B1 (en) | Restoration Restoration Structure Using Existing Gab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JP2000120072A (en) | Device for greening slope | |
JP3421735B2 (en) | Greening method | |
JP2717368B2 (en) | Slope planting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8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8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