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36349A - 업링크 제어 채널에 최적화된 로컬 영역 - Google Patents

업링크 제어 채널에 최적화된 로컬 영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6349A
KR20130036349A KR1020137004423A KR20137004423A KR20130036349A KR 20130036349 A KR20130036349 A KR 20130036349A KR 1020137004423 A KR1020137004423 A KR 1020137004423A KR 20137004423 A KR20137004423 A KR 20137004423A KR 20130036349 A KR20130036349 A KR 20130036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link
control channel
data
channel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4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4875B1 (ko
Inventor
카리 페카 파주코스키
에사 타파니 티이로라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지멘스 네트웍스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지멘스 네트웍스 오와이 filed Critical 노키아 지멘스 네트웍스 오와이
Publication of KR20130036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6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4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487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frequency 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엘리먼트 사이에서의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이 기술된다. 본 방법은 송신 동안에, SRS, 제어 채널, DRS 및 데이터 채널 사이에서 TDM 및 FDM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군집된(clustered) 서브 캐리어 맵핑은 SRS 및 제어 채널에 대하여 적용된다. SRS는 제어 채널에 대하여 DRS로서 기능하도록 송신된다.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은 동일한 서브-프레임 동안에 송신된다. 또한 본 방법은 동일한 서브-프레임 동안에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 및 SRS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어 정보 및 데이터는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로부터 추출된다. SRS는 본 방법에 제어 채널에 대하여 DRS이 포함되는 바와 같이 이용된다.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또한 기술된다.

Description

업링크 제어 채널에 최적화된 로컬 영역{LOCAL AREA OPTIMIZED UPLINK CONTROL CHANNEL}
본 발명의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들, 방법들, 디바이스들 및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들에 관한 것이고, 더욱 특정하게는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 사이에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기법들에 관한 것이다.
본 섹션은 청구범위에 상세히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배경 또는 환경(context)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명세서에서의 설명은 추구될 수 있는 개념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그러나 이전에 착상되거나 또는 추구되는 것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표시되지 않는다면, 본 섹션에 기술되는 것은 본 출원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대한 선행기술은 아니고 그리고 본 섹션에 포함된다 하여 선행기술로서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 및/또는 도시하는 도면에 나타난 다양한 약어들이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3GPP 제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ACK 긍정 확인응답(acknowlegement)
BS 기지국(base station)
BW 대역폭(bandwidth)
CDM 코드 분할 멀티플렉싱(code division multiplexing)
CM 큐빅 메트릭(cubic metric)
CQI 채널 품질 표시자(channel quality indicator)
DFT-S 이산 푸리에 변환-동기(discrete Fourier transform-synchronous)
DL 다운링크(downlink)
DRS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또는 DM RS)
DRX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s)
DTX 불연속 송신(discontinuous transmission)
eNB 진화된 노드 B(evolved Node B)
EUTRAN 진화된 UTRAN (evolved UTRAN)
FDD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M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DMA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tiple access)
FH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
HARQ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FDMA 인터리빙된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interleaved frequency division mutiple access)
ITU 국제 원격통신 연합(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R ITU 무선통신 섹터(ITU radiocommunication sector)
LA 로컬 영역(local area)
LTE 롱 텀 이볼루션(long term evolution)
NACK 부정(negative) ACK (또는 NAK)
Node B 기지국(base station)
OF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PAR 피크 대 평균 비(peak to average ratio)
PDCCH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SCH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CCH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SCH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QAM 직각위상 진폭 변조(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QPSK 직각위상 위상-이동 키잉(quadrature phase-shift keying)
RACH 랜덤 액세스 채널(random access channel)
RB 무선 대역(radio band)
Rel.8 3GPP 릴리즈 8(3GPP release 8)
Rel.9 3GPP 릴리즈 9(3GPP release 9)
*RF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PF 반복 인자(repetition factor)
RRC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S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SC 단일 캐리어(single carrier)
SINR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signal to interference-plus-noise ratio)
SNR 신호 대 잡음 비(signal-to-noise ratio)
SRI 스케줄링 요청 표시자(scheduling request indicator)
SRS 사운딩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TDD 시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M 시 분할 멀티플렉싱(time division multiplexing)
TTI 송신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nal)
UE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L 업링크 (uplink)
UMTS 유니버셜 모바일 원격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pPTS 업링크 파일럿 타임슬롯(uplink pilot timeslot)
UTRA UMTS 지상 무선 액세스(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UTRAN 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WA 와이드 영역(wide area)
진화된 UTRAN(EUTRAN, UTRAN-LTE 또는 E-UTRA로서 또한 지칭됨)과 같은 제안되는 통신 시스템은 3GPP 내에서 일반적으로 발전 중이다. 일반적으로 특정되는 DL 액세스 기법은 OFDMA이고, 그리고 UL 액세스 기법은 SC-FDMA이다.
본 발명과 연관되는 이런 이슈 및 다른 이슈들에 관심있는 하나의 명세서는 3GPP TS 36.300, V8.3.0(2007-12), 제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기술 명세서 그룹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진화된 유니버셜 지상 무선 액세스 (E-UTRA) 및 진화된 유니버셜 지상 액세스 네트워크 (E-UTRAN); 전체 설명; 스테이지 2 (릴리즈 8)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히 관심있는 것은, 예컨대, 하위 조항 5.2.3,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이고, 이는 PUCCH가 업링크에서 제어 채널 리소스에 맵핑되는 것을 기술한다. 제어 채널 리소스는 슬롯 경계에서의 주파수 호핑을 이용하여 시간적으로 연속인, 코드 채널 및 두 개의 리소스 블록들에 의하여 정의된다. 업링크 타이밍 동기화의 존재 또는 부재에 따라, 업링크 물리 제어 시그널링은 달라질 수 있다. 시간 동기화가 존재하는 경우에 제어 시그널링은 CQI, ACK/NAK 및 스케줄링 요청 표시자(SRI)로 구성된다. 상기 CQI는 UE에 의하여 보여지는 바와 같은 현재의 채널 컨디션들에 관하여 스케줄러에 통지한다. 다중-입력 및 다중-출력 (MIMO) 송신이 사용된다면, CQI는 필수적인 MIMO-관련 피드백을 포함한다.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에 응답하는 HARQ 피드백은 HARQ 프로세스당 단일 ACK/NACK 비트로 구성된다. SRI 및 CQI 보고함(reporting)에 대한 PUCCH 리소스들은 할당되고 그리고 RRC 시그널링을 통하여 철회(revoke)될 수 있다. SRI는 RACH를 통하여 동기화를 포착하는 UE들로 반드시 할당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동기화된 UE들은 전용 SRI 채널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갖지 않을 수 있다). UE가 더이상 동기화되지 않을 때 SRI 및 CQI에 대한 PUCCH 리소스들은 상실된다.
또한 PUSCH(섹션 5.3), PUCCH(섹션 5.4) 및 섹션 5.5에서의 (PUSCH 또는 PUCCH의 송신과 연관되는) 기준 신호들 DM RS 및 (PUSCH 또는 PUCCH의 송신과 연관되지 않는) SRS을 포함하는 UL 물리 채널들의 섹션 5에서의 설명을 위한 3GPP TR 36.211 V1.0.0(2007-03), 제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기술 명세서 그룹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물리 채널들 및 변조 (릴리즈 8)가 참조될 수 있다.
최근에 제안되는 것은 Rel.9 또는 진보된-LTE (LTE-A)로서 지칭될 수 있는, Rel.8 (LTE) 시스템으로의 향상들이었다. LTE의 하위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 및 LTE의 추가 릴리즈들이 강조되었다. LTE Rel.8 단말들이 LTE-A 시스템에서 동작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결정되었다. 더욱이, LTE-A 단말들이 LTE Rel.8 시스템에서 동작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결정되었다. LTE-A 시스템은 상당히 더 넓은 대역폭 (예컨대, 100MHz), 예컨대, 20MHz 캐리어들로 묶인(bond) 5개의 채널로 구성된 대역폭을 제공할 수 있다.
3GPP TSG RAN WG1 회의 #53, 캔자스 시티, USA, 2008년 5월 5-9일, R1-081948, 진보된-LTE 기술들에 관한 제안들, NTT DoCoMo, Inc.이 LTE-A에 관하여 참조될 수 있다.
또한 3GPP TR 36.913, V0.0.6(2008-05), 제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기술 명세서 그룹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E-UTRA (진보된-LTE)에 대한 추가의 진보를 위한 요구사항들(릴리즈 X)이 참조될 수 있다.
높은 데이터 레이트들 및 낮은 비용을 갖는 새로운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로컬 영역(LA) 액세스 솔루션들에 대한 3GPP 무선 액세스 기술들을 확장하고 최적화하는 것에 대한 증가하는 관심의 집중(focus)이 있다.
언급될 하나의 문제는 UL 제어 채널 설계 상에서 관련되는(bearing) Rel.8 (FDD/TDD) 및 LTE-A 가정(assumption)들 사이에서의 차이점들과 같이, LTE-A FDD/TDD 시스템에서 UL 제어 채널 송신을 최상으로 배열/최적화하는 방법이다.
IFDMA와 사운딩 기준 신호를 결합하는 것은 R1-050816, "UL에서 SC-FDMA를 이용한 주파수-도메인 스케줄링", 제 3세대 TSG-RAN 회의 #42, 런던, UK, 2005년 8월 29-9월 2일, Nokia에서 소개된다.
또한 관심있는 것은 R1-061862, "업링크 비-데이터-연관 제어 시그널링", TSG-RAN WG1 LTE 애드혹(AdHoc), 칸느, france, 6월 27-30일, 2006, Ericsson이다. 본 명세서에서 도 1은 R1-061862의 도 2-1을 재현하고 그리고 분포되고 로컬화되는 송신들이 하나의 UL TTI 내에서 멀티플렉싱된 시간에 존재하는 방법의 원리를 보여준다. 분포되는 부분은 TTI의 시작에서 송신되고,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블록을 포함한다. 업링크 프레임 구조에서 제 1 긴 블록은 두 개의 짧은 블록들로 쪼개진다. 제 1 짧은 블록은 ACK/NACK 송신에 대하여 이용되고, 상이한 UE들은 상이한 "콤(comb)들"을 이용함으로써 주파수 도메인에서 분리된다. 어떤 "콤"을 사용할지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할당에 의하여 주어진다. 제 2 짧은 블록은 ACK/NACK의 코히어런트한(coherent) 복조 및 채널 사운딩에 대한 기준 신호들에 대하여 이용된다.
지금까지 충분하게 다뤄지지 않았던 문제는 Rel.8을 이용하는 LTE-A의 하위 호환성에 관한 것, 즉, 동일한 물리 리소스에서 동작하는 LTE 단말들을 갖는 하위 호환성이 유지될 수 있는 방식으로 제어 채널 송신을 최적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의 발명의 내용 섹션은 단지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이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이용에 의하여, 이전의 문제점 및 다른 문제점들은 극복되고, 그리고 다른 이점들이 실현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로부터의 일 양상에서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엘리먼트 사이에서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방법은 송신 동안에, 사운딩 기준 신호, 제어 채널, 복조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채널 사이에 시 분할 멀티플렉싱 및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또한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 및 상기 제어 채널에 대하여 군집된(clustered) 서브-캐리어 맵핑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채널에 대하여 복조 기준 신호로서 기능하도록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본 방법에 포함된다. 본 방법은 또한 동일한 서브-프레임 동안에 상기 제어 채널 및 상기 데이터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로부터의 추가의 양상에서,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단말 디바이스로부터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방법은 사운딩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동일한 서브-프레임 동안에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또한 상기 제어 채널 및 상기 데이터 채널로부터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채널에 대한 복조 기준 신호로서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를 이용하는 단계는 본 방법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로부터의 다른 양상에서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엘리먼트 사이에서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유형적으로(tangibly) 인코딩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동작들은 송신 동안에, 사운딩 기준 신호, 제어 채널, 복조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채널 사이에 시 분할 멀티플렉싱 및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 및 상기 제어 채널에 대하여 군집된(clustered) 서브-캐리어 맵핑을 적용하는 동작은 본 방법에 또한 포함된다. 본 방법은 또한 상기 제어 채널에 대하여 복조 기준 신호로서 기능하도록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 및 동일한 서브-프레임 동안에 상기 제어 채널 및 상기 데이터 채널을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로부터의 추가 양상에서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유형적으로 인코딩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동작들은 사운딩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것 및 동일한 서브-프레임 동안에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 채널 및 상기 데이터 채널로부터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추출하는 동작은 또한 본 방법에 포함된다. 본 방법은 상기 제어 채널에 대한 복조 기준 신호로서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를 이용하는 동작을 또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로부터의 다른 양상에서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엘리먼트 사이에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이하의 것: 송신 동안에, 사운딩 기준 신호, 제어 채널, 복조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채널 사이에 시 분할 멀티플렉싱 및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고;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 및 상기 제어 채널에 대하여 군집된(clustered) 서브-캐리어 맵핑을 적용하며; 상기 제어 채널에 대하여 복조 기준 신호로서 기능하도록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의 송신을 야기하기 위하여 신호를 발생시키고; 그리고 동일한 서브-프레임 동안에 상기 제어 채널 및 상기 데이터 채널의 송신을 야기하기 위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로부터의 추가 양상에서 단말 디바이스로부터의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수신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이하의 것: 사운딩 기준 신호의 수신을 야기하기 위하여 신호를 발생시키고; 동일한 서브-프레임 동안에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의 수신을 야기하기 위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제어 채널 및 상기 데이터 채널로부터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리고 상기 제어 채널에 대하여 복조 기준 신호로서 기능하도록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를 이용하는 것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로부터의 다른 양상에서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엘리먼트 사이에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송신 동안에, 사운딩 기준 신호, 제어 채널, 복조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채널 사이에 시 분할 멀티플렉싱 및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 및 상기 제어 채널에 대하여 군집된(clustered) 서브-캐리어 맵핑을 적용하기 위한 수단이 또한 포함된다. 상기 장치는 상기 제어 채널에 대하여 복조 기준 신호로서 기능하도록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의 송신을 야기하기 위하여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동일한 서브-프레임 동안에 상기 제어 채널 및 상기 데이터 채널의 송신을 야기하기 위하여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이 또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로부터의 추가 양상에서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사운딩 기준 신호의 수신을 야기하기 위하여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동일한 서브-프레임 동안에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의 수신을 야기하기 위하여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이 또한 포함된다.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제어 채널 및 상기 데이터 채널로부터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 채널에 대하여 복조 기준 신호로서 기능하도록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를 이용하기 위한 수단이 또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이전의 양상 및 다른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해석할 때,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더욱 명확해진다:
도 1은 R1-061862의 도 2-1을 재현하고 슬롯 포맷을 도시한다.
도 2는 SRS, 제어 신호들(PUCCH), DM RS 및 데이터(PUSCH)를 송신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하위 비-호환 실시예에서의 이용을 위하여 조직된 바와 같은 시/주파수 리소소들을 도시한다.
도 3은 SRS, 제어 신호들(PUCCH), DM RS 및 데이터(PUSCH)를 송신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본 발명의 제 1 하위 호환 실시예에서의 이용을 위하여 조직된 바와 같은 시/주파수 리소스들을 도시한다.
도 4는 SRS, 제어 신호들(PUCCH), DM RS 및 데이터(PUSCH)를 송신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본 발명의 제 2 하위 호환 실시예에서의 이용을 위하여 조직된 바와 같은 시/주파수 리소스들을 도시한다.
도 5는 다수의 유효 클러스터들을 배가시키는 슬롯-기반 주파수 호핑을 포함하도록 변경된 도 4의 제 2 하위 호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은 군집된 서브-캐리어 맵핑의 원리를 도시한다.
도 7은 리소스 인덱싱의 비-제한적인 예이다.
도 8은 다양한 변조 타입들 및 레이트들에 대하여 제어 채널들에 대한 블록당 이용가능한 수의 비트들의 예를 나타내는 표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이용에 적합한 다양한 전자 디바이스들의 간략화된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0으로서 집합적으로 지칭되는, 10A 및 10B는 두 개의 클러스터들과 함께 군집된 서브-캐리어 송신의 특정 경우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과 일치하는 방법의 동작을 도시하는 논리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과 일치하는 또다른 방법의 동작을 도시하는 논리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LTE-A 시스템, 이를 테면 진보된-IMT에 대한 ITU-R 요구사항들을 준수하는 LA-최적화된 무선 시스템과 같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의 양상은 짝이 없는 스펙트럼에서 TDD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LTE-A는 넓은 영역(WA) 및 동작의 FDD 양상들을 또한 포괄(encompass)할 수 있도록 진화될 수 있다는 것에 또한 주목해야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사운딩 기준 신호, 데이터-비-연관 제어 채널 (주파수 다이버시티 송신) 및 UL 공유 데이터 채널에 대한 멀티플렉싱 배열을 제공한다. 이런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이용이 유익할 수 있는 시스템의 하나의 타입은 유연하고 광활한 RF 대역폭(예컨대, 100 MHz 까지)을 갖는 노매딕(nomadic)/LA 최적화된 UL을 나타내는 시스템이다.
제기되는 문제는 LTE Rel.8과 비교될 때의 LTE-A에 대하여 요구되는 하위 호환성의 정도(degree)이다. LTE-A에 관한 하나의 적절한 가정은 UE가 20MHz 최소 용량을 가질 것이라는 것이다. 또다른 적절한 가정은 하위 호환 무선 배열은 100MHz 시스템 대역폭을 구성하는 N x 20MHz 주파수 청크(chunk)들을 포함한다는 것이다(N=1, 2, 3, 4, 5).
LTE-A 요구사항들은 LTE Rel.8 TDD/FDD의 요구사항들과는 매우 상이하다는 것이 주목될 수 있다. 하나의 주요 차이는 최대 개수의 제어 비트들이 LTE-A에서 상당히 더 클 수 있다는 것이다. LTE-A LA에서의 전개 시나리오는 LTE에서 가정된 매크로 셀 접근법과 매우 상이하다는 것이 또한 주목될 수 있다. LA 환경의 하나의 중요성은 제어 시그널링에 관하여 어떠한 커버리지 문제점이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요구사항들의 관점으로부터 충분한 정도의 주파수 다이버시티가 이를 테면 (DL) ACK/NACK 및 CQI와 같은 UL 데이터-비-연관 제어 시그널링에 대하여 요구될 수 있다. 이는 제어 시그널링이 시간-임계적이기 때문이고, HARQ의 이용이 유익하지 않기 때문이다. TTD 관점에서, UE가 UL 채널의 고속 페이딩 특성들의 완전한 인식을 갖는다(상반성 때문에)고 하더라도, UE는 UL에서의 순간적 간섭 상황의 어떠한 인식도 갖지 않는다(LA는 맹렬히 간섭에 제한된다는 것을 주목한다). 더욱이, e노드 B는 UL 제어 채널들에 대하여 리소스 할당 책임이 있다는 것이 가정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상기 UE는 UL 제어 시그널링에서의 채널 인식으로부터 이익을 얻고, 이는 주파수 다이버시티 송신이 사용되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LTE 베이스라인 구성/파라미터들은 이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LTE TDD에서의 UL 제어 시그널링은 매크로 셀룰러 환경에 대하여 최적화되었고 (즉, 커버리지 제한 케이스), 그리고 두 개의 클래스들로 분할된다:
1. UL 데이터의 부재 시에 제어 시그널링: PUCCH가 사용됨 (PUCCH 리소스 블록 내부의 UE들 사이에서 CDM, PUCCH 리소스 블록들 외부의 UE들 사이에서 FDM); 및
2. UL 데이터의 존재 시에 제어 시그널링: PUSCH가 사용됨 (제어 및 데이터 사이에서 TDM).
PUCCH와 PUSCH의 동시 송신은 지원되지 않는다. PUCCH 상에서의 제어 시그널링은 180KHz 대역폭을 이용하는 시퀀스 변조에 기초한다. 더욱이, 주파수 다이버시티의 충분한 정도를 획득하기 위하여 슬롯-기반 주파수 호핑 기법이 항상 적용된다. 게다가, LTE에서 UL 사운딩 및 UL 제어 시그널링은 완전하게 연결해제(decouple)된다.
LTE 접근법이 LTE-A 시스템에 적용될 것이라면, 적어도 몇몇의 문제점들이 일어날 수 있다. 일반적으로, UL 제어 채널 배열의 관점에서 LTE 접근법은 LA 환경에서 최적의 해법이 아니다. 더욱 특정하게는, LTE 접근법은 LA-최적화 시스템에서 LTE에서와 같이, UL 데이터를 갖는 제어 시그널링 및 UL 데이터를 갖지 않는 제어 시그널링에 대한 개별 리소스들을 갖기 위한 커버리지 이유(reason)가 없다는 것을 나타내줄 수 있다. 더욱이, 전체의 TTI에 걸친 PUCCH 송신 스패닝(span)은 UE 전력 소비의 측면(커버리지가 문제가 되지 않는 경우에)으로부터 최적화될 수 없다. 일반적으로, 데이터와 제어 사이에 TDM은 DTX 절차와 함께 잘 이용된다. 또한, LTE에서 이용되는 시퀀스 변조는 서브프레임당 최대 20개의 코딩되지 않은 비티들을 제공한다. (두 개의 코드 채널들을 갖는 멀티코드를 갖는 40 비트들). 이것은 LTE-A 요구사항들과 비교해볼 때, 특히 TDD 모드에서 대략 100-200 개의 코딩된 제어 비트들까지 요구될 수 있다. 추가로 이와 관련하여, 멀티코드들을 이용함 없이 시퀀스 변조를 이용할 때, PUCCH 대역폭을 증가시키는 것은 페이로드(payload)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는다는 것을 주목한다 (CM을 차례로 증가시킴). 추가로, 오버헤드의 관점으로부터 제어 채널에 대하여 그리고 UL 사운딩 기준 신호에 대하여 개별 RS 리소스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그것은 효율적이지 않다. 더욱이, 또 다른 문제점은 LA 환경에서 충분히 더 높을 수 있는 SINR의 관점에서 동작 포인트에 관한 것이다. 주파수 다이버시티 송신을 최적화할 때 (즉, 채널 추정 에러와 다수의 클러스터들 사이의 트레이드-오프(trade-off)), 증가된 SINR은 증가된 수의 클러스터들로 변형(translate)한다 (슬롯-기반 FH는 단지 두 개의 클러스터들을 활용함).
이상에서 주목된 바와 같이, 지금까지 충분하게 다뤄지지 않았던 문제는 Rel.8을 이용하는 LTE-A의 하위 호환성에 관한 것, 즉, 동일한 물리 리소스에서 동작하는 LTE 단말들을 갖는 하위 호환성이 유지될 수 있는 방식으로 제어 채널 송신을 최적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논의하기 전에,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이행하는데 있어서 이용에 적합한 다양한 전자 디바이스들의 간략화한 블록도를 도시하기 위한 도 9가 참조가 된다. 도 9에서 무선 네트워크(1)는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 UE(10)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는 장치(10)와 이를 테면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 노드 B (기지국)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고 더욱 특정하게는 eNB(12)로 지칭될 수 있는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12)와 같은 다른 장치를 통하여 통신하기 위하여 적응된다. 상기 UE(10)는 데이터 프로세서(DP)(10A), 프로그램 (PROG)(10C)을 저장한 메모리(MEM)(10B), 그리고 eNB(12)와의 양방향(bidirectional) 무선 통신을 위한 적절한 무선 주파수(RF) 트랜시버(10D)를 포함하고, 또한 DP(12A), PROG(12C)을 저장한 MEM(12B), 그리고 적절한 RF 트랜시버(12D)를 포함한다. 상기 PROG들(10C 및 12C) 중 적어도 하나는 이하에 더욱 상세하게 논의될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상기 전자 디바이스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연관되는 DP에 의하여 실행될 때, 프로그램 명령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즉,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UE(10)의 DP(10A) 및 eNB(12)의 DP(12A)에 의하여 실행가능한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의하거나 또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에 의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eNB(12)에 의하여 서비스되는 복수의 UE들(10)이 존재한다. eNB(10)들은 동일하게 해석될 수 있거나 해석되지 않을 수 있지만, 그러나 일반적으로 무선 네트워크(1)에서 동작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등가의 네트워크 프로토콜들 및 표준들과 전기적으로 그리고 논리적으로 호환가능한 것으로 모두 가정된다. 주어진 예에서 이런 UE(10)들 중 몇몇은 Rel.8 UE들일 수 있고, 몇몇은 LTE-A UE들 일 수 있고, 그리고 몇몇은 Rel.8 UE로서 또한 동작할 수 있는 LTE-A UE들일 수 있다.
상기 UE(10)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셀룰러 전화기들, 무선 통신 능력들을 갖는 개인용 정보 단말기(PDA)들, 무선 통신 능력들을 갖는 휴대용 컴퓨터들, 무선 통신 능력들을 갖는 이를 테면 디지털 카메라들과 같은 이미지 캡쳐 디바이스들, 무선 통신 능력들을 갖는 게이밍 디바이스들, 무선 통신 능력들을 갖는 음악 저장소 및 재생 가전(palyback appliance)들, 무선 인터넷 액세스 및 브라우징을 허용하는 인터넷 가전뿐만 아니라 이러한 기능들의 결합들을 통합한 휴대용 유닛들 또는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MEM들(10B, 12B)은 로컬 기술 환경에 적합한 임의의 타입일 수 있고, 그리고 이를 테면 반도체 기반 메모리 디바이스들, 플래쉬 메모리, 자기 메모리 디바이스들 및 시스템들, 광학 메모리 디바이스들 및 시스템들, 고정 메모리 및 소거가능한 메모리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데이터 저장소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DP들(10A, 12A)은 로컬 기술 환경에 적합한 임의의 타입일 수 있고, 그리고 비-제한적인 예들로서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들, 특수 목적용 컴퓨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및 다중코어 프로세서 아키텍처에 기초하는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사운딩 기준 신호(SRS) 송신을 제어 채널 송신과 결합하고, 둘 모두는 군집된 서브캐리어 맵핑을 갖는다. 제어 채널의 채널 추정이 SRS로부터 이루어질 수 있도록 SRS 및 제어 채널은 (충분히) 오버랩하는 주파수 할당을 차지한다. 이런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송신 방식은 DFT-S-OFDM (Rel.8 LTE 에서 이용됨)과 OFDMA 기반 변조 방식들 둘 모두의 이용에 적용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제어 채널로의 참조들은 재어 채널 및 주파수 다이버시티 송신 둘 모두의 이용을 포함한다는 것을 주목한다. 주파수 다이버시티 송신, 게다가 PUCCH 상에서의 제어 시그널링이 계속적(persistent)이거나 또는 반-계속적으로 스케줄링된 PUSCH에 대하여 이용된다. 이는 동적으로 스케줄링된 주파수 적응성 송신에 대한 상보적인 송신 방식으로서 나타나게 될 수 있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의하여 이용되는 접근법에서 주파수 도메인에 주파수 핀들 (서브캐리어들)의 N_cl 개의 클러스터들이 존재한다. 클러스터들은 균일하게 공간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클러스터들의 수는:
채널 추정 에러와 주파수 다이버시티의 정도 사이의 트레이드-오프;
CM 특성들 (SC-FDMA: CM은 클러스터들의 수와 함께 증가함), CM 센스(sense)에서 IFDMA는 단일 클러스터 송신에 대응함; 및
하위 호환성 이슈들(20MHz 캐리어들 사이에서 가드(guard) 대역을 갖는 M x 20MHz 할당의 이용)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하위 호환성 이유들에 대하여, LTE 시스템에서 리소스 블록 사이즈인, 클러스터 사이즈는 12 개의 주파수 핀들의 배수라는 것이 가정된다. 다른 이행들에서, 클러스터 사이즈는 상이할 수 있다.
N_cl 개의 클러스터들의 송신 대역폭은 주어진 리소스 내에서 CDM(/FDM/TDM)을 이용하여 병렬 채널들로 추가로 분할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하위 호환 접근법 및 하위 비-호환 접근법으로 분할될 수 있다.
하위 비-호환 접근법이 도 2와 관련하여 먼저 기술된다 (단일 UE(10)에 대한 송신 대역폭이 표시됨). 이런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특정될 수 있다:
TDM은 SRS, 데이터-비-연관 제어 채널(PUCCH), 복조 기준 신호(DM RS) 및 공유 데이터 채널(PUSCH) 사이에서 적용됨;
군집된 서브-캐리어 맵핑은 사운딩 기준 신호 및 제어 채널(PUCCH)에 대하여 적용되고, 클러스터들의 수는 10과 같으며 (비-제한적인 예로서); SRS는 제어 채널(PUCCH)에 대하여 DM RS로서 기능함;
PUCCH 및 PUSCH는 동일한 서브-프레임 동안에 송신될 수 있음 (즉, UL 데이터와 함께 또는 UL 데이터 없이 송신되는 제어 신호들에 대하여 어떠한 개별 제어 리소스들도 요구되지 않음); 및
UE(10)가 송신될 어떠한 제어 신호들도 갖지 않는다면, UE(10)은 공유 데이터를 제어 리소스 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런 실시예에서 TDM의 이용이 LA에서 어떠한 커버리지 문제점도 야기하지 않는다는 것이 주목될 것인데, 이는 커버리지가 간섭에 의하여 제한되기 때문(부가적인 프로세싱 이득은 주어진 목표 품질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음)이고, 그리고 더욱이 DTX/DRX의 관점으로부터 유익하다는 것이 주목될 것이다. 게다가, 이런 기법의 이용은 데이터 및 제어에 대한 낮은 PAR 송신을 가능하게 한다. 사운딩(SRS)이 제어 채널 송신과 결합되기 때문에, SRS 송신은 제어 신호들(PUCCH)에 대하여 DM RS에 아날로그적인 방식으로 기능한다. 이런 접근법은 UE들(10) 사이에서 IFDMA/군집된 (O)FDMA를 또한 제공한다.
이제 기술되는 것은 도 3-8과 관련되는 몇몇의 하위 호환 실시예들이다.
실시예 A
제 1 하위 호환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되고, LTE-A 및 LTE Rel.8 동작 둘 모두에 대하여 이하와 같이 특정될 수 있다.
LTE-A 동작:
TDM은 하나의 UE(10) 내에서 SRS, 데이터-비-연관 제어 채널(PUCCH), 복조 기준 신호(DM RS) 및 공유 데이터 채널(PUSCH) 사이에서 이용된다;
클러스터들의 수는 주파수 청크들의 수와 같다 (예컨대, 5 개의 청크들, 도 3에서 각각 20MHz); 및
PUCCH 및 PUSCH는 동일한 서브-프레임 동안에 송신될 수 있다 (즉, UL 데이터와 함께 또는 UL 데이터 없이 송신되는 제어 신호들에 대하여 어떠한 개별 제어 리소스들도 없음).
Rel.8 동작:
Rel.8 UE들(10)은 Rel.8 PUSCH가 LTE-A PUCCH와 오버랩되는 경우 두 개의 심볼들을 펑츄어링하지만, (노드 B(12)) 스케줄러 제한들을 이용함으로써 오버랩핑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SRS 심볼 및 특정 TDD 블록들은 레거시(legacy) 영향(impact)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LTE-A PUCCH에 대하여 이용될 수 있다. 더욱 특정하게는, 특정 TDD 블록들은 3GPP TS 36.211, 섹션 4.2에 기술된 프레임들 구조 타입 2에 관한 것이다(3GPP TR 36.211 V1.0.0). UpPTS는 UL 송신에 대하여 예비되고 SRS 송신에 대하여 이용될 수 있다. 레거시 영향은 PUCCH가 UpPTS를 이용하여 송신되는 방식으로 최소화될 수 있는 반면에, SRS 블록은 원래의 SRS 리소스들을 활용한다.
실시예 B
제 2 하위 호환 실시예는 도 4에 나타난다.
LTE-A 동작:
FDM은 하나의 UE(10) 내에서 PUSCH와 PUCCH 사이에서 이용된다;
군집된 서브-캐리어 맵핑은 PUCCH 상에서 이용된다. 클러스터 크기는 LTE Rel.8 리소스 블록 크기의 배수이다. 적용되는 클러스터들은 RRC 시그널링을 통하여 명료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클러스터들의 수는 주파수 청크들의 수와 같다 (예컨대, 5 개의 청크들, 도 4에서 각각 20MHz 폭으로); 및
TDM은 SRS/PUCCH DM RS 및 제어 채널(PUCCH) 사이에서 적용되고, CDM/TDM은 주어진 클러스터들 내에서 상이한 UE들(10) 사이에서 적용될 수 있다.
LTE-A PUCCH에서(Rel. 8 PUCCH에서 사용되는 것과 유사함) 슬롯-기반 주파수 호핑(FH)을 적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는 것을 주목한다. FH의 이용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클러스터들의 유효 개수를 배가시킨다(double)(본 예에서는 5부터 10까지).
군집된 서브-캐리어 송신에 관한 하나의 특정한 경우는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지 두 개의 클러스터들을 갖는 것이다. 도 10은 PDCCH를 송신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정의된 제 1의(primary) 청크가 있다는 것을 가정한다. 노드 B(12)는 제 1의 PDCCH를 이용하여 PDSCH/PUSCH를 청크들 중 임의의 청크로 스케줄링할 수 있다. 하나의 이점은 UE들(10)이 제 1의 청크로부터 단지 PDCCH만을 청취(listen to)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LTE-A PUCCH의 관점으로부터 두 개의 클러스터들을 배열하기 위한 두 가지 방법이 있다는 것이다: 한가지는 도 10A에 도시되고 그리고 다른 한가지는 도 10B에 도시된다.
도 10A는 "제 1의 PUCCH 청크"뿐만 아니라 제 1의 PDCCH 청크가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제 1 PUCCH의 대역폭은 UL 청크의 대역폭에 상응한다 (본 예시에서는 20MHz). 두 개의 클러스터들은 청크 대역폭에 걸쳐 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10A에 도시되는 두 개의 클러스터들은 (1) 슬롯-기반 주파수 호핑을 이용하는 단일-클러스터 송신 또는 (2) 슬롯 기반 주파수 호핑이 없는 듀얼 클러스터 송신에 대하여 이용될 수 있다.
도 10A 접근법의 예시적인 이점들은: 클러스터 구성이 Rel.8 PUCCH와 완전히 호환가능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더욱이, 현재의 가정들을 갖는 상이한 LTE-A UE 카테고리들에 대한 문제점은 없다 (모든 LTE-A UE들은 20MHz 청크를 지원한다). 더욱이, 동적 ACK/NACK 리소스들의 무조건적인 맵핑은 제 1의 청크의 LTE-A PDCCH에 기초할 수 있고, Rel.8 PUCCH와 완전히 호환가능하다. 본 배열의 또 다른 이점은 LTE-A 및 LTE Rel.8은 동일한 PUCCH 리소스들에 공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0A 접근법에서 단지 발생할 수 있는 고려사항은 주파수 다이버시티의 정도가 최적화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도 10B 접근법은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최적화한다. 하위 호환성은 LTE-A PUCCH 및 LTE Rel.8 PUCCH 사이에 FDM 분리가 있는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 1 이용가능한 PUCCH RB에 대한 인덱스가 더 높은 층들을 통하여 LTE-A UE들(10)로 시그널링되는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런 정보는 각각의 이용되는 클러스터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요구된다. 또한 LTE-A의 상이한 UE 대역폭 카테고리들(이를 테면, 100MHz, 40 MHz 등)은 도 10B의 접근법에서 자신들의 PUCCH 리소스들 및 PUCCH RB 시그널링을 요구할 수 있다. 동일한 것은 동적으로 스케줄링된 DL 데이터의 맹목적인 ACK/NACK 리소스들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다. 이런 고려사항들 때문에, 이런 접근법의 이용은 이를 테면 CQI 및 계속적인 PUSCH와 같은 계속적인 타입의 시그널링 경우들에 대하여 가장 유익할 수 있다.
듀얼 클러스터 송신 접근법에서 LTE Rel.8 PUCCH의 관점으로부터의 최소 변화는 UL 시스템/송신 대역폭에 걸쳐 (거의) 대칭적으로 두 개의 클러스터들을 배치하는 것이다. Rel.8 PUCCH의 상이한 부하 때문에 중심 주파수에 걸쳐 완전히 대칭적으로 두 개의 클러스터들을 배치하는 것이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라는 것을 주목한다. 단지 변화는 듀얼 클러스터 송신에 의하여 슬롯-기반 주파수 호핑을 대체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두 개의 클러스터들은 주파수 청크에 걸쳐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LTE Rel.8과 유사함).
단지 극소수의 주파수 클러스터들의 경우에 (예컨대, 두 개의 클러스터들), PUCCH의 DM RS의 채널 사운딩 용량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할 수 있다. 이런 경우들에서, 부가적인 사운딩 기준 신호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PUSCH와 PUCCH 사이의 분할(division)에 특히 관련하여, 적어도 두 개의 옵션들이 이용가능하다:
OFDM을 장려하는(favor), PUSCH와 PUCCH의 동시 송신이 지원되거나 (PUSCH 상에서 개별 제어 리소스들이 없음); 또는
SC-FDMA를 장려하는, PUSCH와 PUCCH의 동시 송신이 지원되지 않는다 (Rel.8과 유사하게, 개별 제어 리소스들은 PUSCH 상에서 요구된다).
Rel.8에 대하여, Rel.8 UE들(10)에 대하여 어떠한 부가적인 요구사항들도 요구되지 않는다.
이전의 실시예들이 단지 PUCCH에 대하여 논의되었더라도, 동일한 원리가 또한 계속적이거나 또는 반-계속적인 PUSCH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한다.
이제 논의되는 것은 군집된 서브-캐리어 맵핑의 양상들이다. 하나의 양상은 클러스터 배열에 대하여 미리-결정된 규칙들을 갖지 않는 것이다. 이런 경우, 적용된 클러스터들은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명확하게 시그널링된다. 다른 선택은 클러스터 배열에 대하여 미리결정된 규칙들을 갖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한가지는 이하의 방식으로 서브-캐리어 맵핑을 정의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되는 예를 또한 참조함):
K_tot: 이용가능한 주파수 핀(pin)들의 전체 개수
K_bl: 블록당 이용가능한 주파수 핀들의 수
K: 할당된 주파수 핀들의 전체 개수
N_cl: 클러스터들의 수
N_bl/cl: 클러스터당 블록들의 수
N: (주파수에서 인접한) 클러스터당 할당된 블록들의 수.
도 6은 군집된 서브-캐리어 맵핑의 기본 원리를 도시한다. 이용가능한 스펙트럼 (K_tot 주파수 핀들)은 N_cl 개의 균일하게 공간분포된 서브-캐리어들의 클러스터들(주파수 핀들)로 분할된다. 각각의 클러스터는 N_bl/cl 블록들로 추가로 분할된다. 하나의 제어/SRS 리소스는 각각의 클러스터로부터 N개의 연속적 블록들로 구성된다. 점유된(occupied) 주파수 핀들의 전체의 개수, K는 이하의 수식에 의하여 주어진다:
K= N x K_tot / N_bl/cl.
각각의 클러스터 내의 N개의 인접한 블록들은 주어진 리소스 내의 CDM(/FDM)을 이용하여 평행한 채널들로 추가로 분할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한다. 클러스터 내부의 CDM을 실현하기 위하여 적어도 두 개의 방식이 있다. 하나의 기법은 각각의 클러스터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만들어진 블록 확산(spreading) 동작에 기초한다. 다른 기법은 CAZAC (고정 진폭 제로 자기상관 시퀀스) 또는 ZAC (제로 자기상관) 시퀀스들의 사이클릭 시프트 분할에 기초한다. 두 가지 방식들은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한다.
IFDMA는 군집된 서브캐리어 맵핑의 특정한 경우가 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고 N_bl/cl = RPF, 여기서 RPF는 반복 인자임, N_cl = K_tot/RPF, 및 N=1일 때, 적용가능하다는 것에 추가로 주목한다.
도 7은 LTE 파라미터들가 존재하는 것을 가정하는 리소스 인덱싱의 예를 도시한다 (15KHz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100MHz 대역폭, K_tot = 6000 서브캐리어들). 이하의 파라미터 값들은 이런 예에 대하여 가정된다:
N_cl = 10 클러스터들;
N_bl/cl = 40 블록들/클러스터; 및
할당된 리소스 크기들 (N): [1, 5, 10, 20, 40] 블록들.
코드-트리 접근법은 클러스터 내의 리소스 할당 내에서 이용될 수 있다. 단지 6개의 비트들(55 리소스들)은 각각의 제어 리소스에 대하여 주파수 할당을 시그널링하기 위하여 요구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한다.
블록 크기(K_bl)가 12 개의 주파수 빈들과 같은 방식으로 클러스터 내의 제어 리소스를 사이징(size)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또한 지적된다. 이런 접근법은 Rel.8 호환 기준 신호 설계를 제공한다.
도 8에 도시되는 표는 제어 채널들에 대하여 블록당 이용가능한 수의 비트들을 도시하고, 더욱 특정하게는 N의 함수로서 비트 레이트들의 달성가능한 수를 도시한다, N_cl = 10 및 N_bl/cl = 40. 제어 시그널링의 몇몇 부분이 부재 시에, 분포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주목한다.
Rel. 8 접근법과 비교되는 바와 같이, 다수의 이점들은 본 발명의 이런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이용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이런 이점들은 이하의 것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Rel.8 베이스라인 접근법과 비교될 때에, 전체의 UL 제어 오버헤드가 적어도 7%로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런 개선에 대한 이유는 채널 추정 에러와 주파수 다이버시티 사이의 관계의 더 나은 최적화(슬롯-기반 FH는 좁은 코히어런스 BW를 갖는 낮은 SNR 영역에서 꽤 최적임)를 포함하고, 어떠한 개별 제어 리소스들도 UL 데이터를 갖는 UL 송신 및 UL 데이터를 갖지 않는 UL 송신의 두 가지 경우들에 대하여 요구되지 않는다. 게다가, 이런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이용은 시그널링 에러들에 관한 더 강건한 설계, 간략화된 제어 플레인 설계, 및 더 작은 제어 오버헤드의 결과를 낳는다.
추가의 이점은 제어/SRS 시그널링이 DTX/DRX 관점으로부터 더욱 매력적일 때에 개선된 전력 절약 능력이 실현되는 것이다.
추가의 이점들은 유연한 리소스 할당/시그널링 방식의 프로비전을 포함하고 그리고 낮은-CM 송신에 대하여 지원한다.
이전 것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노드 B (12)를 향한 UE(10)의 데이터 시그널링 및 업링크 제어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는 것이 명백해질 것이다.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UE(10)로부터 노드 B(12)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하여 UE(10)의 일부로서 또는 UE(10)의 전체로서 구현될 수 있는,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방법이 제공된다. 송신 동안에, 시 분할 멀티플렉싱은 사운딩 기준 신호, 제어 채널, 복조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채널 사이에서 적용되고; 군집된 서브-캐리어 맵핑은 사운딩 기준 신호 및 제어 채널에 대하여 적용되며; 사운딩 기준 신호는 제어 채널에 대하여 복조 기준 신호로서 기능하도록 송신되고; 그리고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은 동일한 서브-프레임 동안 송신된다.
이전 단락의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장치에 따라, UE(10)가 송신하기 위하여 어떠한 제어 신호도 갖지 않는다면 적어도 제어 채널에 대하여 할당되는 업링크 리소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대신 송신할 수 있다.
이전 단락의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장치에 따르면, 제어 채널은 데이터-비-연관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이고, 그리고 데이터 채널은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이다.
이전 단락의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장치에 따르면, 전체의 업링크 대역폭은 100MHz이고, 10개의 클러스터들은 10MHz 대역폭 중 각각에 있다.
이전 단락의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장치에 따르면, 복수의 클러스터들은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단일 UE에 의하여 이용된다.
이전 단락의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장치에 따르면, 복수의 클러스터들은 주파수에서 연속적이다.
이전 단락의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장치에 따르면, 업링크 송신은 두 개의 타임 슬롯들에 걸쳐 연장되고, 사운딩 기준 신호, 제어 채널, 복조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채널의 제 1 부분은 제 1 타임 슬롯 동안에 송신되며, 그리고 데이터 채널의 잔류자는 제 2 타임 슬롯 동안에 송신된다.
이전 단락의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장치에 따르면, 송신은 Rel.8을 갖는 하위 호환이 아니다.
더욱이 이런 실시예에 따라, 업링크 송신을 수신하고, 그리고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로부터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추출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제어 채널에 대하여 복조 기준 신호로서 사운딩 기준 신호를 이용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연관 방법 및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가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UE(10)로부터 노드 B(12)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하여 UE(10)의 부분으로서 또는 UE(10)의 전체로서 구현될 수 있는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방법이 제공되고, 이런 실시예에서 LTE-A 동작 동안에 시 분할 멀티플렉싱은 단일 UE(10) 내의 사운딩 기준 신호, 제어 채널, 복조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채널 사이에서 적용되고, 군집된 서브-캐리어 맵핑이 적용되고, 클러스터들의 수는 주파수 청크들의 개수와 같고; 사운딩 기준 신호는 제어 채널에 대하여 복조 기준 신호로서 기능하도록 송신되고; 그리고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은 동일한 서브-프레임 동안에 송신되며, 그리고 Rel.8 동작 동안에 UE(10)은, 필요하다면, Rel.8 데이터 채널이 LTE-A 데이터 채널을 오버랩하는 두 개의 심볼들을 펑츄어링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UE(10)로부터 노드 B(12)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하여 UE(10)의 부분으로서 또는 UE(10)의 전체로서 구현될 수 있는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방법이 제공되고, 이런 실시예에서 LTE-A 동작 동안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은 단일 UE(10) 내의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 사이에서 적용되고, 군집된 서브-캐리어 맵핑은 제어 채널에 대하여 적용되며, 클러스터들의 수는 주파수 청크들의 수와 같고; 시 분할 멀티플렉싱은 사운딩 기준 신호와 제어 채널 사이에 적용되고; 그리고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의 동시적인 송신이 지원되거나 또는 지원되지 않는다.
이전 단락의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장치에 따르면, 슬롯-기반 주파수 호핑은 제어 채널에 대하여 이용된다.
이전 실시예들의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장치에 따르면, 군집된 서브-캐리어 맵핑은:
K_tot: 이용가능한 주파수 핀(pin)들의 전체 개수
K_bl: 블록당 이용가능한 주파수 핀들의 수
K: 할당된 주파수 핀들의 전체 개수
N_cl: 클러스터들의 수
N_bl/cl: 클러스터당 블록들의 수
N: (주파수에서 인접한) 클러스터당 할당된 블록들의 수
에 따라 수행되고, 이용가능한 스펙트럼 (K_tot 주파수 핀들)은 N_cl 개의 서브-캐리어들(주파수 핀들)의 균일하게 공간분포된 클러스터들로 분할되고, 그리고 각각의 클러스터는 N_bl/cl 블록들로 추가로 분할되며; 하나의 제어 채널, 사운딩 기준 신호 리소스는 각각의 클러스터로부터 N개의 연속적인 블록들을 포함하고; 그리고 점유된 주파수 핀들의 전체 수, K,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K= N x K_tot / N_bl/cl.
이전 단락의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장치에 따르면, IFDMA는 군집된 서브캐리어 맵핑의 경우이고, 여기서 (K_bl =1)이고, N_bl/cl = RPF, 여기서 RPF는 반복 인자임, N_cl = K_tot/RPF, 및 N=1일 때, 적용가능하다.
이전 단락들의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장치에 따르면, 클러스터 크기는 다수의 Rel.8 LTE 리소스 블록 크기이다.
이전 단락들의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장치에 따르면, 군집된 서브-캐리어 송신 접근법에 두 개의 클러스터들이 있으며,
제 1의 PUCCH 청크와 제 1의 PDCCH 청크가 있고, 제 1의 PUCCH 청크의 대역포은 UL 청크의 대역폭에 상응하고 (예컨대, 20MHz), 그리고 두 개의 클러스터들은 청크 대역폭에 걸쳐 거의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이전 단락들의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장치에 따르면, 군집된 서브-캐리어 송신 접근법에 두 개의 클러스터들이 있으며, FDM 분리는 LTE-A PUCCH와 LTE Rel.8 PUCCH 사이에서 배열되고, 그리고 두 개의 클러스터들은 UL 대역폭에 걸쳐 거의 대칭적으로 배열된다.
이전의 것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 사이에서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들)을 제공한다는 것이 명백해져야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의 실행 결과 및 방법의 동작이 도시되는 논리 플로우 다이어그램이다. 이런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방법은 블록 1110에서, 송신 동안에, 사운딩 기준 신호, 제어 채널, 복조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채널 사이에 시 분할 멀티플렉싱 및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 및 상기 제어 채널에 대하여 군집된(clustered) 서브-캐리어 맵핑을 적용하는 단계는블록 1120에서 수행된다. 블록 1130에서 상기 제어 채널에 대하여 복조 기준 신호로서 기능하도록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동일한 서브-프레임 동안에 상기 제어 채널 및 상기 데이터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는 블록 1140에서 수행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의 실행 결과 및 방법의 동작이 도시되는 논리 플로우 다이어그램이다. 이런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방법은 블록 1210에서, 사운딩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동일한 서브-프레임 동안에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는 블록 1220에서 수행된다. 블록 1230에서, 상기 제어 채널 및 상기 데이터 채널로부터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제어 채널에 대한 복조 기준 신호로서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를 이용하는 단계는 블록 1240에서 수행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되는 다양한 블록들은 방법 단계들로서, 그리고/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의 연산에 의한 동작들로서, 그리고 또는 연관되는 기능(들)을 이행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커플링된 로직 회로 엘리먼트들로서 간주될 수 있다.
이런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방법 단계들로서, 그리고/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의 연산에 의한 동작들로서, 그리고 또는 연관되는 기능(들)을 이행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커플링된 로직 회로 엘리먼트들로서 간주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하드웨어 또는 특수 목적용 회로들, 소프트웨어, 로직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몇몇의 양상들은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는 반면에, 다른 양상들은 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는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고, 그렇더라도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다양한 양상들이 블록도들, 플로우 차트들, 또는 몇몇의 다른 도식적 표현(pictorial representation)을 이용하여 도시되고 기술되었더라도,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이런 블록들, 장치, 시스템들, 기법들 또는 방법들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특수 목적용 회로 또는 로직, 범용 하드웨어 또는 제어기 또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잘 이해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들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적어도 몇몇 양상들은 이를 테면 집적 회로 칩들 및 모듈들과 같은 다양한 컴포넌트들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한다. 집적 회로들의 설계는 거대한 매우 자동화된 프로세스에 의한다. 복잡하고 강력한(powerful) 도구들은 논리 레벨 설계를 반도체 기판상에서 제조될 준비가 된 반도체 회로 설계로 전환(convert)하기 위하여 이용가능하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도구들은 미리-저장된 설계 모듈들의 라이브러리(library)들뿐만 아니라 매우 잘 구축된 설계 룰(rule)들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도체들의 루트를 정할 수 있고, 반도체 기판상에서 컴포넌트들을 위치시킬 수 있다. 일단 반도체 회로에 대한 설계가 완성된다면, 표준화된 전자 포맷에서 결과적인 설계는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 디바이스들과 같은 제조를 위한 반도체 제조 설비로 전달될 수 있다.
첨부되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판독될 때에, 상기 설명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들로의 다양한 변경들 및 개조들은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하지만, 임의의 그리고 모든 변경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 및 비-제한적인 범위 내에 여전히 포함(fall)될 것이다.
예컨대,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E-UTRAN (UTRAN LTE, Rel.8) 시스템 및 진보된-LTE (Rel.10) 시스템의 맥락에서 앞서(above)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단지 이런 특정 타입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로의 이용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그리고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유익하게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만 한다.
더욱이, 파라미터들을 기술하기 위하여 사용된 다양한 명명들 (예컨대, K_tot, K_bl, 등)은 임의의 적절한 명명들에 의하여 식별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임의의 세목(respect)으로 제한되기를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이런 다양한 파라미터들을 이용하는 수식들 및 표현들은 본 명세서에 확실히 개시되는 것들과는 상이할 수 있다. 더욱이, 상이한 채널들에 할당된 다양한 명명들 (예컨대, PUCCH, PUSCH, 등)은 임의의 적절한 명명들에 의하여 식별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임의의 세목(respect)으로 제한되기를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용어들 "접속된(connected)", "커플링된(coupled)", 또는 이들의 임의의 변종은 둘 이상의 엘리먼트들 사이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인 임의의 접속 또는 커플링을 의미하고, 그리고 두 개의 엘리먼트들 사이에서 함께 "접속되거나" 또는 "커플링되는" 하나 이상의 중간 엘리먼트들의 존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엘리먼트들 사이의 커플링 또는 접속은 물리적, 논리적, 또는 이들의 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세어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두 개의 엘리먼트들은 몇몇의 비-제한적이고 비-소모적인 예들로서, 하나 이상의 와이어들, 케이블들 및/또는 인쇄된 전기 커넥션들의 사용에 의하여, 뿐만 아니라 무선 주파수 영역, 마이크로파 영역 및 광 영역(가시 또는 비가시(invisible) 둘 모두다)에서의 파장을 갖는 전자기 에너지와 같은, 전자기 에너지의 사용의 사용에 의하여 함께 "접속되거나" 또는 "커플링될"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 및 다양한 비-제한적인 것들의 특징들의 몇몇은 다른 특징들의 상응하는 이용 없이도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설명은 원리들, 가르침들 및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단순한 실례로서만 고려되어야 하고, 이들에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59)

  1.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엘리먼트 사이에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업링크 송신 동안에, 업링크 제어 채널 및 업링크 데이터 채널 사이에 시 분할 멀티플렉싱 및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는 단계 ― 상기 업링크 송신은 시스템 대역폭을 함께 구성하는 복수의 주파수 청크(chunk)들을 이용함 ―;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에 대해 군집된(clustered) 서브-캐리어 맵핑을 적용하는 단계 ― 군집된 서브-캐리어들은 제 1의 업링크 청크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의 업링크 청크는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해 이용됨 ―; 및
    동일한 서브-프레임 동안에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 및 상기 업링크 데이터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엘리먼트 사이에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송신할 제어 신호가 없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 채널에 대하여 할당되는 적어도 업링크 리소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엘리먼트 사이에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은 데이터-비-연관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이고, 상기 데이터 채널은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인,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엘리먼트 사이에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전체 업링크 대역폭은 100 MHz이고, 10 MHz 대역폭 각각에 10개의 클러스터들이 존재하는,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엘리먼트 사이에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사운딩 기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복수의 클러스터들이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되는,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엘리먼트 사이에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클러스터들은 주파수에서 연속적인(contiguous),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엘리먼트 사이에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복조 기준 신호로서 기능하도록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에서 사운딩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엘리먼트 사이에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 및 상기 데이터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는,
    제 1 타임 슬롯 동안에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제 1 부분 및 상기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는 상기 제 1 타임 슬롯에서 송신됨 ― ; 및
    제 2 타임 슬롯 동안에 상기 데이터 채널의 나머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엘리먼트 사이에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제 1 프로토콜과 연관되는 데이터 채널이 제 2 프로토콜과 연관되는 데이터 채널과 오버랩하는 적어도 두 개의 심볼들을 펑츄어링(puncture)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엘리먼트 사이에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이 적용되고, 슬롯-기반 주파수 호핑이 상기 제어 채널에 대하여 이용되는,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엘리먼트 사이에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군집된 서브 캐리어 맵핑은, 이용가능한 주파수 핀(pin)들의 전체 수, K_tot; 블록당 이용가능한 주파수 핀들의 수, K_bl; 할당되는 주파수 핀들의 전체 수, K; 클러스터당 할당되는 블록들의 수, N; 클러스터들의 수, N_cl; 및 클러스터당 블록들의 수, N_bl/cl에 따라 수행되는,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엘리먼트 사이에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12.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동일한 서브-프레임 동안에 업링크 제어 채널 및 업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 ― 제 1의 청크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군집된 서브-캐리어들이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의 송신에 적용되고, 시스템 대역폭을 함께 구성하는 복수의 주파수 청크들 중 상기 제 1의 청크는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해 이용됨 ―; 및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 및 상기 업링크 데이터 채널로부터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은 데이터-비-연관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이고, 상기 데이터 채널은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인,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전체 업링크 대역폭은 100 MHz이고, 10 MHz 대역폭 각각에 10개의 클러스터들이 존재하는,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사운딩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복수의 클러스터들이 상기 네트워크 엘리먼트에 의하여 이용되는,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클러스터들은 주파수에서 연속적인,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에서 사운딩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는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복조 기순 신호로서 이용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 및 상기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는,
    제 1 타임 슬롯 동안에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제 1 부분 및 상기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는 상기 제 1 타임 슬롯에서 수신됨 ― ; 및
    제 2 타임 슬롯 동안에 상기 데이터 채널의 나머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19.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업링크 송신 동안에, 업링크 제어 채널 및 업링크 데이터 채널 사이에 시 분할 멀티플렉싱 및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는 동작 ― 상기 업링크 송신은 시스템 대역폭을 함께 구성하는 복수의 주파수 청크들을 이용함 ―;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에 대해 군집된 서브-캐리어 맵핑을 적용하는 동작 ― 군집된 서브-캐리어들은 제 1의 업링크 청크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의 업링크 청크는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해 이용됨 ―; 및
    동일한 서브-프레임 동안에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 및 상기 업링크 데이터 채널을 송신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유형적으로(tangibly) 인코딩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은 데이터-비-연관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이고, 상기 데이터 채널은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1. 제19항에 있어서,
    사운딩 기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복수의 클러스터들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하여 이용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클러스터들은 주파수에서 연속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복조 기준 신호로서 기능하도록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에서 사운딩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 및 상기 데이터 채널을 송신하는 동작은,
    제 1 타임 슬롯 동안에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제 1 부분 및 상기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동작 ―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는 상기 제 1 타임 슬롯에서 송신됨 ― ; 및
    제 2 타임 슬롯 동안에 상기 데이터 채널의 나머지를 송신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5. 제19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제 1 프로토콜과 연관되는 데이터 채널이 제 2 프로토콜과 연관되는 데이터 채널과 오버랩하는 적어도 두 개의 심볼들을 펑츄어링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6.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동일한 서브-프레임 동안에 업링크 제어 채널 및 업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는 동작 ― 제 1의 청크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군집된 서브-캐리어들은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의 송신에 적용되고, 시스템 대역폭을 함께 구성하는 복수의 주파수 청크들 중 상기 제 1의 청크는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해 이용됨 ―;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 및 상기 업링크 데이터 채널로부터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추출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유형적으로 인코딩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은 데이터-비-연관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이고, 상기 데이터 채널은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8. 제26항에 있어서,
    사운딩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복수의 클러스터들이 이용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클러스터들은 주파수에서 연속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에서 사운딩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는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복조 기준 신호로서 이용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 및 상기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는 동작은,
    제 1 타임 슬롯 동안에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제 1 부분 및 상기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동작 ―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는 상기 제 1 타임 슬롯에서 수신됨 ― ; 및
    제 2 타임 슬롯 동안에 상기 데이터 채널의 나머지를 수신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2.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엘리먼트 사이에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업링크 송신 동안에, 업링크 제어 채널 및 업링크 데이터 채널 사이에 시 분할 멀티플렉싱 및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는 것 ― 상기 업링크 송신은 시스템 대역폭을 함께 구성하는 복수의 주파수 청크들을 이용함 ―;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에 대해 군집된 서브-캐리어 맵핑을 적용하는 것 ― 군집된 서브-캐리어들은 제 1의 업링크 청크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의 업링크 청크는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해 이용됨 ―; 그리고
    동일한 서브-프레임 동안에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 및 상기 업링크 데이터 채널의 송신을 야기하기 위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
    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엘리먼트 사이에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은 데이터-비-연관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이고, 상기 데이터 채널은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인,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엘리먼트 사이에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34. 제32항에 있어서,
    사운딩 기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복수의 클러스터들이 이용되는,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엘리먼트 사이에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클러스터들은 주파수에서 연속적인,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엘리먼트 사이에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36.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에 대해 복조 기준 신호로서 기능하도록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에서 사운딩 기준 신호를 송신하게 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엘리먼트 사이에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 및 상기 데이터 채널의 송신은,
    제 1 타임 슬롯 동안에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제 1 부분 및 상기 제어 채널의 송신 ―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는 상기 제 1 타임 슬롯에서 송신됨 ― ; 및
    제 2 타임 슬롯 동안에 상기 데이터 채널의 나머지의 송신
    을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엘리먼트 사이에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38.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와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제 1 프로토콜과 연관되는 데이터 채널이 제 2 프로토콜과 연관되는 데이터 채널과 오버랩하는 적어도 두 개의 심볼들을 펑츄어링하는 것을 수행하게 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엘리먼트 사이에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39. 제32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집적 회로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되는,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엘리먼트 사이에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40.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동일한 서브-프레임 동안에 업링크 제어 채널 및 업링크 데이터 채널의 수신을 야기하기 위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 ― 제 1의 청크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군집된 서브-캐리어들은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의 송신에 적용되고, 시스템 대역폭을 함께 구성하는 복수의 주파수 청크들 중 상기 제 1의 청크는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해 이용됨 ―; 그리고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 및 상기 업링크 데이터 채널로부터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
    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은 데이터-비-연관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이고, 상기 데이터 채널은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인,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42. 제40항에 있어서,
    사운딩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복수의 클러스터들이 이용되는,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클러스터들은 주파수에서 연속적인,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44.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에서 사운딩 기준 신호를 수신하게 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는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복조 기준 신호로서 사용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 및 상기 데이터 채널의 수신은,
    제 1 타임 슬롯 동안에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제 1 부분 및 상기 제어 채널의 수신 ―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는 상기 제 1 타임 슬롯에서 수신됨 ― ; 및
    제 2 타임 슬롯 동안에 상기 데이터 채널의 나머지의 수신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46. 제40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집적 회로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되는,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47.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엘리먼트 사이에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업링크 송신 동안에, 업링크 제어 채널 및 업링크 데이터 채널 사이에 시 분할 멀티플렉싱 및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업링크 송신은 시스템 대역폭을 함께 구성하는 복수의 주파수 청크들을 이용함 ―;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에 대해 군집된 서브-캐리어 맵핑을 적용하기 위한 수단 ― 군집된 서브-캐리어들은 제 1의 업링크 청크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의 업링크 청크는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해 이용됨 ―; 및
    동일한 서브-프레임 동안에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 및 상기 업링크 데이터 채널의 송신을 야기하기 위하여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엘리먼트 사이에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은 데이터-비-연관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이고, 상기 데이터 채널은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인,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엘리먼트 사이에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49. 제47항에 있어서,
    사운딩 기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복수의 클러스터들이 이용되는,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엘리먼트 사이에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클러스터들은 주파수에서 연속적인,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엘리먼트 사이에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51.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에 대해 복조 기준 신호로서 기능하도록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에서 사운딩 기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엘리먼트 사이에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 및 상기 데이터 채널의 송신은,
    제 1 타임 슬롯 동안에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제 1 부분 및 상기 제어 채널의 송신 ―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는 상기 제 1 타임 슬롯에서 송신됨 ― ; 및
    제 2 타임 슬롯 동안에 상기 데이터 채널의 나머지의 송신
    을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엘리먼트 사이에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53. 제47항에 있어서,
    제 1 프로토콜과 연관되는 데이터 채널이 제 2 프로토콜과 연관되는 데이터 채널과 오버랩하는 적어도 두 개의 심볼들을 펑츄어링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엘리먼트 사이에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54.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동일한 서브-프레임 동안에 업링크 제어 채널 및 업링크 데이터 채널의 수신을 야기하기 위하여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 ― 제 1의 청크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군집된 서브-캐리어들은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의 송신에 적용되고, 시스템 대역폭을 함께 구성하는 복수의 주파수 청크들 중 상기 제 1의 청크는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해 이용됨―; 및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 및 상기 업링크 데이터 채널로부터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은 데이터-비-연관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이고, 상기 데이터 채널은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인,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56. 제54항에 있어서,
    사운딩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복수의 클러스터들이 이용되는,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클러스터들은 주파수에서 연속적인,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58.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에서 사운딩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는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복조 기준 신호로서 이용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 및 상기 데이터 채널의 수신은,
    제 1 타임 슬롯 동안에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제 1 부분 및 상기 제어 채널의 수신 ―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는 상기 제 1 타임 슬롯에서 수신됨 ― ; 및
    제 2 타임 슬롯 동안에 상기 데이터 채널의 나머지의 수신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KR1020137004423A 2008-06-11 2009-06-10 업링크 제어 채널에 최적화된 로컬 영역 Active KR1013448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171808P 2008-06-11 2008-06-11
US61/131,718 2008-06-11
PCT/EP2009/057176 WO2009150177A2 (en) 2008-06-11 2009-06-10 Local area optimized uplink control channel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0738A Division KR20110016999A (ko) 2008-06-11 2009-06-10 업링크 제어 채널에 최적화된 로컬 영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6349A true KR20130036349A (ko) 2013-04-11
KR101344875B1 KR101344875B1 (ko) 2013-12-26

Family

ID=4141717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4423A Active KR101344875B1 (ko) 2008-06-11 2009-06-10 업링크 제어 채널에 최적화된 로컬 영역
KR1020137004421A Active KR101344876B1 (ko) 2008-06-11 2009-06-10 업링크 제어 채널에 최적화된 로컬 영역
KR1020117000738A Ceased KR20110016999A (ko) 2008-06-11 2009-06-10 업링크 제어 채널에 최적화된 로컬 영역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4421A Active KR101344876B1 (ko) 2008-06-11 2009-06-10 업링크 제어 채널에 최적화된 로컬 영역
KR1020117000738A Ceased KR20110016999A (ko) 2008-06-11 2009-06-10 업링크 제어 채널에 최적화된 로컬 영역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9531515B2 (ko)
EP (2) EP2560317B1 (ko)
JP (3) JP5792615B2 (ko)
KR (3) KR101344875B1 (ko)
CN (1) CN102057612B (ko)
AU (1) AU2009256606B2 (ko)
CA (1) CA2724744C (ko)
ES (1) ES2498950T3 (ko)
RU (1) RU2452110C1 (ko)
WO (1) WO2009150177A2 (ko)
ZA (1) ZA2010076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708345D0 (en) * 2007-04-30 2007-06-06 Nokia Siemens Networks Oy Signalling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US8325661B2 (en) * 2008-08-28 2012-12-04 Qualcomm Incorporated Supporting multiple access technologies in a wireless environment
JP5361902B2 (ja) * 2008-10-30 2013-12-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RU2525084C2 (ru) 2008-11-14 2014-08-10 Панасоник Корпорэйшн Устройство терминала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устройство базовой станции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и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констелляции кластеров
KR101697596B1 (ko) 2009-01-29 2017-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184883B2 (en) * 2009-03-31 2015-11-1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 to uplink control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CN102461034B (zh) 2009-05-21 2014-10-08 Lg电子株式会社 在多天线系统中发送参考信号的方法和设备
WO2011005032A2 (ko) * 2009-07-07 2011-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반송파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US9444589B2 (en) * 2009-10-05 2016-09-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uncturing data regions for signals to minimize data loss
CN102014444B (zh) * 2009-12-31 2013-04-1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分配下行资源及实现下行数据接收的方法、装置
CA2803043A1 (en) * 2010-06-21 2011-12-29 Fujitsu Limited Method for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method for channel quality estimation, mobile station,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2332970B (zh) * 2010-07-12 2014-07-02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上行参考信号处理方法以及基站和终端
US9007888B2 (en) 2010-11-08 2015-04-1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transmission
US8842542B2 (en) 2012-02-08 2014-09-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resources for uplink MIMO communication
US9380490B2 (en) 2010-11-08 2016-06-2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transmission
US8953713B2 (en) 2010-11-08 2015-02-1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transmission
US9516609B2 (en) 2010-11-08 2016-12-0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transmission
US9084207B2 (en) * 2010-11-08 2015-07-1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transmission
CN102131293B (zh) * 2011-03-11 2013-09-04 东南大学 一种基于最大扩展的分簇单载波资源分配方法
KR20130018073A (ko) * 2011-08-12 2013-02-20 주식회사 팬택 전송단의 srs 전송 제어 방법, 그 전송단, 단말의 srs 전송 방법, 및 그 단말
US9706533B2 (en) 2012-02-10 2017-07-11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reference sig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JP6208409B2 (ja) * 2012-04-06 2017-10-04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及び通信方法
JP6376757B2 (ja) * 2014-01-14 2018-08-22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US9337983B1 (en) * 2014-03-13 2016-05-10 Sprint Spectrum L.P. Use of discrete portions of frequency bandwidth to distinguish between ACK and NACK transmissions
US10292147B2 (en) * 2014-09-15 2019-05-14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Downlink control channel for single carrier transmission
WO2016101176A1 (en) * 2014-12-24 2016-06-30 Sony Corporation Uplink control channel
EP3253163B1 (en) * 2015-01-29 2019-10-09 NTT DoCoMo, Inc. Wireless base station, user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EP3337075B1 (en) 2015-08-12 2021-07-2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performing uplink transmission
CN106506127B (zh) * 2015-09-06 2021-03-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传输信息的方法和装置
US10097336B2 (en) 2015-11-30 2018-10-09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UL) frequency-division duplex (FDD) subframe
US10172118B2 (en) * 2015-12-09 2019-01-01 Qualcomm Incorporated Decoupled mode for a common uplink burst transmission in a time division duplex subframe structure
US11240842B2 (en) * 2016-01-08 2022-02-01 Acer Incorporated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transmission/reception for serving cell
CN107046724A (zh) * 2016-02-05 2017-08-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上行信号/信道的发送方法及装置
US10264600B2 (en) 2016-06-15 2019-04-16 Qualcomm Incorporated Virtual cluster group based uplink control channel
WO2018030981A1 (en) 2016-08-08 2018-02-15 Nokia Technologies Oy Signaling support for uplink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CN107888347B (zh) * 2016-09-29 2020-03-24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导频映射方法及装置
TWI673979B (zh) 2017-01-13 2019-10-0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無線通訊系統中用於控制通道與數據通道之間的時序關係的方法和設備
JP7287897B2 (ja) * 2017-03-22 2023-06-06 アイディーエーシー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次世代無線通信システムのためのチャネル状態情報参照信号のための方法、装置、システム、アーキテクチャおよびインターフェイス
US10659100B2 (en) * 2017-09-22 2020-05-1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hannel hopping based on channel performance statistics
CA3082736A1 (en) 2017-11-16 2019-05-23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CN110380814B (zh) * 2018-04-12 2021-07-2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指示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WO2020103117A1 (zh) * 2018-11-23 2020-05-2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基于直连链路的传输方法及装置
EP3890224B1 (en) * 2018-11-30 2023-11-01 Huawei Technologies Co., Ltd. Uplink signal sending method and terminal
US12200705B2 (en) * 2021-01-06 2025-01-14 Qualcomm Incorporated Latency reduction and coverage enhancement for extended reality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39030B1 (en) 2000-02-07 2003-03-2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figurable layers and protocols in a communications system
JP2007505583A (ja) 2003-05-28 2007-03-08 アイピーワイヤレ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tdd処理のための方法、基地局及びモバイルステーション
US7486953B2 (en) * 2003-11-26 2009-02-03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oft handover
BRPI0509327A (pt) 2004-03-30 2007-09-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parelho de estação de base, aparelho de estação móvel, e método de programação de canal de dados
US7643515B2 (en) 2004-11-10 2010-01-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riving transmission timing of a downlink control channel in support of enhanced uplink operation
ATE527769T1 (de) * 2004-11-12 2011-10-15 Nokia Corp Übertragungsformatanzeige und rückmeldung in drahtlosen mehrträgerkommunikationssystemen
JP4515312B2 (ja) 2005-03-31 2010-07-2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局、送信方法および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
CN100555930C (zh) 2005-07-04 2009-10-28 上海原动力通信科技有限公司 多载波hsdpa的信道建立方法和多载波下行分组数据传输方法
WO2007078146A1 (en) 2006-01-06 2007-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uplink signaling information in a single carrier fdma system
KR100886535B1 (ko) 2006-06-22 2009-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타이밍 동기 유지방법 및이를 위한 단말 장치
US8374161B2 (en) * 2006-07-07 2013-02-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084627B2 (en) 2006-07-10 2018-09-25 Qualcomm Incorporated Frequency hopping in an SC-FDMA environment
JP2008042861A (ja) 2006-07-11 2008-02-21 Sanyo Electric Co Ltd 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基地局、及び通信方法
US8363606B2 (en) 2006-09-05 2013-01-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and control multiplexing
EP2103017B1 (en) * 2007-03-29 2014-01-08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sound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155100B2 (en) * 2007-07-30 2012-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fferent signal types in communication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92615B2 (ja) 2015-10-14
AU2009256606B2 (en) 2013-08-01
WO2009150177A2 (en) 2009-12-17
CA2724744A1 (en) 2009-12-17
KR101344875B1 (ko) 2013-12-26
RU2452110C1 (ru) 2012-05-27
JP2011521579A (ja) 2011-07-21
US9531515B2 (en) 2016-12-27
US9680618B2 (en) 2017-06-13
US20160323874A1 (en) 2016-11-03
ES2498950T3 (es) 2014-09-26
EP2560317A1 (en) 2013-02-20
JP6026622B2 (ja) 2016-11-16
EP2560317B1 (en) 2014-06-04
US20110085516A1 (en) 2011-04-14
WO2009150177A3 (en) 2010-09-23
AU2009256606A1 (en) 2009-12-17
CA2724744C (en) 2014-02-04
JP2016029845A (ja) 2016-03-03
ZA201007639B (en) 2012-01-25
KR101344876B1 (ko) 2013-12-26
JP2014140233A (ja) 2014-07-31
CN102057612A (zh) 2011-05-11
EP2291944B1 (en) 2013-07-31
JP5889944B2 (ja) 2016-03-22
KR20110016999A (ko) 2011-02-18
CN102057612B (zh) 2014-07-02
EP2291944A2 (en) 2011-03-09
KR20130036348A (ko) 201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4875B1 (ko) 업링크 제어 채널에 최적화된 로컬 영역
JP5504338B2 (ja) キュービックメトリックを減少したマルチアップリンクコントロールチャンネル送信
US8897249B2 (en) Deployment of LTE UL system for arbitrary system bandwidths via PUCCH configuration
RU2426236C2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сигналов управления по восходящей линии связи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CA2664481C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multiplexing for data-non-associated control channel
US20110199944A1 (en) Aperiodic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EP4079080A1 (en) Transmission in an inactive state
WO20111005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control channel transmit diversity
WO2021015995A1 (en) Multiplexing interlaces with a single carrier waveform
CN110832802B (zh) 用于上行链路通信的波形的选择
WO2021015996A1 (en) Intra-symbol multiplexing with a single carrier wave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4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1302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5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2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