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135513A - 와이어 하네스용 그로밋 - Google Patents

와이어 하네스용 그로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5513A
KR20120135513A KR1020127025787A KR20127025787A KR20120135513A KR 20120135513 A KR20120135513 A KR 20120135513A KR 1020127025787 A KR1020127025787 A KR 1020127025787A KR 20127025787 A KR20127025787 A KR 20127025787A KR 20120135513 A KR20120135513 A KR 20120135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ring
grommet
vehicle body
wire harness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5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5080B1 (ko
Inventor
다카시 오쿠하라
츠토무 사카타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35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5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08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B60R16/0222Gromm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58Tubes, sleeves, beads, or bobbins through which the conductor p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 패널의 버링 형성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걸리는 그로밋의 지수 성능을 안정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에 배선되는 와이어 하네스에 외부에서 끼워지고, 차체 패널의 버링이 돌출하는 관통 구멍에 장착되는 와이어 하네스용의 그로밋을 제공한다. 이 그로밋은, 고무 및 엘라스토머 중 어느 하나의 일체 성형품과, 상기 와이어 하네스가 삽입 관통하는 통부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환형의 차체 걸림 오목부를 구비한다. 상기 차체 걸림 오목부의 저면(底面)을 이루는 양 측면 사이의 치수가 상기 관통 구멍의 둘레로부터 돌출하는 버링의 돌출 치수보다 작게 설정된다. 상기 버링의 돌출 선단면이 상기 양 측면 중 한쪽의 측면을 파고 들어가 압접되어 시일 포인트로서 기능한다.

Description

와이어 하네스용 그로밋{GROMMET FOR WIRE HARNESS}
본 발명은, 차량에 배선된 와이어 하네스용의 그로밋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그로밋이 걸리는 차체 패널의 관통 구멍의 둘레로부터 돌출하는 버링(burring)의 돌출 치수 및 곡률에 변동이 있는 경우에도 밀봉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그로밋에 관한 것이다.
물에 노출되는 영역과 차량의 실내를 구획하는 차체 패널에 마련된 관통 구멍을 통하여 와이어 하네스가 배선되어 있다.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그로밋이 와이어 하네스에 장착되고, 관통 구멍의 내주에 결합되어 차량의 실내를 물로부터 차단하고 있다.
그로밋이 부착되는 차체 패널의 관통 구멍이 클수록,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H)의 둘레로부터 일측으로 돌출하는 버링(B)이 있는 버링 구멍이 많다.
차체 패널(P)의 관통 구멍(H)이 그러한 버링 구멍인 경우에, 이 관통 구멍(H)에 삽입되어 걸리는 그로밋(100)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형의 차체 걸림 오목부(112) 및 시일 립(113)을 구비하고, 상기 차체 걸림 오목부(112)는 와이어 하네스(101)가 밀착되어 삽입되는 소직경 통부(110)로부터 연장되는 직경 확장 통부(111)의 대직경측의 외주에 마련되고, 상기 시일 립(113)은 차체 걸림 오목부(112)의 저면(112a)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차체 걸림 오목부(112)의 저면(112a)은 경사벽(115)의 측벽(112b)과 선단의 두꺼운 부분(116)의 측벽(112c)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그로밋(100)을 관통 구멍(H)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그로밋(100)의 소직경 통부(110)를 차체 패널(P)의 관통 구멍(H)에 삽입하고; 차체 걸림 오목부(112)의 저벽(112a)을 이루는 경사벽(115)을 압축 변형시켜, 관통 구멍(H)의 버링(B)을 차체 걸림 오목부(112) 내에 세팅하고; 버링(B)의 내주면에 대하여 시일 립(113)을 압박한다. 이 시일 립(113)을 버링(B)에 대하여 압박하는 점을 시일 포인트(SP)라고 지칭한다.
버링(B)이 이러한 종류의 관통 구멍(H)의 둘레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경우에는, 버링의 높이(돌출량)가 변동되어, 관통 구멍(H)의 둘레로부터의 라운딩에도 변동이 있다. 따라서 버링의 높이, 라운딩의 곡률, 관통 구멍의 내경의 차이 및 변동을 고려하여 그로밋을 설계해야 한다.
또한,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링(B)의 라운딩 부분(Br)이 시일 립(113)을 넘어, 필요한 시일압을 제어하기가 어렵다. 또한, 버링(B)의 돌출량의 변동을 고려하여 오버랩의 양을 많이 취하기 어렵기 때문에, 시일 립(113)이 비교적 크다. 따라서 버링(B)에 대한 그로밋(100)의 "걸림량(A)"이 불충분하게 되어, 유지력이 불충분하게 된다. 그러나 "걸림량(A)"을 크게 하고, 경사벽(115)의 돌출량을 크게 하면, 그로밋(100)을 관통 구멍(H)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력이 커진다.
버링(B)을 갖는 관통 구멍(H)에 부착되는 종래의 그로밋이 일본 특허 공개 H9-6338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그로밋(200)은 고무 등의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외측 부재(201)와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내측 부재(202)를 구비하는 2 부품의 구성이다. 관통 구멍(H)의 둘레로부터 돌출하는 버링(B)의 돌출 단부면(Ba)은 외측 부재(201)의 구멍단 접촉부(201a)에 대하여 가압되고, 내측 부재(202)의 립 가압부(202a)가 외측 부재(201)의 구멍단 접촉부(201a)에 삽입된다. 또한, 버링(B)이 관통 구멍의 둘레로부터 내측 부재(202)에 의해 가압되어, 외측 부재(201)와 내측 부재(202) 사이에 유지되어 시일 성능을 유지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H9-63385호 공보
도 7에 도시하는 그로밋은, 고무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외측 부재와,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내측 부재의 2 부품 구성이다. 또한, 외측 부재와 내측 부재는 모두 형상이 복잡하므로, 조립 작업 및 비용이 증가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의 성형품만으로 이루어지고, 간단한 형상을 가지며, 버링의 변동이 있더라도 지수(止水)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버링 형성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걸리는 그로밋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의 상황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차량에 배선되는 와이어 하네스에 외부에서 끼워지고, 차체 패널의 버링이 돌출하는 관통 구멍에 장착되는 와이어 하네스용의 그로밋을 제공하며, 이 그로밋은 고무 및 엘라스토머 중 어느 하나의 일체 성형품과, 상기 와이어 하네스가 삽입 관통하는 통부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환형의 차체 걸림 오목부를 구비한다. 상기 차체 걸림 오목부의 저면(底面)을 이루는 양 측면 사이의 치수가 상기 관통 구멍의 둘레로부터 돌출하는 버링의 돌출 치수보다 작게 설정되고, 상기 버링의 돌출 선단면이 상기 양 측면 중 한쪽의 측면을 파고 들어가 압접되어 시일 포인트로서 기능한다.
상기 차체 걸림 오목부의 저면과 접촉하고 있는 위치에 있어서의 양 측면 사이의 치수(L1)와, 상기 차체 패널과 버링의 선단 사이의 치수[버링(B)의 돌출 높이](L2)는, L1=(0.6 내지 0.9)×L2로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그로밋에 있어서는, 버링의 선단면이 차체 걸림 오목부의 저면을 이루는 측면 중 한쪽의 내면을 파고 들어가 압접되므로, 접촉되는 버링의 선단면이 시일 포인트로서 기능한다. 차체 걸림 오목부의 저면에는, 종래에 마련되었던 돌출 시일 립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버링의 선단면이 시일 포인트로서 기능하면, 버링의 라운딩의 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고, 버링의 돌출량(높이)만을 고려하여 차체 걸림 오목부의 대향하는 측벽들 사이의 치수를 설계할 수 있으므로, 설계 제어를 용이하게 하면서, 안정된 지수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2 부품 구성을 개시하고 있는 특허문헌 1과 달리, 그로밋은 일체 성형품이므로,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차체 걸림 오목부의 측면 중 한쪽의 측면은 그로밋의 축선 방향에 직각인 수직 측면이고, 이에 대향하는 다른 쪽의 측면은 상기 수직 측면을 향해서 개구단측이 경사진 경사 측면이며, 상기 수직 측면은 관통 구멍을 둘러싸는 둘레의 면에 밀착되고, 상기 버링의 시일 포인트로서 기능하는 선단면이 상기 경사 측면에 압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차량에 배선되는 와이어 하네스에 외부에서 끼워지고, 차체 패널의 버링이 돌출하는 관통 구멍에 장착되는 와이어 하네스용의 그로밋을 제공한다. 이 그로밋은, 고무 및 엘라스토머 중 어느 하나의 일체 성형품과, 상기 와이어 하네스가 삽입 관통하는 통부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환형의 차체 걸림 오목부를 구비한다. 상기 차체 걸림 오목부는 저면을 이루는 측면들 중 한쪽의 측면을 향하여 직선형 또는 원호형으로 경사지게 돌출하는 경사 저면부 또는 원호형 저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버링의 돌출 선단면이 상기 경사 저면부와 원호형 저면부 중 하나를 파고 들어가 압접되어 시일 포인트로서 기능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시일 포인트로서의 버링의 돌출 선단면이 차체 걸림 오목부의 저면에 마련된 경사 저면부 또는 원호형 저면부에 압접되어 시일 포인트로서 작용한다.
제2 그로밋에서는, 상기 차체 걸림 오목부의 저면을 이루는 양 측벽이 그로밋의 축선 방향에 직각인 수직 측면이고, 상기 경사 저면부 또는 원호형 저면부의 돌출측과 접하는 한쪽의 수직 측면의 외측 선단으로부터 다른 쪽의 수직 측면을 향해서 시일 립이 돌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양태에 따른 그로밋에 있어서는, 차체 걸림 오목부가 전술한 형상을 가질 필요가 있고, 그 외의 부분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와이어 하네스가 밀착되어 삽입 관통할 수 있는 소직경 통부와, 이 소직경 통부로부터 연장되고 직경이 확장되는 직경 확장 통부를 제공하고, 직경 확장 통부의 대직경측에 상기 환형의 차체 걸림 오목부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체 걸림 오목부를 소직경 통부로부터 직경이 확장되는 경사벽과 대직경측의 선단부의 두꺼운 벽 사이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차체 패널의 버링 형성 관통 구멍에 장착되는 와이어 하네스용의 그로밋에 있어서, 버링이 감합되는 그로밋의 차체 걸림 오목부의 저면에는 시일 립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대신에, 버링의 돌출 선단면이 차체 걸림 오목부의 측벽을 파고 들어가 가압되므로, 버링의 선단면이 시일 포인트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버링의 돌출 선단면이 차체 걸림 오목부의 한쪽의 측면을 향해서 돌출하는 경사 저면부 또는 원호형 저면부를 파고 들어가 가압되므로, 버링의 선단면이 시일 포인트로서 작용한다.
버링의 선단면이 시일 포인트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버링의 라운딩의 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고, 버링의 돌출 치수(높이)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그로밋의 설계가 용이하고, 안정된 지수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차체 패널의 버링 형성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걸린 상태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그로밋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그로밋의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a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그로밋의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3b는 버링 형성 관통 구멍에 걸린 상태의 그로밋의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그로밋의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그로밋의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종래의 그로밋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다른 종래예의 그로밋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로밋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그로밋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그로밋(1)은, 엔진실(X)과 객실(Y)을 구획하는 차체 패널(P)에 마련한 버링 형성 관통 구멍(H)에 삽입되어 걸린다. 구체적으로, 관통 구멍(H)으로부터 돌출하는 버링(B)이 그로밋의 외주면에 마련된 환형의 차체 걸림 오목부(5) 내에 삽입되어 걸린다.
그로밋(1)은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의 탄성체로 성형한 일체의 부품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로밋(1)이 EPDM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로밋(1)은, 소직경 통부(3), 직경 확장 통부(4) 및 차체 걸림 오목부(5)를 구비한다. 와이어 하네스(2)는 소직경 통부(3)에 밀착하여 삽입 관통한다. 직경 확장 통부(4)는 소직경 통부(3)의 일단으로부터 직경이 확장한다. 차체 걸림 오목부(5)는 직경 확장 통부(4)의 대직경측에 마련되어 있다. 차체 걸림 오목부(5)는 수직 측면(11)과 경사 측면(12) 사이에 저면(10)이 개재되어 있다. 경사 측면(12)의 외주측이 수직 측면(11)을 향해 경사져 있다. 경사 측면(12)의 선단에 시일 립(13)이 마련되어 있다.
차체 걸림 오목부(5)는 소직경 통부(3)의 경사벽(6)과, 대직경측의 선단의 두꺼운 벽(7) 사이에 마련된다. 상기 수직 측면(11)은 경사벽(6)에 마련되고, 상기 경사 측면(12)은 두꺼운 벽(7)에 마련되어 있다.
저면(10)과 접촉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수직 측면(11)과 경사 측면(12) 사이의 치수(L1)는, 상기 차체 패널(P)과 버링(B)의 선단 사이의 치수[버링(B)의 돌출 높이](L2)보다 작게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L1<L2로 설정되고, 바람직하게는, L1=(0.6 내지 0.9)×L2로 설정된다.
또한, 환형의 저면(10)의 외경(D1)은, 버링(B)의 구멍 직경(내경; D2)과 동등하게 설정된다.
소직경 통부(3)를 확장 지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확장시켜 와이어 하네스(2)를 소직경 통부(3) 및 직경 확장 통부(4)에 삽입 관통시키고, 그로밋(1)을 외부에서 와이어 하네스(2)에 끼운다. 와이어 하네스(2)의 외주면을 통하여 소직경 통부(3)의 외주면의 둘레에 점착테이프(T)를 감아 그로밋(1)을 고정하고 있다.
와이어 하네스(2)를 차체 패널(P)의 관통 구멍(H)에 삽입 관통하고, 그로밋(1)을 관통 구멍(H)에 삽입하여 걸리게 할 때에는, 먼저 소직경 통부(3)를 관통 구멍(H)에 삽입하고; 경사벽(6)을 압축 변형시킨 후; 관통 구멍(H)의 둘레의 버링(B)을 차체 걸림 오목부(5)에 세팅하여 걸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 걸림 오목부(5)에 세팅된 버링(B)의 내주면은 차체 걸림 오목부(5)의 저면(10)에 접촉하고, 관통 구멍(H)의 둘레의 차체 패널(P)은 수직 측면(11)에 접촉한다. 버링(B)의 돌출 선단면(Bp)은 경사 측면(12)의 후단[저면(10)과 접하는 부분]에서 경사 측면(12)에 파고 들어가 압접된다. 구체적으로, 버링(B)의 선단면(Bp)과 경사 측면(12)의 접촉점이 시일 포인트(SP)이다.
수직 측면(11)과 경사 측면(12) 사이의 치수(L1)가 버링(B)의 돌출 치수(L2)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버링(B)의 선단면(Bp)이 경사 측면에 확실하게 파고 들어가 압접될 수 있으므로, 안정된 지수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버링(B)의 라운딩 및 라운딩의 변동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아, 그로밋을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그로밋은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로 형성된 일체의 구성이므로,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2 부품 구성과 달리,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그로밋(1A)을 도시한다.
그로밋(1A)에 있어서, 차체 걸림 오목부(5)의 저면을 이루는 양 측면이 수직측면(11, 15)으로서 평행하게 마련되어 있다.
수직 측면(11)은 경사벽(6)에 마련되고, 수직 측면(15)은 두꺼운 벽(7)에 마련된다.
한쪽의 수직 측면(11)으로부터 다른 쪽의 수직 측면(15)을 향해서 직선형으로 경사지게 돌출하는 경사 저면부(20)가 차체 걸림 오목부(5)의 저면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시일 립(13)이 수직 측면(15)의 외부 단으로부터 수직 측면(11)을 향해서 돌출한다.
제2 실시형태의 그로밋(1A)에서는, 버링(B)의 선단면(Bp)이 경사 저면부(20)에 파고 들어가 압접된다. 또한, 차체 패널(P)의 일면은 수직 측면(11)에 접촉하고, 다른 면은 수직 측면(15)의 시일 립(13)에 의해 압접된다.
제2 실시형태의 그로밋에서는, 버링(B)의 돌출량에 변동이 있더라도, 그 선단면(Bp)이 경사 저면부(20)의 임의의 위치에 확실하게 파고 들어가 압접되어 시일 포인트(SP)로서 작용하므로, 안정된 지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4에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그로밋(1B)을 도시한다.
경사 저면부에 대신하여, 그로밋(1B)은 차체 걸림 오목부(5)의 저면에 수직 측면(15)을 향해서 돌출하는 원호형 저면부(30)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원호형 저면부(30)를 마련하더라도, 버링(B)의 선단면(Bp)이 원호형 저면부(30)에 파고 들어가 압접될 수 있으므로, 버링(B)의 선단면(Bp)이 시일 포인트(SP)로서 작용할 수 있다.
도 5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그로밋(1C)을 도시한다.
제1 실시형태와 제2 실시형태의 조합인 그로밋(1C)에 있어서, 차체 걸림 오목부(5)의 대향하는 양 측벽(11, 17) 사이의 치수는 버링(B)의 돌출량보다 짧으며, 저면에는 측벽(17)을 향해서 돌출하는 경사 저면부(20)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버링(B)의 돌출 길이가 허용 공차 내에서 변동이 있더라도, 버링(B)이 측벽(17) 또는 경사 저면부(20) 중 어느 하나에 파고 들어가 압접될 수 있으므로, 안정된 지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그로밋
2: 와이어 하네스
3: 소직경 통부
4: 직경 확장 통부
5: 차체 걸림 오목부
10: 저면(底面)
11: 수직 측면
12: 경사 측면
20: 경사 저면부
30: 원호형 저면부
P: 차체 패널
H: 관통 구멍
B: 버링
Bp: 버링 선단면
SP: 시일 포인트

Claims (4)

  1. 차량에 배선되는 와이어 하네스에 외부에서 끼워지고, 차체 패널의 버링이 돌출하는 관통 구멍에 장착되는 와이어 하네스용의 그로밋으로서,
    고무 및 엘라스토머 중 어느 하나의 일체 성형품과,
    상기 와이어 하네스가 삽입 관통하는 통부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환형의 차체 걸림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차체 걸림 오목부의 저면(底面)을 이루는 양 측면 사이의 치수가 상기 관통 구멍의 둘레로부터 돌출하는 버링의 돌출 치수보다 작게 설정되고, 상기 버링의 돌출 선단면이 상기 양 측면 중 한쪽의 측면을 파고 들어가 압접되어 시일 포인트로서 기능하는 것인 와이어 하네스용의 그로밋.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걸림 오목부의 저면과 접촉하고 있는 위치에 있어서의 양 측면 사이의 치수(L1)와, 상기 차체 패널과 버링의 선단 사이의 치수[버링(B)의 돌출 높이](L2)는, L1=(0.6 내지 0.9)×L2로서 설정되는 것인 와이어 하네스용의 그로밋.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걸림 오목부의 측면 중 한쪽의 측면은 그로밋의 축선 방향에 직각인 수직 측면이고, 이에 대향하는 다른 쪽의 측면은 상기 수직 측면을 향해서 개구단측이 경사진 경사측면이며,
    상기 수직 측면은 관통 구멍을 둘러싸는 둘레의 면에 밀착되고, 상기 버링의 시일 포인트로서 기능하는 선단면이 상기 경사측면에 압접되는 것인 와이어 하네스용의 그로밋.
  4. 차량에 배선되는 와이어 하네스에 외부에서 끼워지고, 차체 패널의 버링이 돌출하는 관통 구멍에 장착되는 와이어 하네스용의 그로밋으로서,
    고무 및 엘라스토머 중 어느 하나의 일체 성형품과,
    상기 와이어 하네스가 삽입 관통하는 통부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환형의 차체 걸림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차체 걸림 오목부는 저면을 이루는 측면들 중 한쪽의 측면을 향하여 직선형 또는 원호형으로 경사지게 돌출하는 경사 저면부 또는 원호형 저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버링의 돌출 선단면이 상기 경사 저면부와 원호형 저면부 중 하나를 파고 들어가 압접되어 시일 포인트로서 기능하는 것인 와이어 하네스용의 그로밋.
KR1020127025787A 2010-03-31 2010-11-17 와이어 하네스용 그로밋 Expired - Fee Related KR1013350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81804A JP5365568B2 (ja) 2010-03-31 2010-03-31 ワイヤハーネス用のグロメット
JPJP-P-2010-081804 2010-03-31
PCT/JP2010/070434 WO2011121838A1 (ja) 2010-03-31 2010-11-17 ワイヤハーネス用のグロメ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513A true KR20120135513A (ko) 2012-12-14
KR101335080B1 KR101335080B1 (ko) 2013-12-03

Family

ID=44711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5787A Expired - Fee Related KR101335080B1 (ko) 2010-03-31 2010-11-17 와이어 하네스용 그로밋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656553B2 (ko)
EP (1) EP2555363A4 (ko)
JP (1) JP5365568B2 (ko)
KR (1) KR101335080B1 (ko)
CN (1) CN102844949B (ko)
AU (1) AU2010349598B2 (ko)
WO (1) WO20111218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848B1 (ko) * 2013-06-03 2015-04-10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환경 시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42656B2 (ja) * 2011-10-19 2015-07-01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
CN203267952U (zh) * 2013-04-16 2013-11-06 奥托立夫开发公司 一种汽车安全系统电子控制装置
US9611879B2 (en) * 2013-05-14 2017-04-04 Thomas DeCosta Rapid mount wall anchoring system with cable pass through
KR200478835Y1 (ko) 2014-09-26 2015-11-2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이중 고정 그로멧
KR102119379B1 (ko) 2014-12-08 2020-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케이블 고정성이 향상된 그로멧
EP3283161A4 (en) 2015-04-17 2019-04-10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STERILE PORT CONNECTION
CN105172672A (zh) * 2015-08-24 2015-12-23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示廓灯的安装总成及汽车
JP6978849B2 (ja) * 2017-04-20 2021-12-08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用グロメット
US10914403B2 (en) * 2018-05-16 2021-02-09 Thomas DeCosta Adjustable mounting apparatus
DE102019204717A1 (de) * 2019-04-03 2020-10-08 Mahle International Gmbh Heizungs-, Belüftungs- oder Klimaanlage
JP7256465B2 (ja) * 2019-10-30 2023-04-12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
JP7354870B2 (ja) * 2020-02-18 2023-10-03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
GB2606055B (en) * 2021-03-01 2025-01-29 Caterpillar Inc A grommet
KR20230153005A (ko) 2022-04-28 2023-11-06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차량용 그로밋 장치
EP4293844A1 (en) * 2022-06-14 2023-12-20 Robert Bosch GmbH Grommet for sealing a cable in a cable bushing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12712A (en) * 1955-10-31 1959-11-17 William S Shamban One-piece grommet
JPH07245031A (ja) * 1994-03-01 1995-09-19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用グロメット
US5739475A (en) * 1994-04-21 1998-04-14 Inoac Corporation Grommet for protecting a wire harness with structure for ensuring flush seating
JP3431273B2 (ja) * 1994-04-21 2003-07-28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グロメット
US6051795A (en) * 1995-08-22 2000-04-18 Ta Mfg. Company Gimballed grommet having sections with different melt temperatures
JP3362999B2 (ja) 1995-08-23 2003-01-07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
JPH09129064A (ja) * 1995-10-27 1997-05-16 Sumitomo Wiring Syst Ltd グロメット
US6088876A (en) * 1998-09-30 2000-07-18 Lucent Technologies, Inc. Sealing grommet
JP3520797B2 (ja) * 1999-03-02 2004-04-19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
KR100315364B1 (ko) * 1999-12-13 2001-11-26 류정열 엔진룸으로부터 객실로의 소음 차단용 그로메트
JP3765220B2 (ja) * 2000-03-15 2006-04-12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
DE60124596T2 (de) * 2000-09-22 2007-03-08 Sumitomo Wiring Systems, Ltd., Yokkaichi Tülle
US6486400B1 (en) * 2001-09-18 2002-11-26 Delphi Technologies, Inc. Acoustic grommet
JP3918486B2 (ja) * 2001-09-28 2007-05-23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
JP3983212B2 (ja) * 2003-09-03 2007-09-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が挿通されるグロメットを備える機器
US7026549B1 (en) * 2005-02-04 2006-04-11 Delphi Technologies, Inc. Collapsible grommet
JP4361027B2 (ja) * 2005-02-14 2009-11-11 矢崎総業株式会社 グロメット
GB0708823D0 (en) * 2007-05-05 2007-06-13 Short Brothers Plc Grommet
JP5136223B2 (ja) * 2008-06-03 2013-02-06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
JP5365569B2 (ja) * 2010-04-01 2013-12-11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用のグロメ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848B1 (ko) * 2013-06-03 2015-04-10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환경 시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55363A4 (en) 2014-06-11
US8656553B2 (en) 2014-02-25
JP2011217477A (ja) 2011-10-27
CN102844949B (zh) 2015-10-21
AU2010349598A1 (en) 2012-09-27
WO2011121838A1 (ja) 2011-10-06
KR101335080B1 (ko) 2013-12-03
US20120291220A1 (en) 2012-11-22
EP2555363A1 (en) 2013-02-06
JP5365568B2 (ja) 2013-12-11
AU2010349598B2 (en) 2014-02-06
CN102844949A (zh) 201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5080B1 (ko) 와이어 하네스용 그로밋
JP5200407B2 (ja) グロメット
KR101175467B1 (ko) 그로밋
WO2009147762A1 (ja) グロメット
WO2009147760A1 (ja) グロメット
JP2008074325A (ja) 物品のシール構造
US20150288158A1 (en) Grommet
JP5098828B2 (ja) グロメット
JP5469585B2 (ja) ワイヤハーネス用のグロメット
KR20180112849A (ko) 그로밋
JP2020036476A (ja) グロメット
US20140020930A1 (en) Grommet
KR101701963B1 (ko) 차량용 그로밋
JP2011223747A (ja) グロメット
US6637070B2 (en) Grommet
JP2005033884A (ja) グロメット
JP3596407B2 (ja) グロメット、該グロメットのパネル取付方法および取付構造
CN105074269A (zh) 转矩杆
JP4483767B2 (ja) グロメット
JP4552875B2 (ja) ブーツ
JP4543326B2 (ja) 樹脂成形体の取付構造
JP2008262872A (ja) グロメット
JP3656415B2 (ja) グロメット
JP2002171647A (ja) グロメット
JP4668741B2 (ja) グロメ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2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0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