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135490A - 유체저장탱크용 구조체 - Google Patents

유체저장탱크용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5490A
KR20120135490A KR1020120070729A KR20120070729A KR20120135490A KR 20120135490 A KR20120135490 A KR 20120135490A KR 1020120070729 A KR1020120070729 A KR 1020120070729A KR 20120070729 A KR20120070729 A KR 20120070729A KR 20120135490 A KR20120135490 A KR 20120135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ier
coupling
insulation board
storage tank
fluid stor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0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정오
전상언
김대중
여세동
조기헌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0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5490A/ko
Publication of KR20120135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549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6Gluing; Taping; Cold-bon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17C3/027Wallpanels for so-called membrane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2Assembling processes
    • F17C2209/221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2Assembling processes
    • F17C2209/227Assembling processes by adhesiv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F17C2270/0107Wall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유체저장탱크용 구조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저장탱크용 구조체는 유체저장탱크의 외부와 내부 사이의 열이동을 차단하는 단열보드, 상기 단열보드의 상에 위치하며 고정부에 의하여 상기 단열보드에 고정되는 결합부 및 상기 단열보드와 접촉하는 제1 영역과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배리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체저장탱크용 구조체{Structure For Fluid Storage Tank}
본 발명은 유체 저장탱크용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가스와 같은 유체는 육상 또는 해상의 파이프라인을 통해 가스 상태로 운반되기도 하지만 액화된 상태로 운반선에 적재하여 운반하기도 한다.
상온에서 가스 상태인 유체를 액화하기 위해서는 유체를 극저온으로 냉각시켜야 한다. 예를 들어, LNG는 천연가스를 -163 ℃의 극저온으로 냉각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유체를 액화하면 액화된 유체의 부피가 기체일 때에 비하여 줄어들므로 액화 유체는 해상을 통한 원거리 운반에 매우 적합하다.
이와 같이 액화 유체를 선박을 통하여 운송하기 위하여 선박은 극저온에 견딜 수 있는 유체저장탱크가 마련되는데, 이러한 유체저장탱크의 내부에는 유체저장탱크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열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구조체가 구비된다.
일반적인 유체저장탱크용 구조체는 제1 패널(panel)과, 제1 패널 상에 설치되는 제2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한국출원특허 10-2001-0070735과 같이 제1 패널과 제2 패널은 복수의 부재들이 적층된 구조를 가지며, 유체저장탱크용 구조체의 구조를 간단히 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국출원특허 10-2001-0070735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저장탱크용 구조체는 구조체의 구조를 보다 간단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유체저장탱크의 외부와 내부 사이의 열이동을 차단하는 단열보드, 상기 단열보드의 상에 위치하며 고정부에 의하여 상기 단열보드에 고정되는 결합부 및 상기 단열보드와 접촉하는 제1 영역과 상기 결합부와 용접 결합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배리어를 포함하는 유체저장탱크용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에는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부를 상기 단열보드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단열보드의 둘레에 위치하며, 상기 배리어의 제1 영역은 상기 배리어의 중앙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의 제2 영역은 상기 단열보드의 둘레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는 스팟 용접을 통하여 상기 결합부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와 상기 단열보드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부에 의하여 고정되고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단열보드에 부착되는 결합보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의 제1 영역과 접촉하는 상기 단열보드의 영역에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저장탱크용 구조체는 플라이우드 없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구조체의 구조를 보다 간단히 할 수 있고, 열응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저장탱크용 구조체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저장탱크용 구조체의 제1 패널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저장탱크용 구조체의 제1 패널의 제작 공정을 나타낸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저장탱크용 구조체의 제2 패널의 열응력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저장탱크용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저장탱크용 구조체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저장탱크용 구조체는 제1 패널(10), 보조 배리어(barrier)(20), 제2 패널(3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제2 패널(30) 및 보조 배리어(20)에 대해 먼저 설명한 후 제1 패널(10)에 대해 설명한다.
제2 패널(30)은 제1 패널(10) 상에 적층되며,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단열보드와 단열보드 상에 부착되는 배리어(barrier)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패널(30)의 배리어는 멤브레인(membrane)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열변형으로 인한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코러게이션(Corrugation)을 가질 수 있다.
배리어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액화천연가스와 같이 액화된 유체와 접촉되어 액밀(liquid tightness)을 지지하고, 액압 등의 하중은 단열보드 및 제1 패널(10)를 통하여 저장탱크의 내측면으로 전달된다. 제2 패널(30)에 관한 기타 구성상 특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보조 배리어(20)에 대해 설명한다. 보조 배리어(20)는 인접하는 제2 패널들(30) 상면에 겹쳐지게 부착되어 제2 패널들(30)을 연결하고 제1 패널(10)과 제2 패널(30) 사이를 밀봉할 수 있다. 보조 배리어(20)는 금속재질, 예컨대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배리어(20)는 평평한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코러게이션(corrugation)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보조 배리어(20)의 코러게이션은 보조 배리어(20)의 열 변형에 따른 열 응력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제1 패널(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저장탱크용 구조체의 제1 패널(10)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보드(board)(110), 결합부(120), 및 배리어(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열보드(110)는 유체저장탱크의 외부와 내부 사이의 열이동을 차단한다. 단열보드(110)는 유체저장탱크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단열보드(110)의 저면에 도포된 매스틱(mastic)과 같은 접착제에 의해 저장탱크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액화된 유체로 인하여 단열보드(110)의 양측면들 중 유체저장탱크의 내부에 가까운 측면의 온도는 섭씨 -110 도 정도가 되고 유체저장탱크의 외부에 가까운 측면의 온도는 섭씨 20 도 정도가 된다. 이와 같은 단열보드(110)의 양측면의 큰 온도 차이로 인하여 유체저장탱크 내부의 액화 유체 상태를 유지하기 힘들 수 있다.
따라서 단열보드(110)는 유체저장탱크 내부 및 외부 사이의 열이동을 차단함으로써 액화 유체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열보드(110)는 열이동 차단 능력이 우수한 유리섬유 강화 폴리우레탄 폼(R-PUF : Reinforced PU Foam)을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단열보드(110)와 유체저장탱크의 내측면 사이에 보호판(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보호판은 저장탱크 내측면에 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단열보드(110)는 접착제에 의하여 보호판에 부착될 수 있다.
결합부(120)는 단열보드(110)의 상에 위치하며 고정부(200)에 의하여 단열보드(110)에 고정된다. 이 때 결합부(120)에는 고정홀(210)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200)는 리벳(rivet)이나 스크류(screw)와 같은 것으로 고정홀(210)에 삽입되어 결합부(120)를 단열보드(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200)는 리벳이나 스크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결합부(120)는 단열보드(110)의 임의의 영역에 위치할 수 있으나 제1 패널(10)의 제작 상의 편의를 위하여 단열보드(110)의 둘레에 위치할 수 있다. 유체저장탱크용 구조체의 제조장치는 결합부(120)를 단열보드(110)의 둘레를 따라 배치 및 정렬할 수 있으므로 제1 패널(10)의 제작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배리어(130)는 단열보드(110)와 접촉하는 제1 영역과 결합부(120)와 용접 결합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한다. 배리어(130)는 유체저장탱크에 저장된 유체가 유체저장탱크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리어(130)의 제1 영역과 단열보드(110)가 접촉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저장탱크용 구조체의 제1 패널(10)은 기존에 배리어(130)와 단열보드(110) 사이에 있는 플라이우드(plywood) 없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라이우드 없이 제1 패널(10)이 제작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저장탱크용 구조체는 간단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결합부(120)가 단열보드(110)의 둘레에 위치할 경우, 배리어(130)의 제1 영역은 배리어(130)의 중앙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배리어(130)의 제2 영역은 단열보드(110)의 둘레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배리어(130)는 라인 용접(line welding)을 통하여 결합부(120)와 결합될 수도 있고 스팟 용접(spot welding)을 통하여 결합부(120)와 결합될 수도 있다. 배리어(130)가 스팟 용접을 통하여 결합부(120)와 결합될 경우 용접 영역이 라인 용접에 비하여 줄어들어 열팽창과 같은 용접의 영향이 줄어들 수 있다.
배리어(130)와 결합부(120)는 용접 결합되므로 용접 결합에 적합한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르게 제1 패널(10)의 배리어가 트리플렉스(triplex)로 이루어질 경우, 트리플렉스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단열보드(110) 상에 접착된다. 트리플렉스는 단열보드(110) 상에 단순히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되므로 접착불량 및 접착력 부족으로 인해 배리어의 기밀성 및 안전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체는 용접을 위하여 배리어(130)가 금속을 포함하고, 금속을 포함하는 배리어(130)가 단열보드(110)에 결합되기 위하여 금속을 포함하는 결합부(120)를 포함한다. 따라서 트리플렉스의 접착불량이나 기밀성 및 안전성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체의 배리어(130)와 결합부(120)는 열팽창 계수가 동일한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리어(130)와 결합부(120)는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배리어(130)와 결합부(120)가 열팽창 계수가 동일한 금속을 포함하므로 용접이나 액화된 유체로 인하여 배리어(130)와 결합부(120) 사이의 열팽창 또는 열수축 차이가 감소하거나 거의 없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열팽창 또는 열수축 차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응력이 작아지거나 거의 없으므로 열응력이 배리어(130)와 결합부(120)에 작용하는 영향이 줄어들거나 거의 없을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체는 결합보조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보조부(300)는 결합부(120)와 단열보드(110) 사이에 위치하여 고정부(200)에 의하여 고정되고 접착제에 의하여 단열보드(110)에 부착될 수 있다.
금속을 포함하는 결합부(120)는 단열보드(110)와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될 때 결합부(120)와 단열보드(110) 사이의 접착력이 작을 수 있고 단열보드(110)가 고정부(200)에 의하여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결합보조부(300)는 단열보드(110)에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되고 고정부(200)에 의하여 결합부(120) 및 단열보드(110)와 함께 고정됨으로써 결합부(120)와 단열보드(110)의 결합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보조부(300)는 접착제에 의하여 단열보드(110)에 부착가능한 플라이우드일 수 있다.
이 때 결합보조부(300)는 고정부(200)의 삽입을 위한 고정보조홀(2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부(200)는 결합부(120)의 고정홀(210)과 결합보조부(300)의 고정보조홀(220)에 삽입되어 결합부(120), 결합보조부(300) 및 단열보드(11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저장탱크용 구조체의 제1 패널(10)의 제작 공정을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보드(110)가 준비된다. 일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결합보조부(300)가 단열보드(110) 상에 배치된 후 결합보조부(300)가 단열보드(110) 상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접착제에 의하여 결합보조부(300)가 단열보드(110)에 부착될 수도 있지만 접착제 없이 이후 공정에서 고정부(200)에 의하여 결합보조부(300)가 단열보드(1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 때 고정보조홀(220)은 결합보조부(300)에 미리 형성될 수도 있으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이후 결합부(120)가 결합보조부(300) 상에 배치된다. 이 때 결합부(120)에는 고정홀(210)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200)가 고정홀(210)에 삽입되어 결합보조부(300)를 관통하고 고정부(200)의 끝단이 단열보드(110)에 박힘으로써 단열보드(110), 결합보조부(300) 및 결합부(120)가 서로 결합된다. 고정부(200)는 결합보조부(300)에 형성된 고정보조홀(220)에 삽입될 수도 있으나 고정부(200)가 결합보조부(300)를 관통하는 과정에서 결합보조부(300)에 고정보조홀(220)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결합부(120) 및 결합보조부(300)는 단열보드(110) 전체를 덮도록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단열보드(110)의 둘레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부(120) 및 결합보조부(300)가 배치되면 단열보드(110)의 중앙 영역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이후 배리어(130)가 결합부(120) 상에 배치되고 용접장치에 의하여 배리어(130)와 결합부(120)가 용접 결합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배리어(130)와 결합부(120)는 용접 장치의 라인 용접 또는 스팟 용접에 의하여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이상의 과정에서 단열보드(110)의 중앙 영역이 외부에 노출되므로 배리어(130)가 결합부(120)와 용접결합되면 배리어(130)의 일정 영역은 단열보드(110)와 접촉하게 된다.
도 3에서는 단열보드(110) 상에 결합보조부(300)가 부착되고 결합부(120)가 결합보조부(300) 상에 배치된 후 고정부(200)에 의하여 단열보드(110), 결합보조부(300) 및 결합부(120)가 결합되나, 결합보조부(300) 없이 단열보드(110) 상에 결합부(120)가 배치되고 고정부(200)에 의하여 단열보드(110) 및 결합부(120)가 결합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저장탱크용 구조체의 제1 패널(10)의 열응력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4의 우측에는 결합부(120) 및 결합보조부(300)가 단열보드(110)의 둘레에 위치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체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의 좌측에는 플라이우드가 단열보드 전체를 덮는 비교예가 도시되어 있다.
실제 유체저장탱크의 환경에서는 액화된 유체와 인접한 제1 패널(10) 영역의 온도는 섭씨 영하 110 도 정도이고, 유체저장탱크의 외부와 인접한 제1 패널(10) 영역의 온도는 섭씨 20 도 정도이다. 따라서 이와 유사한 환경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에 대한 열응력 분석이 이루어졌다.
도 5는 비교예의 단열보드(110) 둘레 영역에서의 열응력을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열보드(110) 둘레에서의 열응력을 나타낸다. 스테인레스 스틸을 포함하는 배리어(130)의 허용 열응력은 210MPa으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및 본 발명의 실시예 모두 단열보드(110) 둘레 영역에서의 열응력은 허용 열응력 이내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의 열응력은 93MPa이며 비교예의 열응력은 203MPa 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열응력 분석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열응력이 비교예의 열응력에 비하여 매우 작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체가 비교예에 비하여 우수한 열응력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저장탱크용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리어(130)의 제1 영역과 접촉하는 단열보드(110)의 영역에 슬릿(slit)(4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슬릿(400)은 단열보드(110) 양측에서의 온도 환경(예를 들어, 섭씨 영하 110 도 및 섭씨 20 도) 및 배리어(130)와 단열보드(110)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열응력을 완화시켜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 제1 패널 20 : 보조 배리어
30 : 제2 패널 110 : 단열보드
120 : 결합부 130 : 배리어
200 : 고정부 210 : 고정홀
220 : 고정보조홀 300 : 결합보조부
400 : 슬릿

Claims (6)

  1. 유체저장탱크의 외부와 내부 사이의 열이동을 차단하는 단열보드;
    상기 단열보드의 상에 위치하며 고정부에 의하여 상기 단열보드에 고정되는 결합부; 및
    상기 단열보드와 접촉하는 제1 영역과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배리어를 포함하는 유체저장탱크용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부를 상기 단열보드에 고정시키는 유체저장탱크용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단열보드의 둘레에 위치하며,
    상기 배리어의 제1 영역은 상기 배리어의 중앙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의 제2 영역은 상기 단열보드의 둘레 상에 위치하는 유체저장탱크용 구조체.
  4.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는 스팟 용접을 통하여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유체저장탱크용 구조체.
  5.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와 상기 단열보드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부에 의하여 고정되고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단열보드에 부착되는 결합보조부를 더 포함하는 유체저장탱크용 구조체.
  6.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의 제1 영역과 접촉하는 상기 단열보드의 영역에 슬릿이 형성되는 유체저장탱크용 구조체.
KR1020120070729A 2012-06-29 2012-06-29 유체저장탱크용 구조체 Ceased KR201201354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729A KR20120135490A (ko) 2012-06-29 2012-06-29 유체저장탱크용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729A KR20120135490A (ko) 2012-06-29 2012-06-29 유체저장탱크용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490A true KR20120135490A (ko) 2012-12-14

Family

ID=47903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0729A Ceased KR20120135490A (ko) 2012-06-29 2012-06-29 유체저장탱크용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54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3214A1 (ko) * 2014-07-04 2016-01-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및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단열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3214A1 (ko) * 2014-07-04 2016-01-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및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단열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24222B2 (ja) 流体を貯蔵するための密閉断熱タンク
JP6479221B2 (ja) コルゲート金属シートを備えたコーナー配置が設けられた二次密閉膜を有する密閉断熱タンク
KR102029862B1 (ko) 파이프를 포함하는 용기 벽
KR101751838B1 (ko) 앵커 스트립이 제거된 액화가스 화물창의 인슐레이션 구조, 그 인슐레이션 구조를 구비하는 화물창, 및 그 화물창을 구비하는 액화가스 운반선
KR101399843B1 (ko) 화물창 방열 시스템
US20110076092A1 (en) Apparatus for fixing an insulation panel of a cargo and insulation panel thereof
KR102387173B1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90도 코너 부의 단열 구조, 및 그 단열 구조를 구비하는 화물창
KR101707499B1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 구조 및 단열 구조의 연결 방법
KR20180061945A (ko) 멤브레인형 저장탱크의 단열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멤브레인형 저장탱크
KR101422520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용 단열구조체
KR101108630B1 (ko) 극저온 액체 저장탱크의 단열 구조체
KR20140044584A (ko) 액화천연가스운반선의 단열 구조
KR101444370B1 (ko)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화물창의 단열구조
KR101571425B1 (ko) 화물창용 베이스서포트
KR20120135490A (ko) 유체저장탱크용 구조체
KR101556262B1 (ko) 액화가스 화물창
KR101434146B1 (ko) 단열방벽 접합구조
KR20150100007A (ko) 2차 방벽 설치 구조 및 방법
KR101814445B1 (ko) 액화가스 화물창용 패널고정장치 및 이를 갖춘 액화가스 화물창
KR20160008907A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KR102525949B1 (ko) 멤브레인형 저장탱크의 단열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멤브레인형 저장탱크
KR101713852B1 (ko) 2차 방벽 설치 구조 및 방법
KR20150045197A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및 이에 사용되는 방벽 보강부재
RU2810174C2 (ru) Теплоизолированный герметичный резервуар
KR100969569B1 (ko) 화물창의 인슐레이션 패널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1126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7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428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310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7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6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12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409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8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7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630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2I

Patent event date: 201404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12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3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