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8526A - Hanger type multilayer apparatus with column structure for hydroponic cultivating - Google Patents
Hanger type multilayer apparatus with column structure for hydroponic cultivat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28526A KR20120128526A KR1020110048957A KR20110048957A KR20120128526A KR 20120128526 A KR20120128526 A KR 20120128526A KR 1020110048957 A KR1020110048957 A KR 1020110048957A KR 20110048957 A KR20110048957 A KR 20110048957A KR 20120128526 A KR20120128526 A KR 201201285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utrient solution
- cultivation
- frame
- cultivation frame
- pill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0384 rear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707 rearrang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4 cultiv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1 culture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96 emo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63 growth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52 growth promo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75 pes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5—Special apparatus therefor with means for recycling the nutritive solu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기둥구조 걸이식 다층 수경 재배기는, 바닥과 천정에 밀착 고정되어 바닥과 천정을 수직하게 연결하는 복수 개의 기둥프레임; 상기 기둥 프레임에 설치된 복수 개의 받침대에 의해 서로 다른 높이에서 수평하게 배치되고, 작물포트를 수용하는 복수 개의 포트 구멍이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측부에 형성된 흡입공을 통해 유입된 양액을 타측부에 형성된 배출공을 통해 배출하는 복수 개의 재배틀; 상기 복수 개의 재배틀 중 최하단에 위치한 재배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재배틀 중 최상단에 위치한 재배틀에 공급하기 위한 양액을 저장하고, 상기 최하단에 위치한 재배틀에 형성된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양액을 수용하는 양액 저장조; 및 상기 복수 개의 재배틀들을 거치며 양액이 순환할 수 있도록 상기 양액 저장조에 저장된 양액을 상기 최상단에 위치한 재배틀에 공급하는 양액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재배틀을 안정적으로 안착시켜주기 위한 재배틀 안착부와, 상기 기둥프레임 상에서 상기 재배틀 안착부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높낮이 조절수단을 갖는 받침대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olumn structure multi-layer hydroponic culti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illar frames that ar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and ceiling vertically connecting the floor and the ceiling; It is arranged horizontally at different heights by a plurality of pedestals installed on the pillar frame, a plurality of port holes for receiving the crop port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top, and the nutrient solution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hole formed in one side A plurality of cultivation frames for discharging through discharge holes formed in the side parts; It is disposed under the cultivation fram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plurality of cultivation frame, stores the nutrient solution for supply to the cultivation frame located at the top of the plurality of cultivation frame, discharge through the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cultivation frame located at the bottom end A nutrient solution reservoir for receiving a nutrient solution being made; And a nutrient solution pump for supplying the nutrient solution stored in the nutrient solution reservoir to the cultivation frame located at the uppermost stage so that the nutrient solution can be circulated through the plurality of cultivation frames, and the pedestal is for stably seating the cultivation fra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positioning seat portion, and a pedestal fixing portion having a height adjustment means to enable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repositioning seat portion on the pillar frame.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둥구조 걸이식 다층 수경 재배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과 천정을 수직하게 연결하는 복수 개의 기둥프레임에 높이를 서로 달리하여 복수 개의 받침대들을 장착하고, 각각의 받침대에 재배틀을 배치하여줌으로써, 작물의 재배를 보다 용이하게 하는 것은 물론, 낙차 에너지를 이용한 원활한 양액 및 산소 공급을 통해 좁은 공간에서 효과적으로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수경 재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umnar multi-layer hydroponic cultivator. More specifically, by mounting a plurality of pedestals with different heights on the plurality of pillar frames connecting the floor and the ceiling vertically, and arranging the rearing frame on each pedestal, it is easier to grow crops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droponic cultivator capable of effectively cultivating crops in a narrow space through a smooth nutrient solution and oxygen supply using free energy.
일반적으로 수경재배라 함은 각종 작물이 필요로 하는 영양분이 용수에 포함된 양액을 수경재배용 포트에 심어진 작물의 뿌리로 직접 공급하는 청정 재배방법으로서, 수경재배는 일반적으로 포트에 심어진 작물의 뿌리가 양액에 상시 담겨져 있는 상태에서 영양분을 공급받도록 형성된다.In general, hydroponic cultivation is a clean cultivation method in which nutrients needed by various crops are supplied directly to the roots of crops planted in a hydroponic cultivation pot. It is formed so that it is supplied with nutrients in the state always contained in nutrient solution.
수경재배는 뿌리의 상태와 성장모습을 직접 관찰할 수 있으며,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채소나 작물을 생산하기 용이하고, 집안에서 손쉽게 작물의 재배가 가능하다. 또한, 수경재배는 각종 성장촉진제 및 영양제를 희석시킨 배양액을 공급함으로써 각종 병충해로부터 식물을 보호할 수 있고 식물의 성장속도를 인위적으로 촉진시켜 인체에 유해한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도 단기간 내에 많은 수확량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Hydroponic cultivation can directly observe the condition and growth of roots, it is easy to produce uncontaminated clean vegetables or crops, and it is easy to grow crops in the house. In addition, hydroponic cultivation can protect the plant from various pests by supplying a culture medium diluted with various growth promoters and nutrients, and can artificially accelerate the growth rate of the plant to obtain a large yield in a short time without using harmful pesticides to the human body. There is an advantage to that.
또한, 상기 수경재배는 물을 사용하므로 실내의 습도조절에도 활용할 수 있고 작물로부터 산소가 공급되는 것뿐만 아니라 아이들의 정서발달에도 좋은 영향을 끼치므로 아파트의 베란다나 일반 가정의 실내에 수경재배장치를 설치하여 실내 조경용으로 사용하는 가정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In addition, the hydroponic cultivation can be utilized to control the humidity in the room because it uses water, and not only oxygen is supplied from the crop, but also affects the children's emotional development, so the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in the veranda of the apartment or the home Homes installed and used for indoor landscaping are gradually increasing.
이에, 수경재배를 할 수 있는 다양한 수경재배장치들이 개시되고 왔다. 예를 들면 등록실용신안 제20-0261098호, 등록특허 제10-0459631호, 등록특허 제10-0761253호 등이 있다.Accordingly, various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es capable of hydroponic cultivation have been disclosed. For exampl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61098, Patent No. 10-0459631, Registration No. 10-0761253, and the like.
그런데, 상기 개시된 종래의 수경재배장치들은 주로 수경식물에 배양액을 보다 원활하게 공급하는 기술적 측면을 개선하는 기술들로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hydroponic apparatuses mainly improve the technical aspects of supplying the culture fluid to the hydroponic plant more smoothly, and have the following problems.
먼저, 수경식물에 배양액만을 공급할 뿐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빛을 공급할 수 없기 때문에 수경식물의 성장을 촉진하는데 일정 한계가 있으며, 특히 햇빛이 부족한 장소에서는 효율적으로 수경재배를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First, there is a limit to promote the growth of hydroponic plants, because only supplying the culture solution to the hydroponic plants can not supply the light necessary for the growth of the plan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ultivate hydroponic plants efficiently in places where the sunlight is insufficient.
또한, 장치의 구조상 아파트나 사무실의 실내 등 좁은 공간에 설치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structure of the device is difficult to install and use in a narrow space, such as the interior of an apartment or office.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다수 개의 재배틀을 수직방향으로 다층 구조로 배치해줌으로써, 베란다와 같은 좁은 실내 공간에서 단위면적당 재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수경 재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ydroponic cultivator capable of maximizing cultivation efficiency per unit area in a narrow interior space such as a veranda by arranging a plurality of cultivation frameworks in a vertical structure in a vertic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낙차 에너지를 이용한 순환식 양액 공급 구조를 통해 별도의 산소 발생기가 없더라도 작물재배에 필요한 산소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수경 재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ydroponic cultivator capable of continuously supplying oxygen for crop cultivation even without a separate oxygen generator through a circulating nutrient solution supply structure using free energy.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 공간의 변경으로 인해 수경 재배기를 다른 공간으로 이전 설치하더라도, 설치 공간에 대응하여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수경 재배기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hydroponic cultivator is transferred to another space due to the change of the installation space,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stably install the hydroponic cultivator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spac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재배작물의 발육 상태(사이즈 변화)에 따라 재배틀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수경 재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ydroponic cultivator capable of easily changing the height of the cultivation frame according to the growth state (size change) of the cultivated crop.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하실과 같이 작물재배에 필요한 빛이 충분히 공급되지 않는 환경에서도 효과적인 수경 재배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effective hydroponic cultivation even in an environment in which light necessary for crop cultivation, such as a cellar, is not sufficiently supplied.
본 발명에 따른 기둥구조 걸이식 다층 수경 재배기는, 바닥과 천정에 밀착 고정되어 바닥과 천정을 수직하게 연결하는 복수 개의 기둥프레임; 상기 기둥 프레임에 설치된 복수 개의 받침대에 의해 서로 다른 높이에서 수평하게 배치되고, 작물포트를 수용하는 복수 개의 포트 구멍이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측부에 형성된 흡입공을 통해 유입된 양액을 타측부에 형성된 배출공을 통해 배출하는 복수 개의 재배틀; 상기 복수 개의 재배틀 중 최하단에 위치한 재배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재배틀 중 최상단에 위치한 재배틀에 공급하기 위한 양액을 저장하고, 상기 최하단에 위치한 재배틀에 형성된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양액을 수용하는 양액 저장조; 및 상기 복수 개의 재배틀들을 거치며 양액이 순환할 수 있도록 상기 양액 저장조에 저장된 양액을 상기 최상단에 위치한 재배틀에 공급하는 양액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재배틀을 안정적으로 안착시켜주기 위한 재배틀 안착부와, 상기 기둥프레임 상에서 상기 재배틀 안착부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높낮이 조절수단을 갖는 받침대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olumn structure multi-layer hydroponic culti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illar frames that ar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and ceiling vertically connecting the floor and the ceiling; It is arranged horizontally at different heights by a plurality of pedestals installed on the pillar frame, a plurality of port holes for receiving the crop port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top, and the nutrient solution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hole formed in one side A plurality of cultivation frames for discharging through discharge holes formed in the side parts; It is disposed under the cultivation fram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plurality of cultivation frame, stores the nutrient solution for supply to the cultivation frame located at the top of the plurality of cultivation frame, discharge through the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cultivation frame located at the bottom end A nutrient solution reservoir for receiving a nutrient solution being made; And a nutrient solution pump for supplying the nutrient solution stored in the nutrient solution reservoir to the cultivation frame located at the uppermost stage so that the nutrient solution can be circulated through the plurality of cultivation frames, and the pedestal is for stably seating the cultivation fra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positioning seat portion, and a pedestal fixing portion having a height adjustment means to enable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repositioning seat portion on the pillar frame.
상기 재배틀 안착부는, 상기 기둥 프레임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 중 하나 이상의 방향을 향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aring unit sea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is formed to face at least one of the front, rear direction around the pillar frame.
상기 재배틀 안착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aring portion sea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recessed groove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받침대는, 상기 재배틀의 상부에서 빛을 조사하는 조명장치를 안착시키기 위한 조명 안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명 안착부, 상기 재배틀 안착부, 및 상기 받침대 고정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edestal further comprises a lighting seating portion for seating the lighting device for irradiating ligh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ing frame, wherein the lighting seating portion, the rearranging seating portion, and the pedestal fixing portion is formed integrally. .
상기 흡입공는 상기 재배틀의 일측부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는 상기 재배틀의 타측부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ction hole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one side of the cultivation frame, the discharge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cultivation frame.
상기 기둥프레임은, 바닥과 천정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기둥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illar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eight adjustment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illar frame in accordance with the distance between the floor and the ceiling.
다수 개의 재배틀을 수직방향으로 다층 구조로 배치해줌으로써, 베란다와 같은 좁은 실내 공간에서 단위면적당 재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arranging a plurality of cultivation frame in a multi-layer structur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aximize the cultivation efficiency per unit area in a narrow interior space such as a veranda.
또한, 낙차 에너지를 이용한 순환식 양액 공급 구조를 통해 별도의 산소 발생기가 없더라도 작물재배에 필요한 산소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oxygen generator through the circulating nutrient solution supply using the free energ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continuously supply the oxygen required for crop cultivation.
또한, 설치 공간의 변경으로 인해 수경 재배기를 다른 공간으로 이전 설치하더라도, 설치 공간에 대응하여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hydroponic cultivator is transferred to another space due to the change of the installation spac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and reliably installed in response to the installation space.
또한, 재배작물의 발육 상태(사이즈 변화)에 따라 재배틀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asily change the height of the cultivation frame according to the growth state (size change) of the cultivated crop.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둥구조 걸이식 다층 수경 재배기에 적용되는 재배틀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둥구조 걸이식 다층 수경 재배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둥구조 걸이식 다층 수경 재배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둥구조 걸이식 다층 수경 재배기에 적용되는 받침대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받침대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둥구조 걸이식 다층 수경 재배기에 적용되는 받침대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받침대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수경 재배기에서 낙차 에너지에 의해 원활한 양액 및 산소 공급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ultivation frame applied to a multi-layer hydroponic culti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lumnar multi-layer hydroponic cultivator shown in FIG.
Figure 3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columnar multi-layer hydroponic culti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pedestal applied to the columnar multi-layer hydroponic culti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in detail the shape of the pedestal shown in FIG. 4.
Figure 6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pedestal applied to the columnar multi-layer hydroponic culti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in detail the shape of the pedestal shown in FIG. 6.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the smooth supply of nutrient solution and oxygen by the free fall energy in the multi-layer hydroponic culti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Repeated descriptions,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explain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s and sizes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like can be exaggerated for clarity.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main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 또는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or "include" a certain component, unless otherwise stated that does not exclude the other component that can further include or include other components it means.
이하 상기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 및 중복되는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specifically realize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names and symbo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additional description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둥구조 걸이식 다층 수경 재배기에 적용되는 재배틀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둥구조 걸이식 다층 수경 재배기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둥구조 걸이식 다층 수경 재배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ultivation frame applied to a columnar multi-layer hydroponic culti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lumnar multi-layer hydroponic cultivator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columnar multi-layer hydroponic culti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기둥구조 걸이식 다층 수경 재배기는 바닥과 천정에 밀착 고정되어 바닥과 천정을 수직하게 연결하는 복수 개의 기둥프레임(10,20)과, 기둥 프레임(10,20)에 설치된 복수 개의 받침대(도 4의 60 또는 도 6의 70)에 의해 서로 다른 높이에서 수평하게 배치되고, 작물포트(5)를 수용하는 복수 개의 포트 구멍(59)이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측부에 형성된 흡입공(52)을 통해 유입된 양액을 타측부에 형성된 배출공(55)을 통해 배출하는 복수 개의 재배틀(50)과, 복수 개의 재배틀(50) 중 최하단에 위치한 재배틀의 하부에 배치되며, 복수 개의 재배틀(50) 중 최상단에 위치한 재배틀에 공급하기 위한 양액을 저장하고, 최하단에 위치한 재배틀에 형성된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양액을 수용하는 양액 저장조(90)와, 및 복수 개의 재배틀(50)들을 거치며 양액이 순환할 수 있도록 양액 저장조(90)에 저장된 양액을 최상단에 위치한 재배틀에 공급하는 양액 펌프(80)를 포함한다.Column structure multi-layer hydroponic culti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and ceiling a plurality of pillar frames (10,20) for connecting the floor and the ceiling vertically, a plurality of pedestals installed on the pillar frame (10,20) (60 in FIG. 4 or 70 in FIG. 6) is arranged horizontally at different heights, a plurality of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재배틀(50)은 작물포트(5)를 수용하는 구멍(59)이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된 재배관(51), 재배관(51)의 일측부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양액을 재배관(51) 내부로 유입시키는 흡입공(52)과, 재배관(51) 내부의 양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공(55)을 포함한다. 여기서, 흡입공(52)은 재배관(51)의 일측부 상단에 형성되고, 배출공(55)은 재배관(51)의 타측부 하단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흡입공(52)을 배출공(55)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흡입공(52)으로 유입된 양액이 배출공(55) 쪽으로 보다 원활하게 유도될 수 있도록 하고, 낙차 에너지에 의한 기포를 발생시켜 양액에 산소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였다. 1 and 2, the
한편, 상기한 양액은 작물의 생육에 꼭 필요한 무기양분을 각각의 흡수량의 비율에 맞추어 물에 용해시킨 것으로 배양액이라고도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nutrient solution is also called a culture solution by dissolving the inorganic nutrients necessary for the growth of the crop in water in accordance with the ratio of the respective absorption amount.
기둥프레임(10,20)의 최상단에 위치해 있는 재배틀의 경우에는, 흡입공(52)로 유입되는 양액은 양액 펌프(80)의 펌핑(Pumping) 동작에 의해 양액 저장조(90)으로부터 공급되고, 나머지의 경우(즉, 최상단에 위치해 있지 않은 재배틀의 경우)에는 바로 위에 위치해 있는 재배틀로부터 양액을 공급받게 된다.In the case of the cultivation frame located at the top of the
도 3을 참조하면, 기둥프레임(10,20)은 천정 고정부(12,22)와 바닥 고정부(13,23)에 의해 바닥과 천정에 밀착 고정되어 바닥과 천정을 수직하게 연결한다. 여기서, 천정 고정부(12,22)와 바닥 고정부(13,23)는 지지대(11,21)가 천정과 바닥에 밀착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있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그리고, 기둥프레임(10,20)은, 바닥과 천정 사이의 거리에 따라 기둥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정부(도 4의 15)를 구비한다. 기둥프레임(10,2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정부는 기 공지된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특정 방법을 국한하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사용자는 높이 조절부(15)를 조작하여 기둥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수경 재배기를 다른 공간으로 이전 설치하더라도, 설치 공간에 대응하여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수경 재배기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Since the user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pillar frame by operating the
재배틀(5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둥 프레임(10,20)에 설치된 복수 개의 받침대(미도시)에 의해 서로 다른 높이에서 수평하게 배치되고, 각각의 재배틀(50)은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해 있는 재배틀(50)과 양액 이동관(40)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As shown in FIG. 3, the
보다 상세하게는, 최상단에 위치한 재배틀(최상위 재배틀)의 흡입공(52)은 양액 공급관(35)을 통해 양액 저장조(90)의 양액 펌프(80)와 연결되고, 양액 펌프(80)에 의해 최상위 재배틀에 유입된 양액은 배출공(55)으로 이동하면서 작물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최상위 재배틀 바로 아래 위치한 재배틀의 흡입공(52)은 최상위 재배틀의 배출공(55)과 양액 이동관(40)을 통해 연결된다. 따라서, 최상위 재배틀의 배출공(55)에서 배출된 양액은 낙차 에너지에 의해 바로 아래 위치한 재배틀로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된 양액은 해당 재배틀의 배출공(55)으로 다시 이동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결과적으로, 낙차 에너지에 의해 최하단에 위치한 재배틀(최하위 재배틀)까지 양액이 공급되고, 최하위 재배틀의 배출공(55)을 통해 배출된 양액은 다시 양액 저장조(90)의 양액 펌프(80)에 의해 최상위 재배틀로 공급됨으로써, 각각의 재배틀에 양액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순환 구조를 형성한다. 도 8은 낙차 에너지에 의해 양액 순환과 함께 산소가 공급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As a result, the nutrient solution is supplied to the lowest cultivation frame (lowest cultivation frame) by the drop energy, and the nutrient solution discharged through the
양액 저장조(90)는 최하위 재배틀의 하부에 배치되며, 다층 구조를 갖는 복수 개의 재배틀 중 최상위 재배틀에 공급하기 위한 양액을 저장하고, 최하위 재배틀에 형성된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양액을 수용한다. The
그리고, 양액 펌프(80)는 양액이 복수 개의 재배틀들을 거치며 순환할 수 있도록 양액 저장조(90)에 저장된 양액을 최상위 재배틀에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nutrient solution pump 80 serves to supply the nutrient solution stored in th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둥구조 걸이식 다층 수경 재배기에 적용되는 받침대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받침대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둥구조 걸이식 다층 수경 재배기에 적용되는 받침대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받침대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Figure 4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pedestal applied to the columnar multi-layer hydroponic culti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the shape of the pedestal shown in FIG. 6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pedestal applied to the column-type hanger multi-layer hydroponic culti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shape of the pedestal shown in FIG. It is also.
도 3 및 4에 도시된 받침대(60)는 기둥프레임(10)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재배틀 안착부(62)와 조명 안착부(63)가 돌출 형성된 단방향 받침대이다.3 and 4 is a unidirectional pedestal in which the
여기서, 재배틀 안착부(62)는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 홈이 형성되어 있어, 재배틀(50)을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조명 안착부(63) 또한 마찬가지로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 홈이 형성되어, 재배작물에 빛을 공급하기 위한 조명장치(미도시)를 안정적으로 안착시킨다.Here, the replanting
본 발명에서는, 작물에 빛을 공급하기 위한 조명장치가 안착되는 조명 안착부(63)를 재배틀 안착부(62)와 함께 받침대에 형성해줌으로써, 지하실과 같이 작물재배에 필요한 빛이 충분히 공급되지 않는 환경에서도 효과적인 수경 재배가 가능하도록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한편, 상기한 재배틀 안착부(62)와 조명 안착부(63)는 기둥프레임(10)에 고정 결합된 받침대 고정부(61)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그 받침대 고정부(61)는 기둥프레임 상에서 재배틀 안착부(62)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높낮이 조절수단을 갖는다. 이에, 사용자가 재배작물의 발육 상태(사이즈 변화)에 따라 재배틀(50)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rear
도 6 및 7에 도시된 받침대(70)는 기둥프레임(10)을 중심으로 전,후 양방향으로 각각 재배틀 안착부(62)와 조명 안착부(63)가 돌출 형성된 양방향 받침대이다. 양방향 받침대(70)에 형성된 재배틀 안착부(62)와 조명 안착부(63)는 전술한 단방향 받침대(60)에서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6 and 7 are
다만, 차이점은 전,후 양방향으로 재배틀(50) 및 조명장치를 안착시킬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단방향 받침대(60)와 비교하여 좁은 공간에서 단위면적당 재배효율을 보다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However, the difference is that the means for seating the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best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the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employed herein, they are u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5:작물포트 10,20:기둥프레임
11,21:지지대 12,22:천정 고정부
13,23:바닥 고정부 15:높이 조정부
30:조명장치 35:양액 공급관
40:양액 이동관 50:재배틀
51:재배관 52:흡입공
53:흡입관 55:배출공
57:배출관 59:포트 구멍
60:단방향 받침대 61:받침대 고정부
62,71a,71b:재배틀 안착부 63,72a,72b:조명 안착부
70:양방향 받침대 80:양액 펌프
90:양액 저장조5:
11, 21:
13,23: bottom fixing part 15: height adjusting part
30: lighting device 35: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40: nutrient solution moving pipe 50: Re-battle
51: cultivation pipe 52: suction hole
53: suction pipe 55: exhaust hole
57: discharge pipe 59: port hole
60: unidirectional pedestal 61: pedestal fixing part
62,71a, 71b:
70: bidirectional support 80: nutrient pump
90: Nutrient reservoir
Claims (6)
상기 기둥 프레임에 설치된 복수 개의 받침대에 의해 서로 다른 높이에서 수평하게 배치되고, 작물포트를 수용하는 복수 개의 포트 구멍이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측부에 형성된 흡입공을 통해 유입된 양액을 타측부에 형성된 배출공을 통해 배출하는 복수 개의 재배틀;
상기 복수 개의 재배틀 중 최하단에 위치한 재배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재배틀 중 최상단에 위치한 재배틀에 공급하기 위한 양액을 저장하고, 상기 최하단에 위치한 재배틀에 형성된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양액을 수용하는 양액 저장조; 및
상기 복수 개의 재배틀들을 거치며 양액이 순환할 수 있도록 상기 양액 저장조에 저장된 양액을 상기 최상단에 위치한 재배틀에 공급하는 양액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재배틀을 안정적으로 안착시켜주기 위한 재배틀 안착부와, 상기 기둥프레임 상에서 상기 재배틀 안착부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높낮이 조절수단을 갖는 받침대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구조 걸이식 다층 수경 재배기.A plurality of pillar frames that ar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and the ceiling to vertically connect the floor and the ceiling;
It is arranged horizontally at different heights by a plurality of pedestals installed on the pillar frame, a plurality of port holes for receiving the crop port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top, and the nutrient solution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hole formed in one side A plurality of cultivation frames for discharging through discharge holes formed in the side parts;
It is disposed under the cultivation fram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plurality of cultivation frame, stores the nutrient solution for supply to the cultivation frame located at the top of the plurality of cultivation frame, discharge through the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cultivation frame located at the bottom end A nutrient solution reservoir for receiving a nutrient solution being made; And
A nutrient solution pump for supplying the nutrient solution stored in the nutrient solution reservoir to the cultivation frame located at the top so that the nutrient solution is circulated through the plurality of cultivation frames,
The pedestal,
Column structure hook typ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anting frame seat for stably seating the planting frame, and a pedestal fixing portion having a height adjustment means to enable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planting frame seating portion on the pillar frame Multilayer Hydroponic Planter.
상기 재배틀 안착부는,
상기 기둥 프레임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 중 하나 이상의 방향을 향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구조 걸이식 다층 수경 재배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aring plant seating portion,
A pillar structure-type multi-layer hydroponic cultiv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is formed so as to be directed toward at least one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bout the pillar frame.
상기 재배틀 안착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구조 걸이식 다층 수경 재배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aring plant seating portion,
A columnar hanger multi-layer hydroponic cultivator, characterized in that a concave groove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받침대는,
상기 재배틀의 상부에서 빛을 조사하는 조명장치를 안착시키기 위한 조명 안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명 안착부, 상기 재배틀 안착부, 및 상기 받침대 고정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구조 걸이식 다층 수경 재배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edestal,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lighting seat for mounting a lighting device for irradiating ligh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rangement,
The illumination seating portion, the rearing frame seating portion, and the pedestal fix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tegrally, columnar hanging multi-layer hydroponic grower.
상기 흡입공는 상기 재배틀의 일측부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는 상기 재배틀의 타측부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구조 걸이식 다층 수경 재배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ction hole is formed in the upper end of one side of the cultivation frame, the discharge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cultivation frame, columnar hanging multi-layer hydroponic cultivator.
상기 기둥프레임은,
바닥과 천정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기둥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구조 걸이식 다층 수경 재배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illar frame,
And a height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illar frame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floor and the ceil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8957A KR20120128526A (en) | 2011-05-17 | 2011-05-24 | Hanger type multilayer apparatus with column structure for hydroponic cultivat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6046 | 2011-05-17 | ||
KR1020110048957A KR20120128526A (en) | 2011-05-17 | 2011-05-24 | Hanger type multilayer apparatus with column structure for hydroponic cultivat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28526A true KR20120128526A (en) | 2012-11-27 |
Family
ID=47513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48957A Ceased KR20120128526A (en) | 2011-05-17 | 2011-05-24 | Hanger type multilayer apparatus with column structure for hydroponic cultivat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128526A (en)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35906B1 (en) * | 2013-03-05 | 2014-09-01 | 임현정 | Hydroponics cultivation apparatus |
GB2527132A (en) * | 2014-06-13 | 2015-12-16 | Jerome A Schneir | A seedling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
KR20160023107A (en) * | 2014-08-21 | 2016-03-03 | 장위덕 | Indoor plant cultivation apparatus |
KR20160034680A (en) * | 2014-09-22 | 2016-03-30 | 박서형 | Plant facility for planting and mounting method of the same |
CN106489703A (en) * | 2016-11-11 | 2017-03-15 | 北京市农业技术推广站 | A kind of pieced from backwater substrate groove |
CN106561440A (en) * | 2016-11-14 | 2017-04-19 | 刘小鹏 | Soilless culture device |
KR20190001905U (en) * | 2018-01-18 | 2019-07-26 | 오동진 | Smart Plant Cultivation Equipment |
KR102211232B1 (en) | 2020-07-03 | 2021-02-03 | 주식회사 나청메이커앤드론 | A hydroponic smart farm cultivation system composed of serial connection structure |
KR102650045B1 (en) | 2023-03-06 | 2024-03-20 | 서병진 |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 using smart farms |
-
2011
- 2011-05-24 KR KR1020110048957A patent/KR20120128526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35906B1 (en) * | 2013-03-05 | 2014-09-01 | 임현정 | Hydroponics cultivation apparatus |
GB2527132A (en) * | 2014-06-13 | 2015-12-16 | Jerome A Schneir | A seedling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
KR20160023107A (en) * | 2014-08-21 | 2016-03-03 | 장위덕 | Indoor plant cultivation apparatus |
KR20160034680A (en) * | 2014-09-22 | 2016-03-30 | 박서형 | Plant facility for planting and mounting method of the same |
CN106489703A (en) * | 2016-11-11 | 2017-03-15 | 北京市农业技术推广站 | A kind of pieced from backwater substrate groove |
CN106561440A (en) * | 2016-11-14 | 2017-04-19 | 刘小鹏 | Soilless culture device |
KR20190001905U (en) * | 2018-01-18 | 2019-07-26 | 오동진 | Smart Plant Cultivation Equipment |
KR102211232B1 (en) | 2020-07-03 | 2021-02-03 | 주식회사 나청메이커앤드론 | A hydroponic smart farm cultivation system composed of serial connection structure |
KR102650045B1 (en) | 2023-03-06 | 2024-03-20 | 서병진 |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 using smart farm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20128526A (en) | Hanger type multilayer apparatus with column structure for hydroponic cultivating | |
US11178824B2 (en) | System and method for cultivating plants | |
US10383292B2 (en) | System and method for cultivating plants | |
KR101125247B1 (en) | A water culture device having had multilayer structure | |
KR102211232B1 (en) | A hydroponic smart farm cultivation system composed of serial connection structure | |
KR20140122821A (en) | Hydroponic culturing device | |
CN203505235U (en) | Balcony planting device and assembly | |
KR101231434B1 (en) | Cultivation apparatus with structure of multiple layers | |
KR101740578B1 (en) | Hydroponics cultivation apparatus | |
KR20140049249A (en) | A hydroponics culture apparatus | |
KR20130061562A (en) |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 |
CN214961462U (en) | Multi-layer lifting type cultivation device | |
KR20130047375A (en) | Plant growers | |
KR101510463B1 (en) | Multi layer flowerpot | |
KR101334723B1 (en) | Vegetation rope and apparatus for hydroponics using the same | |
KR101477721B1 (en) | Indoor plant cultivation apparatus | |
KR20120129724A (en) | Dual-structure water dispencer for hydroponic cultivating device | |
CN209546533U (en) | A kind of stereo assembled soilless-culture equipment | |
KR101702445B1 (en) | Water culture apparatus | |
KR200475096Y1 (en) | Pipe hydroponics | |
JP2016189705A (en) | Hydroponic cultivation method,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and plant factory | |
JP2019165644A (en) | Plant hydroponics device | |
KR101379738B1 (en) | Plant cultivation apparatus having water diffusion supply unit | |
KR20230045907A (en) | Smart farm using fogponic with adjustable light irradiation distance | |
KR20230065089A (en) | Smart farm system using fogponic with adjustable light irradiation distan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305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10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