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2821A - Hydroponic culturing device - Google Patents
Hydroponic cultur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22821A KR20140122821A KR20130039702A KR20130039702A KR20140122821A KR 20140122821 A KR20140122821 A KR 20140122821A KR 20130039702 A KR20130039702 A KR 20130039702A KR 20130039702 A KR20130039702 A KR 20130039702A KR 20140122821 A KR20140122821 A KR 201401228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culture liquid
- support
- present
- plant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6—Reservoirs, separate from plant-pots, dispensing directly into rooting medium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5—Special apparatus therefor with means for recycling the nutritive solu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경 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이 재배되는 용기를 다단으로 배치하여 식물의 재배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자동으로 배양액이 공급됨과 동시에 순환하도록 하고, 또한 수위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수확량을 최대한 높일 수 있으며, 일반 가정에서 용이하게 식물을 재배할 수 있고, 가정에 설치하여 실내 조경용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수경 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in which a container in which plants are cultivated is arranged in a multi-stage so as to sufficiently secure a cultivation space of a plant and automatically circulate the culture liqui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capable of maximizing yields and facilitating the cultivation of plants in a general household and being installed at home and utilized for indoor gardening.
일반적으로, 수경재배란 생육에 필요한 물과 양분을 토양으로부터 공급받는 방식이 아니고, 적당한 비율로 용해되어 있는 배양액으로부터 양분을 공급받도록 하는 식물 재배방법의 하나이다.Generally, hydroponic cultivation is a method of plant cultivation in which water and nutrients necessary for growth are not supplied from the soil but the nutrients are supplied from a culture solution dissolved at an appropriate ratio.
이러한 수경재배는 각종 성장촉진제 및 영양제를 희석시킨 배양액을 공급함으로써, 각종 병충해로부터 식물을 보호할 수 있고, 식물의 성장속도를 인위적으로 촉진시켜 인체에 유해한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도 단기간 내에 많은 수확량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Such hydroponic cultivation can protect plants from various insect pests by supplying a culture solution in which various growth promoting agents and nutrients are diluted, and artificially promotes the growth rate of plants to obtain a large yield in a short time without using pesticides harmful to human body There is an advantage to be able to.
또한, 수경재배는 물을 사용함으로 실내의 습도조절에도 활용할 수 있고, 작물로부터 산소가 공급되는 것뿐만 아니라 아이들의 정서발달에도 좋은 영향을 끼치므로 아파트의 베란다나 일반 가정의 실내에 수경재배장치를 설치하여 실내조경용으로 사용하기도 한다.In addition, since hydroponic cultivation can be utilized for controlling the humidity of the room by using water, and oxygen is supplied not only from the crops but also the children's emotional development, the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It is installed and used for interior gardening.
종래의 수경재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경재배장치(1)는 내부에 배양액이 채워지는 재배용기(2)와, 재배용기(2)의 상부에 장착되는 재배판(3)과, 재배판(3)이 형성되는 용기구멍(3a)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식물이 구비되는 화분(4)을 장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1 and 2, the
즉, 종래의 수경재배장치(1)는 재배용기(2)의 내부에 배양액을 채우고 상기 배양액 수면 상부에 재배판(3)을 장착한 후 상기 재배판(3)의 용기구멍(3a)에 화분(4)을 장착하게 된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그러나, 수경재배를 위해서는 배양액이 항상 화분에 가득차 있어야만 식물이 정상적으로 생장할 수 있으므로 배양액을 항상 충분히 골고루 공급할 수 있도록 섬세한 주의가 필요한데, 제대로 관리를 못 할 경우 식물의 생육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However, for hydroponics cultivation, plants must grow full-bodied only if the culture is always full of pollen. Therefore, careful attention should be paid to ensure that the culture medium can be supplied evenly and thoroughly. If not properly managed, the growth of plants will be fatal.
또한, 도심지의 아파트 베란다나 가정 내의 일정한 밀폐공간을 확보하여 수경재배를 하는 경우 좁은 지역을 유용하게 활용하기가 힘들고 햇빛도 골고루 받기가 어렵기 때문에 작물의 생육이 부진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utilize a narrow area when hydroponic cultivation is carried out by securing a certain confined space in a veranda of a downtown apartment or a home, and it is difficult to obtain even sunlight, thereby causing a problem in that the growth of crops is poor.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25247호가 제시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25247 has been proposed.
그러나, 특허등록 제10-1125247호는 구조가 복잡하고, 부피가 커 일반 가정에 설치하기에는 가격이 비싸고,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Patent Registration No. 10-1125247 has a complicated structure, has a bulky structure, and is expensive to install in a general home, and has a problem of occupying a large installation spac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식물을 재배하는 용기를 다단으로 설치함으로써, 보다 많은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stage container for growing plants.
그리고, 다단으로 용기를 설치하여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일반 가정에 설치시 공간을 적게 차지함과 동시에 실내 조경용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multi-stage container for cultivating plants, it is possible to occupy a small space for installation in a general home, and at the same time to utilize it for indoor gardening.
또한, 다단으로 설치된 용기로 배양액을 자동으로 공급함으로써, 항상 일정한 수위의 배양액이 유지되게 되어 식물이 용이하게 생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by automatically supplying the culture liquid to the container provided in a multi-stage, the culture liquid at a constant level is maintained at all times, so that the plants can be easily grown.
그리고, 다단으로 설치된 용기에는 수위조절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용기에 설정된 수위보다 많은 배양액이 공급되게 되면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multi-stage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water level adjusting means, so that it is discharged automatically when the amount of the culture liquid supplied to the container is higher than the set level.
또한, 용기가 설치되는 지주를 다수개로 분할하여 조립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다단으로 설치되는 용기의 층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수경재배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capable of freely adjusting a layer of a multi-stage container so that the multi-stage pilla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llar and can be installed in an assembling manner.
그리고, 지주에 길이 방향으로 용기의 하부를 지지하는 고정핀이 끼워지도록 다수개의 핀공을 형성함으로써, 다단으로 설치되는 용기의 높이 및 높이 간격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controlling a height and a height of a multi-stage container by forming a plurality of pin holes so that a fixing pin for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is inserted in a lengthwise direction of the pillar.
또한, 다단으로 설치된 용기의 하부에 조명을 구비함으로써, 조명에서 조사되는 빛에 의해 식물의 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Furth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ghting device in a lower part of a multi-stage container, thereby promoting the growth of plants by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devi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주와, 상기 지주에 설치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에 설치되는 식물재배부와, 상기 용기부로 배양액을 공급하는 배양액순환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rut, a container portion provided on the strut, a plant growing portion provided in the container portion, and a culture liquid circulating portion for supplying the culture liquid to the container portion.
여기서, 상기 지주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고정핀이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다수개의 핀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rut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and has a plurality of pin holes formed therein in which the fixing pins are selectively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는, 상기 지주는 다수개로 분할 형성되되, 하부에는 단턱진 결속구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단턱진 결속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lternatively, the struts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nd a stepped fastening hole may be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stepped fastening hole may be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그리고, 상기 용기부는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지주에 결속 설치되는 용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ainer unit is provided with a container which is formed to be open at an upper portion and which is connected to a support.
여기서, 상기 용기는 지주에 다단으로 다수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a plurality of the vessels are provided on the support in multiple stages.
나아가, 상기 용기에는 배양액을 하측 용기로 공급하는 공급관이 구비되고, 이 공급관에는 조절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the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culture liquid to the lower container, and the supply pipe is provided with a control valve.
아울러, 상기 용기에는 수위조절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ainer may further include a water level control pipe.
또한, 상기 용기는 중앙부에 상부로 돌출되게 절곡되어 지주에 끼워지는 끼움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ainer is characterized in that an insertion hole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container so as to protrude upward and to be inserted into the support.
그리고, 상기 식물재배부는 용기부의 용기 상부에 안착되는 재배판이 구비되되, 이 재배판은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다수개의 안착공이 형성되며, 상기 재배판의 안착공에 안착되는 화분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lant growing unit includes a reed plate which is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wherein the reed plate has a through hol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 plurality of air holes formed at the outer side thereof, .
여기서, 상기 재배판은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부로 분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repositioning plate is divided into two side portions based on a center portion.
또한, 상기 배양액순환부는 지주의 제일하단부에 설치된 용기부의 용기에 설치되는 순환펌프가 구비되고, 상기 순환펌프로부터 공급된 배양액을 지주의 제일 상단부에 설치된 용기부의 용기로 공급하는 순환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ulture liquid circulation part is provided with a circulation pump installed in a container of a container part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upport column and a circulation pipe for supplying the culture solution supplied from the circulation pump to a container of a container part provided at the top end of the support .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식물을 재배하는 용기를 다단으로 설치함으로써, 보다 많은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thus constituted has the effect of allowing more plants to be grown by providing a multi-stage container for growing the plants.
그리고, 다단으로 용기를 설치하여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일반 가정에 설치시 공간을 적게 차지함과 동시에 실내 조경용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multi-stage container for cultivating plants, it is possible to occupy a small space for installation in a general home and utilize it for indoor gardening.
또한, 다단으로 설치된 용기로 배양액을 자동으로 공급함으로써, 항상 일정한 수위의 배양액이 유지되게 되어 식물이 용이하게 생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Further, by automatically supplying the culture liquid to the container provided in a multi-stage, the culture liquid at a constant level is always maintained, and the effect of facilitating the growth of the plants is achieved.
그리고, 다단으로 설치된 용기에는 수위조절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용기에 설정된 수위보다 많은 배양액이 공급되게 되면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multi-tiered container is provided with the water level adjusting means, so that when the amount of the culture liquid supplied to the container is more than the set level, the tank is automatically discharged.
또한, 용기가 설치되는 지주를 다수개로 분할하여 조립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다단으로 설치되는 용기의 층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수경재배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ivide the pillar on which the container is installed into a plurality of pillar and to install the pillar in an assembled manner, thereby enabling the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to be installed by freely adjusting the layer of the multi-stage container.
그리고, 지주에 길이 방향으로 용기의 하부를 지지하는 고정핀이 끼워지도록 다수개의 핀공을 형성함으로써, 다단으로 설치되는 용기의 높이 및 높이 간격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 plurality of pin holes so as to fit the fixing pin for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it is possible to freely adjust the height and height interval of the container provided at the multi-stage.
또한, 다단으로 설치된 용기의 하부에 조명을 구비함으로써, 조명에서 조사되는 빛에 의해 식물의 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Further, by providing illumination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provided in multiple stage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growth of plants can be promoted by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illumination.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수경 재배장치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경 재배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경 재배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배양액 공급부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용기부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경 재배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경 재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경 재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경 재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경 재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1 and 2 show a conventional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the culture liquid supply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container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al relationship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a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a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경 재배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경 재배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경 재배장치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배양액 공급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용기부를 보인 도면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culture liquid suppl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경 재배장치(100)는 크게 지주(110)와, 용기부(21)와, 식물재배부(310)와 배양액순환부(410)로 구성된다.3 to 6, the
여기서, 상기 지주(110)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게 된다.Here, the
그리고, 상기 지주(110)에 설치되어 배양액이 수용되는 용기부(210)가 구비된다.In addition, a
여기서, 상기 용기부(210)는 지주(110)에 용접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 설치되되,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된 용기(212)가 구비된다.Here, the
나아가, 상기 용기(212)는 지주(110)의 제일 하단을 기준으로 상부로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다단으로 설치된다.Further, the
또한, 상기 다단으로 설치된 용기부(210)의 용기(212)에는 용기(212)에 수용된 배양액을 하측 용기(212)로 공급하는 공급관(220)이 구비된다. The
여기서, 상기 공급관(220)의 상부는 용기(212)의 바닥면에 관통되게 설치되고, 하단 끝단부는 하측에 구비된 용기(212)의 상부에 위치되게 된다.Here, the upper portion of the
이때, 상기 공급관(220)은 지주(110)의 외측부에 고정끈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지주(110)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하여 배양액이 배출되는 하부 끝단부가 지주(1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관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따라서, 상기 지주(110)의 제일 상단에 설치된 용기(212)로 공급된 배양액은 공급관(220)을 통하여 하단에 설치된 용기(212)로 배양액이 공급되는 방식으로 지주(110)에 다단으로 설치된 용기(212)에 제일 상단부터 순차적으로 하단으로 배양액이 공급되게 된다.Thus, the culture liquid supplied to the
나아가, 상기 공급관(220)에는 하단으로 공급되는 배양액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밸브(222)가 구비된다.Further, the
따라서, 상기 용기(212)에 수용된 배양액을 하부에 구비된 용기(212)로 공급할 때 이 조절밸브(222)의 조작에 의해 배양액이 공급되는 공급량이 조절됨과 동시에 용기(212)에 공급된 배양액의 수위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supplying the culture liquid accommodated in the
그리고, 상기 용기(212)에는 배양액이 과다 공급되어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수위조절관(230)이 구비된다.The
여기서, 상기 수위조절관(230)은 용기(212)의 바닥부를 관통하여 용기(212)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일측 끝단부가 구비되고, 타측 끝단부는 하부에 구비된 용기(212)의 상부에 위치되게 구비된다.The water
이때, 상기 수위조절관(230)은 공급관(220)과 동일하게 지주(110)의 외측부에 고정끈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지주(110)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하여 배양액이 배출되는 끝단부가 지주(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관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water
따라서, 상기 용기(212)의 내측에 배양액이 수위조절관(230)의 일측 끝단부 보다 수위가 올라가게 되면 이 배양액은 수위조절관(230)을 통하여 하측에 구비된 용기(212)로 배출시키는 방식으로 하여 다단으로 설치된 용기(212)의 수위가 자동으로 조절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liquid level of the culture liquid is higher than one end of the
또한, 상기 용기부(210)의 용기(212) 상부에 설치되어 식물을 재배하는 식물재배부(310)가 구비된다.Also, a
여기서, 상기 식물재배부(310)는 용기(212)의 상부에 안착되되, 중앙부에 지주에 끼워지는 관통공(312a)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312a)의 외측에 위치되게 다수개의 안착공(314)이 형성된 재배판(312)이 구비된다.The
나아가, 상기 재배판(312)에 형성된 안착공(314)에 안착되되, 내측에서 식물이 자라는 화분(316)이 구비된다.Further, a
따라서, 상기 용기(212)에 수용된 배양액은 화분(316)에 구비된 식물로 공급되게 된다.Therefore, the culture liquid accommodated in the
그리고, 상기 용기부(210)로 배양액을 공급하여 순환할 수 있도록 배양액순환부(410)가 구비된다.The culture
여기서, 상기 배양액순환부(410)는 다단으로 지주(110)에 설치된 용기(212) 중 제일 하단부에 구비된 용기(212)의 내측에는 순환펌프(412)가 구비된다.The
나아가, 상기 순환펌프(412)에 의해 배양액을 지주(110)의 제일 상부에 설치된 용기(212)로 공급하는 순환관(414)이 구비된다.Furthermore, a
이때, 상기 순환관(414)은 지주(110)의 내측에 배관되어 양측 끝단부가 지주(1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할 수도 있고, 고정끈 등을 이용하여 지주(110)의 외주면에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배관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따라서, 상기 지주(110)의 제일 하단부에 구비된 용기(212)의 내측에 수용된 배양액은 순환펌프(412)의 작동에 의해 순환관(414)을 통하여 제일 상부에 구비된 용기(212)로 배양액을 공급하고, 제일 상부에 설치된 용기(212)로 공급된 배양액은 공급관(220)을 통하여 하측에 설치된 용기(212)로 공급되는 방식으로 다단으로 설치된 용기(212)로 배양액이 공급되게 된다.
The culture liquid contained in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경 재배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경 재배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al relationship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경 재배장치(100)는 용기(212)의 상부에 구비된 재배판(312)에 형성된 안착공(314)에 화분(316)을 안착시킨 후 순환펌프(412)를 작동시키게 되면 지주(110)의 제일 하측에 구비된 용기(212)에 충진된 배양액은 순환관(414)을 통하여 지주(110)의 제일 상측에 구비된 용기(212)로 배양액이 공급되게 된다.The
이렇게, 상기 지주(110)의 제일 상측에 구비된 용기(212)로 공급된 배양액은 공급관(220)을 통하여 하측 용기(212)로 공급하는 방식으로 다단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용기(212)로 배양액이 공급되게 된다.The culture medium supplied to the
이와 같이 상기 용기부(210)의 상측에 구비된 용기(212)로부터 순차적으로 공급관(220)을 통하여 하부에 구비된 용기(212)로 배양액이 공급되어 제일 하측에 구비된 용기(212)로 배양액이 모이게 되며, 제일 하측에 구비된 용기(212)로 모인 배양액은 순환펌프(412)에 의해 다시 상측에 구비된 용기(212)로 공급하는 방식으로 하여 배양액은 다단으로 설치된 용기(212)를 순환하게 된다.The culture liquid is supplied from the
이때, 상기 지주(110)에 다단으로 설치된 용기(212)에 일정한 배양액의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용기(212)의 내측에 수용된 배양액의 배출속도는 공급관(220)에 구비된 조절밸브(222)를 조절하여 용기(212)에 일정한 량의 배양액이 충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discharge speed of the culture liquid accommodated inside the
또한, 상기 용기(212)로 배양액이 과다하게 공급되어 설정 수위보다 많이 공급되게 되면 용기(212)에 구비된 수위조절관을 통하여 배출되어 하측에 구비된 용기(212)로 배출되게 된다.When the culture liquid is supplied to the
즉, 상기 용기(212)에 구비된 수위조절관(230)의 상측보다 배양액의 수위가 올라가게 되면 배양액은 수위조절관(230)을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That is, when the level of the culture liquid is higher than the level of the
이렇게, 상기 지주(110)에 다단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용기(212)의 내측에는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a constant water level can always be maintained inside the plurality of
따라서, 상기 지주(110)에 다단으로 설치된 용기(212)로 배양액을 골고루 공급되게 순환방식으로 배양액을 공급함으로써, 식물의 생장을 촉진시켜 보다 많은 양의 채소 등을 수확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by supplying the culture liquid in a circulation manner to the
이와 같이 상기 지주(110)에 용기(212)를 다단으로 설치하여 식물을 재배함으로써, 수경 재배장치(100)의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게 되어 일반 가정에 용이하게 설치하여 채소 등 식물을 재배할 수 있게 된다.By installing the
또한, 상기 수경 재배장치(100)를 일반 가정에 설치함으로써, 실내 조경용으로 활용 및 인테리어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by installing th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경 재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110)에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핀공(112)이 형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a plurality of pin holes 112 are formed in the
그리고, 상기 지주(110)에 설치되는 용기의 중앙부에는 상부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되어 지주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움구(214)가 형성된다.A
또한, 상기 지주(110)에 형성된 다수개의 핀공(114)에 결속되어 용기(212)의 하부를 지지하는 고정핀(120)이 구비된다.
Further, a fixing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경 재배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operational relationship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the same as that in the former, and a description of the operational relationship is omitted here.
다만, 상기 지주(110)에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핀공(114)을 형성하고, 이 핀공(114)에 결속되어 용기(212)의 하부를 지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주(110)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용기(212)의 이격되는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A plurality of pin holes 114 are formed in the
따라서, 상기 다단으로 설치되는 용기(212)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재배하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용기(212)의 간격을 조절하여 재배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by adjusting the intervals of the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경 재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110)는 다수개로 분할 형성하여 조립 방식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여기서, 상기 분할 형성되는 지주(110)의 상부에는 내측으로 단턱지게 결속공(116)이 형성되고, 분할 형성된 지주(110)의 하부에는 지주(110)의 결속공(116)에 결속 고정되도록 단턱진 결속구(116a)가 형성된다.A plurality of
이때, 상기 분할된 지주(110)의 중앙부에는 용접 등 고정수단에 의해 용기(212)가 구비된다.
At this time, a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경 재배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operational relationship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the same as that in the former, and a description of the operational relationship is omitted here.
다만, 상기 지주(110)를 조립 방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설치 위치 등 공간에 따라 용기(212)의 개수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다단으로 설치 가능하게 된다.However, by configuring the
이때, 상기 지주(110)의 내측에 배관된 순환관(414)은 지주(110)의 연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밸브(미도시)를 이용하여 연결시킴으로써, 지주(110)의 연결과 동시에 순환관(414)을 연결밸브를 이용하여 연결시켜 설치되는 용기(212)의 개수에 관계없이 제일 상측에 위치한 용기(212)로 배양액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따라서, 상기 지주(110)의 연결시 이 연결밸브를 통하여 순환관(414)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length of the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경 재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10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배판(312)은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분할 형성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경 재배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operational relationship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the same as that in the former, and a description of the operational relationship is omitted here.
다만, 상기 재배판(312)을 분할 형성함으로써, 용기(212)의 상부에 안착시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게 되고, 용기의 청소 등 유지보수시 용이하게 재배판(312)을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However, by dividing the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경 재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부(210)의 용기(212) 하부, 즉 다단으로 설치된 용기 중 제일 하부에 구비된 용기(212)를 제외한 나머지 용기(212)의 하부에는 조명등(510)이 구비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an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경 재배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operational relationship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the same as that in the former, and a description of the operational relationship is omitted here.
다만, 상기 용기의 하부에 조명등을 구비함으로써,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게 된다.
However, by providing the illumination lamp in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the growth of the plant is promot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경 재배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this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수경 재배장치 110 : 지주
112 : 핀공 116 : 결속공
116a : 결속구 120 :고정핀
210 : 용기부 212 : 용기
214 : 끼움구 220 : 공급관
222 : 조절밸브 230 : 수위조절관
310 : 식물재배부 312 : 재배판
312a : 관통공 314 : 안착공
316 : 화분 410 : 배양액순환부
412 : 순환펌프 414 : 순환관
510 : 조명등100: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110: Holding
112: pin hole 116:
116a: Coupling port 120: Fixing pin
210: container portion 212: container
214: insertion port 220: supply pipe
222: regulating valve 230: regulating valve
310: Plant growing section 312: Cultivation plate
312a: Through hole 314:
316: Flowerpot 410: Culture fluid circulation part
412: circulation pump 414: circulation pipe
510: lighting light
Claims (11)
상기 지주에 설치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에 설치되는 식물재배부와,
상기 용기부로 배양액을 공급하는 배양액순환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장치.With the landlord,
A container portion provided on the support,
A plant growing section installed in the container section,
And a culture liquid circulating part for supplying the culture liquid to the container part.
상기 지주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고정핀이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다수개의 핀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ruts are formed in a tubular shape and have a plurality of pin holes formed therein in which the fixing pins are selectively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지주는 다수개로 분할 형성되되, 하부에는 단턱진 결속구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단턱진 결속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and a stepped fastening hole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stepped fastening hole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상기 용기부는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지주에 결속 설치되는 용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ain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container which is open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is coupled to the strut.
상기 용기는 지주에 다단으로 다수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plurality of the vessels are installed on the support in multiple stages.
상기 용기에는 배양액을 하측 용기로 공급하는 공급관이 구비되고, 이 공급관에는 조절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culture liquid to the lower container, and the supply pipe is provided with a control valve.
상기 용기에는 수위조절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ainer further comprises a water level control pipe.
상기 용기는 중앙부에 상부로 돌출되게 절곡되어 지주에 끼워지는 끼움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ainer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that is bent at a central portion so as to protrude upwardly and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상기 식물재배부는 용기부의 용기 상부에 안착되는 재배판이 구비되되, 이 재배판은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다수개의 안착공이 형성되며,
상기 재배판의 안착공에 안착되는 화분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ant growing unit includes a reed plate that is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unit. The reed plate has a through hol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 plurality of air holes formed at the outer side thereof,
And a pollen which is seated in an air hole of the reed plate is provided.
상기 재배판은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부로 분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장치.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repositioning plate is divided into two side portions based on a center portion thereof.
상기 배양액순환부는 지주의 제일하단부에 설치된 용기부의 용기에 설치되는 순환펌프가 구비되고,
상기 순환펌프로부터 공급된 배양액을 지주의 제일 상단부에 설치된 용기부의 용기로 공급하는 순환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ulture liquid circulation part is provided with a circulation pump installed in a container of a container part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upport,
And a circulation pipe for feeding the culture liquid supplied from the circulation pump to a container of a container portion provided at the uppermost end of the stru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39702A KR20140122821A (en) | 2013-04-11 | 2013-04-11 | Hydroponic cultur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39702A KR20140122821A (en) | 2013-04-11 | 2013-04-11 | Hydroponic culturing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22821A true KR20140122821A (en) | 2014-10-21 |
Family
ID=51993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39702A Abandoned KR20140122821A (en) | 2013-04-11 | 2013-04-11 | Hydroponic cultur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122821A (en)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325279A (en) * | 2014-05-29 | 2016-02-17 |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 Planting box |
CN105724229A (en) * | 2014-12-29 | 2016-07-06 | 国立韩京大学校产业协力团 | Plant cultivation plate and cultivation system for nutriculture |
WO2016117779A1 (en) * | 2015-01-23 | 2016-07-28 | 바이오팜 주식회사 | Aquaculture apparatus |
KR20180004429A (en) * | 2016-07-04 | 2018-01-12 | 권지혁 | A hydroponic cultivation |
KR20180046623A (en) | 2016-10-28 | 2018-05-09 | 김국경 | Multi-stag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having improved water supply structure |
KR20190004178A (en) | 2017-07-03 | 2019-01-11 | (주)유양디앤유 | Multistage Plant Cultivating Device |
KR102047475B1 (en) | 2019-08-08 | 2019-11-21 | 김태호 | Layer type planting pot assembly |
KR102134661B1 (en) | 2019-11-25 | 2020-07-16 | 주식회사 태명 | Multistage automatic plant cultivating equipment and smart farm using the same |
KR20200088730A (en) | 2019-01-15 | 2020-07-23 | 주식회사 태명 | Multistage automatic plant cultivating equipment |
CN115005081A (en) * | 2022-02-07 | 2022-09-06 | 淮南师范学院 | A three-dimensional artistic modeling hydroponic flower stand |
KR20220145571A (en) | 2021-04-22 | 2022-10-31 | 주식회사 알앤더블유 | The showcase type towermodular hydroponics apparatus |
-
2013
- 2013-04-11 KR KR20130039702A patent/KR20140122821A/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325279A (en) * | 2014-05-29 | 2016-02-17 |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 Planting box |
CN105724229A (en) * | 2014-12-29 | 2016-07-06 | 国立韩京大学校产业协力团 | Plant cultivation plate and cultivation system for nutriculture |
WO2016117779A1 (en) * | 2015-01-23 | 2016-07-28 | 바이오팜 주식회사 | Aquaculture apparatus |
KR20160091038A (en) * | 2015-01-23 | 2016-08-02 | 농업회사법인 친환경농부들 주식회사 | Water culture apparatus |
KR20180004429A (en) * | 2016-07-04 | 2018-01-12 | 권지혁 | A hydroponic cultivation |
KR20180046623A (en) | 2016-10-28 | 2018-05-09 | 김국경 | Multi-stag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having improved water supply structure |
KR20190004178A (en) | 2017-07-03 | 2019-01-11 | (주)유양디앤유 | Multistage Plant Cultivating Device |
KR20200088730A (en) | 2019-01-15 | 2020-07-23 | 주식회사 태명 | Multistage automatic plant cultivating equipment |
KR102047475B1 (en) | 2019-08-08 | 2019-11-21 | 김태호 | Layer type planting pot assembly |
KR102134661B1 (en) | 2019-11-25 | 2020-07-16 | 주식회사 태명 | Multistage automatic plant cultivating equipment and smart farm using the same |
KR20220145571A (en) | 2021-04-22 | 2022-10-31 | 주식회사 알앤더블유 | The showcase type towermodular hydroponics apparatus |
CN115005081A (en) * | 2022-02-07 | 2022-09-06 | 淮南师范学院 | A three-dimensional artistic modeling hydroponic flower stand |
CN115005081B (en) * | 2022-02-07 | 2024-04-26 | 淮南师范学院 | Water planting pergola of three-dimensional artistic moldin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122821A (en) | Hydroponic culturing device | |
KR101240249B1 (en) | Plant growing system | |
JP6755177B2 (en) | Plant cultivation methods and facilities | |
RU182867U1 (en) | Plant Growing Device | |
KR101350394B1 (en) | Hydroponics equipment with cultivation plate having watercourse | |
AU2015269088A1 (en) | System and method for cultivating plants | |
KR20120128526A (en) | Hanger type multilayer apparatus with column structure for hydroponic cultivating | |
KR101287155B1 (en) | Device for multi hydroponics | |
US20120186153A1 (en) | Device, system and methods for hydroponic gardening | |
KR20190041741A (en) | a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 |
US11723318B2 (en) | Indoor plant-growing system | |
KR101371128B1 (en) | Exchangebl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having cultivation module | |
KR20220091077A (en) | Hydroponics apparatus | |
KR101334723B1 (en) | Vegetation rope and apparatus for hydroponics using the same | |
KR20120074128A (en) | Cultivation system of plant | |
WO2021046656A1 (en) |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 & lighting system | |
KR101477721B1 (en) | Indoor plant cultivation apparatus | |
KR102300685B1 (en) | Plant breeding water supply | |
KR20210157755A (en) | A Device of Green-Plant Cultivation on Cylinderically Vertical Wall Employing Non-Soil Polymeric Vegetation And Plant Cultivation Pots Used For This | |
JP2014045669A (en) | Hydroponic device | |
KR20210085862A (en) | Plant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using wick | |
KR0117208Y1 (en) | Device for hydroponics | |
KR20150094277A (en) | Cultivating device | |
US20220330500A1 (en) | Modular Hydroponics Gardening Apparatus | |
KR101561658B1 (en) | Apparatus of cultivating bean sprou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4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410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4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10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6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121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411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10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6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