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0463B1 - Multi layer flowerpot - Google Patents
Multi layer flowerpo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10463B1 KR101510463B1 KR20120008026A KR20120008026A KR101510463B1 KR 101510463 B1 KR101510463 B1 KR 101510463B1 KR 20120008026 A KR20120008026 A KR 20120008026A KR 20120008026 A KR20120008026 A KR 20120008026A KR 101510463 B1 KR101510463 B1 KR 1015104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swash plate
- layer
- plant
- back surf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경재배용으로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많은 식물을 키울 수 있는 다층 화분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수경 재배용 식물을 수용하는 다층 화분에 있어서, 다층 화분 전체를 지지하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 위치하며, 수경 재배용 식물을 수용하며, 상기 몸체에 경사지게 결합하며, 상기 몸체의 배면과 일정 거리 유격되어 설치되는 다수의 경사판; 상기 경사판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배면에 고정되어 경사판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하단의 경사판의 전면 방향으로 유도하는 다수의 후판; 및 상기 몸체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수경 재배용 식물을 거쳐 흘러나온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layer plant pot for hydroponic cultivation that is easy to maintain and can grow many plants.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layer flowerpot containing a plant for hydroponic cultivation therein, the multi-layer flowerpot comprising: a body for supporting the entire multi-layer flowerpot; A plurality of inclined plates disposed inside the body and accommodating plants for hydroponic cultivation, inclinedly coupled to the body, and spaced apart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body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plurality of back plates positioned at a lower end of the swash plate and fixed to the back surface to guide water flowing out of the swash plate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swash plate at the lower end; And a water storage unit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for stor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hydroponic plant.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층 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많은 식물을 담을 수 있고, 관리가 극히 편리한 수경 재배용 다층 화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ayered flower pot, more particularly, to a multi-layered flower pot for hydroponic cultivation which can contain a large number of plants with a simple structure and is very convenient to be managed.
통상 화분의 경우에는 하나의 화분에 난, 나무 등을 한그루씩 담아 실내에 적절한 조경을 제공하는 장식적인 기능을 한다.In the case of a regular flowerpot, it has a decorative function of providing a proper landscape to the interior by putting a single flowerpot, a tree, etc. into a single flowerpot.
개별 화분에 하나의 식물을 담을 경우에는 일정한 실내공간이 필요하여 일정 수 이상을 보유하기는 공간적인 제약이 따르고, 또한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하고 공기 공급 등의 관리가 필요하다.When a single plant is contained in an individual flowerpot, a certain amount of indoor space is required. Therefore, it is a space restriction to hold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flowers, and it is necessary to periodically supply water and control air supply.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다수의 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별도의 화분 또는 화분대가 제안되었다.To overcome this disadvantage, a separate flowerpot or flowerpot capable of accommodating multiple plants has been proposed.
예를 들면, 공개특허 제2010-0084065호에는 복수 개의 화분 받침대와, 화분 받침대와 연장되게 형성된 연결부와, 화분 받침대, 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된 화분대 그리고, 화분대 하부에 물 받침대가 구비된 멀티 화분대가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0-0084065 discloses a multi-unit flowerpot having a plurality of flowerpot basins, a connection part formed to extend from the flowerpot support, a flowerpot integrally formed with the flowerpot support, a connection part, and a water- .
상기 발명은 단일 화분을 다수개 지지할 수 있는 화분대에 관한 것으로 공간 활용도는 우수하나, 개별 화분에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해야하므로 화분의 관리가 일반적인 화분과 동일한 단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werpot capable of supporting a plurality of single pots, and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pace utilization is excellent but the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individual pots, so that the management of pots is the same as that of general pots.
또한, 등록특허 제1076055호에는 다층회전식 수경재배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개별 화분을 회전시켜 식물이 균일하게 햇볕을 받아 성장을 촉진시키며, 공간 활용도가 높은 장점이 있으나, 구성이 다소 복잡하고, 회전부의 구성에 의하여 유지보수가 어려운 단점들이 있다.In addition, Japanese Patent Registration No. 1076055 discloses a multi-layer rotary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individual plants are rotated to promote growth by receiving sunlight uniformly and the space utilization is high. However, the structure is somewhat complicated and maintenance is difficult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rotating part.
또한, 등록특허 제968478에는 수경 재배용으로 제안된 다층구조의 물 저장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Japanese Patent No. 968478 discloses a multi-layered water storage device proposed for hydroponic cultivation.
상기 발명은 다수의 화분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개별 식물들이 화분에 수용되어야 하고, 또한 물의 공급 구성이 다소 복잡한 구성이 있어, 역시 유지보수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water can be supplied to a large number of flower pots, but individual plants must be accommodated in pots and the supply structure of water is somewhat complicated.
따라서, 비교적 구조가 간단하고, 많은 식물을 키울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극히 편리한 새로운 방식의 다층 화분이 필요한 실정이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new type of multi-layer pot that is relatively simple in structure, can grow many plants, and is extremely convenient to maintai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경재배용으로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많은 식물을 키울 수 있는 다층 화분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multi-layer planting pot for hydroponic cultivation that is easy to maintain and can grow a large number of plant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수경 재배용 식물을 수용하는 다층 화분에 있어서, 다층 화분 전체를 지지하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 위치하며, 수경 재배용 식물을 수용하며, 상기 몸체에 경사지게 결합하며, 상기 몸체의 배면과 일정 거리 유격되어 설치되는 다수의 경사판; 상기 경사판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배면에 고정되어 경사판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하단의 경사판의 전면 방향으로 유도하는 다수의 후판; 및 상기 몸체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수경 재배용 식물을 거쳐 흘러나온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layer flowerpot containing a plant for hydroponic cultivation therein, the multi-layer flowerpot comprising: a body for supporting the entire multi-layer flowerpot; A plurality of inclined plates disposed inside the body and accommodating plants for hydroponic cultivation, inclinedly coupled to the body, and spaced apart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body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plurality of back plates positioned at a lower end of the swash plate and fixed to the back surface to guide water flowing out of the swash plate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swash plate at the lower end; And a water storage unit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for stor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hydroponic plant.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의 상단에는 물을 담아서 일부를 하부로 흘러내리는 물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water supply unit further comprises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and flowing a part of the water downward.
더욱 바람직하게는, 몸체는 상기 물저장부의 물을 상기 물공급부로 이송시키는 펌프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body further comprises a pump device for transferring the water in the water storage part to the water supply part.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판의 길이는 상기 유격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length of the thick plate is greater than the clearance length.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판은 상기 몸체의 수평에 대하여 30도 이상 60도 이하의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wash plate is inclined at an angle of 30 degrees or more and 60 degrees or les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body.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의 평면은 "일자형", "ㄱ"자형, "ㄷ"자형, "Y"자형, "ㅁ"자형 및 "O"자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 preferably, the plane of the body is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raight", "a", "c", "Y", "ㅁ" and "O".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화분은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다수의 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하고 있으며, 간단한 구조의 물공급 시스템 역시 포함하고 있어, 유지 보수가 편리하며, 또한 책장 형태로 제작하는 경우 적은 공간을 차지하여 공간 활용도가 높은 효과가 있으며, 실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습도 조절의 기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The multi-layer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simple in structure, includes a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a large number of plants, and includes a water supply system of a simple structure, so that it can be easily maintained, The space occupies a small space and the space utilization is high. In the case of being located indoors, the humidity control function has an excellent effe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화분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몸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좌측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물의 이동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 몸체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layer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ody of Fig. 1,
Fig. 3 is a left sectional view of Fig. 1,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movement of water in FIG. 3,
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body of Figure 1;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화분(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 몸체(10) 내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경사판(20), 상기 몸체(10) 하단에 위치하여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부(30), 상기 몸체(10) 상단에 위치하여 경사판(20)에 물을 연속하여 공급하는 물공급부(40), 상기 물저장부(30)의 물을 상기 물공급부(40)로 이송하는 펌프장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he
상기 몸체(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형태의 배면(11)과 바닥면(12)과 측면(13)에 벽면이 부착되는 구조를 가지며, 다층 화분(100)의 전체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 2, the
또한, 상기 몸체(10)의 상면(14)에는 또 다른 벽체가 구성될 수도 있다.Further, another wall may be formed on the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몸체(10)는 별도의 받침판(15)에 의하여 바닥에서 지지될 수도 있다.If necessary, the
한편, 상기 몸체(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경사판(20)을 포함한다.Meanwhile, the
상기 경사판(20)은 몸체(10)의 배면(11)과 일정한 유격(21)이 형성되도록 상기 측면(13)의 벽면에 경사지게 고정된다.The
상기 유격(21)은 상단에서 흘러내리는 물의 하단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물이 흘러내릴 정도의 이면 어떠한 크기도 무방하다.The
또한 상기 경사판(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선에 대하여 일정한 경사가 형성되는데 상기 경사는 30도 이상 60도 이하가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3, the
상기 경사판(20)의 상단에는 수경재배용 식물이 위치하는 것으로 특히, 식물의 끝단은 물기를 머금을 수 있는 부직포 또는 황토볼 등으로 적절히 감싸고, 상기 경사판(20)의 상단에 수용된다.A plant for hydroponics is placed on the upper end of the
여기서 황토볼은 황토 등의 흙을 작은 볼 형태로 가공한 것으로 물을 머금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Here, the loess balls are processed into small balls in the form of loess and other earth.
따라서, 상기 경사가 30도 미만인 경우에는 식물이 몸체 바깥으로 너무 돌출되고, 또한 수직으로 성장하는 식물인 경우 성장에 방해될 우려가 있으며, 상기 경사가 60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단의 경사판(20)이 식물의 성장에 방해가 될 우려가 있어, 30도 이상 60도 이하가 적절하며, 통상 45도의 각도가 식물의 성장 및 조경에 가장 바람직하다.Therefore, when the inclination is less than 30 degrees, the plant may protrude too far from the body, and if the plant grows vertically, there is a fear of obstructing the growth. If the inclination exceeds 60 degrees, ) May interfere with the growth of the plant, and it is appropriate that the temperature is from 30 degrees to 60 degrees, and the angle of 45 degrees is most preferable for plant growth and landscaping.
또한, 상기 경사판(20)은 필요한 경우 다수의 관통홀을 형성하여 물을 투과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도 구현 가능하다. 이때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공기도 투입되므로 수용된 식물의 성장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Also, the
또한, 상기 경사판(20) 바로 아래에는 상기 몸체(10)의 배면(11)에 부착되는 후판(25)이 위치한다.A
상기 후판(25)은 상기 경사판(20)을 통하여 흘러내리는 물을 하단에 위치하는 경사판(20)의 전면쪽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수평 또는 하단으로 일부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경사는 물의 흐름을 양호하게 하는 것으로 10도 이내가 바람직하다.The
또한 상기 후판(25)의 크기는 유격(21)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의 전체적인 흐름에 도움이 된다.Also, the size of the
한편, 상기 몸체(1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위치하는 물공급부(40)를 포함한다.1 and 3, the
상기 물공급부(40)는 상단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정면에는 다른 부위보다 낮은 유동벽체(41)를 포함한다.The
따라서, 상기 물공급부(40)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가 상기 유동벽체(41)보다 높은 경우에는 항상 상기 유동벽체(41)를 통하여 물이 넘쳐 아래로 흐르게 된다.Therefore, when the water level stored in the
이러한 물의 배출 방식은 간단하면서도 하부로 균일한 양의 물을 흘러내리게 하는 특성이 있다.Such a water discharge method is simple, but has a property of allowing a uniform amount of water to flow downward.
또한, 상기 몸체(10)의 하부에는 상기 물공급부(40)에서 흘러내려 식물을 적셔주는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부(30)가 위치한다.In addition, a
상기 물저장부(30)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이나, 몸체(10) 내부의 물을 담을 수 있으면 어떠한 형태도 무방하다.The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저장부(30)에 저장된 물은 펌프장치(50)를 통하여 몸체(10) 상단에 위치하는 물공급부(40)로 이송된다.1, the water stored in the
상기 펌프장치(50)는 상기 물저장부(30)에 담겨진 물에 입수되는 제1관(51)과 상기 제1관(51)에 연결되는 펌프(52) 그리고 상기 펌프(52)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물저장부(30)에 담겨진 물에 입수되는 제2관(53)을 포함한다.The
상기 펌프(52)는 연속적으로 가동되어 상기 물저장부(30)의 물을 상기 물공급부(40)로 연속하여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The
또한, 필요한 경우 간헐적으로 상기 펌프(52)를 가동하여 주기적으로 상기 경사판(20)에 수용되는 식물에 공급할 수도 있다.Further, if necessary, the
상기와 같은 물공급방식은 몸체(10) 전면에 공기와 접촉하므로 실내의 습도 유지에도 도움이 된다.The water supply method as described above is also helpful in maintaining the humidity of the room by contacting with the air on the
한편, 상기 물공급부(40)와 펌프장치(50)는 필요한 경우 생략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이 생략되는 경우 식물에 물의 공급은 수작업은 공급되어야 하면, 이때 맨위에 위치하는 경사판(20)에 물을 공급하면, 하단으로 물이 흘러 모든 식물에 물이 공급된다.Meanwhile, the
한편, 상기 몸체(10)의 평면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형의 몸체(10) (a), "ㄱ"자형 몸체 (b), "ㄷ"자형 몸체(10) (c), "Y"자형 몸체(10) (d), "ㅁ"자형 몸체(10) (e), "O"자형 몸체(10) (f)로도 구현될 수 있다.5, a plan view of the
상기와 같이 일자형 몸체(10)를 제외한 몸체(10)들은 다양한 벽면에 대응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O"자형 몸체(10)의 경우에는 실내 중앙에 위치시켜 조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여기서 "O"자형 몸체(10)의 경우에는 몸체(1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도 환형으로 형성한다.
Here, in the case of the "O" -shap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And all of the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that can be practic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10: 몸체 11: 배면
12: 바닥면 13: 측면
14: 상면 15: 받침판
20: 경사판 21: 유격
25: 후판 30: 물저장부
40: 물공급부 41: 유동벽체
50: 펌프장치 51: 제1관
52: 펌프 53: 제2관
100: 다층 화분10: Body 11: Rear
12: bottom surface 13: side surface
14: upper surface 15:
20: swash plate 21: clearance
25: Plate 30: Water reservoir
40: water supply part 41:
50: pump device 51: first pipe
52: Pump 53: Second tube
100: Multi-layer pot
Claims (6)
다층 화분 전체를 지지하며, 일면을 밀폐하는 배면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 위치하며, 수경 재배용 식물을 수용하며, 상기 몸체에 경사지게 결합하며, 상기 몸체의 배면과 일정 거리 유격되어 설치되는 다수의 경사판;
상기 경사판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배면에 고정되어 경사판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하단의 경사판의 전면 방향으로 유도하는 다수의 후판; 및
상기 몸체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수경 재배용 식물을 거쳐 흘러나온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경사판은 상기 몸체의 수평에 대하여 30도 이상 60도 이하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후판의 길이는 상기 유격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화분.
A multi-layer plant pot containing hydroponic plants therein,
A body supporting the entire multi-layer pollen pot and having a back surface sealing one surface;
A plurality of inclined plates disposed inside the body and accommodating plants for hydroponic cultivation, inclinedly coupled to the body, and spaced apart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body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plurality of back plates positioned at a lower end of the swash plate and fixed to the back surface to guide water flowing out of the swash plate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swash plate at the lower end; And
And a water storage part located below the body for stor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hydroponic plant,
Wherein the swash plate is inclined at an angle of 30 degrees or more and 60 degrees or les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body,
Wherein the length of the thick plate is greater than the clearance length.
[4] The multi-layer pot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and allowing a part of the water to flow downward.
The multi-layer flowerpot of claim 2, wherein the body further comprises a pump device for transferring the water in the water reservoir to the water supply.
The multi-layer po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ane of the body is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raight", "a", "c", "Y", "ㅁ" and "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20008026A KR101510463B1 (en) | 2012-01-26 | 2012-01-26 | Multi layer flowerpo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20008026A KR101510463B1 (en) | 2012-01-26 | 2012-01-26 | Multi layer flowerpo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6903A KR20130086903A (en) | 2013-08-05 |
KR101510463B1 true KR101510463B1 (en) | 2015-04-10 |
Family
ID=49213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20008026A Expired - Fee Related KR101510463B1 (en) | 2012-01-26 | 2012-01-26 | Multi layer flowerpo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10463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1555Y1 (en) | 2015-12-30 | 2016-10-18 | 도시농업협동조합 | Flowerpot stand |
KR20200020196A (en) * | 2018-08-16 | 2020-02-26 | 위드케이 주식회사 | Air cleaning plant cultivator |
KR20240033350A (en) | 2022-09-05 | 2024-03-12 | 농업회사법인 청파조경주식회사 | Wall planting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I125733B (en) | 2014-06-02 | 2016-01-29 | 3Gren Oy | VERTICAL PLANTING PLANT FOR CULTIVATING PLANTS |
JP6465110B2 (en) * | 2014-06-09 | 2019-02-06 | 株式会社ツムラ | How to grow ginseng |
CN110679463A (en) * | 2019-11-25 | 2020-01-14 | 雷明龙 | Frame is planted to sprouting vegetabl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3102B1 (en) * | 2009-03-02 | 2009-10-22 | 주식회사 뜰암 | Multi-stage flower pot for easy water supply |
JP2010035540A (en) * | 2008-08-06 | 2010-02-18 | Yasunori Kudo | Water flow type hydroponics machine |
KR20110112017A (en) * | 2010-04-06 | 2011-10-12 | 주식회사 세인환경기술 | Hydroponic Cultivation Vertical Plant Cultivation Device |
-
2012
- 2012-01-26 KR KR20120008026A patent/KR10151046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035540A (en) * | 2008-08-06 | 2010-02-18 | Yasunori Kudo | Water flow type hydroponics machine |
KR100923102B1 (en) * | 2009-03-02 | 2009-10-22 | 주식회사 뜰암 | Multi-stage flower pot for easy water supply |
KR20110112017A (en) * | 2010-04-06 | 2011-10-12 | 주식회사 세인환경기술 | Hydroponic Cultivation Vertical Plant Cultivation Device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1555Y1 (en) | 2015-12-30 | 2016-10-18 | 도시농업협동조합 | Flowerpot stand |
KR20200020196A (en) * | 2018-08-16 | 2020-02-26 | 위드케이 주식회사 | Air cleaning plant cultivator |
KR102158978B1 (en) | 2018-08-16 | 2020-09-23 | 위드케이 주식회사 | Air cleaning plant cultivator |
KR20240033350A (en) | 2022-09-05 | 2024-03-12 | 농업회사법인 청파조경주식회사 | Wall plant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6903A (en) | 2013-08-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899069B (en) | Self-irrigation system for multiple potted plants | |
JP5232929B1 (en) | Plant growing device | |
US10383287B2 (en) | Vertical planter for growing plants | |
KR101510463B1 (en) | Multi layer flowerpot | |
KR101350394B1 (en) | Hydroponics equipment with cultivation plate having watercourse | |
KR101231434B1 (en) | Cultivation apparatus with structure of multiple layers | |
AU2014208274A1 (en) | Flowerpot with water distribution device | |
US20120186153A1 (en) | Device, system and methods for hydroponic gardening | |
EP2885963B1 (en) | Vertical garden | |
JP3200590U (en) | Wall planting base | |
KR20120128526A (en) | Hanger type multilayer apparatus with column structure for hydroponic cultivating | |
KR101425187B1 (en) | Green wall system | |
WO2017010952A1 (en) | Modular hydroponic tower | |
US20220354076A1 (en) |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 & lighting system | |
CN207911469U (en) | A kind of three-dimensional planting equipment facilitating installation | |
JP2010068735A (en) | Automatically watering planter | |
JP2011139695A (en) | Water level adjusting device for adding water pouring-water for water tank or water receiving vessel | |
CN209546533U (en) | A kind of stereo assembled soilless-culture equipment | |
KR101280123B1 (en) | Port table | |
KR101232189B1 (en) | Cultivation Bed and Hydroponic System therewith | |
KR20150094277A (en) | Cultivating device | |
JPH04135426A (en) | Method for irrigating cultivation pot and planter used therefor | |
KR20150064509A (en) | Plant cultivation receptacles and this includes plant cultivation device | |
KR102034639B1 (en) | Piling up type plant factory | |
KR20170001235U (en) | Potting basin and double pots for supplying liquid with air passa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5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4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4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