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7207A -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27207A KR20120127207A KR1020120037905A KR20120037905A KR20120127207A KR 20120127207 A KR20120127207 A KR 20120127207A KR 1020120037905 A KR1020120037905 A KR 1020120037905A KR 20120037905 A KR20120037905 A KR 20120037905A KR 20120127207 A KR20120127207 A KR 2012012720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vable member
- conductor
- balanced conductor
- balanced
- hou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772 electrical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679 sold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47 perce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해결수단) 수용부를 개방하여 평형 도체의 정규 위치로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열림 위치와 삽입 후의 평형 도체를 단자의 접촉부로 누르는 닫힘 위치 사이에서 가동인 가동 부재 (40) 와, 가동 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 평형 도체의 삽입을 허용하고, 평형 도체가 정규 위치까지 도달하지 못한 불완전 삽입 위치에 있을 때에 가동 부재의 닫힘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 (50) 를 갖고, 규제 부재는, 그 규제 부재 자체가 전체적으로, 가동 부재의 열림 위치에 대응하는 제 1 위치와 가동 부재의 닫힘 위치에 대응하는 제 2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규제 부재는, 가동 부재에 의해 압압되는 피압부 피압부 (53A) 와, 피압부에서 가동 부재에 의해 압압되어 그 규제 부재가 제 2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는 도중 위치에서, 불완전 삽입 위치에 있는 평형 도체와 맞닿는 맞닿음부 (52B) 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도 2 는 도 1 의 커넥터에 사용되는 규제 부재를 나타내고, (A) 는 도 1 의 (A) 의 해당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B) 는 규제 부재만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의 가동 부재와 제 1 위치에 있을 때의 규제 부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고, (A) 는 사시도, (B) 는 부분 파단 정면도, (C) 는 부분 파단 측면도이다.
도 4 는 닫힘 위치를 향하여 이동을 개시한 가동 부재와 제 2 위치를 향하여 이동을 개시한 규제 부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고, (A) 는 사시도, (B) 는 부분 파단 정면도이다.
도 5 는 가동 부재가 닫힘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의, 평형 도체와 제 2 위치에서의 규제 부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고, (A) 는 사시도, (B) 는 부분 파단 정면도, (C) 는 가동 부재의 도시를 생략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7 은 도 6 에 있어서의 규제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로, (A) 는 규제 부재만을 나타내고, (B) 는 제 1 위치에 있을 때의 규제 부재와 정규 위치의 평형 도체를 나타내고, (C) 는 제 2 위치에 있을 때의 규제 부재와 정규 위치의 평형 도체를 나타내고, (D) 는 불완전 삽입 위치의 평형 도체와 도중 위치의 규제 부재를 나타낸다.
도 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로서의 규제 부재와 평형 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21 … 접촉부 40 … 가동 부재
50 … 규제 부재 51 … 축부
52 … 날개부 52B … 맞닿음부
52C … 걸림부 53A … 피압부
60 … 규제 부재 61 … 회전판부
62 … 제 1 돌부 62A … 피압부
63 … 제 2 돌부 63A … 맞닿음부
63B … 걸림부 70 … 규제 부재
71A … 피압부 72A … 맞닿음부
72B … 걸림부 73 … 피압부
F … 평형 도체 F1 … 걸림 오목부
Claims (7)
- 평형 도체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금속판의 평탄한 판면을 유지하여 만들어지고 상기 판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을 배열 방향으로 하여 하우징에서 배열 유지되어 있고 하우징의 수용부로 전방을 향하여 삽입되는 평형 도체와의 접촉을 위한 접촉부를 갖는 복수의 단자와, 상기 수용부를 개방하여 평형 도체의 정규 위치를 향한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열림 위치와 삽입 후의 평형 도체를 단자의 접촉부로 누르는 닫힘 위치 사이에서 가동인 가동 부재와, 그 가동 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 평형 도체의 정규 위치로의 삽입을 허용함과 함께, 그 평형 도체가 정규 위치까지 도달하지 못한 불완전 삽입 위치에 있을 때에 가동 부재의 닫힘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갖고 있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규제 부재는, 그 규제 부재 자체가 전체적으로 회전, 병진 (竝進) 그리고 양자의 조합 중 어느 것에 의해, 가동 부재의 열림 위치에 대응하는 제 1 위치와 가동 부재의 닫힘 위치에 대응하는 제 2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상기 규제 부재는, 가동 부재에 의해 압압되는 피압부와, 그 피압부에서 가동 부재에 의해 압압되어 그 규제 부재가 제 2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는 도중 위치에서, 불완전 삽입 위치에 있는 평형 도체와 맞닿는 맞닿음부를 갖고, 그 맞닿음부에서의 이 맞닿음에 의해 상기 도중 위치에서 멈추는 상기 규제 부재의 피압부를 압압하고 있는 가동 부재에 대하여 그 가동 부재의 닫힘 위치를 향한 이동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규제 부재는, 평형 도체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갖고 그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한 축부와, 그 축부의 둘레 방향의 일부에서 그 축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날개부를 갖고, 축부가 둘레 방향에서의 단상부를 갖고 있어 그 단상 (段狀) 부가 회전 중의 가동 부재에 압압되는 피압부를 형성하고, 상기 날개부가 불완전 삽입 위치의 평형 도체의 면과 대면하는 그 날개부의 면으로 맞닿음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규제 부재는, 평형 도체에 대하여 그 평형 도체의 폭방향에서 측방에 위치하고 있고, 그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갖고 그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한 회전판부와, 그 축선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서 회전판부의 일방의 면에서 축선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돌부 (突部) 를 갖고 있고, 그 제 1 돌부가 회전 중인 가동 부재에 압압되는 피압부를 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그 제 1 돌부와는 둘레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 또한 축선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서 상기 회전판부의 타방의 면에서 축선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 돌부를 갖고 있고 그 제 2 돌부가 맞닿음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규제 부재는, 평형 도체에 대하여 그 평형 도체의 폭방향에서 측방에 위치하고, 가동 부재에 의해 피압부에서 압압되어 상기 폭방향으로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여 평형 도체의 걸림 오목부로 진입하는 직동 부재 (直動部材) 로서 형성되어, 평형 도체가 불완전 삽입 위치에 있을 때에는, 그 규제 부재의 제 2 위치측 부분에 형성된 맞닿음부가 평형 도체의 걸림 오목부 이외의 측가장자리에 맞닿아 도중 위치에서 멈추고, 제 1 위치측 부분이 가동 부재의 닫힘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규제 부재는, 평형 도체의 측가장자리에 형성된 절결상 또는 창상의 걸림 오목부에 대하여, 그 평형 도체가 정규 위치까지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규제 부재가 제 2 위치까지 이동하여, 그 걸림 오목부로 진입하는 걸림부를 갖고 있고, 그 걸림부가 평형 도체의 발출 (拔出) 방향에서 상기 걸림 오목부와 걸리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 평형 도체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에서 배열 유지되어 평형 도체와의 접촉을 위한 접촉부를 갖는 복수의 단자와, 상기 수용부를 개방하여 평형 도체의 정규 위치를 향한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열림 위치와 삽입 후의 평형 도체를 단자의 접촉부로 누르는 닫힘 위치 사이에서 가동인 가동 부재와, 그 가동 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 평형 도체의 정규 위치로의 삽입을 허용함과 함께, 그 평형 도체가 정규 위치까지 도달하지 못한 불완전 삽입 위치에 있을 때에 가동 부재의 닫힘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갖고 있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규제 부재는, 하우징과는 별도 부재로서, 하우징 또는 그 하우징에 장착된 부재에 의해 그 규제 부재 전체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규제 부재는, 상기 가동 부재에 의해 압압되는 피압부와, 상기 수용부에 출몰 가능한 맞닿음부를 갖고, 상기 가동 부재의 열림 위치에서 닫힘 위치로의 가동에 수반하여, 그 가동 부재에 의해 피압부가 압압되어 상기 맞닿음부가 상기 수용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 평형 도체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에서 배열 유지되어 평형 도체와의 접촉을 위한 접촉부를 갖는 복수의 단자와, 상기 수용부를 개방하여 평형 도체의 정규 위치를 향한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열림 위치와 삽입 후의 평형 도체를 단자의 접촉부로 누르는 닫힘 위치 사이에서 가동인 가동 부재와, 그 가동 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 평형 도체의 정규 위치로의 삽입을 허용함과 함께, 그 평형 도체가 정규 위치까지 도달하지 못한 불완전 삽입 위치에 있을 때에 가동 부재의 닫힘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갖고 있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규제 부재는, 하우징과는 별도 부재로서, 하우징 또는 그 하우징에 장착된 부재에 의해 그 규제 부재 전체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규제 부재는, 가동 부재가 닫힘 위치에서 열림 위치로 되돌아오는 과정에서, 가동 부재에 눌려지는 복귀용 피압부를 갖고, 그 복귀용 피압부에서 눌려짐으로써 제 1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1108404A JP5285118B2 (ja) | 2011-05-13 | 2011-05-13 |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
JPJP-P-2011-108404 | 2011-05-1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27207A true KR20120127207A (ko) | 2012-11-21 |
KR101362569B1 KR101362569B1 (ko) | 2014-02-13 |
Family
ID=47124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37905A Expired - Fee Related KR101362569B1 (ko) | 2011-05-13 | 2012-04-12 |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8657617B2 (ko) |
JP (1) | JP5285118B2 (ko) |
KR (1) | KR101362569B1 (ko) |
CN (1) | CN102780104B (ko) |
TW (1) | TWI481126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170894A1 (en) * | 2012-12-19 | 2014-06-19 | Michael D. McCulley | Twist Lock Connector Locking Mechanism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325602B (en) * | 1995-11-09 | 1998-01-21 | Hirose Electric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for flexible substrate |
JPH09213416A (ja) | 1996-01-30 | 1997-08-15 | Sumitomo Wiring Syst Ltd |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
JP2000030784A (ja) * | 1998-05-08 | 2000-01-28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 Ltd | 電気コネクタ |
JP3964583B2 (ja) * | 1999-10-26 | 2007-08-22 |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
TW572397U (en) * | 2003-04-30 | 2004-01-11 | Hon Hai Prec Ind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
JP4576349B2 (ja) * | 2006-03-24 | 2010-11-04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平型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
JP4179624B2 (ja) * | 2006-07-18 | 2008-11-12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
JP4514802B2 (ja) * | 2008-02-05 | 2010-07-28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
JP5532050B2 (ja) * | 2009-08-25 | 2014-06-25 | 日本電気株式会社 | データ処理装置 |
JP4919361B2 (ja) * | 2009-09-07 | 2012-04-18 |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 コネクタ装置 |
-
2011
- 2011-05-13 JP JP2011108404A patent/JP5285118B2/ja active Active
-
2012
- 2012-04-11 TW TW101112778A patent/TWI481126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2-04-12 KR KR1020120037905A patent/KR101362569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05-09 US US13/467,167 patent/US8657617B2/en active Active
- 2012-05-09 CN CN201210142803.1A patent/CN102780104B/zh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2780104A (zh) | 2012-11-14 |
JP2012238553A (ja) | 2012-12-06 |
TW201308786A (zh) | 2013-02-16 |
US8657617B2 (en) | 2014-02-25 |
TWI481126B (zh) | 2015-04-11 |
KR101362569B1 (ko) | 2014-02-13 |
CN102780104B (zh) | 2015-04-01 |
JP5285118B2 (ja) | 2013-09-11 |
US20120289097A1 (en) | 2012-1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48502B1 (ko) | 레버식 커넥터 | |
KR100740853B1 (ko) | 커넥터와 커넥터 조립 방법 | |
JP4985206B2 (ja) | コネクタ及びショート端子 | |
KR101179833B1 (ko) | 커넥터 조립 지그 | |
JP2013051134A (ja) | コネクタ | |
KR20210042808A (ko) |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 |
JP6150172B2 (ja) | コネクタ | |
KR20180110136A (ko) | 레버식 커넥터 | |
WO2021145171A1 (ja) | コネクタ | |
KR101362569B1 (ko) |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 |
JP6645359B2 (ja) | コネクタ | |
JP7252519B2 (ja) | コネクタ | |
KR102302300B1 (ko) |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 |
KR102243096B1 (ko) |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 |
US6247957B1 (en) | Connector with detection member | |
JP7252518B2 (ja) | コネクタ | |
JP6645360B2 (ja) | コネクタ | |
JP2015005490A (ja) | コネクタ | |
US20190027849A1 (en) | Card edge connector | |
EP0713612B1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2023118239A (ja) | コネクタ | |
JP2008210734A (ja) |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1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1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4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1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