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62844A - 진드기 방제용 베이트제 - Google Patents

진드기 방제용 베이트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2844A
KR20120062844A KR1020127007979A KR20127007979A KR20120062844A KR 20120062844 A KR20120062844 A KR 20120062844A KR 1020127007979 A KR1020127007979 A KR 1020127007979A KR 20127007979 A KR20127007979 A KR 20127007979A KR 20120062844 A KR20120062844 A KR 20120062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mite
chloro
bait agent
cyano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7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8605B1 (ko
Inventor
요시히사 엔도
아키히코 이토
아츠시 야마모토
히로유키 세이노
Original Assignee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62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2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8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860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4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a double or triple bond to nitrogen, e.g. cyanates, cyanami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a foodstuff as carrier or diluent, i.e. ba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E)-N1-[(6-클로로-3-피리딜)메틸]-N2-시아노-N1-메틸아세트아미딘, N,N'-[티오비스[(메틸이미노)카르보닐옥시]]비스[에탄이미드티오산메틸], 아황산2-(p-tert-부틸페녹시)시클로헥실2-프로피닐, 트랜스-5-(4-클로로페닐)-N-시클로헥실-4-메틸-2-옥소티아졸리딘-3-카르복사미드 등을 활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진드기 방제용 베이트제 및 진드기를 방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진드기 방제용 베이트제 {TICK CONTROL BAIT}
본 발명은 진드기 방제용 베이트제 및 진드기를 방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09 년 10 월 21 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09-242399 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최근, 비 가림 재배를 하는 시금치 산지에서는, 시금치 곤봉가루 응애 등의 가루 진드기류에 의한 피해가 확대되어, 생산 진흥에 있어서의 장해가 되고 있다. 가루 진드기류는 토양 중에서 증식한 후, 시금치에 해를 입히는데, 증식하고 나서의 방제는 매우 곤란하다.
따라서, 토양 중에서의 가루 진드기류의 증식을 억제하는 방제 기술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에는, 식 (1), 식 (2) 또는 식 (3) 으로 나타내는 네오니코티노이드계 화합물 0.0001?0.1 중량% 및 물 90?99.9999 중량% 를 함유하는 해충 구제 (驅除) 용 수성 베이트제가 기재되어 있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식 (1), 식 (2) 및 식 (3) 중, A 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기, 6-클로로-3-피리딜기 등, R1 은 수소 원자, 메틸기 등, R2 는 메틸아미노기 등, R3 은 메틸기 등, X 는 질소 원자 또는 CH 기, Y 는 시아노기, 니트로기 등, Z 는 NH 기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내고, m 은 0 또는 1, n 은 2 또는 3 을 나타낸다)
이 베이트제로 구제할 수 있는 해충으로는, 미국 바퀴벌레, 독일 바퀴벌레, 먹바퀴벌레 등의 바퀴벌레, 배검은 꼬마개미, 곰개미 등의 개미, 궐련벌레, 인삼벌레 등의 벌레, 거짓쌀도둑거저리, 어리쌀도둑거저리 등의 도둑거저리, 머리대장가는 납작벌레, 카쿠무네 납작벌레 등의 납작벌레, 집흰개미, 야마토흰개미 등의 흰개미, 집파리, 애기집파리, 벼룩파리, 모래파리 등의 파리, 홍모기, 흰줄숲모기, 얼룩날개모기, 깔따구 등의 모기를 들 수 있다.
그러나, 가루 진드기류의 증식을 억제하는 약제의 제안은 적고, 특히 가루 진드기류 방제용 베이트제의 제안은 본 발명자들이 아는 한 지금까지 없었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0-53505 호
본 발명의 과제는 살진드기 효과가 우수한 진드기 방제용 베이트제 및 진드기를 효과적으로 방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하의 화합물에 대해 여러가지 관점에서 검토를 실시하였다.
(E)-N1-[(6-클로로-3-피리딜)메틸]-N2-시아노-N1-메틸아세트아미딘은 식 (I)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별명을 아세타미프리드라고 한다. 이 화합물은 상품명 「모스피란」으로, 수화제, 액제, 입제, 분말제, 에어졸제 또는 복합 비료 등의 제형으로 하여 시판되고, 살충제로서 이용되고 있다. 아세타미프리드는 배추 좀나방, 버드웜, 진딧물, 삽주벌레 등의 방제에 사용되고 있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2
N,N'-[티오비스[(메틸이미노)카르보닐옥시]]비스[에탄이미드티오산메틸] 은 식 (II)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별명을 티오디카르브라고 한다. 그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수화제 또는 분말제의 제형으로 하여 살충제로서 이용되고 있다. 티오디카르브는 과수나 차의 잎말이 나방류나 심식 나방류의 방제에 사용되고 있다.
[화학식 3]
Figure pct00003
인산디메틸2,2-디클로로에테닐은 식 (Ⅲ)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별명을 디클로르포스라고 한다. 그 화합물은 상품명 「호스비트」로, 유제의 제형으로 하여 시판되고, 콜린에스테라아제 저해제, 방역용 살충제로서 이용되고 있다. 디클로르포스는 바퀴벌레 등의 생명력이 강한 곤충 등의 방제에 이용되고 있다.
[화학식 4]
Figure pct00004
N-니트로-1-[(6-클로로-3-피리디닐)메틸]-2-이미다졸리딘이민은 식 (Ⅳ)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별명을 이미다클로프리드라고 한다. 그 화합물은 상품명 「아드마이어」로, 수화제, 과립 수화제 또는 입제의 제형으로 하여 시판되고, 살충제로서 이용되고 있다. 이미다클로프리드는 진딧물류, 굴나방, 담배가루이, 삽주벌레 등의 방제에 사용되고 있다.
[화학식 5]
Figure pct00005
N-시아노-3-[(6-클로로-3-피리디닐)메틸]티아졸리딘-2-이민은 식 (V)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별명을 티아클로프리드라고 한다. 그 화합물은 상품명 「바리아드」로, 과립 수화제 또는 입제의 제형으로 하여 시판되고, 살충제로서 이용되고 있다. 티아클로프리드는 벼잎벌레, 벼물 바구미, 끝동 매미충 등의 방제에 사용되고 있다.
[화학식 6]
Figure pct00006
1-(2-클로로티아졸-5-일)메틸-3-메틸-2-니트로구아니딘은 식 (Ⅵ)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별명을 크로티아니딘이라고 한다. 그 화합물은 상품명 「단토츠」로, 수용제, 입제 또는 분말제의 제형으로 하여 시판되고, 살충제로서 이용되고 있다. 크로티아니딘은 심식나방, 잎말이나방, 반시목 해충 (멸구, 매미충 등), 총채벌레목, 딱정벌레목 (벼물 바구미), 파리목 (굴파리 등의 방제에 사용되고 있다.
[화학식 7]
Figure pct00007
N-니트로-3-(2-클로로티아졸-5-일메틸)-5-메틸-3,4,5,6-테트라하이드로-2H-1,3,5-옥사디아진-4-이민은 식 (Ⅶ)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별명을 티아메톡삼이라고 한다. 그 화합물은 상품명 「아크타라」로, 입제, 과립 수용제 또는 수화제의 제형으로 하여 시판되고, 살충제로서 이용되고 있다. 티아메톡삼은 멸구류, 벚나무깍지벌레류, 의매개충, 굴귤나방, 진딧물류, 오이총채벌레, 가루이류, 굴파리류, 파총채벌레, 파굴파리 등의 방제에 사용되고 있다.
[화학식 8]
Figure pct00008
(1-하이드록시-2,2,2-트리클로로에틸)포스폰산디메틸은 식 (Ⅷ)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별명을 트리클로르폰이라고 한다. 그 화합물은 상품명 「디프테렉스」로, 분말제 또는 유제의 제형으로 하여 시판되고, 구충약, 살균약 또는 살충제로서 이용되고 있다. 트리클로르폰은 닻벌레, 물고기 이, 피부흡충, 아가미흡충, 물고기 이, 닻벌레 등의 방제에 사용되고 있다.
[화학식 9]
Figure pct00009
티오인산O,O-디에틸O-(5-페닐-3-이소옥사졸릴) 은 식 (IX)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별명을 이속사티온이라고 한다. 그 화합물은 상품명 「카르호스」로, 유제, 분말제 또는 입제의 제형으로 하여 시판되고, 살충제로서 이용되고 있다. 이속사티온은 귀뚜라미류, 거세미류, 담배 거세미 나방 등의 방제에 사용되고 있다.
[화학식 10]
Figure pct00010
식 (I)?식 (IX)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종래의 제제는 진딧물 등의 벌레의 방제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데, 진드기에 대한 방제 효과는 실용적 레벨이 아니다.
아황산2-(p-tert-부틸페녹시)시클로헥실2-프로피닐은 식 (X)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별명을 프로파기트라고 한다. 그 화합물은 상품명 「오마이트」로, 수화제 또는 유제의 제형으로 하여 시판되고, 살진드기제로서 이용되고 있다.
[화학식 11]
Figure pct00011
N-[[[4-[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플루오로페닐]아미노]카르보닐]-2,6-디플루오로벤즈아미드는 식 (XI)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별명을 플루페녹스론이라고 한다. 그 화합물은 상품명 「카스케이드」로, 유제의 제형으로 하여 시판되고, 곤충 성장 조정제 또는 살진드기제로서 이용되고 있다.
[화학식 12]
Figure pct00012
4-브로모-1-(에톡시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2-(4-클로로페닐)-1H-피롤-3-카르보니트릴은 식 (XII)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별명을 클로르페나빌이라고 한다. 그 화합물은 상품명 「코테츠」로, 플로어블의 제형으로 하여 시판되고, 살진드기제로서 이용되고 있다.
[화학식 13]
Figure pct00013
2,2-디메틸프로판산(E)-2-(4-tert-부틸페닐)-2-시아노-1-(1,3,4-트리메틸-1H-피라졸-5-일)비닐은 식 (XⅢ)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별명을 시에노피라펜이라고 한다. 그 화합물은 상품명 「스타마이트」로, 플로어블 또는 수화제의 제형으로 하여 시판되고, 살충제로서 이용되고 있다. 시에노피라펜은 잎진드기류의 방제에 이용되고 있다.
[화학식 14]
Figure pct00014
트랜스-5-(4-클로로페닐)-N-시클로헥실-4-메틸-2-옥소티아졸리딘-3-카르복사미드는 식 (XⅣ)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별명을 헥시티아조크스라고 한다. 그 화합물은 상품명 「닛소란」으로, 수화제 또는 유제의 제형으로 하여 시판되고, 살충?살진드기제로서 이용되고 있다.
[화학식 15]
Figure pct00015
식 (X)?(XⅣ) 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잎진드기류에 대해서의 방제 효과를 어느 정도의 레벨로 나타내는데, 가루 진드기류에 대한 방제 효과는 실용 레벨에 없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이들 화합물을 먹이에 침지시켜 베이트제로 제제화하여, 진드기에게 경구 투여해 보았다. 그 결과, 이들 화합물을 유제, 수화제, 액제, 입제, 분말제, 에어졸제, 과립 수용제 또는 플로어블로 제제화한 것과 비교하여, 이들 화합물을 먹이에 침지시켜 이루어지는 베이트제가 현격히 우수한 진드기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아낸 것이다. 본 발명은 이 지견에 기초하여 추가로 검토를 거듭함으로써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양태를 포함하는 것이다.
[1] (E)-N1-[(6-클로로-3-피리딜)메틸]-N2-시아노-N1-메틸아세트아미딘, N,N'-[티오비스[(메틸이미노)카르보닐옥시]]비스[에탄이미드티오산메틸], 인산디메틸2,2-디클로로에테닐, 아황산2-(p-tert-부틸페녹시)시클로헥실2-프로피닐, N-[[[4-[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플루오로페닐]아미노]카르보닐]-2,6-디플루오로벤즈아미드, N-니트로-1-[(6-클로로-3-피리디닐)메틸]-2-이미다졸리딘이민, N-시아노-3-[(6-클로로-3-피리디닐)메틸]티아졸리딘-2-이민, 1-(2-클로로티아졸-5-일)메틸-3-메틸-2-니트로구아니딘, N-니트로-3-(2-클로로티아졸-5-일메틸)-5-메틸-3,4,5,6-테트라하이드로-2H-1,3,5-옥사디아진-4-이민, 4-브로모-1-(에톡시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2-(4-클로로페닐)-1H-피롤-3-카르보니트릴, (1-하이드록시-2,2,2-트리클로로에틸)포스폰산디메틸, 티오인산O,O-디에틸O-(5-페닐-3-이소옥사졸릴), 2,2-디메틸프로판산(E)-2-(4-tert-부틸페닐)-2-시아노-1-(1,3,4-트리메틸-1H-피라졸-5-일)비닐 및 트랜스-5-(4-클로로페닐)-N-시클로헥실-4-메틸-2-옥소티아졸리딘-3-카르복사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의 화합물을 활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진드기 방제용 베이트제.
[2] 먹이로서 건조 효모가 포함되는 [1] 에 기재된 진드기 방제용 베이트제.
[3] [1] 에 기재된 진드기 방제용 베이트제는 분말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4] [1] 에 기재된 진드기 방제용 베이트제는 입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5] [1] 에 기재된 진드기 방제용 베이트제는 특히 가루 진드기류에 유효하다.
[6] (E)-N1-[(6-클로로-3-피리딜)메틸]-N2-시아노-N1-메틸아세트아미딘, N,N'-[티오비스[(메틸이미노)카르보닐옥시]]비스[에탄이미드티오산메틸], 인산디메틸2,2-디클로로에테닐, 아황산2-(p-tert-부틸페녹시)시클로헥실2-프로피닐, N-[[[4-[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플루오로페닐]아미노]카르보닐]-2,6-디플루오로벤즈아미드, N-니트로-1-[(6-클로로-3-피리디닐)메틸]-2-이미다졸리딘이민, N-시아노-3-[(6-클로로-3-피리디닐)메틸]티아졸리딘-2-이민, 1-(2-클로로티아졸-5-일)메틸-3-메틸-2-니트로구아니딘, N-니트로-3-(2-클로로티아졸-5-일메틸)-5-메틸-3,4,5,6-테트라하이드로-2H-1,3,5-옥사디아진-4-이민, 4-브로모-1-(에톡시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2-(4-클로로페닐)-1H-피롤-3-카르보니트릴, (1-하이드록시-2,2,2-트리클로로에틸)포스폰산디메틸, 티오인산O,O-디에틸O-(5-페닐-3-이소옥사졸릴), 2,2-디메틸프로판산(E)-2-(4-tert-부틸페닐)-2-시아노-1-(1,3,4-트리메틸-1H-피라졸-5-일)비닐 및 트랜스-5-(4-클로로페닐)-N-시클로헥실-4-메틸-2-옥소티아졸리딘-3-카르복사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의 화합물을 활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베이트제를 이용하여 진드기를 방제하는 방법.
[7] [6] 에 기재된 진드기를 제거하는 방법은 상기 베이트제와 어박 (魚粕) 비료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8] [6] 에 기재된 진드기를 제거하는 방법은 특히 가루 진드기류에 유효하다.
본 발명의 진드기 방제용 베이트제를 사용하면, 토양 중의 진드기의 증식을 억제하여 진드기의 방제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진드기 방제용 베이트제와 어박 비료를 병용하면, 양자의 상승 작용에 의해, 토양 중의 진드기의 증식을 강력하게 억제하여 진드기의 방제를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진드기 방제용 베이트제는 가루 진드기류에 대해 특히 효과적인 방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진드기 방제용 베이트제는 (E)-N1-[(6-클로로-3-피리딜)메틸]-N2-시아노-N1-메틸아세트아미딘, N,N'-[티오비스[(메틸이미노)카르보닐옥시]]비스[에탄이미드티오산메틸], 인산디메틸2,2-디클로로에테닐, 아황산2-(p-tert-부틸페녹시)시클로헥실2-프로피닐, N-[[[4-[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플루오로페닐]아미노]카르보닐]-2,6-디플루오로벤즈아미드, N-니트로-1-[(6-클로로-3-피리디닐)메틸]-2-이미다졸리딘이민, N-시아노-3-[(6-클로로-3-피리디닐)메틸]티아졸리딘-2-이민, 1-(2-클로로티아졸-5-일)메틸-3-메틸-2-니트로구아니딘, N-니트로-3-(2-클로로티아졸-5-일메틸)-5-메틸-3,4,5,6-테트라하이드로-2H-1,3,5-옥사디아진-4-이민, 4-브로모-1-(에톡시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2-(4-클로로페닐)-1H-피롤-3-카르보니트릴, (1-하이드록시-2,2,2-트리클로로에틸)포스폰산디메틸, 티오인산O,O-디에틸O-(5-페닐-3-이소옥사졸릴), 2,2-디메틸프로판산(E)-2-(4-tert-부틸페닐)-2-시아노-1-(1,3,4-트리메틸-1H-피라졸-5-일)비닐 및 트랜스-5-(4-클로로페닐)-N-시클로헥실-4-메틸-2-옥소티아졸리딘-3-카르복사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의 화합물을 활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진드기 방제용 베이트제를 제조하기 위한 활성 성분의 원료로서, 상기 화합물 그 자체를 사용해도 되고; 분말제, 입제, 수화제, 과립 수화제, 유제, 액제, 마이크로캡슐화제, 플로어블제 등으로 제제화된 형태인 것을 사용해도 된다. 또, 이들 활성 성분은 1 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진드기 방제용 베이트제에 사용되는 먹이로는, 곡류, 당류, 유류, 동물질, 건조 효모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곡류로는, 예를 들어, 소맥분,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등을 들 수 있다.
당류로는, 예를 들어, 그라뉴당, 벌꿀, 말토오스, 소르비톨, 과당, 트레할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유류로는, 예를 들어, 버터, 피너츠유, 참기름, 옥수수유, 피마자유 등의 유류를 들 수 있다.
동물질로는, 예를 들어, 크릴 분말, 번데기 분말, 새우 분말, 난황 분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밀크, 양파 등의 향료 등을 본 발명에 관련된 진드기 방제용 베이트제에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진드기 방제용 베이트제는 활성 성분과 먹이의 비율에 의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활성 성분:먹이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1:0.001?1:1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1?1: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1:10 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진드기 방제용 베이트제에는, 필요에 따라 결합제, 겔화제, 액체 성분, 색소 등을 배합할 수 있다.
결합제로는, 니트로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겔화제로는, 젤라틴, 카라기난, 한천, 젤란검 등을 들 수 있다.
액체 성분으로는, 물,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는,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색소로는, 청색 1 호, 황색 203 호, 적색 102 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진드기 방제용 베이트제에는, 추가로 필요에 따라, 흡수성 폴리머, 방부제, 보존제, 공력제, 산화방지제, 오식 (誤食) 방지제, 계면활성제, 소포제, 유인제 등의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진드기 방제용 베이트제는, 예를 들어, 과립제, 입상체, 분말제, 타정제, 겔제, 젤리제, 졸제, 액제 등의 형태로 할 수 있다.
겔제, 젤리제, 졸제 등의 형태의 진드기 방제용 베이트제는, 예를 들어, 활성 성분, 먹이, 및 필요에 따라 배합되는 첨가제에 한천이나 정제수 등을 첨가하고, 가열하에서 교반하여 혼합 성분 농도를 균일화하고, 실온으로 되돌려 굳힘으로써 얻어진다.
과립제, 입상체, 분말제 등의 형태의 진드기 방제용 베이트제는, 예를 들어, 활성 성분, 먹이, 및 필요에 따라 배합되는 첨가제를 혼련하여, 그 혼련물을 공지된 조립 장치 등으로 조립함으로써; 활성 성분, 먹이 등을 물에 투입하여 수용액을 얻고, 이어서 흡수성 폴리머를 첨가하고 이것을 팽윤시켜, 전체 수용액을 흡수성 폴리머에 받아들임으로써; 혹은 그 외 공지된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진드기 방제용 베이트제의 시용 형태로는, 그 베이트제 그대로여도 되고, 예를 들어 부직포, 스펀지, 탈지면, 종이 등에 함침 혹은 부착시킨 상태여도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베이트제나, 본 발명에 관련된 베이트제를 함침 또는 부착시킨 부직포, 스펀지, 탈지면, 종이 등은 그대로 진드기 방제에 제공할 수 있고, 또 컵, 트레이, 병 등의 용기에 넣어 진드기 방제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용기는 진드기가 베이트제 섭취를 위해서 체재할 수 있는 어느 정도의 공간을 갖고, 섭취성이 향상되는 구조인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 진드기가 일단 용기 내에 들어가면 밖으로 빠져나갈 수 없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진드기 방제용 베이트제는 제초제, 살균제, 살충제, 살진드기제, 식물 성장 조정제, 비료 등과 병용할 수 있다. 병용함으로써, 각각의 사용약량을 감소시킬 수 있거나, 에너지 절약화를 발휘할 수 있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비료 중, 어박 등의 어비료는 진드기의 증식을 억제하는 경향이 관찰된다.
본 발명의 진드기 방제용 베이트제와 어박 비료를 병용함으로써, 양자의 상승 작용에 의해, 토양 중의 진드기의 증식을 강력하게 억제하여 진드기의 방제를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실시예로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아세타미프리드 수용제 (닛폰 조달사 제조 「모스피란」) 1 중량부와 건조 효모 (타나베 미츠비시 제약사 제조 「건조 효모 에비오스」) 3 중량부를 혼합하여 진드기 방제용 베이트제를 얻었다. 이것을 시험 약제로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BPPS 수화제 (닛폰 농약사 제조 「오마이트」) 1 중량부와 건조 효모 (타나베 미츠비시 제약사 제조 「건조 효모 에비오스」) 3 중량부를 혼합하여 진드기 방제용 베이트제를 얻었다. 이것을 시험 약제로서 사용하였다.
실시예 3
티오디카르브베이트 (닛폰 조달사 제조) 를 그대로 진드기 방제용의 시험 약제로서 사용하였다.
비교예 1 (대조구)
건조 효모 (타나베 미츠비시 제약사 제조 「건조 효모 에비오스」) 만을 시험 약제로서 사용하였다.
비교예 2?11
표 1 및 표 2 에 나타내는 활성 성분 1 중량부와 건조 효모 (타나베 미츠비시 제약사 제조 「건조 효모 에비오스」) 3 중량부를 혼합하여 베이트제를 얻었다. 이들을 시험 약제로서 사용하였다.
(약제 시트의 제조)
1 변 1.5 ㎝ 의 정육각형의 도화지에 폭 1 ㎝ 의 종이제 양면 테이프를 1 열 첩부하고, 거기에 시험 약제를 부착시켰다. 이하, 이것을 약제 시트라고 부른다.
시험예 1 (가루 진드기 발생 토양에서의 간이 시험 (실내))
직경 6 ㎝ × 높이 3.3 ㎝ 의 플라스틱제 원통 용기에 약 80 cc 의 시금치 곤봉가루 응애 오염 토양을 넣었다.
용기 내의 토양 표면에 시험 약제 부착면이 토양에 접하는 방향으로 상기 약제 시트를 두고, 용기의 뚜껑을 닫아 방치하였다.
방치로부터 6 일 경과 후, 약제 시트를 용기로부터 꺼내어, 약제 시트 내의 가루 진드기의 생존충 및 사망충의 수를 실체 현미경하에서 계측하였다. 또, 용기 내의 토양을 툴 그렌 장치에 넣고, 24 시간 경과 후에 토양 중에 남은 가루 진드기의 생존충의 수를 실체 현미경하에서 계측하였다.
「툴 그렌 장치에 의해 추출된 토양 중에 남은 가루 진드기 생존충 수 A)+(시트에 모인 가루 진드기 생존충 수 B)+(시트에 모인 가루 진드기 사망충 수 C)=(토양 중의 전체 가루 진드기 수 D)」로서, 살충률 (%) 및 생존충률 (대 무처리비) 을 산출하였다.
시험은 3 반복으로 2 회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표 중의 수치는 3 반복의 평균이다.
베이트제 토양 중 생존충 수 A 시트 내 생존충 수 B 시트 내 사망충 수 C 합계 D=A+B+C 살충률
C/D
생존충률
(대 무처리비)
(A+B)/무처리 D
활성 성분 먹이
실시예 1 아세타미프리드 수용제 건조 효모 58.7 4.7 26.7 90.1 30 % 15 %
실시예 2 BPPS 수화제 건조 효모 107.7 10.3 1.3 119.3 1 % 28 %
실시예 3 티오디카르브
베이트
- 140.0 10.0 2.7 152.7 2 % 35 %
비교예 1 무처리 건조 효모 151.0 274.7 0.0 425.7 0 % 100 %
비교예 2 이속사티온
분말제
건조 효모 151.7 148.0 0.7 300.4 0 % 70 %
비교예 3 벤프라카르브
입제
건조 효모 136.7 183.3 0.0 320.0 0 % 75 %
비교예 4 네라이스톡신
분말제
건조 효모 124.7 254.3 0.0 379.0 0 % 89 %
비교예 5 피메트로진
수화제
건조 효모 168.3 212.3 0.3 380.9 0 % 89 %
비교예 6 아크리나트린
수화제
건조 효모 189.3 146.0 0.0 335.3 0 % 79 %
비교예 7 부프로페진
분말제
건조 효모 175.0 105.0 0.0 280.0 0 % 66 %
비교예 8 다이아디논
분말제
건조 효모 145.0 145.7 0.3 291.0 0 % 68 %
비교예 9 피프로닐 입제 건조 효모 90.3 250.7 0.0 341.0 0 % 80 %
비교예 10 카르보술판
입제
건조 효모 191.7 180.0 0.0 371.7 0 % 87 %
시험예 2 (시트법 (살충 시험, 실내))
직경 3.5 ㎝ × 높이 1.0 ㎝ 의 샬레에 약제 시트를 넣었다. 약제 시트 위에 사육충의 시금치 곤봉가루 응애 성충을 가는 붓으로 10 마리 방충하였다. 샬레 뚜껑의 내측 가장자리에, 도망 방지?침입 방지를 위해서, 후지탄탈을 붓으로 바르고, 그 뚜껑으로 샬레를 닫았다. 그 샬레를 길이 8 ㎝ × 폭 12 ㎝ × 높이 8 ㎝ 의 각형 (角形) 플라스틱 용기 (타파웨어사 제조 「타파웨어」(등록 상표); 직경 0.7 mm 의 공기 구멍을 3 개 뚫었다) 에 넣고, 25 ℃ 이하의 실온에서 보관하였다. 일정 기간마다, 샬레 내의 시트를 실체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가루 진드기의 알, 유충 및 성충의 수를 계측하였다. 시험은 3 반복으로 2 회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베이트제 성충, 유충, 알 수의 합계 (3 반복의 평균)
활성 성분 먹이 처리 전 처리 6 일후 처리 13 일후 처리 20 일후
실시예 1 아세타미프리드
수용제
건조 효모 10.0 2.0 2.3 1.7
실시예 2 BPPS 수화제 건조 효모 10.0 0.0 0.0 0.7
실시예 3 티오디카르브 베이트 - 10.0 3.3 13.7 4.0
비교예 1 무처리 건조 효모 10.0 3.3 29.0 57.7
비교예 3 벤프라카르브 입제 건조 효모 10.0 1.3 9.7 10.7
비교예 11 MEP 분말제 건조 효모 10.0 3.0 17.7 27.7
표 1 및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E)-N1-[(6-클로로-3-피리딜)메틸]-N2-시아노-N1-메틸아세트아미딘, N,N'-[티오비스[(메틸이미노)카르보닐옥시]]비스[에탄이미드티오산메틸] 및/또는 아황산2-(p-tert-부틸페녹시)시클로헥실2-프로피닐을 활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진드기 방제용 베이트제를 사용하면, 성충, 유충 및 알의 수가 격감하여, 가루 진드기의 생존충률이 다른 약제에 비해 매우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2 [충체 산포]
검은 도화지 상에 시금치 곤봉가루 응애 (Tyrophagus similis) 암컷 성충 10 마리를 방충하고, 표 3 에 나타내는 소정 농도의 약액을 회전 산포탑으로 2 mg/㎠ 가 되도록 산포하였다. 풍건 후의 상기 검은 도화지에 건조 효모 분말을 첩부하였다. 9 ㎝ 샬레 내에 그 검은 도화지를 설치하였다. 샬레를 20 ℃ 의 전암 (全暗) 상태로 유지하였다. 7 일 및 14 일 경과 후에, 성충, 약충, 유충 및 알의 수를 계측하였다. 시험은 2 반복으로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실시예 4 [먹이에 대한 약액 침지]
카스가?야마노, 일본 응용 동물 곤충 학회 (오도콘) 46 (2), 99-101 (2002)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사방 4 ㎝ 의 검은 도화지를 물 90 g 및 건조 효모 분말 10 g 으로 이루어지는 현탁액에 침지시켰다. 풍건 후의 상기 검은 도화지를 표 3 에 나타내는 소정 농도의 약액에 침지시켰다. 약액을 풍건 후, 9 ㎝ 샬레 내에 그 검은 도화지를 설치하였다. 이것에 시금치 곤봉가루 응애 (Tyrophagus similis) 암컷 성충 10 마리를 방충하였다. 샬레를 20 ℃ 의 전암 상태로 유지하였다. 7 일 및 14 일 경과 후에, 성충, 약충, 유충 및 알의 수를 계측하였다. 시험은 2 반복으로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동일한 유효 성분이라도 베이트제화함으로써, 현격히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희석률
유효 성분 함유율
비교예 12 실시예 4
7 일후 개수 14 일후 개수 7 일후 개수 14 일후 개수
모스피란 SP ×100
2000 ppm
177.0 89.0 12.0 4.5
모스피란 SP ×500
400 ppm
261.5 55.5 74.5 12.5
호스비트 EC ×1000
750 ppm
174.0 61.5 6.5 1.0
오마이트 EC ×1500
380 ppm
137.0 49.0 39.0 5.0
카스케이드 EC ×4000
25 ppm
184.5 77.5 85.0 8.5
수돗물 - 203.0 116.0 - -
실시예 5
사방 4 ㎝ 의 검은 도화지를 물 90 g 및 건조 효모 분말 10 g 으로 이루어지는 현탁액에 침지시켰다. 풍건 후의 상기 검은 도화지를 표 4 에 나타내는 소정 농도의 약액에 침지시켰다. 약액을 풍건 후, 9 ㎝ 샬레 내에 그 검은 도화지를 설치하였다. 이것에 시금치 곤봉가루 응애 (Tyrophagus similis) 암컷 성충 10 마리를 방충하였다. 샬레를 20 ℃ 의 전암 상태로 유지하였다. 7 일 및 14 일 경과 후에, 성충, 약충, 유충 및 알의 수를 계측하였다. 시험은 3 반복으로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희석률
유효 성분 함유율
실시예 5
7 일후 개수 14 일후 개수
모스피란 SP ×100
2000 ppm
7.7 0.0
아드마이어 WP ×50
2000 ppm
12.3 0.6
바리아드 WG ×150
2000 ppm
22.3 2.0
단토츠 SG ×80
2000 ppm
25.7 2.0
아크타라 SG ×50
2000 ppm
30.0 3.0
수돗물 - 204.1 84.0
실시예 6
사방 4 ㎝ 의 검은 도화지를 물 90 g 및 건조 효모 분말 10 g 으로 이루어지는 현탁액에 침지시켰다. 풍건 후의 상기 검은 도화지를 표 5 에 나타내는 소정 농도의 약액에 침지시켰다. 약액을 풍건 후, 9 ㎝ 샬레 내에 그 검은 도화지를 설치하였다. 이것에 시금치 곤봉가루 응애 (Tyrophagus similis) 암컷 성충 8 마리를 방충하였다. 샬레를 20 ℃ 의 전암 상태로 유지하였다. 7 일 및 14 일 경과 후에, 성충, 약충, 유충 및 알의 수를 계측하였다. 시험은 2 반복으로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희석률
유효 성분 함유율
실시예 6
7 일후 개수 14 일후 개수
코테츠 SC ×4000
25 ppm
65.0 0.0
디프테렉스 EC ×1000
500 ppm
115.5 3.5
카르호스 EC ×1000
500 ppm
44.0 1.0
스타마이트 SC ×2000
150 ppm
87.5 5.0
닛소란 WP ×2000
50 ppm
116.0 14.0
수돗물 - 250.0 126.0
실시예 7
사방 4 ㎝ 의 검은 도화지를 물 90 g 및 건조 효모 분말 10 g 으로 이루어지는 현탁액에 침지시켰다. 풍건 후의 상기 검은 도화지를 표 6 에 나타내는 소정 농도의 약액에 침지시켰다. 약액을 풍건 후, 9 ㎝ 샬레 내에 그 검은 도화지를 설치하였다. 이것에 뿌리 응애 (Rhizoglyphus robini) 암컷 성충 8 마리를 방충하였다. 샬레를 25 ℃ 의 전암 상태로 유지하였다. 4 일 경과 후에 생존충의 수를 계측하였다. 12 일 경과 후에 성충 및 약충의 수를 계측하였다. 시험은 2 반복으로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6 에 나타낸다.
희석률
유효 성분 함유율
실시예 7
4 일후 개수 12 일후 개수
모스피란 SP ×100
2000 ppm
1.5 1.0
수돗물 - 6.0 119.0
실시예 8
아세타미프리드 수용제 (닛폰 조달사 제조 「모스피란 20 % SP」) 5 중량부와 건조 효모 (쿄진사 제조) 94.5 중량부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입상의 베이트제 N 을 얻었다.
실시예 9
아세타미프리드 수용제 (닛폰 조달사 제조 「모스피란 20 % SP」) 5 중량부와 건조 효모 (쿄진사 제조) 94.5 중량부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분말상의 베이트제 O 를 얻었다.
시험예 3 (실내 플라스틱 컵 시험 (방충))
200 ㎖ 플라스틱 컵에, 체에 거른 칸나미토 150 ㎖ 를 넣고, 이것에 유박 (油粕) 분말 0.6 g 을 혼화하였다. 칸나미토는 손으로 가볍게 쥐면 허물어지지 않을 정도로 수분을 함유한 상태였다. 그 후, 표 7 에 나타내는 소정 약량의 약제를 혼화하고, 시금치 곤봉가루 응애 (Tyrophagus similis) 암컷 성충 20 마리를 토양 표면에 방충하였다. 가루 진드기는 방충 후 신속하게 땅 속으로 기어들어가는 행동이 관찰되었다.
컵에 뚜껑을 덮었다. 그것을 20 ℃ 의 전암 상태로 유지하였다. 시험 기간 중, 컵 내의 수분은 유지되어 있고, 14 일 경과시의 관찰에서 토양 표면에 곰팡이의 발생이 확인되었다.
14 일 경과 후와 21 일 경과 후에, Kasuga et al. (2005) Appl. Entomol. and Zool. 40 (2): 303-308. 에 기재되어 있는, 여과지와 건조 효모를 사용한 카스가식 트랩에 의해 토양 표면에서 가루 진드기를 채집하여 그 수를 계측하였다. 결과를 표 7 에 나타낸다.
제형 처리량 카스가식 트랩
14 일후 개수 21 일후 개수
본 발명예 베이트제 N 입제 0.036 g
(12 ㎏/10 a 상당)
4.7 72.3
베이트제 O 분말제 0.036 g
(12 ㎏/10 a 상당)
6.7 94.7
비교예 모스피란원 G 입제 0.036 g
(12 ㎏/10 a 상당)
17.3 202.3
모스피란 G 입제 0.018 g
(6 ㎏/10 a 상당)
19.0 119.7
무처리 - 18.0 205.7
시험예 4 (온실 내 시금치 포트 시험)
시금치 곤봉가루 응애 (Tyrophagus similis) 방사 하우스에 감시 트랩을 설치하고, 그 가루 진드기가 채집된 장소의 주변에서 흙을 채취하였다. 가루 진드기 발생 토양을 6 호 화분에 넣었다. 표 8 에 나타내는 소정 약량의 약제를 혼화 처리하였다. 처리 다음날에 각 화분에 시금치 종자를 6 알갱이 파종하고, 자엽기에 3 그루 솎아내었다. 산포제 처리구는 2 엽기 및 4 엽기에 2 회 산포를 실시하였다.
각 화분을 하우스 내에 유지하고, 8 엽기에 시금치 각 그루의 피해도, 지상부 기생 가루 진드기 수를 조사하였다. 결과를 표 8 에 나타낸다.
피해도 =
(피해 정도 D 의 그루 수 × 5 + 피해 정도 C 의 그루 수 × 3
+ 피해 정도 B 의 그루 수 × 0.5 + 피해 정도 A 의 그루 수 × 0)
× 100/조사 그루 수 × 5
피해 정도 A: 피해 없음
피해 정도 B: 기형잎 2 장 이하
피해 정도 C: 기형잎 3?4 장, 중심부 갈변 없음
피해 정도 D: 중심부 갈변
제형 처리량 피해도
본 발명예 베이트제 N 입제 0.31 g
(12 ㎏/10 a 상당)
20.0
베이트제 O 분말제 0.31 g
(12 ㎏/10 a 상당)
40.0
비교예 모스피란원 G 입제 0.31 g
(12 ㎏/10 a 상당)
57.8
모스피란 G 입제 0.16 g
(6 ㎏/10 a 상당)
50.0
네마몰 G30 입제 0.78 g
(30 ㎏/10 a 상당)
41.1
무처리 - 68.9
이상의 결과로부터, 다음의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베이트제는 가루 진드기 등의 진드기류를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베이트제에 사용한 활성 성분을 유제, 수화제, 입제 등으로 제제화한 것에서는 진드기류의 방제 효과 낮다 (표 3).
또, 본 발명에 관련된 베이트제에 있어서는, 특히 입제로 한 것이 진드기 방제 효과 면에서 우수하다 (표 7 및 표 8).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진드기 방제용 베이트제를 사용하면, 토양 중의 진드기의 증식을 억제하여 진드기의 방제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진드기 방제용 베이트제와 어박 비료를 병용하면, 양자의 상승 작용에 의해, 토양 중의 진드기의 증식을 강력하게 억제하여, 진드기의 방제를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진드기 방제용 베이트제는 가루 진드기류에 대해 특히 효과적인 방제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8)

  1. (E)-N1-[(6-클로로-3-피리딜)메틸]-N2-시아노-N1-메틸아세트아미딘, N,N'-[티오비스[(메틸이미노)카르보닐옥시]]비스[에탄이미드티오산메틸], 인산디메틸 2,2-디클로로에테닐, 아황산2-(p-tert-부틸페녹시)시클로헥실2-프로피닐, N-[[[4-[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플루오로페닐]아미노]카르보닐]-2,6-디플루오로벤즈아미드, N-니트로-1-[(6-클로로-3-피리디닐)메틸]-2-이미다졸리딘이민, N-시아노-3-[(6-클로로-3-피리디닐)메틸]티아졸리딘-2-이민, 1-(2-클로로티아졸-5-일)메틸-3-메틸-2-니트로구아니딘, N-니트로-3-(2-클로로티아졸-5-일메틸)-5-메틸-3,4,5,6-테트라하이드로-2H-1,3,5-옥사디아진-4-이민, 4-브로모-1-(에톡시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2-(4-클로로페닐)-1H-피롤-3-카르보니트릴, (1-하이드록시-2,2,2-트리클로로에틸)포스폰산디메틸, 티오인산O,O-디에틸O-(5-페닐-3-이소옥사졸릴), 2,2-디메틸프로판산(E)-2-(4-tert-부틸페닐)-2-시아노-1-(1,3,4-트리메틸-1H-피라졸-5-일)비닐 및 트랜스-5-(4-클로로페닐)-N-시클로헥실-4-메틸-2-옥소티아졸리딘-3-카르복사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의 화합물을 활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진드기 방제용 베이트제.
  2. 제 1 항에 있어서, 먹이로서 건조 효모가 포함되는 진드기 방제용 베이트제.
  3. 제 1 항에 있어서, 분말제인 진드기 방제용 베이트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입제인 진드기 방제용 베이트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제되는 진드기가 가루 진드기류인 진드기 방제용 베이트제.
  6. (E)-N1-[(6-클로로-3-피리딜)메틸]-N2-시아노-N1-메틸아세트아미딘, N,N'-[티오비스[(메틸이미노)카르보닐옥시]]비스[에탄이미드티오산메틸], 인산디메틸 2,2-디클로로에테닐, 아황산2-(p-tert-부틸페녹시)시클로헥실2-프로피닐, N-[[[4-[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플루오로페닐]아미노]카르보닐]-2,6-디플루오로벤즈아미드, N-니트로-1-[(6-클로로-3-피리디닐)메틸]-2-이미다졸리딘이민, N-시아노-3-[(6-클로로-3-피리디닐)메틸]티아졸리딘-2-이민, 1-(2-클로로티아졸-5-일)메틸-3-메틸-2-니트로구아니딘, N-니트로-3-(2-클로로티아졸-5-일메틸)-5-메틸-3,4,5,6-테트라하이드로-2H-1,3,5-옥사디아진-4-이민, 4-브로모-1-(에톡시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2-(4-클로로페닐)-1H-피롤-3-카르보니트릴, (1-하이드록시-2,2,2-트리클로로에틸)포스폰산디메틸, 티오인산O,O-디에틸O-(5-페닐-3-이소옥사졸릴), 2,2-디메틸프로판산(E)-2-(4-tert-부틸페닐)-2-시아노-1-(1,3,4-트리메틸-1H-피라졸-5-일)비닐 및 트랜스-5-(4-클로로페닐)-N-시클로헥실-4-메틸-2-옥소티아졸리딘-3-카르복사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의 화합물을 활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베이트제를 사용하여 진드기를 방제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트제와 어박 (魚粕) 비료를 병용하는 진드기를 제거하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방제되는 진드기가 가루 진드기류인 진드기를 제거하는 방법.
KR1020127007979A 2009-10-21 2010-10-19 진드기 방제용 베이트제 Expired - Fee Related KR1013786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42399 2009-10-21
JPJP-P-2009-242399 2009-10-21
PCT/JP2010/068325 WO2011049065A1 (ja) 2009-10-21 2010-10-19 ダニ防除用ベイト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844A true KR20120062844A (ko) 2012-06-14
KR101378605B1 KR101378605B1 (ko) 2014-03-26

Family

ID=43900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7979A Expired - Fee Related KR101378605B1 (ko) 2009-10-21 2010-10-19 진드기 방제용 베이트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491786A4 (ko)
JP (1) JP5449387B2 (ko)
KR (1) KR101378605B1 (ko)
RU (1) RU2503180C2 (ko)
UA (1) UA104057C2 (ko)
WO (1) WO20110490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0932A1 (ja) * 2012-09-27 2014-04-03 日本農薬株式会社 ネダニ類の防除剤
US10285393B2 (en) 2014-10-24 2019-05-14 Red Band Traps, Llc Arthropod pest trapping device, system and method
WO2022234747A1 (ja) * 2021-05-07 2022-11-10 大日本除蟲菊株式会社 匍匐害虫誘引剤、匍匐害虫誘引方法、及び匍匐害虫捕獲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30609A (ja) * 1987-03-20 1988-09-27 Fumakiraa Kk 害虫駆除剤
GB9308868D0 (en) * 1993-04-29 1993-06-16 Mini Agriculture & Fisheries Bait and trap
JPH07138112A (ja) * 1993-11-18 1995-05-30 Dainippon Jochugiku Co Ltd 殺屋内塵性ダニ剤
ZA9711700B (en) * 1997-12-30 1998-08-26 Bayer Ag Locust control.
JP4288745B2 (ja) 1998-07-23 2009-07-01 住友化学株式会社 有害生物防除組成物
JP4214566B2 (ja) 1998-08-04 2009-01-28 住友化学株式会社 害虫駆除用水性ベイト剤
US6416752B1 (en) * 2001-01-04 2002-07-09 Whitmire Micro-Gen Research Laboratories, Inc. Termite bait composition and method
JP2003155203A (ja) * 2001-09-07 2003-05-27 Sumitomo Chem Co Ltd 有害生物防除剤組成物及び有害生物の防除方法
PT1483245E (pt) * 2002-03-05 2006-12-29 Merial Ltd Derivados de alquilaminopirazoles substituídos em 5 como pesticidas
EP1744627B1 (en) * 2004-05-10 2015-07-08 Nippon Soda Co., Ltd. Composition for control of cockroaches
DE102004054960A1 (de) * 2004-11-13 2006-05-18 Bayer Cropscience Ag Fliegen-Gelköder
AU2006214661A1 (en) * 2005-02-03 2006-08-24 Fmc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termites using liquid termiticides in a bait formulation
WO2006124507A1 (en) * 2005-05-16 2006-11-23 Fmc Corporation Composition for control of flies
US8030520B2 (en) 2008-03-31 2011-10-04 Saltigo Gmbh Process for preparing organic compounds by a transition metal-catalysed cross-coupling reaction of an aryl-X, heteroaryl-X, cycloalkenyl-X or alkenyl-X compound with an alkyl, alkenyl, cycloalkyl or cycloalkenyl hal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49387B2 (ja) 2014-03-19
EP2491786A4 (en) 2013-05-22
RU2503180C2 (ru) 2014-01-10
JPWO2011049065A1 (ja) 2013-03-14
WO2011049065A1 (ja) 2011-04-28
KR101378605B1 (ko) 2014-03-26
UA104057C2 (ru) 2013-12-25
EP2491786A1 (en) 2012-08-29
RU2012115548A (ru) 201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4746B1 (ko) 피라졸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유효성분으로하는 유해생물 방제제
JP3986085B2 (ja) 新規な5―アミノ―3―シアノ―4―エチルスルフィニル―1―フェニル―ピラゾール化合物及びその農薬としての使用
EA019843B1 (ru) Синергические смеси антраниламидных средств для борьбы с беспозвоночными вредителями
EA013410B1 (ru) Использование фенилсемикарбазонов для обработки семян
US20240196885A1 (en) Insect pest bait composition with isocyclosera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sect pests
JP2002529483A (ja) 昆虫を防除す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RU2077201C1 (ru) Производные 1-фенилимидазола, способ борьбы с вредителями сельского хозяйства и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естицидной обработки
KR101378605B1 (ko) 진드기 방제용 베이트제
JPS6324483B2 (ko)
KR100602814B1 (ko) 살충용 1-아릴피라졸
WO2001000027A1 (fr) Composition insecticide et procede visant a detruire les insectes
CN111296444A (zh) 一种含烯虫酯类化合物的杀虫组合物及其应用
CN109169688A (zh) 一种含杀虫环与甲氨基阿维菌素苯甲酸盐的杀虫组合物及其用途
JP4742333B2 (ja) N−チアジアゾリルシクロプロパンカルボン酸アミド類およびこれを有効成分とする殺虫、殺ダニ剤
EA009644B1 (ru) Производные 1-арил-3-амидоксимпиразола, способы их получения, пестицидная композиция на их основе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для борьбы с вредителями
JP5093947B2 (ja) シロアリ嗜好物
JPS6372610A (ja) 農業用殺虫殺菌組成物
JP4640538B2 (ja) ピリダジノン類およびこれを有効成分とする有害生物防除剤
JP5337831B2 (ja) 農園芸上有害な害虫の防除用組成物及び農園芸上有害な害虫の防除方法
JPH07173013A (ja) 昆虫防除剤
JPS63162608A (ja) 有害腹足類の駆除剤
JPS63230609A (ja) 害虫駆除剤
JPS602282B2 (ja) 有害動物駆除剤
JPS62164605A (ja) 膜翅目蟻類防除剤
Keener Effects of direct application of selected pesticides upon honey bee colon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3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