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16477A - 전사벨트 구동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전사벨트 구동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6477A
KR20120016477A KR1020100078857A KR20100078857A KR20120016477A KR 20120016477 A KR20120016477 A KR 20120016477A KR 1020100078857 A KR1020100078857 A KR 1020100078857A KR 20100078857 A KR20100078857 A KR 20100078857A KR 20120016477 A KR20120016477 A KR 20120016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belt
roller
encoder
encoder wheel
idle roll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8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8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6477A/ko
Priority to US13/064,441 priority patent/US8494422B2/en
Priority to EP11163900A priority patent/EP2420896A1/en
Priority to CN201110233901.1A priority patent/CN102375382A/zh
Priority to JP2011177996A priority patent/JP2012042958A/ja
Publication of KR20120016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6477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relating to the driving mechanism for the intermediate support, e.g. gears, couplings, belt tensio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31Details of unit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5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characterised by the technical problem
    • G03G2215/0158Colour regist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전사벨트 구동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전사벨트 구동제어장치는 전사벨트의 내측에 소정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롤러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전사벨트에 감겨서 회전되는 아이들롤러, 아이들롤러와 함께 회전되는 엔코더휠, 엔코더휠의 회전정보를 검지하는 엔코더와, 엔코더가 측정한 엔코더휠의 회전정보를 바탕으로, 지지롤러를 구동하는 구동원을 피드백 제어하여 전사벨트의 선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전사벨트 구동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Transferbelt driving controll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사벨트구동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사벨트의 속도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구동모터를 피드백하여 전사벨트의 속도의 등속주행을 제어하는 전사벨트구동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원하는 화상에 대응하는 디지털화상신호를 받아 레이저스캐닝유닛(LSU)과 같은 노광유닛에 의하여 감광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을 토너를 이용하여 토너화상으로 현상하고, 이 토너화상을 기록매체에 전사시키고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기록매체에 융착시킴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싱글패스방식(single pass type) 칼라화상형성장치는 일반적으로 4개의 감광드럼과 4개의 감광드럼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4개의 노광기와, 4개의 감광드럼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각각 블랙(K),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색상의 토너를 공급하여 현상시키는 4개의 현상기를 구비한다. 4개의 감광드럼은 중간전사벨트에 접촉된다. 4개의 감광드럼에 현상된 블랙(K), 시안(C), 마젠타(M) 및 옐로우(Y)토너화상을 중간전사벨트에 중첩 전사하여 칼라토너화상을 형성한다. 칼라토너화상을 용지로 전사 및 정착시킴으로써 원하는 칼라화상이 인쇄된다.
칼라화상형성장치에서, 화상이 종이에 전사되기 전에 일시적으로 전사벨트표면에서 화상이 형성되기 때문에, 전사벨트의 선속도변동은 인쇄물의 화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중요한 인자이다. 이러한 전사벨트의 선속도변동을 일으키는 요인으로는 구동원에서 구동롤러로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구동요소이다. 이처럼 전사벨트의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롤러와 연결된 최종단 기어의 정밀도와, 전사벨트와 접촉된 감광드럼등의 불규칙한 부하들은 전사벨트의 선속도변동을 유발하여 화상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관련부품들의 정밀도를 유지 및 관리하는 것은 너무 어렵다.
따라서, 전사벨트의 선속도변동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구동원을 피드백하여 전사벨트의 선속도변동을 최소화함으로써 칼라미스레지스트레이션(color mis-registration)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전사벨트의 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이를 근거로 구동원을 피드백하여 전사벨트의 선속도변동을 최소화함으로써 화상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전사벨트 구동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사벨트 구동제어장치는
전사벨트의 내측에 소정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롤러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전사벨트에 감겨서 회전되는 아이들롤러;
아이들롤러와 함께 회전되는 엔코더휠;
엔코더휠의 회전정보를 검지하는 엔코더와;
엔코더가 측정한 상기 엔코더휠의 회전정보를 바탕으로, 지지롤러를 구동하는 구동원을 피드백 제어하여 전사벨트의 선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아이들롤러와 엔코더휠은 일체로 형성되며, 회전축이 통과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홀의 직경은 회전축의 직경보다 크다.
복수의 지지롤러의 직경은 동일하다.
복수의 지지롤러 중 어느 하나는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롤러이고, 다른 하나는 전사벨트에 감겨서 회전되는 종동롤러이다.
아이들롤러의 일측면에는 상기 지지롤러와의 접촉면을 줄이기 위한 돌기부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서로 다른 색상의 토너화상이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감광체:
복수의 감광체와 대면되어 순환주행하면서 서로 다른 색상의 토너화상이 중첩되어 칼라화상이 형성되는 전사벨트:
전사벨트의 내측에 소정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복수의 롤러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사벨트에 감겨서 회전되는 아이들롤러;
아이들롤러와 함께 회전되는 엔코더휠;
엔코더휠의 회전정보를 검지하는 엔코더와;
엔코더가 측정한 상기 엔코더휠의 회전정보를 바탕으로, 지지롤러를 구동하는 구동원을 피드백 제어하여 전사벨트의 선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전사벨트 구동제어장치:와
칼라화상을 용지에 융착시키는 정착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인 전사벨트 구동제어장치는
첫째, 전사벨트의 속도변동을 정확하게 추종하여 속도변동에러를 개선함으로써 정확한 칼라화상의 레지스트레이션을 이룰수 있다.
둘째, 아이들롤러가 지지롤러의 회전축에 설치됨으로써 지지롤러의 측면을 활용함으로써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셋째, 직경이 같은 두 개의 지지롤러를 설치하여 전사벨트와의 접촉각을 크게 함으로써 이들 사이의 미끄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사벨트 구동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사벨트 구동제어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아이들롤러와 회전축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이들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아이들롤러와 구동롤러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사벨트 구동제어장치의 속도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사벨트 구동제어장치를 이용하여 피드백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현상유닛 111---현상롤러
120---노광유닛 121---대전롤러
130---감광체 140---전사벨트
141---1차 전사롤러 151,157---지지롤러
152,252---회전축 155---구동원
160---전사벨트 구동제어장치 161,261---아이들롤러
161a,261a---관통홀 162,262---연결부
163,263---엔코더 휠 163a,263a---홀
164,264---엔코더 165---제어부
264---돌기부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아래에 예시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을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충분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상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100)는 기록매체반송유닛, 현상유닛(110), 노광유닛(120), 감광체(130), 전사벨트(140), 정착유닛(180)를 구비한다.
기록매체반송유닛은 최종적으로 화상이 형성되는 기록매체를 수용함과 동시에 기록매체를 기록매체 반송로 상으로 반송하는 것으로, 복수의 기록매체를 수용하는 카세트(102)와, 카세트(102)의 상측에서 회전되면서 기록매체를 낱장 씩 픽업하는 픽업롤러(103), 픽업롤러(103)에 의하여 픽업된 기록매체를 칼라화상이 전사되는 영역으로 이송하는 반송롤러(104)를 구비한다.
현상장치(110)는 감광체(130)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토너화상으로 현상하는 것으로, 감광체(130)와 접촉되면서 회전되면서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롤러(111)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컬러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마젠타(Magenta), 옐로우(Yellow), 시안(Cyan), 블랙(Black)의 각 색에 대응하는 토너를 공급할 수 있는 4개의 현상장치를 구비한다.
노광유닛(120)은 대전롤러(121)에 의하여 소정전위로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체(130)의 표면을 형성하고자 하는 화상에 따라 노광한다. 이에 의하여 감광체(130)의 표면 중에서 노광유닛(120)에 의해 노광된 부분의 전위가 변화하여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감광체(130)는 그 외주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OPC(Organic Photo Conductor)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컬러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마젠타(Magenta), 옐로우(Yellow), 시안(Cyan), 블랙(Black)의 각 색에 대응하는 4개의 감광체(130)가 전사벨트(140)의 회전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감광체(130)의 설치순서는 임의적이다.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감광체(130)의 표면에 묻어 있는 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블레이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전사벨트(140)는 구동롤러(151)와 종동롤러(157)에 의해 지지되어 순환 회전되는 두께 100㎛ 정도의 얇은 무단형상의 벨트이다. 전사벨트(140)에는 복수의 감광체(130)로부터 전사된 마젠타(Magenta), 옐로우(Yellow), 시안(Cyan), 블랙(Black)의 각 색의 토너화상이 중첩되어 칼라화상을 형성된다. 전사벨트(140)의 내측에는 복수의 감광체(130)에 각각 대접하여 그 사이에 전사벨트(140)를 지지하는 복수의 1차 전사롤러(141)가 설치되어 있다. 전사벨트(140)의 외측에는 종동롤러(157)와 대접하여 그 사이에 전사벨트(140)를 지지하여, 전사벨트(140)에 형성된 칼라화상을 기록매체에 전사하는 2차 전사롤러(170)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사벨트(140)에 부착한 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클리닝 유닛은 감광체(130)상에 형성된 토너상이 전사벨트(140)에 1차 전사된 후에 감광체(130)상에 잔존하는 토너를 회수한다. 클리닝 유닛은 예를 들면 클리닝 블레이드를 설치하고, 감광체(130)의 외주면에 클리닝블레이드를 접촉시킴으로써 감광체(130)상의 잔존토너를 얇게 도려내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감광체(130)의 둘레 상에는 감광체(130)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클리닝유닛과 대전 롤러(121)의 사이에 감광체(130)의 전위를 리셋(reset)하는 제전 램프(미도시)를 배치할 수 있다.
정착유닛(180)은 전사벨트(140)로부터 기록매체로 2차 전사된 토너상을 기록매체에 부착시켜 정착시킨다. 정착유닛(180)은 가열롤러(181)와 가압롤러(182)로 구성된다. 가열롤러(181)는 회전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원통형상의 부재이고, 그 내부에는 예를 들면 할로겐 램프(미도시)등의 열원이 설치되어 있다. 가압롤러(182)는 회전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원통형상의 부재이고, 가열롤러(181)를 가압하도록 설치된다. 가열롤러(181) 및 가압롤러(182)의 외주면에는 실리콘 고무 등의 내열 탄성층이 설치될 수 있다. 가열롤러(181)와 가압롤러(182)의 접촉영역인 정착 닙부에 기록매체를 통과시킴으로써 토너상을 기록매체에 용융 정착시킨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0)는 정착유닛(180)에 의해 토너상이 정착된 기록매체를 장치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롤러(190)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가 동작되면, 피기록 화상의 화상신호가 제어부(미도시)로 송신된다. 그런 다음, 제어부는 수신한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대전 롤러(121)에 의해 감광체(130)의 표면을 소정의 전위에 균일하게 대전시킨 후, 노광유닛(120)에 의해 감광체(130)의 표면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한편, 현상유닛(110)에서는 토너를 충분히 대전시킨 후, 현상롤러(111)에 부착시킨다. 그리고, 현상롤러(111)의 회전에 의해 토너가 감광체(130)과 대향하는 영역까지 반송되면, 현상롤러(111)에 부착된 토너가 감광체(130)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이동하여 정전잠상을 현상한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토너상은 감광체(130)과 전사벨트(140)가 대향하는 영역에 있어서 감광체(130)로부터 전사 벨트(140)로 1차 전사된다. 전사벨트(140)에는 4개의 감광체(130) 상에 형성된 토너상이 차례대로 적층되어, 하나의 적층된 칼라화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칼라화상은 종동롤러(157)와 2차 전사롤러(170)가 접촉하는 영역에 있어서 기록매체 반송유닛으로부터 반송된 기록매체로 2차 전사된다. 칼라화상이 2차 전사된 기록매체는 정착유닛(180)으로 반송된다. 기록매체를 가열 롤러(181)와 가압 롤러(182)사이에서 열 및 압력이 가하면서 통과시킴으로써, 칼라화상이 기록매체에 용융 정착한다. 그 후, 기록매체는 배출 롤러(190)에 의해 화상형성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전사벨트(140)는 클리닝 유닛을 구비하는 경우, 칼라화상이 기록매체에 2차 전사된 후 전사벨트(140)에 잔존하는 토너가 클리닝 유닛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사벨트 구동제어장치의 구성과 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사벨트 구동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전사벨트 구동제어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는 아이들롤러와 회전축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전사벨트의 선속도변동은 인쇄물의 화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중요한 인자이다. 전사벨트의 선속도변동을 일으키는 주요한 요인은 구동원에서 전사벨트를 지지하는 구동롤러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구동요소이다. 이처럼 전사벨트의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롤러와 연결된 최종단 기어의 정밀도와, 전사벨트와 접촉된 감광드럼 등의 불규칙한 부하들은 전사벨트의 선속도변동을 유발하여 화상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전사벨트 구동제어장치(16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전사벨트의 선속도변동을 감소시켜 전사벨트(140)의 선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전사벨트(140)상에 형성되는 칼라화상의 레지스트레이션(Registration)을 유지하기 위한 장치로, 아이들롤러(161), 엔코더휠(163), 엔코더(164) 및 제어부(165)로 이루어진다.
아이들롤러(161)는 지지롤러(151)의 회전축(152)상에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들롤러(161)에는 관통홀(161a)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홀(161a)에 지지롤러(151)의 회전축(152)이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아이들롤러(161)의 관통홀(161a)의 직경은 지지롤러(151)의 회전축(152)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어, 회전축(152)의 회전이 아이들롤러(161)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관통홀(161a)과 회전축(152)의 사이에 윤활유를 부가하여 이들 사이에 미끄럼이 원활하게 일어나도록 할 수 있으며, 별도의 베어링(볼베어링)을 설치할 수도 있다.
아이들롤러(161)는 일측면이 지지롤러(151)의 일측면에 접촉하며, 그 외주면 일부를 전사벨트(140)가 감싸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전사벨트(140)가 회전되면서 아이들롤러(161)도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즉, 아이들롤러(161)의 일측면이 지지롤러(151)의 일측면에 밀착되어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 전사벨트(140)의 회전력에 의하여 아이들롤러(161)는 회전된다.
전사벨트(140)와 지지롤러(151)(157) 또는 아이들롤러(161)사이에 미끄럼이 발생하지 않은 조건은 하기의 아이텔바인식(Eytelwein equation)을 이용하여 최적화 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Tt는 긴장측 장력(tight side tension)
Ts는 이완측 장력(slack side tension)
V는 벨트속도로서 10m/s이상일 때 벨트질량에 대한 원심력을 고려.
M은 벨트의 단위길이당 질량
Θ는 벨트와 풀리가 접촉한 원호길이가 풀리의 중심에 대하여 이루는 감긴각 단위는 [rad]
μ는 마찰계수
mv2는 벨트의 질량에 의하여 생기는 단위길이 당 원심력이며 원심장력 또는 부가장력이라고도 한다.
e 는 2.718이다.
원심력을 무시할 수 있는 속도일 때 위 관계식에서 미끄럼 조건은 감긴각과 비례함을 알 수 있다. 만약, 마찰계수를 0.8로 가정할 때, 감긴각이 0이면 eμΘ 는 1이고, 감긴각이 90도이면 eμΘ 는 3.514이고, 감긴각이 180도이면 eμΘ 는 12.345로 회전력이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사벨트(140)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롤러(151)(157)의 직경은 서로 동일하게 구성하고, 전사벨트(140)와의 접촉각은 최대 180도를 유지한다. 아울러, 아이들롤러(161)의 직경과 지지롤러(151)의 직경은 서로 동일하게 구성한다.
전사벨트(140)와 아이들롤러(151)와의 슬립(slip)을 무시한다면, 전사벨트(140)의 선속도는 아이들롤러(151)의 각속도와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아이들롤러(151)의 각속도를 측정한다면 전사벨트(140)의 선속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되며, 그 선속도변동을 검지할 수 있다.
아이들롤러(161)는 복수의 지지롤러(151)(157)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하나는 구동원(155)으로부터 전달기어들(153)(154)의 치합(齒合)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구동롤러(driving roller)일 수 있고, 나머지 하나는 전사벨트(140)에 감겨서 회전되는 종동롤러(driven roller)일 수 있다.
엔코더 휠(163)은 연결부(162)에 의해서 아이들롤러(161)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아이들롤러(161)가 회전되면 엔코더 휠(163)도 같이 회전되므로, 엔코더 휠(163)의 각속도는 아이들롤러(161)의 각속도와 동일하다. 도 4에 도시된 관통홀(161a)은 아이들롤러(161), 연결부(162) 및 엔코더 휠(163)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엔코더(164)는 엔코더 휠(163)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여, 이들 사이를 회전하는 엔코더 휠(63)의 각속도를 측정한다. 이를 위하여, 엔코더 휠(164)에는 광이 통과할 수 있는 홀(163a)이 형성된다.
엔코더 휠(163)과 엔코더(164)는 아이들롤러(161)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아이들롤러의 각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도면들에 개시된 엔코더 휠과 엔코더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변용례가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165)는 엔코더(164)가 측정한 엔코더 휠(163)의 회전정보를 바탕으로, 구동원(155)를 피드백하여 지지롤러(151)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지지롤러(151)에 감겨진 전사벨트(140)의 선속도를 제어한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이들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아이들롤러와 구동롤러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아이들롤러(261)와 엔코더 휠(263)은 연결부(262)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며, 아이들롤러(261), 연결부(262) 및 엔코더 휠(263)을 관통하도록 관통홀(261a)이 형성되어 있다. 아이들롤러(261)의 일측면(지지롤러(251)에 대면하면 면)에는 원형상의 돌기부(264)가 관통홀(261a)의 주위에 마련되어 있다. 관통홀(261a)의 직경은 회전축(25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엔코더 휠(263a)에는 엔코더(도2의 164)의 광이 통과할 수 있는 홀(263a)이 형성된다.
아이들롤러(261)를 지지롤러(251)의 회전축(252)에 끼워서 설치하면, 돌기부(264)가 지지롤러(251)의 일측면(251a)에 접촉한다. 전사벨트(240)는 지지롤러(251)와 아이들롤러(261)의 일부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아이들롤러(261)의 일측면에 돌기부(264)를 형성함으로써, 아이들롤러(261)와 지지롤러(251)의 접촉면이 줄어들게 되어, 아이드롤러(261)는 지지롤러(251)의 회전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또한, 아이들롤러(261)는 회전축(251)의 회전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아이들롤러(261)는 전사벨트(240)의 회전에 의해서만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의 형상의 도 5 및 6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지지롤러(251)와의 접촉면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변용례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복수의 돌기부를 관통홀(261a)의 주위에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사벨트 구동제어장치의 속도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사벨트 구동제어장치를 이용하여 피드백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굵은 실선으로 표시된 것은 LDV(Laser Doppler Velocimeter)를 이용하여 전사벨트의 시간에 따른 속도변동을 표시한 그래프이고, 가는 실선으로 표시된 것은 엔코더가 엔코더휠의 시간에 따른 속도변동을 표시한 그래프이다.
두 그래프를 비교하여 보면, 전사벨트와 아이들롤러의 미끄럼등으로 인하여일부구간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전체적으로 유사한 그래프형상을 유지하고 있는 볼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의 엔코더 휠의 속도변동이 전사벨트의 속도변동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굵은 실선으로 표시된 것은 LDV를 이용하여 전사벨트의 시간에 따른 속도변동을 피드백한 결과를 표시한 그래프이고, 가는 실선으로 표시된 것은 엔코더가 엔코더휠의 시간에 따른 속도변동을 피드백한 결과를 표시한 그래프이다.
두 그래프를 비교하면, 피드백 결과 속도변동폭이 도 7와 비교하여 거의 줄어들어 들었습니다. 그리고, 양 그래프의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거의 유사한 그래프형상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본원의 전사벨트 구동제어장치는 전사벨트의 속도변동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피드백 제어시 전사벨트의 선속을 정확하게 제어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인 전사벨트 구동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전사벨트의 내측에 소정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롤러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전사벨트에 감겨서 회전되는 아이들롤러;
    상기 아이들롤러와 함께 회전되는 엔코더휠;
    상기 엔코더휠의 회전정보를 검지하는 엔코더와;
    상기 엔코더가 측정한 상기 엔코더휠의 회전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지지롤러를 구동하는 구동원을 피드백 제어하여 상기 전사벨트의 선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전사벨트 구동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롤러와 엔코더휠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이 통과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전사벨트 구동제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직경은 상기 회전축의 직경보다 큰 전사벨트 구동제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롤러의 직경은 동일한 전사벨트 구동제어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롤러 중 어느 하나는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롤러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전사벨트에 감겨서 회전되는 종동롤러인 전사벨트 구동제어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롤러의 일측면에는 상기 지지롤러와의 접촉면을 줄이기 위한 돌기부가 마련된 전사벨트 구동제어장치.
  7. 서로 다른 색상의 토너화상이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감광체:
    상기 복수의 감광체와 대면되어 순환주행하면서 서로 다른 색상의 토너화상이 중첩되어 칼라화상이 형성되는 전사벨트:
    상기 전사벨트의 내측에 소정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복수의 롤러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전사벨트에 감겨서 회전되는 아이들롤러;
    상기 아이들롤러와 함께 회전되는 엔코더휠;
    상기 엔코더휠의 회전정보를 검지하는 엔코더와;
    상기 엔코더가 측정한 상기 엔코더휠의 회전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지지롤러를 구동하는 구동원을 피드백 제어하여 상기 전사벨트의 선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전사벨트 구동제어장치:와
    칼라화상을 용지에 융착시키는 정착유닛:을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롤러와 엔코더휠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이 통과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직경은 상기 회전축의 직경보다 큰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롤러의 직경은 동일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롤러 중 어느 하나는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롤러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전사벨트에 감겨서 회전되는 종동롤러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2. 제 7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롤러의 일측면에는 상기 지지롤러와의 접촉면을 줄이기 위한 돌기부가 마련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20100078857A 2010-08-16 2010-08-16 전사벨트 구동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Withdrawn KR20120016477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857A KR20120016477A (ko) 2010-08-16 2010-08-16 전사벨트 구동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13/064,441 US8494422B2 (en) 2010-08-16 2011-03-24 Transfer belt driving controll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EP11163900A EP2420896A1 (en) 2010-08-16 2011-04-27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transfer belt driving controller
CN201110233901.1A CN102375382A (zh) 2010-08-16 2011-08-16 具有转印带驱动控制器的电子照相图像形成装置
JP2011177996A JP2012042958A (ja) 2010-08-16 2011-08-16 電子写真方式の画像形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857A KR20120016477A (ko) 2010-08-16 2010-08-16 전사벨트 구동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477A true KR20120016477A (ko) 2012-02-24

Family

ID=44799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8857A Withdrawn KR20120016477A (ko) 2010-08-16 2010-08-16 전사벨트 구동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94422B2 (ko)
EP (1) EP2420896A1 (ko)
JP (1) JP2012042958A (ko)
KR (1) KR20120016477A (ko)
CN (1) CN1023753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39246A1 (zh) * 2013-03-13 2014-09-18 辽宁超烁图码科技板业有限公司 改进的多色花纹辊涂彩钢板的生产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11562B2 (ja) * 2010-05-31 2013-01-0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カム駆動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ベルト搬送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WO2020122956A1 (en) 2018-12-14 2020-06-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ssisted print medium receip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0507B2 (en) * 2001-10-22 2003-07-29 Xerox Corporation Photoreceptor belt tracking apparatus employing an actuated edge guide system and low lateral force rollers
JP3677506B2 (ja) 2002-08-07 2005-08-03 株式会社リコー ベルト駆動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ベルト装置、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4568051B2 (ja) * 2003-09-18 2010-10-2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7277667B2 (en) * 2004-11-04 2007-10-02 Ricoh Company, Ltd. Endless belt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device
JP4496154B2 (ja) * 2005-10-31 2010-07-07 株式会社リコー ロータリーエンコーダ、ローラ部材、ベルト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
JP4945485B2 (ja) 2007-05-25 2012-06-0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9008741A (ja) * 2007-06-26 2009-01-15 Ricoh Co Ltd 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0133990A (ja) * 2007-12-11 2010-06-17 Ricoh Co Ltd 回転部材の駆動制御装置と駆動制御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5107011B2 (ja) * 2007-12-12 2012-12-26 株式会社リコー 駆動制御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39246A1 (zh) * 2013-03-13 2014-09-18 辽宁超烁图码科技板业有限公司 改进的多色花纹辊涂彩钢板的生产方法
US9545786B2 (en) 2013-03-13 2017-01-17 Liaoning Chaoshuo Toma Technology Steel Plate Printing Co., Ltd. Advanced method for producing a roller-coating color steel plate with multicolored patter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39640A1 (en) 2012-02-16
JP2012042958A (ja) 2012-03-01
EP2420896A1 (en) 2012-02-22
US8494422B2 (en) 2013-07-23
CN102375382A (zh) 201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58211B2 (ja) 画像形成装置
US765720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n auxiliary driving means which transmits a restricted driving force to an image bearing member
JP2011180284A (ja) 画像形成装置
US8320791B2 (en) Intermediate transfer belt, a conveyance belt member,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JP2018092040A (ja) ベルト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0003642A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891390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endless belt tension detection
JP5397592B2 (ja) 画像形成装置
KR20120016477A (ko) 전사벨트 구동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5266776B2 (ja) ベルト寄り補正装置並びにベルト装置、画像形成装置
JP5371621B2 (ja) 駆動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729176B2 (ja) トルク検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85702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4187413A (ja) 駆動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ベルト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読み取り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4999076B2 (ja) ベルト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238750B2 (ja) ベル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80058261A (ko) 화상 형성 장치
JP2000255821A (ja) 無端ベルト、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13218226A (ja) ベルト駆動装置、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704762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168891A (ja) 転写ベルト装置、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8106790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れに備わる駆動装置
JPH1025425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3263005A (ja) タンデム型カラー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像担持体間の距離の設定方法
JP2011022174A (ja) 駆動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