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136092A - 윈도우 패널 구조체 및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패널 - Google Patents

윈도우 패널 구조체 및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6092A
KR20110136092A KR1020100055877A KR20100055877A KR20110136092A KR 20110136092 A KR20110136092 A KR 20110136092A KR 1020100055877 A KR1020100055877 A KR 1020100055877A KR 20100055877 A KR20100055877 A KR 20100055877A KR 20110136092 A KR20110136092 A KR 20110136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panel
design layer
capacitive sensor
substrate
film substr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5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4094B1 (ko
Inventor
한정훈
Original Assignee
일진디스플레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진디스플레이(주) filed Critical 일진디스플레이(주)
Priority to KR1020100055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094B1/ko
Priority to CN201180029094.XA priority patent/CN102971694B/zh
Priority to PCT/KR2011/004336 priority patent/WO2011159082A2/ko
Priority to TW100120774A priority patent/TW201207712A/zh
Publication of KR20110136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6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09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Abstract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패널은, 윈도우 패널, 정전용량 센서, 상기 윈도우 패널의 가장자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정전용량 센서 위에 형성되는 디자인층, 그리고 상기 디자인층과 상기 정전용량 센서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디자인층과 상기 정전용량 센서를 상기 윈도우 패널의 하면에 부착하는 투명 접착제층을 포함한다. 디자인층이 윈도우 패널의 하면에 직접 형성되지 않고 정전용량 센서에 형성되어 윈도우 패널에 부착되거나 별도의 기판에 형성되어 윈도우 패널에 부착됨으로써, 디자인층이 잘못 형성되는 경우에도 윈도우 패널을 폐기해야 하는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또한 디자인층을 별도의 기판에 형성하여 글라스 기판에 부착하는 경우 글라스에서 구현하지 못하는 패턴을 별도의 기판에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다양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윈도우 패널 구조체 및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패널{Capacitive touch panel of integrated window panel type}
본 발명은 윈도우 패널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패널 일체형의 정전용량 터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패널은 윈도우를 형성하는 윈도우 패널에 정전용량 센서를 형성하여 구성되며, 예를 들어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패널은 필름이나 글라스 기판에 정전용량 센서를 형성한 후 이를 윈도우 패널의 하면 부착하여 제조되거나 윈도우 패널의 하면에 정전용량 센서를 직접 형성하여 제조될 수 있다.
윈도우 패널은 강화 글라스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윈도우 패널이 강화 글라스로 형성되는 경우 비산 방지 역할을 할 수 있는 필름 또는 점착제의 부착이 필요하며 강화 글라스 재질의 윈도우 패널의 경우 디자인 형상에 따라 셀 단위로 강화 글라스를 제작한 후 셀 단위로 윈도우를 형성하는 디자인층을 증착하거나 인쇄하게 된다.
셀 단위로 디자인층을 인쇄하거나 증착해야 하므로 취급성이 나빠 수율이 낮으며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인쇄 작업 시 불량이 발생할 경우 고가의 강화 글라스를 폐기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윈도우 패널의 하면에 디자인층을 형성하는 경우 야기될 수 있는 윈도우 패널의 폐기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윈도우 패널 일체형의 정전용량 터치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패널은, 윈도우 패널, 정전용량 센서, 상기 윈도우 패널의 가장자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정전용량 센서 위에 형성되는 디자인층, 그리고 상기 디자인층과 상기 정전용량 센서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디자인층과 상기 정전용량 센서를 상기 윈도우 패널의 하면에 부착하는 투명 접착제층을 포함한다.
상기 정전용량 센서는 정전용량 센서 기판, 그리고 상기 정전용량 센서 기판 위에 형성되는 도전성 막과 회로 배선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디자인층은 상기 도전성 막 및 회로 배선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전용량 센서는 정전용량 센서 기판, 상기 정전용량 센서 기판 위에 형성되는 도전성 막과 회로 배선, 그리고 상기 도전성 막과 회로 배선 위에 형성되는 투명 평탄화막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디자인층은 상기 투명 평탄화막 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패널 일체형 터치 패널은, 윈도우 패널, 상기 윈도우 패널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1 기판, 상기 윈도우 패널의 가장자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 기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디자인층,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디자인층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디자인층을 상기 윈도우 패널의 하면에 부착하는 제1 투명 접착제층, 상기 제1 기판의 아래에 배치되는 정전용량 센서, 상기 정전용량 센서를 상기 제1 기판의 하면에 부착하는 제2 투명 접착제층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패널 구조체는, 윈도우 패널, 필름 기판, 상기 윈도우 패널의 가장자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필름 기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디자인층, 그리고 상기 필름 기판과 상기 디자인층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필름 기판과 상기 디자인층을 상기 윈도우 패널의 하면에 부착하는 투명 접착제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패널 일체형의 정전용량 터치 패널은, 윈도우 패널, 필름 기판, 상기 윈도우 패널의 가장자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필름 기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디자인층, 상기 필름 기판과 상기 디자인층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필름 기판과 상기 디자인층을 상기 윈도우 패널의 하면에 부착하는 투명 접착제층, 그리고 상기 필름 기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정전용량 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패널 구조체는, 윈도우 패널, 필름 기판, 상기 윈도우 패널의 가장자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필름 기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디자인층, 그리고 상기 필름 기판과 상기 디자인층의 하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필름 기판과 상기 디자인층을 상기 윈도우 패널의 상면에 부착하는 투명 접착제층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패널 일체형의 정전용량 터치 패널은, 윈도우 패널, 필름 기판, 상기 윈도우 패널의 가장자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필름 기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디자인층, 상기 필름 기판과 상기 디자인층의 하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필름 기판과 상기 디자인층을 상기 윈도우 패널의 상면에 부착하는 투명 접착제층, 그리고 상기 윈도우 패널의 하면 또는 상면에 형성되는 정전용량 센서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패널 일체형의 정전용량 터치 패널은, 윈도우 패널, 필름 기판, 상기 윈도우 패널의 가장자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필름 기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디자인층, 상기 윈도우 패널의 상면에 형성되는 정전용량 센서, 그리고 상기 필름 기판과 상기 디자인층의 하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필름 기판과 상기 디자인층을 상기 정전용량 센서의 상면에 부착하는 투명 접착제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자인층이 윈도우 패널의 하면에 직접 형성되지 않고 정전용량 센서에 형성되어 윈도우 패널에 부착되거나 별도의 기판에 형성되어 윈도우 패널에 부착됨으로써, 디자인층이 잘못 형성되는 경우에도 윈도우 패널을 폐기해야 하는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또한 디자인층을 별도의 기판에 형성하여 글라스 기판에 부착하는 경우 글라스에서 구현하지 못하는 패턴을 별도의 기판에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다양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패널이 적용된 정보통신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패널 일체형의 정전용량 터치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패널 일체형의 정전용량 터치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패널 일체형의 정전용량 터치 패널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이나 막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아래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또는 “바로 아래에”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또는 “바로 아래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패널(100)은 휴대폰, PDA 등과 같은 정보통신기기(10)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패널(100)은 윈도우 패널(110)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윈도우 패널(110)은 대략 사각형 플레이트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광 투과성을 가지는 유리나 아크릴과 같은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 터치 패널을 제외한 정보통신기기의 나머지 부분은 생략되었다.
예를 들어, 윈도우 패널(110)은 강화 유리 또는 아크릴, PMMA, PC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디자인층(120)은 정전용량 센서(130) 위에 형성되며, 디자인층(120)과 정전용량 센서(130)가 투명 접착제층(140)에 의해 윈도우 패널(110)의 하면에 부착된다.
그리고 정전용량 센서(130)가 윈도우 패널(110) 아래에 배치되는데, 정전용량 센서(130)는 종래에 알려진 구조의 정전용량 센서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전용량 센서(130)는 투명한 도전성 막(131)과 도전성의 회로 배선(133)을 구비할 수 있다. 도전성 막(131)은 종래에 알려진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회로 배선(133)은 도전성 막(131)의 외측과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회로 배선(133)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FPC(flexible printed circuit)(135)가 회로 배선(133)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막(131)과 회로 배선(133)은 유리 또는 PET 필름 등으로 형성되는 정전용량 센서 기판(137) 위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도전성 막(131)은 인듐주석산화물(ITO, indume tin oxide), 인듐아연산화물(IZO, indume zinc oxide), 아연산화물(ZnO) 등을 정전용량 센서 기판(137) 위에 스퍼터링하거나 증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회로 배선(133)은 도전성 잉크를 실크 스크린 인쇄 방식으로 인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자인층(120)은 정전용량 센서(130)의 도전성 막(131)과 회로 배선(133)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전용량 센서(130)에 디자인층(120)이 형성된 후 정전용량 센서(130)와 디자인층(120)이 투명 접착제층(140)에 의해 윈도우 패널(110)의 하면에 부착되는 것이다.
디자인층(120)은 윈도우 패널(110)의 가장자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자인층(120)은 윈도우 패널(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폭을 가지는 사각형 띠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디자인층(120)은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비전도성의 불투명 재질을 실크 스크린 등의 방법으로 인쇄하거나 증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패널 일체형의 정전용량 터치 패널의 단면도이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정전용량 센서(130)가 투명 평탄화막(139)을 더 포함하며, 디자인층(120)은 투명 평탄화막(139) 위에 형성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용량 센서(130)의 도전성 막(131)과 회로 배선(133)을 덮는 투명 평탄화막(139)이 형성되고, 디자인층(120)이 투명 평탄화막(139)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예를 들어, 투명 평탄화막(139)은 전기 절연성의 투명한 합성수지 등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정전용량 센서(130)를 구성하는 도전성 막(131)과 회로 배선(133) 위에 투명 평탄화막(139)이 형성되고 그 위에 디자인층(120)이 형성됨으로써, 도전성 막(131) 및 회로 배선(133)에 의해 생길 수 있는 단차가 제거된 상태에서 디자인층(120)이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패널에 대해서 설명한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자인층(120)이 제1 기판(150) 위에 형성되고, 디자인층(120)과 제1 기판(150)이 제1 투명 접착제층(240)에 의해 윈도우 패널(110)의 하면에 부착되고, 정전용량 센서(130)가 제2 투명 접착제층(340)에 의해 제1 기판(150)의 하면에 접착된다.
예를 들어, 제1 투명 접착제층(240)과 제2 투명 접착제층(340)은 광학용 투명 접착제(optically clear adhesive, OCA)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자인층(120)이 제1 기판(150)의 상면에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후, 제1 투명 접착제층(240)이 디자인층(120)과 제1 기판(150)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된 상태에서 윈도우 패널(110)의 하면에 접착된다.
예를 들어, 제1 기판(150)은 PET, 유리 또는 아크릴, PMMA, PC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패널 구조체와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패널 일체형의 정전용량 터치 패널에 대해서 설명한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패널 구조체는 윈도우 패널(110)을 포함한다.
한편, 필름 기판(170)이 윈도우 패널(110)의 아래에 배치되며, 디자인층(120)이 윈도우 패널(110)의 가장자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도록 필름 기판(170)의 상면에 형성된다. 필름 기판(170)은 유리 또는 PET와 같은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투명 접착제층(440)이 필름 기판(170)과 디자인층(120)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되며, 투명 접착제층(440)에 의해 필름 기판(170)과 디자인층(120)이 윈도우 패널(110)의 하면에 부착된다.
그리고,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패널 일체형의 정전용량 터치 패널은 도 8의 윈도우 패널 구조체의 필름 기판(170)의 하면에 정전용량 센서(130)가 형성된다. 정전용량 센서(13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전성 막(131)과 회로 배선(133)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도 10을 참조하면, 필름 기판(270)이 윈도우 패널(110)의 위에 배치되며, 디자인층(120)이 윈도우 패널(110)의 가장자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도록 필름 기판(270)의 하면에 형성된다. 필름 기판(270)은 유리 또는 PET와 같은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투명 접착제층(540)이 필름 기판(270)과 디자인층(120)의 하면을 덮도록 형성되며, 투명 접착제층(540)에 의해 필름 기판(270)과 디자인층(120)이 윈도우 패널(110)의 상면에 부착된다.
그리고,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패널 일체형의 정전용량 터치 패널에 따르면 도 10의 윈도우 패널 구조체의 윈도우 패널(110)의 하면에 정전용량 센서(130)가 형성된다. 정전용량 센서(13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전성 막(131)과 회로 배선(13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1과 같이 정전용량 센서(130)가 하부로 노출되는 구조의 경우, 도전성 막(131)과 회로 배선(133)을 보호하기 위한 층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패널 일체형의 정전용량 터치 패널에 따르면 윈도우 패널(110)의 상면에 정전용량 센서(130)가 형성된다. 투명 접착제층(540)이 필름 기판(270)과 디자인층(120)의 하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필름 기판(270)과 디자인층(120)을 정전용량 센서(130)의 상면에 부착한다.
도 8 내지 도 12의 투명 접착제층(440, 540)은 광학용 투명 접착제(optically clear adhesive, OCA)로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사용된 '투명'이라는 용어는 광학적으로 완전히 투명한 경우뿐만 아니라 부분적으로 투명한 경우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터치 패널 110: 윈도우 패널
120: 디자인층 130: 정정용량 센서
131: 도전성 막 133: 회로 배선
137: 정전용량 센서 기판 139: 투명 평탄화막
140, 440, 540: 투명 접착제층 150: 제1 기판
170, 270: 필름 기판

Claims (9)

  1. 윈도우 패널,
    정전용량 센서,
    상기 윈도우 패널의 가장자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정전용량 센서 위에 형성되는 디자인층, 그리고
    상기 디자인층과 상기 정전용량 센서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디자인층과 상기 정전용량 센서를 상기 윈도우 패널의 하면에 부착하는 투명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패널.
  2. 제1항에서,
    상기 정전용량 센서는 정전용량 센서 기판, 그리고 상기 정전용량 센서 기판 위에 형성되는 도전성 막과 회로 배선을 포함하며,
    상기 디자인층은 상기 도전성 막 및 회로 배선 위에 형성되는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패널.
  3. 제1항에서,
    상기 정전용량 센서는 정전용량 센서 기판, 상기 정전용량 센서 기판 위에 형성되는 도전성 막과 회로 배선, 그리고 상기 도전성 막과 회로 배선 위에 형성되는 투명 평탄화막을 포함하며,
    상기 디자인층은 상기 투명 평탄화막 위에 형성되는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패널.
  4. 윈도우 패널,
    상기 윈도우 패널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1 기판,
    상기 윈도우 패널의 가장자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 기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디자인층,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디자인층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디자인층을 상기 윈도우 패널의 하면에 부착하는 제1 투명 접착제층,
    상기 제1 기판의 아래에 배치되는 정전용량 센서, 그리고
    상기 정전용량 센서를 상기 제1 기판의 하면에 부착하는 제2 투명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패널.
  5. 윈도우 패널,
    필름 기판,
    상기 윈도우 패널의 가장자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필름 기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디자인층, 그리고
    상기 필름 기판과 상기 디자인층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필름 기판과 상기 디자인층을 상기 윈도우 패널의 하면에 부착하는 투명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윈도우 패널 구조체.
  6. 윈도우 패널,
    필름 기판,
    상기 윈도우 패널의 가장자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필름 기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디자인층, 그리고
    상기 필름 기판과 상기 디자인층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필름 기판과 상기 디자인층을 상기 윈도우 패널의 하면에 부착하는 투명 접착제층,
    상기 필름 기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정전용량 센서를 포함하는 윈도우 패널 일체형의 정전용량 터치 패널.
  7. 윈도우 패널,
    필름 기판,
    상기 윈도우 패널의 가장자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필름 기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디자인층, 그리고
    상기 필름 기판과 상기 디자인층의 하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필름 기판과 상기 디자인층을 상기 윈도우 패널의 상면에 부착하는 투명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윈도우 패널 구조체.
  8. 윈도우 패널,
    필름 기판,
    상기 윈도우 패널의 가장자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필름 기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디자인층,
    상기 필름 기판과 상기 디자인층의 하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필름 기판과 상기 디자인층을 상기 윈도우 패널의 상면에 부착하는 투명 접착제층, 그리고
    상기 윈도우 패널의 하면에 형성되는 정전용량 센서를 포함하는 윈도우 패널 일체형의 정전용량 터치 패널.
  9. 윈도우 패널,
    필름 기판,
    상기 윈도우 패널의 가장자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필름 기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디자인층,
    상기 윈도우 패널의 상면에 형성되는 정전용량 센서, 그리고
    상기 필름 기판과 상기 디자인층의 하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필름 기판과 상기 디자인층을 상기 정전용량 센서의 상면에 부착하는 투명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윈도우 패널 일체형의 정전용량 터치 패널.
KR1020100055877A 2010-06-14 2010-06-14 윈도우 패널 구조체 및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패널 Expired - Fee Related KR101254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877A KR101254094B1 (ko) 2010-06-14 2010-06-14 윈도우 패널 구조체 및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패널
CN201180029094.XA CN102971694B (zh) 2010-06-14 2011-06-14 窗口面板组件及窗口面板一体型静电电容触控面板
PCT/KR2011/004336 WO2011159082A2 (ko) 2010-06-14 2011-06-14 윈도우 패널 구조체 및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패널
TW100120774A TW201207712A (en) 2010-06-14 2011-06-14 Capacitive touch panel of integrated window panel 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877A KR101254094B1 (ko) 2010-06-14 2010-06-14 윈도우 패널 구조체 및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092A true KR20110136092A (ko) 2011-12-21
KR101254094B1 KR101254094B1 (ko) 2013-04-12

Family

ID=45348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5877A Expired - Fee Related KR101254094B1 (ko) 2010-06-14 2010-06-14 윈도우 패널 구조체 및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패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254094B1 (ko)
CN (1) CN102971694B (ko)
TW (1) TW201207712A (ko)
WO (1) WO2011159082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53366A (zh) * 2012-11-29 2014-06-11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应用在触控面板的粘合层及其制备方法
KR101494658B1 (ko) * 2012-11-21 2015-02-25 (주)네패스디스플레이 터치패널, 회로기판본딩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75625A (ko) 2017-12-21 2019-07-01 한솔테크닉스(주) 기판 적층 구조물과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424B1 (ko) * 2013-04-26 2014-01-16 에스지글로벌 주식회사 접착부재 및 이를 구비한 터치스크린용 디스플레이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7329A (ja) * 2006-07-25 2008-0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タッチパネル
KR20080024771A (ko) * 2006-09-14 2008-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과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7948477B2 (en) * 2006-12-15 2011-05-24 Apple Inc. PET-based touchpad
KR100894710B1 (ko) * 2008-06-27 2009-04-24 (주) 월드비젼 윈도우 일체형 터치스크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97327B1 (ko) * 2008-10-10 2010-11-29 강점돌 윈도우 시트 일체형 터치패널
KR100942763B1 (ko) * 2009-03-30 2010-02-18 (주) 월드비젼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방식 터치 센서 및 제조 방법
KR100954894B1 (ko) * 2009-09-10 2010-04-28 남동식 터치패널센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658B1 (ko) * 2012-11-21 2015-02-25 (주)네패스디스플레이 터치패널, 회로기판본딩장치 및 그 방법
CN103853366A (zh) * 2012-11-29 2014-06-11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应用在触控面板的粘合层及其制备方法
CN103853366B (zh) * 2012-11-29 2017-07-11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应用在触控面板的粘合层及其制备方法
KR20190075625A (ko) 2017-12-21 2019-07-01 한솔테크닉스(주) 기판 적층 구조물과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59082A2 (ko) 2011-12-22
KR101254094B1 (ko) 2013-04-12
WO2011159082A3 (ko) 2012-04-19
CN102971694B (zh) 2016-01-27
CN102971694A (zh) 2013-03-13
TW201207712A (en) 201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3900B2 (en) Input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2455821B (zh) 输入装置及输入装置的制造方法
US20110109583A1 (en) Capacitive Touch Screen Panel
KR20110136089A (ko) 정전용량 터치 센서
JP2012155644A (ja) 加飾カバーガラス一体型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KR101254094B1 (ko) 윈도우 패널 구조체 및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패널
KR101386333B1 (ko) 입력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3167028U (ja) タッチパネルの装飾枠
KR101152716B1 (ko) 정전용량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패널 일체형의 정전용량 터치 패널
KR102152830B1 (ko) 터치 패널
KR20120006175A (ko) 윈도우 패널 및 윈도우 패널의 디자인층 형성 방법
TWI486859B (zh) 電容式觸控面板結構
KR20150145211A (ko) 터치 패널용 윈도우 및 이를 구비한 터치 윈도우
CN202008648U (zh) 改进的触控板装饰框构造
KR20150073254A (ko) 터치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217589B1 (ko)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패널
KR20130128711A (ko)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TWI530835B (zh) 觸控面板、觸控顯示裝置及觸控面板之製造方法
KR101721336B1 (ko)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보호필름
KR102212879B1 (ko) 터치 패널
KR20150031807A (ko) 터치패널
KR102193795B1 (ko) 보강부재가 도포된 터치 패널
KR101111090B1 (ko) 정전용량 터치 센서, 이를 이용한 정전용량 터치 패널, 및 정전용량 터치 센서 제조방법
KR20150026620A (ko) 터치 패널
KR20150087547A (ko) 터치 윈도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11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4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108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11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11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0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212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11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111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4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4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