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1183A - 반도체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21183A KR20110121183A KR1020100040660A KR20100040660A KR20110121183A KR 20110121183 A KR20110121183 A KR 20110121183A KR 1020100040660 A KR1020100040660 A KR 1020100040660A KR 20100040660 A KR20100040660 A KR 20100040660A KR 20110121183 A KR20110121183 A KR 201101211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ord line
- voltage
- discharge
- line control
- contro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08—Address circuits; Decoders; Word-line control circuits
Landscapes
- Read Only Memory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은 도 1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워드라인의 전압레벨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디스차지 제어펄스 발생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31B : 제1 워드라인 디스차지부
32B : 제2 워드라인 디스차지부
도면에서 PMOS 트랜지스터와 NMOS 트랜지스터는 각각 MPi, MNi (i=0,1,2, … ) 으로 표시함.
Claims (27)
- 제1 동작구간에서 복수의 워드라인 제어전압 중 제1 워드라인 제어전압을 할당된 워드라인으로 전달하고, 제2 동작구간에서 상기 복수의 워드라인 제어전압 중 제2 워드라인 제어전압을 할당된 상기 워드라인으로 전달하는 전압 전달부; 및
상기 제1 동작구간과 상기 제2 동작구간 사이의 디스차지구간에서 접지전압 보다 높고 상기 제1 및 제2 워드라인 제어전압 보다 낮은 전압레벨로 상기 워드라인을 디스차지하는 워드라인 디스차지부
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전압레벨을 갖는 상기 복수의 워드라인 제어전압을 생성하는 워드라인 제어전압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드라인에 접속된 메모리 셀은 비휘발성 메모리 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셀은,
컨트롤 게이트(Control Gate) 및 플로팅 게이트(Floating Gate)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구간은 데이터 프로그래밍 구간이며, 상기 제2 동작구간은 데이터 읽기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워드라인 제어전압 발생부는,
전하 펌핑(Charge Pumping)을 통해서 상기 복수의 워드라인 제어전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전달부는,
내부 커맨드 및 워드라인 전압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워드라인 제어전압을 각각 할당된 워드라인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드라인 디스차지부는,
상기 워드라인과 제1 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1 다이오드;
상기 제1 노드와 제2 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2 다이오드; 및
상기 제2 노드와 접지전압단 사이에 접속되며, 디스차지신호의 제어를 받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 동작구간에서 복수의 워드라인 제어전압 중 제1 워드라인 제어전압을 할당된 워드라인으로 전달하고, 제2 동작구간에서 상기 복수의 워드라인 제어전압 중 제2 워드라인 제어전압을 할당된 상기 워드라인으로 전달하는 전압 전달부;
상기 제1 동작구간과 상기 제2 동작구간 사이의 디스차지구간 중 초기 일정구간 동안 활성화 되는 제1 디스차지 제어펄스신호 및 상기 디스차지구간 동안 활성화 되는 제2 디스차지 제어펄스신호를 생성하는 디스차지 제어펄스 발생부;
상기 제1 디스차지 제어펄스신호의 활성화 구간동안 접지전압으로 상기 워드라인을 디스차지하는 제1 워드라인 디스차지부; 및
상기 제2 디스차지 제어펄스신호의 활성화 구간동안 상기 접지전압 보다 높고 상기 제1 및 제2 워드라인 제어전압 보다 낮은 전압레벨로 상기 워드라인을 디스차지하는 제2 워드라인 디스차지부
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전압레벨을 갖는 상기 복수의 워드라인 제어전압을 생성하는 워드라인 제어전압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워드라인에 접속된 메모리 셀은 비휘발성 메모리 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셀은,
컨트롤 게이트(Control Gate) 및 플로팅 게이트(Floating Gate)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구간은 데이터 프로그래밍 구간이며, 상기 제2 동작구간은 데이터 읽기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워드라인 제어전압 발생부는,
전하 펌핑(Charge Pumping)을 통해서 상기 복수의 워드라인 제어전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전달부는,
내부 커맨드 및 워드라인 전압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워드라인 제어전압을 각각 할당된 워드라인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워드라인 디스차지부는,
상기 워드라인과 접지전압단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1 디스차지 제어펄스신호의 제어를 받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워드라인 디스차지부는,
상기 워드라인과 제1 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1 다이오드;
상기 제1 노드와 제2 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2 다이오드; 및
상기 제2 노드와 접지전압단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2 디스차지 제어펄스신호의 제어를 받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 동작구간에서 복수의 워드라인 제어전압 중 제1 워드라인 제어전압을 할당된 워드라인으로 전달하고, 제2 동작구간에서 상기 복수의 워드라인 제어전압 중 제2 워드라인 제어전압을 할당된 상기 워드라인으로 전달하는 전압 전달부;
제어코드의 코드값에 대응하는 전압레벨을 갖는 디스차지 제어전압을 생성하는 디스차지 제어전압 발생부; 및
상기 제1 동작구간과 상기 제2 동작구간 사이의 디스차지구간 동안 접지전압 보다 높고 상기 제1 및 제2 워드라인 제어전압 보다 낮은 전압레벨로 상기 워드라인을 디스차지 하는데 있어서, 상기 디스차지 제어전압의 전압레벨에 따라 상기 워드라인을 디스차지 하는 슬루우 레이트를 조절하는 워드라인 디스차지부
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전압레벨을 갖는 상기 복수의 워드라인 제어전압을 생성하는 워드라인 제어전압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워드라인에 접속된 메모리 셀은 비휘발성 메모리 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셀은,
컨트롤 게이트(Control Gate) 및 플로팅 게이트(Floating Gate)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구간은 데이터 프로그래밍 구간이며, 상기 제2 동작구간은 데이터 읽기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워드라인 제어전압 발생부는,
전하 펌핑(Charge Pumping)을 통해서 상기 복수의 워드라인 제어전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전달부는,
내부 커맨드 및 워드라인 전압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워드라인 제어전압을 각각 할당된 워드라인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워드라인 디스차지부는,
상기 워드라인과 제1 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1 다이오드;
상기 제1 노드와 제2 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2 다이오드;
상기 제2 노드와 제3 노드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디스차지 제어전압의 제어를 받는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3 노드와 접지전압단 사이에 접속되며, 디스차지신호의 제어를 받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코드는 모드 레지스터 셋에서 출력되는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코드는 커맨드 제어회로에서 출력되는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0660A KR101083676B1 (ko) | 2010-04-30 | 2010-04-30 | 반도체 메모리 장치 |
US12/841,014 US8406061B2 (en) | 2010-04-30 | 2010-07-21 |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
CN2010102518619A CN102237133A (zh) | 2010-04-30 | 2010-08-12 | 半导体存储装置 |
JP2010277882A JP2011238328A (ja) | 2010-04-30 | 2010-12-14 | 半導体メモリ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0660A KR101083676B1 (ko) | 2010-04-30 | 2010-04-30 | 반도체 메모리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1183A true KR20110121183A (ko) | 2011-11-07 |
KR101083676B1 KR101083676B1 (ko) | 2011-11-16 |
Family
ID=44858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40660A Expired - Fee Related KR101083676B1 (ko) | 2010-04-30 | 2010-04-30 | 반도체 메모리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8406061B2 (ko) |
JP (1) | JP2011238328A (ko) |
KR (1) | KR101083676B1 (ko) |
CN (1) | CN102237133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14309A (ko) * | 2018-03-29 | 2019-10-10 |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 반도체 메모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저장 장치 및 메모리 컨트롤러의 동작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378836B1 (en) | 2014-12-18 | 2016-06-28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Sensing circuit for a non-volatile memory cell having two complementary memory transistors |
US20160189786A1 (en) * | 2014-12-24 | 2016-06-30 | Sandisk Technologies Inc. |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read time for nonvolatile memory devices |
KR102349729B1 (ko) | 2015-10-23 | 2022-01-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그것을 포함하는 저장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
KR102572610B1 (ko) * | 2016-05-17 | 2023-09-01 |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
CN112086120A (zh) * | 2020-11-13 | 2020-12-15 | 深圳市芯天下技术有限公司 | 一种字线位线电压转换方法、电路及非型闪存 |
KR20240131776A (ko) * | 2023-02-24 | 2024-09-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플래시 메모리 및 그것의 읽기 리커버리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17388A (ja) * | 1992-02-04 | 1993-08-27 | Toshiba Corp |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
JP3914340B2 (ja) | 1997-08-30 | 2007-05-16 | 株式会社ハイニックスセミコンダクター | フラッシュメモリ装置 |
KR100287545B1 (ko) * | 1998-09-17 | 2001-04-16 | 윤종용 | 불 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 |
JP2000100183A (ja) * | 1998-09-17 | 2000-04-07 | Hitachi Ltd | 半導体集積回路および不揮発性メモリ |
JP3836279B2 (ja) * | 1999-11-08 | 2006-10-25 | 株式会社東芝 |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JP2002251895A (ja) * | 2001-02-26 | 2002-09-06 | Hitachi Ltd | 半導体不揮発性記憶装置 |
KR100521364B1 (ko) * | 2002-11-18 | 2005-10-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플레쉬 메모리 셀들의 프로그램 오판을 방지하고 균일한문턱 전압 산포를 가질 수 있는 플레쉬 메모리 장치 및 그프로그램 검증 방법 |
US6906966B2 (en) * | 2003-06-16 | 2005-06-14 | Saifun Semiconductors Ltd. | Fast discharge for program and verification |
KR100613078B1 (ko) | 2003-09-27 | 2006-08-16 | 에스티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엔.브이. | 낸드 플래시 메모리 내의 롬을 이용한 워드라인 패스바이어스 보존 방법 및 장치 |
KR100673170B1 (ko) | 2005-03-10 | 2007-01-22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향상된 소거 기능을 가지는 플래쉬 메모리 장치 및 그 소거동작 제어 방법 |
JP2006331476A (ja) * | 2005-05-23 | 2006-12-07 | Toshiba Corp |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
KR100761470B1 (ko) | 2006-07-31 | 2007-09-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프로그램 디스터브를 방지할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및 그것의 프로그램 방법 |
US7551482B2 (en) | 2006-12-27 | 2009-06-23 | Sandisk Corporation | Method for programming with initial programming voltage based on trial |
JP4435202B2 (ja) * | 2007-04-24 | 2010-03-17 | 株式会社東芝 |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
US7609560B2 (en) | 2007-11-20 | 2009-10-27 | Micron Technology, Inc. | Sensing of memory cells in a solid state memory device by fixed discharge of a bit line |
-
2010
- 2010-04-30 KR KR1020100040660A patent/KR101083676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07-21 US US12/841,014 patent/US8406061B2/en active Active
- 2010-08-12 CN CN2010102518619A patent/CN102237133A/zh active Pending
- 2010-12-14 JP JP2010277882A patent/JP2011238328A/ja active Pending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14309A (ko) * | 2018-03-29 | 2019-10-10 |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 반도체 메모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저장 장치 및 메모리 컨트롤러의 동작 방법 |
CN110322919A (zh) * | 2018-03-29 | 2019-10-11 | 爱思开海力士有限公司 | 半导体存储器装置、存储装置及操作存储器控制器的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83676B1 (ko) | 2011-11-16 |
CN102237133A (zh) | 2011-11-09 |
JP2011238328A (ja) | 2011-11-24 |
US8406061B2 (en) | 2013-03-26 |
US20110267894A1 (en) | 2011-1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83676B1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 | |
US8923055B2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US20090016109A1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 |
KR100624302B1 (ko) | 난드 플래시 메모리의 로우 디코더 회로 및 이를 이용한동작 전압 공급 방법 | |
US8605519B2 (en) | Pump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US10930321B2 (en) | Apparatuses and methods for mixed charge pumps with voltage regulator circuits | |
KR20130046521A (ko) | 전압 선택 회로 및 이를 구비한 집적회로 | |
KR101157023B1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워드라인 디스차지방법 | |
KR101024152B1 (ko) |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페이지 버퍼를 이용한 프로그램 검증 방법 | |
US9870832B2 (en) |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and non-volatile memor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US8514640B2 (en) |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JP6770140B1 (ja) |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 | |
KR101200021B1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 |
KR102020643B1 (ko) | 레귤레이터 및 이를 포함한 반도체 장치 | |
KR100713992B1 (ko) |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프로그램 방법 | |
KR20110078753A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101201606B1 (ko) | 반도체 장치의 고전압 스위치 회로 | |
KR20120086481A (ko) | 제어전압 생성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 |
KR101005165B1 (ko) | 전압 발생 회로 및 이를 이용한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 |
KR100769808B1 (ko) | 워드라인 블럭 스위치를 구비한 플래시 메모리 장치 | |
KR20090000379A (ko) | 고전압 발생회로 및 이를 구비한 플래시 메모리 소자 | |
KR20100121130A (ko) |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6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2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1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1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820 |